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306B1 - Rotary joint hoist type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Rotary joint hoist type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306B1
KR101620306B1 KR1020140108701A KR20140108701A KR101620306B1 KR 101620306 B1 KR101620306 B1 KR 101620306B1 KR 1020140108701 A KR1020140108701 A KR 1020140108701A KR 20140108701 A KR20140108701 A KR 20140108701A KR 101620306 B1 KR101620306 B1 KR 101620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trunk
lifting
unit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7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23940A (en
Inventor
양순용
임구
김용석
여찬호
박정현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든모터스 (주)
주식회사유창파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든모터스 (주), 주식회사유창파워텍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087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306B1/en
Publication of KR20160023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9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3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트렁크의 내부에 구비되어 휠체어를 수납 및 인출하는 것으로, 상기 휠체어를 그리핑(Gripping)하여 상기 트렁크로 리프팅하는 리프팅부와, 상기 리프팅부와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가 리프팅되면 상기 휠체어와 상기 리프팅부를 트렁크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휠체어를 트렁크로 수납 및 인출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트렁크 수납장치; 일단부는 차량의 루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휠체어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휠체어가 수납된 상기 휠체어를 견인하여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로부터 상기 휠체어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 및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를 트렁크로 수납 및 인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송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를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로 안착 및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로부터 상기 휠체어를 외부로 견인하도록 상기 이송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리프팅부는 일단부로 상기 상기 휠체어를 선택적으로 그리핑하는 그립부재와, 상기 그립부재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그립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회전관절 호이스트타입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을 제공한다.
따라서 차량 루프의 수납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연비저감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휠체어 수납을 위한 트렁크 필요공간이 적기 때문에 소형세단에서부터 SUV차량까지 적용차량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어 이용자의 차량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unit provided inside a vehicle trunk for storing and withdrawing a wheelchair and lifting the wheelchair by gripping the wheelchair and lifting the wheelchair by the trunk, And a moving part for slidably moving the lifting par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trunk to accommodate and withdraw the wheelchair in the trunk. The one end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wheelchair to move the wheelchair stored in the wheelchair to the trunk storage device or to transfer the wheelchair from the trunk storage device to the outside Conveying means for moving the conveying means;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trunk storage unit to control the storage and withdrawal of the wheelchair in a trunk and to connect the wheelchair to the trunk storage unit and to transfer the wheelchair from the trunk storage unit to the outside, The lifting unit includes a grip member selectively gripping the wheel chair at one end thereof and a control uni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grip member to rotate the grip member by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of a rotary articulated hoist type.
Therefore, minimizing the storage space of the vehicle roof minimizes the fuel consumption by minimizing the air resistance and minimizing the space required for the trunk for wheelchair storage. Therefore, it can be applied from small sedan to SUV. So that the user can broaden the selection range of the vehicle.

Description

회전관절 호이스트타입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 {Rotary joint hoist type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vehicl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joint hoist type wheelchair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회전관절 호이스트타입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루프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외관향상은 물론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차량의 트렁크를 수납공간으로 활용하여 최적의 휠체어 수납을 이룰 수 있는 회전관절 호이스트타입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a wheelchair of a revolving joint type, and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of a rotary joint hoist type.

일반적으로 휠체어 이용자는 휠체어를 직접적인 이동수단으로 이용하게 되므로 원거리 이동 시에는 휠체어 이송문제가 항상 수반되며, 이에, 버스나 지하철, 택시 등으로 이동을 하는 경우에는 휠체어에 탑승한 채로 이동하거나 운전기사의 도움을 받아 해결하거나, 자가운전의 경우에는 동승자나 타인에 의존하여 휠체어 이송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Generally, a wheelchair user uses a wheelchair as a direct means of transportation. Therefore, in case of a long distance travel, the problem of transferring a wheelchair is always accompanied. Therefore, when moving to a bus, a subway, or a taxi, In the case of self-driving, the driver relies on the passenger or others to solve the wheelchair transfer problem.

그런데, 상기한 방법들은 타인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서, 휠체어를 직접적인 이동수단으로 이용하는 휠체어 이용자에게는 원거리 이동 시 휠체어 이송문제가 항상 수반되며, 휠체어 이용자가 자립생활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휠체어 이송문제가 최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휠체어 이용자가 자가운전을 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이송문제를 해결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는, 마이카시대가 열리면서 휠체어 이용자가 자가운전을 통한 사회활동의 폭이 넓어지고 있고, 고령화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노약자의 자가운전자 증가하는 추세에 비추어볼 때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안마련이 시급함을 말해주고 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methods require help of others. For a wheelchair user who uses a wheelchair as a direct moving means, the problem of wheelchair transportation always occurs during a long distance travel. In order for a wheelchair user to be able to live independently, However, it is difficult to solve such a transportation problem when the wheelchair user carries out the self-driving.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wheelchair users are widening their social activities through self-driving as the era of the mica era is opened, and it is urgent to find effective alternatives in light of the increasing trend of elderly self-drivers as an aging society comes along .

한편, 상기한 휠체어를 차량에 수납하는 휠체어 수납시스템으로, 크게 탑-루프 호이스트(Top-roof hoist)방식과, 매니퓰레이터 로딩 호이스트(Manipulator loading hoist)방식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 top-roof hoist system and a manipulator loading hoist system as wheelchair storage systems for storing the wheelchair in a vehicle.

이 중 탑-루프 호이스트(Top-roof hoist)방식은 휠체어를 들어 올리고 내리는 장치와 휠체어가 차량의 루프(Roof)에 장착된 수납공간에 모두 수납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경우 차량 루프의 수납공간이 커지게 되어 차량의 외관이 부자연스러울 뿐만 아니라 차량운행 시 공기저항 증가로 인하여 에너지의 손실을 증가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한 탑-루프 호이스트방식에 대한 기술의 예로 미국등록특허 US4,376,611호에 "Car top carrier for wheelchair" 국제공개공보 WO2006/006145호에 'Mechanism for insertion of a wheelchair into a car"가 개시된 바 있다. The top-roof hoist system is a system in which the wheelchair is lifted and lowered and the wheelchair is housed in a storage space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storage space of the vehicle roof is large The appearance of the vehicle is not only unnatural, but also increases the loss of energy due to an increase in air resistance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s an example of the technique for the top-loop hoist system described above, US Pat. No. 4,376,611 entitled " Car top carrier for wheelchair ", WO2006 / 006145 discloses a mechanism for insertion of a wheelchair into a car There is a bar.

반면, 매니퓰레이터 로딩 호이스트(Manipulator loading hoist)방식은 매니퓰레이터가 트렁크에 장착되어 휠체어를 트렁크에 직접 수납하는 것으로 가장 자연스럽고 깨끗해서 사용자가 가장 선화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의 예로 국제공개공보 WO2006/006145호에 'Mechanism for insertion of a wheelchair into a car" 미국등록특허 US4,376,611호에 "Car top carrier for wheelchair"가 개시된 바 있다. On the other hand, a manipulator loading hoist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manipulator is mounted on a trunk and the wheelchair is directly housed in the trunk, which is the most natural and clean method by the user, &Quot; Car top carrier for wheelchair "has been disclosed in U.S. Patent No. 4,376,611.

하지만, 이러한 방식의 경우에는 트렁크에 휠체어를 비롯한 수납장치가 모두 수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트렁크 공간이 어느 정도 확보되어야 하여, 소형세단과 같은 경우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한민국의 경우 장애인을 대상으로 유류비 저감의 혜택을 주기 위하여 LPG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LPG차량의 경우에는 LPG탱크가 트렁크에 내장되기 때문에 상기한 매니퓰레이터 로딩 호이스트방식을 적용하기는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such a case, since the trunk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all of the storage devices including the wheelchair, it is necessary to secure a certain amount of trunk space, which is difficult to apply to a small seda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LPG vehicle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e fuel cost of the handicapped. In such an LPG vehicle, since the LPG tank is embedded in the trunk, the manipulator loading hoist system There is an impossible problem.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장치는, 차량 루프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크기 때문에 외관상 좋지 않고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이용호감도의 저하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공기저항으로 인한 연비저감 등의 문제가 있으며, 트렁크 공간 등을 고려하여 적용되는 차량이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wheelchair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is not good in appearance because of a large space occupied in the vehicle roof, which causes a decrease in fuel consumption due to air resistance, There is a problem that a vehicle applied in consideration of a trunk space and the like is limited.

본 발명은, 차량 루프의 수납공간을 최소화하여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연비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소형세단에서부터 SUV차량까지 적용차량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는 회전관절 호이스트타입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storage space of the vehicle roof to improve the appearance, minimizes the air resistance, and improves the fuel economy.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rotation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rticulated hoist-type vehicle wheelchair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차량 트렁크의 내부에 구비되어 휠체어를 수납 및 인출하는 것으로, 상기 휠체어를 그리핑(Gripping)하여 상기 트렁크로 리프팅하는 리프팅부와, 상기 리프팅부와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가 리프팅되면 상기 휠체어와 상기 리프팅부를 트렁크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휠체어를 트렁크로 수납 및 인출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트렁크 수납장치; 일단부는 차량의 루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휠체어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휠체어가 수납된 상기 휠체어를 견인하여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로부터 상기 휠체어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 및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를 트렁크로 수납 및 인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송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를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로 안착 및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로부터 상기 휠체어를 외부로 견인하도록 상기 이송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리프팅부는 일단부로 상기 상기 휠체어를 선택적으로 그리핑하는 그립부재와, 상기 그립부재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그립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회전관절 호이스트타입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unit provided inside a vehicle trunk for storing and withdrawing a wheelchair and lifting the wheelchair by gripping the wheelchair and lifting the wheelchair by the trunk, And a moving part for slidably moving the lifting part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of the trunk to accommodate and withdraw the wheelchair in the trunk. The one end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wheelchair to move the wheelchair stored in the wheelchair to the trunk storage device or to transfer the wheelchair from the trunk storage device to the outside Conveying means for moving the conveying means;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trunk storage unit to control the storage and withdrawal of the wheelchair in a trunk and to connect the wheelchair to the trunk storage unit and to transfer the wheelchair from the trunk storage unit to the outside, The lifting unit includes a grip member selectively gripping the wheel chair at one end thereof and a control uni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grip member to rotate the grip member by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of a rotary articulated hoist type.

여기서, 상기 리프팅부의 일단부는 상기 그립부재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부는 상기 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회전에 따라 상기 휠체어를 리프팅하는 리프팅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리프팅부재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리프팅부재를 회전 구동시킬 수 있다.The lift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lifting membe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grip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lifting un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oving unit and lifting the wheelchair according to the rotation, The driving unit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lifting member, and can rotate the lifting member by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이동부는, 모터와, 상기 휠체어의 인출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시 상기 볼스크류를 따라 전후 왕복이동하며, 상기 리프팅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The moving unit may include a motor, a ball screw disposed in a direction of drawing the wheelchair and connected to the motor, and a ball screw coupled to the ball screw, the ball screw being reciprocated back and forth along the ball screw when the ball screw rotates,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lifting part.

또한,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는, 차량의 트렁크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트렁크에 휠체어가 수납된 후 상기 휠체어를 클램핑하여 상기 휠체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runk storag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position fixing part which is provided in a trunk of the vehicle and clamps the wheelchair after the wheelchair is received in the trunk to fix the position of the wheelchair.

또한,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는, 상기 트렁크에 상기 휠체어의 수납여부를 인식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상기 휠체어가 트렁크에 수납되면 작동하는 안전장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runk storag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ensing unit that recognizes whether the wheelchair is stored in the trunk or a safety device that operates when the wheelchair is received in the trunk from the sensing unit.

또한,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는, 상기 트렁크의 입구측과 내측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트렁크에 수납 및 인출되는 상기 휠체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trunk storag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guide portion disposed along the entrance side and the inside of the trunk and guiding the wheelchair stored and drawn in the trunk.

한편, 상기 이송수단은, 차량의 루프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납공간에 구비되고, 사용 시에는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휠체어를 이동시키고, 미사용 시에는 상기 수납공간 내에 절첩되어 수용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meantime, the feeding means is provided in a loop of a vehicle and has a housing space formed therein, and is provided in a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When the housing is used, the wheelchair is moved from the housing space to move the wheelchair. And a conveyance portion folded and received in the storage space.

또한, 내부에 상기 휠체어를 수용할 수 있는 휠체어수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에 안착되는 휠체어 캐비닛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wheelchair cabinet is provided with a wheelchair storage space for accommodating the wheelchair, and the wheelchair cabinet is seated on the trunk storage device.

본 발명에 따른 회전관절 호이스트타입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a motor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차량 루프의 수납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외관을 향상시켜 외관상의 단점을 보완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연비저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First, by minimizing the storage space of the vehicle roof,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ppearance, thereby compensating for the apparent disadvantages, and minimizing the air resistance, thereby minimizing fuel consumption reduction.

둘째, 휠체어 수납을 위한 트렁크 필요공간이 적기 때문에 소형세단에서부터 SUV차량까지 적용차량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어 이용자의 차량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Second, since there is less room for trunk space for wheelchair storag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range of applications from small sedans to SUVs, thus widening the choice of users' vehicles.

셋째, 휠체어를 운전석부근에서 트렁크 후미 위치까지 이송하고, 트렁크 내부로 용이하게 수납 및 인출할 수 있어 이용상의 편의를 최대한 제공할 수 있다. Third, the wheelchair can be transferred from the vicinity of the driver's seat to the rear trunk position, and can be easily stored and taken out into the trunk, thereby providing maximum convenience in use.

넷째, 이용 상의 편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 등도 예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이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Fourth, not only convenience of use but also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so that the safety of the user can be guaranteed.

다섯째, 기존의 톱-루프 휠체어 이송매니퓰레이터 호이스트장치가 없이도 여성 또는 노약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어 독립적인 반자동 휠체어 수납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다.Fifth, without a conventional top-loop wheelchair transfer manipulator hoist device, it can be easily utilized by a woman or an elderly person and can be used as an independent semi-automatic wheelchair storag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수납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트렁크 수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휠체어 수납시스템의 제어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트렁크 수납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트렁크 수납장치에 의하여 휠체어가 트렁크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heelchair stor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runk storage apparatus of Fig. 1;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flow of the control unit of the wheelchair storage system of Fig.
Fig. 4 and Fig. 5 are front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trunk receiving apparatus of Fig. 1;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wheelchair is housed in a trunk by the trunk storage device of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관절 호이스트타입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800;이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이라 한다)은, 트렁크 수납장치(100)와, 이송수단(200)과,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1 and 2, a vehicle wheelchair storage system 8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of a rotary articulated hoist ty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unk storage device 100, A conveying unit 200, and a control unit 300. [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는, 차량(10) 트렁크(12)의 내부에 구비되고, 휠체어(20)를 견인한 뒤 상기 휠체어(20;도 4참조)를 트렁크(12)로 수납 및 인출하는 역할을 한다. The trunk storage device 100 is provided inside the trunk 12 of the vehicle 10 and is configured to retract the wheelchair 20 and then store and withdraw the wheelchair 20 It plays a role.

상세하게,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는, 회전관절 호이스트 타입(hoist type)으로 리프팅부(110)와, 이동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리프팅부(110)는, 상기 휠체어(20)를 그리핑(Gripping)하여 상기 트렁크(12)로 리프팅하는 역할을 하며, 링크구조로 이루어진 그립부재(111) 및 리프팅부재(112)와, 구동부(113,114;도 4참조)를 포함한다. In detail, the trunk lid 100 includes a hoisting portion 110 and a moving portion 120 in a hoist type. The lifting unit 110 grips the wheelchair 20 and lifts the wheelchair 20 to the trunk 12 and includes a grip member 111 and a lifting member 112 having a link structure, (See FIG. 4).

상기 그립부재(111)는, 바(Bar)형상으로 일단부로 상기 휠체어(20)를 선택적으로 그리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휠체어(20)를 선택적으로 그리핑할 수 있는 구성으로는 공지의 후크구조나 클램프구조 또는 전기적 마그네틱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grip member 111 can selectively grip the wheelchair 20 at one end in a bar shape. Here,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a known hook structure, a clamp structure, and an electrical magnetic structure can be applied to the structure for selectively gripping the wheelchair 20,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리프팅부재(112)는, 바(Bar)형상으로 일단부는 상기 그립부재(111)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부는 상기 이동부(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양단부에 대한 회전에 따라 상기 휠체어(20)를 리프팅하는 역할을 한다. The lifting member 112 is bar-shaped and has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grip member 111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moving unit 120, And lifts the wheel chair 20 according to the rotation.

상기 구동부(113,114)는, 상기 그립부재(111)의 타단부와, 상기 리프팅부재(112)의 타단부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그립부재(111)와 상기 리프팅부재(112)를 회전 구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driving units 113 and 114 are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grip member 111 and at the other end of the lifting member 112 and are connected to the grip member 111 and the grip member 111 by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300. [ And serves to rotationally drive the lifting member 112.

여기서, 상기 구동부(113,114)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축결합된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그립부재(111)와 상기 리프팅부재(112)와 결합되는 종동기어들을 포함하는 기어부들로 이루어져, 모터의 작동에 따라 상기 기어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그립부재(111)와 상기 리프팅부재(112)의 선회운동을 이끌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상기 구동부(113,114)를 상기한 모터와 웜기어를 포함하는 구성을 실시예로 나타내었지만,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한 구성 외 상기 그립부재(111)와 상기 리프팅부재(112)를 선회축에 대하여 회전구동 시킬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그립부재(111)와 상기 리프팅부재(112)는 각각 하나의 링크로 이루어진 경우를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휠체어(20)의 수납 및 인출 궤적 등 설계에 따라 다관절링크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가능하다. The driving units 113 and 114 include motors, worm gears that are axially coupled to the shaft of the motor, gears that are engaged with the worm gears and include driven gears that are engaged with the grip member 111 and the lifting member 112 So that the gear portion can be rotated to move the grip member 111 and the lifting member 112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motor. In the meantime, although the driving units 113 and 114 include the motors and the worm gears, the driving units 113 and 114 are examples of the driving unit 113 and 114, It is needless to say that various configurations can be applied as long as they are rotatable about the shaft. In addition, although the grip member 111 and the lifting member 112 are each formed of one link,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Various links such as joint links can be applied.

상기 이동부(120)는, 상기 리프팅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20)가 리프팅되면 상기 휠체어(20)와 상기 리프팅부(110)를 트렁크(12)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휠체어(20)를 트렁크(12)의 내측으로 수납 및 외측으로 인출하는 역할을 한다. The moving part 120 is connected to the lifting part 110 to slide the wheelchair 20 and the lifting part 11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trunk 12 when the wheelchair 20 is lifted, And serves to store the wheelchair 20 inside the trunk 12 and pull it outward.

상세하게, 상기 이동부(120)는, 모터(121)와, 볼스크류(122)와, 연결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121)는 상기 볼스크류(122)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연결부(123)가 상기 볼스크류(122)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121)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하며, 회전수제어 등은 안정적인 상기 휠체어(20)의 수납 및 인출속도 등을 고려하여 작동한다. In detail, the moving unit 120 includes a motor 121, a ball screw 122, and a connecting unit 123. The motor 121 rotates the ball screw 122 in the normal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123 can reciprocat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long the ball screw 122. Here, the motor 121 is driven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300, and the rotation speed control and the like are operated in consideration of the storage and retrieval speed of the wheelchair 20.

한편, 상기 이동부(120)는 도면에서 트렁크(12)의 협소함 등을 이유로 상기 모터(121)의 동력을 동력전달부(1211)를 통하여 상기 볼스크류(122)에 전달하는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트렁크(12)공간 등에 따라 상기 모터(121)와 상기 볼스크류(122)가 직접 축연결되어 모터(121)의 동력이 상기 볼스크류(122)로 직접전달되는 구조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나아가, 상기한 모터(121)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전동모터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Although the moving unit 120 transmits the power of the motor 121 to the ball screw 122 through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211 due to the narrowness of the trunk 12, This is because the motor 121 and the ball screw 122 are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pace of the trunk 12 or the like so that the power of the motor 121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ball screw 122 Of course it is. In addi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otor 121 can be applied to a known electric motor,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볼스크류(122)는 상기 휠체어(20)의 인출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모터(121)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이러한 볼스크류(122)는, 상기 휠체어(20)의 크기와 트렁크(12) 공간 등을 고려하여 하나 또는 복수개를 이격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그 배치구조는 상기 휠체어(20)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면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The ball screw 122 is disposed in the pull-out direction of the wheelchair 20 and rotates by receiving a rotational force from the motor 121. One or more of the ball screws 12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wheel chair 20 and the space of the trunk 12. The arrangement may be such that the wheel chair 20 is stably supported If so, a variety of applications are possible.

상기 연결부(123)는, 상기 볼스크류(122)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122)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볼스크류(122)를 따라 전후 왕복이동하고, 상기 리프팅부(110)와 연결되어 상기 리프팅부(110)와 상기 휠체어(20)를 트렁크(12)에 수납 또는 인출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23)는, 원통형상으로 내주면으로 상기 볼스크류(122)와 치합되게 연결되어 이동하는 연결너트와, 상기 연결너트와 상기 리프팅부(110)와 고정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세부구성은 공지의 볼스크류(122)와 너트의 작동 및 구성과 대응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The connection part 123 is reciprocated back and forth along the ball screw 122 in accordance with the normal and reverse rotation of the ball screw 122 and is connected to the lifting part 110, So that the lifting unit 110 and the wheelchair 20 can be stored or taken out from the trunk 12. Here, the connection part 123 includes a connection nut which is connected to the ball screw 122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ball screw 122 as a cylindrical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a fixing part fixedly coupled to the connection nut and the lifting part 110 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it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and configuration of the known ball screw 122 and the nut.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는, 차량(10)의 트렁크(12)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트렁크(12)에 휠체어(20)가 수납된 후 상기 휠체어(20)를 클램핑하여 상기 휠체어(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3, the trunk storage device 100 is provided inside the trunk 12 of the vehicle 10 and stores the wheelchair 20 in the trunk 12, And a position fixing unit 400 for clamping the position of the wheelchair 20 to fix the position of the wheelchair 20.

이와 더불어,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는, 상기 트렁크(12)에 상기 휠체어(20)의 수납여부를 인식하는 감지부(510)와, 상기 휠체어(20)가 트렁크(12)에 수납되면 상기 감지부(5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수납된 상기 휠체어(20)를 클램핑하여 상기 휠체어(20)의 위치를 고정하는 안전장치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unk storage device 100 includes a sensing unit 510 for recognizing whether the wheelchair 20 is stored in the trunk 12, and a controller 50 for, when the wheelchair 20 is stored in the trunk 12, And a safety device 520 for clamping the wheelchair 20 received and receiving signals from the sensing unit 510 to fix the position of the wheelchair 20.

여기서, 상기 감지부(510)는 상기 휠체어(20)가 트렁크(12) 내측까지 수납된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공지의 위치감지센서나, 접촉센서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Here, the sensing unit 510 senses whether the wheelchair 20 is housed in the trunk 12, and may include various known positions, such as a position sensor and a contact sensor, Can be used.

상기 안전장치부(520)는, 휠체어(20)가 수납되면 휠체어(20)의 위치를 고정하여 휠체어(20)의 위치를 유지함은 물론 차량(10) 운행 시에도 흔들림 없이 휠체어(20)를 안전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The safety device 520 can secure the position of the wheelchair 20 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wheelchair 20 when the wheelchair 20 is received and securely hold the wheelchair 20 safely It plays a role of catching.

상기 안전장치부(520)는, 상기 감지부(51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휠체어(20)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엑추에이터, 모터, 와이어 등 다양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장치부(520)는, 상기 휠체어(20)를 클램핑하기 위한 구성으로 작동에 따라 상기 휠체어(20)나 후술되는 캐비닛(700)을 걸 수 있도록 하는 후크구성 또는, 집게형으로 작동에 따라 휠체어(20)나 캐비닛(700)을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구성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safety device 520 has a structure for clamping or unclamping the wheel chair 20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510.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an actuator, a motor, and a wire can be applied. The safety device 520 includes a hook structure for clamping the wheelchair 20 and a hook structure for hooking the wheelchair 20 or a cabinet 700 described below according to an operation, A configuration for clamping or unclamping the wheelchair 20 or the cabinet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한편, 상기 위치고정부(400)와, 상기 감지부(510) 및 상기 안전장치부(520)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방식 또는 상기 제어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위치고정부(400)를 통합 제어하는 방식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부(510)는 상기 제어부(300)로 휠체어(20)의 수납정보를 송신하고, 이에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감지부(510)의 신호를 토대로 상기 안전장치부(520)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In the meantime, a method in which the position fixing unit 400, the sensing unit 510 and the safety device 520 are drive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the control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0, And a method of integrally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400 may be applied. That is, the sensing unit 510 transmits the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wheelchair 20 to the controller 300, and 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safety unit 520 based on the signal of the sensing unit 510, And the like.

여기서, 상기 위치고정부(400)와 상기 안전장치부(520)는, 각각 신호에 따라 상기 휠체어(20)나 후술되는 휠체어 캐비닛(700)을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것으로서, 이는 공지의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클램핑장치 등 다양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position fixing unit 400 and the safety device 520 clamp or unclamp the wheelchair 20 or the wheelchair cabinet 700 according to a signal, And a clamping device that operat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고정부(400)와 상기 안전장치부(520)가 각각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각각이 구동 제어되는 것을 실시예로 나타내었지만, 경우에 따라 상기 위치고정부(400)와 상기 안전장치부(520)가 하나로 통합되어 하나의 구성으로 통합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fixing unit 400 and the safety device unit 520 are configured separately and each is driven and controlled. However, in some cases, And the safety device 520 may be integrated into one unit.

상기 이송수단(200)은, 일단부는 차량(10)의 루프(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휠체어(2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휠체어(20)가 수납된 상기 휠체어(20)를 견인하여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로부터 상기 휠체어(20)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One end of the conveying means 20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of 11 of the vehicle 10 and the other end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wheelchair 20 to rotate the wheelchair 20 To the trunk storage device 100 or to move the wheelchair 20 from the trunk storage device 100 to the outside.

상세하게, 상기 이송수단(200)은, 차량(10)의 루프(11)에 구비되는 하우징(210)과, 상기 하우징(210)에 구비되는 이송부(22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차량(10)의 루프(11)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이송부(220)를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은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이송부(220)의 작동에 따라 개폐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폐작동은 상기 제어부(300)에 의하여 자동식 또는 이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Specifically, the conveying means 200 includes a housing 210 provided in the roof 11 of the vehicle 10 and a conveying unit 220 provided in the housing 210. The housing 210 is provided in the roof 11 of the vehicle 10 and has a storage space therein to house the transfer unit 220. The housing 210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can be opened or clo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transfer unit 220.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can be performed automatically or manually by a user by the control unit 300 .

상기 이송부(220)는, 상기 하우징(210)의 수납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300)에 의하여 사용 시에는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휠체어(20)를 이동시키고, 미사용 시에는 상기 수납공간 내에 절첩되어 수용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220)는, 도시된 바와 같은 다관절구조(회전관절)를 포함하여, 와이어방식, 텔레스코픽 구성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220)는 휠체어(20)와 결합되는 말단부에 그립퍼(Gripper)를 구비하여 휠체어(20)를 용이하게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할 수 있으며, 이러한 그립퍼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공지의 구성이라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The transfer unit 220 is provided in a storage space of the housing 210 and is extended from the storage space to move the wheelchair 20 when the control unit 300 is used by the controller 300. When the storage unit 220 is not used, As shown in Fig. Here, the feeder 220 includes a multi-joint structure (rotating joint) as shown, and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a wire type and a telescopic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Further, the transfer unit 220 may include a gripper at a distal end portion coupled to the wheelchair 20 to easily clamp or unclamp the wheelchair 20.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gripper may be applied to a case where the above- If it can be done, it can be applied to any known configuration.

아울러, 상기 이송수단(2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이송부(220)를 적용할 수도 있지만, 공지의 매니퓰레이터(Manipulater)를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addition, the conveying unit 200 can be applied to the conveying unit 220 as described above, but a well-known manipulator may be applied.

한편, 상기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800)은, 양측이 개구된 대략 박스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휠체어(20)를 수용할 수 있는 휠체어수납공간(701)이 마련되고,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에 안착되는 휠체어 캐비닛(700)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meantime, the vehicle wheelchair storage system 800 is provided with a wheelchair storage space 701 capable of receiving the wheelchair 20 in a substantially box shape having both sides thereof opened, and the wheelchair storage space 701 is provided in the trunk storage device 100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wheelchair cabinet 700 to be seated.

상기 휠체어 캐비닛(700)은, 휠체어(20) 크기를 고려하여 사양측이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상기 휠체어수납공간(701)에 휠체어(20)가 수납되며, 상기 안착부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이송부(220)에 상단부가 클램핑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휠체어 캐비닛(700)의 상단부와 상기 이송부(220)의 단부와의 결합은 전자석을 이용한 탈부착이 바람직하지만, 이 외 다른 클램핑구조의 적용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휠체어(20)는 필요공간의 컴팩트함을 위하여 접이식 휠체어(20)가 바람직하다. The wheelchair cabinet 700 has a box shape in which the specification side is ope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wheelchair 20 and accommodates the wheelchair 20 in the wheelchair storage space 701, And the upper end portion is clamped to the transfer portion 220. [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wheelchair cabinet 700 and the end of the conveyance unit 220 is performed by using an electromagnet, but other clamping structures can be applied. Meanwhile, the wheelchair 20 is preferably a foldable wheelchair 20 for compactness of a necessary space.

나아가, 상기 차량용 휠체어수납시스템(800)은, 상기 휠체어 캐비닛(700)이 리프팅되어 안착될 시 상방지지하여 상기 휠체어 캐비닛(700)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가이드부(600)를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부(600)는 상향 절곡된 대략 'ㄱ'형상으로 상측으로 상기 휠체어 캐비닛(700)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Further, the vehicle wheelchair storage system 800 includes a guide unit 600 for supporting the wheelchair cabinet 700 in a stable manner when the wheelchair cabinet 700 is lifted and seated. The guide part 600 is formed to be upwardly folded so that the wheel chair cabinet 700 can be seated upward.

또한, 상기 차량용 휠체어수납시스템(800)은, 유니버설 디자인을 통하여 우천 시에도 행동능력이 떨어지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빗물받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빗물받이시스템은, 차량(10)의 루프(11)에 설치되는 수납박스를 지지하는 루프렉 하부공간을 활용하여 플레이드 형의 판이 액추에이터에 의해 휠체어 탑승자가 운전석 옆에 위치하는 상부에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 상기 빗물받이시스템은 플렉시블한 소재를 여러 겹으로 접어진 주름소재를 활용하여 수평방향 또는 부채처럼 회전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vehicle wheelchair storage system 800 may include a rainwater collecting system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by a user whose behavior is poor even in a rainy day through a universal design. Here, the rainwater collecting system is constructed such that the plate-shaped plate is protrud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heelchair occupant by the actuator utilizing the roof space for supporting the storage box installed in the roof 11 of the vehicle 10 Can be configured. In another embodiment, the rainwater collecting system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flexible material can be expan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a fan-like direction using a folded wrinkle material.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와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20)를 트렁크(12)로 수납 및 인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송수단(200)과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20)를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로 안착 및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로부터 상기 휠체어(20)를 외부로 견인하도록 상기 이송수단(200)을 구동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위치고정부(400)를 구동제어하고, 상기 감지부(510)로부터 휠체어(20)의 수납상태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안전장치부(520)를 구동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300)는, 차량(10)의 ECU와 연계하여 차량의 통합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trunk storage unit 100 to control the wheelchair 20 to be received and taken out by the trunk 12 and connected to the conveying unit 200 to rotate the wheelchair 20 And controls the conveying means 200 to retract the wheelchair 20 from the trunk storage device 100 to the outside. The control unit 300 drives and controls the position fixing unit 400 and senses the housed state signal of the wheelchair 20 from the sensing unit 510 to control the safety unit 520 have. Further, the control unit 300 may enable the integrated control of the vehicle in conjunction with the ECU of the vehicle 10. [

도 4 및 도 5는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으로,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휠체어(20)가 수납된 휠체어 캐비닛(700)이 상기 이송수단(200)에 의하여 트렁크 후미에 위치하면,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의 리프팅부(110)의 그립부재(111)에 클램핑된다. 그런 다음에는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휠체어 캐비닛(700)이 트렁크(12)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113,114)에 의하여 상기 리프트부재(112)와 상기 그립부재(111)가 선회하면서 상기 휠체어 캐비닛(700)이 트렁크(12)측으로 들어 올려지고, 이와 동시에 상기 이동부(120)에 의하여 상기 휠체어 캐비닛(700)이 트렁크(12)의 내측으로 수납되게 한다. 이렇게 트렁크(12)에 수납된 상기 휠체어 캐비닛(700)은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트렁크(12)에 컴팩트하게 수납된다. 4 and 5 illustrate the operation of the trunk storage device 100. Referring first to FIG. 4, the wheelchair cabinet 700, in which the wheelchair 20 is housed, And is clamped to the grip member 111 of the lifting portion 110 of the trunk storage device 100 when it is positioned at the rear end. The lift member 112 and the grip member 111 are rotated by the driving units 113 and 114 so that the wheelchair cabinet 700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trunk 12 as shown in FIG. The wheelchair cabinet 700 is lifted to the side of the trunk 12 while the wheelchair cabinet 700 is retracted to the inside of the trunk 12 by the moving part 120 at the same time. The wheelchair cabinet 700 housed in the trunk 12 is accommodated compactly in the trunk 12 as shown in FIG.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용 휠체어수납시스템(800)은, 차량(10) 루프(11)에는 이송수단(200)만을 장착하여 루프(11)의 수납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기저항 등을 저감하여 연비개선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휠체어(20)는 트렁크(12)에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트렁크(12)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휠체어(20)의 최적의 수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휠체어수납시스템(800)은, 운전석으로부터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까지 보조자의 도움 없이도 휠체어의 이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휠체어 이용자의 자립생활 및 직업적 재활의 기회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wheelchair storage system 8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only the transfer means 200 is mounted on the roof 11 of the vehicle 10 to minimize the storage space of the roof 11, And the wheelchair 20 can be accommodated in the trunk 12 to maximize the space of the trunk 12 and achieve optimal storage of the wheelchair 20. [ In addition, since the vehicle wheelchair storage system 800 can transfer the wheelchair from the driver's seat to the trunk storage device 100 without the assistance of the assistant,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opportunities for self-reliance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of the wheelchair user.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트렁크 수납장치 110... 리프팅부
111... 그립부재 112... 리프팅부재
113,114... 구동부 120... 이동부
121... 모터 1211.. 동력전달부
122... 볼스크류 123... 연결부
200... 이송수단 210... 하우징
220... 이송부 300... 제어부
400... 위치고정부 510... 감지부
520... 안전장치부 700... 캐비닛
800... 휠체어 수납시스템
100 ... trunk storage device 110 ... lifting part
111 ... grip member 112 ... lifting member
113, 114, ..., a driving unit 120,
121 ... Motor 1211 .. Power transmission unit
122 ... ball screw 123 ... connection
200 ... transfer means 210 ... housing
220 ... transfer unit 300 ... control unit
400 ... position fixing unit 510 ... sensing unit
520 ... Safety device part 700 ... cabinet
800 ... wheelchair storage system

Claims (5)

차량 트렁크의 내부에 구비되어 휠체어를 수납 및 인출하는 것으로, 상기 휠체어를 그리핑(Gripping)하여 상기 트렁크로 리프팅하는 리프팅부와, 상기 리프팅부와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가 리프팅되면 상기 휠체어와 상기 리프팅부를 트렁크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휠체어를 트렁크로 수납 및 인출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트렁크 수납장치;
일단부는 차량의 루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휠체어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를 견인하여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로부터 상기 휠체어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 및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를 트렁크로 수납 및 인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송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를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로 안착 및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로부터 상기 휠체어를 외부로 견인하도록 상기 이송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리프팅부는,
일단부로 상기 상기 휠체어를 선택적으로 그리핑하는 그립부재와,
상기 그립부재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그립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회전관절 호이스트타입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
A lifting unit provided inside the vehicle trunk for receiving and withdrawing a wheelchair to lift the lifting unit by gripping the wheelchair and lifting the wheelchair by the trunk; and a lifting unit connected to the lifting unit to lift the wheelchair and the lifting unit, A trunk storage device including a moving part slidably mov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of the trunk to store and draw the wheelchair into and out of the trunk;
The one end portion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and the other end portion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wheelchair to move the wheelchair to the trunk storage device or to transfer the wheelchair from the trunk storage device to the outside, ; And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trunk storage unit to control the wheelchair to be received and taken out by a trunk, to connect the wheelchair to the trunk storage unit and to draw the wheelchair from the trunk storage unit to the outside,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motor,
The lifting unit includes:
A grip member for selectively gripping the wheelchair at one end,
And a driving uni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grip member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grip member by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부는,
일단부는 상기 그립부재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부는 상기 이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회전에 따라 상기 휠체어를 리프팅하는 리프팅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리프팅부재의 타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리프팅부재를 회전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관절 호이스트타입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fting unit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lifting membe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grip member at one end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moving unit at the other end to lift the wheelchair as the wheel rotates,
The driving unit includes:
Wherein the lifting member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lifting member and rotates and drives the lifting member by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모터와,
상기 휠체어의 인출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시 상기 볼스크류를 따라 전후 왕복이동하며, 상기 리프팅부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휠체어 수납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ving unit includes:
A motor,
A ball screw dispo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heelchair is drawn out and connected to the motor and rotating,
And a connecting part coupled to the ball screw and reciprocating back and forth along the ball screw when the ball screw rotates, and connected to the lifting par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차량의 루프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납공간에 구비되고, 사용 시에는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휠체어를 이동시키고, 미사용 시에는 상기 수납공간 내에 절첩되어 수용되는 이송부를 포함하는 회전관절 호이스트타입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veying means
A housing provided in a roof of the vehicle and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nd a transporting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and extending from the storage space to move the wheelchair when in use and folded and received in the storage space when not in us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휠체어를 수용할 수 있는 휠체어수납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에 안착되는 휠체어 캐비닛을 더 구비하는 회전관절 호이스트타입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Further comprising a wheelchair cabinet in which a wheelchair accommodating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wheelchair is provided therein and which is seated in the trunk storage device.
KR1020140108701A 2014-08-21 2014-08-21 Rotary joint hoist type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vehicle KR1016203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701A KR101620306B1 (en) 2014-08-21 2014-08-21 Rotary joint hoist type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701A KR101620306B1 (en) 2014-08-21 2014-08-21 Rotary joint hoist type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940A KR20160023940A (en) 2016-03-04
KR101620306B1 true KR101620306B1 (en) 2016-05-24

Family

ID=55535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701A KR101620306B1 (en) 2014-08-21 2014-08-21 Rotary joint hoist type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030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06069A (en) * 2017-01-19 2017-06-09 常州中进医疗器材有限公司 A kind of vehicle-mounted wheelchair storage robot control system(RC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4038A (en) * 1998-07-12 2000-01-25 Masakazu Shimomura Care lift for automobile
JP2000308656A (en) 1999-04-28 2000-11-07 Kyoritsu Sangyo Kk Storing device for wheelchair
WO2006006145A1 (en) 2004-07-14 2006-01-19 Alexander Krichevsky Mechanism for insertion of a wheelchair into a car
US20070189885A1 (en) * 2006-02-14 2007-08-16 Madormo Anthony J Assist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4038A (en) * 1998-07-12 2000-01-25 Masakazu Shimomura Care lift for automobile
JP2000308656A (en) 1999-04-28 2000-11-07 Kyoritsu Sangyo Kk Storing device for wheelchair
WO2006006145A1 (en) 2004-07-14 2006-01-19 Alexander Krichevsky Mechanism for insertion of a wheelchair into a car
US20070189885A1 (en) * 2006-02-14 2007-08-16 Madormo Anthony J Assis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940A (en) 2016-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8841B2 (en) Retractable overhead charging cord dispenser for vehicles
US9353566B2 (en) Power door actuation system
EP1873535A1 (en) A self-propelled inspection apparatus
JP2010196338A (en) Mechanical parking device provided with charging function
KR101620306B1 (en) Rotary joint hoist type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vehicle
KR101649731B1 (en)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vehicles using telescopic type manipulator
JP5122344B2 (en) Conveying apparatus and conveying method
CA1143702A (en) Wheel chair hoist assembly for vehicles
KR101590390B1 (en) Slide lift type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vehicle
KR101619111B1 (en)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vehicles using joint type manipulator
JP2009153599A (en) Wheelchair storing device for automobile
CN107227704A (en) A kind of electric vehicle position lock
CN211364898U (en) Foldable marine propeller
JP2000108770A (en) Wheelchair storing device for automobile
CN208577152U (en) Interior item transfer device and vehicle
CN210912221U (en) Automobile with a detachable front cover
WO2009140714A9 (en) Vehicle mounted, wheelchair boarding apparatus
CN107539364A (en) One kind building environmentally friendly new energy vehicle in municipal gardens
US20190142659A1 (en) Loading system
CN210335983U (en) Manipulator for chuck clamping slot pushing machine
CN110421398A (en) Push and pull clamp system
CN205540973U (en) Car is with getting card ware
US20220241121A1 (en) Lifting mechanism for a foldable ramp for wheelchair access to a passenger car rear door and foldable ramp
KR20150041833A (en) An Apparatus for Common Contents
CN208575881U (en) Mechanical arm and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