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181B1 - Tens 장치 - Google Patents

Tens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9181B1
KR101669181B1 KR1020140078291A KR20140078291A KR101669181B1 KR 101669181 B1 KR101669181 B1 KR 101669181B1 KR 1020140078291 A KR1020140078291 A KR 1020140078291A KR 20140078291 A KR20140078291 A KR 20140078291A KR 101669181 B1 KR101669181 B1 KR 101669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generator
electrode
electric signal
pair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8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0726A (ko
Inventor
안순관
임정우
김찬희
김상현
문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아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아이텍
Priority to KR1020140078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9181B1/ko
Priority to JP2017520836A priority patent/JP2017526496A/ja
Priority to PCT/KR2015/003995 priority patent/WO2015199327A1/en
Priority to US15/321,669 priority patent/US20170209693A1/en
Priority to CN201580000252.7A priority patent/CN105431197A/zh
Priority to EP15811474.4A priority patent/EP3160578A4/en
Publication of KR20160000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0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9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9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76Array electrodes (including any electrode arrangement with more than one electrode for at least one of the polar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Electrod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connection between lead and electro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84Garment electrodes worn by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A61N1/36034Control systems specified by the stimulation para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ENS 장치는 전기자극 신호를 발생하는 전기신호 발생기, 전기신호 발생기에서 발생된 전기자극 신호를 전극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전극부, 및 전기신호 발생기 및 전극부를 결합하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되, 전극부는 전기신호 발생기 및 전극부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기 위한 한 쌍의 환형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TENS 장치{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TENS) apparatus}
본 명세서는 TENS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극의 탈착이 가능한 TENS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촉각 신경에 전기 자극을 지속적으로 주어 통각 신경을 억제해 통증을 덜 느끼게 해주는 경피성전기신경자극(TENS) 장치들이 다양하게 나오고 있다.
다만, 종래의 TENS 장치는 전기신호 발생기와 전극이 일체로 결합된 형태이거나, 자극기와 전극이 유선 케이블로 연결된 형태를 구성한다. 이러한, 종래의 TENS 장치는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신체의 부위에 TENS 장치를 부착하는 경우에 TENS 장치의 제어가 어려워지고, 유선 케이블로 인하여 사용의 불편함이 발생하는 경우도 생긴다.
KR 10-1364598
이에, 본 명세서는,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전기신호 발생기와 전극을 분리/결합할 수 있는 TENS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ENS 장치는 전기자극 신호를 발생하는 전기신호 발생기, 상기 전기신호 발생기에서 발생된 상기 전기자극 신호를 전극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기신호 발생기를 및 상기 전극부에 접속시키는 결합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전극부는 상기 전기신호 발생기 및 상기 전극부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기 위한 한 쌍의 환형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상기 환형 접점은 상기 전극부의 위 표면(upper surface)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형 접점은 상기 전극부의 위 표면의 일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 수단은, 자성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신호 발생기는, 하우징,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상기 하우징의 아래 표면(lower surface)에 위치하고 상기 전기자극 신호를 출력하는 한 쌍의 출력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신호 발생기는,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 위치하고, 외부 객체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외부입력단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신호 발생기는, 상기 전기자극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 상기 전기신호 발생기의 각 유닛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기신호 발생기의 각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신호 발생기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기신호 발생기는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부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하측(bottom side)에 위치하고 상기 전기자극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는, 상기 환형 접점을 둘러싸는 틀(fram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부는, 상기 한 쌍의 환형 접점이 형성된 회로 기판 및 상기 한 쌍의 환형 접점에 연결되어 각 전기자극 신호를 상기 한 쌍의 전극으로 전달하는 전도성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부는, 교체 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는, 상기 환형 접점이 형성된 회로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상기 전극은, 상기 전극부가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도록 하는 전도성 하이드로겔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패드는, 제거가능하고, 교체 가능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TENS 장치는 전기신호 발생기와 전극부의 분리/결합이 가능하므로, 다양한 종류의 전극부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르면, TENS 장치는 연결 케이블 없이 전기신호 발생기와 전극부를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전기신호 발생기의 탈착 및 조정 후 재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따르면, TENS 장치는 환형 접점을 통해 전기신호 발생기와 전극부를 전기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전기신호 발생기의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ENS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신호 발생기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신호 발생기 내부에 위치하는 구성들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청구하고자 하는 범위는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 TENS(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장치는 전기 자극을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TENS 장치는 TENS 테라피를 위한 전기 자극을 제공하는 저주파 치료기, 전기 자극기, 휴대용 전기 자극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TENS 장치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 도 1a는 전기신호 발생기(100)와 전극부(200)가 결합된 상태의 TENS 장치(1)를 나타내고, 도 1b는 전기신호 발생기(100)와 전극부(200)가 분리된 상태의 TENS 장치(1)를 나타낸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TENS 장치(1)는 전기신호 발생기(100) 및 전극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기신호 발생기(100)는 전기자극 신호를 발생하는 파트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신호 발생기(100)는 재사용이 가능한 파트일 수 있다. 전기신호 발생기(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하도록 한다. 또한, 전극부(200)는 전기신호 발생기(100)에서 발생된 전기자극 신호를 전극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파트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전극부(200)는 교환 가능한 파트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하도록 한다.
전기신호 발생기(100)와 전극부(200)는 결합 수단을 통해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 수단은 전기신호 발생기(100)와 전극부(200)를 반복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 수단은 자성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로 상이한 극성인 전기신호 발생기(100) 내의 자석(magnet) 및 전극부(200) 내의 자석이 결합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신호 발생기(100)와 전극부(200)는 자력에 의해 접속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기신호 발생기(100)는 연결 케이블 없이 전극부(200)와 접속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전기신호 발생기(100)의 탈착 및 조정 후 재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극부(200)는 전기신호 발생기(100) 및 전극부(200)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기 위한 한 쌍의 환형 접점(221)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한 쌍의 환영 접점(221)은 서로 상이한 반경을 가질 수 있다. 환영 접점(221)을 통해 전기신호 발생기(100)와 전극부(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사용자는 전기신호 발생기(100)의 회전 방향에 관계없이 전극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전기신호 발생기(100)의 탈착 및 조정 후 재부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신호 발생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 도 2a는 전기신호 발생기(100)의 정면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b는 전기신호 발생기(100)의 배면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c는 전기신호 발생기(100)의 좌측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d는 전기신호 발생기(100)의 우측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e는 전기신호 발생기(100)의 평면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f는 전기신호 발생기(100)의 저면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f를 참조하면, 전기신호 발생기(100)는 하우징(110),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한 쌍의 출력 단자(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전기신호 발생기(100)와 사용자의 상호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버튼, 적어도 하나의 인디케이터 라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버튼은 전기신호 발생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버튼을 의미한다. 제어버튼은 전원의 on/off를 제어하는 전원버튼(121), 전기자극 신호의 강도를 제어하는 증가버튼(122) 및 감소버튼(123)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버튼(121)은 전기신호 발생기(100)의 동작 모드의 선택을 제어하는 모드선택버튼으로도 사용될 수 있으나, 모드선택버튼이 전원버튼(121)과 구별되는 별도의 제어버튼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버튼(121), 증가버튼(122) 및 감소버튼(122)은 하우징(1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원버튼(121)은 하우징(110)의 일 측면에 위치할 수 있고, 증가버튼(122) 및 감소버튼(123)은 하우징(1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 라이트(130)는 전기신호 발생기(1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라이트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 라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인디케이터 라이트(130)는 적어도 하나의 LED를 이용하여, 전기신호 발생기(100)의 전원의 on/off 상태, 전기신호 발생기(100)의 동작 모드 등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디케이터 라이트(130는 하우징(110)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출력 단자(140)는 전기신호 발생기(100)에서 생성된 전기자극 신호를 출력하는 한 쌍의 단자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출력 단자(140)는 전기신호 발생기(100)에서 생성된 전기자극 신호를 출력하는 한 쌍의 양(+)의 단지 및 음(-)의 단자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출력 단자(140)는 하우징(110)의 아래 표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출력 단자(140)는 서로 상이한 반경을 갖는 한 쌍의 환형 접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하우징(110)의 아래 표면의 중심부로부터 서로 상이한 거리에 위치하는 한 쌍의 단자일 수 있다.
외부입력단자(150)는 외부 객체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단자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입력단자(15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기신호 발생기(100)의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전력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부입력단자(150)는 외부 장치로부터 전기신호 발생기(100)의 동작 모드에 대한 설정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도 3은 전기신호 발생기(100) 내부에 위치하는 구성들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전기신호 발생기(100)는 신호 발생부(161), 전원부(162), 통신부(163), 저장부(164) 및 제어부(165)를 하우징 내부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63) 및 저장부(164)는 옵셔널한 구성일 수 있다.
신호 발생부(161)는 전기자극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호 발생부(161)는 TENS 장치가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된 경우에 활성화될 수 있다. 신호 발생부(161)는 미리 설정된 각 동작 모드에 따라 전기자극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기자극 신호는 저주파의 펄스 신호일 수 있다.
전원부(162)는 전기신호 발생기(100)의 각 구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원부(162)는 적어도 하나의 재충전가능한(rechargeable) 또는 교체가능한(replaceable)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62)가 재충전가능한 배터리를 포함하는 경우, 전기신호 발생기(10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외부입력단자로 입력된 전력을 이용하여 전원부(162)의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통신부(163)는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통신부(163)는 적어도 하나의 유/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부(163)는 블루투스 방식을 사용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외부 장치는 전기신호 발생기(100)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모바일 폰(예컨대, 스마트 폰)일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63)를 통해 외부장치가 TENS 장치와 페어링될 수 있고, 통신 신호를 통해 전기신호 발생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신호는 블루투스 신호, 라디오 신호, 임의의 다른 유형의 신호일 수 있다.
저장부(164)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장부(164)는 미리 설정된 전기신호 발생기(100)의 동작 모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저장부(164)는 외부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전기신호 발생기(100)의 동작 모드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전기신호 발생기(100)의 동작 모드에 대한 정보를 새롭게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어부(165)는 전기신호 발생기(100)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165)는 상술한 각 구성(unit)들을 제어하며, 각 구성들간의 데이터 송신 및/또는 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어부(165)와 전기신호 발생기(100)를 동일시하여 설명할 수 있다.
전원버튼이 눌려진 경우, 제어부(165)는 전원부(162)를 통해 TENS 장치의 각 구성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5)는 제어버튼을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신호 발생부(161)를 통해 결정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전기자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동작 모드는 두드림 모드, 주무름 모드 및 강한 주무름 모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어부(165)는 전류의 세기 또는 주파수의 크기 등을 조절하여 각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전기자극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5)는 통신부(163)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TENS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5)는 인디케이터 라이트를 통해 TENS 장치의 동작 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면, 각 제어버튼이 눌려진 경우, 제어부(165)는 인디케이터 라이트의 노란색 LED를 밝힐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전원부(162)의 배터리 충전이 필요한 경우, 제어부(165)는 인디케이터 라이트의 붉은색 LED를 밝힐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5)는 인디케이터 라이트를 통해 각 상태에 따라 서로 상이한 색상의 LED를 밝힐 수 있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 도 4a는 일반적인 전극부(200)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내고, 도 4b는 그 전극부(200)의 각 구성을 나타낸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전극부(200)는 바디(210), 회로 기판(220), 전도성 연결부(230) 및 한 쌍의 전극(2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극부(200)는 전기신호 발생기(100) 및 전극부(200)가 접속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틀(frame)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틀은 크레들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틀은 환형 접점을 둘러쌀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술한 형태의 틀은 섬유강화플라스틱, 세라믹, 실리콘, 사파이어 글라스, 소다 유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b에서처럼, 상술한 틀은 테두리 구조를 갖는 상부 틀(250-1) 및 결합 수단으로서의 자석(10)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하부 틀(250-2)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디(210)는 실리콘 고무, 폴리우레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극부(200)가 구부러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다양한 굴곡을 갖는 부위에 전극부(200)를 부착할 수 있다. 회로 기판(220)은 환형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220)은 환영 접점이 형성된 PCB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환형 접점은 바디(210)의 중앙에 위치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는 도 6c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전도성 연결부(230)는 한 쌍의 환형 접점에 연결되어 각 전기자극 신호를 한 쌍의 전극(24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도성 연결부(230)는 전도성 시트, 전도성 직물, 전도성 잉크 인쇄 등일 수 있다.
전극(240)은 전기자극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극(240)은 전극부(200)가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도록 하는 전도성 하이드로겔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극(240)은 바디(210)의 하측(bottom side)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극부(200)는 다양한 의 크기(size) 및 모양(shape)의 전극(240)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모양의 전극(240)에 대하여는 도 6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러한 전극파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 수단을 통해 전기신호 발생기(100)와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극부(200)의 각 환형 접점과 전기신호 발생기(100)의 각 출력 단자가 접촉을 이룸으로써, 전극부(200)와 전기신호 발생기(1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기신호 발생기(100)에서 발생된 전기자극 신호가 전극부(20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환형 접점을 통해 전달된 각 전기자극 신호가 전도성 연결부(230)를 통해 한 쌍의 전극(24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기신호 발생기(100)에서 발생된 전기자극 신호가 전극부(200)의 전극(240)을 통해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 도 5a는 회로기판 형태의 전극부(300)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내고, 도 5b는 그 전극부(300)의 각 구성을 나타낸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전극부(300)는 회로 기판 형태의 바디(310) 및 한 쌍의 전극(3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극(320)에 대한 설명은 도 4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전극부(300)는, 전기신호 발생기(100) 및 전극부(200)가 접속된 상태에서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크레들 형태의 틀(frame)(33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5의 틀은 도 4의 틀과는 다르게 테두리 구조를 가지고, 결합 수단으로서의 자석(10)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홈을 포함하는 하나의 하부 틀(330) 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의 바디(310)는 도 4의 바디(210)와 달리, 바디(310) 전체가 하나의 회로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은 환형 접점이 형성된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회로 기판은 환형 접점이 중앙에 형성된 기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은 폴리이미드, 액정폴리머 필름, PET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로 기판은 플라즈마, 열증착된 금 등 전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4와 같이 별도의 전도성 연결부(230)가 없어도, 전기자극 신호를 환영 접접으로부터 전극(32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극부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는 다양한 크기, 모양 및 종류를 가질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전극부는 다양한 크기 및 모양을 갖는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a의 전극부(400)는 도 4 내지 도 5의 전극부(200,300)보다 더 큰 크기의 전극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6b의 전극부(400)는 도 4 내지 도 5의 전극부(200,300)와 상이한 모양의 전극을 가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 전극부를 부착하여, 사용자에게 전기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전극부는 유선 크래들 형태의 전극부(500)일 수 있다. 이 경우, 전극부(500)는 한 쌍의 환형 접점을 포함하는 크레들(510), 한 쌍의 전극(520) 및 크레들과 각 전극을 연결하는 연결 케이블(53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종래의 유선 케이블 형태의 전극에 본 명세서의 전기신호 발생기(100)를 접속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전극부(600)의 환형 접점(621)은 다양한 위치에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c의 전극부(600)의 환형 접점(621)은, 도 4 내지 도 5의 환형 접점과 달리, 바디의 위 표면의 일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도 6d에서와 같이, 전극부(600)의 바디를 용이하게 구부릴 수 있다. 따라서, 손목과 같이 위/아래로 전극 신호를 제공하여야 하는 경우, 이에 맞는 적절한 전기 자극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보다 다양한 부위에 전극부(600)를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TENS 장치를 실행하는 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TENS 장치 100: 전기신호 발생기
200: 전극부

Claims (16)

  1. 전기자극 신호를 발생하는 전기신호 발생기;
    상기 전기신호 발생기에서 발생된 상기 전기자극 신호를 전극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전극부; 및
    상기 전기신호 발생기와 상기 전극부 간의 탈착 또는 부착을 위한 결합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전극부는 상기 전기신호 발생기와 전기적인 연결을 이루기 위한 한 쌍의 환형 접점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환형 접점은 서로 상이한 반경을 갖는 환형 띠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전기신호 발생기는 발생된 전기자극 신호를 출력하는 한 쌍의 출력 단자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출력 단자의 각각은 상기 전기신호 발생기와 상기 전극부가 부착될 때 대응되는 환형 접점에 각각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TENS(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접점은 상기 전극부의 위 표면(upper surface)의 중앙에 위치하는, TENS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접점은 상기 전극부의 위 표면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TENS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수단은, 자성물질을 포함하는, TENS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 발생기는,
    하우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출력 단자는 상기 하우징의 아래 표면(lower surface)에 위치하는, TENS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 발생기는,
    상기 하우징의 일 측면에 위치하고, 외부 객체로부터 입력을 수신하는 외부입력단자를 더 포함하는, TENS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 발생기는,
    상기 전기자극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
    상기 전기신호 발생기의 각 유닛에 전력을 제공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기신호 발생기의 각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더 포함하는, TENS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 발생기는,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더 포함하는, TENS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신호 발생기는 재사용이 가능한(reusable), TENS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하측(bottom side)에 위치하고 상기 전기자극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한 쌍의 전극을 포함하는, TENS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환형 접점을 둘러싸는 틀(frame)을 더 포함하는, TENS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교체 가능한(replaceable), TENS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는,
    상기 한 쌍의 환형 접점이 형성된 회로 기판; 및
    상기 한 쌍의 환형 접점에 연결되어 각 전기자극 신호를 상기 한 쌍의 전극으로 전달하는 전도성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TENS 장치.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환형 접점이 형성된 회로 기판으로 구성되는, TENS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상기 전극부가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되도록 하는 전도성 하이드로겔 패드로 구성되는, TENS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패드는, 제거 가능하고(removable), 교체 가능한(replaceable), TENS 장치.
KR1020140078291A 2014-06-25 2014-06-25 Tens 장치 KR101669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291A KR101669181B1 (ko) 2014-06-25 2014-06-25 Tens 장치
JP2017520836A JP2017526496A (ja) 2014-06-25 2015-04-22 経皮的電気神経刺激(tens)装置
PCT/KR2015/003995 WO2015199327A1 (en) 2014-06-25 2015-04-22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apparatus
US15/321,669 US20170209693A1 (en) 2014-06-25 2015-04-22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apparatus
CN201580000252.7A CN105431197A (zh) 2014-06-25 2015-04-22 经皮电神经刺激(tens)设备
EP15811474.4A EP3160578A4 (en) 2014-06-25 2015-04-22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8291A KR101669181B1 (ko) 2014-06-25 2014-06-25 Tens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0726A KR20160000726A (ko) 2016-01-05
KR101669181B1 true KR101669181B1 (ko) 2016-10-25

Family

ID=54938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8291A KR101669181B1 (ko) 2014-06-25 2014-06-25 Tens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209693A1 (ko)
EP (1) EP3160578A4 (ko)
JP (1) JP2017526496A (ko)
KR (1) KR101669181B1 (ko)
CN (1) CN105431197A (ko)
WO (1) WO20151993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48090A2 (en) 2020-01-13 2021-07-14 Brainu Co., Ltd. Acupoint stimulation device and acupoint stimulation method u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9744B2 (en) 2011-11-15 2022-03-01 Neurometrix, Inc.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or with automatic detection of leg orientation and leg motion for enhanced sleep analysis, including enhance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using the same
US11247040B2 (en) 2011-11-15 2022-02-15 Neurometrix, Inc. Dynamic control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herapy using continuous sleep detection
WO2013074809A1 (en) 2011-11-15 2013-05-23 Neurometrix,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lieving pain using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US10112040B2 (en) 2011-11-15 2018-10-30 Neurometrix, Inc.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using novel unbalanced biphasic waveform and novel electrode arrangement
US10940311B2 (en) * 2013-03-29 2021-03-09 Neurometrix,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button-free control of a wearable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or using interactive gestures and other means
JP2016515428A (ja) 2013-03-29 2016-05-30 ニューロメトリックス・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極−皮膚インピーダンスを使用する皮膚電極剥離の検出
CN105431196B (zh) 2013-04-15 2019-02-01 Gsk消费者健康有限公司 具有用户睡眠—觉醒状态的自动检测的经皮电神经刺激器
JP2016523125A (ja) 2013-05-30 2016-08-08 グラハム エイチ. クリーシー 局所神経性刺激
US11229789B2 (en) 2013-05-30 2022-01-25 Neurostim Oab, Inc. Neuro activator with controller
USD810311S1 (en) * 2014-07-10 2018-02-13 Eric Ye Chen Butterfly-shaped stimulation system
US11077301B2 (en) 2015-02-21 2021-08-03 NeurostimOAB, Inc. Topical nerve stimulator and sensor for bladder control
JP6657683B2 (ja) * 2015-09-04 2020-03-04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低周波治療器、低周波治療器用のパッド部
JP6717087B2 (ja) * 2015-09-04 2020-07-01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低周波治療器、低周波治療器用の本体部、低周波治療器用のパッド、低周波治療器用のパッドとホルダの組み合わせ
JP6646887B2 (ja) * 2015-09-04 2020-02-14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低周波治療器及び低周波治療器用のパッド、低周波治療器用の本体部、低周波治療器用のホルダ、低周波治療器用のパッドとホルダの組み合わせ
JP2017189268A (ja) * 2016-04-12 2017-10-19 エレコム株式会社 低周波治療器
AU2017297399B2 (en) 2016-07-13 2020-04-09 GSK Consumer Healthcare S.A.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compensation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for temporal fluctuations such as circadian rhythms
EP3287997A1 (en) * 2016-08-26 2018-02-28 Therasolve NV Multiple use reminder patch
JP1587573S (ko) * 2016-11-28 2018-01-09
JP1587574S (ko) * 2016-11-28 2018-01-09
US11235142B2 (en) 2016-12-23 2022-02-01 Neurometrix, Inc. “Smart” electrode assembly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JP6733555B2 (ja) * 2017-01-04 2020-08-05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電気治療器、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10350412B2 (en) * 2017-03-21 2019-07-16 HaloStim, LLC Nerve stimulation system
US10434014B2 (en) * 2017-03-21 2019-10-08 HaloStim, LLC Treatment system
US11058877B2 (en) 2017-05-30 2021-07-13 Neurometrix,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automated control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based on current and forecasted weather conditions
USD837394S1 (en) * 2017-07-11 2019-01-01 Neurometrix, Inc.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device
USD857910S1 (en) 2017-09-21 2019-08-27 Neurometrix, Inc.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device
USD865986S1 (en) 2017-09-21 2019-11-05 Neurometrix, Inc.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device strap
JP1612991S (ko) 2017-10-03 2018-09-10
JP1612992S (ko) * 2017-10-03 2018-09-10
CN111601636A (zh) 2017-11-07 2020-08-28 Oab神经电疗科技公司 具有自适应电路的非侵入性神经激活器
USD834719S1 (en) * 2017-11-29 2018-11-27 Trevor James Theriot Muscle stimulator
CN110063713A (zh) * 2018-01-24 2019-07-30 伟伦公司 具有固定座和能可拆卸地附接于固定座上的设备模块的生理参数监测器
USD876371S1 (en) * 2018-02-02 2020-02-25 Sunbeam Products, Inc. Electric controller
CN108904977A (zh) * 2018-04-16 2018-11-30 宁波越凡医疗科技有限公司 输出电刺激脉冲的装置
JP1625637S (ko) 2018-04-26 2019-03-04
USD861903S1 (en) * 2018-05-15 2019-10-01 Neurometrix, Inc. Apparatus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IT201800008276A1 (it) * 2018-08-31 2020-03-02 Spes Medica Srl Elettrodo adesivo per la registrazione di segnali elettrici
USD875264S1 (en) * 2018-09-07 2020-02-11 D.K. Electronics, LLC Electric muscle stimulator
CA3115622A1 (en) * 2018-10-21 2020-04-30 Gerdcare Medical Ltd. Non-invasive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the digestive system and for synchronizing stimulation with breath
US11883661B2 (en) 2018-12-07 2024-01-30 Neurometrix, Inc. Intelligent determination of therapeutic stimulation intensity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KR20220025834A (ko) 2019-06-26 2022-03-03 뉴로스팀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적응적 회로를 갖는 비침습적 신경 활성화기
USD940890S1 (en) * 2019-11-06 2022-01-11 Neuvana,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7433855B2 (ja) * 2019-11-25 2024-02-20 ヤーマン株式会社 サポーター器具
USD942448S1 (en) * 2019-12-15 2022-02-01 Aloe Care Health, Inc. Internet of things hub
EP4017580A4 (en) * 2019-12-16 2023-09-06 Neurostim Technologies LLC NON-INVASIVE NERVE ACTIVATOR WITH AMPLIFIED CHARGE DISTRIBUTION
USD932034S1 (en) * 2020-03-31 2021-09-28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TENS or EMS device
USD934439S1 (en) * 2020-03-31 2021-10-26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TENS or EMS device
JP1681508S (ko) * 2020-08-06 2021-03-22
USD958381S1 (en) 2020-09-01 2022-07-19 Neurometrix, Inc.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device
CA210260S (en) * 2021-07-19 2022-11-30 Soranus Arge Ve Danismanlik Hzmetleri Sanayi Ticaret A S Neuromodulation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54335A1 (en) * 2004-02-12 2008-06-26 Ndi Medical, Llc Portable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functional or therapeutic neuromuscular stimulation
WO2013106644A1 (en) 2012-01-13 2013-07-18 Modular Therapeutx, Llc Portable tens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5955B1 (en) * 1999-07-08 2002-09-03 Stephen A. Michelson Miniature wireless transcutaneous electrical neuro or muscular-stimulation unit
WO2002074385A2 (en) * 2001-03-20 2002-09-26 Bruce R. Gilbert, M.D., Ph.D., P.C. Device for surface stimulation of acupuncture points
US20060190057A1 (en) * 2005-02-24 2006-08-24 Reese Edward W Synthetic traveling wave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device
US20070088419A1 (en) * 2005-10-13 2007-04-19 Fiorina Mark A Conductive pad assembly for electrical therapy device
US8386032B2 (en) * 2008-01-07 2013-02-26 Empi Inc. Systems and methods for therapeutic electrical stimulation
CN101390809B (zh) * 2008-10-31 2011-03-30 清华大学 单穴位电针装置
KR101152100B1 (ko) * 2010-03-11 2012-06-01 주식회사 오코웰 복부강화벨트
IN2013CN00310A (ko) * 2010-07-02 2015-07-03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KR200474627Y1 (ko) * 2012-04-24 2014-10-06 (주)메디룬 휴대용 생리통 완화기
KR101364598B1 (ko) 2013-06-14 2014-02-20 (주)인성정보 휴대용 저주파 생리통 완화장치 및 이의 작동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54335A1 (en) * 2004-02-12 2008-06-26 Ndi Medical, Llc Portable assemblie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functional or therapeutic neuromuscular stimulation
WO2013106644A1 (en) 2012-01-13 2013-07-18 Modular Therapeutx, Llc Portable tens apparatus and method of use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48090A2 (en) 2020-01-13 2021-07-14 Brainu Co., Ltd. Acupoint stimulation device and acupoint stimulation method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526496A (ja) 2017-09-14
CN105431197A (zh) 2016-03-23
EP3160578A1 (en) 2017-05-03
KR20160000726A (ko) 2016-01-05
WO2015199327A1 (en) 2015-12-30
US20170209693A1 (en) 2017-07-27
EP3160578A4 (en) 2018-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9181B1 (ko) Tens 장치
US10530179B2 (en) External controller for an implantable medical device system with an external charging coil powered by an external battery
CA3073407C (en) Wireless power supply and speed controller for tattoo machine
US10960205B2 (en) Electric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system
US11826567B2 (en) Electrical treatment device, control method, and treatment system
US11305117B2 (en)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program, and treatment system
KR20170108532A (ko) 스마트모바일(Smart Mobile)기를 이용한 블루투스 무선방식의 마스크 팩 이온토포레시스 장치.
US20190247647A1 (en) Electric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system
KR101669175B1 (ko) 자극기, 자극기의 제어 방법, 및 전기자극 장치
KR102130831B1 (ko) 의료용 또는 미용 성분을 피부에 주입하기 위한 이온도입 장치
TW201822834A (zh) 經皮電神經刺激設備
KR20100009567U (ko) 휴대용 저주파 치료기
CN114258314A (zh) 外听道光生物调节装置
KR20150002758U (ko) 휴대용단말기의 무선 충전장치를 구비한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보조배터리
US11331484B2 (en) Terminal device, treatment system, and program
JP2019062976A (ja) 低周波治療装置
CN214340183U (zh) 用于服装的智能穿戴设备及智能服装
KR20110037190A (ko) 촉각 자극기
CN110740777B (zh) 终端装置、治疗系统及程序
US20230139471A1 (en) Plug Element for a Remote-Controlled Massage Device
JP2019201990A (ja) 電気治療器、および治療システム
KR20160012824A (ko) 플랙시블배터리
JP2010218404A (ja) ワイヤレスマウ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