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117B1 - Data input method based on visual contents - Google Patents

Data input method based on visual con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117B1
KR101570117B1 KR1020140067565A KR20140067565A KR101570117B1 KR 101570117 B1 KR101570117 B1 KR 101570117B1 KR 1020140067565 A KR1020140067565 A KR 1020140067565A KR 20140067565 A KR20140067565 A KR 20140067565A KR 101570117 B1 KR101570117 B1 KR 101570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visual content
input
user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5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승훈
Original Assignee
한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훈 filed Critical 한승훈
Priority to KR1020140067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117B1/en
Priority to PCT/KR2014/007907 priority patent/WO201518686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1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ormation input method based on visual content. The information input method based on visual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displaying the visual content; receiving input of a pixel of the displayed visual content or input of selection of at least one area from unit areas divided according to predetermined criteria; providing an information input interface having a visual expression for receiving input of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pixel or the selected area to the visual content; and receiving the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pixel or the selected area by using the information input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about an object corresponding to one location of the visual content can be efficiently shared between users by generating an information input page based on a location of the visual content as a predetermined location of the visual content is provided with the interface into which information about the location can be input. In addition, when the information is shared, the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in an easier manner by additionally providing summary information about the information to the visual content, and information delivery performance can be increased as the visual content including the information can be shared as one type of information.

Description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Data input method based on visual contents}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sual content-

본 발명은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지세하게는 시각적 콘텐츠의 특정 위치를 선택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sual content-based information input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by providing an interface for selecting a specific position of visual content and inputting information thereon.

컴퓨터와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터넷을 통해 사용자간 정보를 공유하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산업이 크게 발전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SMS를 통한 정보 공유나, PC를 통한 메신저를 통한 정보 공유 방식이 아닌 언제 어디서나 모바일 단말을 통해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있다. With the advancement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he social network service (SNS) industry, which shares information among users via the Internet, has greatly developed. Therefore, information is shared in real time through mobile terminals whenever and wherever, rather than sharing information through SMS or instant messaging through a PC.

즉, 개인이 활동하는 위치, 시간 정보를 이미지나 영상으로 실시간으로 공유하고 이에 대한 반응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제공되는 모바일 메신저나 SNS 서비스의 경우 이미지나 영상에 대한 전체적인 반응 만을 공유할 수 있을 뿐, 시각적 콘텐츠 중 특정 위치에 대한 내용을 지칭하며 정보를 공유할 수는 없다. In other words, the location and time information of an individual can be shared in real time with images or images, and the reaction to the images and images can be confirmed in real time. However, the present mobile messenger or SNS service can only share the overall response to images or images, and can not share information with specific contents of visual contents.

예를 들어 현재의 메신저나 SNS서비스는 공사현장에서 특정부분을 설계도면에 반영시키도록 지시하거나, 온라인 쇼핑몰의 나열된 상품들 중 특정 상품을 지칭하여 실시간으로 정보를 주고 받거나, 웹 지도 상에서의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가게에 대한 정보를 즉각적으로 지인들과 공유하고 함께 이야기하며 그 내용을 저장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제공해 주지는 못하고 있다. For example, the current messenger or SNS service instructs a specific part to be reflected in the design drawing at the construction site, or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in real time referring to a specific product among the listed products of the online shopping mall, It does not provide an online platform that can instantly share information about stores in the store, talk to each other, and store their contents.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온라인 상에서 시각적 콘텐츠에 포함된 특정 위치나 객체에 대해 지인들 간의 즉각적인 정보 공유 및 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isual content-based information input method for enabling immediate information sharing and conversation between acquaintances about specific locations or objects included in visual contents on- .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은 시각적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되는 시각적 콘텐츠의 픽셀 또는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구획된 단위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선택을 입력 받고, 상기 선택된 픽셀 또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시각적 표현을 갖는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상기 시각적 콘텐츠상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픽셀 또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inputting visual content based on information, comprising: displaying visual contents; An information input interface having a selection of at least one of a pixel of the displayed visual content or a unit area divid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and a visual expression fo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pixel or area, Providing on the content; And receiving information on the selected pixel or area using the information input interface.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 앞서서, 상기 시각적 콘텐츠에 대한 시각적 요약 정보를 갖는 사용자 접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접속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시각적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접속을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각적 콘텐츠를 표시 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을 입력한 사용자에게 상기 시각적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oviding a user access interface having visual summary information about the visual content prior to the displaying step; And receiving a connection of a user who wants to share information about the visual content using the user connection interface,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visual content includes displaying the visual content to a user who has input the connection .

상기 선택된 픽셀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기 선택된 다른 픽셀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 선택된 다른 픽셀을 선택된 픽셀로 입력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if another pixel selected previously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exists from the selected pixel, the previously selected other pixel is input to the selected pixel.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은 상기 시각적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단위로 결정된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predetermined criterion is determined in units of objects included in the visual content.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정보를 입력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유형에 따라 달리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information input interface is preferably provided according to a type of a user who inputs the information.

상기 시각적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서로 다른 시각적 콘텐츠를 동시에 표시하고,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상기 시각적 콘텐츠상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시각적 콘텐츠 상에 각각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tep of displaying the visual content simultaneously displays a plurality of different visual content, and the step of providing the information input interface on the visual content is provided on the visual content, respectively.

상기 시각적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시각적 콘텐츠를 표시하고, 상기 시각적 콘텐츠의 특정 픽셀 또는 영역에 대하여 미리 입력된 정보가 있는 경우 미리 입력된 정보가 있음을 상기 시각적 콘텐츠의 특정 픽셀 또는 영역의 위치에 더욱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visual content comprises the step of displaying the visual content and determining that there is pre-input information when there is pre-input information for a specific pixel or area of the visual content, It is preferable to further display it on the screen.

상기 미리 입력된 정보가 있음을 표시하는 것은 상기 미리 입력된 정보의 요약 정보, 유형 또는 개수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display of the pre-input information indicates any one of the summary information, the type or the number of the pre-inputted information.

상기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은, 상기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정보의 공유 범위를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The visual content-based information input method further includes inputting a sharing range of the information from a user who inputs the information.

상기 정보의 공유 범위를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정보의 공유 대상자를 직접 선택하거나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자를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단위로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정보의 공유 범위를 입력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tep of receiving the shared range of the information may include providing an interface for selecting the social network service as a unit for directly selecting a person to be shared with the information or selecting a user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It is preferable to receive the sharing range of the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각적 콘텐츠의 소정 위치에 이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시각적 콘텐츠의 위치 기반으로 정보 입력 페이지를 생성하여 사용자간에 시각적 콘텐츠의 일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interface for inputting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visual contents, an information input page is genera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isual contents, and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corresponding to one position of the visual content Can be efficiently shared.

또한, 정보를 공유함에 있어 정보에 대한 요약 정보를 시각적 콘텐츠 상에 추가로 제공하여 보다 쉽게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정보가 포함된 시각적 콘텐츠 자체를 하나의 정보로 공유가 가능하므로 정보전달력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n sharing information, summary information of information can be further provided on the visual contents, so that information can be more easily recognized. Since the visual contents containing information can be shared as one informa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에서 시각적 콘텐츠를 표시하는 사용자 단말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에서 시각적 콘텐츠를 표시하는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에서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에서 콘텐츠의 공유 방법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에서 사용자 접속 인터페이스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sual content-based information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inputting visual content based 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user terminal displaying visual content in a visual content-based information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displaying visual contents in a visual content-based information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A to 7D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formation input interface in a visual content-based information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and 8B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tent sharing method in a visual content-based information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access interface in a visual content-based information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following merely illustrates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devise various apparatuses which, although not explicitly described or shown herein, embody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and are included in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all conditional terms and examples recited in this specification are, in principle, expressly intended for the purpose of enabling the inventive concept to be understood, and are not intended to be limiting as to such specially recited embodiments and conditions .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nnecessarily blurred.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visual content-based information input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은 시각적 콘텐츠 표시 단계(S100),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S200), 정보 입력 단계(S30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visual content-based information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visual content display step S100, an information input interface providing step S200, and an information input step S300.

본 실시예에서 시각적 콘텐츠 표시 단계(S100)는 사용자의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시각적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visual content display step S100 displays the visual content to the user via the display unit 110 of the terminal 100 of the user.

이때의 표시되는 시각적 콘텐츠는 사용자 단말(100) 내부의 메모리상에 저장된 콘텐츠거나 또는 다른 사용자의 단말(100)이나 웹 서버로부터 전송 받은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The displayed visual content at this time may be a content stored in the memory inside the user terminal 100 or a content received from the terminal 100 or the web server of another user.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각적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예시하는 도로서, 본 실시예에서 시각적 콘텐츠는 이미지 뿐만 아니라 영상이나, 이미지가 결합되어 생성된 움직이는 이미지, 또는 이미지와 영상 등의 복수의 콘텐츠가 결합된 것일 수도 있으며, 음성 콘텐츠의 경우 재생 시간을 통해 시각화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는 경우 이러한 시각화된 음성 콘텐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FIG. 3 illustrates display of visual con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the visual content includes not only an image but also a moving image,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contents such as an image and an image. In the case of the audio content, the visualized audio content may also be included if the user can visualize the audio content through the reproduction time and display it to the user.

또한 텍스트 콘텐츠의 경우 온라인 북과 같이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표시가 가능하므로 포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ext contents can be displayed because they can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like an online book.

즉, 본 실시예에서 시각적 콘텐츠는 기타 다른 방식에 의해 시각적으로 표시 가능한 모든 콘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시각적 콘텐츠로 이미지를 대표하여 설명한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visual content may include any content that can be visually displayed by other methods. 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image is represented by visual content.

즉, 도 3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시각적 콘텐츠 표시 단계(S100)는 사용자의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110)를 통해 시각적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표시한다.That is, as shown in FIG. 3, the visual content display step S100 in the present embodiment displays the visual content to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unit 110 of the user terminal 100. FIG.

도 3에서는 이미지로서 웹 지도를 예시하고 있으며, 이미지는 웹 지도외에 다양한 유형의 이미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서는 전체화면으로 이미지가 표시 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화면의 일부에 표시되는 것도 가능하다. In Fig. 3, a web map is illustrated as an image, and various types of images other than a web map can be used as an image. In addition, although FIG. 3 illustrates that an image is displayed on a full screen, it may be displayed on a part of the screen in some cases.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은 시각적 콘텐츠 표시 단계(S100)에 앞서서, 사용자 접속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S10)와 사용자 접속 입력 단계(S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2, the visual content-based information input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user access interface providing step (S10) and a user access inputting step (S20) prior to displaying the visual content (S100) .

사용자 접속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S10)는 시각적 콘텐츠에 대한 시각적 요약 정보를 갖는 사용자 접속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접속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S10)는 사용자가 시각적 콘텐츠에 대한 접속을 입력하기 위하여 현재 어떠한 시각적 콘텐츠가 SNS나 메신저 상에서 공유되고 있는 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관심 있는 시각적 콘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접속 입력 단계(S20)는 본 시각적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접속을 입력 받게 된다. Providing a user access interface (SlO) provides a user access interface with visual summary information about the visual content. The user interface providing step S10 may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about what visual content is currently shared on the SNS or messenger to enter a connection to the visual content, The user connection input step S20 receives the user's connection to the visual content.

즉,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사용자 접속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메신저나 문자 메시지의 대화 목록 창과 같이 시각적 콘텐츠를 단위로 리스트 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때 시각적 콘텐츠에 대한 시각적 요약 정보를 함께 표시하여 보다 사용자가 효율적으로 시각적 콘텐츠에 대한 내용을 미리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9, the user access interface pro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a list of visual contents, for example, a messenger or a chat list window of a text message. In this case, the visual summary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more efficiently grasp the contents of the visual contents in advance.

마찬가지로 접속 입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리스트된 시각적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부(110)를 터치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기타 다른 도구를 통해 시각적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Similarly, the interface for the connection input may be provided by touching the display portion 110 of the user terminal 100 with the listed visual contents, or may be provided to select visual contents through other tools.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시각적 콘텐츠 표시 단계(S100)는 최초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가 단말(100) 내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선택하거나 웹 서버로부터 전송 받아 표시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 이후의 사용자가 생성된 시각적 콘텐츠에 대하여 접속을 하는 경우 이를 서버로부터 또는 최초 사용자의 단말(100)로부터 전송 받아 접속을 입력한 이후의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하는 것일 수도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tep of displaying the visual content (S100) may be such that the user who inputs the initial information selects the content stored in the terminal 100 or receives it from the web server and displays it. In the case of accessing the content, it may be displayed on the user terminal 100 after receiving the connection from the server or the terminal 100 of the first user.

다음,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S200)는 표시되는 시각적 콘텐츠의 픽셀 또는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구획된 단위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의 선택을 입력 받고, 선택된 픽셀 또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시각적 표현을 갖는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시각적 콘텐츠상에 제공한다. Next, referring again to FIG. 1, the step of providing an information input interface (S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ceives a selection of at least one of the pixels of the displayed visual content or the unit area partitio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And provides an information input interface on the visual content having a visual representation for receiving information about pixels or regions.

이때 시각적 콘텐츠의 픽셀이란, 표시되는 시점에서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 상에서의 물리적 위치에 대응되는 시각적 콘텐츠의 특정 부분일 수 있다. 이는 이미지의 이동, 확대 또는 축소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따라서 특정 위치의 픽셀에 대응되는 이미지의 객체도 달라 질 수 있다. Here, the pixel of the visual content may be a specific portion of the visual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physical position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10 at the displayed time. This may vary depending on the movement, enlargement, or reduction of the image, and thus the object of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pixel at the specific position may also be different.

또한, 본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구획된 영역이라는 것은 상술한 픽셀보다는 넓은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픽셀 단위로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 받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입력함에도 사용자의 터치의 정확성 또는 표시되는 객체의 크기에 따라 다른 정보로 인식할 수 도 있으므로, 정보의 정확성이나 제공의 효율을 위해 이미지를 단위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내용과 동일한 목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선택된 픽셀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기 선택된 다른 픽셀이 존재하는 경우 기 선택된 다른 픽셀을 선택된 픽셀로 입력 받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a region divid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means an area wider than the above-described pixels. In the case of receiving information of a user on a pixel basis, substantially the same object is input, Or the size of the object to be displayed. Therefore, it may be possible to divide the image into unit areas for the accuracy of information or efficiency of providing information. Also, for the same purpose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if there is another pixel selected previously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lected pixel,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another selected pixel as the selected pixel.

이때 미리 결정된 기준은 표시되는 이미지의 유형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의 지도(200)의 축척에 따라 표시되는 정보의 양이 결정되는 경우 축척이 높은 경우에 축소율이 작으므로 상대적으로 제공되는 정보의 양이 적을 수 있으며, 따라서 구획된 영역의 크기 역시 커질 수 있다. 반대로 축척이 낮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정보가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구획된 영역의 크기 역시 작아질 수 있다. The predetermined criteria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displayed image. For example, when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display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map 200 of FIG. 4A, since the reduction rate is small when the scale is high, the amount of information to be provided relatively may be small, Can also grow. Conversely, if the scale is low,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information can be provided, and thus the size of the segmented area can also be reduced.

또한, 본 실시예에서 미리 결정된 기준은 객체를 단위로 결정될 수 도 있다. 즉 도 6a을 참조하면, 도 4a와 달리 지도의 일 지점이 아니라 화면상에 표시되는 복수의 물건(모자)중에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하여 단위 영역은 객체(모자)를 기준으로 구획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determined criterion in this embodiment may be determined in units of objects. That is, referring to FIG. 6A, unlike FIG. 4A, in order to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objects (hats) displayed on the screen instead of one point on the map and to share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 ≪ / RTI >

또한 단위 영역의 지정은 사용자가 직접 드래그 하는 것에 의해 결정되는 것도 가능하며,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을 통해 예를 들어 각 픽셀에 대한 색상 값의 변동 등을 통해 동일 객체로 인식하여 자동으로 구획하는 등의 방법이 이용될 수 도 있다.In addition, the designation of the unit area can be determined by dragging directly by the user, and the software algorithm can be used to identify the same object by automatically varying the color value of each pixel, for example, It can also be used.

다음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S200)는 도 4a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도 4a에서 현대 해상 강남 사옥(210)에 해당하는 픽셀이나 현대 해상 강남 사옥(210)을 포함하는 단위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 이를 입력 받고, 이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시각적 표현을 갖는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320)를 도 5a와 같이 제공할 수 있다.4A, a step S200 of providing an information input interfa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xel corresponding to the Hyundai Marine Kangnam office 210 and a unit area including the Hyundai Marine & The information input interface 320 may be provided as shown in FIG. 5A. The information input interface 320 has a visual representation for receiving and inputting information.

즉, 도 5a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예시하는 도로서, 사용자가 도 4a에서 현대 해상 강남 사옥(210)에 해당하는 픽셀이나 단위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 이를 선택했음을 점(310)으로 표시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정보 입력창(320)과 터치 키보드(330)를 화면에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로 표시할 수 있다.That is, FIG. 5A illustrates an information input inte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when the user selects a pixel or a unit area corresponding to the Hyundai Marine & The information input window 320 and the touch keyboard 330 for displaying and inputting information on the screen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by using the information input interface.

따라서, 직관적으로 사용자는 이미지 상의 원하는 객체를 선택했음을 인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정보를 입력함을 인식할 수 있다. Accordingly, intuitively, the user can recognize that he has selected a desired object on the image, and can recognize that he / she inputs information on the selected object.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공되는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픽셀 또는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의 성향에 따라 규칙된 색상 또는 모양을 갖는 라벨(405)들이 리스트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라벨(405)을 드래그를 통해 선택된 픽셀 또는 영역에 붙여 더욱 직관적으로 입력되는 정보의 유형을 표시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4b와 같이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이 포함된 라벨(405)을 이미지(200)의 원하는 위치에 이를 끌어다 놓음으로써 영역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Also, the information input interface pro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can list labels 405 having a regular color or shape according to the user's tendency when the user selects a pixel or an area, and drag the label 405 The interface can be provided so as to display the type of information that is more intuitively input through the selected pixel or area. That is, as shown in FIG. 4B, area selection can be performed by dragging a label 405 including a user's profile photograph to a desired position of the image 200.

이때의 정보 입력인터페이스는 도 5b와 같은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The information input interface at this time can be expressed as shown in FIG. 5B.

또한, 라벨(405)의 경우 도 6a과 같이 상품과 관련되는 시각적 콘텐츠인 경우에는 사용자가 판매자인 경우 판매자로 정의되는 라벨(405)을 통해 해당 상품에 대한 가격 정보나 할인 정보 등을 정보로 입력할 수 도 있으며, 다른 사용자는 라벨(405)을 통해 쉽게 판매자의 정보임을 인식 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the label 405, as shown in FIG. 6A, in the case of visual contents related to a product, price information, discount information, and the like for the product are input as information through a label 405 defined as a seller when the user is a seller And the other user can easily recognize through the label 405 that the information is the seller's information.

반대로 구매자의 경우에는 구매자로 정의되는 라벨(405)을 통해 해당 상품에 대한 문의 정보 등을 입력 할 수 있으며, 판매자는 이를 쉽게 인식하여 답변 정보를 입력 할 수도 있다.Conversely, in the case of a buyer, inquiry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can be inputted through a label 405 defined as a buyer, and the seller can easily recognize the inquiry information and input answer information.

나아가 도 7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라벨(405)은 추가적인 이미지나 정보를 불러 올 수 있는 확장 라벨(437)일 수 도 있다. 즉 확장 라벨(437)을 사용자가 선택하면 도 7c와 같이 새로운 이미지(438)가 표시되고 이에 대하여 도 7d와 같은 인터페이스(320)를 통해 정보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대화를 목적으로 하는 라벨(420)과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확장 라벨(437)의 모양을 달리 하여 직관적으로 입력된 정보의 목적을 알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7B, the label 40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an extension label 437 that can fetch additional images or information. That is, when the user selects the extended label 437, a new image 438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7C, and it is also possible to input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face 320 as shown in FIG. 7D. 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purpose of the intuitively input information may be determined by changing the shape of the label 420 for conversation purpose and the extension label 437 for information transmission purpose.

즉, 본 실시예에서 따른 도 7b의 정보가 입력된 시각적 콘텐츠는 계층적인 구조로 형성되어 하위 계층으로서 상위 계층에 포함되는 시각적 콘텐츠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도 있다. That is, the visual contents inputted with the information of FIG. 7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of a hierarchical structure and a set of visual contents included in an upper layer as a lower layer.

다음으로 정보 입력 단계(S300)는 상술한 예에 따른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선택된 픽셀 또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입력 받는다. Next, the information input step (S300)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pixel or area using the information input interfac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즉 도 5a 또는 5b를 참조하면, 터치 키보드(330)를 통해 정보를 직접 입력 받을 수도 있으며, 별도의 콘텐츠 자체를 링크를 통해 입력 받을 수도 있다. 또한 동영상과 이미지를 입력 받는 경우에는 이를 썸네일이나 미리보기 등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동영상의 경우 이를 동영상 제공 서버나 실행 프로그램을 실행하지 않고 도 6a내지 도 8a의 화면 자체에서 재생될 수 있도록 임베딩할 수도 있다. That is, referring to FIG. 5A or 5B, information may be input directly through the touch keyboard 330, or the separate content itself may be input through a link. When a moving image and an image are received, they can be displayed as a thumbnail or a preview. In the case of a moving image, the moving image can be reproduced on the screen itself as shown in FIGS. 6A to 8A It is possible.

또한, 본 실시예에서 시각적 콘텐츠 표시 단계(S100)는 시각적 콘텐츠를 표시하고, 시각적 콘텐츠의 특정 픽셀 또는 영역에 대하여 미리 입력된 정보가 있는 경우 미리 입력된 정보가 있음을 시각적 콘텐츠의 특정 픽셀 또는 영역의 위치에 더욱 표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isual content display step S100 displays the visual content. If there is information previously input for a specific pixel or area of the visual content, Can be further displayed at a position of

도 6a을 참조하면, 최초 정보 입력자의 요청 메시지 입력(410)에 따라, 다른 사용자 들이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픽셀 또는 단위 영역을 선택하여 정보를 입력한 것을 라벨(405)로 표시해 줄 수 있다.Referring to FIG. 6A, according to a request message input 410 of an initial information inputter, other users may select a pixel or a unit are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object and display the input information as a label 405.

또한, 이때 입력된 정보기 있음을 표시하는 데 있어, 해당 객체에 대한 사용자의 정보의 개수를 "+3"(430)과 같은 숫자로 표시해 줄 수도 있으며, 입력된 정보에 대한 유형으로써 텍스트인지, 음성인지, 동영상 또는 이미지 인지를 미리보기 정보와 함께 표시해 줄 수 도 있다. 즉, 도 6a과 도 7a의 경우와 같이 정보를 입력한 사용자의 프로필 사진이나 아바타와 함께 입력정보(340)를 표시하여 누가 입력했는지를 인식하기 쉽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in displaying the input information, the number of the user's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may be displayed as a number such as "+3" (430) It can also display whether it is a voice recognition, a movie or an image together with preview information. That is, as in the case of FIGS. 6A and 7A, the input information 340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a profile photograph or an avatar of a user who has input information, so that it is easy to recognize who has entered the information.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방법의 경우 다른 사용자의 라벨(405) 표시와 함께 정보 입력의 시간 정보(435)를 표시해 줄 수 도 있다. 즉 1초전, 12초전과 같이 얼마 전에 입력한 것인지를 표시하여 최신 정보가 어떠한 것인지를 사용자가 쉽게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B, in the display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ime information 435 of information input may be displayed together with the label 405 of another user. That is,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what the latest information is, such as 1 second before or 12 seconds before, by indicating whether the user has input the information.

더불어, 최초 정보 입력자는 특정 객체에 대응되는 픽셀 또는 단위 영역을 선택하여 정보를 입력 함에 있어 입력 할 수 있는 정보의 수를 제한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제한된 입력 가능 횟수를 표시 되는 콘텐츠 상에 함께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initial information inputter may limit the number of information that can be input in selecting the pixel or unit area corresponding to a specific object to input information. In such a case,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나아가,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의 경우 입력하는 정보의 공유 범위를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특정한 공유 대상을 지정하거나, 등급에 따라 일정 등급 이상의 사용자에게만 정보가 공유될 수 있도록 지정할 수 도 있다.Further, in the case of a user who inputs information, it is also possible to input a sharing range of information to be input. That is,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ate a specific sharing target, or to specify that the information can be shared only with users having a certain grade or higher according to the rating.

이러한 경우 사용자 각각은 그 등급이나, 자신의 지정 여부에 따라 확인할 수 있는 정보의 양이 달라질 수 있다. In such a case, each user may vary in the amount of information that can be identified based on its rating or its own designation.

그밖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실시예에서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은 복수의 서로 다른 시각적 콘텐츠를 동시에 표시하고,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시각적 콘텐츠상에 제공하는 단계는 시각적 콘텐츠 상에 각각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isual content-based information input method may be provided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different visual contents at the same time and providing an information input interface on the visual contents, respectively.

즉, 건물 인테리서 시공업자의 경우 두 개의 이미지를 통해 전후의 비교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설명하는 것도 가능하고, 특정 위치에 대한 인테리어의 변경을 더욱 직관적으로 설명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a building interiors contractor,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explain the two images through comparison of the front and rear, and it is also possible to intuitively explain the change of the interior of a specific location.

다음, 상술한 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시각적 콘텐츠에 정보가 입력된 것을 그 자체로 검색 또는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Next, it is also possible to search or share the information entered in the generated visual contents by itself in accordance with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즉, 도 7a, 7b에 따라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된 시각적 콘텐츠(도 7b의 경우 하위 계층에 해당하는 정보가 입력된 시각적 콘텐츠도 포함)를 도 8a 또는 도 8b와 같은 하나의 통합 콘텐츠(500)로서 다른 사람에게 이메일, 메신저 등을 통해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other words, the visual content (including the visual content in which th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layer is input in the case of FIG. 7B) into which the user's information is inputted according to FIGS. 7A and 7B is integrated into one integrated content 500 as shown in FIG. 8A or FIG. It is also possible to transmit the message to another person via e-mail, instant messenger, or the like.

또한, 이러한 공유에 있어서 일대 다수로서 공유 대상을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유 대상을 지정함에 있어서 직접 공유 대상을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8a과 같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자를 선택하기 위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단위로 선택(410)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400)를 제공하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정보의 공유 범위를 입력 받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designate a share as a one-to-many in this sharing. In the present embodiment, an interface 400 capable of selecting (410) a social network service as a unit for selecting a user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as shown in FIG. 8A, It is also possible to receive the sharing range of information using the interface.

즉, 도 8a과 같이 다른 SNS매체를 직접 선택(410)하여 해당 매체의 사용자나, 해당 매체에서 등록된 친구를 선택하여 공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공유할 때 별도의 코멘트(420)를 달거나 해시태그와 같이 공유되는 사용자의 정보가 입력된 통합 콘텐츠의 검색 키워드를 함께 입력하여 통합 콘텐츠(500)에 대해서 용이하게 파악하거나 검색할 수 도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8A, another SNS medium may be directly selected (410) to select and share a user of the corresponding medium or a friend registered in the corresponding medium. In addition, a separate comment (420) may be added when sharing, or a search keyword of integrated contents in which information of a shared user such as a hash tag is input may be input together to easily grasp or search the integrated contents (500).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라 통합 콘텐츠(500)가 네트워크 상에서 공유되는 경우 이에 대한 리스트를 보여주는 것으로 통합 콘텐츠(500)의 제목, 포함된 해시태그(#jessica 등), 작성자 및 작성 시간(520)과, 공유의 기준이 된 시각적 콘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9 shows a list of the integrated contents 500 when the integrated contents 500 are shared on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includes a title of the integrated contents 500, a hash tag (#jessica etc.) And creation time 520, and the visual content on which the sharing is based.

이를 통해 사용자는 통합 콘텐츠(500)를 검색하여 정보를 습득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도 2의 사용자 접속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S10)는 시각적 콘텐츠에 대한 시각적 요약 정보를 갖는 사용자 접속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 접속 인터페이스 제공 단계(S10)는 사용자가 시각적 콘텐츠에 대한 접속을 입력하기 위하여 현재 어떠한 시각적 콘텐츠가 SNS나 메신저 상에서 공유되고 있는 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access interface providing step S10 of FIG. 2 provides a user access interface having visual summary information on the visual contents, as described above. do. The user interface providing step S10 may provide the user with information about what visual contents are currently shared on the SNS or messenger to input a connection to the visual content.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각적 콘텐츠의 소정 위치에 이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시각적 콘텐츠의 위치 기반으로 정보 입력 페이지를 생성하여 사용자간에 시각적 콘텐츠의 일 위치에 대응되는 객체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공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n interface for inputting information on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visual content, an information input page is generat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visual content, and information about the object corresponding to one position of the visual content Can be efficiently shared.

또한, 정보를 공유함에 있어 정보에 대한 요약 정보를 시각적 콘텐츠 상에 추가로 제공하여 보다 쉽게 정보를 인식할 수 있으며, 정보가 포함된 시각적 콘텐츠 자체를 하나의 정보로 공유가 가능하므로 정보전달력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n sharing information, summary information of information can be further provided on the visual contents, so that information can be more easily recognized. Since the visual contents containing information can be shared as one information,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substitu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will be.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and not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이미지, 텍스트,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각적 콘텐츠 내 특정 영역에 단말이 코멘트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콘텐츠를 상기 단말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표시되는 시각적 콘텐츠의 픽셀 또는 미리 결정된 기준에 따라 구획된 단위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 대한 선택을 입력 받아 상기 선택된 픽셀 또는 영역을 나타내는 특정 영역을 표시하고, 상기 특정 영역에 코멘트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상기 시각적 콘텐츠상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된 픽셀 또는 영역을 나타내는 특정 영역에 대한 코멘트 정보를 입력 받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코멘트 정보가 포함된 시각적 콘텐츠를 상기 단말이 디스플레이(display)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된 코멘트 정보의 요약 정보, 유형 정보, 개수 정보, 입력한 사용자 정보 및 입력 시간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련 정보를 상기 입력된 코멘트 정보와 함께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
A method for a terminal to input comment information in a specific area in a visual content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image, a text, a voice, and an image,
Displaying the visual content on the terminal;
A selection unit for selecting at least one of a pixel of the displayed visual content or a unit area partitione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riterion to display a specific area representing the selected pixel or area, Providing an information input interface for the visual content on the visual content;
Receiving comment information on a specific region representing the selected pixel or region using the information input interface; And
And displaying the visual content including the input comment information on the terminal,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includes displaying at least one or more pieces of related information among the summary information, the type information, the number information, the inputted user information, and the input time information of the inputted comment information together with the inputted comment information. A content-based information input metho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에 앞서서,
상기 시각적 콘텐츠에 대한 시각적 요약 정보를 갖는 사용자 접속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접속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시각적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접속을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각적 콘텐츠를 표시 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을 입력한 사용자에게 상기 시각적 콘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Prior to the displaying step,
Providing a user access interface having visual summary information about the visual content; And
Further comprising receiving a connection of a user who wants to share information about the visual content using the user access interface,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visual content displays the visual content to a user who has entered the conn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픽셀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기 선택된 다른 픽셀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 선택된 다른 픽셀을 선택된 픽셀로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if the selected pixel is present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elected pixel, the previously selected other pixel is input to the selected pix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결정된 기준은 상기 시각적 콘텐츠에 포함된 객체를 단위로 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redetermined criterion is determined in units of objects included in the visual cont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는 상기 코멘트 정보를 입력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유형에 따라 달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formation input interface is provided according to a type of a user who is to input the comment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는 복수의 서로 다른 시각적 콘텐츠를 동시에 표시하고,
상기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를 상기 시각적 콘텐츠상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시각적 콘텐츠 상에 각각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displaying the visual content comprises simultaneously displaying a plurality of different visual content,
And providing the information input interface on the visual content is provided on the visual conten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콘텐츠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시각적 콘텐츠를 표시하되, 상기 시각적 콘텐츠의 특정 픽셀 또는 영역에 대하여 미리 입력된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미리 입력된 정보가 있음을 나타내는 알림 정보를 상기 시각적 콘텐츠의 특정 픽셀 또는 영역의 위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displaying the visual content comprises:
Displaying the visual content, and when there is information previously input for a specific pixel or area of the visual content, notifi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pre-input information is present is displayed at the position of the specific pixel or area of the visual content Based on the content informa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은,
상기 코멘트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코멘트 정보의 공유 범위를 입력 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isual content-based information input method includ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eceiving a share range of the comment information from a user who inputs the comment information.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코멘트 정보의 공유 범위를 입력 받는 단계는,
상기 코멘트 정보의 공유 대상자를 직접 선택하거나 또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자를 선택하기 위하여 상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단위로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코멘트 정보의 공유 범위를 입력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적 콘텐츠 기반 정보 입력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tep of receiving the sharing range of the comment information comprises:
Providing an interface through which the social network service can be selected as a unit for directly selecting a person to be shared with the comment information or selecting a user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And a sharing range of the comment information is input using the interface.
KR1020140067565A 2014-06-03 2014-06-03 Data input method based on visual contents KR1015701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565A KR101570117B1 (en) 2014-06-03 2014-06-03 Data input method based on visual contents
PCT/KR2014/007907 WO2015186863A1 (en) 2014-06-03 2014-08-26 Method for inputting visual contents-based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565A KR101570117B1 (en) 2014-06-03 2014-06-03 Data input method based on visual conte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117B1 true KR101570117B1 (en) 2015-11-18

Family

ID=54766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565A KR101570117B1 (en) 2014-06-03 2014-06-03 Data input method based on visual content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70117B1 (en)
WO (1) WO2015186863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5489A1 (en) * 2016-02-02 2017-08-10 주식회사 얍컴퍼니 Apparatus and method for annotating visual content
KR20170091878A (en) 2016-02-02 2017-08-10 주식회사 얍컴퍼니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an object in a visual content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95551B2 (en) * 2005-08-18 2012-01-10 Microsoft Corporation Annotating shared contacts with public descriptors
KR100836615B1 (en) * 2006-08-30 2008-06-10 엔에이치엔(주)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contents
US20090100068A1 (en) * 2007-10-15 2009-04-16 Ravi Gauba Digital content Management system
KR20110128567A (en) * 2010-05-24 2011-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objects of user interface and apparatus of enabling the method
WO2012077984A2 (en) * 2010-12-08 2012-06-14 주식회사 라이프사이언스테크놀로지 Method for creating digital content based on a social network, method for sharing the digital content, and digital content creating system and digital content sharing system using sam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5489A1 (en) * 2016-02-02 2017-08-10 주식회사 얍컴퍼니 Apparatus and method for annotating visual content
KR20170091878A (en) 2016-02-02 2017-08-10 주식회사 얍컴퍼니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an object in a visual contents
KR101816057B1 (en) * 2016-02-02 2018-01-30 주식회사 얍컴퍼니 Apparatus and method for annotating a visual cont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86863A1 (en) 2015-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6586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in chatting area and server for managing chatting data
US11243685B2 (en) Client terminal 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acts
US10819768B2 (en) User interaction with desktop environment
US20200133464A1 (en) Interactive icons with embedded functionality used in text messages
US10565268B2 (en) Interactive communication augmented with contextual information
US201200813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using virtual objects
US20110221771A1 (en) Merging of Grouped Markers in An Augmented Reality-Enabled Distribution Network
US11799817B2 (en) Digital communications platform enabling organization and viewing of personal and social contributions on the internet
US20230031740A1 (en) Social media systems and methods and mobile devices therefor
KR101350712B1 (en)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sharing service of online content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US20200410567A1 (en) Information recommendation device,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0489663B (en) Social content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equipment
US20130332808A1 (en) Connecting users of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12269917A (en) Media resource display method, device, equipment, system and storage medium
KR101570117B1 (en) Data input method based on visual contents
JP2023548883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s, devices, terminals and storage media
CN111192102A (en) Commodity objec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10791084B2 (en) Automatic electronic message content ra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859822B1 (en) Posting method of contents and posting apparatus
KR101141303B1 (en) Method of advertising based on location search service and system peforming the same
CN113532463B (en) Distribution navigation system, distribution navigation method, distribution navigation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JP7417798B2 (en) Display method, program, terminal
US20190251647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 estate e-flyer distribution
US20120272168A1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visually representing a relative relevance of content elements to an attractor
CN115510808A (en) Information display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