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886B1 -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886B1
KR101550886B1 KR1020090026619A KR20090026619A KR101550886B1 KR 101550886 B1 KR101550886 B1 KR 101550886B1 KR 1020090026619 A KR1020090026619 A KR 1020090026619A KR 20090026619 A KR20090026619 A KR 20090026619A KR 101550886 B1 KR101550886 B1 KR 101550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image
web
image frame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6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8117A (ko
Inventor
최윤희
최일환
박희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6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886B1/ko
Priority to US12/711,863 priority patent/US8559724B2/en
Publication of KR20100108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8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7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video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4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in video content
    • G06V20/46Extra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from the video content, e.g. video fingerprints, representative shots or key frames
    • G06V20/47Detecting features for summarising video cont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웹 정보 별로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에 관련된 메타 정보,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가 수집되고, 동영상 콘텐츠의 각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 및 각 영상 프레임의 해당 동영상 콘텐츠에서의 위치 정보가 수집된다.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과 매칭되는 영상 프레임을 포함하는 동영상 콘텐츠에서 해당 영상 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위치 정보 및 웹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가 생성 및 제공될 수 있다.
동영상 콘텐츠, 영상 프레임, 웹 정보, 영상 특징 정보, 부가 정보

Description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moving picture contents}
하나 이상의 양상은 콘텐츠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공중파 TV, 케이블 TV, 위성 DMB, 지상파 DMB, IPTV 등을 이용하여 현대인들은 방송 프로그램을 포함한 보다 많은 동영상 콘텐츠를 다양한 단말기를 통해 접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상호간의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양방향 데이터 방송 서비스의 증가로 단순히 동영상 콘텐츠를 시청할 뿐만 아니라, 동영상 콘텐츠 시청중에 출연자가 사용하는 상품에 대한 정보, 또는 출연자가 입고 있는 의상이나 프로그램이 촬영된 장소 등 동영상 콘텐츠 이외의 부가 정보에 대해 궁금해하고 요청하는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다.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보다 자세한 정보를 요구하는 사용자의 요청이 증가함에 따라 동영상 콘텐츠와 이에 맞는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는 매우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다.
웹 정보를 이용한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일 양상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의 부가 정보 생성 장치는,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이 속한 동영상 콘텐츠에서의 해당 영상 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 정보 및 웹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를 생성한다. 부가 정보 생성 장치는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동영상 콘텐츠의 영상 프레임과 동기화하여 영상 프레임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동영상 콘텐츠 부가 정보 생성 장치는 동영상 콘텐츠의 각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 및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를 비교하여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에 매칭하는 영상 프레임을 동영상 콘텐츠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영상 프레임의 동영상 콘텐츠에서의 위치 정보를 결정한다.
부가 정보 생성 장치는 웹 정보로부터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과 관련된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비교할 동영상 콘텐츠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메타 정보는 영상 콘텐츠 식별 정보, 장르 정보, 타이틀 정보 등 다양할 수 있다.
부가 정보는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동영상 콘텐츠에서의 위치 정보와 매핑된 웹 정보 자체일 수 있으며,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동영상 콘텐츠에서의 위치 정보와 매핑된 영상 프레임과 관련된 텍스트로부터 추출되는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생성 장치는 웹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키워드에 대하여 관련된 동영상 콘텐츠의 영상 프레임 검색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부가 정보 생성 장치는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과 관련된 텍스트 정보로부터 각 영상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공통되는 키워드별로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들을 클러스터링할 수 있다. 또한, 부가 정보 생성 장치는, 동일한 키워드에 대하여 클러스터링된 동종의 영상 프레임이 2개 이상인 경우, 동종의 영상 프레임의 개수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부가 정보 생성 장치는 웹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웹 정보를 분석하여 웹 정보별로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컴포넌트; 및 동영상 콘텐츠의 각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 및 동영상 콘텐츠에서 각 영상 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컴포넌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영상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의 부가 정보 생성 방법은, 동영상 콘텐츠의 각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 및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를 비교하여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에 매칭하는 영상 프레임을 동영상 콘텐츠에서 검색한다. 그런 다음, 검색된 영상 프레임의 동영상 콘텐츠에서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 정보 및 웹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동영상 콘텐츠에 대 한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웹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생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 생성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생성 시스템(100)은 웹 정보 처리 장치(110), 동영상 콘텐츠 처리 장치(120) 및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를 포함한다.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웹 정보를 수집 및 분석하는 웹 정보 처리 장치(110) 및 동영상 콘텐츠를 수집 및 분석하는 동영상 처리 장치(120)로부터 수신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생성한다.
도 1에는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웹 정보 처리 장치(110) 및 동영상 콘텐츠 처리 장치(12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웹 정보 처리 장치(110) 및 동영상 콘텐츠 처리 장치(120)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구성 유닛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개인용 컴퓨터 또는 PDA, 휴대 전화와 같은 이동형 단말 장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 다. 또는,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는 클라이언트 기기(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동영상 콘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면, 요청된 동영상 콘텐츠와 함께 생성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동영상 콘텐츠 제공 서버로 구성될 수 있다.
웹 정보 처리 장치(110)는 웹 정보 수집부(112), 웹 정보 분석부(114) 및 웹 정보 저장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웹 정보 수집부(112)는 방대한 웹 정보를 검색하고 수집한다. 웹 정보 분석부(114)는 수집된 웹 정보를 분석하여 웹 정보별로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를 추출하고, 각 영상 프레임과 관련된 텍스트 정보를 분석한다.
웹 정보 분석부(114)는 영상 프레임에 관련된 텍스트 정보로부터 글의 장르, 방송 프로그램의 제목, 회차 정보 등 영상 프레임에 대한 메타 정보를 추출하여 웹 정보 저장부(116)에 저장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웹 페이지에서 영상과 관련 텍스트 정보는 인접하게 위치하여 단락으로 구분될 수 있으므로, 영상 프레임에 관련된 텍스트 정보가 결정될 수 있다. 글의 장르는 상품 리뷰, 인물 리뷰, 줄거리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웹 정보 저장부(116)는 영상 프레임이 추출된 웹 정보의 웹 주소, 영상 프레임 각각의 영상 특징 정보 및 각 영상 프레임과 관련된 텍스트 정보 또는 텍스트 정보로부터 추출된 메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동영상 콘텐츠 처리 장치(120)는 동영상 콘텐츠 수집부(122), 동영상 콘텐츠 분석부(124) 및 동영상 콘텐츠 저장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동영상 콘텐츠 수집부(122)는 방송국 또는 콘텐츠 제공자로부터 동영상 콘텐츠를 수집할 수 있다. 동영상 콘텐츠 분석부(124)는 동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복수의 영상 프레임 각각의 영상 특징 정보 및 해당 동영상 콘텐츠에서 각각의 영상 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추출한다. 영상 특징 정보는 동영상 콘텐츠를 구성하는 영상 프레임들에 대해 일정 간격으로 선택된 영상 프레임들에 대해 추출될 수 있고, 또는 키 프레임들에 대하여 추출될 수 있다.
동영상 콘텐츠 저장부(126)는 동영상 콘텐츠별로 구분되도록 각 영상 프레임, 각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 및 각 영상 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웹 정보 처리 장치(110) 및 동영상 콘텐츠 처리 장치(120)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동영상 콘텐츠의 각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 및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를 비교한다.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동영상 콘텐츠의 각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 및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의 유사도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에 매칭하는 영상 프레임을 동영상 콘텐츠에서 검색할 수 있다.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검색된 영상 프레임의 동영상 콘텐츠에서의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결정된 위치 정보 및 웹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를 생성한다.
부가 정보는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동영상 콘텐츠에서의 위치 정 보와 매핑된 웹 정보 자체일 수 있다. 또는, 부가 정보는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동영상 콘텐츠에서의 위치 정보와 매핑된 영상 프레임과 관련된 텍스트로부터 추출된 정보일 수 있다.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과 비교할 동영상 콘텐츠 범위를 정할 때, 동영상 콘텐츠의 제목, 방송 프로그램 회차 정보 등 웹 정보로부터 추출될 수 있는 동영상 콘텐츠의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동영상 콘텐츠 범위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동영상 콘텐츠 범위의 축소로 매칭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를 이용하여, 동영상에 대한 부가 정보를 웹 정보를 이용하여 자동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의 부가 정보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소스 정보 수신부(210), 영상 프레임 위치 결정부(220), 부가 정보 생성부(230) 및 저장부(240)를 포함한다.
소스 정보 수신부(210)는 웹 정보 처리 장치(110) 및 동영상 콘텐츠 처리 장치(120)로부터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생성을 위한 소스 정보를 수신한다.
영상 프레임 위치 결정부(220)는 웹 정보로부터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과 관련된 메타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비교할 동영상 콘텐츠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메타 정보는 영상 콘텐츠 식별 정보, 장르 정 보, 타이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프레임 위치 결정부(220)는 결정된 동영상 콘텐츠 범위의 동영상 콘텐츠의 각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 및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를 비교한다. 영상 프레임 위치 결정부(220)는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에 매칭하는 영상 프레임을 동영상 콘텐츠에서 검색한다. 매칭되는 영상 프레임의 범위는 완전히 일치하는 영상 프레임뿐 아니라 원래의 영상 프레임에서 축소된 영상, 일부가 잘려진 영상, 덧글이 부가된 영상, 화질이 변화된 영상 등 원래의 영상 프레임에 각종 신호 처리가 수행된 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영상 프레임 위치 결정부(220)는 검색된 영상 프레임의 동영상 콘텐츠에서의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특징 정보(Feature 또는 Descriptor)의 선택에 제한이 없으나, 스케일러블 컬러 디스크립터(Scalable Color Descriptor), 컬러 레이아웃 디스크립터(Color Layout Descriptor), 에지 히스토그램 디스크립터(Edge Hisrogram Descriptor), 도미넌트 컬러 디스크립터(Dominant Color Descriptor), 조명 불변 컬러 디스크립터(Illumination Invariant Color Descriptor) 또는 SIFT(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와 같은 알려진 특징 추출 방법에 의해 생성된 정보들이 사용될 수 있다.
영상 프레임 간의 매칭 여부를 결정할 때는 영상 특징 정보들 간의 비교를 통해 일치하는 프레임을 검색한다. 이때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검색 방법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영상의 매칭 여부는 이미지 특징 매칭 및 검색(Image Feature Matching & Search), 특징 벡터(Descriptor)를 활용하여 동일한 영상을 검색하는 방법, 브루트 포스(Brute-force) 방법, 유사 영상 클러스터링(Similar Image Clustering), 밴티지 오브젝트(Vantage Object), 또는 해쉬 기반 방법(Hash-based Approa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부가 정보 생성부(230)는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과 관련된 텍스트 정보로부터 각 영상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부가 정보 생성부(230)는 공통되는 키워드별로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들을 클러스터링할 수 있다. 부가 정보 생성부(230)는 키워드 추출을 위하여 텍스트 정보에 대한 형태소 분석 및 구문 분석을 수행할 수 있다. 부가 정보 생성부(230)는, 동일한 키워드에 대하여 클러스터링된 동종의 영상 프레임이 2개 이상인 경우, 동종의 영상 프레임의 개수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동종의 영상 프레임은 전술한 매칭 영상 프레임으로 결정될 수 있는 영상 프레임으로 축소 영상, 일부 잘려진 영상 또는 유사도가 임계값 이상되는 영상 등이 될 수 있다.
생성된 부가 정보는 부가 저장부(240)에 저장될 수 있다.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사용자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요청 신호에 따른 부가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사용자 입력 신호 수신부, 동영상 콘텐츠 재생을 위한 영상 디코더 및 동영상 콘텐츠 및 부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출력을 위한 출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부가 정보 생성부(230)는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동영상 콘텐츠의 해당 위치의 영상 프레임에 재생될 때 부가 정보를 동기화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PTV를 통한 뉴스 콘텐츠 시청시에 동일한 내용의 뉴스 동영상 콘텐츠, 뉴스 기사, 자막, 댓글, 관련 뉴스 등이 포함된 웹 페이지들 또는 웹 페이지들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가 뉴스 콘텐츠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정보의 영상 프레임과 동영상 콘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매칭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웹 정보 처리 장치(110)로부터 영상 프레임 #1(312) 및 영상 프레임 #1이 메타 정보 예를 들어, 타이틀이 "온에어" 인 방송 프로그램의 한 장면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동영상 콘텐츠 처리 장치(120)로부터 타이틀이 "온에어"인 방송 프로그램 콘텐츠, 방송 프로그램 콘텐츠의 각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 및 각 영상 프레임의 방송 프로그램 콘텐츠에서의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할 수 있다.
웹 정보 처리 장치(110)로부터 영상 프레임 #1(312)의 메타 정보로서 "온에어" 방송 프로그램의 몇 회차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인지가 더 수신되면,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동영상 콘텐츠 처리 장치(120)로부터 해당 회차의 방송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동영상 콘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 그러면,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동영상 콘텐츠 처리 장치(120)로부터 해당 동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 들의 영상 특징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가 회차 정보를 더 획득하는 경우에는, 회차 정보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영상 프레임 #1과 비교 대상이 되는 동영상 콘텐츠의 범위가 줄어들게 될 것이다.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가 웹 정보 처리 장치(110)로부터 영상 프레임 #1, 영상 프레임 #1의 영상 특징 정보, 및 영상 프레임 #1이 포함된 동영상 콘텐츠의 타이틀 및 회차 정보를 수신한 경우를 가정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동영상 콘텐츠 처리 장치(120)로부터 해당 동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들의 영상 특징 정보 및 각 영상 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영상 프레임 #1의 영상 특징 정보 및 수신된 동영상 콘텐츠의 영상 프레임들의 영상 특징 정보를 비교하여, 영상 프레임 #1의 영상 특징 정보에 매칭되는 동영상 콘텐츠의 영상 특징 정보가 추출된 영상 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결정된 위치 정보 및 웹 정보를 이용하여 매칭된 영상 프레임마다 대응되는 부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콘텐츠 식별 정보, 동영상 콘텐츠 타이틀 정보, 동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위치 정보, 및 영상 프레임에 관련된 웹 정보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도 3에서, 비디오 ID(Video ID)는 동영상 콘텐츠를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이다. 타이틀은 동영상 콘텐츠의 제목이다. ThumbID는 동영상 콘텐츠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식별자이다. 위치 정보는(Pos)는 전체 동영상 콘텐츠 중 해당 영상 프레임의 시간적 위치를 나타낸다.
따라서,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부가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영상 프레임이 재생될 때 해당 부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부가 정보의 표시 시간은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나, 장면이 바뀌는 샷 경계 부분까지 표시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프레임에 따른 키워드 클러스터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때때로 하나의 부가 정보 페이지는 한개 이상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단락으로부터 추출된 키워드들과 그 키워드들과 이와 연관된 이미지들을 연결하여 미리 인덱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웹 페이지(410)는 영상 프레임 #11(411) 및 텍스트(412) 및 영상 프레임 #13(413) 및 텍스트(414)를 포함하는 2개의 단락을 포함한다. 영상 프레임 #11(411)에 대하여 관련 텍스트(412)의 내용으로부터 "주인공 1", "구두", "쇼핑"이 키워드로 추출되어 추출된 키워드가 관련 키워드 정보로서 인덱싱될 수 있다. 영상 프레임 #13(413)에 대하여 관련 텍스트(414)의 내용으로부터 "주인공 1", "스포츠카" 및 "드라이브"가 관련 키워드 정보로서 인덱싱될 수 있다.
웹 페이지(420)는 영상 프레임 #1(411)과 동일한 영상 프레임 #11(421) 및 텍스트(422) 및 영상 프레임 #15(423) 및 텍스트(424)를 포함하는 2개의 단락을 포함한다. 영상 프레임 #11(421)에 대하여 관련 텍스트(422)의 내용으로부터 "주인공 1" 및 "구두"가 관련 키워드 정보로서 인덱싱될 수 있다. 영상 프레임 #15(423)에 대하여 관련 텍스트(424)의 내용으로부터 "주인공 1" 및 "반지"가 관련 키워드 정보로서 인덱싱될 수 있다.
웹 페이지(430)는 영상 프레임 #31(431) 및 텍스트(432)을 포함하는 1개의 단락을 포함한다. 영상 프레임 #31(431)에 대하여 관련 텍스트(432)의 내용으로부터 "배우 1", "구두" 및 "가게"가 관련 키워드 정보로서 추출되어 인덱싱될 수 있다.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공통되는 키워드별로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들을 클러스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두"라는 키워드에 대하여 영상 프레임 #11(411, 421) 및 영상 프레임 #31(431)을 클러스터링할 수 있다. 또한,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동일한 키워드에 대하여 클러스터링된 영상 프레임들 중 서로 일치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는 영상 프레임들을 동종의 영상 프레임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영상 프레임 #11(411, 421)은 영상 특징 정보가 매칭되는 동종의 영상 프레임일 수 있다. 웹 페이지(410, 420, 430)을 포함하는 다수의 웹 페이지로부터 영상 프레임의 키워드를 인덱싱한 결과, "구두"라는 키워드에 대하여 영상 프레임 #11(411, 421)과 동종인 영상 프레임이 10개 수집되고, 영상 프레임 #31(431)과 동종인 영상 프레임이 5개 수집된 경우, 영상 프레임 #11(411, 412)에 1순위를 부여하고, 영상 프레임 #31(431)에 2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부가 정보 생성 장치(130)는 "구두" 키워드에 대한 영상 프레임의 클러스터별 등급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클러스터별로 동종의 영상 프레임 중 하나의 영상 프레임이 동 종 영상 프레임의 대표 영상 프레임으로 선정되어 등급 정보와 함께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에는 동종의 영상 프레임을 순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웹 정보 내의 영상 프레임들에 대하여 동영상 콘텐츠내에서의 위치 정보가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특징 정보 비교를 통해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클러스터 내의 대표 이미지를 선택하는 경우, 대표 이미지에 해당되는 동영상의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해당 위치부터 동영상 콘텐츠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했을 때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한 이후에 클러스터링을 수행하면 검색결과를 얻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수도 있으므로, 키워드마다 미리 영상 프레임들을 클러스터링하여 결과를 저장해두면 사용자의 검색질의에 대해 바로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의 부가 정보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동영상 콘텐츠의 각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 및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를 비교한다(510). 비교 결과를 이용하여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에 매칭하는 영상 프레임이 동영상 콘텐츠에서 검색된다(5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사도 비교 결과 값이 특정 임계 범위에 포함되면 매칭되는 영상 프레임으로 결정될 수 있다.
검색된 영상 프레임의 동영상 콘텐츠에서의 위치 정보를 결정한다(S 530). 동영상 콘텐츠 처리 정보에는 각 영상 프레임별 영상 특징 정보와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영상 프레임이 결정되면, 해당 영상 프레임의 위치 정보가 결정될 수 있 다. 결정된 위치 정보 및 웹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를 생성한다(S 54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청자는 동영상 시청시 장면에 대한 부가 정보를 바로 제공받게 됨으로써 별도로 웹을 검색하는데 드는 불편함을 감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편리성이 향상되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서비스 제공자 측면에서는 기존의 수동 방식의 부가 정보 태깅 방법을 자동화함으로써 정보 생성 시간을 단축하고 수동 태깅에 필요한 인력이 감축되어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부가 정보를 인터넷 상의 다양한 소스로부터 수집할 수 있게 됨으로써 부가 정보가 다양해지고 풍부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동영상에 대해 수동적인 태깅 과정 없이도 특정 키워드와 연관된 동영상의 위치를 검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의 프로그램을 구현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의 부가 정보 생성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의 부가 정보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웹 정보의 영상 프레임과 동영상 콘텐츠의 영상 프레임의 매칭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프레임에 따른 키워드 클러스터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콘텐츠의 부가 정보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8)

  1. 동영상 콘텐츠의 부가 정보 생성 장치로서,
    웹 정보로부터 상기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과 관련된 메타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비교할 동영상 콘텐츠의 범위를 결정하고,
    동영상 콘텐츠의 각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 및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에 매칭하는 영상 프레임을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서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영상 프레임의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서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영상 프레임 위치 결정부; 및
    상기 결정된 위치 정보 및 상기 웹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를 생성하는 부가 정보 생성부를 포함하는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는 영상 콘텐츠 식별 정보, 장르 정보, 타이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동영상 콘텐츠에서의 위치 정보와 매핑된 웹 정보 자체를 포함하는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동영상 콘텐츠에서의 위치 정보와 매핑된 상기 영상 프레임과 관련된 텍스트로부터 추출되는 정보를 포함하는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 생성부는 상기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과 관련된 텍스트 정보로부터 각 영상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고, 공통되는 키워드별로 상기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들을 클러스터링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 생성부는 동일한 키워드에 대하여 클러스터링된 동종의 영상 프레임이 2개 이상인 경우, 상기 동종의 영상 프레임의 개수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여 동종의 영상 프레임별 등급을 제공하는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 생성부는 상기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동영상 콘텐츠의 영상 프레임과 동기화하여 상기 영상 프레임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웹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웹 정보를 분석하여 웹 정보별로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웹 정보 처리부; 및
    동영상 콘텐츠의 각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 및 각 영상 프레임의 동영상 콘텐츠에서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동영상 콘텐츠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장치.
  10. 동영상 콘텐츠의 부가 정보 생성 방법으로서,
    웹 정보로부터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과 관련된 메타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메타 정보를 이용하여 비교할 동영상 콘텐츠의 범위를 결정하는 단계;
    동영상 콘텐츠의 각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 및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에 매칭하는 영상 프레임을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서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영상 프레임의 상기 동영상 콘텐츠에서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위치 정보 및 상기 웹 정보를 이용하여 부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1. 삭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 정보는 영상 콘텐츠 식별 정보, 장르 정보, 타이틀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동영상 콘텐츠에서의 위치 정보와 매핑된 웹 정보 자체를 포함하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 정보는 상기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동영상 콘텐츠에서의 위치 정보와 매핑된 상기 영상 프레임과 관련된 텍스트로부터 추출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과 관련된 텍스트 정보로부터 각 영상 프레임의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및
    공통되는 키워드별로 상기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들을 클러스터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동일한 키워드에 대하여 클러스터링된 동종의 영상 프레임이 2개 이상인 경우, 상기 동종의 영상 프레임의 개수에 따라 등급을 부여하여 동종의 영상 프레임별 등급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동영상 콘텐츠의 영상 프레임과 동기화하여 상기 영상 프레임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웹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웹 정보를 분석하여 웹 정보별로 웹 정보에 포함된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동영상 콘텐츠의 각 영상 프레임의 영상 특징 정보 및 상기 각 영상 프레임의 해당 동영상 콘텐츠에서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090026619A 2009-03-27 2009-03-27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550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619A KR101550886B1 (ko) 2009-03-27 2009-03-27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US12/711,863 US8559724B2 (en) 2009-03-27 2010-02-24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moving picture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6619A KR101550886B1 (ko) 2009-03-27 2009-03-27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8117A KR20100108117A (ko) 2010-10-06
KR101550886B1 true KR101550886B1 (ko) 2015-09-08

Family

ID=42784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6619A KR101550886B1 (ko) 2009-03-27 2009-03-27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59724B2 (ko)
KR (1) KR1015508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734A (ko) 2017-11-28 2019-06-0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동영상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43147B2 (en) * 2010-04-26 2016-09-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Enriching online videos by content detection, searching, and information aggregation
CN102262765B (zh) * 2010-05-27 2014-08-06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一种发布商品信息的方法及装置
KR101285721B1 (ko) * 2010-12-22 2013-07-18 주식회사 케이티 웹 마이닝을 이용한 콘텐츠 태그 생성 시스템 및 방법
EP2791695A4 (en) * 2011-12-16 2015-08-05 Intel Corp MULTI-RADIO CLOUD COMPUTING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POSITION
JP5593352B2 (ja) * 2012-07-10 2014-09-24 ヤフー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およ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
CN103902611A (zh) * 2012-12-28 2014-07-0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视频内容搜索系统及方法
JP6183305B2 (ja) * 2014-07-02 2017-08-23 株式会社デンソー 故障検出装置および故障検出プログラム
KR102312999B1 (ko) * 2017-05-31 2021-10-1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광고 편성 장치 및 방법
KR102317398B1 (ko) * 2019-12-06 2021-10-26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물 등급 판정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70754A (en) * 1996-04-25 1999-02-09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Video retrieval of MPEG compressed sequences using DC and motion signatures
US7170632B1 (en) * 1998-05-20 2007-01-30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photographing support system
US20050193408A1 (en) * 2000-07-24 2005-09-01 Vivcom, Inc. Generating, transporting, processing, storing and presenting segmentation information for audio-visual programs
US6804684B2 (en) * 2001-05-07 2004-10-12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for associating semantic information with multiple images in an image database environment
JP2002334092A (ja) * 2001-05-11 2002-11-22 Hitachi Ltd 情報関連付け方法、情報閲覧装置、情報登録装置、情報検索装置、課金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176364B2 (ja) * 2002-03-22 2008-11-05 富士通株式会社 画像対応付け装置及び画像対応付け方法並びに画像対応付けプログラム
JP2004023345A (ja) 2002-06-14 2004-01-22 Sony Corp 情報検索方法、情報検索システム、受信装置、情報処理装置
US8140965B2 (en) 2003-02-28 2012-03-20 Google, Inc. Identifying related information given content and/or presenting related information in association with content-related advertisements
KR100798551B1 (ko) 2005-03-01 2008-01-28 비브콤 인코포레이티드 인포머셜 제공 방법
US7702681B2 (en) 2005-06-29 2010-04-20 Microsoft Corporation Query-by-image search and retrieval system
KR100743962B1 (ko) 2005-10-04 2007-08-01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컨텐츠 연관 메모 기록, 색인 방법 및 상기 방법을수행하는 단말기
JP2007148976A (ja) 2005-11-30 2007-06-14 Toshiba Corp 関連情報検索装置
JP2008028529A (ja) 2006-07-19 2008-02-07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放送番組視聴システム及び方法
US8065313B2 (en) * 2006-07-24 2011-11-22 Goog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nnotating images
JP4224095B2 (ja) * 2006-09-28 2009-02-12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080085055A1 (en) * 2006-10-06 2008-04-10 Cerosaletti Cathleen D Differential cluster ranking for image record access
US8296808B2 (en) * 2006-10-23 2012-10-23 Sony Corporation Metadata from image recognition
KR20080051069A (ko) 2006-12-04 2008-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터넷을 통한 방송콘텐츠의 상세정보 제공 장치 및 그방법과, 그에 따른 수신 단말에서의 방송콘텐츠 상세정보요청 방법
JP2008160337A (ja) 2006-12-22 2008-07-10 Hitachi Ltd コンテンツ連動型情報提示装置および提示方法
JP2008167363A (ja) 2007-01-05 2008-07-17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755122B2 (ja) 2007-02-16 2011-08-2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画像辞書生成方法及び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144920B2 (en) * 2007-03-15 2012-03-27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ed location estimation using image analysis
JP4906552B2 (ja) 2007-03-20 2012-03-28 日本放送協会 メタ情報付加装置及びメタ情報付加プログラム
WO2008139465A2 (en) * 2007-05-10 2008-11-20 Yeda Research And Development Co. Ltd. Bidirectional similarity of signals
JP2008135045A (ja) 2007-12-20 2008-06-12 Hitachi Ltd 情報関連付け方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방준원, 전형용, 황치정, "내용 기반 동영상 검색 시스템", 한국정보과학회 2008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5, no.2(C), pp.412-415, 2008년 10월.*
이종원, 최기석, 장주연, 낭종호, "웹 페이지 구조 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동영상 검색용 키워드 추출 방법", 정보과학회논문지: 시스템 및 이론, vol.35, no.3·4, pp.103-110, 2008년 4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734A (ko) 2017-11-28 2019-06-05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동영상 콘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46959A1 (en) 2010-09-30
US8559724B2 (en) 2013-10-15
KR20100108117A (ko) 2010-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886B1 (ko)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부가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US920252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broadcast programs
US11197036B2 (en) Multimedia stream analysis and retrieval
US10231023B2 (en) Media fingerprinting for content determination and retrieval
CA2924065C (en) Content based video content segmentation
US20190379936A1 (en) System and methods for analyzing content engagement in conjunction with social media
US9100701B2 (en) Enhanced video systems and methods
JP4950753B2 (ja) コメント収集解析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KR20150063138A (ko) 브로드캐스트 미디어 관련 전자 메시징 향상
KR20050057578A (ko) 상업 광고 추천기
CN103299648A (zh) 接收增强服务的方法及其显示装置
KR20150083355A (ko) 증강 미디어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2018530273A (ja) 共通メディアセグメントの検出
KR20100116412A (ko) 동영상 장면 기반 광고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JP5202217B2 (ja) 放送コンテンツから時事性のあるキーワードを抽出する放送受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80016068A1 (en) Media-personality information search system, media-personality information acquiring apparatus, media-personality information search apparatus, and method and program therefor
KR101286427B1 (ko) 방송 콘텐츠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1930488B1 (ko) 연동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메타데이터 생성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0878909B1 (ko) 대화형 디엠비 방송 제공시스템 및 이의 제공방법
US20150179228A1 (en) Synchronized movie summary
JP2008236373A (ja) メタ情報付加装置及びメタ情報付加プログラム
KR20100111907A (ko) 시청자 참여정보를 반영한 광고 제공장치 및 방법
KR101617098B1 (ko) 맞춤형 동영상 제공서비스 시스템
CN116976299A (zh) 广告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iu et al. Web-based real time content processing and monitoring service for digital TV broadca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