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416B1 - Quick dial system using call pattern and method for quick dialing thereof - Google Patents

Quick dial system using call pattern and method for quick dial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416B1
KR101546416B1 KR1020130105234A KR20130105234A KR101546416B1 KR 101546416 B1 KR101546416 B1 KR 101546416B1 KR 1020130105234 A KR1020130105234 A KR 1020130105234A KR 20130105234 A KR20130105234 A KR 20130105234A KR 101546416 B1 KR101546416 B1 KR 101546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user
association
partner
i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23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26422A (en
Inventor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이얼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이얼커뮤니케이션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이얼커뮤니케이션즈
Priority to KR1020130105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416B1/en
Priority to PCT/KR2014/008057 priority patent/WO2015034210A1/en
Publication of KR20150026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42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4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06F9/44505Configuring for program initiating, e.g. using registry, configuration 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software upgrading or down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퀵다이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통화 위치, 시간대에 따라 다수의 통화상대방에 대한 통화패턴을 산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임의의 위치와 시간대에 통화를 시도할 경우 최적의 통화상대방을 첫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연락처를 찾기 위해 주소록을 검색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소하고 키패드를 터치하는 과정에서의 오류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캘린더 기능과 연계하여 통화가 예정된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통화상대방과의 친밀감 및 신뢰감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ck dial system based on a call pattern and a quick dial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ll pattern for a plurality of call parties is calculated according to a call position and a time zone of a smartphone user, and when the user tries to make a call at an arbitrary position and time zone based on the call pattern, Thereby eliminating the cumbersome problem of searching for an address book in order to search for a contact, and minimizing errors in touching the keypad.
In addition, in conjunction with the calendar func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enhance the intimacy and the sense of trust with the communication partner by inducing the calling party to make a call to the communication partner.

Description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퀵다이얼 방법{Quick dial system using call pattern and method for quick dialing thereof}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ck dial system based on a call pattern and a quick dial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한 퀵다이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퀵다이얼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통화패턴을 기반으로 하는 퀵다이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퀵다이얼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quick dial system using a smart phone and a quick dial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quick dial system based on a user's call pattern and a quick dial method using the quick dial system.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율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자신이 원하는 정보를 검색하는데 이용할 뿐 아니라 통화를 실현함에 있어서도 기존의 피쳐폰에 비해 높은 사용량을 나타내고 있다.Recently, as the penetration rate of smart phones has increased rapidly, various applications have been downloaded and used to search for information desired by users, and in order to realize a call, the amount of usage is higher than that of a conventional feature phone.

그리고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통화를 실현함에 있어서,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상대방의 번호를 자신의 기억력에 의존하여 직접 하나하나 누르는 방식보다는 주소록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 목록을 검색하여 자신이 원하는 통화상대방을 선택하여 통화를 실현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In realizing a call using a smart phone, most users select a desired phone number by searching a phone number list stored in the address book instead of pressing the number of the other person one by one depending on their own memory To realize the currency.

그러나, 전화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주소록의 데이터량이 방대해짐에 따라 통화상대방을 찾는데 소정의 시간이 소요되고, 키패드를 터치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자신이 통화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한 다른 사람의 전화번호를 누르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However, as the amount of data in the address book in which the telephone number is stored becomes enormous, it takes a predetermined time to search for the calling party, and when an error occurs during the process of touching the keypad, A case where a person's telephone number is pressed frequently occurs.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2545호(공개일자 2010.04.26)Published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42545 (published on April 26, 2010)

본 발명의 실시예는 통화하고자 하는 최적의 상대방을 보다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퀵다이얼 방법을 제공한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quick dial system based on a call pattern and a quick dial method using the quick call system to more easily search for an optimum destination to talk to.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임의의 위치와 시간대에 통화하고자 하는 최적의 상대방을 보다 용이하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퀵다이얼 방법을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quick dial system based on a call pattern and a quick dial method using the same, which enables an optimum destination to be searched easily in any position and time zone.

본 발명의 실시예는 키패드를 터치하는 과정에서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퀵다이얼 방법을 제공한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quick dial system based on a call pattern and a quick dial method using the quick dial system to minimize an error in a process of touching a keypa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은, 사용자의 통화내역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통화패턴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통화패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가 임의의 위치와 시간대에 통화를 시도할 경우 최적의 통화상대자를 표시해주는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앱 서버부; 상기 앱 서버부로부터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사용자가 임의의 위치와 시간대에 통화를 실현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최적의 통화상대자에 대한 연락처 아이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부; 및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화를 수신하는 착신자 단말부를 포함한다. A quick dial system based on a call patter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call pattern data of a user using a call history of a user and calculates the call pattern data of the user based on the calculated call pattern data, An app server unit for providing a quick dial application for displaying an optimum call partner when a call is attempted; When a quick dial application is downloaded from the app server unit and the user wants to realize a call at an arbitrary position and time zone,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provides a contact icon for an optimum call partner created through the quick dial application, part; And a recipient terminal unit for receiving a telephone call from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방법은,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화하는 상대방에 대하여 통화패턴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임의의 통화상대자에게 전화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패턴 데이터에 기반한 최적의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을 생성하여 첫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표시된 연락처 아이콘중 자신이 통화하고자 하는 통화상대방의 연락처 아이콘을 선택하여 통화를 실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A quick dial method based on a call patter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 of downloading a quick dial application based on a call pattern to a user's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Calculating call pattern data for a calling party through the quick dial application based on a call pattern; When the user wants to call an arbitrary communication party through a quick dial application based on a call pattern, the contact icon of the optimum communication partner based on the call pattern data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user's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generated, ; The user may select a contact icon of a communication partner of the contact icon displayed on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realize a call.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자의 통화패턴에 따라 통화를 시도하는 위치, 시간대에 따라 최적의 통화상대방을 첫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연락처를 찾기 위해 주소록을 검색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을 해소하고 키패드를 터치하는 과정에서의 오류 또한 최소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timal call destination i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in accordance with a location and time zone of a call attempt according to a call pattern of a smartphone user, thereby eliminating the cumbersome problem of searching for an address book to search for a contact, The error in the image can also be minimized.

또한, 캘린더 기능과 연계하여 미리 설정된 시간에 통화상대방에게 전화를 걸 수 있도록 유도하여 통화상대방과의 친밀감 및 신뢰감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Further, in conjunction with the calendar function, it is possible to induce a call to the other party at a preset time,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intimacy and the sense of trust with the call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에 대한 개념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의 첫 실행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quick dial system based on a call patter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show an example of a first execution screen of a quick dial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quick dial method based on a call patter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하기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퀵다이얼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 quick call system based on a call pattern and a quick dial method using the quick cal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먼저,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에 대한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FIG.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quick dial system based on a call patter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퀵다이얼 시스템은, 앱 서버(100), 휴대용 통신 단말기(102-1, 102-2, 102-3, 102-n) 및 착신자 단말기(104-1, 104-2, 104-3, 104-n)을 포함하여 구현된다. 1, a quick dial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pp server 100,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102-1, 102-2, 102-3, and 102-n, and receiving terminals 104-1 and 104- -2, 104-3, 104-n).

상기 앱 서버(100)는 사용자, 즉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102-1, 102-2, 102-3, 102-n)를 소유한 사용자로 하여금 게임, 지도, 정보, 영화, 뉴스 등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언제 어디서나,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운로드 받아 이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The app server 100 allows a user who owns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102-1, 102-2, 102-3, and 102-n to perform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games, maps, information, It allows you to download and use anytime, anywhere, anytime and anywhere.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앱 서버(100)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자신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다운로드 한다. 이때, 상기 앱 서버(100)를 통해 제공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은 애플, 구글, SK플래닛, 다음(DAUM), 네이버(NAVER)에서 제공하는 앱 스토어(Apps store)를 통해 실행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downloads the quick-dial application based on the call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app server 100 to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At this time, the quick call application based on the call pattern provided through the app server 100 can be executed through an app store provided by Apple, Google, SK planet, DAUM, and NAVER have.

그리고,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102-1, 102-2, 102-3, 102-n)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구동시킬 수 있는 사용자의 통화수단으로서, 예컨대 스마트폰, 태블릿 PC(혹은 스마트 패드)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102-1, 102-2, 102-3, and 102-n are user communication means capable of downloading and operating a quick dial application based on the call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hone, tablet PC (or smart pad), and the like.

그리고, 상기 착신자 단말기(104-1, 104-2, 104-3, 104-n)는 일반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사용하는 유선전화이거나 피쳐폰 또는 스마트폰일 수 있다.The called terminals 104-1, 104-2, 104-3, and 104-n may be fixed telephones used in general homes or offices, feature phones, or smart phones.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102-1, 102-2, 102-3, 102-n)를 소유한 사용자들의 통화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통화를 시도할 경우, 통화를 시도하는 상황별로 최적의 통화상대방을 디스플레이해준다. The quick call application based on the call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a call pattern of users possessing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102-1, 102-2, 102-3, and 102-n, , It displays the optimum calling party for each situation in which a call is attempted.

즉, 상기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상대방에게 전화를 하게 되면, 전화를 하고 있는 위치, 통화를 시도한 시각, 통화가 이루어진 시간(상대방과 대화한 시간), 통화상태등에 대한 정보가 자신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102-1, 102-2, 102-3, 102-n)에 패턴화되어 저장된다. That is, when a call is made to the other party through the quick-dial application based on the call pattern,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call, the time when the call was attempted, the time when the call was made Are stored 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102-1, 102-2, 102-3, and 102-n in a patterned manner.

이러한 통화패턴은 휴대용 통신 단말기(102-1, 102-2, 102-3, 102-n) 사용자가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빈도에 따라 통화패턴의 정확도가 보다 높아지게 된다. Such a call pattern has a higher call pattern accuracy depending on the frequency with which the users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102-1, 102-2, 102-3, and 102-n use the quick-dial application based on the call pattern.

그러면, 상기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화패턴 데이터가 산출되는 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Hereinafter, a process of calculating call pattern data through the quick-dial application based on the call patter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사용자의 통화패턴 데이터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크게, ① 위치정보(location) 연관성, ② 통화시작시간(start time) 연관성, ③ 통화시간(duration) 연관성, ④ 통화상태(status) 연관성, ⑤ 전화번호부 여부와 즐겨찾기 등록여부 연관성, ⑥ 캘린더 연관성을 고려한다. In order to calculate the user's call pattern data,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following: ① location association, ② start time association, ③ duration association, ④ status association, Whether or not to register favorites, and (6) calendar associations.

먼저, 상기 "위치정보(location) 연관성"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가까운 정도를 표시한다. 그리고, 거리별로 구역을 설정하여 GPS 기준으로 값을 설정한다. First, the "location relevance" indicates a degree close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Then, the area is set by the distance, and the value is set by the GPS standard.

그리고, "통화시작시간(start time) 연관성"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현재 시간과의 근접성을 표시하고, 시간대로 값을 설정한다. The "start time associativity" indicates the proximity of the user to the current time and sets the value in the time zone.

그리고, "통화시간(duration) 연관성"에 대해서는, 통화시간에 비례하여 친밀도를 표시하고, 분단위를 기준으로 값을 설정한다. For "duration association", the intimacy is displayed in proportion to the talk time, and the value is set based on the minute unit.

그리고, "통화상태(status) 연관성"에 대해서는, 통화 성공 또는 통화 실패 여부를 통해서 값을 설정한다. 이때, 통화 성공에 비하여 통화 실패시 추후 통화를 시도할 가능성이 보다 높으므로 실패도를 표시한다. For the "status associativity ", a value is set through a call success or a call failure. At this time, since the likelihood of a subsequent call attempt at the time of a call failure is higher than the call success rate, a failure degree is displayed.

그리고, "전화번호부 여부와 즐겨찾기 등록여부 연관성"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나 즐겨찾기에 있을 경우, 친밀도를 표시한다. The "affinity between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phone book and the favorite registration" is displayed when the user is in the phone book or favorit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그리고, " 캘린더 연관성"에 대해서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캘린더에 해당 시간 및 장소와 연관성이 있을 경우, 이를 표시한다. 즉,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캘린더에 통화 예정 시간이나 통화 예정 지역이 등록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이를 상기하여 통화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Regarding "calendar association ", when the calendar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has relevance with the time and place, it is displayed. That is, when a scheduled time or scheduled area for call is registered in the calendar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the user can remind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o display a callable time.

그리고, 상기 ①, ②, ③, ④, ⑤ 및 ⑥에 해당되는 값을 각각 f(1), f(2), f(3), f(4), f(5) 및 f(6)이라고 할 때, 상기 각각의 값에 가중치 a1, a2, a3, a4, a5 및 a6을 곱하여 각각의 상대방에게 값을 부여하여 제일 높은 값을 가지는 사용자를 첫 화면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가중치 a1, a2, a3, a4, a5 및 a6는 예컨대, 1에서 99까지의 숫자일 수 있다. Let f (1), f (2), f (3), f (4), f (5) and f (6) correspond to the values of ①, ②, ③, The respective values are multiplied by the weights a1, a2, a3, a4, a5 and a6, and values are given to the respective counterparts to display the user having the highest value on the first screen. Here, the weights a1, a2, a3, a4, a5, and a6 may be, for example, numbers from 1 to 99. [

따라서, 임의의 통화상대자 A의 고유 통화패턴 데이터 F(A)는 하기 식 (1)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Therefore, the unique call pattern data F (A) of an arbitrary communication partner A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1).

F(A) = f(1)ㆍa1 + f(2)ㆍa2 + f(3)ㆍa3 + f(4)ㆍa4 + f(5)ㆍa5 + f(6)ㆍa6 ---- 식 (1)F (4) a4 + f (5) a5 + f (6) a6 + f (3) Equation (1)

상기 식 (1)에 의해 사용자와 통화한 통화상대자들의 통화패턴 데이터가 산출되고, 그 중에서 높은 값을 가지는 연락처 순서로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표시된다.The communication pattern data of the communication partners who have communicated with the user by the above equation (1) is calculated and displayed on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in the order of contacts having a higher value among them.

따라서, 사용자가 임의의 위치와 시간에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상기 해당 위치와 시간에 사용자와 가장 많이 통화를 실시한 통화상대자가 표시된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executes a quick dial application based on a call pattern at a certain position and time, the user who has made the most call with the user at the corresponding location and time is displayed.

이때, 사용자와 최근에 전화연결에 실패한 통화상대자를 최우선으로 표시해준다. 왜냐하면, 통화에 실패했을 경우에 추후 통화를 재시도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At this time, the user and the communication partner who failed to make a recent telephone connection are displayed as the first priority. This is because, if the call fails, the call is likely to be retried later.

또한, 전화연결에 실패한 통화상대자 중에서도 사용자와 통화시간이 길었던 통화상대자 순서로 통화우선순위를 높여서 표시해준다. Also, among the call partners who failed to make a call connection, the call priority is raised and displayed in the order of the caller who has a long talk time with the user.

또한, 캘린더 기능과 연계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날짜 및 시간에 사용자가 통화예약을 해 높은 통화상대방의 연락처를 표시해 줌으로써, 통화상대방과의 친밀감 및 신뢰감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n conjunction with the calendar function, the user makes a call reservation on the date and time designated by the user and displays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high communication partner, thereby further enhancing the intimacy and the trustworthiness with the communication partner.

도 2a 및 도 2b에는 본 발명에 따른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켰을 경우의 첫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다.2A and 2B show an example of a first screen when a quick dial application based on a call pattern is execu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게 되면 다이얼 형태의 연락처 아이콘이 첫 화면에 표시된다.2A, when a quick dial application based on a call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a dial-type contact icon i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상기 연락처 아이콘은 사용자의 위치, 시간등의 현재 상황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던 최적의 통화상대자의 연락처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의 갯수는 사용자의 설정등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다.The contact icon indicates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optimum call partner stored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such as the user's location and time. At this time, the number of contact icons of the communication partner can be changed as much as the user's setting.

한편,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게 되면 바(bar) 형태의 연락처 아이콘이 첫화면에 표시된다.Referring to FIG. 2B, when a quick dial application based on the call patter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ecuted, a bar-shaped contact icon i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상기 연락처 아이콘은 사용자의 위치, 시간등의 현재 상황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던 최적의 통화상대자의 연락처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의 갯수는 사용자의 설정등에 의해 얼마든지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의 형태 또한 상기 도 2a 또는 도 2b에 도시되어 있는 원형이나 바형상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표현할 수 있다. The contact icon indicates the contact information of the optimum call partner stored in the database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such as the user's location and time. At this time, the number of contact icons of the communication partner can be changed as much as the user's setting. In addition, the form of the contact icon of the communication partner can be expressed in various forms other than the circular or bar shape shown in FIG. 2A or FIG. 2B.

또한, 상기 도 2a 및 도 2b에서는 연락처 아이콘에 통화상대자의 이름과 전화번호가 표시되도록 하고 있으나, 보다 분명한 식별을 위하여 통화상대자의 사진 또는 캐릭터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2A and 2B, the name and the telephone number of the communication partner are displayed on the contact icon, but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the photograph or the character of the communication partner for more clear identification.

그리고, 상기 각각의 연락처 아이콘을 선택하면, 선택된 연락처 아이콘에 해당되는 통화상대방과의 기존 통화내역에 대한 정보, 즉 통화횟수, 통화시간등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다. Then, when each of the contact icons is selected, information on existing call details with the other party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ntact icon, that is,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calls, the talk time, and the like is provided.

이처럼, 사용자가 임의의 위치와 시간에 통화를 시도할 경우, 사용자의 통화패턴을 기반으로 산출된 통화상대자를 표시해줌으로써, 사용자는 별도의 연락처를 검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자신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전화번호 아이콘을 클릭하여 편리하게 통화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user attempts to make a call at an arbitrary position and time, the communication partner calculated based on the user's call pattern is displayed. Thus,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implement the call by clicking the phone number ic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그러면, 상기 도 1, 도 2a, 2b와 하기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call pattern-based quick dial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2A, and 2B and FIG.

도 3을 참조하면, 제200단계에서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Referring to FIG. 3, in operation 200, a user downloads a quick-dial application based on a call pattern to his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제S202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임의의 상대방에게 전화를 하게 되면, 이러한 사용자의 통화내역을 기반으로 통화패턴 데이터를 산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전화하는 위치, 통화시작시간, 통화시간, 통화상태, 전화번호부 여부와 즐겨찾기 등록여부 및 캘린더 여부등의 정보를 기록하여 사용자의 통화패턴 데이터를 산출한다.In step S202, when the user calls an arbitrary party through a quick dial application based on the call pattern, the call pattern data is calculated based on the call history of the user and stored in the database. More specifically, the user's call pattern data is recorded by recording information such as a location where the user is calling, a call start time, a call time, a call state, a phone book, whether or not to register favorites, and a calendar.

제S204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임의의 통화상대자에게 전화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패턴 데이터에 기반한 최적의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을 생성한다. In step S204, when the user wants to call an arbitrary communication partner through the quick dial application based on the call pattern, the contact icon of the optimal communication partner based on the call pattern data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

이때, 상기 연락처 아이콘은 사용자가 통화를 시도하는 위치 및 시간에 가장 많은 통화를 시도했던 통화상대자 순서로 하나 이상 다수개가 표시되도록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통화를 시도했으나 통화연결에 실패한 통화상대자를 위치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최우선적으로 표시해준다. 왜냐하면, 통화에 실패했을 경우에 추후 통화를 재시도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화연결에 실패한 통화상대자 중에서도 기존에 사용자와 통화시간이 길었던 통화상대자 순서로 통화우선순위를 높여서 표시해준다.At this time, the contact icon may display at least one number in the order of the communication partners who tried to make the most calls at the position and time at which the user tries to make a call. However, if the user attempts to make the most recent call but fails to establish a call, the caller will be displayed first and foremost regardless of location or time. This is because, if the call fails, the possibility of retrying the call later is very high. More preferably, among the communication partners who have failed to establish a telephone connection, the communication priorities are displayed in the order of the communication partners who have a long communication time with the user.

그리고, 캘린더 기능과 연계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날짜 및 시간에 사용자가 통화예약을 해 놓은 통화상대방의 연락처 아이콘 또한 최적의 통화상대자 연락처 아이콘과 함께 첫 화면에 표시한다. Then, in conjunction with the calendar function, the contact icon of the calling party, which the user has reserved for the call on the date and time designated by the user, is also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together with the optimum communication partner contact icon.

이때, 상기 사용자가 통화를 시도하는 위치 및 시간에 해당되는 최적의 통화상대자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가장 최근에 통화를 시도했으나 통화연결에 실패한 통화상대자와 사용자가 통화예약을 해 놓은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은 별도의 표시기능을 가지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깜빡임 또는 색깔을 달리하는 방법등으로 사용자와 최근에 통화실패한 통화상대자와 사용자가 통화예약을 해 놓은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을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At this time, in order to distinguish from the optimum communication partner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and time at which the user tries to make a call, the communication partner who has made the most recent call but failed in the call connection and the communication partn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contact icon has a separate display func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between a user who has recently failed to make a call and a contact icon of a caller whom the user has made a call reservation by using a method of blinking or coloring.

제S206단계에서 상기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상기 제S204단계에서 생성된 최적의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이 표시된다. In step S206, the contact icon of the optimum communication partner generated in step S204 is displayed on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제S208단계에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을 선택하여 즉시 통화를 실현한다. 그리고, 이처럼 통화를 실현한 통화상대자의 정보는 또다시 통화패턴 데이터를 산출하는데 이용된다. In step S208, the user selects the contact icon of the desired communication partner and realizes the communication immediately. Then, the information of the call partner realizing the call is used again to calculate the call pattern data.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폰 사용자가 임의의 통화상대자와 통화를 시도하는 경우, 사용자의 통화패턴을 분석하여 산출한 통화패턴 데이터에 기반한 최적의 통화상대방을 첫 화면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연락처를 찾기 위해 전체 주소록을 검색하여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바로 연락처 아이콘을 클릭함으로써, 통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martphone user tries to make a call with an arbitrary communication party, the optimal communication party based on the communication pattern data calculated by analyzing the communication pattern of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The call can be realized by clicking the contact icon immediately without having to search the entire address book for searching.

또한, 종래에는 수많은 키패드를 터치하는 과정에서 자신이 원하는 번호가 아닌 다른 번호가 터치하여 원치않는 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최적의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이 보다 크게 표시되므로 종래에서와 같이 키패드를 잘못 터치하는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process of touching a large number of keypads, a number other than a desired number is touched to make an unwanted call.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tact icon of the optimum communication partner is displayed in a larger size, an error of touching the keypad can be minimized as in the conventional art.

또한, 캘린더 기능과 연계하여 사용자가 지정한 날짜 및 시간에 사용자와 통화가 예정된 상대방의 연락처 아이콘 또한 최적의 통화상대자 연락처 아이콘과 함께 첫 화면에 표시해줌으로써, 통화상대방과의 친밀감 및 신뢰감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by displaying the contact icon of the user who is scheduled to communicate with the user on the date and time designated by the user in conjunction with the calendar function and the optimum contact information of the contact person on the first screen, it is possible to further enhance intimacy and trust with the other party .

이상,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0: 웹 서버
102-1, 102-2, 102-3, 102-n: 휴대용 통신 단말기
104-1, 104-2, 104-3, 104-n: 착신자 단말기
100: Web server
102-1, 102-2, 102-3, and 102-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s
104-1, 104-2, 104-3, 104-n:

Claims (13)

사용자의 통화내역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통화패턴 데이터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통화패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사용자가 임의의 위치와 시간대에 통화를 시도할 경우 최적의 통화상대자의 아이콘을 생성하여 표시해주는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앱 서버부;
상기 앱 서버부로부터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사용자가 임의의 위치와 시간대에 통화를 실현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된 최적의 통화상대자에 대한 연락처 아이콘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휴대용 통신 단말부; 및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로부터 전화를 수신하는 착신자 단말부를 포함하되,
상기 통화패턴 데이터는 ① 위치정보(location) 연관성, ② 통화시작시간(start time) 연관성, ③ 통화시간(duration) 연관성, ④ 통화상태(status) 연관성, ⑤ 전화번호부 여부와 즐겨찾기 등록여부 연관성, ⑥ 캘린더 연관성을 고려하여 산출하고,
상기 "위치정보(location) 연관성"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가까운 정도로서, 거리별로 구역을 설정하여 GPS 기준으로 값을 설정하며, 상기 "통화시작시간(start time) 연관성"은 사용자의 현재 시간과의 근접성을 표시하고, 시간대로 값을 설정하며, 상기 "통화시간(duration) 연관성"은 통화시간에 비례하여 친밀도를 표시하고, 분단위를 기준으로 값을 설정하며, 상기 "통화상태(status) 연관성"은 통화 성공 또는 통화 실패 여부를 통해서 값을 설정하며, 상기 "전화번호부 여부와 즐겨찾기 등록여부 연관성"은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나 즐겨찾기에 있을 경우, 친밀도를 표시하며, 상기 " 캘린더 연관성"은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캘린더에 해당 시간 및 장소와 연관성이 있을 경우, 이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The call pattern data of the user is calculated using the call history of the user, and when the user tries to make a call at a certain position and time zone based on the calculated call pattern data, the icon of the optimum call partner is generated and displayed An app server unit for providing a quick dial application;
When a quick dial application is downloaded from the app server unit and the user wants to realize a call at an arbitrary position and time zone,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which provides a contact icon for an optimum call partner created through the quick dial application, part; And
And a recipient terminal unit for receiving a telephone call from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call pattern data includes (1) a location association, (2) a start time association, (3) a duration association, (4) a contact status, (5) ⑥ Calculation is calculated considering the relevance,
The "location relevance" is a degree close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and sets a value based on the GPS by setting a zone for each distance. The "start time relevance" The proximity is set and a value is set in a time zone. The "duration association" indicates an intimacy in proportion to a talk time, sets a value based on a minute unit, "Indicates whether the call is successful or whether the call is unsuccessful. The" association of whether or not the phone book is registered with the bookmark "indicates the intimacy when the user is in the phone book or favorit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Quot; calendar association "is displayed on the calendar of the user's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calendar is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time and place.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의 통화상대자는 연락처 아이콘으로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The quick dial system of claim 1, wherein the optimal call partner is represented by a contact ic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 단말부는 사용자와 최근에 전화연결에 실패한 통화상대자에 대한 아이콘를 최우선으로 상기 최적의 통화상대자에 대한 연락처 아이콘으로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The quick dial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unit displays the icon for the communication partner who has recently failed to establish a telephone connection with the user as a contact icon for the optimum communication partner with top priority.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①, ②, ③, ④, ⑤ 및 ⑥에 해당되는 값을 각각 f(1), f(2), f(3), f(4), f(5) 및 f(6)이라고 할 때, 상기 각각의 값에 가중치 a1, a2, a3, a4, a5 및 a6을 곱한 값을 모두 더하여 임의의 통화상대자 A에 대한 통화패턴 데이터 F(A)= f(1)ㆍa1 + f(2)ㆍa2 + f(3)ㆍa3 + f(4)ㆍa4 + f(5)ㆍa5 + f(6)ㆍa6 를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시스템. 2.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the second, the third, the fourth, the fifth, and the sixth are f (1), f (2), f (3), f (6), the value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respective values by the weights a1, a2, a3, a4, a5 and a6 are all added to obtain the communication pattern data F (A) = f a4 + f (5)? a5 + f (6) a6 is calculated based on a call pattern based on the call pattern. .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통화하는 상대방에 대하여 통화패턴 데이터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가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임의의 통화상대자에게 전화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패턴 데이터에 기반한 최적의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을 생성하여 첫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는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표시된 연락처 아이콘중 자신이 통화하고자 하는 통화상대방의 연락처 아이콘을 선택하여 통화를 실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통화패턴 데이터는 ① 위치정보(location) 연관성, ② 통화시작시간(start time) 연관성, ③ 통화시간(duration) 연관성, ④ 통화상태(status) 연관성, ⑤ 전화번호부 여부와 즐겨찾기 등록여부 연관성, ⑥ 캘린더 연관성을 고려하여 산출하되,
상기 "위치정보(location) 연관성"은 사용자의 현재 위치와 가까운 정도로서, 거리별로 구역을 설정하여 GPS 기준으로 값을 설정하며, 상기 "통화시작시간(start time) 연관성"은 사용자의 현재 시간과의 근접성을 표시하고, 시간대로 값을 설정하며, 상기 "통화시간(duration) 연관성"은 통화시간에 비례하여 친밀도를 표시하고, 분단위를 기준으로 값을 설정하며, 상기 "통화상태(status) 연관성"은 통화 성공 또는 통화 실패 여부를 통해서 값을 설정하며, 상기 "전화번호부 여부와 즐겨찾기 등록여부 연관성"은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부나 즐겨찾기에 있을 경우, 친밀도를 표시하며, 상기 " 캘린더 연관성"은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캘린더에 해당 시간 및 장소와 연관성이 있을 경우, 이를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방법.
Downloading a quick dial application based on a call pattern to a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user;
Calculating call pattern data for a calling party through the quick dial application based on a call pattern;
When the user wants to call an arbitrary communication party through a quick dial application based on a call pattern, the contact icon of the optimum communication partner based on the call pattern data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user's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is generated, ;
Wherein the user selects a contact icon of a communication partner of the contact icon displayed on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o realize a call,
The call pattern data includes (1) a location association, (2) a start time association, (3) a duration association, (4) a contact status, (5) ⑥ Calculation should be calculated considering the relevance,
The "location relevance" is a degree close t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user, and sets a value based on the GPS by setting a zone for each distance. The "start time relevance" The proximity is set and a value is set in a time zone. The "duration association" indicates an intimacy in proportion to a talk time, sets a value based on a minute unit, "Indicates whether the call is successful or whether the call is unsuccessful. The" association of whether or not the phone book is registered with the bookmark "indicates the intimacy when the user is in the phone book or favorit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Quot; calendar association "is displayed on the calendar of the user's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calendar is associated with the corresponding time and place. Way.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임의의 통화상대자에게 전화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통화패턴 데이터에 기반한 최적의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을 생성하여 첫 화면상에 표시하는 단계는,
사용자와 최근에 전화연결에 실패한 통화상대자에 대한 아이콘을 최우선으로 표시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when the user wants to call an arbitrary communication partner through a quick dial application based on a call pattern, the optimal contact destination of the communication partner based on the communication pattern data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tep of creating an icon and displaying it on the first screen includes:
Wherein the icon for the user who has recently failed to make a telephone connection and the icon for the communication partner who has recently failed to make a telephone connection are displayed as a top priority.
삭제delet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①, ②, ③, ④, ⑤ 및 ⑥에 해당되는 값을 각각 f(1), f(2), f(3), f(4), f(5) 및 f(6)이라고 할 때, 상기 각각의 값에 가중치 a1, a2, a3, a4, a5 및 a6을 곱한 값을 모두 더하여 임의의 통화상대자 A에 대한 통화패턴 데이터 F(A)= f(1)ㆍa1 + f(2)ㆍa2 + f(3)ㆍa3 + f(4)ㆍa4 + f(5)ㆍa5 + f(6)ㆍa6 를 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방법. 7.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cond, third, fourth, fifth, and sixth steps are f (1), f (2), f (3), f (6), the values obtained by multiplying the respective values by the weights a1, a2, a3, a4, a5 and a6 are all added to obtain the communication pattern data F (A) = f a4 + f (5) a5 + f (6) a6 is calculated based on the call pattern.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최적의 통화상대자의 연락처 아이콘에는 사용자가 통화를 시도한 임의의 위치와 시간대에 사용자와 가장 많이 통화한 통화상대자, 최근에 통화를 시도하였으나 실패한 통화상대자 및 사용자와 통화가 예정되어 있는 통화상대자에 대한 연락처 아이콘이 포함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패턴 기반의 퀵다이얼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act icon of the optimum call partner includes at least one of a call partner most frequently talking to the user at a certain position and a time zone in which the user tries to make a call, Wherein the contact icon includes a contact icon for the call partn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105234A 2013-09-03 2013-09-03 Quick dial system using call pattern and method for quick dialing thereof KR1015464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234A KR101546416B1 (en) 2013-09-03 2013-09-03 Quick dial system using call pattern and method for quick dialing thereof
PCT/KR2014/008057 WO2015034210A1 (en) 2013-09-03 2014-08-29 Call pattern-based quick dial system and quick dial method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234A KR101546416B1 (en) 2013-09-03 2013-09-03 Quick dial system using call pattern and method for quick dial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422A KR20150026422A (en) 2015-03-11
KR101546416B1 true KR101546416B1 (en) 2015-08-24

Family

ID=52628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234A KR101546416B1 (en) 2013-09-03 2013-09-03 Quick dial system using call pattern and method for quick dialing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46416B1 (en)
WO (1) WO201503421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221B1 (en) * 2017-06-20 2019-04-22 주식회사 우리은행 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operation using relationship verif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106B1 (en) * 2003-10-31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using information of private using particulars in mobile terminal
KR20110004708A (en) * 2009-07-08 2011-0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422A (en) 2015-03-11
WO2015034210A1 (en) 2015-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2651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ffering one touch dial by using recent call histor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9532971A (en) Configuring the nomination list
CN101848275A (en) The method that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startup are used
KR101364044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according to call
US2016016504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business dialing
KR20160015825A (en) Method of displaying contents and electronic device for supporting the same during call attempt
US20100083150A1 (en)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a use case based interface
KR101546416B1 (en) Quick dial system using call pattern and method for quick dialing thereof
WO2009082089A2 (en) Contact information display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20140273984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Enhanced Speed Dial
CN103945053B (en) A kind of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JP5397510B2 (en) Terminal device and program
CN105376384A (en) Dialing method and terminal
JP5136907B2 (en) Incoming display control method for telephone device
KR100828323B1 (en) Message index display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2014138270A (en) Telephone terminal, transmission method and program
CN107908437A (en) Shortcut function implementation method for terminal
KR100966558B1 (en) Method for storing number in phone book
JP5293803B2 (en) Terminal device and program
KR101114144B1 (en) Personalized short message management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13042537A (en) Program
KR100881219B1 (en) Method for retrieving phone number information by employing functional number and a user terminal using the method
JP5353756B2 (en)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control program
KR20090104291A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searching for phone book in communication device
KR20040076693A (en) storing method for phone number of recent call number at phone boo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