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815B1 - Language learning system - Google Patents

Language learning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815B1
KR101548815B1 KR1020130135415A KR20130135415A KR101548815B1 KR 101548815 B1 KR101548815 B1 KR 101548815B1 KR 1020130135415 A KR1020130135415 A KR 1020130135415A KR 20130135415 A KR20130135415 A KR 20130135415A KR 101548815 B1 KR101548815 B1 KR 101548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val
language learning
spelling
learning system
v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41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53457A (en
Inventor
차승영
Original Assignee
차승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승영 filed Critical 차승영
Priority to KR1020130135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815B1/en
Publication of KR20150053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4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8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은 영문 단어가 표시되는 화면부, 상기 영문 단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철자를 음성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상기 출력된 영문 단어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가 각각의 철자를 출력하는 시간의 인터벌은 같거나 또는 다르게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영어 단어 학습 시 각 단어의 스펠링 각각을 음성 출력하므로, 사용자에게 단어 암기력 향상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스펠링 사이의 인터벌을 최적화하여 사용자에게 암기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 각 스펠링을 구성하는 철자의 음성 출력 세기를 조정하여 사용자에게 더욱 단어 암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reen portion for displaying English words, a sound output portion for outputting each spelling constituting the English word, a storage portion for storing the outputted English word information, The interval of time for outputting each spelling may be made to include a control unit which sets the same or differen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improvement of the word memorization power to the user by spelling each word of the spellings in the English word learning.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optimizes the interval between spells to further improve the memorization power to the user, and further improves the word memorization power to the user by adjusting the sound output intensity of the spelling constituting each spelling.

Description

어학 학습 시스템{LANGUAGE LEARNING SYSTEM}Language learning system {LANGUAGE LEARNING SYSTEM}

본 발명은 어학 학습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어의 스펠링을 각각 분리 발음하여 사용자의 암기력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어학 학습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language learning system in which a spelling of a word is separately pronounced to significantly improve a user's memorizing power.

일반적으로 다양한 어학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하여 어학 학습을 하도록 하는 어학 학습 장치 또는 어학 학습 시스템은 각종 영상 및 음성 등의 어학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여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각종 영상 및 음성 등의 어학콘텐츠를 출력함이 보통이다. Generally, a language learning apparatus or a language learning system which outputs various linguistic contents through a display device to perform linguistic learning displays linguistic contents such as various images and voices, and selectively displays various linguistic contents such as various images and voices It is common to output language content.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어학 학습 시스템은 실제 학습에 있어서 단어 암기력의 향상을 위해 단어를 음절이나 스펠링 별로 나누어 소리화하여 출력하지 않았으므로 사용자의 암기 능률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language learning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word memorizing power in actual learning, the word is not divided into syllables or spelling and output, so that the user's memorizing efficiency is lowered.

[관련기술문헌][Related Technical Literature]

1. CD 어학기 및 이를 이용한 요일별 학습방법(CD LANGUAG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STUDYING ACCORDING TO A DAY OF THE WEEK USING THE SAME) (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15766)1. CD LANGUAGE AND METHOD OF STUDY ACCORDING TO THE SAME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015766) (CD LANGUAGE TRAINING APPARATUS AND METHOD OF ACCORDING TO THE WEEK USING THE SAME)

2. 자동 복습기능을 가진 디지털 어학기(DIGITAL LANGUAGE STUDY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REVIEW FUNCTION) (특허?원번호 제10-2008-0114108)
2. DIGITAL LANGUAGE STUDY APPARATUS HAVING AN AUTOMATIC REVIEW FUNCTION (Patent No. 10-2008-0114108)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어학 학습, 특히 영어 학습에 있어서 단어를 분리하여 소리 출력하여 사용자의 암기력을 극대화시키는 어학 학습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nguage learning system for maximizing a user's memorization power by separately outputting words in language learn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은 영문 단어가 표시되는 화면부, 상기 영문 단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철자를 음성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상기 출력된 영문 단어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가 각각의 철자를 출력하는 시간의 인터벌은 같거나 또는 다르게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reen for displaying English words,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spoken letters constituting the English words,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outputted English word information, And the control unit may set the interval of time at which the audio output unit outputs each spelling is the same or different.

이때, 상기 인터벌은 0.01초 내지 1.2초로 설정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terval may be set to 0.01 to 1.2 seconds.

또한, 상기 인터벌은 자음과 모음 사이의 제1인터벌과 모음과 모음 사이의 제2인터벌과 자음과 자음 사이의 제3인터벌로 구성되고, 상기 제1인터벌 내지 제3인터벌은 서로 같거나 또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The interval is composed of a first interval between consonant and vowel, a second interval between vowel and vowel, and a third interval between consonant and consonant, and the first interval to the third interval are set to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

또한, 상기 제3인터벌은 상기 제1인터벌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The third interval may be shorter than the first interval.

또한, 상기 제3인터벌은 상기 제1인터벌의 1/5 내지 5/4로 형성될 수 있다. The third interval may be 1/5 to 5/4 of the first interval.

또한, 상기 제2인터벌은 상기 제1인터벌보다 같거나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interval may b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first interval.

또한, 상기 어학 학습 시스템은 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내지 제3인터벌을 터치 방식으로 조절 가능할 수 있다. Further,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and the input unit may be capable of adjusting the first to third intervals in a touch manner.

또한, 상기 어학 학습 시스템은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와 연결된 서버와, 이와 연결된 다른 외부 어학 학습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다른 외부 어학 학습 장치에서 설정된 제1 내지 제3 인터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a server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another external language learning apparatus connected to the server, and the server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first to third intervals set by the other external language learning apparatus To the control unit.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인터벌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화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first to third intervals.

또한, 상기 음성 ?력부는 상기 제2인터벌을 구성하는 모음과 또 다른 모음 의 출력 크기를 상기 제1인터벌 및 상기 제3인터벌을 구성하는 철자의 출력 크기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Also, the voice output unit may form an output size of the vowel constituting the second interval and another vowel larger than an output size of the spelling constituting the first interval and the third interval.

본 발명은 영어 단어 학습 시 각 단어의 스펠링 각각을 음성 출력하므로, 사용자에게 단어 암기력 향상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maximize the improvement of the word memorizing power to the user by spelling each spelling of each word when learning English words.

또한, 본 발명은 스펠링 사이의 인터벌을 최적화하여 사용자에게 암기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the memorization power to the user by optimizing the interval between spells.

또한, 본 발명은 각 스펠링을 구성하는 철자의 음성 출력 세기를 조정하여 사용자에게 더욱더 암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improve the memorization power to the user by adjusting the sound output intensity of the spelling constituting each spell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에서의 인터벌 및 이의 설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의 또 다른 사용 상태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intervals and settings in a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use state of a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other use state of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may have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erms including ordinal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to thes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1000)은 화면부(110), 음성출력부(120), 저장부(130) 및 제어부(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creen unit 110, a sound output unit 120, a storage unit 130, and a control unit 140.

화면부(100)는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PDP, LCD, OLED 및 CRT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에서의 화면부는 학습할 영문 단어가 표시되는 부분으로서, 이때 유저인터페이스는 기능별로 다양하게 변동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00 may include a PDP, an LCD, an OLED, and a CRT as a display panel. A screen portion of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ion in which English words to be learned are displayed, The interface can be varied by function.

음성출력부(120)는 영문 단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철자가 음성으로 출력되는 부분으로서, 어학 학습 시스템(1000)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The voice output unit 120 may be realized by a speaker provided in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1000 as a part in which each spelling constituting an English word is output as a voice.

저장부(130)는 영문 단어의 데이터 베이스를 저장하는데, 학습에 필요한 전체 데이터 베이스가 저장될 수 있고, 혹은 후술할 서버로부터 단어를 수신 받아서 임시 저장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저장부는 하드디스크, 플레쉬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및 비휘발성 메모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storage unit 130 stores a database of English words. The entire database necessary for learning can be stored. Alternatively, the storage unit 130 can receive words from a server to be described later and store them temporarily. Meanwhile, the storage unit may be implemented by any one of a hard disk, a flash memory, a volatile memory, and a nonvolatile memory.

제어부(14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에서의 음성 출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영문 단어를 이루고 있는 각 스펠링의 출력되는 사이의 시간(인터벌)을 조절하여 암기력을 극대화시키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 제어부(140)는 한 단어에서의 인터벌을 단어의 특성에 따라 같거나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사용자의 암기력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voice output in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40 adjusts the time (interval) between the output of each spelling forming an English word to maximize the memorization power . More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140 sets the intervals in one word to be the same or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words, thereby further improving the user's memorization power.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에서의 인터벌 및 이의 설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도 2는 student라는 단어를 암기하는 경우를 상정하는 도면이다.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intervals and settings in a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At this time, FIG. 2 is a figure for memorizing the word student.

우선, student라는 단어는 s, t, u, d, e, n, t로 이루어져 있는데, s를 음성 출력하고 이후에 t를 출력하기까지의 시간은 바람직하게 0.01초 내지 1.2초로 형성된다. 동일하게 t를 출력하고 u를 출력하기까지의 시간도 0.01초 내지 1.2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하, 다른 스펠링인 d, e, n, t의 경우도 동일하다. First, the word student is composed of s, t, u, d, e, n, and t. The time from when s is output to outputting t is preferably 0.01 to 1.2 seconds. It is preferable that the time from outputting t to outputting u is also set to 0.01 second to 1.2 second. The same applies to other spelling d, e, n, and t.

왜냐하면, 인터벌 시간이 0.01초보다 적게 되면 단어의 출력 주파수를 이루는 음성 파장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게 되므로 두 철자를 구분하기가 사실상 힘들어 지기 때문이고, 인터벌 시간이 1.2초를 넘어가게 되면 앞에서 출력된 철자가 만들어 내는 주파수에 기인한 에너지가 감소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오감이 아닌 본인의 능력에 따라 기억한 내용 만으로 이전 철자를 리콜(recall)해야 되기 때문이다. 즉, 1.2초라는 것은 사용자에 무관하게 철자가 만들어 내는 파동 에너지의 잔류 시간을 고려했을 때 최적화 적용된 시간이다. This is because when the interval time is less than 0.01 second, the sound wavelengths of the output frequency of the word interfere with each other, so that it become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two spells. When the interval time exceeds 1.2 seconds, Because the energy due to the frequency produced is reduced, it is necessary to recall the old spelling only with the memorized contents according to the user's ability, not the user's five senses. That is, 1.2 seconds is the optimized time when considering the residual time of the wave energy generated by the spell regardless of the user.

나아가, 도 2를 참조하면, 이러한 인터벌 시간은 자음과 모음 사이의 제1인터벌(t1)과 모음과 모음 사이의 제2인터벌(t2)과 자음과 자음 사이의 제3인터벌(t3)로 구성된다. 또한, 제1인터벌(t1) 내지 제3인터벌(t3)은 서로 같거나 또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2, this interval time is composed of a first interval t1 between consonant and vowel, a second interval t2 between vowel and vowel, and a third interval t3 between consonant and consonant . Also, the first interval t1 to the third interval t3 may be set to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1인터벌은 자음과 모음 사이에 소리가 출력되지 않는 시간(t1)인데, 이 시간은 자음과 자음 사이에 소리가 출력되지 않는 시간(t3)보다 짧을 수 있다. 왜냐하면, 자음과 자음 사이에는 서로 연음이 발생하지 않고 자음이 발생하는 주파수는 모음이 발생하는 주파수 보다 크기 때문에 자음-자음이 연이어 출력되는 경우에는 연음이 발생되는 자음-모음이 출력되는 경우보다 사용자에 보다 잘 인식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에서의 제3인터벌(t3)은 제1인터벌(t1)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interval is a time t1 during which no sound is output between the consonant and the vowel, which may be shorter than the time t3 during which no sound is output between consonants and consonants. Because consonants are not generated between the consonants and consonants, the frequency at which the consonants are generated is greater than the frequency at which the vowels are generated. Therefore, when consonants and consonants are output consecutively, The third interval t3 in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shorter than the first interval t1.

더욱 상세하게, 제3인터벌(t3)은 제1인터벌(t1)의 1/5 내지 5/4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제3인터벌(t3)이 제1인터벌(t1)의 1/5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자음끼리의 간섭으로 자음이 만들어내는 음성 파장이 서로 간섭을 일으켜 사용자의 뇌파에 이르는 과정에서 상쇄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고, 제3인터벌(t3)이 제1인터벌(t1)의 4/5를 초과하게 되면, 생체 시간 간격의 개념에서 연속되는 철자가 발음되는 경우에 5/5와 4/5를 구분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Mor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rd interval t3 is formed to be 1/5 to 5/4 of the first interval t1. If the third interval t3 is less than 1/5 of the first interval t1, the sound waves generated by the consonants due to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consonants interfere with each other, resulting in a canceling effect in the process of reaching the user's brain waves If the third interval t3 exceeds 4/5 of the first interval t1,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5/5 and 4/5 when consecutive spellings are pronounced in the concept of a biological time interval It is difficult.

한편, 모음과 모음 사이에 소리가 출력되지 않는 시간인 제2인터벌(t2;미도시)은 제1인터벌(t1)보다 같거나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음과 모음의 경우에는 서로 연음이 발생하고 대부분 한음절로 전체 발음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제1인터벌(t1) 보다 긴 시간의 시차를 둬야 사용자에게 보다 정확하게 전달되기 때문이다.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interval t2 (not shown), which is a time when no sound is output between the vowel and the vowel, is formed to b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first interval t1. In the case of a vowel and a vowel, it is common that an ear is generated and most of the vowels are pronounced with a whole tone, so that a time difference longer than the first interval t1 must be transmitted to the user more accurately.

이때, 음성출력부는 제2인터벌(t2)을 구성하는 모음과 모음을 음성 출력하는 경우에는 제1인터벌 및 제3인터벌을 구성하는 철자의 출력 크기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의 음향 전달 효율이 보다 증대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vowel and the vowel constituting the second interval t2 are output by voice, the voice output unit may be formed to have an output size larger than the output size of the spelling constituting the first interval and the third interval. Thus, the sound transmission efficiency to the user can be further increased.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1000)은 도 1에서와 같이 통신부(160), 서버(170), 외부기기(18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60, a server 170, and an external device 180 as shown in FIG.

통신부(160)는 어학 학습 시스템에 탑재된 통신모듈인데 외부 서버와 연결되어 데어터를 전송하거나 전송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외부기기(18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을 사용하는 다른 사용자가 조작하는 단말기를 말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60 is a communication module mounted on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is connected to an external server to perform data transmission or transmission. The external device 180 refers to a terminal operated by another user who uses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1000)은 서버(170)가 다른 외부 어학 학습 장치인 외부기기(180)에서 설정된 제1 내지 제3 인터벌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140)가 수신받도록 설정될 수 있다.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10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server 170 receives information on the first to third intervals set by the external device 180 that is another external language learning device Can be set.

즉, 전술한 제1 내지 제3 인터벌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설정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학 학습 시스템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인터벌을 터치 방식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That is, the information on the first to third intervals described above may be set slightly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user.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each interval by a touch method as shown in FIG. It is possible to do.

즉, 단어를 이루는 철자가 음성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는 각 철자 사이의 거리(인터벌)을 터치하면서 조절할 수 있는데, 이러한 조절 내용은 서버에 전달 될 수 있고, 서버는 평균적으로 가장 많이 조정된 인터벌 정보를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보다 사용자의 암기력이 도모되도록 이를 화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가이드되어 본인에게 보다 최적화되도록 인터벌을 조절하여 암기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spelling of the word is outputted, the user can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spells by touching them. The adjustment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the server can transmit the most adjusted interval information on average It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so that the user's memorization power can be further improved. Accordingly, the user can be guided based on the displayed contents to further improve the memorization power by adjusting the interval so as to be more optimized for the user.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Of course.

1000 : 어학 학습 시스템
110 : 화면부
120 : 음성 출력부
130 : 저장부
140 : 제어부
150 : 입력부
160 : 통신부
170 : 서버
180 : 외부기기
1000: Language Learning System
110:
120: audio output unit
130:
140:
150:
160:
170: Server
180: External device

Claims (10)

어학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영문 단어가 표시되는 화면부,
상기 영문 단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철자를 음성 출력하는 음성 출력부,
상기 출력된 영문 단어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 및
상기 음성 출력부가 각각의 철자를 출력하는 시간의 인터벌은 같거나 또는 다르게 설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벌은 자음과 모음 사이의 제1인터벌과 모음과 모음 사이의 제2인터벌과 자음과 자음 사이의 제3인터벌로 구성되고, 상기 제3인터벌은 상기 제1인터벌보다 짧게 형성되며, 상기 제2인터벌은 상기 제1인터벌보다 같거나 길게 형성되며,
상기 어학 학습 시스템은 통신부와, 상기 통신부와 연결된 서버와, 서버와 연결된 다른 외부 어학 학습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다른 외부 어학 학습 장치에서 설정된 제1 내지 제3 인터벌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고,
상기 음성 ?력부는 상기 제2인터벌을 구성하는 모음과 또 다른 모음의 출력 크기를 상기 제1인터벌 및 상기 제3인터벌을 구성하는 철자의 출력 크기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In a language learning system,
A screen portion in which an English word is displayed,
A voice output unit for outputting spoken letters constituting the English word,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outputted English word information, and
Wherein the control unit sets the intervals of time at which the audio output unit outputs each spelling is the same or different,
Wherein the interval comprises a first interval between consonant and vowel, a second interval between vowel and vowel, and a third interval between consonant and consonant, the third interval being formed shorter than the first interval, The interval is formed to be equal to or longer than the first interval,
Wherein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further comprises a communication unit, a server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and another external language learning apparatus connected to the server, wherein the server transmits information on the first through third intervals set by the other external language learning apparatus To the control unit,
Wherein the voice output unit is configured to set the output size of the vowel constituting the second interval and the vowel larger than the output size of the spelling constituting the first interval and the third interv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벌은 0.01초 내지 1.2초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terval is set to 0.01 to 1.2 second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인터벌은 상기 제1인터벌의 1/5 내지 5/4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rd interval is formed at 1/5 to 5/4 of the first interv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 학습 시스템은 입력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내지 제3인터벌을 터치 방식으로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anguage learning system further comprises an input unit, wherein the input unit adjusts the first to third intervals in a touch mann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인터벌에 대한 정보를 상기 화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학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information on the first to third intervals.

삭제delete
KR1020130135415A 2013-11-08 2013-11-08 Language learning system KR1015488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415A KR101548815B1 (en) 2013-11-08 2013-11-08 Language learn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415A KR101548815B1 (en) 2013-11-08 2013-11-08 Language learning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457A KR20150053457A (en) 2015-05-18
KR101548815B1 true KR101548815B1 (en) 2015-08-31

Family

ID=53390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415A KR101548815B1 (en) 2013-11-08 2013-11-08 Language learning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81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719516A (en) * 2016-04-11 2016-06-29 胡文华 Chinese language learning device for student and using method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534B1 (en) 2004-03-11 2006-06-08 유승혁 The multimedia studying system for Korean language and methods thereof
KR101217653B1 (en) 2009-08-14 2013-01-02 오주성 English learning system
KR101277514B1 (en) 2009-09-22 2013-06-21 김선효 English Learning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7534B1 (en) 2004-03-11 2006-06-08 유승혁 The multimedia studying system for Korean language and methods thereof
KR101217653B1 (en) 2009-08-14 2013-01-02 오주성 English learning system
KR101277514B1 (en) 2009-09-22 2013-06-21 김선효 English Learn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457A (en) 201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2089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ading Assistance Using Speech Recognition and Error Tracking Mechanisms
US1158754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WO2004114253A3 (en) Method of teaching reading
CN107041159B (en) Pronunciation assistant
KR101548815B1 (en) Language learning system
JP2011209730A (en) Chinese language learning device, chinese language learn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KR101144186B1 (en) A language study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4008795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phonics by using native speaker's pronunciation data and word and sentence and image data
US20220036759A1 (e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reading system
KR101038727B1 (en) Latin alphabet input device and mobi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JP6155102B2 (en) Learning support device
JP2002156897A (en) Pronunciation learning system
KR2014007599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anguage education by using native speaker's pronunciation data and thought unit
KR20170009487A (en) Chunk-based language learn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o do this
KR20160121217A (e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an image-based pop-up image
KR102453876B1 (en) Apparatus, program and method for training foreign language speaking
KR20180012233A (en) Mobile english education method
KR2014007445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word by using native speaker's pronunciation data and syllable of a word and image data
KR102096965B1 (en) English learning method and apparatus applying principle of turning bucket
JP2019079026A (en) Speech learning system and speech learning method
Yang Phonological processes of vowels from orthographic to pronounced words in the Buckeye Corpus by sex and age groups
KR2014008212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learning word by using native speaker's pronunciation data and origin of a word
KR20170043101A (en) Mobile english education method
WO2016028008A1 (en) Language learning method using partial control of audio-visual information
KR201900020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ynthesis of Spee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