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8336B1 - 공간리모콘의 페어링방법 및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공간리모콘의 페어링방법 및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8336B1
KR101598336B1 KR1020090047660A KR20090047660A KR101598336B1 KR 101598336 B1 KR101598336 B1 KR 101598336B1 KR 1020090047660 A KR1020090047660 A KR 1020090047660A KR 20090047660 A KR20090047660 A KR 20090047660A KR 101598336 B1 KR101598336 B1 KR 101598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ler
signal
mode
pairing
frequency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8962A (ko
Inventor
이민섭
이재경
이건식
김규승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7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8336B1/ko
Priority to US12/783,970 priority patent/US9467119B2/en
Priority to EP10163855A priority patent/EP2256926B1/en
Priority to EP12154232.8A priority patent/EP2453575B1/en
Priority to DE202010018151.8U priority patent/DE202010018151U1/de
Priority to EP14002213.8A priority patent/EP2793395B1/en
Priority to CN201010193071XA priority patent/CN101901537B/zh
Publication of KR20100128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8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8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00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 H03J1/0025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in a remote control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20Binding and programming of remote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G08C2201/32Remote control based on movements, attitude of remote control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공간리모콘의 페어링방법 및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리모콘은 영상표시장치와 자동으로 페어링될 수 있다. 또한 공간리모콘이 영상표시장치와 페어링되지 않은 경우 공간리모콘은 다른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와 페어링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도 공간리모콘을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 공간리모콘, 페어링, RF, IR

Description

공간리모콘의 페어링방법 및 동작방법 {Operating a Remote Controller}
본 발명은 공간리모콘의 페어링방법 및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영상표시장치와 페어링될 수 있고 페어링이 되지 않은 경우에도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공간리모콘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오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 영상신호의 종류와 개수가 증가하고,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영상표시장 치를 동작시킬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의 버튼의 개수가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는 복잡한 원격제어장치의 사용에 번거로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개발 등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원격제어장치는 영상표시장치로 IrDA 통신 규격(이하, IR 통신 규격이라 칭함)에 따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IrDA 통신 규격에 따른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영상표시장치에서 제공할 수 있는 기능이 다양해지면서 원격제어장치에서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신호에 포함된 정보의 종류 및 신호가 전송되는 통신 규격도 다양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원격제어장치를 영상표시장치와 간단하게 페어링할 수 있도록 페어링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의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리모콘 페어링방법은, 관리용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페어링 요청신호를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페어링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에서 전송한 페어링 주파수 정보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페어링 주파수 정보에 포함 된 주파수 채널 중 소정 주파수 채널을 페어링 주파수 채널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리모콘 동작방법은, 버튼 조작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공간리모콘의 현재 모드가 RF 모드인지 혹은 IR 모드인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한 모드에 대응하는 통신 규격에 따라 상기 조작한 버튼에 대응하는 신호를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리모콘은, 무선통신부; 및 관리용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페어링 요청신호가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페어링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에서 전송한 페어링 주파수 정보에 관한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페어링 주파수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 채널 중 소정 주파수 채널을 페어링 주파수 채널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간리모콘은, 버튼이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 무선통신부; 및 공간리모콘의 현재 모드가 RF 모드인지 혹은 IR 모드인지 판별하고, 상기 판별한 모드에 대응하는 통신 규격에 따라 상기 조작한 버튼에 대응하는 신호가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와 원격제어장치를 편리하고 간단하게 페어 링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는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영상표시장치와 페어링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를 사용하기 전에 영상표시장치와 원격제어장치를 수동으로 페어링하는 단계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는 적어도 2개의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제어장치는 하나의 통신 규격에 따른 신호 전송이 어려운 경우에도 다른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음성 처리부(101), 인터페이스부(150), 저장부(160), 디스플레이(170), 음성출력부(175)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음성 처리부(101)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70) 및 음성출력부(175)로 영상 또는 음성이 출력될 수 있도록 입력된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이를 위하여 영상/음성 처리부(101)는 신호 입력부(110), 복조부(120), 신호처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입력부(110)는 튜너부(111), A/V 입력부(112), USB 입력부(113), 무선신호 입력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부(11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예 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 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 SIF)는 신호처리부(14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부(111)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적어도 2개의 튜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튜너부를 구비하는 경우, 제2 튜너부는 제1튜너부와 유사하게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제2튜너부는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2튜너부는 주기적으로 모든 방송 채널의 변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100)는 제1튜너부를 통하여 변환된 방송 신호의 영상을 표시하면서, 제2튜너부를 통하여 변환된 여러 채널의 영상을 썸 네일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튜너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인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제2튜너부는 메인 RF 방송 신호를 제외한 모든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주기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일예로,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 다른 예로,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COFDMA(C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신호 처리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40)는 역다중화 및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70)에 영상을 출력하고, 음성 출력부(175)로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적어도 2개의 튜너부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의 경우, 그에 대응하는 수의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복조부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입력부(110)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장치(100)을 연결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라디오, 오디오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 게임기기 등 다양한 종류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 장치를 의미한다. 신호 입력부(110)는 외부 장치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신호처리부(140) 로 입력한다.
신호 입력부(110)의 A/V 입력부(112)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IEEE 1394 단자, SPDIF 단자, 리퀴드(Liquid) HD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VBS 단자, 및 S-비디오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신호 처리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과정 없이 신호 처리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USB 입력부(113)는, USB 단자를 통해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무선신호 입력부(114)는, 영상표시장치(100)를 무선 네트워크망에 연결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무선신호 입력부(114)를 통해 무선 인터넷 접속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신호 입력부(114)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입력부(110)는 영상표시장치와 셋탑 박스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탑 박스가 IP(internet Protocol) TV용 셋탑 박스인 경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도록, IP TV용 셋탑 박스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신호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으며, 신호처리부(14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 TV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40)는 수신되는 스트림 신호, 일예로 MPEG-2 TS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4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MPEG 4 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MPEG 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위성 DMB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MPEG 2의 AAC(Advanced Audio Codec)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AAC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40)에서 처리된 음성신호는 음성 출력부(175)로 음성 출력된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 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OSD(On Screen Display)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부는,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와, 데이터 처리된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 및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70)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신호 입력부(11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저장부(160)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가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수신한 신호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로 입력한 명령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도록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한다. 일예로, 사용자가 소정 채널 선택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선택한 채널이 신호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도록 튜너부(111)을 제어한다. 또한, 선택한 채널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처리되도록 신호처리부(140)를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170) 또는 음성출력부(17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신호처리부(140)를 제어한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다른 종류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방송신호 대신 USB 입력부(113)를 통하여 입력되는 카메라 또는 캠코더 영상신호를 시청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신호 입력부(110)의 USB 입력부(113)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가 신호처리부(140)를 통하여 처리되고 디스플레이(170) 또는 음성출력부(175)를 통해 출력되도록 영상/음성 처리부(10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입력되는 명령 외에도 영상표시장치(100)에 형성된 사용자 입력부(155)를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도록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5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 온/오프 명령, 채널 변경명령, 볼륨 변경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55)는 영상표시장치(100)에 형성된 버튼이 나 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55)의 조작여부를 판별하고 그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 및 영상표시장치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공간리모콘(201)의 사시도이다.
공간리모콘(201)은 영상표시장치(100)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200) 중 하나이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1)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통신 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에는 공간리모콘(201)에 대응하는 포인터(202)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간리모콘(201)을 상하, 좌우, 앞뒤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202)는 공간리모콘(201)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도 2b는 공간리모콘(20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움직이는 바를 도시하고 있다.
도 2b에서 사용자는 공간리모콘(201)을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1)은 움직임을 판별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한다. 공간리모콘(201)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공간리모콘(201)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100)는 공간리모콘(201)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는 포인터(202)의 좌표값을 산출한다.
도 2a 및 도 2b는 공간리모콘(201)의 상하, 좌우 또는 회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된 포인터(200)가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다. 포인터(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공간리모콘(201)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소정 명령이 입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공간리모콘(201)의 앞뒤로 움직일 경우 영상표시장치(200)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가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간리모콘(201) 및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 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리모콘(201)은,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22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1)은 RF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공간리모콘(201)은 IR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1)은 영상표시장치(100)로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공간리모콘(201)은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공간리모콘(201)은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공간리모콘(201)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공간리모콘(201)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공간리모콘(201)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을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는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공간리모콘(201)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 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통신부(220)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공간리모콘(201)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는 공간리모콘(201)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공간리모콘(201)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공간리모콘(201)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공간리모콘(201)이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공간리모콘(201)과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공간리모콘(201)과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공간리모콘(201)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 부(240)에서 센싱한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통신부(220)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는 공간리모콘(201)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151)와, 공간리모콘(21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154)를 구비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152)을 통하여 공간리모콘(201)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153)을 통하여 공간리모콘(201)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154)는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수신된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2)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공간리모콘(201)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공간리모콘(201)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공간리모콘(201)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공간리모콘(201)은 공간리모콘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 및 원격제어장치(200) 중 공간리 모콘(201)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 공간리모콘(201)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4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간리모콘의 페어링방법 및 동작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공간리모콘(201)과 영상표시장치(100)가 페어링될 때 공간리모콘(201)과 영상표시장치(100) 사이에서 신호가 송수신되는 바를 도시한다.
제1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1)과 영상표시장치(100)는 관리용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관리용 주파수 채널에 관한 정보는 공간리모콘(201)의 저장부(270)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저장부(175)에 저장되어 있다. 공간리모콘(201)은 저장부(270)에 저장된 관리용 주파수 채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고, 참조한 정보에 따라 관리용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페어링을 요청할 수 있다. 관리용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면 공간리모콘(201)은 페어링이 이루어지기 전에도 영상표시장치(100)와 RF 통신 규격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의하면, 공간리모콘(201)이 리셋되거나, 사용자가 페어링 요청버튼을 조작하거나, 공간리모콘(201)으로 영상표시장치(100) 파워 온 명령이 입력되면, 공간리모콘(201)은 페어링 요청패킷을 포함하는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한다(S10).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페어링 요청신호를 저장부(270)에 저장된 관리용 주파수 채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무선통신부(220)의 RF 모듈(221)을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한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표시장치의 무선통신부(151)에 포함된 RF 모듈(152)을 통하여 공간리모콘(201)이 전송한 페어링 요청패킷을 수신한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수신한 페어링 요청패킷에 대한 응답으로 페어링이 가능한 주파수 채널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호를 공간리모콘(201)으로 전송한다(S20).
공간리모콘(201)은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페어링이 가능한 주파수 채널에 관한 정보를 무선통신부(220)의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한다. 공간리모콘(201)은 전송된 주파수 채널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 채널을 스캐닝한다(S30).
공간리모콘(201)은 스캐닝 결과 최적의 주파수 채널을 페어링 주파수 채널로 선택한다. 최적의 주파수 채널은 데이터가 가장 잘 수신되거나 가장 파워가 큰 주파수 채널을 선택한다(S40). 즉, 공간리모콘(201)은 수신감도가 가장 높은 주파수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공간리모콘(201)은 다른 외부 장치에서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 채널을 페어링 주파수 채널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공간리모콘(201)는 노이즈나 간섭현상이 가장 적은 주파수 채널을 페어링 주파수 채널로 설정할 수 있다.
공간리모콘(201)은 선택한 채널에 관한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한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수신한 채널 정보에 따라 페어링 주파수 채널을 설정하고, 공간리모콘(201)과 영상표시장치(100)의 페어링은 종료된다(S60).
공간리모콘(201)은 페어링이 종료되면 RF 모드로 진입한다(S70). RF 모드는 영상표시장치(100)와 RF 통신 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하는 모드이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페어링 주파수 채널에 관한 정보가 저장부(270)에 저장되어 있으면 공간리모콘(201)의 모드를 RF 모드로 인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1)은 RF 모드 혹은 IR 모드에 있을 수 있다. 공간리모콘(201)이 IR 모드인 경우 공간리모콘(201)은 IR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IR 모듈(153)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공간리모콘(201)이 RF 모드에 있을 때 소모하는 전력의 양은 IR 모드에 있을 때보다 크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1)은 리셋되거나, 소정 시간 이상 버튼 또는 키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IR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IR 모드에 있는 공간리모콘(201)을 통하여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100)을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공간리모콘(201)의 사용자 입력부(230)에 포함된 버튼 중 영상표시장치(100) 파워 온 버튼을 조작할 수 있다. IR 모드에 있는 공간리모콘(201)은 IR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IR 모듈(153)로 파워 온 신호를 전송한다. 파워 온 신호를 수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파워 온 된다.
또한, 사용자가 공간리모콘(201)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공간리모콘(201)은 IR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간리모콘(201)을 장시간 사용하지 않은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버튼이나 키를 조작하면 공간리모콘(201)은 IR 통신 규격에 따라 조작된 소정 버튼 또는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1)은 IR 통신 규격에 따른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한 후 자동적으로 페어링 요청패킷을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페어링을 수동으로 요청하지 않아도 공간리모콘(201)은 영상표시장치(100)와 페어링될 수 있다.
페어링이 완료된 후 공간리모콘(201)을 RF 모드로 진입한다. RF 모드에서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03)의 소정 버튼이나 키가 조작되거나 공간리모콘(201)이 소정 패턴에 따라 움직이면 그에 대응하는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공간리모콘의 동작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는 공간리모콘(201)으로 전원이 공급된 경우, 공간리모콘(201)의 동작방법의 흐름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공간리모콘(201)의 전원 공급부(260)는 공간리모콘(201)이 소정 시간 이상 움직이지 않거나 공간리모콘(201)의 사용자 입력부(230)가 소정 시간 이상 조작되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또한, 공간리모콘(201)의 배터리 등이 교체되는 동안 전원 공급부(260)의 전원 공급은 차단될 수 있다.
전원 공급이 중단된 후 공간리모콘(201)으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S110), 공간리모콘(201) 시스템은 초기화될 수 있다(S120). 시스템 초기화란, 공간리모 콘(201)에 저장된 설정 등이 리셋된 상태일 수 있다.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공간리모콘(201)의 시스템을 초기화한 후, 사용자 입력부(230)의 임의의 버튼이나 키가 조작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30).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임의의 버튼이나 키가 조작된 것을 감지하거나, 공간리모콘(201)이 소정 패턴에 따라 움직인 것을 감지하면, 현재 공간리모콘(201)의 모드를 판별한다(S140).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1)은 IR 모드 또는 RF 모드 중 하나의 모드를 가질 수 있다.
만일 공간리모콘(201)이 RF 모드인 경우, 제어부(280)는 RF 모드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150). 즉, 제어부(280)는 조작된 버튼이나 키 또는 공간리모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RF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한다. RF 모드에서 공간리모콘(201)은 RF 모듈(221)을 통해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만일 공간리모콘(201)이 IR 모드인 경우, 제어부(280)는 IR 모드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160). 즉, 제어부(280)는 조작된 버튼이나 키 또는 공간리모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IR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한다. IR 모드에서 공간리모콘(201)은 IR 모듈(223)을 통해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공간리모콘(201)의 저장부(270)에 저장된 페어링 주파수 채널에 관한 정보가 있는 경우, 공간리모콘(201)이 RF 모드에 있는 것으로 판별한다.
또한 공간리모콘(201)의 모드가 IR 모드인 경우, 제어부(280)는 공간리모콘(201)의 IR 모듈(223)을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로 신호를 전송한 후 또는 신호 전송 시 영상표시장치(100)로 페어링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공간리모콘(201)의 사용자 입력부(230)을 포함하는 버튼 또는 키 중 페어링 요청버튼을 조작하면,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관리용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페어링 요청패킷을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공간리모콘의 동작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공간리모콘(201)의 사용자 입력부(230)에 포함된 페어링 요청버튼을 조작한 경우 수동으로 공간리모콘(201)과 영상표시장치(100)를 페어링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공간리모콘(201)의 사용자 입력부(230)에 포함된 임의의 버튼을 조작하면(S210),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현재 공간리모콘(201)의 모드가 RF 모드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215).
만일 현재 공간리모콘(201)의 모드가 RF 모드인 경우,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RF 모듈(221)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신호를 전송한다. 이 경우 공간리모콘(201)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는 신호는 RF 통신 규격에 따른 신호이며, 사용자가 조작한 버튼 또는 키에 대응하는 신호이다. 또한, 공간리모콘(201)을 소정 패턴으로 움직여서 영상표시장치(100)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경우, 공간리모콘(201)의 RF 모듈(221)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되는 신호는 공간리모콘(201)의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는 신호이다.
공간리모콘(201)이 공간리모콘(201)의 RF 모듈(221)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신호를 전송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표시장치(100)의 RF 모듈(152)을 통하여 전송한 신호를 수신한다. 영상표시장치(100)는 RF 모듈(152)을 통하여 공간리모콘(201)이 전송한 신호를 수신하면, 공간리모콘(201)으로 응답패킷을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공간리모콘(201)은 영상표시장치(100)가 응답패킷을 전송하지 않을 경우 전송이 실패한 것으로 판별하고 신호 전송을 수회 더 시도해볼 수 있다. 또한 공간리모콘(201)은 영상표시장치(100)가 응답패킷을 소정 시간 내에 또는 소정 전송 횟수 내에 전송하지 않을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와 페어링이 중단된 것으로 판별하고 IR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IR 모드로 진입한 공간리모콘(201)은 조작한 버튼, 키 또는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IR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일 현재 공간리모콘(201)의 모드가 IR 모드인 경우,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조작된 버튼 또는 키가 수동 페어링 요청명령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225). 또한 사용자가 공간리모콘(201)을 소정 패턴에 따라 움직인 경우, 제어부(280)는 소정 패턴이 수동 페어링 요청명령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만일 수동 페어링 요청명령에 대응하는 버튼이나 키가 조작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280)는 공간리모콘(201)의 IR 모듈(2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버튼이나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한다. IR 모듈(223)을 통하여 전송되는 신호는 IR 통신 규격을 따른다. 또한 사용자가 공간리모콘(201)을 소정 패턴에 따라 움직인 경우, 소정 패턴에 대응하는 신호를 IR 모듈(223)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만일 수동 페어링 요청명령에 대응하는 버튼이나 키가 조작되거나, 수동 페어링 요청명령에 대응하도록 사용자가 공간리모콘(201)을 소정 패턴에 따라 움직인 경우,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관리용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페어링 요청패킷을 포함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235).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공간리모콘(201)의 저장부(270)에 저장된 관리용 주파수 채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고, 참조한 관리용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페어링 요청패킷을 전송한다. 제어부(280)는 페어링 요청패킷이 RF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되도록 RF 모듈(221)을 제어한다.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페어링 가능한 주파수 채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240). 만일,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페어링 가능 주파수 채널 정보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수회 동안 페어링 요청패킷을 영상표시장치(100)로 재전송할 수 있다. 수회 페어링 요청패킷을 영상표시장치(100)로 재전송한 후에도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페어링 가능한 주파수 채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지 못할 경우,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공간리모콘(201)의 모드를 IR 모드로 변환할 수 있다. IR 모드의 공간리모콘(201)은 IR 모듈(223)을 통해 IR 통신 규격에 대응하는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페어링이 가능한 주파수 채널에 관한 정보 를 영상표시장치(100)를 통하여 수신하면, 전송된 주파수 채널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 채널을 스캐닝하고, 페어링할 주파수 채널을 선택한다(S245).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스캐닝한 주파수 채널 중 가장 수신감도가 높은 주파수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선택한 주파수 채널에 관한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고 RF 모드로 진입한다(S250). RF 모드에서 공간리모콘(201)과 영상표시장치(100)는 RF 모듈(221, 152)을 통하여 RF 통신 규격에 따른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페어링 요청버튼은 사용자 입력부(230)에 포함된 별도의 버튼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230)에 포함된 소정 버튼을 소정 패턴에 따라 조작할 경우 페어링 요청명령이 공간리모콘(201)으로 입력될 수 있다.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부(240)가 형성된 공간리모콘의 경우, 사용자가 공간리모콘을 소정 패턴에 따라 움직이면 페어링 요청명령이 공간리모콘(201)으로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를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공간리모콘의 동작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는 RF 모드에 있는 공간리모콘(201)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공간리모콘(201)의 사용자 입력부(230)에 포함된 소정 버튼이나 키를 조작하거나 공간리모콘(201)을 소정 패턴에 따라 움직인 경우(S310),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공간리모콘(201)이 RF 모드에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 다(S315).
만일 공간리모콘(201)이 RF 모드에 있지 않은 경우,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공간리모콘(201)이 IR 모드에 있는 것으로 판별하고 IR 모듈(223)을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320). 이 경우, 조작된 버튼, 키 또는 공긴리모콘(20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공간리모콘(201)으로 입력된 명령이 페어링 요청명령인 경우, 도 6에 도시된 방법에 따라 공간리모콘(201)은 동작할 수 있다.
만일 공간리모콘(201)이 RF 모드에 잇는 경우,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RF 모듈(221)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RF 통신 규격에 따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325). 공간리모콘(201)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는 신호는 조작된 버튼이나 키 또는 공간리모콘(201)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이다.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신호를 전송한 후 소정 시간 이내에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응답패킷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330). 만일 소정 시간 이내에 응답패킷이 공간리모콘(201)의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되면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전송 시퀀스를 종료한다(S335).
만일 소정 시간 이내에 응답패킷이 수신되지 않으면,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소정 횟수 동안 조작한 버튼이나 키 또는 공간리모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S340, S325). 만일 소정 횟수 동안 신호를 전송하여도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응답패킷을 수신하지 못할 경우,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공간리모콘(201)의 모드를 IR 모드로 변환한다.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공간리모콘(201)의 모드를 IR 모드로 변환한 후 조작한 버튼, 키 또는 공간리모콘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IR 모듈(223)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S320). 또한,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페어링 요청패킷을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여 공간리모콘(201)과 영상표시장치(100)을 페어링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공간리모콘의 동작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는 공간리모콘(201)의 소정 버튼이나 키를 조작하여 영상표시장치를 파워 온 할 경우 공간리모콘(201)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공간리모콘(201)의 영상표시장치(100) 파워버튼을 조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파워 온 할 수 있다. 공간리모콘(201)은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파워 온 명령신호를 공간리모콘(201)의 IR 모듈(223)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공간리모콘(201)은 영상표시장치(100)가 파워 온 되면 페어링을 완료한 후 RF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RF 모드로 진입한 공간리모콘(201)은 RF 모듈(221)을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공간리모콘(201)의 사용자 입력부(230)에 포함된 소정 버튼 또는 키가 조작되거나 공간리모콘(201)이 소정 패턴에 따라 움직이면, 공간리모콘(201)으로 영상표시장치(100) 파워 온 명령이 입력된다(S410).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IR 모듈(2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파워 온 키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한다(S415). 파워 온 된 영상표시장치(100) 는 관리용 주파수를 통하여 공간리모콘(201)으로 응답패킷을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IR 모듈(223)을 통하여 파워 온 신호를 전송한 후 RF 모듈(221)을 통하여 응답패킷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S420). RF 통신 규격에 따른 응답패킷은 공간리모콘(201)과 영상표시장치(100)의 관리용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송수신된다. 따라서 공간리모콘(201)과 영상표시장치(100)가 페어링되기 전에도 RF 통신 규격에 따른 신호 송수신이 가능하다.
만일, 관리용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응답패킷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자동 페어링은 종료되며, 공간리모콘(201)은 IR 모드로 진입하여 동작한다(S425). 만일 응답패킷이 수신되면,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현재 공간리모콘(201)의 모드가 RF 모드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430). 만일 현재 공간리모콘(201)의 모드가 RF 모드인 경우, 자동 페어링은 종료되며 공간리모콘(201)은 RF 모드로 진입하여 동작한다(S435).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공간리모콘(201)의 저장부(270)에 페어링 주파수 채널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면 공간리모콘(201)의 모드를 RF 모드라고 판별한다.
만일 공간리모콘(201)의 모드가 RF 모드가 아닌 경우,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관리용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페어링 요청패킷을 포함한 신호를 전송한다(S440). 페어링 요청패킷을 포함한 신호는 공간리모콘(201)의 RF 모듈(221)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RF 모듈(152)로 전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페어링 요청패킷은 사용자가 별도로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버튼이나 키를 조작하거나, 공간리모콘(201)을 움직이지 않은 경우에도 영상 표시장치(100)가 파워 온 되면 자동적으로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공간리모콘(201)과 영상표시장치(100)의 페어링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페어링 가능 주파수 채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S445), 전송된 주파수 채널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 채널을 스캐닝하여 페어링할 주파수 채널을 선택한다(S450).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선택한 주파수 채널에 관한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하고 RF 모드로 진입한다(S455). RF 모드로 진입한 공간리모콘(201)은 선택한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RF 통신 규격에 따른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와 송수신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의한 공간리모콘의 외관을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간리모콘(201)은 LED 모듈(251)을 통하여 현재 공간리모콘(201)의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 일예로, 도 9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리모콘이 IR 모드에 있을 경우,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LED 모듈(251) 중 제1LED(251a)를 턴 온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9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리모콘이 RF 모드에 잇을 경우,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LED 모듈(251) 중 제2LED(251b)를 턴 온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2 LED(251a, 251b)의 점등상태를 통하여 공간리모콘(201)의 페어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간리모콘(201)에 의하여 제어되는 영상표시장치(100)는 공간리모콘(201)의 모드에 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일예로, 도 10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리모콘이 IR 모드에 있을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70)의 화면에 IR 아이콘(181)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0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리모콘이 RF 모드에 있을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70)의 화면에 RF 아이콘(182)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IR 또는 RF 아이콘(181, 182)를 통하여 공간리모콘(201)의 모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공간리모콘 페어링방법 및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 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블럭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공간리모콘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리모콘의 블럭도,
도 4 내지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리모콘의 페어링방법 또는 동작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9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리모콘의 외관이 도시된 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영상표시장치 15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200 : 원격제어장치
201 : 공간리모콘 222 : 포인터
220 : 무선통신부 280 : 제어부

Claims (22)

  1. IR 모듈과 RF 모듈을 구비하는 공간리모콘의 페어링 방법에 있어서,
    파워 온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IR 모듈을 통해, 영상표시장치로, 파워 온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페어링 요청신호를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페어링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에서 전송한 페어링 주파수 정보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페어링 주파수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 채널 중 소정 주파수 채널을 페어링 주파수 채널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RF 모듈을 통해, 상기 영상표시장치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리모콘 페어링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리모콘에 저장된 관리용 주파수 채널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페어링 요청신호 및 페어링 주파수 정보에 관한 신호를 관리용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리모콘 페어링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요청신 전송단계는,
    상기 페어링 요청신호를 페어링 요청 버튼이 조작되거나, 상기 공간리모콘이 리셋된 경우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리모콘 페어링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주파수 채널 설정단계는,
    상기 수신한 페어링 주파수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 채널을 스캐닝한 후 소정 주파수 채널을 상기 페어링 주파수 채널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리모콘 페어링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페어링 주파수 채널은 상기 스캐닝한 주파수 채널 중 최적 주파수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리모콘 페어링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주파수 채널 설정단계에서 페어링 주파수 채널이 설정된 공간리모콘의 모드는 RF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리모콘 페어링방법.
  7. 버튼 조작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공간리모콘의 현재 모드가 RF 모드인지 혹은 IR 모드인지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판별한 모드에 대응하는 통신 규격에 따라 상기 조작한 버튼에 대응하 는 신호를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리모콘 동작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판별단계는,
    상기 영상표시장치와의 페어링 주파수 채널에 관한 정보가 상기 공간리모콘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공간리모콘의 모드를 RF 모드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리모콘 동작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전송단계에서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RF 통신 규격에 따라 신호를 전송한 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RF 통신 규격에 따라 소정 횟수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공간리모콘의 모드를 IR 모드로 변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리모콘 동작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변환단계에서 상기 공간리모콘의 모드를 IR 모드로 변환한 경우,
    상기 조작한 버튼에 대응하는 신호를 IR 통신 규격에 따라 상기 영상표시장 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리모콘 동작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판별단계에서 상기 공간리모콘의 모드가 IR 모드로 판별된 경우,
    페어링 요청버튼의 조작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페어링 요청 버튼이 조작된 것으로 판별된 경우, 관리용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리모콘 동작방법.
  12. 영상표시장치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공간리모콘에 있어서,
    IR 모듈과 RF 모듈을 구비하는 무선통신부;
    파워 온 버튼을 구비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
    채널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저장부; 및
    상기 파워 온 버튼의 조작에 따라, 상기 IR 모듈을 통해, 영상표시장치로, 파워 온 신호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페어링 요청신호가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페어링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에서 전송한 페어링 주파수 정보에 관한 신호를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하여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페어링 주파수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 채널 중 소정 주파수 채널을 페어링 주파수 채널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RF 모듈은,
    상기 설정된 주파수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와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리모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에 상기 설정한 페어링 주파수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리모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어링 요청신호를 페어링 요청 버튼이 조작되거나 상기 공간리모콘이 리셋된 경우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리모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한 페어링 주파수 정보에 포함된 주파수 채널을 스캐닝한 후 소정 주파수 채널을 상기 페어링 주파수 채널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리모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하는 페어링 주파수 채널은 상기 스캐닝한 주파수 채널 중 최적 주파수 채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리모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페어링 주파수 채널이 설정된 공간리모콘의 모드는 RF 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리모콘.
  18. 버튼이 구비된 사용자 입력부;
    무선통신부; 및
    공간리모콘의 현재 모드가 RF 모드인지 혹은 IR 모드인지 판별하고, 상기 판별한 모드에 대응하는 통신 규격에 따라 상기 조작한 버튼에 대응하는 신호가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리모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와 상기 공간리모콘이 페어링된 경우 페어링 주파수 채널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어링 주파수 채널에 관한 정보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공간리모콘의 모드를 RF 모드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리모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RF 통신 규격에 따라 신호를 전송한 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거나,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RF 통신 규격에 따라 소정 횟수 신호를 전송하는 동안 상기 영상표시장치의 응답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간리모콘의 모드를 IR 모드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리모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간리모콘의 모드를 IR 모드로 변환한 경우, 상기 조작한 버튼에 대응하는 신호를 IR 통신 규격에 따라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리모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간리모콘의 모드를 IR 모드로 판별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페어링 요청버튼의 조작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페어링 요청 버튼이 조작된 것으로 판별된 경우, 관리용 주파수 채널을 통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로 페어링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간리모콘.
KR1020090047660A 2009-05-29 2009-05-29 공간리모콘의 페어링방법 및 동작방법 KR101598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660A KR101598336B1 (ko) 2009-05-29 2009-05-29 공간리모콘의 페어링방법 및 동작방법
US12/783,970 US9467119B2 (en) 2009-05-29 2010-05-20 Multi-mode point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ulti-mode pointing device
EP10163855A EP2256926B1 (en) 2009-05-29 2010-05-26 Multi-mode point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ulti-mode pointing device
EP12154232.8A EP2453575B1 (en) 2009-05-29 2010-05-26 Multi-mode point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ulti-mode pointing device
DE202010018151.8U DE202010018151U1 (de) 2009-05-29 2010-05-26 Multimode-Zeigevorrichtung
EP14002213.8A EP2793395B1 (en) 2009-05-29 2010-05-26 Multi-mode pointing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multi-mode pointing device
CN201010193071XA CN101901537B (zh) 2009-05-29 2010-05-28 多模指点装置以及操作多模指点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660A KR101598336B1 (ko) 2009-05-29 2009-05-29 공간리모콘의 페어링방법 및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962A KR20100128962A (ko) 2010-12-08
KR101598336B1 true KR101598336B1 (ko) 2016-02-29

Family

ID=42712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660A KR101598336B1 (ko) 2009-05-29 2009-05-29 공간리모콘의 페어링방법 및 동작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467119B2 (ko)
EP (3) EP2793395B1 (ko)
KR (1) KR101598336B1 (ko)
CN (1) CN101901537B (ko)
DE (1) DE202010018151U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655A1 (ko) * 2021-06-24 2022-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9738B1 (ko) * 2010-04-30 2017-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셔터 글래스의 동작 제어방법
US20140033253A1 (en) * 2011-01-30 2014-01-30 Sang Hyun Cho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JP2012169818A (ja) * 2011-02-14 2012-09-06 Nikon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
US10504360B2 (en) 2011-04-08 2019-12-10 Ross Gilson Remote control interference avoidance
KR20130114405A (ko) * 2012-04-09 2013-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 및 그 동작 방법
WO2014046424A1 (en) * 2012-09-18 2014-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and device
US9198023B2 (en) 2013-01-24 2015-11-24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initially configuring wireless devices by using wireless gateway in internet environment
KR101373378B1 (ko) * 2013-09-06 2014-03-13 (주) 파켐코리아 Nfc 태그를 이용한 리모콘의 오토페어링 장치 및 방법
US20160174272A1 (en) * 2014-12-16 2016-06-1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ng and assisting wi-fi direct connections using mobile-device ir-blaster
DE102015108746B3 (de) * 2015-06-02 2016-09-15 Fm Marketing Gmbh Verfahren zur Kopplung einer Fernbedienung und einem elektronischen Gerät
CN107978144A (zh) * 2017-11-09 2018-05-0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控制方法及遥控器
KR102404364B1 (ko) * 2018-01-25 2022-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페어링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US10595073B2 (en) * 2018-06-03 2020-03-17 Apple Inc. Techniques for authorizing controller devices
KR20210025812A (ko) 2019-08-28 2021-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7779B1 (en) 1999-03-29 2002-06-18 Zilo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uitive universal remote control system
US20060181430A1 (en) 2005-01-19 2006-08-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establishing remote-controller communication mode for use in digital electronic devices
JP2009049590A (ja) * 2007-08-16 2009-03-05 Sony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受信装置およ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279B2 (ja) * 1988-03-28 1994-03-09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シヨツトキバリア半導体装置
US5585953A (en) 1993-08-13 1996-12-17 Gec Plessey Semiconductors, Inc. IR/RF radio transceiver and method
KR0170326B1 (ko) * 1994-07-27 1999-03-30 김광호 원격제어방법 및 그 장치
US5500691A (en) 1995-01-04 1996-03-19 Sony Corporation Remote control identifier setup in a video system having both IR and RF transmitters
JPH1083272A (ja) 1996-09-10 1998-03-31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ルチウィンドウ表示装置およびマルチウィンドウ表示方法
US7256770B2 (en) * 1998-09-14 2007-08-1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sponsive to sensing a physical presence proximate to a computer input device
US6812881B1 (en) * 1999-06-30 2004-1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ystem for remote communication with an addressable target using a generalized pointing device
US6704346B1 (en) * 2000-03-16 2004-03-0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improved microwave interference robustness in RF communications devices
US6684062B1 (en) 2000-10-25 2004-01-27 Eleven Engineering Incorporated Wireless game control system
JP4581264B2 (ja) * 2001-02-20 2010-11-17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ジタル/アナログ放送受信装置
US7830362B2 (en) 2001-07-05 2010-11-09 Michael Cain Finley Laser and digital camera computer pointer device system
US20030011638A1 (en) 2001-07-10 2003-01-16 Sun-Woo Chung Pop-up menu system
US7146573B2 (en) 2002-01-28 2006-1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window representation adjustment
US7343566B1 (en) 2002-07-10 2008-03-11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window for a user interface
US20050015803A1 (en) 2002-11-18 2005-01-20 Macrae Douglas B.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al-time services in an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application
US20040104891A1 (en) * 2002-11-25 2004-06-03 Frank Sacca Intertial pointer for electronic displays
US7962522B2 (en) 2003-06-03 2011-06-14 Norris Iii Forbes Holten Flexible, dynamic menu-based web-page architecture
MXPA06003890A (es) 2003-10-06 2006-07-03 Disney Entpr Inc Sistema y metodo de control de reproduccion y caracteristica para reproductores de video.
US7059790B2 (en) * 2003-11-14 2006-06-13 Tareq Risheq Keyboard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2005198115A (ja) 2004-01-08 2005-07-21 Toshiba Corp リモコン装置
EP1709609B1 (en) * 2004-01-20 2020-05-27 III Holdings 6, LLC Advanced control device for home entertainment utilizing three dimensional motion technology
US20050243059A1 (en) 2004-03-16 2005-11-03 Morris Martin G High-reliability computer interface for wireless input devices
US7176888B2 (en) * 2004-03-23 2007-02-13 Fujitsu Limited Selective engagement of motion detection
EP2343699A1 (en) * 2004-04-30 2011-07-13 Hillcrest Laborator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identifying users based on tremor
US7490295B2 (en) 2004-06-25 2009-02-10 Apple Inc. Layer for accessing user interface elements
CN1735161A (zh) * 2004-08-12 2006-02-15 上海乐金广电电子有限公司 Ir/rf遥控输入的设定方法
JP4207887B2 (ja) * 2004-12-10 2009-01-14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4566772B2 (ja) * 2005-02-14 2010-10-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06088831A2 (en) 2005-02-14 2006-08-24 Hillcrest Laborator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television applications using 3d pointing
JP4683970B2 (ja) * 2005-03-24 2011-05-18 任天堂株式会社 タッチ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タッチ入力装置
US8207937B2 (en) 2005-06-24 2012-06-26 Logitech Europe S.A. Communication protocol for networked devices
US20070067798A1 (en) * 2005-08-17 2007-03-22 Hillcrest Laboratories, Inc. Hover-buttons for user interfaces
US7574628B2 (en) * 2005-11-14 2009-08-11 Hadi Qassoudi Clickless tool
US20070109269A1 (en) * 2005-11-15 2007-05-17 Feldmeler David C Input system with light source shared by multiple input detecting optical sensors
WO2007060638A2 (en) 2005-11-28 2007-05-3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Initialisation of communication between wireless devices
US7620905B2 (en) * 2006-04-14 2009-1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windows management
KR101174168B1 (ko) 2006-07-28 2012-08-14 주식회사 팬택 IrDA를 이용한 블루투스 기기의 페어링 방법과 이를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
TW200807905A (en) 2006-07-28 2008-02-01 Elan Microelectronics Corp Control method with touch pad remote controller and the utilized touch pad remote controller
KR101259105B1 (ko) 2006-09-29 2013-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콘트롤러 및 콘트롤러에서 키이 코드를 발생하는 방법
KR101058040B1 (ko) 2006-12-21 201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출력 방법 및 그 장치
US7769370B2 (en) * 2006-12-27 2010-08-03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pairing electronic devices
US8443397B2 (en) * 2006-12-27 2013-05-14 Kyocera Corporatio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JP2008177636A (ja) * 2007-01-16 2008-07-31 Smk Corp Rf通信システム
US8213908B2 (en) 2007-04-05 2012-07-03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airing bluetooth devices
JP2008263308A (ja) * 2007-04-10 2008-10-30 Sony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電子機器および遠隔操作システム
WO2008156453A1 (en) 2007-06-20 2008-12-24 Thomson Licensing Laser pointer for an interactive display
US20090066648A1 (en) 2007-09-07 2009-03-12 Apple Inc. Gui applications for use with 3d remote controller
US10176272B2 (en) 2007-09-28 2019-01-08 Excalibur Ip, Llc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sizing and adapting a widget to available space
US8528040B2 (en) * 2007-10-02 2013-09-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ral indication of remote control commands
CA2708774A1 (en) * 2007-12-10 2009-06-18 Google Inc. Television traffic estimation
JP5003518B2 (ja) * 2008-02-04 2012-08-15 ソニー株式会社 遠隔制御システム、受信装置および遠隔制御方法
US20100305999A1 (en) 2009-05-20 2010-12-02 Robb Fujioka Device and Method for Creating, Distributing, Managing and Monetizing Widgets in a Mobile Environment
US8265017B2 (en) * 2008-04-11 2012-09-11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network capacity enhancement for wireless device coexistence
US8473979B2 (en) 2008-09-30 2013-06-25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raphical adjustment of an electronic program guide
US8403753B2 (en) 2008-09-30 2013-03-26 Nintendo Co., Lt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game program, game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KR20100053759A (ko) * 2008-11-13 2010-05-24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통신 장치들간의 페어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00123834A1 (en) * 2008-11-14 2010-05-20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Remote Control Device Command Signals
US20100169842A1 (en) 2008-12-31 2010-07-01 Microsoft Corporation Control Function Gestures
US8358121B2 (en) * 2009-01-21 2013-01-22 Fluke Corporation Digital multimeter having remote display with automatic communication mode switching
US20100188429A1 (en) * 2009-01-29 2010-07-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to Navigate and Present Image Libraries and Images
US8259103B2 (en) * 2009-02-03 2012-09-04 Autodesk, Inc. Position pegs for a three-dimensional reference grid
US20100278345A1 (en) * 2009-05-04 2010-11-04 Thomas Matthieu Alsin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ximity based pairing of mobile devi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7779B1 (en) 1999-03-29 2002-06-18 Zilo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uitive universal remote control system
US20060181430A1 (en) 2005-01-19 2006-08-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cognizing/establishing remote-controller communication mode for use in digital electronic devices
JP2009049590A (ja) * 2007-08-16 2009-03-05 Sony Corp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受信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618279B2 (ja) 2007-08-16 2011-01-26 ソニー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受信装置および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70655A1 (ko) * 2021-06-24 2022-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93395B1 (en) 2017-07-19
EP2256926B1 (en) 2012-11-28
DE202010018151U1 (de) 2014-08-18
US20100302154A1 (en) 2010-12-02
EP2453575B1 (en) 2014-07-09
KR20100128962A (ko) 2010-12-08
EP2793395A2 (en) 2014-10-22
US9467119B2 (en) 2016-10-11
EP2256926A1 (en) 2010-12-01
CN101901537B (zh) 2013-01-30
EP2453575A3 (en) 2012-08-15
EP2793395A3 (en) 2014-11-19
CN101901537A (zh) 2010-12-01
EP2453575A2 (en) 201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8336B1 (ko) 공간리모콘의 페어링방법 및 동작방법
KR10154549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8704958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1572843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7284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동작방법
KR10157284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동작방법
KR101599738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71718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70695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80793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5850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44553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72981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65342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655803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96673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96675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3736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51437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18687A (ko) 원격제어유닛 및 원격제어시스템
KR20110008938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10024129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81266A (ko) 원격제어장치와 영상표시장치
KR20100136235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