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804B1 - Image Display Device with 3D-Thumbnail and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 Google Patents

Image Display Device with 3D-Thumbnail and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804B1
KR101655804B1 KR1020100003896A KR20100003896A KR101655804B1 KR 101655804 B1 KR101655804 B1 KR 101655804B1 KR 1020100003896 A KR1020100003896 A KR 1020100003896A KR 20100003896 A KR20100003896 A KR 20100003896A KR 101655804 B1 KR101655804 B1 KR 101655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umbnail
image
input
unit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38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83914A (en
Inventor
김호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3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804B1/en
Publication of KR201100839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39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80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3D 썸네일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는 적어도 일부가 저장부에 저장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재생하고 있는 동영상의 여러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을 썸네일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썸네일은 3D 오브젝트로 표시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선택명령이 입력된 3D 썸네일에 대응하는 재생시점부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3D thumbnail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apable of reproducing a moving image stored at least in part in a storage unit. The video display device can display an imag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reproduction times of a moving image being reproduced by using a thumbnail. Thumbnails can be displayed as 3D objects. The video display apparatus can reproduce the moving picture from the reproduction time point corresponding to the 3D thumbnail to which the selection command is input.

Description

3D 썸네일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Image Display Device with 3D-Thumbnail and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3D thumbnail and an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3D 썸네일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입체효과가 적용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 3D thumbnail and an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display a screen to which a stereoscopic effect is applied so that a user can feel a stereoscopic effect.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A video display device is a device having a function of displaying an image that a user can view. The user can view the broadcast through the video display device. A video display device displays a broadcast selected by a user among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from a broadcast station on a display. Currently, broadcasting is changing from analog broadcasting to digital broadcasting around the world.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오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Digital broadcasting refers to broadcasting in which digital video and audio signals are transmitted. Compared to analog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is strong against noise and has low data loss, is advantageous for error correction, has high resolution, and provides a clear screen. Also, unlike analog broadcasting, digital broadcasting is capable of bidirectional service.

또한 최근에는 입체 영상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컴퓨터 그래픽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다양한 환경 및 기술에서도 입체 영상 기술이 점점 더 보편화되고 실용화되고 있다. 또한 상술한 디지털 방송에서도 입체 영상을 송신할 수 있으며, 이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개발 역시 진행 중에 있다.In addition, various studies on stereoscopic images have been conducted recently, and stereoscopic image technology has become more common and practical in various other environments and technologies as well as computer graphics. Also, the stereoscopic image can be transmitted in the digital broadcasting described above, and a device for reproducing the stereoscopic image is also under developme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입체 효과가 적용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체효과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를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입체효과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that can display an image to which a stereoscopic effect is applied so that a user can feel a stereoscopic effect.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ser interface that can be applied to an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stereoscopic effect image so that a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imag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the stereoscopic effect imag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썸네일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제어방법은, 적어도 일부가 저장부에 저장된 동영상(motion picture)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image)을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영상신호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영상으로 이루어진 3D 썸네일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3D 썸네일의 선택명령 입력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3D 썸네일의 선택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입력된 선택명령에 의하여 선택된 3D 썸네일을 이루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3D thumbnails, the method comprising: displaying a motion picture at least partially stored in a storage unit on a display unit; Extrac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reproduction time point of the moving picture from an image signal constituting the moving picture; Displaying a 3D thumbnail made up of the extracted image on the display unit; Determining whether a selection command of the 3D thumbnail is input; And enlarging and displaying an image constituting a 3D thumbnail selected by the input selection command on the display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lection command of the 3D thumbnail is input.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D 썸네일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는, 동영상의 적어도 일부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적어도 일부가 저장된 동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동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영상신호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영상으로 이루어진 3D 썸네일을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3D 썸네일의 선택명령 입력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3D 썸네일의 선택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입력된 선택명령에 의하여 선택된 3D 썸네일을 이루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 3D thumbnail, the apparatus comprising: a storage unit storing at least a portion of a moving image; A display unit displaying a moving image stored at least in part in the storage unit; Extrac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reproduction time point of the moving image from an image signal constituting the moving image and processing the image signal outputted to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display unit displays a 3D thumbnail composed of the extracted image, A 3D thumbnail selection command is inputted;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election command of the 3D thumbnail is input, a video signal outputted to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display unit displays an image constituting a 3D thumbnail selected by the input selection command And a control unit for processing the image data.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 시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입체효과가 적용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에 저장된 동영상의 여러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의 썸네일을 3D 오브젝트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3D 썸네일을 이용하여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선택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선택명령이 입력된 3D 썸네일에 대응하는 재생 시점부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display apparatus can display an image to which a stereoscopic effect is applied so that a user can feel a stereoscopic effect at the time of viewing. In addition, a thumbnail of an image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reproduction times of a moving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can be displayed using a 3D object. The user can select the playback point of the moving image using the 3D thumbnail. The video display apparatus can reproduce the moving picture from the reproduction time point corresponding to the 3D thumbnail to which the selection command is inpu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와 원격제어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제어방법의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제어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xternal appearance of a video display apparatus and a remote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flowcharts showing a flow of a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9 are diagrams referred to the explanation of a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Accordingly, the terms "module" and "part" may be used interchangeabl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국, 외부 통신기기 또는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mmunicate with a broadcasting station,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or an external device.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국에서 전송하는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출력하기에 적합하도록 처리(process)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처리한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 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receive a broadcasting signal including a video signal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process a video signal, a voice signal, or a data signal included in the broadcast signal so as to be suitable for output from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output an image or sound based on the processed image signal.

영상표시장치(100)는 외부 통신기기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 통신기기는 임의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예로 외부 통신기기는 유선 또는 무선 기지국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연결될 수 있는 전화기일 수 있다. 또한, 외부 통신기기는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서버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는 네트워크 서버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is a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via an arbitrary network. For example,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may be a telephone that can be connecte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base station. Also, the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may be a network server capable of providing contents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Internet network. The content provider can provide the conten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using the network server.

영상표시장치(100)는 외부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외부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직접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예로 외부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미디어 저장 또는 재생장치일 수 있다. 즉, 외부장치는 카메라, DVD 또는 블루레이 플레이어, 퍼스널 컴퓨터 등일 수 있다.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apparatus. The external device is a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 receiving signals directly to / from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by wire or wireless. For example,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media storage or playback device used by a user. That is, the external device may be a camera, a DVD or Blu-ray player, a personal computer, or the like.

방송국, 외부 통신기기, 외부장치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영상신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국, 외부 통신기기에서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는 신호를 외부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에서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는 신호를 방송국 또는 외부 통신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국, 외부 통신기기 및 외부장치에서 전송하는 신호에 포함되는 컨텐츠를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직접 재생하는 외에도 전달할 수 있다.
A broadcasting station,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and an external device can transmit a signal including a video signal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display an image based on a video signal included in an input signal. Als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transmit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ing station or the external communication apparatus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o an external apparatus. In addition, a signal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an be transmitted to a broadcasting station or an external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the video display apparatus 100 can transmit content included in a signal transmitted from a broadcasting station, an external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n external apparatus, in addition to directly reproducing the content from the video display apparatus 100.

< 도 1 설명><Description of FIG. 1>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1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신호 수신부(1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 외부장치 입출력부(130),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 저장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음향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1, an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oadcast signal receiving unit 110, a network interface unit 120, an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a remote control device interface unit 140 A storage unit 150, a control unit 170, a display 180, and an audio output unit 185. [0027]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수신된 RF 방송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7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broadcast signal receiving unit 110 may receive an RF broadcast signal corresponding to a channel selected by the user or all pre-stored channels among RF (Radio Frequency) broadcast signal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The broadcast signal receiving unit 110 converts the received RF broadcast signal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 baseband image or a voice signal, and outputs the converted signal to the controller 170.

또한,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수신되는 RF 방송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80)에 방송 채널에 해당하는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포함하는 썸네일 목록을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방송신호 수신부(110)는 선택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주기적으로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10 may receive an RF broadcast signal of a single carrier according to an 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ATSC) scheme or an RF broadcast signal of a plurality of carriers according to a DVB (Digital Video Broadcasting) scheme. The broadcast signal receiving unit 110 sequentially selects RF broadcast signals of all broadcast channels stored through the channel memory function among the received RF broadcast signals, and converts the RF broadcast signals into an intermediate frequency signal, a baseband image, or a voice signal. This is to show a thumbnail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thumbnail images corresponding to broadcast channels on the display unit 180. [ Therefore, the broadcast signal receiving unit 110 can receive the RF broadcast signals of the selected channel or all the stored channels sequentially / periodically.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The network interface unit 120 provides an interface for connecting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o a wired / wireless network including the Internet network.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영상표시장치(100)를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network interface unit 12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lessly connecting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o the Internet.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할 수 있다.The network interface unit 120 may receive content or data provided by a content provider or a network operator through a network. That is, it is possible to receive contents such as broadcasts, games, VOD, broadcasting signals, and the related information provided from a contents provider through a network. In addition, the update information and the update file of the firmware provided by the network operator can be received.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영상 또는 음성 통화를 할 수 있는 통신망과 연결될 수 있다. 통신망은 LAN을 통하여 연결되는 방송형 통신망, 공중전화망,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network interface unit 120 may b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capable of video or voice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may mean a broadcasting communication network, a public telephone network,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tc. connected through a LAN.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외부장치와 영상표시장치(1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A/V 입출력부 또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can connect the external device and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To this end, the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may include an A / V input / output unit or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다.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연결된 외부장치를 통하여 외부에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연결된 외부 장치로 출력할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such as a DVD (Digital Versatile Disk), a Blu ray, a game device, a camera, a camcorder, a computer (notebook) The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transmits external video, audio, or data signals to the controller 170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rough a connected external device. Also, the control unit 170 can output the processed video, audio, or data signal to the connected external device.

A/V 입출력부는, 외부장치의 영상 및 음성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이더넷(Ethernet)단자,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 / V input / output unit includes an Ethernet terminal, a USB terminal, a CVBS (Composite Video Banking Sync) terminal, a component terminal, and an S-Video (Digital Visual Interface) terminal, an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terminal, an RGB terminal, a D-SUB terminal, and the like.

또한, 무선 통신부는, 다른 외부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외부장치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Furth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other external device.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 communication standard such as Bluetooth, a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an UWB (Ultra Wideband), a ZigBee, Can be connected.

또한,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lso, the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various set-top boxes via at least one of the various terminals described above to perform input / output operations with the set-top box.

예를 들어, 셋탑 박스가 IP(internet Protocol) TV용 셋탑 박스인 경우,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 TV용 셋탑 박스에서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 TV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t-top box is a set-top box for an IP (Internet Protocol) TV, the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transmits video, audio, or data signals processed in the IP TV set- 170).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can transmit the processed signals to the IP TV set-top box.

한편, 상술한 IPTV는, 전송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ADSL-TV, VDSL-TV, FTTH-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으며, TV over DSL, Video over DSL, TV overIP(TVIP), Broadband TV(BTV) 등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IPTV는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인터넷 TV, 풀브라우징 TV를 포함하는 의미일 수도 있다.Meanwhile, the IPTV may include ADSL-TV, VDSL-TV, FTTH-TV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transmission network. The IPTV may include a TV over DSL, a video over DSL, a TV over IP BTV), and the like. In addition, IPTV may also mean an Internet TV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or a full browsing TV.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와,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는 좌표산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는 RF 모듈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가 IR 통신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interface unit 14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wit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a coordinate calculation unit capable of calculating coordinates of a pointer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The remote control device interface unit 140 can wirelessly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to an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rough the RF module. Als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an receive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IR module according to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부의 좌표산출부는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의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할 수 있다. 좌표산출부는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한 후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포인터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The coordinate calculation uni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interface unit 140 can correct the camera shake or error from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motion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receiv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interface unit 140. [ The coordinate calculation unit can calculate the coordinates of the pointer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fter the camera shake or error is corrected.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70)로 출력된다.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또는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The remote control device transmission signal input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interface unit 140 is output to the control unit 170 of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e control unit 170 can discriminate the information on the motion or the key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from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and control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ly.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를 산출하여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수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calculate the pointer coordinates corresponding to the motion and output it to the remote control device interface unit 140. In this case, the remote control device interface unit 140 can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coordinates of the received pointer to the control unit 170 without additional shaking or error correction.

저장부(15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되는 영상신호 및 영상신호와 관련된 음성신호,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일예로, 방송신호에 기초한 동영상을 재생중인 영상표시장치(100)로 동영상 저장명령이 입력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입력된 동영상 저장명령에 대응하여 저장부(150)에 재생중인 동영상의 적어도 일부를 저장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저장된 동영상 재생명령이 입력될 경우, 저장부(150)에 저장된 영상신호 및 영상신호와 관련된 음성신호, 데이터신호를 참조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참조한 신호에 기초한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The storage unit 150 may store a video signal inpu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a voice signal and a data signal related to the video signal. For example, a moving image storage command may be input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at is reproducing a moving image based on a broadcast signal.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store at least a part of the moving image being reproduced in the storage unit 150 in response to the input moving image storage command.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may refer to a video signal and a data signal related to a video signal and a video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when a stored moving picture playback command is input.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reproduce a moving image based on the referenced signal.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다른 종류의 제어명령 입력수단에서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에 구비된 로컬키를 통하여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70)는 수신한 신호에 포함된 명령 또는 로컬키 조작에 대응하는 명령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도록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7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control unit 170 may receive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or another kind of control command input means. In addition, a command can be input through the local key provid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controller 170 determines a command included in the received signal or a command corresponding to a local key operation and controls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o correspond to the command.

일예로, 사용자가 소정 채널 선택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70)는 선택한 채널에서 제공되는 방송신호가 방송신호 수신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도록 방송신호 수신부(110)를 제어한다. 또한, 선택한 채널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음향 출력부(185)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음성출력부(18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inputs a predetermined channel selection command,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broadcast signal receiving unit 110 to receive the broadcast signal provided through the selected channel through the broadcast signal receiving unit 110. Also, the video and audio signals of the selected channel can be processed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180 or the sound output unit 185. In addition, channel information selected by the user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together with the video signal and the audio signal.

제어부(170)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와 함께 수신되는 데이터신호에 포함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관련된 데이터신호로부터 해당 영상신호의 포맷 등을 판별하고 그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may process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based on th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ata signal received together with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That is, the controller 170 may determine the format of the video signal from the data signal related to the video signal inpu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nd process the video signal inpu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the format of the video signal .

제어부(170)는 영상신호와 관련된 데이터신호로부터 해당 영상신호를 기초로 생성되는 영상과 관련되는 OSD를 표시할 수 있는 OSD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영상표시장치(100)에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거나 영상표시장치(100)로 영상표시장치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70 may generate an OSD signal that can display an OSD related to an image generated based on the video signal from a data signal associated with the video signal. In addition, the user can confirm relevant information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r generate a graphic user interface so that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input the image display apparatus control command.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 또는 다른 종류의 제어명령 입력수단을 통하여 다른 종류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방송신호 대신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카메라 또는 캠코더 영상신호를 시청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70)는 외부장치 입출력부(130)의 USB 입력부 등을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 또는 음성출력부(185)를 통해 출력되도록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되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The user can input another type of video or audio output command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or another kind of control command input means. For example, the user may wish to view a camera or camcorder image signal input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instead of the broadcast signal.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70 controls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so that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input through the USB input unit of the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is outputted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or the audio output unit 185,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can be processed.

본 실시예의 제어부(17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2D 또는 3D 영상신호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생성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입체적으로 표시되도록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의 상세한 설명은 도 3에서 후술한다.The control unit 170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ocess a video signal so that a 2D or 3D video signal input from the outsid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 In addition, the controller 170 may process the image signal so that the generated graphic user interface is three-dimensional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trol unit 17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신호, 데이터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신호, 데이터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생성된 구동 신호에 따라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80)는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The display unit 180 converts the video signal, the data signal, the OSD signal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170 or the video signal and the data signal received through the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into R, G, and B signals, respectively Thereby generating a driving signal. The display unit 180 may display a screen according to the generated driving signal. The display unit 180 may be a PDP, an LCD, an OLED, or a flexible display.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unit 180 preferably has a 3D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는, 3차원 영상을 사용자가 인식하는 방식에 따라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과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나뉠 수 있다.The three-dimensional display can be divided into an additional display method and a singl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a method of recognizing a three-dimensional image by a user.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은, 별도의 보조 장치 없이 디스플레이에서 단독으로 3D 영상이 구현될 수 있는 방식이다.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을 사용하는 디스플레이를 시청하는 사용자는 추가 장치(ex)평관안경)가 없어도 3차원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단독 디스플레이 방식으로는 렌티큘라 방식, 파라랙스 베리어(parallax barrier) 등이 있을 수 있다. In the single display method, a 3D image can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n a display without a separate auxiliary device. A user who views a display using a single display method can view a three-dimensional image even without the additional apparatus (ex) flat glasses). The single display method may be a lenticular method, a parallax barrier, or the like.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은, 보조 장치를 사용하여 3D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이다. 추가 디스플레이 방식으로는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HMD) 방식, 안경 방식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안경 방식에서 사용되는 안경으로는 편광 안경, 셔터 글래스, 스펙트럼 필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The additional display method is a method of implementing a 3D image using an auxiliary device. Additional display methods include a head-mounted display (HMD) system, a glasses system, and the like. Further, polarized glasses, shutter glasses, spectral filters, and the like can be applied to the glasses used in the glasses system.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Meanwhile, the display unit 18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and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음향출력부(185)는, 영상/음성 처리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음향출력부(185)는 다양한 형태의 스피커로 구현될 수 있다.
The audio output unit 185 receives a signal processed by the video / audio processing unit 170, for example, a stereo signal, a 3.1 channel signal, or a 5.1 channel signal, and outputs it as a voice. The sound output unit 185 may be implemented by various types of speakers.

<도 2 설명><Description of FIG. 2>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제어부(170)의 내부 블록도이다. 2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controller 17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어부(170)는 복조부(171), 역다중화부(172), 썸네일 생성부(173), OSD 생성부(174), 포맷터(1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조부(171)는 방송신호 수신부(110)에서 수신된 방송신호를 복조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70 may include a demodulator 171, a demultiplexer 172, a thumbnail generator 173, an OSD generator 174, and a formatter 175. The demodulator 171 may demodulate 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by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10.

일예로 복조부(171)는 방송신호 수신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조부(171)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71)는 컨벌루션 디코더(convolution decoder), 디인터리버, 및 리드-솔로먼 디코더 등을 구비하여, 컨벌루션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emodulator 171 may receive the digital IF signal DIF converted by the broadcast signal receiver 110 and perform a demodulation operation. The demodulator 171 may perform channel decoding. For this, the demodulator 171 may include a convolution decoder, a deinterleaver, and a reed-solomon decoder to perform convolutional decoding, deinterleaving, and reed solomon decoding.

복조부(171)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스트림 신호는 영상신호,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o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The demodulator 171 can demodulate and decode the channel and output the stream signal TS. The stream signal may be a signal in which a video signal, a voice signal, or a data signal is multiplexed. For example, the stream signal may be an MPEG-2 TS (Transport Stream) multiplexed with an MPEG-2 standard video signal, a Dolby AC-3 standard audio signal, or the like. Specifically, the MPEG-2 TS may include a header of 4 bytes and a payload of 184 bytes.

복조부(171)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조부(171)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역다중화부(172)로 입력될 수 있다.The demodulator 171 may be separately provided according to the ATSC scheme and the DVB scheme. The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71 may be input to the demultiplexer 172.

역다중화부(172)는 수신되는 스트림 신호, 일예로 MPEG-2 TS를 역다중화하여 영상신호, 음성신호 및 데이터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172)로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복조부(171),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 외부장치 입출력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The demultiplexer 172 demultiplexes the received stream signal, for example, the MPEG-2 TS into a video signal, a voice signal, and a data signal. The stream signal input to the demultiplexer 172 may be a stream signal output from the demodulator 171, the network interface unit 120, and the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역다중화된 데이터신호는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일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emultiplexed data signal may be an encoded data signal. The encoded data signal may include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information including broadcast information such as a start time and an end time of a broadcast program broadcasted on each channel. For example, the EPG information may be ATSC-PSIP (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information in the case of the ATSC scheme and DVB-Service Information (DVB-SI) information in case of the DVB scheme .

썸네일 생성부(173)는 역다중화된 신호에 포함되는 영상신호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 외부장치 입출력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을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썸네일 생성부(17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는 디코더 또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가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표시될 수 있도록 해상도를 조절하는 스케일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썸네일은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영상의 일부 이미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썸네일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The thumbnail generating unit 173 can generate a thumbnail corresponding to a video signal included in the demultiplexed signal or a video signal input through the network interface unit 120 and the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30. [ In this case, the thumbnail generating unit 175 may further include a decoder for decoding the demultiplexed video signal or a scaler for adjusting the resolution of the decoded video signal so that the resolution of the decoded video signal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In this embodiment, the thumbnail consists of a partial image of an image generated based on the video signal. Accordingly, the user can confirm the image based on the video signal input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thumbnail.

또 다른 예로 썸네일은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영상으로 이루어지는 컨텐츠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일예로 썸네일로 표시되는 컨텐츠 정보는 영상신호가 전송되는 채널이나 외부장치, 방송명 또는 타이틀명일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a thumbnail may represent content information composed of an image generated based on a video signal. For example, the content information displayed as a thumbnail may be a channel through which a video signal is transmitted, an external device, a broadcast name, or a title name.

또한, 썸네일 생성부(173)는 저장부(150)에 저장된 영상신호에 기초하는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저장부(150)에 동영상의 적어도 일부가 저장된 경우, 썸네일 생성부(173)는 해당 동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을 생성할 수 있다. 썸네일 생성부(173)을 통하여 생성된 여러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이루어진 썸네일은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썸네일을 통하여 현재 재생중인 동영상의 여러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umbnail generating unit 173 can extract an image based on the video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If at least a portion of the moving imag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the thumbnail generating unit 173 may generate a thumbnail by extrac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playback time of the moving image. A thumbnail made up of images corresponding to the various reproduction time points generated through the thumbnail generating unit 173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 The user can check the images corresponding to the various reproduction times of the moving image currently being reproduced through the thumbnail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

OSD 생성부(174)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OSD를 생성할 수 있다. OSD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과 관련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OSD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일예로, 썸네일 생성부(173)를 통하여 영상에 대응하는 썸네일을 포함하는 채널 브라우져 화면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경우, OSD 생성부(174)는 현재 채널 브라우져 화면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 또는 채널 전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아이콘 등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The OSD generation unit 174 may generate an OS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 The OSD may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an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 Also, the user can grasp the operation state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using the OSD. For example, when a channel browser screen including a thumbnail corresponding to an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through the thumbnail generating unit 173, the OSD generating unit 174 generates a text indicating current channel browser screen related information An icon for inputting the channel switching command, and the like may be generat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또한, OSD 생성부(174)는 저장부(150)에 적어도 일부가 저장된 동영상이 재생중인 경우, 해당 동영상의 재생 시점을 나타내는 프로그래시브 바를 생성할 수 있다. 썸네일 생성부(173)에서 생성된 소정 동영상의 여러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이루어진 썸네일은 OSD 생성부(174)에서 생성한 프로그래시브 바 근처에 표시될 수 있다. 썸네일은 프로그래시브 바 중 해당 썸네일을 이루는 영상이 추출된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영역 근처에 표시될 수 있다.The OSD generating unit 174 may generate a progressive bar indicating a playback time of the moving image when at least a part of the moving image is being played back in the storage unit 150. [ A thumbnail made up of images corresponding to various playback times of the predetermined moving images generated by the thumbnail generating unit 173 can be displayed near the progressive bar generated by the OSD generating unit 174. [ The thumbnail may be displayed near th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playback time point at which the image forming the thumbnail of the progressive bar is extracted.

이외에도, OSD 생성부(174)는 현재 재생중인 영상과 관련된 데이터신호에 기초하여 자막 등 영상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SD generating unit 174 may generate an object representing video-related information such as a caption based on a data signal related to an image currently being reproduced, and display the object on the display unit 180. [

포맷터(175)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포맷을 영상신호와 관련된 데이터신호를 참조하여 판별할 수 있다. 포맷터(175)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80)에 적합한 포맷으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180)로 출력할 수 있다. The formatter 175 can determine the format of the inputted video signal by referring to the data signal related to the video signal. The formatter 175 converts the input video signal into a format suitable for the display unit 180 and outputs the format to the display unit 180.

본 실시예의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3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포맷터(175)는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복수시점 영상으로 분리하여 소정 포맷에 따른 3D 영상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포맷터(175)는 생성한 3D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8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생성한 3D 영상신호에 기초한 3D 영상을 표시한다.The video display device 100 of this embodiment can display a 3D image on the display unit 180. [ In this case, the formatter 175 may generate a 3D image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format by separating the input image signal into a plurality of view image. The formatter 175 outputs the generated 3D video signal to the display unit 180. The display unit 180 displays a 3D image based on the generated 3D image signal.

본 실시예에서 영상표시장치(100)는 썸네일 생성부(173)에서 추출한 영상으로 이루어진 썸네일을 3D 오브젝트로 표시할 수 있다. 이하, 3D 오브젝트로 표시한 썸네일을 3D 썸네일이라 칭한다. 포맷터(175)는 3D 썸네일을 구성하는 복수시점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도록 썸네일 생성부(173)에서 추출한 영상을 복수시점 영상으로 분리한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부(180)로 출력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display a thumbnail made up of the image extracted by the thumbnail generating unit 173 as a 3D object. Hereinafter, a thumbnail displayed in a 3D object is called a 3D thumbnail. The formatter 175 generates a video signal in which a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constituting a 3D thumbnail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and the video image extracted from the thumbnail generating unit 173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180 can do.

별도로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영상표시장치(100)는 썸네일 생성부(173) 및 OSD 생성부(174)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유저 인터페이스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영상신호와 믹싱할 수 있는 믹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믹서는 썸네일 생성부(173)와 OSD 생성부(174)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믹싱하기 위하여 포맷터(175)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having the user interface control unit separately controls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thumbnail generating unit 173 and the OSD generating unit 174 by a mixer capable of mixing the user interfac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user interface control unit As shown in FIG. The mixer may be provided in the formatter 175 for mixing the video signals output from the thumbnail generating unit 173 and the OSD generating unit 174.

<도 3 설명>&Lt; Desc /

영상표시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된 신호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200)로 파워 온/오프, 채널 업/다운, 볼륨 업/다운 등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대응하는 명령이 포함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한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수신한 신호에 포함된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다.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be controlled by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 The user can input commands such as power on / off, channel up / down, volume up / down, etc. to the video display device 200 us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transmits a signal including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user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performs an operation according to a command included in the received signal.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다른 종류의 무선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로 신호를 전송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중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움직임에 대응하는 명령이 포함된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원격제어장치를 공간리모콘이라 칭한다.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can transmit a signal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IR communication standard. Also,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or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another type of wireless communication standard. There may be a remote control device capable of detecting a movement of a user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nd transmitting a signal including a command corresponding to the motion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is remote control device is referred to as a space remote control.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 및 영상표시장치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공간리모콘(201)의 사시도이다.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pace remote controller 201 capable of inputting an instruction to an image display apparatus.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1)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에는 공간리모콘(201)에 대응하는 포인터(202)가 표시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can transmit and receive signals in accordance with the RF communication standard with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3A,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display a pointer 202 corresponding to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

사용자는 공간리모콘(201)을 상하, 좌우, 앞뒤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202)는 공간리모콘(201)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도 3b는 공간리모콘(20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포인터(202)가 움직이는 바를 도시하고 있다.The user can move or rotate the space remote controller 201 up, down, left, right, back and forth. The pointer 202 displayed on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corresponds to the mo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 FIG. 3B shows a state in which the pointer 202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moves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FIG.

도 3b에서 사용자가 공간리모콘(201)을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202)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1)은 움직임을 판별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공간리모콘(201)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공간리모콘(201)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100)는 공간리모콘(201)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2)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2)를 표시할 수 있다.In FIG. 3B, when the user moves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to the left, the pointer 202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also moves to the left corresponding thereto. In this embodiment,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capable of detecting movement. Information on the mo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sensed through the sensor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is transmitte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calculate the coordinates of the pointer 202 from the information on the mo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display the pointer 202 so as to correspond to the calculated coordinates.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리모콘(201)의 상하, 좌우 또는 회전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202)가 이동할 수 있다. 포인터(202)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공간리모콘(201)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 pointer 202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can be moved corresponding to the up, down, right, left, or rota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The moving speed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pointer 202 may correspond to the moving speed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또 다른 예로, 공간리모콘(20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소정 명령이 입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예로, 공간리모콘(201)의 앞뒤로 움직일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가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As another example, a predetermined command may be set to be input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in response to the movement of the spatial remote controller 201. For example, when moving the remote control 201 back and forth, the size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may be enlarged or reduced. Therefore, the present embodiment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설명>&Lt; Desc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의 동작 제어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operation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영상이 재생되면,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동영상이 표시된다(S110). 영상표시장치(100)가 재생하는 동영상은 저장부(150)에 적어도 일부가 저장된 동영상이다. 따라서 현재 표시되고 있는 동영상의 이전 장면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이후 장면에 대응하는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When an image is reproduc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a moving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S110). The moving picture to be played back by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is a moving pictur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moving picture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Accordingly,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 scene of the moving image being currently displayed or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subsequent scene can be extracted.

썸네일 생성부(173)는 현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고 있는 동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S120). 저장부(140)는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영상을 표시하는데 필요한 영상신호 외에 영상신호와 관련된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썸네일 생성부(173)는 데이터신호를 참조하여 소정 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의 재생 시점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썸네일 생성부(173)는 확인한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 The thumbnail generating unit 173 may extract an im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reproduction time of the moving image current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S120). The storage unit 140 may store a data signal related to a video signal in addition to a video signal necessary for displaying an image on the display unit 151. [ The thumbnail generating unit 173 can check the information regarding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video based on the predetermined video signal by referring to the data signal. The thumbnail generating unit 173 can extract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confirmed reproduction time.

포맷터(175)는 썸네일 생성부(173)에서 추출한 영상으로 이루어진 3D 썸네일을 구성하는 복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도록 3D 썸네일을 구성하는 3D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부(180)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수신한 3D 영상신호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The formatter 175 outputs a 3D image signal constituting a 3D thumbnail to the display unit 180 so that a plurality of images constituting a 3D thumbnail composed of the image extracted from the thumbnail generating unit 173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do. The display unit 180 can display an image based on the received 3D image signal.

일반적으로, 3D 오브젝트는 시각차를 가지는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시각차를 가지는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을 각각 좌안과 우안을 통하여 시청하고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포맷터(175)는 썸네일 생성부(173)에서 추출한 영상이 좌안용 영상과 우안용 영상으로 분리되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도록 영상신호를 처리한 후 디스플레이부(180)로 출력하게 된다. Generally, a 3D object is composed of a left eye image and a right eye image having a visual difference. The user can see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having the visual difference through the left eye and the right eye, respectively, and feel a three-dimensional feeling. Accordingly, the formatter 175 processes the image signal so that the image extracted by the thumbnail generating unit 173 is separated into the left eye image and the right eye image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and then the image signal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180 do.

디스플레이부(180)는 포맷터(175)에서 출력한 영상신호에 기초한 복수시점 영상을 표시한다(S130).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복수시점 영상으로 이루어진 썸네일을 3D 썸네일로 인식하며 시청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80 displays a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based on the video signals output from the formatter 175 (S130). The user can recognize and view a thumbnail made up of a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as a 3D thumbnail.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는 3D 썸네일의 갯수는 디스플레이부(180)의 표시영역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3D 썸네일의 시야각이 디스플레이부(180)의 시야각과 상이하도록 3D 썸네일을 구성하는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즉, 3D 썸네일을 구성하는 영상을 틸팅하여 사용자가 3D 썸네일이 기울어진 것처럼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3D 썸네일의 시야각이 디스플레이부(180)의 시야각과 동일하도록 표시하는 것보다 더 많은 갯수의 3D 썸네일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될 수 있다.The number of 3D thumbnails that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is determined by the display area of the display unit 180. [ In this embodiment, a video signal constituting a 3D thumbnail can be processed such that the viewing angle of the 3D thumbnail is different from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unit 180. [ That is, the user can tilt the image constituting the 3D thumbnail so that the user can perceive the 3D thumbnail as if it is inclined. Accordingly, a larger number of 3D thumbnails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than displaying the viewing angle of the 3D thumbnails equal to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unit 180. [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 3D 썸네일 중 소정 3D 썸네일 선택명령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140).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원격제어장치(200)를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3D 썸네일 선택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OSD 생성부(174)는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14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OSD 생성부(174)에서 생성된 포인터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다. OSD 생성부(174)에서 생성된 포인터는 사용자에게 입체적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포맷터(175)에서 복수시점 영상으로 분리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can check whether a 3D thumbnail selection command is input from the 3D thumbnail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in operation S140. The user can input a 3D thumbnail selection comman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us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 The OSD generation unit 174 can generate a pointer based on the signal output from the remote control device interface unit 140. [ The pointer generated by the OSD generating unit 174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 The pointer generated by the OSD generating unit 174 may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in the formatter 175 so that the pointers can be stereoscopically recognized by the user.

사용자는 포인터가 소정 3D 썸네일에 위치하도록 원격제어장치(200)를 조정한 후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오케이 버튼 등을 조작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오케이 버튼 등이 조작된 것을 판별하면, 포인터가 위치하는 3D 썸네일의 선택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의 영상표시장치(100)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썸네일 선택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can manipulate the OK button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ler 200 after adjusting the remote controller 200 so that the pointer is positioned on a predetermined 3D thumbnail. When the controller 170 determines that an OK button or the like provided on the remote controller 200 has been operated, the controller 170 can determine that the 3D thumbnail selection command in which the pointer is located is input. In addition, the user can input a thumbnail selection command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using various kinds of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ontrol means.

제어부(170)는 입력한 선택명령에 대응하는 3D 썸네일이 확대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S150). 디스플레이부(180)는 선택명령이 입력된 3D 썸네일을 구성하는 영상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선택명령에 대응하는 3D 썸네일을 확대하기 전에 선택된 3D 썸네일이 회전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즉, 3D 썸네일이 기울어져 보이도록 표시된 경우, 제어부(170)는 선택된 3D 썸네일의 시야각이 정면을 향하도록 3D 썸네일을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된 선택명령에 대응하는 3D 썸네일을 확인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70 may process the video signal output to the display unit 180 so that the 3D thumbnail corresponding to the input selection command is enlarged (S150). The display unit 180 may enlarge and display an image constituting the 3D thumbnail to which the selection command is input. The control unit 170 may process the video signal output to the display unit 180 so that the selected 3D thumbnail is rotated before enlarging the 3D thumbnail corresponding to the input selection command. That is, when the 3D thumbnail is displayed so as to be tilted, the controller 170 may rotate the 3D thumbnail such that the viewing angle of the selected 3D thumbnail faces the front. Accordingly, the user can confirm the 3D thumbnail corresponding to the input selection command.

썸네일 생성부(173)은 선택된 3D 썸네일에 대응하는 재생 시점의 영상을 저장부(150)에서 추출할 수 있다(S160). 일반적으로 3D 썸네일을 구성하는 영상의 해상도는 풀-스크린 영상의 해상도보다 낮다. 따라서 3D 썸네일을 구성하는 영상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는 경우 사용자는 해상도가 낮은 영상을 시청하게 된다. The thumbnail generating unit 173 can extract the image of the reproduction time poi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3D thumbnail from the storage unit 150 (S160). Generally, the resolution of an image constituting a 3D thumbnail is lower than that of a full-screen image. Accordingly, when the image forming the 3D thumbnail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the user views the image having a low resolution.

본 실시예에서는 3D 썸네일을 구성하는 영상을 확대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면서 높은 해상도를 가진 동일 영상을 추출한 후 확대되는 영상을 고해상도 영상으로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3D 썸네일에 대응하는 재생 시점부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S170). 따라서 사용자는 선택된 3D 썸네일에 대응하는 재생 시점부터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n image constituting a 3D thumbnail is magnified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and the same image having a high resolution can be extracted, and then the enlarged image can be replaced with a high-resolution image. In addition, the moving image can be played back from the playback poi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3D thumbnail (S170). Therefore, the user can view the moving picture from the playback poi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3D thumbnail.

<도 5 설명>5,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100)에서 표시되는 3D 썸네일에 북마크를 하는 방법의 흐름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5 is a flowchart showing a flow of a method of bookmarking 3D thumbnails display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고 있는 3D 썸네일 중 소정 3D 썸네일을 선택하고 북마크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북마크명령은 사용자가 여러 3D 썸네일 중 기억하거나 표시해두고 싶은 3D 썸네일의 표시상태를 변경하는 명령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여러 3D 썸네일 중 북마크명령이 입력된 3D 썸네일을 검색할 수 있다. The user can select a predetermined 3D thumbnail among the 3D thumbnail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and input a bookmark command. The bookmark command may be a command for changing the display state of a 3D thumbnail that the user wants to memorize or display among various 3D thumbnails. In addition, the user can search for a 3D thumbnail to which a bookmark command is input among a plurality of 3D thumbnails.

영상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80)에 3D 썸네일을 구성하는 복수시점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210). 복수시점 영상은 썸네일 생성부(173)가 저장부(150)에 저장된 영상신호를 기초로 추출한 소정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을 복수시점으로 분리한 영상일 수 있다.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display a plurality of view images constituting a 3D thumbnail on the display unit 180 (S210). The multiple view image may be an image obtained by separating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reproduction time extracted by the thumbnail generating unit 173 based on the video signal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into a plurality of views.

영상표시장치(100)는 북마크명령이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220). 북마크명령은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포인터가 북마크명령을 입력할 3D 썸네일에 위치하도록 원격제어장치(200)를 조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북마크명령을 입력할 3D 썸네일에 포인터가 위치하는 경우 북마크명령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버튼 또는 키를 조작할 수 있다.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determine whether a bookmark command is input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S220). The bookmark command can be input to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through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 For example, the user can adjust the remote controller 200 so that a pointer correspon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emote controller 200 is located in a 3D thumbnail to input a bookmark command. The user can operate the button or key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orresponding to the bookmark command when the pointer is positioned on the 3D thumbnail to which the bookmark command is input.

영상표시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북마크명령이 입력되면, 입력한 북마크명령에 대응하는 3D 썸네일의 표시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S230). 본 실시예에서, 3D 썸네일을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사용자를 향하여 소정 거리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입체효과가 부여된 썸네일이다. 영상표시장치(100)는 3D 썸네일의 일부 모서리가 구부러진 것처럼 3D 썸네일의 표시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선택된 3D 썸네일의 재생 시점을 북마크할 수 있다. When the bookmark command is inputte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200,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change the display state of the 3D thumbnail corresponding to the input bookmark command (S230). In the present embodiment, a 3D thumbnail is a thumbnail to which a stereoscopic effect is given as if it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display unit 180 toward the user.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change the display state of the 3D thumbnails as if some edges of the 3D thumbnails are bent. Als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bookmark the playback time of the selected 3D thumbnail.

따라서 사용자는 시각적으로 북마크명령이 입력된 3D 썸네일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북마크한 재생 시점을 추후 검색할 수 있다.
Therefore, the user can visually check the 3D thumbnail inputted with the bookmark command. In addition, the bookmarked playback point can be searched for later.

<도 6 내지 도 9 설명>&Lt; Figures 6 to 9 &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6 to 9 are views showing screen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에서 동영상이 재생되면, 재생되고 있는 동영상 관련 영상으로 이루어진 화면(301)이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영상표시장치(100) 재생 동영상은 저장부(150)에 적어도 일부가 저장된 동영상일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로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외부 장치에 적어도 일부가 저장된 동영상일 수 있다.6A, when a moving image is reproduced i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 screen 301 composed of a moving image related image being reproduce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As shown in FIG.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oving picture of the video display apparatus 100 may be a moving picture having at least a part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0. [ Or may be a moving image which is at least partially stored in an external device that outputs a video signal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

영상표시장치(100)는 현재 재생중인 동영상의 재생 시점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프로그래시브 바(302)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재생중인 동영상 제어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메뉴 바(303)를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display the progressive bar 302 on the display unit 180 indicating information on the reproduction time of the moving image currently being reproduced. In addition, a menu bar 303 for inputting a moving image control command currently being reproduced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현재 재생중인 동영상의 여러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이루어진 3D 썸네일(304)을 구성하는 복수시점 영상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할 수 있다. 3D 썸네일(304)은 프로그래시브 바(302)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3D 썸네일은 영상이 추출된 재생 시점에 대응하도록 프로그래시브 바(302) 상단에 표시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display a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constituting a 3D thumbnail 304 composed of imag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reproduction times of a moving image currently being reproduced on the display unit 180. [ The 3D thumbnail 304 may be displayed at the top of the progressive bar 302. In this embodiment, the 3D thumbnail may be displayed at the top of the progressive bar 302 so as to correspond to the playback time point at which the image is extracted.

사용자는 재생하고 싶은 시점의 영상으로 이루어진 3D 썸네일(305)에 위치하도록 포인터(306)를 이동할 수 있다. 사용자는 포인터(306)가 재생하고 싶은 시점에 대응하는 3D 썸네일(305)에 위치한 상태에서 원격제어장치(200)의 버튼이나 키를 조작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버튼이나 키자 조작된 것을 판별하면 포인터(306)가 위치한 3D 썸네일(305)의 선택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별한다.The user can move the pointer 306 so as to be located in the 3D thumbnail 305 made up of the image at the point in time at which the user wants to reproduce. The user can operate buttons or keys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in a state where the pointer 306 is located in the 3D thumbnail 305 corresponding to the time point at which the pointer 306 is desired to be reproduced.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determines that the selection command of the 3D thumbnail 305 in which the pointer 306 is located is inputted whe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determines that the remote control apparatus 200 has been operated with the button or key.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는 선택된 3D 썸네일(305)을 구성하는 영상을 확대(307)할 수 있다. 또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3D 썸네일(305)을 구성하는 영상으로 이루어진 화면(308)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하고, 선택된 3D 썸네일(305)에 대응하는 시점부터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100)는 3D 썸네일(305)에 대응하는 시점부터 동영상이 재생되고 있음을 나타내는 프로그래시브 바(309)를 표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B,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may enlarge (307) an image constituting the selected 3D thumbnail 305. FIG. 6C, a screen 308 composed of images constituting the selected 3D thumbnail 305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and a moving image is reproduced from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3D thumbnail 305 . In addition, the video display apparatus 100 may display a progressive bar 309 indicating that a moving image is being played back from a point corresponding to the 3D thumbnail 305. [

도 7a는 3D 썸네일(311)의 시야각이 3D 썸네일(311)을 구성하는 복수시점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80) 평면(D1)의 시야각과 상이하도록 표시된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3D 썸네일(311)은 3D 썸네일을 구성하는 복수시점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80) 평면(D1)에서 사용자(312)를 향하여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표시된다.7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the viewing angle of the 3D thumbnail 311 is different from the viewing angle of the plane D1 of the display unit 180 in which the plurality of view images constituting the 3D thumbnail 311 are displayed. In this embodiment, the 3D thumbnail 311 is displayed as if it is projected toward the user 312 in the plane (D1) of the display unit 180 in which a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constituting the 3D thumbnail are displayed.

3D 썸네일(311)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울어져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100)는 보다 많은 갯수의 3D 썸네일을 표시할 수 있다. The 3D thumbnail 311 may be displayed as if it is tilted as shown in FIG. 7A. Accordingly,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display a larger number of 3D thumbnails.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312)는 원격제어장치(200) 등 영상표시장치(100) 제어수단을 이용하여 소정 3D 썸네일(313) 선택명령을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소정 3D 썸네일(313)에 포인터(314)가 위치하도록 원격제어장치(200)을 조정한 후,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오케이 버튼이나 키를 조작할 수 있다.7B, the user 312 can input a predetermined 3D thumbnail 313 selection command to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using the control means of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such as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have. For example, the user can manipulate the OK button or the key includ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after adjust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o that the pointer 314 is positioned on the predetermined 3D thumbnail 313.

영상표시장치(100)는 3D 썸네일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선택명령에 따라 선택된 3D 썸네일(313)의 시야각이 사용자(312)를 향하도록 회전한다. 또한, 선택된 3D 썸네일(313)의 양 옆에 표시된 3D 썸네일(315, 316)이 더 기울어져 보이도록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선택명령에 따라 선택한 3D 썸네일을 확인할 수 있다. When the 3D thumbnail selection command is input,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rotates the viewing angle of the 3D thumbnail 313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selection command so as to face the user 312. In addition, the 3D thumbnails 315 and 316 displayed on both sides of the selected 3D thumbnail 313 can be displayed so as to be more inclined. Therefore, the user can confirm the selected 3D thumbnail according to the selection command.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선택한 3D 썸네일(313)을 구성하는 영상은 영상표시장치(100)에 확대 표시된다. 3D 썸네일(313)을 구성하는 영상의 해상도는 디스플레이부(180)에서 풀 스크린으로 표시하기에 해상도가 낮을 수 있다. 도 8a는 선택한 3D 썸네일(313)을 구성하는 영상을 확대한 영상(317)이다. 확대한 영상(317)을 확대한 영상(317)을 구성하는 복수시점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80) 평면(D2)에서 사용자(312)를 향하여 a만큼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표시된다. 8, an image constituting the 3D thumbnail 313 selected by the user is enlarged and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device 100. [ The resolution of the image constituting the 3D thumbnail 313 may be low in order to display the full resolution on the display unit 180. [ 8A is an image 317 obtained by enlarging an image constituting the selected 3D thumbnail 313. FIG. The enlarged image 317 is displayed on the plane D2 of the display unit 180 on which the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constituting the enlarged image 317 are projected by the distance a toward the user 312. [

영상표시장치(100)의 썸네일 생성부(173)은 선택한 3D 썸네일(313)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고해상도의 영상을 다시 추출할 수 있다. 도 8b는 썸네일 생성부(173)에서 추출한 고해상도 영상(318)을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한 예를 나타낸다. 고해상도 영상(318)은 디스플레이부(180) 평면(D2)에서 사용자(312)을 향하여 b만큼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표시된다. The thumbnail generating unit 173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extract the high-resolution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production time point of the selected 3D thumbnail 313 again. 8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high-resolution image 318 extracted by the thumbnail generating unit 173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FIG. The high resolution image 318 is displayed as if it is projected by b toward the user 312 in the plane D2 of the display unit 180. [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가 선택한 3D 썸네일에 대응하는 재생 시점의 동영상을 재생하기 전에,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재생 시점의 영상을 점차 확대하여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한다. 또한, 해당 재생 시점의 영상의 크기가 일정 크기 이상 커지면, 3D 썸네일을 구성하는 영상을 고해상도 영상으로 교체하여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낮은 해상도의 영상 대신 고해상도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8A and 8B, the video display device 100 gradually enlarges an image at the playback time point and displays it on the display unit 180 before reproducing the moving image at the playback point corresponding to the 3D thumbnail selected by the user Display. Also, if the size of the video at the playback point of time is larger than a certain size, the video constituting the 3D thumbnail is replaced with a high-resolution video and displayed. Therefore, the user can view the high resolution image instead of the low resolution image.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로 북마크명령을 입력한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도 9a에서 영상표시장치(100)는 현재 재생하고 있는 동영상의 여러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이루어진 3D 썸네일(321)을 표시할 수 있다. 3D 썸네일(321)은 3D 썸네일(321)을 구성하는 복수시점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80) 평면(D3)에서 사용자(312)를 향하여 돌출되어 위치하고 있는 것처럼 표시된다.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displayed on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when a bookmark command is input to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9A, the video display apparatus 100 can display a 3D thumbnail 321 made up of images corresponding to a plurality of reproduction times of a moving image currently being reproduced. The 3D thumbnail 321 is displayed as if it is projected toward the user 312 from the plane D3 of the display unit 180 on which a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constituting the 3D thumbnail 321 are displayed.

사용자(312)는 포인터(322)가 소정 3D 썸네일(323)에 위치하도록 원격제어장치(200)를 조정한 후, 북마크명령에 대응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버튼 또는 키를 조작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북마크명령이 입력된 3D 썸네일(323)의 표시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북마크명령이 입력된 3D 썸네일(323)의 일부 모서리가 접혀있는 것처럼 3D 썸네일(323)의 표시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3D 썸네일(323)의 북마크명령이 입력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he user 312 can manipulate the button or key of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corresponding to the bookmark command after adjusting the remote control device 200 so that the pointer 322 is positioned in the predetermined 3D thumbnail 323. [ . The image display apparatus 100 can change the display state of the 3D thumbnail 323 to which the bookmark command is input, as shown in Fig. 9B. That is, the display state of the 3D thumbnail 323 can be changed as if the corner of the 3D thumbnail 323 to which the bookmark command is input is folded. Accordingly,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bookmark command of the 3D thumbnail 323 is input.

100 : 영상표시장치 110 : 방송신호 수신부
120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30 : 외부장치 입출력부
140 : 원격제어장치 인터페이스부 150 : 저장부
170 : 제어부 180 : 디스플레이부
200 : 원격제어장치
100: video display device 110: broadcast signal receiver
120: network interface unit 130: external device input / output unit
140: Remote control device interface unit 150:
170: control unit 180:
200: remote control device

Claims (12)

적어도 일부가 저장부 또는 외부 장치에 저장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영상신호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영상으로 이루어진 3D 썸네일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3D 썸네일의 선택명령 입력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3D 썸네일의 선택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입력된 선택명령에 의하여 선택된 3D 썸네일을 이루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확대하여 표시하는 단계;
3D 썸네일 북마크명령 입력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북마크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입력 북마크명령에 따라 선택된 3D 썸네일의 표시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썸네일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동작 제어방법.
Displaying at least a part of the moving pictu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or the external apparatus on the display unit;
Extrac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reproduction time point of the moving picture from an image signal constituting the moving picture;
Displaying a 3D thumbnail made up of the extracted image on the display unit;
Determining whether a selection command of the 3D thumbnail is input;
Enlarging and displaying an image constituting a 3D thumbnail selected by the input selection command on the display unit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election command of the 3D thumbnail is input;
Determining whether a 3D thumbnail bookmark command is input; And
Further comprising changing the display state of the 3D thumbnail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bookmark command when the bookmark command is determined to be in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3D 썸네일에 대응하는 재생 시점부터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썸네일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동작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reproducing the moving image from a playback poi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3D thumbna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3D 썸네일에 대응하는 재생 시점의 영상을 재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3D 썸네일을 이루는 영상을 확대 표시한 후 상기 재추출한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재추출한 영상의 해상도는 상기 3D 썸네일을 이루는 영상의 해상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썸네일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동작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xtracting an image at a playback time poi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3D thumbnail; And
Displaying the re-extracted image on the display unit after enlarging and displaying the image constituting the 3D thumbnail;
Wherein the resolution of the re-extracted image is higher than the resolution of the image forming the 3D thumbnai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썸네일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의 원격제어장치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3D 썸네일 선택명령 입력여부 판별단계는 상기 포인터가 소정 시간 이상 위치하는 3D 썸네일의 선택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썸네일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동작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displaying a pointer corresponding to a signal transmitted from a remote control device of an image display apparatus displaying the 3D thumbnail;
Wherein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3D thumbnail selection command is input determines whether a 3D thumbnail selection command indicating that the pointer is positioned over a predetermined time has been inp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D 썸네일은 상기 3D 썸네일을 이루는 영상의 시야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시야각과 다르도록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썸네일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동작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3D thumbnail is inclined such that a viewing angle of an image forming the 3D thumbnail is different from a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uni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된 선택명령에 따라 선택된 3D 썸네일의 시야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시야각과 동일하도록 상기 3D 썸네일을 회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썸네일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동작 제어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nd rotating the 3D thumbnail so that the viewing angle of the 3D thumbnail selected according to the input selection command is equal to the viewing angle of the display uni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북마크명령에 따라 선택된 3D 썸네일의 표시상태 변경단계는, 상기 3D 썸네일의 모서리가 구부러진 것처럼 보이도록 표시상태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썸네일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동작 제어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changing the display state of the 3D thumbnails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bookmark command changes the display state so that the edges of the 3D thumbnails appear to be curved.
동영상의 적어도 일부가 저장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적어도 일부가 저장된 동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동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을 상기 동영상을 구성하는 영상신호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영상으로 이루어진 3D 썸네일을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3D 썸네일의 선택명령 입력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3D 썸네일의 선택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입력된 선택명령에 의하여 선택된 3D 썸네일을 이루는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며, 3D 썸네일 북마크명령 입력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북마크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별된 경우, 상기 입력 북마크명령에 따라 선택된 3D 썸네일의 표시상태를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썸네일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A storage unit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moving picture is stored;
A display unit displaying a moving image stored at least in part in the storage unit; And
Extracts an im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reproduction time point of the moving image from an image signal constituting the moving image, processes a video signal outputted to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3D thumbnail composed of the extracted image, A thumbnail selection command is input; and if the selection command of the 3D thumbnail is input, the video signal output to the display unit is processed so that the display unit displays an image constituting a 3D thumbnail selected by the input selection command And controlling the display state of the 3D thumbnails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input bookmark command when the bookmark command is determined to be input when the 3D thumbnail bookmark command is input, Display screen Chi.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동영상의 영상신호로부터 상기 동영상의 적어도 하나의 재생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을 추출하는 썸네일 생성부; 및
상기 3D 썸네일을 구성하는 복수시점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상기 썸네일 생성부에서 추출한 영상을 복수시점 영상으로 분리한 영상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하는 포맷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썸네일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comprises: a thumbnail generating unit for extrac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at least one reproduction time point of the moving image from the video signal of the moving im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And a formatter for generating a video signal obtained by separating an image extracted by the thumbnail generating unit into a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so that a plurality of view-point images constituting the 3D thumbnail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outputting the generated video signal to the display unit Is display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썸네일 생성부는 상기 선택된 3D 썸네일에 대응하는 재생 시점의 영상을 재추출하며;
상기 포맷터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3D 썸네일을 이루는 영상을 확대 표시한 후 상기 재추출한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며;
상기 재추출한 영상의 해상도는 상기 3D 썸네일을 이루는 영상의 해상도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썸네일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thumbnail generating unit re-extracts an image at a playback time poi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3D thumbnail;
Wherein the formatter processes the video signal output from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re-extracted video after magnifying and displaying an image constituting the 3D thumbnail;
Wherein the resolution of the re-extracted image is higher than the resolution of the image forming the 3D thumbnail.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된 3D 썸네일에 대응하는 재생 시점부터 상기 동영상이 재생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D 썸네일을 표시하는 영상표시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processes the video signal output to the display unit so that the moving image is reproduced from the reproduction time point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3D thumbnail.
KR1020100003896A 2010-01-15 2010-01-15 Image Display Device with 3D-Thumbnail and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65580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896A KR101655804B1 (en) 2010-01-15 2010-01-15 Image Display Device with 3D-Thumbnail and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3896A KR101655804B1 (en) 2010-01-15 2010-01-15 Image Display Device with 3D-Thumbnail and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914A KR20110083914A (en) 2011-07-21
KR101655804B1 true KR101655804B1 (en) 2016-09-08

Family

ID=44921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3896A KR101655804B1 (en) 2010-01-15 2010-01-15 Image Display Device with 3D-Thumbnail and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80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3186B1 (en) * 2016-10-12 2024-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Display device
KR102396526B1 (en) 2017-09-29 2022-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content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220002101U (en) 2022-08-11 2022-08-30 최은희 the tree support safety boar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4298A (en) * 2007-11-13 2009-06-04 Mitsubishi Electric Corp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coded video imag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4916B1 (en) * 2002-08-24 2005-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thumbnail image
US7636089B2 (en) * 2005-09-09 2009-12-22 Microsoft Corporation Photo mantel view and animation
KR100775176B1 (en) * 2006-03-10 2007-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Thumbnail recording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video data and terminal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24298A (en) * 2007-11-13 2009-06-04 Mitsubishi Electric Corp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coded video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3914A (en) 201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96672B2 (en) Image display device capable of three-dimensionally displaying an item or user interface and a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99738B1 (en) Operating Method for Image Display Device and Shutter Glass for the Image Display Device
KR20110132036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20110116525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1702949B1 (en) Method for operating a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KR101661956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1655804B1 (en) Image Display Device with 3D-Thumbnail and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626310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1735608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1699740B1 (en) Image Display Device of 2D/3D convertible display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1702968B1 (en) Operating an Image Display Device
KR101668245B1 (en) Image Display Device Controllable by Remote Controller and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698787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1638536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10072986A (en) Operating a image display apparatus
KR101638541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1657560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1716171B1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20110088952A (en) Image display device with a 3d object including a thumbmail image and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101737367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80038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20110128535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KR102014149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882214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server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691794B1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