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390B1 - Slide lift type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lide lift type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390B1
KR101590390B1 KR1020140108702A KR20140108702A KR101590390B1 KR 101590390 B1 KR101590390 B1 KR 101590390B1 KR 1020140108702 A KR1020140108702 A KR 1020140108702A KR 20140108702 A KR20140108702 A KR 20140108702A KR 101590390 B1 KR101590390 B1 KR 101590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trunk
vehicle
modul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87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순용
임구
김용석
여찬호
박정현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든모터스 (주)
주식회사유창파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든모터스 (주), 주식회사유창파워텍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08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39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3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3/00Ambulance aspects of vehicles; Vehicle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transpor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r their personal conveyances, e.g. for facilitating access of, or for loading, wheelchairs
    • A61G3/02Loading or unloading personal conveyances; Facilitating access of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or exit from, vehicles
    • A61G3/06Transfer using ramps, lif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lift type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comprising: a trunk receiving device disposed in a forward/backward direction from an entrance to an inner side of the inside of a vehicle trunk, allowing a wheelchair to be installed therein, and slidably moving the wheelchair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of the trunk to receive the wheelchair into or draw the wheelchair out of the trunk; a hoist device having one end thereof rotatably connected to a roof of the vehicle and the other end thereof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wheelchair, to tow the wheelchair to the trunk receiving device or outwardly move the wheelchair from the trunk receiving device;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trunk receiving device to control the wheelchair to be received into or drawn out of the trunk, and connected to the hoist device to control the hoist device to install the wheelchair to the trunk receiving device or outwardly tow the wheelchair from the trunk receiving device. Thus, since a receiving space of the vehicle roof is minimized, an outer appearance can be enhanced, and since air resistance is minimized, fuel efficiency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since a trunk space required for receiving the wheelchair is reduced, an application vehicle range can be widened from a small sedan to an SUV vehicle, extending users′ vehicle selection.

Description

슬라이드 리프트타입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 {Slide lift type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vehicle}[0001] Slide lift type wheelchair storage system [0002]

본 발명은 슬라이드 리프트타입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루프의 설치공간을 최소화하여 외관향상은 물론 공기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차량의 트렁크를 수납공간으로 활용하여 최적의 휠체어 수납을 이룰 수 있는 슬라이드 리프트타입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ide lift type vehicle wheelchair storag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de wheel lift type vehicle wheelchair storage system that minimizes an installation space of a vehicle roof to reduce air resistance as well as appeara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ide-lift type vehicle wheelchair storage system capable of storing wheelchairs.

일반적으로 휠체어 이용자는 휠체어를 직접적인 이동수단으로 이용하게 되므로 원거리 이동 시에는 휠체어 이송문제가 항상 수반되며, 이에, 버스나 지하철, 택시 등으로 이동을 하는 경우에는 휠체어에 탑승한 채로 이동하거나 운전기사의 도움을 받아 해결하거나, 자가운전의 경우에는 동승자나 타인에 의존하여 휠체어 이송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Generally, a wheelchair user uses a wheelchair as a direct means of transportation. Therefore, in case of a long distance travel, the problem of transferring a wheelchair is always accompanied. Therefore, when moving to a bus, a subway, or a taxi, In the case of self-driving, the driver relies on the passenger or others to solve the wheelchair transfer problem.

그런데, 상기한 방법들은 타인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서, 휠체어를 직접적인 이동수단으로 이용하는 휠체어 이용자에게는 원거리 이동 시 휠체어 이송문제가 항상 수반되며, 휠체어 이용자가 자립생활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휠체어 이송문제가 최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휠체어 이용자가 자가운전을 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이송문제를 해결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는, 마이카시대가 열리면서 휠체어 이용자가 자가운전을 통한 사회활동의 폭이 넓어지고 있고, 고령화 사회가 도래함에 따라 노약자의 자가운전자가 증가하는 추세에 비추어볼 때 이에 대한 효과적인 대안마련이 시급함을 말해주고 있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methods require help of others. For a wheelchair user who uses a wheelchair as a direct moving means, the problem of wheelchair transportation always occurs during a long distance travel. In order for a wheelchair user to be able to live independently, However, it is difficult to solve such a transportation problem when the wheelchair user carries out the self-driving.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wheelchair users are widening their social activities by self-driving as the age of the mica is opened, and it is urgent to find effective alternatives in the light of the increasing trend of the self-driver of the elderly as the aging society comes have.

한편, 상기한 휠체어를 차량에 수납하는 휠체어 수납시스템으로, 크게 탑-루프 호이스트(Top-roof hoist)방식과, 매니퓰레이터 로딩 호이스트(Manipulator loading hoist)방식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 top-roof hoist system and a manipulator loading hoist system as wheelchair storage systems for storing the wheelchair in a vehicle.

이 중 탑-루프 호이스트(Top-roof hoist)방식은 휠체어를 들어 올리고 내리는 장치와 휠체어가 차량의 루프(Roof)에 장착된 수납공간에 모두 수납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경우 차량 루프의 수납공간이 커지게 되어 차량의 외관이 부자연스러울 뿐만 아니라 차량운행 시 공기저항 증가로 인하여 에너지의 손실을 증가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한 탑-루프 호이스트방식에 대한 기술의 예로 미국등록특허 US4,376,611호에 "Car top carrier for wheelchair"와, 국제공개공보 WO2006/006145호에 'Mechanism for insertion of a wheelchair into a car"가 개시된 바 있다. The top-roof hoist system is a system in which the wheelchair is lifted and lowered and the wheelchair is housed in a storage space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In this case, the storage space of the vehicle roof is large The appearance of the vehicle is not only unnatural, but also increases the loss of energy due to an increase in air resistance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s an example of the above-described technology for the top-loop hoist system, US Patent No. 4,376,611 entitled " Car top carrier for wheelchair "and International Publication WO 2006/006145 for 'Mechanism for insertion of a wheelchair into a car' Have been disclosed.

반면, 매니퓰레이터 로딩 호이스트(Manipulator loading hoist)방식은 매니퓰레이터가 트렁크에 장착되어 휠체어를 트렁크에 직접 수납하는 것으로 가장 자연스럽고 깨끗해서 사용자가 가장 선화하는 방식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의 예로 국제공개공보 WO2006/006145호에 'Mechanism for insertion of a wheelchair into a car" 및 미국등록특허 US4,376,611호에 "Car top carrier for wheelchair"가 개시된 바 있다. On the other hand, a manipulator loading hoist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manipulator is mounted on a trunk and the wheelchair is directly housed in the trunk, which is the most natural and clean method by the user, &Quot; Mechanism for insertion of a wheelchair into a car " in U.S. Patent Application Serial No. 6,001,602, and 'Car top carrier for wheelchair' in U.S. Patent No. 4,376,611.

하지만, 이러한 방식의 경우에는 트렁크에 휠체어를 비롯한 수납장치가 모두 수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트렁크 공간이 어느 정도 확보되어야 하여, 소형세단과 같은 경우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대한민국의 경우 장애인을 대상으로 유류비 저감의 혜택을 주기 위하여 LPG차량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LPG차량의 경우에는 LPG탱크가 트렁크에 내장되기 때문에 상기한 매니퓰레이터 로딩 호이스트방식을 적용하기는 거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such a case, since the trunk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all of the storage devices including the wheelchair, it is necessary to secure a certain amount of trunk space, which is difficult to apply to a small seda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LPG vehicle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e fuel cost of the handicapped. In such an LPG vehicle, since the LPG tank is embedded in the trunk, the manipulator loading hoist system There is an impossible problem.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장치는, 차량 루프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크기 때문에 외관상 좋지 않고 이에 따라 사용자로 하여금 이용호감도의 저하요인으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공기저항으로 인한 연비저감 등의 문제가 있으며, 트렁크 공간 등을 고려하여 적용되는 차량이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ventional wheelchair storage device for a vehicle is not good in appearance because of a large space occupied in the vehicle roof, which causes a decrease in fuel consumption due to air resistance, There is a problem that a vehicle applied in consideration of a trunk space and the like is limited.

본 발명은, 차량 루프의 수납공간을 최소화하여 외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연비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은 물론, 소형세단에서부터 SUV차량까지 적용차량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리프트타입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storage space of the vehicle roof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vehicle roof, minimizes the air resistance and improves the fuel economy, as well as enhances the slidability of the vehicle from the small sedan to the SUV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ft type vehicle wheelchair storage system.

본 발명은, 차량 트렁크의 내부에 구비되어 휠체어를 수납 및 인출하는 것으로, 상기 휠체어를 선택적으로 그리핑하고 제1도킹부가 구비된 클램핑모듈과, 상기 클램핑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클램핑모듈을 승하강 시키는 리프팅모듈과, 차량 트렁크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리프팅모듈이 안착되어 상기 리프팅모듈과 휠체어를 트렁크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트렁크에 수납 및 인출하는 이송모듈을 포함하는 트렁크 수납장치; 일단부는 차량의 루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도킹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도킹부를 구비하여 상기 클램핑모듈과 상기 휠체어를 이동시키는 호이스트장치; 및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를 트렁크로 수납 및 인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호이스트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를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로 안착 및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로부터 상기 휠체어를 외부로 견인하도록 상기 호이스트장치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리프트타입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amping apparatus for clamping a wheelchair, comprising a clamping module provided inside a vehicle trunk for receiving and withdrawing a wheelchair, the clamping module having a first docking portion selectively grasping the wheelchair, A trunk storage device including a lifting module and a transport module disposed in a back and forth direction in a vehicle trunk and having the lifting module mounted thereon to slidably move the lifting module and the wheelchair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trunk to store and retrieve the trunk in a trunk; A hoist device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a roof of the vehicle and the other end having a second docking part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docking part to move the clamping module and the wheelchair;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trunk storage unit to control the storage and withdrawal of the wheelchair in a trunk and to connect the wheelchair to the trunk storage unit and to connect the wheelchair to the hoist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slide-lift type vehicle wheelchair storage system.

여기서, 상기 이송모듈은, 일단부에 상기 리프팅모듈을 회전시킨 후 안착시키는 회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는, 일단부와 상기 리프팅모듈의 하단부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와, 상기 리프팅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리프팅모듈이 회전하면서 안착될 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를 포함한다. Here, the convey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unit that rotates the lifting module at one end and seats the lifting module, wherein the rotation unit includes: a hinge unit for coupling the one end and the lower end of the lifting module to each other so as to be rotatable; And an absorber connected to the module for absorbing impact when the lifting module is seated while rotating.

이때, 상기 흡수부는, 일단부가 상기 리프팅모듈에 연결되고 실린더-피스톤 타입의 가스 업소버와, 와이어모터와, 일단부는 와이어모터에 연결되어 권취되고 타단부는 상기 리프팅모듈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리프트와이어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absorber includes a cylinder-piston type gas absorber, a wire motor, one end connected to the lifting module, one end connected to the wire moto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ifting module And a lift wire.

또한, 상기 이송모듈은, 모터와, 상기 휠체어의 인출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 시 상기 볼스크류를 따라 전후 왕복이동하며, 상측으로 상기 휠체어가 안착되고 상기 리프팅모듈이 연결되는 안착부를 포함한다.The conveying module may include a motor, a ball screw disposed in a direction of drawing the wheelchair and connected to the motor, and a ball screw coupled to the ball screw to reciprocate back and forth along the ball screw when the ball screw rotates And a seating part on which the wheelchair is seated upward and to which the lifting module is connected.

또한, 상기 호이스트장치는, 차량의 루프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납공간에 구비되고, 사용 시에는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휠체어를 이동시키고, 미사용 시에는 상기 수납공간 내에 절첩되어 수용되는 매니퓰레이터와, 상기 매니퓰레이터의 노출단부에 구비되고, 단부에 상기 제2도킹부가 구비되며, 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클램핑모듈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hoist apparatus includes a housing provided in a loop of a vehicle and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nd is provided in a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When the hoist apparatus is in use, the hoist apparatus moves from the storage space to move the wheelchair, And a lifting portion for lifting the clamping module up and down by a driving portion, the lifting portion being provided at an exposed end of the manipulator and having the second docking portion at an end thereof.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리프트타입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e slide-lift type vehicle wheelchair stor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차량 루프의 수납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외관을 향상시켜 외관상의 단점을 보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기저항을 최소화하여 연비저감을 최소화할 수 있다. First, by minimizing the storage space of the vehicle roof,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appearance, thereby compensating for the apparent disadvantages, and minimizing the air resistance, thereby minimizing fuel consumption reduction.

둘째, 휠체어 수납을 위한 트렁크 필요공간이 적기 때문에 소형세단에서부터 SUV차량까지 적용차량 범위를 확대시킬 수 있어 이용자의 차량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다. Second, since there is less room for trunk space for wheelchair storage,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range of applications from small sedans to SUVs, thus widening the choice of users' vehicles.

셋째, 휠체어를 운전석부근에서 트렁크 후미 위치까지 이송하고, 트렁크 내부로 용이하게 수납 및 인출할 수 있어 이용 상의 편의를 최대한 제공할 수 있다. Third, the wheelchair can be transferred from the vicinity of the driver's seat to the rear trunk position, and can be easily stored and taken out into the trunk, thereby providing maximum convenience in use.

넷째, 이용 상의 편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 등도 예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이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다. Fourth, not only convenience of use but also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so that the safety of the user can be guaranteed.

다섯째, 기존의 톱-루프 휠체어 이송매니퓰레이터 호이스트장치가 없이도 여성 또는 노약자가 쉽게 활용할 수 있어 독립적인 반자동 휠체어 수납시스템으로 사용할 수 있다.Fifth, without a conventional top-loop wheelchair transfer manipulator hoist device, it can be easily utilized by a woman or an elderly person and can be used as an independent semi-automatic wheelchair storage syste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리프트타입의 휠체어 수납시스템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트렁크 수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어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트렁크 수납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showing a slide-lift type wheelchair stor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runk storage apparatus of Fig. 1;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flow of the control unit of FIG.
Figs. 4 to 6 are front views show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trunk storage device of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리프트타입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600;이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이라 한다)은, 트렁크 수납장치(100)와, 호이스트장치(200)와,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1 and 2, a slide-lift type vehicle wheelchair storage system 6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unk storage device 100, An apparatus 200, and a control unit 300.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는, 차량 트렁크(12) 내부의 입구측에서 내측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휠체어(20)가 안착되어, 상기 휠체어(20)를 트렁크(12)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휠체어(20)를 트렁크(12)로 수납 및 인출하는 역할을 한다. The trunk storage device 100 is arrang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long the inner side at the entrance side inside the vehicle trunk 12 and the wheelchair 20 is seated so that the wheelchair 20 can be mov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trunk 12 So that the wheelchair 20 can be received and taken out by the trunk 12.

상세하게,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는, 클램핑모듈(110)과, 리프팅모듈(120)과, 이송모듈(130)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모듈(110)은, 상기 휠체어(20)의 이송을 위해 휠체어(20)를 그립하고 고정하는 장치로서, 상기 휠체어(20)를 선택적으로 그리핑하기 위한 제1도킹부(112)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클램핑모듈(110)은 공지의 토글 클램프를 적용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In detail, the trunk lid 100 includes a clamping module 110, a lifting module 120, and a conveying module 130. The clamping module 110 is a device for gripping and fixing the wheelchair 20 for transferring the wheelchair 20 and includes a first docking part 112 for selectively gripping the wheelchair 20 . Here, the clamping module 110 may be a known toggle clamp,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리프팅모듈(120)은, 상기 클램핑모듈(110)과 연결되어 상기 클램핑모듈(110)을 승하강 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리프팅모듈(120)은 승하강 슬라이더(122)를 포함하며, 리니어 부싱, 샤프트, 볼스크류에 의하여 구동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lifting module 120 is connected to the clamping module 110 to move up and down the clamping module 110. The lifting module 120 includes a lifting slider 122 and can be driven by a linear bushing, a shaft, and a ball screw,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이송모듈(130)은, 차량 트렁크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리프팅모듈(120)이 안착되어 상기 리프팅모듈(120)과 휠체어(20)를 트렁크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트렁크에 수납 및 인출하는 역할을 한다. The transport module 130 is dispos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in the vehicle trunk and the lifting module 120 is seated to slidably move the lifting module 120 and the wheelchair 2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trunk, It takes the role of withdrawing.

상세하게, 상기 이송모듈(130)은, 모터(132)와, 볼스크류(133)와, 안착부(134)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132)는, 상기 볼스크류(133)를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안착부(134)가 상기 볼스크류(133)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한다. In detail, the transfer module 130 includes a motor 132, a ball screw 133, and a seating part 134. The motor 132 rotates the ball screw 133 in the normal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so that the seating part 134 can reciprocate along the ball screw 133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또한, 상기 모터(132)는, 상기 제어부(3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하며, 회전수제어 등은 안정적인 상기 휠체어(20)의 수납 및 인출속도 등을 고려하여 작동한다. 한편, 상기한 모터(13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공지의 전동모터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motor 132 is driven in accordance with a signal received from the controller 300, and the rotation speed control and the like operate stably in consideration of the storage and retrieval speed of the wheelchair 20. Meanwhile, a known electric motor can be used fo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motor 132,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볼스크류(133)는, 상기 휠체어(20)의 인출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모터(132)와 연결되어 회전한다.The ball screw 133 is disposed in the pull-out direction of the wheelchair 20 and connected to the motor 132 to rotate.

상기 볼스크류(133)는, 상기 휠체어(20)의 인출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모터(132)와 연결되어 회전한다. 여기서, 상기 볼스크류(133)는 상기 트렁크(12)의 입구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어 휠체어(20)의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볼스크류(133)는 상기 휠체어(20)의 크기와 트렁크(12) 공간 등을 고려하여 하나 또는 복수개를 이격되게 설치할 수 있으며, 그 배치구조는 상기 휠체어(20)가 상기 안착부(134)에 의하여 안착된 후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면 다양하게 적용가능하다. The ball screw 133 is disposed in the pull-out direction of the wheelchair 20 and connected to the motor 132 to rotate. Here, the ball screw 133 is preferably inclined downward from the entrance side of the trunk 12 toward the inside, so that the wheelchair 20 can be easily stored and taken out. The ball screw 13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wheelchair 20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wheelchair 20 and the space of the trunk 12, 134) and can be stably supported without shaking.

상기 안착부(134)는, 상기 볼스크류(133)와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133)의 회전 시 상기 볼스크류(133)를 따라 전후 왕복이동하며, 상측으로 상기 휠체어(20)가 안착되고 상기 리프팅모듈(120)이 연결된다.The seat part 134 is coupled with the ball screw 133 and reciprocates back and forth along the ball screw 133 when the ball screw 133 rotates. The wheelchair 20 is seated upward, The lifting module 120 is connected.

이때, 상기 안착부(134)는, 상기 차량 트렁크의 입구에서 내측으로 5ㅀ내지 7ㅀ범위로, 바람직하게는 6ㅀ의 경사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트렁크 공간에 대하여 최적의 활용도를 얻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 portion 134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entrance of the vehicle trunk to the inside of the vehicle trunk in the range of 5 to 7 degrees, preferably 6 degrees, so as to obtain optimum utilization for the trunk space .

상기 안착부(134)는, 상기 볼스크류(133)와 나사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133)의 정역회전 시 상기 볼스크류(133)를 따라 전후 왕복이동하며, 상측으로는 상기 휠체어(20)가 안착된다.The seating part 134 is reciprocated back and forth along the ball screw 133 when the ball screw 133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while being screwed with the ball screw 133 and the wheelchair 20 Lt; / RTI >

상세하게, 상기 안착부(134)는, 우선 전후방향으로 관통되어 내주면으로 상기 볼스크류(133)가 삽입되며, 내주면에 상기 볼스크류(133)와 치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134)는 상면이 상기 휠체어(20)나 후술되는 휠체어 캐비닛이 안정적으로 안착되어 상방 지지할 수 있도록 상면이 평편한 지지면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134)의 상면에 상기 휠체어(2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지지플레이트(132)가 결합될 수 있다. In detail, the seating part 134 is first passed through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inserted into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ll screw 133,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34 is formed with a through-hole having a screw thread engaging with the ball screw 133. In addition, the seating portion 134 preferably has a support surface whose upper surface is flat so that the wheelchair 20 or the wheelchair cabinet described later can be stably stood and supported upward. However, as shown in the figure, the support plate 132, which can more stably support the wheelchair 2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134.

한편, 상기 안착부(134)는, 상기 볼스크류(133)의 정역회전 시 상기 볼스크류(133)에 대하여 공전하지 않고 상기 휠체어(20)를 상방 지지한 상태로 전후 왕복이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에 대한 세부구성은 공지의 볼스크류(133)와 너트의 작동 및 구성과 대응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The seat portion 134 is configured to reciprocate back and forth in a state of supporting the wheel chair 20 upward without revolving against the ball screw 133 when the ball screw 133 rotates forward and backward And the detailed configuration thereof will be omitted since it corresponds to the operation and configuration of the known ball screw 133 and the nut.

나아가,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는 상기 모터(132)와, 볼스크류(133)와, 안착부(134)를 지지하는 지지부(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미도시)는 상기한 구성들을 상방 지지할 수 있는 플레이트구조 또는 지지바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골조구조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가능하다. Further, the trunk storage device 100 preferably includes a motor 132, a ball screw 133, and a support (not shown) for supporting the seat 134. The support portion (not shown) may have various configurations as long as it can achieve the above object, such as a frame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the above structures upwardly or a frame structure composed of a combination of support bars.

여기서, 상기 이송모듈(130)은, 일단부에 상기 리프팅모듈(120)을 회전시킨 후 안착시키는 회전부(131)를 더 구비하여, 휠체어(20)의 수납 및 역수납 시 휠체어(20)를 회전시키도록 하여 차량 트렁크에 보다 효율적으로 수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131)는 휠체어(20)의 자중을 활용하여 회전되도록 하여 작은 힘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The feeding module 130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unit 131 that rotates the lifting module 120 at one end to seat the wheelchair 20 and rotates the wheelchair 20 when the wheelchair 20 is stored and reversely housed. So that the vehicle trunk can be stored more efficiently. Here, the rotation part 131 is rotated using the self weight of the wheelchair 20, and can rotate with a small force.

상세하게, 상기 회전부(131)는, 힌지부(1311)와, 흡수부(1312)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1311)는, 일단부와 상기 리프팅모듈(120)의 하단부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 공지의 힌지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Specifically, the rotation unit 131 includes a hinge unit 1311 and an absorption unit 1312. The hinge portion 1311 has one end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ifting module 120 pivotally coupled to each other, and a known hinge shaft may be us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흡수부(1312)는, 상기 리프팅모듈(120)과 연결되어 상기 리프팅모듈(120)이 회전하면서 안착될 시 상기 리프팅모듈(120)이 회전할 때 자중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급속히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충격을 흡수하고 안정적인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The absorbing part 1312 is connected to the lifting module 120 to prevent the lifting module 120 from instantly rotating rapidly due to its own weight when the lifting module 120 is rotated while the lifting module 120 is rotated. And at the same time absorbs the impact and enables stable rotation.

상세하게, 상기 흡수부(1312)는, 일단부가 상기 리프팅모듈(120)에 연결되는 가스 업소버(1313)와, 리프트와이어(13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스 업소버(13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피스톤 타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가능하다. Specifically, the absorber 1312 includes a gas absorber 1313 and a lift wire 1314,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lifting module 120. Here, the gas absorber 1313 is a cylinder-piston type as shown in FIG. 14, which is a preferred embodiment, and various configurations are applicable as long as the above objects can be achieved.

상기 리프트 와이어(1314)는, 와이어모터(1315)에 의하여 권취되거나 권출되며, 공지의 소형 윈치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으며, 자중을 활용하여 작은 힘으로도 회전이 되도록 할 수 있다. The lift wire 1314 is wound or unwound by a wire motor 1315, a known small winch system can be applied, and the lift wire 1314 can be rotated by a small force using its own weight.

또한,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트렁크(12)의 입구측과 내측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트렁크(12)에 수납 및 인출되는 상기 휠체어(2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휠체어(20)의 하측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휠체어(20)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The trunk storage device 100 further includes a guide portion which is disposed along the entrance side and the inside of the trunk 12 and guides the wheelchair 20 stored and withdrawn into the trunk 12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guide rail may be a guide rail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side of the wheelchair 20 to guide the wheelchair 20.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는, 차량(10)의 트렁크(12)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트렁크(12)에 휠체어(20)가 수납된 후 상기 휠체어(20)를 클램핑하여 상기 휠체어(2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4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3, the trunk storage device 100 is provided inside the trunk 12 of the vehicle 10 so that the wheelchair 20 is stored in the trunk 12, And a position fixing unit 400 for clamping the position of the wheelchair 20 to fix the position of the wheelchair 20.

이와 더불어,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는, 상기 트렁크(12)에 상기 휠체어(20)의 수납여부를 인식하는 감지부(510)와, 상기 휠체어(20)가 트렁크(12)에 수납되면 상기 감지부(510)로부터 신호를 받아 수납된 상기 휠체어(20)를 클램핑하여 상기 휠체어(20)의 위치를 고정하는 안전장치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unk storage device 100 includes a sensing unit 510 for recognizing whether the wheelchair 20 is stored in the trunk 12, and a controller 50 for, when the wheelchair 20 is stored in the trunk 12, And a safety device 520 for clamping the wheelchair 20 received and receiving signals from the sensing unit 510 to fix the position of the wheelchair 20.

여기서, 상기 감지부(510)는 상기 휠체어(20)가 트렁크(12) 내측까지 수납된 여부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공지의 위치감지센서나, 접촉센서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Here, the sensing unit 510 senses whether the wheelchair 20 is housed in the trunk 12, and may include various known positions, such as a position sensor and a contact sensor, Can be used.

상기 안전장치부(520)는, 휠체어(20)가 수납되면 휠체어(20)의 위치를 고정하여 휠체어(20)의 위치를 유지함은 물론 차량(10) 운행 시에도 흔들림 없이 휠체어(20)를 안전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The safety device 520 can secure the position of the wheelchair 20 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wheelchair 20 when the wheelchair 20 is received and securely hold the wheelchair 20 safely It plays a role of catching.

상기 안전장치부(520)는, 상기 감지부(51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휠체어(20)를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엑추에이터, 모터, 와이어 등 다양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안전장치부(520)는, 상기 휠체어(20)를 클램핑하기 위한 구성으로 작동에 따라 상기 휠체어(20)나 후술되는 캐비닛을 걸 수 있도록 하는 후크구성 또는, 집게형으로 작동에 따라 휠체어(20)나 캐비닛을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구성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safety device 520 has a structure for clamping or unclamping the wheel chair 20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sensing unit 510.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an actuator, a motor, and a wire can be applied. The safety device 520 includes a hook structure for clamping the wheel chair 20 and for hooking the wheel chair 20 or a cabinet to be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an opera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various configurations such as a configuration for clamping or unclamping the cabinet 20 or the cabinet can be applied.

한편, 상기 위치고정부(400)와, 상기 감지부(510) 및 상기 안전장치부(520)가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방식 또는 상기 제어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300)가 상기 위치고정부(400)를 통합 제어하는 방식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상기 감지부(510)는 상기 제어부(300)로 휠체어(20)의 수납정보를 송신하고, 이에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감지부(510)의 신호를 토대로 상기 안전장치부(520)의 작동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할 수 있다. In the meantime, a method in which the position fixing unit 400, the sensing unit 510 and the safety device 520 are driven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the control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00, And a method of integrally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400 may be applied. That is, the sensing unit 510 transmits the reception information of the wheelchair 20 to the controller 300, and the controller 300 controls the safety unit 520 based on the signal of the sensing unit 510, And the like.

여기서, 상기 위치고정부(400)와 상기 안전장치부(520)는, 각각 신호에 따라 상기 휠체어(20)나 후술되는 휠체어 캐비닛을 클램핑 또는 언클램핑하는 것으로서, 이는 공지의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클램핑장치 등 다양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position fixing part 400 and the safety device part 520 clamp or unclamp the wheel chair 20 or a wheel chair cabinet described later according to a signal, A clamping device, and the like,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위치고정부(400)와 상기 안전장치부(520)가 각각 별개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각각이 구동 제어되는 것을 실시예로 나타내었지만, 경우에 따라 상기 위치고정부(400)와 상기 안전장치부(520)가 하나로 통합되어 하나의 구성으로 통합 형성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osition fixing unit 400 and the safety device unit 520 are configured separately and each is driven and controlled. However, in some cases, And the safety device 520 may be integrated into one unit.

상기 호이스트장치(200)는, 일단부는 차량(10)의 루프(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도킹부(112)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도킹부(232)를 구비하여 상기 클램핑모듈(110)과 상기 휠체어(20)를 견인하여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로부터 상기 휠체어(20)를 외부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hoist device 200 includes a first docking part 232 rotatably connected to the roof 11 of the vehicle 10 at one end and a second docking part 232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docking part 112 at the other end To move the clamping module 110 and the wheelchair 20 to the trunk storage device 100 or to move the wheelchair 20 from the trunk storage device 100 to the outside.

상세하게, 상기 호이스트장치(200)는, 차량(10)의 루프(11)에 구비되는 하우징(210)과, 매니퓰레이터(Roof-manipulator;220)와, 승하강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210)은, 차량(10)의 루프(11)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호이스트(220)를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10)은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호이스트(220)의 작동에 따라 개폐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폐작동은 상기 제어부(300)에 의하여 자동식 또는 이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The hoist apparatus 200 includes a housing 210 provided in the roof 11 of the vehicle 10 and a manipulator 220 and an ascending and descending section 230. The housing 210 is provided in the roof 11 of the vehicle 10 and has a storage space therein to house the hoist 220. Further, the housing 210 can be opened and closed,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hoist 220.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hoist 220 can be automatically or manually operated by the user through the control unit 300 .

상기 매니퓰레이터(220)는, 상기 하우징(210)의 수납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300)에 의하여 사용 시에는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휠체어(20)를 이동시키고, 미사용 시에는 상기 수납공간 내에 절첩되어 수용된다. The manipulator 220 is provided in a storage space of the housing 210 and moves the wheelchair 20 from the storage space when the controller 300 is used by the controller 300. When not in use,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매니퓰레이터(220)는, 차량의 루프(11)에 장착되고 텔레스코픽암에 의하여 신축과 회전을 하면서 운전석에서 휠체어(20)를 그립하여 차량의 후미 트렁크 수납장치 위치까지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매니퓰레이터(220)는 상기한 텔레스코픽암을 이용한 방식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외 다관절구조 등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 the manipulator 220 is mounted on the roof 11 of the vehicle and grips the wheelchair 20 at the driver's seat while retracting and rotating by the telescopic arm, thereby transferring the wheelchair 20 to the rear trunk storage unit of the vehicle. Meanwhile, the manipulator 220 is preferably a method using the telescopic ar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polygonal structure may be applied,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승하강부(230)는, 상기 매니퓰레이터(220)의 노출단부에 구비되고, 단부에 상기 제2도킹부(232)가 구비되며, 구동부(240)에 의하여 상기 클램핑모듈(110)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 상기 승하강부(230)는 휠체어 그리퍼(114)에 상기 휠체어(20)가 도킹되면 휠체어(20)를 상기 리프팅모듈(120)의 승하강 슬라이더(122)의 도킹 위치까지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휠체어 그리퍼(114)는 휠체어(20)의 이송을 위하여 휠체어(20)를 그립하고 고정하는 역할을 하며, 휠체어구조를 이용하는 공지의 토글 클램프를 적용하여 그립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하강부(230)는, 공지의 전기 엑추에이터(Electrical actuator)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portion 230 is provided at the exposed end of the manipulator 220 and is provided with the second docking portion 232 at an end thereof and the clamping module 110 is moved up and down by the driving portion 240 Up and down. When the wheelchair 20 is docked on the wheelchair gripper 114, the lifting and lowering part 230 moves up and down the wheelchair 20 up to the docking posi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slider 122 of the lifting module 120 . At this time, the wheelchair gripper 114 grips and fixes the wheelchair 20 for transferring the wheelchair 20, and can be configured to grip by applying a known togloid clamp using a wheelchair structure.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section 230 is preferably a known electric actua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휠체어(20)와 휠체어 그리퍼(114)의 도킹과, 리프팅모듈(120)인 승하강 슬라이더(122)와 클램핑모듈(110)의 도킹을 위한 도킹장치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클램핑모듈(110)과 휠체어 그리퍼(114)와의 도킹은 휠체어 그리퍼(114)에 장착된 도킹장치와 전기 엑추에이터에 부착된 도킹장치가 상기 매니퓰레이터(220)의 전후동작에 의하여 제1도킹부(112)의 안내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걸리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도킹장치들은 상하낙하를 방지하도록 안전기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으며, 동시에 도킹 후 전후의 움직임을 고정하는 마그네틱 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The trunk storage device 100 includes a docking device for docking the wheelchair 20 and the wheelchair gripper 114 and docking the lifting module 120 and the lifting slider 122 and the clamping module 110, Respectively. The docking device attached to the wheelchair gripper 114 and the docking device attached to the electric actuator are coupled to the first docking part 112 As shown in Fig. Here, the docking devices are provided with a safety function to prevent vertical dropping, and at the same time, there is attached a magnetic device for fixing movements before and after docking.

또한, 상기 휠체어 그리퍼(114)와 승하강 슬라이더(122)와의 도킹은 휠체어 그리퍼(114)에 부착된 안내핀이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122)의 안내홈을 따라 삽입이 이루어지면 마그네틱 장치에 의해 도킹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When the guide pin attached to the wheelchair gripper 114 is inserted along the guide groove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slider 122, the wheelchair gripper 114 and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slider 122 are docked by the magnetic device. .

상기 승하강 슬라이더(122)는 휠체어 그리퍼(114)를 도킹하여 수납 및 역수납을 위해 휠체어(20)를 상하로 승하강 시키며, 승하강 레일을 통하여 승하강되고, 리니어 부싱과 샤프트를 가이드로 하여 볼스크류(133)에 의해 이송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볼 스크류의 이송장치는 모터와 기어시스템으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slider 122 docks the wheelchair gripper 114 to raise and lower the wheelchair 20 up and down for storage and reverse storage.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slider 122 ascends and descends through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rail, and the linear bushing and the shaft are guided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ball screw transfer device is driven by a motor and a gear system.

한편, 상기 이송모듈(130)은 상기 회전부(131)에 의하여 휠체어(20)가 회전될 때 상기 회전부(131)에 연결되는 프론트 리어 슬라이더(135)와 이를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프론트 리어 슬라이더레일(136)을 포함하여, 휠체어(20)를 트렁크 내부 또는 외부로 이송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프론트 리어 슬라이더 레일(136)은 트렁크 내부에 고정 장착되며, 리니어 부싱과 샤프트를 가이드로 하여 볼 스크류에 의하여 상기 프론트 리어 슬라이더(135)를 이송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때 볼스크류의 구동은 베벨기어 메커니즘과 모터에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The transfer module 130 includes a front rear slider 135 connected to the rotation part 131 when the wheelchair 20 is rotated by the rotation part 131 and a front rear slider rail 136 sliding the front rear slider 135, To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trunk. Here, the front rear slider rail 136 is fixedly mounted in the trunk, and the front rear slider 135 is moved by a ball screw using the linear bushing and the shaft as guides. At this time, But is not limited to, the gear mechanism and the motor.

상기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600)은, 양측이 개구된 대략 박스형상으로 내부에 상기 휠체어(20)를 수용할 수 있는 휠체어수납공간(701)이 마련되고,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에 안착되는 휠체어 캐비닛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wheelchair storage system 600 for a vehicle is provided with a wheelchair storage space 701 capable of receiving the wheelchair 20 in a substantially box shape with both sides thereof opened and is seated in the trunk storage device 100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wheelchair cabinet.

상기 휠체어 캐비닛은, 휠체어(20) 크기를 고려하여 사양측이 개구된 박스형상으로, 상기 휠체어수납공간에 휠체어(20)가 수납되며, 상기 안착부(134)에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고, 상기 호이스트(220)에 상단부가 클램핑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휠체어 캐비닛의 상단부와 상기 호이스트(220)의 단부와의 결합은 전자석을 이용한 탈부착이 바람직하지만, 이 외 다른 클램핑구조의 적용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휠체어(20)는 필요공간의 컴팩트함을 위하여 접이식 휠체어(20)가 바람직하다. The wheelchair cabinet includes a wheelchair 20 accommodated in the wheelchair storage space in a box shape whose specification side is open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f the wheelchair 20 and can be stably mounted on the seating portion 134, And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hoist 220 is clamped.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wheelchair cabinet and the end of the hoist 220 is detachable using an electromagnet, but other clamping structures may be applied. Meanwhile, the wheelchair 20 is preferably a foldable wheelchair 20 for compactness of a necessary space.

또한, 상기 차량용 휠체어수납시스템(600)은, 유니버설 디자인을 통하여 우천 시에도 행동능력이 떨어지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빗물받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빗물받이시스템은, 차량(10)의 루프(11)에 설치되는 수납박스를 지지하는 루프렉 하부공간을 활용하여 플레이드 형의 판이 액추에이터에 의해 휠체어(20) 탑승자가 운전석 옆에 위치하는 상부에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로 상기 빗물받이시스템은 플렉시블한 소재를 여러 겹으로 접어진 주름소재를 활용하여 수평방향 또는 부채처럼 회전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vehicle wheelchair storage system 600 may include a rainwater collecting system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by a user whose behavior is poor even in a rainy day through a universal design. Here, the rainwater collecting system utilizes a roof lower space for supporting a storage box installed in the roof 11 of the vehicle 10 so that a plate-shaped plate is supported by an actuator so that the occupant of the wheelchair 20 is positioned next to the driver's seat As shown in Fig. In another embodiment, the rainwater collecting system can be configured so that the flexible material can be expan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or a fan-like direction using a folded wrinkle material.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와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20)를 트렁크(12)로 수납 및 인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호이스트장치(200)와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20)를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로 안착 및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로부터 상기 휠체어(20)를 외부로 견인하도록 상기 호이스트장치(200)를 구동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0)는 상기 위치고정부(400)를 구동제어하고, 상기 감지부(510)로부터 휠체어(20)의 수납상태 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안전장치부(520)를 구동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300)는, 차량(10)의 ECU와 연계하여 차량의 통합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3, the controller 300 is connected to the trunk lid 100 to control the wheelchair 20 to be received and taken out by the trunk 12, and connected to the hoist 200 The wheelchair 20 is seated in the trunk storage device 100 and the hoist device 200 is driven and controlled to pull the wheelchair 20 from the trunk storage device 100 to the outside. The control unit 300 drives and controls the position fixing unit 400 and senses the housed state signal of the wheelchair 20 from the sensing unit 510 to control the safety unit 520 have. Further, the control unit 300 may enable the integrated control of the vehicle in conjunction with the ECU of the vehicle 10. [

이에, 상기한 트렁크 수납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상기 휠체어(20)를 상기 호이스트장치(200)를 이용하여 상기 클램핑모듈(110)에 클램핑시킨 후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리프팅모듈(120)로 도킹하여 승강시킨다. 그런 다음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131)를 통하여 휠체어를 90ㅀ회전시켜 상기 안착부(134)에 안착시키면, 모터(132)에 의하여 볼스크류(133)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안착부(134)가 상기 볼스크류(133)를 따라 상기 트렁크(12)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상기 휠체어(20)가 수납 및 인출된다. 4 to 6, first, the wheelchair 20 is clamped to the clamping module 110 using the hoist apparatus 200, and then, And docked to the lifting module 120 as shown in FIG. Then, as shown in FIG. 6, when the wheelchair is rotated 90 degrees through the rotation part 131 and is seated in the seating part 134, the ball screw 133 is rotated by the motor 132, The wheel chair 20 is received and drawn while the sliding member 134 slides along the ball screw 133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trunk 12.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600)은, 차량(10) 루프(11)에는 호이스트장치(200)만을 장착하여 루프(11)의 수납공간을 최소화하여 공기저항 등을 저감하여 연비개선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휠체어(20)는 트렁크(12)에 수납되도록 함으로써 트렁크(12) 공간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으며, 휠체어(20)의 최적의 수납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휠체어수납시스템(600)은, 운전석으로부터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100)까지 보조자의 도움 없이도 휠체어(20)의 이송이 가능하기 때문에, 휠체어(20) 이용자의 자립생활 및 직업적 재활의 기회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vehicle wheelchair storage system 6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only the hoist apparatus 200 is mounted on the roof 11 of the vehicle 10 to minimize the storage space of the roof 11, And the wheelchair 20 can be accommodated in the trunk 12 to maximize the space of the trunk 12 and achieve optimal storage of the wheelchair 20. [ In addition, since the vehicle wheelchair storage system 600 can transfer the wheelchair 20 from the driver's seat to the trunk storage device 100 without the assistance of the assistant, the user of the wheelchair 20 can enjoy the self- Can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트렁크 수납장치 110... 클램핑모듈
112... 제1도킹부 114... 휠체어 그리퍼
120... 리프팅모듈 122... 승하강 슬라이더
130... 이송모듈 131... 회전부
1311... 힌지부 1312... 흡수부
1313... 가스 업소버 1314... 리프트 와이어
1315... 와이어모터 132... 모터
133... 볼스크류 134... 안착부
135... 프론트리어 슬라이더 136... 프론트리어 슬라이더 레일
200... 호이스트장치 210... 하우징
220... 매니퓰레이터 230... 승하강부
232... 제2도킹부 240... 구동부
300... 제어부 400... 위치고정부
510... 감지부 520... 안전장치부
600...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
100 ... trunk lid 110 ... clamping module
112 ... first docking unit 114 ... wheelchair gripper
120 ... lifting module 122 ... ascending / descending slider
130 ... Feed module 131 ... Rotation part
1311 ... hinge portion 1312 ... absorbing portion
1313 ... gas absorber 1314 ... lift wire
1315 ... wire motor 132 ... motor
133 ... ball screw 134 ... seat part
135 ... Front rear slider 136 ... Front rear slider rail
200 ... hoist device 210 ... housing
220 ... manipulator 230 ... ascending /
232 ... second docking unit 240 ... driving unit
300 ... control unit 400 ... position fixing unit
510 ... sensing unit 520 ... safety unit
600 ... car wheelchair storage system

Claims (5)

차량 트렁크의 내부에 구비되어 휠체어를 수납 및 인출하는 것으로, 상기 휠체어를 선택적으로 그리핑하고 제1도킹부가 구비된 클램핑모듈과, 상기 클램핑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클램핑모듈을 승하강 시키는 리프팅모듈과, 차량 트렁크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리프팅모듈이 안착되어 상기 리프팅모듈과 휠체어를 트렁크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트렁크에 수납 및 인출하는 이송모듈을 포함하는 트렁크 수납장치;
일단부는 차량의 루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제1도킹부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도킹부를 구비하여 상기 클램핑모듈과 상기 휠체어를 이동시키는 호이스트장치; 및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를 트렁크로 수납 및 인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호이스트장치와 연결되어 상기 휠체어를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로 안착 및 상기 트렁크 수납장치로부터 상기 휠체어를 외부로 견인하도록 상기 호이스트장치를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리프트타입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
A lifting module connected to the clamping module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clamping module; and a lifting module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clamping module, A trunk storage device including a transport module disposed in a front and rear direction inside a vehicle trunk and having the lifting module mounted thereon to slidably move the lifting module and the wheelchair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trunk to store and retrieve the trunk in a trunk;
A hoist device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a roof of the vehicle and the other end having a second docking part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docking part to move the clamping module and the wheelchair; And
And a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trunk storage unit to control the storage and withdrawal of the wheelchair in a trunk and to connect the wheelchair to the trunk storage unit and to draw the wheelchair from the trunk storage unit to the outsid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wheelchair storage un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은,
일단부에 상기 리프팅모듈을 회전시킨 후 안착시키는 회전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부는,
일단부와 상기 리프팅모듈의 하단부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와,
상기 리프팅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리프팅모듈이 회전하면서 안착될 시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흡수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리프트타입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fer module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rotation part that rotates the lifting module at one end and seats the lifting module,
The rotation unit includes:
A hinge portion for pivotally connecting the one end portion and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lifting module to each other,
And an absorber connected to the lifting module to absorb an impact when the lifting module is seated while rotating.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수부는,
일단부가 상기 리프팅모듈에 연결되고 실린더-피스톤 타입의 가스 업소버와,
와이어모터와, 일단부는 와이어모터에 연결되어 권취되고 타단부는 상기 리프팅모듈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리프트와이어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리프트타입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2,
The absorber may comprise:
One end connected to the lifting module and having a cylinder-piston type gas absorber,
And a lift wire including a wire motor, one end wound around the wire moto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n upper end of the lifting modu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모듈은,
모터와,
상기 휠체어의 인출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와 결합되어 상기 볼스크류의 회전 시 상기 볼스크류를 따라 전후 왕복이동하며, 상측으로 상기 휠체어가 안착되고 상기 리프팅모듈이 연결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리프트타입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ransfer module includes:
A motor,
A ball screw dispos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heelchair is drawn out and connected to the motor and rotating,
And a seating part coupled to the ball screw and reciprocating back and forth along the ball screw when the ball screw rotates, and a seating part on which the wheelchair is seated upwardly and to which the lifting module is connec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이스트장치는,
차량의 루프에 구비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납공간에 구비되고, 사용 시에는 상기 수납공간으로부터 확장되어 상기 휠체어를 이동시키고, 미사용 시에는 상기 수납공간 내에 절첩되어 수용되는 매니퓰레이터와,
상기 매니퓰레이터의 노출단부에 구비되고, 단부에 상기 제2도킹부가 구비되며, 구동부에 의하여 상기 클램핑모듈을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리프트타입의 차량용 휠체어 수납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ist apparatus includes:
A housing provided in a roof of the vehicle and having a storage space therein,
A manipulator which is provided in the housing space of the housing and which is extended from the storage space to move the wheelchair when in use and is folded and received in the storage space when not in use,
And a lifting and lowering portion provided at an exposed end of the manipulator and having the second docking portion at an end thereof and moving up and down the clamping module by a driving portion.
KR1020140108702A 2014-08-21 2014-08-21 Slide lift type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vehicle KR1015903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702A KR101590390B1 (en) 2014-08-21 2014-08-21 Slide lift type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8702A KR101590390B1 (en) 2014-08-21 2014-08-21 Slide lift type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0390B1 true KR101590390B1 (en) 2016-02-03

Family

ID=55355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8702A KR101590390B1 (en) 2014-08-21 2014-08-21 Slide lift type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39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4038A (en) * 1998-07-12 2000-01-25 Masakazu Shimomura Care lift for automobile
US20070189885A1 (en) * 2006-02-14 2007-08-16 Madormo Anthony J Assist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24038A (en) * 1998-07-12 2000-01-25 Masakazu Shimomura Care lift for automobile
US20070189885A1 (en) * 2006-02-14 2007-08-16 Madormo Anthony J Assist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09038B2 (en) Loading system for the cargo space of a motor vehicle
US10800339B2 (en) Vehicle rack assembly and rack accessing method
US4360307A (en) Device for vertical and/or horizontal transport of loads into and out of a vehicle or the like
JP2010196338A (en) Mechanical parking device provided with charging function
US11945409B2 (en) Self powered roof system
US9598147B2 (en) Boat canopy
EP1077159A2 (en) Vehicle roof top luggage holder
US4398858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a secondary vehicle into and from an automobile
KR101590390B1 (en) Slide lift type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vehicle
CA1143702A (en) Wheel chair hoist assembly for vehicles
KR101423323B1 (en) Moving device of wheelchair for vehicle
KR101620306B1 (en) Rotary joint hoist type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vehicle
KR101481312B1 (en) Luggage unloading apparatus for bus
KR101649731B1 (en)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vehicles using telescopic type manipulator
CN107914607B (en) Crank rocker type safety lifting seat
JP2009046900A (en) Article storage device and building
JP2009153599A (en) Wheelchair storing device for automobile
EP1551668A1 (en) Device at a box for a car
JP2000108770A (en) Wheelchair storing device for automobile
KR101619111B1 (en)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vehicles using joint type manipulator
US10744046B2 (en) Lifting device for a wheelchair, and motor vehicle
CN211364898U (en) Foldable marine propeller
WO2009140714A9 (en) Vehicle mounted, wheelchair boarding apparatus
KR20150041833A (en) An Apparatus for Common Contents
KR102124539B1 (en) Wheelchair storage system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