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4448B1 - 패키지 분리가 편리한 음료 추출 장치 - Google Patents

패키지 분리가 편리한 음료 추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4448B1
KR101594448B1 KR1020137008286A KR20137008286A KR101594448B1 KR 101594448 B1 KR101594448 B1 KR 101594448B1 KR 1020137008286 A KR1020137008286 A KR 1020137008286A KR 20137008286 A KR20137008286 A KR 20137008286A KR 101594448 B1 KR101594448 B1 KR 1015944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leading
shaft
clamping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8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41477A (ko
Inventor
유동 징
탄 장
Original Assignee
닝보 에이에이에이 그룹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스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닝보 에이에이에이 그룹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스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닝보 에이에이에이 그룹 일렉트릭 어플라이언스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30141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4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4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 A47J31/407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with ingredient-containing cartridges; Cartridge-perfor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8Means to eject the cartridge after brew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0Beverage-making apparatus with dispensing means for adding a measured quantity of ingredients, e.g. coffee, water, sugar, cocoa, milk, t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패키지 분리가 편리한 음료 추출 장치는 기계 베이스(1), 제1 부재(2) 및 제2 부재(3)를 포함하고, 제1 부재(2) 내부에 고리 모양 가장자리(41)를 갖는 음료 패키지(4)를 수용하는 수용 캐비티(21)가 구비되고, 제2 부재(3)의 좌우 양측에 각각 클램팽 플레이트(5)가 가동 연결되어 있고, 클램핑 플레이트(5)의 선단은 제2 부재(3)를 상대로 개폐될 수 있고, 클램핑 플레이트(5)의 전방에 제1 축(6)이 설치되어 있고, 클램핑 플레이트(5)의 후방에 제2 축(7)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음료 추출 장치는 두 그룹의 가이드 그루브(8)와 두 개의 리딩 플레이트(9)를 포함하고, 가이드 그루브(8)는 앞과 외부로 벌어지고; 리딩 플레이트(9)는 기계 베이스(1) 내 좌우 양측에 구속되어 앞뒤로만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각각의 리딩 플레이트(9)의 선단에는 내부로 볼록한 추진부(91)가 구비되고, 제1 부재(2)의 수용 캐비티(21)의 측벽에는 추진부(91)가 수용되도록 제공되는 갭(211)이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리딩 플레이트(9)의 후방에는 앞과 외부로 벌어진 리딩 그루브(92)가 형성되어 있고, 해당 클램핑 플레이트(5)의 제1 축(6)은 상기 리딩 그루브(92) 내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다.

Description

패키지 분리가 편리한 음료 추출 장치{BEVERAGE EXTRACTION DEVICE CONVENIENT FOR PACKAGE REMOVAL}
본 발명은 패키지 분리가 편리한 음료 추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음료 추출 장치는 대부분 커피 머신을 위주로 한다.
커피 머신은 음료 추출 장치 중의 하나이고, 커피 머신의 음료 추출 방향은 주로 수평과 수직의 두 방향이 있다. 조작을 편리하게 하기 위하여 종래의 커피 머신은 자동 패키지 분리를 실현하는 기능이 있다.
중국특허번호가 ZL94193279.6(공고번호가 CN1130345Y)인 중국특허 <가루 커피를 정량적으로 봉지 포장하는 포장과 이런 포장된 커피를 사용하는 압력식 커피 머신>은 커피 패키지가 자동으로 떨어지는 커피 머신 구조를 개시히고, 상기 커피 머신은 비록 커피 팩이 떨어지도록 할 수 있으나 차단 블록 회전을 구동하는 구성을 별도로 설계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고, 또한 명세서에는 차단 블록 회전을 구동하는 기계적 구성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았다.
이를 위해 출원인은 구성이 간단하고 합리적이며, 조작이 안정되고 편리하며, 감촉이 좋은 커피 머신을 발명하였고, 중국등록실용신안번호가 ZL200720110811.2(공고번호가 CN201044719Y)인 중국등록실용신안 <커피 머신에서의 커피 패키지의 자동 분리수단>은 아래와 같은 커피 머신을 공개하였다. 즉, 제2 부재 양측에 각각 클램핑 플레이트가 가동 연결되어 있고, 각각의 클램핑 플레이트의 선단에 모두 제2 부재 앞 부분까지 휘어서 연장된 차단부가 구비되고, 두 차단부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커피 패키지가 안착되는 거치부를 형성하고, 클램핑 플레이트의 선단은 제2 부재를 상대로 개폐될 수 있고, 클램핑 플레이트의 전방에 높이 방향을 따라 제1 축이 설치되어 있고, 클램핑 플레이트의 후방에 높이 방향을 따라 제2 축이 설치되어 있고, 기계 베이스 상에 해당 클램핑 플레이트의 제1 축과 제2 축의 상단, 하단을 가이드하는 두 쌍의 가이드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각 쌍의 가이드 그루브는 상부 가이드 그루브와 하부 가이드 그루브로 이루어지고, 또한 각 쌍의 가이드 그루브와 대응하는 제1 축의 가이드 협력 작용 하에, 제2 부재의 후진 과정에서 적어도 클램핑 플레이트 선단이 제2 부재를 상대로 1회 개폐를 진행하도록 구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비록 전술한 커피 머신은 개량된 바가 있으나, 가이드 그루브의 구조가 비교적 복잡하여 기계 베이스 상에 가이드 그루브의 구조를 가공해내기 쉽지 않다. 그 밖에 전술한 등록실용신안은 패키지 분리 과정에서 커피 패키지가 제2 부재의 앞 단면 상에 흡착되는 현상이 나타날 수 있어, 설사 클램핑 플레이트가 벌어지더라도 커피 패키지가 분리되기 쉽지 않고, 그 밖에 제1 부재 내에 스프링을 더 설치해서 제2 부재가 뒤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커피 패키지가 외부로 제1 부재를 상대로 일정한 거리를 튀어나오는 것을 확보해야 비로소 클램핑 플레이트가 커피 패키지를 집어 제1 부재의 오목 캐비티로부터 완전히 이격되도록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등록실용신안은 추가적인 개량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문제는 상기 종래 기술 현황에 대해 패키지 이송과 분리가 더욱 원활하고 구조가 간단하고 합리적인 장점을 가진 음료 추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기계 베이스, 상기 기계 베이스 내에 설치된 제1 부재 및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제1 부재 내에 고리 모양 가장자리를 갖는 음료 패키지를 수용하는 수용 캐비티가 구비되고, 제2 부재는 제1 부재를 기준으로 앞뒤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패키지 분리가 편리한 음료 추출 장치에서, 그 특징은 두 개의 클램핑 플레이트와 두 개의 리딩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클램핑 플레이트는 각각 상기 제2 부재 좌우 양측에 가동 연결되어 제2 부재를 따라 앞뒤로 슬라이딩 이동을 될 수 있고, 두 개의 클램핑 플레이트의 선단은 제2 부재의 선단면까지 연장되어 음료 패키지를 협지할 수 있고, 두 개의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는 축 그루브 가이드 협력 구조체를 통해 기계 베이스와 서로 연결되고,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는 상기 축 그루브 가이드 협력 구조체의 작용하에, 제2 부재가 중간 상태까지 전진한 경우 제2 부재가 클램핑 플레이트를 구동하여 그 선단이 제2 부재를 상대로 벌어지도록 할 수 있고, 제2 부재가 중간 상태까지 후진한 경우, 클램핑 플레이트를 구동하여 그 선단이 제2 부재를 상대로 모아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리딩 플레이트는 기계 베이스 내 좌우 양측에 구속되어 앞뒤로만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고, 상기 리딩 플레이트의 선단은 내부로 볼록한 추진부를 구비하고, 상기 추진부는 음료 패키지의 고리모양 가장자리를 추진하고, 제1 부재의 수용 캐비티 측벽에는 추진부가 수용되는 갭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리딩 플레이트의 후방에 선단이 앞과 외부를 향해 벌어진 양상을 나타내는 리딩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 그루브의 가이드 협력 구조체 중의 축은 리딩 그루브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고 리딩 플레이트를 앞뒤로 이동되도록 이끌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두 개의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의 선단에 모두 제2 부재 선단면까지 휘어서 연장되어 있는 차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차단부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커피 패키지가 안착될 수 있는 거치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단부를 통한 음료 패키지에 대한 차단은 음료 패키지를 제2 부재의 선단면 상에 위치 한정하는 것이 가능해지도록 한다. 즉 음료 패키지를 협지한다.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 상의 차단부의 내부 단면 하부는 외부로 휘어진 호면(弧面)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클램핑 플레이트가 모아진 상태에서, 차단부의 내부 단면 하부는 커피 패키지에 대해 일정한 지지작용이 있어, 커피 패키지가 거치부 상에 더욱 안정되게 안착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치부는 두 개의 차단부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커피 패키지를 안착할 수 있도록 형성되었다.
상기 축 그루브 가이드 협력 구조체는, 각 클램핑 플레이트의 전방에 높이 방향을 따라 제1 축이 설치되어 있고, 각 클램핑 플레이트의 후방에 높이 방향을 따라 제2 축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기계 베이스 상에 해당 클램핑 플레이트의 제1 축과 제2 축을 가이드하는 두 그룹의 가이드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 그루브의 선단은 앞과 외부로 벌어진 양상을 나타냄으로써 가이드 그루브와 제1 축의 가이드 협력 작용 하에, 제2 부재가 한번 전진 및 후진하는 과정에서 클램핑 플레이트를 구동하여 그 선단이 제2 부재를 상대로 1회 개폐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리딩 플레이트 후방에 선단이 앞과 외부로 벌어진 양상을 나타내는 리딩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해당 클램핑 플레이트의 제1 축은 항상 상기 리딩 그루브 내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고, 동시에 음료 패키지 선단이 수용 캐비티에 진입된 상태에서, 두 개의 클램핑 플레이트는 상대적으로 벌어지고, 또한 제1 축은 리딩 그루브의 최선단에 위치하여 리딩 플레이트를 앞으로 이동하도록 이끌 수 있다. 두 개의 클램핑 플레이트가 한데 모아지고 또한 제1 축이 리딩 그루브의 최후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 축은 리딩 플레이트가 뒤로 이동하도록 이끌어 음료 패키지를 수용 캐비티에서 이탈시킨다.
두 개의 축과 그루브의 협력을 통해 클램핑 플레이트가 제2 부재를 상대로 안정되게 개폐하도록 보장한다. 물론 제2 부재가 한번 전진 및 후진하는 과정에서 클램핑 플레이트를 구동하여 그 선단이 제2 부재를 상대로 1회 개폐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는 다른 유사한 축 그루브 협력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그루브의 외관에 대해 상응한 변화를 주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 그루브는 후방 직선 그루브부, 전방 직선 그루브부, 및 후방 직선 그루브부와 전방 직선 그루브부를 연결하는 경사 그루브부로 이루어지고, 그 중 경사 그루브부는 앞과 외부로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리딩 그루브는 후방 직선 그루브, 전방 직선 그루브, 및 후방 직선 그루브와 전방 직선 그루브를 연결하는 경사 그루브로 이루어지고, 그 중 경사 그루브는 앞과 외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축은 항상 후방 직선 그루브부 내에 위치하여 슬라이딩 이동을 하고; 음료 패키지 선단이 수용 캐비티에 진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축은 전방 직선 그루브부 내에 위치하고, 또한 전방 직선 그루브의 최선단에 위치한다. 이상은 앞과 외부로 향해 벌어진 양상의 가이드 그루브와 리딩 그루브의 구체적인 구성 방식이고, 상기 가이드 그루브와 리딩 그루브는 구조가 간단하고 가공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추가적인 개량에 따르면, 상기 제1 부재의 좌우 양측에 그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리딩 플레이트의 선단은 삽입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 플레이트는 상기 삽입 그루브 내에 삽입되어 앞 뒤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고, 상기 추진부는 삽입 플레이트에 형성된다. 리딩 플레이트의 전방과 제1 부재 사이는 삽입 플레이트와 삽입 그루브의 협력을 통해 리딩 플레이트가 기계 베이스 내에 더욱 잘 구속되어 리딩 플레이트가 기계 베이스만을 상대로 앞뒤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확보한다.
상기 제2 부재의 양측에 각각 볼록 축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의 중간부에 가로 방향 내경이 볼록 축 직경보다 큰 삽입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 축은 상기 삽입 홀 내에 관통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는 다른 구성을 사용하여 제2 부재의 측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클램핑 플레이트의 내부 단면에 구형 오목 그루브가 형성되고, 볼록 축의 단부가 구형 오목 그루브에 맞는 구형 헤드 모양으로 설계되고, 조립할 때 클램핑 플레이트의 구형 오목 그루브 내에 볼록 축의 단부를 수용하게 되면 클램핑 플레이트는 제2 부재를 상대로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볼록 축은 위로 향한 벤딩 모양으로 설계할 수도 있고,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는 위로부터 아래로 상기 볼록 축에 끼움 설치되어, 클램핑 플레이트는 제2 부재를 상대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상응하게 여러 가지로 변화될 수 있다.
상기 기계 베이스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가 서로 마주 향해 결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면 기계 베이스 내에 기타 각 부재를 조립하는 데 편리하다. 상기 두 그룹의 가이드 그루브는 하부 케이스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내의 좌우 양측에 단지 제2 축의 상단만 그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하도록 제공되는 직선 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직선 그루브는 제2 축의 상단에 대해 리딩 작용을 하여 클램핑 플레이트의 동작을 더욱 안정되게 할 수 있다.
리딩 플레이트에 대해 추가로 구속하여 위치 한정을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 내에 리딩 플레이트에 대해 앞뒤로 가이드하는 위치 한정 그루브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가이드 플레이트가 기계 베이스만을 상대로 앞뒤로 안정되게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게 더욱 확보한다.
종래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의 장점은 아래와 같다.
음료 패키지는 먼저 클램핑 플레이트 선단의 두 차단부 사이에 협지되고, 음료 패키지는 제2 부재와 클램핑 플레이트가 전진함에 따라, 축 그루브 가이드 협력 구조체의 작용 하에, 클램핑 플레이트 선단의 차단부가 적당한 때에 벌어지게 하여 순조롭게 제1 부재의 수용 캐비티 내에 음료 패키지를 넣고; 동시에 클램핑 플레이트의 후진은 추진부가 밖으로 음료 패키지의 고리모양 가장자리를 추진하게 하고, 수용 캐비티 내로부터 음료 패키지를 밀어내어 패키지 분리를 완성한다. 제2 부재는 계속 후진하여, 제1 축과 가이드 그루브의 협력 작용 하에, 클램핑 플레이트의 선단의 차단부가 모여져 원 상태를 회복하도록 한다.; 전체 패키지 분리 과정에서 스프링으로 음료 패키지를 튕겨서 클램핑 플레이트의 차단부가 음료 패키지를 다시 협지하도록 할 필요가 없고, 전체 커피 패키지의 분리 과정은 간단하다. 또한 본 장치에서 각 부재는 구조가 간단하고, 조립하기도 아주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입체 구조 개략도이다(추출 전의 초기 상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입체 구조 개략도이다(추출 전의 초기 상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조 단면도이다(추출 전의 초기 상태).
도 4는 도 3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 방향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입체 구조 개략도이다(추출 패키지 및 오픈된 상태).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입체 구조 개락도이다(추출 및 합쳐진 상태).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구조 단면도이다(추출 및 합쳐진 상태)
도 9는 도 8의 C-C 방향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의 D-D 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추출 및 합쳐진 상태 하의 음료 패키지의 위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추출 및 합쳐진 상태 하의 리딩 플레이트 추진부의 위치 개략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입체 구조 개락도 1이다(패키지 분리 과정).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부 케이스를 제거한 상태의 입체 구조 개략도 2이다(패키지 분리 과정).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부 케이스의 입체 구조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부 케이스의 입체 구조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리딩 플레이트의 입체 구조 개략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클램핑 플레이트의 입체 구조 개략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부재의 입체 구조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19에 도시한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패키지 분리가 편리한 음료 추출 장치는 기계 베이스(1), 상기 기계 베이스 내에 설치된 제1 부재(2) 및 제2 부재(3)를 포함하고, 기계 베이스(1)는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가 서로 마주하여 결합되어 형성된다.
제1 부재(2)는 기계 베이스(1) 내의 전방에 고정되고, 제2 부재(3)는 기계 베이스(1) 내에 구속되고 또한 제1 부재(2)를 상대로 앞뒤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물론 완전한 음료 추출 장치로서, 제2 부재(3)가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동하는 구동 구조체를 더 포함하고, 구동 구조체는 핸들에 의해 움직이는 커넥팅 구조체일 수 있고, 이는 일반적 구조체로서, 등록실용신안번호가 ZL200720110811.2(공고번호가 CN201044719Y)인 중국 등록실용신안 <커피 머신에서의 커피 패키지의 자동 탈락수단>을 참조할 수 있다.
제1 부재(2) 내에 고리모양 가장자리(41)를 갖는 음료 패키지(4)를 수용하는 수용 캐비티(21)가 구비되고, 음료 패키지(4)는 커피 패키지일 수 있고, 그 주변 및 고리모양 가장자리(41)는 경성(硬性) 재료로 제조되고, 음료 패키지(4)의 앞뒤 단면에 물이 흘러 통과하는 미세 홀이 조밀하게 분포되어 있고, 이는 커피 머신에서 커피 패키지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구성이다. 추출할 때 음료 패키지의 본체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 캐비티(21) 내로 진입하고, 고리모양 가장자리(41)는 제2 부재(3)의 선단면(先端面)에 밀착한다.
제2 부재(3)의 좌우 양측에 각각 클램핑 플레이트(5)가 가동 연결되어 있고, 클램핑 플레이트(5)는 제2 부재(3)를 따라 앞뒤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고, 클램핑 플레이트(5)가 제2 부재(3) 상에 설치된 구조는 아래와 같다. 제2 부재(3)의 좌우 양측에 각각 볼록 축(31)이 설치되어 있고, 클램핑 플레이트(5)의 중간부에 가로 방향 내경이 볼록 축(31) 직경보다 큰 삽입 홀(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삽입 홀(52)은 바(bar) 타입 홀이다. 즉 상기 삽입 홀(52)의 높이는 볼록 축(31)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볼록 축(31)의 직경보다 약간 크고, 삽입 홀(52)의 가로 방향 폭은 볼록 축(31)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볼록 축(31)은 상기 삽입 홀(52) 내에 관통 설치된다. 이로써 두 개의 클램핑 플레이트(5)가 제2 부재(3)를 상대로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고, 또한 클램핑 플레이트(5)를 위 아래로 위치 한정할 수 있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클램핑 플레이트(5)의 선단에 모두 제2 부재(3)의 선단면까지 휘어서 연장된 차단부(51)가 구비되고, 클램핑 플레이트 상의 차단부(51)의 내부 단면 하부는 외부로 휘어진 호면(511)이기에,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5)는 대략 L형을 나타내고, 두 개의 상기 차단부(51)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커피 패키지(4)를 놓을 수 있는 거치부를 형성하고, 클램핑 플레이트(5)의 선단은 제2 부재(3)를 상대로 개폐할 수 있고, 클램핑 플레이트(5)의 전방에 높이 방향을 따라 제1 축(6)이 설치되어 있고, 클램핑 플레이트(5)의 후방에 높이 방향을 따라 제2 축(7)이 설치되어 있다.
기계 베이스(1) 상에 설치되어 해당 클램핑 플레이트의 제1 축(6)과 제2 축(7)을 가이드하는 두 그룹의 가이드 그루브(8)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2)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고, 가이드 그루브(8)의 선단은 앞과 외부로 벌어진 양상을 나타내기에 가이드 그루브는 기본적으로 Z형을 나타낸다. 즉 가이드 그루브(8)는 후방 직선 그루브부(81), 전방 직선 그루브부(82) 및 후방 직선 그루브부(81)와 전방 직선 그루브부(81)를 연결하는 경사 그루브부(83)로 이루어지고, 그 중 경사 그루브부(83)는 앞과 외부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제2 축(7)은 항상 후방 직선 그루브부(81) 내에 위치하여 슬라이딩 이동을 하고, 가이드 그루브(8)에서 제1 축(6)과 상호 협력 작용하에 가이드함으로써 제2 부재(3)가 전진 및 후진하는 과정에서 클램핑 플레이트(5) 선단을 구동하여 제2 부재(3)를 상대로 개폐할 수 있게 한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리딩 플레이트(9)는 기계 베이스(1) 내의 좌우 양측에 구속되어 단지 앞뒤로만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고, 제1 부재(2)의 좌우 양측에 그 축 방향을 따라 설치된 삽입 그루브(22)가 형성되어 있고, 삽입 그루브(22)의 선단은 관통되고, 각 리딩 플레이트(9)의 선단은 삽입 플레이트(93)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 플레이트(93)는 상기 삽입 그루브(31) 내에 삽입되어 앞뒤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11) 내의 좌우 양측에 제2 축(7)의 상단만 그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제공되는 직선 그루브(111)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케이스(11) 내부에 리딩 플레이트(9)에 대해 앞뒤로 가이드하는 위치 한정 그루브(112)가 더 형성되어 있다. 리딩 플레이트(9)의 선단에 음료 패키지의 고리모양 가장자리(41)를 밀도록 내부로 볼록하게 형성된 추진부(91)를 구비하고, 추진부(91)는 삽입 플레이트(93)에 설치된다. 제1 부재의 수용 캐비티(21)의 측벽에는 추진부(91)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갭(211)이 형성되어 있고, 리딩 플레이트(9)의 후방에 선단이 앞과 외부로 벌어진 양상을 나타내는 리딩 그루브(9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이드 그루브는 기본적으로 Z형을 나타낸다. 즉 리딩 그루브(92)는 후방 직선 그루브(921), 전방 직선 그루브(922), 및 후방 직선 그루브(921)와 전방 직선 그루브(922)를 연결하는 경사 그루브(923)로 이루어지고, 그 중 경사 그루브(923)는 앞과 외부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해당 클램핑 플레이트의 제1 축(6)은 항상 상기 리딩 그루브(92) 내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음료 패키지(4) 선단이 수용 캐비티(21)에 진입된 상태에서, 제1 축(6)은 전방 직선 그루브부(82) 내에 위치하며 또한 전방 직선 그루브(922)의 최선단에 위치한다.
본 음료 추출 장치의 작업 원리 및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1 ~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커피 음료를 제조할 때, 음료 패키지 상의 고리모양 가장자리(41)를 두 차단부(51)가 간격을 두고 설치됨으로써 형성된 거치부 사이에 놓고, 제2 부재(3)와 차단부(51)에 의한 차단 및 차단부(51)의 내부 단면 하부로서 외부로 휜 호면(511)에 의한 지지를 통해, 음료 패키지(4)는 제2 부재(3)의 선단에 안정되게 위치 한정될 수 있다. 이때 클램핑 플레이트(5) 상의 제1 축(6)과 제2 축(7)의 하단은 모두 가이드 그루브(8)의 후방 직선 그루브부(81) 내에 위치하고, 제1 축(6)의 상단은 리딩 플레이트(9)의 리딩 그루브(92)의 전방 직선 그루브부(922) 내에 위치하고, 제2 축(7)의 상단은 직선 그루브(111) 내에 위치한다. 이어서, 구동 구조체는 제2 부재(3)가 제1 부재(2)를 상대로 앞으로 이동하도록 구동하고, 제1 축(6)과 제2 축(7)의 하단은 가이드 그루브(8)의 후방 직선 그루브부(81) 내에서 앞으로 이동한다. 음료 패키지(4)의 본체 부분이 제1 부재(2)의 수용 캐비티 내에 진입된 상태에서, 제1 축(6)의 하단은 경사 그루브부(83)를 통해 전방 직선 그루브부(82) 내에 진입하고, 제1 축(6)의 상단은 경사 그루브부(923)를 통해 전방 직선 그루브부(922) 내로 진입되고, 제1 축(6)의 상단과 하단은 앞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점차 외부로 편이된다. 제2 축(7)의 수평 위치는 항상 변하지 않기에, 클램핑 플레이트(5) 상의 차단부(51)는 제2 부재(3)를 상대로 제1 축(6)의 상단과 리딩 그루브(92)의 전방 직선 그루브부(922)의 전방 내부 단면에 접촉할 때까지 점차 벌어지고, 제2 부재(3)는 계속하여 앞으로 이동하고, 제1 축(6)은 리딩 플레이트(9)를 추진하여 앞으로 이동하게 한다. 제1 축(6)의 하단이 가이드 그루브(8)의 전방 직선 그루브부(82)의 최선단까지 이동되고, 클램핑 플레이트(5)의 차단부가 제1 부재(2)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고, 리딩 플레이트(9)의 추진부(91)가 갭(gap)(211) 내에 수용되고, 동시에 제1 부재(2)와 제2 부재(3) 사이도 완전히 폐합되면, 상기 장치는 추출을 시작할 수 있다(도 7 ~ 도 12를 참조).
상기 전체 과정에서 제2 축(7)의 하단은 항상 가이드 그루브(8)의 후방 직선 그루브부(81) 내에 위치하고, 제2 축(7)의 상단은 항상 직선 그루브(111) 내에 위치한다.
도 13 ~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료 제작이 종료된 후, 제2 부재(3)는 제1 부재(2)를 상대로 뒤로 이동하고, 제1 축(6)의 하단이 경사 그루브부(83)를 통해 전방 직선 그루브부(82) 내로 진입하면, 제1 축(6)의 상단은 경사 그루브부(923)를 통해 전방 직선 그루브부(922) 내로 진입되고, 제1 축(6)의 상단과 하단은 뒤로 이동되는 동시에 점차 내부로도 편이되고, 제2 축(7)의 수평 위치는 항상 변하지 않기에 클램핑 플레이트(5) 상의 차단부(51)는 제2 부재(3)를 상대로 초기 상태로 회복될 때까지 점차 모아진다. 이때 음료 패키지(4)는 여전히 제1 부재(2)의 수용 캐비티(21) 내에 위치하며, 이 상태는 제1 축(6)의 상단이 리딩 그루브(92)의 후방 직선 그루브부(921)의 후방 내부 단면에 접촉하고, 제2 부재(3)가 계속하여 뒤로 이동되고, 제1 축(6)이 리딩 플레이트(9)를 뒤로 이동하게 추진하고, 리딩 플레이트(9)의 추진부(91)가 음료 패키지의 고리모양 가장자리를 외부로 밀어 수용 캐비티 내에서 음료 패키지를 밀어내어 패키지가 분리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때 클램핑 플레이트(5)는 초기 상태에 있다.
1: 기계 베이스
2: 제1 부재
3: 제2 부재
4: 음료 패키지(beverage package)
5: 클램핑 플레이트(clamping plate)
6: 제1 축
7: 제2 축
8: 가이드 그루브(guide groove)
9: 리딩 플레이트(leading plate)
11: 상부 케이스
12: 하부 케이스
21: 수용 캐비티(containing cavity)
51: 차단부
91: 추진부(pushing part)
211: 갭(gap)

Claims (9)

  1. 기계 베이스(1), 상기 기계 베이스 내에 설치된 제1 부재(2) 및 제2 부재(3)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재(2) 내에 고리 모양 가장자리(annular edge)(41)를 갖는 음료 패키지(4)를 수용하는 수용 캐비티(21)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부재(3)는 상기 제1 부재(2)를 상대로 앞뒤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패키지 분리가 편리한 음료 추출 장치에서,
    두 개의 클램핑 플레이트(5)와 두 개의 리딩 플레이트(9)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클램핑 플레이트(5)는 각각 상기 제2 부재(3)의 좌우 양측에 가동 연결되어 상기 제2 부재(3)를 따라 앞뒤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두 개의 클램핑 플레이트(5)의 선단(先端)은 상기 제2 부재(3)의 선단면까지 연장되어 상기 음료 패키지(4)를 협지할 수 있고, 상기 두 개의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5)는 축 그루브 가이드 협력 구조체를 통해 상기 기계 베이스(1)와 서로 연결되고,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5)는 상기 축 그루브 가이드 협력 구조체의 작용하에서, 상기 제2 부재(3)가 중간 상태까지 전진한 경우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5)를 구동하여 그 선단이 상기 제2 부재(3)를 상대로 벌어지도록 하고, 제2 부재(3)가 중간 상태까지 후진한 경우,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5)를 구동하여 그 선단이 상기 제2 부재(3)를 상대로 모아지도록 하고;
    상기 두 개의 리딩 플레이트(9)는, 상기 기계 베이스(1) 내 좌우 양측에 구속되어 앞뒤로만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두 개의 리딩 플레이트(9)의 선단은 내부로 볼록한 추진부(91)를 구비하고, 상기 추진부(91)는 상기 음료 패키지의 고리모양 가장자리(41)를 추진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제1 부재의 수용 캐비티(21)의 측벽에는 상기 추진부(91)가 수용되는 갭(21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리딩 플레이트(9)의 후방에는 선단이 앞과 외부를 향해 벌어진 양상의 리딩 그루브(9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축 그루브 가이드 협력 구조체 중의 축은 상기 리딩 그루브(92)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리딩 플레이트(9)를 앞뒤로 이동시킬 수 있는,
    패키지 분리가 편리한 음료 추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5)의 선단은 모두 상기 제2 부재(3)의 선단면까지 휘어서 연장되어 있는 차단부(51)를 구비하고, 두 개의 상기 차단부(51)는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음료 패키지(4)가 안착될 수 있는 거치부를 형성하는, 패키지 분리가 편리한 음료 추출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 상의 차단부(51)의 내부 단면 하부는 외부로 휘어진 호면(弧面)(511)인, 패키지 분리가 편리한 음료 추출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 그루브 가이드 협력 구조체는, 각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5)의 전방에 높이 방향을 따라 제1 축(6)이 설치되어 있고, 각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5)의 후방에 높이 방향을 따라 제2 축(7)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기계 베이스(1)에는 해당 클램핑 플레이트의 상기 제1 축(6)과 제2 축(7)을 가이드하는 두 그룹의 가이드 그루브(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그루브(8)의 선단은 앞과 외부를 향해 벌어진 양상을 나타냄으로써, 상기 가이드 그루브(8)와 제1 축(6)의 가이드 협력 작용 하에서, 상기 제2 부재(3)가 한번 전진 및 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5)를 구동하여 그 선단이 상기 제2 부재(3)를 상대로 1회 개폐를 진행하도록 할 수 있고; 해당 클램핑 플레이트의 제1 축(6)은 항상 상기 리딩 그루브(92) 내에 위치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음료 패키지(4)의 선단 부분이 상기 수용 캐비티(21)에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두 개의 클램핑 플레이트(5)는 상대적으로 벌어져 상기 제1 축(6)이 리딩 그루브(92) 최선단에 위치하여 리딩 플레이트(9)를 앞으로 이동되도록 이끌 수 있고; 상기 두 개의 클램핑 플레이트(5)가 합쳐지고 상기 제1 축(6)이 리딩 그루브(92) 최후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축(6)은 상기 리딩 플레이트(9)가 뒤로 이동하도록 이끌어 상기 음료 패키지(4)를 상기 수용 캐비티(21)에서 이탈시키는, 패키지 분리가 편리한 음료 추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그루브(8)는 후방 직선 그루브부(81), 전방 직선 그루브부(82), 및 상기 후방 직선 그루브부(81)와 전방 직선 그루브부(82)를 연결하는 경사 그루브부(83)로 이루어지고, 그 중 상기 경사 그루브부(83)는 앞과 외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축(7)은 항상 상기 후방 직선 그루브부(81) 내에 위치하여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리딩 그루브(92)는 후방 직선 그루브(921), 전방 직선 그루브(922), 및 상기 후방 직선 그루브(921)와 전방 직선 그루브(922)를 연결하는 경사 그루브(923)로 이루어지고, 그 중 상기 경사 그루브(923)는 앞과 외부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음료 패키지(4)의 선단 부분이 상기 수용 캐비티(21)에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축(6)은 상기 전방 직선 그루브부(82) 내에 위치하며 상기 전방 직선 그루브(922)의 최선단에 위치하는, 패키지 분리가 편리한 음료 추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2)의 좌우 양측에 그 축 방향을 따른 삽입 그루브(2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각 리딩 플레이트(9)의 선단은 삽입 플레이트(93)를 구비하고, 상기 삽입 플레이트(93)는 상기 삽입 그루브(22) 내에 삽입되어 앞뒤로 슬라이딩 이동을 할 수 있고, 상기 추진부(91)는 상기 삽입 플레이트(93)에 설치되는, 패키지 분리가 편리한 음료 추출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3)의 양측에 각각 볼록 축(31)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클램핑 플레이트(5)의 중간부에 가로 방향 내경이 상기 볼록 축(31) 직경보다 큰 삽입 홀(5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볼록 축(31)은 상기 삽입 홀(52) 내에 관통 설치되는, 패키지 분리가 편리한 음료 추출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 베이스(1)는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가 서로 마주 향해 결합되어 형성되고, 두 그룹의 상기 가이드 그루브(8)는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11) 내의 좌우 양측에 제2 축(7)의 상단만 그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하도록 제공되는 직선 그루브(111)가 형성되어 있는, 패키지 분리가 편리한 음료 추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11) 내부에 상기 리딩 플레이트(9)를 앞뒤로 가이드하는 위치 한정 그루브(112)가 더 형성되어 있는, 패키지 분리가 편리한 음료 추출 장치.
KR1020137008286A 2010-12-13 2011-01-31 패키지 분리가 편리한 음료 추출 장치 KR1015944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106012907A CN102068204B (zh) 2010-12-13 2010-12-13 一种方便脱包的饮料萃取装置
CN201010601290.7 2010-12-13
PCT/CN2011/000169 WO2012079268A1 (zh) 2010-12-13 2011-01-31 一种方便脱包的饮料萃取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477A KR20130141477A (ko) 2013-12-26
KR101594448B1 true KR101594448B1 (ko) 2016-02-16

Family

ID=44027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8286A KR101594448B1 (ko) 2010-12-13 2011-01-31 패키지 분리가 편리한 음료 추출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259118B2 (ko)
EP (1) EP2653083B1 (ko)
JP (1) JP5530038B2 (ko)
KR (1) KR101594448B1 (ko)
CN (1) CN102068204B (ko)
AU (1) AU2011345184B2 (ko)
BR (1) BR112013011601A2 (ko)
IL (1) IL226895A (ko)
WO (1) WO2012079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VR20110179A1 (it) * 2011-09-19 2013-03-20 Caffita System Spa Dispositivo di infusione per la produzione di bevande mediante l'utilizzo di cartucce, quali cartucce o cialde
CN102429584B (zh) * 2011-12-13 2013-09-25 宁波三A集团电器有限公司 饮料冲煮装置的送包脱包结构
CN102551540B (zh) * 2011-12-29 2014-04-23 宁波三A集团电器有限公司 饮料冲泡装置的送包脱包结构
CN102613903B (zh) * 2012-01-13 2013-11-27 宁波三A集团电器有限公司 饮料萃取装置中的饮料包掉落结构
FR2988988B1 (fr) * 2012-04-04 2014-06-27 Technopool Sarl Dispositif de preparation de boisson par infusion de dosette avec berceau pivotant
CN102670076B (zh) * 2012-05-10 2014-02-19 宁波全景电器技术有限公司 饮料制备装置的自动掉包机构
CN102772145B (zh) * 2012-07-24 2014-06-25 宁波全景电器技术有限公司 结构改良的饮料制备装置
US9730546B2 (en) * 2012-08-24 2017-08-15 Guangdong Xinbao Electrical Appliances Holdings Co., Ltd. Capsule coffee machine
CN103271651B (zh) * 2013-06-04 2015-06-24 浙江爱仕达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咖啡胶囊装夹与卸落机构
CN103519693A (zh) * 2013-08-01 2014-01-22 广东顺德高达科菲电器制造有限公司 饮料酿造机的饮料包自动脱落机构
CN103876633B (zh) * 2014-02-26 2016-04-13 宁波全景电器技术有限公司 饮料萃取装置的送包脱包机构
CN203873003U (zh) * 2014-04-16 2014-10-15 林光榕 电子烟
US10368684B2 (en) * 2014-11-06 2019-08-06 Luigi Lavazza S.P.A.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liquid products using capsules
CN105476482B (zh) * 2016-01-13 2018-06-26 宁波绿之品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胶囊萃取机构
ITUB20160174A1 (it) * 2016-01-19 2017-07-19 Gap Mac S R L Dispositivo di chiusura di una camera di infusione in macchine per erogare bevande calde
PT109303B (pt) * 2016-04-07 2021-02-15 Novadelta Comercio Ind Cafes Sa Dispositivo de extração com suporte de cápsula móvel
PT109304B (pt) 2016-04-07 2021-02-26 Novadelta - Comércio E Indústria De Cafés, S.A. Dispositivo de extração com câmara de recolha adaptada
ITUA20163117A1 (it) * 2016-05-03 2017-11-03 Spinel S R L Gruppo di infusione per macchine da caffè con movimento orizzontale, inserimento delle monodosi dall'alto e dotato di mezzi di afferraggio azionati per mezzo di profili tipo camme
CN108078390B (zh) * 2018-01-19 2023-07-21 宁波锦宇电器有限公司 一种胶囊咖啡机
CN108888116B (zh) * 2018-07-17 2020-11-17 无锡鼎加弘思饮品科技有限公司 一种垂直侧向储料的胶囊饮料自动售卖机
CN109381025B (zh) * 2018-11-15 2023-11-17 深圳市西啡科技有限公司 饮料萃取装置及饮料制备设备
TWI689270B (zh) * 2019-01-04 2020-04-01 亞弘電科技股份有限公司 咖啡膠囊裝置
DE102021125679A1 (de) 2021-09-10 2023-03-16 Eugster / Frismag Ag Brüheinheit mit optimierter Haltestruktur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Brüheinhei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2470A (ja) 2000-05-09 2003-11-05 ソシエテ デ プロデユイ ネツスル ソシエテ アノニム 物質を抽出する装置
JP2009148549A (ja) 2003-07-10 2009-07-09 Nestec Sa カプセル抽出装置
CN201295154Y (zh) 2008-11-19 2009-08-26 宁波意中咖啡机有限公司 咖啡机的自动脱包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4853A (en) * 1987-09-18 1989-01-03 Grindmaster Corporation Universal brew basket support arms
US5240722A (en) * 1992-05-06 1993-08-31 Panagiotis Louridas Prepared package for making a hot beverage
FR2709655B1 (fr) * 1993-09-06 1995-11-24 Cafes Cie Mediterraneenne Machine à café express utilisant un conditionnement de café moulu du type pastille pré-dosée.
US5555791A (en) * 1995-05-09 1996-09-17 Grindmaster Corporation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having articulating basket holding arms for baskets having varying dimensions
JP4004657B2 (ja) * 1998-08-21 2007-11-07 東静電気株式会社 飲料抽出装置
JP2001104159A (ja) * 1999-10-06 2001-04-17 Sanyo Electric Co Ltd 抽出器
DE60100785T2 (de) * 2000-12-29 2004-07-15 Sgl Italia S.R.L. Kaffeemaschine
ITTO20040374A1 (it) * 2004-06-04 2004-09-04 Sgl Italia Srl Macchina percolatrice per la preparazione di una bevanda
US7252035B2 (en) * 2005-06-20 2007-08-07 Uni-Splender Corp Coffee maker
ITMI20061307A1 (it) * 2006-07-06 2008-01-07 Perfect Steam Appliances Ltd Gruppo di infusione per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ITFI20060194A1 (it) * 2006-08-04 2008-02-05 Saeco Ipr Ltd Dispositivo di infusione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da capsule monodose
CN201044719Y (zh) * 2007-06-15 2008-04-09 宁波三A集团电器有限公司 咖啡机中咖啡包的自动脱落机构
CN100544647C (zh) * 2007-06-15 2009-09-30 宁波三A集团电器有限公司 咖啡机中咖啡包的自动脱落机构
CN100528050C (zh) * 2007-08-30 2009-08-19 张斌 可自动压包、倒包的咖啡机
ITVR20080046A1 (it) * 2008-04-18 2009-10-19 Marco Ambrosini Dispositivo di estrazione per fondi di caffe o simili
WO2010032271A1 (en) * 2008-09-18 2010-03-25 Saeco Ipr Limited Infusion device for coffee machines and the like
CN101669768B (zh) * 2009-09-28 2012-05-23 宁波西文电器有限公司 咖啡机的送包脱包机构
DE102009049945A1 (de) * 2009-10-19 2011-04-21 Krüger Gmbh & Co. Kg Brüh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xtrahieren einer Portionskapsel
US9271599B2 (en) * 2010-03-19 2016-03-01 N & W Global Vending S.P.A. Infusion assembly
CN201920501U (zh) * 2010-12-13 2011-08-10 宁波三A集团电器有限公司 一种方便脱包的饮料萃取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32470A (ja) 2000-05-09 2003-11-05 ソシエテ デ プロデユイ ネツスル ソシエテ アノニム 物質を抽出する装置
JP2009148549A (ja) 2003-07-10 2009-07-09 Nestec Sa カプセル抽出装置
CN201295154Y (zh) 2008-11-19 2009-08-26 宁波意中咖啡机有限公司 咖啡机的自动脱包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502516A (ja) 2014-02-03
EP2653083B1 (en) 2015-02-25
KR20130141477A (ko) 2013-12-26
US20130180410A1 (en) 2013-07-18
WO2012079268A1 (zh) 2012-06-21
IL226895A (en) 2016-04-21
AU2011345184B2 (en) 2014-11-27
EP2653083A1 (en) 2013-10-23
CN102068204A (zh) 2011-05-25
JP5530038B2 (ja) 2014-06-25
US9259118B2 (en) 2016-02-16
BR112013011601A2 (pt) 2016-08-09
CN102068204B (zh) 2013-03-27
EP2653083A4 (en) 2014-04-30
AU2011345184A1 (en) 201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4448B1 (ko) 패키지 분리가 편리한 음료 추출 장치
CN102613903B (zh) 饮料萃取装置中的饮料包掉落结构
JP5094857B2 (ja) 飲料製造機械用の注入アセンブリ
CN100589741C (zh) 咖啡机的自动脱包机构
CN102670076B (zh) 饮料制备装置的自动掉包机构
CN202619402U (zh) 饮料制备装置的自动掉包机构
CN202515442U (zh) 饮料萃取装置中的饮料包掉落结构
WO2016061900A1 (zh) 有助于饮料包去除的饮料冲煮设备
CN102551540B (zh) 饮料冲泡装置的送包脱包结构
CN103271651B (zh) 一种咖啡胶囊装夹与卸落机构
AU2011212106B2 (en) Machine for the preparation of a beverage
CN203314758U (zh) 咖啡机的送包挡包结构
CN201295154Y (zh) 咖啡机的自动脱包机构
CN201920501U (zh) 一种方便脱包的饮料萃取装置
CN102429584B (zh) 饮料冲煮装置的送包脱包结构
CN203290735U (zh) 一种咖啡胶囊装夹与卸落机构
CN106264156B (zh) 饮料萃取装置用送脱包机构
CN202457924U (zh) 饮料冲泡装置的送包脱包结构
CN106618217B (zh) 一种酿造组内的送包与脱包机构
CN201557978U (zh) 饮料制备装置的夹包机构
CN208925906U (zh) 一种抽屉式胶囊咖啡机用酿造装置
CN219926825U (zh) 一种注塑面板制备用注塑机下料机械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