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0639B1 - A cook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cook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0639B1
KR101590639B1 KR1020090065775A KR20090065775A KR101590639B1 KR 101590639 B1 KR101590639 B1 KR 101590639B1 KR 1020090065775 A KR1020090065775 A KR 1020090065775A KR 20090065775 A KR20090065775 A KR 20090065775A KR 101590639 B1 KR101590639 B1 KR 101590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door
cooking chamber
shielded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57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08423A (en
Inventor
김완수
문현욱
심찬보
최흥식
허진열
심성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65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0639B1/en
Publication of KR20110008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84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6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02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adapted for the use of two or more kinds of fuel or energy supply
    • F24C1/04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adapted for the use of two or more kinds of fuel or energy supply simultaneous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00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restricted to solid fuel or to a type covered by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groups F24C3/00 - F24C9/00; Stoves or ranges in which the type of fuel or energy supply is not specified
    • F24C1/14Radiation heating stoves and ranges, with additional provision for convection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6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 F24C7/067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elements on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가열원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하여 상기 조리실에서의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되는 차폐 조리 모드와,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2가열원이 동작하여 상기 조리실에서의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되는 개방 조리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조리 모드로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차폐 방식의 조리와, 개방 방식의 조리가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shielded cooking mode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sources operates while the door is closed to perform cooking of the food in the cooking chamber, And an open cooking mode in which cooking of food in the cooking chamber is performed.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hielded type cooking and the open type cooking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조리기기, 조리방식, 선택적 Cooking equipment, cooking method, optional

Description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A cook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er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oking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는 히터열, 마이크로웨이브, 스팀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조리한다. Generally, a cooking appliance is an appliance for cooking food. Such a cooking device uses at least one of heater heat, microwave, and steam to cook food by heating the food.

상기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히터열을 발생시키는 히터,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시키는 마그네트론,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장치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가열원이 구비된다. 상기 스팀발생장치는 스팀을 생성하고 상기 조리실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cooking apparatus includes a cooking chamber in which food is cooked. In additio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heating source such as at least one of a heater for generating heater heat, a magnetron for generating microwave, and a steam generating device for generating steam. The steam generator generates steam and supplies the steam to the cooking chamber.

한편, 상기 조리기기에는, 상기 조리실을 여닫는 도어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되기 위한 도어 손잡이가 구비된다. On the other hand, the cook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ooking chamber. The door is provided with a door handle to be gripped by a user.

본 발명은 개방식 조리 및 차폐식 조리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oking appliance which can selectively perform open cooking and shielded cooking.

본 발명은 안전하게 사용 가능한 조리기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safe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o the precise forms disclosed. Other objects,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will be possible.

상기한 바와 같이 제안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는,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조리실에서의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열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가열원; 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가열원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하여 상기 조리실에서의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되는 차폐 조리 모드 및,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2가열원이 동작하여 상기 조리실에서의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되는 개방 조리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조리 모드로 선택적으로 작동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oking apparatus comprising: a cavity having a cooking cavity in which food is cooked; A do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ooking chamber; First and second heating sources for providing heat for cooking food in the cooking chamber;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sources operates in a state that the door is closed to perform cooking of the food in the cooking chamber and a second cooking mode in which the second heating source And an open cooking mode in which food is cooked in the cooking chamber.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의 일 실시예는, 개방된 상태의 조리실의 내부에서 조리물의 조리가 수행되는 개방 조리 모드 및 차폐된 상태의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서 조리물의 조리가 수행되는 차폐 조리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 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부가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서, 개방 조리 모드 또는 차폐 조리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One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pen cooking mode in which cooking is performed inside a cooking chamber in an opened state and a closed cooking mode in which cooking is performed inside the cooking chamber in a shielded state, Receiving a signal for selecting one of the plurality of modes; And performing an open cooking mode or a shielded cooking mode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by the input uni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따르면, 도어가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으로, 예를 들면 탑버너와 같은 개방식 조리 및 예를 들면 오븐과 같은 차폐식 조리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is selectively opened or closed. In this case, for example, open cooking such as a top burner and a shielded cooking such as an ove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그리고,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차폐식 조리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경고 신호가 출력되므로 사용자가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When a shielding-type cooking command is input while the door is opened, a warning signal is output,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user can use the shielding-type cooking command more safely.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가열원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제어 신호 흐름을 보인 제어 구성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of a first embodiment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ed state,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of a first embodiment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losed state.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ing source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trol signal flow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1)의 본체(10)는 전체적으로 하단 일부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직육면체 형상이다.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음식물이 수용되기 위한 조리실(100)이 구비되는 캐비티(101)가 구비된다. 상 기 캐비티(101)는 반구의 일부를 이루는 형상이다. 1 and 2, the main body 10 of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having a lower end part protruding forwar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 a cavity 101 having a cooking chamber 100 for receiving food is provided. The cavity 101 has a shape that forms a part of a hemisphere.

보다 상세히, 상기 캐비티(101)의 상면은 상기 캐비티(101)가 이루는 반구에서 구면의 절반에 해당하는 형상이고, 상기 캐비티(101)의 바닥면은 상기 캐비티(101)가 이루는 반구의 바닥면 전체에 대응되는 원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캐비티(101)의 바닥면 전단이 상기 캐비티(101)의 상면 전단보다 더욱 전방에 위치되게 된다. 즉, 상기 조리실(100)의 바닥면이 상기 조리실(100)의 천장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연장된다.More specific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0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half of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hemisphere formed by the cavity 101,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10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the hemisphere formed by the cavity 101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front end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101 is positioned further forward than the top surface front end of the cavity 101. 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100 extends forward relative to the ceiling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100.

그리고, 상기 캐비티(101)의 바닥면에 대응되는 상기 본체(10)의 하단부가 전방으로 연장되어 베이스부(13)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부(13)는 두께를 가지는 반원 형상으로 전면 및 측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베이스(13)의 형상은 상기 캐비티(101)가 이루는 반구의 바닥면과 대응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3)의 상면은 편평하게 형성된다.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10 corresponding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101 extends forward to form the base portion 13. The base portion 13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having a thickness and has a curved front and side surfaces. That is, the shape of the base 13 correspond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emisphere formed by the cavity 101. Further,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3 is formed flat.

또한, 상기 캐비티(101)의 바닥면에는, 음식물이 안착되기 위한 음식물 안착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음식물 안착부(130)는 전체적으로 편평한 원반 형상이다. 더 정확하게는, 상기 캐비티(101)가 이루는 반구의 바닥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 및 위치된다. 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cavity 101 is provided with a food placement part 130 for seating the food. The food seated part 130 is generally disk-shaped. More precisely, it is formed and positioned in the same shape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hemisphere formed by the cavity 101.

또한, 상기 음식물 안착부(130)의 상면에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부가 구비된다. 상기 미끄럼방지부는 동심원을 이루는 다수개의 원형으로 요철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a slip prevention part is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ood placement part 130 to prevent a container containing food or food from slipping. The non-slip portion is formed to have a plurality of concentric circular protrusions and recesses.

그리고, 상기 캐비티의 바닥면(101) 또는 상기 음식물 안착부(130)에는, 상 기 음식물이 안착된 상태로 회전할 수 있는 턴테이블(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턴테이블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턴테이블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 및 동력 전달부가 포함될 수 있다.A turntable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101 of the cavity or on the food seat 130 so that the food can be rotated in a state where the food is seated. When such a turntable is provided, a driving motor and a power transmitting unit for rotating the turntable may be included.

한편, 상기 본체(10)의 전면 상측에는 상기 조리기기(1)의 작동 제어를 위한 컨트롤 패널(11)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11)은, 상기 조리기기(1)의 작동 제어를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부(111)와, 상기 조리기기(1)의 작동 상태를 의미하는 신호가 출력되기 위한 출력부(112)를 포함한다. A control panel 11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1 is provid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 The control panel 11 includes an input unit 111 through which a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1 is input and an output unit 112 through which a signal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1 is output ).

상기 입력부(111)는, 예를 들면 다이얼, 버튼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력부(112)는 시각적 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3)와, 청각적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부(114)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예를 들면 문자, 기호 등과 같은 시각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기기(1)의 작동 상태를 표시한다. 또한, 상기 스피커부(114)는, 예를 들면 음성, 음향과 같은 청각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조리기기(1)의 작동 상태를 출력한다. The input unit 111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such as a dial, a button, and the like. The output unit 112 includes a display unit 113 for displaying a visual signal and a speaker unit 114 for outputting an auditory signal. The display unit 113 displays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1 using a visual signal such as a character, a symbol, or the like. In addition, the speaker unit 114 outputs the operating state of the cooking appliance 1 using an audible signal such as sound or sound.

한편,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캐비티(101)와 함께 반구 형상를 이루는 형상으로 도어(12)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더 정확하게는, 상기 도어(12)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101)와 함께 반구 형상을 이루도록, 상기 캐비티(10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도어(12)의 양측 단부 및 상기 캐비티(101)의 양측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회동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회동결합부는, 예를 들면 핀, 리벳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A door 12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in a hemispherical shape together with the cavity 101. More precisely, the door 12 is rotatabl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avity 101 so as to form a hemispherical shape together with the cavity 101 in a closed state. In other words, a pivotal coupling portion (not shown) for pivotably coupling the both ends of the door 12 and both side ends of the cavity 101 is formed. At this time, the pivotal coupling portion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such as a pin, a rivet, or the like.

따라서, 상기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캐비티(101), 음식물 안착부(130) 및 도어(12)에 의하여 반구 형상의 차폐된 공간 즉, 차폐식 조리실(10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12)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음식물 안착부(130)의 상방에 해당하는 개방된 공간 즉, 개방식 조리실(10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도어(12)가 닫힌 상태 즉, 상기 차폐식 조리실(100) 조건에서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차폐 조리 모드라 칭하고, 상기 도어(12)가 열린 상태 즉, 상기 개방식 조리실(100) 조건에서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개방 조리 모드라 칭할 수 있다. 즉, 상기 조리기기(1)는, 차폐 조리 모드 및 개방 조리 모드와 같은 2가지 방식으로 작동하여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door 12 is closed, a hemispherical shielded space, that is, a shielded cooking chamber 100, is formed by the cavity 101, the foodstuff seat 130, and the door 12. In addition, when the door 12 is opened, an open sp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part of the food storage part 130, that is, the open type cooking chamber 100 is formed. In this case, it is referred to as a shielded cooking mode in which the food is cooked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door 12 is closed, that is, the shielded cooking chamber 100, and when the door 12 is opened, And the cooking of the food is performed in the open cooking mode. That is, the cooking appliance 1 can operate in two modes such as a shielded cooking mode and an open cooking mode to perform cooking.

여기서, 상기 도어(12)는 후술할 가열원에 의한 고온 분위기를 견딜 수 있는 즉, 내열성이 강한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어(12)는 세라믹, 글래스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조리실(100)에 수용되어 있는 음식물을 관찰하기에 용이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Here, the door 12 may be formed of various materials which can withstand a high-temperature atmosphere by a heating sour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at is, materials having high heat resistance. For example, the door 12 may be formed of ceramics, glass, or the like. At least a part of the door 12 may be formed transparent or translucent to facilitate observation of foods contained in the cooking chamber 100 when the door 12 is closed.

그리고, 상기 도어(12)의 전단부에는, 상기 도어(12)의 사용시 사용자에 의하여 파지되기 위한 도어 손잡이(121)가 형성된다. 즉, 상기 도어(12)를 열고 닫기 위해서는, 상기 도어 손잡이(121)를 잡고 상방 또는 하방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상기 도어 손잡이(121)를 상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도어(12)는 상기 회동결합부를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도어(12)가 상방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캐비티(101)의 내부 및 음식물 안착부(130)가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반대로, 상기 도어 손잡이(121)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도어(12)는 상기 회동결합부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동하게 된다. 도어(12)가 하방으로 회동하면서, 상기 캐비티(101)의 내부 및 음식물 안착부(130)는 차폐되게 된다.A door handle 121 is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door 12 to be gripped by a user when the door 12 is used. That is,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door 12, the door handle 121 is moved upward or downward. When the door handle 121 is moved upward, the door 12 is pivoted upward about the pivoting engagement portion. The interior of the cavity 101 and the food receiving portion 130 are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the door 12 is rotated upward. Conversely, when the door handle 121 is moved downward, the door 12 is pivoted downward about the pivoting engagement portion. As the door 12 rotates downward, the interior of the cavity 101 and the food seat part 130 are shielded.

또한, 상기 도어(12)는 상기 캐비티(101)와 대응되도록 반구의 일부를 이루는 형상이므로, 상기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캐비티(10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더 정확하게는, 상기 도어(12)는 상기 캐비티(101)의 내면이 이루는 반구의 직경 미만에 해당하는 직경을 가지는 반구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2)가 닫힌 상태로부터 상기 도어(12)가 열리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12)의 후측부로부터 점차적으로 상기 캐비티(101)의 내부로 수용되게 된다. The door 12 is formed to form a part of the hemispherical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cavity 101. The door 12 can be accommodated in the cavity 101 when the door 12 is closed. More precisely, the door 12 is formed to form a part of a hemisphere having a diameter less than the diameter of the hemisphere form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cavity 101. Accordingly, the door 12 is gradually received from the rear side of the door 12 into the cavity 101 in the process of opening the door 12 from the closed state.

또한, 상기 도어 손잡이(121)는 상기 캐비티(101)의 내면이 이루는 반구를 관통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상기 도어(12)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2)의 손잡이(121)가 상기 캐비티(101)의 상측 전단부에 이르면, 상기 도어(12)의 손잡이(121)와 상기 캐비티(101)의 상측 전단부의 간섭에 의하여 상기 도어(12)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 door handle 121 protrudes outward from the door 12 to a length sufficient to penetrate a hemisphere formed by an inner surface of the cavity 101. When the handle 121 of the door 12 reaches the front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cavity 101,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handle 121 of the door 12 and the upper front end of the cavity 101, (12) is kept open.

반대로, 상기 도어(12)가 열린 상태로부터 상기 도어(12)가 닫히는 과정에서는, 상기 도어(12)는 상기 캐비티(101)의 내부로부터 점차적으로 인출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손잡이(121)가 상기 베이스부(13)의 상면에 접하게 되면, 더 이상 전방으로 회동할 수 없고, 상기 도어(12)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Conversely, in the process of closing the door 12 from the opened state of the door 12, the door 12 is gradually drawn out from the inside of the cavity 101. When the door handle 121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ortion 13, the door 12 can not be rotated forward any more, and the door 12 is kept closed.

한편, 상기 도어(12)는 상기 캐비티(101)에 구비되는 슬롯을 따라 상기 캐비티 내부로 수용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보다 상세히, 상기 캐비티(101)의 상면보다 더 작은 반경으로 형성되는 슬롯부가, 상기 캐비티(101)와의 사이에 상기 도어(12)의 두께 이상에 해당하는 틈을 가지도록 상기 캐비티(101)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티(101)와 상기 슬롯부 사이에 형성되는 틈을 따라 이동하면서 열리고 닫힐 수 있다.Meanwhile, the door 12 may be accommodated in the cavity along a slot of the cavity 101. More specifically, a slot formed with a radius small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01 is formed inside the cavity 101 so as to have a gap between the cavity 101 and the cavity 101, . The door can be opened and closed while moving along a gap formed between the cavity 101 and the slot portion.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조리기기(1)는 상기 조리실(100)에 수용되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을 포함한다. 상기 가열원은, 상기 캐비티(101)의 상방에 위치되는 상부 히터(142)와, 상기 캐비티(101)의 하방 즉, 상기 음식물 안착부(130)의 하방에 위치되는 하부 히터(141)를 포함한다. 3, the cooking appliance 1 includes a heating source for heating the foodstuff contained in the cooking chamber 100. As shown in FIG. The heating source includes an upper heater 142 positioned above the cavity 101 and a lower heater 141 positioned below the cavity 101 or below the food seating portion 130 do.

더욱 상세히, 상기 상부 히터(142)는 상기 음식물 안착부(130)에 안착되는 음식물을 기준으로 상방에 해당하는 지점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도어(12)가 열리고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12)와 간섭되지 않는 지점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101)의 상방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히터(142)는 상기 조리실(100)이 차폐된 상태에서만 상기 조리실(100)의 내부로 노출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조리실(100)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조리실(100)과 상부 히터(142) 사이에 상기 도어(12)가 위치된다. 물론, 이때 상기 상부 히터(142)와 상기 조리실(100)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101)에는, 상기 상부 히터(142)에서 발생되는 열이 복사 방식으로 음식물에 전달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거나 내열 글래스 등이 구비될 수도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upper heater 142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n upper portion of the food placed on the food seat 130. In addition, the door 12 is located above the cavity 101 at a position where the door 12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oor 12 when the door 12 is opened and closed. Therefore, the upper heater 142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100 only when the cooking chamber 100 is shield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cooking chamber 100 is opened, the door 12 is positioned between the cooking chamber 100 and the upper heater 142. Of course, a hole is formed in the cavity 101 between the upper heater 142 and the cooking chamber 100 so that the heat generated in the upper heater 142 can be transferred to the food by a radiation method. Or a heat resistant glass may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상부 히터(142)는 상기 캐비티(101)의 상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티(101)의 상면이 이루는 반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도 있다.The upper heater 142 may be dispose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01. That is, the cavity 101 may be dispo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hemisphere form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01.

또한, 상기 하부 히터(141)는 상기 음식물 안착부(130)에 안착되는 음식물을 기준으로 하방에 해당하는 지점에 위치된다. 즉, 적어도 상기 음식물 안착부(130)보다 하방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하부 히터(141)도, 상기 음식물 안착부(13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음식물 안착부(130)가 이루는 원반 형상과 평행한 평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heater 141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food placed on the food stall 130. That is, at least below the food seated part 130. At this time, the lower heater 141 may also be dispos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ood receiving part 130. That is, it may be disposed along a plane parallel to the shape of the disk formed by the food stall part 130.

여기서, 상기 가열원은 다양한 종류의 히터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가열원은 시즈 히터, 할로겐 히터, 카본 히터와 같은 복사 히터가 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하부 히터(141)는 상기 복사 히터 또는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조리물을 유도 가열하는 유도가열식 히터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상부 히터(142) 및 하부 히터(141)는 서로 다른 종류의 히터로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히터(142) 및 하부 히터(141) 각각은, 다수개의 히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가열원은 상기 상부 히터(142) 및 하부 히터(141) 뿐만 아니라, 상기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차폐식 조리실(100)의 공기를 가열 대류시키기 위한 컨벡션히터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Here, the heating source may be various kinds of heaters. For example, the heating source may be a radiant heater such as a sieve heater, a halogen heater, or a carbon heater. In particular, the lower heater 141 may be an induction heating type heater for induction heating the food using the radiation heater or the electromagnetic field. The upper heater 142 and the lower heater 141 may be provided with different kinds of heaters. Each of the upper heater 142 and the lower heater 141 may include a plurality of heaters. The heating source may further include not only the upper heater 142 and the lower heater 141 but also a convection heater for heating and convecting air in the shielded cooking chamber 100 in a state where the door 12 is closed It is possible.

한편, 상기 조리기기(1)는, 상기 음식물 안착부(130)에 안착된 음식물의 조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 및 가스를 흡입 및 배출할 수 있는 배기유로(미도시)와 배기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생선 구이 등과 같이 조리 과정에서 연기 및 배기가스가 비교적 많이 발생되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경우에, 상기 연기 및 배기가스가 즉각적으로 흡입 및 배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더욱 쾌적 한 환경에서 조리 작업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cooking device 1 includes an exhaust passage (not shown) and an exhaust fan (not shown) that can suck and discharge the smoke and gas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of the food placed on the food seating portion 130, . ≪ / RTI > In such a case, when cooking foods such as fish grilled or the like, in which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smoke and exhaust gas are generated during the cooking process, the smoke and the exhaust gas can be immediately sucked and discharged, There is an advantage to work.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조리기기(1)는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7)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7)는, 상기 입력부(111)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전송받고, 상기 출력부(112)를 통하여 다양한 정보가 출력되며, 상기 가열원(141,142)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조리기기(1)는 작동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18)를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부(18)에는, 예를 들면 음식물의 조리를 위하여 요구되는 가열 온도 및 시간 등의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cooking apparatus 1 includes a control unit 17 for controlling operation. The control unit 17 receives a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1 and outputs various information through the output unit 112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eating sources 141 and 142. The cooking apparatus 1 includes a memory unit 18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operation. In the memory unit 18, various information such as a heating temperature and a time required for cooking food, for example, can be stored.

또한, 상기 입력부(111), 출력부(112), 가열원(141,142), 제어부(17) 및 메모리부(18)는, 제어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input unit 111, the output unit 112, the heating sources 141 and 142, the control unit 17, and the memory unit 18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exchange control signal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control method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의 제1실시예를 보인 플로차트이다.5 is a flow chart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1)의 작동이 시작되면, 먼저,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된다.(S11) 이때, 상기 작동모드는, 상기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되는 차폐 조리 모드와, 상기 도어(12)가 열린 상태에서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되는 개방 조리 모드를 포함한다. 즉, 사용자는, 예를 들어, 찜, 제빵 등과 같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를 요하는 경우에는 상기 차폐 조리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생선구이, 계 란프라이 등과 같이 개방된 상태에서 조리를 요하는 경우에는 상기 개방 조리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5, when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aratus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arted, a signal for selecting the operation mode is input by the user (S11). At this time, 12 are closed, and an open cooking mode in which the food is cooked while the door 12 is opened. That is, the user can select the shielded cooking mode when cooking is required in a shielded state such as steam cooking, baking,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user can select the shielded cooking mode in the open state such as fish grill, The open cooking mode can be selected.

이때, 사용자는 상기 차폐 조리 모드를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도어(12)를 닫아야 하고, 상기 개방 조리 모드를 선택하였을 경우에는 상기 도어(12)를 열어야 한다. 물론, 사용자가 상기 도어(12)를 열거나 닫는 과정은 상기 작동모드를 선택하는 단계 전후에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사용 상의 안전을 위해서는, 상기 작동모드 선택 단계 이전에 상기 도어(12)를 열거나 닫는 과정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user must close the door 12 when the user selects the shielded cooking mode, and open the door 12 when the open cooking mode is selected. Of course, the process of opening or closing the door 12 by the user may be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operation mode is selected. However, in order to ensure safety in use, it is preferable that the door 12 is opened or closed before the operation mode selection step.

한편, 상기 입력부(111)를 통하여 상기 작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된 후에, 상기 제어부(17)는 상기 입력부(111)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가 상기 차폐 조리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2) 상기 입력부(111)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가 상기 차폐 조리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7)는 상기 상부 히터(142) 및 하부 히터(141)가 동시에 작동되도록 제어한다.(S13) After the signal for selecting the operation mode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1, the control unit 17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1 is a signal for selecting the shielded cooking mode (S12) When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111 is a signal for selecting the shielded cooking mode, the controller 17 controls the upper heater 142 and the lower heater 141 to operate simultaneously (S13)

그러나, 상기 입력부(111)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가 상기 차폐 조리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7)는 상기 하부 히터(141)만 작동하도록 제어한다.(S14)However, if the signal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111 is not a signal for selecting the shielded cooking mode, the control unit 17 controls only the lower heater 141 to operate. (S14)

그리고, 상기 입력부(111)를 통한 상기 조리기기(1)의 작동을 종료하기 위한 신호의 입력 또는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조리기기(1)의 작동이 종료된다. When the input of the signal for terminating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1 through the input unit 111 or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1 is terminated.

상기 조리기기(1)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요리의 종류에 따라 적합한 조리 방식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예를 들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도어(12)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차폐 조리 모드를 선택하여 조리를 수행하고, 개방된 상태에서 조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도어(12)를 열어 놓은 상태에서 상기 개방 조리 모드를 선택하여 조리를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oking apparatus 1,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uitable cooking method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type of cooking desired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cooking is required in a shielded state, the shielded cooking mode is selected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12 is closed, and when cooking is required in the open state, the door 12 is opened The cooking mode can be selected by selecting the open cooking mode.

또한, 각 조리방식에 따라 적합한 가열원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조리기기(1)가 상기 차폐 조리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오븐과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하여, 상부 히터(142) 및 하부 히터(141)가 모두 작동하여 음식물을 전체적으로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기기(1)가 상기 개방 조리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탑 버너와 같은 효과를 얻기 위하여, 하부 히터(141)만 작동하여 음식물을 하방으로부터 가열하게 된다. 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uitable heating source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each cooking method. More specifically, when the cooking appliance 1 operates in the shielded cooking mode, both the upper heater 142 and the lower heater 141 are operated to heat the food as a whole in order to obtain the same effect as the oven. When the cooking appliance 1 operates in the open cooking mode, only the lower heater 141 operates to heat the food from below in order to obtain the same effect as the top burner.

더불어, 상기 도어(12)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음식물 안착부(130)의 전단이 상기 캐비티(101)의 상면 전단에 비하여 더욱 전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개방 조리 모드에서 사용자가 상기 음식물 안착부(130)에 안착된 음식물에 양념, 재료 첨가와 같은 조리 작업을 수행하기가 더욱 용이하다. 한편, 상기 음식물 안착부(130) 없이, 상기 캐비티(101)의 바닥면에 음식물이 안착되는 경우에도 상기 캐비티(101)의 전단이 상기 캐비티(101)의 상면에 비하여 전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사용자의 조리 작업이 더욱 용이해질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ront end of the food seated part 130 is located further forward than the front end of the cavity 101 in the open state of the door 12, in the open cooking mode, It is easier to perform a cooking operation such as addition of seasoning and ingredients to the food placed on the dish 130. Even if the food is sea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avity 101 without the food seated part 130, the front end of the cavity 101 may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avity 101 Therefore, the cooking operation of the user as described above can be further facilita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도어의 개예 상태 가 적절하지 않은 경우에는 경고를 출력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embodiment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a warning is output when the door open state of the door is not appropriate.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의 제어 신호 흐름을 보인 제어 구성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의 제2실시예를 보인 플로차트이다.FIG. 6 is a control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ontrol signal flow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flowchart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ntrol method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는, 도어(12)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개폐감지부(29)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개폐감지부(29)에서 감지된 도어(12)의 개폐 여부를 의미하는 신호는 제어부(27)로 전송된다. 즉, 상기 제어부(27)는, 입력부(211), 출력부(212), 가열원(241,242), 메모리부(28)와 더불어 상기 도어개폐감지부(29)와도 제어 신호가 전송 가능하도록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6 and 7, the cooking apparatus 1 further includes a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29 for detecting whether the door 12 is open or closed. A signal indicating whether the door 12 is opened or closed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7, which is detected by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29. That is, the control unit 27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oor open / close detection unit 29 in addition to the input unit 211, the output unit 212, the heating sources 241 and 242, the memory unit 28, Lt; / RTI >

이때, 상기 도어개폐감지부(29)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어(12)의 전단부와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상기 베이스부(13)의 일측에 설치되는 근접센서가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근접센서에 의하여 상기 도어(12)의 전단부가 상기 근접센서에 인접하고 있음이 감지되고, 상기 도어(12)가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근접센서에 의하여 상기 도어(12)의 전단부가 상기 근접센서로부터 이격되어 있음이 감지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2)의 전단부가 상기 근접센서에 인접하고 있음을 의미하는 신호가 상기 제어부(27)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7)는 상기 도어(12)가 닫힌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도어(12)의 전단부가 상기 근접센서로부터 이격되어 있음을 의미하는 신호가 상기 제어부(27)로 전달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7)는 상기 도 어(12)가 열린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oor opening / closing detector 29 may be provided in various ways. For example, it may be a proximity sensor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base portion 13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door 12. In this case, when the door 12 is closed, it is detected by the proximity sensor that the front end of the door 12 is adjacent to the proximity sensor. When the door 12 is open, It can be sensed that the front end of the door 12 is separated from the proximity sensor. That is, when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front end of the door 12 is adjacent to the proximity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7, the controller 27 determines that the door 12 is closed If the signal indicating that the front end of the door 12 is separated from the proximity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7, the control unit 27 determines that the door 12 is in the open state .

한편, 상기 조리기기(1)의 작동이 시작되면, 작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된다.(S21) 상기 작동모드는, 상기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조리가 수행되는 차폐 조리 모드와, 상기 도어(12)가 열린 상태에서 조리가 수행되는 개방 조리 모드를 포함한다.When the operation of the cooking appliance 1 is started, a signal for selecting the operation mode is input. (S21) The operation mode includes a shielded cooking mode in which cooking is performed while the door 12 is closed And an open cooking mode in which cooking is performed in a state that the door 12 is opened.

상기 작동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27)는 상기 입력부(211)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가 차폐 조리 모드를 선택한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2) 그리고, 상기 차폐 조리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7)는 상기 도어개폐감지부(29)를 통하여 상기 도어(12)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S23), 상기 도어(12)가 닫힌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4)When a signal for selecting the operation mode is input, the controller 27 determines whether the signal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211 is a signal selected for the shielded cooking mode (S22). Then, the shielded cooking mode The controller 27 detects whether the door 12 is opened or closed through the door open / close detection unit 29 (S23), and determines whether the door 12 is closed. (S24)

상기 도어(12)가 닫힌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7)는 상기 상부 히터 및 하부 히터가 동시에 작동되도록 제어한다.(S25) 그러나, 상기 도어(12)가 열린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7)는 상기 출력부(212)를 통하여 경고 신호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26) 이때, 상기 출력부(212)를 통한 경고 신호는, 상기 스피커부를 통한 음성, 음향과 같은 청각적 경고 신호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문자, 기호와 같은 시각적 경고 신호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When the door 12 is in the closed state, the controller 27 controls the upper heater and the lower heater to operate simultaneously. (S25) However, when the door 12 is opened, The control unit 27 controls the output unit 212 to output an alarm signal through the output unit 212. At this time, the alarm signal through the output unit 212 may be an audible warning signal And a visual warning signal such as a character or a symbol through the display unit.

상기 경고 신호가 출력된 후에는, 상기 도어(12)가 닫힐 때까지 상기 도어(12) 개폐여부를 감지하고 판단한 후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이 계속해서 반복 수행된다.(S23,S24,S26) After the warning signal is output, the process of detecting whether the door 12 is open or closed until the door 12 is closed, and then outputting a warning signal is repeatedly performed (S23, S24, S26)

한편, 상기 입력부(211)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가 상기 차폐 조리 모드를 선 택하는 신호가 아닌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7)는 상기 도어개폐감지부(29)를 통하여 상기 도어(12)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S27), 상기 도어(12)의 열린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8)If the signal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211 is not a signal for selecting the shielded cooking mode, the controller 27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12 through the door opening / (S27), and determines whether the door 12 is in the open state (S28)

상기 도어(12)가 열린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7)는 상기 하부 히터만 작동되도록 제어한다.(S29) 그러나, 상기 도어(12)가 닫힌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7)는 상기 출력부(212)를 통하여 경고 신호를 출력되도록 제어한다.(S30) The control unit 27 controls the lower heater to operate only when the door 12 is opened in step S29. However, if the door 12 is closed, And controls to output an alarm signal through the output unit 212. (S30)

그리고, 상기 경고 신호가 출력된 후에는, 상기 도어(12)가 열릴 때까지 상기 도어(12) 개폐여부를 감지하고 판단한 후 상기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이 계속해서 반복 수행된다.(S27,S28,S30)After the warning signal is output, the process of detecting whether the door 12 is opened or closed until the door 12 is opened and then outputting the warning signal is repeatedly performed (S27, S28 , S30)

한편, 상기 상부 히터 및 하부 히터가 함께 작동되거나, 상기 하부 히터만이 작동된 후, 상기 입력부(211)를 통하여 작동 종료를 위한 신호의 입력되거나 기설정된 시간을 경과한 경우에는, 상기 조리기기(1)의 작동이 종료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pper heater and the lower heater are operated together or only the lower heater is operated and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a signal for termination of operation is inputted through the input unit 211, 1 is terminated.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조리기기(1)를 더욱 안전하고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사용자가 상기 도어(12)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차폐 조리 모드를 선택하거나, 상기 도어(1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개방 조리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즉, 상기 도어(12)의 개폐 상태와 상기 작동모드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식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열원(241,242)에 의한 사용자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의도하는 조리 방식이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user can use the cooking appliance 1 more safely and accurately. When the user selects the shielded cooking mode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12 is opened or selects the open cooking mode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12 is closed, It is possible to output a warning signal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the warning signal. Therefore, the use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injured by the heating sources 241 and 242, and the cooking method intended by the user can be accurately performed.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other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in light of the above teaching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on the basis of the appended claims will be.

예를 들면, 상기 도어(12)를 개폐하기 위한 구동모터가 더 구비되고, 상기 도어(12)의 개폐 상태와 상기 작동모드가 부적합한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27)는 상기 도어(12)가 작동모드와 적합한 상태로 자동적으로 닫고 열리도록 제어하는 방법도 가능하다.For example, when the door 12 is opened and closed and the operation mode is unsuitable, the controller 27 controls the door 12 to be operated It is also possible to control the mode to be automatically closed and opened in an appropriate state.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of a first embodiment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ned state;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도어가 닫힌 상태를 보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or of a first embodiment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closed state;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가열원을 보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eating source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제어 신호 흐름을 보인 제어 구성도.FIG. 4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ignal flow in the first embodiment of a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의 제1실시예를 보인 플로차트.5 is a flowchart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의 제어 신호 흐름을 보인 제어 구성도.FIG. 6 is a control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signal flow in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o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어방법의 제2실시예를 보인 플로차트.FIG. 7 is a flowchart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coo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Claims (12)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 A cavity provided with a cooking chamber in which food is cooked; 상기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A door selectively opening and closing the cooking chamber; 서로 다른 종류의 히터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리실에서의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열을 제공하는 제1 및 제2가열원; 을 포함하고,First and second heating sources which are made up of different kinds of heaters and which provide heat for cooking food in the cooking chamber; / RTI >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가열원이 함께 작동하여 상기 조리실에서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될 수 있는 차폐 조리 모드 및 A shielded cooking mod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heating sources are operated together in a state that the door is closed so that the food can be cooked in the cooking chamber,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가열원이 작동하지 않고, 상기 제2가열원이 작동하여 상기 조리실에서의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되는 개방 조리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조리 모드로 선택적으로 작동되는 조리기기.Wherein the first heating source is not operated in a state that the door is open and the second heating source is operated to perform cooking of food in the cooking chamber,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은 상기 조리실의 천장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전방으로 연장되는 조리기기.Wherein a bottom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extends forward relative to a ceiling surface of the cooking cham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가열원은, 상기 조리실의 상방에 위치되는 상부 히터이고, The first heating source is an upper heater positioned above the cooking chamber, 상기 제2가열원은, 상기 조리실의 하방에 위치되는 하부 히터인 조리기기.And the second heating source is a lower heater positioned below the cooking chamb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도어의 여닫힘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And a sensing unit for sensing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제 4 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개방 조리 모드 또는 차폐 조리 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 및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signal for selecting the open cooking mode or the shielded cooking mode; And 상기 개방 조리 모드 및 차폐 조리 모드에 관한 정보 또는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더 포함하고, An output unit for outputting information or signals relating to the open cooking mode and the shielded cooking mode; Further comprising: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상기 도어가 닫힌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개방조리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거나, 상기 감지부에 의하여 상기 도어가 열린 것으로 감지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가 상기 차폐조리모드를 선택하는 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출력부가 이를 경고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조리기기.Wherein the input unit receives a signal for selecting the open cooking mode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detected to be closed by the sensing unit, or in a state where the door is detected as being opened by the sensing unit, Wherein the output unit outputs a signal to warn the us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조리실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티의 내부로 수용되는 조리기기.Wherein the door is housed in the cavity when the cooking chamber is open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가열원은, 상기 조리실의 상방에 위치되는 상부 히터이고, The first heating source is an upper heater positioned above the cooking chamber, 상기 제1가열원은 상기 조리실이 차폐된 상태에서만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노출되는 조리기기.Wherein the first heating source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cooking chamber only when the cooking chamber is shielded. 제 7 항에 있어서, 8. The method of claim 7, 상기 조리실이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조리실과 상부히터 사이에 상기 도어가 위치되는 조리기기.Wherein the door is positioned between the cooking chamber and the upper heater when the cooking chamber is opened. 개방된 상태의 조리실의 내부에서 조리물의 조리가 수행되는 개방 조리 모드 및 차폐된 상태의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서 조리물의 조리가 수행되는 차폐 조리 모드 중 어느 하나를 택일적으로 선택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A signal for selectively selecting any one of an open cooking mode in which cooking of the food is performed in the open state of the cooking chamber and a shielded cooking mode in which cooking of the food is performed inside the cooking chamber in a shielded state step; And 입력부가 입력받은 신호에 따라서, 개방 조리 모드 또는 차폐 조리 모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And performing an open cooking mode or a shielded cooking mode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by the input unit, 상기 입력부가 입력받은 신호가 개방 조리 모드에 관한 신호인 경우,When the input signal is a signal related to the open cooking mode, 상기 조리실의 상방에 위치하는 상부 히터와, 상기 조리실 하측에 위치되는 하부 히터 중 상기 하부 히터만 작동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Wherein the upper heater located above the cooking chamber and the lower heater positioned below the cooking chamber operate only the lower heater. 삭제delete 제 9 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입력부가 입력받은 신호가 차폐 조리 모드에 관한 신호인 경우,If the input signal is a signal related to the shielded cooking mode, 상기 상부 히터와 하부 히터가 함께 작동할 수 있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Wherein the upper heater and the lower heater can operate together. 제 9 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조리실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및Sensing whether the cooking chamber is open or closed; And 상기 조리실이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개방 조리 모드가 선택되거나, 상기 조리실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차폐 조리 모드가 선택되면,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의 제어방법.Outputting a warning signal when the open cooking mode is selected in a state where the cooking chamber is shielded or when the shielded cooking mode is selected in a state where the cooking chamber is opened;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KR1020090065775A 2009-07-20 2009-07-20 A cook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5906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775A KR101590639B1 (en) 2009-07-20 2009-07-20 A cook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5775A KR101590639B1 (en) 2009-07-20 2009-07-20 A cook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423A KR20110008423A (en) 2011-01-27
KR101590639B1 true KR101590639B1 (en) 2016-02-01

Family

ID=43614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5775A KR101590639B1 (en) 2009-07-20 2009-07-20 A cook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063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6463A1 (en) * 2022-01-14 2023-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WO2023136656A1 (en) * 2022-01-14 2023-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4511A (en) 2017-03-13 2018-09-21 엘지전자 주식회사 Air conditioner
EP3681250B1 (en) 2019-01-11 2021-08-18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EP3680555B1 (en) 2019-01-11 2022-08-10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KR102572684B1 (en) * 2019-01-11 2023-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US20220090794A1 (en) * 2019-01-11 2022-03-24 Lg Electronics Inc. Cooking appliance
KR102344414B1 (en) * 2019-01-11 2021-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KR20230110082A (en) * 2022-01-14 2023-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327A (en) * 1998-09-25 2000-04-04 Toshiba Tec Corp Heat-cook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981Y2 (en) * 1991-04-01 1995-06-21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Electric roaster
JPH09206218A (en) * 1996-01-31 1997-08-12 Sanyo Electric Co Ltd Broiler
KR200450168Y1 (en) * 2007-12-11 2010-09-08 권혁 A Double Sided Electronic Gril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3327A (en) * 1998-09-25 2000-04-04 Toshiba Tec Corp Heat-cook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6463A1 (en) * 2022-01-14 2023-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liance
WO2023136656A1 (en) * 2022-01-14 2023-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Cook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8423A (en)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0639B1 (en) A cooker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230038969A1 (en) Cook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A2730380A1 (en) Cooking appliance and method of cooking a food item
JP2007214083A (en) Heating cooker
KR102017041B1 (en) Temperat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Grill
JP2010033981A (en) Induction heating cooker
US7005614B2 (en) Cooking apparatus equipped with heater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8057801A (en) Heating cooker
JP2024010154A (en) heating cooker
US11140754B2 (en) Cooking apparatus
JP2007051806A (en) Heating cooker
JP2015224821A (en) Range hood
KR101623975B1 (en) Cooking appliance
JP6986484B2 (en) Information notification system for cooking utensils
JP7314875B2 (en) electrical equipment, cooker
JP2009213685A (en) Cooker
KR102437040B1 (en) Double-sided induction range system
JP5785974B2 (en) Cooker
JP2019146754A (en) grill
KR101623982B1 (en) Cooker
KR101901937B1 (en) Cocking apparatus
JP2023147608A (en) Heating cooker and heating cooking system
JP2023076146A (en) Heating cooker and heating cooking system
JP2023076145A (en) Heating cooker and heating cooking system
JP2004242882A (en) Gril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