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741B1 -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741B1
KR101658741B1 KR1020150163822A KR20150163822A KR101658741B1 KR 101658741 B1 KR101658741 B1 KR 101658741B1 KR 1020150163822 A KR1020150163822 A KR 1020150163822A KR 20150163822 A KR20150163822 A KR 20150163822A KR 101658741 B1 KR101658741 B1 KR 101658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up
incremental
file
differential
m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승리
Original Assignee
(주)클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로닉스 filed Critical (주)클로닉스
Priority to KR1020150163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7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58Management of the backup or restore proce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48Management of the data involved in backup or backup resto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4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operation
    • G06F11/1402Saving, restoring, recovering or retrying
    • G06F11/1446Point-in-time backing up or restoration of persistent data
    • G06F11/1458Management of the backup or restore process
    • G06F11/1469Backup restoration techniques

Abstract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장치 및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체제 및 데이터의 최초 백업 이후 추가 또는 변경된 사항만을 백업하는 차등 백업과 마지막 백업 이후 추가 또는 변경된 사항만을 백업하는 증분 백업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장치 및 제어 방법{MIXING BACK UP AND RESTORATION DEVICE USING INCREMENTAL BACK UP AND DIFFERENTIAL BACK UP OF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체제 및 데이터의 최초 백업 이후 추가 또는 변경된 사항만을 백업하는 차등 백업과 마지막 백업 이후 추가 또는 변경된 사항만을 백업하는 증분 백업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장 장치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들의 사용할 수 있는 저장 장치가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HDD(Hard Disk Drive)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SSD(solid State Drive)로 세대교체가 되고 있다.
SSD는 쓰기/읽기속도가 매우 빠를 뿐만 아니라 작고 가벼운 장점이 있지만, HDD와 대비하여 작은 저장공간과 가격이 매우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SSD의 사용자는 작은 용량을 주로 구입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 작은 용량으로 운영체제 및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백업하기에는 부담이 생기기 마련이다.
이런 저장 장치의 발전과 함께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체제 및 데이터를 백업 및 복원하는 기술 또한 발전 되었고, 기술의 발전 이전에는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체제 및 데이터를 백업할 때마다 모두 백업하는 방식이었다.
종래의 백업 방식은 백업을 수행할 때마다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백업 데이터로 인해 이전 백업 데이터만큼 저장 공간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저장 공간의 낭비를 막고자 마지막 백업 이후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체제 및 데이터의 추가 또는 변경된 사항만 백업하는 증분 백업(incremental backup)과, 최초 백업 이후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체제 및 데이터의 추가 또는 변경된 사항만을 백업하는 차등 백업(differential back up)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상기 증분 백업은 전체 백업 후에 틀려진 부분을 순차적으로 백업하는 것으로 최초 백업 후 만들어지는 제 1 백업 데이터가 두 번째 백업 시에는 제외된 후 백업되고, 두 번째 백업 시 만들어지는 제 2 백업 데이터는 세 번째 백업 시에는 제외되고 백업됨으로써, 백업 파일의 용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증분 백업은 다수의 백업 시 백업 파일의 개수가 크게 증가함으로써, 백업 파일의 관리가 어렵고, 증가된 백업 파일의 개수로 인해 복원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증분 백업의 경우 복원하고자 하는 시점 이전에 백업 받은 파일을 모두 참고하므로 서로 유기적인 연관관계가 있어서, 백업 파일 중에 하나라도 손상되거나 유실된 경우에는 원하는 시점으로 복원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증분 백업은 백업 데이터 1(전체 백업), 백업 데이터 2(증분 백업), 백업 데이터 3(증분 백업), 백업 데이터 4(증분 백업)가 있는 경우, 예를 들면 백업 데이터 4로 복원하려는 경우에는 백업 데이터 1(전체 백업)과, 백업 데이터 2(증분 백업), 백업 데이터 3(증분 백업), 백업 데이터 4(증분 백업)중 1개의 백업 데이터라도 삭제되면 복원 자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단, 백업 데이터 3으로 복원시 백업 데이터 1(전체 백업), 백업 데이터 2(증분 백업), 백업 데이터 3(증분 백업)만 필요하고, 백업 데이터 2로 복원시 백업 데이터 1(전체 백업), 백업 데이터 2(증분 백업)만 필요하다.
상기 차등 백업은 최초 백업 후 만들어지는 제 1 백업 데이터가 두 번째 백업 시에는 제외된 후 백업되고, 세 번째 백업 시 최초 백업 후 만들어지는 제 1 백업 데이터가 제외되고 백업됨으로써, 최초의 전체 백업 이후의 모든 변경 사항을 백업하므로 전체 백업 파일과 차등 백업 파일 2개만 복원에 필요하므로 복원 시간이 빠른 장점이 있다.
즉 차등 백업은 백업 데이터 1(전체 백업), 백업 데이터 2(차등 백업), 백업 데이터 3(차등 백업), 백업 데이터 4(차등 백업)가 있는 경우, 사용자가 백업 데이터 4로 복원하려는 경우에는 백업 데이터 1(전체 백업)과 백업 데이터 4(차등 백업), 백업 데이터 3으로 복원 시 백업 데이터 1(전체 백업)과 백업 데이터 3(차등 백업), 백업 데이터 2로 복원시 백업 데이터 1(전체 백업)과 백업 데이터 2(차등 백업)만 있으면 복원이 가능하다.
그러나 차등 백업은 백업 파일의 용량이 증가하고, 증분 백업에 비해 백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백업 시스템은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체제 및 데이터를 증분 백업 또는 차등 백업을 받는 방식으로 고정되어 증분 백업 또는 차등 백업을 통해 백업을 수행한 경우 다른 백업 방식으로 변경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37746호(발명의 명칭: 데이터 백업 장치 및 방법)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체제 및 데이터의 최초 백업 이후 추가 또는 변경된 사항만을 백업하는 차등 백업과 마지막 백업 이후 추가 또는 변경된 사항만을 백업하는 증분 백업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체제 및 데이터 백업 시 낭비되는 시간과 공간을 최소화하고, 복원 시 하나의 백업 시점만 유실되더라도 최종 시점으로 복원할 수 없는 증분 백업의 한계를 극복한 혼합 백업과 복원 장치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백업 선택 정보에 따라 증분 백업 또는 차등 백업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고, 상기 증분 백업 또는 차등 백업의 진행시 최초 백업에서 생성된 마스터 백업 파일과 비교하며, 마스터 백업 파일의 MFT(Master File Table)를 이용한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과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을 비교하여 증분 슬레이브 백업 또는 차등 슬레이브 백업에 의한 증분 백업 파일 또는 차등 백업 파일이 생성 및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복원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증분 백업 파일 또는 차등 백업 파일을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백업 파일에 따라 증분 복원 또는 차등 복원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관리 모듈부; 및 상기 관리 모듈부에서 전체 백업, 증분 백업, 차등 백업으로 생성되는 파일들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관리 모듈부는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백업 선택 정보에 따라 증분 백업을 수행하여 증분 백업 파일을 생성하는 증분 백업부와, 차등 백업을 수행하여 차등 백업 파일을 생성하는 차등 백업부를 구비한 백업부; 및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복원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서 증분 백업 파일을 독출하여 증분 복원을 수행하는 증분 복원부와, 상기 저장부에서 차등 백업 파일을 독출하여 차등 복원을 수행하는 차등 복원부를 구비한 복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백업부는 전체 백업으로 생성한 마스터 백업 파일이 없으면 백업할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사용중인 섹터만을 백업하고, 상기 백업 파일 내에 백업 받는 디스크 또는 파티션에 대한 MFT(Master File Table)를 함께 백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운영체제 및 데이터의 백업 또는 복원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입력하면, 관리 모듈부가 운영체제 및 데이터의 백업인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판단결과, 운영체제 및 데이터 백업이면, 차등 백업 및 증분 백업 중 어느 하나인지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판단결과, 차등 백업이면, 상기 관리 모듈부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과 생성되는 백업 파일의 저장위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관리 모듈부가 차등 백업의 시작 전 최초 백업으로 생성한 마스터 백업 파일의 유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마스터 백업 파일이 있으면 확인된 마스터 백업 파일의 MFT(Master File Table)를 이용한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과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을 비교하여 차등 슬레이브 백업에 의한 차등 백업 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마스터 백업 파일이 없으면,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사용중인 섹터와, 백업 파일 내에 백업 받은 디스크 또는 파티션에 대한 MFT(Master File Table)를 함께 백업하여 마스터 백업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관리 모듈부는 차등 백업 파일의 생성 후 입력 인터페이스로 증분 백업이 입력되면, 마스터 백업 파일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마스터 백업 파일이 있으면, 상기 관리 모듈부는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마스터 백업 파일 이후로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 증분 슬레이브 백업을 수행하여 증분 백업 파일을 생성하고, 마스터 백업 파일이 없으면,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사용중인 섹터와 백업 파일 내에 백업 받은 디스크 또는 파티션에 대한 MFT를 함께 백업하여 마스터 백업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증분 슬레이브 백업은 마스터 백업 파일의 MFT를 이용한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과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을 비교하여 증분 슬레이브 백업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b)단계의 판단결과, c-1) 증분 백업이면, 상기 관리 모듈부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과 생성되는 백업 파일의 저장위치를 선택하는 단계; d-1) 상기 관리 모듈부가 증분 백업의 시작 전 최초 백업으로 생성한 마스터 백업 파일의 유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마스터 백업 파일이 있으면 상기 마스터 백업 파일의 MFT(Master File Table)를 이용한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과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을 비교한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의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및 e-1) 상기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의 유무 확인 결과, 상기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이 있으면 해당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 이후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을 비교한 증분 슬레이브 백업을 수행하여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이 없으면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마스터 백업 이후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을 백업하는 증분 슬레이브 백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마스터 백업 파일의 유무 확인 결과, 마스터 백업 파일이 없으면, 상기 관리 모듈부는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사용중인 섹터와 백업 파일 내에 백업 받은 디스크 또는 파티션에 대한 MFT를 함께 백업하여 마스터 백업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의 생성 후 입력 인터페이스로 차등 백업이 입력되면, 마스터 백업 파일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마스터 백업 파일이 있으면, 상기 관리 모듈부는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마스터 백업 파일 이후로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 차등 슬레이브 백업을 수행하여 차등 백업 파일을 생성하고, 마스터 백업 파일이 없으면,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사용중인 섹터와 백업 파일 내에 백업 받은 디스크 또는 파티션에 대한 MFT를 함께 백업하여 마스터 백업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차등 슬레이브 백업은 마스터 백업 파일의 MFT를 이용한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과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을 비교하여 차등 슬레이브 백업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a)단계의 판단결과, b-2) 운영체제 및 데이터의 백업 복원이면, 증분 백업 복원 및 차등 백업 복원 중 어느 하나인지 판단하는 단계; c-2) 상기 b-2)단계의 판단결과, 증분 백업 복원이면 상기 관리 모듈부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증분 백업 파일과, 복원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을 선택하는 단계; d-2) 상기 관리 모듈부가 마스터 백업 파일의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마스터 백업 파일이 있으면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의 유무를 확인하고, 상기 마스터 백업 파일이 없으면 복원 불가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e-2) 상기 d-2)단계에서,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이 있으면, 증분 복원을 수행하고, 상기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이 없으면, 복원 불가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c-2) 단계는 복원시 조각난 파일, 폴더, 운영체제 및 데이터 영역을 정리하는 조각 모음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b-2) 단계의 판단결과, c-3) 차등 백업 복원이면 상기 관리 모듈부(200)가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차등 백업 파일과, 복원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을 선택하는 단계; 및 d-3) 상기 관리 모듈부가 마스터 백업 파일의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마스터 백업 파일이 있으면 차등 복원을 수행하고, 상기 마스터 백업 파일이 없으면, 복원 불가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c-3) 단계는 복원시 조각난 파일, 폴더, 운영체제 및 데이터 영역을 정리하는 조각 모음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증분 백업을 수행하다가 백업 횟수가 증가하여 복원 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경우, 차등 백업을 수행하는 혼합 백업을 진행하여 저장장치의 효율적인 사용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백업 파일의 관리가 용이하고, 백업된 파일의 복원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증분 백업만 되었을 경우, 하나의 파일만 유실되더라도 유실된 파일의 시점 이후의 복원 이미지로는 복원을 수행할 수 없는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등 백업만 수행할 경우 저장 공간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도 1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장치의 백업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도 1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장치의 복원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 과정의 차등 백업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 는 도 4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차등 백업 후 증분 백업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 과정의 증분 백업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 은 도 6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 후 차등 백업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복원 과정에서 증분 백업의 복원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 는 도 8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복원 과정에서 차등 백업의 복원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장치 및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 과정의 차등 백업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장치는 입력 인터페이스(100)와, 관리 모듈부(200)와, 저장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관리 모듈부(200)는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백업 선택 정보에 따라 증분 백업 또는 차등 백업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고, 상기 수행된 백업에 따라 증분 백업 파일 또는 차등 백업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하도록 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복원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증분 백업 파일 또는 차등 백업 파일을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백업 파일에 따라 증분 복원 또는 차등 복원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백업부(210)와, 복원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백업부(210)는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백업 선택 정보에 따라 증분 백업을 수행하여 증분 백업 파일을 생성하는 증분 백업부(211)와, 차등 백업을 수행하여 차등 백업 파일을 생성하는 차등 백업부(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백업부(210)는 전체 백업으로 생성한 마스터 백업 파일이 없으면 백업할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사용중인 섹터만을 백업하고, 상기 백업 파일 내에 백업 받는 디스크 또는 파티션에 대한 MFT(Master File Table)를 함께 백업한다.
상기 복원부(220)는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복원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부(300)에서 증분 백업 파일을 독출하여 증분 복원을 수행하는 증분 복원부(221)와, 상기 저장부(300)에서 차등 백업 파일을 독출하여 차등 복원을 수행하는 차등 복원부(2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저장부(300)는 관리 모듈부(200)에서 전체 백업(또는 최초 백업), 증분 백업, 차등 백업으로 생성되는 백업 파일들을 저장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 과정의 차등 백업 방법을 도 1, 도 4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운영체제 및 데이터의 백업 또는 복원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입력하면, 관리 모듈부(200)는 운영체제 및 데이터의 백업인지 운영체제 및 데이터의 복원인지 여부를 판단(S100)하고, 상기 S100 단계의 판단결과, 운영체제 및 데이터 백업이면 차등 백업인지 증분 백업인지 여부를 판단(S110)한다.
상기 S110 단계의 판단결과, 차등 백업이면, 상기 관리 모듈부(200)가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입력되는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 정보를 검출하여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을 선택(S120)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백업으로 생성되는 백업 파일의 저장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저장부(300)의 임의의 저장위치를 선택(S130)한다.
상기 S120 및 S130 단계를 수행한 다음 상기 관리 모듈부(200)는 차등 백업의 시작 전 저장부(300)에 마스터 백업 파일의 존재 유무를 확인(S140)한다.
상기 S140 단계의 확인 결과, 마스터 백업 파일이 있으면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마스터 백업 파일 이후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 백업하는 차등 슬레이브 백업을 수행하여 차등 백업 파일을 생성(S150)한다.
또한, 상기 S140 단계의 확인 결과, 마스터 백업 파일이 없으면, 마스터 백업 파일을 생성(S151)하고, 상기 S151 단계에서 마스터 백업 파일을 생성하는 경우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사용중인 섹터만 백업을 수행하며, 백업 파일 내에 백업 받은 디스크 또는 파티션에 대한 MFT(Master File Table)를 함께 백업한다.
상기 S150 단계 및 S151 단계의 차등 백업 과정을 통해 차등 백업 파일을 생성한 다음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차등 백업을 입력하면 상기한 S120 단계 내지 S150 단계의 차등 백업 과정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증분 백업의 진행을 입력(S200)하면, 관리 모듈부(200)는 마스터 백업 파일의 존재 유무를 판단(S210)한다.
상기 S210 단계의 판단결과, 마스터 백업 파일이 있으면, 관리 모듈부(200)는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마스터 백업 파일 이후로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 증분 슬레이브 백업을 수행하여 증분 백업 파일을 생성(S220)한다.
또한, 상기 S220 단계의 증분 슬레이브 백업은 차등 백업을 진행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마스터 백업 파일의 MFT를 이용한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과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을 비교하여 증분 슬레이브 백업이 진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S210 단계의 판단결과, 마스터 백업 파일이 없으면, 관리 모듈부(200)는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사용중인 섹터만을 백업하고, 백업 파일 내에 백업 받은 디스크 또는 파티션에 대한 MFT를 동시에 백업하여 마스터 백업 파일을 생성(S221)한다.
상기 마스터 백업, 차등 백업, 증분 백업은 사용중인 섹터를 압축 및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백업된다.
또한, 상기 마스터 백업 파일의 백업시 파티션에서 현재 사용중인 섹터만을 백업하고, 이후 차등/증분 백업시에 상기 마스터 백업 파일과 현재 사용중인 섹터를 비교하여 추가 및 변경사항만을 백업한다.
또한, 비교 대상 시스템 파일(예를 들면, 40만개 ~ 50만개) 중에서 변경되는 일부 시스템 파일(예를 들면, 비교 대상 시스템 파일의 10% ~ 15%)만 비교하여 백업함으로써, 백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백업이 필요없지만 많은 저장용량을 요구하는 특정 파일(예를 들면, hiberfil.sys, pagefile.sys 파일 등)들은 백업에서 제외한다.
한편, 상기 S110 단계의 판단결과, 증분 백업이면 상기 관리 모듈부(200)가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입력되는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 정보를 검출하여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을 선택(S300)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백업으로 생성되는 백업 파일의 저장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저장부(300)의 임의의 저장위치를 선택(S310)한다.
상기 관리 모듈부(200)가 증분 백업의 시작 전 마스터 백업 파일의 존재 유무를 확인(S320)하고, 상기 S320 단계의 확인 결과, 마스터 백업 파일이 있으면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의 유무를 확인(S330)한다.
상기 S330 단계의 확인결과,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이 있으면 관리 모듈부(2000는 해당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 이후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을 비교하여 증분 슬레이브 백업을 수행(S340)함으로써,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을 생성한다.
상기 S330 단계의 확인결과,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이 없으면 관리 모듈부(200)는 증분 슬레이브 백업을 수행(S331)하고, 이때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마스터 백업 이후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을 백업하는 증분 슬레이브 백업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S331 단계의 증분 슬레이브 백업은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을 확인하기 위해 마스터 백업 파일의 MFT를 이용하여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과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을 비교하여 증분 슬레이브 백업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S320 단계의 확인결과, 마스터 백업 파일이 없으면, 관리 모듈부(200)는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사용중인 섹터만을 백업하고, 백업 파일 내에 백업 받은 디스크 또는 파티션에 대한 MFT를 함께 백업하여 마스터 백업 파일을 생성하는 마스터 백업을 수행(S321)하여 마스터 백업 파일을 생성한다.
상기 S331 단계 및 S340 단계의 증분 백업을 통해 증분 백업 파일을 생성한 다음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증분 백업을 입력하면 상기한 S320 단계 내지 S340 단계의 증분 백업 과정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차등 백업의 진행을 입력(S400)하면, 관리 모듈부(200)는 마스터 백업 파일의 존재 유무를 판단(S410)한다.
상기 S410 단계의 판단결과, 마스터 백업 파일이 있으면, 관리 모듈부(200)는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마스터 백업 파일 이후로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 차등 슬레이브 백업을 수행(S420)하여 차등 백업 파일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S420 단계의 차등 슬레이브 백업은 증분 백업을 진행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마스터 백업 파일의 MFT를 이용하여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과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을 비교하여 차등 슬레이브 백업을 진행한다.
또한, 상기 S410 단계의 판단결과, 마스터 백업 파일이 없으면, 관리 모듈부(200)는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사용중인 섹터만을 백업하고, 백업 파일 내에 백업 받은 디스크 또는 파티션에 대한 MFT를 함께 백업하여 마스터 백업 파일을 생성하는 마스터 백업을 수행(S421)한다.
또한, 상기 마스터 백업 파일의 백업시 파티션에서 현재 사용중인 섹터만을 백업하고, 이후 차등/증분 백업시에 상기 마스터 백업 파일과 현재 사용중인 섹터를 비교하여 추가 및 변경사항만을 백업한다.
또한, 비교 대상 시스템 파일(예를 들면, 40만개 ~ 50만개) 중에서 변경되는 일부 시스템 파일(예를 들면, 비교 대상 시스템 파일의 10% ~ 15%)만 비교하여 백업함으로써, 백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백업이 필요없지만 많은 저장용량을 요구하는 특정 파일(예를 들면, hiberfil.sys, pagefile.sys 파일 등)들은 백업에서 제외한다.
한편, 상기 S100 단계의 판단결과, 운영체제 및 데이터의 백업 복원이면 관리 모듈부(200)는 증분 백업 복원인지 차등 백업 복원인지 여부를 판단(S500)한다.
상기 S500 단계의 판단결과, 증분 백업 복원이면 관리 모듈부(200)가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통해 저장부(300)에서 증분 백업 파일을 선택(S510)하고, 복원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을 선택(S520)한다.
상기 관리 모듈부(200)는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복원시에 조각난 파일, 폴더, 운영체제 및 데이터 영역을 정리하는 조각 모음의 수행 여부를 확인(S530)하고, 확인결과에 따라 조각 모음이 실행(S540)되도록 하여 더 작은 용량의 복원이 가능할 수있게 한다.
즉 상기 S540 단계의 조각 모음을 통해 원본 디스크 또는 파티션보다 더 작은 디스크 또는 파티션으로의 복원이 가능하여 복원 이후 디스크의 읽기/쓰기 속도를 향상시켜 컴퓨터 시스템의 성능이 개선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S520 단계 또는 S540 단계를 수행한 다음, 관리 모듈부(200)는 저장부(300)를 검색하여 증분 복원을 위한 마스터 백업 파일이 저장부(300)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S550)한다.
상기 S550 단계의 확인결과, 마스터 백업 파일이 있으면 관리 모듈부(200)는 저장부(300)에서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S560)하고, 상기 마스터 백업 파일이 없으면 복원 불가 처리를 수행(S551)한다.
또한, 상기 S560 단계의 확인결과,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이 있으면, 증분 복원을 수행(S570)하고, 상기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이 없으면, 복원 불가 처리를 수행(S561)한다.
상기 S570 단계의 증분 복원은 마스터 백업 파일 먼저 복원을 수행하고, 선택한 증분 복원 시점 전 모든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을 순서대로 복원하며, 마지막에 선택한 증분 복원 시점으로 증분 복원이 진행된다.
한편, 상기 S500 단계의 판단결과, 차등 백업 복원이면 관리 모듈부(200)는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입력되는 정보를 통해 저장부(300)에서 차등 백업 파일을 선택(S600)하고, 복원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을 선택(S610)한다.
상기 관리 모듈부(200)는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복원시에 조각난 파일, 폴더, 운영체제 및 데이터 영역을 정리하는 조각 모음의 수행 여부를 확인(S620)하고, 확인결과에 따라 조각 모음이 실행(S630)되도록 하여 더 작은 용량의 복원이 가능할 수있게 한다.
상기 S610 단계 또는 S630 단계를 수행한 다음, 관리 모듈부(200)는 저장부(300)를 검색하여 차등 복원을 위한 마스터 백업 파일이 저장부(300)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S640)한다.
상기 S640 단계의 확인결과, 마스터 백업 파일이 있으면 관리 모듈부(200)는 차등 복원을 수행(S650)하고, 상기 마스터 백업 파일이 없으면, 복원 불가 처리를 수행(S651)한다.
상기 S650 단계의 차등 복원은 마스터 파일이 먼저 복원되도록 하고, 선택한 차등 복원 시점으로 복원이 진행된다.
따라서 증분 백업을 수행하다가 백업 횟수가 증가하여 복원 시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경우, 차등 백업을 수행하는 혼합 백업을 진행하여 저장장치의 효율적인 사용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백업 파일의 관리가 용이하고, 백업된 파일의 복원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입력 인터페이스부
200 : 관리 모듈부
210 : 백업부
211 : 증분 백업부
212 : 차등 백업부
220 : 복원부
221 : 증분 복원부
222 : 차등 복원부
300 : 저장부

Claims (15)

  1.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백업 선택 정보에 따라 증분 백업 또는 차등 백업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고, 상기 증분 백업 또는 차등 백업의 진행시 최초 백업에서 생성된 마스터 백업 파일과 비교하며, 마스터 백업 파일의 MFT(Master File Table)를 이용한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과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을 비교하여 증분 슬레이브 백업 또는 차등 슬레이브 백업에 의한 증분 백업 파일 또는 차등 백업 파일이 생성 및 저장되도록 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복원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증분 백업 파일 또는 차등 백업 파일을 독출하고, 상기 독출된 백업 파일에 따라 증분 복원 또는 차등 복원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관리 모듈부(200); 및
    상기 관리 모듈부(200)에서 전체 백업, 증분 백업, 차등 백업으로 생성되는 파일들을 저장하는 저장부(300)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모듈부(200)는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백업 선택 정보에 따라 증분 백업을 수행하여 증분 백업 파일을 생성하는 증분 백업부(211)와, 차등 백업을 수행하여 차등 백업 파일을 생성하는 차등 백업부(212)를 구비한 백업부(210); 및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복원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저장부(300)에서 증분 백업 파일을 독출하여 증분 복원을 수행하는 증분 복원부(221)와, 상기 저장부(300)에서 차등 백업 파일을 독출하여 차등 복원을 수행하는 차등 복원부(222)를 구비한 복원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부(210)는 전체 백업으로 생성한 마스터 백업 파일이 없으면 백업할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사용중인 섹터만을 백업하고, 상기 백업 파일 내에 백업 받는 디스크 또는 파티션에 대한 MFT(Master File Table)를 함께 백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장치.
  4. a) 사용자가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운영체제 및 데이터의 백업 또는 복원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을 입력하면, 관리 모듈부(200)가 운영체제 및 데이터의 백업인지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판단결과, 운영체제 및 데이터의 백업이면, 차등 백업 및 증분 백업 중 어느 하나인지 판단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판단결과, 차등 백업이면, 상기 관리 모듈부(200)가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입력되는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과 생성되는 백업 파일의 저장위치를 선택하는 단계; 및
    d) 상기 관리 모듈부(200)가 차등 백업의 시작 전 최초 백업으로 생성한 마스터 백업 파일의 유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마스터 백업 파일이 있으면 확인된 마스터 백업 파일의 MFT(Master File Table)를 이용한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과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을 비교하여 차등 슬레이브 백업에 의한 차등 백업 파일을 생성하며, 상기 마스터 백업 파일이 없으면,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사용중인 섹터와, 백업 파일 내에 백업 받은 디스크 또는 파티션에 대한 MFT(Master File Table)를 함께 백업하여 마스터 백업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모듈부(200)는 차등 백업 파일의 생성 후 입력 인터페이스(100)로 증분 백업이 입력되면, 마스터 백업 파일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마스터 백업 파일이 있으면, 상기 관리 모듈부(200)는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마스터 백업 파일 이후로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 증분 슬레이브 백업을 수행하여 증분 백업 파일을 생성하고, 마스터 백업 파일이 없으면,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사용중인 섹터와 백업 파일 내에 백업 받은 디스크 또는 파티션에 대한 MFT를 함께 백업하여 마스터 백업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증분 슬레이브 백업은 마스터 백업 파일의 MFT를 이용한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과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을 비교하여 증분 슬레이브 백업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c-1) 상기 b)단계의 판단결과, 증분 백업이면, 상기 관리 모듈부(200)가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입력되는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과 생성되는 백업 파일의 저장위치를 선택하는 단계;
    d-1) 상기 관리 모듈부(200)가 증분 백업의 시작 전 최초 백업으로 생성한 마스터 백업 파일의 유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마스터 백업 파일이 있으면 상기 마스터 백업 파일의 MFT(Master File Table)를 이용한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과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을 비교한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의 유무를 확인하는 단계; 및
    e-1) 상기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의 유무 확인 결과, 상기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이 있으면 해당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 이후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을 비교한 증분 슬레이브 백업을 수행하여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을 생성하고, 상기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이 없으면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마스터 백업 이후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을 백업하는 증분 슬레이브 백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방법.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백업 파일의 유무 확인 결과, 마스터 백업 파일이 없으면, 상기 관리 모듈부(200)는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사용중인 섹터와 백업 파일 내에 백업 받은 디스크 또는 파티션에 대한 MFT를 함께 백업하여 마스터 백업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의 생성 후 입력 인터페이스(100)로 차등 백업이 입력되면, 마스터 백업 파일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 마스터 백업 파일이 있으면, 상기 관리 모듈부(200)는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마스터 백업 파일 이후로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 차등 슬레이브 백업을 수행하여 차등 백업 파일을 생성하고, 마스터 백업 파일이 없으면,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의 사용중인 섹터와 백업 파일 내에 백업 받은 디스크 또는 파티션에 대한 MFT를 함께 백업하여 마스터 백업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등 슬레이브 백업은 마스터 백업 파일의 MFT를 이용한 백업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과 변경 또는 추가된 사항만을 비교하여 차등 슬레이브 백업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방법.
  12. 제 4 항에 있어서,
    b-2) 상기 a)단계의 판단결과, 운영체제 및 데이터의 복원이면, 증분 백업 복원 및 차등 백업 복원 중 어느 하나인지 판단하는 단계;
    c-2) 상기 b-2)단계의 판단결과, 증분 백업 복원이면 상기 관리 모듈부(200)가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입력되는 증분 백업 파일과, 복원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을 선택하는 단계;
    d-2) 상기 관리 모듈부(200)가 마스터 백업 파일의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마스터 백업 파일이 있으면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의 유무를 확인하고, 상기 마스터 백업 파일이 없으면 복원 불가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e-2) 상기 d-2)단계에서,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이 있으면, 증분 복원을 수행하고, 상기 증분 슬레이브 백업 파일이 없으면, 복원 불가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c-2)단계는 복원시 조각난 파일, 폴더, 운영체제 및 데이터 영역을 정리하는 조각 모음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c-3) 상기 b-2)단계의 판단결과, 차등 백업 복원이면 상기 관리 모듈부(200)가 입력 인터페이스(100)를 통해 입력되는 차등 백업 파일과, 복원 대상 디스크 또는 파티션을 선택하는 단계; 및
    d-3) 상기 관리 모듈부(200)가 마스터 백업 파일의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마스터 백업 파일이 있으면 차등 복원을 수행하고, 상기 마스터 백업 파일이 없으면, 복원 불가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c-3)단계는 복원시 조각난 파일, 폴더, 운영체제 및 데이터 영역을 정리하는 조각 모음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방법.
KR1020150163822A 2015-11-23 2015-11-23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658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822A KR101658741B1 (ko) 2015-11-23 2015-11-23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장치 및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822A KR101658741B1 (ko) 2015-11-23 2015-11-23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장치 및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741B1 true KR101658741B1 (ko) 2016-09-21

Family

ID=57080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822A KR101658741B1 (ko) 2015-11-23 2015-11-23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7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480A (ko) * 2019-11-05 2021-05-13 주식회사 테라텍 대규모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자율 운영을 위한 백업 복구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0742A (ko) * 2004-09-22 2006-05-19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합성 백업 및 복구에 대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20089572A1 (en) * 2010-10-06 2012-04-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and self-adjusting data protection driven by business and data activity events
JP2012146301A (ja) * 2011-01-07 2012-08-02 Symantec Corp 増分sqlサーバデータベースバックアップを実行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1237746B1 (ko) 2010-10-22 2013-02-28 매크로임팩트 주식회사 데이터 백업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0742A (ko) * 2004-09-22 2006-05-19 마이크로소프트 코포레이션 합성 백업 및 복구에 대한 방법 및 시스템
US20120089572A1 (en) * 2010-10-06 2012-04-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and self-adjusting data protection driven by business and data activity events
KR101237746B1 (ko) 2010-10-22 2013-02-28 매크로임팩트 주식회사 데이터 백업 장치 및 방법
JP2012146301A (ja) * 2011-01-07 2012-08-02 Symantec Corp 増分sqlサーバデータベースバックアップを実行する方法およびシステ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54480A (ko) * 2019-11-05 2021-05-13 주식회사 테라텍 대규모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자율 운영을 위한 백업 복구 방법
KR102415027B1 (ko) 2019-11-05 2022-07-01 주식회사 테라텍 대규모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 자율 운영을 위한 백업 복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9018B2 (en) Data backup using metadata mapping
JP5646639B2 (ja) メタデータ仮想ハードドライブおよび差分仮想ハードドライブを使用するバックアップ
US9514138B1 (en) Using read signature command in file system to backup data
US8510279B1 (en) Using read signature command in file system to backup data
US20120084272A1 (en) File system support for inert files
JP4304194B2 (ja) ファイルシステム管理装置及び方法
US20100070724A1 (en)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storage system
CN102057351A (zh) 将动画效果从源对象复制到至少一个目标对象
JP2011191933A (ja) ストレージ装置、ストレージ装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ストレージ装置制御方法
US20130282676A1 (en) Garbage collection-driven block thinning
KR101631039B1 (ko) 컴퓨터 시스템의 운영체제 및 데이터 중 불필요한 파일은 제외하는 마이그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US20090282195A1 (en) Method of managing memory storage space and a computer system
US11880284B2 (en) Storage restore system, storage restore method, and storage medium
US201201854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dress book restoration
KR101658741B1 (ko) 컴퓨터 시스템의 증분 백업과 차등 백업을 이용한 혼합 백업과 복원 장치 및 제어 방법
CN103530144A (zh) 一种从遗留系统生成虚拟机镜像的方法
JP2017531892A (ja) ブロックレベル記憶デバイスのスナップショットを実行するための改善された装置および方法
WO2016080949A1 (en) Snapshot backup
CN112231288A (zh) 日志存储方法和装置、介质
CN101788934A (zh) 逻辑卷管理器的数据操作方法
US20190065067A1 (en) Backup files to a disk image
US10936550B2 (en) Synchronizing different representations of content
JP2009163334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バックアップ方法
JP4550869B2 (ja) データ同期システム及びデータ同期プログラム
JP4765968B2 (ja) ファイル管理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