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490B1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490B1
KR101545490B1 KR1020090047658A KR20090047658A KR101545490B1 KR 101545490 B1 KR101545490 B1 KR 101545490B1 KR 1020090047658 A KR1020090047658 A KR 1020090047658A KR 20090047658 A KR20090047658 A KR 20090047658A KR 101545490 B1 KR101545490 B1 KR 101545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displayed
widget
obj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8960A (ko
Inventor
배혜진
이재경
김규승
이건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76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490B1/ko
Priority to US12/647,222 priority patent/US20100302151A1/en
Priority to EP09180765A priority patent/EP2257052A1/en
Priority to CN2009102659898A priority patent/CN101901097A/zh
Publication of KR20100128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04N21/44026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by altering the spatial resolution, e.g. for displaying on a connected PD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8Window management, e.g. event handling following interaction with the use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ditional data, e.g. news, sports, stocks, weather foreca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리모콘을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는 공간리모콘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화면에 표시한다. 영상표시장치는 포인터가 화면의 소정 영역으로 이동되면, 소정 영역에 오브젝트를 표시한다. 오브젝트를 통하여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로 명령을 입력하거나 영상표시장치에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 공간리모콘, 오브젝트, OSD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는 공간리모콘을 통하여 제어할 수 있고 공간리모콘의 동작에 대응하며 사용이 편리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오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아날로그 방송이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되는 추세와 더불어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여 송출되는 방송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채널 수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을 다양한 채널 중에서 선택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채널을 절환하는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또한 영상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할 수 있는 영상신호의 종류와 개수가 증가하고,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영상표시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의 버튼의 개수가 증가하고 있다. 사용자는 복잡한 원격제어장치의 사용에 번거로움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 개발 등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리모콘을 사용하여 손쉽게 제어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공간리모콘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표시하고, 포인터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영상표시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가 적용된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 법은,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공간리모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포인터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소정 영역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거나 상기 영상표시장치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상기 소정 영역 주변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및 공간리모콘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소정 영역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거나 상기 영상표시장치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상기 소정 영역 주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표시장치를 공간리모콘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공간리모콘에 구비된 버튼을 조작할 필요가 없다. 영상표시장치는 공간리모콘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인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영상/음성 처리부(101), 인터페이스부(150), 저장부(160), 디스플레이(170), 음성출력 부(175)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음성 처리부(101)는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70) 및 음성출력부(175)로 영상 또는 음성이 출력될 수 있도록 입력된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를 처리한다. 이를 위하여 영상/음성 처리부(101)는 신호 입력부(110), 복조부(120), 신호처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신호 입력부(110)는 튜너부(111), A/V 입력부(112), USB 입력부(113), 무선신호 입력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부(111)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 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1)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 SIF)는 신호처리부(14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부(111)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영상표시장치(100)는 적어도 2개의 튜너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튜너부를 구비하는 경우, 제2 튜너부는 제1튜너부와 유사하게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한다.
또한, 제2튜너부는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제2튜너부는 주기적으로 모든 방송 채널의 변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표시장치(100)는 제1튜너부를 통하여 변환된 방송 신호의 영상을 표시하면서, 제2튜너부를 통하여 변환된 여러 채널의 영상을 썸 네일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튜너부는 사용자가 선택한 메인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제2튜너부는 메인 RF 방송 신호를 제외한 모든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주기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1)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일예로,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ATSC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8-VSB(8-Vestigal Side Band) 복조를 수행한다. 또 다른 예로, 튜너부(111)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IF 신호가 DVB 방식인 경우, 복조부(120)는 COFDMA(Cded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odulation) 복조를 수행한다.
또한, 복조부(120)는 채널 복호화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복조부(120)는 트렐리스 디코더(Trellis Decoder), 디인터리버(De-interleaver), 및 리 드 솔로먼 디코더(Reed Solomon Decoder) 등을 구비하여, 트렐리스 복호화, 디인터리빙, 및 리드 솔로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일예로, 스트림 신호는 MPEG-2 규격의 영상 신호, 돌비(Dolby) AC-3 규격의 음성 신호 등이 다중화된 MPEG-2 TS(Transprt Stream)일수 있다. 구체적으로 MPEG-2 TS는, 4 바이트(byte)의 헤더와 184 바이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포함할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신호 처리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신호 처리부(140)는 역다중화 및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70)에 영상을 출력하고, 음성 출력부(175)로 음성을 출력한다.
또한, 적어도 2개의 튜너부가 구비된 영상표시장치의 경우, 그에 대응하는 수의 복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복조부는, ATSC 방식과, DVB 방식에 따라 각각 별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입력부(110)는 외부 장치와 영상표시장치(100)을 연결할 수 있다. 외부 장치는 비디오 카세트 플레이어, DVD 플레이어, 라디오, 오디오 플레이어, MP3 플레이어,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 게임기기 등 다양한 종류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 장치를 의미한다. 신호 입력부(110)는 외부 장치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신호처리부(140)로 입력한다.
신호 입력부(110)의 A/V 입력부(112)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IEEE 1394 단자, SPDIF 단자, 리퀴드(Liquid) HD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CVBS 단자, 및 S-비디오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신호 처리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입력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디지털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과정 없이 신호 처리부(140)로 입력될 수 있다.
USB 입력부(113)는, USB 단자를 통해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무선신호 입력부(114)는, 영상표시장치(100)를 무선 네트워크망에 연결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무선신호 입력부(114)를 통해 무선 인터넷 접속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해,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통신 규격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무선신호 입력부(114)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신호 입력부(110)는 영상표시장치와 셋탑 박스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셋탑 박스가 IP(internet Protocol) TV용 셋탑 박스인 경우, 양방향 통신 이 가능하도록, IP TV용 셋탑 박스의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신호 처리부로 전달할 수 있으며, 신호처리부(140)에서 처리된 신호들을 IP TV용 셋탑 박스로 전달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40)는 수신되는 스트림 신호, 일예로 MPEG-2 TS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H.264 규격의 부호화된 영상 신호인 경우, H.26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영상 신호의 밝기(brightness), 틴트(Tint) 및 색조(Color)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4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신호는 디스플레이(170)를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MPEG-2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MPEG-2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가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MPEG 4 BSAC(Bit Sliced Arithmetic Coding)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MPEG 4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역다중 화된 음성 신호가 위성 DMB 방식 또는 DVB-H에 따른 MPEG 2의 AAC(Advanced Audio Codec) 규격의 부호화된 음성 신호인 경우, AAC 디코더에 의해 복호화될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140)에서 처리된 음성신호는 음성출력부(175)로 음성 출력된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EPG 정보는, ATSC방식인 경우, TSC-PSIP(ATSC-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일 수 있으며, DVB 방식인 경우, DVB-SI(DVB-Service Information)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ATSC-PSIP 정보 또는 DVB-SI 정보는, 상술한 스트림, 즉 MPEG-2 TS의 헤더(4 byte)에 포함되는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140)는 OSD(On Screen Display)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신호처리부(140)는,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와, 데이터 처리된 데이터 신호 중 적어도 하나 및 원격제어장치(200)로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70)의 화면 상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저장부(160)는, 제어부(18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신호,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60)는 신호 입력부(11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저장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저장부(160)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가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수신한 신호를 통하여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로 입력한 명령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도록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한다. 일예로, 사용자가 소정 채널 선택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80)는 선택한 채널이 신호 입력부(110)를 통하여 입력되도록 튜너부(111)을 제어한다. 또한, 선택한 채널의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가 처리되도록 신호처리부(140)를 제어한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정보 등이 처리한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와 함께 디스플레이(170) 또는 음성출력부(175)를 통하여 출력될 수 있도록 신호처리부(140)를 제어한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다른 종류의 영상 또는 음성 출력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방송신호 대신 USB 입력부(113)를 통하여 입력되는 카메라 또는 캠코더 영상신호를 시청하기를 원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는 신호 입력부(110)의 USB 입력부(113)를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신호 또는 음성신호가 신호처리부(140)를 통하여 처리되고 디스플레이(170) 또는 음성출력부(175)를 통해 출력되도록 영상/음성 처리부(10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를 통하여 입력되는 명령 외에도 영상표시장치(100)에 형성된 사용자 입력부(155)로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도록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5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 온/오프 명령, 채널 변경명령, 볼륨 변경명령 등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55)는 영상표시장치(100)에 형성된 버튼이나 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55)의 조작여부를 판별하고 그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 및 영상표시장치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공간리모콘(201)의 사시도이다.
공간리모콘(201)은 영상표시장치(100)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원격제어장치(200) 중 하나이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1)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에는 공간리모콘(201)에 대응하는 포인터(202)가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공간리모콘(201)을 상하, 좌우, 앞뒤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202)는 공간리모콘(201)의 움직임에 대응 한다. 도 2b는 공간리모콘(20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움직이는 바를 도시하고 있다.
도 2b에서 사용자는 공간리모콘(201)을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된 포인터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1)은 움직임을 판별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한다. 공간리모콘(201)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공간리모콘(201)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100)는 공간리모콘(201)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는 포인터(202)의 좌표값을 산출한다.
도 2a 및 도 2b는 공간리모콘(201)의 상하, 좌우 또는 회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된 포인터(200)가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다. 포인터(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공간리모콘(201)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소정 명령이 입력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즉, 공간리모콘(201)의 앞뒤로 움직일 경우 영상표시장치(200)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가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간리모콘(201) 및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 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리모콘(201)은,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로 구성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22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1)은 RF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공간리모콘(201)은 IR 통신 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1)은 영상표시장치(100)로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공간리모콘(201)은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공간리모콘(201)은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공간리모콘(201)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공간리모콘(201)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공간리모콘(201)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을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는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공간리모콘(201)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0)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공간리모콘(201)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는 공간리모콘(201)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공간리모콘(201)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공간리모콘(201)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공간리모콘(201)이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공간리모콘(201)과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공간리모콘(201)의 제어부(280)는 공간리모콘(201)과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공간리모콘(201)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0)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로 전송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는 공간리모콘(201)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151)와, 공간리모콘(21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154)를 구비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152)을 통하여 공간리모콘(201)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153)을 통하여 공간리모콘(201)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154)는 무선통신부(151)를 통하여 수신된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2)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공간리모콘(201)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공간리모콘(201)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공간리모콘(201)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공간리모콘(201)은 공간리모콘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8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 및 원격제어장치(200) 중 공간리모콘(201)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 공간리모콘(201)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4 내지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 본 실시예는 영상표시장치(100)를 공간리모콘(201)을 이용하여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나, 공간리모콘(201) 외에 영상표시장치(100)로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사용자 입력장치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화면이다. 영상표시장치(100)를 향하여 공간리모콘(201)을 포인팅하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화면에 포인터(202)가 표시된다. 영상표시장치(100)는 사용자가 공간리모콘(201)을 특정한 패턴에 따라 움직이거나 공간리모콘(201)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되면 포인터(202)를 표시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포인터(202)는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대응하여 이동할 수 있다. 도 4(b)에 표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공간리모콘(201)을 움직이면 포인터(202)도 움직인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는 포인터(202)가 디스플레이(170) 중 소정 영역으로 이동하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표시장치(100)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거나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는 오브젝트(301)를 소정 영역에 표시한다.
오브젝트는 영상표시장치(100)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거나 영상표시장치(100) 관련 정보를 나타낼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는 다양한 종류의 위젯을 포함한다. 위젯은 OSD(On Screen Display)로 표시할 수 있다.
오브젝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음성 출력(볼륨) 레벨, 채널 정보, 현재 시간 등 영상표시장치(100)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 표시하고 있는 영상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포함한다. 오브젝트는 영상표시장치(100) 에서 표시될 수 있거나 표시되어야 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다른 형태(ex) 동영상)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오브젝트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본 실시예에서 오브젝트는 위젯일 수 있다. 위젯(Widget)은 GUI(Graphic User Interface)에서 사용자로 하여금 특정 데이터를 직접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element)를 의미한다. 일예로 위젯은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는 볼륨 조절 버튼, 채널 조절 버튼, 메뉴, 아이콘, 네비게이션 탭, 스크롤 바, 프로그래스 바, 텍스트 박스, 윈도우 중 하나일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에서 구현되는 위젯의 형태는 영상표시장치(100)에서 구현될 수 있거나 구현되어야 하는 GUI의 구체적인 사양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위젯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202)가 디스플레이(170) 화면의 일측면으로 이동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70)에 일측면에 메뉴리스트 표시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위젯(301)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202)가 소정 영역으로 이동하면 이동한 소정 영역에서 위젯이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다이렉트 UI(Direct User Interface)라 칭한다.
사용자는 다이렉트 UI를 이용하여 공간리모콘(201)의 버튼을 조작하지 않고도 영상표시장치(100)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202)의 표시 영역 이동에 따라 제공되는 UI에 관한 것이며, 본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5 및 6은 각각 본 발명의 제2 및 제3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흐름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제2실시예에서,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는 포인터(202)가 디스플레이(170)의 소정 영역으로 이동하면 다이렉트 UI를 실행한다. 제3실시예에서,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는 다이렉트 UI가 실행되면 그에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는 화면을 변경한다. 이하 제2 및 제3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서, 제어부(180)는 공간리모콘(201)이 전송한 신호를 수신한다(S10). 본 실시예에서, 공간리모콘(201)은 RF 모듈(221)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신호를 전송한다. 제어부(180)는 공간리모콘(201)이 전송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신호로부터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포인터(202)의 좌표값을 산출한다. 제어부(180)는 산출한 좌표값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70)의 영역에 포인터(202)를 표시한다(S15).
제어부(180)는 포인터(202)가 표시되는 영역이 디스플레이(170)의 소정 영역과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S20).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70)의 소정 영역은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는 화면의 상하 또는 좌우 측면의 중앙 영역이다.
제어부(180)는 포인터(202)가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는 화면의 상하 또는 좌우 측면 중앙 영역을 향하여 이동하면, 오브젝트를 표시한다(S25). 일예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포인터(202)가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는 화면의 상측 중앙 영역을 향하여 이동하면, 메뉴리스트 표시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위젯을 상기 상측 중앙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오브젝트가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된 후, 소정 시간 내에 오브젝트 선택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30). 오브젝트 선택명령은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된 오브젝트 선택명령에 대응하는 공간리모콘(201)의 소정 버튼이나 키가 조작된 경우, 또는 오브젝트 선택명령에 대응하도록 사용자가 공간리모콘(201)을 소정 패턴으로 움직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될 수 있다.
만일, 소정 시간 내에 오브젝트 선택명령이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고 있는 오브젝트를 삭제한다(S35). 만일, 소정 시간 내에 오브젝트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고 있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서브메뉴를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한다(S40).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오브젝트 또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서브메뉴를 반투명하게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오브젝트 또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서브메뉴를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경우 기존에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고 있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면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6은 제어부(180)는 오브젝트와 관련된 서브메뉴를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경우, 기존에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고 있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면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소정 시간 내에 디스플레이(170) 화면에 표시된 오브젝트 선택명령이 입력되면(S50), 디스플레이(170) 화면에 표시되고 있던 기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축소한다(S55). 제어부(180)는 기존 정지영상 또 는 동영상의 크기를 가로 및 세로 표시비율이 유지되도록 축소하여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선택된 오브젝트의 서브메뉴를 축소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측면에 표시할 수 있다(S60).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선택된 오브젝트의 서브메뉴가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과 중첩되지 아니하도록 오브젝트 서브메뉴를 축소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측면에 표시한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오브젝트 또는 선택된 오브젝트의 서브메뉴를 반투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0)가 굳이 기존에 표시되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크기를 축소하지 않아도 사용자는 오브젝트 또는 오브젝트 서브메뉴를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과 함께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기존에 표시되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에 위젯을 표시할 수 있다(S65). 이 경우, 제어부(180)는 위젯의 크기 또는 표시 영역을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축소비율에 대응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180)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이 축소되면, 위젯의 크기를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축소비율에 따라 축소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이 축소되면, 축소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시청에 방해가 되지 않은 영역으로 위젯을 이동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202)를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2)의 표시 영역을 변경한다.
포인터(202)가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는 화면의 상하 또는 좌우 측면 중앙 영역으로 이동하면, 제어부(180)는 해당 영역에 오브젝트를 표시한다. 일예로, 도 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메뉴리스트 표시명령 위젯(311), 위젯리스트 표시명령 위젯(312), 영상채널목록 표시명령 위젯(313), 단축메뉴 표시명령 위젯(314)를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도 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젯(311~314)을 반투명하게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위젯(311~314)이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고 있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포인터(202)가 이동한 영역에 대응하는 위젯을 하나씩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포인터(202)가 상측 중앙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 메뉴리스트 표시명령 위젯(311)을 표시하고, 좌측 중앙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 위젯리스트 표시명령 위젯(312)을 표시하고, 하측 중앙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 영상채널목록 표시명령 위젯(313)을 표시하고, 우측 중앙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 단축메뉴 표시명령 위젯(314)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포인터가 상하 또는 좌우 중앙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으로 이동할 경우, 위젯(311~314) 모두를 동시에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5 및 제6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는 화면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오브젝트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오브젝트 서브메뉴를 디스플레이(170)에 반투명하게 표시한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오브젝트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오브젝트 서브메뉴를 축소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측면에 표시한다.
도 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202)가 디스플레이(170) 화면의 소정 영역으로 이동하면, 제어부(180)는 메뉴리스트 표시명령, 위젯리스트 표시명령, 영상채널목록 표시명령, 단축메뉴 표시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위젯(321~324)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포인터(202)가 단축메뉴 표시명령 위젯(324)에 위치하고 있을 때 공간리모콘(201)의 소정 키를 선택하여 영상표시장치(200)로 단축메뉴 표시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단축메뉴 표시명령에 대응하여, 도 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축메뉴 표시명령 위젯(324)의 서브메뉴인 단축메뉴 리스트 위젯(325)을 디스플레이(170) 화면에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선택명령이 입력된 위젯의 서브메뉴를 해당 위젯이 표시된 영역에 반투명하게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브메뉴가 표시된 상태에서도,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고 있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8 (c)는 단축메뉴 리스트 위젯(325)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축메뉴 리스트 위젯(325)은 채널을 변경할 수 있는 메뉴항목, 볼륨 레벌을 변경할 수 있는 메뉴항목, 화면 환경을 셋팅할 수 있는 메뉴항목, 스케줄을 확인할 수 있는 메뉴항목, 채널 녹화 메뉴항목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공간리모콘(201)에 대응하는 포인터(202)을 이용하여 소정 메뉴항목을 선택할 수 있다.
도 8 (c)에 도시된 메뉴항목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이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단축메뉴 리스트 위젯(325)에 포함되는 메뉴항목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도 9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다이렉트 UI에 포함된 위젯(321~324) 중 위젯리스트 표시명령 위젯(322)을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포인터(202)가 위젯리스트 표시명령 위젯(322)에 표시된 상태에서 공간리모콘(201)의 소정 키를 조작하여 위젯리스트 표시명령 위젯(322) 선택명령을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다.
위젯 선택명령을 수신한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는, 도 9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70) 화면에 표시되고 있던 동영상(320)의 크기를 축소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축소된 동영상(320)의 좌측면에 위젯리스트를 표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위젯리스트는 현재 시각 표시명령 아이콘(326), 음악 재생명령 아이콘(327), 앨범 표시명령 아이콘(328), 이메일 확인명령 아이콘(329)으로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위젯리스트에 포함되는 아이콘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현재 시각 표시명령 아이콘(326)이 조작되면, 현재 시각을 디 스플레이(170) 화면에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음악 재생명령 아이콘(327)이 조작되면, 영상표시장치(100)에 저장된 음악관련 동영상을 재생하거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악전문 채널의 영상을 디스플레이(170)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앨범 표시명령 아이콘(328)이 조작되면 영상표시장치(100)에 저장된 앨범을 정지영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영상표시장치(100)와 USB, 블루투스 통신 규격 등을 통하여 연결된 외부 장치에 저장된 앨범을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메일 확인명령 아이콘(329)이 조작되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인터넷망에 엑세스하여 사용자 메일박스를 디스플레이(17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 도 10은 다이렉트 UI가 실행되기 전에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70) 화면에 위젯이 표시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10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202)가 디스플레이(170) 화면의 좌측 중앙으로 이동하면 다이렉트 UI가 실행되고 위젯(321~324)이 디스플레이(170) 화면에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70) 화면에 날씨정보를 나타내는 위젯(331)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170) 화면에 표시하고 있는 영상(320)에 중첩되도록 표시되는 위젯(331)의 종류는 사용자가 변경할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주식관련 정보가 영상(320)에 반투명하게 중첩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스케줄 관련 정보가 영상(320)에 반투명하게 중첩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위젯리스트 표시명령 위젯(322)을 선택하면, 제어부(180)는 도 10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326~329)으로 이루어진 위젯리스트를 디스플레이(170) 화면에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위젯리스트를 표시하면서 동영상(320)을 축소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동영상(320)에 중첩되어 표시되고 있는 위젯(331)의 크기를 동영상의 축소비율에 따라 축소하여 표시한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위젯(331)의 크기는 변경하지 않고 위젯(331)의 표시 영역만 변경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고 있는 위젯(331)이 다이렉트 UI를 구성하는 위젯(321~324)과 중첩되지 않도록 표시 영역을 변경한다.
도 11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170)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영상(320)에 위젯(331)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공간리모콘(201)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202)가, 도 11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70) 화면의 상측 중앙 영역으로 이동하도록 공간리모콘(201)을 조작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포인터(202)가 이동함에 따라 다이렉트 UI를 실행하고, 도 11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70) 화면에 위젯(321~324)을 표시한다. 이 때, 위젯(321~324) 중 메뉴리스트 표시명령 위젯(321)이 표시될 영역이 기존 영상(320)에 표시되고 있는 위젯(331)의 표시 영역과 중첩된다. 제어부(180)는 위젯(321, 331)들이 서로 중첩되어 표시되지 않도록 기존 영상(320)에 표시되고 있는 위젯(331)의 표시 영역을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또 다른 예로, 제어부(180)는 메뉴리스트 표시명령 위젯(321)의 표시 영역을 왼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의 디스플레이(170)에 표시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다이렉트 UI에 포함되는 위젯(321~324)의 표시 영역을 변경할 수 있다.
도 1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인터(202)가 디스플레이(170) 화면의 하측 중앙 영역으로 이동하면, 제어부(180)는 위젯(321~324)을 디스플레이(170) 화면에 표시한다. 포인터(202)가 영상채널목록 위젯(323)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공간리모콘(201)의 소정 키를 조작하여 영상채널목록 위젯(323)을 선택한 후 포인터(202)를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도 1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채널목록 위젯(323)을 오른쪽으로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영상채널목록 위젯(323)을 반투명 또는 불투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이렉트 UI에 포함된 위젯의 투명도 여부, 표시 영역 등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은 MSM(Mobile Station Modem) 등과 같이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 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블럭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공간리모콘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리모콘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화면이 표시되는 화면이 도시된 도,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도 7 내지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의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영상표시장치 150 : 인터페이스부
180 : 제어부 200 : 원격제어장치
201 : 공간리모콘 222 : 포인터
220 : 무선 통신부 280 : 제어부

Claims (21)

  1. 디스플레이에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
    공간리모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포인터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측 중앙 영역, 하측 중앙 영역, 좌측 중앙 영역, 우측 중앙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상측 중앙 영역, 하측 중앙영역, 좌측 중앙 영역, 우측 중앙 영역, 모두에, 각각 명령을 받을 수 있거나 영상표시장치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을 상기 표시되는 영상 상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오브젝트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오브젝트의 서브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위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 표시단계는,
    상기 오브젝트를 반투명하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오브젝트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영상의 크기를 축소하고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서브메뉴를 상기 축소된 영상 외측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에 위젯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의 축소비율에 대응하도록 상기 위젯의 크기 또는 표시 영역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오브젝트 선택명령이 소정 시간 동안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오브젝트들을 사라지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에 위젯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브젝트 표시단계는,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될 영역이 상기 위젯 표시 영역과 중첩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 또는 상기 위젯의 표시 영역을 변경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메뉴리스트 표시명령, 위젯리스트 표시명령, 영상채널목록 표시명령, 단축메뉴 표시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받을 수 있는 위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오브젝트 표시 영역 변경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표시 영역을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동작방법.
  11.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및
    공간리모콘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측 중앙 영역, 하측 중앙 영역, 좌측 중앙 영역, 우측 중앙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상측 중앙 영역, 하측 중앙영역, 좌측 중앙 영역, 우측 중앙 영역, 모두에, 각각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거나 상기 영상표시장치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을 상기 표시되는 영상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오브젝트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오브젝트의 서브메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반투명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위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를 반투명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오브젝트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영상의 크기를 축소하고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에 대한 서브메뉴를 상기 축소된 영상 측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의 축소비율에 대응하도록 상기 영상에 표시한 위젯의 크기 또는 표시 영역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에 대한 오브젝트의 선택명령이 소정 시간 동안 입력되지 않으면 상기 오브젝트들을 사라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브젝트가 표시될 영역이 상기 영상에 표시한 위젯 표시 영역과 중첩되는 경우, 상기 오브젝트 또는 상기 위젯의 표시 영역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브젝트는 메뉴리스트 표시명령, 위젯리스트 표시명령, 영상채널목록 표시명령, 단축메뉴 표시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입력할 수 있는 위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오브젝트 표시 영역 변경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표시 영역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1.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공간리모콘과 신호를 송수신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한 공간리모콘의 신호에 대응하는 포인터 및 상기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영상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 및
    상기 포인터가 상기 디스플레이의 상측 중앙 영역, 하측 중앙 영역, 좌측 중앙 영역, 우측 중앙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상측 중앙 영역, 하측 중앙영역, 좌측 중앙 영역, 우측 중앙 영역, 모두에, 각각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거나 상기 영상표시장치 관련 정보를 나타내는 오브젝트들을 상기 표시되는 영상 상에 표시하도록 상기 신호 처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090047658A 2009-05-29 2009-05-29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45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658A KR101545490B1 (ko) 2009-05-29 2009-05-29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2/647,222 US20100302151A1 (en) 2009-05-29 2009-12-24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EP09180765A EP2257052A1 (en) 2009-05-29 2009-12-24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CN2009102659898A CN101901097A (zh) 2009-05-29 2009-12-31 图像显示装置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658A KR101545490B1 (ko) 2009-05-29 2009-05-29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960A KR20100128960A (ko) 2010-12-08
KR101545490B1 true KR101545490B1 (ko) 2015-08-21

Family

ID=42101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658A KR101545490B1 (ko) 2009-05-29 2009-05-29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00302151A1 (ko)
EP (1) EP2257052A1 (ko)
KR (1) KR101545490B1 (ko)
CN (1) CN1019010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2656A2 (en) * 2010-02-17 2011-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KR101671287B1 (ko) 2010-08-13 2016-11-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2474893B1 (en) * 2011-01-07 2014-10-22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controlling image display device using display screen, and image display device thereof
EP2670154A4 (en) * 2011-01-30 2015-07-22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CN102523527B (zh) * 2011-12-30 2015-04-15 广州弘洋视讯科技有限公司 一种可个性化配置的智能电视交互界面的显示方法
CN103324405A (zh) * 2012-03-21 2013-09-25 佳能企业股份有限公司 影像显示系统及其控制方法
CN102665124B (zh) * 2012-04-11 2015-10-21 深圳市迈乐数码科技股份有限公司 基于机顶盒的学习型遥控系统及学习遥控方法
CN103379372A (zh) * 2012-04-20 2013-10-3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智能电视及其控制系统与控制方法
KR20140060818A (ko) * 2012-11-12 2014-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85061A (ko) 2012-12-27 201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WO2014142807A1 (en) * 2013-03-12 2014-09-18 Intel Corporation Menu system and interactions with an electronic device
KR20160053144A (ko) * 2014-10-31 2016-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63834A (ko) * 2014-11-27 2016-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인팅 장치, 인터페이스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94600B1 (ko) * 2015-04-07 2021-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6670070B2 (ja) * 2015-10-02 2020-03-18 古野電気株式会社 水中探知装置
CN107750002B (zh) * 2017-09-14 2018-08-28 台州宝诚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自适应ip机顶盒显示风格切换方法
CN108093282B (zh) * 2017-09-14 2019-12-10 玉环凯凌机械集团股份有限公司 自适应ip机顶盒显示风格切换系统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70326B1 (ko) * 1994-07-27 1999-03-30 김광호 원격제어방법 및 그 장치
US5500691A (en) * 1995-01-04 1996-03-19 Sony Corporation Remote control identifier setup in a video system having both IR and RF transmitters
US7256770B2 (en) * 1998-09-14 2007-08-14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responsive to sensing a physical presence proximate to a computer input device
US6407779B1 (en) * 1999-03-29 2002-06-18 Zilog,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n intuitive universal remote control system
US6812881B1 (en) * 1999-06-30 2004-11-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ystem for remote communication with an addressable target using a generalized pointing device
US6704346B1 (en) * 2000-03-16 2004-03-0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improved microwave interference robustness in RF communications devices
US20030011638A1 (en) * 2001-07-10 2003-01-16 Sun-Woo Chung Pop-up menu system
US7146573B2 (en) * 2002-01-28 2006-12-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window representation adjustment
US7343566B1 (en) * 2002-07-10 2008-03-11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 window for a user interface
AU2003295739A1 (en) * 2002-11-18 2004-06-15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al-time services in an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application
WO2004109557A1 (en) * 2003-06-03 2004-12-16 Forbes Holten Norris, Iii Flexible, dynamic menu-based web-page architecture
US7446812B2 (en) * 2004-01-13 2008-11-04 Micron Technology, Inc. Wide dynamic range operations for imaging
EP1709609B1 (en) * 2004-01-20 2020-05-27 III Holdings 6, LLC Advanced control device for home entertainment utilizing three dimensional motion technology
US7626576B2 (en) * 2004-03-16 2009-12-01 Free Alliance Sdn Bhd Wireless transceiver system for computer input devices
US7176888B2 (en) * 2004-03-23 2007-02-13 Fujitsu Limited Selective engagement of motion detection
EP2343699A1 (en) * 2004-04-30 2011-07-13 Hillcrest Laboratories, Inc. Methods and devices for identifying users based on tremor
US7490295B2 (en) * 2004-06-25 2009-02-10 Apple Inc. Layer for accessing user interface elements
JP4566772B2 (ja) * 2005-02-14 2010-10-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1851955A4 (en) * 2005-02-14 2009-08-12 Hillcrest Lab Inc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TELEVISION APPLICATIONS USING 3D POINTING
JP4683970B2 (ja) * 2005-03-24 2011-05-18 任天堂株式会社 タッチ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タッチ入力装置
US8207937B2 (en) * 2005-06-24 2012-06-26 Logitech Europe S.A. Communication protocol for networked devices
WO2007022306A2 (en) * 2005-08-17 2007-02-22 Hillcrest Laboratories, Inc. Hover-buttons for user interfaces
US7620905B2 (en) * 2006-04-14 2009-1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of windows management
KR101058040B1 (ko) * 2006-12-21 201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출력 방법 및 그 장치
WO2008084696A1 (ja) * 2006-12-27 2008-07-17 Kyocera Corporation 放送受信装置
US7769370B2 (en) * 2006-12-27 2010-08-03 Motorola, Inc. Method and system for pairing electronic devices
US20080229232A1 (en) * 2007-03-16 2008-09-18 Apple Inc. Full screen editing of visual media
US8213908B2 (en) * 2007-04-05 2012-07-03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airing bluetooth devices
JP4618279B2 (ja) * 2007-08-16 2011-01-26 ソニー株式会社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受信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8760400B2 (en) * 2007-09-07 2014-06-24 Apple Inc. Gui applications for use with 3D remote controller
US10176272B2 (en) * 2007-09-28 2019-01-08 Excalibur Ip, Llc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ally sizing and adapting a widget to available space
US8528040B2 (en) * 2007-10-02 2013-09-0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Aural indication of remote control commands
JP5334987B2 (ja) * 2007-12-10 2013-11-06 グーグ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テレビ放送のトラフィック推定
US20100305999A1 (en) * 2009-05-20 2010-12-02 Robb Fujioka Device and Method for Creating, Distributing, Managing and Monetizing Widgets in a Mobile Environment
US8265017B2 (en) * 2008-04-11 2012-09-11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network capacity enhancement for wireless device coexistence
US8473979B2 (en) * 2008-09-30 2013-06-25 Echostar Technologi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graphical adjustment of an electronic program guide
US8403753B2 (en) * 2008-09-30 2013-03-26 Nintendo Co., Lt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game program, game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KR20100053759A (ko) * 2008-11-13 2010-05-24 삼성전기주식회사 무선 통신 장치들간의 페어링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00123834A1 (en) * 2008-11-14 2010-05-20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Remote Control Device Command Signals
US20100188429A1 (en) * 2009-01-29 2010-07-29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to Navigate and Present Image Libraries and Images
US8259103B2 (en) * 2009-02-03 2012-09-04 Autodesk, Inc. Position pegs for a three-dimensional reference gr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302151A1 (en) 2010-12-02
KR20100128960A (ko) 2010-12-08
EP2257052A1 (en) 2010-12-01
CN101901097A (zh)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490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42986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1572843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69564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779858B1 (ko)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00128958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72842B1 (ko) 영상표시장치 및 동작방법
KR101571718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99738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60864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7284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동작방법
KR20110026808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70695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3736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80793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51437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5850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96675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720494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58507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655803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565342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44553B1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10072981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570098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