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2667B1 - Driving type surfboard - Google Patents

Driving type surf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2667B1
KR101522667B1 KR1020140081177A KR20140081177A KR101522667B1 KR 101522667 B1 KR101522667 B1 KR 101522667B1 KR 1020140081177 A KR1020140081177 A KR 1020140081177A KR 20140081177 A KR20140081177 A KR 20140081177A KR 101522667 B1 KR101522667 B1 KR 101522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body part
power
rudder
surf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1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권회
Original Assignee
구권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권회 filed Critical 구권회
Priority to KR1020140081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266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2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2667B1/en
Priority to PCT/KR2015/006570 priority patent/WO201600312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10Motor-propelled water sports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40Twintip boards; Wakeboards; Surfboards; Windsurfing boards; Paddle boards, e.g. SUP board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B32/45Fixation means for feet of the board user, e.g. footstr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2/00Water sports boards; Accessories therefor
    • B63B32/60Board appendages, e.g. fins, hydrofoils or centre boards
    • B63B32/64Adjustable, e.g. by adding sections, by removing sections or by changing orientation or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21Control means for engine or transmission,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riving type surfboard capable of augmenting flow rate of a water flowing in an inlet while passing a propeller when moving by an operating part of a low DC motor due to the surfboard′s characteristics of being thin and lightweight.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dy part formed in a lengthy shap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buoyant; a controlling part installed inside the body part to control the body part to move in one direction in accordance to a wireless control movement using a wireless control device; a motor power propelling part to generate a propelling force in accordance to the wireless control movement, and the force transferred to a propeller installed inside; a battery installed inside the body part, and charge electric energy supplied from the outside; a driving motor installed in the rear bottom of the body part to transfer a driving force to the motor power propelling part by electrical energy supplied from the battery; and a flow rate augmenting cover installed to the bottom of the body part, having a diameter structure whereby the size gradually becomes narrower such that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may be augmented when the body part moves by the operating motor when passing the propeller.

Description

동력식 서핑보드{DRIVING TYPE SURFBOARD}[0001] DRIVING TYPE SURFBOARD [0002]

본 발명은 동력식 서핑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얇은 두께와 가벼운 무게로 제조되며, 출력 용량이 낮은 DC 모터의 동력부와 부피가 적은 축전부를 구비한 서핑보드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미리 설계된 출력 용량의 동력을 이용하여 이동 속도를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동력 구조물로 제공되는 제2 몸체부와 접합 또는 분리가능케 결합되는 제1 몸체부가 내부에 공기가 선택적으로 주입되는 공기 튜브 타입으로 형성된 공기 구조물로 제공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서핑보드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서핑보드에 대한 휴대,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동력식 서핑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 type surfing bo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wer type surfing board which is manufactured with a thin thickness and a light weight and which is designed in advance despite the characteristics of a surfboard having a power portion of a DC motor having a low output capacity and a power storage portion having a small volume A first body portion joined to or separable from a second body portion provided as a power structure is provided with an air tube type in which air is selectively injected into the first body por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wer-type surfing board capable of easily carrying, storing and transporting a surfboard by minimizing the volume of a surfboard selectively.

최근, 생활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레저활동 인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레저활동 또한 수상에서 할 수 있는 서핑이나 수상스키 등의 수상 레저와 산에서 할 수 있는 등반이나 오프 로드 등의 산악 레저와 도로에서 할 수 있는 하이킹 등의 도로 레저 등 다양해지고 있다.In recent years, as the standard of living has increased, the leisure activity population has been increasing, and such leisure activities can also be enjoyed at water sports such as surfing, water skiing, etc., And road leisure such as hiking that can be done.

이중 수상에서 할 수 있는 대표적인 레저로는 서핑보드를 이용하여 즐길 수 있는 서핑이 있는데, 이러한 서핑은 적절한 수위와 파도 등 자연조건이 만족되어야만 즐길 수 있다.One of the most popular leisure activities in the award is surfing using surfboards. These surfs can only be enjoyed if natural conditions such as proper water level and waves are satisfied.

그러나, 우리나라에서는 서핑이 가능한 자연조건을 만족하는 장소가 극히 제한되어 있어 국내에서는 제한적으로 서핑보드를 즐길 수 밖에 없었다.However, in Korea, there are limited places that satisfy natural conditions that can surf.

한편, 서핑이 가능한 자연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지역이나 국가에서는 바람을 이용한 윈드서핑을 즐기고 있는 실정이다.On the other hand, regions and countries that do not meet the natural conditions for surfing enjoy windsurfing using wind.

하지만, 이러한 윈드서핑 또한 서핑을 즐기기 위한 자연조건이 최소화된 상태에서라도 적당한 세기의 바람은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바람이 미약하거나 거의 없는 날에는 윈드 서핑을 즐길 수가 없으며, 또한 바람이 있더라도 윈드 서핑을 즐기기 위해서는 바람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한 돛을 이용하는 기술을 습득하여야 하여야만 한다.However, these windsurfing must also have adequate wind intensity, even with minimal natural conditions to enjoy surfing. Therefore, it is impossible to enjoy windsurfing on a day when the wind is weak or scarce. Also, in order to enjoy windsurfing, it is necessary to acquire a technique of using a sail to adjust the wind direction.

한편, 이와 같은 종래의 서핑보드에 배터리를 구비하여 자체적으로 동력을 갖는 동력식 서핑보드가 개발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서핑보드를 이동시키는 추진력이 약해 원활한 서핑보드를 즐길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developed a power type surfing board which has a battery in the conventional surfing board and has power of itself, but the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surfing board is weak, so that a smooth surfing board can not be enjoyed.

또한, 서핑보드는 그 길이가 일반인의 키보다 큰 약 2m 이상 정도의 길이로 제조되는 것인바, 일반적인 항공 및 승용 차량에는 수용 및 운반이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서핑보드를 수용할 수 있는 차량용 루프박스 등의 수납 장비를 설치하여야만 하였다.In addition, since the surfboard is manufactured to have a length of about 2 m or more, which is longer than the height of a general person, a car roof box that can accommodate a surfboard can not be accommodated and transported in general aviation and passenger vehicles Of the storage device.

그리고, 가정 등에서 보관시에는 서핑보드를 보관할 만한 장소가 마땅치 않을 시에는 미관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은 상황을 만들 수 밖에 없었다.In addition, when storing in a home or the like, when a place to store a surfboard is inadequate, it is inevitable to make a situation that is not desirable even for aesthetics.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04650호(2012.11.19)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04650 (November 19, 2012)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얇은 두께로 형성되며 원활한 이동성을 위해 소형 동력부로 구동되는 서핑보드가 이동될 때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유속이 프로펠러를 통과하면서 증강될 수 있는 동력식 서핑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opeller which is formed to have a thin thickness and in which a flow velocity of water flowing through an inlet when a surfboard driven by a small- And to provide a power type surfing board which can be augmented while passing through it.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서핑보드에 구비된 방향 전환부를 사용자가 리모콘을 이용하여 서핑을 즐길 때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는 무선으로 조정할 수 있는 동력식 서핑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wer type surfing board capable of wirelessly adjusting a direction changing unit provided on a surfboard to freely turn in a desired direction when a user enjoys surfing using a remote controller.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서핑보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2단으로 분리하여 휴대 보관상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특히 공기 튜브 타입으로 형성된 공기 구조물로 제공되는 제1 몸체부 내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방출시켜 제1 몸체부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2단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제1 몸체부의 내측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켜 서핑보드의 휴대 및 보관상의 편의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한 동력식 서핑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air conditioner which is separated into two stages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surfboard, The first body portion is selectively discharged to the outside so as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first body portion, thereby separating the first body portion into two stages and at the same time releasing the inner air of the first body portion to the outside, To provide a surfboar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은, 부력을 갖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무선 제어기를 이용한 무선 제어동작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무선 제어동작에 따라 추진력을 발생시켜 내부에 구비된 프로펠러로 전달하는 동력 추진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한 축전지와; 상기 몸체부의 후방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축전지에서 제공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상기 동력 추진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몸체부의 후방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가 구동모터에 의해 이동될 때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유속이 상기 프로펠러를 통과하면서 증강되도록 직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구조를 갖는 유속 증강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body portion formed to b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have buoyancy; A control unit installed inside the body unit and controlling the body unit to move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a radio control operation using a radio controller; A power propulsion unit for generating propulsive force according to the radio control oper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ropulsion force to a propeller provided therein; A battery installed inside the body for charging electric energy provided from the outside; A driving motor installed at a rear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to transmit a driving force to the power propulsion unit by electric energy provided from the battery; And a flow rate enhancing cover provided at a rear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in such a manner that the flow velocity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port increases when the body portion is moved by the driving motor .

또한, 상기 몸체부의 상면부에 설치되어, 태양의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 전지판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태양 전지판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축전지에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lar panel may further include a solar panel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o generate electric energy using solar light energy. The electric energy produced by the solar panel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And the battery is charged through the batter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식 서핑보드는, 상기 몸체부의 후방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타를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방향 전환부와; 사용자의 리모콘 무선 제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 또는 상기 방향타의 조작을 무선 제어방식으로 제어하는 무선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ower type surf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rection switching unit installed at a rear lower end of the body unit to control a rudder for chang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ody unit to be switch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nd a wireless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or the operation of the rudder according to a wireless control of the user's remote controller by a wireless control method.

삭제delete

또한, 상기 방향 전환부는, 상기 무선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방향전환 감속모터와; 상기 방향전환 감속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편심링크와; 상기 몸체부의 이동방향을 전환하는 방향타와; 일단이 상기 편심 링크에 링크되고 타단은 상기 방향타와 연결 고정된 방향 전환링크와; 상기 방향타의 방향 전환의 범위를 제한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위치감지소자와; 상기 무선 제어기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조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방향타가 중심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제3 위치 감지소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rection switching unit may include a direction switching deceleration motor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under the control of the radio controller; An eccentric link connected to a rotation axis of the directional deceleration motor; A rudder for chang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ody part; A direction switching link having one end linked to the eccentric link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udder; A pair of first and second position sensing elements for limiting a range of the direction change of the rudder; And a third position sensing element for sensing whether the rudder is positioned at the center when the wireless controller is not operated for a preset tim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식 서핑보드는, 부력을 갖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무선 제어동작에 따라 추진력을 발생시켜 내부에 구비된 프로펠러로 전달하는 동력 추진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방 하단부에 설치되어, 내부에서 제공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상기 동력 추진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몸체부의 후방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가 구동모터에 의해 이동될 때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유속이 상기 프로펠러를 통과하면서 증강되도록 직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구조를 갖는 유속 증강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ower type surf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formed to b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have buoyancy; A power propulsion unit for generating propulsive force according to the radio control oper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ropulsion force to a propeller provided therein; A driving motor installed at a rear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to transmit a driving force to the power propulsion unit by electric energy provided therein; And a flow rate enhancing cover provided at a rear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in such a manner that the flow velocity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port increases when the body portion is moved by the driving motor .

이와 같은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른 동력식 서핑보드가 동력 추진부에 구비된 프로펠러를 중심으로 유속증강커버를 구비하여 출력 용량이 낮은 DC 모터의 동력부를 사용함에도 서핑보드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을 구현한 것이다.In this case, the power type surf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ow rate enhancing cover around the propeller provided in the power pushing portion, so that the driving portion of the DC motor having a low output capacity is used, Which i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이와 같은 유속 증강커버를 구비한 서핑보드는, 상기 몸체부의 상면부에 설치되어, 태양의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 전지판과;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태양 전지판에서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한 축전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무선 제어기를 이용한 무선 제어동작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rfboard having the flow velocity enhancement cover may include a solar panel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to generate electric energy using solar light energy; A storage battery installed in the body part to charge electric energy provided by the solar panel; And a control unit installed inside the body unit and controlling the body unit to move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a radio control operation using a radio controller.

이와같은 서핑보드의 부가적인 특징은 동력식 서핑보드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자체적으로 공급하면서도 동력식 서핑보드를 무선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는 특징을 구현한 것이다. An additional feature of such a surfboard is that the power type surfing board can be controlled in a wireless manner while supplying power for driving the power type surfing board by itself.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동력식 서핑보드의 특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features of the power type surf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첫째, 얇은 두께로 형성되고 가벼운 무게의 특성상 낮은 DC 전원의 구동 동력부에 의해 구동되는 서핑보드가 이동될 때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유속이 프로펠러를 통과하면서 더욱더 증강될 수 있다.First, due to the nature of the light weight, which is formed of a thin thickness, the flow rate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can be further enhanced as the surfboard driven by the driving power portion of the low DC power source is moved through the propeller.

따라서, 별도의 높은 전원의 동력 추진 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종래의 동력식 서핑보드 보다 약 3배 이상의 추진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자체 구동력을 이용한 속도감 및 짧은 모터의 구동 시간을 연장시켜 보다 길게 서핑을 즐길 수 있다.Therefore, even if a separate high-power power propulsion device is not used, the driving force can be improved to about three times or more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power type surfing board, and the speed feeling using the self driving force and the driving time of the short motor can be extended, Enjoy.

둘째, 서핑보드에 구비된 방향 전환부를 사용자가 리모콘을 이용하여 무선으로 조정할 수 있어, 방향을 선회시 서핑 보드의 초보자라도 서핑보드를 원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선회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다.Secondly, the user can adjust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provided on the surfboard wirelessly using the remote controller, so that even when the user turns the direction, the surfboard can be freely turned in a desired direction.

셋째, 사용자가 서핑보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2단으로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서핑보드를 사용할 때에는 다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공기 튜브 타입으로 형성된 공기 구조물로 제공되는 제1 몸체부 내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방출시켜 제1 몸체부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2단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제1 몸체부의 내측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켜 일반 항공 운송 및 일반 승용차를 이용하더라도 운반이 원활할 뿐만 아니라 각 가정이나 사무실에 보관하더라도 많은 부피를 차지 않아 휴대, 운반 및 보관상의 편의성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다.Third,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surfboard, the user can separate and store the surfboard in two stages. When the user uses the surfboard, the user can reassemble the surfboard. In particular, The air of the first body portion is selectively discharged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first body portion, thereby separating the first body portion into two stages. At the same time, the inner air of the first body portion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Even if it is stored in each home or office, it does not take up a lot of volume and can further enhance the convenience of carrying, carrying and stor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서핑보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핑보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핑보드의 구동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핑보드의 방향전환부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핑보드의 분리 조립구조를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서핑보드의 추진과정을 보인 예시도이다.
1 is a side view of a surf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surf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illustrating a driving unit of a surf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direction switching unit of a surf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anatory view illustrating a separating and assembling structure of a surf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driving process of a surf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핑보드는, 몸체부(100), 동력 추진부(500), 구동모터(400), 유속 증강커버(600)로 구성되며, 태양 전지판(130), 축전지(300), 제어부(200)가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1 and 2, a surf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00, a power propelling unit 500, a driving motor 400, and a flow velocity enhancement cover 600, A battery 130, a battery 300, and a controller 20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여기서, 몸체부(100)는 부력을 갖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탑승자가 서서 서핑을 즐길 수 있도록 안내하는 보드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body part 100 is formed to b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have buoyancy, and is formed in the shape of a board for guiding the occupant to enjoy surfing.

또한, 몸체부(100)의 상면 전방부 또는 상면 후방부에는 태양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 전지판(130)이 구비된다. In addition, a solar panel 130, which generates electric energy using solar energy, is provided on a front surface portion or a rear surface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태양 전지판(130)은 다수의 솔라셀로 이루어진 공지의 전기 생산용 셀 소자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시켜 본 발명에 따른 서핑보드가 자체 구동력을 갖도록 축전지(300)에 저장된다.The solar panel 13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known electric production cell devic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olar cells and converts the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so that the surf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lf- .

이 경우, 태양 전지판(130)의 일측에는 온/오프 스위치(132)와 충전기 홀더(134)가 구비된 스위칭박스(120)가 구비되어, 축전지(300)로부터 공급된 전원의 공급이 선택적으로 단속된다.In this case, a switching box 120 having an on / off switch 132 and a charger holder 134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olar panel 130 so that the supply of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300 is selectively interrupted do.

덧붙여, 태양 전지판(130)의 상부에는 투명커버, 바람직하기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제조된 투명커버(130a)가 설치되어, 태양 전지판(130)의 손상이나 해수의 침투로 인해 집전방해 요소가 생기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a transparent cover 130a made of a transparent cover, preferably a polycarbonate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olar panel 130 to prevent damage to the solar panel 130 or penetration of seawater, Can be protected.

뿐만 아니라, 몸체부(100)의 상면 중앙부에는 미끄럼방지패드(140)가 부착되어, 사용자가 서핑을 위해 착지 자세로 몸체부(100)의 상면 중앙부에 섰을 때 쉽게 미끄러지지 않게 한다.In addition, a non-slip pad 140 is attached to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to prevent the user from slipping easily when standing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in a landing posture for surfing.

또한, 몸체부(100)의 상면에는 손잡이줄(150)이 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되어 사용자가 손잡이줄(150)를 잡은 상태에서 안전하게 서핑을 즐길 수 있다.The handle 15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0 so that the user can safely enjoy surfing while holding the handle 150.

그리고, 몸체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후단에 위치하는 몸체 접합부(100a)를 중심으로 길이방향에 대해 폭방향으로 각각 접합 또는 분리가능케 결합되는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로 구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body 100 includes first and second body portions 100a and 100b which are joined or detachably joined to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about a body joint portion 100a positioned at a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100, The first body part 120 and the second body part 120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이때, 제1 몸체부(110)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공기 구조물이며, 제2 몸체부(120)는 공기 구조물인 제1 몸체부(110)와 접합 또는 분리가능케 연결되며, 부력을 갖는 부력 구조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경량화된 우레탄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 몸체부(110)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는 공기 구조물로 제공되되, 특히 내부에 공기가 선택적으로 주입되는 공기 튜브 타입으로 형성된 공기 구조물로 제공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Here, the first body part 110 is an air structure into which air can be injected, and the second body part 120 is connected to or separated from the first body part 110, which is an air structure, It is preferable that a lightweight urethane foam be used.
Here, the first body part 110 is provided as an air structure into which air can be injected, and more particularly, an air structure formed as an air tube type in which air is selectively injected into the first body part 110.

아울러, 제1 몸체부(110)와 제2 몸체부(120)의 조립 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부(110) 및 제2 몸체부(120)의 폭방향에 형성된 각각의 단면에 서로 결합되는 경계면으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봉 삽입홈(112,122)이 각각 형성되며, 제1 및 제2 고정봉 삽입홈(112,122)과 상하로 간격을 두고 각각 제1 및 제2 걸림홈(114,124)이 각각 형성되며; 제1 및 제2 고정봉 삽입홈(112,122)에는 중앙부에 플랜지(162)가 돌출된 고정봉(160)의 양단이 각각 절반씩 끼워지고, 제1 및 제2 걸림홈(114,124)에는 고정구(170)가 각각 절반씩 끼워지되, 고정구(170)는 플랜지(162)를 고정하여 제1 및 제2 몸체부(110,120)의 대향하는 단면을 하나의 몸체부(100)로 결합하는 형태로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5,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assembl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respectively. And first and second fixed bar insertion grooves 112 and 122 formed to extend in the opposite direction from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xed bar insertion grooves 112 and 122, 1 and second latching grooves 114, 124, respectively; Both ends of the fixing rod 160 protruding from the flange 162 are fitt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rod insertion grooves 112 and 122. The fixing holes 170 and 170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114 and 124, The fastener 170 is assemb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lange 162 is fixed and the opposite end 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body parts 110 and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one body part 100 desirabl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제어부(200)는 몸체부(100)의 내부, 더 바람직하기로는 제2 몸체부(120)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리모콘 등을 이용하여 무선 제어 동작을 통해 몸체부(100)의 이동방향을 조정하도록 제어한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200 is installed inside the body 100, more preferably inside the second body 120, So as to adjust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ody part 100 through the opening / closing operation.

제어부(200)는 일종의 PCB 상에서 구현될 수 있으며, PCB 기판 상에 리모콘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명령을 수신하여 필요한 동작 명령을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전자소자들이 회로 설계된 구조를 갖는다.The control unit 200 may be implemented on a PCB,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electronic elements are designed to receive control commands received through a remote controller on a PCB substrate and transmit necessary operation commands.

또한, 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된 축전지(30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기에너지,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상술한 태양 전지판(130)에서 집전된 전기 에너지가 저장된다.The battery 300 installed inside the body part 100 stores electric energy supplied from the outside, more preferably electric energy collected from the solar panel 130 described above.

뿐만 아니라, 축전지(300)에는 구동모터(4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있어, 축전지(300)에서 전력이 제공되면 미리 설정된 용량의 동력을 발생시킨다.In addition, a drive motor 4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ttery 300, and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300,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er is generated.

이때, 구동모터(400)는 몸체부(100)의 후방 하단에 설치되어 동력 추진부(500)를 구동시켜 몸체부(100)가 전방으로 추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riving motor 400 is installed at the rear lower end of the body part 100 to drive the power driving part 500, and the body part 100 can be propelled forward.

여기에서, 동력 추진부(500)는, 리모콘을 통한 무선 제어동작에 따라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프로펠러(510)와, 일단은 구동모터(400)에 연결되고 타단은 프로펠러(510)에 연결된 구동축(410)과, 구동축(410)의 양단에 설되되는 한 쌍의 베어링(420,430)으로 구성된다.The power propulsion unit 500 includes a propeller 510 generating a propulsion force in response to a radio control operation through a remote controller and a drive shaft 410 connected to the propeller 510 at one end, And a pair of bearings 420 and 430 mounted on both ends of the drive shaft 41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서핑 보드의 추진력을 높이기 위한 유속증강커버(6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부(100)의 후방 하단부, 더 정확하게는 프로펠러(510)의 직하방에 설치되어 프로펠러(510)가 회전되면서 앞쪽의 물을 끌어 들여 뒤쪽으로 배출하여 추진력을 얻을 때 유속의 흐름을 빠르게 함으로써 추진력을 현저하게 증대시키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velocity enhancement cover 600 for increasing the propulsion of the surfboard is located at the rear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100, more precisely right below the propeller 510,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peller 510 is installed in such a structure that the propeller 510 is rotated to draw forward water and discharge the propeller 510 to the rear so as to increase the propelling force by increasing the flow rate of the propeller.

특히, 유속증강커버(600)는 몸체부(100)가 구동모터(400)에 의해 이동될 때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유속이 프로펠러(510)를 통과하면서 증강되도록 직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the flow velocity enhancing cover 600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body 100 is moved by the drive motor 400, the flow rate of the 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is gradually increased as it passes through the propeller 510 As shown in FIG.

예를 들어, 유속증강커버(600)의 흡입쪽 구경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하고, 배출쪽 구경은 상대적으로 좁아지게 형성하여, 프로펠러(510)의 회전 추진시 유속증강커버(600) 내부에서 큰 압력이 발생됨으로써 별도의 추진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대적으로 강한 힘으로 물을 배출시켜, 결국 서핑보드의 추진력을 급속히 증대시킬 수 있는 일종의 워터젯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suction side aperture of the flow velocity enhancement cover 600 is formed to be relatively large, and the discharge side aperture is relatively narrow, so that when the propeller 510 is rota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jet structure is formed as a kind of water jet structure capable of rapidly discharging water with a relatively strong force so that the driving force of the surfboard can be rapidly increased.

또한, 방향 전환부(7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0)의 후방 하단부에 설치되어 몸체부(100)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타(710)를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3 and 4,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700 includes a rudder 710 disposed at a rear lower end of the body 100 to switch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ody 100, To be switched within the range.

이때, 방향타(710)는 몸체부(100)의 진행방향을 조정하는 러더(rudder)로서, 방향 전환부(700)와 연결되어 회전방향을 제어받게 된다.At this time, the rudder 710 is a rudder for adjusti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body part 100, and is connected to the direction switching part 700 so that the direction of rotation is controlled.

방향 전환부(700)는 리모컨을 통해 무선통신방식으로 컨트롤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무선통신방식은 공지된 부분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700 is configured to be controlled by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hrough a remote controller. Since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s a known par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다만, 방향 전환부(700)의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제어기(800)의 제어에 따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방향전환 감속모터(720)와, 방향전환 감속모터(720)의 회전축(722)에 연결된 편심링크(730)와, 몸체부(100)의 이동방향을 전환하는 방향타(710)와, 일단이 편심링크(720)에 링크되고 타단은 방향타(710)와 연결 고정된 방향 전환링크(740)와, 방향타(710)의 방향 전환의 범위를 제한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위치감지소자(750,760)와, 무선 제어기(800)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조작하지 않는 경우, 방향타(710)가 중심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제3 위치감지소자(770)로 구성된다.4, the structure of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700 includes a direction switching speed reducing motor 720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under the control of the radio controller 800, An eccentric link 730 connected to the eccentric link 720 and a rudder 710 for switch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ody 100. The eccentric link 730 has one end linked to the eccentric link 72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udder 710 A switching link 740, a pair of first and second position sensing elements 750, 760 that limit the range of directional changes of the rudder 710, and, when not operating the wireless controller 800 for a predetermined amount of time, And a third position sensing element 770 for sensing whether the rudder 710 is located at the center.

이때, 제1 및 제2 위치감지소자(750,760)는 리미트 스위치가 바람직하고, 제3 위치감지소자(770)는 적외선 센서가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position sensing devices 750 and 760 are preferably limit switches, and the third position sensing device 770 is preferably an infrared sensor.

또한, 무선 제어기(800)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구동모터(400)의 구동 또는 방향타(710)의 조작을 무선 제어방식으로 제어하는 리모콘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리모콘과 관련된 기술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remote controller 800 may be a remote controller that controls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400 or the operation of the rudder 710 in a wireless control manner under the control of the user.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동력식 서핑보드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ower type surfing board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사용자는 제1 및 제2 몸체부가 서로 조립된 몸체부(100)를 바다나 강 또는 호수 위에 띄우고, 몸체부(100)의 상단부에 올라탄다.The user places the body part 100 assembled with the first body part and the second body part on the sea, the river or the lake and rides on the upper part of the body part 100. [

이때, 축전지(300)에는 구동모터(400)와 동력 추진부(50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이 축전되어 있어야 하며, 만일 축전된 전기 에너지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는 축전이 어느 정도 진행될 동안 기다려야된다. At this time, the power source for driving the driving motor 400 and the power propelling unit 500 must be stored in the battery 300, and if the stored electric energy is insufficient, the user must wait for some period of storage to proceed .

이어, 사용자는 무선 제어기(800)를 이용하여 동력 추진부(400)와 구동 모터(500) 및 방향전환부(700)를 조작할 수 있다. Next, the user can operate the power sup- ply unit 400, the drive motor 500, and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700 using the wireless controller 800. [

예를 들어, 사용자가 무선 제어기(800)를 이용하여 구동모터(400)를 구동시키면 축전지(300)에 축전된 전력이 제공되어 구동모터(400)는 미리 설정된 용량의 동력을 발생시키고, 동력 추진부(500)의 프로펠러(510)는 미리 설정된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user drives the drive motor 400 using the wireless controller 800, the electric power stored in the battery 300 is supplied to the drive motor 400 to generate a predetermined amount of power, The propeller 510 of the unit 500 may generate a predetermined thrust.

이때, 유속증강커버(600)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유속이 프로펠러(510)를 통과하면서 증강될 수 있다. 즉, 프로펠러(510)의 회전 추진시 유속증강커버(600) 내부에서 큰 압력이 발생됨으로써 별도의 추진장치를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대적으로 강한 힘으로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동력 추진부(500) 주변에서의 유체 이동 상황은 도 6의 도시되었다.At this time, the flow velocity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of the flow velocity enhancement cover 600 can be increased while passing through the propeller 510. That is, when the propeller 510 is rotated, a large pressure is generated in the flow velocity enhancement cover 600, so that 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port can be discharged with a relatively strong force without a separate propulsion device. At this time, the fluid movement state around the power propulsion unit 500 is shown in Fig.

또한, 사용자는 무선 제어기(800)를 원격으로 조작하여 방향 전환부(700)를 제어하면, 몸체부(100)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타(710)를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wireless controller 800 to control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700, the user controls the rudder 710 that switches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ody 100 to be switched within a preset angle range .

이때, 한 쌍의 제1 및 제2 위치감지소자(750,760)는 방향타(710)의 방향 전환의 범위를 수평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무선 제어기(800)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조작하지 않는 경우, 제3 위치감지소자(770)는 방향타(710)가 중심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하여 윈드서핑이 직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방향타(710)의 위치가 중심에 위치하도록 제어한다. At this time,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position sensing elements 750 and 760 may limit the range of the direction change of the rudder 710 horizontally. In addition, when the user does not operate the wireless controller 800 for a preset time, the third position sensing element 770 senses whether the rudder 710 is positioned at the center, so that the rudder 710 ) Is positioned at the cent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서핑보드는 공기주입식 공기 구조물과 부력식 부력 구조물로 조화된 몸체부(100)가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자체 전기 충전이 가능하고, 무엇보다도 유속증강커버(600)를 구비하여 추진력을 평상시보다 3배 이상 증대시킬 수 있어 속도감과 스릴을 즐기고자 하는 서퍼들에게 매우 적합할 것으로 예상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urf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part 100, which is made up of the air-injected air structure and the buoyant buoyancy structure, can be self-charged by using the solar cell, ), It is expected to be more suitable for surfers who want to enjoy speed and thrill because they can increase thrust three times more than usual.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서핑보드는 리모컨을 통해 서핑보드의 방향전환을 무선조정 가능하기 때문에 온몸을 움직이지 않아도 방향전환이 쉬워 특히, 초보 서버들에게도 적합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서핑보드는 공기 튜브 타입으로 형성된 공기 구조물로 제공되는 제1 몸체부 내부의 공기를 선택적으로 외부로 방출시켜 제1 몸체부의 부피를 최소화하여 2단으로 분리함과 동시에 제1 몸체부의 내측 공기를 외부로 방출시켜 승용차를 이용하여 이동하거나 각 가정이나 사무소에서 보관시에도 크기를 줄일 수 있기 때문에 휴대상, 이동상, 보관상의 편의성이 더욱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Therefore, since the surf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wirelessly adjust the direction of the surfboar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it is expected that the surfboard can be easily changed even without moving the whole body.
In addition, the surf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air inside the first body part, which is provided as an air structure formed into an air tube type, selectively into the outside to minimize the volume of the first body part, Since the inner air of the body par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t can be moved by using a passenger car or can be reduced in size when it is stored in each home or office. Therefore, convenience of the hugging object, mobile object and storage can be further increased.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pecific example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몸체부 200: 제어부
300: 축전지 400: 구동모터
500: 동력 추진부 600: 유속증강커버
700: 방향 전환부 800: 무선 제어기
100: body part 200:
300: battery 400: drive motor
500: Power propulsion unit 600: Flow velocity enhancement cover
700: direction switching unit 800: wireless controller

Claims (6)

부력을 갖도록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무선 제어기를 이용한 무선 제어동작에 따라 상기 몸체부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와; 상기 무선 제어동작에 따라 추진력을 발생시켜 내부에 구비된 프로펠러로 전달하는 동력 추진부와;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에서 제공되는 전기에너지를 충전하기 위한 축전지와; 상기 몸체부의 후방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축전지에서 제공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상기 동력 추진부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몸체부의 후방 하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몸체부가 구동모터에 의해 이동될 때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물의 유속이 상기 프로펠러를 통과하면서 증강되도록 직경의 크기가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구조를 갖는 유속 증강커버를 포함하는 동력식 서핑보드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몸체부의 소정 위치에서 길이방향에 대해 폭 방향으로 각각 접합 또는 분리가능케 결합되는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로 구성하되, 상기 제1 몸체부는 내부에 공기가 선택적으로 주입되는 공기 튜브 타입으로 형성된 공기 구조물로 제공되는 한편, 상기 제2 몸체부는 공기 튜브 타입으로 형성된 공기 구조물로 제공되는 제1 몸체부와 접합 또는 분리가능케 결합되어 동력이 구동되도록 구성하여 물의 유속을 발생시키는 구조를 갖는 동력 구조물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식 서핑보드.
A body portion formed to b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have buoyancy; A control unit installed inside the body unit and controlling the body unit to move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a radio control operation using a radio controller; A power propulsion unit for generating propulsive force according to the radio control operation and transmitting the generated propulsion force to a propeller provided therein; A battery installed inside the body for charging electric energy provided from the outside; A driving motor installed at a rear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to transmit a driving force to the power propulsion unit by electric energy provided from the battery; And a flow rate enhancing cover provided at a rear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diameter gradually decreases in such a manner that the flow velocity of water flowing through the inlet port increases when the body portion is moved by the driving motor A power-driven surfboard comprising:
Wherein the body portion is composed of a first body portion and a second body portion which are joined or detachably joined to each other in a width direction with respect to a longitudinal direc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ody portion and the first body portion includes an air tube And the second body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part provided as an air structure formed as an air tube type so that the second body part is connected to the first body part so as to be driven by the power, Wherein the power-driven surfing board is provided as a power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면부에 설치되어, 태양의 빛 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태양 전지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태양 전지판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는 상기 몸체부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축전지에 충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식 서핑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lar panel further includes a solar cell plate installed on a top surface of the body to produce electric energy using solar light energy. The electric energy produced by the solar cell plate is supplied to the battery Wherein the power-driven surfing board is electrically charg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의 폭방향에 형성된 각각의 단면에는 서로 결합되는 경계면으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봉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봉 삽입홈과 상하로 간격을 두고 각각 제1 및 제2 걸림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고정봉 삽입홈에는 중앙부에 플랜지가 돌출된 고정봉의 양단이 각각 절반씩 끼워지고, 상기 제1 및 제2 걸림홈에는 고정구가 각각 절반씩 끼워지되, 상기 고정구는 상기 플랜지를 고정하여 상기 몸체부의 단면을 하나의 몸체부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식 서핑 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irst and second fixed bar insertion groov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an interface joined to each other are formed on the respective end faces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ody portion and the second body portion, First and second latching grooves are respectively formed at an interval above and below the insertion groove;
Wherein both ends of a fixing rod protruding from a flange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ar insertion grooves are respectively fitted in half, and each of the fixing holes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grooves, And the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후방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의 이동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타를 미리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방향 전환부와;
사용자의 리모콘 무선 제어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 또는 상기 방향타의 조작을 무선 제어방식으로 제어하는 무선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식 서핑 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irection switching unit installed at a rear lower end of the body unit to control a rudder for switch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body unit to be switch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range;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driving motor or the operation of the rudder in a wireless control manner in accordance with a user's remote control radio control.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전환부는,
상기 무선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방향전환 감속모터와;
상기 방향전환 감속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된 편심링크와;
상기 몸체부의 이동방향을 전환하는 방향타와;
일단이 상기 편심 링크에 링크되고 타단은 상기 방향타와 연결 고정된 방향 전환링크와;
상기 방향타의 방향 전환의 범위를 제한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위치감지소자와;
상기 무선 제어기를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조작하지 않는 경우, 상기 방향타가 중심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하는 제3 위치 감지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식 서핑 보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 direction switching deceleration motor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under the control of the radio controller;
An eccentric link connected to a rotation axis of the directional deceleration motor;
A rudder for chang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body part;
A direction switching link having one end linked to the eccentric link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udder;
A pair of first and second position sensing elements for limiting a range of the direction change of the rudder;
And a third position sensing element for sensing whether the rudder is centered when the wireless controller is not operated for a preset time.

KR1020140081177A 2014-06-30 2014-06-30 Driving type surfboard KR10152266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177A KR101522667B1 (en) 2014-06-30 2014-06-30 Driving type surfboard
PCT/KR2015/006570 WO2016003121A1 (en) 2014-06-30 2015-06-26 Power-operated surf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1177A KR101522667B1 (en) 2014-06-30 2014-06-30 Driving type surfbo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2667B1 true KR101522667B1 (en) 2015-05-26

Family

ID=53395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177A KR101522667B1 (en) 2014-06-30 2014-06-30 Driving type surfboard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22667B1 (en)
WO (1) WO2016003121A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571A (en) * 2017-08-18 2019-02-2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ic surfboard control method
WO2019045180A1 (en) * 2017-08-31 2019-03-07 김문주 Water drone for relief examination using waterjet board
KR102015432B1 (en) * 2018-03-02 2019-08-28 청정테크주식회사 Surfing board
CN111699131A (en) * 2017-11-28 2020-09-22 斐特宝得有限公司 Module for connecting a mast to a pla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97118B2 (en) 2016-09-12 2020-03-24 Kai Concepts, LLC Watercraft device with hydrofoil and electric propeller system
CN109747793A (en) * 2017-11-06 2019-05-14 广西民族大学 A kind of slide plate of floating walking
US11897583B2 (en) 2020-04-22 2024-02-13 Kai Concepts, LLC Watercraft device with hydrofoil and electric propulsion system
US10946939B1 (en) 2020-04-22 2021-03-16 Kai Concepts, LLC Watercraft having a waterproof container and a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US11485457B1 (en) 2021-06-14 2022-11-01 Kai Concepts, LLC Hydrojet propulsion system
US11878775B2 (en) 2021-07-13 2024-01-23 Kai Concepts, LLC Leash system and methods of u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2095U (en) * 1992-05-06 1993-12-14 晶博 中野 Waterborne device using solar cells
JP2001504375A (en) * 1996-11-29 2001-04-03 ウオムバラ・イノベーションズ・プロプライエタリ・リミテッド Surfers of wireless controlled toys
KR20030067609A (en) * 2003-07-07 2003-08-14 임용주 Motor surfing board
KR20070098467A (en) * 2006-03-29 2007-10-05 주식회사 두발테크 Skateboar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2095U (en) * 1992-05-06 1993-12-14 晶博 中野 Waterborne device using solar cells
JP2001504375A (en) * 1996-11-29 2001-04-03 ウオムバラ・イノベーションズ・プロプライエタリ・リミテッド Surfers of wireless controlled toys
KR20030067609A (en) * 2003-07-07 2003-08-14 임용주 Motor surfing board
KR20070098467A (en) * 2006-03-29 2007-10-05 주식회사 두발테크 Skateboard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19571A (en) * 2017-08-18 2019-02-2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ic surfboard control method
KR101978043B1 (en) * 2017-08-18 2019-08-28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matic surfboard control method
WO2019045180A1 (en) * 2017-08-31 2019-03-07 김문주 Water drone for relief examination using waterjet board
CN111699131A (en) * 2017-11-28 2020-09-22 斐特宝得有限公司 Module for connecting a mast to a plate
KR102015432B1 (en) * 2018-03-02 2019-08-28 청정테크주식회사 Surfing 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03121A1 (en)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667B1 (en) Driving type surfboard
ES2826753T3 (en) Aquatic device with hydrofoil and propulsion system with electric motor
CN201010038Y (en) Underwater propeller
US10279873B2 (en) Assisted foil for watercraft
CN207450184U (en) A kind of electric propulsion hydrofoil slide plate
KR20160057060A (en) Surfboard applied electric motors and water-jet structure by using the rechargeable battery
WO2019072196A1 (en) Air powered surfing device
WO2014164522A1 (en) Inflatable watercraft with motorized cassette
CN110920812A (en) Water skateboard device
US6443799B1 (en) Gyroscopic diving toy
CN205632953U (en) Novel high -speed power slide device
US20220388607A1 (en) Water Sports Device
US6647912B1 (en) Underwater traveling craft
AU5012101A (en) Electric powered water craft
CN218751281U (en) Water tool
KR20210003451A (en) Electric water board
CN111284636A (en) Electric surfboard
US20110056422A1 (en) Flying Water Jet-Ski Submarine
US20240101227A1 (en) Water Vessel Towing Device
EP3617054B1 (en) Water skateboard apparatus
KR20180128164A (en) Board surfable propellant variable angle underwater scooter
CN101143617A (en) Diving motor
CN201961511U (en) Waterborne electric-driven recreational boat
US20240182136A1 (en) Watercraft device with hydrofoil and electric propeller system
CN203975169U (en) A kind of hydrosk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