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2756B1 - Thermosetting temporary-bonding-film for semiconductor wafer, laminated body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bonding laminated body - Google Patents

Thermosetting temporary-bonding-film for semiconductor wafer, laminated body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bonding laminated bod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2756B1
KR101532756B1 KR1020140037124A KR20140037124A KR101532756B1 KR 101532756 B1 KR101532756 B1 KR 101532756B1 KR 1020140037124 A KR1020140037124 A KR 1020140037124A KR 20140037124 A KR20140037124 A KR 20140037124A KR 101532756 B1 KR101532756 B1 KR 101532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film
wafer
adhesive layer
tempo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12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채성원
안흥기
기세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녹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녹스
Priority to KR1020140037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2756B1/en
Priority to PCT/KR2015/002829 priority patent/WO201514750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2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275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1/6835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48Manufacture or treatment of parts, e.g. containers, prior to assembly of the devices, using process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203/326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for bonding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wafers, chips or semiconduc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1/00Presence of polyether
    • C09J2471/006Presence of polyeth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9/00Presence of polyamine or polyimide
    • C09J2479/02Presence of polyamine or polyimide polyamine
    • C09J2479/026Presence of polyamine or polyimide polyamin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9/00Presence of polyamine or polyimide
    • C09J2479/08Presence of polyamine or polyimide polyimide
    • C09J2479/086Presence of polyamine or polyimide polyimid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81/00Presence of sulfur containing polymers
    • C09J2481/006Presence of sulfur containing polymers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83/00Presence of polysilox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6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221/683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221/6830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221/6832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used during dicing or grin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6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221/683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221/6830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221/683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used to protect an active side of a device or waf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covered by H01L21/00
    • H01L2221/67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221/683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01L2221/68304Apparatus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using temporarily an auxiliary support
    • H01L2221/68381Details of chemical or physical process used for separating the auxiliary support from a device or wafer
    • H01L2221/68386Separation by pee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orary adhesive film for a thermosetting semiconductor wafer, a laminate comprising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nd a method of separating the laminate from the temporary adhesive film. More particularly, the temporary adhesive film for a thermosetting semiconductor wafer has an excellent filling capability with respect to a bump formed on a semiconductor wafer, and is not separated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during thinning of the semiconductor wafer and a process for processing a rear surface. Also, after the processes are complete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and has an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equipment used in the processes, whereby the process handling can be easily performed.

Description

열경화성 반도체 웨이퍼용 임시접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및 적층체 분리방법{Thermosetting temporary-bonding-film for semiconductor wafer, laminated body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bonding laminated body}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orary adhesive film for a thermosetting semiconductor wafer, a laminated body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separating the laminated body from the laminated body.

본 발명은 열경화성 반도체 웨이퍼용 임시접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및 적층체의 분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웨이퍼상에 형성된 범프에 대해 충진성이 우수하고, 반도체 웨이퍼의 박막화, 후면가공 공정 중에는 분리되지 않는 동시에 상기 공정의 종료 후에는 반도체 웨이퍼에서 쉽게 분리되며, 상기 공정에 사용되는 장비에 호환성이 우수하여 공정 핸들링이 용이한 열경화성 반도체 웨이퍼용 임시접착필름, 이를 포함하는 적층체 및 적층제의 분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orary adhesive film for a thermosetting semiconductor wafer, a laminate including the same, and a method for separating the laminate.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mporary adhesive film for a thermosetting semiconductor wafer, A temporary adhesive film for a thermosetting semiconductor wafer which is not separated during the processing step but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semiconductor wafe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cess and has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the equipment used in the process, And a method for separating the lamination agent.

집적 회로, 전력 반도체(power semiconductor), 발광 다이오드, 광자 회로(photonic circuit), 마이크로-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임베디드 패시브 어레이(embedded passive arrays), 패키징 인터포저(packaging interposer), 및 다른 실리콘- 및 화합물 반도체-기반 마이크로디바이스들의 호스트는 직경이 1 내지 12 인치 범위의 웨이퍼 기판들 상에 어레이들로 집합적으로 생성된다. 그 후, 이러한 디바이스들은, 예를 들어 인쇄 배선 기판(printed wiring board: PWB)이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0497호에서 개시하고 있는 연성인쇄회로기판과의 상호연결(interconnection)에 의해 거시적인 환경(macroscopic environment)과 실제적인 인터페이싱을 허용하도록 패키징된 개별 디바이스들 또는 다이들로 분리된다. 다이가 웨이퍼 어레이의 일부분이면서 다이 상에 또는 주변에 디바이스 패키지를 구축하는 방식이 점점 인기를 얻게 되었다. 웨이퍼-레벨 패키징(wafer-level packaging)이라고도 칭해지는 이 구현방식은 전체 패키징 비용을 감소시키며, 통상적으로 실제 디바이스보다 몇 배나 더 큰 외부 치수를 갖는 종래의 패키지들 보다도 더 높은 상호연결 밀도를 달성시키는 이점이 있다.But are not limited to, integrated circuits, power semiconductors, light emitting diodes, photonic circuit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embedded passive arrays, packaging interposers, Hosts of other silicon- and compound semiconductor-based microdevices are collectively created into arrays on wafer substrates ranging in diameter from 1 to 12 inches. These devices can then be used in a macroscopic environment (e.g., by interconnection with a printed wiring board (PWB) 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30497) ) And individual devices or dies packaged to allow practical interfacing. The manner in which a die builds a device package on or around a die as part of a wafer array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This implementation, also referred to as wafer-level packaging, reduces overall packaging costs and typically achieves higher interconnect densities than conventional packages with external dimensions that are several times larger than actual devices There is an advantage.

최근까지 상호연결 방식들은 일반적으로 2-차원으로 한정되었으며, 이는 디바이스 및 상기 디바이스가 장착된 대응하는 보드 또는 패키징 표면 사이의 전기 연결들이 모두 수평 또는 x-y 평면에 배치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 마이크로전자 산업은 디바이스들을 수직으로 즉, z-방향으로 적층하고 상호 연결시킴으로써, 디바이스 상호연결 밀도의 증가와 이에 대응하여 신호 지연의 감소(이는 전기 연결 지점들 간의 거리를 단축시킨 결과임)가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이러한 방향으로 연구 개발을 지속하고 있다. Until recently, interconnection schemes have generally been limited to two dimensions, which means that both the device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the corresponding board or packaging surface on which the device is mounted are arranged in a horizontal or xy plane. The current microelectronics industry is increasing the device interconnect density and correspondingly reducing the signal delay (which is the result of shorte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ical connection points) by stacking and interconnecting devices vertically, i. It is recognized that it can be achieved, and research and development is continuing in this direction.

이러한 디바이스 적층에 요구되는 두 가지 공통적인 요건들은 면으로부터 관통-웨이퍼 방향(through-wafer direction)으로 디바이스를 박막화하고, 상기 디바이스의 후면상에 통상적으로 관통 전극형(throughsilicon-via 또는 "TSV")이라고 칭해지는 관통-웨이퍼 전기 연결들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반도체 디바이스 박막화는 이제 디바이스들이 적층된 구성으로 패키징되지 않을 때조차 표준 구현방식이 되고 있는데, 이는 열 분산을 용이하게 하고 훨씬 더 작은 휴대폰과 같은 소형 전자 제품에 유용하기 때문이다.Two common requirements required for such device stacking include thinning the device from the face to the through-wafer direction and typically forming a through-silicon-via ("TSV") on the backside of the device. Wafer-to-wafer electrical connections referred to as " wafer-to-wafer " On the other hand, such semiconductor device thinning has become a standard implementation even when devices are not packaged in a stacked configuration, because they facilitate heat dissipation and are useful for smaller electronic products such as a much smaller mobile phone.

이에 따라 반도체 디바이스들 또는 상기 디바이스가 속해 있는 대응하는 패키지들이 적층될 때에 반도체 디바이스들의 프로파일들을 감소시키고, 상기 디바이스들 상에 후면 전기 연결들의 형성을 단순화하기 위해, 반도체 디바이스들을 100 ㎛이하로 박막화하는 것에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Thereby reducing the profiles of the semiconductor devices when the semiconductor devices or the corresponding packages to which they belong and simplifying the formation of back electrical connections on the devices, Interest in things is increasing.

그러나 100 ㎛이하로 박막화된, 특히 60 ㎛이하로 박막화된 디바이스 웨이퍼들은 극도로 깨지기 쉬움에 따라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초박막 디바이스 웨이퍼들을 이송시키기 위해 다양한 웨이퍼 완드(wafer wand)들 및 척(chuck)들이 개발되었지만, 화학적 기계적 폴리싱(CMP), 리소그래피, 에칭, 증착, 어닐링 및 세정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하는 백-그라인딩 및 TSV-형성 공정들 동안에 웨이퍼들을 어떻게 지지할 것인지에 관한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이는 박막화시 또는 박막화 이후에 거치는 여러 단계들이 디바이스 웨이퍼 상에 높은 열적 및 기계적 응력들을 부과하기 때문이다. However, device wafers thinned to 100 탆 or less, particularly thinner than 60 탆, are extremely fragile and development of a method for preventing cracking and breakage is required. In addition, although various wafer wands and chucks have been developed for transporting ultra-thin device wafers, a variety of wafer wand and chucks have been developed,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back-and-forth devices including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CMP), lithography, etching, deposition, annealing, There is still a problem with how to support the wafers during grinding and TSV-forming processes. This is because the various steps during or after thinning impose high thermal and mechanical stresses on the device wafer.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박막화 공전 전의 디바이스 웨이퍼를 아래로 향하게 하여 중합 접착제(polymeric adhesive)로 캐리어 웨이퍼에 접착시킨 후 박막화 공정을 진행하고, 후면 처리를 하는 방법이 많이 연구되고 실시되고 있는데, 이는 상기 캐리어 웨이퍼가 박막화 및/또는 박막화 이후에 거치는 단계에서 발생하는 응력에서 디바이스 웨이퍼를 보호하고 이송을 용이하게 하기 때문이다. 상기 캐리어 웨이퍼는 열적, 열기계적(thermomechanical) 또는 화학적 공정들이 종료되면 박막화된 디바이스 웨이퍼에서 제거되게 된다.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re have been a lot of researches and methods for carrying out a thinning process and a backing process after a device wafer before the thinning process is faced down and adhered to a carrier wafer with a polymeric adhesive, This is because the carrier wafer protects the device wafer from the stresses generated during the step of thinning and / or thinning and facilitates the transfer. The carrier wafer is removed from the thinned device wafer upon completion of thermal, thermomechanical or chemical processes.

한편, 종래에는 디바이스 웨이퍼에 캐리어 웨이퍼를 접착시킬 때 접착제 조성물을 디바이스 웨이퍼 또는 캐리어 웨이퍼에 도포하고 나머지를 합지한 후 열, 자외선 등의 경화를 통한 방법을 이용했는데, 이러한 방법은 접착제 조성물을 디바이스 웨이퍼상의 범프 높이를 고려하여 일정 두께 이상으로 균등하게 도포되어야 함을 전제로 하고, 이러한 전제를 도포시마다 매번 충족시키기는 어려우며, 전제가 충족되지 않는 경우 디바이스 웨이퍼와 캐리어 웨이퍼 사이에서 유격이 발생하여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막 공정, 후면가공 공정을 수행할 수 없고, 박막화된 디바이스 웨이퍼가 깨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ly, when a carrier wafer is adhered to a device wafer, the adhesive composition is applied to a device wafer or a carrier wafer, and the remainder is laminated, followed by curing such as heat or ultraviolet rays. It is difficult to satisfy such a premise every time when the application is performed. If the premise is not satisfied, a clearance is generated between the device wafer and the carrier wafer, The back surface processing step can not be performed, and the thinned device wafer is broken.

또한, 디바이스 웨이퍼와 캐리어 웨이퍼의 접착공정에서 매번 접착조성물을 도포하고, 1차 경화 후에 두 기재를 접착해야 되므로 공정이 복잡해지고, 공정 소요시간이 연장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Further, since the adhesive composition must be applied each time in the step of bonding the device wafer and the carrier wafer, and the two substrates must be bonded after the primary curing, the process becomes complicated and the process time is prolonged.

나아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접착 조성물이 아닌 임시접착용 필름으로 제조시에 필름과 디바이스 웨이퍼상의 범프간 충진성 및 밀착력이 접착 조성물에 비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저하된 충진성 및 밀착력은 필름과 디바이스 웨이퍼 사이에 공극을 발생시켜 박막, 후면 가공에 포함되는 진공, 고온의 작업에서 빈번한 불량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re may be a problem that the film and the bump on the device wafer are less likely to be filled and adhered than the adhesive composition during production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nd adhesive force generate voids between the film and the device wafer, thereby causing frequent failures in vacuum and high temperature operations involved in thin film and back processing.

더 나아가, 필름 타입으로 제조시에 기존에 사용되는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막, 후면가공 장비와 호환이 용이하지 않아 공정을 핸들링 하는데 있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Further, since it is not easily compatible with thin film and back processing equipment of device wafers which are used in the production of film type, there is a very difficult problem in handling the proces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기 위한 첫 번째 과제는,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막화를 위해 디바이스 웨이퍼를 캐리어 웨이퍼에 임시로 접착시킬 때 사용되는 접착제를 조성물이 아닌 필름형태로 구현함으로써 박막화 및 후면 공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디바이스 웨이퍼와 캐리어 웨이퍼 사이의 유격이나, 벗겨짐을 방지하고, 두 기재 사이의 접착공정의 단순화 및 접착공정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캐리어 웨이퍼의 제거가 필요한 때 디바이스 웨이퍼에 영향을 주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는 열경화성 반도체 웨이퍼용 임시접착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first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hesive for temporarily bonding a device wafer to a carrier wafer, It is possible to prevent clearance or peeling between the device wafer and the carrier wafer which may occur during the thinning and the rear process, simplify the bonding process between the two substrates and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bonding proces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emporary adhesive film for a thermosetting semiconductor wafer which can be easily detached without affecting the device wafer when the carrier wafer needs to be removed.

본 발명이 해결하기 위한 두 번째 과제는,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막화 및 후면공정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고, 박막화된 디바이스 웨이퍼의 신뢰도가 저하되지 않는 본 발명에 따른 열경화성 반도체 웨이퍼용 임시접착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및 적층체의 분리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 second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aminated film including a temporary adhesive film for a thermosetting semiconductor waf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an smoothly perform thinning of a device wafer and a back surface process and does not deteriorate the reliability of a thin device wafer And a method for separating the sieve and the laminate.

상술한 첫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코어층; 상기 코어층의 일면에 형성된 캐리어 웨이퍼를 접착시키기 위한 제1 접착층; 및 상기 코어층의 타면에 형성된 디바이스 웨이퍼를 접착시키기 위한 제2 접착층;을 포함하며,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반도체 웨이퍼용 임시접착필름 을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first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a core layer; A first adhesive layer for adhering a carrier waf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re layer; And a second adhesive layer for adhering a device waf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re layer, wherei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satisfies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1).

[관계식 1][Relation 1]

Figure 112014030344890-pat00001
Figure 112014030344890-pat0000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시접착필름의 총두께는 65 ~ 150㎛일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tal thickness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may be 65 to 150 mu m.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시접착필름은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may satisfy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2).

[관계식 2][Relation 2]

Figure 112014030344890-pat00002
Figure 112014030344890-pat00002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시접착필름은 하기 관계식 3을 만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may satisfy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3).

[관계식 3] [Relation 3]

Figure 112014030344890-pat00003
Figure 112014030344890-pat00003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시접착필름에 포함된 제2 접착층의 두께는 48 ~ 70㎛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included i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may be 48 to 70 탆.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접착층의 두께는 5 ~ 10㎛이며, 코어층의 두께는 10 ~ 90㎛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is 5 to 10 탆, and the thickness of the core layer is 10 to 90 탆.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어층의 두께는 20 ~ 90㎛일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the core layer may be 20 to 90 탆.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임시접착필름은 하기 관계식 4를 만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may satisfy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4).

[관계식 4] [Relation 4]

Figure 112014030344890-pat00004
Figure 112014030344890-pat00004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접착층 및 코어층은 하기 조건 (1), (2)를 만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core layer may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1) and (2).

(1) 하기의 측정방법 1로 측정된 접착강도가 50 ~ 200 gf/25mm이고, (2) 하기의 측정방법 2로 측정된 접착강도가 100 ~ 300 gf/25mm이다.
(1)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1 is 50 to 200 gf / 25 mm, and (2)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2 is 100 to 300 gf / 25 mm.

* 접착강도 측정방법 1 * Adhesive strength measurement method 1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1 접착층 면을 SUS 304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 mm/min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A temporary adhesive film was cut in a size of 2.5 cm × 10 cm in width and length according to JIS Z 0237,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side of the specimen was attached to a SUS 304 with a 2 kg roller, and a temperature of 25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For 1 hour, and then measure the 180 ° adhesive strength at a peeling rate of 300 mm / min using a tensile tester.

* 접착강도 측정방법 2 * Adhesive strength measurement method 2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1 접착층 면을 SUS 304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다시 200℃로 60분간 간 열처리 종료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mm/mim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한다.A temporary adhesive film was cut in a size of 2.5 cm × 10 cm in width and length according to JIS Z 0237,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side of the specimen was attached to a SUS 304 with a 2 kg roller, and a temperature of 25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For 1 hour and then heat-treated at 200 ° C for 60 minutes. Then, the adhesive strength at 180 ° is measured at a peeling speed of 300 mm / min using a tensile test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접착층 및 코어층은 하기 조건 (3), (4)를 만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the core layer can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3) and (4).

(3) 하기의 측정방법 3으로 측정된 접착강도가 2 ~ 10 gf/25mm이고, (4) 하기의 측정방법 4로 측정된 접착강도가 5 ~ 25 gf/25mm이다.(3)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3 is 2 to 10 gf / 25 mm, and (4)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4 is 5 to 25 gf / 25 mm.

* 접착강도 측정방법 3 * Adhesive strength measurement method 3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2 접착층 면을 SUS 304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 mm/min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The temporary adhesive film was cut in a size of 2.5 cm × 10 cm in width and length,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side of the specimen was attached to SUS 304 using a roller of 2 kg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and a temperature of 25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For 1 hour, and then measure the 180 ° adhesive strength at a peeling rate of 300 mm / min using a tensile tester.

* 접착강도 측정방법 4 * Adhesive strength measurement method 4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2 접착층 면을 SUS 304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다시 200℃로 60분간 간 열처리 종료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mm/mim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한다.The temporary adhesive film was cut in a size of 2.5 cm × 10 cm in width and length,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side of the specimen was attached to SUS 304 using a roller of 2 kg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and a temperature of 25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For 1 hour and then heat-treated at 200 ° C for 60 minutes. Then, the adhesive strength at 180 ° is measured at a peeling speed of 300 mm / min using a tensile test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접착제층 및 제2 접착제층은 실리콘계 접착바인더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include a silicone-based adhesive bind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코어층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PEEK),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PEI),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및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필름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layer is made of polyetheretherketone (PEEK), polyethyleneimine (PEI), polyimide (PI) and polyethersulfone (PES) May be used.

한편, 상술한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접착필름; 상기 임시접착필름의 제1 접착층상에 대면하여 형성된 캐리어 웨이퍼; 및 상기 임시접착필름의 제2 접착층상에 대면하여 형성된 디바이스 웨이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접착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secon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mporary adhes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rrier wafer formed on the first adhesive layer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nd a device wafer formed on the second adhesive layer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the device wafer comprising a temporary adhesive film.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스 웨이퍼와 임시접착필름 사이에는 보호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tective layer may further be provided between the device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호층은 경화형 실리콘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a curable silicone resin.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접착층과 캐리어 웨이퍼 사이의 접착력은 하기의 조건 (5), (6)을 만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carrier wafer can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5) and (6).

(5) 하기 측정방법 5로 측정된 접착강도가 50 ~ 200 gf/25mm이고, (6) 하기 측정방법 6으로 측정된 접착강도가 100 ~ 300 gf/25mm이다.(5)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5 is 50 to 200 gf / 25 mm, and (6)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6 is 100 to 300 gf / 25 mm.

* 접착강도 측정방법 5 * Adhesive strength measurement method 5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1 접착층 면을 어떠한 표면 처리도 이루어지지 않은 실리콘 웨이퍼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 mm/min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A sample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of the specimen was attached to a silicon wafer which had not been subjected to any surface treatment with a roller of 2 kg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and the adhered adhesive film was cut at a size of 2.5 cm x 10 cm And 55% relative humidity for 1 hour, then measure the 180 ° adhesive strength at a peel rate of 300 mm / min using a tensile tester.

* 접착강도 측정방법 6 * Adhesive strength measurement method 6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1 접착층 면을 어떠한 표면 처리도 이루어지지 않은 실리콘 웨이퍼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다시 200℃로 60분간 간 열처리 종료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mm/mim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한다.A sample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of the specimen was attached to a silicon wafer which had not been subjected to any surface treatment with a roller of 2 kg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and the adhered adhesive film was cut at a size of 2.5 cm x 10 cm And 55% relative humidity for 1 hour and then heat treatment at 200 ° C for 60 minutes. Then, the adhesive strength at 180 ° is measured at a peeling speed of 300 mm / mim using a tensile test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접착층과 디바이스 웨이퍼 사이의 접착력은 하기의 조건 (7), (8)을 만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the device wafer can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7) and (8).

(7) 하기 측정방법 7로 측정된 접착강도가 2 ~ 10 gf/25mm이고, (8) 하기 측정방법 8로 측정된 접착강도가 5 ~ 25 gf/25mm이다.(7)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7 is 2 to 10 gf / 25 mm, and (8)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8 is 5 to 25 gf / 25 mm.

* 접착강도 측정방법 7 * Adhesive strength measurement method 7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2 접착층 면을 실리콘 이형제 (KS-3755, Shin-Etsu Chemical Co., Ltd.)가 1㎛두께로 스핀 코팅된 실리콘 웨이퍼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 mm/min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A test piece cut into a size of 2.5 cm x 10 cm in length and width was adhered to a second adhesive layer side of a specimen according to JIS Z 0237 with a silicone release agent (KS-3755, Shin-Etsu Chemical Co., Ltd.) The specimens were attached to a spin-coated silicon wafer with a thickness of 2 kg using a roller and stored for 1 hour at a temperature of 25 ° C and relative humidity of 55%. The adhesive strength at 180 ° was measured at a peeling rate of 300 mm / min using a tensile tester do.

* 접착강도 측정방법 8 * Adhesive strength measurement method 8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2 접착층 면을 실리콘 이형제 (KS-3755, Shin-Etsu Chemical Co., Ltd.)가 1㎛두께로 스핀 코팅된 실리콘 웨이퍼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다시 200℃로 60분간 간 열처리 종료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mm/mim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A test piece cut into a size of 2.5 cm x 10 cm in length and width was adhered to a second adhesive layer side of a specimen according to JIS Z 0237 with a silicone release agent (KS-3755, Shin-Etsu Chemical Co., Ltd.) Coated with a 2 kg roller and stored at 25 ° C and 55% relative humidity for 1 hour and then heat-treated at 200 ° C for 60 minutes. After the heat treatment was finished, a 300 mm / min The bonding strength at 180 ° is measured at the peeling speed.

또한, 상술한 두 번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접착필름에 포함된 제1 접착층상에 캐리어 웨이퍼가 대면하도록 접착하고, 상기 임시접착필름에 포함된 제2 접착층상에 디바이스 웨이퍼가 대면하도록 접착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적층체의 어느 일단부에서 임시접착필름과 디바이스 웨이퍼 경계면을 컷팅하는 단계; 및 (3) 상기 컷팅된 적층체의 일단부에서 캐리어 웨이퍼 및 임시접착필름을 일정각도로 이격시켜 상기 적층체에서 캐리어 웨이퍼 및 임시접착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시접착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의 분리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temporary adhesive film, comprising the steps of: adhering a carrier wafer on a first adhesive layer included in a temporary adhes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dhering the device wafer facing each other to form a laminate; (2) cutting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nd the device wafer interface at either end of the laminate; And (3) removing the carrier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from the laminated body by separating the carrier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t one end of the cut laminated body at a predetermined angle to form a laminate A method of separating sieves is provid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1) 단계의 디바이스 웨이퍼는 제2 접착층과 대면하는 일면상에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을 제2 접착층과 접착시키며, 상기 (2) 단계는 임시접착필름과 보호층 경계면을 컷팅할 수 있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wafer of step (1) includes a protective layer on one surface facing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adhering the protective layer to the second adhesive layer, Can cut the interface betwee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nd the protective lay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2) 단계와 (3) 단계 사이에 (a) 임시접착필름과 대면하지 않는 디바이스 웨이퍼의 다른 일면을 박막처리 하는 단계; 및 (b) 상기 박막처리된 면에 후면가공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comprising the steps of: (a) thinning the other surface of a device wafer which does not face the temporary adhesive film between steps (2) and (3) And (b) performing back-processing on the thin-film-processed surface.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인 “층상에 형성된”또는 "층상"의 의미는 층과 직접적으로 대면하여 형성되거나 층 상부에 하나 이상의 다른 층이 삽입된 후 간접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 것으로써, 예를 들어 “A층상에 형성된 B층”이라 할 때, A층과 B층은 직접 대면 또는 접촉하고 있거나, A층상에 제3, 제4의 C1층, C2층이 형성된 후 상기 C2층상에 B층이 형성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The term " formed on a layer " or "layered"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cases where the layer is formed directly facing the layer or indirectly formed after one or more other layers are inserted on the layer. Quot; B layer formed on the A layer ", the A layer and the B layer are directly facing each other or contacting each other, or the third and fourth C1 layers and C2 layers are formed on the A layer, Are formed.

본 발명의 열경화성 반도체 웨이퍼용 임시접착필름은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막화를 위해 디바이스 웨이퍼를 캐리어 웨이퍼에 임시로 접착시킬 때 사용됨으로써 종래의 조성물 타입의 접착제에 비해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막화 및 후면 공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디바이스 웨이퍼와 캐리어 웨이퍼 사이의 유격이나, 벗겨짐을 방지하고, 두 기재 사이의 접착공정 단순화 및 접착공정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웨이퍼의 제거가 필요한 때 디바이스 웨이퍼에 영향을 주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여 박막화된 디바이스 웨이퍼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임시접착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는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막화에 보다 적합하여 박막화 및 후면공정을 원활히 진행시킬 수 있으며, 상기 공정의 종료 후에 적층체에서 목적하는 디바이스 웨이퍼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임시접착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는 디바이스 웨이퍼 박막화, 후면가공에 사용되던 종래의 장비와 호환성이 우수하여 공정 진행에 있어 취급이 용이하다.The temporary adhesive film for a thermosetting semiconductor wafer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to temporarily adhere a device wafer to a carrier wafer in order to make a device wafer thinner. As a result, compared to a conventional composition type adhesive, It is possible to prevent clearance and peeling between the wafer and the carrier wafer, simplify the bonding process between the two substrates, and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bonding process, thereby contributing to improvement in productivity. In addition, when the carrier wafer needs to be removed, it is possible to easily attach and detach without affecting the device wafer,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event the reliability of the thin device wafer from deteriorating. Further, the laminate including the temporary adhes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suitable for thinning of the device wafer, so that the thinning and the rear process can proceed smoothly, and the separation of the desired device wafer in the laminate after the end of the process is facilitated can do. Further, the laminate including the temporary adhes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compatibility with the conventional equipment used for the device wafer thinning and rear processing, and is easy to handle in the process progres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임시접착필름의 단면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체의 단면도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체의 단면도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공정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공정 모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공정 모식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of a temporary adhesive fil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lamin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lamin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eparation proc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eparation proc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separation proc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접착제 조성물을 디바이스 웨이퍼 또는 캐리어 웨이퍼에 도포한 후 다른 하나를 합지하고 열, 자외선 등의 경화를 통해 두 웨이퍼를 접착시키는 방법을 이용했는데, 이러한 방법은 접착제 조성물을 디바이스 웨이퍼 표면에 존재하는 범프 높이를 고려하여 일정 두께 이상으로 균등하게 도포해야 되나, 공정중에서 매번 균등하게 도포되기 어려우며, 이 경우 디바이스 웨이퍼와 캐리어 웨이퍼 사이에서 유격이 발생하여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막 공정, 후면가공 공정을 수행할 수 없고, 및/또는 박막화된 디바이스 웨이퍼가 깨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디바이스 웨이퍼와 캐리어 웨이퍼의 접착공정에서 매번 접착조성물을 도포하고, 1차 경화 후에 두 기재를 접착해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해지고, 공정 소요시간이 연장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접착 조성물이 아닌 임시접착용 필름 타입으로 제조 시에 필름과 디바이스 웨이퍼 표면의 범프간 충진성 및 밀착력이 접착 조성물에 비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저하된 충진성 및 밀착력은 필름과 디바이스 웨이퍼 사이에 공극을 발생시켜 박막, 후면 가공에 포함되는 진공, 고온의 작업에서 빈번한 불량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 나아가, 필름 타입으로 제조시에 기존에 사용되는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막, 후면가공 장비와 호환이 용이하지 않아 공정을 핸들링 하는데 있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As described above, conventionally, a method has been used in which an adhesive composition is applied to a device wafer or a carrier wafer, and the other is joined and the two wafers are bonded together by curing such as heat or ultraviolet rays. It is difficult to uniformly apply the coating uniformly over the entire process. In this case, a clearance is generated between the device wafer and the carrier wafer, and the thin film process and the back processing process of the device wafer are perform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vice wafer can not be performed and / or the thinned device wafer is broken. Further, since the adhesive composition is applied each time in the step of bonding the device wafer and the carrier wafer and the two substrates are bonded after the primary curing, the process becomes complicated and the process time is prolonged. Further,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he filling property and adhesion between the film and the bump on the surface of the device wafer are significantly lowered compared to the adhesive composition when the film is formed into a temporary adhesive film type, The adhesiveness and adhesion force cause voids between the film and the device wafer, causing frequent defects in the vacuum and high temperature operations involved in thin film and back processing. Furthermore, since it is incompatible with thin film and back-surface processing equipment of device wafers used in film type manufacturing, there is a very difficult problem in handling the process.

이에 본 발명에서는 코어층; 상기 코어층의 일면에 형성된 캐리어 웨이퍼를 접착시키기 위한 제1 접착층; 및 상기 코어층의 타면에 형성된 디바이스 웨이퍼를 접착시키기 위한 제2 접착층;을 포함하며,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반도체 웨이퍼용 임시접착필름을 제공함으로써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모색하였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adhesive layer for adhering a carrier waf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re layer; And a second adhesive layer for adhering a device waf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re layer, wherein the provisional adhesive film for a semiconductor wafer satisfying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1 is solved.

[관계식 1][Relation 1]

Figure 112014030344890-pat00005
Figure 112014030344890-pat00005

이를 통해 종래의 조성물 타입의 접착제에 비해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막화 및 후면 공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디바이스 웨이퍼와 캐리어 웨이퍼 사이의 유격이나, 벗겨짐을 방지하고, 두 기재 사이의 접착공정 단순화 및 접착공정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캐리어 웨이퍼의 제거가 필요한 때 디바이스 웨이퍼에 영향을 주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하여 박막화된 디바이스 웨이퍼의 신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디바이스 웨이퍼 박막화, 후면가공에 사용되던 종래의 장비와 호환성이 우수하여 공정을 보다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gap and peeling between the device wafer and the carrier wafer which may occur during the thinning of the device wafer and during the back surface process,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omposition type adhesive, and to simplify the bonding process between the two substrates and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bonding process It is possible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productivity. When the carrier wafer is required to be removed, the device wafer can be easily removed without affecting the device wafer. Thus, the reliability of the thin device wafer can be prevented from lowering, It is excellent in compatibility with the conventional equipment used for processing, and the process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열경화성 반도체 웨이퍼용 임시접착필름의 단면도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임시접착필름(10)은 코어층(12), 상기 코어층의 일면에 형성된 캐리어 웨이퍼를 접착시키기 위한 제1 접착층(11) 및 상기 코어층의 타면에 형성된 디바이스 웨이퍼를 접착시키기 위한 제2 접착층(13)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층과 층 사이는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대면할 수 있고, 한 층 이상의 다른 층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대면할 수도 있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temporary adhesive film for a thermosetting semiconductor waf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re layer 12, a carrier wafer formed on one side of the core layer And a second adhesive layer 13 for adhering a device waf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re layer. Further, the layer and the layer may be directly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one or more layers may be interposed to face each other indirectly.

본 발명에 따른 열경화성 반도체 웨이퍼용 임시접착필름에 포함되는 각층을 살펴보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임시접착필름이 반드시 만족해야 되는 하기 관계식 1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Before examining each layer included i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for a thermosetting semiconductor waf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1, in which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ust be satisfied, will be described first.

[관계식 1][Relation 1]

Figure 112014030344890-pat00006
Figure 112014030344890-pat00006

본 발명에 따른 임시접착필름은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막화 공정 및/또는 후면가공 공정에서 디바이스 웨이퍼에 가해지는 열적, 기계적 응력에서 디바이스 웨이퍼를 보호하고, 공정 중의 이송 등 공정의 진행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해 캐리어 웨이퍼를 디바이스 웨이퍼에 임시로 부착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필름으로써, 종래에는 필름형태가 아닌 접착 조성물로 디바이스 웨이퍼에 도포하고 캐리어 웨이퍼를 임시로 접착시키는 방법을 사용해왔다. 그러나 접착 조성물을 디바이스 웨이퍼에 도포하고 1차 경화시킨 후 캐리어 웨이퍼를 접착시키는 공정은 제조시간을 상승시키고, 복잡한 제조공정을 요구했으며, 1차 경화시 발생하는 접착조성물에 포함된 용매의 기화는 작업자 건강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조성물 형태가 아닌 필름형태로 만듬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해결시킬 수 있어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s the device wafer from thermal and mechanical stresses applied to the device wafer in the thinning process and / or the backside process of the device wafer and, in order to smoothly progress the process, As a film to be used for temporarily adhering a wafer to a device wafer, conventionally, a method of applying to a device wafer with an adhesive composition that is not a film type and temporarily adhering a carrier wafer has been used. However, the process of applying the adhesive composition to the device wafer and first curing it and then adhering the carrier wafer increases the manufacturing time and requires a complicated manufacturing process. The vaporization of the solvent contained in the adhesive composition, which occurs during the primary curing, There was a harmful problem to health. Therefor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found that the above-mentioned problems can be solved by forming the film in the form of a film rather than a composition.

다만, 필름형태의 경우 조성물 형태일 때 보다 디바이스 웨이퍼상의 범프를 충분하게 감싸는 충진성과 임시접착필름과 디바이스 웨이퍼 간의 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고, 종래의 디바이스 웨이퍼 박막화 공정 및/또는 후면가공에서 사용되는 장비와의 호환성 문제가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임시접착필름은 반드시 상기 관계식 1을 만족해야 한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film typ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lling of the bump on the device wafer sufficiently and the adhesion betwee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nd the device wafer are lower than that in the case of the composition form. In the conventional device wafer thinning process and / There is a compatibility problem with the equipment to be used, so that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ust satisfy the above-mentioned relation (1).

상기 관계식 1을 만족해야만 디바이스 웨이퍼와 임시접착필름간의 범프 충진성 및 밀착력이 향상되고 종래의 장비와의 호환성이 우수해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막화 및/또는 후면가공에 보다 적합할 수 있다. 만일 상기 관계식 1에서 식1의 값이 54를 초과하는 경우 디바이스 웨이퍼상에 임시접착필름을 올려놓고 캐리어 웨이퍼를 임시접착필름 위로 부착시킨 후 열경화 시키는 공정에서 어느 정도의 기계적 압력을 가함에도 불구하고 디바이스 웨이퍼와 임시접착필름 간에 밀착력이 저하되어 디바이스 웨이퍼와 임시접착 필름 사이에 공극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공극은 박막화 및/또는 후면가공 중에 거치게 되는 진공, 고온의 조건에서 수축/팽창을 야기하여 디바이스 웨이퍼가 깨지거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박막화 및/또는 후면가공에 사용되는 장비와의 호환성이 떨어져 장비를 교체하거나 재설계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만일 상기 관계식 1에서 식 1의 값이 23 미만인 경우 두께가 너무 얇아져 한정된 두께 내에 포함되는 3개의 층의 두께가 목적하는 수준으로 도달하지 못함에 따라 각 층별 기능 저하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The bump filling property and adhesive force between the device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re improved only when the above-mentioned relational expression 1 is satisfied, and the compatibility with the conventional equipment is excellent, so that the device wafer can be more suitable for thinning and / or rear surface processing of the device wafer. If the value of Equation 1 in the above-mentioned relational expression 1 exceeds 54, even though a certain amount of mechanical pressure is applied in the step of placing the temporary adhesive film on the device wafer and adhering the carrier wafer onto the temporary adhesive film, The adhesion between the device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is lowered, and voids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device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Such voids cause contraction / expansion under vacuum and high temperature conditions during thinning and / There may be a problem that it is broken or the reliability is lowered.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mpatibility with equipment used for conventional thinning and / or backside processing is poor and equipment needs to be replaced or redesigned. If the value of Equation 1 is less than 23 in relation 1, the thickness becomes too thin, and the thickness of the three layers included in the limited thickness can not reach the desired level.

한편, 상기 관계식 1을 만족해야 되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접착필름은 보다 향상된 디바이스 웨이퍼와 캐리어 웨이퍼 간의 접착기능 및 밀착력을 발현하기 위해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provisional adhes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atisfies the above-mentioned relational expression 1 can satisfy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2 in order to exhibit the adhesion function and adhesion between the device wafer and the carrier wafer.

[관계식 2][Relation 2]

Figure 112014030344890-pat00007
Figure 112014030344890-pat00007

본 발명의 임시접착필름에 포함되는 코어층(12)의 상, 하면에는 제1 접착층(11)과 제2 접착층(12)이 형성되는데, 코어층(12)은 임시접착필름의 지지체로써, 캐리어 웨이퍼에 임시접착필름을 라미네이션할 때 라미네이션 공정을 좀 더 원활하게 수행하게 하며, 캐리어 웨이퍼 및 디바이스 웨이퍼가 라미네이션된 적층체의 디바이스 웨이퍼의 이면을 연삭할 때 발생하는 응력을 제 2 접착층과 코어층이 복합적으로 제거하게 되며, 캐리어 웨이퍼와 디바이스 웨이퍼가 분리된 후 캐리어 웨이퍼로부터 임시접착필름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따라서 코어층(12)의 두께가 일정 두께 이하로 얇아지게 되는 경우 캐리어 웨이퍼와 디바이스 웨이퍼가 부착된 상태로 진행되는 고온, 화학적 환경에서 코어층(12)이 충분한 지지체 역할을 할 수 없어 코어층에 주름이 생겨 캐리어 웨이퍼와 디바이스 웨이퍼 간에 유격이 발생됨으로써 디바이스 웨이퍼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고 박막화 및/또는 후면가공 공정을 더 이상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코어층(12)의 일정 두께 이상으로 두꺼워지는 경우 임시접착필름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켜 필름의 박형화에 매우 바람직하지 못하며, 상기 관계식 1을 만족시키면서 코어층(12)의 두께가 증가될 경우 나머지 제1 접착층 및/또는 제2 접착층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줄어들 수 밖에 없어 접착력 저하나 접착력이 과하게 증가할 수 있고, 증가된 코어층의 두께는 디바이스 웨이퍼와 임시접착필름 간에 충진성, 밀착력 저하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계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경우 임시접착필름의 전체 두께 내에서 제1접착층 및/또는 제2 접착층의 두께가 보장되어 임시접착필름으로써의 기능을 발휘하는 동시에 일정 두께의 코어층이 포함됨으로써 충분한 지지체 역할 및 디바이스 웨이퍼의 범프에 밀착력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다.
The first adhesive layer 11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12 are formed on the top and bottom surfaces of the core layer 12 included i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layer 12 is a support for the temporary adhesive film, It is possible to smoothly perform the lamination process when laminating the temporary adhesive film on the wafer and to prevent the stress generated when grinding the back surface of the device wafer of the laminated carrier laminated with the carrier wafer and the device wafer, And removes the temporary adhesive film from the carrier wafer after the carrier wafer and the device wafer are separated. Therefore, when the thickness of the core layer 12 becomes thinner than a certain thickness, the core layer 12 can not serve as a sufficient support in a high temperature and chemical environment in which the carrier wafer and the device wafer are attached, Wrinkles are generated and clearance is generated between the carrier wafer and the device wafer,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wafer is lowered and the thinning and / or the rear surface machining process can not be further advanced. 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core layer 12 is increased to a certain thickness or more, the total thickness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is increased, which is not preferable for thinning the film. If the thickness of the core layer 12 is increased while satisfying the above- The thickness of the remaining first adhesive layer and / or the second adhesive layer must be relatively reduced, so that the adhesive strength may be excessively increased or the adhesive strength may be excessively increased, and the increased thickness of the core layer may cause a decrease in packing property and adherence between the device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There is a problem that can be caused. Therefore, in order to eliminate such a problem, it is preferable to satisfy the above-mentioned relational expression (2). When the above formula (2) is satisfied,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 or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ensured within the entire thickness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so that the core film exhibits a function as a temporary adhesive film and has a certain thickness. And the adhesion to the bumps of the device wafer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시접착필름은 관계식 1, 2외로 하기 관계식 3을 더 만족할 수 있다. Further,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satisfy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3 as well as relational expressions 1 and 2.

[관계식 3] [Relation 3]

Figure 112014030344890-pat00008
Figure 112014030344890-pat00008

상기 관계식 3을 더 만족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임시접착필름은 제1 접착층의 두께가 임시접착필름 총 두께 중 일정 비율로 보장됨으로써 캐리어 웨이퍼와의 접착력이 목적하는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다. 만일 상기 관계식 3이 0.8 미만일 경우 제1 접착층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캐리어 웨이퍼와 임시 접착필름간에 접착력이 목적하는 수준 이상으로 증가함에 따라 캐리어 웨이퍼의 재활용을 위해 캐리어 웨이퍼를 임시접착필름에서 분리할 때 분리가 되지 않거나 캐리어 웨이퍼가 찢어지거나 깨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장비호환성, 디바이스 웨이퍼와의 밀착성 및 필름의 박형화 측면에서 한정된 두께의 임시접착필름내 증가된 제1 접착층의 두께는 코어층 및/또는 제2 접착층의 두께를 감소시켜 각 층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만일 상기 관계식 3이 2.1을 초과하는 경우 제1 접착층의 두께가 너무 얇아져 캐리어 웨이퍼의 부착력이 현저히 감소함에 따라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막화 및/또는 후면가공 공정 중에 캐리어 웨이퍼가 박리, 분리되는 문제점 있을 수 있다.
By further satisfying the above-described relational expression (3),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adhesion force with the carrier wafer at a desired level by ensuring that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is a certain percentage of the total thickness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If the relation 3 is less than 0.8, as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increases, the adhesion force between the carrier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increases to a desired level or more. When the carrier wafer is separated from the temporary adhesive film for recycling of the carrier waf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arrier wafer is not separated or the carrier wafer is torn or broken. Further, in terms of equipment compatibility, adhesion with the device wafer, and thinning of the film,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increased i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of a limited thickness decreases the thickness of the core layer and / or the second adhesive layer, There may be a problem to make. If the relational expression (3) exceeds 2.1,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becomes too thin, and the adhesion force of the carrier wafer is remarkably reduced, so that the carrier wafer may peel off and separate during the thinning of the device wafer and / or the rear surface process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시접착필름은 상기 관계식 1 내지 3을 만족하면서, 임시접착필름에 포함된 제2 접착층의 두께가 48 ~ 70㎛일 수 있다. 제2 접착층은 디바이스 웨이퍼와 대면하는 층으로써, 제2 접착층의 두께는 디바이스 웨이퍼와 임시접착필름 간의 밀착력, 부착력 및 박막화/후면 가공공정 이후에 임시접착필름의 분리성을 모두 고려해야 되며 만일 제2 접착층의 두께가 48㎛미만인 경우 디바이스 웨이퍼상에 존재하는 범프와의 충진성, 밀착성 및 부착력이 현저히 저하됨에 따라 디바이스 웨이퍼와 임시접착필름 사이에 공극이 존재하거나, 부착력 저하로 인해 디바이스 웨이퍼가 분리되는 등 박막화 및/또는 후면가공 공정을 진행할 수 없거나 공정을 완료한 디바이스 웨이퍼 신뢰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만일 제2 접착층의 두께가 70을 초과하는 경우 디바이스 웨이퍼와의 부착력이 현저히 증가함에 따라 박막화/후면가공 종료 후에 디바이스 웨이퍼를 임시접착필름과 분리할 때 분리가 불가능하거나 임시접착필름이 찢어져 디바이스 웨이퍼상에 잔존하거나 분리를 위해 더 강한 힘을 가하는 과정에서 디바이스 웨이퍼의 신뢰도가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Further,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satisfy the relational expressions 1 to 3,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included i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may be 48 to 70 탆.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a layer facing the device wafer, an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must take into consideration both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device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the adhesive force, and the separability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fter the thinning / The filling property with the bumps existing on the device wafer is remarkably lowered, the adhesion and the adhesion force with the bumps existing on the device wafer are remarkably lowered, so that there is a gap between the device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or the device wafer is sepa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hinning and / or the backside machining process can not be performed, or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wafer after the process is completed may remarkably deteriorate. If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exceeds 70, adhesion force with the device wafer significantly increases After the thinning / backside machining is completed, the device wafer is temporarily bond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wafer may deteriorate in a process in which separation is impossible or the temporary adhesive film tears and remains on the device wafer or exerts a stronger force for separa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임시접착필름은 상기 관계식 1 내지 3 및 제2 접착층의 두께범위 조건을 만족하면서, 하기 관계식 4를 더 만족할 수 있다.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further satisfy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4 while satisfying the above-described relational expressions 1 to 3 and the thickness range condition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관계식 4] [Relation 4]

Figure 112014030344890-pat00009
Figure 112014030344890-pat00009

상기 관계식 4를 더 만족하는 임시접착필름의 경우 상술한 디바이스 웨이퍼, 캐리어 웨이퍼 부착, 이후 디바이스 웨이퍼 박막/후가공 및 디바이스 웨이퍼/캐리어 웨이퍼 분리시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문제점의 발생이 현저히 방지되어 반도체 웨이퍼 용도로써 더 우수한 임시접착필름의 물성을 발현할 수 있는 동시에 필름의 박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만일 상기 관계식 4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상술한 관계식 1 내지 3 및 제2 접착층 두께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필름의 박형화를 달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satisfying the above-described relational expression 4, occurrence of various problems that may occur when the device wafer, the carrier wafer, the device wafer thin film / post-processing device wafer / carrier wafer are separated, It is possible to exhibit more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nd at the same time contribute to the thinning of the film. If the range of Relation 4 is not satisfied, any one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relational expressions 1 to 3 and the problems caused by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occur, and thinning of the film can not be achieved.

이상으로 상술한 관계식 및 조건들을 만족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임시접착필름에 포함되는 각 층에 대해 이하 설명하되, 층의 형성 순서에 관계없이 설명한다.
Each of the layers included i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atisfying the above-described relational expressions and conditions will be described below, but will be explained regardless of the formation order of the layers.

먼저, 제1 접착층(도 1의 11)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first adhesive layer (11 in FIG. 1) will be described.

제1 접착층(11)은 캐리어 웨이퍼를 접착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며, 목적하는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막화/후면가공 공정 이후 디바이스 웨이퍼에서 캐리어 웨이퍼 및 임시접착필름을 분리시킬 때까지 캐리어 웨이퍼를 분리시키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접착력을 보유할 수 있다. 이에 바람직하게는 제1 접착층(11)과 코어층(12)사이의 접착력은 하기 조건 (1), (2)를 만족할 수 있다. The first adhesive layer 11 functions to adhere the carrier wafer. The first adhesive layer 11 has a function of not separating the carrier wafer from the device wafer until the carrier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re separated from the device wafer after the thinning / Sufficient adhesion can be maintained. Preferably,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11 and the core layer 12 can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1) and (2).

(1) 하기의 측정방법 1로 측정된 접착강도가 50 ~ 200 gf/25mm이고, (2) 하기의 측정방법 2로 측정된 접착강도가 100 ~ 300 gf/25mm이다.(1)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1 is 50 to 200 gf / 25 mm, and (2)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2 is 100 to 300 gf / 25 mm.

먼저, 조건 (1)로써 측정된 접착강도는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1 접착층 면을 SUS 304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 mm/min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조건(2)로써 측정된 접착강도는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1 접착층 면을 SUS 304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다시 200℃로 60분간 간 열처리 종료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mm/mim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First,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under the condition (1) was determined by attaching the first adhesive layer side of the specimen to the SUS 304 with a 2-kg roller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And stored at 25 ° C and 55% relative humidity for 1 hour, and then measured at a bonding strength of 180 ° at a peeling speed of 300 mm / min using a tensile tester.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under the condition (2) was obtained by attaching the first adhesive layer side of the specimen to the SUS 304 with a 2-kg roller according to JIS Z 0237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in which the temporary adhesive film was cut to a size of 2.5 cm x 10 cm And after storing at 25 ° C and 55% relative humidity for 1 hour and then heat-treating at 200 ° C for 60 minutes, 180 ° adhesive strength was measured at a peeling speed of 300 mm / mim using a tensile tester.

상기 접착강도는 제1 접착층과 SUS404 간의 접착력이지만 이러한 접착력을 만족하는 경우 제1 접착층과 캐리어 웨이퍼 층간에 요구되는 목적하는 접착력 수준을 달성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접착강도를 만족해야 캐리어 접착제가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막/후면가공 공정 중 분리되어 디바이스 웨이퍼가 지지되지 못하고, 디바이스 웨이퍼의 깨짐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공정 중 이송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웨이퍼 분리 후에 접착된 상태의 캐리어 웨이퍼와 임시접착필름은 버려지는 것이 아니라 캐리어 웨이퍼가 다시 재활용 되어야 되기 때문에 캐리어 웨이퍼와 임시접착필름도 분리가 용이하도록 부착력이 일정 수치 이하이어야 한다. 이에 따라 조건 (1)에 따른 측정방법에 의한 접착강도가 50 ~ 200 gf/25mm일 수 있고, 조건 (2)에 따른 측정방법에 의한 접착강도가 100 ~ 300 gf/25mm로 유지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adhesive strength is an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SUS404, but it is possible to achieve a desired adhesive strength level required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carrier wafer layer when the adhesive force is satisfied. Therefore, if the adhesive strength is satisfied, the carrier adhesive may separate during the thin film / back surface processing of the device wafer, so that the device wafer may not be supported, the device wafer may be broken, and the problem of difficulty in transferring during the process may not occur . Further, since the carrier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in the bonded state after the device wafer separation are not discarded but the carrier wafer must be recycled again, the adhesion force should be a certain value or less so as to facilitate separation of the carrier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ccordingly,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bonding strength by the meas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condition (1) is 50 to 200 gf / 25 mm, and the bonding strength by the meas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condition (2) is maintained at 100 to 300 gf / 25 mm Do.

한편, 제1 접착층(11)은 접착 수지, 용매를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가교제, 경화촉진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조성물이 구체적인 종류 및 이의 혼합비율은 상술한 접착강도를 발현할 수 있는 경우 제한 없이 변경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접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접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용매를 60 ~ 20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접착강도의 발현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포함되는 접착 수지의 종류에 따라 가교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접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가교제를 0.1 ~ 5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경화촉매의 경우 접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0.1 ~ 5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adhesive layer 11 may be formed through an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n adhesive resin and a solvent, and may further include a crosslinking agent, a curing accelerator, and the like. The specific kind of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mixing ratio thereof can be chang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 adhesive strength described above can be expressed. However, the adhesive composition preferably contains 60 to 200 parts by weight of a solven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adhesive resin, which may be advantageous for manifesting the adhesive strength. When a crosslinking agent is further includ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adhesive resin,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to 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dhesive resin. In the case of the curing catalyst, .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 수지는 열경화성 접착 수지일 수 있으며,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막/후면가공 공정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을 만큼 내화학성, 내열성에서 문제가 없고, 목적하는 접착력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고무계, 에폭시, 아크릴, 실리콘 수지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무계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부타디엔 고무, 부틸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니트릴 고무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 수지에 대한 비제한적 예로써,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아민형 에폭시수지, 글리시딜에스테르형 에폭시 수지, 선형 지방족형(linear Aliphatic) 에폭시 수지, 지환족형(cyclo Aliphatic) 에폭시 수지, 복소환 함유 에폭시 수지, 치환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계 에폭시수지 및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하며, 2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수지일 수 있고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공지의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 수지의 경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히드록시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틸롤아크릴아마이드, 그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중합체 혹은 삼원공중합체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dhesive resin may be a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and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in chemical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so as to facilitate the thin film / backside processing of a device wafer, and capable of exhibiting a desired adhesive force have. As a non-limiting example, rubber, epoxy, acrylic, silicone resin, etc.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s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rubber system, 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 butadiene rubber, butyl rubber, styrene butadiene rubber, nitrile rubber, etc.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s the non-limiting examples of the epoxy resin, there may be mentioned glycidyl ether type epoxy resin, glycidylamine type epoxy resin, glycidyl ester type epoxy resin, linear aliphatic epoxy resin, alicyclic type epoxy resin cycloaliphatic epoxy resins, heterocyclic ring-containing epoxy resins, substituted epoxy resins, naphthalene-based epoxy resins, and derivatives thereof, which may be either bifunctional or multifunctional resins and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nd a known epoxy resin can be us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crylic resin, it is also possible to us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n-butyl methacrylate, n-butyl methyl methacrylate,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itaconic acid, Acrylamide, methylol acrylamide, glycidyl methacrylate, ethyl acrylate, isobutyl acrylate, n-but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polymer or terpolymer,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실리콘계 수지는 규소 결합된 수소 원자, 하이드록시 그룹 또는 가수분해성 그룹을 포함하는 수지일 수 있으며, 공지의 기술로 제조된 당업계에서 공지, 관용의 실리콘 수지일 수 있다. 이러한 실리콘 수지는 전형적으로 톨루엔과 같은 유기 용매 속에서 실란 전구체들의 적합한 혼합물을 공가수분해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는 화학식R1R2 2SiX의 실란 및 화학식 R2SiX3의 실란(여기서, R1은 C1 내지 C10 하이드로카빌 또는 C1 내지 C10 할로겐-치환된 하이드로카빌이며, R2는 R1, -H 또는 가수분해성 그룹이고, X는 가수분해성 그룹일 수 있으며, 톨루엔 속에서 공가수분해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성 그룹은, 상기 규소 결합된 그룹이 실온(-23 ± 2℃) 내지 100℃의 임의 온도에서 수분 내에, 예를 들면, 30분 내에 촉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물과 반응하여 실란올(Si-OH) 그룹을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R2로 나타낸 가수분해성 그룹의 예는 -Cl, -Br, -OR3, -OCH2CH2OR3, CH3C(=O)O-, Et(Me)C=NO-, CH3C(=O)N(CH3)- 및 -ONH2(여기서, R3는 C1 내지 C8 하이드로카빌 또는 C1 내지 C8 할로겐-치환된 하이드로카빌임)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silicone resin may be a resin containing a silicon-bonded hydrogen atom, a hydroxy group or a hydrolyzable group, and may be a silicone resin known in the art and manufactured by a well-known technique. Such a silicone resin can typically be prepared by cohydrolysis of a suitable mixture of silane precursors in an organic solvent such as toluene. For example, the silicone resin may comprise a silane of the formula R 1 R 2 2 SiX and a silane of the formula R 2 SiX 3 Wherein R 1 is a C 1 to C 10 hydrocarbyl or C 1 to C 10 halogen-substituted hydrocarbyl, R 2 is R 1 , -H or a hydrolyzable group, and X is a hydrolyzable group The hydrolysable group can be prepared by reacting the silicon-bonded groups in water at any temperature from room temperature (-23 占 폚) to 100 占 폚, for example, within 30 minutes (Si-OH) group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atalyst 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Examples of hydrolysable groups represented by R 2 include -Cl, -Br, -OR 3 , -OCH 2 CH 2 OR 3, CH 3 C (= O) O-, Et (Me) C = NO-, CH 3 C (= O) N (CH 3 ) - and -ONH 2 , wherein R 3 is a C 1 to C 8 hydrocarbyl or a C 1 to C 8 halogen-substituted hydrocarbyl.

다만, 상기 열거된 접착 수지 종류 중 고무계의 경우 내열성이 저하되어 고온의 조건에서 진행되는 디바이스 웨이퍼 박막/후면가공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에폭시 수지의 경우 경화 후 모듈러스가 현저히 저하됨에 따라 디바이스 웨이퍼 박막/후면가공 공정에 적합하지 않고 디바이스 웨이퍼와 임시접착필름간에 범프 충진성, 밀착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크릴 수지의 경우에도 내열성이 좋지 못함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실리콘계 수지를 사용함이 목적하는 접착력을 발현하고, 내열성 및 내화학성 등에서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However, among the adhesive resins listed above, the heat resistance of the rubber-based resin may deteriorate and may not be suitable for thin film / backside processing of device wafers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In the case of epoxy resins, modulus after curing remarkably lowers, / Is not suitable for the backside machining proces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ump filling property and the adhesion force can be reduced between the device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acrylic resin, since the heat resistance is poor, a silicone resin is preferably used so as to exhibit a desired adhesive force, and may be more preferable in terms of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또한, 상기 용매는 통상적으로 상술한 것과 같은 접착 수지를 용해시키는데 문제가 없는 용매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예: n-펜탄, 헥산, n-헵탄, 이소옥탄 및 도데칸), 사이클로지방족 탄화수소(예: 사이클로펜탄 및 사이클로헥산), 방향족 탄화수소(예: 벤젠, 톨루엔, 크실렌 및 메시틸렌), 사이클릭 에테르(예: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및 디옥산), 케톤(예: 메틸 이소부틸 케톤(MIBK), 메틸에틸케톤(MEK)), 할로겐화 알칸(예: 트리클로로에탄) 및 할로겐화 방향족 탄화수소(예: 브로모벤젠 및 클로로벤젠)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유기 용매는 단일 유기 용매이거나 각각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2개 이상의 상이한 유기 용매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olven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in the case of a solvent which normally has no problem in dissolving the adhesive resin as described above, and as a non-limiting example, a 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 such as n-pentane, Cyclic aliphatic hydrocarbons such as cyclopentane and cyclohexane;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benzene, toluene, xylene and mesitylene; cyclic ethers such as tetrahydrofuran (THF) and di Hexane and the like), ketones such as methyl isobutyl ketone (MIBK), methyl ethyl ketone (MEK), halogenated alkanes such as trichloroethane and halogenated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bromobenzene and chlorobenze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organic solvent may be a single organic solvent or a mixture of two or more different organic solvents, each as defined above.

또한, 상기 가교제의 구체적인 종류는 상술한 접착 수지의 구체적인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MeSi(OCH3)3, CH3Si(OCH2CH3)3, CH3Si(OCH2CH2CH3)3,CH3Si[O(CH2)3CH3]3, CH3CH2Si(OCH2CH3)3, C6H5Si(OCH3)3, C6H5CH2Si(OCH3)3, C6H5Si(OCH2CH3)3, CH2=CHSi(OCH3)3, CH2=CHCH2Si(OCH3)3, CF3CH2CH2Si(OCH3)3, CH3Si(OCH2CH2OCH3)3, CF3CH2CH2Si(OCH2CH2OCH3)3, CH2=CHSi(OCH2CH2OCH3)3, CH2=CHCH2Si(OCH2CH2OCH3)3, C6H5Si(OCH2CH2OCH3)3, Si(OCH3)4, Si(OC2H5)4 및 Si(OC3H7)4 등의 알콕시 실란; CH3Si(OCOCH3)3, CH3CH2Si(OCOCH3)3 및 CH2=CHSi(OCOCH3)3 등의 오가노아세톡시실란;, CH3Si[ON=C(CH3)CH2CH3]3, Si[O-N=C(CH3)CH2CH3]4 및 CH2=CHSi[O-N=C(CH3)CH2CH3]3 등의 오가노이미노옥시실란;, CH3Si[NHC(=O)CH3]3 및 C6H5Si[NHC(=O)CH3]3 등의 오가노아세트아미도실란;, CH3Si[NH(S-C4H9]3 및 CH3Si(NHC6H11)3 등의 아미노 실란; 및 오가노아미노옥시실란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가교제는 단일 실란이거나 각각 상술한 바와 같은 둘 이상의 상이한 실란의 혼합물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cific kind of the crosslinking ag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specific kind of the above-mentioned adhesive resin, thus to as a non-limiting example, MeSi (OCH 3) 3, CH 3 Si (OCH 2 CH 3) 3, CH 3 Si (OCH 2 CH 2 CH 3) 3, CH 3 Si [O (CH 2) 3 CH 3] 3, CH 3 CH 2 Si (OCH 2 CH 3) 3, C 6 H 5 Si (OCH 3) 3, C 6 H 5 CH 2 Si (OCH 3) 3, C 6 H 5 Si (OCH 2 CH 3) 3, CH 2 = CHSi (OCH 3) 3, CH 2 = CHCH 2 Si (OCH 3) 3, CF 3 CH 2 CH 2 Si (OCH 3) 3, CH 3 Si (OCH 2 CH 2 OCH 3) 3, CF 3 CH 2 CH 2 Si (OCH 2 CH 2 OCH 3) 3, CH 2 = CHSi (OCH 2 CH 2 OCH 3) 3, CH 2 = CHCH 2 Si (OCH 2 CH 2 OCH 3) 3, C 6 H 5 Si (OCH 2 CH 2 OCH 3) 3, Si (OCH 3) 4, Si (OC 2 H 5) 4 And alkoxysilanes such as Si (OC 3 H 7 ) 4 ; CH 3 Si (OCOCH 3) 3 , CH 3 CH 2 Si (OCOCH 3) 3 and CH 2 = CHSi (OCOCH 3) Ogaki quinoa three silane, such as 3;, CH 3 Si [ON = C (CH 3) CH 2 CH 3] 3, Si [ oN = C (CH 3) CH 2 CH 3] 4 and CH 2 = CHSi [oN = C (CH 3) CH 2 CH 3] 3 and so on of the organosilane noi mino oxy silane;, CH 3 Si [NHC (= O) CH 3] 3 , and C 6 H 5 Si [NHC ( = O) CH 3] silane FIG amino organosilane quinoa set, such as 3;, CH 3 Si [NH (SC 4 H 9] 3 and CH 3 Si (NHC 6 H 11 ) an aminosilane such as 3; including and organo-amino-oxy-silane, but is not this limit the cross-linking agent is a mixture of two or more different silane, such as a single silane or described, respectively above .

또한, 상기 경화 촉매의 경우 통상적인 열경화에 사용되는 촉매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종류는 사용되는 접착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달리 변경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백금, 로듐, 루테늄, 팔라듐, 오스뮴 또는 이리듐 금속으로부터 선택된 백금족 금속 또는 이의 유기 금속 화합물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종이상 병용하여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uring catalyst, a catalyst used for conventional thermal curing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nd the specific kind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adhesive resin used. As a non-limiting example, it may include a platinum group metal selected from platinum, rhodium, ruthenium, palladium, osmium or iridium metal, or an organometallic compound thereof or a combination thereof, which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상기와 같은 접착 조성물을 통해 제1 접착층(11)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통상적인 지지부재상에 필름을 형성시키는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콤마코팅(comma coating), 리버스코팅, 그라비아코팅, 브레이드코팅, 실크스크린코팅 및 슬롯다이헤드코팅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하기에 설명될 코어층의 일면에 접착 조성물을 상기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코팅하고 120 ~ 170℃, 200 ~ 230℃에서 각각 3 ~ 6분간 건조를 통해 제조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조방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제조된 제1 접착층(11)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5 ~ 10㎛일 수 있으며, 만일 두께가 5㎛미만일 경우 제1 접착층(11)과 캐리어 웨이퍼 간의 접착력이 약해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형/후면 가공공정에서 캐리어 웨이퍼가 분리되어 상기 공정을 진행할 수 없거나 디바이스 웨이퍼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두께가 10㎛를 초과하는 경우 제1 접착층(11)과 캐리어 웨이퍼 간의 접착력이 너무 강해져 캐리어 웨이퍼의 재사용을 위해 임시접착필름에서 캐리어 웨이퍼를 분리시킬 때 분리가 용이하지 않고, 제1 접착층(11)의 두께가 늘어날수록 임시접착필름의 전체 두께가 증가되어 필름의 박형화 측면에서 매우 바람직하지 못하다.
The method of forming the first adhesive layer 11 through the above-mentioned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 method of forming a film on a conventional support member. As a non-limiting example, a comma coating, a reverse coating, Coating, gravure coating, braiding coating, silk screen coating and slot die head coating. More specifically,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coated on one side of the core layer,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any one of the above-mentioned methods, and dried at a temperature of 120 to 170 ° C and 200 to 230 ° C for 3 to 6 minutes, respective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production method. If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11 is less than 5 mu m,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11 and the carrier wafer is weak and the thinning /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arrier wafer can not be separated from the process and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wafer deteriorates. When the thickness exceeds 10 mu m,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11 and the carrier wafer becomes too strong, Separation is not easy when the carrier wafer is separated from the temporary adhesive film for reuse, and the total thickness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increases as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11 increases, which is highly undesirable in view of thinning of the film.

다음으로 상술한 제1 접착층(11)과 대면하는 코어층(12)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core layer 12 facing the above-described first adhesive layer 11 will be described.

상기 코어층(12)은 본 발명에 따른 임시접착필름의 지지체 기능 및 캐리어 웨이퍼에 임시접착필름을 라미네이션할 때 라미네이션 공정을 좀 더 원활하게 수행하게 하며, 캐리어 웨이퍼 및 디바이스 웨이퍼가 접합된 적층체의 디바이스 웨이퍼의 이면을 연삭할 때 발생하는 응력을 제 2 접착층과 코어층이 복합적으로 제거하게 되며, 캐리어 웨이퍼와 디바이스 웨이퍼가 분리된 후 캐리어 웨이퍼로부터 임시접착필름을 용이하게 제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상기 코어층(12)은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막/후면가공 중에 거치게 되는 다양한 고온의 물리적 환경이나, 화학물질에 의한 에칭 등에 의한 화학적 환경에서 물성과 형상의 변화가 없는 소재의 필름인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흡습성, 내열성, 내화학성을 모두 고려하여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PEEK),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PEI),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및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적정 수준 이상의 물성을 발현하면서 구입단가까지 고려시 폴리이미드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층은 바람직하게는 제1 접착제층, 제2 접착제층과 접착강도 향상을 위해 통상이 방법에 의해 표면조도가 형성된 필름일 수 있다.The core layer 12 serves to support the temporary adhering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perform the lamination process more smoothly when laminating the temporary adhering film to the carrier wafer and to prevent the lamination of the carrier wafer and the device wafer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the core layer collectively remove the stress generated when the back surface of the device wafer is ground, and the function of easily removing the temporary adhesive film from the carrier wafer after the carrier wafer and the device wafer are separated. The core layer 12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s in the case of a film having no change in physical properties and shape in a chemical environment due to various high temperature physical environments or etching by chemical substances, have. (PEEK), polyethyleneimine (PEI), polyimide (PI) and polyethersulfone (PES), preferably polyetheretherketone (PEEK), polyetheretherketone , And it is preferable to use a polyimide film when considering the purchase unit price while exhibiting a physical property of an appropriate level or higher. The core layer may preferably be a first adhesive layer, a second adhesive layer and a film having a surface roughness formed by this method in order to improve the adhesive strength.

상기 코어층(12)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0 ~ 90㎛일 수 있으며, 필름의 형상변형을 방지하는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 90㎛일 수 있다. 만일 코어층(12)의 두께가 10㎛ 미만인 경우 임시접착필름을 캐리어 웨이퍼와 디바이스 웨이퍼에 부착시키는 공정 및 이후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막/후면가공 공정 중 고온 등의 조건에 의해 주름이 발생하거나 형상이 뒤틀릴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러한 주름이나 형상의 발생은 디바이스 웨이퍼 및/또는 캐리어 웨이퍼의 분리나 유격을 발생시켜 공정을 진행할 수 없거나 제조된 디바이스 웨이퍼의 신뢰도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코어층(12)의 두께가 90㎛를 초과하는 경우 임시접착필름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켜 필름의 박형화 및 종래 박막/후면가공 장비와의 호환성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한정된 임시접착필름의 총두께 범위내에서 증가된 코어층(12)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제1 접착층 및/또는 제2 접착층의 두께 감소를 하여 층별 기능을 제대로 발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The thickness of the core layer 12 may be preferably 10 to 90 占 퐉, and more preferably 20 to 90 占 퐉 in terms of preventing deformation of the film. If the thickness of the core layer 12 is less than 10 占 퐉, wrinkles may occur due to the adhering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to the carrier wafer and the device wafer, and subsequent high temperature conditions during the thin film /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occurrence of such wrinkles or shapes may cause problems such as separation of the device wafer and / or carrier wafer, and thus the process can not proceed or the reliability of the manufactured device wafer may be deteriorated. In addition, when the thickness of the core layer 12 exceeds 90 탆, the total thickness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is increased to cause problems in the thinning of the film and compatibility with the conventional thin film / backside processing equipment, The thickness of the core layer 12 increased within the total thickness range may have a problem that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 or the second adhesive layer is relatively reduced, and the function of the layer can not be properly expressed.

다음으로, 상기 코어층(12)에서 제1 접착층(11)이 형성되지 않은 다른 일면과 대면하여 형성된 제2 접착층(13)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second adhesive layer 13 formed on the core layer 12 facing the other surface on which the first adhesive layer 11 is not formed will be described.

상기 제2 접착층(13)은 디바이스 웨이퍼를 접착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며, 디바이스 웨이퍼가 박막/후면가공 공정 중에는 분리, 유격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공정이 종료된 후에는 디바이스 웨이퍼에 물리적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을 정도의 접착력을 보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접착층(13) 및 코어층(12)은 하기 조건 (3), (4)를 만족할 수 있다.The second adhesive layer 13 has the function of adhering the device wafer and does not physically affect the device wafer after the process has ended without causing the device wafer to separate and clear during the thin film / It is possible to retain an adhesive force such that it can be separated easily. Accordingly, the second adhesive layer 13 and the core layer 12 can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3) and (4).

(3) 하기의 측정방법 3으로 측정된 접착강도가 2 ~ 10 gf/25mm이고, (4) 하기의 측정방법 4로 측정된 접착강도가 5 ~ 25 gf/25mm이다.(3)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3 is 2 to 10 gf / 25 mm, and (4)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4 is 5 to 25 gf / 25 mm.

먼저, 조건 (3)으로써 측정된 접착강도는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2 접착층 면을 SUS 304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 mm/min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조건 (4)로써, 측정된 접착강도는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2 접착층 면을 SUS 304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다시 200℃ 로 60분간 간 열처리 종료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mm/mim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한 결과이다.First,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condition (3) was determined by attaching the second adhesive layer side of the specimen to the SUS 304 with a 2-kg roller according to JIS Z 0237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And stored at 25 ° C and 55% relative humidity for 1 hour, and then measured at a bonding strength of 180 ° at a peeling speed of 300 mm / min using a tensile tester. As the condition (4), the measured adhesive strength was evaluated as follows. The test piece cut into a size of 2.5 cm x 10 cm in width and length was adhered to SUS 304 with a 2 kg roller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And after storage for 1 hour at a temperature of 25 ° C and 55% relative humidity, and then for 60 minutes at 200 ° C, 180 ° adhesive strength was measured at a peeling rate of 300 mm / mim using a tensile tester .

상기 접착강도는 디바이스 웨이퍼와 제2 접착층(13)간에 접착강도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의 접착강도를 만족시키는 제2 접착층(13)은 디바이스 웨이퍼 간에도 목적하는 수준의 접착강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만일 상기 접착강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디바이스 웨이퍼가 박막/후면가공 공정 중에는 분리되거나 디바이스 웨이퍼와 제2 접착층 사이에 공극 등의 유격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공정을 수행할 수 없거나 진공, 고온의 공정에서 상기 공극이 수축팽창을 반복함에 따라 디바이스 웨이퍼가 깨지거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Although the bonding strength does not directly indicat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device wafer and the second bonding layer 13, the second bonding layer 13 satisfying the above bonding strength can satisfy the desired level of bonding strength between device wafers have. If the adhesive strength is not satisfied, the process can not be carried out as the device wafer is separated during the thin film / backside machining process or gap between the device waf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occurs, As the void repeats expansion and contraction, the device wafer may break or the reliability may deteriorate.

상기 제2 접착층(13)은 접착제 조성물을 통해 코어층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 조성물은 접착 수지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접착 조성물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가교제, 경화촉진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조성물이 구체적인 종류 및 이의 혼합비율은 상술한 접착강도를 발현할 수 있는 경우 제한 없이 변경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접착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접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용매를 60 ~ 20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접착강도의 발현에 유리할 수 있다. 또한, 포함되는 접착 수지의 종류에 따라 가교제를 더 포함하는 경우 접착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 가교제를 0.1 ~ 50 중량부 포함할 수 있고, 경화촉매의 경우 접착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0.1 ~ 5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adhesive layer 13 may be formed on the core layer through an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formed through an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n adhesive resin and a solvent, and further includes a crosslinking agent, a curing accelerator, and the like . The specific kind of the adhesive composition and the mixing ratio thereof can be chang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 adhesive strength described above can be expressed. However, the adhesive composition preferably contains 60 to 200 parts by weight of a solven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adhesive resin, which may be advantageous for manifesting the adhesive strength. When a crosslinking agent is further includ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adhesive resin,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to 5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dhesive resin. In the case of the curing catalyst, .

구체적으로 상기 접착 수지는 열경화성 접착 수지일 수 있으며,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막/후면가공 공정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을 만큼 내화학성, 내열성에서 문제가 없고, 목적하는 접착력을 발현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고무계, 에폭시, 아크릴, 실리콘 수지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무계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고무, 부타디엔 고무, 부틸고무,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니트릴 고무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 수지에 대한 비제한적 예로써,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아민형 에폭시수지, 글리시딜에스테르형 에폭시 수지, 선형 지방족형(linear Aliphatic) 에폭시 수지, 지환족형(cyclo Aliphatic) 에폭시 수지, 복소환 함유 에폭시 수지, 치환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계 에폭시수지 및 이들의 유도체를 포함하며, 2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수지일 수 있고 이들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포함할 수 있으며, 공지의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 수지의 경우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타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히드록시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틸롤아크릴아마이드, 그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중합체 혹은 삼원공중합체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dhesive resin may be a thermosetting adhesive resin, and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in chemical resistance and heat resistance so as to facilitate the thin film / backside processing of a device wafer, and capable of exhibiting a desired adhesive force have. As a non-limiting example, rubber, epoxy, acrylic, silicone resin, etc.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s a non-limiting example of the rubber system, 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 butadiene rubber, butyl rubber, styrene butadiene rubber, nitrile rubber, etc.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s the non-limiting examples of the epoxy resin, there may be mentioned glycidyl ether type epoxy resin, glycidylamine type epoxy resin, glycidyl ester type epoxy resin, linear aliphatic epoxy resin, alicyclic type epoxy resin cycloaliphatic epoxy resins, heterocyclic ring-containing epoxy resins, substituted epoxy resins, naphthalene-based epoxy resins, and derivatives thereof, which may be either bifunctional or multifunctional resins and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nd a known epoxy resin can be us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acrylic resin, it is also possible to use methyl methacrylate, ethyl methacrylate, isobutyl methacrylate, n-butyl methacrylate, n-butyl methyl methacrylate,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itaconic acid, Acrylamide, methylol acrylamide, glycidyl methacrylate, ethyl acrylate, isobutyl acrylate, n-but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polymer or terpolymer,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상기 실리콘계 수지는 규소 결합된 수소 원자, 하이드록시 그룹 또는 가수분해성 그룹을 포함하는 수지일 수 있으며, 공지의 기술로 제조된 당업계에서 공지, 관용의 실리콘 수지일 수 있다. 이러한 실리콘 수지는 전형적으로 톨루엔과 같은 유기 용매 속에서 실란 전구체들의 적합한 혼합물을 공가수분해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는 화학식R1R2 2SiX의 실란 및 화학식 R2SiX3의 실란(여기서, R1은 C1 내지 C10 하이드로카빌 또는 C1 내지 C10 할로겐-치환된 하이드로카빌이며, R2는 R1, -H 또는 가수분해성 그룹이고, X는 가수분해성 그룹일 수 있으며, 톨루엔 속에서 공가수분해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가수분해성 그룹은, 상기 규소 결합된 그룹이 실온(-23 ± 2℃) 내지 100℃의 임의 온도에서 수분 내에, 예를 들면, 30분 내에 촉매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물과 반응하여 실란올(Si-OH) 그룹을 형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R2로 나타낸 가수분해성 그룹의 예는 -Cl, -Br, -OR3, -OCH2CH2OR3, CH3C(=O)O-, Et(Me)C=NO-, CH3C(=O)N(CH3)- 및 -ONH2(여기서, R3는 C1 내지 C8 하이드로카빌 또는 C1 내지 C8 할로겐-치환된 하이드로카빌임)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silicone resin may be a resin containing a silicon-bonded hydrogen atom, a hydroxy group or a hydrolyzable group, and may be a silicone resin known in the art and manufactured by a well-known technique. Such a silicone resin can typically be prepared by cohydrolysis of a suitable mixture of silane precursors in an organic solvent such as toluene. For example, the silicone resin may comprise a silane of the formula R 1 R 2 2 SiX and a silane of the formula R 2 SiX 3 Wherein R 1 is a C 1 to C 10 hydrocarbyl or C 1 to C 10 halogen-substituted hydrocarbyl, R 2 is R 1 , -H or a hydrolyzable group, and X is a hydrolyzable group The hydrolysable group can be prepared by reacting the silicon-bonded groups in water at any temperature from room temperature (-23 占 폚) to 100 占 폚, for example, within 30 minutes (Si-OH) group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catalyst in the presence of a catalyst. Examples of hydrolysable groups represented by R 2 include -Cl, -Br, -OR 3 , -OCH 2 CH 2 OR 3, CH 3 C (= O) O-, Et (Me) C = NO-, CH 3 C (= O) N (CH 3 ) - and -ONH 2 , wherein R 3 is a C 1 to C 8 hydrocarbyl or a C 1 to C 8 halogen-substituted hydrocarbyl.

다만, 상기 열거된 접착 수지 종류 중 고무계의 경우 내열성이 저하되어 고온의 조건에서 진행되는 디바이스 웨이퍼 박막/후면가공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에폭시 수지의 경우 경화 후 모듈러스가 현저히 저하됨에 따라 디바이스 웨이퍼 박막/후면가공 공정에 적합하지 않고 디바이스 웨이퍼와 임시접착필름간에 범프 충진성, 밀착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크릴 수지의 경우에도 내열성이 좋지 못함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실리콘계 수지를 사용함이 목적하는 접착력을 발현하고, 내열성 및 내화학성 등에서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However, among the adhesive resins listed above, the heat resistance of the rubber-based resin may deteriorate and may not be suitable for thin film / backside processing of device wafers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In the case of epoxy resins, modulus after curing remarkably lowers, / Is not suitable for the backside machining proces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ump filling property and the adhesion force can be reduced between the device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acrylic resin, since the heat resistance is poor, a silicone resin is preferably used so as to exhibit a desired adhesive force, and may be more preferable in terms of heat resistance and chemical resistance.

또한, 상기 용매는 통상적으로 상술한 것과 같은 접착 수지를 용해시키는데 문제가 없는 용매의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예: n-펜탄, 헥산, n-헵탄, 이소옥탄 및 도데칸), 사이클로지방족 탄화수소(예: 사이클로펜탄 및 사이클로헥산), 방향족 탄화수소(예: 벤젠, 톨루엔, 크실렌 및 메시틸렌), 사이클릭 에테르(예: 테트라하이드로푸란(THF) 및 디옥산), 케톤(예: 메틸 이소부틸 케톤(MIBK), 메틸에틸케톤(MEK)), 할로겐화 알칸(예: 트리클로로에탄) 및 할로겐화 방향족 탄화수소(예: 브로모벤젠 및 클로로벤젠)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유기 용매는 단일 유기 용매이거나 각각 위에서 정의한 바와 같은 2개 이상의 상이한 유기 용매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solven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in the case of a solvent which normally has no problem in dissolving the adhesive resin as described above, and as a non-limiting example, a 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 such as n-pentane, Cyclic aliphatic hydrocarbons such as cyclopentane and cyclohexane;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benzene, toluene, xylene and mesitylene; cyclic ethers such as tetrahydrofuran (THF) and di Hexane and the like), ketones such as methyl isobutyl ketone (MIBK), methyl ethyl ketone (MEK), halogenated alkanes such as trichloroethane and halogenated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bromobenzene and chlorobenze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organic solvent may be a single organic solvent or a mixture of two or more different organic solvents, each as defined above.

또한, 상기 가교제의 구체적인 종류는 상술한 접착 수지의 구체적인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MeSi(OCH3)3, CH3Si(OCH2CH3)3, CH3Si(OCH2CH2CH3)3,CH3Si[O(CH2)3CH3]3, CH3CH2Si(OCH2CH3)3, C6H5Si(OCH3)3, C6H5CH2Si(OCH3)3, C6H5Si(OCH2CH3)3, CH2=CHSi(OCH3)3, CH2=CHCH2Si(OCH3)3, CF3CH2CH2Si(OCH3)3, CH3Si(OCH2CH2OCH3)3, CF3CH2CH2Si(OCH2CH2OCH3)3, CH2=CHSi(OCH2CH2OCH3)3, CH2=CHCH2Si(OCH2CH2OCH3)3, C6H5Si(OCH2CH2OCH3)3, Si(OCH3)4, Si(OC2H5)4 및 Si(OC3H7)4 등의 알콕시 실란; CH3Si(OCOCH3)3, CH3CH2Si(OCOCH3)3 및 CH2=CHSi(OCOCH3)3 등의 오가노아세톡시실란;, CH3Si[ON=C(CH3)CH2CH3]3, Si[O-N=C(CH3)CH2CH3]4 및 CH2=CHSi[O-N=C(CH3)CH2CH3]3 등의 오가노이미노옥시실란;, CH3Si[NHC(=O)CH3]3 및 C6H5Si[NHC(=O)CH3]3 등의 오가노아세트아미도실란;, CH3Si[NH(S-C4H9]3 및 CH3Si(NHC6H11)3 등의 아미노 실란; 및 오가노아미노옥시실란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가교제는 단일 실란이거나 각각 상술한 바와 같은 둘 이상의 상이한 실란의 혼합물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cific kind of the crosslinking ag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specific kind of the above-mentioned adhesive resin, thus to as a non-limiting example, MeSi (OCH 3) 3, CH 3 Si (OCH 2 CH 3) 3, CH 3 Si (OCH 2 CH 2 CH 3) 3, CH 3 Si [O (CH 2) 3 CH 3] 3, CH 3 CH 2 Si (OCH 2 CH 3) 3, C 6 H 5 Si (OCH 3) 3, C 6 H 5 CH 2 Si (OCH 3) 3, C 6 H 5 Si (OCH 2 CH 3) 3, CH 2 = CHSi (OCH 3) 3, CH 2 = CHCH 2 Si (OCH 3) 3, CF 3 CH 2 CH 2 Si (OCH 3) 3, CH 3 Si (OCH 2 CH 2 OCH 3) 3, CF 3 CH 2 CH 2 Si (OCH 2 CH 2 OCH 3) 3, CH 2 = CHSi (OCH 2 CH 2 OCH 3) 3, CH 2 = CHCH 2 Si (OCH 2 CH 2 OCH 3) 3, C 6 H 5 Si (OCH 2 CH 2 OCH 3) 3, Si (OCH 3) 4, Si (OC 2 H 5) 4 And alkoxysilanes such as Si (OC 3 H 7 ) 4 ; CH 3 Si (OCOCH 3) 3 , CH 3 CH 2 Si (OCOCH 3) 3 and CH 2 = CHSi (OCOCH 3) Ogaki quinoa three silane, such as 3;, CH 3 Si [ON = C (CH 3) CH 2 CH 3] 3, Si [ oN = C (CH 3) CH 2 CH 3] 4 and CH 2 = CHSi [oN = C (CH 3) CH 2 CH 3] 3 and so on of the organosilane noi mino oxy silane;, CH 3 Si [NHC (= O) CH 3] 3 , and C 6 H 5 Si [NHC ( = O) CH 3] silane FIG amino organosilane quinoa set, such as 3;, CH 3 Si [NH (SC 4 H 9] 3 and CH 3 Si (NHC 6 H 11 ) an aminosilane such as 3; including and organo-amino-oxy-silane, but is not this limit the cross-linking agent is a mixture of two or more different silane, such as a single silane or described, respectively above .

또한, 상기 경화 촉매의 경우 통상적인 열경화에 사용되는 촉매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구체적인 종류는 사용되는 접착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달리 변경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백금, 로듐, 루테늄, 팔라듐, 오스뮴 또는 이리듐 금속으로부터 선택된 백금족 금속 또는 이의 유기 금속 화합물 또는 이들의 배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종이상 병용하여 포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uring catalyst, a catalyst used for conventional thermal curing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nd the specific kind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adhesive resin used. As a non-limiting example, it may include a platinum group metal selected from platinum, rhodium, ruthenium, palladium, osmium or iridium metal, or an organometallic compound thereof or a combination thereof, which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

상기와 같은 제2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접착조성물은 제1 접착층을 형성시킬 수 있는 접착 조성물과 동일할 수 있고, 목적하는 접착력을 발현시키기 위해 상이한 조성물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접착 수지로 제1 접착층과 제2 접착층이 실리콘계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목적하는 접착력을 달리 발현시키기 위해 구체적 종류를 달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adhesive composition for forming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the same as the adhesive composition capable of forming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may be a different composition for developing the desired adhesive force. When the adhesive layer 2 is made of a silicone resin, a specific kind may be used in order to manifest a desired adhesive strength.

상기와 같은 접착 조성물을 통해 제2 접착층(13)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통상적인 지지부재상에 필름을 형성시키는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써, 콤마코팅(comma coating), 리버스코팅, 그라비아코팅, 브레이드코팅, 실크스크린코팅 및 슬롯다이헤드코팅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코어층(12)의 일면에 접착 조성물을 상기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코팅하고 120 ~ 170℃, 200 ~ 230℃에서 각각 3 ~ 6분간 건조를 통해 제조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조방법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렇게 제조된 제2 접착층(13)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48 ~ 70㎛일 수 있으며, 제2 접착층(13) 두께에 대한 임계적 의의는 상술한 것과 같은 바 생략하기로 한다. The method of forming the second adhesive layer 13 through the above-mentioned adhesive composition may be a method of forming a film on a conventional support member. As a non-limiting example, a comma coating, a reverse coating, Coating, gravure coating, braiding coating, silk screen coating and slot die head coating. More specifically, the adhesive composition may be coated on one side of the core layer 12 by any one of the above methods and dried at a temperature of 120 to 170 ° C and 200 to 230 ° C for 3 to 6 minutes, respectively.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uch a production method.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13 thus manufactured may preferably be 48 to 70 占 퐉, and the critical meaning of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13 is not described here.

코어층(12)에 제2 접착층(13)과 제1 접착층(11)의 형성 순서는 제한이 없으며, 어느 것을 먼저 또는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The order of forming the second adhesive layer 13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11 in the core layer 12 is not limited, and either of them may be formed first or simultaneously.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열경화성 반도체 웨이퍼용 임시접착필름; 상기 임시접착필름의 제1 접착층상에 대면하여 형성된 캐리어 웨이퍼; 및 상기 임시접착필름의 제2 접착층상에 대면하여 형성된 디바이스 웨이퍼;를 포함하는 임시접착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temporary adhesive film for a thermosetting semiconductor waf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arrier wafer formed on the first adhesive layer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nd a device wafer formed on the second adhesive layer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nd a temporary adhesive film comprising the temporary adhesive film.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체의 단면도로써, 임시접착필름(10)에 포함된 제1 접착층(11)상에 캐리어 웨이퍼(20)가 대면하도록 부착되고, 임시접착필름(10)에 포함된 제2 접착층(13)상에 디바이스 웨이퍼(30)가 대면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적층체의 두께는 1.3 ~ 1.8mm일 수 있으며, 만일 적층체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막/후면가공 공정에 사용되는 장비와 호환성이 문제될 수 있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min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arrier wafer 20 is attached so as to face the first adhesive layer 11 included i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10, The device wafer 30 may be attached so as to face the second adhesive layer 13 included in the film 10. The thickness of such a laminate may range from 1.3 to 1.8 mm and if the thickness of the laminate falls outside of this range compatibility with the equipment used in the thin film / backside processing of the device wafer may be a problem.

먼저 캐리어 웨이퍼(20)는 디바이스 웨이퍼를 박막/후면가공 및 반송하는 등의 공정에서 반도체를 웨이퍼의 파손 또는 변형 등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강도를 보유한 통상적인 재질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리, 실리콘계, 아크릴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소재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콘계를 사용함으로써 웨이퍼의 박막화 처리 후 스트레스 릴리프 공정(불소산 등으로 연마면을 평탄화 처리하는 공정) 등에서 내화학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디바이스 웨이퍼에 사용되는 재질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함이 캐리어 웨이퍼와 디바이스 웨이퍼의 선팽창 계수가 동일함에 따라 고온의 조건에서 박막/후면가공 중 발생할 수 있는 웨이퍼의 휨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캐리어 웨이퍼는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600 ~ 800 ㎛일수 있다.First, the carrier wafer 20 may be a conventional material having a strength necessary to prevent damage or deformation of the semiconductor wafer in processes such as thin film / backside processing and transporting the device wafer. Preferably, the carrier wafer 20 is made of glass, , And acryl-based materials. Preferably, the silicon-based material is used to improve chemical resistance in a stress relief process (a process of planarizing the polished surface with fluoric acid or the like) after the thinning treatment of the waf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made. However, since the carrier wafer and the device wafer have the same linear expansion coefficient as that of the material used for the device wafer, it is possible to prevent warpage of the wafer that may occur during thin film / backside processing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Such a carrier wafer may preferably have a thickness of 600 to 800 탆.

상기 캐리어 웨이퍼(20)와 임시접착필름(10)의 제1 접착층(11) 사이에는 일정 수준 이상의 접착강도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접착강도가 보유되지 못하는 경우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막/후면가공에서 캐리어 웨이퍼가 분리되어 디바이스 웨이퍼가 지지되지 못하고, 디바이스 웨이퍼의 깨짐이 발생할 수 있으며, 공정 중 이송을 어렵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웨이퍼 분리 후에 접착된 상태의 캐리어 웨이퍼(20)와 임시접착필름(10)은 버려지는 것이 아니라 캐리어 웨이퍼가 다시 재활용 되어야 되기 때문에 접착강도가 높을수록 좋은 것은 아니며, 캐리어 웨이퍼와 임시접착필름 분리가 용이하도록 접착강도가 일정 수치 이하임이 바람직하다.A bonding strength of a certain level or more is required between the carrier wafer 20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11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10 and when the adhesive strength is not retained in the thin film / The device wafer can not be supported, the device wafer may be broken, and it may be difficult to transfer the wafer during the process. Further, since the carrier wafer 20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10 in a bonded state after the separation of the device wafer are not discarded but the carrier wafer must be recycled again, the higher the bonding strength is, the better the carrier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It is preferable that the bonding strength is a certain value or less so as to facilitate separation.

이에 따라 제1 접착층(11)과 캐리어 웨이퍼(20) 사이의 접착력은 하기의 조건 (5), (6)을 만족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11 and the carrier wafer 20 can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5) and (6).

(5) 하기 측정방법 5로 측정된 접착강도가 50 ~ 200 gf/25mm이고, (6) 하기 측정방법 6으로 측정된 접착강도가 100 ~ 300 gf/25mm이다.(5)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5 is 50 to 200 gf / 25 mm, and (6)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6 is 100 to 300 gf / 25 mm.

먼저, 조건 (5)의 접착강도는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1 접착층 면을 어떠한 표면 처리도 이루어지지 않은 실리콘 웨이퍼(LG Siltron)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 mm/min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조건 (6)의 접착강도는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1 접착층 면을 어떠한 표면 처리도 이루어지지 않은 실리콘 웨이퍼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다시 200℃ 로 60분간 간 열처리 종료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mm/mim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결과이다. First,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condition (5) was obtained by cutting a temporary adhesive film to a size of 2.5 cm × 10 cm in width and length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on a first adhesive layer surface of a silicon wafer LG Siltron) at a temperature of 25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for 1 hour, and then measured for 180 ° adhesive strength at a peeling speed of 300 mm / min using a tensile tester.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condition (6) was obtained by cutting a temporary adhesive film to a size of 2.5 cm x 10 cm in width and length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on a first adhesive layer surface of a specimen on a silicon wafer 2 kg of rollers and stored at 25 ° C and 55% relative humidity for 1 hour. After heat treatment at 200 ° C for 60 minutes, 180 ° adhesive strength at 300 mm / min peel rate using a tensile tester Measurement results.

상기 조건 (5) 및 (6)의 접착강도를 만족하는 경우 캐리어 웨이퍼가 디바이스 웨이퍼에서 분리되지 않을 수 있으며, 디바이스 웨이퍼를 분리한 이후 임시접착필름에서 캐리어 웨이퍼를 보다 용이하게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한 적층체를 구현할 수 있다.
The carrier wafer may not be separated from the device wafer when the bonding strengths of the conditions (5) and (6) are satisfied, and the carrier wafer may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fter the device wafer is separated and reused A more preferable laminate can be realized.

다음으로, 디바이스 웨이퍼(30)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device wafer 30 will be described.

상기 디바이스 웨이퍼(30)는 범프를 포함하고 있는 통상적인 디바이스 웨이퍼일 수 있고, 규소를 포함하고 있는 실리콘계 웨이퍼, 칼륨-비소 웨이퍼, 갈륨-인 웨이퍼, 게르마늄 웨이퍼, 갈륨-비소-알루미늄 웨이퍼 등이 있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계 웨이퍼일 수 있다. 디바이스 웨이퍼의 두께는 박막공정 전 600 ~ 800㎛일 수 있으며, 범프를 포함하여 두께가 700 ~ 900㎛일 수 있다. The device wafer 30 may be a conventional device wafer containing bumps and may be a silicon wafer, a potassium-arsenic wafer, a gallium-in wafer, a germanium wafer, a gallium-arsenic-aluminum wafer, And may preferably be a silicon-based wafer. The thickness of the device wafer may be 600 to 800 占 퐉 before the thin film process, and the thickness including the bump may be 700 to 900 占 퐉.

임시접착필름(10)의 제2 접착층(13)과 대면하는 디바이스 웨이퍼(30)의 면은 범프 등이 형성된 회로형성면일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13)과 디바이스 웨이퍼(30)는 디바이스 웨이퍼(30)가 박막/후면가공 공정 중에는 분리, 유격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상기 공정이 종료된 후에는 디바이스 웨이퍼에 물리적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을 정도의 접착강도가 보유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2 접착층(13)과 디바이스 웨이퍼(30) 사이의 접착강도는 하기의 조건 (7), (8)을 만족할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device wafer 30 facing the second adhesive layer 13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10 may be a circuit formation surface on which bumps and the like are formed. The second adhesive layer 13 and the device wafer 30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device wafer 30 does not cause separation or clearance during the thin film / backside machining process and does not physically affect the device wafer after the process is terminated.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second adhesive layer 13 and the device wafer 30 can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7) and (8).

(7) 하기 측정방법 7로 측정된 접착강도가 2 ~ 10 gf/25mm이고, (8) 하기 측정방법 8로 측정된 접착강도가 5 ~ 25 gf/25mm이다.(7)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7 is 2 to 10 gf / 25 mm, and (8)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8 is 5 to 25 gf / 25 mm.

먼저, 조건 (7)의 접착강도는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2 접착층 면을 실리콘 이형제 (KS-3755, Shin-Etsu Chemical Co., Ltd.)가 1㎛두께로 스핀 코팅된 실리콘 웨이퍼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 mm/min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한 결과이다. 또한 조건 (8)의 접착강도는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2 접착층 면을 실리콘 이형제 (KS-3755, Shin-Etsu Chemical Co., Ltd.)가 1㎛두께로 스핀 코팅된 실리콘 웨이퍼(LG Siltron)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다시 200℃로 60분간 간 열처리 종료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mm/mim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한 결과이다.First,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condition (7) was obtained by cutting a temporary adhesive film to a size of 2.5 cm × 10 cm in width and length according to JIS Z 0237, using a silicone release agent (KS-3755, Shin-Etsu Chemical Co., Ltd.) was attached to a spin-coated silicon wafer having a thickness of 1 μm with a 2-kg roller and stored at a temperature of 25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for 1 hour, and then a tensile tester at 300 mm / min The adhesive strength was measured at a peeling speed of 180 °. The adhesive strength of the condition (8) was obtained by cutting a temporary adhesive film to a size of 2.5 cm × 10 cm in width and length according to JIS Z 0237 using a silicone release agent (KS-3755, Shin-Etsu Chemical Co., Ltd.) was attached to a spin-coated silicon wafer (LG Siltron) with a thickness of 1 탆 with a 2 kg roller and stored at 25 ° C and 55% relative humidity for 1 hour and then at 200 ° C for 60 minutes After completion of the interheat treatment, 180 ° adhesive strength was measured at a peeling speed of 300 mm / min using a tensile tester.

만일 상기 접착강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경우 디바이스 웨이퍼가 박막/후면가공 공정 중에는 분리되거나 디바이스 웨이퍼와 제2 접착층 사이에 공극 등의 유격이 발생함에 따라 상기 공정을 수행할 수 없거나 진공, 고온의 공정에서 상기 공극이 수축팽창을 반복함에 따라 디바이스 웨이퍼가 깨지거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If the adhesive strength is not satisfied, the process can not be carried out as the device wafer is separated during the thin film / backside machining process or gap between the device waf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occurs, As the void repeats expansion and contraction, the device wafer may break or the reliability may deteriorat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스 웨이퍼(30)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여 제2 접착층(13)과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적층체의 단면도로써, 디바이스 웨이퍼(30)상, 바람직하게는 범프, 회로패턴 등을 포함하는 회로형성면에 보호층(40)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층(40)이 임시접합필름의 제2 접착층(13)과 대면하여 부착될 수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wafer 30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layer and may be attached to the second adhesive layer 13.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aminated bod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protective layer 40 is formed on a circuit-formed surface including a device wafer 30, preferably a bump, a circuit pattern, or the like The protective layer 40 may be adhered to the second adhesive layer 13 of the temporary bonding film.

상기 보호층(40)은 디바이스 웨이퍼(30)의 회로형성면에 형성된 패턴을 보호하고,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면/후면가공 공정 후 캐리어 웨이퍼(20) 및 임시접착 필름(10)을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 웨이퍼 상에 스핀코팅, 콤마코팅(comma coating), 리버스코팅, 그라비아코팅, 브레이드코팅, 실크스크린코팅 및 슬롯다이헤드코팅 중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호층은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막/후면 가공 종료 후 캐리어웨이퍼와 임시접착 필름을 분리한 후 세척 등을 통해 디바이스 웨이퍼에서 제거될 수 있다. The protective layer 40 protects the pattern formed on the circuit formation surface of the device wafer 30 and allows the carrier wafer 20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10 to be easily separated after the step of thinning / And may be formed on the device wafer by any one of a spin coating method, a comma coating method, a reverse coating method, a gravure coating method, a braid coating method, a silk screen coating method and a slot die head coating method. Such a protective layer can be removed from the device wafer by, for example, cleaning after separating the carrier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fter completion of thin film / back surface processing of the device wafer.

상기 보호층(40)은 경화형 실리콘 수지, 경화형 불소계 수지, 알코올계, 왁스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용매 부가형 수지, 용매 축합형 수지, 무용매 부가형 수지, 무용매 축합형 수지 등의 경화 반응형 수지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디바이스 웨이퍼와의 상용성 및 범프에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경화형 실리콘 수지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The protective layer 40 may include a curing type silicone resin, a curing type fluorine type resin, an alcohol type, a wax type and the like. The curing type resin such as a solvent addition type resin, a solvent condensation type resin, a no solvent type addition type resin, Type resin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It is preferable to use a curable silicone resin which can minimize the compatibility with the device wafer and the influence on the bumps.

상기 보호층(40)에는 경화형 실리콘 수지 외에 경화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경화제의 함량은 전체 보호층(40) 조성 중 0.5 ~ 5.0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3.0중량%이 포함될 수 있다. 경화제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미경화에 의해 디바이스 웨이퍼(30) 회로형성면의 패턴상에 실리콘 전사가 발생하는 문제가 초래될 수 있으며, 경화제의 함량이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경화 속도의 제어가 어려워 보호층(40) 조성액의 가사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40) 조성 중에는 용매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용매는 수계 또는 유기계 용매의 사용이 가능하나,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protective layer 40 may further include a curing agent in addition to the curable silicone resin. The content of the curing agent is preferably 0.5-5.0 wt%, more preferably 1.0-3.0 wt% of the total composition of the protective layer (40). If the content of the curing agent is less than 0.5% by weight, there may arise a problem that silicone transfer occurs on the pattern on the surface of the device wafer 30 due to uncured curing. When the content of the curing agent exceeds 5.0% by weight, The control of the curing rate is difficult, and the pot life of the liquid of the protective layer 40 can be shortened. The composition of the protective layer 40 may include a solvent. The solvent may be an aqueous or organic solvent,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는 (1) 본 발명에 따른 임시접착필름에 포함된 제1 접착층상에 캐리어 웨이퍼가 대면하도록 접착하고, 상기 임시접착필름에 포함된 제2 접착층상에 디바이스 웨이퍼가 대면하도록 접착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적층체의 어느 일단부에서 임시접착필름과 디바이스 웨이퍼 경계면을 컷팅하는 단계; 및 (3) 상기 컷팅된 적층체의 일단부에서 캐리어 웨이퍼 및 임시접착필름을 일정각도로 이격시켜 상기 적층체에서 캐리어 웨이퍼 및 임시접착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디바이스 웨이퍼가 적층체에서 분리된다.
The lamin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manufactured by (1) adhering a carrier wafer on a first adhesive layer included in a temporary adhesiv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 as to face the device wafer on a second adhesive layer included i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To form a laminate; (2) cutting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nd the device wafer interface at either end of the laminate; And (3) removing the carrier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from the laminated body by separating the carrier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one end of the cut laminated body so that the device wafer is separated from the laminate do.

먼저 (1)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First, the step (1) will be described.

상기 (1) 단계는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로써, 본 발명에 따른 임시접착필름(10)에 디바이스 웨이퍼(30)와 캐리어 웨이퍼(20)를 부착시키는 단계이다. The step (1) is a step of attaching the device wafer 30 and the carrier wafer 20 to the temporary adhesive film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캐리어 웨이퍼(20)와 디바이스 웨이퍼(30)를 임시접착 필름(10)에 접착 시키는 순서는 제한이 없으며, 동시에 접착시키거나 어느 한 층을 먼저 접착하고 나머지 한 층을 접착시킬 수 있다.The order of bonding the carrier wafer 20 and the device wafer 30 to the temporary adhesive film 10 is not limited and may be bonded at the same time or one of the layers may be bonded first and the other layer may be bonded.

바람직하게는 임시접착 필름(10)의 제1 접착층(11)에 캐리어 웨이퍼(20)를 접합시킨 후, 임시접착 필름(10)의 제2 접착층(13)에 디바이스 웨이퍼(30)를 접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접합 이후에 접착시키기 위한 공정은 기포에 의한 디바이스 웨이퍼의 불량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진공감압 하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바이스 웨이퍼 상에 형성된 범프와 임시접착필름(10) 사이의 공극의 발생을 최소화 하기 위해 50 ~ 200℃, 바람직하게는 100 ~ 150℃에서 1 ~ 10분,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5분간 열 및/또는 50 ~ 5000kgf의 압력을 가해 수행될 수 있으며, 이때 진공도는 10 torr ~ 10-3 torr, 바람직하게는 1 torr ~ 10-2 torr에서 수행될 수 있다. The device wafer 30 may be bonded to the second adhesive layer 13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10 after the carrier wafer 20 is bonded to the first adhesive layer 11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10 And the process for bonding after the bonding is preferably performed under vacuum decompression in order to prevent defects of the device wafer by bubbles in advance. In order to minimize the occurrence of voids between the bump formed on the device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10, the temperature is preferably from 50 to 200 DEG C, preferably from 100 to 150 DEG C for from 1 to 10 minutes, more preferably from 2 to 5 minutes Heat and / or a pressure of 50 to 5000 kgf, with a degree of vacuum of 10 torr to 10 -3 torr, preferably 1 torr to 10 -2 tor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바이스 웨이퍼(30)는 회로형성면에 보호층(도 3의 40)이 형성된 디바이스 웨이퍼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임시접착필름(10)의 제2 접착층(13)에 상기 보호층(40)이 접합되어 상술한 적층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wafer 30 may be a device wafer on which a protective layer (40 in FIG. 3) is formed on the circuit formation surface, in which case the second adhesive layer 13 may be bonded to the protective layer 40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lamination process.

다음으로 상기 (1) 단계 후에 상기 적층체에 포함된 디바이스 웨이퍼(30)는 (a) 임시접착필름과 대면하지 않는 디바이스 웨이퍼의 다른 일면을 박막처리 하는 단계; 및 (b) 상기 박막처리된 면에 후면가공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Next, after step (1), the device wafer 30 included in the laminate includes: (a) thinning the other surface of the device wafer not facing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nd (b) performing back-processing on the thin-film-processed surface.

상기 (a) 단계의 박막처리는 통상적인 연삭가공일 수 있으며, 공지에 의한 연삭 방식 및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연삭은 웨이퍼와 숫돌(다이아 몬드 등)에 물을 공급하여 냉각시키면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thin film treatment in the step (a) may be a conventional grinding process, and a known grinding method and apparatus may be used. The grinding is preferably performed while supplying water to the wafer and the grindstone (diamond or the like) and cooling it.

상기 (b) 단계는 박막처리된 디바이스 웨이퍼의 후면에 가공을 하는 단계로 웨이퍼 레벨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가공이 포함되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극 형성, 금속 배선 형성, 보호막 형성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극 등의 형성을 위한 금속 스퍼터링, 금속 스퍼터링층을 에칭하는 습식 에칭, 금속 배선 형성의 마스크로 만들기 위한 레지스트의 도포, 노광, 및 현상에 의한 패턴의 형성, 레지스트의 박리, 건식 에칭, 금속 도금의 형성, TSV 형성을 위한 실리콘 에칭, 실리콘 표면의 산화막 형성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은 종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The step (b) may be performed with various processes used at the wafer level as a step of processing the back surface of the thin film processed device wafer. Specifically, electrode formation, metal wiring formation, and protective film formation can be carried out. More specifically, metal sputtering for formation of electrodes and the like, wet etching for etching metal sputtering layer, Forming a pattern by exposure, development, peeling of a resist, dry etching, formation of metal plating, silicon etching for TSV formation, formation of an oxide film on a silicon surface, and the like. As a specific method for this, conventionally known methods can be used.

다음으로 (2) 단계로써 (2) 상기 적층체의 어느 일단부에서 임시접착필름과 디바이스 웨이퍼 경계면을 컷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nd (2) a step (2) of cutting the interface betwee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nd the device wafer at one end of the laminate.

구체적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써, 적층체의 일단부에서 임시접착필름(10)과 디바이스 웨이퍼 경계면(30)사이에 컷팅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컷팅의 방법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 웨이퍼에 영향이 없는 방법이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paration proc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seen that the adhesive is cut betwee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10 and the device wafer interface 30 at one end of the laminate. The cutting method can be performed by a conventional method and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the method does not affect the device wafer.

다음은 (3)단계로써, 컷팅된 적층체의 일단부에서 캐리어 웨이퍼(20) 및 임시접착필름(10)을 일정각도로 이격시켜 상기 적층체에서 캐리어 웨이퍼 및 임시접착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Next, in step (3), a step of removing the carrier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from the laminated body by separating the carrier wafer 20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10 from one end of the cut laminated body at a predetermined angle do.

상기 일정각도 및 이격을 시키는 구체적인 방법은 디바이스 웨이퍼에 영향이 없는 한도에서 제한 없이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고, 지그, 테이프 부착을 통한 필오프 등 통상적인 방법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The specific angle and spacing can be changed without limitation to the extent that there is no influence on the device wafer, and can be separated by a conventional method such as peeling through jig or tape attachment.

구체적으로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써, 도 4와 같이 적층체의 어느 한쪽 끝에 포함된 캐리어 웨이퍼(20) 및 임시접착필름(10)을 디바이스 웨이퍼(30)에 대해 P 방향에서 P'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들어올려 도 5와 같이 제거할 수 있다.4 and 5 are schematic views illustrating a separation proc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a carrier wafer 20 and a temporary adhesive film 10, which are included in one end of a laminate, 5 'from the P direction to the P' direction and can be removed as shown in FIG. 5.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분리공정을 나타내는 모식도로써, 만일 디바이스 웨이퍼(30)의 회로형성면상에 보호층(40)을 포함하고 있는 경우 캐리어 웨이퍼(20) 및 임시접착필름(10)을 보호필름(40) 및 디바이스 웨이퍼(30)에 대해 Q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지속적으로 들어올려 제거할 수 있다.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eparation proces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rotective layer 40 is formed on the circuit formation surface of the device wafer 30, the carrier wafer 20 and the temporary adhesion The film 10 can be continuously lifted and removed at a constant angle in the Q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rotective film 40 and the device wafer 30.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more specifically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examples. However, the following exampl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be construe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실시예 1> &Lt; Example 1 >

하기의 디바이스 웨이퍼용 접착 조성물을 공극 직경이 0.6㎛인 캡슐필터를 이용하여 필터링 후, 코로나(Corona)로 양면 표면조도 처리된 두께가 25㎛인 폴리이미드 필름(LN Grade, SKC Kolon PI Corporation) 일면에 콤마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하고, 150℃와 220℃에서 각각 5분간 건조한 후, 두께가 38㎛인 불소 이형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보호 필름(SRF-T38-1L, Zerontec Co., Ltd.)을 라미네이션(lamination)하여, 톨루엔 및 미반응 실리콘 모노머가 제거된 두께 50㎛의 디바이스 접착제(제2 접착층)가 코팅된 1차 임시접착필름을 얻었다.The following adhesive composition for a device wafer was filtered using a capsule filter having a pore diameter of 0.6 占 퐉, and then a polyimide film (LN Grade, SKC Kolon PI Corporation) having a thickness of 25 占 퐉 on both surfaces of which was corona- Coated with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rotective film (SRF-T38-1L, manufactured by Zerontec Co., Ltd.) having a thickness of 38 mu m and then coated with a comma coater and dried at 150 DEG C and 220 DEG C for 5 minutes, ) Was laminated to obtain a first temporary adherent film coated with a device adhesive (second adhesive layer) having a thickness of 50 mu m from which toluene and unreacted silicone monomers had been removed.

이후 하기의 캐리어 웨이퍼용 접착 조성물을 공극 직경이 0.6㎛인 캡슐필터를 이용하여 필터링 후, 상기 폴리이미드 필름의 타면에 콤마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하고, 120℃와 150℃에서 각각 5분간 건조한 후, 두께가 38㎛인 불소 이형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보호 필름(SRF-T38-1L, Zerontec Co., Ltd.)을 라미네이션(lamination)하여, 톨루엔 및 미반응 실리콘 모노머가 제거된 캐리어 접착제(제1 접착층) 7.5㎛의 두께로 코팅된 2차 임시접착필름을 얻었다. 2차 임시접착필름을 이후 60℃로 고정된 오븐 (Oven)에서 12시간 동안 숙성하여 두께 84.5㎛의 표 1과 같은 임시접착필름을 제조하였다.
Then, the following adhesive composition for a carrier wafer was filtered using a capsule filter having a pore diameter of 0.6 탆, coat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olyimide film using a comma coater, dried at 120 캜 and 150 캜 for 5 minutes, (SRF-T38-1L, Zerontec Co., Ltd.) laminated with a fluorine release-trea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rotective film having a thickness of 38 탆 was coated with a toluene and unreacted silicone monomer- First adhesive layer) to obtain a second temporary adhesive film coated to a thickness of 7.5 mu m. The secondary temporary adhesive film was then aged for 12 hours in an oven fixed at 60 占 폚 to prepare a temporary adhesive film as shown in Table 1 having a thickness of 84.5 占 퐉.

(1) 디바이스 웨이퍼용 접착 조성물      (1) Adhesive composition for device wafer

열경화성 실리콘 접착제(DC-7657, 다우코닝) 100중량부에 대해 용매로 톨루엔(Toluene)을 100중량부 투입한 후 교반기를 사용하여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실리콘 접착제 100 중량부에 대해 가교제(SO-7678, 다우코닝)를 1.204 중량부를 투입한 후 2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했다. 이후, 경화 촉매로 백금촉매(NC-25, 다우코닝)를 실리콘 접착제 100 중량부에 대해 0.82 중량부 투입하고 2시간 동안 상온에서 재교반하여 디바이스 웨이퍼용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00 parts by weight of toluene (Toluene) as a solvent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a thermosetting silicone adhesive (DC-7657, Dow Corning), followed by mixing using a stirrer. 1.204 parts by weight of a crosslinking agent (SO-7678, Dow Corning)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one adhesive, followed by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Thereafter, 0.82 part by weight of a platinum catalyst (NC-25, Dow Corning)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one adhesive as a curing catalyst and re-crosslinked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to prepare a bonding composition for a device wafer.

(2) 캐리어 웨이퍼용 접착 조성물(2) Adhesive composition for carrier wafer

열경화성 실리콘 접착제(DC-7660, 다우코닝) 100 중량부에 대해 용매로 톨루엔(Toluene)을 100 중량부 투입한 후 교반기를 사용하여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실리콘 접착제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가교제(SO-7028, 다우코닝)를 1.204 중량부를 투입한 후 2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했다. 이후, 경화 촉매로 백금촉매(NC-25, 다우코닝)를 실리콘 접착제 100 중량부에 대해 0.82 중량부 투입하고 2시간 동안 상온에서 재교반하여 캐리어 웨이퍼용 접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00 parts by weight of toluene (Toluene) as a solvent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a thermosetting silicone adhesive (DC-7660, Dow Corning), followed by mixing using a stirrer. 1.204 parts by weight of a crosslinking agent (SO-7028, Dow Corning) was added to the mixtur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one adhesive, followed by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Thereafter, 0.82 part by weight of a platinum catalyst (NC-25, Dow Corning) was added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ilicone adhesive as a curing catalyst and re-crosslinked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to prepare a bonding composition for a carrier wafer.

<실시예 2 ~ 15> &Lt; Examples 2 to 15 >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제1 접착층, 코어층, 제2 접착층의 두께를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하여 임시접착필름을 제조하였다.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cor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were changed as shown in Table 1 to prepare a temporary adhesive film.

<비교예 1 ~ 4>&Lt; Comparative Examples 1 to 4 >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제1 접착층, 코어층, 제2 접착층의 두께를 하기 표 1과 같이 변경하여 임시접착필름을 제조하였다.
The thicknesse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cor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were changed as shown in Table 1 to prepare a temporary adhesive film.

<비교예 5>&Lt; Comparative Example 5 &

비닐 관능성 실리콘 수지 71중량%와 Si-H 관능성 폴리디메틸실록산 29중량%을 혼합한 후,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해 메시틸렌을 150중량부로 처리하여 2시간 동안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이후 상기 혼합용액에 백금 아세틸아세토네이트 20ppm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여 임시 접착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After mixing 71% by weight of the vinyl functional silicone resin and 29% by weight of the Si-H functional polydimethylsiloxane, 100 parts by weight of the mixture was treated with 150 parts by weight of mesitylene and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Then, 20 ppm of platinum acetylacetonate was added to the mixed solution, and the mixture was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2 hours to prepare a temporary adhesive composition.

<실험예 1><Experimental Example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 4를 통해 제조된 임시접착필름에 대해 하기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The following properties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s prepared through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s 1 and 2 below.

1. 조건 (1) ~ (5) 만족여부 평가1. Evaluate the satisfaction of the conditions (1) to (5)

제조된 임시접착필름의 제1 접착층, 코어층, 제2 접착층에 대해 하기의 조건을 만족하는지 평가하였다. 만족하는 경우 ○,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로 나타내었다.The first adhesive layer, the cor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of the prepared temporary adhesive film were evaluated to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And when it is not satisfied, it is indicated by X.

(1) [관계식 1](1) [Relation 1]

Figure 112014030344890-pat00010
Figure 112014030344890-pat00010

(2) [관계식 2](2) [Relation 2]

Figure 112014030344890-pat00011
Figure 112014030344890-pat00011

(3) [관계식 3] (3) [Relation 3]

Figure 112014030344890-pat00012
Figure 112014030344890-pat00012

(4) 제2 접착층의 두께 48 ~ 70㎛(4)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48 to 70 탆

(5) [관계식 4] (5) [Relational expression 4]

Figure 112014030344890-pat00013

Figure 112014030344890-pat00013

2. 층간 접착강도 측정2. Interlayer adhesion strength measurement

* 제1 접착층 및 코어층간 접착강도 측정* Measurement of adhesive strength between first adhesive layer and core layer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1 접착층 면을 SUS 304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 mm/min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했다. A temporary adhesive film was cut in a size of 2.5 cm × 10 cm in width and length according to JIS Z 0237,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side of the specimen was attached to a SUS 304 with a 2 kg roller, and a temperature of 25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and then measured for 180 ° adhesive strength at a peeling speed of 300 mm / min using a tensile tester.

또한,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1 접착층 면을 SUS 304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다시 200℃ 로 60분간 간 열처리 종료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mm/mim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했다.
In addition, a test piece cut into a size of 2.5 cm x 10 cm in width and length was adhered to a first adhesive layer side of a specimen by SUS 304 with a 2 kg roller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and a temperature of 25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After storage for 1 hour in a humid condition and then heat treatment at 200 ° C for 60 minutes, a 180 ° adhesive strength was measured at a peeling speed of 300 mm / mim using a tensile tester.

* 제2 접착층 및 코어층간 접착강도 측정* Measurement of adhesive strength between second adhesive layer and core layer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2 접착층 면을 SUS 304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 mm/min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했다.The temporary adhesive film was cut in a size of 2.5 cm × 10 cm in width and length,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side of the specimen was attached to SUS 304 using a roller of 2 kg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and a temperature of 25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At room temperature for 1 hour, and then measured for 180 ° adhesive strength at a peeling speed of 300 mm / min using a tensile tester.

또한,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2 접착층 면을 SUS 304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다시 200℃ 로 60분간 간 열처리 종료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mm/mim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했다.
In addition, a temporary adhesive film cut into a size of 2.5 cm × 10 cm in length and width was adhered to a second adhesive layer side of a specimen by SUS 304 with a 2 kg roller according to JIS Z 0237, and a temperature of 25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After storage for 1 hour in a humid condition and then heat treatment at 200 ° C for 60 minutes, a 180 ° adhesive strength was measured at a peeling speed of 300 mm / mim using a tensile tester.

<실험예 2><Experimental Example 2>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임시접착필름에 대해 하기의 물성을 측정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The following properties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s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 1.

1. 캐리어 웨이퍼와 임시접착필름의 접착강도 측정1. Measurement of bond strength between carrier wafer and temporary adhesive film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1 접착층 면을 어떠한 표면 처리도 이루어지지 않은 실리콘 웨이퍼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 mm/min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했다.A sample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of the specimen was attached to a silicon wafer which had not been subjected to any surface treatment with a roller of 2 kg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and the adhered adhesive film was cut at a size of 2.5 cm x 10 cm And 55% relative humidity for 1 hour and then measured at a 180 ° adhesive strength at a peeling rate of 300 mm / min using a tensile tester.

또한,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1 접착층 면을 어떠한 표면 처리도 이루어지지 않은 실리콘 웨이퍼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다시 200℃ 로 60분간 간 열처리 종료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mm/mim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했다.
In addition, a temporary adhesive film cut into a size of 2.5 cm x 10 cm in width and length was attached to a silicon wafer on which no surface treatment was performed with a 2 kg roller according to JIS Z 0237,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for 1 hour, and after the completion of heat treatment for 60 minutes at 200 DEG C, a 180 DEG adhesive strength was measured at a peeling speed of 300 mm / mim using a tensile tester.

2. 디바이스 웨이퍼와 임시접착필름의 접착강도 측정2. Measurement of adhesion strength between device wafer and temporary adhesive film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2 접착층 면을 실리콘 이형제(KS-3755, Shin-Etsu Chemical Co., Ltd.)가 1㎛두께로 스핀 코팅된 실리콘 웨이퍼(LG Siltron)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 mm/min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했다.A test piece cut into a size of 2.5 cm x 10 cm in length and width was adhered to a second adhesive layer side of a specimen according to JIS Z 0237 with a silicone release agent (KS-3755, Shin-Etsu Chemical Co., Ltd.) (LG Siltron) with a roller of 2 kg and stored for 1 hour at a temperature of 25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and then measured at a peeling rate of 300 mm / min using a tensile tester at 180 ° The adhesive strength was measured.

또한, 측정 2의 방법은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2 접착층 면을 실리콘 이형제 (KS-3755, Shin-Etsu Chemical Co., Ltd.)가 1㎛두께로 스핀 코팅된 실리콘 웨이퍼(LG Siltron)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다시 200℃ 로 60분간 간 열처리 종료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mm/mim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했다.
In the measurement method 2, the temporary adhesive film was cut into a size of 2.5 cm × 10 cm in length and the surface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of the specimen was treated with a silicone release agent (KS-3755, Shin-Etsu Chemical Co.)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 LTD.) Was attached to a spin-coated silicon wafer (LG Siltron) having a thickness of 1 탆 with 2 kg of rollers and stored for 1 hour at a temperature of 25 캜 and 55% relative humidity, followed by heat treatment at 200 캜 for 60 minutes After completion, the adhesive strength at 180 ° was measured at a peeling speed of 300 mm / min using a tensile tester.

<실험예 3><Experimental Example 3>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 ~ 4를 통해 제조된 임시접착필름의 제1 접착층에 대면하도록 12인치 캐리어 웨이퍼(LG Siltron)를 접합시키고, 임시접착필름의 제2 접착층에 대면하도록 평균 높이 15um (15±2um)의 범프 (볼상) 전극이 100um 피치의 격자상 배치로 1칩당 1369개(37개 × 37개 = 1369개) 설치된 디바이스 웨이퍼(직경 : 300mm, 두께 : 725um, 칩 형상 : 10mm × 10mm의 정방형, 웨이퍼의 전체면에 걸쳐서 칩 패턴이 형성됨) 를 접합시킨 후, 0.5 torr진공하에서 150℃, 500kgf로 5분간 열 및 압력을 가해 적층체를 제조하고. 적층체에 대해 하기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A 12-inch carrier wafer (LG Siltron) was bonded so as to face the first adhesive layer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prepared in the abo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and an average height of 15 um (15 mm) to face the second adhesive layer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Diameter: 300 mm, thickness: 725 μm, chip shape: 10 mm × 10 mm) in which bump electrodes of ± 2 μm were arranged in a lattice arrangement of 100 μm pitch in each chip Square and a chip pattern was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wafer), and then heat and pressure were applied at 150 DEG C and 500 kgf for 5 minutes under 0.5 torr vacuum to produce a laminate. The following physical properties of the laminate were measured and shown in Tables 1 and 2 below.

이때, 상기 디바이스 웨이퍼는 회로 형성면에 실리콘 이형제 (KS-3755, Shin-Etsu Chemical Co., Ltd.)를 톨루엔 (Toluene)에 희석한 후 1um의 두께로 보호층이 스핀코팅된 디바이스 웨이퍼를 사용하였다.
The device wafer was prepared by diluting a silicone release agent (KS-3755, Shin-Etsu Chemical Co., Ltd.) with toluene on a circuit formation surface and then using a device wafer having a protective layer spin- Respectively.

한편, 비교예 5를 통해 제조된 임시접착용 조성물의 경우, 평균 높이 15um (15±2um)의 범프 (볼상) 전극이 100um 피치의 격자상 배치로 1칩당 1369개(37개 × 37개 = 1369개) 설치된 디바이스 웨이퍼(직경 : 300mm, 두께 : 725um, 칩 형상 : 10mm × 10mm의 정방형, 웨이퍼의 전체면에 걸쳐서 칩 패턴이 형성됨)에 비교예 5의 임시접착용 조성물을 스핀코팅 시킨 후 웨이퍼를 소프트 베이킹시켜 잔류 메시틸렌 용매를 제거했다. 이때 스핀코팅에 소요된 시간은 1매 코팅시 약 60초가 소요되었다. 소프트 베이킹 조건은 150℃ 고정된 Hot Plate에서 5분간 진행되었다. 이어서, 용매가 제거된 임시접착용 조성물 상에 캐리어 웨이퍼(LG Siltron)를 진공챔버에서 120℃에서 2분간 접합시켜 접합된 적층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적층체는 비교예 5의 임시접착용 조성물의 하드 베이킹을 위해 200℃에서 10분 동안 경화시켜 임시접착용 조성물의 경화가 완료된 적층체를 제조하였고, 이 적층체에 대해 하기 물성 중 3번 항목을 제외하고 나머지 물성을 측정하여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temporary adhering composition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5, a bump electrode having an average height of 15 μm (15 ± 2 μm) was arranged in a lattice arrangement of 100 μm pitch and 1369 pieces per chip (37 × 37 = 1369 ) Was spin-coated on the temporary adherend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5 to a device wafer (diameter: 300 mm, thickness: 725 μm, chip shape: square of 10 mm × 10 mm, chip pattern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wafer) And the residual mesitylene solvent was removed by soft baking. The time required for spin coating was about 60 seconds per coating. The soft baking conditions were carried out for 5 minutes at 150 ° C fixed hot plate. Subsequently, a carrier wafer (LG Siltron) was bonded in a vacuum chamber at 120 ° C for 2 minutes on the temporary adhesive composition from which the solvent had been removed to prepare a laminated body. The obtained laminate was cured at 200 ° C for 10 minutes for hard baking of the temporary adhering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5 to prepare a laminate in which curing of the temporary adhering composition was completed. The remaining properties are shown in Tables 1 and 2 except for the items.

1. 밀착성 평가1. Adhesion evaluation

디바이스 웨이퍼와 임시접착필름의 계면의 접착 상황을 육안 및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보이드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우수), 보이드가 1 ~ 3개 인 경우를 △(양호)로 평가하고, 4개 이상이 발생한 경우를 △(보통), ×(불량)로 평가하였다.
The state of adhesion between the interface between the device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was observed with a naked eye and an optical microscope. The case where voids were not generated was evaluated as? (Excellent), the case where voids were 1 to 3 was evaluated as? (Good) (Abnormal) was evaluated as? (Normal) and? (Defective).

2. 내연삭성2. Resistance to abrasion

적층체의 디바이스 웨이퍼 이면을 백 사이드 그라인더 (디스코사제 DFG850)를 사용하여, 적층체의 디바이스 웨이퍼 이면측을 연삭함으로써, 해당 적층체의 디바이스 웨이퍼 두께를 50um로 마무리한 후, 육안 및 광학 현미경으로 외관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우수), 디바이스 웨이퍼가 깨지거나 임시접착필름이 박리되는 등의 이상이 발생한 경우를 △(보통), ×(불량)로 평가하였다.
The back surface of the device wafer of the laminate was ground by using a backside grinder (DFG850, manufactured by DISCO Corporation), and the back surface of the device wafer of the laminate was ground to a thickness of 50 mu m. . (Good), a case where the device wafer was broken or an adhering adhesive film was peeled off was evaluated as? (Normal) and? (Poor).

3. 임시접착필름 코어층 형상 내변형성3. Deformation resistance of temporary adhesive film core layer shape

적층체에 포함된 코어층의 형상을 육안 및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코어층의 형상이 주름지거나 변형 되는 등 이상이 없는 경우를 ○(우수), 이상이 발생한 경우를 △(보통), ×(불량)로 평가하였다.
The shape of the core layer included in the laminate was observed with a naked eye and an optical microscope to determine whether the shape of the core layer was corrugated or deformed by o (excellent) ).

4. 내열성4. Heat resistance

적층체를 질소 분위기 하의 250℃ 오븐에 1시간 동안 넣고, 냉각한 후 육안 및 광학 현미경으로 외관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우수)로 평가하고, 이상이 발생한 경우를 △(보통), ×(불량)로 평가하였다.
The laminate was placed in an oven at 250 ° C under a nitrogen atmosphere for 1 hour, cooled, and visually inspected by naked eyes and an optical microscope. The case where the abnormality did not occur was evaluated as O (excellent), and the case where the abnormality occurred was evaluated as DELTA (normal) and X (defective).

5. 내화학성5. Chemical resistance

적층체를 70중량% 황산 수용액, 70중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및 TMF가 각각 담겨 있는 통에 2시간 함침시킨 후 육안 및 광학 현미경으로 외관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우수)로 평가하고, 이상이 발생한 경우를 △(보통), ×(불량)로 평가하였다.
The laminate was impregnated in a container containing 70 wt% aqueous sulfuric acid solution, 70 wt% aqueous sodium hydroxide solution and TMF for 2 hours, and visually inspected by visual observation and optical microscope. The case where the abnormality did not occur was evaluated as O (excellent), and the case where the abnormality occurred was evaluated as DELTA (normal) and X (defective).

6. 박리성6. Peelability

적층체 일단부에서 임시접착필름과 디바이스 웨이퍼 계면을 칼로 컷팅하고, 캐리어 웨이퍼와 임시접착필름을 핀셋으로 들어올렸다. 이후 육안 및 광학 현미경으로 외관검사를 실시하여 디바이스 웨이퍼가 깨지거나 금 가는 등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우수)로 평가하고, 이상이 발생한 경우를 △(보통), ×(불량)로 평가하였다.
At the one end of the laminate,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nd the device wafer interface were cut with a knife, and the carrier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were lifted with tweezers. Thereafter, visual inspection was performed by naked eye and an optical microscope, and when the device wafer was not cracked or cracked, no abnormality was evaluated as O (excellent), and when the abnormality occurred, it was evaluated as DELTA (normal) and X .

7. 캐리어웨이퍼 재사용성7. Carrier Wafer Reusability

임시접착필름과 디바이스 웨이퍼의 적층체 단부 끝 계면을 칼로 컷팅하고 캐리어 웨이퍼를 들어올렸다. 이후 육안으로 외관검사를 실시하여 캐리어 웨이퍼가 깨지거나 금 가는 등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 ○(우수)로 평가하고, 이상이 발생한 경우를 △(보통), ×(불량)로 평가하였다.
The interface betwee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nd the device wafer was cut by a knife and the carrier wafer was lifted. Thereafter, visual inspection was carried out to see if the carrier wafer was cracked, cracked or the like was not generated, and the case where the abnormality occurred was evaluated as? (Normal) and? (Defective).

8. 장비호환성8. Equipment compatibility

디바이스 웨이퍼의 후면 가공에 사용되는 디스코사제 DFG850과의 장비호환성을 평가하여 장비 호환성에 문제가 없는 경우 ○(우수)로 평가하고, 문제가 발생한 경우를 △(보통), ×(불량)로 평가하였다.
The apparatus compatibility with the DFG850 manufactured by DISCO Co., Ltd., which is used for the backside processing of the device wafer, was evaluated. When there was no problem in equipment compatibility, the evaluation was made as O (excellent), and the case where the problem occurred was rated as DELTA (normal) .

9. 시간당 적층체의 생산량(UPH) 평가9. Evaluation of the UPH of the laminate per hour

적층체를 제조하기 위한 캐리어 및 디바이스 웨이퍼의 준비단계에서 접합체의 제작이 완료되기까지 걸린 시간을 스탑워치로 측정하였다. 이 때, 적층 장비는 TSV Temporary Wafer Bonding System (Kostek System Incorporation)으로 테스트하였다. 또한, 1시간 동안 적층체 제작 테스트를 진행하여 시간당 몇 장의 적층체가 제조될 수 있는지 테스트하였다.
The time taken to complete the fabrication of the bonded body in the preparation stage of the carrier and device wafers for producing the laminate was measured with a stopwatch. At this time, the laminated equipment was tested with TSV Temporary Wafer Bonding System (Kostek System Incorporation). Further, the laminate production test was carried out for one hour, and it was tested whether a number of laminate materials could be produced per hour.

실시예1Example 1 실시예 2Example 2 실시예 3Example 3 실시예 4Example 4 실시예 5Example 5 실시예 6Example 6 실시예 7Example 7 실시예 8Example 8 실시예 9Example 9 실시예 10Example 10 aa 7.57.5 55 55 55 9.59.5 55 7.57.5 7.57.5 7.57.5 7.57.5 bb 2525 2525 12.512.5 1515 2525 2525 5050 6060 6060 87.587.5 cc 5050 5050 5050 5050 5050 6565 5050 5050 7070 5050 총두께Total thickness 82.582.5 8080 67.567.5 7070 84.584.5 9595 107.5107.5 117.5117.5 137.5137.5 145145 조건1Condition 1 29.9529.95 29.3729.37 24.7824.78 25.725.7 30.4230.42 32.8432.84 39.0339.03 42.6642.66 46.3446.34 52.6552.65 조건 2Condition 2 38.3138.31 43.8643.86 36.5536.55 38.0138.01 35.4135.41 52.6352.63 51.0851.08 56.1956.19 66.4166.41 70.2470.24 조건3Condition 3 1.211.21 1.781.78 1.641.64 1.671.67 0.960.96 1.941.94 1.381.38 1.441.44 1.561.56 1.61.6 조건 4Condition 4 5050 5050 5050 5050 5050 6565 5050 5050 7070 5050 조건5Condition 5 ×× ×× ×× ×× ×× ×× 32.532.5 3030 42.542.5 4040 34.534.5 4545 7.57.5 -2.5-2.5 17.517.5 -30-30 접착강도(gf/25mm)Adhesive strength (gf / 25mm) A1A1 7676 6262 5454 6060 143143 6565 8484 9191 9595 116116 A2A2 143143 114114 110110 133133 300300 147147 193193 207207 216216 258258 B1B1 4.34.3 4.24.2 3.63.6 3.93.9 4.34.3 8.58.5 3.93.9 4.04.0 8.88.8 6.96.9 B2B2 15.115.1 15.815.8 14.914.9 15.415.4 16.216.2 27.327.3 14.714.7 16.016.0 28.228.2 21.321.3 밀착성Adhesiveness 접착강도(gf/25mm)Adhesive strength (gf / 25mm) C1C1 6767 6161 5656 6262 158158 5858 9191 9999 101101 129129 C2C2 131131 129129 113113 131131 305305 141141 206206 227227 226226 277277 D1D1 3.43.4 3.73.7 3.73.7 3.63.6 4.14.1 8.18.1 3.63.6 4.14.1 8.78.7 6.56.5 D2D2 13.513.5 14.614.6 13.813.8 14.414.4 17.917.9 27.127.1 13.113.1 15.515.5 29.129.1 20.820.8 내연삭성Abrasion resistance 형상
내변형성
shape
My deformability
××
내열성Heat resistance 내화학성Chemical resistance 박리성Peelability ×× 캐리어웨이퍼 재사용성Carrier wafer reusability 장비호환성Equipment compatibility UPHUPH 2121 2121 2121 2121 2121 2121 2121 2121 2020 2020

실시예11Example 11 실시예12Example 12 실시예13Example 13 실시예14Example 14 실시예15Example 15 비교예1Comparative Example 1 비교예2Comparative Example 2 비교예3Comparative Example 3 비교예4Comparative Example 4 비교예5Comparative Example 5 aa 7.57.5 44 7.57.5 7.57.5 1212 7.57.5 1010 55 55 -- bb 1010 2525 2525 2525 2525 100100 9090 9090 1010 -- cc 5050 5050 4545 7575 5050 5050 7070 7070 4545 -- 총두께Total thickness 67.567.5 7979 77.577.5 107.5107.5 8787 157.5157.5 170170 165165 6060 6060 조건1Condition 1 ×× ×× ×× ×× -- 24.5124.51 29.1429.14 28.7928.79 35.6635.66 3131 57.1957.19 56.8456.84 56.0656.06 22.5622.56 -- 조건 2Condition 2 ×× ×× ×× ×× -- 30.6530.65 47.2447.24 35.7635.76 51.0851.08 32.7532.75 76.6376.63 74.2674.26 93.5693.56 24.5924.59 -- 조건3Condition 3 ×× ×× ×× -- 1.091.09 2.222.22 1.171.17 1.381.38 0.770.77 1.671.67 1.31.3 2.562.56 1.541.54 -- 조건 4Condition 4 ×× ×× ×× -- 5050 5050 4545 7575 5050 5050 7070 7070 4545 -- 조건5Condition 5 ×× ×× ×× ×× ×× ×× ×× -- 47.547.5 2929 27.527.5 57.557.5 3737 -42.5-42.5 -10-10 -15-15 4040 -- 접착강도(gf/25mm)Adhesive strength (gf / 25mm) A1A1 7171 4040 7676 7575 153153 121121 148148 8383 4343 -- A2A2 138138 8787 143143 142142 310310 304304 336336 161161 9999 -- B1B1 4.14.1 4.14.1 4.14.1 8.28.2 4.34.3 8.38.3 8.48.4 7.97.9 3.93.9 -- B2B2 14.914.9 15.415.4 16.616.6 26.526.5 16.216.2 26.726.7 27.927.9 26.526.5 12.812.8 -- 밀착성Adhesiveness ×× ×× ×× 접착강도(gf/25mm)Adhesive strength (gf / 25mm) C1C1 6969 3838 6666 6868 168168 111111 138138 7676 4141 -- C2C2 134134 7979 138138 137137 325325 293293 317317 153153 9494 -- D1D1 3.93.9 4.04.0 3.73.7 9.39.3 4.14.1 8.18.1 8.68.6 8.58.5 3.53.5 -- D2D2 13.413.4 14.614.6 14.214.2 30.330.3 17.917.9 26.526.5 28.428.4 28.628.6 10.210.2 -- 내연삭성Abrasion resistance ×× ×× ×× 형상
내변형성
shape
My deformability
×× ××
내열성Heat resistance 내화학성Chemical resistance 박리성Peelability ×× ×× ×× ×× 캐리어웨이퍼 재사용성Carrier wafer reusability ×× ×× 장비호환성Equipment compatibility ×× ×× ×× UPHUPH 2121 2121 2121 1919 2121 1919 1919 1919 2121 99

상기 표 1 및 2에서 a, b 및 c는 각각 제1 접착층, 코어층 및 제2 접착층을 의미한다. In Tables 1 and 2, a, b, and c indicate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cor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respectively.

또한, A1 및 A2는 임시접착필름의 제1접착층과 SUS 304 간의 접착강도이며, 이때 A1은 열처리 없이 측정된 결과이고, A2는 200℃로 열처리 후 측정강도이다. A1 and A2 are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nd SUS 304, wherein A1 is a measurement result without heat treatment and A2 is a measurement strength after heat treatment at 200 deg.

또한, B1 및 B2는 임시접착필름의 제2접착층과 SUS 304 간의 접착강도이며, 이때 B1은 열처리 없이 측정된 결과이고, B2는 200℃로 열처리 후 측정강도이다. B1 and B2 are the adhesive strength between the second adhesive layer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nd SUS 304, wherein B1 is the measurement result without heat treatment, and B2 is the measurement strength after heat treatment at 200 deg.

또한, C1 및 C2는 임시접착필름과 캐리어 웨이퍼 간의 접착강도이며, 이때, C1은 열처리 없이 측정된 결과이고, C2는 200℃로 열처리 후 측정강도이다.Also, C1 and C2 are the bonding strengths betwee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nd the carrier wafer, wherein C1 is the measurement result without heat treatment and C2 is the measurement strength after heat treatment at 200 deg.

또한, D1 및 D2는 임시접착필름과 디바이스 웨이퍼 간의 접착강도이며, 이때, D1은 열처리 없이 측정된 결과이고, D2는 200℃로 열처리 후 측정강도이다.
D1 and D2 are adhesion strengths betwee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nd the device wafer, wherein D1 is the measurement result without heat treatment, and D2 is the measurement strength after heat treatment at 200 deg.

구체적으로 상기 표 1 및 2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건 1을 만족하지 못하는 비교예 1 내지 5의 경우 실시예에 비해 밀착성에 있어 현저히 좋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고, 내연삭성에 있어서도 실시예에 비해 현저히 좋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비교예 1 내지 4의 경우 장비호환성도 매우 불량함을 확인할 수 있다.
Specifically, in Tables 1 and 2, Comparative Examples 1 to 5, which do not satisfy condition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ignificantly poor in adhesion as compared with the exampl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abrasion resistance, I can confirm that it is not good. Furthermor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equipment compatibility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4 is also very po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건 2를 만족하지 못하는 실시예 11의 경우 임시접착 필름의 코어층의 형상이 변형되는 이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본 발명에 따른 조건 3을 만족하지 못하는 실시예 12의 경우 실시예 1에 비해 내연삭성이 좋지 않고, 실시예 15의 경우 실시예 1에 비해 캐리어 웨이퍼의 재사용성이 현저히 불량함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Example 11 which does not satisfy Condition 2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hape of the core layer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is deformed, and in the case of Example 12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brasion resistance is not good a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reusability of the carrier wafer is remarkably poor a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건 4를 만족하지 못하는 실시예 13의 경우 내연삭성이 좋지 못하였으며, 실시예 14의 경우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리성이 불량함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Example 13, which did not satisfy condition 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brasion resistance was poor, and in Example 14, the peeling property of the device wafer was inferio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건 5를 만족하지 못하는 실시예 3은 임시접착필름의 코어층 형상에 변형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하였고, 실시예 6의 경우 디바이스 웨이퍼의 박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실시예 7, 8 및 10의 경우 실험 상 큰 문제점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임시접착 필름의 총 두께가 100㎛을 초과함에 따라 필름의 박형화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9의 경우 디바이스 웨이퍼와의 박리성이 불량한 문제가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조건 5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모든 물성에 있어 어느 하나라도 만족하지 못하는 필름이 제조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In addition, Example 3, which does not satisfy Condition 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oblem that the shape of the core layer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is deformed, and in Example 6, the peeling property of the device wafer is deteriorated. In Examples 7, 8 and 10, no great problem was found experimentally, but the total thickness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exceeds 100 mu m, which may be undesirable in view of thinning of the film. In addition, in the case of Example 9,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eleasability from the device wafer is poor, and when the condition 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satisfied, it can be confirmed that a film which can not satisfy any of the physical properties can be manufactured.

한편 필름 형태가 아닌 임시접착 조성물(비교예 5)을 디바이스 웨이퍼에 스핀코팅하여 적층체를 제조하는 경우 밀착성, 내연삭성 등의 물서에 있어서는 필름 형태의 실시예와 비교했을 때 유사한 물성을 보였으나 캐리어 웨이퍼 재사용성이 좋지 못하였고, 시간당 적층체의 생산량을 비교해 본 결과 실시예는 시간당 19 ~ 21개의 적층체를 제조하고 있으나 비교예 5는 시간당 9개의 적층체밖에 제조하지 못해 생산량에 있어 실시예의 필름형태가 모든 물성에서 우수함과 동시에 시간당 생산량에 있어서도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a temporary adhesive composition (Comparative Example 5), which is not a film type, was spin-coated on a device wafer to produce a laminate, the properties such as adhesiveness and abrasion resistance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film type embodiment Carrier wafer reusability was poor, and the production amount of the laminate per hour was compared. As a result, the example produced 19 ~ 21 laminate per hour, but in Comparative Example 5, only 9 laminate per hour could be manufactured,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film form is excellent in all physical properties and is remarkably excellent also in the production amount per hour.

Claims (20)

코어층;
상기 코어층의 일면에 형성된 캐리어 웨이퍼를 접착시키기 위한 제1 접착층; 및
상기 코어층의 타면에 형성된 디바이스 웨이퍼를 접착시키기 위한 제2 접착층;을 포함하며, 하기 관계식 1을 만족하는 반도체 웨이퍼용 임시접착필름.
[관계식 1]
Figure 112014030344890-pat00014
A core layer;
A first adhesive layer for adhering a carrier wafer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core layer; And
And a second adhesive layer for adhering a device wafer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core layer, wherei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satisfies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1).
[Relation 1]
Figure 112014030344890-pat000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접착필름의 총두께는 65 ~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반도체 웨이퍼용 임시접착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has a total thickness of 65 to 150 占 퐉.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접착필름은 하기 관계식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반도체 웨이퍼용 임시접착필름.
[관계식 2]
Figure 112014030344890-pat0001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satisfies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2): &quot; (2) &quot;
[Relation 2]
Figure 112014030344890-pat000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접착필름은 하기 관계식 3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반도체 웨이퍼용 임시접착필름.
[관계식 3]
Figure 112014030344890-pat00016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satisfies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3): &quot; (1) &quot;
[Relation 3]
Figure 112014030344890-pat0001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접착필름에 포함된 제2 접착층의 두께는 48 ~ 70㎛인 것을 특징으로 열경화성 반도체 웨이퍼용 임시접착필름.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adhesive layer included i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is 48 to 70 占 퐉.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의 두께는 5 ~ 10㎛이며, 코어층의 두께는 10 ~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반도체 웨이퍼용 임시접착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is 5 to 10 占 퐉 and the thickness of the core layer is 10 to 90 占 퐉.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의 두께는 20 ~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반도체 웨이퍼용 임시접착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core layer is 20 to 90 占 퐉.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접착필름은 하기 관계식 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반도체 웨이퍼용 임시접착필름.
[관계식 4]
Figure 112014030344890-pat00017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satisfies the following relational expression (4): &quot; (4) &quot;
[Relation 4]
Figure 112014030344890-pat000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 및 코어층은 하기 조건 (1),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반도체 웨이퍼용 임시접착필름.
(1) 하기의 측정방법 1로 측정된 접착강도가 50 ~ 200 gf/25mm임
(2) 하기의 측정방법 2로 측정된 접착강도가 100 ~ 300 gf/25mm임

* 접착강도 측정방법 1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1 접착층 면을 SUS 304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 mm/min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 접착강도 측정방법 2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1 접착층 면을 SUS 304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다시 200℃ 로 60분간 간 열처리 종료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mm/mim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core layer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1) and (2).
(1)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1 is 50 to 200 gf / 25 mm
(2)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2 is 100 to 300 gf / 25 mm

* Adhesive strength measurement method 1
A temporary adhesive film was cut in a size of 2.5 cm × 10 cm in width and length according to JIS Z 0237,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side of the specimen was attached to a SUS 304 with a 2 kg roller, and a temperature of 25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For 1 hour, and then measure the 180 ° adhesive strength at a peeling rate of 300 mm / min using a tensile tester.

* Adhesive strength measurement method 2
A temporary adhesive film was cut in a size of 2.5 cm × 10 cm in width and length according to JIS Z 0237,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side of the specimen was attached to a SUS 304 with a 2 kg roller, and a temperature of 25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For 1 hour and then heat-treated at 200 ° C for 60 minutes. Then, the adhesive strength at 180 ° is measured at a peeling speed of 300 mm / min using a tensile tes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 및 코어층은 하기 조건 (3), (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반도체 웨이퍼용 임시접착필름.
(3) 하기의 측정방법 3으로 측정된 접착강도가 2 ~ 10 gf/25mm임
(4) 하기의 측정방법 4로 측정된 접착강도가 5 ~ 25 gf/25mm임

* 접착강도 측정방법 3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2 접착층 면을 SUS 304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 mm/min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 접착강도 측정방법 4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2 접착층 면을 SUS 304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다시 200℃ 로 60분간 간 열처리 종료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mm/min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the core layer satisfy the following conditions (3) and (4).
(3)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3 is 2 to 10 gf / 25 mm
(4)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4 is 5 to 25 gf / 25 mm

* Adhesive strength measurement method 3
The temporary adhesive film was cut in a size of 2.5 cm × 10 cm in width and length,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side of the specimen was attached to SUS 304 using a roller of 2 kg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and a temperature of 25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For 1 hour, and then measure the 180 ° adhesive strength at a peeling rate of 300 mm / min using a tensile tester.

* Adhesive strength measurement method 4
The temporary adhesive film was cut in a size of 2.5 cm × 10 cm in width and length,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side of the specimen was attached to SUS 304 using a roller of 2 kg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and a temperature of 25 ° C. and a relative humidity of 55% And after the heat treatment is finished for 60 minutes at 200 ° C, the adhesive strength at 180 ° is measured at a peeling speed of 300 mm / min using a tensile test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은 실리콘계 접착바인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반도체 웨이퍼용 임시접착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comprise a silicone-based adhesive bin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etherketone, PEEK), 폴리에틸렌이민(polyethyleneimine, PEI), 폴리이미드(polyimide, PI) 및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경화성 반도체 웨이퍼용 임시접착필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re layer may be at least one fil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eretherketone (PEEK), polyethyleneimine (PEI), polyimide (PI) and polyethersulfone (PES) Wherein said adhesive layer is a thermosetting semiconductor wafer.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임시접착필름;
상기 임시접착필름의 제1 접착층 상에 대면하여 형성된 캐리어 웨이퍼; 및
상기 임시접착필름의 제2 접착층 상에 대면하여 형성된 디바이스 웨이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접착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A temporary adhesive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A carrier wafer formed to face the first adhesive layer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nd
And a device wafer facing the second adhesive layer of the temporary adhesive film.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웨이퍼와 임시접착필름 사이에는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접착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14. The method of claim 13,
Further comprising a protective layer between the device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Lt; RTI ID = 0.0 &gt; 11. &lt; / RTI &gt;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경화형 실리콘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접착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Wherein the protective layer comprises a curable silicone resin. &Lt; RTI ID = 0.0 &gt; 11. &lt; / RTI &gt;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과 캐리어 웨이퍼 사이의 접착력은 하기의 조건 (5), (6)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접착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5) 하기 측정방법 5로 측정된 접착강도가 50 ~ 200 gf/25mm임
(6) 하기 측정방법 6으로 측정된 접착강도가 100 ~ 300 gf/25mm임

* 접착강도 측정방법 5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1 접착층 면을 어떠한 표면 처리도 이루어지지 않은 실리콘 웨이퍼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 mm/min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 접착강도 측정방법 6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1 접착층 면을 어떠한 표면 처리도 이루어지지 않은 실리콘 웨이퍼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다시 200℃ 로 60분간 간 열처리 종료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mm/mim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carrier wafer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s (5) and (6).
(5)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ing method 5 is 50 to 200 gf / 25 mm
(6)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ement method 6 is 100 to 300 gf / 25 mm

* Adhesive strength measurement method 5
A sample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of the specimen was attached to a silicon wafer which had not been subjected to any surface treatment with a roller of 2 kg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and the adhered adhesive film was cut at a size of 2.5 cm x 10 cm And 55% relative humidity for 1 hour, then measure the 180 ° adhesive strength at a peel rate of 300 mm / min using a tensile tester.

* Adhesive strength measurement method 6
A sample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of the specimen was attached to a silicon wafer which had not been subjected to any surface treatment with a roller of 2 kg in accordance with JIS Z 0237, and the adhered adhesive film was cut at a size of 2.5 cm x 10 cm And 55% relative humidity for 1 hour and then heat treatment at 200 ° C for 60 minutes. Then, the adhesive strength at 180 ° is measured at a peeling speed of 300 mm / mim using a tensile test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착층과 디바이스 웨이퍼 사이의 접착력은 하기의 조건 (7), (8)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접착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
(7) 하기 측정방법 7로 측정된 접착강도가 2 ~ 10 gf/25mm임
(8) 하기 측정방법 8로 측정된 접착강도가 5 ~ 25 gf/25mm임

* 접착강도 측정방법 7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2 접착층 면을 실리콘 이형제 (KS-3755, Shin-Etsu Chemical Co., Ltd.)가 1㎛두께로 스핀 코팅된 실리콘 웨이퍼에 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 mm/min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 접착강도 측정방법 8
임시접착필름을 가로, 세로 2.5cm × 10cm의 크기로 절단한 시편을 JIS Z 0237에 따라 시편의 제 2 접착층 면을 실리콘 이형제 (KS-3755, Shin-Etsu Chemical Co., Ltd.)가 1㎛두께로 스핀 코팅된 실리콘 웨이퍼에 2kg의 롤러로 부착하고 25℃의 온도 및 55%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1시간 동안 보관 후 다시 200℃ 로 60분간 간 열처리 종료 후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300mm/mim의 박리 속도로 180° 접착강도를 측정한다.
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the device wafer satisfies the following conditions (7) and (8).
(7)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ement method 7 is 2 to 10 gf / 25 mm
(8) The adhesive strength measured by the following measurement method 8 is 5 to 25 gf / 25 mm

* Adhesive strength measurement method 7
A test piece cut into a size of 2.5 cm x 10 cm in length and width was adhered to a second adhesive layer side of a specimen according to JIS Z 0237 with a silicone release agent (KS-3755, Shin-Etsu Chemical Co., Ltd.) The specimens were attached to a spin-coated silicon wafer with a thickness of 2 kg using a roller and stored for 1 hour at a temperature of 25 ° C and relative humidity of 55%, and then subjected to a 180 ° adhesive strength at a peeling rate of 300 mm / min using a tensile tester .

* Adhesive strength measurement method 8
A test piece cut into a size of 2.5 cm x 10 cm in length and width was adhered to a second adhesive layer side of a specimen according to JIS Z 0237 with a silicone release agent (KS-3755, Shin-Etsu Chemical Co., Ltd.) Coated with a 2 kg roller and stored at 25 ° C and 55% relative humidity for 1 hour and then heat-treated at 200 ° C for 60 minutes. After the heat treatment was finished, a 300 mm / min The bonding strength at 180 ° is measured at the peeling speed.
(1)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임시접착필름에 포함된 제1 접착층상에 캐리어 웨이퍼가 대면하도록 접착하고, 상기 임시접착필름에 포함된 제2 접착층상에 디바이스 웨이퍼가 대면하도록 접착하여 적층체를 형성하는 단계;
(2) 상기 적층체의 어느 일단부에서 임시접착필름과 디바이스 웨이퍼 경계면을 컷팅하는 단계; 및
(3) 상기 컷팅된 적층체의 일단부에서 캐리어 웨이퍼 및 임시접착필름을 일정각도로 이격시켜 상기 적층체에서 캐리어 웨이퍼 및 임시접착필름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시접착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의 분리방법.
(1) A carrier wafer is adhered to a first adhesive layer included i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and a device wafer is adhered on the second adhesive layer included in the temporary adhesive film To form a laminate;
(2) cutting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nd the device wafer interface at either end of the laminate; And
(3) removing the carrier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from the laminated body by separating the carrier wafer and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one end of the cut laminated body, and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의 디바이스 웨이퍼는 제2 접착층과 대면하는 일면상에 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층을 제2 접착층과 접착시키며, 상기 (2) 단계는 임시접착필름과 보호층 경계면을 컷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접착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의 분리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Wherein the device wafer in the step (1) includes a protective layer on one surface facing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adheres the protective layer to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the step (2) Wherein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on the adhesive laye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와 (3) 단계 사이에
(a) 임시접착필름과 대면하지 않는 디바이스 웨이퍼의 다른 일면을 박막처리 하는 단계; 및
(b) 상기 박막처리된 면에 후면가공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접착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의 분리방법.
19. The method of claim 18, further comprising, between (2) and (3)
(a) thinning the other surface of the device wafer not facing the temporary adhesive film; And
(b) performing back-processing on the thin-film-processed surface of the laminated body.
KR1020140037124A 2014-03-28 2014-03-28 Thermosetting temporary-bonding-film for semiconductor wafer, laminated body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bonding laminated body KR1015327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124A KR101532756B1 (en) 2014-03-28 2014-03-28 Thermosetting temporary-bonding-film for semiconductor wafer, laminated body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bonding laminated body
PCT/KR2015/002829 WO2015147509A1 (en) 2014-03-28 2015-03-23 Temporary adhesive film for thermosetting semiconductor wafer, laminate comprising same, and method for separating lamin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124A KR101532756B1 (en) 2014-03-28 2014-03-28 Thermosetting temporary-bonding-film for semiconductor wafer, laminated body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bonding laminated bod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2756B1 true KR101532756B1 (en) 2015-07-01

Family

ID=53787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124A KR101532756B1 (en) 2014-03-28 2014-03-28 Thermosetting temporary-bonding-film for semiconductor wafer, laminated body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bonding laminated bod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32756B1 (en)
WO (1) WO2015147509A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335B1 (en) * 2015-10-15 2017-05-16 코스텍시스템(주) method of temporary bonding by using temporary bonding film
KR20210012504A (en) * 2019-07-25 2021-02-03 (주)이녹스첨단소재 Fod adhesive film and semiconductor package comprising thereof
US11348799B2 (en) 2018-06-20 2022-05-31 Lg Chem, Ltd Method of manufacturing mold for diffraction grating light guide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ffraction grating light guide plate
US11434393B2 (en) 2016-12-15 2022-09-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film and adhesive substra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3046A (en) * 2004-08-03 2007-03-23 후루카와 덴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wafer processing tape
KR20110118582A (en) * 2010-04-23 2011-10-31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chip
KR101276487B1 (en) * 2012-10-05 2013-06-18 주식회사 이녹스 Wafer laminated body and method for bonding and debonding between device wafer and carrier wafer
KR101304282B1 (en) * 2011-05-31 2013-09-11 코스텍시스템(주) debonding method of temporary bonded device wafer and carrier waf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3046A (en) * 2004-08-03 2007-03-23 후루카와 덴끼고교 가부시키가이샤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wafer processing tape
KR20110118582A (en) * 2010-04-23 2011-10-31 소니 케미카루 앤드 인포메이션 디바이스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chip
KR101304282B1 (en) * 2011-05-31 2013-09-11 코스텍시스템(주) debonding method of temporary bonded device wafer and carrier wafer
KR101276487B1 (en) * 2012-10-05 2013-06-18 주식회사 이녹스 Wafer laminated body and method for bonding and debonding between device wafer and carrier waf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6335B1 (en) * 2015-10-15 2017-05-16 코스텍시스템(주) method of temporary bonding by using temporary bonding film
US11434393B2 (en) 2016-12-15 2022-09-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film and adhesive substrate
US11348799B2 (en) 2018-06-20 2022-05-31 Lg Chem, Ltd Method of manufacturing mold for diffraction grating light guide pl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ffraction grating light guide plate
KR20210012504A (en) * 2019-07-25 2021-02-03 (주)이녹스첨단소재 Fod adhesive film and semiconductor package comprising thereof
KR102240909B1 (en) * 2019-07-25 2021-04-15 (주)이녹스첨단소재 Fod adhesive film and semiconductor package comprising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47509A1 (en) 2015-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10668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tacked semiconductor integrated device
KR101772498B1 (en) Wafer processing laminate, wafer processing member, temporary bonding arrangement, and thin wafer manufacturing method
EP2634794B1 (en) Adhesive layer for use in temporarily supporting a wafer during processing, wafer support with adhesive layer for processing wafer, wafer-adhesive-support composi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thin wafer
KR100643450B1 (e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heet, method of protecting semiconductor wafer surface and method of processing work
TWI797062B (en) Adhesive material for wafer processing, wafer laminat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in wafer
KR102268248B1 (en) Wafer workpiece, provisional adhesive material for wafer working, and thin wafer manufacturing method
KR101924403B1 (en) Temporary adhesive material for wafer processing, wafer processing member using the same, wafer processing body, and thin wafer manufacturing method
TWI668077B (en) Method for temporarily bonding wafer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wafers
KR101411080B1 (en) Adhesive tape for wafer-processing
US906468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mporary bonding of ultra thin wafers
KR20150135284A (en) Protective film-forming film and protective film-forming composite sheet
TWI500735B (en) Radiation hardening type wafer cutting adhesive tape
CA2711266A1 (en) Method for reversibly mounting a device wafer to a carrier substrate
KR20150097483A (en) Holding membrane forming film
TWI793305B (en) Processed body with circuit board and process method for circuit board
KR101532756B1 (en) Thermosetting temporary-bonding-film for semiconductor wafer, laminated body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debonding laminated body
WO2003043076A2 (en) Surface protective sheet for use in wafer back grinding and process for producing semiconductor chip
KR20170042237A (en) Temporary adhering metho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in wafer
TW201942969A (en) Semiconductor chip production method and surface protection tape
JP5811514B2 (en) Film adhesive
TWI616332B (en) Composite film for forming protective film,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film for forming protective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wafer with protective film
TWI727244B (en) Adhesive tape for radiation hardening wafer dicing
TWI796486B (en) Manufacturing method of thin substrate
JP7489898B2 (en) Substrate-less silicone adsorption sheet, laminate for wafer processing using said sheet, and wafer processing method using said laminate for processing
KR100867183B1 (en) Adhesive film for dicing·die bond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