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0058B1 - 가상 머신 간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머신 간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0058B1
KR101620058B1 KR1020090113324A KR20090113324A KR101620058B1 KR 101620058 B1 KR101620058 B1 KR 101620058B1 KR 1020090113324 A KR1020090113324 A KR 1020090113324A KR 20090113324 A KR20090113324 A KR 20090113324A KR 101620058 B1 KR101620058 B1 KR 101620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witching
user interface
vms
virtual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6843A (ko
Inventor
정복득
모상덕
이성민
서상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3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0058B1/ko
Priority to US12/856,858 priority patent/US8661360B2/en
Publication of KR20110056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6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0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0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5Emulation; Interpretation; Software simulation, e.g. virtualisation or emulation of application or operating system execution engines
    • G06F9/45533Hypervisors; Virtual machine mon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가상 머신 모니터(VMM)상에서 동작하는 복수 개의 OS가 각각 가상 머신으로 동작하는 환경에서 VM 화면을 전환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VM 화면 전환 장치는 각 가상 머신이 제공하는 홈 스크린 또는 동작 화면의 특성이 드러나도록 가상 머신의 화면 전환을 제공한다. VM 화면 전환 장치의 일 예에서, 각각의 VM은, 복수 개의 VM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VM을 선택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복수 개의 VM 중에서 포그라운드로 표시될 VM을 결정하고, 포그라우드로 표시되고 있던 VM의 화면 및 결정된 VM의 화면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조합하여 VM 화면 전환을 나타내는 화면을 생성하고, 생성된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한다.
Figure R1020090113324
가상 머신 모니터, 가상 머신,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전환, 사용자 입력

Description

가상 머신 간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switching screen between virtual machines and method thereof}
시스템 가상화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 머신 모니터(VMM)상에서 동작하는 복수 개의 OS가 각각 가상 머신으로 동작하는 환경에서 화면 전환 기술에 관한 것이다.
물리적으로 분산된 시스템을 논리적으로 통합하거나 하나의 시스템을 논리적으로 분할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가상화 기술의 이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중 운영체제 가상화를 위한 하이퍼바이저형 가상화는 가상 머신과 하드웨어 사이에 하이퍼바이저 또는 가상 머신 모니터를 배치하여 복수 개의 운영 체제를 지원한다.
하이퍼바이저형 가상화는 하드웨어를 완전히 가상화하는 방식인 전 가상화(Full-Virtualization)와 하드웨어를 완전히 가상화하지 않는 방식인 반 가상화(Para-Virtualization)로 구별된다. 전 가상화을 지원하는 VMWare의 경우 포그라운드로 동작하고 있는 가상 머신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다른 가상 머신의 전체 화면 또는 실행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반-가상화를 지원하는 XEN 은 XEN 상에서 동작하는 복수의 OS들 간의 포그라운드 스크린 전환을 하기 위해, 사용자가 콘솔창에서 키보드를 통해 명령어를 입력하여, 화면 전환 대상 OS로 동작하는 가상 머신(Virtual Machin)을 선택하거나, 특수 키를 누를 때마다 가상 머신들 간의 정해진 순서대로 화면이 바뀌게 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가상 머신의 동작 화면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XEN의 경우에서처럼, 콘솔에서의 명령어 입력은 사용자가 화면 전환 명령어를 알고 있어야 하거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단순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만이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XEN이나 VMware의 현재 가상 머신에서 다른 가상 머신의 화면을 보여주는 애플리케이션은 화면의 크기가 작고, 개인용 컴퓨터나 서버에 비해 컴퓨팅 파워가 낮은 CE 장치에는 적합하지 않다.
컴퓨팅 파워가 낮으며 소형 디스플레이를 가지는 기기에도 이용가능하며, 다양한 사용자 입력 방식을 이용하여 가상 머신 모니터 상에서 동작하는 가상 머신 간 화면 전환을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일 측면에 따른 VM 화면 전환 장치는, 가상 머신 모니터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VM을 지원하며, 각각의 VM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와, VM 스크린 렌더러와,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VM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복수 개의 VM 중에서 사용자가 특정 VM을 선택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복수 개의 VM 중에서 포그라운드로 표시될 VM을 결정한다. VM 스크린 렌더러는, 포그라우드로 표시되고 있던 VM의 화면 및 결정된 VM의 화면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조합하여 VM 화면 전환을 나타내는 화면을 생성한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생성된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가상 머신 모니터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VM을 지원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에서, 각각의 VM은, VM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와,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VM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가상 머신 모니터상에서 동작하는 VM의 리스트를 그래픽으로 표시하고, 사용자가 특정 VM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가상 머신 모니터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VM을 지원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에서, 복수 개의 VM은 하나의 서버 VM 및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VM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VM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요청을 수신한다. 서버 VM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요청에 따라서, 가상 머신 모니터상에서 동작하는 복수 개의 VM의 동작 화면을 그래픽 형상으로 표시하고, 특정 VM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 다른 측면에 따른 VM 화면 전환 방법은, VM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신호의 수신에 따라, 가상 머신 모니터상에서 동작중인 복수 개의 VM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VM의 화면이 선택가능하도록 제공되 는 VM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가상 머신 모니터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VM을 지원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에 따르면, 동작중인 각각의 VM 고유의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VM의 전체 화면을 사용하기 때문에, PC에 비해 작은 화면 크기를 갖는 CE 디바이스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VM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른 VM을 선택하는 동작이 수행될 경우에만, 다른 VM의 스크린 디스플레이 그래픽 데이터를 액세스하고, 선택된 VM이 포그라운드 VM으로 설정된 이후에는, 포그라운드 VM의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직접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를 액세스함으로써, 성능상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가상 머신(이하에서는, VM이라 약칭함) 간 화면 전환 장치는 가상 머신 모니터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VM을 지원하는 기기를 기반으로 한다. VM 화면 전환 장치는 가상 머신 모니터상에서 동작중인 복수 개의 VM 중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VM의 화면이 선택가능하도록 VM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가상 머신 모니터는 제한된 하드웨어상에서 다수개의 운영 체제의 실행 환경을 지원한다. 하드웨어는 프로세서, 메모리, HID(Human Interface Device),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오디오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HID는 사람으로부터 입력을 받고, 사람에게 출력을 제공하여 사람과 직접적인 인터랙션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말한다. 일반적인 HID로는, 키보드, 마우스, 트랙볼, 터치 패드, 그래픽 태블릿, 조이스틱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가상 머신 모니터는 가상 머신 모니터상에서 동작하는 복수 개의 운영체제 사이에 안전한 통신 채널로서 IDC(Inter-Domain Communication) 통신 채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VM 화면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VM의 화면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각 VM 홈 스크린(110, 120, 130)이 선택가능하도록 수평적으로 배열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적으로 배열되어 표시되는 VM간의 홈 스크린 전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마치 모든 VM의 홈 스크린이 연속되어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할 수 있다. 홈 스크린에는 대부분의 이용가능한 애플리케이션 정보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아이콘이 포함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각 VM에서의 애플리케이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현재 포그라운드로 나타나고 있는 VM의 홈 스크린에서, 다른 VM의 홈 스크린으로 전환하기 위해서, 다양한 사용자 입력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는 마우스로 표시되고 있는 홈 스크린을 클릭한 다음, [오른 쪽 또는 왼쪽]/[위 또는 아래]로 드래그를 실행하거나, 터치 스크린의 경우 사용자가 펜이나 손가락을 이용하여 화면을 [오른쪽 또는 왼쪽]/[위 또는 아래]로 드래그하거나 슬라이드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화면 전환 명령을 입력하여 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VM 화면 전환 장치가 위치 센서 또는 방향 센서가 부착된 기기인 경우에는, 사용자는 VM 화면 전환 장치의 화면을 [오른쪽 또는 왼쪽]/[위 또는 아래]로 기울임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화면 전환 명령을 입력하여 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VM 화면 전환 장치를 흔들어서 화면 전환 명령을 입력하여 화면 전환을 실행할 수 있다. VM 화면 전환 장치를 흔들어서 화면 전환 명령을 실행할 경우, 기기를 한번씩 흔들 때마다, 첫 번째 VM의 홈 스크린부터 마지막 VM의 홈 스크린까지 순차적으로 전환될 수 있다. 또한, 마지막 VM의 홈 스크린이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다시 VM 화면 전환 장치를 흔들면 다시 첫 번째 VM의 홈 스크린으로 화면이 반복 전환될 수 있다.
또는, VM 화면 전환 장치가 음성 인식을 지원할 경우, 사용자가 "go to next VM" / "go to previous VM" 또는 "go to next OS" / "go to previous OS"라고 말할 때마다, VM간 화면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의 인터페이스의 화면 전환 효과를 위해, 현재 포그라운드로 표시되고 있는 VM의 홈 스크린의 그래픽 데이터와 포그라운드로 이동될 VM의 홈 스크린의 그래픽 데이터를 활용하여 도 2a 내지 도 2d와 같은 화면 전환 효과를 나타낼 수 있 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화면 전환 효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와 같이, 사용자가 오른쪽으로 드래그/슬라이드하거나 기기를 기울일 경우, 또는 기기를 흔들거나, "go to next VM" / "go to next OS"라고 말할 경우, VM 화면 전환 장치는, 현재 포그라운드로 표시되고 있는 VM인 VMi+1의 홈 스크린의 그래픽 데이터와 나열된 VM의 순서상 그 다음에 있는 VMi의 홈 스크린의 그래픽 데이터를 조합하여 합성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VM 화면 전환 장치는 합성 화면을 이용하여 2개의 화면을 수평으로 연결시켜 오른쪽 방향(210)의 슬라이딩 윈도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왼쪽 방향도 이와 마찬가지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슬라이딩 윈도우 효과를 화면 전환 효과로서 나타낼 수 있다.
도 2b와 같이, 사용자가 아래쪽으로 드래그, 슬라이드 또는 기기를 기울일 경우, VM 화면 전환 장치는 현재 포그라운드로 표시되고 있는 VM인 VMi+1의 홈 스크린 그래픽 데이터와 새롭게 포그라운드로 이동될 VMi의 홈 스크린 그래픽 데이터를 조합하여 합성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VM 화면 전환 장치는 합성 화면을 이용하여, 2개의 화면을 수직으로 연결시켜, 아래쪽 방향(220)의 슬라이딩 윈도우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위쪽 방향도 마찬가지이다.
도 2c와 같이, 사용자가 마우스를 클릭한 채, 오른쪽으로 드래그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화면을 누르고 왼쪽으로 드래그할 경우, VM 화면 전환 장치는 현 재 포그라운드로 표시되고 있는 VM인 VMi의 홈 스크린 그래픽 데이터와 나열된 순서상 다음에 있는 VMi+1의 홈 스크린 그래픽 데이터를 조합하여 합성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VM 화면 전환 장치는 합성 화면을 이용하여, VMi의 홈 스크린을 VMi+1의 홈 스크린이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230)으로 서서히 덮어쓰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오른쪽 방향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2d와 같이, 사용자가 마우스를 클릭한 채, 위쪽으로 드래그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화면을 누르고 위쪽으로 드래그할 경우, VM 화면 전환 장치는 현재 포그라운드로 표시되고 있는 VM인 VMi와 포그라운드로 이동될 VMi+1의 홈 스크린 그래픽 데이터를 조합하여 합성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VM 화면 전환 장치는 합성 화면을 이용하여, VMi의 홈 스크린에 VMi-1의 홈 스크린이 아래에서 위쪽 방향(240)으로 서서히 덮어쓰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의 시스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VM 화면 전환 장치(300)는 하드웨어 계층에 속하는 메모리(310) 및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314)를 포함할 수 있다. VM 화면 전환 장치(300)는 각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HID 등 다양한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머신 모니터(320)는 복수 개의 VM(330, 340, 350)을 지원하는 가상 머신 모니터 계층에 속한다. 가상 머신 모니터(320)는 가상 머신 모니터(320)상에서 동작중인 VM의 리스트 정보(321)를 유지 및 관리한다. 또한, 가상 머신 모니터(320)는 VM 디바이스 액세스 컨트롤러(322)를 포함할 수 있다. VM 디바이스 액세스 컨트롤러(322)는 설정에 의하여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소정의 VM이 선택되면, 선택된 VM을 포그라운드 VM으로 설정하고, 포그라운드 VM의 HID에 대한 액세스 권한과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의 액세스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VMi-1(330), VMi(340) 및 VMi+1(350)는 가상 머신 모니터(320)상에서 동작하는 복수 개의 VM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i-1, i, i+1 등은 각 VM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나타낸다. VMi-1(330), VMi(340) 및 VMi+1(350)에 포함된 동일한 명칭의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하에서는, VMi(340)을 중심으로 VM 화면 전환 장치(3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VMi(340)은 VM 화면 전환을 위하여 VM 스크린 렌더러(341), VM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342, 이하에서, VM 전환 UI 제공부라 약칭함) 및 OSi(343)를 포함할 수 있다. OSi(343)은 IRQ 테이블(344) 및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345)를 포함할 수 있다.
VM 전환 UI 제공부(342)는 복수 개의 VM 중에서 사용자가 특정 VM을 선택하도록 하는 UI를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포그라운드로 표시될 VM을 결정한다. 이를 위해, VM 전환 UI 제공부(342)는 사용자가 홈 스크린에서 마우스 드래그 또는 터치 스크린을 드래그나 슬라이드했을 때, 또는 기기를 기울이거나 흔들 었을 때, 음성 입력을 했을 경우에 이를 VM 화면 전환 명령으로 인식한다.
VM 스크린 렌더러(341)는 현재 포그라운드로 표시되고 있던 VM 스크린 그래픽 인터페이스 및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이동되어 포그라운드로 표시될 VM의 스크린 데이터를 조합하여 화면 전환 효과를 나타내는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345)는 프레임 버퍼와 같은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314)를 액세스하여 VM 스크린 렌더러(341)의 렌더링 결과를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314)의 화면에 보여준다.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345)는 VMi(340)내의 그래픽 데이터를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해서도 사용된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받는 HID 장치 및 기울임 감지 센서, 흔들림 감지 센서 등의 센서에 대한 입력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입력 디바이스가 드라이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VM 전환 UI 제공부(342)는 사용자의 VM 화면 전환 명령에 대해 어느 VM으로 전환할 지에 대해 결정하기 위해 가상 머신 모니터(320)에 요청하여 동작 중인 VM 리스트(321)를 얻어올 수 있다. 가상 머신 모니터(320)가 관리하는 VM 리스트 정보(321)는, 가상 머신 모니터(320)가 VM들에 대해 사용하는 식별자를 이용하여, 식별자의 값에 대해 오름차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가상 머신 모니터(320)는 가상 머신 모니터(320) 상에서 동작하는 VM 리스트(321)가 변경될 경우, VM 전환 UI 제공부(342)에 VM 리스트(321)가 변경되어, VM 리스트(321)를 업데이트할 것을 통지할 수 있다.
VM 리스트(321)의 업데이트에 대한 통지는, VMi(340)가 가상 머신 모니터(320)로부터 VM 리스트(321)의 업데이트에 대한 가상 IRQ(Virtual IRQ)를 할당받아, 해당 VIRQ에 대한 IRQ 테이블(344)에 VM 리스트(321)의 업데이트 처리를 위한 콜백 함수(callback function)를 자신의 IRQ 테이블(344)에 등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VM 리스트(321)의 업데이트에 대한 통지는 일반 VM의 라이프싸이클을 관리하는 컨트롤 VM으로부터, 가상 머신 모니터(320)가 제공하는 인터-VM 통신 채널을 통해 통지를 받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컨트롤 VM은 복수 개의 VM 중 미리 설정된 하나의 VM일 수 있다.
VM 화면 전환 장치(300)에서 현재 포그라운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VM이 VMi(340)일 경우, VM 스크린 렌더러(341)는 VMi-1(330)와 VMi+1(350)의 스크린 그래픽 데이터를 갖고 있는 메모리상의 물리 어드레스를 이용하여, VMi-1 비디오 데이터 영역(311) 및 VMi+1 비디오 데이터 영역(313)을 액세스하여 필요한 그래픽 데이터를 얻어와서 화면 전환 효과를 만들 수 있다. VM 스크린 렌더러(341)는 가상 머신 모니터(320)가 제공하는 인터-VM 통신 채널을 통해,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 간 통신으로 각 VM의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설정한 값(configuration)과 메모리(310)의 비디오 데이터 영역(311, 313)의 물리 어드레스 정보를 요청하여 얻어올 수 있다.
한편,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313)가 레이어링(layering) 또는 멀티플 플래인(multiple plane)을 지원하는 경우, 전환하려는 VM의 그래픽 데이터에 대해, 프 로그램 레벨에서 그래픽 데이터에 대한 조작을 통한 렌더링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바로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345)가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313)의 각 플레인에 출력할 그래픽 데이터의 물리적 주소 및 프레임버퍼 구성 정보를 설정하고,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313)가 각 플레인의 크기와 각 VM의 홈 스크린 그래픽 데이터에서 보여줄 이미지 영역을 조정하면서 화면 전환 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313)가 레이어링(layering) 또는 멀티플 플래인(multiple plane)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345)는 VMi+1(350)의 VMi+1 비디오 데이터 영역(313) 중 홈 스크린 그래픽 데이터 영역을 VMi(340)의 가상 어드레스로 매핑하여, VMi(340)의 VM 스크린 렌더러(341)가 렌더링에 필요한 그래픽 데이터를 액세스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VM 스크린 렌더러(341)는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345)를 통해 얻은 VMi(340)의 홈 스크린 그래픽 데이터 및 VMi+1(350)의 홈 스크린 그래픽 데이터의 출력 포맷이 같은 경우, 화면 전환 효과를 위해, VMi(340)의 홈 스크린 그래픽 데이터 및 VMi+1(350)의 홈 스크린 그래픽 데이터에서 화면에 표시될 이미지 영역을 조정하면서 화면 전환 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 VMi(340)의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345)와 VMi+1(350)의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355)에 설정된 그래픽 데이터의 출력 포맷이 다르다면, VMi(340)의 스크린 렌더러(341)는 VMi+1(350)의 홈 스크 린 그래픽 데이터를 VMi(340)의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345)가 사용하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VMi(340)의 새로운 메모리 공간에 저장한 후, 화면 전환 효과에 필요한 렌더링을 실행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VM 화면 전환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포그라운드 VM으로 VMi(340)이 동작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VMi(340)의 VM 전환 UI 제공부(342)에서 가상 머신 모니터(320)로부터 동작중인 VM의 리스트(321)를 가져온다(410).
VM 스크린 렌더러(341)는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345)를 통해서, VMi-1(330)의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335) 및 VMi+1(300)의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355)로부터 각각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314)에 대한 설정 값 및 비디오 데이터 영역의 화면 그래픽 데이터의 물리 주소(311, 313)를 획득한다(420).
VM 전환 UI 제공부(342)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VMi+1(350)의 화면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430), VM 스크린 렌더러(341)는 VMi 화면의 그래픽 데이터와 VMi+1의 화면 그래픽 데이터를 이용하여 화면 전환 효과를 생성할 수 있다(440).
VM 전환 UI 제공부(342)는 가상 머신 모니터(320)에게 포그라운드 VM을 VMi+1(350)로 설정할 것을 요청한다(450). 가상 머신 모니터(320)는 포그라운드 VM을 VMi+1(350)으로 전환하고, 모든 HID의 사용권과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의 사용권을 VMi+1(350)로 설정한다(460). 이에 따라, VMi+1(350)의 홈 스크린이 포그라운드 홈 스크린으로 설정된다(470).
도 5a 및 도 5b는 VM 화면 전환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에서 각 VM는 포그라운드 VM 전환 UI를 실행하여 VM 리스트 중 전환할 VM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화면(5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VM의 리스트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전환하려는 VM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VM 화면 전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VM 화면 전환 인터페이스 제공 프로그램은 각 VM마다 홈 스크린상에서 위젯 형태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VM이 포그라운드 VM으로 동작하는지 무관하게, 사용자는 VM 화면 전환 인터페이스 요청을 위한 특정 사용자 입력, 예를 들어, 특정 키 버튼 입력을 통해 VM 화면 전환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으며, 현재 실행 프로그램 위에 동작중인 VM의 리스트 화면이 팝-업 윈도우(pop-up window)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5a의 화면(510)에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프로그램이, 홈 스크린 하단에 타원을 따라 움직이는 구 위에, 각 VM이 표시되는 방식으로 VM의 리스트가 제공된다. 사용자는 해당 구를 마우스나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좌우로 움직일 수 있다. 사용자가 VM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VM에 해당하는 구를 좌우로 움직 여서, 화면(520)과 같이, 사용자가 원하는대로 VM2을 나타내는 구를 정면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위치로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VM1의 애플리케이션 동작 화면(530)에서, 사용자가 VM 전환 UI 제공 요청 키를 입력하면, 화면(540)과 같이, VM1 애플리케이션 동작 화면에 위젯 형태의 UI 제공 프로그램이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공된 UI상에서 구를 이동시켜, VM2가 표시된 구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화면 전환 요청을 입력하면, 화면(550)과 같이, VM2상에서 동작중이던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VM 화면 전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동작중인 VM을 한 눈에 볼 수 있으며, 원하는 VM으로 이동하기 편리하고, 한 VM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다른 VM의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으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도 6는 도 5a 및 도 5b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의 시스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VM 화면 전환 장치(600)는 하드웨어 계층에 속하는 메모리(610) 및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614)를 포함할 수 있다. VM 화면 전환 장치(600)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HID 등 다양한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머신 모니터(620)는 복수 개의 VM(630, 640, 650)을 지원하는 가상 머신 모니터 계층에 속한다. 가상 머신 모니터(620)는 가상 머신 모니터(620)상에서 동작중인 VM의 정보에 대한 리스트(621)를 유지 및 관리한다. 또한, 가상 머신 모 니터(620)는 VM 디바이스 액세스 컨트롤러(622)를 포함할 수 있다. VM 디바이스 액세스 컨트롤러(622)는 설정에 의하여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소정의 VM이 선택되면, 선택된 VM을 포그라운드 VM으로 설정하고, 포그라운드 VM의 HID에 대한 액세스 권한과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의 액세스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VMi-1(630), VMi(640) 및 VMi+1(650)는 가상 머신 모니터(620)상에서 동작하는 복수 개의 VM을 나타낸다. VMi-1(630), VMi(640) 및 VMi+1(650)에 포함된 동일한 명칭의 구성요소는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하에서는, VMi(640)을 중심으로 VM 화면 전환 장치(6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VMi(640)는 VM 전환 UI 로딩부(641), VM 전환 UI 제공부(642) 및 IRQ 테이블(644) 및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645)를 포함하는 OSi(643)을 포함한다. 가상 머신 모니터(620)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VM 리스트 정보(621) 및 VM 디바이스 액세스 컨트롤러(622)를 포함할 수 있다.
VM 전환 UI 로딩부(641)는 사용자가 일반 애플리케이션 동작 중, VM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요청을 위한 입력 예를 들어, 특정 키 버튼 입력을 인식하고, VM 전환 UI 제공부(642)가 VM 전환 UI를 화면에 제공하도록 제어한다.
VM 전환 UI 제공부(642)는 사용자에게 VM의 리스트를 그래픽 형상으로 디스플레이하며, 특정 VM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VM 전환 UI는 팝-업의 형태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VM 전환 UI 제공부(642)는 가상 머신 모니터(620)상에 동작하는 VM의 리스트(621)를 가져오거나, VM 리스트(621)가 변경될 경우 가상 머신 모니터(620) 또는 컨트롤 VM으로부터 통지를 받아, 통지된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IRQ 테이블(644),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645) 및 VM 디바이스 액세스 컨트롤러(622)의 동작은 도 3에 도시된 동일한 명칭의 모듈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도 5a 및 도 5b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VM 화면 전환 순서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포그라운드 VM으로 VMi(640)가 동작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VMi(640)의 홈 스크린이 제공되는 상태에서(710), VM 전환 UI 제공부(642)가 동작하여 VM 전환 UI를 실행한다(730). VMi(640)의 홈 스크린이 아니면(710), VM 전환 UI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지 확인한다(720). VM 전환 UI 실행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720), VM 전환 UI 제공부(642)가 동작하여 포그라운드 VM 전환 UI를 실행한다(730). 포그라운드 VM 전환 UI는 포그라운드로 설정된 VM에서 제공하는 VM 전환 UI를 말한다.
VM 전환 UI 제공부(642)는 VM 전환 UI를 제공한다(740).
다른 VM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750), VM 전환 UI 제공부(642)는 가상 머신 모니터(620)에게 사용자가 선택한 VM을 포그라운드 VM으로 설정할 것을 요청한다(760). 그러면, 가상 머신 모니터(620)는 사용자가 선택한 VM 을 포그라운드 VM으로 전환하고, 모든 HID의 사용권과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사용권을 사용자가 선택한 VM으로 설정한다(770). 또한, 포그라운드 홈 스크린이 사용자가 선택한 VM의 홈 스크린으로 전환된다(780). 설정에 따라서, 단계 78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VM의 현재 포그라운드로 동작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VM 화면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VM 화면 전환 장치상에서 동작중인 모든 VM의 현재 화면 표시 내용을 한 화면에 모두 표시하는 VM 화면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VM만 VM 화면 전환 UI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사용자가 VM간 화면 전환을 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키 버튼을 누르면, VM 전환 UI 제공을 위한 프로그램이 동작하며, 해당 프로그램은 동작중인 모든 VM의 현재 스크린 그래픽 데이터를 한 화면에 렌더링한다. 각 VM의 스크린 그래픽 데이터는 도 8a의 경우와 같이, 스크린을 중첩하거나, 도 8b와 같이 그리드 형태 또는 도 8c와 같이 입체 도형의 형태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화면(810)은 해당 VM 스크린 이미지가 중첩되어 제공되는 화면을 나타낸다. 사용자가 백그라운드에 위치한 VM 2의 스크린 이미지를 선택할 경우, 화면(820)과 같이 VM2의 화면이 전면에 디스플레이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VM2 화면을 다시 클릭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태핑(tapping)을 하여 VM2 화면 이미지를 선택하면, 화면(830)과 같이 선택한 VM2의 화면으로 전환된다. 전 환되어 표시되는 VM2의 화면은 VM2의 홈 스크린 화면일 수 있고, VM2상에 동작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 등 다양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화면(840)는 VM들의 스크린 이미지가 그리드 형태로 표현됨을 나타낸다. 화면(840)에서 사용자가 그리드 형태로 표현된 VM의 스크린 이미지 중 하나의 VM(VM2)를 선택하면, 화면(840)과 같이 선택한 VM2의 화면으로 전환된다.
도 8c를 참조하면, 화면(860)은 VM들의 스크린 이미지가 사용자가 입체 도형의 각 면에 제공됨을 나타낸다. 화면(860)에서 사용자가 입체 도형의 면을 입력 기기를 통해 슬라이드 또는 드래그를 하여, 입체 도형을 회전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각 VM의 스크린 이미지를 입체 도형의 전면에 제공할 수 있다. 화면(870)과 같이, VM2의 스크린 이미지가 입체 도형의 전면에 제공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VM2의 스크린 이미지를 클릭 또는 태핑하면, 화면(880)과 같이, VM2의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VM 화면 전환 UI 제공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가 동작중인 VM(들)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또한, 원하는 VM으로 이동하기 편리한 UI를 제공하고, 한 VM에서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다른 VM의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으로 용이하게 전환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모든 VM의 스크린의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정보를 한 눈에 제공할 수 있다.
도 9은 도 8a 내지 도 8c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의 시스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VM 화면 전환 장치(900)는 하드웨어 계층에 속하는 메모리(910) 및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914)를 포함할 수 있다. VM 화면 전환 장치(900)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HID 등 다양한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상 머신 모니터(920)는 복수 개의 VM(930, 940, 950)을 지원하는 가상 머신 모니터 계층에 속한다. 가상 머신 모니터(920)는 가상 머신 모니터(920)상에서 동작중인 VM의 정보에 대한 리스트(921)을 유지 및 관리한다. 또한, 가상 머신 모니터(920)는 VM 디바이스 액세스 컨트롤러(922)를 포함할 수 있다. VM 디바이스 액세스 컨트롤러(922)는 설정에 의하여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소정의 VM이 선택되면, 선택된 VM을 포그라운드 VM으로 설정하고, 포그라운드 VM의 HID에 대한 액세스 권한과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의 액세스 권한을 설정할 수 있다.
복수 개의 VM(930, 940, 950)는 공통적으로, IRQ 테이블(936, 943, 953) 및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936, 944, 95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VM 화면 전환을 위해서는, 복수 개의 VM(930, 940, 950) 중 하나의 VM(930)에서만, VM 전환 UI 로딩부(931), VM 전환 UI 제공부(932), 및 VM 스크린 렌더러(933)를 포함하고, 나머지 VM(940, 950)은 VM 전환 인식부(942, 952)를 포함할 수 있다. VM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의 VM(930)을 서버 VM이라고 하고, 나머지 VM(940, 950)을 클라이언트 VM이라고 부를 수 있다.
현재 VMi(940)가 포그라운드 VM으로 동작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VM 전환 인 식부(942)는 사용자가 특정 키 버튼을 눌러서 VM 전환 UI 실행을 요청하는지를 인식한다. VM 전환 인식부(942)는 사용자의 VM 전환 UI 실행 요청을 인식하고, 인식된 VM 전환 UI 실행 요청에 따라서, 가상 머신 모니터(920)에 VMi-1(930)을 포그라운드로 전환시키고, VM 전환 UI 제공부(932)를 실행할 수 있도록 요청한다. VM 전환 인식부(942)는 가상 머신 모니터(920)가 제공하는 인터-VM 통신 채널을 통해 VM 전환 UI 로딩부(931)에게 VM 전환을 요청하는 사용자 요청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
VMi-1(930)의 VM 전환 UI 로딩부(931)는 다른 VM(여기에서, VMi)에서, VM 전환 UI의 요청이 발생하여, VMi-1(930)가 포그라운드 VM으로 전환되었는지를 판단하여, VM 전환 UI 제공부(932)를 실행할 수 있게 한다. 또한, VM 전환 UI 로딩부(931)는 VMi-1(930)에서 일반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특정 키 버튼을 눌렀을 경우, VM 전환 UI 실행 요청을 인식하고, VM 전환 UI를 실행 또는 포그라운드 애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할 수 있게 해준다.
VM 전환 UI 제공부(932)는 가상 머신 모니터상에서 동작하는 VM의 그래픽 데이터를 그래픽 형상으로 표시하며, 특정 VM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애플리케이션 실행으로 VM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VM 전환 UI 제공부(932)는 가상 머신 모니터(920)로부터 VM 리스트 정보(921)를 얻어온다.
VM 스크린 렌더러(933)는 VM 전환 UI 제공부(932)의 제어에 따라 각 VM의 메모리(910) 상의 VM 비디오 데이터 영역의 주소를 얻어온다. 각 VM 비디오 데이터 영역의 주소는 전술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간의 인터-VM 통신 채널을 통해서 획득될 수 있다. VM 스크린 렌더러(933)는 얻어온 주소에 액세스하여 각 VM의 비디오 데이터 정보를 이용하여 각 VM의 동작 화면을 스크린 중첩, 그리드, 입체 도형 등으로 나타내는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VM 스크린 렌더러(933)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VM 화면 전환을 나타내는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각 VM의 스크린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방법으로는,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914)가 레어어링 또는 멀티플 플레인을 지원할 경우, 도 1의 인터페이스의 전환 효과와 마찬가지로, VM 스크린 렌더러(933)가 전환하려는 VM의 그래픽 데이터에 대해 프로그램 레벨에서의 그래픽 데이터에 대한 조작을 통한 렌더링 없이, 바로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936)는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914)의 각 플레인에 출력할 메모리 주소를 설정하고, 이미지 사이즈 변경을 통해 직접적으로 그래픽 데이터 렌더링을 행할 수 있다.
도 10는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통한 VM 화면 전환 순서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VMi(940) 또는 VMi+1(950)이 포그라운드 VM으로 설정되어 동작중인 상태에서, 특정 키 입력 등을 통해서 사용자가 VM 전환 UI 실행을 요청하면(1010), 가상 머신 모니터(920)는 포그라운드 VM을 VM 전환 UI가 동작하는 VMi-1(930)으로 설정한다(1020). 그러면, VM 전환 UI 제공부(932)는 가상 머신 모니터(920)로부터 VM 리스트 정보(921)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VM 전환 UI 를 실행한다(1030). VM 전환 UI 제공부(932)의 동작에 따라, 포그라운드 VM인 VMi-1(930)의 VM 스크린 렌더러(934)는 각 VM의 화면의 그래픽 데이터를 얻어 렌더링을 수행한다(1040). 렌더링된 결과는,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936)를 통해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914)로 제공된다.
다른 VM(예를 들어, VMi+1(950))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1050), VM 전환 UI 제공부(932)는 가상 머신 모니터(920)에게 사용자가 선택한 VM을 포그라운드 VM으로 설정할 것을 요청한다(1060). 가상 머신 모니터(920)는 모든 HID의 사용권과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사용권을 사용자가 선택한 VM으로 설정한다(1070). 포그라운드 홈 스크린이 사용자가 선택한 VM의 홈 스크린으로 전환된다(1080).
이와 같이, 가상 머신 모니터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VM을 지원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에 따르면, 동작중인 각각의 VM 고유의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VM의 전체 화면을 사용하기 때문에, PC에 비해 작은 화면 크기를 갖는 CE 디바이스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VM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다른 VM을 선택하는 동작이 수행될 경우에만, 다른 VM의 스크린 디스플레이 그래픽 데이터를 액세스하고, 선택된 VM이 포그라운드 VM으로 설정된 이후에는, 포그라운드 VM의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직접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를 액세스함으로써, 성능상의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도 11은 가상 윈도우 시스템 모드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화면 전환 장치의 시스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VM간 화면 전환을 위한 모듈과, 가상 윈도우 시스템 모드를 제공하는 모듈을 포함하는 화면 전환 장치의 시스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VM 화면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각 VM상의 홈 스크린 화면 또는 동작 화면을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사용자는 각 VM의 홈 스크린을 이용하여 각 VM에서 동작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확인하거나,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 동작 화면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비해, 가상 윈도우 시스템(Virtual Window System) 모드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는, 사용자는 실행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어느 VM에 있는지, 또는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이 어느 VM상에서 실행되고 있는지를 알 필요가 없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종료 및 관리 등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 윈도우 시스템 모드는 복수 개의 VM(1130, 1140)에서 동작하는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각각 나타내는 아이콘들 이용하여 통합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VM 화면 전환 장치(1100)가 가상 윈도우 시스템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VM(1130, 1140)은, 선택적으로 복수 개의 VM(1130, 1140)에서 동작중인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복수 개의 VM의 구분없이 통합하여 제공하는 가상 윈도우 시스템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VM 화면 전환 장치(1100)는 하드웨어 계층에 속하는 저장부(111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비디오 출력 정보를 표시하는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및 각종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HID 등 다양한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VM 화면 전환 장치(1100)는 VM 화면이 어느 모드에 따라 동작하는지를 나타내는 VM 화면 모드 구성 데이터(1111)를 설정하고, 저장부(1110)에 저장할 수 있다.
가상 머신 모니터(1120)는 복수 개의 VM(1130, 1140)을 지원하는 가상 머신 모니터 계층에 속한다. 각 VM(1130, 1140)에서, VM 화면 전환 모듈(1131, 1142)은 전술한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VM 화면 전환 방식에 따른 동작 모드를 위한 모듈이다.
각 VM(1130, 1140)에서, 가상 윈도우 시스템 모듈(1132)은 모든 VM 애플리케이션 정보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한 화면에 보여 주고, 실행 관리할 수 있는 가상 윈도우 시스템(VWS)의 제공을 위한 모듈이다.
VM1(1130)의 VM 스크린 모드 구성 UI 제공부(1133)는 사용자가 VM 화면 전환 모드와 VWS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결과를 VM 화면 모드 구성 데이터(1111)로에 저장할 수 있다. VM 스크린 모드 구성 UI 제공부(1133)는 복수 개의 VM(1130, 1140) 중 미리 설정된 서버 VM(1130)에서 동작한다.
또한, 각 VM(1130, 1140)에서, VM 화면 모드 로더(1134, 1143)는 VM 화면 전환 모드 또는 가상 윈도우 시스템 모드에 따라 저장부(1110)에 저장된 필요한 데이터 또는 모듈을 각 VM(1130, 1140)에 로드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VM 화면 전환 모듈(1131, 1142) 및 가상 윈도우 시스템 모듈(1132, 1142)이 모두 각 VM(1130, 1140)에 로드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VM 화면 모드 구성 데이터(1111)이 설정 값에 따라, VM 화면 전환 모듈(1131, 1141) 및 가상 윈도우 시스템 모듈(1132, 1142)는 선택적으로 각 VM(1130, 1140)에 로드될 수 있다.
각각의 VM 화면 모드 로더(1134, 1143)는 VM 스크린 모드 구성 UI 제공부(1133)가 저장한 VM 스크린 모드 구성 데이터(1111)를 액세스하여, 현재 어떤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하고, 각 모드에 필요한 모듈들을 실행할 수 있다. 특정 모드에서 동작중인 상태에서, 모드 설정이 변경되었다면, VM 화면 모드 로더(1134, 1143)는 현재 실행중인 모드의 모듈들은 실행을 중지시키고 변경된 모드에 필요한 모듈들을 실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복수 개의 VM을 지원하는 기기에서 각 VM간의 화면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거나 또는 동작중인 모든 VM의 구별없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 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VM 화면 전환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d는 도 1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화면 전환 효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의 시스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VM 화면 전환 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VM 화면 전환 인터페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a 및 도 5b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의 시스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5a 및 도 5b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VM 화면 전환 순서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VM 화면 전환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8a 내지 도 8c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의 시스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는 도 8a 내지 도 8c의 인터페이스를 통한 VM 화면 전환 순서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은 가상 윈도우 시스템 모드를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화면 전환 시스템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20)

  1. 가상 머신 모니터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VM을 지원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로서,
    각각의 VM은,
    상기 복수 개의 VM 중에서 사용자가 특정 VM을 선택하도록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포그라운드로 표시될 VM을 결정하는 VM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
    포그라운드로 표시되고 있던 VM의 화면 및 상기 결정된 VM의 화면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조합하여 조합된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는 VM 화면 전환을 나타내는 화면을 생성하는 VM 스크린 렌더러; 및
    상기 생성된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하는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조합된 그래픽 데이터는, 디스플레이에 각각 부분적으로 표시되어 함께 슬라이딩되는, 상기 포그라운드로 표시되고 있던 VM의 화면 및 상기 결정된 VM의 화면을 포함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VM 각각의 VM 화면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VM 스크린 렌더러는, 상기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와 상기 결정된 VM의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 사이의 통신을 통해서 상기 결정된 VM 화면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가 저장된 저장부의 물리적 주소를 획득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는 음성 입력, 상기 VM 화면 전환 장치의 기울임을 감지하는 센서 입력, 상기 VM 화면 전환 장치의 흔들림을 감지하는 센서 입력, 마우스 입력 및 터치스크린 입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M 화면은 해당 VM에서 실행가능한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 정보를 포함하는 홈 스크린 화면을 포함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모니터는 동작중인 적어도 하나의 VM의 리스트를 관리하고, 상기 동작중인 적어도 하나의 VM의 리스트가 갱신되면, 상기 갱신된 리스트를 상기 VM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에 제공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모니터는,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상기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결정된 VM이 가지도록 설정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VM은, 상기 복수 개의 VM에서 동작중인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복수 개의 VM의 구분없이 통합하여 제공하는 가상 윈도우 시스템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VM 화면 전환 장치.
  8. 가상 머신 모니터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VM을 지원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로서,
    각각의 VM은,
    가상 머신 모니터상에서 동작하는 복수 개의 VM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아이콘들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하나의 아이콘을 선택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복수 개의 아이콘들의 위치를 동시에 이동시키고, 특정 VM에 대응하는 아이콘을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VM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일반 애플리케이션 동작 중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을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인식하여, 상기 VM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VM 전환 UI 로딩부를 더 포함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VM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팝업의 형태로 제공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VM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동작중인 VM 각각을 선택가능한 위젯으로 제공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VM 중에서 상기 특정 VM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가상 머신 모니터는 상기 선택된 VM을 포그라운드 VM으로 전환하고,
    상기 전환된 VM에 포함된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는 상기 전환된 VM의 동작 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 머신 모니터는 동작중인 적어도 하나의 VM의 리스트를 관리하고, 상기 동작중인 적어도 하나의 VM의 리스트가 갱신되면, 상기 갱신된 리스트를 상기 VM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에 제공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VM은, 상기 복수 개의 VM에서 동작중인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복수 개의 VM의 구분없이 통합하여 제공하는 가상 윈도우 시스템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VM 화면 전환 장치.
  15. 가상 머신 모니터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VM을 지원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로서,
    상기 복수 개의 VM은 하나의 서버 VM 및 적어도 하나의 클라이언트 VM을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VM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서버 VM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요청에 따라서, 가상 머신 모니터상에서 동작하는 복수 개의 VM의 현재 화면 표시 내용을 하나의 화면에 중첩 이미지, 그리드 형태 및 입체 도형 중 하나로 표시하고, 특정 VM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VM은,
    가상 머신 모니터상에서 동작하는 VM의 그래픽 데이터를 그래픽 형상으로 표시하고, 특정 VM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VM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요청을 인식하여, 상기 VM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VM 전환 UI 로딩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클라이언트 VM은,
    상기 클라이언트 VM이 포그라운드로 동작중일 때, 사용자가 VM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실행을 요청하는지 인식하는 VM 전환 인식부를 포함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VM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 신호에 따라, VM 화면 전환을 나타내는 화면을 생성하는 VM 스크린 렌더러를 더 포함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VM 전환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상기 복수 개의 VM의 화면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중첩 이미지, 그리드 형태 및 입체 도형 중 하나로 나타내도록 VM 스크린 렌더러를 제어하는 VM 화면 전환 장치.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VM은, 상기 복수 개의 VM에서 동작중인 복수 개의 애플리케이션을 상기 복수 개의 VM의 구분없이 통합하여 제공하는 가상 윈도우 시스템 모드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VM 화면 전환 장치.
  20. VM 화면 전환 장치의 VM 화면 전환 방법에 있어서,
    포그라운드로 표시되어 있던 현재 VM의 화면 및 포그라운드로 표시될 VM의 화면에 대한 그래픽 데이터를 조합하는 단계;
    상기 조합된 그래픽 데이터를 포함하는 VM 화면 전환을 나타내는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화면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조합된 그래픽 데이터는, 디스플레이에 각각 부분적으로 표시되어 함께 슬라이딩되는 상기 포그라운드로 표시되어 있던 VM의 화면 및 상기 포그라운드로 표시될 VM의 화면을 포함하는 VM 화면 전환 방법.
KR1020090113324A 2009-11-23 2009-11-23 가상 머신 간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KR101620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324A KR101620058B1 (ko) 2009-11-23 2009-11-23 가상 머신 간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US12/856,858 US8661360B2 (en) 2009-11-23 2010-08-16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virtual machi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324A KR101620058B1 (ko) 2009-11-23 2009-11-23 가상 머신 간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6843A KR20110056843A (ko) 2011-05-31
KR101620058B1 true KR101620058B1 (ko) 2016-05-24

Family

ID=44063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324A KR101620058B1 (ko) 2009-11-23 2009-11-23 가상 머신 간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661360B2 (ko)
KR (1) KR1016200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040B1 (ko) * 2009-05-19 2016-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화면 표시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US9367331B2 (en) 2009-07-20 2016-06-1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US9372711B2 (en) 2009-07-20 2016-06-2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a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US9389877B2 (en) 2009-07-20 2016-07-1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US9348633B2 (en) 2009-07-20 2016-05-24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ulti-environment operating system
KR101727041B1 (ko) * 2010-10-29 2017-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9886323B2 (en) * 2010-11-01 2018-02-06 Vmware,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virtual machines
US20120192100A1 (en) * 2011-01-25 2012-07-26 Motorola-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ocking and unlocking multiple operating system environments with a single gesture input
JP2012155600A (ja) * 2011-01-27 2012-08-16 Fujitsu Ltd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TW201235946A (en) * 2011-02-18 2012-09-01 Hon Hai Prec Ind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USB device in virtual environment
US9703444B2 (en) * 2011-03-31 2017-07-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distribution of client windows on multiple monitors
US9354900B2 (en) 2011-04-28 2016-05-31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a window in a system having two operating system environments
KR101725247B1 (ko) * 2011-05-27 2017-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모드 제어 방법
KR101844222B1 (ko) * 2011-05-27 2018-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모드 제어 방법
JP5729146B2 (ja) * 2011-06-03 2015-06-03 富士通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情報端末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2718785A4 (en) * 2011-06-13 2014-12-31 Lynux Works Inc SYSTEMS AND METHOD FOR SAFE DOMAIN INSULATION
JP5696603B2 (ja) * 2011-06-29 2015-04-08 富士通株式会社 計算機システム、計算機システムの電力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30019179A1 (en) * 2011-07-14 2013-01-17 Digilink Software, Inc. Mobile application enhancements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3049232B (zh) * 2011-10-17 2016-04-27 联想(北京)有限公司 显示方法和终端设备
US11205019B2 (en) * 2011-10-28 2021-12-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ultiple computing environments on a computer system
KR20130046482A (ko) * 2011-10-28 2013-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본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US8789047B2 (en) * 2012-01-26 2014-07-22 Empire Technology Development Llc Allowing world switches between virtual machines via hypervisor world switch security setting
US9122383B2 (en) * 2012-04-16 2015-09-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bject visualization
CN102768629B (zh) * 2012-04-16 2017-02-0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调度层实现虚拟机间通讯的方法和装置
US9417753B2 (en) 2012-05-02 2016-08-1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ntextual information between operating system environments
WO2013169849A2 (en) 2012-05-09 2013-11-14 Industries Llc Yknot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WO2013169842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WO2013169851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 with controls in a user interface
WO2013169843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EP3410287B1 (en) 2012-05-09 2022-08-1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user interface objects
WO201316986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CN104471521B (zh) 2012-05-09 2018-10-23 苹果公司 用于针对改变用户界面对象的激活状态来提供反馈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13169870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ransitioning between display states in response to gesture
WO2013169846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user contact
WO201316987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content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affordance
EP3185116B1 (en) 2012-05-09 2019-09-1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operations performed in a user interface
WO2013169845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nested regions
EP2847661A2 (en) 2012-05-09 2015-03-1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nd dropping a user interface object
US9342325B2 (en) 2012-05-17 2016-05-1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nchronizing launch-configuration information between first and second application environments that are operable on a multi-modal device
WO2014004747A2 (en) 2012-06-26 2014-01-03 Lynux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features of hardware virtualization such as separation kernel hypervisors, hypervisors, hypervisor guest context, hypervisor context, rootkit detection/prevention, and/or other features
EP2709006A1 (en) * 2012-09-14 2014-03-19 Alcatel Lucent Peripheral interface for residential IaaS
US9459760B2 (en) 2012-11-16 2016-10-04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a user interface
CN103019586B (zh) * 2012-11-16 2017-03-1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用户界面管理方法及装置
CN109375853A (zh) 2012-12-29 2019-02-22 苹果公司 对用户界面分级结构导航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WO2014105279A1 (en) 2012-12-29 2014-07-03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witching between user interfaces
CN107831991B (zh) 2012-12-29 2020-11-27 苹果公司 用于确定是滚动还是选择内容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KR101958582B1 (ko) 2012-12-29 2019-07-04 애플 인크. 터치 입력에서 디스플레이 출력으로의 관계들 사이에서 전환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1755029B1 (ko) 2012-12-29 2017-07-06 애플 인크. 다중 접촉 제스처에 대한 촉각적 출력의 발생을 보류하는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CN105144057B (zh) 2012-12-29 2019-05-17 苹果公司 用于根据具有模拟三维特征的控制图标的外观变化来移动光标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KR101740902B1 (ko) 2013-04-19 2017-05-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캐시 서버를 이용하여 가상 데스크톱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9286097B2 (en) * 2013-07-23 2016-03-15 Intel Corporation Switching a first OS in a foreground to a standby state in response to a system event and resuming a second OS from a background
CN104426940A (zh) * 2013-08-27 2015-03-18 无锡立刻新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多屏交互的手机应用平台
CN110262711B (zh) * 2013-09-03 2023-03-03 苹果公司 用户界面中的用户界面对象操作
US11068128B2 (en) 2013-09-03 2021-07-20 Apple Inc. User interface object manipulations in a user interface
JP6523298B2 (ja) * 2014-01-06 2019-05-29 ジョンソン コントロールズ テクノロジー カンパニー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と車両インターフェースシステム
KR20150085309A (ko) 2014-01-15 2015-07-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버 가상 머신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지원하는 서버 장치
CN104951201A (zh) * 2014-03-28 2015-09-30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可调节界面布局的广告机及其界面布局调节方法
WO2016004263A1 (en) 2014-07-01 2016-01-07 Lynx Software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aspects of hardware virtualization such as separation kernel hypervisors, hypervisors, hypervisor guest context, hypervisor context, anti-fingerprinting, and/or other features
WO2015176046A1 (en) 2014-05-15 2015-11-19 Lynx Software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features of hardware virtualization, hypervisor, apis of interest, and/or other features
US9390267B2 (en) 2014-05-15 2016-07-12 Lynx Software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features of hardware virtualization, hypervisor, pages of interest, and/or other features
WO2015176048A1 (en) 2014-05-15 2015-11-19 Lynx Software Technologies, Inc. Aspects of hardware virtualization, hypervisors, code detection
CN116301544A (zh) 2014-06-27 2023-06-23 苹果公司 尺寸减小的用户界面
US11782745B2 (en) 2014-07-01 2023-10-10 Lynx Software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involving aspects of hardware virtualization such as separation kernel hypervisors, hypervisors, hypervisor guest context, hypervisor context, anti-fingerprinting and/or other features
WO2016036510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Music user interface
US10073590B2 (en) 2014-09-02 2018-09-11 Apple Inc. Reduced size user interface
WO2016036509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Electronic mail user interface
WO2016036416A1 (en) 2014-09-02 2016-03-10 Apple Inc. Button functionality
CN105573610B (zh) * 2014-10-14 2019-01-18 珠海金山办公软件有限公司 一种电子表格操作方法及装置
KR101626489B1 (ko) 2014-11-12 2016-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048757B2 (en) 2015-03-08 2018-08-14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presentation
US10095396B2 (en) 2015-03-08 2018-10-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9645732B2 (en) 2015-03-08 2017-05-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9632664B2 (en) 2015-03-08 2017-04-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9990107B2 (en) 2015-03-08 2018-06-0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9639184B2 (en) 2015-03-19 2017-05-02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20170045981A1 (en) 2015-08-10 2017-02-1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10152208B2 (en) 2015-04-01 2018-12-11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20160349940A1 (en) * 2015-05-26 2016-12-01 Symbol Technologies, Llc Menu item selection on a handheld device display
US10200598B2 (en) 2015-06-07 2019-02-05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10346030B2 (en) 2015-06-07 2019-07-09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US9860451B2 (en) 2015-06-07 2018-01-0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30048B2 (en) 2015-06-07 2017-11-28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with instructions in a web page
US9891811B2 (en) 2015-06-07 2018-02-13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navigating between user interfaces
KR102322033B1 (ko) * 2015-07-21 2021-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운영 체제 간 디스크 이미지를 공유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DE102015214390A1 (de) * 2015-07-29 2017-02-0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Betreiben wechselnder Gastsysteme unter einem Hypervisor
US9880735B2 (en) 2015-08-10 2018-01-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248308B2 (en) 2015-08-10 2019-04-02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s with physical gestures
US10416800B2 (en) 2015-08-10 2019-09-17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adjusting user interface objects
US10235035B2 (en) 2015-08-10 2019-03-1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content navigation and manipulation
KR20180076058A (ko) 2016-12-27 2018-07-05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에서 실행되는 가상 머신의 동작 환경을 최적화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
KR102292004B1 (ko) 2017-04-11 2021-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071540A (ko) 2017-12-14 2019-06-24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서로 다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플랫폼들에 기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제공
US11477304B2 (en) * 2018-01-30 2022-10-1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version to an internet protocol stream
US11435830B2 (en) 2018-09-11 2022-09-06 Apple Inc. Content-based tactile outputs
KR102349584B1 (ko) * 2018-12-14 2022-01-1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통합선박항해지원시스템에서 가상화 기반 다중 디스플레이 전환 방법
US10996761B2 (en) 2019-06-01 2021-05-04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non-visual output of time
EP4307112A1 (en) * 2021-02-26 2024-01-17 LG Electronics Inc.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vehicle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CN115617223A (zh) * 2021-07-12 2023-01-17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切换控制方法、装置、交互智能平板及存储介质
CN116049813B (zh) * 2022-07-29 2023-10-20 荣耀终端有限公司 基于可信执行环境的触屏数据处理方法、设备及存储介质
WO2024071945A1 (ko) * 2022-09-27 2024-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93245A1 (en) * 2006-03-07 2009-07-30 Novell, Inc. Parallelizing multiple boot images with virtual machine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70324B2 (en) * 2003-09-30 2008-05-06 Intel Corporation Switching between a service virtual machine and a guest virtual machine in a virtual machine monitor environment
US9058292B2 (en) 2004-12-29 2015-06-16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ne step address translation of graphics addresses in virtualization
US8274518B2 (en) 2004-12-30 2012-09-2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virtualizing graphics subsystems
KR100746025B1 (ko) 2006-01-12 2007-08-06 삼성전자주식회사 운영체제 스위칭 장치 및 방법
US7483978B2 (en) * 2006-05-15 2009-01-27 Computer Associates Think, Inc. Providing a unified user interface for managing a plurality of heterogeneous computing environments
US7894918B2 (en) * 2006-07-27 2011-02-22 Abb Research Ltd. System for analyzing batch processes
US20080088636A1 (en) * 2006-10-13 2008-04-17 Nee Shen Ho System and method for the display and control of virtual environments in a single pipe graphics memory controller hub using picture-in-picture
KR20080076304A (ko) 2007-02-15 2008-08-20 삼성전자주식회사 게스트 운영체제의 화면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8146098B2 (en) * 2007-09-07 2012-03-27 Manageiq,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acing with a computer user via virtual thumbnails
US9378066B2 (en) * 2008-02-25 2016-06-28 Sap Se Dynamic resizing of applications running on virtual machines
JP2009237826A (ja) * 2008-03-26 2009-10-15 Hitachi Ltd ストレージシステム及びそのボリューム管理方法
US8918488B2 (en) * 2009-02-04 2014-12-23 Citrix System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management of virtual resources in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93245A1 (en) * 2006-03-07 2009-07-30 Novell, Inc. Parallelizing multiple boot images with virtual mach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661360B2 (en) 2014-02-25
KR20110056843A (ko) 2011-05-31
US20110126139A1 (en) 201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0058B1 (ko) 가상 머신 간 화면 전환 장치 및 방법
US10754436B2 (en) Remoting or localizing touch gestures at a virtualization client agent
US7698706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n integrated user interface for managing multiple virtual machines operative in a computing system
CN106843715B (zh) 用于远程化的应用的触摸支持
US9158434B2 (en) User interface virtualization profiles for accessing applications on remote devices
JP4782042B2 (ja) 電子計算機及びソフトウェアによる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の実現方法
KR101002852B1 (ko)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에서의 아이콘들의 관리
US8341208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by a remote machine, access to functionality associated with a resource executing on a local machine
TWI539359B (zh) 使用增強式視窗狀態來配置顯示區域
US8732287B2 (en) System for managing a virtualization solution and management server and method for managing the same
US7996787B2 (en) Plug-in architecture for window management and desktop compositing effects
CN104737129A (zh) 用于对来宾虚拟机的硬件资源进行虚拟化的专用虚拟机
AU2014296339A1 (en) Multi-monitor full screen mode in a windowing environment
WO2024103831A1 (zh) 一种桌面窗口显示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JP2013161407A (ja) 情報表示装置
US11487559B2 (en) Dynamically switching between pointer modes
WO2018231258A1 (en) Generating user interface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