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326B1 - A Hearing Device Having a Connecting Structure to a Portable Electric Device - Google Patents

A Hearing Device Having a Connecting Structure to a Portable Electric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326B1
KR101637326B1 KR1020150000435A KR20150000435A KR101637326B1 KR 101637326 B1 KR101637326 B1 KR 101637326B1 KR 1020150000435 A KR1020150000435 A KR 1020150000435A KR 20150000435 A KR20150000435 A KR 20150000435A KR 101637326 B1 KR101637326 B1 KR 101637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unit
portable electronic
hearing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4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용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에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에스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에스엘
Priority to KR1020150000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3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32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device hav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structure, and more specifically, to a hearing device which can be interlocked and operable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hone. The hearing device (10) comprises: a wearable unit (11) which includes control boxes (112a,112b) for receiving operable parts; at least one microphone (13a,13b) connected to the control boxes (112a,112b); at least one earphone (12a,12b) which is combined with the wearable unit (11)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boxes (112a,112b); a battery received inside the control boxes (112a,112b); at least one fixing microphone (131) arranged in the wearable unit (11); and a control unit received inside the wearable unit (11). The control unit sets the connection with a predetermin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s the operable parts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s wit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provide the hearing device hav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performing the data communications wit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oping with various environmental noises from neighboring circumstances.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 연결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A Hearing Device Having a Connecting Structure to a Portable Electric Devic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nnect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 연결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고, 구체적으로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와 연동되어 작동이 가능한 히어링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ring device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hearing device operable in conjunction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phone.

청력 보완 또는 음질 향상을 위하여 이어폰 또는 보청기와 같은 청력 보조 기기가 사용되고, 이와 같은 청력 보조 기기는 다양한 외부 전자기기와 기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청력 보조 기기는 무선 또는 유선을 통하여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되고 외부 전자기기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되거나, 외부 전자기기에서 재생된 음을 수신하게 된다. 외부 전자기기와 연결된 청력 보조 기기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Hearing aid devices such as earphones or hearing aids are used for hearing enhancement or sound quality enhancement, and such hearing aid devices can be functionally connected to various external electronic devices. The hearing aid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via radio or wire, and is controlled by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or receives the reproduced sound from the external electronic device. Various technologies related to hearing aid devices connected to external electronic devices have been developed.

미국 특허등록번호 US 7,929,713 B2는 청각 장애인이 PDA, 워키-토키 또는 언어 번역기와 같은 원격 기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한 고막 구조 또는 외이 구조 기기와 같은 이어-레벨-듀플렉스 오디오 통신 시스템에 대하여 개시한다. U.S. Patent No. 7,929,713 B2 discloses an ear-level-duplex audio communication system such as a membrane or ear canal devic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remote device such as a PDA, a walkie-talkie or a language translator.

미국 특허등록번호 US 8,009,849 B2는 무선 폰을 위한 이어 버드 기기로 작동되면서 제1 작동 단계에서 공지의 보청기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고, 제2 작동 단계에서 무선 폰으로부터 다양한 입력에 의하여 작동되는 보청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U.S. Patent No. 8,009,849 B2 discloses a hearing aid having a function similar to that of a known hearing aid in the first operating phase while operating as an ear bud device for the wireless phone, do.

미국 특허등록번호 US 7,634,098은 모바일 디바이스에서 수신된 오디오 신호의 처리를 위하여 제1 균형 매개변수 및 제2 균형 매개변수에 의하여 서로 다른 신호가 처리되어 스피커로 전송되도록 하는 보청기에 대하여 개시한다. U.S. Patent No. 7,634,098 discloses a hearing aid that allows different signals to be processed and transmitted to a speaker by a first balance parameter and a second balance parameter for processing an audio signal received at a mobile device.

상기 선행기술에서 개시된 보청기는 오디오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능동적으로 오디오 기기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하면서 보청기 또는 청력 보조 기기 자체만으로 실현되기 어려운 기능을 실행하는 방법 또는 기술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The hearing aid disclosed in the prior art has a processor for processing a signal received from an audio device. However, a method or technology for performing a function that is difficult to be realized by a hearing aid or a hearing assistive device alone while actively communicating data with an audio device 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not disclosed.

본 발명은 선행기술이 가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has the following purpose.

선행기술1: 미국 특허등록번호 US 7,929,713 B2(2011년04월19일 공개, Starkey Laboratories Inc.) External Ear Canal Voice DetectionPrior Art 1: United States patent registration number US 7,929,713 B2 (published Apr. 19, 2011, Starkey Laboratories Inc.) External Ear Canal Voice Detection 선행기술2: 미국 특허등록번호 US 8,009,849 B2(2011년08월30일 공개, AT&T Mobility II LLC) Aid Ear BudPrior Art 2: US Patent Registration No. US 8,009,849 B2 (published on August 30, 2011, AT & T Mobility II LLC) Aid Ear Bud 선행기술3: 미국 특허등록번호 US 7,634,098 B2(2009년12월15일 공개, Sony Ericsson Mobile)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Operating a Mobile Device in Multiple Signal Processing Modes for Hearing Aid CompatibilityPrior Art 3: U.S. Patent Registration No. US 7,634,098 B2 (published Dec. 15, 2009, Sony Ericsson Mobile)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Operating a Mobile Device in Multiple Signal Processing Modes for Hearing Aid Compatibility

본 발명은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주변 상황으로부터 유입되는 다양한 환경 소음에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연결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ring devic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capable of coping with various environmental noise introduced from a surrounding situation.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휴대용 전자기기 연결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는 작동 부품의 수용을 위한 조절 박스가 형성된 착용 유닛; 조절 박스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 착용 유닛에 결합되고, 조절 박스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 조절 박스의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 착용 유닛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마이크; 및 착용 유닛의 내부에 수용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정해진 휴대용 전자기기와 연결을 설정하여 상기 작동 부품이 휴대용 전자기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ring devi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structure includes: a wear unit having an adjustment box for accommodating the operating parts; At least one microphone connected to the control box; At least one earphone coupled to the wear unit, the operation of which is controlled by an adjustment box; A battery accommodated inside the adjustment box; At least one stationary microphone disposed in the wear unit; And a control unit housed inside the wearable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a predetermin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so that the operating component can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마이크로부터 유입되는 환경 소리를 처리하는 환경 유닛; 및 환경 유닛을 통하여 전달되는 소리 신호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소리 신호 사이의 상호 관계를 설정하는 설정 저장 유닛을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vironmental unit for processing environmental sounds introduced from the microphones; And a setting storing unit for setting a correlation between a sound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environmental unit and a sou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환경 유닛은 위험 소리 신호 처리 기능을 가진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vironmental unit has a dangerous sound signal processing fun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전달되는 소리 신호를 사용자에 적응시키는 적응 처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적응 처리 유닛은 환경 데이터, 사용자 청력 데이터 및 사용자 이명 데이터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n adaptation processing unit adapted to adapt the sound signal transmitted by the control unit to the user, and the adaptation processing unit includes environmental data, user hearing data and user name data.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고정 마이크로 유입되는 음성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로 전송되는 통화음이 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ed micro incoming voice is a call sound transmitt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 구조가 설정되고,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 구조는 초기 청력 검사 또는 청력 데이터에 의한 상기 이어폰의 출력 제어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structure of the control unit is set by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trol structure of the control unit is controlled by an initial hearing test or an output control of the earphone .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는 휴대용 전자기기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면서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는 휴대용 전자기기와 음악 감상 또는 데이터 통신과 같은 데이터 통신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다양한 외부 환경 음의 처리를 통하여 주변 환경 상황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통한 토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는 휴대용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소리 신호를 자신에게 적합하도록 처리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한다. The hea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xecute various applications installed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ile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short-rang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The hea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handling various external environment sounds inputted from the outside in a data communication process such as music appreciation or data communication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ake it possible to get angry. In addition, the hea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cess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be suitable for him / herself.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가 휴대용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의 작동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1A and 1B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shows an embodiment of a process in which the hea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ig.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ng process of the hea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different drawings have similar functions, so that they will not be described repeatedly unless necessary for an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and the known components will be briefly described or omitted. Howev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being excluded from the embodiment of Fig.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1A and 1B illustrate an embodiment of a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작동 부품의 수용을 위한 조절 박스(112a, 112b)가 형성된 착용 유닛(11); 조절 박스(112a, 112b)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13a, 13b); 착용 유닛(11)에 결합되고, 조절 박스(112a, 112b)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12a, 12b); 조절 박스(112a, 112b)의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 착용 유닛(11)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마이크(131); 및 착용 유닛(11)의 내부에 수용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정해진 휴대용 전자기기와 연결을 설정하여 상기 작동 부품이 휴대용 전자기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Referring to FIGS. 1A and 1B, a hea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ar unit 11 formed with adjustment boxes 112a and 112b for receiving operating parts; At least one microphone (13a, 13b) connected to the adjustment box (112a, 112b); At least one earphone (12a, 12b) coupled to the wearing unit (11) and whos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adjustment boxes (112a, 112b); A battery accommodated in the adjustment boxes 112a and 112b; At least one stationary microphone (131) disposed in the wearing unit (11); And a control unit housed inside the wearing unit (11), wherein the control unit establishes a connection with a predetermin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so that the operating component can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휴대용 오디오 기기, 노트북, 웨어러블(wearable) 기기 또는 통신 기능을 가진 휴대용 전자기기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 수단을 통하여 위와 같은 기기와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필요에 따라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이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로부터 소리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 환경 또는 사용자에게 적합하도록 처리하여 이어폰(13a, 13b)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그리고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설치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신하거나 필요한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외부 환경 음을 수신하여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처리하여 이어폰을 통하여 사용자, 휴대용 모바일 기기 또는 다른 통신 가능한 장치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The hea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perform data communication through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for example, a smart phone, a portable audio device, a notebook, a wearable device, 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The hearing device 10 is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bove-described device through a short-range communication means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for example, and can be wired as necessary. The hea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sound signal from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processes the sound signal to suit the user environment or the user, and transmits the sound signal to the user through the earphones 13a and 13b. In addition, various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used to receive necessary information or execute necessary functions. In addition, the external environment sound may be received and appropriately processed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transmitted to the user, portable mobile device, or other communicable device through the earphone.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사용 환경 또는 사용자의 청력에 적합하도록 외부 또는 전자기기로부터 유입되는 소리 신호 또는 다른 신호를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다. 히어링 디바이스(10)는 보청기 또는 청력 보완 기능을 가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 환경에 적합하도록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리 신호 또는 환경 소리를 처리하므로 모든 사용자의 청각 환경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The hea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unction of processing a sound signal or other signal inputted from an external or electronic device to suit the environment of use or hearing of a user and transmitting the processed sound signal or signal to a user. The hearing device 10 has a hearing aid or a hearing aiding func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have a function of improving the hearing environment of all users by processing the sound signal or environment sound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accordance with the use environment.

착용 유닛(11)은 양쪽 귀에 착용될 수 있도록 하는 착용 부재(111) 및 착용 부재(111)와 일체로 형성되어 내부에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에 필요한 적어도 일부의 부품이 수용되는 조절 박스(112a, 11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착용 부재(111)는 원형의 형상을 가진 다양한 신축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내부에 연결 케이블이 배치될 수 있다. The wearer unit 11 includes a wearer member 111 which can be worn on both ears and a control box which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wearer member 111 and accommodates therein at least a part of parts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device 10 112a, 112b. The wearing member 111 can be made of various elastic materials having a circular shape and, if necessary, the connecting cable can be disposed therein.

착용 부재(111)의 일부에 조절 박스(112a, 112b)가 형성되거나 또는 착용 부재(111)와 별도로 제조된 조절 박스(112a, 112b)가 결합될 수 있다. The adjustment boxes 112a and 112b may be formed on a part of the wearer 111 or the adjustment boxes 112a and 112b separately manufactured from the wearer 111 may be combined.

조절 박스(112a, 112b)의 내부에 마이크로 칩, 통신 칩 또는 이명 음원 발생기와 같은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과 관련된 다양한 부품, 소자, 칩 또는 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 박스(112a, 112b)의 표면에 통화 버튼(141) 또는 음악 재생 버튼(142)과 같은 다양한 기능 버튼이 배치될 수 있다. 조절 박스(112a, 112b)는 착용 부재(111)의 양쪽 끝에 형성되거나 결합될 수 있지만 조절 박스(112a, 112b)의 형성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기능 버튼은 착용 유닛(11)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A variety of parts, elements, chips or substrat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device 10, such as a microchip, a communication chip or a synchronic sound generator, may be disposed inside the adjustment boxes 112a and 112b. Various function buttons such as a call button 141 or a music playback button 142 may be disposed on the surfaces of the adjustment boxes 112a and 112b. The adjustment boxes 112a and 112b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wear member 111, but the formation positions of the adjustment boxes 112a and 112b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Further, the function buttons can be form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wearing unit 11,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에 적어도 하나의 음성 마이크(13a, 13b)가 설치될 수 있다. 마이크(13a, 13b)는 소리 신호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 각각의 조절 박스(112a, 112b)에 설치될 수 있고 볼륨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조절 박스(112a, 112b) 자체에 고정 마이크(131)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성 마이크(13a, 13b)를 통하여 외부 환경 음 또는 상대방의 대화 음이 유입되어 이어폰(12a, 12b)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음성 마이크(13a, 13b)와 별도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통한 전화 통화를 위한 고정 마이크(131)가 착용 유닛(11)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음성 마이크(13a, 13b) 및 고정 마이크(131)를 통하여 유입되는 소리 신호는 각각 독립된 전달 경로를 통하여 서로 다른 유닛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마이크(13a, 13b) 또는 고정 마이크(131)를 통하여 유입되는 소리의 출력은 사용자의 사용 환경에 따라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적절하게 제어될 수 있다. At least one audio microphone (13a, 13b) may be installed in the hea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phones 13a and 13b are for inputting sound signals and can be installed in the respective control boxes 112a and 112b and can have a volume adjustable structure. If necessary, a fixed microphone 131 may be installed on the adjustment boxes 112a and 112b itself. For example, an external environment sound or a conversation sound of the other party may be introduced through the audio microphones 13a and 13b 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earphones 12a and 12b. Apart from the audio microphones 13a and 13b, a fixed microphone 131 for telephone conversation via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arranged at various positions of the wearing unit 11. [ The sound signals input through the audio microphones 13a and 13b and the fixed microphone 131 can be transmitted to different units via independent transmission paths. The sound output through the audio microphones 13a and 13b or the fixed microphone 131 can be appropriately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user's use environment.

외부 환경 소리는 음성 마이크(13a, 13b)를 통하여 유입되거나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음성 마이크(13a, 13b)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는 볼륨이 조절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제한적으로 환경 소리가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고정 마이크(131)는 별도로 볼륨 조절이 기능이 없으므로 환경 소리가 제한이 없이 유입될 수 있다. 다만 고정 마이크(131)를 통하여 유입되는 환경 소리는 적절하게 필터링이 되어 전달될 수 있고, 제어 유닛에 의하여 처리된 이후 휴대용 전자기기로 전달될 수 있다. 고정 마이크(131)를 통하여 음성이 이어폰(12a, 12b)으로 전달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음성은 음성 마이크(13a, 13b)를 통하여 전달된다. 이와 같이 고정 마이크(131)는 전화통화를 위한 것이므로 착용 유닛(11)의 구조에 따라 사용자 자신의 음성이 유입되기 유리한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The ambient sound can be input through the audio microphones 13a and 13b or indirectly throug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wever, in this way, the audio microphones 13a and 13b 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limited in environmental noise in that the volume can be adjusted.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xed microphone 131 does not have the volume control function separately, the ambient sound can be input without limitation. However, the ambient sound introduced through the fixed microphone 131 can be appropriately filtered and transmitted, and can be transmitt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fter being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Although voice can be transmitted to the earphones 12a and 12b via the fixed microphone 131, the voice is generally transmitted through the voice microphones 13a and 13b. Since the stationary microphone 131 is for telephone conversation, the stationary microphone 131 can be dispos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where the user's own voice may be introduced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wearing unit 11, and a plurality of the stationary microphone 131 can be installed.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에 배터리가 배치될 수 있고, 제어 유닛에 의하여 배터리의 상태가 탐지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가능한 이차 전지가 될 수 있고 충전 포트(151)를 통하여 독립적으로 만들어진 어댑터로 충전되거나 또는 USB 포트로 충전될 수 있다. 제어 유닛에 의하여 배터리 상태가 탐지될 수 있고 배터리 상태는 히어링 디바이스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A battery may be disposed in the hea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ate of the battery may be detected by the control unit. The battery can be a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and can be charged with an adapter made independently through charging port 151 or charged to a USB port. The battery status can be detected by the control unit and the battery status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installed in the hearing device or on the display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조절 박스(112a, 112b)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 유닛에 의하여 처리된 음악과 같은 재생 음, 휴대용 전자기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및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환경 소리는 이어폰(12a, 12b)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어폰(12a, 12b)은 각각의 조절 박스(112a, 112b)와 연결되도록 한 쌍이 될 수 있고 착용 유닛(11)의 내부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어폰(12a, 12b)의 볼륨 조절 및 모드 조절을 위한 이어폰 기능 버튼(161)이 조절 박스(112a, 112b)에 설치될 수 있고 각각의 이어폰(12a, 12b)에 대하여 기능 버튼(161)이 설치될 수 있다. 이어폰(12a, 12b)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어폰(12a, 12b)의 종류 또는 구조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Playback sounds such as music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installed inside the adjustment boxes 112a and 112b, audio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mbient sound introduced from the outside can be transmitted to the earphones 12a and 12b. The earphones 12a and 12b may be paired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control boxes 112a and 112b and may be install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earphone 12a and 12b to the inside of the wearing unit 11. [ An earphone function button 161 for volume control and mode adjustment of the earphones 12a and 12b can be installed in the control boxes 112a and 112b and a function button 161 is installed for each earphone 12a and 12b . Earphones 12a and 12b may be of any type known in the art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type or structure of earphones 12a and 12b.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와 연동되어 작동될 수 있다. 연동되어 작동된다는 것은 휴대용 전자기기와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과 같은 무선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기능을 실행하기 위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작동이 가능하고, 휴대폰 전자기기로부터 발생되는 다양한 재생 음을 들을 수 있도록 한다. The hea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in conjunction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for example, a smart phone. The interlocked operation means that data can be communicated throug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example,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communication, an application can be operated to execute a func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various functions Allows you to hear the playback sound.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예를 들어 보청기 기능을 할 수 있고,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보청기의 피팅(fitting)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전자기기의 재생 음 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리 신호를 사용자의 청력 또는 사용 환경에 적합하도록 변환하여 이어폰(12a, 12b)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위하여 히어링 디바이스(10)는 휴대용 전자기기와 페어링이 되어야 한다. The hea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nction as a hearing aid, for example, and can execute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enable fitting of a hearing aid. In addition, the reproduced sound of the electronic device or the sound signal inputted from the outside can be converted to be suitable for the hearing ability or the use environment of the user and transmitted to the earphones 12a and 12b. For such a function, the hearing device 10 must be paired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가 휴대용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2 shows an embodiment of a process in which the hea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스마트 폰(20)과 페어링이 될 수 있다. 스마트 폰(20)과 페어링 및 히어링 디바이스(10)의 기능의 작동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스마트 폰(20)에 설치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은 공지의 방법에 따라 스마트 폰(20)에 설치될 수 있고, 스마트 폰(20)에 의하여 히어링 디바이스(10)에 설치된 각각의 장치 또는 유닛의 작동 상태가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폰(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제어 유닛의 제어 구조가 설정되고, 제어 유닛의 제어 구조는 초기 청력 검사 또는 청력 데이터에 의한 피팅 데이터의 적용 또는 이어폰의 출력 제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준비된 청력 데이터의 적합성 여부가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시험될 수 있다. 이후 스마트 폰(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결정된 작동 조건은 필요에 따라 히어링 디바이스(10)에 의하여 적절하게 수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hea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aired with the smartphone 20. An applica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smartphone 20 and the pairing and hearing device 10 may be installed in the smartphone 20. [ The application may be installed in the smartphone 20 according to a known method and the operating state of each device or unit installed in the hearing device 10 by the smartphone 20 may be set. For example, the control structure of the control unit is set by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20, and the control structure of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pplication of fitting data by the initial hearing test or hearing data, or output control of the earphone . In addition, suitability of previously prepared hearing data can be tested by the application. The operating conditions determined by the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martphone 20 can be appropriately modified by the hearing device 10 as necessary.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조절 박스(112a, 112b)에 블루투스 모듈이 내장될 수 있고 스마트 폰(20)에서 블루투스 모듈을 검색하여 페어링을 시키고 그리고 스마트 폰(20)에 등록될 수 있다. 히어링 디바이스(10)가 스마트 폰(20)에 페어링이 된 이후 각각의 기기를 켜고 히어링 디바이스(10)에서 버튼을 작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특정 스마트 폰(20)과 연결될 수 있다. The Bluetooth module may be embedded in the control boxes 112a and 112b of the hearing device 10 and the smart phone 20 may search for and pair with the Bluetooth module and be registered in the smartphone 20. [ After the hearing device 10 has been paired with the smartphone 20, it can be connected to the specific smartphone 20 by turning on each device and operating the button on the hearing device 10. [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서로 다른 스마트 폰(20)에 페어링이 될 수 있고 블루투스 기능을 가진 서로 다른 종류의 전자기기와 페어링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마트 폰(20)과 페어링이 된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스마트 폰(20)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 The hea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aired with different smartphones 20 and can be paired with different kinds of electronic devices having a Bluetooth function. Thus, the hearing device 10 paired with the smartphone 20 can perform data communication with the smartphone 2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의 작동 구조에 대한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ng structure of the he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제어 유닛(31)의 제어를 통하여 전자기기(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어 유닛(31)은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전송되는 데이터 및 전송되는 데이터를 제어할 수 있다. 히어링 디바이스(10)는 위에서 설명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설정이 저장되는 설정 저장 유닛(32)을 포함할 수 있다. 설정 저장 유닛(32)은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설정 내용을 포함하여 히어링 디바이스(10)에 의하여 수정된 내용이 저장될 수 있다. 설정 저장 유닛(32)에 히어링 디바이스(10)와 전자기기(20)의 위치 연동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설정 저장 유닛(32)에 전자기기(20)로 전송되어야 할 정보의 종류의 전자기기(20)로부터 전송되어야 하는 정보의 종류 또는 형태가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설정 유닛(32)에 의한 설정에 따라 제어 유닛(31)은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달되는 정보를 적절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설정 저장 유닛(32)에 전자기기(20)에 대한 상관성이 저장될 수 있다.예를 들어 설정 저장 유닛(32)에 전자기기(20)와 통신이 된 최종 시각 또는 위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설정 저장 유닛(32)에 전자기기(20)와 마지막으로 교환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는 필요에 따라 전자기기(20) 또는 히어링 디바이스(10)에 설치된 표시 스크린에 표시될 수 있다. 추가로 설정 저장 유닛(32)에 전자기기와 일정 거리 이상 멀어지는 경우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이 저장될 수 있다. 또는 히어링 디바이스(10)와 전자기기(20)가 통신이 단절되는 경우 이를 외부에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의 표시 방법이 저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 또는 기능은 전자기기(20) 또는 히어링 디바이스(10)의 분실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면서 이와 동시에 다양한 사고 상황에서 사용자를 보호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히어링 디바이스(10)와 전자기기(20)는 상호 위치 탐색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히어링 디바이스(10)에서 특정 버튼이 작동되는 경우 전자기기(20)로부터 소리 신호가 발생되거나 또는 히어링 디바이스(10)에서 전자기기(20)가 위치하는 방향 또는 거리가 표시될 수 있다. 설정 저장 유닛(32)에 이와 같은 히어링 디바이스(10)와 전자기기(20)의 상관성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hearing device 10 may be connect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 through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1. Fig. The control unit 31 can control the data to be transmitted and the data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Bluetooth communication. The hearing device 10 may include a setting storing unit 32 in which the setting by the application described above is stored. The setting storage unit 32 may store contents modified by the hearing device 10, including setting contents by the application. The location linkage of the hearing device 10 and the electronic device 20 can be stored in the setting storage unit 32. [ Also, the type or form of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 of the kind of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device 20 in the setting storing unit 32 can be stored. In accordance with the setting by the setting unit 32, the control unit 31 can convert the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into an appropriate form. The correlation to the electronic device 20 can be stored in the setting storage unit 32. For example, the final time or position information communicated with the electronic device 20 can be stored in the setting storage unit 32 . Or the information exchanged last with the electronic device 20 in the setting storing unit 32 may be stored. Such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screen provided in the electronic device 20 or the hearing device 10 as needed. In addition, a function for generating an alarm signal when the setting storage unit 32 is further away from the electronic devic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stored. Or when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hearing device 10 and the electronic device 20 is disconnected, the display method of the function for displaying the external information can be stored. Such information or function may function to prevent the loss of the electronic device 20 or the herring device 10, and at the same time, to protect the user in various accident situations. The hearing device 10 and the electronic device 20 may have a mutual position detection function as needed. For example, when a specific button is operated in the hearing device 10, a sound signal may be generat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 or the direction or the distance in which the electronic device 20 is positioned in the hearing device 10 may be display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earing device 10 and the electronic device 20 can be stored in the setting storage unit 32. [

히어링 디바이스(10)는 환경 유닛(33)을 가질 수 있다. 환경 유닛(33)은 예를 들어 외부 환경 소리와 같은 환경 정보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유닛(33)은 위에서 설명된 음성 마이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환경 유닛(33)은 미리 저장된 위험 데이터에 기초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위험 상황을 판단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환경 유닛(33)은 전자기기(20)로부터 재생 음이 히어링 디바이스(10)로 유입되는 경우 유입되는 환경 소음을 제거하거나 환경 소음을 다른 형태의 신호를 변환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환경 유닛(33)은 이명 음 필터링 기능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에서 유입되는 환경 소음을 유사 주파수 대역의 이명 음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환경 유닛(33)은 전자기기(20)로부터 유입되는 재생음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거나 또는 외부에서 발생된 위험 상황을 인지시키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The hearing device 10 may have an environmental unit 33. The environmental unit 33 may have a function of receiving and processing environment information such as an external environment sound, for example. For example, the environmental unit 33 may comprise the speech microphone described above. In addition, the environmental unit 33 may have a function of determining a dangerous situation introduced from the outside based on previously stored risk data. The environmental unit 33 may have a function of removing environmental noise introduced when the reproduction sound is input to the hearing device 10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 or converting other types of environmental noises. In addition, the environmental unit 33 may have a synonym filtering function. Specifically, it may have a function of converting the environmental nois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to a tinnitus sound of a similar frequency band and transmitting the same. Thus, the environmental unit 33 may have a function of not disturbing the effect of the reproduced sound introduc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 or recognizing a dangerous situation generated from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에서 소리 신호는 전자기기(20)로부터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유입되거나 또는 환경 유닛(33)을 통하여 유입될 수 있다. 환경 유닛(33)으로부터 다양한 환경 음이 유입될 수 있고 전자기기(20)로부터 음악과 같은 재생 음, 전자기기(20)가 모바일 폰이 되는 경우 통화 음 또는 통화와 관련된 신호가 히어링 디바이스(10)로 전송될 수 있다. 설정 저장 유닛(32)에 전자기기(20)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달되는 신호와 환경 음의 이어폰으로 전송하는 방식 또는 환경 유닛(33)을 통하여 위험 소리 신호가 유입된 경우 처리 방식이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재생 음 또는 통화음이 전송되는 과정에서 환경 위험 신호가 유입된 경우 각각의 신호가 처리되는 방식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위험 신호가 유입된 경우 다른 소리 신호를 중단시키거나 통화 상대방에게 미리 설정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유닛(31)은 설정 제어 유닛(32)에 저장된 방식에 따라 환경 유닛(33)으로부터 환경 소음이 유입되는 경우 사용자의 사용 환경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In the hea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signal may be input via the Bluetooth communica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 or through the environment unit 33. [ A variety of environmental sounds may be input from the environmental unit 33 and a playback sound such as music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 and a signal related to the call sound or call when the electronic device 20 becomes a mobile phone may be transmitted to the hearing device 10, Lt; / RTI > The processing method can be stored when the danger sound signal is input through the environment unit 33 or the system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 to the setting storing unit 32 and the environment sound are transmitted to the earphone have. Or the manner in which each signal is processed when an environmental risk signal is input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 playback sound or a voice signal. For example, when an environmental hazard signal is input, another sound signal may be interrupted or a preset message may be transmitted to the other party. The control unit 31 can process according to the user's environment when ambient noise is input from the environmental unit 33 according to the manner stored in the setting control unit 32. [

전자기기(20) 또는 환경 유닛(33)으로부터 소리 신호가 유입되면 제어 유닛(31)은 설정 제어 유닛(32)에 의하여 설정된 방법에 따라 소리 신호를 처리하여 적용 프로세서(34)로 전달한다. 적용 프로세서(34)는 사용자의 청력과 관련된 다양한 데이터를 가질 수 있고, 사용 환경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사용자의 청력과 관련된 데이터는 미리 저장되고 사용 환경 데이터는 환경 유닛(33)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청력과 관련된 데이터는 미리 만들어진 피팅 데이터가 되거나 전자기기(20)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켜 생성된 피팅 데이터가 될 수 있다.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는 사용자의 이명 주파수 대역, 사용자가 선호하는 청감 또는 주파수 대역과 같은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환경 유닛(33)에 의하여 얻어지는 사용 환경 데이터는 소음 환경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대중교통 소음, 작업장 소음, 다수인의 활동에 따른 소음, 사무실 소음 또는 기계 소음 환경과 같은 환경 소음을 의미한다. 환경 소음은 일차적으로 환경 유닛(33)에 의하여 처리되어 적용 프로세서(34)로 전달될 수 있다. 적용 프로세서(34)는 환경 유닛(33)으로부터 전달되는 환경 소음을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 및 전자기기로부터 유입되는 소리 신호에 기초하여 적절하게 변환하여 이어폰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적용 프로세서(34)는 전자기기(20) 또는 환경 유닛(33)으로부터 전달되는 소리 신호를 사용자의 청력 데이터 및 사용 환경에 적합하게 변환하여 이어폰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The control unit 31 processes the sound signal according to the method set by the setting control unit 32 and transfers the sound signal to the application processor 34. [ The application processor 34 may have various data associated with the hearing of the user and may have usage environment data. The data relating to the hearing ability of the user is stored in advance and the usage environment data can be obtained by the environment unit 33. [ For example, the hearing-related data may be prefabricated fitting data or fitting data generated by executing an applic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20. [ The user's hearing data may include such things as the user's tinnitus frequency band, the user's preferred hearing or frequency band. The use environment data obtained by the environment unit 33 means a noise environment. For example, environmental noises such as public transport noise, noise from the workplace, noise due to activities of a large number of people, office noise or machine noise environment. Environmental noise can be primarily processed by the environmental unit 33 and transmitted to the application processor 34. [ The application processor 34 can appropriately convert the environmental noise transmitted from the environmental unit 33 based on the hearing data of the user and the sound signal input from the electronic device and transmit the environmental noise to the earphone. Thus, the application processor 34 may have a function of converting a soun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 or the environment unit 33 into an earphone according to a user's hearing data and environment.

위와 같은 작동 구조를 가지는 히어링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보청기 모드, 재생 모드, 상황 인식 모드 또는 통화 모드와 같은 다수 개의 모드에서 작동될 수 있다. 각각의 모드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거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고 두 개의 모드가 동시에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 유닛에 의하여 소리 신호의 유입 및 전달 경로가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보청기 모드는 대화 상태와 같은 경우 작동될 수 있고, 재생 모드는 휴대용 전자기기로부터 재생되는 음원이 전송되는 상태에서 작동될 수 있다. 상황 인식 모드는 외부에서 위험 상황이 발생되거나 또는 음원 재생 과정에서 통화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통화 모드는 통화를 위하여 사용자의 음성이 휴대용 전자기기로 전달되어야 하는 경우 작동될 수 있다. The hearing device having the above operation structure can be operated in different modes and can be operated in a plurality of modes, for example, a hearing aid mode, a reproduction mode, a situation recognition mode, or a call mode. Each mode can be selected by the user or automatically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and the two modes can be operated simultaneously. Then, the flow of the sound signal and the transmission path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e control unit. The hearing aid mode can be operated in the case of a conversation state, and the reproduction mode can be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a sound source reproduced from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transmitted. The situation recognition mode may be activated when a dangerous situation occurs from the outside or when a call signal is generated during the sound source reproduction. And the call mode may be activated if the user's voice needs to be deliver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or the call.

상황 인식 모드는 미리 결정된 데이터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고 제어 유닛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 수준 이상의 자동차 경적을 비롯한 소음이 마이크로 유입되면 상황 인식 모드가 작동될 수 있다. 상황 작동 모드는 사용자 환경에 따라 작동을 위한 데이터가 서로 다르게 준비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적절한 전달 수단이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황 작동 모드에서 진동과 같은 자극이 히어링 디바이스에서 발생되도록 하거나 특정한 톤을 가진 소리 신호가 이어폰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사용 환경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위험 상황이 상황 인식 모드의 작동을 위한 데이터가 될 수 있다. The situation recognition mode can be operated by predetermined data and can be operated by the control unit. For example, a situation recognition mode may be activated when microphones of a certain level or more including a car horn are micro-inflowed. Depending on the user environment, the mode of operation may be such that data for operation may be prepared differently and appropriate means of transmission may be made available to the user. For example, in a situation operating mode, a stimulus such as vibration may be generated at the hearing device or a sound signal with a certain tone may be transmitted to the earphone. A risk situation that may occur in various usage environments may be data for operation of the situation recognition mode.

아래에서 이와 같은 작동 구조 또는 작동 모드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의 작동 과정에 대하여 설명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n operating structure or operating mode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의 작동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 4 shows an embodiment of the operating process of the hea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는 페어링이 된 전자기기(2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히어링 디바이스에서 전자기기(20)에 설치된 피팅 프로그램을 작동시킬 수 있고, 그에 의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피팅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이미 만들어진 피팅 데이터를 수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되거나 수정된 피팅 데이터는 적용 처리 유닛(43)에 의하여 유입되는 소리 신호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히어링 디바이스는 전자기기(20)에 저장된 위치 정보와 같은 다양한 정보를 전자기기(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hea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aired electronic device 20. For example, the fitting program installed in the electronic device 20 can be operated in the hearing device, whereby the user can create his own fitting data or modify fitting data that has already been created. And the generated or modified fitting data can be applied to the sound signal introduced by the application processing unit 43. [ The hearing device may also receive various information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 such as posi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electronic device 20. [

필요에 따라 히어링 디바이스에 실내 환경, 외부 공공 소음 환경, 다수 사용자 소음 환경 또는 외부 자연 환경과 같은 다양한 환경에 대응되는 소음 처리 방식이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사용 환경이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추가로 각각의 히어링 디바이스에 이와 같은 서로 다른 사용 환경에 따른 서로 다른 피팅 데이터가 저장되거나 또는 전자기기(2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If necessary, a noise processing method corresponding to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an indoor environment, an external public noise environment, a multi-user noise environment, or an external natural environment may be stored in the hearing device. Such a use environment can be selected by the user. In addition, different fitting data according to these different usage environments may be stored or receiv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 in each of the hearing devices.

전자기기(20)로부터, 제1 마이크(411) 또는 제2 마이크(412)를 통하여 재생 음, 사용자 음성 또는 환경 음이 유입될 수 있고, 제어 유닛(31)에 의하여 처리될 수 있다. 제2 마이크(412)를 통하여 유입되는 환경 음은 일차적으로 필터 유닛(421)에 의하여 필터링이 될 수 있다. 기계 소음 또는 자동차 소음과 같은 음향 신호는 사용 환경에 따라 미리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20)로부터 재생 음이 유입되는 환경에서 위험 상황 소리가 아닌 환경 소음은 필터링이 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환경 소음은 적절하게 변환되어 이어폰(12)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탐지 유닛(42)이 설치되어 배터리 상태 또는 다른 유닛의 작동 상태가 탐지되어 제어 유닛(31)으로 전송될 수 있다. A playback sound, a user voice, or an ambient sound may be introduc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 through the first microphone 411 or the second microphone 412 and may be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31. [ The environmental sound introduced through the second microphone 412 can be filtered by the filter unit 421 in the first place. Acoustic signals such as mechanical noise or automobile noise can be removed beforehand depending on the usage environment. For example, in an environment where the playback sound is input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 environmental noise other than a dangerous situation sound may be filtered. The environmental noise can be appropriately converted and transmitted to the earphone 12 as required. A detection unit 42 may also be provided to detect the battery condition or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other unit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 unit 31.

제어 유닛(31)은 전자기기(20), 제1 마이크(411) 또는 제2 마이크(412)로부터 유입되는 각각의 신호를 처리 순위에 따라 처리하여 적응 처리 유닛(42)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적응 처리 유닛(43)은 사용자 청력 데이터 및 사용 환경에 따라 각각의 유닛으로부터 유입되는 소리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방향 유닛(44)으로 전송할 수 있다. 출력 설정 유닛(44)은 미리 설정된 방향에 따라 소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기기(20)로부터 전송되는 재생음의 경우 이어폰(12)으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마이크(412)로부터 유입되는 환경 위험 신호는 사용자가 가장 인지하기 쉬운 주파수 대역의 소리로 변환되고 출력 설정 유닛(44)에 의하여 이어폰(12)으로 전달되면서 이와 동시에 외부 기기(45)로 전송될 수 있다. 또는 모바일 기기(20)로 메시지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외부 기기(45)는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다른 모바일 기기 또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된 외부 서버가 될 수 있다. 출력 설정 유닛(44)은 또한 환경 위험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재생 음 또는 다른 유입 음을 차단시키거나 이어폰(12)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는 전자기기(20) 또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유입되는 소리 신호를 사용자에게 적합한 소리 신호를 변환하여 이어폰(12)으로 전송하는 한편 전자기기(20)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사용자에게 적합한 청각 환경이 만들어지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31 may process each signal incoming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 the first microphone 411 or the second microphone 412 according to the processing order and transmit the processed signal to the adaptation processing unit 42. [ The adaptation processing unit 43 can process the sound signals incoming from the respective units according to the user's hearing data and the usage environment. And to the direction unit 44. The output setting unit 44 can transmit a sound signal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direction. For example, the earphone 12 in the case of a reproduced sound transmitt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 [ The environmental hazard signal flowing from the second microphone 412 is converted into the sound of the frequency band which the user is most likely to perceive and is transmitted to the earphone 12 by the output setting unit 44, Lt; / RTI > Or to the mobile device 20 in the form of a message. The external device 45 may be, for example, another predetermined mobile device or an external server storing user information. The output setting unit 44 may also have the function of blocking the playback sound or other inflow sound when the environmental risk signal is transmitted or guiding it in a direction other than the earphone 12. [ As described above, the hea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verts a sound signal inputt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20 or the external environment into a sound signal suitable for the user, and transmits the sound signal to the earphone 12 while executing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electronic device 20 So that an auditory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user is created.

사용자의 사용 환경에 따른 또는 다양한 전자기기(20)에 따른 사용자 청각 환경이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10)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시된 실시 예에서 적응 처리 유닛(43) 또는 출력 설정 유닛(44)이 별도의 구성요소로 제시되어 있지만 제어 유닛(31)의 일부로 포함될 수 있다. The user's hear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user's use environment or the various electronic devices 20 can be formed by the hearing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adaptation processing unit 43 or the output setting unit 44 may be included as part of the control unit 31 although they are shown as separate components.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는 휴대용 전자기기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하면서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설치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는 휴대용 전자기기와 데이터 통신 과정에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다양한 외부 환경 음의 처리를 통하여 주변 환경 상황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히어링 디바이스는 휴대용 전자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소리 신호를 자신에게 적합하도록 처리하여 들을 수 있도록 한다. The hea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xecute various applications installed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ile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hrough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The hea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cope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onditions through processing of various external environment sounds inputted from the outside in the data communication process wit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Further, the hear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cess the sound signal received from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 a manner suitable for him / herself.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but is limited only by the claims appended hereto.

10: 히어링 디바이스 11, 착용 유닛
12, 12a, 12b: 이어폰 13a, 13b: 마이크
20: 스마트 폰 31: 제어 유닛
32: 설정 저장 유닛 33: 환경 유닛
34: 적용 프로세서 43: 적응 처리 유닛
44: 출력 설정 유닛 45: 외부 기기
111: 착용 부재 112a, 112b: 조절 박스
131: 고정 마이크 141: 통화 버튼
142: 음악 재생 버튼 421: 필터 유닛
10: a holding device 11, a wearing unit
12, 12a, 12b: earphone 13a, 13b: microphone
20: smartphone 31: control unit
32: setting storing unit 33: environmental unit
34: Application processor 43: Adaptive processing unit
44: Output setting unit 45: External device
111: wearing member 112a, 112b: adjusting box
131: Fixed microphone 141: Call button
142: music playback button 421: filter unit

Claims (6)

휴대용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작동되는 히어링 디바이스에 있어서,
작동 부품의 수용을 위한 조절 박스(112a, 112b)가 형성된 착용 유닛(11);
조절 박스(112a, 112b)에 연결되어 외부 환경 음 또는 상대방의 대화 음이 유입되어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12a, 12b)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음성 마이크(13a, 13b);
착용 유닛(11)에 결합되고, 조절 박스(112a, 112b)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어폰(12a, 12b);
조절 박스(112a, 112b)의 내부에 수용된 배터리;
착용 유닛(11)에 배치되고 휴대용 전화기기를 통한 전화 통화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고정 마이크(131);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한 상관성이 저장되는 설정 저장 유닛(32);
음성 마이크(13a, 13b)로부터 유입되는 환경 소리를 처리하여 미리 저장된 위험 데이터에 기초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위험 상황을 판단하는 위험 소리 신호 처리 기능을 가지고 환경 유닛(33); 및
착용 유닛(11)의 내부에 수용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정해진 휴대용 전자기기와 연결을 설정하여 상기 작동 부품이 휴대용 전자기기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제어하면서 상기 음성 마이크(13a, 13b) 또는 고정 마이크(131)를 통하여 유입되는 소리의 출력을 사용자의 사용 환경에 따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연결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A hearing device connected to and operated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wear unit (11) in which adjustment boxes (112a, 112b) for accommodating operating parts are formed;
Audio microphones (13a, 13b) connected to the control boxes (112a, 112b) for receiving an external environment sound or a conversation sound of the other party to be transmitted to at least one earphone (12a, 12b);
At least one earphone (12a, 12b) coupled to the wearing unit (11) and whos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adjustment boxes (112a, 112b);
A battery accommodated in the adjustment boxes 112a and 112b;
At least one stationary microphone (131) arranged in the wear unit (11) and for making telephone calls through the portable telephone set;
A setting storage unit (32) in which a correlation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stored;
An environmental unit (33) having a dangerous sound signal processing function for processing environmental sounds introduced from the audio microphones (13a, 13b) and judging a dangerous situation flowing in from the outside based on previously stored dangerous data; And
And a control unit accommodated inside the wearing unit (11)
The control unit sets a connection with a predetermin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so that the operating component can control data communication wit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output the sound input through the audio microphones 13a and 13b or the fixed microphone 131 Wherein the control i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a user's use environment.
청구항 1에 있어서, 환경 유닛(33)에 재생 음 또는 통화음이 전송되는 과정에서 위험 소리 신호가 유입되면 상기 재생 음 또는 통화음 신호의 처리 방식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연결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n a dangerous sound signal is input in the process of transmitting a playback sound or a telephone sound to the environment unit (33), the processing method of the playback sound or the telephone sound signal is stored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관성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와 통신이 된 최종 시각, 위치 정보 또는 마지막으로 교환된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설정 저장 유닛(32)에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한 거리에 따라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능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연결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2.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rrelation includes a final time at whic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mmunicated wit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positional information, or last exchanged information, and the setting storing unit (32) Wherein the function of generating the hearing device is stored. 청구항 1에 있어서,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전달되는 소리 신호를 사용자에 적응시키는 적응 처리 유닛(43)을 더 포함하고, 적응 처리 유닛(43)은 환경 데이터, 사용자 청력 데이터 및 사용자 이명 데이터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연결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The adaptive processing unit (43)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n adaptation processing unit (43) adapted to adapt a sound signal transmitted by the control unit to a user, wherein the adaptation processing unit (43) Hearing device of electronic connection structur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 구조가 설정되고, 상기 제어 유닛의 제어 구조는 초기 청력 검사 또는 청력 데이터에 의한 상기 이어폰(12a, 12b)의 출력 제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연결 구조의 히어링 디바이스.

2.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structure of the control unit is set by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control structure of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of the earphones (12a, 12b) And a hearing devi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onnection structure.

KR1020150000435A 2015-01-05 2015-01-05 A Hearing Device Having a Connecting Structure to a Portable Electric Device KR1016373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435A KR101637326B1 (en) 2015-01-05 2015-01-05 A Hearing Device Having a Connecting Structure to a Portable Electr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435A KR101637326B1 (en) 2015-01-05 2015-01-05 A Hearing Device Having a Connecting Structure to a Portable Electric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7326B1 true KR101637326B1 (en) 2016-07-07

Family

ID=56500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435A KR101637326B1 (en) 2015-01-05 2015-01-05 A Hearing Device Having a Connecting Structure to a Portable Electric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32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671B1 (en) 2016-07-12 2018-01-24 주식회사 이엠텍 Bluetooth sound device with music listening function and surroundings hearing function
KR102046803B1 (en) * 2018-07-03 2019-11-21 주식회사 이엠텍 Hearing assistant 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4878A (en) * 2009-08-06 2011-02-1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afety earphone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KR101250951B1 (en) * 2012-07-23 2013-04-09 정윤석 Two ears insertable hearing aid having a danger detecting function and system for detecting dangerous factors using thereof
KR101450014B1 (en) * 2014-06-27 2014-10-16 (주)마이크로텍시스템 Smart user aid devices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4878A (en) * 2009-08-06 2011-02-14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Safety earphone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eof
KR101250951B1 (en) * 2012-07-23 2013-04-09 정윤석 Two ears insertable hearing aid having a danger detecting function and system for detecting dangerous factors using thereof
KR101450014B1 (en) * 2014-06-27 2014-10-16 (주)마이크로텍시스템 Smart user aid devices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선행기술1: 미국 특허등록번호 US 7,929,713 B2(2011년04월19일 공개, Starkey Laboratories Inc.) External Ear Canal Voice Detection
선행기술2: 미국 특허등록번호 US 8,009,849 B2(2011년08월30일 공개, AT&T Mobility II LLC) Aid Ear Bud
선행기술3: 미국 특허등록번호 US 7,634,098 B2(2009년12월15일 공개, Sony Ericsson Mobile) Method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Operating a Mobile Device in Multiple Signal Processing Modes for Hearing Aid Compatibilit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1671B1 (en) 2016-07-12 2018-01-24 주식회사 이엠텍 Bluetooth sound device with music listening function and surroundings hearing function
KR102046803B1 (en) * 2018-07-03 2019-11-21 주식회사 이엠텍 Hearing assistant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674B1 (en) Active noise reduction headset device with hearing aid features
KR101585793B1 (en) Smart Hearing Aid Device
US9491542B2 (en) Automatic sound pass-through method and system for earphones
US9270244B2 (en) System and method to detect close voice sources and automatically enhance situation awareness
Kim et al. A review of assistive listening device and digital wireless technology for hearing instruments
US20150172814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rectional enhancement of sound using small microphone arrays
KR101381289B1 (en) Wire and wireless earset using in ear-type microphone
DK1368986T3 (en) Method of modeling custom made earpieces
KR101330476B1 (en) Wire and wireless earphone apparatus using in ear-type microphone
EP3979666A2 (en) A hearing device comprising an own voice processor
KR101450014B1 (en) Smart user aid devices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CN111492365A (en) Translating using an ancillary device box
KR101637326B1 (en) A Hearing Device Having a Connecting Structure to a Portable Electric Device
US10636436B2 (en) Method and device for spectral expansion for an audio signal
KR100809549B1 (en) Wireless headse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for both hearing aid and sound instrument
KR101672951B1 (en) A Hearing Device Having Function of Telephone Conversation Based on Individual Adaptation Property and a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the Same
KR101595270B1 (en) Wire and wireless earset
KR101672942B1 (en) A Method for Setting a Function of Improved Auditory Acuity and a Hearing Device Having the Same
US9913029B2 (en) Sound filtering system
KR101861357B1 (en) Bluetooth device having function of sensing external noise
KR101672949B1 (en) A Hearing Device with a Connecting Structure of a Multimedia and a Method for Playing Sound of a Multimedia with the Same
KR101672947B1 (en) A Smart Hearing Device Having a Function of Circumstance Notice and a Method for Noticing a Circumstance Using the Same
KR101833030B1 (en) Method of providing alarm service for deaf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US20180070184A1 (en) Sound collection equipment having a function of answering incoming calls and control method of sound collection
KR20180136167A (en) Bone Conduction Speaker Gla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