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374B1 - The band for controller - Google Patents

The band for controll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374B1
KR101537374B1 KR1020130030463A KR20130030463A KR101537374B1 KR 101537374 B1 KR101537374 B1 KR 101537374B1 KR 1020130030463 A KR1020130030463 A KR 1020130030463A KR 20130030463 A KR20130030463 A KR 20130030463A KR 101537374 B1 KR101537374 B1 KR 101537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controller
game
present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04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27927A (en
Inventor
최준혁
Original Assignee
최준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준혁 filed Critical 최준혁
Priority to KR1020130030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374B1/en
Publication of KR20140127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79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3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트롤러 손착용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링 형상으로 된 몸체(100)를 이루어 한 손에 착용하되, 각종 명령을 입력하는 기능을 가지는 컨트롤러(A)를 상기 몸체(100)에 착탈식으로 부착하게 되어, 한 손으로 상기 컨트롤러(A)를 쥐고 조작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손착용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ler hand-held band,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ler hand-held band which is worn on a hand made up of a ring-shaped body 100, So that the controller (A) can be grasped and operated with one hand.

Description

컨트롤러 손착용용 밴드{The band for controller}The controller for the hand-held band {The band for controller}

본 발명은 게임기나 티비 및 스마트폰 등 각종 전자기기를 조정할 수 있게 형성되는 컨트롤러 손착용용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손으로 상기 컨트롤러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컨트롤러 손착용용 밴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ler hand-held band formed to adjust various electronic apparatuses such as a game machine, a TV, and a smart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ler hand- .

일반적으로 프로그램이나 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게임 콘텐츠를 이용하여 게임을 하는 경우 PC 또는 단말기와 같은 게임 실행장치에 구비된 자체 입력장치인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를 이용하거나, 조이스틱과 같은 게임 전용 입력장치를 이용하고 있다.In general, when a game is played using a program or a game content provided via the Internet, a keyboard, a mouse, or a keypad, which is a self input device provided in a game execution device such as a PC or a terminal, .

예를 들어 PC 기반의 온라인 게임인 경우 키보드와 마우스를 이용하여 게임에 필요한 각종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스마트폰이나 게임전용 단말기 기반의 온라인 게임인 경우, 특히 단말기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스마트폰(smart phone)인 경우 터치스크린(touch screen)상의 수많은 조작버튼과 키패드를 통해 각종 명령의 입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비디오 게임(콘솔 게임)의 경우에는 컴퓨터를 이용하지 않고 전용 게임기를 이용하는 예가 대표적인바, 조이스틱이나 게임패드 등을 이용하여 명령을 입력함으로써 게임을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C-based online game, a game can be performed by inputting various commands necessary for a game using a keyboard and a mouse. In the case of an online game based on a smart phone or a game terminal, A variety of commands are input through a plurality of operation buttons on a touch screen and a keypad. In the case of a video game (console game), a dedicated game machine is used instead of a computer. Typically, a game can be entered by inputting a command using a joystick or a game pad.

온라인 게임은 비디오 게임과 달리 게임 내에서 방대한 명령 정보를 요구하는바, 게임의 진행에 있어서는 게임에 따라 수많은 명령이 입력되어야 한다. 걷고 달리고 방향을 바꾸고 무기를 사용하는 등 수많은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명령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왼손과 오른손을 모두 이용하여 명령을 입력하면서 게임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Unlike a video game, an online game requires a large amount of command information in the game. In the progress of the game, a lot of commands must be inputted according to the game. You will have to perform a number of actions, such as walking, running, changing direction, using a weapon, and so a variety of commands are required. Therefore, it is common to use both the left hand and the right hand to enter commands and proceed with the game.

또한, 근래 서비스되고 있는 온라인 게임의 경우 다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수이기 때문에 양손으로 게임 도중 키보드나 키패드를 조작하여 대화를 하여야 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경우 마우스나 터치스크린상 조작버튼을 조작하는 한 손의 동작을 멈춰야 하며, 이로 인해 게임의 진행이 끊기게 되어 원활하게 게임을 진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된다. Also, in the case of an online game being served recently, it is necessary to communicate with a keyboard or a keypad while playing a game with both hands.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one hand for operating the operation button on the mouse or the touch screen must be stopped, and the progress of the game is interrupted thereby causing a problem that the game can not proceed smoothly.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 손만으로도 게임에 필요한 모든 명령의 입력을 가능케 하여 게임 도중 나머지 한 손은 자유로운 상태를 유지하게 하거나 또는 필요에 따라 게임에 필요한 모든 명령의 입력을 한 손으로만 가능한 장치가 요구되었는바, 본 출원발명의 출원인은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36657호에서 제안하였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possible to input all the commands necessary for the game with only one hand, so that the other hand can be kept free during the game, or a device capable of inputting all commands necessary for the game As a result,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0-0136657.

상기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다수의 입력수단이 형성된 몸체(100)와, 상기 몸체(100)를 손에 고정하기 위한 착용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컨트롤러가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인용발명은 PC나 단말기 등에 연결하여 한 손으로 게임 등을 조작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종래 컨트롤러를 헌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키보드 또는 터치스크린상의 키패드를 조작할 수 있어 게임 등의 원활한 진행이 가능하다. 1, the conventional art includes a body 100 having a plurality of input means for inputting a command, and a wearer 200 for fixing the body 100 to a hand A controller is disclosed. Therefore, the cited invention can operate a game or the like with one hand by connecting to a PC or a terminal, etc., and can operate the keypad on the keyboard or the touch screen while the user wears the conventional controller in his hands, It is possible to proceed.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착용수단(200)은 사용자의 손의 크기가 고려되지 않아 사용자의 손에 밀착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일 실시예로 인용발명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조절이 가능한 착용수단(200)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착용수단(200)의 길이조절은 가능하나, 사용자가 인용발명을 손에 착용하거나 착용된 인용발명을 손에서 빼기 위해서 착용수단(200)에 형성된 클립을 일일이 고정시키거나 해제해야되는 불편함이 있으며, 더욱이 상기 착용수단(200)은 상기 몸체(10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컨트롤러의 구성이 복잡해 질뿐만 아니라 부피도 커져 불편하며 제조단가가 증가하는 등의 여러 문제점이 발생 된다. However, the wearing means 200 shown in FIG. 1 has a problem that the size of a user's hand is not taken into account and can not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a user's hand. To overcome this problem, A wearable means 200, which is adjustable in length, has also been proposed. This is becaus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length of the wearing means 200 but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fix or unlock the clips formed in the wearing means 200 in order to remove the cited invention from the hand Moreover, since the wearing means 200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ody 100, the controller is not only complicated in structure but also has a large volume, which is inconvenient and increases manufacturing cost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별도로 구비된 컨트롤러를 한 손에 손쉽게 착용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손 크기에 상관없이 손에 용이하게 밀착되는 컨트롤러 손착용용 밴드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troller handwoven band which can be easily worn on a single hand, There is a purpos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컨트롤러 손착용용 밴드는 링 형상으로 된 몸체를 손에 착용하되, 상기 몸체의 일측에 컨트롤러를 착탈식으로 부착하여 한 손으로 상기 컨트롤러를 쥐고 조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controller hand-wear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ring-shaped body is worn on a hand, and a controller is detachably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ody, .

또한, 상기 몸체의 타측에는 길이조절부가 형성되어, 상기 길이조절부에 따라 몸체의 지름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length adjuster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body, and the diameter of the body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length adjuster.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 손착용용 밴드는 컨트롤러를 한 손에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안정적인 조작이 가능하게 하여 한 손으로도 다양한 명령어를 입력하며 PC나 스마트폰 등을 조작하거나 게임을 할 수 있게 한다. 나아가 자판을 사용하는 경우 컨트롤러를 손에서 떼지 않고도 양손으로 자판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The controller hand-wear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controller to be easily worn in one hand and enables stable operation, so that various commands can be inputted by one hand and the user can operate a PC or a smart phone, Let's do it. Furthermore, when using the keyboard, it is possible to input the keyboard with both hands without removing the controller from the hand.

특히나 컨트롤러가 부착되는 몸체의 지름이 조절되도록 길이조절부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손 크기가 상이하더라도 본 발명은 손에 밀착고정되며, 몸체의 지름이 용이하게 조절되는바, 본 발명인 컨트롤러 손착용용 밴드를 손쉽게 착용하거나 빼낼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since the length adjuster is formed to adjust the diameter of the body to which the controller is attached,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ly fixed to the hand and the diameter of the body is easily adjusted even if the hand size of the user is different. Can easily be worn or pulled out.

도 1은 종래의 착용수단이 구비된 컨트롤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착용수단이 구비된 컨트롤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러 손착용용 밴드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러 손착용용 밴드에 컨트롤러가 부착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a, 6b는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러 손착용용 밴드를 사용하여 다양한 구성의 컨트롤러를 한 손에 착용한 상태로 단말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러 손착용용 밴드에 길이조절부가 더 포함된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러 손착용용 밴드에 적용된 길이조절부가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컨트롤러 손착용용 밴드를 사용자가 착용하여 길이가 조절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ntroller equipped with a conventional wearing means,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ntroller provided with a conventional wearing means,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ntroller hand-wear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5 are views showing a state where a controller is attached to a controller hand-wear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controllers of various configurations are worn on a hand in connection with a terminal using a controller hand-wear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length adjuster is further included in a controller hand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length adjuster applied to a controller hand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a controller hand-wear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justed by a wearer.

본 발명에서는 별도로 구비된 컨트롤러를 한 손에 손쉽게 착용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자의 손 크기에 상관없이 손에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링 형상으로 된 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몸체의 일측에 컨트롤러를 착탈식으로 부착하여 한 손으로 상기 컨트롤러를 쥐고 조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손착용용 밴드를 제안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controller can be easily worn on one hand, and a ring-shaped body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dy so as to easily adhere to the hands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user's hand. So that the controller can be grasped and operated with one hand.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인 컨트롤러 손착용용 밴드는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10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troller hand wear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0.

본 발명인 컨트롤러 손착용용 밴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링 형상의 몸체(100)로 되어 있어 상기 몸체(100)에 손을 끼움으로써 착용된다. 본 발명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다양한 손 크기를 반영하고자 상기 몸체(100)는 용이하게 늘어나고 줄어드는 실리콘이나 고무 등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ntroller hand-wearing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a ring-shaped body 100 as shown in FIG. 3 and is worn by putting a hand on the body 100. In order to reflect various hand sizes of a user us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100 may be made of elastic material such as silicone or rubber, which is easily stretched or shrunk,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몸체(100)의 일측에는 PC나 단말기 등과 연결되어 명령어를 입력하거나 게임 등의 프로그램을 조작하는 컨트롤러(A)가 착탈식으로 부착되는 결합부(110)가 형성된다. 컨트롤러(A)는 별도의 착용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것으로 한 손으로 쥐고 사용하는 것이다.A coupling unit 110, which is connected to a PC or a terminal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a controller A for inputting commands or operating a program such as a gam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ody 100. The controller A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wearing means and is used by being held with one hand.

상기 결합부(110)는 컨트롤러(A)를 몸체(100)에 착탈식으로 결합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벨크로나 고정클립 등으로 형성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컨트롤러(A)를 보다 용이하게 탈부착하기 위하여 자석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였다.   Various methods for detachably coupling the controller A to the body 100 may be adopted in the coupling portion 110. For example, a velcro or a fixing clip.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A is formed of a magnet for easier attachment and detachment.

자석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결합부(110)는 일정 길이를 가진 별도의 자석을 구비하여 상기 몸체(100)의 외부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충격으로 인해 상기 결합부(110)가 손쉽게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손에 착용하여 사용하는 본 발명의 특성상 상기 결합부(11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When the magnet 100 is formed as a magnet, the coupling portion 110 may be formed by attaching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0 with a separate magne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However, the coupling portion 110 is formed inside the body 100, as shown in FIG. 8,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the coupling portion 110 is prevented from being easily broken due to the impact and is easily worn by the user. .

또한, 상기 결합부(110)와 컨트롤러(A)는 자력으로 인해 결합되는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10)가 자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컨트롤러(A) 내부의 구비된 금속과 자력으로 결합될 수 있음은 물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A)의 외측면에 결합부(110)와 대응되는 부분이 금속이나 자석 등으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110)에 부착될 수 있다. The coupling unit 110 and the controller A are coupled by magnetic force. As described above, the coupling unit 110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110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roller A as a metal or a magnet so as to be attached to the coupling portion 110 as shown in FIG. .

상기 결합부(110)에 컨트롤러(A)가 부착되는 과정의 일 예를 살펴보면, 우선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110)가 형성된 부분이 사용자의 손바닥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00)를 한 손에 착용한다. 그 후, 컨트롤러(A)를 결합부(110)에 부착하게 된다.As shown in FIG. 5A, the controller A may be attached to the coupling unit 110 such that the coupling unit 110 is positioned on the palm of the user. (100) is worn in one hand. Thereafter, the controller A is attached to the coupling portion 110.

상기 결합부(110)와 컨트롤러(A)는 자력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A)를 손으로 쥐고 있지 않아도 상기 결합부(110)에 부착되어 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손착용용 밴드를 착용하고 있지 않은 손과 마찬가지로 본 발명을 착용한 손 또한 자유롭게 움직이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면 상기 컨트롤러(A)를 한 손에 착용하여 원활하게 명령어 입력이 가능함과 아울러 게임 등을 하다가 상대방과 커뮤니케이션 등을 위해 키보드나 터치스크린 상의 키패드를 양손으로 손쉽게 입력할 수 있어 게임 등 프로그램을 끊김 없이 진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Since the coupling unit 110 and the controller A are magn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the coupling unit 110 is attached to the coupling unit 110 without being held by the hand, as shown in FIG. 5B. Accordingly, the hand wear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reely moved and used as well as the hand not wearing the band for hand w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controller A can be worn in one hand to smoothly input commands, and a keyboard or a keypad on the touch screen can be easily input with both hands for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party while playing a game, And so on.

일 예로 도 6a와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손에는 본 발명인 컨트롤러 손착용용 밴드를 이용하여 컨트롤러(A)를 부착하고, 다른 한 손에는 단말기를 쥐고 사용할 수 있다. 단말기를 통해 게임 등을 하는 경우 방향이나 선택과 같은 조작은 상기 컨트롤러(A)를 이용하며, 게임 등을 하는 도중에 상대방과 대화를 해야되는 경우 양손으로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의 키패드를 입력하게 되어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6A and 6B, the controller A can be attached to one hand using the controller hand wearing ba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ther hand can be used while holding the terminal. When a game or the like is performed through the terminal, operations such as direction or selection use the controller (A), and when a conversation is to be made with the other party while playing a game or the like, the keypad on the touch screen of the terminal is input with both hands, Can be increased.

한편, 상기 몸체(100)에는 길이조절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10)와 일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형성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손 등 부분에위치될 수 있게 형성된다. Meanwhile, the body 100 may have a length adjusting part 120 formed thereon. And may be formed at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coupling part 110 by a certain distance,

상기 길이조절부(120)는 본 발명을 착용하는 사용자의 손 크기가 다양한바 손 크기에 상관없이 상기 몸체(100)가 손에 밀착되어 착용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상기 길이조절부(120)에 의해 상기 몸체(100)의 지름이 조절되게 된다. The length adjuster 120 is provided to allow the user to wear the body 100 in close contact with his or her hands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hand of the user wearing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diameter of the body 100 is adjusted.

상기 길이조절부(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진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 크기에 따라 상기 길이조절부(120)가 자연스럽게 접히거나 펴지면서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The length adjuster 120 may be formed to have a corrugated shape as shown in FIG. Therefore, the length of the length adjuster 12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hand.

길이조절부(120)가 주름진 행태로 형성되는 경우 접혀짐에 따라 돌출되는 부분이 상기 몸체(10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길이조절부(120)에 의해 손이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에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되게 된다. When the length adjusting part 120 is formed in a corrugated form, a portion protruding as the folding is protruded toward the outside of the body 100. Accordingly, not only the ha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ressed by the length adjusting unit 120, but also it is stably stuck to the user's hand.

한편, 상기 길이조절부(120)는 사용자의 손 크기에 맞춰 접힘 시 고정되어 완전히 밀착되고 펴짐 시 손쉽게 분리될 수 있도록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자석(121)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자석(121)은 주름진 형태인 길이조절부(120) 중 접혀져 맞닿는 부분에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호 자력에 의해 길이조절부(120)의 길이가 조절되게 할 수 있다Meanwhile, the length adjuster 120 may be fixed when folded according to the size of a user's hand, and may include a magnet 121 as shown in FIG. 8 and FIG. . At this time, the magnet 121 is formed in a folded portion of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120 in a corrugated form. The length of the length adjusting part 120 can be adjusted by mutual magnetic force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지름이 가장 작아진 경우를 살펴보면, 상기 길이조절부(120)는 모두 접혀지고 접혀져 맞닿는 부분의 내부에 구비된 각각의 자석(121)은 상호 자력에 의해 고정되어 상기 몸체(100)의 지름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의 손 크기가 큰 경우 상기 길이조절부(120)는 이에 맞도록 조절되게 되는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부(120) 중 일부는 접혀져 맞닿게 되고, 다른 일부분은 맞닿아 있던 부분이 분리됨으로써 상기 몸체(100)의 지름이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when the diameter of the body 100 is smallest, the length adjusting unit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magnets 121 provided in the folded and folded- Can be fixed by mutual magnetic force to maintain the diameter of the body 100. On the contrary, when the size of the user's hand is large, the length adjuster 120 is adjusted to fit the length adjuster 120. As shown in FIG. 9, some of the length adjusters 120 are folded and abutted, The diameter of the body 100 is increased.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부(120)는 본 발명을 착용시 사용자의 손등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도 10a는 주름진 형태인 상기 길이조절부(120)가 모두 접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10b는 상기 길이조절부(120)가 사용자의 손 크기에 맞도록 늘어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adjuster 120 is positioned on the user's hand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worn. FIG. 10A shows a state in which the length adjuster 120 is folded, 10B shows a state in which the length adjuster 120 is stretched to fit the size of the user's hand.

이와 같이 상기 길이조절부(120)는 사용자의 손 크기에 상관없이 모든 사용자가 밀착하여 착용할 수 있음은 물론, 내부에 구비된 자석(121)으로 인해 마치 탄성이 부여된 것과 같이 길이가 조절되어 본 발명에 의한 손착용용 밴드를 착용시 사용자의 손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length adjuster 120 can be worn tightly by all users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user's hand, and the length is adjusted as if the elasticity is imparted by the magnet 121 provided therein The band for hand-wear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ept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hand.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컨트롤러 손착용용 밴드는 사용자가 컨트롤러(A)를 착탈식으로 부착하여 한 손에 손쉽게 착용한 후 PC나 스마트폰과 같은 각종 단말기를 조작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컨트롤러(A)가 부착되는 몸체(100)의 지름이 조절되도록 길이조절부(120)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손 크기가 상이하더라도 본 발명은 손에 밀착고정되도록 상기 몸체(100)의 지름이 용이하게 조절되는바, 컨트롤러(A)를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ler hand-wearing b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user to easily attach the controller A in a detachable manner and easily operate the terminal, such as a PC or a smart phone, The length of the body 100 is adjuste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body 100 to which the body 100 is attached is adjusted so that the diameter of the body 100 can be easily adjusted So that the controller A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A : 컨트롤러
100 : 몸체 110 : 결합부
120 : 길이조절부 121 : 자석
A: Controller
100: Body 110:
120: length adjuster 121: magnet

Claims (4)

링 형상으로 된 몸체(100)를 이루고, 주름진 형태로 되어 접힘과 펴짐에 따라 몸체(100)의 지름이 조절되는 길이조절부(120)가 구비되어 길이를 조절하면서 한 손에 착용하되, 각종 명령을 입력하는 기능을 가지는 컨트롤러(A)를 상기 몸체(100)에 착탈식으로 부착하게 되어 한 손으로 상기 컨트롤러(A)를 쥐고 조작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손착용용 밴드.A length adjuster 120 is provided to adjust the length of the body 100 according to the folding and spreading of the body 100. The length adjuster 120 may be worn in one hand while adjusting the length of the body 100, Wherein the controller (A)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body (100) so that the controller (A) can be grasped and operated with one ha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부(120)의 내부에 자석(121)이 구비되되,
상기 자석(121)은 길이조절부(120)가 접혀져 맞닿는 부분마다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 손착용용 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magnet 121 is provided in the length adjuster 120,
Wherein the magnet (121) is formed at each portion where the length adjusting portion (120) is folded and abutte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30030463A 2013-03-21 2013-03-21 The band for controller KR1015373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463A KR101537374B1 (en) 2013-03-21 2013-03-21 The band for control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0463A KR101537374B1 (en) 2013-03-21 2013-03-21 The band for controll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927A KR20140127927A (en) 2014-11-05
KR101537374B1 true KR101537374B1 (en) 2015-07-15

Family

ID=52451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0463A KR101537374B1 (en) 2013-03-21 2013-03-21 The band for controll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37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451A (en) * 2002-03-04 2003-09-15 안영후 Mouse for Computer
JP2010097578A (en) * 2008-10-15 2010-04-30 Michio Morimoto Pointing device un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2451A (en) * 2002-03-04 2003-09-15 안영후 Mouse for Computer
JP2010097578A (en) * 2008-10-15 2010-04-30 Michio Morimoto Pointing device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7927A (en) 201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98171A1 (en) Display Mount for a Game Controller
US9833700B2 (en) Connectable hand-held controllers for virtual-reality systems
JP2023040129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or, operation device, and accessory equipment
US10232255B2 (en) Paddle accessory for a game controller
US20060049579A1 (en) Strap equipped with pointing unit
WO2017221432A1 (en) Controller for game device
US20160317918A1 (en) Game controller with removable paddle accessory
EP3404467A2 (en) Head-mounted display device
US9281859B1 (en) Smartphone cover module with embedded game controller
KR101015337B1 (en) Steering adopter for touch screen
US10162414B2 (en) Wireless control device, position calibrator and accessory
US10974156B2 (en) Frictional and sweat absorbing video game controller sleeve
KR101537374B1 (en) The band for controller
JP3132327U (en) Shiatsu massage gloves
KR101463788B1 (en) A possible feedback game controller on arms
US20080136777A1 (en) Sweat-free mouse device
US20150281417A1 (en) Auxiliary 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Product
US2010024397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tering information on small keyboards
US20160367019A1 (en) Lightweight system for mounting hand-operated tools, objects, and interaction devices to a user's hand
KR101143587B1 (en) Game controller
KR101661935B1 (en) Finger held type remote controller
KR20190068733A (en) Game controller for smartphone in which can be attached to smartphone
JP2004081258A (en) Finger strap
KR200347760Y1 (en) Grip assistant tool for exercise
KR20200001062U (en) Wireless Bluetooth mouse with detachable p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