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2947B1 - A Smart Hearing Device Having a Function of Circumstance Notice and a Method for Noticing a Circumstanc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Smart Hearing Device Having a Function of Circumstance Notice and a Method for Noticing a Circumstanc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2947B1
KR101672947B1 KR1020150036814A KR20150036814A KR101672947B1 KR 101672947 B1 KR101672947 B1 KR 101672947B1 KR 1020150036814 A KR1020150036814 A KR 1020150036814A KR 20150036814 A KR20150036814 A KR 20150036814A KR 101672947 B1 KR101672947 B1 KR 101672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mobile device
sound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8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11751A (en
Inventor
이용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엘
Priority to KR1020150036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2947B1/en
Publication of KR201601117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175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2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29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83Reduction of ambient nois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황 알림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한 상황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어 작동되면서 외부 환경 상황을 탐지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 상황 알림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한 상황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황 알림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는 모바일 기기(M)와 연결을 설정하여 통신 음이 처리되도록 하는 제어 유닛(11); 유입되는 외부 환경 음을 처리하는 환경 유닛(12); 모바일 기기(M) 또는 환경 유닛(12)으로부터 전송되는 소리 신호에 환경 적응 데이터를 적용시키는 적응 프로세서(14); 적응 프로세서(14)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16); 및 상기 모바일 기기(M) 또는 환경 유닛(12)으로부터 유입된 상황 알림 신호에 따라 인지 방식을 결정하는 인지 유닛(15)을 포함하고, 상기 상황 알림 신호는 상기 모바일 기기(M)로부터 전송되는 상황 신호 또는 상기 외부 환경 음으로 제어 유닛(11)에 의하여 선택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device having a status notification function and a method for notifying the status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ring device having a status notification function having a function of detecting an external environment situation while being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And a method of notifying the status by the method. The hearing device having the status notification func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1)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mobile device (M) so that the communication sound is processed; An environmental unit 12 for processing an incoming ambient environment sound; An adaptive processor 14 for applying environmental adaptation data to the sound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M or the environmental unit 12; A receiving unit (16) for receiv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daptation processor (14); And a recognition unit (15) for determining a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M) or the environment unit (12), wherein the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Signal or the external environment sound by the control unit 11.

Description

상황 알림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한 상황 알림 방법{A Smart Hearing Device Having a Function of Circumstance Notice and a Method for Noticing a Circumstance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device having a status notification function and a status notifica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황 알림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한 상황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어 작동되면서 외부 환경 상황을 탐지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상황 알림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한 상황 알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device having a status notification function and a method for notifying the status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ring device having a status notification function for detecting an external environment condition while being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And a method of notifying the status by the method.

멀티미디어 재생 디바이스는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고,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 디바이스가 실외에서 사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이어폰과 같은 수화기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도 마찬가지로 실외에서 사용되는 경우 이어폰과 같은 장치에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어폰은 멀티미디어 재생 디바이스 또는 모바일의 소리 신호가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이와 동시에 외부의 소리 신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외부 상황 인지 범위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멀티미디어의 소리 신호 또는 모바일 기기의 소리 신호에 일정 시간 동안 집중하는 경우 상황 인지력의 감소로 인하여 상황 대처 능력이 감소될 수 있다.The multimedia reproduction device can be used in various environments, and when the portable multimedia reproduction device is used outdoors, it can generally be used in connection with a receiver such as an earphone. Also, a mobile device can be used in connection with a device such as an earphone when used outdoors. The earphone blocks the sound signal of the multimedia reproduction device or the mobile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outside while at the same time blocks the external sound signal. This can reduce the external situation awareness of the user. Also, when the user concentrates on the sound signal of the multimedia or the sound signal of the mobile device for a certain time, the situation coping ability can be reduced due to the decrease of the context awareness.

특허공개번호 10-2006-0082287은 밀리미터파를 발생 및 처리하는 신호 처리 장치와;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 장치의 다양한 기능 중 사용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기능을 이용하는지를 판별하고, 상기 사용자의 집중이 요구되는 기능을 이용하면, 상기 신호 처리 장치를 제어하여 외부로 밀리미터파를 송신하고 외부의 이동 중인 물체에 반사되는 밀리미터파를 수신하여 상기 물체의 속력을 계산하며, 상기 물체의 속력을 이용하여 상기 물체가 미리 설정된 위험 한계 범위 이상으로 사용자에게 접근하는지를 판별하는 제어 장치 및; 상기 물체가 상기 한계 범위 이상으로 사용자에게 접근하면, 상기 제어 장치의 제어를 받아서 이를 알려주는 경보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82287 discloses a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nd processing millimeter waves;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 user uses a function requiring concentration of the user among various function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using the function requiring concentration of the user, transmitting the millimeter wave to the outside by controlling th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 controller for receiving a millimeter wave reflected from an object in motion to calculate a speed of the object and determining whether the object is approaching a user over a predetermined danger limit range using the speed of the object; And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alarm informati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when the object approaches the user beyond the limit range.

특허공개번호 10-2007-0055191은 외부의 소리를 집음하는 마이크; 상기 집음된 소리의 주파수 변화량을 산출하고 이를 토대로 상기 소리의 접근 속도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접근 속도가 증가 시 상기 오디오 재생 기능을 차단하는 모바일 단말기에 대하여 개시한다.Patent Publication No. 10-2007-0055191 discloses a microphone for picking up external sounds; And a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the amount of change in the frequency of the collected sound and calculating the approaching speed of the sound on the basis of the frequency variation amount.

특허공개번호 10-2013-0143360은 몰입 여부 판단 주기 마다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 사용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몰입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누적 몰입 횟수를 산출하는 몰입 여부 판단부; 및 상기 누적 몰입 횟수를 이용하여 몰입 위험도를 산출하고, 그 몰입 위험도에 기초하여 몰입 위험을 판단하는 몰입 위험 판단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단말 사용자의 몰입 위험 판단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43360 discloses a method of analyzing a user's mobile terminal usage data at each immersion determination period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s mobile terminal is immersed in the user's mobile terminal, A determination unit; And an immersion risk judgment unit for calculating a risk risk by using the cumulative number of times of immersion and determining a risk risk based on the risk risk.

상기 선행기술에서 개시된 위험 알림 방법은 별도로 감지 전파를 발생시키거나 주파수를 분석하거나 몰입 여부를 주기적으로 판단하는 것을 전제로 한단.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오류 가능성이 높으면서 다양한 위험 원인에 대처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The risk notification method disclosed in the prior art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a separate radio wave is generated, a frequency is analyzed, or a periodic determination is made as to whether or not it is immersive. However, this method has a disadvantage that it is difficult to cope with various risk factors with high error possibility.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has the following purpose.

선행기술1: 특허공개번호 10-2006-0082287(2006년07월18일 공개, 에이치텔레콤(주)) 위험 알림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 및 그 방법Prior Art 1: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82287 (published on July 18, 2006, H. Telecom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danger notification function and method thereof 선행기술2: 특허공개번호 10-2005-0113617(2007년05월30일 공개, 베타웨이브 주식회사) 위험 감지 기능을 구비하는 모바일 단말기 및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위험 감지 방법Prior Art 2: Patent Disclosure No. 10-2005-0113617 (published on May 30, 2007, Beta Wave Co., Ltd.) Risk detection method using a mobile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risk detection function 선행기술3: 특허공개번호 10-2013-0143360(2013년12월31일, 삼성전자 주식회사) 모바일 단말 사용자의 몰입 위험 판단 장치 및 방법Prior Art 3: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143360 (December 31, 20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immersion risk of mobile terminal users

본 발명은 목적은 모바일 기기와 연결되어 작동하면서 유입되는 환경 음 또는 환경 정보로부터 위험 상황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상황 알림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 및 그에 의한 상황 알림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ring device having a status notification function having a function of detecting a dangerous situation from environmental noise or environment information while operating in connection with a mobile device, .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히어링 디바이스는 모바일 기기와 연결을 설정하여 통신 음이 처리되도록 하는 제어 유닛; 유입되는 외부 환경 음을 처리하는 환경 유닛; 모바일 기기 또는 환경 유닛으로부터 전송되는 소리 신호에 환경 적응 데이터를 적용시키는 적응 프로세서; 적응 프로세서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 및 상기 모바일 기기 또는 환경 유닛으로부터 유입된 상황 알림 신호에 따라 인지 방식을 결정하는 인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상황 알림 신호는 상기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상황 신호 또는 상기 외부 환경 음으로 제어 유닛에 의하여 선택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ring device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mobile device so that the communication sound is processed; An environmental unit for processing an incoming ambient environment sound; An adaptive processor for applying environmental adaptation data to a sound signal transmitted from a mobile device or an environmental unit;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daptation processor; And a recognition unit for determining a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or the environment unit, wherein the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is selected by a control unit from a situ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or the external environment sound do.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상황 알림 신호의 선택을 위한 상황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ystem further includes a situation database for selection of the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상황 알림 신호는 위험 신호 또는 분실 방지 신호가 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us notification signal is a danger signal or a loss prevention sig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상황 알림 신호는 주기적인 자극 신호 또는 주변 상황 변화 신호가 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is a periodic stimulus signal or a surrounding situation change sig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와 연결된 히어링 디바이스에 의한 상황 알림 방법은 모바일 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이 설정되는 단계; 상기 히어링 디바이스로 외부 환경 상황이 유입되는 단계; 상기 외부 환경 상황으로부터 환경 알림 신호의 발생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환경 알림 신호가 발생되면 히어링 디바이스의 작동 상황이 탐지되는 단계; 상기 작동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환경 알림 신호의 인지 방법이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환경 알림 신호에 대한 자극이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still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notifying a situation by a hearing device connected to a mobile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establishing a connection so as to enabl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device; Introducing an external environmental condition into the hearing device; Determining whether an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condition; Detec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hearing device when the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Determining a method of recognizing the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based on the operation status; And transmitting a stimulus for the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환경 알림 신호는 사용 환경 변화 또는 주기 신호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vironmental notification signal includes a usage environment change or a periodic signal.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는 유입되는 환경 음으로 환경 변화를 탐지하거나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탐지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어폰의 사용에 따른 상황 인지 감소 능력이 보완되도록 한다. 또한 모바일 기기로부터 동일 또는 유사한 종류의 소리 신호가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일정 주기로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상황 인지 능력이 보충되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정해진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에 의하여 모바일 기기의 분실이 방지되도록 한다.The hea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change of the environment by the incoming environmental noise or detects the occurrence of a dangerous situation and recognizes the occurrence of a dangerous situation so that the ability to reduce the situation according to use of the earphone is supplemented. Also, when a sound signal of the same or similar type is continuously received from a mobile device, the stimulus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 at a predetermined period, thereby supplementing the user's situation awareness. Further, the hea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ifies the user when the mobile device moves away from the mobile devi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y preventing the loss of the mobile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의 구조의 실시 예를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에 의한 상황 알림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of 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show an embodiment of 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hea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notifying a situation by a hea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drawings have similar functions, so that they will not be described repeatedly unless necessary for an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the known components will b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Howev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excluded from the embodiment of Fi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의 구조를 실시 예를 블록 다이어그램으로 도시한 것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n embodiment of the structure of a hea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는 모바일 기기(M)와 연결을 설정하여 통신 음이 처리되도록 하는 제어 유닛(11); 유입되는 외부 환경 음을 처리하는 환경 유닛(12); 모바일 기기(M) 또는 환경 유닛(12)으로부터 전송되는 소리 신호에 환경 적응 데이터를 적용시키는 적응 프로세서(14); 적응 프로세서(14)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16); 및 상기 모바일 기기(M) 또는 환경 유닛(12)으로부터 유입된 상황 알림 신호에 따라 인지 방식을 결정하는 인지 유닛(15)을 포함하고, 상기 상황 알림 신호는 상기 모바일 기기(M)로부터 전송되는 상황 신호 또는 상기 외부 환경 음으로 제어 유닛(11)에 의하여 선택된다.Referring to FIG. 1, a control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11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a mobile device M so that a communication sound is processed; An environmental unit 12 for processing an incoming ambient environment sound; An adaptive processor 14 for applying environmental adaptation data to the sound signal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M or the environmental unit 12; A receiving unit (16) for receiv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daptation processor (14); And a recognition unit (15) for determining a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a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M) or the environment unit (12), wherein the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Signal or the external environment sound by the control unit 11.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휴대용 오디오 기기, 노트북, 웨어러블(wearable) 스마트 기기 또는 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용 전자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위와 같은 기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이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모바일 기기(M)로부터 소리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 환경 또는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처리하여 이어폰과 같은 수신 유닛(16)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그리고 모바일 기기(M)에 설치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필요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환경 유닛(12)을 통하여 환경 음 또는 대화 음을 수신하여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처리하여 수신 유닛(16)을 사용자, 휴대용 모바일 기기 또는 다른 통신 가능한 장치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히어링 디바이스(10)는 보청기 기능을 가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 환경에 적합하도록 모바일 기기(M)의 소리 신호 또는 환경 소리를 처리하여 모든 사용자의 청각 환경을 처리할 수 있다.The hea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example, a smart phone, a portable audio device, a notebook, a wearable smart device or the like. The hearing device 10 i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bove-described device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for example, and can be wired as necessary. The hea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ound signal from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the mobile device M and processes the sound signal in accordance with a user's environment or a user so as to transmit the sound signal to the user through a receiving unit 16 such as an earphone . And can receive necessary information or execute necessary functions by using various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M. [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environmental sounds or conversations through the environmental unit 12 and to process them appropriately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so that the receiving unit 16 is transmitted to the user, portable mobile device or other communicatable device. The hearing device 10 has a hearing aid fun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hearing device 10 can process all the user's hearing environment by processing a sound signal or environment sound of the mobile device M in accordance with the use environment.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기기(M) 또는 히어링 디바이스(10)에 설치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하여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 방법이 설정될 수 있다. 히어링 디바이스(10)는 모바일 기기(M)와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M)와 히어링 디바이스(10)가 연결되면, 모바일 기기(M)로부터 발생되는 소리 신호가 히어링 디바이스(10)로 전송될 수 있다.An applic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hearing device 10 can be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M or the hearing device 10 and the operation method of the hearing device 10 can be set by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The hearing device 10 may be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M vi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The sound signal generated from the mobile device M can be transmitted to the hearing device 10 when the mobile device M and the hearing device 10 are connected.

제어 유닛(11)은 모바일 기기(M)와 연결을 설정하여 모바일 기기(M)로부터 수신되는 소리가 적응 프로세서(14)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 유닛(11)은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될 수 있고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처리 프로세서가 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1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the mobile device M so that the sound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M can be processed in the adaptive processor 14. [ The control unit 11 may be a microprocessor install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and may be any processing processor known in the ar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hearing device 10. [

모바일 기기(M)로부터 수신되는 소리 신호는 음악, 방송 미디어 또는 영상 미디어에 의한 재생 음 또는 통화 신호를 포함하는 통신 음과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M)와 히어링 디바이스(10)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모바일 기기(M)로부터 예를 들어 위치 정보 또는 청력 데이터와 같은 것이 히어링 디바이스(10)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에서 알림 기능이 설정된 경우 해당 알림 기능이 히어링 디바이스(10)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 또는 히어링 디바이스(1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서 특정 시각 또는 특정 장소에 대한 알림 기능이 설정된 경우 해당 특정 시각 또는 특정 장소에 대한 알림 메시지가 히어링 디바이스(10)에서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히어링 디바이스(10)에서 특정 위치 또는 장소가 저장될 필요가 있는 경우 이를 모바일 기기(M)로 전송하면 모바일 기기(M)에서 해당 위치 또는 장소를 읽어 저장할 수 있다. 추가로 히어링 디바이스(10)에서 특정 전화번호로 전화를 거는 경우 해당 전화번호가 모바일 기기(M)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기기(M)와 히어링 디바이스(10)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M may be a music sound, a broadcast sound or a communication sound including a call signal. The mobile device M and the hearing device 10 are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and may b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M to the hearing device 10, for example, location information or hearing data. Also, when the notification function is set in the mobile device, the notification function can be transmitted to the hearing device 10. For example, when a notification function for a specific time or a specific place is set in a mobile device or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hering device 10, a notification message for the specific time or a specific place can be generated in the hearing device 10. Also, if a specific location or place needs to be stored in the hearing device 10, the mobile device M can transmit the location or location to the mobile device M so that the mobile device M can read and store the corresponding location or place. In addition, when the hearing device 10 calls a specific telephone number, the corresponding telephone number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M.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device M and the hearing device 1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enable data communication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환경 유닛(12)으로 외부 환경 음 또는 대화 음이 유입될 수 있다. 대화 음은 대화 상대방의 음성을 의미하고, 대화 상대방이 아닌 다수인의 음성은 외부 환경 음이 될 수 있다. 외부 환경 음 또는 대화 음은 히어링 디바이스(10)에 설치된 마이크를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외부 환경 음 또는 대화 음은 모바일 기기(M)로부터 소리 신호의 유입 여부에 관계없이 유입될 수 있다. 환경 유닛(12)으로부터 유입되는 환경 음은 적절하게 선처리가 되어 제어 유닛(11)으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 유닛(11)은 환경 유닛(12)으로부터 전송된 환경 음에 상황 알림 신호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황 알림 신호는 사용자에게 인지될 필요가 있는 내부 또는 외부 상황과 관련된 신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 경적 소리, 외치는 소리 또는 물체가 부딪히는 소리와 같은 것을 포함한다. 또는 사용자를 향한 외부인이 부르는 소리와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황 알림 신호는 또한 상황 변화를 알리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알림 신호는 실내에서 실외로 나가는 경우, 시끄러운 공공장소를 벗어나는 경우 또는 자동차와 같은 제한된 공간에서 열린 공간으로 변화는 경우와 같은 상황 변화에 따른 신호를 포함한다. 다른 한편으로 상황 알림 신호는 모바일 기기(M)의 작동 상태에 관련된 신호 또는 모바일 기기(M)와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상대적인 거리와 관련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황 알림 신호는 환경 유닛(12)으로부터 유입되거나 모바일 기기(M) 또는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 상황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황 알림 신호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특정 장소 또는 특정 시간이 사용자에 의하여 상황 알림 신호로 설정될 수 있다.External environment sounds or conversation sounds may be introduced into the environment unit 12. [ The conversation sound means the voice of the conversation partner, and the voice of a plurality of persons other than the conversation partner can be the external environment voice. The external environment sound or the conversation sound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microphone installed in the hearing device 10. The external environment sound or the conversation sound may be introduced irrespective of whether the sound signal is input from the mobile device M. [ The environmental sound introduced from the environmental unit 12 can be appropriately preprocessed and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1. [ The control unit 11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environment notification transmitted from the environment unit 12 includes a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As used herein, the context alert signal refers to a signal associated with an internal or external situation that needs to be acknowledged to the user. Such as a car horn sound, a crying sound, or an object hitting sound. Or a sound called by an outsider towards the user. The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may also include a signal indicating a change in situation. For example, the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includes a signal according to a situation change such as when going outdoors from the room, out of a loud public place, or changing from an open space to a limited space such as a car. On the other hand, the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may include a signal related to the operating state of the mobile device M or a signal related to the relative distance of the mobile device M and the hearing device 10. In this way, the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can be input from the environment unit 12 or arise from the operating situation of the mobile device M or the hearing device 10. [ On the other hand, the status notification signal can be set by the user. A specific place or a specific time may be set by the user as a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상황 알림 신호가 유입되거나 발생되면, 제어 유닛(11)은 사용자의 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인지 여부에 대한 결정은 현재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 프로세서 및 유입된 상황 알림 신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재생 음이 수신되고 있고, 자동차 경적과 같은 위험 신호 또는 통신 개시 신호가 유입되었다면, 재생 음의 작동을 중단시키거나 재생 음의 볼륨은 낮추고 상황 알림 신호가 전송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상황 알림 신호의 종류, 상황 알림 신호의 인지 방법 또는 상황 알림 신호의 전달 우선성은 미리 결정된 데이터의 형태로 상황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 유닛(11)은 상황 알림 신호가 환경 유닛(12) 또는 모바일 기기(M)로부터 전달되면 상황 데이터베이스(13)를 참조하여 적응 프로세서(14)로 전달되는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When a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is input or generated, the control unit 11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user is acknowledged. The determination as to whether or not the user is recognized can be determined based on the operating processor of the current hearing device 10 and the incoming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For example, if a multimedia playback sound is being received and a danger signal such as a car horn or a communication start signal is input, the playback sound should be stopped or the volume of the playback sound should be lowered and a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should be transmitted. In this manner, the type of the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the method of recognizing the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or the priority of conveying the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can be stored in the situation database 13 in the form of predetermined data. The control unit 11 can determine the manner in which it is delivered to the adaptation processor 14 by referring to the situation database 13 when a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environment unit 12 or the mobile device M. [

적응 프로세서(14)는 제어 유닛(11)으로부터 전송된 상황 알림 신호를 사용자에게 인지 가능한 방식으로 변환하여 수신 유닛(16)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적응 프로세서(14)는 전달되는 상황 알림 신호에 대하여 개별 청력 데이터를 적용시키거나 또는 부가적으로 다른 인지 방식을 적용시켜 수신 유닛(16)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적응 프로세서(14)는 사용자의 청력 상태에 따라 제어 유닛(11)으로 전달되는 상황 알림 신호에 대하여 개별 청력 데이터 또는 피팅 데이터를 적용시킬 수 있다. 또는 적응 프로세서(14)는 인지 유닛(15)을 참조하여 상황 알림 신호를 다른 형태의 신호로 변형하여 수신 유닛(16)으로 전송할 수 있다. 추가로 적응 프로세서(14)는 상황 알림 신호의 전달 과정에서 다른 프로세서의 작동 여부 또는 작동 수준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응 프로세서(14)는 상황 알림 신호가 사용자에게 인지 가능하도록 만드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유닛(16)이 이어폰을 포함하는 경우 이어폰의 착용 상태를 탐지할 수 있고, 만약 이어폰이 착용되지 않는 상태라면 통신 개시 신호를 진동 신호로 변형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응 프로세서(14)는 다양한 방법으로 상황 알림 신호를 수신 유닛(16)으로 전달할 수 있다.The adaptation processor 14 may have the function of converting the status no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11 into a recognizable manner to the user and transmitting it to the receiving unit 16. [ The adaptation processor 14 may apply individual hearing data to the context notification signal to be transmitted or may additionally apply another recognition scheme to the receiving unit 16. The adaptive processor 14 may apply the individual hearing or fitting data to the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1 according to the hearing status of the user. Or the adaptation processor 14 may refer to the recognition unit 15 to transform the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into another type of signal and transmit it to the receiving unit 16. [ In addition, the adaptation processor 14 may adjust the operation or the operation level of the other processor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the status notification signal. Thus, the adaptive processor 14 may have a function of making the status notification signal recognizable to the user. For example, if the receiving unit 16 includes an earphone, it can detect the wearing state of the earphone. If the earphone is not worn, the communication start signal can be transformed into a vibration signal and transmitted to the user. As such, the adaptation processor 14 may communicate the status notification signal to the receiving unit 16 in a variety of ways.

인지 유닛(15)은 상황 알림 신호가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방식에 관한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히어링 디바이스(10)의 구조에 따라 인지 유닛(15)은 수신 유닛(16)의 상태를 탐지하는 탐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The recognition unit 15 may have data regarding the manner in which the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is delivered to the user.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hearing device 10, the recognition unit 15 may have a detection function to detect the state of the receiving unit 16. [

본 발명에 따르면, 인지 유닛(15)은 주기적인 자극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모바일 디바이스(M)와 히어링 디바이스(10)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이를 수신 유닛(16)으로 전송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M)로부터 음악 또는 동영상과 같은 멀티미디어 신호가 지속적으로 히어링 디바이스(10)로 전송되는 경우 사용자의 주위 상황에 대한 인지력이 약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위 상황에 대한 인지력의 약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5분, 10분 또는 20분과 같이 미리 결정된 시간 주기로 자극 신호가 수신 유닛(16)으로 전송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은 예를 들어 졸음 방지와 같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자극의 형태의 전기 자극, 소리 자극, 열 자극 또는 진동 자극과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지 유닛(15)에 의한 자극 신호의 발생 여부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ognition unit 15 can generate periodic stimulation signals, store information on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bile device M and the hearing device 10, (16). When the multimedia signal such as music or moving picture is continuously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M to the hearing device 10, the perception of the user's surroundings can be weakened. The stimulus signal may be set to be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unit 16 at a predetermined time period, for example, 5 minutes, 10 minutes, or 20 minutes, in order to prevent the perception of such circumstance from being weakened. Such functions may include, for example, functions such as drowsiness prevention. Electric stimulation in the form of stimulation, sound stimulation, thermal stimulation or vibration stimulation. Whether or not the stimulation signal is generated by the recognition unit 15 can be selected by the user.

인지 유닛(15)은 모바일 디바이스(M)와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탐지하고 필요시 수신 유닛(16)으로 이를 전송할 수 있다. 인지 유닛(15)은 예를 들어 초음파 센서 또는 적외선 센서와 같이 모바일 기기(M)에 설치된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모바일 디바이스(M)와 히어링 디바이스(10) 사이의 거리를 탐지할 수 있다. 또는 위성 항법 장치(GPS)가 내장된 블루투스 모듈이라면 GPS를 이용하여 모바일 디바이스(M)와 히어링 디바이스(10) 사이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대안으로 모바일 디바이스(M)로 주기적으로 반응 신호를 전송하고 이를 수신하여 상대적인 위치를 추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모바일 기기(M)와 히어링 디바이스(10) 사이의 위치 관계를 탐지하고 만약 정해진 거리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수신 유닛(16)으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인지 유닛(15)은 수신된 최종 위치 및 시각을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지 유닛(15)은 모바일 기기(M)의 분실 방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The recognition unit 15 can detect the relativ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bile device M and the hearing device 10 and transmit it to the receiving unit 16 when necessary. The recognition unit 15 can detect the distance between the mobile device M and the hearing device 10 by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sensor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M, for example, an ultrasonic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 Or a GPS modul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position between the mobile device M and the hearing device 10 by using the GPS. Alternatively, the mobile device M may periodically transmit a response signal and receive it to infer the relative position. In this way,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bile device M and the herring device 10 is detect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bile device M is out of the predetermined distance, it is transmitted to the receiving unit 16 of the hearing device 10, have. And the recognition unit 15 may store the received final position and time. Thus, the recognition unit 15 can have a function of preventing loss of the mobile device M. [

수신 유닛(16)은 적응 프로세서(14)에서 처리되어 전송되는 소리 신호 및 인지 유닛(15)으로부터 전송되는 자극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수신 유닛(16)은 예를 들어 이어폰, 발광 유닛, 열 발생 유닛, 진동 발생 유닛, 스크린 또는 전기 자극 발생 유닛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유닛(16)은 적응 프로세서(14) 또는 인지 유닛(15)으로부터 전송되는 각각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수신 유닛(16)의 작동 여부가 적응 프로세서(14) 또는 인지 유닛(15)으로 전송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이어폰에 접촉 센서가 설치되어 이어폰의 착용 여부가 적응 프로세서(14)로 전달될 수 있다. 수신 유닛(16)은 다양한 형태의 자극 또는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소자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receiving unit 16 may have a function of transmitting a sound signal processed and transmitted by the adaptive processor 14 and a stimulus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cognition unit 15 to the user. The receiving unit 16 may include, for example, an earphone, a light emitting unit, a heat generating unit, a vibration generating unit, a screen or an electric stimulation generating unit. The receiving unit 16 may have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each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daptation processor 14 or the recognition unit 15 to the user. The operation of the receiving unit 16 may be transmitted to the adaptation processor 14 or the recognition unit 15 as necessary and a contact sensor may be installed in the earphone for example to determine whether the earphone is worn by the adaptation processor 14 Lt; / RTI > The receiving unit 16 may include elements for receiving various types of stimuli or signal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The hea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in various structures.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2A and 2B show an embodiment of a hea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작동 부품의 수용을 위한 조절 박스(212a, 212b)가 형성된 착용 유닛(21); 조절 박스(212a, 212b)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환경 마이크(23a, 23b); 착용 유닛(21)에 결합되고, 조절 박스(212a, 212b)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되는 수신 유닛의 하나에 해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22a, 22b); 조절 박스(212a, 212b)의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 및 착용 유닛(21)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화 마이크(231); 및 착용 유닛(21), 이어폰(22a, 22b) 또는 마이크(23a, 23b)에 배치된 자극 신호의 수신을 위한 수신 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착용 유닛(21)의 내부에 수용된 회로기판에 배치된 제어 유닛이 수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2A and 2B, the heating device 10 includes a wear unit 21 formed with adjustment boxes 212a and 212b for receiving operating parts; At least one environmental microphone (23a, 23b) connected to the control box (212a, 212b); At least one earphone (22a, 22b) coupled to the wearing unit (21) and corresponding to one of the receiving units whos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adjustment boxes (212a, 212b); A battery accommodated in the adjustment boxes 212a and 212b; And at least one call microphone (231) disposed in the wear unit (21); And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stimulus signal placed on the wearing unit 21, the earphones 22a and 22b or the microphones 23a and 23b and arranged on a circuit board housed inside the wearing unit 21 The control unit can be accommodated.

착용 유닛(21)은 양쪽 귀에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착용 부재(211) 및 착용 부재(211)와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에 필요한 일부의 부품이 수용되는 조절 박스(212a, 21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히어링 디바이스(10)는 한쪽 끝 또는 양쪽 귀에 착용될 수 있는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고 착용 부재(211)는 예를 들어 이어폰(22a, 22b)과 같은 수신 유닛, 인쇄회로기판, 근거리 통신 칩 또는 배터리와 같은 부품이 배치될 수 있는 적절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wearing unit 21 is provided with a wearing member 211 which can be worn on both ears and an adjusting box 212a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wearing member 211 and in which a part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herring device 10 is accommodated , And 212b. The hearing device 10 can be made in a structure that can be worn on one or both ears and the wearing member 211 can be mounted on a receiving unit such as, for example, earphones 22a and 22b, a printed circuit board, May have a suitable structure in which such components as the < RTI ID = 0.0 >

착용 부재(211)의 일부에 조절 박스(212a, 212b)가 형성되거나 또는 착용 부재(211)와 별도로 제조된 조절 박스(212a, 212b)가 결합될 수 있다. 조절 박스(212a, 212b)는 부품이 수용되거나 작동 또는 선택 버튼이 설치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조절 박스(212a, 212b)의 내부에 예를 마이크로 칩, 통신 칩 또는 이명 음원 발생기와 같은 스마트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과 관련된 다양한 부품, 소자, 칩 또는 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 박스(212a, 212b)의 표면에 통화 버튼(241) 또는 음악 재생 버튼(242)과 같은 다양한 기능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조절 박스(212a, 212b)는 착용 부재(211)의 양쪽 끝에 형성되거나 결합될 수 있지만 조절 박스(212a, 212b)의 형성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기능 버튼은 다양한 착용 유닛(21)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adjustment boxes 212a and 212b may be formed on a part of the wear member 211 or the adjustment boxes 212a and 212b separately manufactured from the wear member 211 may be combined. The adjustment boxes 212a and 212b may have a variety of configurations in which parts can be accommodated or an operation or selection button can be installed. Various components, elements, chips or substrat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mart hearing device 10, such as a microchip, a communication chip or a synchronic sound generator, may be disposed inside the adjustment boxes 212a and 212b. Various function buttons such as a call button 241 and a music play button 242 may be disposed on the surfaces of the control boxes 212a and 212b. The adjustment boxes 212a and 212b may be formed or joined at both ends of the wear member 211, but the formation positions of the adjustment boxes 212a and 212b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Further, the function buttons can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various wearing units 21,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히어링 디바이스(10)에 적어도 하나의 환경 마이크(23a, 23b)가 설치될 수 있다. 환경 마이크(23a, 23b)는 환경 음 또는 대화 음과 같은 소리 신호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 각각의 조절 박스(212a, 212b)에 설치될 수 있고 볼륨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조절 박스(212a, 212b)에 통화 마이크(231)가 설치될 수 있다. 통화 마이크(231)는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M)가 스마트 폰과 같은 통화 가능한 기기가 되는 경우 통화 음성을 모바일 기기(M)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외부 마이크(23a, 23b)는 대화 음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외부 마이크(23a, 23b)는 환경 음이 유입되도록 한다. 그러므로 통화 마이크(231)를 통하여 유입된 신호는 제어 유닛의 제어에 의하여 모바일 기기(M)로 전달되고 외부 마이크(23a, 23b)로 유입된 음은 적응 프로세서로 전달될 수 있다. 통화 마이크(231)로 유입된 소리 신호는 고유 필터 유닛을 경유하여 모바일 기기(M)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음성 특성 또는 음성 주파수 특징이 미리 저장되고 고유 필터 유닛에 의하여 사용자 음성 또는 음성 주파수 특징을 가지는 이외는 소리 신호는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기능의 작동은 선택 버튼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환경 마이크(23a, 23b)는 등록 신호 필터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만약 다른 히어링 디바이스(10)를 가진 사람 사이에 대화가 이루어지고 등록 신호 필터 기능이 작동되는 경우 다른 히어링 디바이스(10)를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만이 이어폰(22a, 22b)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대화의 시작 과정에서 대화 음으로 등록된 사용자의 음성 특징을 가진 신호만이 유입되고 다른 환경 소음은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대화 음은 다수 개가 될 수 있고 이와 같은 기능은 선택 버튼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히어링 디바이스(10)에서 통화 마이크(231) 또는 환경 마이크(23a, 23b)가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At least one environmental microphone (23a, 23b) may be installed in the hearing device (10). The environmental microphones 23a and 23b are for inputting sound signals such as environmental sounds or conversation sounds, and can be installed in the respective control boxes 212a and 212b and can have a volume adjustable structure. Also, a call microphone 231 may be installed in the adjustment boxes 212a and 212b. The call microphone 231 may have a function of delivering a call voice to the mobile device M when the mobile device M is a talkab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microphones 23a and 23b allow conversation sounds to be introduced. Also, the external microphones 23a and 23b allow ambient sound to be introduced. Therefore, a signal input through the call microphone 231 is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M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the sound introduced into the external microphones 23a and 23b can be transmitted to the adaptive processor. The sound signal flowing into the call microphone 231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M via the inherent filter unit. For example, a sound signal other than the user voice characteristic or the voice frequency characteristic may be pre-stored and the user's voice or voice frequency characteristic may be removed by the intrinsic filter unit. And the operation of such a function can be selected by a selection button. On the other hand, the environmental microphones 23a and 23b may have the function of a registration signal filter. If a conversation is made between a person with another hearing device 10 and a registration signal filter function is activated, only signals transmitted through the other hearing device 10 can be transmitted to the earphones 22a, 22b. In addition, only the signal having the voice characteristic of the user registered as the conversation sound may be introduced in the beginning of the conversation, and other environmental noises may be removed. The number of conversation sounds may be plural, and such a function may be selected by a selection button. As described above, the calling microphone 231 or the environmental microphones 23a and 23b can be set to have various functions in the herring device 10.

히어링 디바이스(10)에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고, 제어 유닛(11)에 의하여 배터리의 상태가 탐지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한 이차 전지가 될 수 있고 충전 포트(251)를 통하여 독립적으로 만들어진 어댑터로 충전되거나 또는 USB 포트로 충전될 수 있다. 제어 유닛(11)에 의하여 배터리 상태가 탐지될 수 있고 배터리 상태는 히어링 디바이스(10)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디바이스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The battery can be placed in the hearing device 10 and the state of the battery can be detected by the control unit 11. [ The battery may be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nd may be charged with an adapter made independently through charging port 251 or charged to a USB port. The battery status can be detected by the control unit 11 and the battery status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installed on the hearing device 10 or on the display of the multimedia reproducing device.

모바일 기기(M)로부터 수신된 음악과 같은 재생 음, 통신 음성 및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환경 음은 적응 프로세서를 경유하여 이어폰(22a, 22b)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어폰(22a, 22b)은 각각의 조절 박스(212a, 212b)와 연결되도록 한 쌍이 될 수 있고 착용 유닛(21)의 내부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어폰(22a, 22b)의 볼륨 조절 및 모드 조절을 위한 이어폰 기능 버튼(261)이 조절 박스(212a, 212b)에 설치될 수 있고 각각의 이어폰(22a, 22b)에 대하여 기능 버튼(261)이 설치될 수 있다. 이어폰(22a, 22b)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이어폰(22a, 22b)에 접촉 탐지 유닛(323)이 설치될 수 있고, 접촉 탐지 유닛에 의하여 탐지된 정보가 제어 유닛(11) 또는 적응 프로세서(14)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11) 또는 적응 프로세서(14)는 이어폰(22a, 22b)의 착용 여부에 따라 다양한 수신 신호의 전송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어폰(22a, 22b)이 착용되지 않는 상태라면 재생 음의 볼륨을 낮출 수 있고 이에 비하여 통화 신호는 볼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양쪽 이어폰(22a, 22b)이 모두 착용되지 않는 상태라며 환경 알림 신호는 다른 수신 유닛으로 전송될 수 있다.Playback sounds such as music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M, communication voice, and environmental sound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can be transmitted to the earphones 22a and 22b via the adaptation processor. The earphones 22a and 22b may be pair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control boxes 212a and 212b and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to the inside of the wearing unit 21. [ An earphone function button 261 for volume control and mode adjustment of the earphones 22a and 22b can be installed in the control boxes 212a and 212b and a function button 261 is provided for each earphone 22a and 22b . The earphones 22a, 22b may be in any form known in the art. The contact detection unit 323 can be installed in the earphones 22a and 22b and the information detected by the contact detection unit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1 or the adaptive processor 14. [ The control unit 11 or the adaptive processor 14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ethod of the various reception signals depending on whether the earphones 22a and 22b are worn. For example, if the earphones 22a and 22b are not worn, the volume of the reproduced sound can be lowered and the volume of the talk signal can be increased. Further, it is assumed that both of the earphones 22a and 22b are not worn, and the environmental alert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other receiving units.

히어링 디바이스(10)는 모바일 기기(M)로부터 수신된 소리 신호에 대하여 피팅 데이터를 적용시켜 이어폰으로 전송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피팅 데이터의 적용은 난청을 비롯하여 사용자의 청력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소리 신호에 대한 음성학적 변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피팅 데이터는 사용자의 이명 치료 기능 또는 선호 음색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히어링 디바이스(10)는 또한 사용자의 청력 변화 이력을 탐지하고 이를 저장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청력 이력 데이터는 차후 모바일 기기(M)를 통하여 치료 기관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히어링 디바이스(10)는 보청기의 피팅, 사용자의 청력 변화 또는 청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 알림 신호가 음성 신호가 되는 경우 적응 프로세서는 환경 알림 신호에 대하여 피팅 데이터를 적용시켜 사용자가 가장 인식하기 쉬운 주파수 대역으로 변형하여 전달할 수 있다. 환경 알림 신호가 반드시 수신된 소리 신호의 형태로 전달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경적 신호의 경우 자동차 경적과 함께 음성 신호가 함께 전달될 수 있다.The hearing device 10 may be constructed in various structures that can apply fitting data to a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M and transmit the fitting data to the earphone. The application of the fitting data includes phonetic variations on the sound signal which can improve the hearing function of the user including the hearing loss. For example, the fitting data may include such things as a user's tinnitus treatment function or a preference tone. The hearing device 10 may also have the ability to detect and store a user's hearing change history. Such hearing history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treatment institution through the mobile device M in the future. Thus, the hearing device 10 may include various functions for fitting a hearing aid, changing the hearing ability of the user, or improving hearing. When the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is a voice signal, the adaptation processor can apply the fitting data to the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to transform the frequency band into a frequency band that the user most easily recognizes and transmit. The environmental notification signal is not necessarily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received sound signal.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ar horn signal, a voice signal may be transmitted together with a car horn.

도 1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히어링 디바이스(10)와 모바일 디바이스 사이의 위치 관계를 탐지하기 위한 소자 또는 부품은 히어링 디바이스(1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위치 탐지 소자는 히어링 디바이스(10)와 모바일 기기의 작동 상태에 무관하게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모바일 기기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 또는 특정 형태의 신호가 주기적으로 히어링 디바이스(1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히어링 디바이스(10)는 특정 신호의 수신 상황을 저장할 수 있고 만약 일정 시간 동안 해당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면 환경 알림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The elements or parts for detecting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hearing device 10 and the mobile device, such as those described in Fig. 1, can be install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hearing device 10. Such a position detection element can operate irrespective of the operating state of the hearing device 10 and the mobile device. For example, a signal of a specific frequency band or a specific type of signal may periodically be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to the hearing device 10 by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The hearing device 10 can store a reception state of a specific signal and can generate an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if the signal is not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히어링 디바이스(10)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hearing device 10 may have a variety of structure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hea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M)와 페어링이 된 히어링 디바이스(10)에서 작동 스위치가 켜지면 히어링 디바이스(10)는 모바일 기기(M)에서 발생되는 모든 소리 신호를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히어링 디바이스(10)로부터 모바일 기기(M)로 신호 또는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히어링 디바이스(10)로부터 통화 개시 신호가 모바일 기기(M)로 전송될 수 있고, 통신 번호가 전송될 수 있다. 또한 통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통화가 중단된 경우 중단과 관련된 정보가 히어링 디바이스(10)에 저장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중단된 통화의 개시를 위한 신호 또는 정보가 모바일 기기(M)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바일 기기(M)와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소리 신호를 비롯한 다양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M)로부터 전송되는 소리 신호가 제어 유닛(11)에 의하여 탐지될 수 있고 제어 유닛(11)은 소리 신호의 종류에 따라 개별 청력 데이터에 따른 적응 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소리 신호는 통신 신호, 재생 음 또는 통화음과 같은 것이 될 수 있고 제어 유닛(31)은 수신되는 소리의 종류를 구분하여 적응 처리 유닛(343)으로 전송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when the operation switch is turned on in the pairing device 10, the pairing device 10 receives all the sound signals generated in the mobile device M through short- can do. A signal or data can be transmitted from the herring device 10 to the mobile device M as needed. For example, a call initi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from the hearing device 10 to the mobile device M, and the communication number may be transmitted. Also,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terruption can be stored in the hearing device 10 when the call is temporarily interrupted during the call process. A signal or information for the initiation of the interrupted call may the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M at the option of the user. In this way, the mobile device M and the hearing device 10 can be connected to perform various data communication including sound signals. The sou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M can be detected by the control unit 11 and the control unit 11 can determine the adapt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hearing data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ound signal. The sound signal may be a communication signal, a playback sound, or a telephone sound, and the control unit 31 may classify the type of the sound to be received and transmit it to the adaptation processing unit 343. [

모바일 기기(M)로부터 음악, 동영상, 방송 매체 또는 재생 매체에 따른 재생 음이 무선으로 히어링 디바이스(10)로 전달될 수 있고, 히어링 디바이스(10)로 전달된 재생 음은 적응 처리 유닛(343)에 의하여 처리되어 이어폰(361)으로 전달될 수 있다. 적응 처리 유닛(343)은 개별 청력 데이터 유닛(341)에 저장된 개인의 청력 데이터를 참조하여 재생 음을 사용자에게 적합한 소리 신호로 변환하여 이어폰(361)으로 전달할 수 있다.A playback sound according to a music, a moving picture, a broadcast medium or a playback medium can be wirelessly transmitted to the hearing device 10 from the mobile device M and the playback sound transmitted to the hearing device 10 is transmitted to the adaptation processing unit 343, 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earphone 361. The adaptation processing unit 343 may convert the reproduced sound into a sound signal suitable for the user by referring to the hearing data of the individual stored in the individual hearing data unit 341 and may transmit the sound signal to the earphone 361. [

환경 유닛(12)은 환경 음 또는 대화 음의 유입을 위한 환경 마이크(23), 환경 마이크(23)로부터 유입된 환경 음 또는 대화 음으로부터 불필요한 잡음을 제거하는 필터 유닛(321) 및 모바일 기기(M)와 히어링 디바이스의 작동 상황을 탐지하는 탐지 유닛(32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environmental unit 12 includes an environmental microphone 23 for inputting an environmental sound or a conversation sound, a filter unit 321 for removing unnecessary noise from ambient noise or conversation sound input from the environmental microphone 23, And a detection unit 323 for detec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hearing device.

환경 마이크(23)로 유입되는 환경 음 또는 대화 음은 필터 유닛(321)에 의하여 필터링이 될 수 있다. 필터링은 환경 알림 신호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필터 유닛(321)은 비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반복적으로 유입되는 소음은 제거될 수 있고, 새로이 유입되는 소리 신호 중 진폭이 크거나 높은 주파수 대역을 가지는 신호는 비교기에 의하여 제거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경보 신호 또는 충돌 음과 같은 것은 비교기에 의하여 제거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추가로 음성 신호 중 높은 주파수 대역을 가지거나 진폭이 큰 음성 신호는 상황 알림 신호가 될 수 있다. 비교기는 상황 알림 데이터를 가질 수 있고, 새로운 소리 신호가 유입되는 경우 상황 알림 데이터와 비교하여 전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필터 유닛(321)은 환경 음이 변화되는 경우 이를 탐지하여 제어 유닛(1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용한 실내 환경에서 소음이 많은 실외 환경으로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사용 환경이 변경되는 경우 유입되는 환경 음이 변화될 수 있다. 일정 시간 동안 유입되는 환경 음의 유입 수준을 비교하여 필터 유닛(321)은 사용 환경의 변화를 탐지하여 이를 제어 유닛(11)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유닛(11)은 탐지된 사용 환경에 따라 적응 처리 유닛(343)에서 서로 다른 청력 데이터가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The ambient sound or the audible sound flowing into the environment microphone 23 may be filtered by the filter unit 321. [ The filtering unit 321 may include a comparator, and the filtering unit 321 may include a comparator. The noise that is repeatedly introduced can be removed, and a signal having a high frequency band or a large amplitude of the newly inputted sound signal can be determined by the comparator.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n alarm signal or a crash tone is removed by a comparator. In addition, a voice signal having a high frequency band or a large amplitude among voice signals may be a status notification signal. The comparator may have status notification data, and may determine whether to deliver the new sound signal when compared with the status notification data when a new sound signal is input. On the other hand, the filter unit 321 can detect and transmit the environmental sound to the control unit 11 when the environmental sound is changed. For example, when the use environment of the hearing device 10 is changed from a quiet indoor environment to a noisy outdoor environment, the incoming environmental noise may be changed. The filter unit 321 can detect a change in the use environment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11 by comparing the inflow level of the environmental sound introduc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rol unit 11 may cause the adaptive processing unit 343 to apply different hearing data according to the detected use environment.

필터 유닛(321)에 의하여 환경 알림 신호가 선택되면, 탐지 유닛(323)에 의하여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 상태가 탐지될 수 있다. 히어링 디바이스의 작동 상태는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M)와 히어링 디바이스(10) 사이의 상호 작동 관계를 의미한다. 상호 작동 관계는 예를 들어 재생 음 수신 상태, 통화 상태 또는 대기 상태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탐지 유닛(323)은 상호 작동 관계를 탐지하여 환경 알림 신호의 전송 시기를 결정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탐지 유닛(323)은 환경 알림 신호의 전달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송 방식은 진동 방식, 음성 방식 또는 전기 자극 방식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is selected by the filter unit 321, the operating state of the hearing device 10 can be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323. The operating state of the hearing device means, for example, the mutual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mobile device M and the hearing device 10. The interworking relationship may be, for example, a playback sound reception state, a call state, or a standby state. The detection unit 323 can detect the mutual operation relationship and determine the transmission timing of the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If necessary, the detection unit 323 can determine the transmission mode of the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scheme may include a vibration scheme, a speech scheme, or an electrical stimulation scheme.

환경 알림 신호가 제어 유닛(11)으로 전송되면, 제어 유닛(11)은 이를 모바일 기기(M) 또는 적응 처리 유닛(343)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적응 처리 유닛(343)은 전송된 환경 알림 신호에 대하여 필요에 따라 개별 청력 데이터를 적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알림 신호가 음성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적응 처리 유닛(343)은 음성 신호에 대하여 사용 환경에 따른 청력 데이터를 적용시켜 인지 유닛(15)으로 전송할 수 있다. 적응 처리 유닛(343)에 의하여 적용되는 개별 청력 데이터는 청력 데이터 유닛(341)에 저장될 수 있고, 청력 데이터 유닛(341)은 서로 다른 사용 환경에 적합한 다수 개의 청력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When the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1, the control unit 11 can transmit it to the mobile device M or the adaptation processing unit 343. [ The adaptation processing unit 343 can apply individual hearing data to the transmitted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as needed. For example, when the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includes a voice signal, the adaptation processing unit 343 may apply auditory data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to the voice signal to the recognition unit 15. Individual hearing data applied by the adaptation processing unit 343 may be stored in the hearing data unit 341 and the hearing data unit 341 may have multiple hearing data suitable for different usage environments.

적응 처리 유닛(343)에 의하여 환경 알림 신호를 인지 유닛(15)으로 전송할 수 있고, 인지 유닛(15)은 이어폰(361) 또는 자극 유닛(36)을 포함하는 수신 유닛으로 환경 알림 신호를 전달하여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게 된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자극 유닛(36)은 음성 신호 이외의 방법으로 사용자에게 환경 알림 신호를 인지시킬 수 있는 수단을 의미하고, 예를 들어, 진동, 열, 전기 자극 또는 스크린 표시와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aptation processing unit 343 can send an environmental notification signal to the recognition unit 15 and the recognition unit 15 can send an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to the receiving unit including the earphone 361 or the stimulation unit 36 The user is notified. As described above, the stimulus unit 36 means means capable of recognizing an environmental notification signal to the user in a manner other than a voice signal, and includes, for example, vibration, heat, electric stimulation or screen display .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인지 유닛(15)은 주기적인 자극 신호 또는 모바일 기기와 히어링 디바이스의 상호 위치와 관련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recognition unit 15 may generate a periodic stimulus signal or a signal related to the mutual position of the mobile device and the hear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는 환경 알림 신호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기 위한 다양한 작동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hea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various operating structures for recognizing the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to the user,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에 의한 상황 알림 방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 4 shows an embodiment of a method for notifying a situation by the hea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에 의한 환경 알림 방법은 모바일 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연결이 설정되는 단계(P41); 상기 히어링 디바이스(10)로 외부 환경 상황이 유입되는 단계(P42); 상기 외부 환경 상황으로부터 환경 알림 신호의 발생 여부가 판단되는 단계(P43); 상기 환경 알림 신호가 발생되면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 상황이 탐지되는 단계(P44); 상기 작동 상황에 기초하여 상기 환경 알림 신호의 인지 방법이 결정되는 단계(P45); 및 상기 환경 알림 신호에 대한 자극이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a method of notifying an environment by a hea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P41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so as to enabl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mobile device; A step (P42) in which the external environment situation is introduced into the hearing device (10); Determining whether an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external environment situation (P43); Detect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hearing device (10) when the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P44); A step (P45) of determining a recognition method of the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based on the operation state; And transmitting a stimulus for the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본 발명에 따른 알림 방법은 모바일 기기(M)와 연결되어 또는 모바일 기기로부터 통신 신호를 비롯한 멀티미디어 재생 음을 수신하는 히어링 디바이스(1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기기(M) 또는 히어링 디바이스(10)에 설치될 수 있다.The not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in the hearing device 10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M or receiving the multimedia playback sound including the communication signal from the mobile device. An applic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hearing device 10 may be installed in the mobile device M or the hearing device 10. [

모바일 기기와 페어링이 된 히어링 디바이스(10)가 모바일 기기(M)와 연결되면 모바일 기기(M)로부터 통화 개시 신호, 통화 음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 음이 히어링 디바이스(10)로 수신될 수 있다(P41). 그리고 이와 같은 음의 수신 과정에서 히어링 디바이스(10)에 설치된 환경 마이크(23a, 23b)와 같은 환경 유닛(12)으로 환경 음 또는 대화 음과 같은 환경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P42). 또한 모바일 기기(M)로부터 위치 정보 또는 상황 정보와 같은 것이 수신될 수 있다. 상황 정보는 예를 들어 모바일 기기(M)에 사용 위치와 관련된 정보가 수신된 경우 이와 관련된 정보가 히어링 디바이스(10)로 전송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상황 정보의 전송 여부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설정될 수 있다.When the hearing device 10 paired with the mobile device is connected to the mobile device M, a call initiation signal, a call sound, or a multimedia playback sound may be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M (P41) . An environmental signal such as an environmental sound or a conversation sound may be received in the environmental unit 12 such as the environmental microphones 23a and 23b installed in the hearing device 10 in the process of receiving such sound (P42). Also, location information or situation information can be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M. [ The context information indicates that, for example, when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 position is received in the mobile device M, the information related thereto is transmitted to the hearing device 10. [ Whether or not such status information is transmitted can be set in the application.

환경 신호가 유입되면 히어링 디바이스(10)에서 환경 알림 신호의 발생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P43). 환경 알림 신호가 발생되지 않는 경우라면(NO), 현재 작동되고 있는 프로세스가 진행될 수 있다(P41). 이에 비하여 환경 알림 신호가 발생된 경우라면(YES),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 상황이 탐지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환경 알림 신호는 유입되는 환경 음으로부터 선택된 위험 신호에 해당하는 신호,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설정된 신호, 모바일 기기(M)와 히어링 디바이스 사이의 상호 위치의 변화에 따른 신호, 주기적인 자극 신호 또는 환경 변화에 따른 신호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환경 알림 신호의 발생이 탐지되면(P43),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 상황이 탐지될 수 있다(P44).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 상황은 예를 들어 대기 상황, 재생 음 수신 상황 또는 통화 음 수신 상황과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히어링 디바이스의 작동 상황이 탐지되면, 환경 알림 신호의 전달 시각 및 전달 방식과 같은 인지방식이 결정될 수 있다(P45). 인지 방법은 인지 시각과 인지 형태를 포함하고, 추가로 이미 진행되고 있는 프로세스의 처리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environment signal is input,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the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in the hearing device 10 (P43). If the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is not generated (NO), the currently operating process can proceed (P41). On the other hand, if the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is generated (YES), the operating state of the hearing device 10 can be detected. As described above, the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includes a signal corresponding to a danger signal selected from an incoming environmental sound, a signal preset by the user, a signal according to a mutual position change between the mobile device M and the hearing device, Signal or a signal due to environmental change. If the occurrence of such an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is detected (P43), the operating status of the hearing device 10 can be detected (P44). The operating state of the hearing device 10 may be, for example, a standby state, a reproduced sound reception state, or a reception state of a call sound. When the operating state of the hearing device is detected, a recognition method such as the transmission time and transmission method of the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can be determined (P45). The recognition method includes the recognition time and the recognition type, and may further include a processing method of a process already in progress.

인지 시각은 즉시 또는 통화 종료 후와 같은 방식으로 결정될 수 있고, 전달 방식은 이어폰을 통한 음성 신호, 전기 자극, 진동, 열 발생 또는 스크린 표시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스의 처리 방식은 일시 중단, 볼륨 낮춤 또는 진행 유지와 같은 것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지 방법이 결정되면(P45), 정해진 방식에 따라 환경 알림 신호가 자극 유닛(36)으로 자극의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P46). 자극은 예를 들어 음성 신호와 진동과 같은 서로 다른 방식이 병행될 수 있고, 일정 횟수로 반복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자극이 종료될 수 있다.The perceived time can be determined in the same manner as immediately or after the end of the call, and the transmission method can be such as a voice signal through the earphone, electric stimulation, vibration, heat generation or screen display. And the way the process is handled can be something like suspend, volume down or keep on going. If the recognition method is determined (P45), the environmental notification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stimulation unit 36 in the form of stimulu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method (P46). The stimulus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manner, for example, a voice signal and vibration, and may be repeated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The stimulation can be terminated by the user's choice.

다양한 방법으로 환경 알림 신호가 사용자에게 인지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environment notification signal can be perceived by the user in various ways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유입되는 환경 음으로 환경 변화를 탐지하거나 위험 상황의 발생 여부를 탐지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어폰의 사용에 따른 상황 인지 감소 능력이 보완되도록 한다. 또한 모바일 기기(M)로부터 동일 또는 유사한 종류의 소리 신호가 지속적으로 수신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일정 주기로 자극 신호를 전달하는 것에 의하여 사용자의 상황 인지 능력이 보충되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는 모바일 기기(M)로부터 정해진 거리 이상으로 멀어지는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것에 의하여 모바일 기기(M)의 분실이 방지되도록 한다.The hea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the change of the environment by the incoming environmental noise or detects the occurrence of a dangerous situation and recognizes the occurrence of a dangerous situation so that the ability to reduce the situation according to use of the earphone is supplemented. In addition, when a sound signal of the same or similar type is continuously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M, the stimulus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user at a predetermined period, thereby supplementing the user's situation awareness. Further, the hea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ifies the user when the mobile device M moves away from the mobile device M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y preventing the mobile device M from being lost.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0: 히어링 디바이스 11: 제어 유닛
12: 환경 유닛 13: 상황 데이터베이스
14: 적응 프로세서 15: 인지 유닛
16: 수신 유닛 21: 착용 유닛
22a, 22b: 이어폰 23a, 23b: 환경 마이크
36: 자극 유닛 211: 착용 부재
212a, 212b: 조절 박스 241: 통화 버튼
242: 음악 재생 버튼 251: 충전 포트
321: 필터 유닛 323: 탐지 유닛
341: 개별 청력 데이터 유닛 343: 적응 처리 유닛
361: 이어폰 M: 모바일 기기
10: Hearing device 11: Control unit
12: environmental unit 13: situation database
14: adaptive processor 15: recognition unit
16: Receiving unit 21: Wearing unit
22a, 22b: earphone 23a, 23b: environmental microphone
36: Stimulating unit 211: Wearing member
212a, 212b: Adjustment box 241: Call button
242: music playback button 251: charging port
321: Filter unit 323: Detection unit
341: Individual hearing data unit 343: Adaptive processing unit
361: Earphone M: Mobile device

Claims (6)

모바일 기기(M)와 연결을 설정하여 통신 음이 처리되도록 하는 제어 유닛(11);
유입되는 외부 환경 음을 처리하는 환경 유닛(12);
상기 외부 환경 음에 포함된 상황 알림 신호의 종류, 상황 알림 신호의 인지 방법 및 전달 우선성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상황 데이터베이스(13);
상기 상황 알림 신호를 사용자에게 인지 가능한 방식으로 변환하는 적응 프로세서(14);
적응 프로세서(14)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유닛(16);
상기 모바일 기기(M) 또는 환경 유닛(12)으로부터 유입된 상황 알림 신호에 따라 인지 방식을 결정하는 인지 유닛(15); 및
일정 시간 동안 유입되는 환경 음의 유입 수준을 비교하여 사용 환경의 변화를 탐지하는 필터 유닛(321)을 포함하고,
상기 상황 알림 신호는 모바일 기기(M)로부터 전송되는 상황 신호 또는 외부 환경 음으로부터 제어 유닛(11)에 의하여 선택되고, 인지 유닛(15)은 주기적인 자극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알림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
A control unit (11)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with the mobile device (M) so that a communication sound is processed;
An environmental unit 12 for processing an incoming ambient environment sound;
A situation database (13) in which data on a type of a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included in the external environment sound, a method of recognizing a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and data on transfer priority are stored;
An adaptation processor (14) for converting the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to a user in a recognizable manner;
A receiving unit (16) for receiving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daptation processor (14);
A recognition unit (15) for determining a recognition method in accordance with a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mobile device (M) or the environment unit (12); And
And a filter unit (321) for detecting a change in the use environment by comparing the level of the inflow of the environmental noise introduced for a predetermined time,
Wherein the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is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11) from a situa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device (M) or an external environment sound, and the recognition unit (15) generates a periodic stimulation signal Lt; / RTI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황 알림 신호의 선택을 위한 상황 데이터베이스(13)를 더 포함하는 상황 알림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The hear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ituation database (13) for selection of the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황 알림 신호는 위험 신호 또는 분실 방지 신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황 알림 기능을 가진 히어링 디바이스.The hear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ituation notification signal is a danger signal or a loss prevention sig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036814A 2015-03-17 2015-03-17 A Smart Hearing Device Having a Function of Circumstance Notice and a Method for Noticing a Circumstance Using the Same KR1016729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814A KR101672947B1 (en) 2015-03-17 2015-03-17 A Smart Hearing Device Having a Function of Circumstance Notice and a Method for Noticing a Circumstan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814A KR101672947B1 (en) 2015-03-17 2015-03-17 A Smart Hearing Device Having a Function of Circumstance Notice and a Method for Noticing a Circumstanc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751A KR20160111751A (en) 2016-09-27
KR101672947B1 true KR101672947B1 (en) 2016-11-04

Family

ID=57101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814A KR101672947B1 (en) 2015-03-17 2015-03-17 A Smart Hearing Device Having a Function of Circumstance Notice and a Method for Noticing a Circumstanc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294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4693B2 (en) 2018-04-10 2020-04-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angerous situation no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014B1 (en) * 2014-06-27 2014-10-16 (주)마이크로텍시스템 Smart user aid devices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304576D0 (en) 2003-02-28 2003-04-02 Lonza Biologics Plc Protein a chromatography
KR20060082287A (en) 2005-01-12 2006-07-18 에이치텔레콤(주)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warning function and processing method of the same
KR101360215B1 (en) * 2011-10-11 2014-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71715B1 (en) 2012-06-21 2019-04-23 삼성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judging immersion danger of mobile device us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014B1 (en) * 2014-06-27 2014-10-16 (주)마이크로텍시스템 Smart user aid devices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4693B2 (en) 2018-04-10 2020-04-0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angerous situation notification apparatus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1751A (en) 201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5878B2 (en) Intelligent audio output devices
KR101756674B1 (en) Active noise reduction headset device with hearing aid features
EP2991380B1 (en) A hearing assistance device comprising a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US8760284B2 (en) Listening system comprising an alerting device and a listening device
US9781524B2 (en) Communication system
US8526649B2 (en) Providing notification sounds in a customizable manner
US20130343584A1 (en) Hearing assist device with external operational support
KR20140064590A (en) Bluetooth headset
US108274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ding a notification to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udio output device
WO2009118424A2 (en) Hearing assistance system
US20130324167A1 (en) Wireless, multi-room ring and text notification system for cellular devices
KR101672947B1 (en) A Smart Hearing Device Having a Function of Circumstance Notice and a Method for Noticing a Circumstance Using the Same
KR101672951B1 (en) A Hearing Device Having Function of Telephone Conversation Based on Individual Adaptation Property and a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the Same
KR101600429B1 (en) An Auxiliary Aid Device for Adaptation of Environmental Circumstance and A method for Linking An Auxiliary Aid Device to A multimedia Device
KR20180018649A (en) Neckband for providing alarm service for the hearing impaired
KR101861357B1 (en) Bluetooth device having function of sensing external noise
KR101637326B1 (en) A Hearing Device Having a Connecting Structure to a Portable Electric Device
US9967684B2 (en) Alerting system for deaf or hard of hearing people and application software to be implemented in an electronic device
KR101672942B1 (en) A Method for Setting a Function of Improved Auditory Acuity and a Hear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1833030B1 (en) Method of providing alarm service for deaf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JP2000295318A (en) Portable telephone set
Thibodeau Advanced practices: assistive technology in the age of smartphones and tablets
JP6285836B2 (en) Mobile device
KR101672949B1 (en) A Hearing Device with a Connecting Structure of a Multimedia and a Method for Playing Sound of a Multimedia with the Same
US20230292064A1 (en) Audio processing using ear-wearable device and wearable vis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