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515B1 - 해시 체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접근 횟수를제한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해시 체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접근 횟수를제한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515B1
KR100982515B1 KR1020040001095A KR20040001095A KR100982515B1 KR 100982515 B1 KR100982515 B1 KR 100982515B1 KR 1020040001095 A KR1020040001095 A KR 1020040001095A KR 20040001095 A KR20040001095 A KR 20040001095A KR 100982515 B1 KR100982515 B1 KR 100982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hash
specific content
access
hash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1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2939A (ko
Inventor
김명선
남수현
장용진
이선남
이재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1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515B1/ko
Priority to US11/030,560 priority patent/US7788728B2/en
Priority to CNA2005800002059A priority patent/CN1771487A/zh
Priority to EP05721746A priority patent/EP1614047A1/en
Priority to PCT/KR2005/000054 priority patent/WO2005066824A1/en
Publication of KR20050072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Technology Law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해시 체인을 이용하여 보안성이 좋으면서도 간단하게 컨텐츠 접근 횟수를 제한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시된다.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이 특정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컨텐츠의 선택 및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n회의 접근 권한의 선택을 수신하여 임의의 시드값으로부터 유도되는 n개의 해시값들로 구성된 해시 체인을 생성하는 해시 체인 생성 수단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특정 컨텐츠에 접근할 때마다 상기 해시 체인으로부터 해시값을 하나씩 삭제하여 삭제된 해시값의 개수만큼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접근 횟수가 줄어들도록 하는 컨텐츠 접근 관리 수단을 포함하는 컨텐츠 접근 횟수 제한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장치는 컨텐츠 접근 횟수에 대응하는 해시값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전송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시 함수의 일방향성을 이용하여 보안성이 좋으면서도 비교적 간단하게 컨텐츠 접근 횟수를 제한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근할 때마다 다른 해시값으로 암호화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전송함으로써 보안성이 뛰어난 컨텐츠 전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Figure R1020040001095
컨텐츠 접근 제한, 해시 함수, 해시 체인

Description

해시 체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접근 횟수를 제한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straining the count of access to digital contents using a hash chai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접근 횟수 제한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사용자가 컨텐츠 접근 권한을 구매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접근 횟수 제한 장치의 사용자 정보 DB의 구성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시 체인 DB의 구성예이다.
도 5는 컨텐츠에 대한 j번째 접근시의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컨텐츠 접근 횟수 제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네트워크상에서 배포되는 디지털 컨텐츠의 접근 횟수를 제한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해시 체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접근 횟수를 제한하는 장치 및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 배포되는 디지털 컨텐츠는 아날로그 컨텐츠와는 달리 손실없이 무한정 복제 및 재생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인터넷을 통해 배포된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를 위한 특별한 시스템이 요구된다.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를 위해 여러 가지 기법들이 제안되어 있는데,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2002-18427 "디지털 컨텐츠 자동소실 시스템"은 배포된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할 때마다 데이터의 일정 부분씩을 제거함으로써 종국에는 사용자가 지각할 수 없는 상태로 재생하는 시스템(제 1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2002-5614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들을 보안성있게 배포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DVD 또는 CD-ROM과 같은 분리 가능 저장 매체 또는 네트워크를 통해 배포되고, 미리 설정된 재생 횟수 또는 시간이 경과하면 해당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이 허가되지 않는 시스템(제 2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 출원 제2001-88881 "컨텐츠의 저작권 보호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가 요구한 디지털 컨텐츠 및 해당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 횟수 제한 정보를 이동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재생 횟수만큼 해당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한 방법(제 3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제 1발명은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할 때마다 음질이나 화질이 계속 나빠진다는 문제점이 있고, 제 2발명은 연산의 비효율성이 잘 알려진 공개키 기반구조를 사용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제 3발명은 사용자측에서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 횟수 제한 정보를 관리함으로써 해당 정보가 수정되거나 불법 유통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시 체인을 이용하여 보안성이 뛰어나면서도 비교적 간단하게 컨텐츠 접근 횟수를 제한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지털 컨텐츠에 대한 접근 횟수 제한 정보를 디지털 컨텐츠 공급측에서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인 저작권 관리가 가능한 디지털 컨텐츠 접근 횟수 제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이 특정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컨텐츠의 선택 및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n회의 접근 권한의 선택을 수신하여 임의의 시드값으로부터 유도되는 n개의 해시값들로 구성된 해시 체인을 생성하는 해시 체인 생성 수단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특정 컨텐츠에 접근할 때마다 상기 해시 체인으로부터 해시값을 하나씩 삭제하여 삭제된 해시값의 개수만큼 상기 특정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횟수가 줄어들도록 하는 컨텐츠 접근 관리 수단을 포함하는 컨텐츠 접근 횟수 제한 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해시 체인 생성 수단은 상기 임의의 시드값을 랜덤하게 생성하고, 생성된 시드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도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도 상기 시드값을 바탕으로 상기 해시 체인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것과 동일한 해시 체인을 생성하도록 하거나, 상기 임의의 시드값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접근 관리 수단은 상기 해시 체인을 구성하는 해시값들 중 하나의 해시값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며, 상기 암호화에 사용된 해시값은 상기 해시 체인으로부터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컨텐츠 접근 관리 수단은 상기 컨텐츠에 대한 누적된 접근 횟수에 대응하는 해시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누적 접근 횟수 대응 해시값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해시 체인의 포인터를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다음 번 접근에 대응하는 해시값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국면은, 특정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특정 컨텐츠의 선택 및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n회의 접근 권한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해, 임의의 시드값으로부터 유도되는 n개의 해시값들로 구성된 해시 체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접근 횟수 제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임의의 시드값은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접근을 요청하는 측으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임의의 시드값은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측에서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국면은, 특정 컨텐츠에 대한 n회의 접근 권한을 갖는 컨텐츠 요청측에 대해 상기 특정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해, 임의의 시드값으로부터 유도되는 n개의 해시값들로 구성되는 해시 체인을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컨텐츠 요청측이 상기 특정 컨텐츠에 접근할 때마다 상기 해시 체인으로부터 해시값을 하나씩 삭제하여 삭제된 해시값의 개수만큼 상기 특정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횟수가 줄어들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접근 횟수 제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 때, 상기 (b)단계는 (b1) 상기 해시 체인을 구성하는 해시값들 중 하나의 해시값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상기 컨텐츠 요청측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암호화에 사용된 해시값이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또한 상기 (b1) 단계는 (b11)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누적된 접근 횟수에 대응하는 해시값을 상기 컨텐츠 요청측으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누적 접근 횟수 대응 해시값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상기 컨텐츠 요청측으로 전달하는 단계와, (b12)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다음 번 접근에 대응하는 해시값으로 상기 해시 체인의 포인터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국면은 전술한 컨텐츠 접근 횟수 제한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국면은, 특정 컨텐츠에 대한 n회의 접근 권한을 갖는 컨텐츠 접근 장치에 있어서, 임의의 시드값으로부터 유도되는 n개의 해시값들로 구성되는 해시 체인을 생성하는 해시 체인 생성 수단과, 상기 특정 컨텐츠에 접근할 때마다 누적된 접근 횟수에 대응하는 해시값을 상기 특정 컨텐츠를 공급하는 컨텐츠 공급측에 전달하는 해시 체인 관리 수단과, 상기 누적 접근 횟수 대응 해시값으로 암호화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공급측으로부터 수신하여 복호화하는 컨텐츠 복호화 수단을 포함하는 컨텐츠 접근 장치를 제공한다.
이 때, 상기 해시 체인 관리 수단은 상기 복호화에 사용된 누적 접근 횟수 대응 해시값을 상기 해시 체인으로부터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임의의 시드값은 상기 컨텐츠 공급측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국면은, 컨텐츠 공급 서버의 특정 컨텐츠에 대한 n회의 접근 권한을 갖는 사용자 단말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임의의 시드값으로부터 유도되는 n개의 해시값들로 구성되는 해시 체인을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누적된 접근 횟수에 대응하는 해시값을 상기 컨텐츠 공급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누적 접근 횟수 대응 해시값으로 암호화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공급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d) 상기 암호화된 특정 컨텐츠를 상기 누적 접근 횟수 대응 해시값으로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 다.
이 때,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임의의 시드값을 랜덤하게 생성하는 단계와, (a2) 상기 생성된 시드값을 상기 컨텐츠 공급 서버로도 전송함으로써 상기 컨텐츠 공급 서버에서도 상기 시드값을 바탕으로 상기 해시 체인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것과 동일한 해시 체인을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임의의 시드값을 상기 컨텐츠 공급 서버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은 (e)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누적 접근 횟수 대응 해시값을 상기 해시 체인으로부터 삭제하는 단계와, (f)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다음 번 접근에 대응하는 해시값으로 상기 해시 체인의 포인터를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컨텐츠 접근 횟수 제한 장치로서의 컨텐츠 공급 서버(10) 및 디지털 컨텐츠를 공급받기 위해 유, 무선 통신망을 통해 컨텐츠 공급 서버(10)에 접속하는 사용자 단말(20)을 포함하는 디지털 컨텐츠 접근 횟수 제한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컨텐츠 공급 서버(10)는 이 서버(10)에 등록한 사용자의 ID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사용자 정보 DB(110)와, 사용자 단말(20)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해당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키로 이용될 일련의 해시값이 저장된 해시 체인 DB(114)와, 사용자 단말(20)로 제공될 컨텐츠가 저장된 컨텐츠 DB(114)와, 컨텐츠를 요구하는 사용자 단말(20)을 인증하는 사용자 인증부(120)와, 해시 체인을 생성 하기 위한 시드값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시드값 생성부(122)와, 시드값 생성부(122)에서 생성된 시드값으로부터 유도되는 일련의 해시값들로 구성된 해시 체인을 생성하는 해시 체인 생성부(124)와, 특정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 권한을 확인하고 특정 컨텐츠를 암호화하는 암호화 키로 이용될 해시값을 출력하며 암호화 키로 이용된 해시값을 해시 체인에서 삭제하는 등의 해시 체인 DB(114) 관리를 수행하는 해시 체인 관리부(126)와, 사용자가 요구한 특정 컨텐츠를 해시 체인 관리부(126)로부터 출력된 해시값으로 암호화하여 출력하는 컨텐츠 암호화부(128) 및 사용자 단말(20)과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부(130)로 구성된다.
또한, 컨텐츠 공급 서버(10)는 사용자 단말(20)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구매 요청을 접수하고 사용자 단말(20)로 컨텐츠를 공급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제공하고, 컨텐츠 공급에 따른 과금 관리 등을 수행하지만, 웹 페이지 관리나 과금 관리는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사용자 단말(20)은 컨텐츠 공급 서버(10)와의 데이터 통신을 위한 통신부(151)와, 서버(10)로부터 수신한 시드값을 바탕으로 일련의 해시값들로 구성되는 해시 체인을 생성하는 해시 체인 생성부(155)와, 생성된 해시 체인을 저장하는 해시 체인 DB(157)와, 소정의 해시값으로 암호화된 컨텐츠를 서버(10)로부터 수신하여 해시 체인 DB(157)에 저장되어 있는 소정의 해시값으로 복호화하는 컨텐츠 복호화부(159)와, 사용자 단말(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3)로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 정보 DB(110), 해시 체인 DB(114) 및 컨텐츠 DB(118)는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의해 구현되며, 사용자 인증부(120), 시드값 생성부(122), 해시 체인 생성부(124), 해시 체인 관리부(126), 컨텐츠 암호화부(128) 및 통신부(130)는 CPU, RAM 및 ROM 등의 하드웨어 및 CPU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컨텐츠 공급 서버(10)로부터 특정 컨텐츠에 대한 n회의 접근 권한을 구매하는 프로세스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사용자 단말(20)의 제어부(153)는 사용자로부터 컨텐츠β의 구매 요청 및 컨텐츠β에 대한 접근 제한 횟수 n을 입력받아 통신부(151)를 통해 서버(10)로 전송하면(S202), 서버(10)의 사용자 인증부(120)는 사용자 정보 DB(110)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컨텐츠β의 구매 요청을 시드값 생성부(122)로 전달한다(S204). 시드값 생성부(122)는 컨텐츠 구매 요청에 따라 나중에 컨텐츠β의 접근 횟수를 확인하기 위한 해시값들로 구성된 해시 체인의 바탕이 되는 시드값 S를 랜덤하게 생성하여 해시 체인 생성부(124)로 전달하고 동시에 사용자 단말(20)로도 전송한다(S206). 해시 체인 생성부(124)는 시드값 생성부(122)로부터 전달받은 컨텐츠β 요청, 접근 제한 횟수 n 및 시드값 S을 바탕으로 n개의 해시값들로 구성되는 해시 체인을 생성하여 해시 체인 DB(114)에 저장한다(S208).
한편, 사용자 단말(20)의 해시 체인 생성부(155)도 서버(10)의 시드값 생성부(122)에서 전송받은 시드값 S와 제어부(153)에서 전달받은 컨텐츠β 요청 및 접근 제한 횟수 n을 바탕으로 n개의 해시값들로 구성되는 해시 체인을 생성하여 해시 체인 DB(157)에 저장한다(S157). 이 때, 해시 체인 생성부(124, 155)는 동일한 해시 함수에 의해 해시 체인을 생성한다.
해시 함수란 임의의 크기의 입력값을 받아서 고정된 크기의 출력값을 생성하는 함수를 말하며, 통상 H(입력값)=출력값으로 표현된다. 해시 함수는 일반적으로 특정값 a에 대해 H(a)값이 주어졌을 때 H(b)=H(a)를 만족하는 a와 다른 b를 찾기 어려운 약한 충돌 회피성(weak collision freeness) 및 H(a)값을 알 때 a값을 알기 어려운 단방향 성질(one-wayness)을 만족해야 하며, 이러한 성질들을 잘 만족하는 대표적인 해시 함수로는 SHS(Secure Hash Standard) 및 MD5 등이 잘 알려져 있다.
한편, 해시 체인은 랜덤하게 선택된 시드값으로부터 유도된 일련의 해시값들의 집합으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식 1]로 표현된다.
[식 1]
Hash_Chain(n, Seed)=
Figure 112004000647689-pat00001
;
Figure 112004000647689-pat00002
이고 단
Figure 112004000647689-pat00003
n= 컨텐츠에 대한 접근 제한 횟수, Seed=시드값
도 3 및 도 4에는 컨텐츠 공급 서버(10)의 사용자 정보 DB(110)와 해시 체인 DB(114)의 구성예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 정보 DB(110)는 사용자 ID별로 컨텐츠 구매 내역이 정리된 다수의 테이블로 구성되며, 해시 체인 DB(114)는 시드값 생성부(122)에서 생성된 시드값을 바탕으로 해시 체인 생성부(124)에서 생성한 해시값들이 사용자가 구매한 컨텐츠별로 정리된 다수의 테이블로 구성된다. 이 때, 도 3에 따르면 사용자 Samsung은 컨텐츠 β1, β2 및 β3에 대한 접근 권한을 구매했으며, 도 4에 따르면 사용자 Samsung은 컨텐츠 β1, β2 및 β3에 대해 시드값 S1, S2 및 S3를 각각 바탕으로 5개, 3개 및 1개의 해시값들로 구성된 해시 체인이 할당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 Samsung은 컨텐츠 β1, β2 및 β3에 대해 5회, 3회 및 1회의 접근 권한을 갖는다. 한편, 동일한 사용자라도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단말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ID 테이블내에 사용자가 소유한 클라이언트 단말별로 컨텐츠 구매 내역과 해시 체인 내역을 정리할 수도 있다.
도 5에는 컨텐츠에 대한 n회의 접근 권한을 구매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컨텐츠에 접근하는 경우의 프로세스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20)의 제어부(153)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컨텐츠β에 대한 j번째 접근 요청 및 해시 체인 DB(157)에서 추출한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j번째 접근에 대응하는 해시값
Figure 112004000647689-pat00004
를 컨텐츠 공급 서버(10)로 전송한다(S502). 이어서, 서버(10)의 사용자 인증부(120)는 사용자가 컨텐츠β에 대한 접근 권한이 있는지를 사용자 정보 DB(110)의 정보를 이용하여 확인함으로써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컨텐츠β에 대한 접근 권한이 있다고 확인되면 컨텐츠β에 대한 접근 요청 및 해시값
Figure 112004000647689-pat00005
를 해시 체인 관리부(126)로 전달한다(S504). 해시 체인 관리부(126)는 해시 체인 DB(114)에
Figure 112004000647689-pat00006
을 만족하는 해시값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컨텐츠β에 대한 접근 요청 및 해시값
Figure 112004000647689-pat00007
를 컨텐츠 암호화부(128)로 전달한다(S506). 이어서, 컨텐츠 암호화부(128)는 해시값
Figure 112004000647689-pat00008
로 컨텐츠β를 암호화한 컨텐츠δ를 통신부(130)를 통해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하고(S508), 사용자 단말은 서버(10)로부터 수신한 암호화된 컨텐츠δ를 제어부(153)의 제어에 따라 해시 체인 DB(157)에서 전달받은 해시값
Figure 112004000647689-pat00009
로 복호화한다(S510).
이 때, 암호화된 컨텐츠δ의 전송 및 복호화가 완료되면 해시 체인 DB(114, 157)에서 해시값
Figure 112004000647689-pat00010
를 삭제한다. 또한, 컨텐츠에 대한 몇 번째 접근인지를 쉽게 확인하기 위해 해시 체인 관리부(126) 및 제어부(153)는 해시 체인 DB(114, 157)의 해시값들이 시드값으로부터 직접 유도된 해시값부터 순차적으로 선택될 수 있도록 포인터에 의해 해시 체인 DB(114, 157)를 각각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해시 체인 DB(114, 157)에서 해시값
Figure 112004000647689-pat00011
가 삭제되는 순간에 포인터는 다음 해시값
Figure 112004000647689-pat00012
로 이동한다.
도 6에는 사용자 Samsung가 5회의 접근 권한을 갖는 컨텐츠 β1에 대한 접근 제한 프로세스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1회째 접근에서 사용자 단말(20)이 해시값
Figure 112004000647689-pat00013
를 컨텐츠 공급 서버(10)로 전송하면 서버(10)는 해시 체인 DB(114)에서 해시값
Figure 112004000647689-pat00014
로 컨텐츠β1을 암호화해서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한다. 이 때, 전송이 완료되면 서버(10)는 해시 체인 DB(114)에서 해시값
Figure 112004000647689-pat00015
를 삭제하고 포인터를 해시값
Figure 112004000647689-pat00016
로 이동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20)도 해시 체인 DB(157)에서 해시값
Figure 112004000647689-pat00017
를 삭제하고 포인터를 해시값
Figure 112004000647689-pat00018
으로 이동한다.
이어서, 사용자 단말(20)이 컨텐츠β1에 2회째 접근하는 경우에는 해시값
Figure 112004000647689-pat00019
를 서버(10)로 전송하고 서버(10)는 현재 포인터가 위치한 해시값
Figure 112004000647689-pat00020
가 사용자 단말(20)에서 수신한 해시값
Figure 112004000647689-pat00021
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일치하면 해시값
Figure 112004000647689-pat00022
로 컨 텐츠β1을 암호화해서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한다. 이 때에도 역시, 전송이 완료되면 서버(10)는 해시 체인 DB(114)에서 해시값
Figure 112004000647689-pat00023
을 삭제하고 포인터를 다음 해시값으로 이동하며, 사용자 단말(20)도 해시 체인 DB(157)에서 해시값
Figure 112004000647689-pat00024
을 삭제하고 포인터를 다음 해시값으로 이동한다. 한편, 2회째 접근시에 만약 사용자 단말(20)에서 예컨대, 잘못된 해시값
Figure 112004000647689-pat00025
를 서버(10)로 전송하여 마치 1회째 접근인 것처럼 가장하더라도 서버(10)에는 이미 해시값
Figure 112004000647689-pat00026
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서버(10)는 컨텐츠β1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프로세스를 반복하여 사용자 단말(20)이 컨텐츠β1에 대한 5회째 접근까지 완료하면 컨텐츠β1에 할당된 해시값들이 모두 삭제된 상태이므로 사용자 단말(20)은 더 이상 컨텐츠β1에 접근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시드값의 생성이 서버(10)측에서 수행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20)측에서 시드값을 생성하고 서버(10)가 이를 수신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해도 좋다.
또한, 해시 체인 DB(114, 157)를 구성할 때, 해시 체인을 구성하는 해시값들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드값으로부터 유도되는 순서대로 선택되어 삭제되지 않고 임의의 순서대로 선택되고 삭제되도록 하여도 좋으며, 이 때에는 특정 컨텐츠에 접근할 때마다 사용자 단말(20)이 자신의 해시 체인 DB(157)에서 임의로 해시값을 추출하여 서버(10)로 전송하고 서버(10)는 해당 해시값으로 컨텐츠를 암호화해서 사용자 단말(20)로 전송하며, 사용자 단말(20)은 암호화된 컨텐츠를 복호화하 고, 전송 및 복호화가 완료되면 해당 해시값을 해시 체인 DB(114, 157)에서 삭제한다. 또한, 해시값을 임의로 추출하는 대신, 임의로 정렬된 해시값들이 몇 번째 접근에 대응하는 해시값들인지 구분하기 위해 각 해시값에 인덱스를 부여하여 관리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는 컨텐츠 공급 서버(10), 서버(10) 및 사용자 단말(20)에서 실행되는 컨텐츠 접근 횟수 제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를 포함하며, 기록 매체는 통상의 자기 및 광학 기록 매체뿐만 아니라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한 캐리어웨이브(carrier-wave) 전송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컨텐츠 접근 제한 횟수에 대응하는 해시값들로 구성된 해시 체인을 이용함으로써 해시 함수의 일방향성을 이용하여 보안성이 뛰어나면서도 비교적 간단하게 컨텐츠 접근 횟수를 제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시스템에 접근할 때마다 다른 해시값으로 암호화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전송함으로써 보안에 강한 컨텐츠 전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텐츠 접근 권한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측이 아닌 컨텐츠 공급측에서 관리함으로써 사용자측의 악의적 조작이나 해킹으로 인한 컨텐 츠의 불법 유통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4)

  1. 사용자 단말이 특정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특정 컨텐츠의 선택 및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n회의 접근 권한의 선택을 수신하여 임의의 시드값으로부터 유도되는 n개의 해시값들로 구성된 해시 체인을 생성하는 해시 체인 생성 수단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특정 컨텐츠에 접근할 때마다 상기 해시 체인으로부터 해시값을 하나씩 삭제함으로써 삭제된 해시값의 개수만큼 상기 특정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횟수가 줄어들도록 하는 컨텐츠 접근 관리 수단을 포함하는 컨텐츠 접근 횟수 제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해시 체인 생성 수단은 상기 임의의 시드값을 랜덤하게 생성하고, 생성된 시드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도 전송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도 상기 시드값을 바탕으로 상기 해시 체인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것과 동일한 해시 체인을 생성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접근 횟수 제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시드값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접근 횟수 제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접근 관리 수단은 상기 해시 체인을 구성하는 해시값들 중 하나의 해시값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며, 상기 암호화에 사용된 해시값은 상기 해시 체인으로부터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접근 횟수 제한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접근 관리 수단은 상기 컨텐츠에 대한 누적된 접근 횟수에 대응하는 해시값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누적 접근 횟수 대응 해시값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해시 체인의 포인터를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다음 번 접근에 대응하는 해시값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접근 횟수 제한 장치.
  6. 특정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특정 컨텐츠의 선택 및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n회의 접근 권한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해, 임의의 시드값으로부터 유도되는 n개의 해시값들로 구성된 해시 체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접근 횟수 제한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시드값은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접근을 요청하는 측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접근 횟수 제한 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시드값은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측에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접근 횟수 제한 방법.
  9. 특정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상기 특정 컨텐츠의 선택 및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n회의 접근 권한의 선택을 수신하는 단계와,
    (b)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해, 임의의 시드값으로부터 유도되는 n개의 해시값들로 구성된 해시 체인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시드값은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접근을 요청하는 측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시드값은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측에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2. 특정 컨텐츠에 대한 n회의 접근 권한을 갖는 컨텐츠 요청측에 대해 상기 특정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해, 임의의 시드값으로부터 유도되는 n개의 해시값들로 구성되는 해시 체인을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컨텐츠 요청측이 상기 특정 컨텐츠에 접근할 때마다 상기 해시 체인으로부터 해시값을 하나씩 삭제하여 삭제된 해시값의 개수만큼 상기 특정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횟수가 줄어들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접근 횟수 제한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해시 체인을 구성하는 해시값들 중 하나의 해시값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상기 컨텐츠 요청측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암호화에 사용된 해시값이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접근 횟수 제한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는 (b11)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누적된 접근 횟수에 대응하는 해시값을 상기 컨텐츠 요청측으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누적 접근 횟수 대응 해시값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상기 컨텐츠 요청측으로 전달하는 단계와, (b12)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다음 번 접근에 대응하는 해시값으로 상기 해시 체인의 포인터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접근 횟수 제한 방법.
  15. 특정 컨텐츠에 대한 n회의 접근 권한을 갖는 컨텐츠 요청측에 대해 상기 특정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해, 임의의 시드값으로부터 유도되는 n개의 해시값들로 구성되는 해시 체인을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컨텐츠 요청측이 상기 특정 컨텐츠에 접근할 때마다 상기 해시 체인으로부터 해시값을 하나씩 삭제하여 삭제된 해시값의 개수만큼 상기 특정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횟수가 줄어들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b1) 상기 해시 체인을 구성하는 해시값들 중 하나의 해시값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상기 컨텐츠 요청측으로 전달함으로써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접근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암호화에 사용된 해시값이 삭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b1) 단계는 (b11)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누적된 접근 횟수에 대응하는 해시값을 상기 컨텐츠 요청측으로부터 수신한 경우에는 상기 누적 접근 횟수 대응 해시값으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암호화하여 상기 컨텐츠 요청측으로 전달하는 단계와, (b12)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다음 번 접근에 대응하는 해시값으로 상기 해시 체인의 포인터를 이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18. 특정 컨텐츠에 대한 n회의 접근 권한을 갖는 컨텐츠 접근 장치에 있어서,
    임의의 시드값으로부터 유도되는 n개의 해시값들로 구성되는 해시 체인을 생성하는 해시 체인 생성 수단과,
    상기 특정 컨텐츠에 접근할 때마다 누적된 접근 횟수에 대응하는 해시값을 상기 특정 컨텐츠를 공급하는 컨텐츠 공급측에 전달하는 해시 체인 관리 수단과,
    상기 누적 접근 횟수 대응 해시값으로 암호화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공급측으로부터 수신하여 복호화하는 컨텐츠 복호화 수단을 포함하는 컨텐츠 접근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해시 체인 관리 수단은 상기 복호화에 사용된 누적 접근 횟수 대응 해시값을 상기 해시 체인으로부터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접근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시드값은 상기 컨텐츠 공급측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접근 장치.
  21. 컨텐츠 공급 서버의 특정 컨텐츠에 대한 n회의 접근 권한을 갖는 사용자 단 말에서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는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a) 임의의 시드값으로부터 유도되는 n개의 해시값들로 구성되는 해시 체인을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누적된 접근 횟수에 대응하는 해시값을 상기 컨텐츠 공급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c) 상기 누적 접근 횟수 대응 해시값으로 암호화된 상기 특정 컨텐츠를 상기 컨텐츠 공급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d) 상기 암호화된 특정 컨텐츠를 상기 누적 접근 횟수 대응 해시값으로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상기 임의의 시드값을 랜덤하게 생성하는 단계와, (a2) 상기 생성된 시드값을 상기 컨텐츠 공급 서버로도 전송함으로써 상기 컨텐츠 공급 서버에서도 상기 시드값을 바탕으로 상기 해시 체인 생성 수단에서 생성된 것과 동일한 해시 체인을 생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시드값을 상기 컨텐츠 공급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24. 제 21항에 있어서, (e) 상기 (d) 단계 이후에 상기 누적 접근 횟수 대응 해시값을 상기 해시 체인으로부터 삭제하는 단계와, (f) 상기 특정 컨텐츠에 대한 다음 번 접근에 대응하는 해시값으로 상기 해시 체인의 포인터를 이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KR1020040001095A 2004-01-08 2004-01-08 해시 체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접근 횟수를제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982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095A KR100982515B1 (ko) 2004-01-08 2004-01-08 해시 체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접근 횟수를제한하는 장치 및 방법
US11/030,560 US7788728B2 (en) 2004-01-08 2005-01-07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number of times contents can be accessed using hash chain
CNA2005800002059A CN1771487A (zh) 2004-01-08 2005-01-08 使用散列链来限制可以访问内容的次数的方法及设备
EP05721746A EP1614047A1 (en) 2004-01-08 2005-01-08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number of times contents can be accessed using hashing chain
PCT/KR2005/000054 WO2005066824A1 (en) 2004-01-08 2005-01-08 Method and apparatus for limiting number of times contents can be accessed using hashing chai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1095A KR100982515B1 (ko) 2004-01-08 2004-01-08 해시 체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접근 횟수를제한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939A KR20050072939A (ko) 2005-07-13
KR100982515B1 true KR100982515B1 (ko) 2010-09-16

Family

ID=36751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095A KR100982515B1 (ko) 2004-01-08 2004-01-08 해시 체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접근 횟수를제한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88728B2 (ko)
EP (1) EP1614047A1 (ko)
KR (1) KR100982515B1 (ko)
CN (1) CN1771487A (ko)
WO (1) WO20050668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938B1 (ko) * 2004-08-09 2006-07-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해쉬 테이블 주소 분산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패턴매칭 장치
US20090210695A1 (en) * 2005-01-06 2009-08-20 Amir Shahindoust System and method for securely communicating electronic documents to an associated document processing device
KR100772521B1 (ko) * 2005-12-12 2007-11-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id 시스템에서의 태그 인증 장치 및 방법
US20070245152A1 (en) * 2006-04-13 2007-10-18 Erix Pizano Biometric authentication system for enhancing network security
US8538014B2 (en) * 2008-05-12 2013-09-17 Oracle America, Inc. Fast computation of one-way hash sequences
CN102725737B (zh) * 2009-12-04 2016-04-20 密码研究公司 可验证防泄漏的加密和解密
EP2458777A1 (en) * 2010-11-30 2012-05-30 Irdeto B.V. Deriving one or more cryptographic keys of a sequence of keys
JP5897040B2 (ja) * 2011-02-01 2016-03-3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緊急時の個人健康記録へのセキュアなアクセス
KR101802521B1 (ko) * 2011-05-30 2017-1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에서 데이터의 암호화 및 복호화 수행 장치 및 방법
KR101319586B1 (ko) * 2012-06-19 2013-10-16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클라우드 컴퓨팅 시스템 및 클라이언트 인증방법
US8990905B1 (en) 2012-09-28 2015-03-24 Emc Corporation Protected resource access control utilizing intermediate values of a hash chain
US9172698B1 (en) * 2012-10-12 2015-10-27 Ut-Battelle, Llc System and method for key generation in security tokens
US8984602B1 (en) 2013-06-28 2015-03-17 Emc Corporation Protected resource access control utilizing credentials based on message authentication codes and hash chain values
US9455977B1 (en) 2014-06-20 2016-09-27 Emc Corporation Remote management interface using credentials associated with respective access control intervals
US9503442B1 (en) 2014-06-20 2016-11-22 EMC IP Holding Company LLC Credential-based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keys
US9374373B1 (en) * 2015-02-03 2016-06-21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 Ltd. Encryption techniques for improved sharing and distribution of encrypted content
WO2019018337A1 (en) 2017-07-20 2019-01-24 Walmart Apollo, Llc TASK MANAGEMENT OF AUTONOMOUS PRODUCT DELIVERY VEHICLES
US20190025818A1 (en) * 2017-07-21 2019-01-24 Walmart Apollo, Llc Autonomous product delivery vehicle fleet master-slave relationship management
KR102473377B1 (ko) * 2017-12-06 2022-12-02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해쉬 체인에 기반한 디지털 시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11621826B2 (en) 2019-12-06 2023-04-04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HTTP session management using hash chains
KR102503607B1 (ko) * 2020-12-31 2023-02-2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랜턴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680A (ko) * 1999-07-13 2001-02-05 구자홍 디지틀로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 제한방법
US20010049665A1 (en) 2000-06-06 2001-12-06 Toshio Kuroiwa Master digital data creation device and digital data reproduction device
KR20030016151A (ko) * 2001-12-31 2003-02-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컨텐츠의 저작권 보호 방법
US20030110381A1 (en) 2001-12-11 2003-06-12 Hitachi, Ltd. One-time logon method for distributed computing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4712A (ko) * 1995-10-16 1997-05-30 이데이 노부유키 암호화 방법 및 암호화 장치 및 기록 방법 및 복호 방법 및 복호 장치 및 기록 매체
US6119229A (en) * 1997-04-11 2000-09-12 The Brodia Group Virtual property system
JP3758316B2 (ja) 1997-07-07 2006-03-2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ソフトウェアライセンス管理装置および方法
US6069647A (en) 1998-01-29 2000-05-30 Intel Corporation Conditional access and content security method
US6108703A (en) 1998-07-14 2000-08-22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Global hosting system
AU760436B2 (en) 1998-10-16 2003-05-1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duction protection system dealing with contents that are digital production
US6363149B1 (en) * 1999-10-01 2002-03-26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stored digital programs
US6766305B1 (en) 1999-03-12 2004-07-20 Curl Corporation Licensing system and method for freely distributed information
JP3977549B2 (ja) 1999-04-30 2007-09-19 株式会社東芝 コンテンツ管理方法、コンテンツ利用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利用管理装置及び再生装置
US7143445B1 (en) 1999-05-31 2006-11-28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storage medium
US6425280B1 (en) * 1999-07-30 2002-07-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afer alignment jig for wafer-handling systems
US7761465B1 (en) 1999-09-17 2010-07-20 Sony Corporation Data provid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20010034839A1 (en) * 1999-12-24 2001-10-25 Guenter Karjoth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transmission of data and applications
US20020114465A1 (en) * 2000-01-05 2002-08-22 Shen-Orr D. Chaim Digital con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
US6931545B1 (en) 2000-08-28 2005-08-16 Contentguard Holding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ity certification and verification of content consumption environments
US7174568B2 (en) 2001-01-31 2007-02-0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Method and system for securely distributing computer software products
US20020107806A1 (en) 2001-02-02 2002-08-08 Akio Higashi Content usage management system and content usage management method
US20020157002A1 (en) 2001-04-18 2002-10-24 Messerges Thomas S.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and convenient management of digital electronic content
JP4139114B2 (ja) 2002-02-04 2008-08-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ジタルコンテンツ管理装置およびデジタルコンテンツ管理プログラム
KR20020037308A (ko) 2002-04-04 2002-05-18 조배수 디지털 컨텐츠 자동소실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680A (ko) * 1999-07-13 2001-02-05 구자홍 디지틀로 기록된 데이터의 재생 제한방법
US20010049665A1 (en) 2000-06-06 2001-12-06 Toshio Kuroiwa Master digital data creation device and digital data reproduction device
US20030110381A1 (en) 2001-12-11 2003-06-12 Hitachi, Ltd. One-time logon method for distributed computing systems
KR20030016151A (ko) * 2001-12-31 2003-02-2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컨텐츠의 저작권 보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88728B2 (en) 2010-08-31
WO2005066824A1 (en) 2005-07-21
US20050256910A1 (en) 2005-11-17
KR20050072939A (ko) 2005-07-13
EP1614047A1 (en) 2006-01-11
CN1771487A (zh) 2006-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515B1 (ko) 해시 체인을 이용하여 디지털 컨텐츠의 접근 횟수를제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192546B1 (ko) 콘텐츠 배포 시스템에서 다수의 콘텐츠 단편을 갖는 미디어저장 구조의 사용
KR101379861B1 (ko) Drm 제공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31450B1 (ko) 워터마크 추출 효율의 개선들
US9081972B2 (en) Method of distributing a decryption key in fixed-content data
EP1630998A1 (en) User terminal for receiving license
US20050076232A1 (en) Client apparatus and content processing method in client apparatus, and content provision system
KR20080044886A (ko) 콘텐츠 관리시스템 및 콘텐츠 관리장치
KR100608604B1 (ko) 객체 식별자를 이용하여 이동형 저장 장치에서 권리객체를 검색하는 방법 및 장치
US863455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AU2012227266B2 (en) Use of media storage structure with multiple pieces of content in a content-distribution system
JP2003298565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US20180068092A1 (en) Media content encryption and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based on unique identification of user
KR102186901B1 (ko) 데이터 변조를 통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파일의 암호화 장치 및 방법
JP2005149002A (ja) コンテンツ流通管理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