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594B1 -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dual processing of display data in a projector portable device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dual processing of display data in a projector portable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594B1
KR101524594B1 KR1020090016468A KR20090016468A KR101524594B1 KR 101524594 B1 KR101524594 B1 KR 101524594B1 KR 1020090016468 A KR1020090016468 A KR 1020090016468A KR 20090016468 A KR20090016468 A KR 20090016468A KR 101524594 B1 KR101524594 B1 KR 101524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ata
projector
screen
display mean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46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90175A (en
Inventor
김필준
김성배
김보성
김태영
조영호
최영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2/700,011 priority Critical patent/US8700097B2/en
Publication of KR20100090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0175A/en
Priority to US14/249,712 priority patent/US20140204001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5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의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화면데이터 출력 방법에 있어서, 프로젝터 모듈을 활성화 하는 과정과; 표시수단 및 프로젝터 모듈로 전달할 각각의 화면데이터들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하는 각각의 화면데이터들을 이원화 처리하여 상기 표시수단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로 각각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rojector func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ctivating a projector module in a screen data output method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rojector function; Generating respective screen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means and the projector module; And binarizing each of the generated screen data and outputting the screen data to the display unit and the projector module, respectively.

휴대단말, 프로젝터, 화면데이터, 프레임버퍼 Portable terminal, projector, screen data, frame buffer

Description

프로젝터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화면데이터 이원화 제어 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DUAL PROCESSING OF DISPLAY DATA IN A PROJECTOR PORTABLE DEVIC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screen data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rojector function,

본 발명은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프로젝터 휴대단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에서 프로젝터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스크린으로 화면데이터 출력 시, 휴대단말의 표시수단으로 제공되는 화면데이터와 외부 스크린으로 제공되는 화면데이터를 이원화 처리할 수 있는 프로젝터휴대단말에서 화면데이터의 이원화 처리를 위한 출력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projector portable terminal) having a projector fun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provided with screen data provided as a display means of a portable terminal and an external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utput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dualizing screen data in a projector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binarizing screen data.

최근디지털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이동통신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전자수첩등과 같이 이동하면서 통신 및 개인 정보처리가 가능한 휴대단말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단말들은 주로 표시하고자 하는 화면데이터를, 휴대단말 자체에 구비된 표시장치에 표시한다. 그런데 휴대단말들이 구비하고 있는 표시장치는 휴대단말의 외형 크기가 작아야 한다는 제한 때문에 그 크기가 대체로 작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various portable terminals capable of communica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processing such a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and electronic notebooks have been introduced. These portable terminals mainly display the screen data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devic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However, the size of the display devic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s is generally small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external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단말의 작은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정보를 혼자서는 볼 수 있지만, 다수의 인원에게 보여주기 어렵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TV-OUT 기능 등과 같이 휴대단말의 정보를 외부 대형 표시장치에 표시하여 다수의 인원이 함께 볼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 경우 별도의 대형 표시장치가 제공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user can view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mall display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alone, but it is difficult to show it to a large number of people. Accordingly, in recent years, a function of displaying information on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TV-OUT function on an external large-screen display device so that a large number of people can be viewed together has been developed. In this case, however, have.

즉, 종래의 휴대단말에서는 작은 화면을 통하여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고 있다. 이때, 휴대단말의 표시장치로는 일반적으로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That is,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displays the screen data on a small screen. At this tim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 the like are generally used as a display device of a mobile terminal.

그러나 이러한 휴대단말의 표시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방법은 작은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화면데이터의 화면이 작아 매우 불편하였으며, 게임이나, 디지털 방송 시청 등에 있어 보다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보다 충분한 크기의 화면을 제공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However, the display method in the display device of such a mobile terminal is very inconvenient because the screen data displayed through the small display device is small, and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satisfaction in the game, digital broadcast viewing, etc., It became necessary to do.

이에, 휴대단말에 영상 투사 기능을 구비하도록 하여 보다 큰 크기의 화면을 즐길 수 있도록 하려는 시도들이 다각도로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예시로, 프로젝터 모듈(Projector Module)을 구비하여 벽이나 바닥 등을 외부 스크린으로 활용하여 큰 화상을 제공할 수 있는 휴대단말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have been various attempts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with an image projection function so as to enjoy images of a larger size. In this example, a mobile terminal equipped with a projector module and capable of providing a large image by using a wall or a floor as an external screen is being researched.

한편, 이와 같이 프로젝터 모듈을 내장한 휴대단말의 경우 휴대단말의 표시장치를 통해 출력하는 화면데이터를 그대로 프로젝터모듈을 통해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할 수는 있다. 그러나 휴대단말의 표시장치와 프로젝터 모듈을 통해 외부스크린으로 동일한 화면데이터를 출력 할 경우화면데이터 제어를 위한 사용자 행위가 외부 스크린에 그대로 반영됨에 따라 사용자의 시각을 가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built-in projector module, the screen data outputted through the display 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can be outputted directly to the external screen through the projector module. However, when the same screen data is output to the external screen through the display device and the projector modul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ser's action for controlling the screen data is reflected on the external screen as it is.

예를 들어, 동영상 데이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시 그의 재생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휴대단말을 제어하게 되면, 그에 따른 변화 동작이 외부 스크린으로 그대로 반영되어 출력된다. 특히, 프리젠테이션 수행 중 특정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휴대단말을 제어하게 되면, 그에 따른 사용자 행위가 그대로 반영되어 출력됨에 따라 프리젠테이션이 방해받는 문제점이 있다.For exampl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controlled to control its playback function when playing multimedia data such as moving image data, the change operation is reflected on the external screen as it is. Particularly,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controlled to control a specific operation during the presentation, the user's behavior is reflected as it is, and the presentation is interrupted.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휴대단말의 표시장치를 통해 표시하는 화면데이터와, 프로젝터기능에 의해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하는 화면데이터를 이원화 처리하여 개별적으로 출력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separately outputting screen data displayed through a displa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nd screen data output to an external screen by a projector function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rojector function,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프로젝터 모듈을 이용하여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할 시,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와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하는 화면데이터를 이원화 처리하여, 서로 다른 화면데이터를 각각 출력하고, 상기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에 의하여 상기 외부 스크린의 화면데이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rojector function that binarizes screen data of a mobile terminal and screen data output to an external screen when outputting screen data to an external screen using a projector module, An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screen data of the external screen according to the screen data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화면데이터 출력 방법에 있어서, 프로젝터 모듈을 활성화 하는 과정과; 표시수단 및 프로젝터 모듈로 전달할 각각의 화면데이터들을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생성하는 각각의 화면데이터들을 이원화 처리하여 상기 표시수단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로 각각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utputting screen data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projector function,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ctivating a projector module; Generating respective screen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means and the projector module; And binarizing each of the generated screen data and outputting the screen data to the display unit and the projector module, respectively.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각각의 화면데이터들은, 표시수단으로 표시할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프로젝터 모듈을 통해 외부 스크린으로 표시할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 및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 는 공통 화면데이터 또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screen data includes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to be displayed by the display means and screen data for a projector to be displayed on the external screen through the projector module, And the screen image data is output as common screen data or binary screen data.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공통 화면데이터 및 이원화 화면데이터는 시분할 방식에 의해, 상기 표시수단 및 프로젝터 모듈로 시분할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on screen data and the binary screen data are provided in a time-division manner to the display means and the projector module in a time-division manner.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력 시스템에 있어서, 프로젝터 기능 수행 시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로 이원화 처리하여 두 개의화면데이터들을 생성하는 수단과;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 및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기능 수행에 대응하여 공통 화면데이터 또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로 출력하는 수단과; 상기 공통 화면데이터 또는 이원화 화면데이터의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수단과; 상기 공통 화면데이터 또는 이원화 화면데이터의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ystem for outputting screen data of a portable terminal, the system comprising: Gt; Means for outputting the display data for the display means and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as common screen data or binary screen data in response to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Means for displaying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of the common screen data or the binary screen data; And means for outputting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of the common screen data or the binary screen data to an external scree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면, 공통 화면데이터는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가동일한 화면 구성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화면데이터들을 포함하고, 이원화 화면데이터는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가 서로 다른 화면 구성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화면데이터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의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는 이원화 화면데이터의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에 대한 기능 제어를 위한 가상아이템을 포함하고,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의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는 휴대단말의 기능 수행에 대응하는 실행 화면데이터 및 사용자 설정에 따른 다양한 정 보를 제공하는 정보아이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on screen data includes two pieces of screen data having the same screen configuration as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and the projector screen data, and the dual screen data includes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And the data includes two screen data having different screen configuration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of the binary screen data includes a virtual item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of the binary screen data, and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of the binary screen data is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an information item for providing execution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execution and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공통 화면데이터 및 이원화 화면데이터의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 및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는 시분할 방식에 의하여 순차 교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and screen data for a projector of common screen data and binary screen data are sequentially alternately outputted in a time-division manner.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은,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 있어서, 프로젝터 기능 활성화 시 출력하는 화면데이터를 표시수단을 목적지로 하는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프로젝터 모듈을 목적지로 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로 생성하여 출력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rojector functio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display data, A controller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screen data for a projector having a module as a destination;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output from the control means; And a projector module for outputting projector screen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to an external screen.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면데이터 출력 장치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출력 장치에 있어서, 표시수단 및 프로젝터 모듈로 전달할 각각의 화면데이터들을 생성하고, 상기 화면데이터들을 이원화 처리하여 시분할적으로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표시수단 및 프로젝터 모듈로 전달되는 각 화면데이터들을 버퍼링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에서 버퍼링되는 화면데이터들 중 상기 표시수단을 목적지로 가지는 화면데이터를 추출하여 전달하는 LCD 드라이버 모듈과; 상기 LCD 드라이버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상기표시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에서 버퍼링되는 화면데이터들 중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할 화면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하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 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creen data output apparatus for a portable terminal, the screen data output apparatus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generating respective screen data to be transmitted to a display unit and a projector module; A control unit for performing a binary processing and outputting it in a time-sharing manner; Storage means for buffering screen data transmitted to the display means and the projector module; An LCD driver module for extracting screen data having the destination of the display unit among the screen data buffered by the storage unit and delivering the screen dat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screen data transmitted from the LCD driver module; The projector module extracts screen data to be output to an external screen among the screen data buffered in the storage unit and outputs the extracted screen data to the external screen.

상술한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화면데이터 이원화 제어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프로젝터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스크린으로 화면데이터를 출력할 시, 휴대단말의 표시수단으로 제공되는 화면데이터와, 외부 스크린으로 제공되는 화면데이터를 이원화 처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외부 스크린에 제공되는 화면데이터의 조작을 휴대단말 상에 제공되는 화면데이터를 이용하여 조작하고, 외부스크린을 통해서는 프로젝터 기능에 따른 화면데이터를 시각적인 방해 없이 지속적인 제공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creen data in the mobile terminal having the projector function, when the screen data is output to the external screen using the projector module in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projector function, The screen data provided to the display means and the screen data provided to the external screen can be binariz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screen data provided on the external screen by using the screen data provided on the portable terminal, and continuously provide the screen data according to the projector function through the external screen without visual interference Do.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로젝터 모듈을 내장한 휴대단말에서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이용하여 프리젠테이션 시,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와 외부 스크린을 통해 제공되는 프리젠테이션 화면데이터를 이원화 처리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출력함으로써, 프리젠테이션 화면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portable terminal incorporating a projector module, screen data of a portable terminal and presentation screen data provided through an external screen are binarized and output separately during presentation using the projector modu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esentation can be conveniently perform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presentation scree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제안하는 본 발명은 프로젝터(Projector)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프로젝터 모듈을 내장한 휴대단말에서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이용하여 외부 스크린으로 화면데이터를 출력할 시, 휴대단말의 표시수단으로 제공되는 화면데이터와 상기 외부 스크린으로 제공되는 화면데이터를 이원화 처리하여 각각 별개의 화면데이터를 출력하여 표시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rojector function. 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ortable terminal incorporating a projector module outputs screen data to an external screen using the projector module, the screen data provided to the display means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creen data provided to the external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and an apparatus capable of outputting and displaying separate screen data by binarizing data.

이러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상기와 같이 프로젝터 기능을 포함하고, 동영상 및 음악 파일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데이터의 재생 기능, 디지털 방송 수신 및 재생 기능, 문서뷰어 기능 등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디지털 방송 재생 및 문서 뷰어 등의 기능 수행 시, 상기 프로젝터 기능에 의하여, 상기한 각 기능 수행에 따른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으로 확대하여 제공할 수 있다.이하, 본 발명의실시 예에서는 휴대단말의 표시수단으로 제공되는 화면데이터와 프로젝터 모듈을 통해 외부 스크린으로 제공되는 화면데이터가 동일하게 출력되는 경우를 공통 화면데이터 출력이라 하고, 휴대단말의 표시수단으로 제공되는 화면데이터와 프로젝터 모듈을 통해 외부스크린으로 제공되는 화면데이터가 상이하게 출력되는 경우를 이원화 화면데이터 출력이라 명명하기로 한다.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jector function as described above, and includes a multimedia data playback function,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and playback function, a document viewer func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large and provide screen data according to the functions performed by the projector function to an external screen when the functions of the multimedia data reproduction, the digital broadcast reproduction, and the document viewer are performed .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e where the screen data provided to the display means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creen data provided to the external screen through the projector module are outputted identically is referred to as a common screen data output, Quot; output screen data " and " screen data provided to the external screen through the projector module are output in a different manner.

그러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단말의 예시와, 이러한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단말에서 출력 화면데이터의 이원화 처리를 위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 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 구성 및 그의 이원화처리 구성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rojecto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figuration for binarizing output screen data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such a projector modu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do.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its duality processing are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below, and thus can be applied to various embodiments based on the following embodiment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특히, 상기 도 1 내지 도 3은 프로젝터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단말의 타입 별 예시들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1 to 3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icularly, FIGS. 1 to 3 illustrate exemplary types of portable terminals having a projector module.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 1은 입출력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터치스크린(Full Touch-screen)을 전면으로 가지는 타입의 휴대단말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표시수단과 입력수단이 구별된 바 타입(Bar type)의 휴대단말 예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터치스크린과 터치패드(Touch-pad)로 이루어진 타입의 휴대단말예시를 나타낸 것이다.1 to 3, FIG. 1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ull touch-screen having an input / output function at the same time, FIG. 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display means and the input means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FIG. 3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of a bar type, and FIG. 3 illustrates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of a type comprising a touch screen and a touch pad.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휴대단말 기능 수행에 따른 다양한 화면데이터를 출력하는 표시수단(100)과, 사용자의 제어신호를 입력받는 입력수단(200)과, 휴대단말에서 전달되는 화면데이터를 확대하여 외부 스크린으로 투사하는 프로젝터 모듈(300)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의 포커스(focus) 제어를 위한 포커스 제어수단(350)과, 휴대단말의 기능 수행에 따른 다양한 오디오데이터를 출력하는 스피커(SPK, Speak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1 to 3,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display means 100 for outputting various screen data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of a portable terminal, input means 200 for receiving a user's control signal, A projector module 300 for enlarging screen data transmitted from a mobile terminal and projecting the enlarged screen data to an external screen, a focus control means 350 for controlling the focus of the projector module 300, And a speaker (SPK) for outputting various audio data corresponding to the audio data.

또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화상통신(Video communication) 서비스를 위한 전면 카메라 모듈(front camera module)(400), 일반 카메라 기능에 의한 피사체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미도시), 디지털 방송 수신 및 그의 재생을 위한 방송수신모듈(미도시) 등을 휴대단말 타입에 따라 포함할 수도 있다.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ront camera module 400 for a video communication service, a camera module (not shown) for shooting a subject by a general camera function, And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not shown) for receiving digital broadcasting and reproducing the digital broadcasting 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type.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도 1 내지 도 3의 예시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서 화면데이터의 이원화 제어를 위한 내부 구성에 대하여 하기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구성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an internal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screen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llustrated in the examples of FIGS. 1 to 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us can be applied to various embodiments based on the following embodiments.

특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인 경우를 대표적인 예시로서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반드시 이동통신 단말기에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는 휴대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In particula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as a representative example. Howeve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ay include a portable terminal applied to various fields according to the providing mode.

따라서본 발명의 휴대단말은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를 비롯하여, 휴대용 프로젝터모듈, 프로젝터 모듈을 포함하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게임단말 및 스마트 폰(Smart Phone)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조를 하기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Accordingly,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that operate based on communication protocols correspon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ystems, including a portable projector module,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including a projector module, A multimedia player, a broadcasting player,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game terminal, a smart phone, and the like. Hereinafter, a schematic structure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블록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 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경우를 일예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이 반드시 이동통신 단말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4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4 illustrates a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obile terminal.

상기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은 무선주파수부(400)와, 입출력수단(500)과, 오디오처리부(600)와, 저장부(700)와, 프로젝터 모듈(300) 및 제어부(800)등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입출력수단(500)은 표시수단(100) 및 입력수단(2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시수단(100)은 액정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나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로 제공되거나, 또는 터치스크린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입력수단(200)은 터치패드, 키패드(Keypad), 돔 키(Dome key) 및 기능키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의 포커스(focus) 제어를 위한 포커스 제어수단(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1 to 4,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dio frequency unit 400, an input / output unit 500, an audio processing unit 600, a storage unit 700, A module 300, a control unit 800,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input / output means 500 may include the display means 100 and the input means 200. The display means 100 may be provid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 a touch screen. The input unit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touch pad, a keypad, a dome key, and a function key, or a combination thereof. The portabl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focus control unit 350 for controlling the focus of the projector module 300, as shown in FIG. 1 to FIG.

상기 무선주파수부(400)는 상기 휴대단말의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지원 가능한 이동통신 네트워크와 설정된 통신채널(communication channel)을 형성하여 음성통신(voice call), 화상통신(video telephony call) 및 데이터통신(data call) 등과 같은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형태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The radio frequency unit 400 performs commun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radio frequency unit 110 forms a communication channel with a sup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performs communication such as a voice call, a video telephony call, and a data communication do. The RF unit 110 may include an RF (Radio Frequency) transmitter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the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 RF receiver for low-noise amplifying the received signal and down-converting the frequency of the received signal. The radio frequency unit 110 may be omitted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입출력수단(500)은 상기 표시수단(100) 및 상기 입력수단(20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입출력수단(500)은 휴대단말의 형태에 따라 표시수단(100)으로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수단(100)은 터치스크린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터치스크린은 입력기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 입출력 수단으로,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터치스크린은 LCD 또는 OLED와 같은 표시영역과, 터치센서로 이루어진 터치영역을 포함한다.The input / output means (500) may comprise the display means (100) and the input means (200). The input / output means 500 may be constituted only by the display means 100 according to the form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is case, the display means 100 is preferably provided as a touch screen. The touch screen includes input and output means for simultaneously performing an input function and a display function. In particular, the touch screen includes a display region such as an LCD or an OLED and a touch region made up of a touch sensor.

상기 표시영역은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 및 기능 설정 등에 따른 상태 정보를 표시한다. 즉, 상기 표시영역은 상기 휴대단말의 상태 및 동작에 관련된 각종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영역은 상기 제어부(800)로부터 출력되는 여러 신호와 색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특히, 상기 표시영역은 휴대단말이 프로젝터 기능 수행 시 상기 제어부(800)에서 발생하는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거나, 기능 제어를 위한 특정GUI(Graphical User Interface)의 화면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영역은 휴대단말이 프로젝터 기능 수행 시 상기 제어부(800)에서 발생하는 공통 화면데이터 및 이원화 화면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한다. 상기 표시영역을 통해 제공되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는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게 가변되는 가상아이템을 GUI로 표시한다.The display area displays various screen data generated during the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displays status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s operation, function setting, and the like. That is, the display area may display various screen data related to the state and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display area visually displays various signals and color information output from the controller 800. In particular, the display area may display screen data generated by the controller 800 when the portable terminal performs a projector function, or may display screen data of a specific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unction control. That is, the display area displays any one of the common screen data and the binary screen data generated by the control unit 800 when the portable terminal performs the projector function. The binary screen data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area displays a virtual item which is variable in correspondence with the execution application with a GUI.

상기 터치영역은 사용자의 입력이벤트를 입력받는다. 특히, 상기 터치영역은 휴대단말의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따른 기능 제어를 위한 탭 이벤트(Tap event), 드래그이벤트(Drag event), 플릭 이벤트(Flick event) 및 스윕 이벤트(Sweep event) 등을 입력받는다. 상기 터치영역은 사용자의 입력이벤트가 입력될 시, 상기 입력이벤트가 발생하는 좌표정보를 상기 제어부(800)로 전달한다. 즉, 상기 터치영역은 사용자에 의해 발생되는 터치를 감지하고, 터치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800)로 전달한다.The touch area receives an input event of a user. In particular, the touch area receives a tap event, a drag event, a flick event, and a sweep event for function control according to an execution applic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input event of the user is inputted, the touch area transmits the coordinate information in which the input event occurs to the controller 800. [ That is, the touch area senses a touch generated by a user, generate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ouch,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800. [

상기 입력수단(200)은 다양한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상기 휴대단말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제어부(80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수단(200)은 사용자의 행위에 따른 입력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위한 키패드, 기능키, 돔키 및 터치패드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입력수단(200)은 휴대단말의 제공 형태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The input unit 200 receives various character information, and transmits signals to the control unit 800 in connection with setting various functions and controlling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input means 200 may include at least one input means such as a keypad, a function key, a dome key and a touch pad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ac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put means 200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provision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오디오처리부(600)는 마이크(MIC, Microphone) 및 스피커(SPK, Speaker)와 접속되며,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제어부(800)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800)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SPK)를 통해 출력한다. 즉, 상기 오디오처리부(600)는 상기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거나, 상기 제어부(800)로부터 입력된 디지털 음성신호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의 변환을 처리한다. 상기 오디오처리부(60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오디오성분(예컨대, 동영상/음악파일 재생 등에 따른 오디오데이터 등)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재생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처리부(600)의 음성신호 처리 기능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휴대단말의 형태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The audio processing unit 600 is connected to a microphone (MIC) and a speaker (SPK) and outputs a voice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MIC) to the control unit 800. The control unit 800 To the speaker SPK through the speaker SPK. That is, the audio processing unit 600 converts the analog audio signal input from the microphone (MIC) into a digital audio signal or converts the digital audio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 unit 800 into an analog audio signal. The audio processing unit 600 can reproduce various audio components (for example, audio data based on video / music file playback) generated by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user's selection. The audio signal processing function of the audio processing unit 600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portable terminal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저장부(700)는 ROM(Read Only Memory)과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부(700)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생성 및 활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는, 상기 휴대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 및 상기 휴대단말을 이용하여 생성하거나 외부(기지국, 상대휴대단말, 퍼스널 컴퓨터 등)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가능한모든 형태의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데이터는 상기 휴대단말에서 제공되는 사용자인터페이스, 상기 휴대단말 이용에 따른 여러 설정정보, 프로젝터 기능 수행 시 그의 기능 제어를 위해 설정된 가상아이템, 동영상파일 및 음악 파일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본 발명의 프로젝터 기능에 따른 동작 제어를 위한 설정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torage unit 700 may include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The storage unit 700 may store various data generated and utilized by the portable terminal. The data includes data generated according to application execution of the mobile terminal and all types of data generated using the mobile terminal or received from an external (base station, a counterpart mobile terminal, personal computer, etc.) and stored. In particular, the data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user interface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various sett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ortable terminal, multimedia data such as a virtual item, a moving picture file, and a music file, Setting information for operation control according to the projector function, and the like.

아울러, 상기 저장부(7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본 발명의 화면데이터 이원화 처리를 통해 출력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어플리케이션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동작 및 후술하는 도면들에서 설명하는 동작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들은 상기 저장부(700)의 어플리케이션 저장영역(미도시)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700)는 전술한 어플리케이션 실행 및 휴대단말의 기능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버퍼(buffer)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700 may store an application for controlling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an application for output control through the screen data binariz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operation described in the following figures, as described in Figs. 1 to 4 described above. These applications may be stored in an application storage area (not shown) of the storage unit 700. The storage unit 700 may include one or more buffers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generated during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and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휴대단말에 내장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어부(800)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화면데이터를 렌즈를 통해 확대하여 외부 스크린 으로 출력하는 장치를 나타낸다. 즉,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제어부(800)에서 처리된 다양한 화면데이터를 외부스크린에 왜곡 없이 투사할 수 있는 장치를 나타낸다.The projector module 300 is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enlarges various screen data provided from the controller 800 through a lens and outputs the expanded screen data to an external screen. That is, the projector module 300 represents a device capable of projecting various screen data processed by the control unit 800 without distortion on an external screen.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휴대단말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휴대단말 내의 상기 각 블록들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무선주파수부(400)와, 상기 입출력수단(500)과, 상기 오디오처리부(600)와, 상기 저장부(700)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등과 같은 각 구성 간의신호 흐름을 제어한다.The controller 800 performs overall control functions for the portable terminal and controls signal flow between the blocks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 unit 800 receives signals between respective components such as the radio frequency unit 400, the input / output unit 500, the audio processing unit 600, the storage unit 70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Control the flow.

특히, 상기 제어부(8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프로젝터 기능 수행 시, 상기 표시수단(100)을 통한 화면데이터 출력 및 상기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한 화면데이터 출력을 처리한다.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표시수단(100) 및 상기 프로젝터모듈(300)로 전달하는 화면데이터를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여 공통 화면데이터로 이원화 처리하거나, 또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로 이원화 처리한다. 이후, 상기 이원화 처리하는 공통 화면데이터 또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100) 및 프로젝터 모듈(300)로 전달하여, 그에 대한 화면데이터 표시를 제어한다.In particular, the controller 800 processes screen data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00 and screen data output through the projector module 300 when the projector functions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800 binarizes the screen data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0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into common screen data or binarization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executing application. Then, the common screen data or the binary screen data to be subjected to the binarization processing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means 10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and the display of the screen data is controlled.

즉, 상기 제어부(800)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화면데이터의 타입에 따라 공통 화면데이터들을 상기 표시수단(100) 및 프로젝터 모듈(300)로의 출력을 처리하거나, 이원화 화면데이터들을 상기 표시수단(100) 및 프로젝터 모듈(300)로의 출력을 처리한다.That is, the control unit 800 processes the output of the common screen data to the display unit 10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creen data generated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of the application, (10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이러한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800)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반적인 동작 및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어부(800)의 기능 제어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본 발명의 동작을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800)의 상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들에 의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800 for controlling such operations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rawings described below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described above. The function control of the controller 800 may be implemented by software to process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operation of the controller 80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한편, 상기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휴대단말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이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1 to 4, a schematic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Howeve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configuration.

따라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휴대단말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위한 베이스밴드(Baseband)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밴드 모듈은 상기 제어부(800) 및 상기 무선주파수부(400)에 각각 구비되거나, 상기 제어부(800) 및 상기 무선주파수부(400)와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ontroller 800 may include a baseband module for the mobile communication ser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baseband module may be provided in the control unit 800 and the radio frequency unit 400 or separately from the control unit 800 and the radio frequency unit 400.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도 1 내지 도 4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그 제공 형태에 따라 피사체 촬영을 통해 그에 따른 영상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모듈,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및 인터넷 망과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1 to 4,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mera module capable of acquiring image data according to a mode of providing a subject, a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And an Internet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an Internet function by communicating with the network.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휴대단말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se components can not be enumerated because of the wide variety of variations according to the convergence trend of the digital device. However, components having the same level as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are further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exclude specific configurations from the above configuration or be replaced with other configurations according to the provis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또한, 이상에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휴대단말이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시로 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 및 그의 동작이 반드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LCD 또는 OLED로 구성된 표시수단과, 키패드 또는/및 터치패드로 이루어진 입력수단이 구분하고, 이와 같이 구분된 표시수단 및 입력수단의 조합에 의해 동작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the cas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touch scree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Howeve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opera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using a touch screen. Therefore,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display means composed of the LCD or the OLED and the input means made up of the keypad and / or the touchpad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nd the display means and the input means can be operated by a combination of the display means and the input means.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출력 화면데이터의 이원화 처리를 위한 구성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5 and 6 ar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for binarizing output screen data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projecto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화면데이터의 이원화 처리를 위한 구성은, 크게 제어부(800)와, 프레임버퍼(Frame Buffer)(750)와, LCD 드라이버모듈(LCD Driver Module)(150)과, 표시수단(100)과, 프로젝터 모듈(300)등을 포함하는 휴대단말 및 상기 휴대단말에서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투사되는 화면데이터를표시하기 위한 외부 스크린(900) 등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4 to 6, a configuration for dualizing screen data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projecto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ol unit 800, a frame buffer 750, an LC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driver module (LCD Driver Module) 150, a display means 100, a projector module 300, and the like, and a portable terminal for displaying screen data projected through the projector module 300 An external screen 900 and the like.

특히, 상기 도 5 및 도 6에서상기 프레임 버퍼(750)는 데이터 공유를 위해 중간 처리 통신(Inter Process Communication) 기능을 담당하는 DPRAM(DUAL-PORT RAM)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버퍼(750)는 상기 제어부(800)가 전달하는 공통 화면데이터들 또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들을 버퍼링(buffering)하고, 각 화면데이터들의 목적지에 해당하는 LCD 드라이버 모듈(150) 또는 프로젝터 모듈(300)로 전달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상기 프레임 버퍼(750)를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으로 운용하거나, 또는 상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LCD 프레임 버퍼(751)와 프로젝터 프레임 버퍼(753)로 분할하는 구성으로 운용할 수 있다.5 and 6, the frame buffer 750 may include a DPRAM (DUAL-PORT RAM) for inter-process communication for data sharing. The frame buffer 750 buffers the common screen data or the dual screen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ler 800 and transmits the screen data to the LCD driver module 150 or the projector module 300 corresponding to the destination of each screen data. . In this cas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buffer 750 may be operated in a singl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5, or may be configured as an LCD frame buffer 751 and a projector frame buffer 753 ). ≪ / RTI >

상기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사용자는 휴대단말에 내장되어 있는 프로젝터 기능을 휴대단말에 형성된 입력수단 등을 이용하여 활성화 시킬 수 있다. 그러면, 휴대단말의 상기 제어부(800)는 프로젝터 기능 활성화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구동한다. 이때, 상기 프로젝터 기능의 활성화 이전에, 상기 휴대단말에서는 표시수단(100)을 통해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특정 화면데이터가 표시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4 to 6, the user can activate the projector function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by using an input means or the like 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n, the control unit 800 of the portable terminal drives the projector module 300 in response to the activation of the projector function. Here, it is assumed that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specific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a user request through the display means 100 before activating the projector function.

이어서, 상기 제어부(800)는 휴대단말의 표시수단(100) 상에 표시되고 있는 정보 즉, 화면데이터와 동일한 화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표시수단(100)과 외부 스크린(900) 상에 제공되는 동일한 형태의 화면데이터를 공통 화면데이터라 칭하기로 한다. 상기 공통 화면데이터는 동일한 화면 구성을 가지는 두 개의 화면데이터 각각을 나타낸다. 즉, 공통 화면데이터는 상기 LCD드라이버 모듈(150)로 제공되는 화면데이터와, 상기프로젝터 모듈(300)로 제공되는 화면데이터로 구분된다. Then, the control unit 800 generates screen data identical to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that is, the screen data, and provides the screen data to the projector module 300. Hereinafter, screen data of the same type provided on the display means 100 and the external screen 900 will be referred to as common screen data. The common screen data represents each of two screen data having the same screen configuration. That is, the common screen data is divided into screen data provided to the LCD driver module 150 and screen data provided to the projector module 300.

다음으로, 상기 LCD 드라이버 모듈(150)및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상기 표시수단(100)및 상기 외부 스크린(900)을 통한 공통 화면데이터 출력 중에, 사용자는 상기 표시수단(100) 또는 입력수단(200) 등을 통해 상기 표시수단(100)에 제공되는 화면데이터의 특정 오브젝트(object)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브젝트는 동영상 또는 디지털 방송 재생기, 이미지 뷰어 및 텍스트 뷰어 등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콘텐츠의 아이콘, 특정 메뉴로 진입할 수 있는 아이콘 등을 나타낸다.Next, during the output of the common screen data through the display means 100 and the external screen 900 through the LCD driver module 15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The control unit 200 may perform control on a specific object of the screen data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100. [ Here, the object represents an icon of a content capable of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such as a moving picture or digital broadcasting player, an image viewer, and a text viewer, and an icon capable of entering a specific menu.

따라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요청이 발생할 시, 상기 제어 요청이 상기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특정 기능 실행을 위한 실행 명령인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control request of the user for the object occurs, the controller 800 can sense that the control request is an execution command for executing the specific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object.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실행 명령을 감지하면, 상기 프로젝터모듈(300)로 전달하는 화면데이터와 상기 표시수단(100)으로 전달하는 화면데이터를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제공한다. 즉, 상기제어부(800)는 상기 표시수단(100)을 통해 표시할 화면데이터와,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외부 스크린(900)으로 출력할 화면데이터를 별도로 생성 즉, 이원화 처리하여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표시수단(100)과 상기 외부 스크린(900) 상에 제공되는 서로 상이한 형태의 화면데이터를 이원화 화면데이터라 칭하기로 한다. When the control unit 800 detects the execution command, the control unit 800 provides the screen data transmitted to the projector module 300 and the screen data transmitted to the display unit 100 differently from each other. That is, the control unit 800 separately generates screen data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00 and screen data to be output to the external screen 900 through the projector module 300, and provides the screen data separately . Hereinafter, different types of screen data provided on the display means 100 and the external screen 900 will be referred to as dual screen data.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는 서로 다른 화면 구성을 가지는 두 개의 화면데이터 각각을 나타낸다. 즉, 이원화 화면데이터는 상기 LCD 드라이버 모듈(150)로 제공되는 화면데이터와,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제공되는 화면데이터로 구분된 다. The binary screen data represents each of two screen data having different screen configurations. That is, the dual screen data is divided into screen data provided to the LCD driver module 150 and screen data provided to the projector module 300.

여기서,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 중,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제공되는 화면데이터(이하,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라 칭함)는 상기 오브젝트에 매핑된 기능 실행에 대응하는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즉,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는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사용자의 실행 명령에 따라 실행되는 특정 어플리케이션의 화면데이터로서, 동영상 화면데이터, 이미지 화면데이터 및 문서 화면데이터(이하, '프리젠테이션 화면데이터'라 칭함) 등을 나타낸다. Here, among the binary screen data, the screen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ojector screen data') provided to the projector module 300 may be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execution mapped to the object. That is, the projector screen data is screen data of a specific application that is executed according to a user's execution command for the object, and includes moving picture screen data, image screen data, and document screen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esentation screen data' And so on.

또한,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 중, 상기 LCD 드라이버 모듈(150)로 제공되는 화면데이터(이하,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라 칭함)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외부 스크린(900) 상에 표시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의 운용 즉,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에 대응하는 기능 제어를 위한 화면데이터로서,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가상아이템들로 이루어진 화면데이터(GUI 화면데이터)를 나타낸다. 이러한 이원화 화면데이터에 대한 화면 예시들이 후술하는 도면들을 나타난다.The screen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provided to the LCD driver module 150 among the dual screen data is displayed on the external screen 900 through the projector module 300 (GUI screen data) made up of virtual items corresponding to the executing application, as screen data for operation of the projector screen data, i.e., function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Screen examples of such binary screen data are shown in the following figures.

상기한 동작을 각 구성별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800)는 프로젝터 기능이 수행되면,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화면 구성(예컨대, 메뉴 화면, 리스트 화면, 특정어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의 화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프레임 버퍼(750)로 전달한다. 즉,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표시수단(100)을 통해 제공하는 화면데이터(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동일한 형태의 화면 구성을 가지는 화면데이터를 생성한다. 즉,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제공할 화면데이터(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상 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 즉, 공통 화면데이터를 이원화 처리하여 상기 프레임 버퍼(750)로 전달한다. When the projector function is performed, the controller 800 generates screen data of a screen configuration (e.g., a menu screen, a list screen, or a specific application execution screen) corresponding to a user request To the frame buffer 750. That is, the control unit 800 generates screen data having the same screen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screen data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means 100. That is, the control unit 800 generates screen data (projector screen data) to be provided through the projector module 300, and divides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unit and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that is, the common screen data, And transmits the frame buffer 750 to the frame buffer 750.

한편, 상기 초기 단계에서는 공통 화면데이터가 제공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지만, 만약 프로젝터 기능 활성화 시의 휴대단말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휴대단말의 해당 시점에서의 수행 모드에 따라 공통 화면데이터 출력이 아닌, 이원화 화면데이터 출력을 위한 이원화 처리를 바로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이원화 화면데이터의 이원화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However, if the application is running in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time of activating the projector function or the execution mode at that point in tim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common screen data is not output ,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binarization process for outputting binary screen data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The binary processing of the binary screen data will be described later.

이때, 상기 프레임 버퍼(750)로 전달하는 상기 공통 화면데이터는 동일한 화면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 버퍼(750)에는 두 개의 화면데이터들(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 및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이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공통 화면데이터는 표시수단(100)을 통해 표시할 화면데이터(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상기 외부 스크린(900) 상에 표시할 화면데이터(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mmon screen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frame buffer 750 has the same screen configuration, and two screen data (projector screen data and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are transmitted to the frame buffer 750 . That is, the common screen data includes screen data (display data for display means)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eans 100 and screen data to be displayed on the external screen 900 through the projector module 300 Screen data).

여기서, 상기 프레임 버퍼(750)가 상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LCD 프레임 버퍼(751)와 프로젝터 프레임 버퍼(753)로 구분될 시, 상기 공통 화면데이터 중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는 상기 LCD 프레임버퍼(751)로 전달되고, 상기 공통 화면데이터 중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는 상기 프로젝터 프레임 버퍼(753)로 전달될 수 있다.When the frame buffer 750 is divided into an LCD frame buffer 751 and a projector frame buffer 753 as shown in FIG. 6, the display data for the display unit, among the common screen data, Buffer 751 and the projector screen data of the common screen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projector frame buffer 753. [

한편,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공통 화면데이터를 상기 프레임 버퍼(750)로 전달할 시 데이터 버스(Data Bus)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800)는 공 통 화면데이터를 상기 LCD 드라이버 모듈(150)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동시에 제공하기 위해 시간을 분할하는 방식 즉, 시분할(Time-division) 방식에 의하여 상기 공통 데이터를 해당 목적지로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800)는 해당 공통 데이터(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 및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순차적으로 교차하면서 교대로 상기 LCD 드라이버 모듈(150)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각각에 전달할 수 있다.Meanwhile, the control unit 800 may transmit the common picture data to the frame buffer 750 through a data bus. The controller 800 controls the LCD driver module 15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to provide common screen data to the LCD module 15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in a time division manner, To each destination. That is, the control unit 800 can alternately transmit the common data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and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to the LCD driver module 15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respectively.

상기 LCD 드라이버 모듈(150)은 상기 프레임 버퍼(750)에 적층되는 공통 화면데이터를 가져와서 상기 표시수단(100)으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 LCD 드라이버 모듈(150)은 상기 프레임 버퍼(750)에서 상기 공통 화면데이터 중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100)으로 전달한다. 만약, 상기 프레임 버퍼(750)가 LCD 프레임 버퍼(751)와 프로젝터 프레임 버퍼(753)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LCD 드라이버 모듈(150)은 상기 LCD 프레임버퍼(751)에 적층되는 공통 화면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100)으로 전달한다. The LCD driver module 150 fetches common screen data to be stacked on the frame buffer 750 and transfers the common screen data to the display unit 100. At this time, the LCD driver module 150 transfers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among the common screen data to the display means 100 in the frame buffer 750. If the frame buffer 750 is divided into an LCD frame buffer 751 and a projector frame buffer 753, the LCD driver module 150 may display common screen data stacked in the LCD frame buffer 751 To the display means (100).

상기 표시수단(100)은 상기 LCD 드라이버 모듈(150)을 통해 전달되는 공통 화면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되는 공통 화면데이터는 상기 외부 스크린(900)을 통해 표시되는 공통 화면데이터와 동일한 형태의 화면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화면 예시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display unit 100 displays the common screen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LCD driver module 150. At this time, the displayed common screen data has the same screen configuration as the common screen data displayed through the external screen 900. This screen example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프레임 버퍼(750)에 적층되는 공통 화면데이터를 가져와서 상기 외부 스크린(900)으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프레임 버퍼(750)에서 상기 공통 화면데이터 중 프로젝터용 화면데 이터를 상기 외부 스크린(900)으로 출력한다. 만약, 상기 프레임 버퍼(750)가 LCD 프레임 버퍼(751)와 프로젝터 프레임 버퍼(753)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프로젝터모듈(300)은 상기 프로젝터 프레임 버퍼(753)에 적층되는 공통 화면데이터를 상기 외부 스크린(900)으로 출력한다.The projector module 300 fetches common screen data stacked in the frame buffer 750 and outputs the common screen data to the external screen 900. At this time, the projector module 300 outputs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among the common screen data to the external screen 900 in the frame buffer 750. If the frame buffer 750 is divided into the LCD frame buffer 751 and the projector frame buffer 753, the projector module 300 transmits common picture data stacked in the projector frame buffer 753 to the external And outputs it to the screen 900.

상기 외부 스크린(900)은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출력되는 공통 화면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외부 스크린(900)은 특정 장치의 구성 요소(예컨대, 화이트 스크린 등)를 활용하거나, 또는 벽면, 바닥등과 같은 요소를 활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스크린(900)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 구성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데이터가 투사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물체를 나타낸다.The external screen 900 displays common screen data output through the projector module 300. The external screen 900 can utilize components of a particular device (e.g., a white screen, etc.) or utilize elements such as walls, floors, and the like. That is, the external screen 900 is not configured i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epresents any type of object through which the screen data output through the projector module 300 can be projected.

한편, 상기와 같이 프로젝터 모듈(300) 구동에 따른 공통 화면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100) 및 상기 외부 스크린(900)을 통해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특정 오브젝트 등에 의한 실행 명령이 이루어지면,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실행 명령에 대응하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는 서로 상이한 화면 구성을 가지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 및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를 나타낸다.Meanwhile, if an execution command is issued by a user from a user while displaying the common screen data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projector module 300 through the display unit 100 and the external screen 900 as described above, (800) generates binary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command. Here, the binary screen data represents screen data for a projector and screen data for a display means having different screen configurations.

이때,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는 상기 실행 명령이 발생하는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데이터일 수 있으며,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는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에 대응하는 즉,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기능 제어를 위한 GUI 화면데이터일수 있다.Here, the projector screen data may be execution screen data of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object in which the execution command is generated, and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may correspond to the projector screen data, that is, GUI screen data for control.

즉, 상기 제어부(800)는 실행 명령이 전달되면,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프레임 버퍼(750)로 전달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표시수단(100)을 통해 표시할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기능 제어용 화면데이터 즉,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GUI 화면데이터)와,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상기 외부 스크린(900)으로 표시할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실행 화면데이터 즉, 프로젝터용화면데이터를 각각 생성하고,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 즉,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이원화 처리하여 상기 프레임 버퍼(750)로 전달한다.That is, when the execution command is received, the controller 800 generates binary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application and transfers the screen data to the frame buffer 750. The control unit 800 controls the display unit 100 to display function control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an execution application to be displayed, that is,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GUI screen data) Generates execution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application to be displayed on the external screen 900, that is, projector screen surface data, and binarizes the screen data for display and the projector screen data, that is, (750).

이때, 상기 프레임 버퍼(750)로 전달하는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는 서로 다른 화면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프레임 버퍼(750)에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이원화 화면데이터들(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 및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이 전달될 수 있다. 즉,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는 상기 실행 명령에 따라 외부 스크린(900)을 통해 표시할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실행 화면데이터)와, 상기실행 명령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제어를 위한 가상아이템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표시수단(100)을 통해 표시할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GUI 화면데이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inary screen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frame buffer 750 has a different screen configuration, and the frame buffer 750 stores two different binary screen data (projector screen data and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 Can be delivered. That is, the binary screen data is composed of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execution screen data) to be displayed on the external screen 900 according to the execution command, and a virtual item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application executed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command (GUI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eans 100.

여기서, 상기 프레임 버퍼(750)가 상기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LCD 프레임 버퍼(751)와 프로젝터 프레임 버퍼(753)로 구분될 시,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 중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GUI 화면데이터)는 상기 LCD 프레임 버퍼(751)로 전달되고,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 중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실행화면데이터)는 상기 프로젝터 프레임 버퍼(753)로 전달될 수 있다.6, when the frame buffer 750 is divided into the LCD frame buffer 751 and the projector frame buffer 753,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GUI screen data Is transmitted to the LCD frame buffer 751, and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execution screen data) of the binary screen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projector frame buffer 753. [

한편,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상기 프레임 버퍼(750)로 전달할 시 데이터 버스(Data Bus)를 통해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00)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상기 LCD 드라이버 모듈(150)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동시에 출력하기 위해 시간을 분할하는 방식 즉, 시분할방식에 의하여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해당 목적지로 각각 전달할 수 있다. 즉, 제어부(800)는 해당 이원화 화면데이터(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 및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시분할적으로 교대로 출력함으로써, 해당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상기 LCD 드라이버모듈(150)과 프로젝터 모듈(300) 각각에 전달한다.The controller 800 may transmit the dual screen data to the frame buffer 750 through a data bus and the controller 100 may transmit the dual screen data to the LCD driver module 150 )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that is, the time division method, the binary image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corresponding destination. That is, the control unit 800 alternately outputs the corresponding dual screen data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and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alternately in a time-division manner so that the corresponding dual screen data is transmitted to the LCD driver module 15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Respectively.

상기 LCD 드라이버 모듈(150)은 상기 프레임 버퍼(750)에 적층되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가져와서 상기 표시수단(100)으로 전달한다. 이때, 상기LCD 드라이버 모듈(150)은 상기 프레임 버퍼(750)에서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 중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100)으로 전달한다. 만약, 상기 프레임 버퍼(750)가 LCD 프레임 버퍼(751)와 프로젝터 프레임 버퍼(753)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LCD 드라이버 모듈(150)은 상기 LCD 프레임버퍼(751)에 적층되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100)으로 전달한다. The LCD driver module 150 fetches the binary screen data to be stacked on the frame buffer 750 and transfers the same to the display means 100. At this time, the LCD driver module 150 transfers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among the binary screen data to the display means 100 in the frame buffer 750. If the frame buffer 750 is divided into the LCD frame buffer 751 and the projector frame buffer 753, the LCD driver module 150 may display the dual screen image data stacked in the LCD frame buffer 751 To the display means (100).

상기표시수단(100)은 상기 LCD 드라이버 모듈(150)을 통해 전달되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표시되는 이원화 화면데이터 즉,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는 상기 외부 스크린(900)을 통해 표시되는 이원화 화면데이터 즉, 프로젝터용화면데이터(실행 화면데이터)와 다른 화면 구성을 가지며,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는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의 실질적인 운용을 제어하기 위한 가상아이템으로 이루어진 화면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예시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display unit 100 displays dual screen data transmitted through the LCD driver module 150. At this time, the displayed dual screen data, that is,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has a different screen configuration from the dual screen data displayed through the external screen 900, that is, the projector screen data (execution screen data) The screen data may have a screen configuration made up of virtual items for controlling the actual operation of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This screen example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프레임 버퍼(750)에 적층되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가져와서 상기 외부 스크린(900)으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프레임 버퍼(750)에서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 중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상기 외부 스크린(900)으로 출력한다. 만약, 상기 프레임 버퍼(750)가 LCD 프레임 버퍼(751)와 프로젝터 프레임 버퍼(753)로 구분되는 경우,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은 상기 프로젝터 프레임 버퍼(753)에 적층되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상기 외부 스크린(900)으로 출력한다.The projector module 300 fetches the binary screen data stacked in the frame buffer 750 and outputs the binary screen data to the external screen 900. At this time, the projector module 300 outputs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among the dual screen data to the external screen 900 in the frame buffer 750. If the frame buffer 750 is divided into the LCD frame buffer 751 and the projector frame buffer 753, the projector module 300 transmits the dual screen image data stacked in the projector frame buffer 753 to the external And outputs it to the screen 900.

상기 외부 스크린(900)은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출력되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외부 스크린(900)에 표시되는 이원화 화면데이터 즉,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는 상기 표시수단(100)을 통해 표시되는 이원화 화면데이터 즉,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다른 화면 구성을 가지며,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실행 화면데이터(동영상 재생 화면데이터, 이미지재생 화면데이터, 디지털 방송 재생 화면데이터 및 텍스트 화면데이터 등과 같은 프리젠테이션 화면데이터)를 표시한다. 상기 실행 화면데이터 즉,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는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예시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external screen 900 displays binary screen data output through the projector module 300. At this time, the dual screen data displayed on the external screen 900, that is,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has a screen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e screen data for the dual screen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eans 100, that is,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Presentation screen data such as moving picture playback screen data, image playback screen data, digital broadcast playback screen data, text screen data, and the like) corresponding to the playback screen data. The execution screen data, that is,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rol inputted through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This screen example will be described later.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단말에 서 화면데이터 이원화 처리 방안 및 그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서 화면데이터 이원화 처리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동작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shown. 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a method of screen data conversion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us can be applied to various embodiments based on the following embodiments.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화면데이터의 이원화 처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cessing screen data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rojecto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은 사용자의 프로젝터 기능 요청에 응답하여 프로젝터 모듈(300)을 구동한다(S701단계). 즉, 사용자는 휴대단말에 내장되어 있는 프로젝터 기능을 특정한 버튼이나 키 등의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활성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특정 메뉴 진입을 통해 프로젝터 기능을 활성화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상기 프로젝터기능의 활성화 이전에, 상기 휴대단말은 표시수단(100)을 통해 사용자 요청에 대응하는 특정 화면데이터를 표시하고 있는 경우를 가정한다.Referring to FIGS. 1 to 7, first, the mobile terminal drives the projector module 300 in response to a request for a projector function of a user (step S701). That is, the user can activate the projector function built in the portable terminal using input means such as a specific button or key. In addition, the user can activate the projector function through a specific menu entry. Here, it is assumed that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specific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a user request through the display means 100 before activating the projector function.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구동 시, 상기 표시수단(100) 상에 표시되고 있는 화면데이터와 동일한 화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제공한다(S703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표시수단(100)으로 제공할 화면데이터(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제공할 화면데이터(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공통 화면데이터로 생성하고, 상기 공통 화면데이터를 이원화 처리하여 상기 표시수단(100)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로 각각 출력한다. Next, when the projector module 300 is driven, the portable terminal generates screen data that is the same as the screen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and provides the screen data to the projector module 300 (step S703).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generates screen data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to be provided to the display means 100 and screen data (projector screen data) to be provided to the projector module 300 as common screen data , Binarizes the common screen data, and outputs it to the display means 10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respectively.

상기 S703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표시수단(100)에 표시되는 화면데이터(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동일한 형태의 화면 구성을 가지는 화면데이터(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상기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외부 스크린(900)으로 출력한다. 즉, 상기 S703단계에서는 상기 휴대단말이 현재 상기 표시수단(100)에 표시되고 있는 화면데이터의 형상 그대로 프로젝터 모듈(300)로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출력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기휴대단말은 각 화면데이터들을 상기 표시수단(100)과,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한 상기 외부 스크린(900)에 동시에 출력하기 위해 시분할 방식을 이용하여 LCD 드라이버 모듈(150) 및 프로젝터 모듈(300)로 화면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In step S703, the portable terminal sends screen data (projector screen data) having the same screen configuration as the screen data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100 to the projector module 300 To the external screen (900). That is, in step S703, the portable terminal outputs the projector screen data to the projector module 300 in the form of the screen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at present. In this process, the portable terminal simultaneously outputs the LCD data to the LCD driver module 150 and the LCD driver module 150 using a time division method to simultaneously output the screen data to the display unit 100 and the external screen 900 through the projector module 300, The screen data can be transmitted to the projector module 300.

한편, 상기 도 7에서는 초기 단계에서 공통 화면데이터가 제공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지만, 만약 프로젝터 기능 활성화 시 휴대단말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휴대단말의 해당 시점에서의 수행 모드에 따라 공통 화면데이터 출력이 아닌, 이원화 화면데이터 출력을 이원화 처리를 바로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7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common screen data is provided in the initial stage. However, if the application running in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execution mode at the corresponding point in time of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time of activating the projector function,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binary screen data output can be performed immediately after the binarization processing.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와 같이 프로젝터 모듈(300) 구동에 따른 공통 화면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100) 및 상기 외부 스크린(900)을 통해 표시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특정 오브젝트에 의한 실행 명령을 감지할 수 있다(S705단계). 즉, 사용자는 상기 표시수단(100)을 통해 제공되는 화면데이터를 구성하는 오브젝트들 중 실행을 희망하는 특정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그에 따른 실행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의 상기 실행 제어에 따른 진행 상태를 상기 표시수단(100) 및 상기 외부 스크린(900)을 통해 동일한 형태의 화면데이터로 계속하여 제공할 수 있다.Next, while displaying the common screen data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projector module 300 through the display means 100 and the external screen 900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an execution command based on the specific object from the user (Step S705). That is, the user can select a specific object to be executed among the objects constituting the screen data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means 100, and control the execution accordingly. At this time, the portable terminal can continuously provide the progress status according to the execution control of the user through the display means 100 and the external screen 900 in the same form of screen data.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실행 명령을 감지할 시 상기 실행 명령에 대응하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생성한다(S707단계).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는 서로 상이한 화면 구성을 가지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와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를 나타낸다.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전달할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와, 상기 표시수단(100)으로 전달할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는 상기 실행 명령이 발생하는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데이터일 수 있으며,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는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에 대응하는 즉,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기능 제어를 위한 화면데이터일 수 있다. Next, when the mobile terminal detects the execution command, it generates binary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command (step S707). The binary screen data represents projector screen data having different screen configurations and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generates screen data for a projector to be transmitted to the projector module 300 and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to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means 100. [ Here, the projector screen data may be execution screen data of an application corresponding to the object in which the execution command is generated, and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may correspond to the projector screen data, that is, And may be screen data for control.

예를 들면,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는 동영상 재생 화면데이터, 디지털방송 재생 화면데이터, 이미지 재생 화면데이터 및 문서 화면데이터 등과 같은 프리젠테이션 화면데이터일 수 있으며,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는 상기와 같은 프리젠테이션 화면데이터의 기능 제어를 위한 화면데이터일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는 동영상 재생 기능 제어를 위한 화면데이터, 디지털 방송 재생 기능 제어를 위한 화면데이터, 사진 파일 등의 이미지 리스트를 나타내는 화면데이터, 페이지 전환 및 프리젠테이션 기능 제어 등을 위한 화면데이터 등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projector screen data may be presentation screen data such as moving picture playback screen data, digital broadcast playback screen data, image playback screen data, document screen data, and the like. And screen data for function control of the screen image data. For example,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may include screen data for controlling the moving picture playback function, screen data for controlling the digital broadcast playback function, screen data representing an image list such as a picture file, page switching, And the like.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와 같이 상기 표시수단(100)을 통해 표시할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통해 외부 스크린(900)으로 표시할 실행 어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각각 생성한 후, 상기 생성하는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 즉,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이원화 처리하여 상기 표시수단(100)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각각 출력한다(S709단계). 상기 S709단계에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외부 스크린(900)으로 출력하고,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의 기능 제어와 관련된 제어 수행이 가능한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100)을 통해 표시한다.Next,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corresponding to an execution application to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eans 100 and a projector corresponding to an execution application to be displayed on the external screen 900 through the projector module, And then outputs the generated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and the projector screen data, that is, the dual screen data, to the display means 10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respectively (Step S709). In step S709, the portable terminal outputs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to the external screen 900 through the projector module 300, and displays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capable of performing control related to the function control of the projector screen data Through the display means (100).

이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터치스크린(100)을 통해 제공되는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를 이용한 사용자의 제어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외부 스크린(900)으로 출력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의 기능과 관련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이용한 제어 방식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화면 예시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In response to the user's control using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provided through the touch screen 100,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which is output to the external screen 900 through the projector module 300 Can be performed. The control method using the binary screen data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screen example to be described later.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이원화 처리하는 화면데이터의 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screen data to be binarized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projecto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휴대단말은 사용자의 프로젝터 기능 활성화 요청에 응답하여 프로젝터 모듈(300)을 구동한다(S801단계). 이어서, 휴대단말은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구동 시 공통 화면데이터를 생성하여 표시수단(100) 및 프로젝터 모듈(300)로 각각 출력한다(S803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표시수단(100)으로 제공할 화면데이터(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상기프로젝터 모듈(300)로 제공할 화면데이터(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공통 화면데이터로 생성하고, 상기 공통 화면데이터를 이원화 처리하여 상기 표시수단(100)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각각 출력한다.1 to 8, the portable terminal drives the projector module 300 in response to a request to activate a projector function of a user (step S801). Then, the portable terminal generates common screen data when the projector module 300 is driven, and outputs the common screen data to the display means 10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respectively (S803).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generates screen data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to be provided to the display means 100 and screen data (projector screen data) to be provided to the projector module 300 as common screen data , Binarizes the common screen data, and outputs it to the display means 10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respectively.

한편, 상기 도 8에서는 상기와 같이 프로젝터 모듈(300) 구동 시 공통 화면데이터가 표시수단(100) 및 프로젝터모듈(300)로 제공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하지만, 프로젝터 모듈(300) 구동 시 휴대단말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시점에서 상기 휴대단말의 수행 모드에 따라 이원화 화면데이터가 표시수단(100) 및 프로젝터 모듈(300)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8 illustrates a case in which common screen data is provided to the display unit 10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when the projector module 300 is driven as described above. However, it goes without saying that binary screen data may be provided to the display means 10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being executed in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execu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at the time when the projector module 300 is driven .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와 같이 프로젝터 모듈(300) 구동에 따른 공통 화면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100) 및 프로젝터 모듈(300)로 제공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특정 입력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S805단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입력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상기 입력이벤트가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어플리케이션/기능 실행 명령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807단계).Next, the portable terminal can detect occurrence of a specific input event from the user while providing the common screen data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projector module 300 to the display unit 10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as described above (Step S805). Upon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input event,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event is an application / function execution command for a specific object (step S807).

상기 S807단계의 판별결과, 상기 입력이벤트가 실행 명령이 아니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입력이벤트에 대응하여 화면데이터를 전환하고(S809단계), 화면데이터 전환에 따른 공통 화면데이터를 표시수단(100) 및 프로젝터 모듈(300)로 출력한다(S809단계). 예를 들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입력이벤트에 대응하는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하는 각각의 화면데이터들 즉, 공통 화면데이터를 이원화 처리하여 표시수단(100) 및 프로젝터 모 듈(300)로 제공한다. 상기 공통 화면데이터의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는 동일한 형태의 화면 구성을 가진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807 that the input event is not an execution command, the portable terminal switches the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event (step S809)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step S809).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generates display data for display means and screen data for a projector corresponding to the input event, binarizes each of the generated screen data, that is, common screen data,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as shown in FIG.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of the common screen data and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have the same screen configuration.

상기 S807단계의 판별결과, 상기 입력이벤트가 실행 명령이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실행 명령이 발생하는 해당 오브젝트에 매핑된 어플리케이션/기능을 판단하고(S813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기능에 대응하는 실행 화면데이터 즉,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와,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에 대응하는 기능 제어를 위한 화면데이터 즉,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를 생성한다(S815단계).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807 that the input event is an execution command,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an application / function mapped to the object in which the execution command is generated (step S813) That is,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and the screen data for the function control corresponding to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that is,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step S815).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실행 명령에 따라 해당 오브젝트의 실행 어플리케이션/기능에 대응하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생성한다. 이어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생성하는 각각의 화면데이터들 즉,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이원화 처리하여 표시수단(100) 및 프로젝터 모듈(300)로 출력한다(S817단계).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의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와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는 서로 다른 형태의 화면 구성을 가진다.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generates binary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application / function of the object according to the execution command. Then, the portable terminal binarizes each of the generated screen data, that is, the binary screen data, and outputs the screen data to the display unit 10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in step S817. The projector screen data of the binary screen data and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have different screen configurations.

다음으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와 같이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100) 및 프로젝터 모듈(300)로 제공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특정입력이벤트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S819단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입력이벤트 발생을 감지하면, 상기 입력이벤트가 기능 제어를 위한 제어 명령인지 여부를 판별한다(S821단계).Next, while providing the dual screen data to the display unit 10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can detect occurrence of a specific input event from the user in step S819. Upon detecting the occurrence of the input event,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event is a control command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S821).

상기 S821단계의 판별결과, 상기 입력이벤트가 제어 명령이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게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처리한다(S823단계).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제어 명령이 발생하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제공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에 대한 기능을 처리하고, 상기 기능 처리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기능 처리에 따른 변경 정보가 반영된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제어 명령이 입력되는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에 대해서도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게 변환되는 화면데이터를 제공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821 that the input event is a control command, the mobile terminal processes the dual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control command in step S823. When the control command is generated, the mobile terminal processes the function for the projector screen data provided to the projector module 300, and controls the projector screen data according to the function processing. That is, projector-specific screen data reflecting the chang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 processing is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projector module 300.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provides screen data to be converted to correspond to the control command for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to which the control command is input.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제공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와 상기 표시수단(100)으로 제공하는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하는 각각의 화면데이터들 즉,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이원화 처리하여 표시수단(100) 및 프로젝터 모듈(300)로 제공한다. 이러한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화면 예시들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generates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provided for the projector module 300 and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provided to the display means 100 in response to the control command, And supplies the data to the display means 10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 The specific ope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creen examples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S821단계의 판별결과, 상기 입력이벤트가 제어 명령이 아니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입력이벤트가 복귀 명령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825단계). 상기 S825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입력이벤트가 복귀 명령이 아니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입력이벤트에 대응하는 해동 동작을 처리할 수 있다(S827단계). 예를 들면,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오프하고 프로젝터 기능을 비활성화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821 that the input event is not a control command,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input event is a return command (step S825).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825 that the input event is not a return command, the portable terminal can process a defrost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input event (step S827).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erform operations such as turning off the projector module 300 and deactivating the projector function.

상기 S825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입력이벤트가 복귀 명령이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복귀 명령에 대응하게 공통 화면데이터를 처리한다(S829단계).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복귀 명령이 발생하면,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이전의 화면데이터로 전환하게 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복귀 명령에 대응하여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제공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와 상기 표시수단(100)으로 제공하는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하는 각각의 화면데이터들 즉, 공통 화면데이터를 이원화 처리하여 표시수단(100) 및 프로젝터 모듈(300)로 제공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825 that the input event is a return instruction, the portable terminal processes common picture data corresponding to the return instruction in step S829. That is, when the return instruction is generated, the portable terminal switches to the screen data before perform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command. At this time, the portable terminal generates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provided to the projector module 300 and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provided to the display means 100 in response to the return instruction, And supplies the data, that is, the common screen data, to the display means 10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화면데이터의 이원화 방안을 개략적인 신호 흐름을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dualizing screen data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projector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schematic signal flow.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화면데이터의 이원화 처리에 따른 신호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공통 화면데이터 및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FIG. 9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ignal flow according to the binarization process of screen data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0 and 11 are views showing a screen for displaying the common screen data and the dual screen data Are views showing examples.

상기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800)는 사용자의 프로젝터 모듈 구동 요청에 응답하여 프로젝터 모듈(300)을 제어하여 구동한다(S901단계). Referring to FIGS. 1 to 9, the controller 800 controls the projector module 300 in response to a user's request to operate the projector module 300 (S901).

이어서, 상기 제어부(800)는 공통 화면데이터의 생성 및 상기 공통 화면데이터를 이원화 처리하여 프레임 버퍼(750)를 통해(S903단계, S905단계) LCD 드라이버 모듈(150)과 프로젝터 모듈(300) 각각으로 출력한다(S907단계, S909단계). The controller 800 generates the common screen data and binarizes the common screen data and outputs the same to the LCD driver module 15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through the frame buffer 750 in steps S903 and S905 (Steps S907 and S909).

이때,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구동 시, 상기 표시수단(100) 상에 표시되고 있는 화면데이터(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동일한 화면데이터(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상기 프로젝터모듈(300)로 제공한다. 즉,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 구동 시점에서, 이전에 LCD 드라이버 모 듈(150)을 통해 제공하는 화면데이터(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의 화면 구성과 동일한 화면 구성을 가지는 화면데이터(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생성하여 이원화 처리하고,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는 상기 표시수단(100)으로 제공하고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제공한다. 이때,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 및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는 프레임버퍼(750)를 통해 LCD 드라이버 모듈(150) 및 프로젝터 모듈(300) 각각으로 전달되는 화면데이터이지만, 그의 화면 구성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공통 화면데이터로서 제공된다. 이러한 화면 예시가 도 10에 나타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projector module 300 is driven, the control unit 800 transmits screen data (projector screen data) identical to the screen data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100 to the projector Module 300 as shown in FIG. That is, the control unit 800 controls the display of the screen data (display data for display means) previously provided through the LCD driver module 150 and the screen data of the display unit for display means (Projector screen data) having the same screen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projector screen, and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is provided to the display means 100, and the projector screen data is provided to the projector module 300, .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and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are screen data transmitted to the LCD driver module 15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through the frame buffer 750, And is provided as screen data. An example of such a screen is shown in Fig.

상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출력되어 외부 스크린(900) 상에 표시되는 화면데이터(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S13)와, 상기 LCD 드라이버 모듈(150)을 통해 표시수단(100) 상에 표시되는 화면데이터(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S11)가 동일한 화면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10, screen data (projector screen data) S13 output through the projector module 300 and displayed on the external screen 900 and the LCD driver module 150 through the LCD driver module 150 It can be seen that the screen data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S11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100 has the same screen configuration.

상기 도 10에서, 예를 들어, 사용자가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S11)의 특정 오브젝트에 입력이벤트를 발생할 시, 상기 입력이벤트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화면데이터가 상기 표시수단(100)을 통해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외부 스크린(900)에 제공되는 화면데이터 역시, 상기 변경되는 화면데이터와 동일한 형상의 화면데이터가 제공된다.In FIG. 10, for example, when a user generates an input event on a specific object of the display data S11 for display means, screen data that is changed in response to the input event is provided through the display means 100 . In this case, the screen data provided to the external screen 900 is also provided with screen data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screen data to be changed.

다음으로, 제어부(800)는 사용자의 특정 오브젝트에 의한 어플리케이션/기능 실행을 위한 실행 명령(S911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실행 명령되는 특정 오브젝트의 어플리케이션/기능에 대한 실행 절차 및 그에 따른 화면데이터의 이원화 처리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상기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in response to the execution command for executing the application / function by the user's specific object (step S911), the control unit 800 executes an execution procedure for the application / function of the specific object to be executed and the screen data A binarization procedure can be performe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즉, 상기 실행 명령 시, 상기 제어부(800)는 이원화 화면데이터의 생성 및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이원화 처리하여 프레임 버퍼(750)를 통해(S913단계, S915단계) LCD드라이버 모듈(150)과 프로젝터 모듈(300) 각각으로 출력한다(S917단계, S919단계).That is, at the execution command, the control unit 800 generates the dual screen data and binarizes the dual screen data and transmits the dual screen data to the LCD driver module 150 and the projector module 150 through the frame buffer 750 (steps S913 and S915) (Step S917 and step S919).

이때,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실행 명령 시 이전에 상기 표시수단(100) 상에 표시되고 있는 공통 화면데이터(예컨대, 도 10의 예시 화면)의 출력은 생략하고, 상기 실행 명령에 따른 어플리케이션/기능의 화면데이터(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와,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에 대한 기능 제어를 위한 화면데이터(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를 각각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생성하는 각 화면데이터들 즉,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상기 LCD 드라이버 모듈(150)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제공한다.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800 omits the output of the common screen data (for example, the example screen of Fig. 1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at the time of the execution command, (Screen data for projector) and screen data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for function control on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respectively. The controller 100 provides each of the generated screen data, that is, the dual screen data, to the LCD driver module 15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즉, 상기 제어부(800)는 상기 실행 명령이 발생하는 시점에서, 실행 어플리케이션/기능에 대응하는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각각 생성하여 이원화 처리하고, 실행 명령에 따라 실행한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에 대한 기능 제어를 위한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는 상기 표시수단(100)으로 제공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기능 실행에 대응하여 실행되는 실제 실행 화면데이터 즉,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제공한다. That is, at the time when the execution command is generated, the control unit 800 generates and binarizes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unit and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corresponding to the executing application / function,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screen data is provided to the display means 100. Actual screen data to be execut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application / function execution, that is,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

이때,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 및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는 프레임 버퍼(750)를 통해 LCD 드라이버 모듈(150) 및 프로젝터 모듈(300) 각각으로 전달되는 화면데이터로, 그의 화면 구성은 상이한 구성을 가지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로서 제공된다. 이러한 화면 예시가 도 11에 나타나 있다.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and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are screen data transmitted to the LCD driver module 15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through the frame buffer 750, And is provided as screen data. An example of such a screen is shown in Fig.

상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출력되어 외부 스크린(900) 상에 표시되는 화면데이터(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S23)와, 상기 LCD 드라이버 모듈(150)을 통해 상기표시수단(100) 상에 표시되는 화면데이터(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S21)가 상이한 화면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11, screen data (projector screen data) S23 outputted through the projector module 300 and displayed on the external screen 900, and the LCD driver module 150 The screen data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S21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100 has a different screen configuration.

상기 도 11에서, 예를 들어,사용자가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S21)의 특정 가상아이템에 입력이벤트를 발생할 시, 해당 가상아이템에 매핑된 기능을 처리하여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에 반영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상기 외부 스크린(900)을 통해 제공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S23)는 상기 기능 처리에 대응하게 변경된 화면데이터가 제공된다.In FIG. 11, for example, when a user generates an input event for a specific virtual item of screen data S21 for display means, the function mapped to the virtual item is processed and reflected in the projector screen data. In this case, the screen data S23 for the projector provided through the external screen 900 is provided with screen data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 process.

즉, 사용자는 상기 표시수단(100) 상에 제공되는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S21)에 의해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의 재생과 관련된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를 이루는 가상아이템들 중 특정 가상아이템에 입력이벤트(제어 명령)를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800)는 해당 가상아이템에 매핑된 기능을 식별하여 그에 따른 기능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the user can control the function related to the reproduction of the projector screen data by the screen data S21 for the display means provided on the display means 100. [ For example, when an input event (control command) is generated for a specific virtual item among the virtual items constituting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the control unit 800 identifies the function mapped to the virtual item, Can be performed.

예컨대, 사용자의 실행 명령에 의해 실행되는 오브젝트가 특정 동영상 파일인 경우, 상기 외부 스크린(900)을 통해 제공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S23)는 상기 동영상 파일에 대응하는 움직이는 화면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S21)는 동영상 재생 기능 제어를 위한 가상아이템 들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의 가상아이템들 중 재생/일시정지, 정지, 빨리감기(FF, Fast Forward), 뒤로감기(REW, Rewind), 볼륨제어 및 녹화 등의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object executed by the user's execution command is a specific moving image file, the screen image S23 for the projector provided through the external screen 900 may be provided with moving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moving image file . In this case, the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S21 may be composed of virtual items for controlling the moving picture playback function, and the user may select one of the virtual items as play / pause, stop, fast forward (FF) , Rewind (REW, Rewind), volume control, and recording.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단말에서 화면데이터의 이원화 처리에 의한 표시 제어 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도 1 내지 도 9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에서 수행되는 화면데이터 표시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시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단말의 동작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화면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In the above, the display control method by the binarization of the screen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projector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to FIG. Next, various screen examples according to screen data display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1 to 9 will be described.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creen example described below, and thus can be applied to various embodiments based on the following embodiments.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공통 화면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의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when common screen data is output from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 내지 12를 참조하면, 상기 LCD 드라이버 모듈(150)을 통해 표시수단(100)에 표시되는 화면데이터(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S31)와,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외부 스크린(900)에 표시되는 화면데이터(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S33)가 동일한 화면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1 to 12, screen data (display data for display means) S31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100 through the LCD driver module 150 and an external screen (Screen data for projector) (S33)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900 have the same screen configuration.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S31)의 특정 오브젝트 예컨대, 앨범(ALBUM) 오브젝트(S35)에 입력이벤트를 발생할 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입력이벤트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화면데이터(예컨대, 메뉴 리스트 화면)를 생성하고, 이러한 화면데이터를 이원화 처리하여 공통 화면데이터로 제공한다. 즉, 상 기 휴대단말은 상기 입력이벤트가 발생하는 해당 오브젝트(S35)에 대응하는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S37) 및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S39)를 생성하고, 이러한 화면데이터들(S37, S39)을 이원화 처리하여 상기 표시수단(100) 및 상기프로젝터 모듈(300)로 각각 제공한다. 상기 도 12에서는 앨범 오브젝트에 대한 하위 메뉴로서, 상기 앨범 오브젝트에 종속되는 메뉴 리스트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로 한다. 상기 메뉴 리스트는 상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 단위의 썸네일 이미지 리스트로 제공될 수도 있고, 사용자 설정 방식 및 실행 오브젝트에 대응하여 텍스트 리스트로 제공될 수도 있다. In this state, when the user generates an input event in a specific object such as an album (ALBUM) object S35 of the display data S31 for display means,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screen data (for example, , Menu list screen), and this screen data is binarized and provided as common screen data.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generates the screen data S37 for the display means and the screen data S39 for the projector corresponding to the object S35 at which the input event is generated. The screen data S37 and S39, And provides them to the display means 10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respectively. 12, a menu list subordinate to the album object is provided as a submenu for the album object. As shown in FIG. 12, the menu list may be provided as a thumbnail image list on a block-by-block basis, or may be provided as a text list corresponding to a user setting method and an execution object.

상기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오브젝트(S35)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기능 실행을 위한 오브젝트가 아닌, 하위 메뉴 등의 종속되는 요소를 포함하는 오브젝트인 경우를 가정한다. 만약, 상기 오브젝트가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기능이 매핑된 오브젝트인 경우, 상기 휴대단말은 공통 화면데이터 출력이 아닌,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예시가 도 13에 나타나 있다.As shown in FIG. 12, it is assumed that the specific object S35 is an object including subordinate elements such as a submenu, not an object for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or function. If the object is an object to which a specific application or function is mapped, the mobile terminal outputs binary screen data instead of outputting common screen data. Such an example is shown in Fig.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의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13은 이미지 뷰어 실행에 따른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1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creen in the case of outputting binary screen data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utputting binary screen data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image viewer.

상기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LCD 드라이버 모듈(150)을 통해 표시수단(100)에 표시되는 화면데이터(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S41)와,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외부 스크린(900)에 표시되는 화면데이터(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S43)가 서로 다른 화면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1 to 13, screen data (display data for display means) S41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100 through the LCD driver module 150 and external data And screen data (projector screen data) S43 displayed on the screen 900 have different screen configurations.

즉, 상기 도 12의 화면 예시에서 참조부호 S37 및 참조부호 S39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특정 오브젝트(S45)에 입력이벤트를 발생할 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입력이벤트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화면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러한 화면데이터를 이원화 처리하여 이원화 화면데이터로 제공한다. 즉, 상기휴대단말은 상기 입력이벤트가 발생하는 해당 오브젝트(S45)에 대응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S43)와 상기 오브젝트(S45)에 입력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입력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포커스 또는 하이라이트 등이 표시된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S41)를 생성하고, 이러한 화면데이터들(S41, S43)을 이원화 처리하여 상기 표시수단(100)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각각 제공한다. That is, when the user generates an input event in the specific object S45 in the state of S37 and S39 in the screen example of FIG. 12,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a screen Data is generated, and this screen data is binarized and provided as binary screen data.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the screen data for projector S43 corresponding to the object S45 in which the input event is generated, and the focus or highlight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the input event as the input event occurs in the object S45 Generates screen data S41 for the displayed means and provides the screen data S41 and S43 to the display means 10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respectively.

상기 도 13에서는 특정 이미지 오브젝트(S45)에 대한 실행 명령에 따라 해당 이미지 오브젝트를 확대하여 외부 스크린(900)으로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한다. 즉, 상기 도 13에서상기 특정 오브젝트(S45)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또는 기능 실행을 위한 매크로가 매핑된 오브젝트를 나타내며, 이러한 경우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출력하게 된다.In FIG. 13, the image object is enlarged according to an execution command for a specific image object S45 and is displayed on the external screen 900. That is, in FIG. 13, the specific object S45 represents an object to which a macro for executing a specific application or function is mapped, and in this case, the dual screen data is output.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S41)의 특정 오브젝트(S47)에 입력이벤트를 발생할 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입력이벤트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화면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러한 화면데이터를 이원화 처리하여 화면데이터로 제공한다. 즉, 상기휴대단말은 상기 입력이벤트가 발생하는 해당 오브젝트(S47)에 대응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S49)와 상기 오브젝트(S47)에 입력이벤트가 발생함에 따라 입력이벤트 발생을 알리는 포커스 또는 하이라이트 등이 표시된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S48)를 생성하고, 이러한 화면데이터들(S48, S49)을 이원화 처리하여 상기 표시수단(100)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각각 제공한다.Next, in the above state, when the user generates an input event in the specific object S47 of the screen data S41 for the display means, the portable terminal generates screen data to be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input event, This screen data is binarized and provided as screen data.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the projector screen data S49 corresponding to the object S47 at which the input event is generated, and the focus or highlight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the input event as the input event occurs in the object S47 Generates display data S48 for the displayed means and binarizes the screen data S48 and S49 and provides them to the display means 10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respectively.

한편, 상기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복귀 명령에 따른 입력이벤트 즉, 상기 도 12의 화면데이터가 제공되는 단계로 진입하기 위한 복귀 명령이 전달되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도 12에서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공통 화면데이터를 생성하여 출력하게 된다.12, when the user receives an input event corresponding to the return command, that is, a return command for entering the step of providing the screen data of FIG. 12, And generates and outputs the common screen data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의 다른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상기 도 14는 문서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 기능 수행 시의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의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14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screen example in the case of outputting binary screen data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In particular, FIG. 1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outputting binary screen data when a presentation function using a document is performed.

상기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LCD 드라이버 모듈(150)을 통해 표시수단(100)에 표시되는 화면데이터(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S51)와,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외부 스크린(900)에 표시되는 화면데이터(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S53)가 서로 다른 화면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도 14에서는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S51)가 상기 표시수단(100)의 가로 방향으로 표시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다.1 to 14, screen data (display data for display means) (S51)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100 through the LCD driver module 150 and external data And screen data (projector screen data) S53 displayed on the screen 900 have different screen configurations. Particularly, FIG. 1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creen data S51 for the display means is display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display means 100. FIG.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옵션 선택 등과 같은 특정 제어 행위에 의해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S53)의 제어를 위한 실행 명령을 발생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실행 명령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화면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러한 화 면데이터를 이원화 처리하여 이원화 화면데이터로 제공한다.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실행 명령에 대응하는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S55)와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S57)를 생성하고, 이러한 화면데이터들(S55, S57)을 이원화 처리하여 상기 표시수단(100)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각각 제공한다. In this state, when the user generates an execution command for controlling the projector screen data S53 by a specific control action such as option selection,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screen data to be changed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command And this screen data is binarized and provided as binary screen data.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generates the screen data S55 for the display unit and the screen data S57 for the projector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command, binarizes the screen data S55 and S57,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respectively.

상기 도 14에서는 특정 문서를 이용한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하는 경우, 예를 들면, 상기 문서 내의 텍스트 변경, 문단 변경, 페이지 전환, 페이지 미리보기 등과 같이 프리젠테이션 시 편집 또는 정보 변경 등을 위한 화면데이터가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로 제공되는 경우를 예로 한다. In the case of performing a presentation using a specific document, for example, screen data for editing or changing information in a presentation, such as text change, paragraph change, page change, page preview, etc., And the screen data for the means is provided as an example.

따라서 사용자는 메뉴 진입에 의한 특정 옵션 선택을 통해 편집 또는 정보 변경 등의 옵션 선택과 같은 실행 명령을 전달 할 시, 상기 휴대단말은 참조부호 S55의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에 나타낸바와 같이 페이지 미리보기 기능 등과 같은 오브젝트(S59)를 포함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제공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는 상기 참조부호 S53에 나타낸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와 대응하는 화면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delivers an execution command such as editing or option selection through selection of a specific option by menu entry, the mobile terminal displays a page preview function And the like (S59). At this time,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provided to the projector module 300 may have a screen configuration corresponding to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shown in S53.

또한, 상기 도 14에서는 생략하였으나,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S55)의 상기 오브젝트(S59)에 의한 실행 명령을 전달할 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실행명령에 대응하여 변경되는 화면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러한 화면데이터를 이원화 처리하여 화면데이터로 제공한다. 14, when the user transmits an execution command by the object S59 of the display unit screen data S55 in the state 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may change And this screen data is binarized and provided as screen data.

즉,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실행 명령이 발생하는 해당 오브젝트 예컨대, 참조부호 S59의 페이지 미리보기 오브젝트에서 특정 페이지를 지칭하는 오브젝트가 지정될 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실행 명령이 발생하는 해당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와, 해당 오브젝트에 실행 명령이 발생함에 따라 변경되는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단말은 이러한 화면데이터들을 이원화 처리하여 상기 표시수단(100)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각각 제공한다. That is, when the mobile terminal designates an object pointing to a specific page in the page preview object S59, the mobile terminal responds to the corresponding object generated by the execution command And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which is changed as an execution command is issued to the object. The portable terminal binarizes the screen data and provides the screen data to the display unit 10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respectively.

이러한 경우,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는 상기 참조부호 S53 및 참조부호 S57의 화면데이터와는 다른 화면 구성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변경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는 상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되는 페이지에 대한 화면데이터의 화면 구성을 가지게 된다.In this case,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has a screen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screen data of S53 and S57. That is, the changed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has a screen configuration of the screen data for the page designated by the user.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출력할 시 정보아이템을 함께 제공하는 경우의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FIGS. 15 and 16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for providing information items when the dual screen data is output from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LCD 드라이버 모듈(150)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이원화 화면데이터 출력 시,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정보아이템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보아이템은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 중 상기 프로젝터모듈(300)로 제공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에 표시할 다양한 정보를 나타내는 아이템으로,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에 가상아이템의 아이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정보아이템의 예시를 살펴보면 하기 <표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1 to 16, the portable terminal may provide at least one information item according to a user's setting when the dual screen data is output to the LCD driver module 15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item is an item representing various information to be displayed on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provided to the projector module 300 among the binary screen data, and can be provided as an icon form of the virtual item in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 An example of the information item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is as shown in Table 1 below.

Figure 112009012079035-pat00001
Figure 112009012079035-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휴대단말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아이템들 중 희망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정보아이템에 대한 정보 표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정보아이템으로는, 휴대단말의 배터리 잔량 정보를 아이콘 형태로 제공하는 배터리(Battery) 정보아이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및 전자메일(E-mail) 등의 문자메시지 서비스에 따른 수신 정보를 아이콘 형태로 제공하는 문자메시지 수신 정보아이템, 특정 상대 휴대단말로부터 콜(Call) 요청이 발생할 시 그에 따른 콜 수신 정보를 아이콘 형태로 제공하는 콜 수신 정보아이템, 특정 어플리케이션 예컨대, 동영상 또는 디지털 방송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과 관련된 기능 실행 시 그의 진행 정도 등의 정보를 간략한 가상아이템(예컨대, 재생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프로그래스 바 등)으로 제공하는 실행 정보아이템, 재난정보, 날씨정보 및 SOS 정보 등과 같은 서비스 정보가 수신됨을 아이콘 형태로 제공하는 긴급 정보아이템 및 사용자가 가입한 서비스 예컨대, 주식 서비스 등과 같은 서비스 정보가 수신됨을 아이콘 형태로 제공하는 서비스 정보아이템 등의 정보아이템들을 포함하며, 사용자는 상기 정보아이템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에 대응하는 정보아이템에 대한 표시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 1>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기 정보아이템은 휴대단말의 인디케이터 영역을 통해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들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As shown in Table 1, the user can set information display of at least one information item according to a desired one of various information items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 information item may include a battery information item for providing remaining battery level inform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form of an icon, a short message service (SMS), a 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E-mail, etc.), a call message providing information in the form of an icon in the form of a call recep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call request from a specific counterpart mobile terminal (E.g., a progress bar indicating the degree of reproduction progress),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progress of a function associated with playback of a multimedia data such as a moving image or a digital broadcast, Service information such as items, disaster information, weather information, and SOS information is received An emergency information item providing an icon in the form of an icon, and a service information item for providing service information such as a service subscription, such as a stock service, in the form of an icon, and the user can select at least one of the information items It is possible to set whether to display information items corresponding to one piece of information. It should be noted that although not shown in Table 1, the information item may provide some or all of various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indicator area of the portable terminal.

이러한 정보아이템의 표시는 사용자 설정에 따를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지정한 적어도 하나의 정보아이템은 프로젝터 기능 수행 시, 외부 스크린(900)의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화면 예시를 상기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The display of this information item may be in accordance with the user setting, and at least one information item designated by the user may be provided on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of the external screen 900 at the time of performing the projector function. An example of such a screen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and 16 as follows.

상기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도 15는 배터리정보와 문자메시지 수신정보 등의 정보아이템(S67)이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S63)에 함께 제공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상기 정보아이템 중 상기 배터리정보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외부 스크린(900)에 표시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S63)에 항상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문자메시지 수신정보 또는 콜 수신정보 등은 해당 이벤트(문자메시지 수신 또는 콜 수신)가 발생하는 경우에 제공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5, FIG. 1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n information item S67 such as battery information and text message recep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gether with the screen data S63 for a projector. In particular, the battery information among the information items may be displayed in the projector screen data S63 displayed on the external screen 900 according to the user's setting. The text message reception information, call reception information, A text message reception or a call reception) occurs.

예를 들어, 프로젝터 기능에 의해 외부 스크린(900)을 통해 특정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화면데이터를 출력하는 중에 문자메시지가 수신될 시, 상기 휴대단말은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S61)가 표시되는 표시수단(100)의 인디케이터 영역에 문자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정보아이템(S65)을 제공할 수 있다.아울러, 상기 휴대단말은 외부 스크린(900)에 표시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S63)의 일 영역에 상기 문자메시지 수신을 알리는 정보아이템(S67)을 제공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a text message is received while outputting screen data of specific multimedia data through the external screen 900 by the projector function,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display data S61 for display means The mobile terminal can provide the information item S65 to the indicator area of the external screen 900. The mobile terminal can also provide the information item S65 to the indicator area of the external screen 900. [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information item S67 informing reception.

이때,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S63)에 제공되는 정보아이템은 휴대단말의 인디케이터 영역에 표시되는 위치에 상응하는 영역에 표시되거나, 또는 사용자 시야 확보를 위해,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S63)가 방해되지 않는 상단 또는 하단 영역 등 사용자 설정에 따른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information item provided in the projector screen data S63 is display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displayed in the indicator area of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screen data S63 for the projector is not disturbed Or may be provided in an area according to a user setting such as an upper or lower area.

상기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도 16은 동영상 또는 디지털 방송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시 그의 진행 정도를 나타내는 프로그래스 바 등의 정보아이템(S79)이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S73)에 함께 제공되는 경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Referring to FIG. 16, FIG. 16 illustrates a case in which an information item S79 such as a progress bar indicating the progress of multimedia data such as moving pictures or digital broadcasting is provided together with the screen data for a projector S73 For example.

상기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젝터 기능에 의해 외부스크린(900)을 통해 특정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화면데이터를 출력할 시, 사용자 설정에 대응하는 정보아이템(S79)을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S73)에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 16에서는 배터리 정보아이템(S77) 및 실행 정보아이템(S79)이 제공되는 경우를 예시로 한다. 특히, 상기 도 16에서 상기 실행 정보아이템은 프로그래스 바와 같은 가상아이템이 제공되며, 상기 실행 정보아이템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진행 정도에 대응하여 가변되는 그의 진행 정도를 식별할 수 있도록 가변되어 표시된다. 16, when the screen data of specific multimedia data is outputted through the external screen 900 by the projector function, the information item S79 corresponding to the user setting is added together with the screen data for projector S73 . In FIG. 16, a battery information item S77 and an execution information item S79 are provided. In particular, in FIG. 16, the execution information item is provided with a virtual item such as a progress bar, and the execution information item is variably displayed so as to identify its degree of progress that varies according to progress of multimedia data reproduction.

이때, 상기 도 16의 예시에서와 같이, 표시수단(100)에 제공되는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S71)에서는 상기 실행 정보아이템(S79)의 표시가 생략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S71)는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S73)의 기능 제어를 위한 화면데이터로서 제공되고, 부가적인 정보아이템(S77, S79)의 표시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S73)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play of the execution information item S79 may be omitted in the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S71 provided to the display means 100, as in the example of FIG. That is, the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S71 is provided as screen data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projector screen data S73, the display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items S77 and S79 is provided for the projector screen data S73, Lt; / RTI &gt;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공통 화면데이터 및 이원화 화면데이터의 다른 출력 방식을 설명하기위한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1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creen for explaining another output method of the common screen data and the binary screen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LCD 드라이버 모듈(150)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300)로 공통 화면데이터 또는 이원화 화면데이터 출력 시, 사용자 설정에 따라 참조부호 S8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수단(100)의 동작을 오프(Off)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LCD 드라이버 모듈(150) 역시도 그 동작을 오프할 수 있으며, 아울러, 상기 표시수단(100)으로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 제공을 위한 이원화 처리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17, when the common screen data or the dual screen data is output to the LCD driver module 150 and the projector module 300,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means 100 can be turned off. In this case, the operation of the LCD driver module 150 can be turned off, and the dualization procedure for providing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can be omitted from the display means 100.

즉, 상기 휴대단말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프로젝터 기능 수행 시, 설정된 일정 시간동안 사용자로부터 휴대단말에 의한 어떠한 입력이벤트도 발생하지 않을 시, 절전모드 등으로 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절전모드라 함은, 프로젝터 기능 수행에 따른 동작은 구동하되, 휴대단말의 표시수단(100)으로 화면데이터 제공을 위한 데이터 처리 절차와, 그를 위한 구성 요소(표시수단, LCD 드라이버 모듈 등)의 동작을 오프하는 모드를 나타낼 수 있다.That is, when the projector function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the portable terminal can enter the power saving mode when no input event is generated by the portable terminal from the user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aving mode is a mode in which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xecution of the projector function is driven, and a data processing procedure for providing screen data to the display means 100 of the portable terminal, LCD driver module or the like) of the display device.

따라서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절전모드 수행을 결정하면, 공통 화면데이터 또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한 이원화 처리 동작을 종료한다. 즉, 상기 휴대단말은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 생성을 생략하고, LCD 드라이버 모듈(150) 및 표시수단(100)을 오프한다. 이때, 상기 휴대단말은 상기 공통화 화면데이터 또는 이원화 화면데이터에서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S83)만을 생성하고, 생성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S83)만을 프로젝터 모듈(300)을 통해 외부 스크린(900)으로 표시할 수 있다.Accordingly, if the mobile terminal determines to perform the power saving mode, the mobile terminal ends the dualization process for providing the common screen data or the dual screen data.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skips the generation of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and turns off the LCD driver module 150 and the display means 100. At this time, the portable terminal generates only the screen image data for projector S83 from the common screen data or the dual screen data, and displays only the projector screen data S83 to be generated on the external screen 900 through the projector module 300 can do.

상기 도 17에서는 이원화 화면데이터에 따른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를 예시로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경우 상기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휴대단말은 절전모드로 진입하면 LCD 드라이버 모듈(150) 및 표시수단(100)을 오프하고, 이원화 화면데이터 중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 생성은 생략한다. 즉, 상기 절전모드에서 휴대단말은 이원화 화면데이터 중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만을 생성하여 프로젝터 모듈(300)로 제공한다.In this case, when the portable terminal enters the power saving mode as shown in FIG. 16, the LCD driver module 150 and the display means (100) is turned off, and generation of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out of the binary screen data is omitted. That is, in the power saving mode, the portable terminal generates only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among the dual screen data and provides it to the projector module 300.

이때, 상기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정보아이템이 존재할 시, 상기 휴대단말은 해당 정보아이템(S85, S87)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단말은 절전모드에서도 사용자 설정에 따른 다양한 정보아이템(S85,S87)을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와 함께 제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7, when the information item set by the user is present, the mobile terminal can provide the information items S85 and S87 together.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can provide various information items S85 and S87 along with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in the power saving mode.

상기 도 15 내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젝터 기능에 의한 동작 수행 시, 절전모드에 의해 휴대단말의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으며, 아울러 사용자는 외부 스크린(900)을 통한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시청하는 중에, 휴대단말의 조작 없이도 배터리 잔량정보, 멀티미디어 재생 진행 정도, 문자메시지 또는 콜 수신 등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15 to 17,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operation by the projector function is performed,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reduced by the power saving mode, and the user can use the external screen 900 The user can intuitively confirm the remaining battery level information, the progress of the multimedia reproduction, the text message, or the call reception, etc., without operating the portable terminal while watching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through the projector.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 및 그의 화면데이터 출력 장치는, 표시수단 및 프로젝터 모듈로 전달할 각각의 화면데이터들을 생성하고, 상기화면데이터들을 이원화 처리하여 시분할적으로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표시수단 및 프로젝터 모듈로 전달되는 각 화면데이터들을 버퍼링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에서 버퍼링되는 화면데이터들 중 상기 표시수단을 목적지로 가지는 화면데이터를 추출하여 전달하는 LCD 드라이버 모듈과; 상기 LCD 드라이버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상기 표시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에서 버퍼링되는 화면데이터들 중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할 화면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하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여, 전술한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한 설명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두 개의 화면데이터들의 이원화 처리를 통해 표시수단 및 프로젝터 모듈로 공통 화면데이터 또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screen data outp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 screen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means and the projector module, and the screen data is binarized and output in a time division manner Control means; Storage means for buffering screen data transmitted to the display means and the projector module; An LCD driver module for extracting screen data having the destination of the display unit among the screen data buffered by the storage unit and delivering the screen dat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screen data transmitted from the LCD driver module; The projector module extracts screen data to be output to an external screen among the screen data buffered in the storage unit and outputs the extracted screen data to the external scree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mon screen data or binary screen data can be output to the display means and the projector module through the binarization of the two screen data a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bove-mentioned Figures 1 to 17, respectively.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예시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1 to 3 schematically illustrate examples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의 블록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4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출력 화면데이터의 이원화 처리를 위한 구성 예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5 and 6 ar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n exemplary configuration for binarizing output screen data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projecto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화면데이터의 이원화 처리 방법을 도시한 도면,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processing screen data 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rojecto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이원화 처리하는 화면데이터의 표시 방법을 도시한 도면,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screen data to be binarized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projector fun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 화면데이터의 이원화 처리에 따른 신호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ignal flow according to the binarization processing of screen data in the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에서공통 화면데이터 및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 예시를 도시한 도면들,FIG. 10 and FIG. 11 are views showing screen examples for displaying common screen data and dual screen data in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휴대단말에서화면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의 다양한 화면 예시들을 도시한 도면들.12 to 17 are diagrams illustrating various screen examples when screen data is output in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8)

프로젝터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서 화면데이터 출력 방법에 있어서,1. A screen data output method in a mobile terminal having a projector function, 프로젝터모듈을 활성화 하는 과정과,Activating the projector module, 표시수단 및 프로젝터 모듈로 전달할 각각의 화면데이터들을 생성하는 과정과,Generating display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means and the projector module, 상기 생성하는 각각의 화면데이터들을 이원화 처리하여 상기 표시수단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에 각각 시분할적으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력 방법.And outputting the divided screen data to the display unit and the projector module in a time-division manner, respectively, and outputting the divided screen data to the display unit and the projector module in a time-division man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과정은,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1, 상기 표시수단으로 표시할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통해 외부 스크린으로 표시할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 각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력 방법.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to be displayed by the display means and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to be displayed on the external screen through the projector module are generated.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 및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는 동일한 화면 구성을 가지는 공통 화면데이터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력 방법.And outputting the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and the projector screen data as common screen data having the same screen configuration.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 및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는 서로 다른 화면 구성을 가지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력 방법.And outputting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unit and the projector screen data as binary screen data having different screen configurations. 삭제delete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 중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에 의해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에 대한 기능 제어를 수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력 방법.And performing function control on the projector screen data by using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unit among the binary screen dat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하는 과정은,4.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공통 화면데이터에 의한 출력 중, 특정 오브젝트에 대한 실행 명령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화면 구성의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과,Generating binary screen data having different screen configurations in response to an execution command for a specific object among the output by the common screen data;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이원화 처리하여 상기 표시수단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로 각 화면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력 방법.And outputting each screen data to the display unit and the projector module.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creen dat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제4항에 있어서, 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의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정보아이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력 방법.Wherein the projector screen data of the binary screen data includes an information item according to a user setting. 제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 및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상기 표시수단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로 출력할 시, 설정된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의 출력을 생략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출력 방법.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mitting the output of the display data for the display means after a lapse of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when outputting the display data for the display means and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to the display means and the projector module A method for outputting screen data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function. 제9항에 있어서,10. The method of claim 9, 휴대단말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에 대응하는 정보아이템을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통해 제공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력 방법.And providing an information item corresponding to an event occurring in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력 시스템에 있어서,A screen data output system of a portable terminal, 프로젝터 기능 수행 시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로 이원화 처리하여 두 개의 화면데이터들을 생성하는 수단과,Means for generating two screen data by binarizing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and screen data for projectors when the projector function is performed;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 및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기능 수행에 대응하여 시분할 방식에 의해 공통 화면데이터 또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로 출력하는 수단과,Means for outputting the display data for the display means and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as common screen data or binary screen data in a time division manner in accordance with the performance of the function, 상기 공통 화면데이터 또는 이원화 화면데이터의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수단과,Means for displaying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of the common screen data or the binary screen data, 상기 공통 화면데이터 또는 이원화 화면데이터의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출력 시스템.And means for outputting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of the common screen data or the binary screen data to an external screen. 제11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공통 화면데이터는,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가 동일한 화면 구성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화면데이터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력 시스템.Wherein the common screen data is two screen data having the same screen configuration as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and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제11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는,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가 서로 다른 화면 구성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화면데이터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력 시스템.Wherein the dual screen data is two screen data having a screen configuration in which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and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삭제delete 제13항에 있어서,14. 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의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는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 의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에 대한 기능 제어를 위한 가상아이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력 시스템.Wherein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of the binary screen data includes a virtual item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of the binary screen data. 제15항에 있어서,16. The method of claim 15,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의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는 휴대단말의 기능 수행에 대응하는 실행 화면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력 시스템.Wherein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of the dual screen data is execution screen data corresponding to the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 제16항에 있어서,17. The method of claim 16,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의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는 사용자 설정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아이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출력 시스템.Wherein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of the dual screen data includes an information item for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 setting. 제11항에 있어서,12. The method of claim 11, 상기 공통 화면데이터 또는 이원화 화면데이터에 의한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 및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 출력 중, 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할 시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의 출력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 력 시스템.And the display data for the display means is output whe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elapses from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and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based on the common screen data or the binary screen data. Output system. 프로젝터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에 있어서,In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projector function, 프로젝터기능 활성화 시 출력하는 화면데이터를 표시수단을 목적지로 하는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프로젝터 모듈을 목적지로 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로 생성하여 시분할 방식에 의해 출력하는 제어부와,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for outputting screen data to be output when the projector function is activated to display means for the display means and screen data for a projector having the projector module as a destination,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output from said control means;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하는 프로젝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기능을 가지는 휴대단말.And a projector module for outputting projector screen data output from the controller to an external screen.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20. The apparatus of claim 19,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 및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동일한 화면 구성을 가지는 공통 화면데이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단말.And outputs the display data for the display means and the projector screen data as common screen data having the same screen configuration.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21. The apparatus of claim 20,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 및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서로 다른 화면 구성을 가지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단말.And the projector screen data is output as the binary screen data having different screen configurations. 삭제delete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22. The apparatus of claim 21,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의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에 의한 사용자 제어에 대응하여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의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의 변환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단말.And controls the conversion of the projector screen data of the binary screen data in accordance with the user control by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of the binary screen data.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24. The apparatus of claim 23,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의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에 사용자 설정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아이템을 포함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 터기능을 구비하는 휴대단말.And outputting an information item for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 setting to the screen data for a projector of the dual screen data.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25. The apparatus of claim 24, 상기 공통 화면데이터 또는 이원화 화면데이터에 의한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 및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 출력 중, 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할 시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의 출력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단말.And omits the output of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whe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elapses from the output of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and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by the common screen data or the binary screen data A mobile terminal.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21. The mobile terminal of claim 20, 상기 표시수단으로 전달되는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 및 상기 프로젝터 모듈로 전달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버퍼링하는 프레임 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단말.And a frame buffer for buffering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transmitted to said display means and screen data for projector transmitted to said projector module.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버퍼는,27. The apparatus of claim 26,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화면데이터들 중 상기 표시수단으로 전달되는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상기 프로젝터 모듈로 전달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구분하여 버퍼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단말.Wherein the controller divides and buffers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which is transmitted to the display means, out of screen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and screen data for projector transmitted to the projector module.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버퍼는,28. The frame buffer of claim 27, 상기 제어부가 상기 표시수단으로 전달하는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를 버퍼링하는 LCD 프레임 버퍼와,An LCD frame buffer for buffering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which the control unit transmits to the display means, 상기 제어부가 상기 프로젝터 모듈로 전달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버퍼링하는 프로젝터 프레임 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단말.And a projector frame buffer for buffering projector screen data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projector module.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은,27. The mobile terminal of claim 26, 상기 프레임 버퍼에서 버퍼링되는 화면데이터들 중 상기 표시수단을 목적지로 가지는 화면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표시수단으로 전달하는 LCD 드라이버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기능을 구비하는 휴대단말.And an LCD driver module for extracting screen data having a destination as a destination from the screen data buffered in the frame buffer and transmitting the extracted screen data to the display unit.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력 장치에 있어서,A screen data output apparatus of a portable terminal, 표시수단 및 프로젝터 모듈로 전달할 각각의 화면데이터들을 생성하고, 상기 화면데이터들을 이원화 처리하여 시분할적으로 출력하는 제어수단과,Control means for generating respective screen data to be transmitted to the display means and the projector module, binarizing the screen data, and outputting the screen data in a time- 상기 표시수단 및 프로젝터 모듈로 전달되는 각 화면데이터들을 버퍼링하는 저장수단과,Storage means for buffering screen data transmitted to the display means and the projector module; 상기 저장수단에서 버퍼링되는 화면데이터들 중 상기 표시수단을 목적지로 가지는 화면데이터를 추출하여 전달하는 LCD 드라이버 모듈과,An LCD driver module for extracting screen data having a destination as a destination from the screen data buffered by the storage unit and delivering the screen data, 상기 LCD 드라이버 모듈로부터 전달되는 화면데이터를 표시하는 상기 표시수단과,Display means for displaying screen data transmitted from the LCD driver module; 상기 저장수단에서 버퍼링되는 화면데이터들 중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할 화면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외부 스크린으로 출력하는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력 장치.And the projector module extracts screen data to be output to an external screen among the screen data buffered in the storage means and outputs the extracted screen data to the external screen.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31.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0, 상기 표시수단으로 표시할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와, 상기 프로젝터 모듈로 출력할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저장수단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력 장치.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to be displayed by the display means and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to be output to the projector module are generated and provided to the storage means.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3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1,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 및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동일한 화면 구성을 가지는 공통 화면데이터로 상기 저장수단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력 장치.And provides the display data for the display means and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to the storage means as common screen data having the same screen configuration.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33.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2,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 및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서로 다른 화면 구성을 가지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로 상기 저장수단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력 장치.The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and the projector screen data are provided to the storage means as binary screen data having different screen configurations.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34.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3,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의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에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의 기능 제어를 위한 가상아이템을 포함하여 상기 저장수단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력 장치.And a virtual item for controlling the function of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is included in the screen data for the display means of the binary screen data and is provided to the storage means.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35.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4, 상기 이원화 화면데이터의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에 사용자 설정에 따른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아이템을 포함하여 상기 저장수단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력 장치.Wherein the screen data providing unit includes an information item for providing various information according to a user setting to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of the dual screen data, and provides the screen data to the storage means.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3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31,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 및 상기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 출력 중, 설정된 일정시간이 경과할 시 상기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의 출력을 생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력 장치.Wherein the outputting of the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is omitted when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elapses from the output of the display data for the display means and the output of the screen data for the projector.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32. The apparatus of claim 31, 상기 제어수단이 전달하는 공통 화면데이터 또는 이원화 화면데이터를 버퍼링하는 프레임 버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력 장치.Wherein the control unit is a frame buffer for buffering common screen data or binary screen data transmitted by the control unit.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버퍼는,The apparatus of claim 37, wherein the frame buffer comprises: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표시수단을 목적지로 전달하는 표시수단용 화면데이터를 버퍼링하는 LCD 프레임 버퍼와,An LCD frame buffer for buffering screen data for display means for transferring the display means to a destination,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목적지로 전달하는 프로젝터용 화면데이터를 버퍼링하는 프로젝터 프레임 버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의 화면데이터 출력 장치.And a projector frame buffer for buffering screen data for projectors for transferring the projector module to a destination by the control means.
KR1020090016468A 2009-02-05 2009-02-26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dual processing of display data in a projector portable device KR1015245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700,011 US8700097B2 (en) 2009-02-05 2010-02-04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ual-processing of screen data in mobile terminal having projector function
US14/249,712 US20140204001A1 (en) 2009-02-05 2014-04-10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ual-processing of screen data in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09493 2009-02-05
KR1020090009493 2009-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175A KR20100090175A (en) 2010-08-13
KR101524594B1 true KR101524594B1 (en) 2015-06-03

Family

ID=42755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468A KR101524594B1 (en) 2009-02-05 2009-02-26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dual processing of display data in a projector portable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59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8379B2 (en) 2016-08-03 2021-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2694B (en) * 2014-12-29 2024-02-06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Projection system and projection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8611A (en) * 2006-05-08 2007-11-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Display method by projector in dmb terminal and its system
KR20080021204A (en) * 2006-08-30 2008-03-07 삼성전기주식회사 Mobile unit using the projector of optical modul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8611A (en) * 2006-05-08 2007-11-13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Display method by projector in dmb terminal and its system
KR20080021204A (en) * 2006-08-30 2008-03-07 삼성전기주식회사 Mobile unit using the projector of optical modul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48379B2 (en) 2016-08-03 2021-06-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0175A (en) 2010-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00097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dual-processing of screen data in mobile terminal having projector function
US107545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function in touch device
US10917511B2 (en)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voice-message call service
WO2021213496A1 (en) Message display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KR101693690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3360238A (en) Message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6708538B (en) Interface display method and device
US2011015192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output of a mobile device
US2014019208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ying out image using image recognition
KR101688145B1 (en) Method for reproducing moving pictur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is method
KR101917696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151525A1 (en) Message sending method, and terminal device
CN101938570A (en) Mobile terminal
US20140192137A1 (en) Video communicatio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processing method thereof
CN114422463A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1524594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or dual processing of display data in a projector portable device
KR101741398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CN106020699B (en) A kind of input method switching method, device and terminal
KR101781846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of the same
KR101680663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message list thereof
KR101598226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related moving image method for displaying moving imag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CN109714247A (en) Group cha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1674953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object icon thereof
CN112463085A (en) Function integrating system and function integrating device
KR101582234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