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536B1 -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536B1
KR101628536B1 KR1020140162803A KR20140162803A KR101628536B1 KR 101628536 B1 KR101628536 B1 KR 101628536B1 KR 1020140162803 A KR1020140162803 A KR 1020140162803A KR 20140162803 A KR20140162803 A KR 20140162803A KR 101628536 B1 KR101628536 B1 KR 101628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protective cas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0452A (ko
Inventor
조주호
Original Assignee
조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주호 filed Critical 조주호
Priority to KR1020140162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53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0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0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Abstract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제공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은 베이스필름과 제1 마감시트 및 제2 마감시트를 설정된 치수로 가공하는 절단 단계; 상기 제1 마감시트와 제2 마감시트 사이에 베이스필름을 개재하고, 인쇄 및 접착제를 통해 서로 합지하는 성형판넬 성형 단계; 상기 성형판넬을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입체형상이 되도록 에어 포밍가공하여 상기 제1,2 마감시트가 공간부의 코너에서도 면밀하게 부착된 상태를 갖는 케이스 성형 단계; 상기 케이스 성형 과정에서 남아있는 자투리를 절단가공하는 트리밍 단계; 상기 케이스의 테두리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열융착하는 마감부 형성 단계를 통해 생산되어 제품의 가치를 향상시킴은 물론, 제품을 파지하였을 때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Protective Case Of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Fabrication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케이스의 제조방법 개선을 통해 보호케이스의 내,외면 전체가 가죽의 질감을 갖도록 함으로써, 제품에 고급스런 느낌을 부여하여 제품 가치를 더욱 향상시킴은 물론, 사용자가 제품 파지시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가 생활필수품으로 자리잡으면서 그 기능 및 소재가 고급화되어가고 있다. 이에, 외부 충격이나 흠집 발생으로 부터 휴대용 전자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목적과 함께 미려한 외관 창출과 사용자의 개성 표현을 위한 액세서리로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관에 적합하게 제작되어 외부를 감싸는 여러 가지 형태의 케이스가 출시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이다.
특히 스마트폰의 경우 전화기능과 인터넷 기능까지 겸하고 있어 종래 핸드폰과 노트북, PDA, PMP 등의 고가의 휴대기기를 통합한 성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에 비례하여 매우 고가의 제품에 속한다.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파손을 방지하고, 액정 표면이 긁히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보호 케이스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보호 케이스는 크게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부가 개방되는 전면 개방형과 디스플레이부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는 전면 폐쇄형으로 구분되며, 상기 전면 개방형은 탄성력을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 폐쇄형은 가죽이나 인조 피혁을 이용한 다이어리 형태로 제작된다.
도 1은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2133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2133호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테두리에 장착되기 위하여 전후로 개방되는 개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개방공간의 가장자리 일부 또는 전부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후측에 걸림으로써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후방 이탈을 제한하는 본체(10), 및 상기 개방공간의 전측에 부착되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면에 설치되고, 전면에 대한 터치를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터치패널이 인식할 수 있도록 서로 합지되는 광투과성 재질의 전면층과 배면층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층과 상기 배면층 사이에서 가장자리에 그라파이트 인쇄층이 형성되는 보호필름(20)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2133호는 쉽게 변형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실리콘, 우레탄 고무, 등과 같은 단일의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다.
종래 보호케이스는 그 기능은 충실히 수행하나 제품 전체가 단일 합성수지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저가형 제품이라는 인식이 각인되어 상품가치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보호케이스의 어느 한 면에 가죽의 질감을 느낄 수 있도록 인조가죽을 접착한 제품이 출시되었다.
그러나, 인조가죽이 접착된 보호케이스는 전체적인 마감처리가 어려워 그 접착부위가 쉽게 떨어짐은 물론, 이로 인해 상품 가치를 더욱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2133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연질의 베이스필름에 가죽의 질감을 갖는 제1,2 마감시트를 인서트 사출을 통해 합지한 후 이를 이용하여 보호케이스를 성형함으로써, 입체적 형상을 갖는 보호케이스의 코너를 포함한 모든 부위에 가죽의 질감을 갖는 제1,2 마감시트가 면밀히 부착고정되도록 함은 물론, 제품에 고급스런 느낌을 부여하여 제품 가치를 더욱 향상시킬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를 파지할 경우 사용자가 가죽의 느낌을 그대로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제조방법은 베이스필름과 제1 마감시트 및 제2 마감시트를 설정된 치수로 가공하는 절단 단계; 상기 제1 마감시트와 제2 마감시트 사이에 베이스필름을 개재하고, 인쇄 및 접착재를 이용하여 합지하는 성형판넬 성형 단계; 상기 성형판넬을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입체형상이 되도록 에어 포밍가공하여 상기 제1,2 마감시트가 공간부의 코너에서도 면밀하게 부착된 상태를 갖는 케이스 성형 단계; 상기 케이스 성형 과정에서 남아있는 자투리를 절단가공하는 트리밍 단계; 및 상기 케이스의 테두리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열융착하는 마감부 형성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필름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수지 또는 PC, PE 등 레진(Resin) 소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2 마감시트는 천연가죽이나 인조가죽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는 가죽 재질의 제1,2 마감시트와 상기 제1,2 마감시트 사이에 개재된 베이스필름을 인서트 사출을 통해 합지고정하여 성형판넬을 성형하되, 상기 성형판넬은 에어 포밍 과정을 통해 휴대용 전자기기의 본체가 착탈가능한 공간부를 갖는 입체적 형상의 케이스로 성형되고, 상기 케이스의 테두리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열융착을 통해 마감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전체에 가죽의 질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가치를 향상 및 제품 파지시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2133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케이스(100)는 성형판넬(110)과 마감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성형판넬(110)은 제1,2 마감시트(113,115)와 베이스필름(111)을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인쇄 및 접착제를 통해 서로 일체가 되도록 합지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1,2 마감시트(113,115)와 베이스필름(111)의 적층 순서는 상기 제1,2 마감시트(113,115) 사이에 베이스필름(111)을 개재한 상태로 적층된다.
상기 베이스필름(111)은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수지 또는 레진(Resin)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실시예에 따라 다른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 마감시트(113,115)는 천연가죽 또는 인조가죽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 실시예에 따라 다른 다양한 소재를 사용할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성형판넬(110)은 에어 포밍 공정을 통해 입체적 형상의 케이스(100)로 성형되며, 상기 케이스(100)는 그 내부에 휴대용 전자기기의 본체(P)가 착탈가능한 공간부(101)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 포밍공정은 제품 성형시 수행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써,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그 테두리부에 상기 베이스필름(111)과 제1,2 마감시트(113,115)의 끝단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기 위한 마감부(130)가 형성된다.
상기 마감부(130)는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열융착을 통해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는 입체적 형상을 갖는 보호케이스의 코너를 포함한 모든 부위에 가죽의 질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가치를 향상시킴은 물론, 휴대용 전자기기를 파지시 제품의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호케이스(100)의 제조방법은 절단단계(S10)와, 성형판넬 성형단계(S20)와, 케이스 성형단계(S30)와, 트리밍 단계(S40) 및 마감부 형성단계(S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절단단계(S10)는 보호케이스(100)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소재의 치수를 우선 설정한 후, 상기 베이스필름(111)과 제1 마감시트(113) 및 제2 마감시트(115)를 설정된 치수로 절단 가공한다.
상기 베이스필름(111)과 제1 마감시트(113) 및 제2 마감시트(115)는 동일한 치수로 절단가공되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보호케이스(100)는 그 외면 전체가 제1 마감시트(113)와 제2 마감시트(115)를 통해 감싸인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절단단계(S10)를 통해 절단가공된 베이스필름(111)과 제1 마감시트(113) 및 제2 마감시트(115)는 성형판넬 성형단계(S20)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성형판넬 성형단계(S20)는 상기 제1 마감시트(113)와 베이스필름(111) 및 제2 마감시트(115)를 순차적으로 적층한 후, 인쇄 및 접착제를 통해 서로 합지하여 성형판넬(110)을 성형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마감시트(113), 베이스필름(111) 및 제2 마감시트(115)의 적층순서는 상기 제1 마감시트(113)와 제2 마감시트(115) 사이에 베이스필름(111)을 개재된 상태로 적층한다.
이후, 상기 성형판넬 성형단계(S20)를 통해 성형된 성형판넬(110)은 케이스 성형단계(S30)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케이스 성형단계(S30)는 상기 성형판넬(110)을 에어 포밍가공하여 상기 성형판넬(110)이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101)를 갖는 입체형상의 케이스(100)가 되도록 성형한다.
이에, 상기 제1,2 마감시트(113,115)는 상기 케이스(100)이 공간부(101) 코너를 포함한 케이스(100)의 외면 전체에 면밀하게 부착된 상태가 된다.
이후, 상기 케이스 성형단계(S30)를 통해 성형된 케이스(100)는 트리밍 단계(S40)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트리밍 단계(S40)는 상기 케이스 성형단계(S30)에서 케이스(100)에 남아있는 자투리를 절단가공한다.
이후, 상기 트리밍 단계(S40)를 통해 가공된 케이스(100)는 마감부 형성단계(S50)를 수행한다.
이때, 상기 마감부 형성단계(S50)는 상기 케이스(100)의 테두리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필름(111)과 제1,2 마감시트(113,115)의 끝단의 외부 노출을 차단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마감부(130)는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열융착을 통해 형성된다.
100 : 케이스 101 : 공간부
110 : 성형판넬 111 : 베이스필름
113 : 제1 마감시트 115 : 제2 마감시트
130 : 마감부

Claims (4)

  1.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copolymer)수지 또는 레진(Resin) 소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베이스필름과 천연가죽이나 인조가죽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제1,2 마감시트를 설정된 치수로 가공하는 절단단계;
    상기 제1 마감시트와 제2 마감시트 사이에 베이스필름을 개재하고, 인쇄 및 접착제를 통해 서로 합지하는 성형판넬 성형 단계;
    상기 성형판넬을 휴대용 전자기기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입체형상이 되도록 하는 케이스 성형 단계;
    상기 케이스 성형 과정에서 남아있는 자투리를 절단가공하는 트리밍 단계; 및
    상기 케이스의 테두리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열융착하는 마감부 형성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성형 단계는 성형판넬을 이용하여 공간부를 갖는 입체형상이 되도록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1,2 마감시트가 공간부의 코너에서도 면밀하게 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에어 포밍가공하여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162803A 2014-11-20 2014-11-20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628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803A KR101628536B1 (ko) 2014-11-20 2014-11-20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2803A KR101628536B1 (ko) 2014-11-20 2014-11-20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452A KR20160060452A (ko) 2016-05-30
KR101628536B1 true KR101628536B1 (ko) 2016-06-08

Family

ID=56194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803A KR101628536B1 (ko) 2014-11-20 2014-11-20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5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831B1 (ko) * 1997-12-30 2000-01-15 한영수 가죽표면을 갖는 합성수지 케이스 성형용 금형과 케이스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830B1 (ko) * 2007-05-03 2010-02-11 유명기 전자제품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397925B1 (ko) * 2012-10-05 2014-05-30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샌드위치 접합구조를 갖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20140059880A (ko) * 2012-11-08 2014-05-19 김병성 전자기기 케이스 제조방법
KR101422133B1 (ko) 2013-11-14 2014-07-23 주식회사 아이디엘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0831B1 (ko) * 1997-12-30 2000-01-15 한영수 가죽표면을 갖는 합성수지 케이스 성형용 금형과 케이스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0452A (ko) 201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619210B (zh) 用于电子设备的护套
US8383216B1 (en)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over-molded thermo-formed film
US9485338B2 (en) Featu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for a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0688712B2 (en) Applicator for applying protective coverings to electronic device displays
KR101484452B1 (ko) 터치스크린 보호용 강화유리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20160157573A1 (en) Case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2378585A (zh) 电子设备保护套及其制作方法
KR20140013155A (ko) 터치스크린이 곡면으로 제조된 휴대용단말기의 보호커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3257B1 (ko) 모바일기기의 곡면형 디스플레이 패널 화면보호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0488338Y1 (ko) 이물질제거기능을 가지는 휴대폰 화면 보호 필름
US20170105292A1 (en) Laptop computer cover
KR101628536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249938B1 (ko) 스마트폰 보호용 플립커버
KR101628045B1 (ko) 액정디스플레이 보호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보호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TWM543529U (zh) 可攜式電子設備保護套結構
KR101368626B1 (ko)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제조금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CN105054549A (zh) 热成型保护套及其制作工艺
JP2020030300A (ja) 携帯端末用透明フィルム
US20130292268A1 (en) Personal Device Case
KR20160011527A (ko) 휴대 기기용 보호 케이스
KR20140137491A (ko) 휴대기기용 보호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636059B1 (ko) 전자기기용 액세서리
KR101351436B1 (ko) 전자기기의 액정화면용 뷰 커버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뷰 커버
CN204838384U (zh) 热成型保护套
TWM568780U (zh) 可覆蓋曲面螢幕玻璃的平面玻璃保護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