KR101676017B1 -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6017B1
KR101676017B1 KR1020090038457A KR20090038457A KR101676017B1 KR 101676017 B1 KR101676017 B1 KR 101676017B1 KR 1020090038457 A KR1020090038457 A KR 1020090038457A KR 20090038457 A KR20090038457 A KR 20090038457A KR 101676017 B1 KR101676017 B1 KR 1016760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age
range
rule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9375A (ko
Inventor
주학수
윤영선
황용호
김봉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38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6017B1/ko
Priority to US12/714,846 priority patent/US20100217976A1/en
Priority to PCT/KR2010/002726 priority patent/WO2010126324A2/en
Priority to EP10769969.6A priority patent/EP2425372B1/en
Priority to CN201080019318.4A priority patent/CN102414693B/zh
Publication of KR20100119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9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6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6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7Establishing a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the client and a peripheral device or smart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2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content or source identification data, e.g. Unique Material Identifier [UM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Abstract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컨텐트의 보호에 관한 것으로,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원격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하고, 이와 같이 결정된 사용 규칙을 따르는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한다.

Description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importing content}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디지털 컨텐트의 보호에 관한 것으로, 특히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에서의 디지털 컨텐트의 보호에 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시대로부터 디지털 시대로 전환됨에 따라 많은 컨텐츠가 디지털로 제작되고 있다. 아날로그 컨텐트는 그 복사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나, 디지털 컨텐트는 그 복사가 용이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아날로그 컨텐트는 그 복사 횟수에 비례하여 그 품질이 저하되나, 디지털 컨텐트는 그 복사 횟수에 상관없이 동일한 품질을 유지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컨텐트 보호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디지털 컨텐트 보호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여러 기업들에 의해서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컨텐트 보호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디지털 컨텐트 보호 환경에서는 다양한 브로드캐스트 전송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고, 이것에 포함된 정보를 이용하여 컨텐트를 보호하고자 하였다.
특히, 미국 케이블랩스(CableLabs)라는 단체는 컨텐트의 복사를 제어하기 위하여 컨텐트에 복사 제어 정보(CCI, Copy Control Information)를 첨부하도록 하였다. 복사 제어 정보란 컨텐트의 복사의 횟수를 제한하는 2 비트의 정보를 말하며, 이것의 종류에는 카피 프리(copy free, 00), 카피 원스(copy once, 01), 카피 노모어(copy no more, 10) 및 카피 네버(copy never, 11)가 있다. 카피 프리는 컨텐트의 무제한 복사가 허용됨을 나타내고, 카피 원스는 컨텐트의 일회 복사만 허용됨을 나타낸다. 카피 원스인 컨텐트가 복사되면, 이 컨텐트는 카피 노모어가 된다. 카피 네버는 컨텐트의 복사 금지를 나타낸다.
또한, 미국의 연방 통신 위원회(FCC,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는 미국 내에서 방송되는 HD(High Definition) 급 디지털 컨텐트에 대하여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를 금지하기 위하여 컨텐트에 브로드캐스트 플래그(broadcast flag)를 첨부하도록 하였다. 브로드캐스트 플래그란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의 금지 여부를 나타내는 1 비트의 정보를 말하며, 이것의 종류에는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on, 1) 및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오프(off, 0)가 있다.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은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가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고,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오프는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가 허용됨을 나타낸다.
또한, 디지털 텔레비전에 대한 국제 표준인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는 FTA(Free To Air) DVB 서비스의 일부로서 전달된 컨텐트를 관리하기 위하여 컨텐트에 FTA 플래그를 첨부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디지털 컨텐트를 보 호하기 위하여 제시된 종래의 복사 제어 정보,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FTA 플래그 등은 그 표현 내용이 매우 간단하고 한정적이어서, 사용자로부터의 컨텐트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컨텐트를 보호하기에는 매우 미흡하였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로부터의 컨텐트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컨텐트를 보호할 수 있게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상기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라, 제 1 컨텐트 파일을 제 2 컨텐트 파일로 임포트(import)하는 방법은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원격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사용 규칙을 따르는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된 임포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라, 제 1 컨텐트 파일을 제 2 컨텐트 파일로 임포트(import)하는 장치는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원격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하는 사용 규칙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사 용 규칙을 따르는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컨텐트 파일 생성부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트 보호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트 보호 환경은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100), HDCP(High Bandwidth Digital Content Protection) 시스템(200) 및 DTCP(Digital Transmission Content Protection) 시스템(300)과 같은 다양한 컨텐트 보호 시스템과 이것들에 의한 보호를 받는 다수의 디바이스들(21-23)로 구성된다.
DRM 시스템(100)은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트의 권리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HDCP 시스템(200)은 DVI(Digital Video Interface)와 같은 고 대역폭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지털 디스플레이로 출력되는 컨텐트의 복사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DTCP 시스템(300)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1394 규격을 따르는 USB(Universal Serial Bus)를 통해서 전송되는 컨텐트의 복사를 방지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상기된 바와 같은 컨텐트 보호 시스템 이외에도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시스템, CPRM(Content Protection for Recordable Media) 시스템 등과 같은 다른 컨텐트 보호 시스템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DRM 시스템(100)은 종래의 복사 제어,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FTA 플래그 등에 의해 보호되는 컨텐트를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하면서도 동시에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를 보다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로 임포트(import)하는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컨텐트 임포트란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컨텐트의 라이센스를 생성하고, 컨텐트를 암호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컨텐트 임포트란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지 않는 컨텐트 파일을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 파일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의 컨텐트 재-임포트(re-import)란 이미 임포트된 컨텐트 파일을 수신한 디바이스(21-23)가 이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라이센스에 기초하여 새롭게 라이센스를 생성하고, 컨텐트를 암호화하는 과정을 말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컨텐트 파일이란 컨텐트 및 이것에 대한 복사 제어 정보 또는 라이센스 등을 포함하는 파일을 말한다. 특히, 컨텐트 파일이란 용어는 단순히 컨텐트란 용어로 호칭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임포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2에 도시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수신부(101), 검출부(102), 사용 범위 결정부(103),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 사용 규칙 결정부(105), 컨텐트 아이디/키 생성부(106), 암호화부(107), 제 1 암호화부(1071), 제 2 암호화부(1072), 전자 서명부(108), 라이센스 생성부(109), 컨텐트 파일 생성 부(110), 저장부(111), 스토리지(112) 및 송수신부(113)로 구성된다.
수신부(101)는 다양한 브로드캐스트 전송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수신부(101)는 인공 위성, 지상 기지국 등의 무선 매체를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수신할 수도 있고, 인터넷 등의 유선 매체를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수신할 수도 있고,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기록 매체를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수신할 수도 있다.
검출부(102)는 수신부(101)에 수신된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컨텐트 파일을 검출하고, 이 컨텐트 파일로부터 어느 하나의 컨텐트 및 이 컨텐트에 대한 사용 제한 정보(UCI, Usage Constraint Information)를 검출한다.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 파일은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지 않으며, 종래의 복사 제어 정보,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FTA(Free To Air) 플래그 등을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는 DRM 시스템(100)에 의해 보호될 수도 있고, 종래의 HDCP 시스템(200) 또는 DTCP 시스템(300)에 의해 보호될 수도 있다. 다만, 이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가 DRM 시스템(100)에 의해 보호되기 위해서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 파일을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 파일로 임포트하여야 한다.
사용 제한 정보의 예로는 종래의 복사 제어 정보,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FTA(Free To Air) 플래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복사 제어 정보란 컨텐트의 복사의 횟수를 제한하는 정보를 말하며, 이것의 종류에는 카피 프리, 카피 원스, 카피 노모어 및 카피 네버가 있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플래그란 컨텐트 의 무제한 재배포의 금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말하며, 이것의 종류에는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 및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오프가 있다. 또한, FTA 플래그란 컨텐트 공급자, 예를 들면 브로드캐스터(broadcaster)에 의해 브로드캐스트된 시청료 무료의 컨텐트, 즉 FTA 컨텐트가 어떤 수신기에 수신된 이후에 재배포(redistribute)되는 경우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를 말한다. 이것은 컨텐트 사용에 대한 컨텐트 제작자 또는 컨텐트 공급자, 예를 들면 브로드캐스터의 의도(intention)를 반영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FTA 플래그란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어떤 디바이스의 원격지에 위치한 다른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이 컨텐트를 원격 접속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말한다. 여기에서,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인터넷이 될 것이다. DVB 표준에 따르면, FTA 플래그는 FTA 플래그를 나타내기 위해 0x7E로 설정되어 있는 8 비트의 "descriptor_tag", FTA 플래그의 데이터 영역(data portion)의 전체 바이트 수를 특정하는 8 비트의 "descriptor_length", 컨텐트 보호를 위한 컨텐트 스크램블(scramble)을 적용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1 비트의 "do_not_scramble", 인터넷을 통한 컨텐트의 재분배에 관한 정책, 즉 인터넷을 통한 컨텐트의 원격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나타내는 2 비트의 "remote_access_over_internet", 및 컨텐트에 컨텐트 폐기 과정(content revocation process)을 적용할 것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1 비트의 "do_not_apply_revocation"으로 구성된다. 도 2에는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와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가 별개의 장치로 서 도시되어 있으나, 하나의 장치로 설계될 수도 있다.
그런데, 카피 노모어는 카피 원스인 컨텐트가 일회 복사됨에 따라 발생된 복사 제어 정보이기 때문에 DRM 시스템(100)은 카피 노모어인 컨텐트를 수신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카피 노모어인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경우는 없다. 왜냐하면, DRM 시스템(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브로드캐스트 전송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최초로 수신하는 컨텐트 보호 시스템으로서 카피 노모어인 컨텐트를 수신하는 경우는 발생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카피 네버는 컨텐트의 복사 금지를 나타내기 때문에 DRM 시스템(100)은 카피 네버인 컨텐트를 복사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카피 네버인 컨텐트를 임포트할 수 없다. 왜냐하면, DRM 시스템(100)이 어느 하나의 컨텐트를 임포트하기 위해서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지 않는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를 복사하고, 이것을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 파일에 포함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오프인 컨텐트는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가 허용되기 때문에 DRM 시스템(100)에 의한 컨텐트 보호가 불필요하다. 따라서, DRM 시스템(100)은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오프인 컨텐트를 임포트할 필요가 없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트 임포트 장치(100)가 카피 노모어, 카피 네버 또는 브로드캐스트 오프인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컨텐트의 사용 제한 정보가 카피 노모어, 카피 네버, 브로드캐스트 오프인 경우를 제외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FTA 플래그 중 "do_not_scramble"이 "0"인 경우는 컨텐트 보호를 위해 컨텐트에 스크램블이 적용됨을 나타내고, "1"인 경우는 컨텐트에 스크램블이 적용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특히, "do_not_scramble"이 "0"인 경우, 즉 컨텐트 스크램블이 적용 가능하게 된 경우, HDCP, DTCP 등에 따라 컨텐트의 전송을 위한 디지털 링크(digital link)들은 보호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컨텐트 임포트 장치(10)가 "do_not_scramble"이 "0"인 컨텐트를 수신한 경우,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이 컨텐트를 어떤 디바이스로 임포트하는 과정에서 HDCP, DTCP 등에 따른 컨텐트 스크램블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가 이 컨텐트를 다른 디바이스로 재-임포트하거나 전송하는 과정에서 HDCP, DTCP 등에 따른 컨텐트 스크램블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FTA 플래그 중 "remote_access_over_internet"이 "00"인 경우는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제 1 디바이스(21)의 원격지에 위치한 디바이스에 의한 컨텐트의 원격 접속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음(fully enabled)을 나타낸다. 즉, FTA 플래그 "remote_access_over_internet"이 "00"인 경우는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제 1 디바이스(21)의 원격지에 위치한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21)가 보유하고 있는 컨텐트를 컨텐트의 사용 범위의 제한 없이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 접속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 경우,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제 1 디바이스(21)에 의한 컨텐트의 시청(view), 복사(copy), 이동(move)과 원격지에 위치한 디바이스, 예를 들면 제 4 디바이스(24)에 의한 컨텐트의 원격 접속은 컨텐트의 사용 범위의 제한 없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FTA 플래그 중 "remote_access_over_internet"이 "01"인 경우는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제 1 디바이스(21)의 원격지에 위치한 디바이스에 의한 컨텐트의 원격 접속이 관리 도메인(managed domain) 내에서만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즉, FTA 플래그 "remote_access_over_internet"이 "01"인 경우는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제 1 디바이스(21)의 원격지에 위치한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21)가 보유하고 있는 컨텐트를 관리 도메인 내에서만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 접속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관리 도메인이란 컨텐트 사용이 제어될 수 있는 범위,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댁내에 거주하는 가족 구성원(household)이 사용하는 디바이스들의 집합(set)을 의미한다. 즉, 관리 도메인이란 지리적인 영역을 나타내는 것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컨텐트 사용이 제어될 수 있는 범위 내에 있는 디바이스들의 집합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댁내에 거주하는 가족 구성원(household)이 사용하는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가 제 4 디바이스(24)라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디바이스(24)가 제 1 디바이스(21)의 원격지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제 1 디바이스(21)가 보유하고 있는 컨텐트를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 접속할 수 있다.
이 경우,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제 1 디바이스(21)에 의한 컨텐트의 시청, 복사, 이동은 소정 지역에 한하여(locally only) 이루어지고, 원격지에 위치한 디바이스에 의한 컨텐트의 원격 접속은 관리 도메인 내에 있는 디바이스, 예를 들면 제 4 디바이스(24)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소정 지역("local")은 컨텐트를 보유하고 있는 디바이스를 중심으 로 한 지리적인 영역, 예를 들면 거주지(domicile) 또는 차량(vehicle)의 물리적인 범위(physical extent)에 근접하는 동일한 인접지(same immediate vicinity)를 의미한다. 이것은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적용하기에 앞서 어떤 디바이스의 소정 지역에 다른 디바이스가 위치해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디바이스들의 요구(need)를 암시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관리 도메인, 소정 지역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는 컨텐트 제작자, 컨텐트 공급자 등으로 구성되는 협의 권한(compliance regime)에 의해 보다 세부적으로 정하여 질 수 있다(refine).
FTA 플래그 중 "remote_access_over_internet"이 "10"인 경우는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제 1 디바이스(21)의 원격지에 위치한 디바이스에 의한 컨텐트의 원격 접속이 특정 시간대에 관리 도메인 내에서만 이루어짐을 나타낸다. 즉, FTA 플래그 "remote_access_over_internet"이 "10"인 경우는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제 1 디바이스(21)의 원격지에 위치한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21)가 보유하고 있는 컨텐트를 특정 시간대에 관리 도메인 내에서만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 접속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 경우,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제 1 디바이스(21)에 의한 컨텐트의 시청, 복사, 이동은 소정 지역에 한하여 이루어지고, 원격지에 위치한 디바이스에 의한 컨텐트의 원격 접속은 특정 시간대에 관리 도메인 내에 있는 디바이스, 예를 들면 제 4 디바이스(24)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생방송물(live transmissions)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최초 방송(original broadcast)의 수신 시점부터 24 시간까지는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제 1 디바이스(21)에 의한 컨텐트의 시청, 복사, 이동만이 이루어지고, 원격지에 위치한 디바이스에 의한 컨텐트의 원격 접속은 최초 방송의 수신 시점부터 24 시간이후에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생방송 컨텐트를 최초로 수신한 디바이스들은 바로 이 컨텐트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인터넷을 통하여 이 컨텐트에 접속하는 디바이스들은 최초 방송의 수신 시점부터 24 시간이후에만 이 컨텐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터넷을 통한 생방송 컨텐트의 실시간 확산을 방지할 수 있다.
FTA 플래그 중 "remote_access_over_internet"이 "11"인 경우는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제 1 디바이스(21)의 원격지에 위치한 디바이스에 의한 컨텐트의 원격 접속이 이루어질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FTA 플래그 "remote_access_over_internet"이 "11"인 경우는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제 1 디바이스(21)의 원격지에 위치한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21)가 보유하고 있는 컨텐트를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 접속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이 경우,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제 1 디바이스(21)에 의한 컨텐트의 시청, 복사, 이동만이 소정 지역에 한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원격지에 위치한 디바이스에 의한 컨텐트의 원격 접속 금지가 아주 오랜 시간 후에 해제되도록 컨텐트 제작자, 컨텐트 공급자 등으로 구성되는 협의 권한에 의해 정하여질 수도 있다.
또한, FTA 플래그 중 "do_not_apply_revocation"이 "0"인 경우는 컨텐트 폐기 과정이 적용됨을 나타내고, "1"인 경우는 컨텐트 폐기 과정이 적용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특히, "do_not_apply_revocation"이 "0"인 경우, 즉 컨텐트 폐기 과정이 적용 가능하게 된 경우, 컨텐트 폐기 조건에 해당하는 특정 디바이스 또는 라이센스 등에 의한 컨텐트 사용이 불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컨텐트 임포트 장치(10)가 "ddo_not_apply_revocation"이 "0"인 컨텐트를 수신한 경우,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이 컨텐트를 어떤 디바이스로 임포트하는 과정에서 컨텐트 폐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가 이 컨텐트를 다른 디바이스로 재-임포트하거나 전송하는 과정에서 컨텐트 폐기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범위(usage bind)를 결정한다.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가 복사 제어 정보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복사 제어 정보가 카피 프리인 경우에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로 한정하는 디바이스 범위(device bound)로 결정하거나, 아니면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 포함된 모든 디바이스로 한정하는 도메인 범위(domain bound)로 결정한다. 또한,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복사 제어 정보가 카피 원스인 경우에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디바이스 범위로 결정한다.
카피 프리는 컨텐트의 무제한 복사가 허용됨을 나타내기 때문에 디바이스 범위 또는 도메인 범위 둘 다 가능하다. 그러나, 카피 원스는 컨텐트의 일회 복사만 허용됨을 나타내기 때문에 디바이스 범위만 가능하다. 왜냐하면, 컨텐트의 사용 범위가 도메인 범위로 결정될 경우,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 포함된 디바이스들은 이들간의 컨텐트의 자유로운 복사가 허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가 브로드캐스트 플래그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브로드캐스트 플래그가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인 경우에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디바이스 범위로 결정하거나, 아니면 도메인 범위로 결정한다. 브로드캐스트 플래그가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인 경우에는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가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기 때문에 디바이스 범위 또는 도메인 범위 둘 다 가능하다. 왜냐하면, 디바이스 범위 내에서의 컨텐트 사용은 당연히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 금지에 부합하고, 도메인 범위도 사용자에 의해 인식 가능한 특정 지역이기 때문에 도메인 범위 내에서의 컨텐트 사용도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 금지에 부합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가 FTA 플래그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 중 FTA 플래그를 기반으로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원격 접속이 가능한지 여부를 고려하여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결정한다. 특히,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 중 FTA 플래그가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원격 접속이 관리 도메인 내에서만 가능함을 나타내면, 이 관리 도메인을 고려하여 검출 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결정한다. 즉,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이 관리 도메인에 위배되지 않도록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결정한다. 또한,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 중 FTA 플래그가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시청, 복사, 이동이 소정 지역에 한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을 나타내면, 이 소정 지역을 고려하여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결정한다. 즉,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이 소정 지역에 위배되지 않도록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FTA 플래그 "remote_access_over_internet"이 "00"인 경우에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디바이스 범위로 결정하거나, 아니면 도메인 범위로 결정한다. 이 경우에 컨텐트의 시청, 복사, 이동, 원격 접속이 컨텐트의 사용 범위의 제한 없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 범위 또는 도메인 범위 둘 다 가능하다. 특히, 이 경우는 상기된 바와 같은 관리 도메인 및 소정 지역을 고려하지 않고,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만을 고려하여 디바이스 범위 또는 도메인 범위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FTA 플래그 "remote_access_over_internet"이 "01"인 경우에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디바이스 범위로 결정하거나, 아니면 도메인 범위로 결정한다. 이 경우에 컨텐트의 시청, 복사, 이동은 소정 지역에 한하여 이루어질 수 있 고, 컨텐트의 원격 접속은 관리 도메인 내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 범위 또는 도메인 범위 둘 다 가능하다. 다만, 디바이스 범위 또는 도메인 범위는 FTA 플래그에 정의된 소정 지역 및 관리 도메인에 위배되지 않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즉, 디바이스 범위 또는 도메인 범위에는 소정 지역을 벗어난 위치에 있는 디바이스나, 도 2에 도시된 댁내에 거주하는 가족 구성원이 사용하는 디바이스들의 집합 이외의 디바이스가 포함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FTA 플래그 "remote_access_over_internet"이 "10"인 경우에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디바이스 범위로 결정하거나, 아니면 도메인 범위로 결정한다. 이 경우에 컨텐트의 시청, 복사, 이동은 소정 지역에 한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컨텐트의 원격 접속은 특정 시간대에 관리 도메인 내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 범위 또는 도메인 범위 둘 다 가능하다. 다만, 디바이스 범위 또는 도메인 범위는 FTA 플래그에 정의된 소정 지역 및 관리 도메인에 위배되지 않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FTA 플래그 "remote_access_over_internet"이 "11"인 경우에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디바이스 범위로 결정하거나, 아니면 도메인 범위로 결정한다. 이 경우에 컨텐트의 시청, 복사, 이동은 소정 지역에 한하여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디바이스 범위 또는 도메인 범위 둘 다 가능하다. 다만, 디바이스 범위 또는 도메인 범위는 FTA 플래그에 정의된 소정 지역에 위배되지 않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어떤 디바이스들이 어떤 도메인을 구성하는 지에 관해서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기 때문에 도메인 범위는 사용자 범위로 표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이, DRM 시스템(100)의 규칙은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하면서도 동시에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를 보다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사용 범위 결정부(103)는 이와 같은 방향에서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디바이스 범위로 결정하거나, 아니면 도메인 범위로 결정한다. 다만, 디바이스 범위는 도메인 범위로 결정되는 것이 사용 제한 정보에 위반되는 경우에만 결정되도록 한다. 왜냐하면, 사용자의 컨텐트 사용 권리를 제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Content Control Information)를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는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 별로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만약,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가 디바이스 범위라면,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는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만약,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가 도메인 범위라면,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는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특히,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 중 FTA 플래그를 기반으로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스크램블 적용 여부, 컨텐트의 원격 접속이 가능한지 여부, 컨텐트의 폐기 과정 적용 여부 등을 고려하여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FTA 플래그 중 컨텐트의 스크램블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1 비트의 값을 고려하여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즉,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는 상기된 비트 값에 따라 HDCP, DTCP 등에 따라 컨텐트의 전송을 위한 디지털 링크들이 보호될 수 있도록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또한,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 중 FTA 플래그가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원격 접속의 여러 타입들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을 나타내면, 이 타입을 고려하여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즉,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는 이 타입에 해당하는 컨텐트의 원격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또한,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 중 FTA 플래그가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원격 접속이 특정 시간대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나타내면, 이 특정 시간대를 고려하여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즉,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는 이 특정 시간대에서만 컨텐트의 원격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FTA 플래그 중 "remote_access_over_internet"이 "00"인 경우에는 컨텐트의 원격 접속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또한,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FTA 플래그 중 "remote_access_over_internet"이 "01"인 경우에는 컨텐트의 원격 접속은 관리 도메인 내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또한,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FTA 플래그 중 "remote_access_over_internet"이 "10"인 경우에는 컨텐트의 원격 접속은 특정 시간대에 관리 도메인 내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또한,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FTA 플래그 중 "remote_access_over_internet"이 "11"인 경우에는 컨텐트의 원격 접속이 이루어질 수 없도록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FTA 플래그에 정의된 "관리 도메인", "소정 지역"에 위배되지 않도록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것은 이 "관리 도메인", "소정 지역"에 위배되지 않는 컨텐트의 사용 범위 내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것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또한,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FTA 플래그 중 컨텐트의 폐기 과정 적용 여부를 나타내는 1 비트의 값을 고려하여 검출부(102) 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즉,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는 상기된 비트 값에 따라 컨텐트 폐기 조건에 해당하는 특정 디바이스 또는 라이센스 등에 의한 컨텐트 사용이 불가능하도록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DRM 시스템(100)의 규칙은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하면서도 동시에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를 보다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는 이와 같은 방향에서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특히,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는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컨텐트의 원격 접속에 대한 제한 요구를 준수하면서도 동시에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를 보다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도 4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한 정보/사용 제어 정보의 매핑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한 정보/사용 제어 정보의 매핑 테이블은 사용 제한 정보 필드(41), 임포트 필드(42), 사용 범위 필드(43) 및 사용 제어 정보 필드(44)로 구성된다.
사용 제한 정보 필드(41)에는 사용 제한 정보가 기록된다. 임포트 필드(42)에는 사용 제한 정보 필드(41)에 기록된 사용 제한 정보를 갖는 컨텐트가 임포트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값이 기록된다. 사용 범위 필드(43)에는 사용 제한 정보 필드(41)에 기록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사용 범위가 기록된다. 사용 제어 정보 필드(44)에는 사용 범위 필드(43)에 기록된 사용 범위 별로 사용 제한 정보 필드(41)에 기록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사용 제어 정보가 기록된다.
특히, 사용 제어 정보 필드(44)에 기록된 값들 중 "도메인 아이디"는 어느 하나의 도메인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 파일을 수신한 디바이스(21)는 이 도메인 아이디를 참조하여 이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범위에 해당하는 도메인에 자신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 파일을 수신한 제 1 디바이스(21)는 이 도메인 아이디에 해당하는 도메인에 자신이 등록되어 있으면, 이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범위에 해당하는 도메인에 자신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사용 제어 정보 필드(44)에 기록된 값들 중 "임포트-시점"은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센스가 생성될 시점, 즉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지 않는 컨텐트 파일이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 파일로 임포트되는 시점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 파일을 수신한 제 1 디바이스(21)는 이 임포트 시점을 참조하여 이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범위에 해당하는 도메인에 대한 멤버십이 만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 파일을 수신한 제 1 디바이스(21)는 이 임포트 시점이 이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범위에 해당하는 도메인에 대한 멤버십의 유효 기간 내에 있으면, 멤버십이 만료되지 않은 것으로 결정한다.
또한, 사용 제어 정보 필드(44)에 기록된 값들 중 "임포트-타입"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라이센스로부터 생성되는 새로운 라이센스에 포함되는 사용 범위, 즉 사용 제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트 파일이 라이센스를 포함하는 컨텐트 파일로 임포트되고, 이 라이센스를 포함하는 컨텐트 파일로부터 재-임포트되는 컨텐트 파일에 포함되는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 파일을 수신한 제 1 디바이스(21)는 이미 임포트된 컨텐트 파일을 재-임포트하는 경우에 이 임포트 타입을 참조하여 새로운 라이센스에 포함되는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결정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 파일을 수신한 제 1 디바이스(21)는 임포트 타입이 도메인 범위를 나타내면, 이미 임포트된 컨텐트 파일로부터 재-임포트되는 컨텐트 파일에 포함되는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도메인 범위로 결정한다.
또한, 사용 제어 정보 필드(44)에 기록된 값들 중 "원격 접속-타입"은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원격 접속의 여러 타입들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 파일을 수신한 제 1 디바이스(21)의 원격지에 위치한 디바이스는 이 "원격 접속-타입"을 참조하여 제 1 디바이스(21)가 보유하고 있는 컨텐트를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 접속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FTA 플래그 "remote_access_over_internet"이 "00", "01", "10"인 경우, 제 1 디바이스(21)의 원격지에 위치한 디바이스는 제 1 디바이스(21)가 보유하고 있는 컨텐트를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한다. 다만, 디바이스 범위 또는 도메인 범위가 FTA 플래그에 정의된 소정 지역 및 관리 도메인에 위배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하여 "원격 접속-타입"은 유 효하다.
또한, 사용 제한 정보 필드(43)에 기록된 값들 중 "원격 접속 시작-시점"은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원격 접속을 시작할 수 있는 시점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 파일을 수신한 제 1 디바이스(21)의 원격지에 위치한 디바이스는 이 "원격 접속 시작-시점"을 참조하여 제 1 디바이스(21)가 보유하고 있는 컨텐트의 원격 접속을 시작할 수 있는 시점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 1 디바이스(21)의 원격지에 위치한 디바이스가 컨텐트의 원격 접속을 시작할 수 있는 시점은 최초 방송의 수신 시점부터 24 시간이후로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제 1 디바이스(21)의 원격지에 위치한 디바이스가 제 1 디바이스(21)가 보유하고 있는 컨텐트를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 접속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하여 "원격 접속 시작-시점"은 유효하다.
사용 규칙 결정부(105)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규칙(usage rule)을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 규칙 결정부(105)는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 별로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만약,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가 디바이스 범위라면, 사용 규칙 결정부(105)는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만약,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가 도메인 범위라면, 사용 규칙 결정부(105)는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특히, 사용 규칙 결정부(105)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 중 FTA 플래그를 기반으로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시청, 복사, 이동이 소정 지역에 한하여 가능한지 여부를 고려하여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 규칙 결정부(105)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 중 FTA 플래그가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시청, 복사, 이동이 소정 지역에 한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을 나타내면, 이 소정 지역을 고려하여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즉, 사용 규칙 결정부(105)는 이 소정 지역에 위배되지 않도록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FTA 플래그에 정의된 "소정 지역"에 위배되지 않도록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하는 것은 이 "소정 지역"에 위배되지 않는 컨텐트의 사용 범위 내에서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하는 것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 규칙 결정부(105)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FTA 플래그 "remote_access_over_internet"이 "00"인 경우에는 컨텐트의 시청, 복사, 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또한, 사용 규칙 결정부(105)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FTA 플래그 "remote_access_over_internet"이 "01", "10", "11"인 경우에는 컨텐트의 시청, 복사, 이동은 소정 지역에 한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DRM 시스템(100)의 규칙은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하면서도 동시에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를 보다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사용 규칙 결정부(105)는 이와 같은 방향에서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한 정보/사용 규칙 매핑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한 정보/사용 규칙 매핑 테이블은 사용 제한 정보 필드(51), 임포트 필드(52), 사용 범위 필드(53) 및 사용 규칙 필드(54)로 구성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 및 사용 규칙이 결정된다. 이와 같은 사용 제어 정보 및 사용 규칙은 모두 종래의 복사 제어 정보,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FTA 플래그 등에 의한 제한적인 컨텐트 보호에서 벗어나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하면서도 동시에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를 보다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 제어 정보 및 사용 규칙은 사용 규칙 등과 같은 하나의 용어로 호칭될 수도 있으며, 이와 유사한 용어로 호칭될 수도 있다.
사용 제한 정보 필드(51)에는 사용 제한 정보가 기록된다. 임포트 필드(52)에는 사용 제한 정보 필드(51)에 기록된 사용 제한 정보를 갖는 컨텐트가 임포트 가능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값이 기록된다. 사용 범위 필드(53)에는 사용 제한 정보 필드(51)에 기록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사용 범위가 기록된다. 사용 규칙 필드(54)에는 사용 범위 필드(53)에 기록된 사용 범위 별로 사용 제한 정보 필드(51)에 기록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사용 규칙이 기록된다.
특히, 사용 규칙 필드(54)에 기록된 값들 중 "올(all)"은 컨텐트에 대한 모든 종류의 사용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또한, 사용 규칙 필드(54)에 기록된 값들 중 "M"은 컨텐트의 이동(Move)을 나타낸다. 컨텐트의 이동이란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저장된 컨텐트가 이 디바이스로부터 삭제됨과 동시에 다른 디바이스에 저장됨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 규칙 필드(54)에 기록된 값들 중 "S"는 컨텐트의 스트리밍(Streaming)을 나타낸다. 컨텐트의 스트리밍이란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저장된 컨텐트가 다른 디바이스로 잠시 출력되나, 원래 디바이스에서 컨텐트를 계속적으로 저장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 규칙 필드(54)에 기록된 값들 중 "P"는 컨텐트의 재생(Play)을 나타낸다. 컨텐트의 재생이란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가 컨텐트를 재생함을 의미한다.
카피 프리는 컨텐트의 무제한 복사가 허용됨을 나타내기 때문에, 사용 제한 정보가 카피 프리인 경우에는 사용 범위 필드(53)에 디바이스, 도메인이 기록되고, 사용 규칙 필드(54)에 "올"이 기록된다. 반면, 카피 원스는 컨텐트의 일회 복사만 허용됨을 나타내기 때문에, 사용 제한 정보가 카피 원스인 경우에는 사용 범위 필드(53)에 디바이스가 기록되고, 사용 규칙 필드(54)에 "M, S, P"가 기록된다.
컨텐트의 사용 예들로는 상기된 이동, 스트리밍, 재생 이외에도 복사 등이 있다. 컨텐트의 복사란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를 복사함을 의미한다. 그런데, 컨텐트 임포트 장치(10)가 컨텐트를 임포트하기 위해서는 컨텐트 복사가 전제되어야 하고, 그 결과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를 복사한다면 2 회의 복사가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카피 원스인 컨텐트를 임포트할 수는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라 임포트된 컨텐트를 복사하도록 허용할 수는 없다. 이것이 사용 제한 정보가 카피 원스인 경우에 사용 규칙 필드(54)에 "M, S, P"만이 기록되는 이유이다.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은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가 허용되지 않음을 나타내기 때문에 브로드캐스트 플래그가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온인 경우에는 사용 범위 필드(53)에 디바이스, 도메인이 기록되고, 사용 규칙 필드(54)에 "올"이 기록된다. 디바이스 범위 내에서의 컨텐트의 복사를 포함한 어떠한 형태의 사용도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 금지에 부합하고, 도메인 범위도 사용자에 의해 인식 가능한 특정 지역이기 때문에 도메인 범위 내에서의 컨텐트의 복사를 포함한 어떠한 형태의 사용도 컨텐트의 무제한 재배포 금지에 부합한다.
FTA 플래그 "remote_access_over_internet"이 "00", "01", "10", "11"인 경우 모두 최소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제 1 디바이스(21)에 의한 컨텐트의 시청, 복사,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 범위 필드(53)에 디바이스, 도메인이 기록되고, 사용 규칙 필드(54)에 "올"이 기록된다. 다만, 디바이스 범위 또는 도메인 범위가 FTA 플래그에 정의된 소정 지역 및 관리 도메인에 위배되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한다. 사용 규칙 필드(54)에 기록된 사용 규칙은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제 1 디바이스(21)의 원격지에 위치한 제 4 디바이스(24)가 인터넷을 통하여 제 1 디바이스(21)가 보유하고 있는 컨텐트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사용 규칙을 함께 나타낼 수도 있다. 나 아가, 사용 규칙 필드(54)에는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제 1 디바이스(21)의 원격지에 위치한 제 4 디바이스(24)가 인터넷을 통하여 제 1 디바이스(21)가 보유하고 있는 컨텐트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사용 규칙이 더 기록될 수도 있다.
컨텐트 아이디/키 생성부(106)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의 아이디를 생성하고, 이 컨텐트 아이디에 대응하는 컨텐트 키를 생성한다. 컨텐트 아이디/키 생성부(106)에 의해 생성된 컨텐트 키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된다.
암호화부(107)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를 선택적으로 암호화한다. 즉, 복사 제어 정보가 카피 노모어, 카피 네버인 경우나 브로드캐스트 플래그가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오프인 경우에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컨텐트를 임포트하지 않기 때문에, 암호화부(107)는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를 암호화하지 않는다. 암호화부(107)는 컨텐트 키를 암호화하는 제 1 암호화부(1071) 및 컨텐트를 암호화하는 제 2 암호화부(1072)로 구성된다.
제 1 암호화부(1071)는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로 컨텐트 아이디/키 생성부(106)에 의해 생성된 컨텐트 키를 암호화한다.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가 디바이스 범위이면, 제 1 암호화부(1071)는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이하 "디바이스 키"라 함)로 컨텐트 키를 암호화한다.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 된 사용 범위가 도메인 범위이면, 제 1 암호화부(1071)는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이하 "도메인 키"라 함)로 컨텐트 키를 암호화한다.
이에 따라,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컨텐트 키들의 암호화에 사용된 디바이스 키 또는 도메인 키를 보유한 디바이스만이 제 1 암호화부(1071)에 의해 암호화된 컨텐트 키들을 복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암호화 과정을 통하여 컨텐트에 대한 정당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이 선별하여 이 컨텐트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불특정 다수에게 이 컨텐트이 불법적으로 재 배포되거나 사용될 위험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바이스 또는 도메인만이 컨텐트 키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려면, 제 1 암호화부(107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키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도메인에 대응하는 도메인 키로 컨텐트 키를 암호화하면 된다. 다만, 제 1 암호화부(1071)는 어떤 디바이스와 어떤 암호화 키가 서로 대응하는지를 알고 있어야 하는데, 이것에 관한 정보는 도메인 관리자(미 도시) 등과 같은 서버로부터 얻을 수 있다.
제 2 암호화부(1072)는 컨텐트 아이디/키 생성부(106)에 의해 생성된 컨텐트 키로 검출부(102)에 의해 검출된 컨텐트를 암호화한다.
전자 서명부(108)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된 사용 제어 정보 및 사용 규칙 결정부(105)에 의해 결정된 사용 규칙에 전자 서명을 한다. 일반적으로, 전자 서명은 문서 또는 메시지가 변조되지 않았음을 보증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 된 사용 제어 정보 및 사용 규칙 결정부(105)에 의해 결정된 사용 규칙이 변조된다면,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할 수 없게 되고, 그 결과 DRM 시스템(100)의 컨텐트 보호 기능이 제대로 발휘될 수 없게 된다.
라이센스 생성부(109)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컨텐트 아이디/키 생성부(106)에 의해 생성된 컨텐트 아이디, 제 1 암호화부(1071)에 의해 암호화된 컨텐트 키 및 전자 서명부(108)에 의해 전자 서명된 사용 제어 정보 및 사용 규칙을 포함하는 라이센스를 생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라이센스 생성부(109)는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 별로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104)에 의해 결정된 사용 제어 정보 및 사용 규칙 결정부(105)에 의해 결정된 사용 규칙을 포함하는 라이센스를 생성한다. 만약,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가 디바이스 범위라면, 라이센스 생성부(109)는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한 라이센스를 생성한다. 만약, 사용 범위 결정부(103)에 의해 결정된 사용 범위가 도메인 범위라면, 라이센스 생성부(109)는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 대한 라이센스를 생성하여 발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센스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라이센스는 컨텐트 아이디(61), 암호화된 컨텐트 키(62), 전자 서명된 사용 제어 정보 및 사용 규칙(63)으로 구성된다.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도 6에 도시된 라이센스의 컨텐트 아이디(61)를 참조하여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상기된 바와 같이 식별된 컨텐트를 획득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라이센스의 암호화된 컨텐트 키(62)에 대한 복호화를 시도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들 중 컨텐트 키 암호화에 사용된 디바이스 키 또는 도메인 키를 보유한 디바이스만이 암호화된 컨텐트 키(62)를 복호할 수 있다. 또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상기된 복호화에 의해 복원된 컨텐트 키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복호화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는 암호화된 형태의 컨텐트이기 때문이다.
또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도 6에 도시된 라이센스의 전자 서명된 사용 제어 정보 및 사용 규칙(63)이 변조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 결과, 전자 서명된 사용 제어 정보 및 사용 규칙(63)이 변조되지 않았음이 확인되면, 사용 제어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정당한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사용 제어 정보에 포함된 도메인 아이디, 임포트 시점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컨텐트의 사용 범위에 해당하는 도메인에 대해 정당한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정당한 권한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도 6에 도시된 라이센스에 포함된 사용 규칙에 따라 컨텐트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보안 요구를 준수하면서도 동시에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를 보다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게 된다.
컨텐트 파일 생성부(1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사용 규칙 결정부(105)에 의해 결정된 사용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 파일을 생성한다. 이것은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디바이스가 사용 규칙 결정부(105)에 의해 결정된 사용 규칙에 따라 컨텐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된 바와 같이, 사용 규칙 결정부(105)에 의해 결정된 사용 규칙은 라이센스 생성부(109)에 의해 발급된 라이센스에 삽입된다. 즉, 컨텐트 파일 생성부(110)는 라이센스 생성부(109)에 의해 발급된 라이센스 및 제 2 암호화부(1072)에 의해 암호화된 컨텐트를 포함하는 컨텐트 파일을 생성한다. 다만, 라이센스 생성부(109)에 의해 발급된 라이센스 및 제 2 암호화부(1072)에 의해 암호화된 컨텐트는 하나로 패키징될 수도 있고, 서로 분리되어 패키징될 수도 있다.
저장부(111)는 컨텐트 파일 생성부(110)에 의해 생성된 컨텐트 파일을 스토리지(112)에 저장한다.
송수신부(113)는 도 2에 도시된 디바이스들(21-23) 중 어느 하나로부터 컨텐트를 전송하여 달라는 요청을 수신하면, 이 디바이스로 스토리지(112)에 저장된 컨텐트 파일을 전송한다. 송수신부(111)는 이 디바이스가 지원하는 임의의 방식으로 컨텐트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SD(Secure Digital) 카드 같은 저장 매체를 통하여 컨텐트를 전송할 수도 있고,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와 같은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컨텐트를 전송할 수도 있다.
도 7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임포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a-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임포트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3에 도시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임포트 방법에도 적용된다.
701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다양한 브로드캐스트 전송 채널들을 통하여 전송 스트림을 수신한다.
702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701 단계에서 수신된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어느 하나의 컨텐트 파일을 검출하고, 이 컨텐트 파일로부터 어느 하나의 컨텐트 및 이 컨텐트에 대한 사용 제한 정보를 검출한다. 사용 제한 정보의 예로는 종래의 복사 제어 정보, 브로드캐스트 플래그, FTA(Free To Air) 플래그 등을 들 수 있다.
703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702 단계에서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702 단계에서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결정한다. 특히, 703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702 단계에서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 중 FTA 플래그를 기반으로 702 단계에서 검출된 컨텐트의 원격 접속이 가능한지 여부를 고려하여 702 단계에서 검출된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결정한다.
704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703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범위가 디바이스 범위라면 705 단계로 진행하고, 도메인 범위라면 707 단계로 진행한다.
705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702 단계에서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특히, 705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702 단계에서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 중 FTA 플래그를 기반으로 702 단계에서 검출된 컨텐트의 원격 접속이 가능한지 여부를 고려하여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706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702 단계에서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특히, 706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702 단계에서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 중 FTA 플래그를 기반으로 702 단계에서 검출된 컨텐트의 시청, 복사, 이동이 소정 지역에 한하여 가능한지 여부를 고려하여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707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702 단계에서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특히, 705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702 단계에서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 중 FTA 플래그를 기반으로 702 단계에서 검출된 컨텐트의 원격 접속이 가능한지 여부를 고려하여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한다.
708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702 단계에서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를 기반으로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특히, 708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702 단계에서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 중 FTA 플래그를 기반으로 702 단계에서 검출된 컨텐트의 시청, 복사, 이동이 소정 지역에 한하여 가능한지 여부를 고려하여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서의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한다.
709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702 단계에서 검출된 컨텐트의 아이디를 생성하고, 이 컨텐트 아이디에 대응하는 컨텐트 키를 생성한다.
710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703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범위가 디바이스 범위라면 711 단계로 진행하고, 도메인 범위라면 712 단계로 진행한다.
711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 대응하는 디바이스 키로 컨텐트 키를 암호화한다.
712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 대응하는 도메인 키로 컨텐트 키를 암호화한다.
713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709 단계에서 생성된 컨텐트 키를 사용하여 702 단계에서 검출된 컨텐트를 암호화한다.
714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705 , 707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제어 정보 및 706, 708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규칙에 전자 서명을 한다.
715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709 단계에서 생성된 컨텐트 아이디, 711, 712 단계에서 암호화된 컨텐트 키 및 전자 서명부(108)에 의해 전자 서명된 사용 제어 정보 및 사용 규칙을 포함하는 라이센스를 생성하여 발급한다.
716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DRM 시스템(100)의 규칙에 따라 705, 707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706, 708 단계에서 결정된 사용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 파일을 생성한다. 즉, 716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715 단계에서 발급된 라이센스 및 713 단계에서 암호화된 컨텐트를 포함하는 컨텐트 파일을 생성한다.
717 단계에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716 단계에서 생성된 컨텐트 파일을 브로드캐스트한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DRM 시스템(100)이 적용된 홈네트워크 환경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DRM 시스템(100), 즉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는 도 8에 도시된 첫 번째 댁내의 셋업박스(81)에 탑재되어 있다. FTA 플래그의 관리 도메인은 첫 번째 댁내에 거주하는 가족 구성원이 사용하는 디바이스들, 즉 TV(Television)(82), 이동 전화(mobile phone)(83)로 구성된다. 또한, FTA 플래그의 소정 지역은 첫 번째 댁내와 두 번째 댁내로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첫 번째 댁내에는 TV(82)가 위치해 있고, 두 번째 댁내에는 PC(Personal Computer)(84)가 위치해 있다.
셋업박스(81)는 브로드캐스터로부터 FTA 컨텐트를 수신하면, 이것에 포함된 FTA 플래그를 기반으로 이것을 DRM 시스템(100)의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로 임포트 한다. 만약, FTA 플래그 "remote_access_over_internet"이 "00"인 경우라면, 셋업박스(81)로부터 출력된 컨텐트 파일의 라이센스에는 TV(82), 이동 전화(83), PC(84) 등과 임의의 디바이스들을 포괄하는 도메인 범위에서 컨텐트의 시청, 복사, 이동, 원격 접속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나타내는 사용 규칙 등이 기록될 것이다. 이 경우, 도메인 범위는 TV(82), 이동 전화(83), PC(84) 등과 같은 특정 디바이스로 한정되지 않으며, 셋업박스(81)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사용하고자 하는 임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셋업박스(81)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TV(82)의 원격지에 위치한 이동 전화(83) 또는 다른 임의의 디바이스가 TV(82)가 보유하고 있는 컨텐트를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고, TV(82)와 PC(84)는 셋업박스(81)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사용할 수 있다. 만약, 도메인 범위에 하나의 디바이스로서 셋업박스(81), 즉 컨텐트 임포트 장치(10)도 포함되는 것으로 설계된다면, 이동 전화(83) 또는 다른 임의의 디바이스는 셋업박스(81)가 보유하고 있는 컨텐트를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다. 이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만약, FTA 플래그 "remote_access_over_internet"이 "01"인 경우라면, 셋업박스(81)로부터 출력된 컨텐트 파일의 라이센스에는 TV(82), 이동 전화(83), PC(84)로 구성된 도메인 범위에서 컨텐트의 시청, 복사, 이동, 원격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나타내는 값들이 기록될 것이다. 셋업박스(81)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TV(82)의 원격지에 위치한 이동 전화(83)만이 TV(82)가 보유하고 있는 컨텐트를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고, TV(82)와 PC(84)만이 셋업박 스(81)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사용할 수 있다. 만약, FTA 플래그 "remote_access_over_internet"이 "10"인 경우라면, 셋업박스(81)로부터 출력된 컨텐트 파일의 라이센스에는 TV(82), 이동 전화(83), PC(84)로 구성된 도메인 범위에서 컨텐트의 시청, 복사, 이동이 이루어지고, 컨텐트의 원격 접속이 특정 시간대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을 나타내는 값들이 기록될 것이다. 셋업박스(81)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TV(82)의 원격지에 위치한 이동 전화(83)만이 TV(82)가 보유하고 있는 컨텐트를 컨텐트의 수신 시점부터 24 시간 후에 인터넷을 통하여 원격으로 접속할 수 있고, TV(82)와 PC(84)만이 셋업박스(81)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사용할 수 있다. 만약, FTA 플래그 "remote_access_over_internet"이 "11"인 경우라면, 셋업박스(81)로부터 출력된 컨텐트 파일의 라이센스에는 TV(82), PC(84)로 구성된 도메인 범위에서 컨텐트의 시청, 복사,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나타내는 값들이 기록될 것이다. 셋업박스(81)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수신한 TV(82)와 PC(84)만이 셋업박스(81)에 의해 임포트된 컨텐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DRM 시스템의 규칙을 따르지 않는 컨텐트를 DRM 시스템의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로 임포트함으로서 사용자로부터의 컨텐트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에 대응하여 컨텐트를 보호할 수 있으며, 컨텐트에 대한 정당한 권한을 가진 사용자만이 선별하여 이 컨텐트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불특정 다수에게 이 컨텐트가 불법적으로 재 배포되거나 사용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사용 제한 정보, 예를 들면 FTA 플래그를 기반으로 이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 의 사용 규칙을 결정하고, 이 사용 규칙을 따르는 컨텐트 파일을 생성함으로서 종래의 FTA 플래그 등에 의한 제한적인 컨텐트 보호에서 벗어나 컨텐트 제작자 및 컨텐트 공급자의 컨텐트 원격 접속에 대한 제한 요구를 준수하면서도 동시에 컨텐트 사용자의 자유로운 사용 요구를 보다 충분히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디지털 컨텐트 보호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트 보호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임포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한 정보/사용 제어 정보의 매핑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 제한 정보/사용 규칙 매핑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이센스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임포트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DRM 시스템(100)이 적용된 홈네트워크 환경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Claims (20)

  1. 제 1 컨텐트 파일을 제 2 컨텐트 파일로 임포트(import)하는 방법에 있어서, 컨텐트 임포트 장치는,
    상기 제 1컨텐트의 사용 제한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제 1컨텐트의 사용 제한 정보 중 컨텐트의 원격 접속이 가능한지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서 검출된 사용 제한 정보 중 컨텐트의 원격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하는 단계;및
    상기 결정된 사용 제어 정보 및 상기 결정된 사용 규칙을 따르는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임포트 장치는,
    상기 컨텐트의 원격 접속이 가능한지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사용 범위 별로 상기 사용 규칙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가 상기 컨텐트의 원격 접속이 관리 도메인 내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나타내면, 상기 관리 도메인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가 상기 컨텐트의 시청, 복사, 이동이 소정 지역에 한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을 나타내면, 상기 소정 지역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트의 사용 범위를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로 한정하는 디바이스 범위로 결정하거나, 아니면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 포함된 모든 디바이스로 한정하는 도메인 범위로 결정하고,
    상기 사용 규칙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범위로 결정된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디바이스에서의 상기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하고, 상기 도메인 범위로 결정된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도메인에서의 상기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임포트 장치는,
    상기 결정된 사용 범위에 대응하는 암호화 키로 컨텐트 키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컨텐트 키로 상기 컨텐트를 암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규칙, 상기 암호화된 컨텐트 키 및 상기 암호화된 컨텐트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임포트 장치는,
    상기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컨텐트의 사용 범위 별로 상기 제 1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가 상기 컨텐트의 원격 접속의 여러 타입들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을 나타내면, 상기 타입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가 상기 컨텐트의 원격 접속이 특정 시간대에서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나타내면, 상기 특정 시간대를 고려하여 상기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규칙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트의 시청, 복사, 이동이 소정 지역에 한하여 가능한지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규칙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정보가 상기 컨텐트의 시청, 복사, 이동이 소정 지역에 한하여 이루어질 수 있음을 나타내면, 상기 소정 지역을 고려하여 상기 사용 규칙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을 수신한 제 1 디바이스의 원격지에 위치한 제 2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컨텐트를 원격 접속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은 소정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의 규칙을 따르지 않고,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은 상기 소정 DRM 시스템의 규칙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임포트 장치는,
    상기 사용 규칙에 따라 상기 컨텐트를 암호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규칙 및 상기 암호화된 컨텐트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임포트 장치는,
    상기 결정된 사용 규칙을 포함하는 상기 컨텐트의 라이센스를 생성하여 발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발급된 라이센스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임포트 장치는,
    상기 결정된 사용 규칙에 전자 서명을 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 서명된 사용 규칙을 포함하는 상기 컨텐트의 라이센스를 생성하여 발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발급된 라이센스를 포함하는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8. 제 1 컨텐트 파일을 제 2 컨텐트 파일로 임포트(import)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컨텐트의 사용 제한 정보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된 제 1컨텐트의 사용 제한 정보 중 컨텐트의 원격 접속이 가능한지 여부를 고려하여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제어 정보를 결정하는 사용 제어 정보 결정부;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원격 접속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에 포함된 컨텐트의 사용 규칙을 결정하는 사용 규칙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사용 제어 정보 및 상기 결정된 사용 규칙을 따르는 제 2 컨텐트 파일을 생성하는 컨텐트 파일 생성부;를 포함하는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을 수신한 제 1 디바이스의 원격지에 위치한 제 2 디바이스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컨텐트를 원격 접속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텐트 파일은 소정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시스템의 규칙을 따르지 않고, 상기 제 2 컨텐트 파일은 상기 소정 DRM 시스템의 규칙을 따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90038457A 2006-01-03 2009-04-30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676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457A KR101676017B1 (ko) 2009-04-30 2009-04-30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US12/714,846 US20100217976A1 (en) 2006-01-03 2010-03-01 Method and apparatus for importing content
PCT/KR2010/002726 WO2010126324A2 (en) 2009-04-30 2010-04-30 Method and apparatus for importing content
EP10769969.6A EP2425372B1 (en) 2009-04-30 2010-04-30 Method and apparatus for importing content
CN201080019318.4A CN102414693B (zh) 2009-04-30 2010-04-30 导入内容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8457A KR101676017B1 (ko) 2009-04-30 2009-04-30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9375A KR20100119375A (ko) 2010-11-09
KR101676017B1 true KR101676017B1 (ko) 2016-11-15

Family

ID=43032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8457A KR101676017B1 (ko) 2006-01-03 2009-04-30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425372B1 (ko)
KR (1) KR101676017B1 (ko)
CN (1) CN102414693B (ko)
WO (1) WO2010126324A2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3371B1 (en) * 1998-10-22 2006-0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uper-distribution of protected digital content
US20040117440A1 (en) * 2002-12-17 2004-06-17 Singer Mitch Fredrick Media network environment
EP1595398A1 (en) * 2003-02-10 2005-11-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mport control of content
KR100856404B1 (ko) * 2006-01-03 2008-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924777B1 (ko) * 2006-01-03 2009-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라이센스를 생성하는 방법 및 장치
EP2009566A1 (en) * 2007-06-29 2008-12-31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device for exchanging digital content licen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126324A2 (en) 2010-11-04
EP2425372A4 (en) 2012-12-05
CN102414693A (zh) 2012-04-11
WO2010126324A3 (en) 2011-02-17
KR20100119375A (ko) 2010-11-09
EP2425372A2 (en) 2012-03-07
CN102414693B (zh) 2016-02-24
EP2425372B1 (en) 201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48180B2 (ja) ライセンスを生成する方法及び装置
US9648022B2 (en) Digital rights domain management for secure content distribution in a local network
JP4842510B2 (ja) ディジタル権利管理の互換性を設けるシステム及び方法
EP1581849B1 (en) Divided rights in authorized domain
EP1510071B1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JP5129886B2 (ja) 少なくとも1つのコンテンツ・プレキーを用いるコンテンツ暗号化
JP5111861B2 (ja) コンテンツをインポートする方法及び装置
US2007015331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ncrypting/decrypting device, encrypting/decrypt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8507220A (ja) オーディオ/ビデオコンテンツ保護方法
JP5111860B2 (ja) 複数の使用制限情報を含むコンテンツをインポートする装置及び方法
US2010021797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orting content
US8892902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100999829B1 (ko) 디바이스들 사이의 클래스-기반 콘텐트 전달
JP5111862B2 (ja) コンテンツを再インポートする方法及び装置
JP4252280B2 (ja) ベースラインdvb−cpcmの装置
KR101676017B1 (ko) 컨텐트를 임포트하는 방법 및 장치
JP6221428B2 (ja) コンテンツ受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受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2010507862A (ja) コンテンツ保護方法及びデバイス並びにプログラム
KR101852999B1 (ko)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제한 수신 모듈 및 제한 수신 모듈의 동작 방법
KR101960316B1 (ko) 방송 수신 장치, 방송 수신 장치의 동작 방법, 제한 수신 모듈 및 제한 수신 모듈의 동작 방법
JP6221429B2 (ja) コンテンツ伝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