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554B1 -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554B1
KR101547554B1 KR1020080119010A KR20080119010A KR101547554B1 KR 101547554 B1 KR101547554 B1 KR 101547554B1 KR 1020080119010 A KR1020080119010 A KR 1020080119010A KR 20080119010 A KR20080119010 A KR 20080119010A KR 101547554 B1 KR101547554 B1 KR 101547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ilot
packaging
decryption key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0425A (ko
Inventor
이경근
이병래
방성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9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554B1/ko
Priority to EP09177041.2A priority patent/EP2192717B1/en
Priority to US12/625,825 priority patent/US8619994B2/en
Priority to JP2009270476A priority patent/JP5608359B2/ja
Priority to CN200910224862.1A priority patent/CN101901447B/zh
Publication of KR20100060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04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104Security; Encryption; Content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 H04L63/042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providing a confidential data exchange among entities communicating through data packet networks wherein the data content is protected, e.g. by encrypting or encapsulating the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4Management at additional data server, e.g. shopping server, rights management server
    • H04N21/2541Rights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04N21/25866Management of end-user data
    • H04N21/25875Management of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6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 H04N21/26613Channel or content management, e.g. generation and management of keys and entitlement messages in a conditional access system, merging a VOD unicast channel into a multicast channel for generating or managing key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5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stream de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4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receiving rew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04N21/6334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 H04N21/63345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for authorisation, e.g. by transmitting a key by transmitting ke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3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 H04N21/8355Generation of protective data, e.g. certificates involving usage data, e.g. number of copies or viewings allow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2Authorising the user terminal, e.g. by paying; Registering the use of a subscription channel, e.g. b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60Digital content management, e.g. content distribution
    • H04L2209/603Digital right managament [DR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101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security measures for digital rights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echnology Law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 콘텐츠와 DRM 콘텐츠로 이루어진 패키징 콘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광고 콘텐츠의 광고 시청(청취)에 의하여 상기 DRM 콘텐츠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패키징 서버에서 파일럿 콘텐츠와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의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타겟 콘텐츠를 포함하는 패키징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과, 휴대단말에서 상기 패키징 콘텐츠를 구성하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을 통해 상기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획득하고, 상기 복호화키에 의해 상기 타겟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휴대단말, DRM, 콘텐츠, 광고, RI, 파일럿 콘텐츠, 타겟 콘텐츠

Description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O DIGITAL CONTENTS SERVICE}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콘텐츠와 특정 광고를 포함하는 광고 콘텐츠로 이루어진 패키징 콘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광고 콘텐츠의 시청(청취)에 의해 상기 DRM 콘텐츠의 실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에서 이용되는 유료 콘텐츠의 무단 복제나 재배포를 막기 위해, 디지털 저작권 관리(Digital Rights Management, 이하 'DRM'이라 칭함)라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상기 DRM이란 문서, MP3파일, 벨소리, 동영상, 게임 등의 다양한 콘텐츠에 대해 암호화 기술을 적용하여 저작권자의 권리 보호를 가능케 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DRM 기술이 적용된 콘텐츠(이하, DRM 콘텐츠)는 항상 암호화된 상태로 존재하며, 인증된 사용자만이 해당 DRM 콘텐츠를 복호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DRM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한 권리객체(Right Object, 이하 'RO'라 칭함)라는 특정 라이선스(license)에 의해 인증된 사용자만이 해당 DRM 콘텐츠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DRM 콘텐츠에 대한 불법 복제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RO는 RI(Right Issuer)라는 권리객체발행서버에서 생성되어 사용자에게 판매된다. 상기 RO는 DRM 콘텐츠와 분리되어 휴대단말에 저장됨으로써 해당 DRM 콘텐츠의 실행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RO의 종류에는 카운트(count) 방식, 구간(interval) 방식, 시간-횟수(timed-count) 방식, 누적(accumulate) 방식 등이 있다.
상기 RO는 콘스트레인트(constraint)를 포함하는데, 상기 콘스트레인트란 보호된 DRM(DRM-protected) 콘텐츠의 사용을 한정하는 정보로서 RO 내의 특정 필드에 저장된다. 예컨대, 특정 MP3 파일 구입 시, 총 10회 재생(play)이 가능하다면, 카운트 방식의 RO에 10회의 콘스트레인트가 설정된다. 이 경우 MP3 파일이 재생될 때마다 카운트는 1씩 줄어들게 된다. 이후, 10회째 재생에 따라 카운트가 '0'이 되면 더 이상 이 파일의 재생은 불가능하며, RO를 추가로 구매해야만 파일 재생이 가능해진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DRM 콘텐츠의 경우 RO 구매에 의한 인증된 사용자만이 실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DRM 콘텐츠 이용을 위해서 일정 금액을 지불하여야 한다. 즉, 일정 금액의 RO를 구매하여야만 해당 DRM 콘텐츠의 이용이 가능하며, 또한 해당 DRM 콘텐츠의 RO가 만료되면 다시 일정 금액의 RO를 갱신하여야만 이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DRM 콘텐츠 이용에 따른 비용 지출을 발생해야 하며, 이로 인해 사용자의 DRM 콘텐츠 이용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고기반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DRM 콘텐츠를 사용자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고 콘텐츠와 DRM 콘텐츠로 이루어진 패키징 콘텐츠를 제공하며, 상기 광고 콘텐츠의 광고 시청(청취)에 의하여 상기 DRM 콘텐츠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패키징 서버에서 파일럿 콘텐츠와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의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타겟 콘텐츠를 포함하는 패키징 콘텐츠를 제공하는 과정과, 휴대단말에서 상기 패키징 콘텐츠를 구성하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을 통해 상기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획득하고, 상기 복호화키에 의해 상기 타겟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패키징 서버의 콘텐츠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패키징 콘텐츠를 구성할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여 블록화 하는 과정과, 상기 광고 콘텐츠의 각 데이터 블록별로 마일스 톤(milestone)을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각 데이터 블록과 그에 할당된 상기 마일스톤으로부터 분할키를 획득하고, 상기 분할키를 이용하여 타겟 콘텐츠용 암호화키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특정 DRM 콘텐츠를 타겟 콘텐츠로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광고 콘텐츠의 암호화를 위한 랜덤한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를 파일럿 콘텐츠로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럿 콘텐츠와 타겟 콘텐츠를 이용하여 패키징 콘텐츠로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휴대단말의 콘텐츠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패키징 콘텐츠의 재생이 요청되면,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파일럿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럿 콘텐츠 재생 시,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암호화에 대응하는 복호화를 통해 분할키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분할키를 이용하여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복호화키를 이용하여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타겟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파일럿 콘텐츠와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의한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하는 타겟 콘텐츠로 이루어진 패키징 콘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패키징 서버와, 상기 패키징 콘텐츠를 구성하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을 통해 상기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획득하고, 상기 복호화키에 의해 상기 타겟 콘텐츠를 재생하는 휴대단말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광고 콘텐츠를 모두(이율배반 방식) 또는 일부(임계 방식)를 시청(청취)할 경우, 사용자 희망에 따른 DRM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광고 시청에 따라 DRM 콘텐츠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임의로 광고 데이터(영상, 오디오 등)의 스킵과 같은 행위를 방지함으로써, 광고주는 보다 확실한 광고효과 및 회계수집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광고를 시청(청취)하여야만 부가적인 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경제적 측면에서 소비자에게 매력적인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즉, 수초 내지 수십초의 광고 시청(청취)으로 DRM 콘텐츠 재생에 필요한 라이선스 구매 비용을 경감하거나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광고 콘텐츠의 시청(청취)에 대한 서비스 선택권을 부여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즉, <광고 콘텐츠(전체)+DRM 콘텐츠=무료>, <광고 콘텐츠(일부)+DRM 콘텐츠=할인>, <광고 콘텐츠(없음)+DRM 콘텐츠=유료>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 선택권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광고 무시를 방시하여 광고 시청(청취)에 따른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광고주의 요구 사항을 충족 및 광고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제안하는 본 발명은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s Management) 기술이 적용된 콘텐츠(이하, DRM 콘텐츠)의 재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광고서버에서 제공하는 특정 광고에 대한 영상/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고 콘텐츠와, 상기 광고 콘텐츠와 함께 구성되며 사용자가 실제 재생하길 희망하는 DRM 콘텐츠로 구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타겟 콘텐츠용 암호화키 생성을 위해 암호화 되는 광고 콘텐츠를 파일럿 콘텐츠(pilot contents)라 하고,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의해 암호화되는 DRM 콘텐츠를 타겟 콘텐츠(target contents)라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파일럿 콘텐츠는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decryption key)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블록으로 구분되어 암호화(encryption)되는 광고 콘텐츠를 나타낸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파일럿 콘텐츠와 타겟 콘텐츠를 그룹으로 제공하는 콘텐츠를 패키징 콘텐츠(packaging contents)라 한다. 즉, 상기 패키징 콘텐츠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와 상기 타겟 콘텐츠로 이루어진 콘텐츠를 나타낸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패키징 서버에서 파일럿 콘텐츠와 타겟 콘텐츠로 이루어진 패키징 콘텐츠를 제공하고, 휴대단말에서 상기 패키징 콘텐츠가 포함하는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타겟 콘텐츠의 재생을 위한 복호화키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 에 대한 시청(청취)을 행함으로써, 사용자가 희망하는 타겟 콘텐츠를 무료(free)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광고 시청(청취)을 통해 타겟 콘텐츠의 복호화키인 라이선스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사용자는 DRM 콘텐츠 재생을 위한 별도의 비용 지불 없이 무료에 의한 DRM 콘텐츠의 재생이 가능하다. 결국, 사용자 측면에서는 DRM 콘텐츠의 라이선스 구매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광고주 측면에서는 광고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서비스 사업자는 사용자 및 광고주에게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DRM 콘텐츠 서비스 이용율을 높일 수 있으며, DRM 콘텐츠 서비스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 및 상기 시스템 구성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하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크게 광고서버(100)와, 패키징 서버(200)와, 휴대단말(300) 및 RI(Rights Issuer)(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광고서버(100)는 특정 광고를 오디오 데이터(예컨대, 음성광고),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동영상/영상 광고), 텍스트 데이터(예컨대, 텍스트 광고)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형태의 광고 데이터를 포함하는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버 를 나타낸다. 상기 광고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 콘텐츠를 저장하며, 아울러,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광고 콘텐츠를 상기 패키징 서버(200)에 등록할 수 있다.
상기 패키징 서버(200)는 일반 콘텐츠, 광고 콘텐츠, 광고 콘텐츠를 암호화(encryption)한 파일럿 콘텐츠, DRM 기술이 적용된 DRM 콘텐츠, 타겟 콘텐츠, 파일럿 콘텐츠와 타겟 콘텐츠가 결합된 패키징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DB, Data Base)에 저장한다. 상기 패키징 서버(200)는 상기 휴대단말(300)의 요청에 대응하는 해당 콘텐츠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패키징 서버(200)는 파일럿 콘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선스를 저장하거나,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 생성을 상기 RI(400)로 요청할 수 있다.
상기 패키징 서버(200)는 상기 광고서버(100)와 연동하여 광고 콘텐츠를 획득하고, 상기 광고 콘텐츠를 후술하는 바와 같은 암호화에 의거하여 파일럿 콘텐츠로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패키징 서버(200)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의하여 타겟 콘텐츠용 암호화키(encryption key)를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키에 의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를 암호화할 수 있다.
상기 패키징 서버(200)는 상기 휴대단말(300)의 요청에 응답하여 미리 생성하여 저장된 패키징 콘텐츠를 전송하거나, 상기 휴대단말(300)의 요청에 대응하는 파일럿 콘텐츠 및 타겟 콘텐츠를 이용하여 패키징 콘텐츠를 생성한 후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패키징 콘텐츠는 DRM 기술이 적용되어 있음을 가정한다. 상기 DRM이 적용되었다는 의미는 사전 규정된 암호화키 및 암호화 형식을 이용하여 상기 패키징 콘텐츠가 암호화되어 있다는 의미이다.
상기 패키징 서버(200)는 상기 패키징 콘텐츠 생성 시, 상기 패키징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을 위한 라이선스인 공개키(public-key)를 포함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패키징 서버(200)는 상기 패키징 콘텐츠를 상기 휴대단말(300)로 전송 시,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를 생성할 것을 상기 RI(400)로 요청하여, 상기 RI(400)로 하여금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를 상기 휴대단말(300)로 전송하도록 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패키징 서버(200)는 상기 패키징 콘텐츠 전송 시 라이선스에 관련된 동작은 생략하고, 라이선스 획득에 대한 권한을 휴대단말(300)에 일임할 수도 있다.
상기 휴대단말(300)은 상기 패키징 서버(200)에 접속하여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수신한다. 이때, 상기 수신하는 콘텐츠는 패키징 콘텐츠, 광고 콘텐츠, 타겟 콘텐츠(DRM 콘텐츠) 및 일반 콘텐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특히, 상기 휴대단말(300)은 패키징 콘텐츠 재생 시, 상기 패키징 콘텐츠를 구성하는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우선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300)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 재생 시,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라이선스에 의한 복호화를 통해 재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복호화 시 상기 패키징 콘텐츠를 구성하는 타겟 콘텐츠의 복호화를 위한 복호화키 즉, 타겟 콘텐츠용 라이선스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300)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 재생에 따라 획득하는 상기 복호화키에 의하여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타겟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300)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라이선스는 무료에 의해 획득되 며, 상기 패키징 서버(200) 또는 상기 RI(400)와 연동하여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휴대단말(300)은 획득하는 복호화키에 의한 타겟 콘텐츠 재생 전에, 상기 복호화키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불법적인 행위에 의해 생성된 복호화키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에 따라 상기 타겟 콘텐츠에 대한 재생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300)은 획득하는 복호화키가 비정상적인 경우, 상기 비정상의 원인이 파일럿 콘텐츠 자체(데이터 유실 등)에 따른 문제인지 아니면, 사용자의 불법적인 행위에 의한 것인지 판단할 수 있다. 만약, 파일럿 콘텐츠의 문제인 경우, 해당 파일럿 콘텐츠의 복원을 위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복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와 동일한 다른 파일럿 콘텐츠를 패키징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 하는 절차 등일 수 있다.
상기 RI(400)는 파일럿 콘텐츠 및 타겟 콘텐츠(DRM 콘텐츠)에 대한 각각의 라이선스를 관리하는 서버일 수 있다. 상기 라이선스는 소정의 DRM 기술에 의해 암호화된 콘텐츠들에 대한 사용권한을 부여하는 권리증으로서, 해당 콘텐츠를 복호화하는데 사용되는 복호화키 및 사용제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300)은 DRM 시스템에서 규정한 라이선스(공개키, 복호화키)를 부여받아야만 DRM이 적용된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RI(400)는 라이선스 획득을 요청하는 상기 휴대단말(300)의 사용자가 해당 콘텐츠에 대한 정당한 사용자인지를 인증하고, 정당한 사용자이면 DRM 기술이 적용된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를 생성하여 상기 휴대단말(3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라이선스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해당 콘텐츠에 대한 복호화키 및 사용제한정보가 포함되어 전송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라이선스는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을 위한 무료 라이선스(공개키)와, 타겟 콘텐츠(DRM 콘텐츠)의 재생을 위한 유료 라이선스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타겟 콘텐츠의 상기 유료 라이선스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에 의해 생성되는 라이선스로 대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도 1을 참조한 시스템 구성에서 상기 광고서버(100)와, 상기 패키징 서버(200)와, 상기 휴대단말(300) 및 상기 RI(400) 간의 시그널링에 대하여 하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시스템의 각 구성들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상기 및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300)은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패키징 콘텐츠 획득을 위해 해당 패키징 콘텐츠를 제공하는 패키징 서버(200)에 접속하고, 상기 패키징 서버(200)로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획득을 요청할 수 있다(201단계). 그러면 상기 패키징 서버(200)는 상기 휴대단말(200)의 요청에 대응하는 패키징 콘텐츠를 추출 또는 생성한다(203단계).
여기서, 상기 패키징 콘텐츠 추출 또는 생성은, 상기 휴대단말(300)의 요청에 대응하는 이미 구성되어 있는 패키징 콘텐츠를 추출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단말(300)의 요청에 대응하는 파일럿 콘텐츠와 타겟 콘텐츠를 결합하는 패키징 콘텐츠 생성이거나, 또는 상기 휴대단말(300)의 요청에 대응하는 타겟 콘텐츠에 임의의 파일럿 콘텐츠를 랜덤(random)하게 추출하여 결합하는 패키징 콘텐츠 생성 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휴대단말(300)에 의해 특정 광고 콘텐츠 지정에 의한 패키징 콘텐츠가 요청될 시, 상기 특정 광고 콘텐츠를 파일럿 콘텐츠로 변환 즉, 암호화하는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암호화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200)는 상기 패키징 콘텐츠를 상기 휴대단말(300)로 전송하는 시점에서,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RI(400)로 전송할 수 있다(205단계). 그러면, 상기 RI(400)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를 생성하고, 시스템 구성에 따라 상기 라이선스를 해당 휴대단말(3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단말(300)의 라이선스 획득에 대한 요청을 대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패키징 서버(200)는 상기 생성하는 패키징 콘텐츠를 상기 휴대단말(300)로 전송한다(207단계).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300)은 상기 패키징 서버(200)로부터 상기 패키징 콘텐츠를 수신하면, 수신하는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재생 특히, 상기 패키징 콘텐츠 내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을 위한 라이선스를 상기 RI(400)로 요청한다(209단계 ). 그러면, 상기 RI(400)는 상기 휴대단말(300)의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되는 상기 라이선스를 상기 휴대단말(300)로 전송한다(211단계). 상기 라이선스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복호화에 사용되는 무료 라이선스 즉, 공개키일 수 있다. 상기 공개키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암호화 시 이용되는 특정 암호화키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300)은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패키징 콘텐츠에 대한 재생 수행 시,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먼저 수행할 수 있다(213단계). 이때, 상기 휴대단말(300)은 상기 RI(400)로부터 수신하는 라이선스에 의하여,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300)은 타겟 콘텐츠의 복호화를 위한 복호화키를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에 의해 획득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300)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 재생에 따른 복호화(215단계) 시, 상기 파일럿 콘텐츠를 구성하는 각 데이터 블록(data block)들과 그에 할당된 마일스톤(milestone)들로부터 분할키들(partial keys)을 획득하여 버퍼링(buffering)할 수 있다.
상기 분할키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 블록과 그에 매핑되는 마일스톤에 의해 획득되는 임시키로,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 도출을 위해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복호화 시 발생하는 임시키를 나타낸다. 즉, 상기 분할키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 블록들 중 복호화되는 데이터 블록의 개수(또는 마일스톤의 개수)에 대응하게 획득될 수 있다. 만약, 상기 파일럿 콘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 블록의 개수가 n개라 할 시,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전체 재생이 완료 될 시, 즉, n개의 데이터 블록들이 복호화될 시 그에 대응하여 n개의 분할키들이 생성될 수 있다. 이후,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복호화에 따라 획득하는 상기 분할키들을 이용하여 타겟 콘텐츠의 복호화를 위한 최종 복호화키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300)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되면(217단계), 상기 파일럿 콘텐츠 복호화에 따라 생성하는 상기 분할키들을 이용하여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타겟 콘텐츠 재생을 위한 복호화키를 획득한다(219단계). 상기 복호화키는 상기 패키징 서버(200)에서 상기 타겟 콘텐츠 암호화 시 이용되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암호화에 따라 생성하는 암호화키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암호화키 및 복호화키 획득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300)은 상기 획득하는 복호화키에 의해 상기 타겟 콘텐츠를 복호화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수행한다(221단계).
이상에서는 휴대단말(300)이 패키징 서버(200)에 구성된 패키징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재생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패키징 서버(200)가 특정 광고 콘텐츠를 획득하여 파일럿 콘텐츠로 암호화한 후 특정 타겟 콘텐츠와 함께 패키징 콘텐츠로 구성하여, 상기 휴대단말(300)로 전송하는 과정에 대하여 하기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키징 콘텐츠에 의한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300)은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패키징 콘텐츠 획득을 위해 해당 패키징 콘텐츠를 제공하는 패키징 서버(200)에 접속하고, 상기 패키징 서버(200)로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획득을 요청할 수 있다(301단계). 그러면 상기 패키징 서버(200)는 상기 휴대단말(200)의 요청에 대응하는 패키징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패키징 서버(200)는 상기 휴대단말(200)이 요청하는 파일럿 콘텐츠를 판단하고(303단계), 자신에게 등록된 파일럿 콘텐츠를 추출한다(305단계).
이때, 상기 요청되는 파일럿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패키징 서버(200)는 광고서버(100)로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응하는 광고 콘텐츠를 요청할 수 있다(307단계). 그러면 상기 광고서버(100)는 상기 패키징 서버(200)의 광고 콘텐츠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 광고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패키징 서버(200)로 전송한다(309단계).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200)는 상기 획득하는 광고 콘텐츠를 파일럿 콘텐츠로 변환 즉, 암호화하는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311단계).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암호화는 랜덤(random)하게 지정되는 라이선스(공개키)에 의하여 암호화를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암호화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 3에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 패키징 서버(200)는 상기 획득하는 광고 콘텐츠 및 상기 광고 콘텐츠를 변환하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를 저장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200)는 상기 변환하는 파일럿 콘텐츠와 상기 휴 대단말(300)의 요청에 대응하는 타겟 콘텐츠를 포함하여 패키징 콘텐츠로 생성한다(313단계). 이때, 상기 패키징 콘텐츠는 설정 방식에 따라 하나 또는 두 개의 데이터 포맷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패키징 콘텐츠가 하나의 데이터 포맷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러한 데이터 포맷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이어서, 상기 패키징 서버(200)는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상기 RI(400)로 전송할 수 있다(315단계). 그러면, 상기 RI(400)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를 생성하고, 시스템 구성에 따라 상기 라이선스를 해당 휴대단말(300)로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단말(300)의 라이선스 획득에 대한 요청을 대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패키징 서버(200)는 상기 생성하는 패키징 콘텐츠를 상기 휴대단말(300)로 전송한다(317단계).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300)은 상기 패키징 서버(200)로부터 상기 패키징 콘텐츠를 수신하면(319단계), 수신하는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재생 특히, 상기 패키징 콘텐츠 내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을 위한 라이선스를 상기 RI(400)로 요청한다(321단계). 그러면, 상기 RI(400)는 상기 휴대단말(300)의 요청에 응답하여, 요청되는 상기 라이선스를 상기 휴대단말(300)로 전송한다(323단계). 상기 라이선스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복호화에 사용되는 무료 라이선스 즉, 공개키일 수 있다. 상기 공개키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암호화 시 이용되는 특정 암호화키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300)은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패키징 콘텐츠에 대한 재생 수행 시,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먼저 수행한다(325단계). 이때, 상기 휴대단말(300)은 상기 RI(400)로부터 수신하는 라이선스에 의하여,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단말(300)은 타겟 콘텐츠의 복호화를 위한 복호화키를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에 의해 획득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300)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 재생에 따른 복호화(327단계) 시, 상기 복호화하는 파일럿 콘텐츠를 구성하는 각 데이터 블록들과 그에 할당된 마일스톤들로부터 분할키들을 획득하여 버퍼링할 수 있다. 상기 분할키에 대한 설명은 상기 도 2를 참조한 해당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에 대응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300)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파일럿 콘텐츠 복호화에 따라 생성하는 상기 분할키들을 이용하여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타겟 콘텐츠 재생을 위한 복호화키를 획득한다(329단계). 상기 복호화키는 상기 패키징 서버(200)에서 상기 타겟 콘텐츠 암호화 시 이용되는 암호화키에 대응한다. 상기 암호화키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암호화에 따라 생성하는 암호화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암호화키 및 복호화키 획득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300)은 상기 획득하는 복호화키에 의해 상기 타겟 콘텐츠를 복호화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수행한다(331단계).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 및 각 구성 요소 간의 동작 흐름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패키징 서버의 상세 동작에 대하여 하기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동작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키징 서버의 처리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에서는 사용자가 패키징 콘텐츠를 구성하는 타겟 콘텐츠 및 파일럿 콘텐츠를 직접 선택하고,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여 패키징 콘텐츠를 생성하는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패키징 서버는 특정 휴대단말로부터 특정 콘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401단계), 상기 요청되는 특정 콘텐츠가 패키징 콘텐츠인지 일반 DRM 콘텐츠 즉, 타겟 콘텐츠인지 판단한다(403단계). 이때, 상기 도 4의 설명에서는 생략하지만,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휴대단말의 요청에 응답하여 DRM 기술이 적용되지 않은 일반 콘텐츠에 대한 처리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판단결과, 상기 휴대단말에 의해 요청되는 콘텐츠가 타겟 콘텐츠이면,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휴대단말이 요청하는 해당 타겟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한다(405단계). 상기 판단결과, 요청되는 콘텐츠가 패키징 콘텐츠이면,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휴대단말에 의해 요청되는 타겟 콘텐츠 및 파일럿 콘텐츠를 선택하고(407단계), 상기 선택하는 타겟 콘텐츠 및 파일럿 콘텐츠의 결합 및 설정된 암호화 절차에 의하여 패키징 콘텐츠를 생성한다(409단계). 즉,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패키징 콘텐츠를 생성한다.
이어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생성하는 패키징 콘텐츠를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한다(411단계). 이때, 상기 패키징 서버는 RI로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더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 4에서는 사용자가 패키징 콘텐츠를 직접 구성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즉, 패키징 콘텐츠를 구성하는 타겟 콘텐츠와 파일럿 콘텐츠가 사용자 희망에 의해 직접 선택되고,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사용자 선택에 의한 타겟 콘텐츠와 파일럿 콘텐츠를 이용하여 패키징 콘텐츠를 구성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상기 패키징 서버에 구성되어 있는 특정 패키징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요청이 있을 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403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이 요청하는 콘텐츠가 패키징 콘텐츠이면, 요청되는 해당 패키징 콘텐츠를 추출하여 상기 휴대단말로 바로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키징 서버의 처리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에서는 패키징 서버가 광고서버와 연동하여 광고 콘텐츠를 획득하여 파일럿 콘텐츠로 변환한 후, 상기 파일럿 콘텐츠와 타겟 콘텐츠를 이용하여 패키징 콘텐츠를 구성하는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패키징 서버는 특정 휴대단말로부터 패키징 콘텐츠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면(501단계), 상기 요청되는 패키징 콘텐츠가 데이터베이스(DB, Data Base)에 존재하는지 체크할 수 있다(503단계). 여기서, 상기 패키징 콘텐츠에 대한 요청은 사용자가 희망하는 타겟 콘텐츠를 지정하고, 이후 상기 타겟 콘텐츠의 획득 방식을 패키징 콘텐츠에 의한 획득 방식으로 요청하는 경우일 수 있다.
만약, 상기 요청되는 패키징 콘텐츠가 DB에 존재하면, 상기 패키징 서버는 해당 패키징 콘텐츠를 선택하고(505단계), 상기 선택하는 패키징 콘텐츠를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한다(525단계).
반면, 상기 패키징 서버의 DB에 미리 구성된 패키징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타겟 콘텐츠와 함께 패키징 콘텐츠를 구성할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여(507단계), 소정의 파일럿 콘텐츠가 DB에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509단계).
상기 확인결과, 상기 파일럿 콘텐츠가 존재하면,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를 선택하고(511단계),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타겟 콘텐츠와 상기 선택하는 파일럿 콘텐츠를 이용하여 패키징 콘텐츠 생성을 위한 패키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621단계). 상기 패키징 절차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용 암호화키를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키에 의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생성하는 암호화 절차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확인결과, 상기 파일럿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패키징 서버는 광고서버와 연동하여 패키징 콘텐츠를 구성할 특정 광고 콘텐츠를 요청한다(513단계). 이어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광고서버로부터 획득하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파일럿 콘텐츠로 변환한다(515단계). 상기 파일럿 콘텐츠 변환은 랜덤하게 지정 되는 라이선스(공개키)에 의하여 암호화를 진행할 수 있으며, 상기 파일럿 콘텐츠 변환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광고 콘텐츠 및 상기 광고 콘텐츠을 변환하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를 상기 DB에 저장할 수 있다(517단계).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사용자 요청에 따른 타겟 콘텐츠와 상기 파일럿 콘텐츠를 이용하여 패키징 콘텐츠 생성을 위한 패키징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519단계). 즉,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와 타겟 콘텐츠의 결합 및 설정된 암호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패키징 절차에 의하여 패키징 콘텐츠를 생성하고(521단계), 상기 생성하는 패키징 콘텐츠를 상기 DB에 저장할 수 있다(523단계).
이어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휴대단말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패키징 콘텐츠를 상기 휴대단말로 전송한다(627단계). 이때, 상기 패키징 서버는 RI로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 생성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더 전송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키징 서버의 패키징 콘텐츠 생성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패키징 콘텐츠 생성 시, 파일럿 콘텐츠를 이용하여 타겟 콘텐츠를 암호화하는 절차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패키징 서버는 패키징 콘텐츠를 구성할 광고 콘텐츠를 선택한다(601단계). 이때, 상기 광고 콘텐츠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적용되는 파일럿 콘텐츠이거나,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암호화되지 않은 일 반적인 광고 콘텐츠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광고 콘텐츠는 상기 패키징 서버의 DB에 이전에 저장된 콘텐츠이거나, 또는 광고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콘텐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 콘텐츠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콘텐츠이거나, 랜덤 방식에 의해 상기 패키징 서버가 임의로 지정하는 콘텐츠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는 광고 콘텐츠의 암호화 방식을 결정한다(603단계).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파일럿 콘텐츠에 대하여 전체 재생 또는 일부 재생에 따라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파일럿 콘텐츠를 전체 시청(청취)하거나 또는 일부 시청(청취)하는 경우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획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상기 암호화 방식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하여 전체 재생하는 경우에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가 획득되는 이율배반(all or nothing) 방식과,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하여 설정된 일부 구간 이상 재생하는 경우에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가 획득되는 임계(threshold)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율배반 방식은 파일럿 콘텐츠에 대하여 전체 재생이 이루어져야지만 타겟 콘텐츠의 재생을 위한 복호화키가 생성되도록 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상기 임계 방식은 파일럿 콘텐츠에 대하여 설정된 임계 이상의 일부 재생이 이루어지면 타겟 콘텐츠의 재생을 위한 복호화키가 생성되도록 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상기 임계 방식에서는 예를 들어, 상기 파일럿 콘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 블록이 n개일 때, 상기 n개의 데이터 블록 중 t개 이상의 데이터 블록에 대한 복호화가 이루어질 시, 상기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이율배반 방식과 상기 임계 방식에 대한 상세 암호화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이율배반 방식 또는 임계 방식 중 어느 하나의 암호화 방식이 결정되면, 상기 광고 콘텐츠를 블록화 한다(605단계). 즉,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설정된 개수(예컨대, n개, n은 자연수)의 데이터 블록(block)으로 구분하여 나눈다.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결정하는 암호화 방식에 따라 상기 광고 콘텐츠의 각 데이터 블록별로 마일스톤(milestone)을 할당한다. 상기 마일스톤은 파일럿 콘텐츠 내에 포함되는 부가정보로, 사용자의 고의적인 패스트 포워드(fast forward) 등과 같은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할당된다.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는 각 데이터 블록별로 할당된 상기 마일스톤으로부터 분할키(partial key)를 생성하여 저장한다(609단계). 이어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분할키에 의하여 타겟 콘텐츠용 제1암호화키를 생성하고(611단계), 상기 제1암호화키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를 암호화한다(613단계). 즉,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제1암호화키에 의하여 사용자 희망에 따른 특정 DRM 콘텐츠를 암호화함으로써, 상기 패키징 콘텐츠에 이용되는 본 발명의 상기 타겟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설정된 개수의 데이터 블록으로 구분되고, 각 데이터 블록별로 마일스톤이 할당된 광고 콘텐츠의 암호화를 위한 제2암호화키(공개키)를 랜덤하게 선택한다(615단계). 이어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광 고 콘텐츠를 상기 제2암호화키로 암호화하여 파일럿 콘텐츠를 생성한다(617단계).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와 상기 타겟 콘텐츠의 패키징(619단계)에 의하여, 본 발명의 패키징 콘텐츠로 생성한다(621단계). 상기와 같이 생성하는 패키징 콘텐츠의 포맷(format)의 예시가 하기 도 7에 나타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키징 콘텐츠의 포맷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키징 콘텐츠(700)는 헤더(header)(710)와, 파일럿 콘텐츠(730) 및 타겟 콘텐츠(750)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헤더(710)는 상기 콘텐츠가 패키징 콘텐츠임을 나타내는 식별정보와, 상기 패키징 콘텐츠가 이율배반 방식에 의한 것인지 임계 방식에 의한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헤더(710)는 상기 패키징 콘텐츠 재생 시 상기 파일럿 콘텐츠(730)의 재생을 우선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정보 및 상기 파일럿 콘텐츠(730)의 재생을 위한 라이선스(770)를 획득할 수 있는 서버(예컨대, 패키징 서버, RI 등)의 주소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이선스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암호화 시에 이용된 공개키일 수 있다. 상기 주소정보는 해당 서버의 URL(Uniform Resource Location) 정보일 수 있다. 이에 의해, 휴대단말은 파일럿 콘텐츠의 공개키(770)를 획득할 서버를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서버의 URL로 웹 브라우징 등을 통해 상기 파일럿 콘텐츠(730)의 재생을 위한 라이선스(770)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도 7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파일럿 콘텐츠(730)는 무료 라이선스인 상기 공개키(770)에 의해 복호화되어 재생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타겟 콘텐츠(750)는 상기 공개키에 의한 파일럿 콘텐츠(730)의 재생에 따라 생성되는 복호화키에 의해 복호화되어 재생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 상기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파일럿 콘텐츠 및 타겟 콘텐츠에 대한 암호화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럿 콘텐츠 구성 및 상기 파일럿 콘텐츠를 이용한 타겟 콘텐츠의 암호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율배반 방식 및 임계 방식 각각에 따른 동작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이율배반(all or nothing) 방식에 따른 패키징 콘텐츠 생성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패키징 서버는 임의의 광고 콘텐츠를 상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의의 설정된 개수의 데이터 블록(b1 내지 bn)으로 나눈다. 이하, 상기 설정된 개수가 n개(n은 자연수)인 것으로 가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각 데이터 블록(b1 내지 bn)에 할당할 마일스톤(m1 내지 mn)(830)을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하는 마일스톤(m1 내지 mn)(830)의 개수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구분하는 데이터 블록(b1 내지 bn)의 개수(n개)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블록(b1 내지 bn)별로 할당하는 마일스톤(m1 내지 mn)(830)의 크기는 128비트(bit)를 가정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크기는 가변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마일스톤(m1 내지 mn)(830)을 상기 광고 콘텐츠의 각 데이터 블록(b1 내지 bn)에 랜덤하게 할당한다. 상기 도 8에서는 상기 마일스톤(m1 내지 mn)이 순차적으로 할당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마일스톤(m1 내지 mn)은 임의의 순서에 따라 랜덤하게 할당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각 데이터 블록(b1 내지 bn)과, 각 데이터 블록(b1 내지 bn)에 할당되는 상기 마일스톤(m1 내지 mn)(830)으로부터 각 분할키들(partial keys)(K1 내지 Kn)(850)을 계산한다. 상기 분할키들(K1 내지 Kn)(850)은 타겟 콘텐츠의 암호화를 위한 최종 키 즉,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 도출을 위해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암호화 시 발생하는 임시키일 수 있다. 상기 분할키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 블록들(b1 내지 bn) 또는 상기 데이터 블록들(b1 내지 bn)별로 할당하는 마일스톤들(m1 내지 mn)의 개수에 대응하게 획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파일럿 콘텐츠를 구성하는 데이터 블록의 개수가 n개라 할 시, 상기 획득하는 분할키의 개수 역시 n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분할키는 상기 데이터 블록과 마일스톤을 이용하여 하기의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8081968655-pat00001
상기 <수학식 1>에서, 상기 Ki는 임의의 데이터 블록(bi)과 임의의 마일스톤(mi)으로부터 계산되는 분할키를 나타내고, 상기 bi는 상기 임의의 데이터 블록을 나타내며, 상기 mi는 상기 임의의 마일스톤을 나타내며, 상기 Hash는 해시함수(cryptographic hash function)를 나타내며, 상기 Hash1은 상기 해시함수가 광고 콘텐츠의 데이터 블록을 압축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해시함수임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해시함수는 임의의 길이를 가지는 비트 스트링(bit string)을 입력하여 일정한 길이의 랜덤 비트 스트링(random bit string)을 출력하는 함수를 나타낸다. 상기 해시함수는 암호학적으로 안전하기 위해, 특정 출력 값으로부터 입력 값을 예측할 수 없도록 하거나, 또한 동일한 출력을 가지는 서로 다른 입력 값의 계산이 불가능하도록 설계되는 알고리즘이다. 상기 해시함수에 이용되는 알고리즘으로는 많은 알고리즘들이 고안되었으며, 미연방표준인 SHA-1 알고리즘이 가장 널리 사용제품에 사용되고 있으며, RSA 사의 MDS와 유럽표준인 RIPEDMD, 국내표준인 HAS-160 등도 잘 알려진 알고리즘이다.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수학식 1>에 의해 계산하는 각 분할키들(K1 내지 Kn)로부터 타겟 콘텐츠용 암호화키를 생성한다. 상기 타겟 콘텐츠용 암호화키는 하기 <수학식 2>에 의거하여 생성할 수 있다.
Figure 112008081968655-pat00002
상기 <수학식 2>에서, 상기 CEKt는 타겟 콘텐츠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키를 나타내고, 상기 K1 내지 Kn은 <수학식 1>에 의해 계산되는 각 분할키를 나타내며, 상기 Hash는 해시함수를 나타내며, 상기 Hash2는 상기 해시함수가 타겟 콘텐츠용 암호화키를 생성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해시함수임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수학식 2>와 같이 산출하는 타겟 콘텐츠용 암호화키(CEKt)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를 암호화한다. 이때, 상기 암호화키를 이용한 타겟 콘텐츠의 암호화 과정은 표준 규약(예컨대, OMA-DRM 2.x)의 규정에 따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암호화하기 위한 파일럿 콘텐츠용 암호화키(CEKp)를 랜덤하게 선택한다. 상기 파일럿 콘텐츠용 암호화키(CEKp)는 일반적으로 128비트(bit) 스트링을 가지는 공개키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상기 파일럿 콘텐츠용 암호화키(CEKp)로 암 호화하여 파일럿 콘텐츠(810)를 생성한다. 상기 파일럿 콘텐츠용 암호화키(CEKp)를 이용한 상기 광고 콘텐츠의 암호화 과정은 표준 규약(예컨대, OMA-DRM 2.x)의 규정에 따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와 상기 타겟 콘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패키징 콘텐츠를 생성한다. 아울러, 상기 패키징 서버는 부가적으로, 상기 파일럿 콘텐츠용 암호화키(CEKp)를 휴대단말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파일럿 콘텐츠용 암호화키(CEKp) 및 각종 부가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패키징 콘텐츠를 위한 최종 라이선스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공개키를 이용한 암호화 과정은 표준 규약(예컨대, OMA-DRM 2.x)의 규정에 따를 수 있으며, 상기 부가정보는 퍼미션(permissions), 콘스트레인트(constraint) 등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이율배반 방식에 따른 패키징 콘텐츠 생성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임계(threshold) 방식에 따른 패키징 콘텐츠 생성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상기 임계 방식은 총 n개의 마일스톤이 정의된 경우 설정된 개수(예컨대, t개) 이상의 마이스톤에 따른 분할키를 획득할 시 타겟 콘텐츠의 복호 즉,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식을 나타낸다. 즉, 상기 이율배반 방식에 대비하면, n개의 데이터 블록들(마일스톤들) 중 t개 이상의 데이터 블록들에 의한 분할키 값을 획득하면 상기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CEKt)를 획득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패키징 서버는 상기 임계 방식에서 이용되는 파라미터(parameter)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상기 패키징 서버는 마일스톤의 총 개수(n)와, 다항식 f(x)를 위한 랜덤 소수(p)와, 임계 방식에 따라 최소한 복호화되어야 할 마일스톤의 개수(t)를 각각 정의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각 데이터 블록(b1 내지 bn)에 할당할 마일스톤의 총 개수(n)를 결정한다. 상기 마일스톤의 총 개수는 상기 데이터 블록(b1 내지 bn)의 개수에 대응하거나, 적은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마일스톤의 개수가 상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n개라 가정한다.
이어서, 상기 패키징 서버는 갈루아체(Galois Field)(GF(p)) 상의 다항식 f(x)의 계수(coefficients)(a0)를 랜덤하게 생성한다. 상기 계수(a0)는 양의 정수 값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갈루어체 GF(p)는 추상대수학 혹은 체이론(field theory)에서 정의하는 유한체(finite field)를 일컫는 다른 말을 나타낸다. 상기 GF(p)는 수학적으로 특수한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암호학, 코딩 이론(coding theory) 등에 사용된다. 상기 GF(p)는 p개의 원소를 가지는 유한체이다. 상기 p는 소수(prime number)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체(field)란 사칙연산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수체계라고 정의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원소(p)가 유한인 것만을 이용한다.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는 어떤 소수(prime number) p에 대해서 {0, 1, 2, ..., p-1}로 이루어진 집합을 가정할 때, 이 수들의 연산은 일반 자연수의 연산처럼 수행한 후에 p로 나눈 나머지를 취하는 방식이다. 즉, 소수 p에 대해 GF(p)는 {0, 1, 2, ..., p-1}에 나머지 연산(modular arithmetic)을 주면 된다. 이하, 이런 유한체들을 부울리언 대수(Zp)라고 한다.
통상적으로, 상기와 같이 어떤 체가 있으면, 그 체의 확장체(extension field)를 생각할 수 있다. 상기 확장체란 원래의 체에 새로운 원소들을 추가해서 여전히 체가 되도록 만든 것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유리수와 실수, 실수와 복소수가 확장체의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체를 만들 때 가장 자연스럽고 기본적인 방법은 다항식(f(x))을 생각해서 그 근을 추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실수에서 "x2 + 1 = 0" 이라는 다항식을 생각하면, 실수에서는 근이 없기 때문에 허수 i를 추가하게 되고 복소수라는 확장체를 얻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어떤 체가 있고 그 체의 원소들을 계수로 갖는 다항식을 생각했을 때 그 다항식의 근을 모두 포함하는 확장체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어떤 유한체가 있을 때 그 유한체는 어떤 소수 p에 대해서 Zp의 확장체(extension field)이고, 이때 상기 p는 유일하게 결정된다. 다시 말해, 어떤 유한체이든 Zp에 몇 개의 원소들을 추가해서 여전히 체가 되도록 만든 것이다. 아울러, 어떤 유한체도 어떤 소수 p와 자연수 n에 대해서 Zp의 원소들에 다항식
Figure 112008081968655-pat00003
의 근들만을 추가한 Zp 의 확장체가 된다. 상기 다항식의 차수는 pn이고, 원소의 총 개수는 pn 개가 된다.
따라서 GF(28)이란 부울리언 대수 Z2에 다항식
Figure 112008081968655-pat00004
의 근들을 추가한 확장체이고 원소의 개수는 28 = 256 개인 유한체가 된다.
상기한 이론에서와 같이, 임의의 f(x)를 이용하여 파일럿 콘텐츠의 데이터 블록들 중 타겟 콘텐츠의 정상적인 복호화키를 생성할 수 있는 임의의 개수의 분할키(Si) 값을 결정(n개 결정)할 수 있으며, 이후 휴대단말은 파일럿 콘텐츠 복호화 시, 상기 결정되는 개수(t개) 이상의 분할키(Si)에 의하여 정상적인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다항식 f(x)를 구하기 위한 랜덤 소수 p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랜덤 소수 p는 하기 <수학식 3>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값을 결정한다.
Figure 112008081968655-pat00005
상기 <수학식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랜덤하게 생성하는 양의 정수 a0 값과, 상기 마일스톤의 총 개수의 값(n) 중, 큰 값을 가지는 어느 파라미터의 값보다 큰 랜덤 소수 p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0=10이고, n=7이라 가정할 시, 랜덤 소수 p는 10보다 큰 값으로 결정하고, a0=5이고, n=9라 가정할 시 랜덤 소수 p는 9보다 큰 값으로 결정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다항식 f(x)의 계수를 상기 랜덤 소수 p보다 작은 t-1개의 양의 정수로 선택하고, 이를 다항식 f(x)의 계수 a1, a2, ..., at-1로 정의한다. 상기 다항식 f(x)의 계수들 중 a0은 상기한 절차에서 이미 생성되므로 여기서는 생략된다. 즉, 상기 다항식 f(x)의 계수들은 상기 a0을 포함하여 상기 t-1개의 나머지 계수들에 의하여 상기 t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계수 a0, a1, a2, ..., at-1를 이용하여 Galois field GF(p) 상의 다항식 f(x)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GF(p) 상의 다항식 f(x)는 하기 <수학식 4>에 의거하여 획득할 수 있다.
Figure 112008081968655-pat00006
그리고 상기 패키징 서버는 랜덤하게 생성하는 상기 계수(a0)를 이용하여 타겟 콘텐츠의 암호화를 위한 암호화키(타겟 콘텐츠용 암호화키)(CEKt)를 생성한다. 상기 타겟 콘텐츠용 암호화키(CEKt)는 하기 <수학식 5>에 의거하여 생성할 수 있다.
Figure 112008081968655-pat00007
상기 <수학식 5>에서, 상기 CEKt는 타겟 콘텐츠를 암호화하기 위한 암호화키를 나타내고, 상기 a0는 다항식 f(x)의 계수(coefficient)를 나타내며, 상기 f(x)는 GF(p) 상의 다항식을 나타내고, 상기 Hash는 해시함수를 나타내며, 상기 Hash2는 타겟 콘텐츠용 비밀키를 생성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해시함수임을 나타낸다. 이때, 상기 암호화키 CEKt는 이후 휴대단말에서 상기 타겟 콘텐츠의 복호화를 위해 계산되는 복호화키에 대응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임계 방식에 따른 파라미터를 미리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임계 방식에 따른 패키징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임계 방식에 따른 패키징 콘텐츠 생성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먼저 패키징 서버는 임의의 광고 콘텐츠를 상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의의 설정된 개수의 데이터 블록(b1 내지 bn)으로 나눈다. 이하, 상기 설정된 개수가 n개(n은 자연수)인 것으로 가정한다.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각 데이터 블록(b1 내지 bn)에 할당할 마일스톤(m1 내지 mn)(830)을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하는 마일 스톤(m1 내지 mn)(830)의 개수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구분하는 데이터 블록(b1 내지 bn)의 개수(n개)에 대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마일스톤(m1 내지 mn)(830) 중 임계 방식에 따라 설정된 개수의 최소한의 분할키를 생성하기 위한 마일스톤을 결정한다. 여기서, 임계 방식에서 정의하는 상기 분할키를 이하에서는 쉐어(share)(Si)라 명명한다.
즉,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각 데이터 블록(b1 내지 bn)에 대응하는 쉐어(share)(Si) 및 마일스톤(mi) 값을 도출해낸다. 상기 쉐어(Si) 및 마일스톤(mi)은 각각 하기 <수학식 6> 및 <수학식 7>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8081968655-pat00008
Figure 112008081968655-pat00009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마일스톤(m1 내지 mn)(830)을 상기 광고 콘텐츠의 각 데이터 블록(b1 내지 bn)에 랜덤하게 할당한다. 상기 도 8에서는 상기 마일스톤(m1 내지 mn)이 순차적으로 할당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마일스톤(m1 내지 mn)은 임의의 순서에 따라 랜덤하게 할당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광고 콘텐츠의 각 데이터 블록(b1 내지 bn)과, 각 데이터 블록(b1 내지 bn)에 할당되는 상기 마일스톤(m1 내지 mn)(830)으로부터 최소한의 개수에 대응하는 분할키들을 계산한다.
만약, 상기 최소한의 개수에 대응하는 분할키가 (K1 내지 Kn)일 시, 상기 분할키는 상기 데이터 블록(b1 내지 bn)과 마일스톤(m1 내지 mn)(830)을 이용하여 상기의 <수학식 1>과 같이 계산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최소한의 개수에 대응하는 분할키가 임의의 개수 (K1 내지 Kp)일 수, 상기 임의의 분할키는 상기 데이터 블록(b1 내지 bn)과 마일스톤(m1 내지 mn)(830) 및 상기의 <수학식 1>에 의거하여 상기 임의의 개수 (K1 내지 Kp)에 대응하는 분할키를 계산할 수 있다. 즉, 이율배반 방식의 경우 상기 데이터 블록(또는 마일스톤)의 개수 n개에 대응하는 n개의 분할키를 획득하는 반면, 상기 임계 방식의 경우 상기 데이터 블록(또는 마일스톤)의 개수 n개와 동일하거나, 적은 p개의 분할키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수학식 5>와 같이 산출하는 타겟 콘텐츠용 암호화키(CEKt)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를 암호화한다. 이때, 상기 암호화키를 이용한 타겟 콘텐츠의 암호화 과정은 표준 규약(예컨대, OMA-DRM 2.x)의 규정에 따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암호화하기 위한 파일럿 콘텐츠용 암호화키(CEKp)를 랜덤하게 선택한다. 상기 파일럿 콘텐츠용 암호화키(CEKp)는 일반적으로 128비트(bit) 스트링을 가지는 공개키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상기 파일럿 콘텐츠용 암호화키(CEKp)로 암호화하여 파일럿 콘텐츠(810)를 생성한다. 상기 파일럿 콘텐츠용 암호화키(CEKp)를 이용한 상기 광고 콘텐츠의 암호화 과정은 표준 규약(예컨대, OMA-DRM 2.x)의 규정에 따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와 상기 타겟 콘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패키징 콘텐츠를 생성한다. 아울러, 상기 패키징 서버는 부가적으로, 상기 파일럿 콘텐츠용 암호화키(CEKp)를 휴대단말의 공개키를 이용하여 암호화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파일럿 콘텐츠용 암호화키(CEKp) 및 각종 부가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패키징 콘텐츠를 위한 최종 라이선스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공개키를 이용한 암호화 과정은 표준 규약(예컨대, OMA-DRM 2.x)의 규정에 따를 수 있으며, 상기 부가정보는 퍼미션(permissions), 콘스트레인트(constraint) 등의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패키징 서버에 대한 상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 대한 상세 동작에 대하여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동작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 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처리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9에서는 사용자 선택에 대응하는 타겟 콘텐츠 및 파일럿 콘텐츠를 요청하여 다운로드하는 동작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은 사용자로부터 콘텐츠 획득 요청을 감지하면(901단계), 패키징 서버로 접속하여(903단계), 상기 패키징 서버와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웹 브라우징을 수행할 수 있다(905단계). 사용자는 상기 휴대단말이 상기 패키징 서버에 접속하면, 웹 브라우징을 통해 사용자가 희망하는 파일럿 콘텐츠 및 타겟 콘텐츠를 지정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일반 콘텐츠, 파일럿 콘텐츠, 타겟 콘텐츠, 패키징 콘텐츠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콘텐츠를 선택 지정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타겟 콘텐츠 지정 시, 상기 타겟 콘텐츠에 대하여 패키징 콘텐츠 방식으로 요청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여기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타겟 콘텐츠와 함께 구성할 파일럿 콘텐츠를 랜덤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패키징 콘텐츠를 위한 파일럿 콘텐츠를 직접 지정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웹 브라우징을 통해 사용자 선택에 따른 콘텐츠를 설정하는 메시지를 상기 패키징 서버와 교신할 수 있다(907단계).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콘텐츠에 대한 설정이 완료되어 사용자로부터 다운로드 요청이 발생하는지 체크한다(909단계).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다운로드 요청이 감지되지 않으면, 사용자 요청에 따른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913단계). 상기 해당 동작 수행은 상기 907단계의 콘텐츠 설정을 계속하여 수행하거나, 다른 콘텐츠를 복수개 선택하는 과정을 수행하거나, 상기 패키징 서버와의 접속을 종료하는 등의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휴대단말은 다운로드 요청을 감지하면, 상기 907단계에서 설정된 해당 콘텐츠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할 수 있다(911단계). 이때, 패키징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를 감지할 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무료 라이선스(공개키)를 획득하는 절차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무료 라이선스 획득은 상기 패키징 콘텐츠에 포함되는 RI의 URL에 의하여, 해당 RI로 접속한 후 획득하는 등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료 라이선스 획득은 상기 패키징 콘텐츠 획득 시 상기 패키징 서버로부터 함께 획득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패키징 콘텐츠 재생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은 특정 콘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을 감지하면(1001단계), 재생 요청되는 상기 특정 콘텐츠의 타입을 체크할 수 있다(1003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특정 콘텐츠가 일반 콘텐츠인지, DRM 콘텐츠인지 또는 패키징 콘텐츠인지 체크할 수 있다(1005단계). 이러한 콘텐츠 타입 판단은 해당 콘텐츠 포맷의 헤더에 포함된 정보에 의거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도 10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특정 콘텐츠가 패키징 콘텐츠인 경우를 대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특정 콘텐츠의 타입이 상기 일반 콘텐츠 또는 DRM 콘텐츠이면, 상기 휴대단말은 해당 콘텐츠에 대한 재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1007단계). 이러한 재생 동작은 주지 공용의 기술에 대응하며, 특히 DRM 콘텐츠의 재생 동작은 표준 규약(예컨대, OMA-DRM 2.x)의 규정에 따를 수 있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반면, 상기 특정 콘텐츠의 타입이 상기 패키징 콘텐츠이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우선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에 필요한 라이선스를 검색한다(1009단계). 여기서, 상기 라이선스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복호화에 사용되는 라이선스로, 전술한 바와 같이 공개키에 대응하는 무료 라이선스일 수 있다. 상기 라이선스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암호화 시 이용되는 특정 암호화키에 대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라이선스 검색에 의하여,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선스의 존재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1011단계). 상기 라이선스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단말은 라이선스 획득 정보를 추출한다(1013단계). 상기 라이선스 획득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헤더에 포함되는 RI의 URL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RI의 URL에 의거하여 해당 RI로 접속하고(1015단계), 상기 RI로부터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를 획득하여 저장할 수 있다(1017단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 획득이 완료되면 101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라이선스에 의한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반면, 상기 라이선스가 존재하거나, 또는 상기 1013단계 내지 1017단계에 의하여 라이선스가 획득되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1019단계).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 시,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암호화에 대응하는 복호화를 수행하여 적어도 하나의 분할키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분할키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 재생에 따른 복호화 시, 상기 파일럿 콘텐츠를 구성하는 각 데이터 블록들과 그에 할당된 마일스톤들로부터 분할키를 획득하여 버퍼링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완료됨을 감지하면(1021단계), 상기에서 파일럿 콘텐츠 복호화에 따라 획득하여 버퍼링 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분할키를 이용하여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생성한다(1023단계). 상기 복호화키는 상기 패키징 서버에서 상기 타겟 콘텐츠 암호화 시 이용되는 암호화키에 대응한다. 상기 암호화키는 상기 패키징 서버에서 상기 파일럿 콘텐츠 암호화에 따라 생성하는 암호화키일 수 있다. 상기 1019단계 내지 1023단계에서 상기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생성하는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 완료 여부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전체 재생 완료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의 생성이 완료되는 시점이거나, 또는 사용자 요청에 의한 재생 완료 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생성하는 복호화키를 설정된 방식에 따라 체크하여(1025단계), 상기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의 정상 여부를 판별한다(1027단계). 즉, 사용자의 불법적인 행위(스킵, 패스트 포워드 등)에 의해 생성된 복호화키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생성하는 복호화키가 정상적인 복호화키가 아니면, 상기 휴대단말은 설정된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1031단계).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타겟 콘텐츠 재생을 위한 복호화키가 비정상임을 알리는 경고 및 안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 재생 후의 상기 타겟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무시하고, 다시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한 패키징 콘텐츠 재생 동작을 종료할 수도 있다. 상기 복호화키가 비정상적인 경우는, 사용자가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 시 스킵(skip) 또는 패스트 포워드(fast forward) 등을 수행함에 따라,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 생성을 위한 필요조건(복호화키 생성에 필요한 분할키의 부족 등)들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일 수 있다.
반면, 상기 생성하는 복호화키가 정상적인 복호화키이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에 이어서, 상기 복호화키에 의거하여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타겟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처리한다(1029단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1을 참조하면, 휴대단말은 사용자의 패키징 콘텐츠 재생 요청에 응 답하여,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먼저 수행할 수 있다(1101단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 재생 시,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데이터 블록들에 대한 복호화(1103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1103단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암호화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복호화에 의하여,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데이터 블록 및 그에 할당된 마일스톤에 의거하여 분할키를 획득하여 버퍼링할 수 있다(1105단계).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이율배반 방식 또는 임계 방식에 따른 분할키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에서 획득하여 버퍼링 하는 분할키를 저장한다(1107단계). 이때, 상기 저장은 상기 복호화에 따라 획득하는 분할키의 개수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키가 저장되며, 다수개의 분할키가 획득될 시 해당 분할키들을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한 절차 진행 중에,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 완료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1109단계). 여기서,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 완료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전체 재생 완료이거나, 또는 상기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의 생성이 완료되는 시점이거나, 또는 사용자 요청에 의한 재생 완료 등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 완료를 감지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획득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키를 이용하여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 생성 알고리즘을 수행하고(1111단계), 이를 통해 상기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획득한다(1113단계). 이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획득하는 복호화키에 대한 정상 여부를 판별하고, 정상적인 복호화키일 시 상기 복호화키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상기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처리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이율배반 방식 또는 임계 방식에 대응하는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이율배반 방식에 따라 암호화된 파일럿 콘텐츠로부터 상기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획득하는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 선택에 따른 패키징 콘텐츠의 파일럿 콘텐츠에 대응하는 무료 라이선스를 획득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무료 라이선스를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을 위한 공개키(CEKp)라 한다. 상기 공개키(CEKp)의 획득 방법은 표준 규약(예컨대, OMA-DRM 2.x)의 규정에 따를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재생 요청 또는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타겟 콘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을 감지하면, 상기 공개키(CEKp)에 의하여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우선적으로 수행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 재생 시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 획득을 위한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상기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공개키(CEKp)를 이용하여,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첫 번째 데이터 블록(b1)을 복호화하고, 상기 첫 번째 데이터 블록(b1)이 재생될 때, 상기 첫 번째 데이터 블록(b1)에 매핑된 마일스톤(m1)의 값을 읽어 들인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마일스톤(m1)에 의하여 첫 번째 분할키(K1)를 계산하여 임시 저장한다. 상기 분할키(K1)는 하기 <수학식 8>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8081968655-pat00010
상기 <수학식 8>에서, 상기 K1은 파일럿 콘텐츠의 첫 번째 데이터 블록(b1)과 첫 번째 데이터 블록(b1)에 매핑된 첫 번째 마일스톤(m1)로부터 계산되는 첫 번째 분할키를 나타내고, 상기 b1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첫 번째 데이터 블록을 나타내며, 상기 m1은 상기 첫 번째 데이터 블록(b1)에 대응하는 첫 번째 마일스톤을 나타내며, 상기 Hash는 해시함수(cryptographic hash function)를 나타내며, 상기 Hash1은 파일럿 콘텐츠의 데이터 블록을 복호화에 사용되는 해시함수임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와 같은 분할키 획득 절차를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완료되는 시점까지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수학식 8>에 근거하여 두 번째 내지 n 번째 분할키를 계산할 수 있다. 이를 정형화하면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의 분할키 획득은 상기 패키징 서버의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암호화에 대응하는 방식의 복호화에 의하여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수학식 1>에 의거하여 첫 번째 분할키(K1)부터 n 번째 분할키(Kn)까지 획득하면, 상기 첫 번째 분할키(K1) 내지 n 번째 분할키(Kn)로부터 상기 타겟 콘텐츠용 라이선스인 복호화키(CEKt)를 생성한다. 상기 복호화키는 전술한 패키징 서버에서 상기와 같은 분할키들에 의해 생성하는 암호화키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복호화키(CEKt)를 생성하는 계산식을 나타내면 상기 <수학식 2>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수학식 2>에서 CEKt는 타겟 콘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키로 명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생성하는 복호화키(CEKt)를 이용하여, 타겟 콘텐츠를 복호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복호화에 의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를 재생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한 절차에 따라 타겟 콘텐츠에 대한 재생 후, 상기 복호화키에 대한 폐기 또는 부가적인 DRM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타겟 콘텐츠용 복호하키는 파일럿 콘텐츠 재생에 의해 생성되는 임시 복호화키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임시 복호화키에 의한 타겟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될 시 해당 임시 복호화키를 폐기하는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이율배반 방식에 따른 패키징 콘텐츠 재생 시의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획득하는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임계 방식에 따른 패키징 콘텐츠 재생 시의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획득하는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 선택에 따른 패키징 콘텐츠의 파일럿 콘텐츠에 대응하는 무료 라이선스를 획득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무료 라이선스를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을 위한 공개키(CEKp)라 한다. 상기 공개키(CEKp)의 획득 방법은 표준 규약(예컨대, OMA-DRM 2.x)의 규정에 따를 수 있으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재생 요청 또는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타겟 콘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을 감지하면, 상기 공개키(CEKp)에 의하여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우선적으로 수행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 재생 시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 획득을 위한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상기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공개키(CEKp)를 이용하여,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첫 번째 데이터 블록(b1)을 복호화하고, 상기 첫 번째 데이터 블록(b1)이 재생될 때, 상기 첫 번째 데이터 블록(b1)에 매핑된 마일스톤(m1)의 값을 읽어 들인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 은 상기 마일스톤(m1)에 의하여 첫 번째 쉐어(S1)를 계산하여 임시 저장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패키징 서버의 동작에 대응하는 상기 <수학식 7>의 응용에 의하여, 각 마일스톤(mi)에 대응하는 각 쉐어(Si)를 계산할 수 있다. 상기 각 마일스톤(mi)에 따른 각 쉐어(Si)는 하기 <수학식 9>에 의거하여 계산할 수 있다. `
Figure 112008081968655-pat00011
한편, 사용자는 임계 방식에 따라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일부분만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스트 포워드 등에 의해 타겟 콘텐츠를 스킵하면서 재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타겟 콘텐츠 재생 방식에 따라 복호화되는 타겟 콘텐츠의 데이터 블록이 t개이고,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 생성을 위한 최소한으로 재생되는 데이터 블록이 t개인 것으로 가정한다. 만약, 복호화키 생성을 위한 상기 t개에 대한 데이터 블록이 복호화되지 않고, 상기 t개보다 작은 개수의 데이터 블록이 복호화될 경우 정상적인 복호화키는 생성되지 않는다. 결국, 상기 타겟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데이터 블록이 복호화된 개수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은 복호화되는 데이터 블록과 상기 데이터 블록에 매핑된 마일스톤을 이용 한 상기 <수학식 9>에 의거하여 각 쉐어(S1, S2, ..., St)를 계산한다. 여기서, 상기 각 쉐어는 사용자에 의해 재생되는 데이터 블록 또는 마일스톤의 개수인 t개에 대응하게 계산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계산하는 각 쉐어(S1, S2, ..., St)에 의하여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 생성을 위한 계수(a0)를 계산한다. 상기 계수(a0)는 하기 <수학식 10>에 의하여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8081968655-pat00012
상기 <수학식 10>에서, 파라미터 x 및 y는 각각 상기 <수학식 9>의 i와 쉐어(Si)에 각각 대응한다. 즉, (x, y)=(i, Si)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t=3이고, (x1, y1), (x2, y2), (x3, y3)을 가정하여 상기 <수학식 10>에 대입하여 살펴보면, 상기 계수(a0)는 하기 <수학식 11>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8081968655-pat00013
여기서, 상기 <수학식 11>에 (x1, y1)=(1, 3), (x2, y2)=(2, 5), (x3, y3)=(3, 10)을 가정하여 대입하면, 상기 계수(a0)는 4(a0=4)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계산하는 계수(a0)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용 라이선스인 복호화키(CEKt)를 생성한다. 상기 복호화키는 전술한 패키징 서버에서 랜덤 계수(a0)에 의해 생성하는 암호화키에 대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계수(a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된 개수(t개)에 대응하는 파일럿 콘텐츠의 각 데이터 블록들(t개)과 마일스톤들(t개)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CEKt)를 생성하는 계산식을 나타내면 상기 <수학식 5>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수학식 5>에서 CEKt는 타겟 콘텐츠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키로 명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생성하는 복호화키(CEKt)를 이용하여, 타겟 콘텐츠를 복호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복호화에 의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를 재생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한 절차에 따라 타겟 콘텐츠에 대한 재생 후, 상기 복호화키에 대한 폐기 또는 부가적인 DRM 처리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타겟 콘텐츠용 복호하키는 파일럿 콘텐츠 재생에 의해 생성되는 임시 복호화키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임시 복호화키에 의한 타겟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될 시 해당 임시 복호화키를 폐기하는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이율배반 방식 및 임계 방식에 따른 패키징 콘텐츠 생성 및 패키징 콘텐츠의 재생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 이율배반 방식 및 임계 방식에 기반하여 다른 응용 방식에도 확장하여 적용할 수 있으면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응용 방식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즉,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들에서는 마일스톤(milestone)의 개수가 파일럿 콘텐츠의 데이터 블록(data block)의 개수와 동일하도록 설계하였다. 다시 말해, n개의 데이터 블록과 n개의 마일스톤을 가정하고 동작을 설명하였다. 이때, 상기 n의 숫자가 큰 값이 되면 분할키(partial key)를 복원하는데 많은 연산량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한된 성능의 시스템에서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광고 프로바이더(provider) 입장에서는 광고의 전체 내용보다는 특정 부분에서 사용자가 광고를 시청(청취)했다는 점이 중요할 수 있다. 즉, 광고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사용자의 장기기억(long-term memory)에 얼마나 잘 인식되었나 및 효과적으로 인식되었나가 중요하며 이는 고객이 해당 제품을 구매할 때 연상작용을 보다 더 효과적으로 불러일으킬 수 있게 한다. 이런 연구는 광고 마켓팅 분야의 ad-recognition/ad-awareness 혹은 ad-tracking 분야의 주안점이다.
따라서 파일럿 콘텐츠의 마일스톤의 개수를 데이터 블록의 개수와 다르게 설정 즉, 데이터 블록의 개수보다 작게 설정하고, 상기 마일스톤의 위치를 랜덤하게 배치하더라도 본 발명의 궁극적 목적에 벗어나지 않고, 오히려 더 효율적인 시스템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마일스톤의 개수 및 위치, 그리고 어느 데이터 블록과 논리연산(예컨대, 배타적 논리합, XOR) 오퍼레이션을 취할지에 대한 정보를 부가적 으로 더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상기 휴대단말이 패키징 콘텐츠를 이용함에 있어서, 파일럿 콘텐츠 재생 시 그의 재생 정보를 카운트하고,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설정된 조건 이상 재생된 경우,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 없이도 타겟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자유롭도록 하는 실시 예에 대하여 하기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패키징 콘텐츠 재생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은 패키징 콘텐츠의 재생 요청을 감지하면(1201단계), 상기 재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패키징 콘텐츠에 대한 재생 정보를 체크한다(1203단계).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재생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타겟 콘텐츠에 대한 복호화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1203단계).
상기 복호화키가 존재할 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스킵하고(1205단계), 상기 복호화키에 의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를 재생한다(1207단계).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복호화키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수행한다(1209단계). 아울러,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 재생 시,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구분된 각 데이터 블록에 대한 복호화를 통해 분할키를 획득한다(1211단계). 다음으로,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완료될 시(1213단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복호화에 따라 획득하는 분할키들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에 대한 임시 복호화키를 획득한다(1215단계).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획득하는 상기 임시 복호화키를 설정된 방식에 따라 체크하여, 상기 임시 복호화키의 정상 여부를 판별한다(1217단계). 이때, 상기 획득하는 임시 복호화키가 정상적인 복호화키가 아니면, 상기 휴대단말은 설정된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1219단계).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획득하는 임시 복호화키가 비정상적인 동작에 의해 획득되어 타겟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수행할 수 없음을 알리고,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재수행하거나, 또는 상기한 재생 절차를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비정상적인 동작은, 사용자가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 시 스킵 또는 패스트 포워드 등을 수행함에 따라 복호화키 생성을 위한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낼 수 있다.
반면, 상기 획득하는 상기 임시 복호화키가 정상적인 복호화키이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 조건을 체크한다(1221단계). 상기 재생 조건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정상적인 재생 절차가 진행된 횟수 또는 시간 등과 같은 조건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에서 재생 진행된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 정보를 카운트하고,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 정보가 상기 재생 조건을 충족하는지 판단한다(1223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에 따라 정상적인 복호화키가 획득될 시, 상기 정상적인 복호화키가 획득됨에 따른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이 상기한 조건에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재생 조건이 10회의 재생 조건으로 설정될 시, 만약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 횟수와 비교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비교에 의거하여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10회째 재생인지 아닌지를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하여 정상적인 재생이 이루어질 시, 그에 대한 재생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결국,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누적하는 재생 정보와 상기 재생 조건의 비교에 의하여 상기 조건 충족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조건을 충족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임시 복호화키에 의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수행한다(1225단계). 이후, 상기 임시 복호화키에 의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완료되면(1227단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임시 복호화키를 정상적인 복호화키로서 저장한다(1229단계). 따라서 이후, 상기 휴대단말은 저장하는 복호화키에 의하여 상기 1203단계의 복호화키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재생 정보를 업데이트한다(1231단계). 즉, 상기 재생 정보를 이전의 재생 정보에 누적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임시 복호화키에 의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수행한다(1233단계). 이후, 상기 임시 복호화키에 의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완료되면(1235단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임시 복호화키를 폐기한다(1237단계). 즉, 상기 파일럿 콘텐츠 재생에 의해 획득하여 임시 저장하는 상기 복호화키를 상기 휴대단말 내에서 삭제한다.
상기 도 12와 같은 절차에 의하여, 사용자는 설정된 조건 이상의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정상적인 시청(청취)을 수행할 시, 이후에는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시청(청취)의 생략이 가능하며, 사용자 희망에 따라 타겟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바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의 정상 여부 판단은, 사용자의 비정상적인 행위에 의해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불법적인 재생 행위를 판단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 이는, 파일럿 콘텐츠 재생 시 사용자의 스킵 등에 의해 정상적인 시청(청취)이 이루어지지 않을 시, 타겟 콘텐츠의 재생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파일럿 콘텐츠에 대하여 정상적인 시청(청취)을 수행하더라도, 유효한 복호화키가 생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송 중에 파일럿 콘텐츠의 특정 데이터 블록에 데이터 유실이 있을 경우, 휴대단말이 파일럿 콘텐츠 재생에 따른 복호화키를 도출하더라도, 상기 복호화키는 유효하지 않은 복호화키가 된다. 따라서 상기 복호화키에 의해서는 타겟 콘텐츠에 대한 재생이 불가능하며, 사용자는 정상적으로 파일럿 콘텐츠를 시청(청취)함에도 불구하고, 타겟 콘텐츠를 재생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도출하는 복호화키의 유효 여부를 체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즉, 파일럿 콘텐츠 재생에 따라 생성하는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정상 생성 여부를 판별하는 것과 더불어, 하기와 같이 상기 복호화키 자체의 유효 여부를 판별하는 절차를 더 진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하는 본 발명의 복호화키 유효 여부 판단은, 상기한 이율배반 방식, 임계 방식 및 확장 방식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먼저, 패키징 서버에서는 패키징 콘텐츠 생성 시 휴대단말에서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의 인증을 위한 기준이 되는 키 해시(Key-Hash)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키 해시 값은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파일럿 콘텐츠에 의해 생성하는 타겟 콘텐츠용 암호화키(CEKt)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정형화하면 하기 <수학식 12>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81968655-pat00014
다음으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와 같이 생성하는 키 해시 값을 패키징 콘텐츠의 데이터 포맷의 일부분으로 포함하거나, 또는 해당 라이선스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패키징 콘텐츠를 수신할 시, 파일럿 콘텐츠 복호화에 의하여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생성 과정은 상기 패키징 콘텐츠를 획득하는 시점에서 휴대단말이 내부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생성하는 복호화키와, 패키징 콘텐츠 또는 해당 라이선스에 포함되는 상기 키 해시 값을 이용하여 상기 생성하는 복호화키의 유효 여부를 판별한다. 즉, 상기 생성하는 복호화키와 상기 키 해시 값이 동일한지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복호화키를 C라 가정할 때, 상기 유효 여부 판단 즉, 상기 복호화키 C에 대한 인증은 하기 <수학식 1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81968655-pat00015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비교에 의하여, 상기 복호화키(C)와 상기 키 해시 값이 동일하면, 상기 복호화키(C)가 타겟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유효 복호화키임을 인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의 패키징 콘텐츠 재생 시, 파일럿 콘텐츠 재생 상태에 따라 생성하는 복호화키의 정상 여부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타겟 콘텐츠를 재생하는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비교에 의하여, 상기 복호화키(C)와 상기 키 해시 값이 동일하지 않다면, 상기 복호화키(C)가 유효하지 않은 복호화키임을 인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에 의해 파일럿 콘텐츠를 정상적으로 시청(청취)하더라도, 완전하지 못한 복호화키가 생성됨에 따라, 상기 복호화키에 의해서는 타겟 콘텐츠를 재생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가 전송 중에 데이터 유실이 발생한 것으로 간주하고, 광고서버 또는 패키징 서버에 재접속하여 정상적인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재 다운로드를 위한 URL을 상기 패키징 콘텐츠 헤더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응용으로, 사용자에게 파일럿 콘텐츠의 시청(청취)에 대한 서비스 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표 1>과 같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의 패키징 콘텐츠 이용에 따른 선택권을 부여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Figure 112008081968655-pat00016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패키징 콘텐츠 구성 시, 희망하는 파일럿 콘텐츠의 시청(청취)에 의하여 타겟 콘텐츠의 라이선스를 무료에 의해 획득하거나, 파일럿 콘텐츠의 일부 시청(청취)에 의하여 타겟 콘텐츠의 라이선스를 할인된 일부 비용만을 지출하여 획득하거나, 파일럿 콘텐츠의 시청(청취)을 생략하고 순수 DRM 콘텐츠에 대한 라이선스를 구매하는 형태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키징 서버의 처리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키징 서버의 패키징 콘텐츠 생성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키징 콘텐츠의 포맷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일럿 콘텐츠 구성 및 상기 파일럿 콘텐츠를 이용한 타겟 콘텐츠의 암호화 동작 설명을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처리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패키징 콘텐츠 재생 동작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획득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패키징 콘텐츠 재생 동작을 도시한 도면.

Claims (38)

  1.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패키징 콘텐츠의 재생을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광고 서버로부터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변환한 파일럿 콘텐츠와 상기 파일럿 콘텐츠를 이용하여 생성된 암호화키를 기반으로 암호화하는 타겟 콘텐츠로 이루어진 상기 패키징 콘텐츠를 패키징 서버에서 생성하여 제공하는 과정과,
    휴대단말에서 상기 패키징 콘텐츠를 구성하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을 통해 상기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획득하고, 상기 복호화키에 의해 상기 타겟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패키징 콘텐츠 생성 시, 이율배반(all or nothing) 방식, 임계 방식(threshold) 방식 및 확장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거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설정된 개수의 데이터 블록으로 구분하고, 상기 각 데이터 블록별로 마일스톤(milestone)을 할당한 후, 랜덤한 공개키에 의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상기 파일럿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각 데이터 블록과 상기 각 데이터 블록에 할당된 마일스톤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블록 또는 상기 마일스톤의 개수에 대응하는 각각의 임시 분할키들을 획득하고, 상기 임시 분할키들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용 암호화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콘텐츠는 헤더, 파일럿 콘텐츠 및 타겟 콘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헤더는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식별을 위한 식별정보와,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정보와,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상기 공개키를 획득할 수 있는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패키징 콘텐츠 재생 시 파일럿 콘텐츠의 상기 공개키를 획득하고, 상기 공개키에 의하여 상기 파일럿 콘텐츠를 우선으로 재생하고, 상기 파일럿 콘텐츠 재생 시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각 데이터 블록에 대한 복호화를 통해 상기 복호화키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를 구성하는 각 데이터 블록들과 그에 할당된 마일스톤들로부터 각각의 임시 분할키들을 획득하고,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을 완료할 시 상기 임시 분할키들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획득하는 복호화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정상 재생에 의해 생성되는 정상적인 복호화키일 시, 상기 복호화키에 의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패키징 콘텐츠 획득 시,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손실 여부에 따른 복호화키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복호화키가 유효하지 않을 시,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를 재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복호화키의 유효 여부 판별을 위한 인증정보 및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주소정보를 상기 패키징 콘텐츠에 더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인증정보에 의하여 상기 복호화키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인증정보와 상기 복호화키가 일치할 시, 상기 복호화키가 유효한 것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12. 패키징 서버의 콘텐츠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패키징 콘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패키징 콘텐츠를 구성할 광고 콘텐츠를 선택하여 블록화 하는 과정과,
    상기 광고 콘텐츠의 각 데이터 블록별로 마일스톤(milestone)을 할당하는 과정과,
    상기 각 데이터 블록과 그에 할당된 상기 마일스톤으로부터 분할키를 획득하고, 상기 분할키를 이용하여 타겟 콘텐츠용 암호화키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특정 DRM 콘텐츠를 타겟 콘텐츠로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광고 콘텐츠의 암호화를 위한 랜덤한 공개키를 이용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를 파일럿 콘텐츠로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럿 콘텐츠와 타겟 콘텐츠를 이용하여 패키징 콘텐츠로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콘텐츠 생성 시, 이율배반(all or nothing) 방식, 임계 방식(threshold) 방식 및 확장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거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화 하는 과정은,
    상기 광고 콘텐츠를 설정된 개수의 데이터 블록으로 구분하고, 상기 각 데이 터 블록별로 마일스톤(milestone)을 할당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키 획득은,
    상기 각 데이터 블록과 상기 각 데이터 블록에 할당된 마일스톤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블록 또는 상기 마일스톤의 개수에 대응하는 각각의 임시 분할키들을 획득하고, 상기 임시 분할키들을 이용하여 상기 분할키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콘텐츠 생성 시,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의 유효 여부 판별을 위한 인증정보와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주소정보를 더 포함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방법.
  17. 휴대단말의 콘텐츠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패키징 콘텐츠의 재생이 요청되면,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파일럿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럿 콘텐츠 재생 시,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암호화에 대응하는 복호화를 통해 분할키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이 완료되면 상기 분할키를 이용하여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복호화키를 이용하여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타겟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키 생성은,
    이율배반(all or nothing) 방식, 임계 방식(threshold) 방식 및 확장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대응하는 복호화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콘텐츠 재생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응하는 공개키 획득을 위한 주소정보를 추출하는 과정과,
    상기 주소정보에 의하여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공개키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공개키에 의하여 상기 파일럿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키 획득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를 구성하는 각 데이터 블록들과 그에 할당된 마일스톤들로부터 각각의 임시 분할키들을 획득하고,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을 완료할 시 상기 임시 분할키들을 이용하여 상기 분할키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키는 패키징 서버에서 상기 타겟 콘텐츠 암호화 시 이용되는 암호화키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방법.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키의 정상 여부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복호화키가 정상적인 복호화키가 아니면, 상기 타겟 콘텐츠의 재생을 생략하는 과정과,
    상기 복호화키가 정상적인 복호화키이면, 상기 복호화키를 이용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콘텐츠 획득 시,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손실 여부에 따른 상기 복호화키의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복호화키가 유효하지 않을 시,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획득 주소정보에 의하여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를 재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키의 유효 여부 판별은, 상기 패키징 콘텐츠에 포함되는 인증정보에 의하여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여부 판별은,
    상기 복호화키와 상기 인증정보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복호화키와 상기 인증정보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복호화키의 유효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방법.
  26.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패키징 콘텐츠의 재생 요청에 응답하여, 광고 서버로부터 수신한 광고 콘텐츠를 변환한 파일럿 콘텐츠와 상기 파일럿 콘텐츠를 이용하여 생성된 암호화키를 기반으로 암호화하는 타겟 콘텐츠로 이루어진 상기 패키징 콘텐츠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패키징 서버와,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재생을 요청하고, 상기 패키징 콘텐츠를 구성하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을 통해 상기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획득하고, 상기 복호화키에 의해 상기 타겟 콘텐츠를 재생하는 휴대단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패키징 콘텐츠 생성 시, 이율배반(all or nothing) 방식, 임계 방식(threshold) 방식 및 확장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거하여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설정된 개수의 데이터 블록으로 구분하고, 상기 각 데이터 블록별로 마일스톤(milestone)을 할당한 후, 랜덤한 공개키에 의하여 상기 광고 콘텐츠를 암호화하여 상기 파일럿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각 데이터 블록과 상기 각 데이터 블록에 할당된 마일스톤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블록 또는 상기 마일스톤의 개수에 대응하는 각각의 임시 분할키들을 획득하고, 상기 임시 분할키들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용 암호화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콘텐츠는 헤더, 파일럿 콘텐츠 및 타겟 콘텐츠를 포함하며,
    상기 헤더는 상기 패키징 콘텐츠의 식별을 위한 식별정보와,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는 정보와,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상기 공개키를 획득할 수 있는 주소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패키징 콘텐츠 재생 시 파일럿 콘텐츠의 상기 공개키를 획득하고, 상기 공개키에 의하여 상기 파일럿 콘텐츠를 우선으로 재생하고, 상기 파일럿 콘텐츠 재생 시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각 데이터 블록에 대한 복호화를 통해 상기 복호화키를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파일럿 콘텐츠를 구성하는 각 데이터 블록들과 그에 할당된 마일스톤들로부터 각각의 임시 분할키들을 획득하고,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재생을 완료할 시 상기 임시 분할키들을 이용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용 복호화키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획득하는 복호화키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정상 재생에 의해 생성되는 정상적인 복호화키일 시, 상기 복호화키에 의하여 상기 타겟 콘텐츠에 대한 재생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패키징 콘텐츠 획득 시,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손실 여부에 따른 복호화키의 인증을 수행하고, 상기 복호화키가 유효하지 않을 시 상기 파일럿 콘텐츠에 대한 다운로드를 재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패키징 콘텐츠에 포함되는 인증정보와 상기 복호화키를 비교하고, 상기 인증정보와 상기 복호화키의 일치 여부에 따라 상기 복호화키의 유효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시스템.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패키징 콘텐츠에 포함되는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획득 주소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재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37.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징 서버는,
    상기 복호화키의 유효 여부 판별을 위한 인증정보 및 상기 파일럿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위한 주소정보를 상기 패키징 콘텐츠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3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럿 콘텐츠는,
    상기 패키징 콘텐츠에 대응되는 상기 광고 콘텐츠를 변환하거나 상기 패키징 서버가 랜덤 방식으로 지정한 광고 콘텐츠를 변환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80119010A 2008-11-27 2008-11-27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47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010A KR101547554B1 (ko) 2008-11-27 2008-11-27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EP09177041.2A EP2192717B1 (en) 2008-11-27 2009-11-25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digital content service
US12/625,825 US8619994B2 (en) 2008-11-27 2009-11-25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igital contents service
JP2009270476A JP5608359B2 (ja) 2008-11-27 2009-11-27 コンテンツ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並びに携帯端末及びサーバー
CN200910224862.1A CN101901447B (zh) 2008-11-27 2009-11-27 用于提供数字内容服务的系统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010A KR101547554B1 (ko) 2008-11-27 2008-11-27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0425A KR20100060425A (ko) 2010-06-07
KR101547554B1 true KR101547554B1 (ko) 2015-08-26

Family

ID=42012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010A KR101547554B1 (ko) 2008-11-27 2008-11-27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19994B2 (ko)
EP (1) EP2192717B1 (ko)
JP (1) JP5608359B2 (ko)
KR (1) KR101547554B1 (ko)
CN (1) CN10190144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89809B1 (en) * 2010-05-17 2019-05-14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Transferring media files between users after encrypting with encryption key obtained from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erver
KR20120057728A (ko) * 2010-08-31 2012-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서비스 이용에 따른 광고 재생 방법 및 장치
KR20120092432A (ko) * 2011-02-11 2012-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컨텐츠 송수신 장치 및 방법
US8776249B1 (en) * 2011-04-11 2014-07-08 Google Inc. Privacy-protective data transfer
CN102916810B (zh) * 2011-08-05 2015-03-11 中国移动通信集团公司 传感器认证方法、系统和装置
US20130042100A1 (en) * 2011-08-09 2013-02-1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ced playback in http streaming
CN103428530B (zh) * 2012-05-22 2017-02-0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防止跳过广告的方法、系统及媒体播放客户端
KR20140130293A (ko) * 2013-04-30 2014-11-10 (주)잉카엔트웍스 Drm 컨텐츠의 사용 권한을 조정하는 단말 장치 및 방법
KR20160021145A (ko) * 2013-06-18 2016-02-24 패스테스크, 엘엘씨. 태스크 지향 패스워드
CN104618799B (zh) * 2014-02-10 2018-01-09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视频播放方法及装置
US11032589B1 (en) 2016-08-09 2021-06-08 Google Llc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ensuring consumption of portions of media content
CN107197338B (zh) * 2017-05-05 2019-11-26 中广热点云科技有限公司 一种确保广告播放时长的方法
CN107613317A (zh) * 2017-09-08 2018-01-19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播放本地加密媒体的方法、存储介质及智能电视
CN110032831A (zh) * 2018-01-11 2019-07-19 上海有云信息技术有限公司 软件证书的生成方法、装置及系统
JP6985229B2 (ja) * 2018-09-13 2021-12-22 Kddi株式会社 通信ネットワーク、ユーザ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356425B2 (en) * 2018-11-30 2022-06-07 Paccar Inc Techniques for improving security of encrypted vehicle software update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8226A1 (en) 2000-09-01 2004-02-12 Eva Saar Method for financing multimedia content through advertising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83371B1 (en) * 1998-10-22 2006-01-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uper-distribution of protected digital content
DE60117618T2 (de) * 2000-10-26 2006-12-14 General Instrument Corporation Anfängliche Betrachtungsperiode für die Autorisierung von Multimedia-Inhalten
KR100413682B1 (ko) * 2001-03-26 2003-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암호화된 데이터를 포함한 데이터의 전송 및 수신 제어 방법
JP2003078515A (ja) * 2001-09-05 2003-03-14 Nec Corp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復号装置、暗号化装置、復号プログラム、暗号化プログラム
JP2003208542A (ja) * 2002-01-15 2003-07-25 Ntt Data Corp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装置、コンテンツ受信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611606B2 (ja) 2002-02-13 2011-01-12 富士通株式会社 データ運用方法
JP2004088619A (ja) * 2002-08-28 2004-03-18 Sony Corp 符号列暗号化方法、装置および暗号解除方法、装置および記録媒体
KR101081729B1 (ko) * 2003-07-07 2011-11-08 로비 솔루션스 코포레이션 저작권 침해를 제어하고 쌍방향 컨텐츠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재프로그램가능한 보안
US7389273B2 (en) * 2003-09-25 2008-06-17 Scott Andrew Irwin System and method for federated rights management
KR100761270B1 (ko) 2004-11-06 2007-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고컨텐츠가 첨부된 디지털저작권관리 컨텐츠 처리 방법및 장치
US20070174362A1 (en) * 2006-01-18 2007-07-26 Duc Pham System and methods for secure digital data archiving and access auditing
CN100581100C (zh) 2006-07-25 2010-01-13 国际商业机器公司 防止跳过数字媒体流中特殊内容片段的回放的方法和系统
JP4256415B2 (ja) * 2006-09-04 2009-04-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暗号化装置、復号装置、情報システム、暗号化方法、復号方法及びプログラム
DE102006044299B4 (de) * 2006-09-20 2014-11-1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gesicherten Verteilung von Inhalten in einem Telekommunikationsnetzwerk
KR20080027040A (ko) 2006-09-22 2008-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공유를 위한 컨텐츠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KR20080046515A (ko) 2006-11-22 2008-05-27 삼성전자주식회사 콘텐츠 파일의 암호화 및 복호화 방법
JP2008160520A (ja) * 2006-12-25 2008-07-10 Toshiba Corp 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データ送信方法
JP2008236377A (ja) * 2007-03-20 2008-10-02 Sony Corp 鍵提供システム、鍵提供装置、端末装置、鍵提供方法、及び鍵生成方法
US9171569B2 (en) * 2007-04-27 2015-10-2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with content key changes
US8868464B2 (en) * 2008-02-07 2014-10-21 Google Inc. Preventing unauthorized modification or skipping of viewing of advertisements within content
ES2326949B1 (es) * 2008-03-18 2010-07-14 Clarity Systems, S.L. Procedimiento utilizado por un servidor de streaming para realizar una transmision de un fichero multimedia en una red de dato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28226A1 (en) 2000-09-01 2004-02-12 Eva Saar Method for financing multimedia content through adverti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28878A1 (en) 2010-05-27
EP2192717A3 (en) 2013-10-02
EP2192717B1 (en) 2018-09-19
KR20100060425A (ko) 2010-06-07
US8619994B2 (en) 2013-12-31
JP2010129096A (ja) 2010-06-10
CN101901447A (zh) 2010-12-01
JP5608359B2 (ja) 2014-10-15
CN101901447B (zh) 2015-08-26
EP2192717A2 (en) 201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554B1 (ko) 디지털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593569B1 (ko) 콘텐츠 오브젝트 구성 방법 및 시스템
US115805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real-time ad insertion based on meta-data within a hardware based root of trust
US9270673B2 (en) Terminal device, verification device, key distribution device, content playback method, key distribu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74995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a title key in a secure distribution system for recordable media content
US20050262573A1 (en) Content presentation
US8184807B2 (en) Content distribution/browsing system, content distribution apparatus, content brows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09008354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tributing digital content
JP2008500589A (ja) 変化する識別子を用いる安全な通信およびリアル・タイムでの透かし挿入
AU201227566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real-time ad insertion based on meta-data within a hardware based root of trust
JP2010192944A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コンテンツ利用装置、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配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942470A (zh) 一种具有溯源功能的电子音像制品版权管理方法
KR100982515B1 (ko) 해시 체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접근 횟수를제한하는 장치 및 방법
CN105049941B (zh) 一种多媒体文件的处理方法及装置
WO2013073335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記憶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350021B2 (ja) ファイル生成装置、ファイル再生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867425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0953159B1 (ko) 암호화된 데이터 전송방법 및 재생방법
KR20080006236A (ko) 암호화된 컨텐츠를 저장하는 저장 장치 및 그 컨텐츠의제공 방법
JP2004208174A (ja) 電子デバイス及びコンテンツ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