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694B1 - Navigation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guiding route thereof - Google Patents

Navigation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guiding route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694B1
KR101537694B1 KR1020080129599A KR20080129599A KR101537694B1 KR 101537694 B1 KR101537694 B1 KR 101537694B1 KR 1020080129599 A KR1020080129599 A KR 1020080129599A KR 20080129599 A KR20080129599 A KR 20080129599A KR 101537694 B1 KR101537694 B1 KR 101537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navigation terminal
mobile terminal
destination
nav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95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70867A (en
Inventor
박용준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9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694B1/en
Publication of KR20100070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086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6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05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 G01C21/362Destination input or retrieval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or application, e.g. PDA, mobile phone or calendar appl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46Details of route searching algorithms, e.g. Dijkstra, A*, arc-flags, using precalculated rout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53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 G01C21/3492Special cost functions, i.e. other than distance or default speed limit of road segments employing speed data or traffic data, e.g. real-time or historic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26Details of the output of route guidance instru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로부터 지정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목적지까지 경로를 탐색하는 제어부와, 상기 탐색된 경로를 안내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와 연계된 네비게이션 단말기로부터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지정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지정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경로안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destination for route guidance to a mobile terminal and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a designated destin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 control unit for searching for a route to a specified destination using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an output unit for guiding the searched rout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a destination for route guidance from a navigation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mobile terminal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ignated destination to the navigation terminal;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ignated destination to the navigation terminal at the request of the navigation terminal, Used As it relates to the guide way.

Description

네비게이션 단말기, 이동 단말기 및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NAVIGATION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GUIDING ROUTE THEREOF}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navigation methods, navigation terminals, mobile terminals,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지정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를 안내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경로안내방법과 목적지를 지정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vigation terminal for guiding a route by using information related to a destination specified in a mobile terminal, a route guidance method of the navigation terminal using the navigation terminal, and a mobile terminal for specifying a destination.

일반적으로 네비게이션 단말기(navigation terminal)는 사용자의 위치 및 도착지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 등을 제공하는 장치로서 차량, 선박, 항공 및 휴대용 네비게이션을 포함한다. 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navigation terminal includes a vehicle, a ship, an airplane, and a portable navigation device for providing a user's location and route guidance from a destination to a destination.

상기 여러 네비게이션중에서 차량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차량에 내장되거나 장착/탈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이동체의 운행에 필요한 정보, 즉 이동체의 위치, 도로정보(출발지, 목적지의 위치 및 출발지로부터 목적지까지의 경로안내를 포함한다.) 및 상기 이동체의 위치와 관련된 다양한 부가정보(위험지역, 사고 다발지역, 단속구간 및 주변시설에 관련한 정보를 포함한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빠르고 안전하게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도록 한다.Among various navigation systems, a vehicle navigation terminal is installed in a vehicle so as to be mountable / detachable so as to allow a user to input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moving object, that is, the position of a moving object, road information (origin, destination location, (Inclu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dangerous area, the accident bunch area, the intermittent interval, and the surrounding facility)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the user can reach the destination more quickly and safely .

상기 차량 네비게이션은 최근 꾸준한 기술개발의 결과, 이동체의 운행에 필 요한 정보 뿐 아니라, DMB(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 MP3, 노래방, 동영상재생, 게임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및 부가기능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기술과 GPS기술(GPS Technology;Global Positioning System Technology)을 결합하는 이른바 텔레매틱스(Telematics)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이르렀다.As a result of the recent steady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vehicle navigation system provides various multimedia and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MP3, karaoke, video playback, game, , And so-called telematics services that combine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GPS technology (Global Positioning System Technology).

차량용 네비게이션 단말기 이외에도, 사용자가 휴대가능하도록 제작되어, 사용자의 보행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휴대용 네비게이션 단말기등이 있을 수 있다.In addition to a navigation terminal for a vehicle, there may be a portable navigation terminal manufactured by a user so as to be portable and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for the user to walk.

차량용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경우, 경로안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목적지를 지정하는 입력을 하여야 한다. 이러한 목적지를 지정하는 입력은 일정한 시간이 소요되거나 복잡한 검색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In the case of a navigation terminal for a vehicle, in order to perform route guidance, a user must input an input specifying a destination. Inputs that specify these destinations typically take a certain amount of time or go through a complex search process.

본 발명은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사용자가 경로 안내를 받기 위하여 목적지를 지정하는 경우, 목적지 지정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목적지 지정을 위한 절차를 간소화 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destination designation and simplify the procedure for destination designation when a user of the navigation terminal designates a destination for route guidanc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고, 이동 단말기로부터 지정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와,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목적지까지 경로를 탐색하는 제어부와, 상기 탐색된 경로를 안내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A navig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destination for route guidance to a mobile terminal and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a designated destin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 control unit for searching for a route to a designated destination using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an output unit for guiding the searched route.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vigation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detecting whether the terminal exists in a position where communication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is possible.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탑재된 차량과 관련된 임의의 이벤트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임의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무선 통신부로 하여금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vigation terminal further includes a sensing unit for sensing any event related to the vehicle on which the navigation terminal is mounted, and when the arbitrary event occurs, It can be controlled to detect whether or not the terminal exists in a position where communication is possible.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임의의 이벤트는, 상기 차량의 도어의 열림/닫힘, 상기 차량의 시동, 상기 차량의 운전자 탑승 또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스위치 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rbitrary ev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pening / closing a door of the vehicle, starting the vehicle, boarding the driver of the vehicle, or switching on the navig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위치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탑재된 차량의 내부 공간일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sition where communication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is possible may be an internal space of the vehicle on which the navigation terminal is moun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감지된 단말기에 상기 지정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a signal for reques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ignated destination to the sensed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연계된 단말기임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감지된 단말기로부터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transmit an identifier to the mobile terminal to identify that the mobile terminal is a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and may receive the identifier from the detected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신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단말기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연계된 이동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감지된 단말기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연계된 이동 단말기인 경우, 상기 감지된 단말기에 상기 지정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determines whether the sensed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using the received identifier,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ransmits, In the case of a mobile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a signal for reques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ignated destin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detected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include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that transmits and receives information using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는, 임의의 지리적 영역과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인어, 상기 색인어와 대응되는 지리적 영역의 위치정보 또는 지리적 영역의 식별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tination for the route guidance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ndex word corresponding to an arbitrary geographical area, at least one of an index code of geographical area corresponding to the index word, . ≪ / RTI >

상기와 같은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와 연계된 네비게이션 단말기로부터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 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지정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와, 수신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지정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terminal for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a destination for route guidance from a navigation terminal associated with a mobile terminal, A memory for stor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eived destination; a user input for receiving an input for designating a destination from the user; and a control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ignated destination,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navigation message to the navigation terminal.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무선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may be further provided to detect whether the navigation terminal exists in a position wher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is possible.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경로안내방법은,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연계된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지정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목적지까지 경로안내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navigation method of a navigation terminal, including the steps of: transmitting information related to a destination for route guidance to a mobile terminal associated with a navigation terminal;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a designated destination from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performing route guidance to a designated destination using the received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detecting whether a terminal exists at a position where communication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is possible.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탑재된 차량과 관련된 임의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vigation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terminal exists in a position where communication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is possible when an event related to the vehicle on which the navigation terminal is mounted occurs.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감지된 단말기에 상기 지정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yet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ransmitting a signal for reques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ignated destination to the sensed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연계된 단말기임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mitting may include transmitting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at the mobile terminal is a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감지된 단말기로부터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된 단말기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연계된 이동 단말기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단말기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연계된 이동 단말기인 경우, 상기 감지된 단말기에 상기 지정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trolling a navigation terminal,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n identifier from the detected terminal; determining whether the detected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using the received identifier; And transmitting a signal for reques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ignated destination to the sensed terminal when the sensed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상기 이동 단말기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vig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can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using local area communication.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와 관련된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연계된 이동 단말기로부터 사용자가 지정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경로를 안내함으로서, 사용자가 차량에 탑승후 목적지를 설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The navigation terminal according to at least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ceives information related to a destination specified by a user from a mobile terminal associated with a navigation terminal and guides the route using the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setting the destination after.

또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목적지를 지정함으로서, 경로 안내를 원하는 목적지를 지정하는데 있어서,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목적지를 지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user designates a destination by using the mobile terminal, the destination can be designated without specifying the location in designating a destination for which route guidance is desired.

[네비게이션 단말기 일반][Navigation terminal general]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네비게이션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navigation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the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mix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their own meaning or ro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또는 다른 단말기는 차량의 장착되어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Car navigation System;CNS)를 구성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navigation terminal or other terminal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navigation terminal for vehicles constituting a car navigation system (CNS) equipped with a vehicle.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체는 차량, 선박, 항공기등 이동가능한 운송수단 이외에도,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의 사용자를 의미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체의 위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의 위치와 동일하게 인식될 수 있다.The moving body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may mean a user of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n addition to a movable vehicle such as a vehicle, a ship, an aircraft, or the like.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may be recognized as the same as the position of the navigation terminal 100.

또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는, 위치 정보 모듈이 탑재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The navigation terminal or the mobile terminal may b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 ≪ / RTI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navig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위치정보모듈(120) A/V(Audio/Video) 입력부(130), 사용자 입력부(140), 센싱부(150), 출력부(160), 메모리(170), 인터페이스부(180), 제어부(190) 및 전원 공급부(2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navigation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20, an audio / video input unit 130, a user input unit 140, a sensing unit 150, an output unit 160, A memory 170, an interface unit 180, a control unit 190, a power supply unit 200, and the lik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so that a navigation terminal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네비게이션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navigation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navigation terminal 100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4, and the like.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of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a Media Forward Link Only And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ISDB-T)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dapted to other broadcasting system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70.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2 transmits and receives radio signals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3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built in or enclosed in the navigation terminal 100.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4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위치정보 모듈(120)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120 is a module for obtain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GPS모듈은 적어도 세 개 이상의 항법 위성으로부터 시간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위성으로부터의 거리를 계산한다. 상기 계산된 거리에 삼각측량법을 적용하여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다. GPS모듈은 상기 삼각측량법을 적용하여 얻은 위치정보에, 지도 정합(Map matching), 추측 항법(Dead reckoning)등의 기술을 더 적용하여 산출된 위치 정보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The GPS module receives a signal containing time information from at least three navigation satellites, and calculates the distance from each satellite using the signal. The posi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applying the triangulation method to the calculated distance. The GPS module can further improve the accuracy of the calculated position information by applying techniques such as map matching and dead reckon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obtained by applying the triangulation method.

위치정보모듈(120)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하여 상기 GPS모듈 이외에도, Cell tower signals, 무선 인터넷 신호, 블루투스 센서 등 다양한 기술을 함께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을 Hybrid Positioning System 이라고 한다.In addition to the GPS module,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120 can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using various technologies such as Cell tower signals, a wireless Internet signal, and a Bluetooth sensor in order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This technology is called Hybrid Positioning System.

위치정보모듈(120)이 감지한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의 위치는 이동체의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navigation terminal 100 detected by 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120 may indicate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3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31)와 마이크(13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31)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61)에 표시될 수 있다.1, an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13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31 and a microphone 132. The camera 131 processe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61. [

카메라(13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3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31 can be stored in the memory 17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At least two cameras 131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마이크(13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마이크(13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3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132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40)는 사용자의 네비게이션 단말기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4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140 generates input data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navigation terminal of the user. The user input unit 14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가 차량용 네비게에션 장치(100)인 경우, 차량에 장착된 조향 휠(steering wheel), 가속 페달(Acceleration pedal), 제동 패달(brake pedal), 기어 변속 레버등이 사용자 입력부(140)를 구성할 수도 있다.When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a navigation device 100 for a vehicle, a steering wheel, an acceleration pedal, a brake pedal, a gearshift lever, (140).

센싱부(150)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자 접촉 유무, 또한, 전원 공급부(20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80)와 외부 기기 또는 차량 부품과의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50)는 근접 센서(151) 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50 may sense whether or not the user touches the navigation terminal 100, whether the power supply unit 200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unit 18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or a vehicle part, . Meanwhile, the sensing unit 15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151.

한편, 상기 센싱부(150)는 이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들, 예를 들어, 이동체의 이동속도를 감지하는 속도센서(speed sensor), 가속도를 감지하는 가속 센서(G-sensor) 또는, 이동체의 회전 각속도 또는 회전 각가속도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gyro sensor)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들은 DR 센서(Dead Reckoning Senosor;DR sensor)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DR 센서는 위치정보모듈에 포함되거나 위치정보모듈과 상호작용하여 이동체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50 may include sensors for sensing movement of a moving object, for example, a speed sensor for sensing the moving speed of the moving object, an acceleration sensor (G-sensor) for sensing acceleration, And a gyro sensor for sensing a rotational angular velocity or a rotational angular acceleration of the motor. Sensors for detecting movement of the moving object may be utilized as a DR sensor (Dead Reckoning Sensor). The DR sensor may be includ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or may be used to locate a mobile object by interacting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module.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가 차량용 네비게에션 장치(100)인 경우, 상기 센싱부(150)는 차량 도어 또는 창문의 개폐여부, 안전 벨트 착용 여부, 운전자의 조향 휠, 가속 페달, 제동 페달, 기어 변속 레버 등의 조작 상태, 차량 내부 또는 외부의 온도, 차량과 다른 물체와의 충돌여부 및 그 강도, 차량과 다른 물체와의 거리, 차량에 장착된 부품의 상태,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된 램프(lamp)의 점멸 상태 또는 밝기, 차량 탑승자의 착석 여부 등 차량 또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네비게이션 단말기(100) 또는 차량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도어가 개방여부를 감지하거나, 차량 탑승자가 자리에 앉은 경우, 의자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이용하여 이를 감지할 수 있다.When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the navigation device 100 for a vehicle, the sensing unit 150 senses whether the vehicle door or window is open or closed, whether the seat belt is worn, the driver's steering wheel, the accelerator pedal, The operation state of the shift lever, the temperature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whether or not the vehicle collides with another object and its strength, the distance between the vehicle and another object, the state of the parts mounted on the vehicle, such as the blinking state or brightness of the lamp,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passenger of the vehicle, and the like, to generate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navigation terminal 100 or the vehicle by sensing the current state of the vehicle or the navigation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a vehicle door is open or when a vehicle occupant is seated, a pressure sensor can be used to sens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chair.

출력부(16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61), 음향 출력 모듈(162), 알람부(163), 및 햅틱 모듈(16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60 is for generating an output related to a visual, auditory or tactile sense and includes a display unit 161, an acoustic output module 162, an alarm unit 163, and a haptic module 164 .

디스플레이부(161)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경로 탐색 모드인 경우 경로 탐색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네비게이션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6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to be processed in the navigation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navigation terminal is in the route search mode, a UI (User Interface) or GUI (Graphic User Interface) related to route search is displayed. When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image, UI, or GUI is displayed.

디스플레이부(16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6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a 3D display.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ent OLED) and the like.

상기 디스플레이부(161)는 헤드 업 디스플레이(Head Up Display;HUD)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차량의 전면 유리 또는 도어에 구비된 창문에 디스플레이부(161)를 구현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61)는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61 may be implemented as a Head Up Display (HUD). For example, the display unit 161 may be implemented on a window provided on a front glass or a door of the vehicle. At this time, the display unit 161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6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units 16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navigation terminal 100.

디스플레이부(16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6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in which a display unit 161 and a sens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touch sensor') that detects a touch operation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It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6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6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161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161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to be touched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9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90)는 디스플레이부(16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90. Thus, the control unit 19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161 is touched or the lik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5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Referring to FIG. 1, a proximity sensor 151 may b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a navigation terminal or a proximity of the touch screen, which is enclosed by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 nearby object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The proximity sensor has a longer life span than the contact sensor and its utilization is also high.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 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An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when the touch screen is electrostatic.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recognizing that the pointer is positioned on the touch screen while the pointer is not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Quot; The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roximate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vertically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touched.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and the lik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16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경로 탐색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경로 안내 음성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6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62 can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ommunication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 The sound output module 152 also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tones, message reception tones, route guidance tones, etc.) performed in the navigation terminal 100. The sound output module 16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63)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터치 입력, 차량에 장착된 부품의 이상, 차량 도어, 창문 등의 비정상적인 개폐 등이 있다. 알람부(16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61)나 음성 출력 모듈(16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61,162)은 알람부(16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alarm unit 16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navigation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that occur in the navigation terminal include receiving a call signal, receiving a message, inputting a touch, abnormality of a component mounted on the vehicle, abnormal opening and closing of a vehicle door, a window, and the like. The alarm unit 163 may output a signal for informing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 video signal or an audio signal, for example, a vibration.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61 or the audio output module 162 so that they may be classified as a part of the alarm unit 163. [

햅틱 모듈(haptic module)(16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6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6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haptic module 16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64 is vibration. The intensity and the pattern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164 are controllable.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sequentially output.

햅틱 모듈(16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haptic module 164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a pin arrangement vertically moving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a spraying force or suction force of the air through the injection port or the suction port, a touch on the skin surface, contact with an electrode, And various tactile effects such as an effect of reproducing a cold sensation using an endothermic or exothermic element can be generated.

햅틱 모듈(16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64)은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The haptic module 164 can be implemented not only to transmit the tactile effect through direct contact but also to allow the user to feel the tactile effect through the muscular sense of the finger or arm. The haptic module 164 may include two or more haptic module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navigation terminal 100.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가 차량용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인 경우, 햅틱 모듈(164)은 차량에서 사용자와의 접촉이 빈번한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 어, 조향 휠, 변속 기어 레버, 좌석 시트 등에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a navigation terminal 100 for a vehicle, the haptic module 164 may be provided in a place where frequent contact with a user is made in the vehicle. For example, a steering wheel, a shift gear lever, a seat sheet, or the like.

메모리(170)는 제어부(19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음악, 정지영상, 동영상, 지도 데이터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7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ler 190 and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e.g., music, still image, moving picture, map data, etc.). The memory 170 may store data related to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ted when a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memory 17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disk, and / or an optical disk. The navigation terminal 100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170 on the Internet.

인터페이스부(180)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8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네비게이션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네비게이션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8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180 serves as a path for communication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navigation terminal 100. The interface unit 18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 the navigation terminal 100 or allows data in the navigation terminal 100 to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180.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가 차량용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인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부(180)는 CAN(Controller-area Network),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FlexRay, MOST(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등의 형식을 이용하여 차량의 장착된 다른 장치들과 연결될 수 있다.If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a navigation terminal 100 for a vehicle, the interface unit 180 may be a controller-area network (CAN), a local interconnect network (LIN), a FlexRay, a MOST (Media Oriented Systems Transport) And can be connected to other mounted devices of the vehicle.

식별 모듈은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식별 장치는 차량 키의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right of the navigation terminal 1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a general user authentication module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s") can be manufactured in a smart card format.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100 through the port. Or the identification device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vehicle key.

제어부(controller, 190)는 통상적으로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경로 탐색, 차량 제어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9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91)을 구비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9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navigation terminal. For example, data communication, video call, route search, vehicle control,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19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191 for multimedia playback.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가 차량용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인 경우, 제어부(190)는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Airbag)을 제어하기 위한 에어백 제어부(192), 차량에 장착된 비상 배터리를 제어하기 위한 비상 배터리 제어부(193)등을 더 구비 할 수 있다. When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a navigation terminal 100 for a vehicle, the control unit 190 includes an airbag control unit 192 for controlling an airbag mounted on the vehicle, A battery control unit 193, and the like.

상기 멀티미디어 모듈(191), 에어백 제어부(192), 비상 배터리 제어부(193)는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9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multimedia module 191, the airbag control unit 192 and the emergency battery control unit 193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 unit 180 or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190.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가 차량용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이고, 이동통신기술과 함께 구현된 경우, 이를 텔레매틱스 단말기(Telematics Terminal)라고도 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90)는 텔레메틱스 제어 유닛(Telematics Control Unit;TCU)이 된다.When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a navigation terminal 100 for a vehicle and is implemented together with a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it is also called a telematics terminal.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190 becomes a telematics control unit (TCU).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90 may perform a pattern recognition process for recognizing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전원 공급부(200)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20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90 and supplies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상기 구성요소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비하고, 휴대가능하도록 제작된 휴대용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상기 구성요소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구비하고, 차량과 일체화되거나 차량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로 구현될 수 있다.The navigation terminal 100 may include a part or all of the components and may be implemented as a portable navigation terminal 100 manufactured to be portable. Alternatively, the navigation terminal 100 may include a part or all of the components, and may be implemented as a navigation terminal 100 for a vehicle, which is integrated with the vehicle or is detachably mountable to the vehicle.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차량과 일체화되어 구현되거나, 차량과 별도의 장치로서 차량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The navigation terminal 100 may be integrated with the vehicle, or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vehicle as a separate device from the vehicle.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 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본원발명 네비게이션 단말기][The invention navigation termina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a destination for route guidance to the mobile terminal 200.

상기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는, 임의의 지리적 영역과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인어, 상기 색인어와 대응되는 지리적 영역의 위치정보 또는 지리적 영역의 식별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리적 영역과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인어는 상기 지리적 영역의 식별코드에 대응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색인어를 이동 단말기(200) 또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에 입력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200) 또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이와 대응되는 식별코드를 지정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200) 또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상기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지리적 영역에 대한 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지리적 영역을 목적지로 설정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tination for the route guidan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ne or more index words corresponding to a certain geographical are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eographical area corresponding to the index word, or identification code of the geographical area. One or more index words corresponding to the geographical area may correspond to an identification code of the geographical area. When the user inputs the index word to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navigation terminal 100,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navigation terminal 100 can recognize that the corresponding identification code is designated. The mobile terminal 200 or the navigation terminal 100 may search for information on a geographical area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code and set the geographical area as a destination.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지정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지정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는 사용자가 지정한 목적지의 식별코드, 색인어 또는 지리적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a designated destin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ignated destin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dentification code, an index word, or geographical information of a destination designated by the user.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200)는 근거리 통신기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200)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통신이 가능한 위치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로부터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거리 내에 속하는 지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고, 블루투스 기술의 송수신 가능거리가 100m라고 가정하면,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통신이 가능한 위치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로부터 100m 이내에 위치하는 지역을 의미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can detect whether or not a terminal exists in a position where communication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possible. The navigation terminal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can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using a local area communication technology. When the navigation terminal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using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a position at whic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can communicate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within a distance It can mean the area to which it belongs.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navigation terminal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using the Bluetooth technology, and that the transmission / reception possible distance of the Bluetooth technology is 100 m,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The location may be an area located within 100 m from the navigation terminal 100.

또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통신이 가능한 위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0)가 장착된 차량의 내부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차량의 내부공간은, 차량의 차체 및 도어로 밀폐된 내부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Or a position where the navigation terminal 100 can communicate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may refer to an internal space of the vehicle on whic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mounted. The inner space of the vehicle may mean an inner space sealed by the vehicle body and the door of the vehicle.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200)에 응답을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상기 신호에 응답하여 응답신호를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로 전송하면,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이를 감지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단말기(200)가 존재함을 감지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a signal for requesting a response to the mobile terminal 200 located at a position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When the mobile terminal 200 transmits a response signal to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n response to the signa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detects the signal and transmits the response signal to the terminal 100 200 can be detected.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상기 감지된 단말기에 상기 지정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transmit a signal for reques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ignated destination to the detected terminal.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연계(pairing)된 단말기임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전송하고, 상기 감지된 단말기로부터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식 별자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에 설정된 고유 인증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to the mobile terminal 200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at the mobile terminal 200 is a terminal paired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 The identifier may include a unique authentication code set in the navigation terminal 100.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싱부(150)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탑재된 차량과 관련된 임의의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임의의 이벤트는 상기 차량의 도어의 열림/닫힘, 상기 차량의 시동, 상기 차량의 운전자 탑승 또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스위치 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sensing unit 150 may sense any event related to the vehicle on which the navigation terminal is mounted. The arbitrary ev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pening / closing a door of the vehicle, starting the vehicle, boarding the driver of the vehicle, or switching on the navigation terminal.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지정된 목적지까지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controller 190 can search for a route to a designated destination using th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센싱부(150)가 상기 임의의 이벤트를 감지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무선통신부(110)로 하여금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ler 190 determines that the sensing unit 150 senses the certain event, the control unit 190 determines whether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detects the presence of a terminal at a position where the navigation unit 100 can communicate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

차량의 도어가 열리고 닫히거나, 차량의 시동이 걸리거나, 차량의 운전자가 탑승하는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연계된 이동 단말기(200)가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있을 가능성이 높다. 임의의 이벤트가 감지되는 경우에만 네비게이션 단말기(100)가 이동 단말기(200)와 통신을 시도 할 경우,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mobile terminal 200 associated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in a communicable position when the door of the vehicle is opened and closed, the vehicle is started, or a driver of the vehicle is aboard. The power consumption can be reduced when the navigation terminal 100 attempts to communicate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only when an arbitrary event is detected.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무선통신부(110)가 수신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통신부(110)에의해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위치에 있다고 감지된 단말기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연계된 이동 단말기(200)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무선통신부(110)가 수신한 식별자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에 고유한 식별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수신한 식별자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에 고유한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감지된 단말기를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연계된 이동 단말기(200)라고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190 determines whether the terminal detected to be in a position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s the navigation terminal 100 using the identifier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mobile terminal 200 is associated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The control unit 190 can determine whether the identifier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tches an identifier unique to the navigation terminal 100. [ If the received identifier matches an identifier unique to the navigation terminal 100, the controller 190 determines that the detected terminal is the mobile terminal 200 associated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감지된 단말기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연계된 이동 단말기(200)인 경우, 상기 감지된 단말기에 상기 지정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If the detected terminal is the mobile terminal 200 connected to the navigation terminal 100, the controller 190 may transmit a signal for reques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ignated destination to the detected terminal.

[도1에 대한 설명-전체구성][Description of FIG. 1 - Overall Configur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무선 통신부(210), A/V(Audio/Video) 입력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싱부(240), 출력부(250), 메모리(260), 인터페이스부(270), 제어부(280) 및 전원 공급부(2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The mobile terminal 2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an audio / video input unit 220, a user input unit 230, a sensing unit 240, an output unit 250, a memory 260, A control unit 280, a power supply unit 290, and the like. The components shown in FIG. 1 are not essential, and a mobile terminal having more or fewer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210)는 이동 단말기(2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200)와 이동 단말기(2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210)는 방송 수신 모듈(211), 이동통신 모듈(212), 무선 인터넷 모듈(213), 근거리 통신 모듈(214) 및 위치정보 모듈(2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one or more modules for enabl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he network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200 is located.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2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2, a wireless Internet module 213,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214, and a location information module 215 .

방송 수신 모듈(2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2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nd a terrestrial channel.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or a server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s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2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refer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2.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of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상기 방송 수신 모듈(2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 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2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211 may b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a Media Forward Link Only (DVF-H) (ISDB-T), and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Of course,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211 may be adapted to other broadcasting system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described above.

방송 수신 모듈(2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2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2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60.

이동통신 모듈(2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2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213 is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may be embedd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or externally. WLAN (Wi-Fi), Wibro (Wireless broadband), Wimax (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and the like can be used as wireless Internet technologies.

근거리 통신 모듈(2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214 is a module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a short range communication technology.

위치정보 모듈(2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The position information module 215 is a module for obtain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is a Global Position System (GPS) module.

도 2를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2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221)와 마이크(2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251)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n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2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221 and a microphone 222. The camera 2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51. [

카메라(2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2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2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2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260 or may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via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 At least two cameras 221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use environment.

마이크(2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2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2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microphone 222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may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212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and output. Various noise elimination algorithms may be implemented in the microphone 222 to remove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2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The user input unit 230 generates input data for a us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230 may include a key pad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센싱부(240)는 이동 단말기(2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2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2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2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2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2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240)는 근접 센서(24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2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200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the presence of the user, the orienta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2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2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is possible to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t is also possible to sense whether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supply unit 290, whether the interface unit 27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Meanwhile, the sensing unit 240 may include a proximity sensor 241.

출력부(2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251), 음향 출력 모듈(252), 알람부(253), 및 햅틱 모듈(2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250 includes a display unit 251, an audio output module 252, an alarm unit 253, a haptic module 254, and the like, for generating output related to visual, auditory, .

디스플레이부(251)는 이동 단말기(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2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251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200. 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mobile terminal 2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hotographed and / or received video, UI, and GUI are displayed.

디스플레이부(2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2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display, and a 3D display.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 부(2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2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ypical example of the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ent OLED) and the like. The rear structure of the display unit 251 may also be of a light transmission type. With this structure, the user can see an object located behind the terminal body through the area occupied by the display unit 251 of the terminal body.

이동 단말기(2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2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units 25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mobile terminal 200. For example, in the mobile terminal 200, a plurality of display units may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r may be dispos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or may be disposed on different surfaces.

디스플레이부(2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2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in which a display unit 251 and a sens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ensor') for sensing a touch operation form a mutual layer structure, It can also be used as an input device. The touch sensor may have the form of, for example, a touch film, a touch sheet, a touch pad, or the like.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2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251 or a capacitance generated in a specific portion of the display portion 251 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The touch sensor can be configured to detect not only the position and area to be touched but also the pressure at the time of touch.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2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 unit 280. Thus, the control unit 280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unit 251 is touched or the like.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2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Referring to FIG. 2, a proximity sensor 241 may be disposed in an inner region of the mobile terminal or in the vicinity of the touch screen, which is wrapped by the touch screen. The proximity sensor refers to a sensor that detects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approaching a predetermined detection surface or a nearby object without mechanical contact using the force of an electromagnetic field or infrared rays. The proximity sensor has a longer life span than the contact sensor and its utilization is also high.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the proximity sensor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And to detect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by the change of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when the touch screen is electrostatic.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recognizing that the pointer is positioned on the touch screen while the pointer is not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The act of actually touching the pointer on the screen is called "contact touch. &Quot; The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roximate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eans a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vertically corresponding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touched.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nd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and the lik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may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2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2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260)에 저장 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52)은 이동 단말기(2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2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252 may output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10 or stored in the memory 2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module 252 also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mobile terminal 200. [ The sound output module 252 may include a receiver,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253)는 이동 단말기(2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2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251)나 음성 출력 모듈(2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251,252)은 알람부(2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alarm unit 253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mobile terminal 200. Examples of events that occur in the mobile terminal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key signal input, touch input, and the like. The alarm unit 253 may output a signal for informing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for example, vibration. The video signal or the audio signal may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251 or the audio output module 252 so that they may be classified as a part of the alarm unit 253.

햅틱 모듈(haptic module)(2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2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2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haptic module 254 generates various tactile effects that the user can feel. A typical example of the haptic effect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254 is vibration. The intensity and pattern of the vibration generated by the haptic module 254 are controllable. For example, different vibrations may be synthesized and output or sequentially output.

햅틱 모듈(2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haptic module 254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a pin arrangement vertically moving with respect to the contact skin surface, a spraying force or suction force of the air through the injection port or the suction port, a touch on the skin surface, contact with an electrode, And various tactile effects such as an effect of reproducing a cold sensation using an endothermic or exothermic element can be generated.

햅틱 모듈(2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254)은 휴대 단말기(2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haptic module 254 can be implemented not only to transmit the tactile effect through direct contact but also to allow the user to feel the tactile effect through the muscular sensation of the finger or arm. The haptic module 254 may include two or more haptic modules 254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200.

메모리(260)는 제어부(2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2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26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280 and temporarily store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a moving picture, etc.). The memory 260 may store data on vibration and sound of various patterns output when a touch is input on the touch screen.

메모리(2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2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2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memory 2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disk, and / or an optical disk. The mobile terminal 200 may operate in association with a web storage that performs a storage function of the memory 260 on the Internet.

인터페이스부(270)는 이동 단말기(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2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2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2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2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interface unit 270 serves as a path for communication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The interface unit 270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supplies power to each component in the mobile terminal 200 or transmits data in the mobile terminal 200 to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a wired / wireless headset port, an external charger port,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port, a port for connecting a device having an identification module, an audio I / O port, A video input / output (I / O) port, an earphone port, and the like may be included in the interface unit 270.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2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20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right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includes a user identification module (UIM), a 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a general user authentication module A 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and the like. Devices with identification modules (hereinafter referred to as "identification devices") can be manufactured in a smart card format. Accordingly, the identification device can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200 through the port.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2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2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When the mobile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radle, the interface unit may be a path through which the power from the cradle is suppli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It can be a passage to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The various command signals or the power source input from the cradle may be operated as a signal for recognizing that the mobile terminal is correctly mounted on the cradle.

제어부(controller, 2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2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2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281)은 제어부(2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2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28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The control unit 280 may include a multimedia module 2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module 281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 unit 280 or may be implemented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280.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280 may perform pattern recognition processing to recognize handwriting input or drawing input performed on the touch screen as characters and images, respectively.

전원 공급부(290)는 제어부(2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2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80 and supplies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The various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embodi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computer or similar device using, for example, software,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2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According to a hardware implementa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ASIC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of a processor, controllers, micro-controllers, microprocessors, and other electronic units for performing other functions. In some cases, The embodiments described may be implemented by the control unit 280 itself.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260)에 저장되고, 제어부(2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According to a software implementation, embodiments such as the procedures and function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with separate software modules. Each of the software modules may perform one or more of the functions and operations described herein. Software code can be implemented in a software application written in a suitable programming language. The software code is stored in the memory 260 and can be executed by the control unit 280. [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무선통신부(220)는 이동 단말기(200)와 연계(pairing)된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로부터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ma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a destination for route guidance from the navigation terminal 100 paired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상기 무선통신부(220)는 지정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는, 임의의 지리적 영역과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인어, 상기 색인어와 대응되는 지리적 영역의 위치정보 또는 지리적 영역의 식별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may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ignated destination to the navigation terminal 100.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tination for the route guidanc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one or more index words corresponding to a certain geographical area,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eographical area corresponding to the index word, or identification code of the geographical area.

상기 무선통신부(22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와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may detect whether the navigation terminal 100 exists in a position wher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is possibl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입력부(230)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지정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user input unit 230 may receive an input specifying a destination from a user.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지정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무선통신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controller 180 may control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220 to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ignated destination to the navigation terminal at the request of the navigation terminal 100.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flow chart)이다.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route guidance method of a navig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연계(pairing)된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S10).As shown in FIG. 3, the navigation terminal 100 may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a destination for route guidance to a mobile terminal 200 paired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S10).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와 함께, 또는 독립적으로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연계된 이동 단말기(200)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S20). 상기 식별자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에 설정된 고유 인증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navigation terminal 100 may transmit to the mobile terminal 200 an identifier that identifies the mobile terminal 200 associated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together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tination for route guidance, or independently (S20) . The identifier may include a unique authentication code set in the navigation terminal 100.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가 장착된 차량과 관련된 임의의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The navigation terminal 100 may determine whether any event related to the vehicle on whic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installed occurs (S30).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가 장착된 차량과 관련된 임의의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지 않고, 상기 임의의 이벤트 발생여부를 계속하여 감지할 수 있다.The navigation terminal 100 does not detect whether or not the terminal exists in a position where communication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possible and when the navigation terminal 100 does not detect any event related to the vehicle on whic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mounted,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detect whether or not the arbitrary event has occurred.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가 장착된 차량과 관련된 임의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S40).When an event related to the vehicle on whic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mounted is generated, the navigation terminal 100 may detect whether or not the terminal exists in a position where communication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possible S40).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상기 감지된 단말기로부터 상기 단말기가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연계된 이동 단말기(200)인지 여부를 식별하는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S50).The navigation terminal 100 may receive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whether the terminal is the mobile terminal 200 associated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from the detected terminal in operation S50.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상기 감지된 단말기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연계된 이동 단말기(200)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 The navigation terminal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detected terminal is the mobile terminal 200 associated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n operation S50.

이를 위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상기 무선통신부(110)가 수신 한 식별자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에 고유한 식별자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60). 만약 상기 수신한 식별자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에 고유한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90)는 상기 감지된 단말기를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연계된 이동 단말기(200)라고 판단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navigation terminal 100 may determine whether the identifier receiv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tches an identifier unique to the navigation terminal 100 (S60). If the received identifier matches an identifier unique to the navigation terminal 100, the controller 190 determines that the detected terminal is the mobile terminal 200 associated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

상기 감지된 단말기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연계된 이동 단말기(200)가 아닌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다른 단말기를 감지하여, 그 단말기가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연계된 이동 단말기(200)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0~S60).If the detected terminal is not the mobile terminal 200 associated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the navigation terminal 100 detects another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and if the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navigation terminal 100 (S40 to S60). The mobile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the mobile terminal 200 is associated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or not.

상기 감지된 단말기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연계된 이동 단말기(200)인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상기 감지된 단말기에 지정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S70).If the detected terminal is the mobile terminal 200 associated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the navigation terminal 100 may transmit a signal for request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ignated destination to the detected terminal (S70) .

[개념도][Conceptual illustration]

도 4는 본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200)가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이다.FIG.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how a navigation terminal 100 and a mobile terminal 200 interact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200)는 서로 연계(pairing)되어 작용한다.As shown in FIG. 4, the navigation terminal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function as a pair.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차량에 장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를 조작하여 목적지를 조작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는 사용자 입력부(140)의 조작이 용이하지 않고,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만 목적지를 지정할 수 있다.The navigation terminal 100 may be mounted on a vehicle. The user can manipulate the destination by operating the navigation terminal 100. However, the navigation terminal is not easy to operate the user input unit 140, and can designate a destination only when the navigation terminal is aboard the vehicl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200)를 연계하고, 상기 연계된 단말기들을 무선 통신 또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navigation terminal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may be linked to transmit / receive data automatically or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or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를 통하여 공간의 제약없이 자유로이 목적지를 지정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ser can freely designate the destination through the mobile terminal 200 without restriction of the space.

또한 차량 탑승후에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200)가 사용자의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므로, 목적지를 지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Also, since the navigation terminal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automaticall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without user's operation after boarding the vehicle, the time and effort required for designating a destination can be reduced.

[실시예 - 네비게이션 단말기 pairing][Example - pairing of navigation terminal]

도 5a~5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와 연계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5A to 5I are views illustrating a navigation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61)는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된 지도의 방위를 표시하는 아이콘(I1)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61)는 특정 방향(예를 들어 지구의 진북방향), 이동체의 진행방향, 목적지가 위치하는 방향 등이 화면의 상방향에 고정되어 표시되도록 지도를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A, the display unit 161 may display an icon I1 indicating the orientation of the map displayed in one area of the screen. The display unit 161 may display a map such that a specific direction (for example, a true north direction of the earth), a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object, a direction in which the destination is located, and the like are fixed and displayed in the upward direction of the screen.

상기 디스플레이부(161)는 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음향출력모듈(162)의 활성화 여부 및 볼륨설정을 나타내는 아이콘(I2)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아이콘(I2)에 터치입력을 가하는 방법으로 상기 음향출력모듈(162)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키거나 그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61 may display an icon I2 indicating whether the sound output module 162 is activated or not and a volume setting in one area of the screen. The user can activate or deactivate the sound output module 162 or adjust the volume thereof by applying a touch input to the icon I2.

상기 디스플레이부(161)는 화면의 일 영역에 TPEG(Transport Portal Experts Group)을 이용한 경로탐색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나타내는 아이콘(I3)을 표시할 수 있다. TPEG(Transport Portal Experts Group)은 본래 1997년에 유럽 방송 연합(European Broadcasting Union)에 의하여 설립된 교통정보 프로토콜 제정을 위한 그룹을 의미하나,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는 실시간 교통상황 정보를 이용한 경로안내 기능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The display unit 161 may display an icon (I3) indicating whether the route search function using TPEG (Transport Portal Experts Group) is activated or not in one area of the screen. TPEG (Transport Portal Experts Group) is a group for establishing a traffic information protocol established by the European Broadcasting Union in 1997. However, the navigation system is widely known as a route guidance function using real time traffic situation information have.

상기 디스플레이부(161)는 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지도 데이터의 축척(scale)을 표시하는 아이콘(I4)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61 may display an icon I4 indicating a scale of the map data in one area of the screen.

상기 디스플레이부(161)는 화면의 일 영역에 현재시간을 표시하는 아이콘(I5)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61)는 화면의 일 영역에 기 설정된 목적지에 도달하는 예상시간을 표시하는 아이콘(I6)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외에도, 기 설정된 목적지까지 도달하는데 예상되는 소요시간을 표시하는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61 may display an icon I5 for displaying the current time in one area of the screen. 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61 may display an icon I6 indicating an estimated time to reach a predetermined destination in one area of the screen. In addition, an icon indicating the expected time to reach the predetermined destination may be displayed.

상기 디스플레이부(161)는 화면의 일 영역에 기 설정된 목적지까지 남은 거리를 표시하는 아이콘(I7)을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61 may display an icon I7 indicating a distance to a predetermined destination in one area of the screen.

상기 디스플레이부(161)는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된 지도를 확대하는 아이콘(I8) 또는 축소하는 아이콘(I8')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61 may display an icon I8 that enlarges the map displayed in one area of the screen or an icon I8 'that shrinks the map.

상기 디스플레이부(161)는 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이동체의 위치 및 진행방향을 표시하는 아이콘(I9)을 표시할 수 있다. 지도상에 현재 이동체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상기 아이콘(I9)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이동체의 진행방향은 상기 아이콘(I9)에서 화살표의 꼭지점방향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61 may display an icon I9 indicating a position and a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object in one area of the screen. The icon I9 may be displayed on the map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mobile unit. In additio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object can be indicated by the arrow I9 in the direction of the vertex of the arrow or the like.

상기 디스플레이부(161)는 화면의 일 영역에 이동체가 위치한 지역의 지명을 표시하는 아이콘(I10)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61 may display an icon I10 indicating a location name of an area where the moving object is located in one area of the screen.

상기 디스플레이부(161)는 화면의 일 영역에 상기 이동체가 진행하는 길이 차도인 경우, 차도의 차선구성을 나타내는 아이콘(I11)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61 may display an icon I11 indicating a lane configuration of the roadway in a case where the moving body is a length difference in one area of the screen.

상기 디스플레이부(161)는 상기 기 설정된 목적지까지 도달하는데 필요한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경로는 이동체의 목적지가 설정되지 않은경우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The display unit 161 may display a route necessary for reaching the predetermined destination. The path may not be displayed if the destination of the moving object is not set.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의 다른 관련 기능을 설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아이콘(I11)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5B. The display unit 151 may display an icon I11 necessary for setting other related functions of the navigation terminal 100 on the screen.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화면상에 상기 아이콘(I11)이 표시된 영역에 터치입력을 가하면, 디스플레이부(161)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의 다른 관련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아이콘(I12)을 표시할 수 있다.5C, when the user applies a touch input to an area where the icon I11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display unit 161 displays an icon I12 (see FIG. 5C) for selecting another related function of the navigation terminal 100 ) Can be displayed.

상기 아이콘(I12)에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다른 관련 기능(FMT, DMB, TPEG, 단말기 연계기능 등을 포함한다)들이 표시될 수 있다.The icon I12 may display other related functions of the navigation terminal (including FMT, DMB, TPEG, terminal linkage function, etc.).

사용자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의 다른 관련 기능 중 다른 단말기와 연계된 기능을 활성화 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The user can select to activate the function associated with the other terminal among other related functions of the navigation terminal 100. [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단말기 연계기능을 선택한 경우,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연계하고자 하는 다른 단말기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D, when the user selects the terminal association function, the navigation terminal 100 can receive an input for selecting another terminal to be linked.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다른 단말기가 연계(pairing)되었다 함은,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다른 단말기가 근접한 위치에 있는 경우 자동으로 상호 식별하여 정보를 교환가능하도록 설정되었음을 의미할 수 있다.When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paired with another terminal, it means that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set to be able to automatically identify and exchange information when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located at a close position.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연계하고자 하는 다른 단말기와 관련된 식별코드를 사용자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The navigation terminal 100 may receive an identification code associated with another terminal to be associated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from a user.

상기 식별코드는 이동 단말기(200)의 전화번호, 일련번호(Serial number), 인증 코드(Identification code), 단말기에 지정된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IP address;Internet Protocol address)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code may include a telephone number, a serial number, an identification code of the mobile terminal 200, and an Internet Protocol address (IP address) assigned to the terminal.

예를 들어, 연계하고자하는 이동 단말기(200)가 이동통신이 가능한 셀룰러 폰인 경우, 사용자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부여된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상기 이동 단말기(200)를 연계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200 to be linked is a cellular phone capable of mobile communication, the user inputs the phone number assign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and transmits the phone number to the navigation terminal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Can be linked.

도 5e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상기 연계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기(200)에 연계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61)는 상기 연계 요청 신호를 전송중임을 나타내는 아이콘(I13)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E, the navigation terminal 100 may transmit a link request signal to the mobile terminal 200 to be linked. The display unit 161 may display an icon I13 indicating that the association request signal is being transmitted on the screen.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상기 연계 요청을 승인한 경우, 이를 알리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61)는 상기 연계 요청 신호가 승인되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I14)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F, when the mobile terminal 200 approves the association request, the navigation terminal 100 may receive a signal indicating the association request. The display unit 161 may display an icon I14 indicating that the association request signal is approved on the screen.

도 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상기 연계 요청 이 승인 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61)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중임을 나타내는 아이콘들(I15)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G, the navigation terminal 100 may transmit information related to a destination for route guidance to the mobile terminal 200 when the association request is approved. The display unit 161 may display on the screen icons I15 indicating that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tination for route guidance is being transmitted to the mobile terminal 200. [

상기 디스플레이부(161)는 상기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의 전송률 및 현재 전송중인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61 may display information related to a transmission rate of information related to a destination for the route guidance and a destination currently being transmitted.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연계된 단말기임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전송할 수 있다.The navigation terminal 100 may transmit an identifier to the mobile terminal 200 to identify the mobile terminal 200 as a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

도 5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61)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에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완료되면, 이를 나타내는 아이콘(I16)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H, when the display unit 161 has transmitted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tination for route guidance to the mobile terminal 200, the display unit 161 may display an icon I16 on the screen.

도 5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61)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상기 이동 단말기(200)를 연계하는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I17)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5I, the display unit 161 may display an icon I17 indicating that the operation of linking the navigation terminal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is completed.

[실시예 이동 단말기 - 연계][Embodiment: Mobile terminal - connection]

도 6a~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연계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6A to 6C are views illustrating a mobile terminal associated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ssociation with a navigation terminal.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로부터 연계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상기 연계요청의 승인여부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61)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로부터 연계를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하였음을 나타내고, 사용자로부터 연계요청의 승인여부를 묻는 아이콘(P1)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A, the mobile terminal 200 may receive a signal requesting association from the navigation terminal 100. The mobile terminal 200 may receive an input from the user to select whether or not to accept the association request. The display unit 261 indicates that the navigation terminal 100 has received a link request signal and may display an icon P1 on the screen asking whether the link request is approved by the user.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로부터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61)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로부터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중임을 나타내는 아이콘들(P2)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B, the mobile terminal 200 may receive information related to a destination for route guidance from the navigation terminal 100. The display unit 261 may display on the screen icons P2 indicating that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a destination for route guidance.

상기 디스플레이부(161)는 상기 경로 안내를 위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의 수신율 및 현재 수신중인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61 may display the reception rate of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tination for the route guidance and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tination currently being received.

상기 이동단말기(200)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연계된 단말기임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200 may receive an identifier for identifying the mobile terminal 200 as a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from the navigation terminal 100.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61)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상기 이동 단말기(200)를 연계하는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P3)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6C, the display unit 261 may display an icon P3 indicating that the operation of linking the navigation terminal 100 and the mobile terminal 200 is completed.

[도 7 - 이동 단말기, 목적지 지정][Figure 7 - Mobile terminal, destination designation]

도 7a~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목적지를 지정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7A to 7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estination designation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지정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목적지는 목적지의 주소, 또는 경도, 위도 등을 통하여 지정되거나, 목적지의 색인어를 이용하여 지정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7A, the mobile terminal 200 may receive an input for designating a destination from a user. The destination may be specified through an address of the destination, a longitude, a latitude, or the like, or may be designated using an index word of the destination.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단말기(200)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를 지정하기 위하여 목적지의 명칭 등을 입력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B, the mobile terminal 200 may receive a signal for inputting a name of a destination or the like in order to designate a destination from a user.

상기 이동 단말기(200)의 디스플레이부(261)는 화면의 일 영역에 소프트 키(P5)를 표시하고, 소프트 키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을 이용하여 색인어를 수신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261 of the mobile terminal 200 may display the soft key P5 in one area of the screen and receive the index word using the touch input applied to the soft key.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수신된 목적지의 색인어, 주소 또는 위도 및 경도 등이 메모리(270)에 저장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상기 입력된 정보가 메모리(270)에 저장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와 일치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입력된 정보를 이용하여 목적지를 지정한다.The mobile terminal 2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index word, address or latitude and longitude of the received destination coincides with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tination stored in the memory 270. [ If the input information matche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tination stored in the memory 270, the mobile terminal 200 designates the destination using the input information.

만약 상기 입력된 정보가 메모리(270)에 저장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와 일치하지 않으면,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고, 다시 입력할것을 요구하거나, 입력된 정보 중 메모리(270)에 저장된 정보와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목적지를 사용자에게 선택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If the input information does not coincide with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estination stored in the memory 270, the mobile terminal 200 displays an error message and requests to input again, And may request the user to select a destination that is determined to be similar to the stored information.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목적지 설정이 완료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61)는 상기 설정된 목적지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C, the mobile terminal 200 may indicate that the destination setting is completed. The display unit 261 may display the set destination on the screen.

도 7a~c에는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연계된 이동 단말기(200)를 이용하여 목적지를 지정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나,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는 연계되지 않았으나 이동 단말기(200)와 연계된 다른 단말기(미도시)를 이용하여 목적지를 지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200)는 다른 단말기와 연계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다른 단말기를 이용하여 목적지를 지정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또는 이동 단말기(200)와 직접 연계되지 아니하고, 이들과 연계된 다른 단말기와 연계된 또 다른 단말기(미도시)를 이용하여 목적지를 지정할 수 도 있다.7A to 7C illustrate a destination in which a mobile terminal 200 associated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used to designate a destination, (Not shown) may be used to designate the destination. The mobile terminal 200 may establish a connection with another terminal and designate a destination using the other terminal. The destination may be designated using another terminal (not shown) associated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or the other terminal associated with the mobile terminal 200 without being directly connected thereto.

[도8~네비게이션 단말기 - 안내][Figure 8 ~ navigation terminal - guidance]

도 8a~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경로안내를 수행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8A to 8F are diagrams illustrating route guidance in a navig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존재하는 단말기의 존재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가 장착된 차량과 관련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한하여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존재하는 단말기의 존재를 감지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A, the navigation terminal 100 can detect the presence of a terminal existing in a position where communication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can be performed. The navigation terminal 100 may perform an operation of detecting the presence of a terminal existing at a position where communication is possible only when an event related to the vehicle equipped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generated.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200)가 검색된 경우, 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As shown in FIG. 8B, when the mobile terminal 200 located at a position where communication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searched, the navigation terminal 100 can notify the user of the search.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200)가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연계된 이동 단말기(200)로 판단되는 경우 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When the navigation terminal 100 determines that the mobile terminal 200 is connected to the navigation terminal 100 using the identifier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the navigation terminal 100 displays it on the screen .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지정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As shown in FIG. 8C, the navigation terminal 100 may notify the user that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receiving information related to a designated destin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상기 이동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된 지정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As shown in FIG. 8D, the navigation terminal 100 may notify the user of information related to a designated destin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200. [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상기 수신된 지정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경로를 탐색하는 중임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As shown in FIG. 8E, the navigation terminal 100 can inform the user that the navigation terminal 100 is searching for a route us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eived designated destination.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100)는 상기 수신된 지정된 목적지와 관련된 정보를 이용하여 탐색한 경로를 화면에 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경로안내를 수행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F, the navigation terminal 100 may display a route that is searched by using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received designated destination, and may perform route guidance using the rout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Fur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bove-described method can be implemented as a code that can be read by a processor on a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Examples of the medium that can be read by the processor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etc.,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e.g.,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

상기와 같이 설명된 경로안내방법을 구비한 네비게이션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navigation terminal or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route guidance method described above can be applied to a configuration and a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a limited manner, Or some of them may be selectively combin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1 is a block diagram of a navig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2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flow chart).3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a route guidance method of a navig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네비게이션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200)가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보인 개념도.FIG. 4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how a navigation terminal 100 and a mobile terminal 200 interact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5i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이동 단말기와 연계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5A to 5I are views illustrating a navigation terminal in association with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c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연계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6a-c illustrate a mobile terminal associated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ssociation with a navigation terminal.

도 7a~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목적지를 지정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FIGS. 7A to 7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estination designation us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a~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경로안내를 수행하는 모습을 보인 도면.FIGS. 8A to 8F illustrate a route guidance in a navigation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Claims (19)

차량에 탑재된 네비게이션 단말기에 있어서,1. A navigation terminal mounted on a vehicle, 출력부;An output section; 이동 단말기로 고유의 식별자 및 목적지 목록 정보를 전송하는 무선통신부;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a unique identifier and destination list information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차량과 관련된 임의의 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는 센싱부; 및A sensing unit for sensing the occurrence of any event related to the vehicle; And 상기 센싱부에 의하여 상기 임의의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단말기로 식별자 요청 신호가 전송되도록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an identifier request signal to the terminal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navigation terminal when the sensing unit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arbitrary event, 상기 제어부는,Wherein, 상기 식별자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식별자가 상기 고유 식별자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판단하여 상기 목적지 정보 중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지정된 특정 목적지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고,When the identifier received from the terminal corresponds to the unique identifier, determining the terminal as the mobile terminal and requesting transmission of the specified destination information from the mobile terminal amo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Controls the communication unit,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특정 목적지 정보에 대응되는 경로를 안내하도록 상기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unit to guide a rout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destin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어부는,Wherein, 상기 센싱부에 의하여 상기 임의의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상기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And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detect whether a terminal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exists in the navigation terminal when the sensing unit detects the occurrence of the arbitrary event. 제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임의의 이벤트는,The arbitrary event may be, 상기 차량의 도어의 열림/닫힘, 상기 차량의 시동, 상기 차량의 운전자 탑승 또는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스위치 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Wherein the navigation terminal comprises at least one of opening / closing a door of the vehicle, starting the vehicle, riding the driver of the vehicle, or switching on the navigation terminal.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기 설정된 거리 이내는,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탑재된 차량의 내부 공간인 네비게이션 단말기.Wherein the navigation terminal is an internal space of a vehicle on which the navigation terminal is moun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무선 통신부는,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includes: 상기 이동 단말기와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And a short 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using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제1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목적지 목록 정보는,The destination list information includes: 임의의 지리적 영역과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색인어, 상기 색인어와 대응되는 지리적 영역의 위치정보 또는 지리적 영역의 식별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Wherein the at least one indexer corresponds to an arbitrary geographical area,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eographical area corresponding to the indexer, or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geographical area. 네비게이션 단말기로부터 고유 식별자 및 목적지 목록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a unique identifier and destination list information from the navigation terminal; 상기 고유 식별자 및 목적지 목록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A memory for storing the unique identifier and the destination list information;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지정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및A user input for receiving a destination designation input from a user; And 상기 사용자 입력부에서 수신된 목적지 입력에 대응되는 목적지 정보가 상기 목적지 목록 정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목적지 정보가 상기 목적지 목록 정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목적지 정보를 특정 목적지 정보로 지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whether destin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destination input received from the user input unit is included in the destination list information and for specifying the destination information as specific destination information when the destination information is included in the destination list information, Lt; / RTI > 상기 제어부는,Wherein,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무선 연결되는 것에 근거하여, 상기 고유 식별자 및 특정 목적지 정보가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Wherein the controller controls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transmit the unique identifier and specific destination information to the navigation terminal based on the wireless connection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삭제delete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이동 단말기로 고유 식별자 및 목적지 목록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a unique identifier and destination list information from the navigation terminal to the mobile terminal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가 탑재된 차량과 관련된 임의의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Detecting any event related to the vehicle on which the navigation terminal is mounted; 상기 임의의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기 설정된 거리 이내에 위치한 단말기로 식별자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Transmitting an identifier request signal to a terminal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navigation terminal when the occurrence of the arbitrary event is detected; 상기 식별자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기에서 전송된 식별자가 상기 고유 식별자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the terminal as the mobile terminal if the identifier transmitted from the terminal corresponds to the unique identifier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er request signal;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로 판단된 단말기로 상기 목적지 목록 정보 중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지정된 특정 목적지 정보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및Requesting transmission of the specific destination information designated by the mobile terminal from the destination lis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determined as the mobile terminal in the navigation terminal; And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특정 목적지 정보에 대응되는 경로를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And guiding a route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destination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삭제delete 제13 항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임의의 이벤트 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통신이 가능한 위치에 단말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etecting whether or not a terminal exists in a location where communication with the navigation terminal is possible when the occurrence of the arbitrary event is detec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3 항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네비게이션 단말기와 상기 이동 단말기는,The navigation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의 경로 안내 방법.A route guidance method of a navigation terminal for transmitting / receiving informa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KR1020080129599A 2008-12-18 2008-12-18 Navigation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guiding route thereof KR1015376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599A KR101537694B1 (en) 2008-12-18 2008-12-18 Navigation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guiding rout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9599A KR101537694B1 (en) 2008-12-18 2008-12-18 Navigation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guiding route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867A KR20100070867A (en) 2010-06-28
KR101537694B1 true KR101537694B1 (en) 2015-07-20

Family

ID=42368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599A KR101537694B1 (en) 2008-12-18 2008-12-18 Navigation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guiding route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6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3275B2 (en) 2016-06-21 2018-04-03 Hyundai Motor Company Navigation device with auto mirroring function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method of auto mirror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2363B1 (en) * 2011-10-05 2013-09-06 팅크웨어(주)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KR101292783B1 (en) * 2011-10-05 2013-08-05 팅크웨어(주)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routine informing device
KR101951474B1 (en) * 2012-07-09 2019-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CN103674039B (en) * 2012-09-05 2016-11-09 昆达电脑科技(昆山)有限公司 Integrate the method for the guidance path of multiple guider planning
KR101309670B1 (en) * 2012-11-29 2013-09-23 주식회사 디아이랩 Vehicle system for vehicle information service and method thereof
KR102215815B1 (en) * 2013-07-24 2021-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13267190B (en) * 2021-05-19 2024-04-19 孙洪茂 Intelligent navigation system based on mark enhancement
KR102409097B1 (en) * 2021-12-10 2022-06-15 주식회사 코나투스 Method for inputting place of destination of a passenger into navigator of vehicl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2597209B1 (en) * 2022-05-17 2023-11-06 주식회사 주소엔 Management server for navigating of car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1488A (en) * 1998-01-21 1999-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ata transfer system using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JPH11295080A (en) * 1998-04-10 1999-10-29 Toyota Motor Corp On-vehicle electronic equipment controller and portable device used for same
KR20050050361A (en) * 2003-11-25 2005-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guide path considered user freference
KR20080078300A (en) * 2007-02-23 2008-08-27 (주) 마젠타시스템 A car navigation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1488A (en) * 1998-01-21 1999-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ata transfer system using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JPH11295080A (en) * 1998-04-10 1999-10-29 Toyota Motor Corp On-vehicle electronic equipment controller and portable device used for same
KR20050050361A (en) * 2003-11-25 2005-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for guide path considered user freference
KR20080078300A (en) * 2007-02-23 2008-08-27 (주) 마젠타시스템 A car navigation system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33275B2 (en) 2016-06-21 2018-04-03 Hyundai Motor Company Navigation device with auto mirroring function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method of auto mirro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0867A (en) 2010-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7694B1 (en) Navigation terminal,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guiding route thereof
US9547435B2 (en) Rendering across terminals
KR101502013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thereof
US962526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of image display apparatus
US10788331B2 (en)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00030469A1 (en) Contents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120064865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557186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electronic device
KR101525840B1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US20100082231A1 (en)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1578721B1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guiding route thereof
KR20110054825A (en) Navigation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KR20100064937A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guiding route thereof
KR20100101986A (en) Telematics terminal, metohd for voice recognition and computer recordable medium
KR20100072971A (en) Navigation termninal and method for guiding route thereof
KR101667699B1 (en) Navig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guiding movement thereof
KR20100064248A (en)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537695B1 (en)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40095873A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the electronic device
KR20100038692A (en)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00068062A (en)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516638B1 (en)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10132154A (en)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20002259A (en) Mobile vehicle controll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20110061427A (en) Naviga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