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977B1 -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ditting the image automatically by analyzing an image - Google Patents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ditting the image automatically by analyzing an im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977B1
KR101508977B1 KR20120089640A KR20120089640A KR101508977B1 KR 101508977 B1 KR101508977 B1 KR 101508977B1 KR 20120089640 A KR20120089640 A KR 20120089640A KR 20120089640 A KR20120089640 A KR 20120089640A KR 101508977 B1 KR101508977 B1 KR 101508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area
edited
main
edi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896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23596A (en
Inventor
민재식
정유진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089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977B1/en
Priority to JP2013143480A priority patent/JP6294018B2/en
Publication of KR20140023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359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977B1/en
Priority to JP2018025031A priority patent/JP6462919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집하고자 하는 대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편집함으로써 썸네일(thumbnail) 이미지 등 다양한 화면 구성에 맞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하나의 편집 대상 이미지를 저장하는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대상 이미지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된 편집 대상 이미지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주요 영역을 검출하는 이미지 분석 모듈; 편집된 이미지가 배치될 레이아웃의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 구성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이미지 구성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이미지 분석 모듈에 의해 검출된 주요 영역을 포함하는 편집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이미지 편집 모듈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automatic edit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n image suitable for various screen configurations such as a thumbnail image by automatically editing a target image to be edited, ; An image analysis module that receives the at least one image to be edited from the content information database and detects at least one main area of the entire area of the provided image to be edited; An image configuration information database stor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layout in which an edited image is to be placed; And an image editing module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 edited image including a main area detected by the image analysis modul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image configuration information database.

Figure R1020120089640
Figure R1020120089640

Description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DITTING THE IMAGE AUTOMATICALLY BY ANALYZING AN IMAGE}[0001]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DITING THE IMAGE AUTOMATICALLY BY ANALYZING AN IMAGE [0002]

본 발명은 이미지를 자동으로 편집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집하고자 하는 대상 이미지를 자동으로 편집함으로써 썸네일(thumbnail) 이미지 등 다양한 화면 구성에 맞는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diting an imag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diting an image to be edited, An automatic editing apparatus, a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오늘날 인터넷의 광범위한 보급은 이제 유선을 넘어 무선 이동통신 기술로의 급발전을 가져오게 되었고, 실생활에 있어서도 휴대폰, PDA, 핸드헬드(Hand-Held) 컴퓨터 등의 휴대용 단말을 통한 인터넷상에서의 정보 검색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가능하게 되었다.Today, the widespread use of the Internet has led to the rapid development of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beyond the fixed line, and in the real world, information retrieval on the Internet through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PDAs, and hand- It became possible regardless of time and place.

웹(Web)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디지털 매체에서도 매거진(magazine)이나 이북(e-book)처럼 다양한 레이아웃(layout)으로 콘텐츠를 소비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예컨대, 플립보드와 같은 태블릿용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이미지를 레이아웃으로 하여 기존의 웹 콘텐츠를 소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There is a demand for consuming contents in various layouts such as a magazine or an e-book in a digital medium of a Web or an application. For example, for tablet applications such as flip boards, images can be laid out to support existing web content.

이때 웹 콘텐츠에 포함된 사진 이미지는 레이아웃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원본 이미지를 썸네일 이미지의 형태로 노출시키기 위해 원본 사진 이미지의 일부를 크롭(crop)하거나 사진 위에 텍스트 또는 다른 사진을 오버레이(overlay)하여 다양한 레이아웃을 생성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photographic images included in the web conten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layout. In order to expose the original image in the form of a thumbnail image, a part of the original photographic image is cropped or overlayed with text or another photograph Various layouts are generated.

한편, 종래에는 이러한 썸네일 이미지를 제작함에 있어 원본 이미지의 가로 세로 비율과 썸네일의 가로 세로 비율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사진의 주요 영역을 썸네일 이미지에 포함시키기 위해 수작업으로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편집 디자이너가 직접 이미지를 가공하여 편집함으로써 레이아웃을 생성하였다. 이와 같이 수작업으로 제작하지 않고 자동화하는 경우라도 원본 사진 이미지를 단순히 리사이징(re-sizing)만하여 콘텐츠 레이아웃에 적용하였다.Conventionally, when producing such a thumbnail image, if the aspect ratio of the original image is not equal to the aspect ratio of the thumbnail, a thumbnail image may be generated manually by hand to include the main region of the photo in the thumbnail image, Directly edited the image to create a layout. In this way, the original image image is simply re-sized and applied to the content layout even if it is automated without manual production.

썸네일 이미지 제작에 있어 이러한 수동으로 하는 편집 작업은 리소스가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다양한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또 다른 형태, 사이즈 및 화면 비율(ratio)(즉, 가로/세로 비율)의 썸네일 이미지가 필요할 경우 바로 적용하지 못하고 다시 이미지를 재편집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This manual editing of thumbnail images is not only resource-intensive, but also works when thumbnails of different shapes, sizes, and aspect ratios (ie, aspect ratio) are required on various display screen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mage must be re-edited again.

한편, 이러한 원본 이미지로부터 자동으로 썸네일 등을 생성하기 위한 기술로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04-0044373호 "비디오 썸네일 및 그 생성 방법(휴렛 팩커드)"(문헌 1)에는 비디오로부터 비교적 짧은, 저 해상도의, 애니메이션화된 비디오 썸네일을 생성하는 방법이 개시된다.On the other hand, as a technique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thumbnail or the like from such an original imag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4-0044373 entitled " Video thumbnail and its generating method (Hewlett Packard) A method for generating an animated video thumbnail is disclosed.

그러나, 이와 같이 이미지를 자동으로 리사이징 하는 경우에는 이미지가 위치할 특정 콘텐츠 레이아웃의 비율에 맞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거나, 이미지의 주요 영역이 리사이징 되어 스마트폰과 같은 작은 화면에서는 가독성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However, such an automatic resizing of an image may result in the image not being proportional to the specific content layout to be positioned, or the major area of the image being resized, resulting in a lower readability on a smaller screen such as a smartphone .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 스마트 TV의 등장으로 다양한 사이즈의 스크린이 등장함에 따라 다양한 화면 크기에 적합한 동적인 레이아웃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기술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Particularly, with the emergence of smart phones, tablets, and smart TVs, various sizes of screens are emerging, so that there is a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automatically generating dynamic layouts suitable for various screen sizes.

[문헌 1] 대한민국특허공개공보 제2004-0044373호 비디오 썸네일 및 그 생성 방법(휴렛 팩커드) 2004.05.28[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4-0044373 Video thumbnail and method of generating the same (Hewlett Packard) 2004.05.28

본 발명의 목적은 편집 대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주요 영역과 여백 영역으로 구분하고, 주요 영역을 중심으로 이미지를 자동 편집함으로써 다양한 레이아웃 구성에 적합한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image edit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n image suitable for various layout configurations by analyzing an image to be edited and dividing the image into main areas and blank areas, An apparatus, a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편집 대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주요 영역과 여백 영역으로 구분하고, 주요 영역을 크롭하여 이미지를 자동 편집함으로써 다양한 레이아웃 구성에 적합한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n image suitable for various layout configurations by analyzing an image to be edited and dividing the image into a main area and a margin area, An image automatic editing apparatus, a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집 대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주요 영역과 여백 영역으로 구분하고, 여백 영역에 텍스트를 오버레이(overlay)(중첩)시킴으로써 다양한 레이아웃 구성에 적합한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n image suitable for various layout configurations by analyzing an image to be edited and dividing the image into a main area and a margin area and overlaying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image editing by image analysis,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편집 대상 이미지를 분석하여 주요 영역과 여백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편집 대상 이미지의 주요 영역을 크롭한 후 복수의 크롭된 이미지를 오버레이시킴으로써 다양한 레이아웃 구성에 적합한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a plurality of images to be edited and dividing the image into a main area and a margin area, overlaying a plurality of cropped images after cropping a main area of each image to be edited, An image automatic editing apparatus, a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by image analysis capable of automatically generating an imag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편집 대상 이미지에 별도의 여백 영역에 추가하고, 추가된 여백 영역에 텍스트를 오버레이시킴으로써 다양한 레이아웃 구성에 적합한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함에 있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editing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creating an image suitable for various layout configurations by adding a separate margin area to an image to be edited, An apparatus, a method,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유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achieve the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 characteristic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편집 대상 이미지를 저장하는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대상 이미지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된 편집 대상 이미지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주요 영역을 검출하는 이미지 분석 모듈; 편집된 이미지가 배치될 레이아웃의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 구성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이미지 구성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이미지 분석 모듈에 의해 검출된 주요 영역을 포함하는 편집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이미지 편집 모듈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diting an image by image analysis includes: a content information database storing at least one image to be edited; An image analysis module that receives the at least one image to be edited from the content information database and detects at least one main area of the entire area of the provided image to be edited; An image configuration information database stor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layout in which an edited image is to be placed; And an image editing module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 edited image including a main area detected by the image analysis modul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image configuration information database.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 분석 모듈은,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역을 주요 영역으로 판단하는 오브젝트 검출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image analysis module includes an objec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t least one object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image to be edited, and determines an area including the detected object as a main area.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 분석 모듈은,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 내의 각 픽셀에 대해 초점 값 및 대비 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초점 값 및 대비 값에 의해 현저성 값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현저성 값의 분포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주요 영역을 검출하는 패턴 분석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image analysis module calculates a focus value and a contrast value for each pixel in the image to be edited, calculates a saliency value based on the calculated focus value and the contrast value, And a pattern analyzer for detecting at least one main area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values.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 분석 모듈은,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의 전체 영역 중 상기 검출된 주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여백 영역으로 판단하는 여백 검출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image analysis module includes a margin detection unit that determines an area excluding the detected main area as a margin area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image to be edi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백 검출부는, 상기 검출된 주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1단계 여백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1단계 여백 영역에 대해 유사한 픽셀 값을 갖는 복수의 영역들로 화면 분할하며, 각 분할된 영역 중 미리 설정한 제1 임계값보다 낮은 픽셀값의 변화율을 가지면서 미리 설정한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크기 또는 모양을 갖는 영역을 2단계 여백 영역으로 설정한다.Preferably, the margin detecting unit sets a region excluding the detected main region as a first-step margin region, divides the region into a plurality of regions having similar pixel values with respect to the first-step margin region, An area having a change rate of a pixel value lower than a first threshold value set in advance and having a size or shape higher than a preset second threshold value is set as a two-step margin area.

바람직하게는, 상기 1단계 여백 영역 및 상기 2단계 여백 영역은 오버레이 편집 과정에서 서로 상이하게 적용된다.Preferably, the first-stage blank area and the second-stage blank area are applied differently in the overlay editing process.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 편집 모듈은, 상기 이미지 분석 모듈에서 검출된 주요 영역을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로부터 크롭하는 이미지 크롭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image editing module includes an image cropping unit for cropping the main area detected by the image analysis module from the image to be edi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 편집 모듈은, 상기 여백 영역에 텍스트를 오버레이시키는 텍스트 오버레이부를 포함한다.Advantageously, the image editing module includes a text overlay portion for overlaying the text in the margin reg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백 영역에 오버레이시키는 상기 텍스트의 색상은 상기 여백 영역의 색상을 고려하여 설정한다.Preferably, the color of the text overlaid on the blank area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color of the blank area.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백 영역에 오버레이시키는 상기 텍스트의 내용은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와 관련된 콘텐츠의 캡션, 제목, 기사 내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Preferably, the content of the text overlaid on the margin area is any one of a caption, a title, and an article content of a content related to the editing target image.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 편집 모듈은, 주요 영역이 검출된 복수의 편집 대상 이미지들에 대해 제1 이미지의 여백 영역에 제2 이미지의 주요 영역을 오버레이시키는 이미지 오버레이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image editing module includes an image overlay portion for overlaying a main area of the second image in a margin area of the first image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editing images where the main area is detec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 편집 모듈은, 상기 전체 영역 중 상기 주요 영역이 아닌 영역에 텍스트를 오버레이할 공간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에 여백 영역을 더 추가시키는 여백 추가부를 포함한다.The image edit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margin adding unit for adding a margin area to the image to be edited if the area other than the main area is not sufficient to overlay the text.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미지 편집 모듈은, 상기 주요 영역을 포함하는 편집 이미지의 크기 또는 가로 세로 비율을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리사이징하는 이미지 리사이징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image editing module includes an image resizing unit for resizing the size or aspect ratio of the edited image including the main area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방법은, 이미지 분석 모듈에서 편집 대상 이미지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이미지 분석 모듈에서 상기 제공된 편집 대상 이미지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주요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및 이미지 편집 모듈에서 상기 검출된 주요 영역이 포함되도록 하여 미리 설정된 레이아웃의 구성 정보에 따라 이미지를 자동으로 편집함으로써 편집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automatically editing an image by image analysis, comprising: receiving an image to be edited in an image analysis module; Detecting at least one main area of the entire area of the provided editing target image in the image analysis module; And generating an edited image by automatically editing the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the preset layout so that the detected main area is included in the image editing modu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요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역을 주요 영역으로 판단한다.Preferably, the step of detecting the main area may include detecting at least one object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image to be edited, and determining the area including the detected object as a main area.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요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 내의 각 픽셀에 대해 초점 값 및 대비 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초점 값 및 대비 값에 의해 현저성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현저성 값의 분포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주요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dvantageously, the step of detecting the main region comprises the steps of: calculating a focus value and a contrast value for each pixel in the image to be edited; Calculating a saliency value based on the calculated focus value and the contrast value; And detecting at least one main region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calculated persistence value.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요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의 전체 영역 중 상기 검출된 주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여백 영역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after the step of detecting the main area, the step of determining an area excluding the detected main area as the blank area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image to be edited is further inclu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백 영역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주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1단계 여백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1단계 여백 영역에 대해 유사한 픽셀 값을 갖는 복수의 영역들로 화면 분할하는 단계; 및 각 분할된 영역 중 미리 설정한 제1 임계값보다 낮은 픽셀값의 변화율을 가지면서 미리 설정한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크기 또는 모양을 갖는 영역을 2단계 여백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step of judging the blank area includes: setting an area excluding the detected main area as a blank area of a first stage; Dividing the image into a plurality of regions having similar pixel values for the first-stage blank region; And setting a region having a change rate of a pixel value lower than a preset first threshold value among the divided regions and having a size or shape higher than a preset second threshold value as a two-step margin reg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1단계 여백 영역 및 상기 2단계 여백 영역은 오버레이 편집 과정에서 서로 상이하게 적용된다.Preferably, the first-stage blank area and the second-stage blank area are applied differently in the overlay editing process.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집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주요 영역을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로부터 크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dvantageously, the step of generating the edited image comprises the step of cropping the detected key area from the edited image.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집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여백 영역에 텍스트를 오버레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dvantageously, the step of creating the edited image comprises overlaying the text in the margin area.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백 영역에 오버레이시키는 상기 텍스트의 색상은 상기 여백 영역의 색상을 고려하여 설정한다.Preferably, the color of the text overlaid on the blank area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color of the blank area.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백 영역에 오버레이시키는 상기 텍스트의 내용은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와 관련된 콘텐츠의 캡션, 제목, 기사 내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이다.Preferably, the content of the text overlaid on the margin area is any one of a caption, a title, and an article content of a content related to the editing target image.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집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주요 영역이 검출된 복수의 편집 대상 이미지들에 대해 제1 이미지의 여백 영역에 제2 이미지의 주요 영역을 오버레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dvantageously, the step of generating the edited image comprises overlaying the main area of the second image in the margin area of the first image for a plurality of edited images for which the main area is detected.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집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영역 중 상기 주요 영역이 아닌 영역에 텍스트를 오버레이할 공간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에 여백 영역을 더 추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Advantageously, the step of generating the edited image further includes adding a margin area to the image to be edited if there is not enough space to overlay the text in the area other than the main area of the entire area .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집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주요 영역을 포함하는 편집 이미지의 크기 또는 가로 세로 비율을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리사이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Advantageously, the step of generating the edited image includes the step of resizing the size or aspect ratio of the edited image including the main area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한편, 상기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정보는 서버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그 예로는, 롬(Read Only Memory), 램(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이러한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Meanwhile, the information for performing the image auto-editing procedure by the image analysis may be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the server computer. Such a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media in which programs and data are stored so that they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include ROMs (Read Only Memory), Random Access Memory, CD (Compact Disk), DVD (Digital Video Disk) -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Such a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in a distributed manner can be stored and execut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편집하고자 하는 대상 이미지를 수작업이 아닌 자동으로 특정 콘텐츠 레이아웃에 맞게 편집함으로써 수작업에 의한 이미지 편집에 따르는 단점들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rget image to be edited is automatically edited according to a specific content layout rather than manually, thereby eliminating the disadvantages of manual image editing.

또한, 다양한 형태, 크기, 가로 세로 비율을 갖는 썸네일 이미지가 필요할 경우 본 발명에 따라 해당 조건에 맞는 썸네일 이미지를 자동으로 편집함으로써 다양한 화면 사이즈에 맞는 동적인 레이아웃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a thumbnail image having various shapes, sizes, and aspect ratios is required, a dynamic layout corresponding to various screen sizes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by automatically editing a thumbnail image corresponding to a corresponding con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진 이미지의 주요 영역을 자동으로 판단하여 편집함으로써 주요 부분이 누락되지 않으면서 리사이징 후에도 가독성이 우수한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in area of a photographic image is automatically judged and edit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automatically generate an image having excellent readability even after re-sizing without missing a main part.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진에서 중요하지 않은 영역을 자동으로 분석하고, 사진이나 관련 콘텐츠의 캡션, 제목(title), 기사 내용 등을 중요하지 않는 영역에 오버레이시킴으로써 효과적인 썸네일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ffective thumbnail image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by automatically analyzing a non-important area in a photograph and overlaying caption, title, and article content of a photograph or related content on an unimportant area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편집 대상 이미지들의 주요 영역을 자동으로 판단하고, 복수의 주요 영역을 크롭(crop)하여 서로 오버레이시킴으로써 동적인 매거진과 같은 다양한 레이아웃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generate various layouts such as a dynamic magazine by automatically determining a main area of a plurality of editing object images, and cropping and overlaying a plurality of main areas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영역 검출의 세부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패턴 분석에 의한 주요 영역 검출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출된 주요 영역이 표시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백 영역을 검출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1단계 여백 영역이 표시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단계 여백 영역이 표시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본 이미지를 크롭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본 이미지로부터 크롭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여백 영역에 텍스트를 오버레이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여백 영역에 텍스트가 오버레이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본 이미지에 여백 영역이 추가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이미지들이 오버레이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cept of automatic image editing by imag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image editing apparatus by imag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auto-editing process by imag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showing the detailed procedure of the main area det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in area detection procedure by image pattern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and 6B are views showing an image in which a detected main area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detecting a blank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A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in which a blank region of a first st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FIG.
8B is a view showing an image in which a two-step margin reg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cropping an original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n image cropped from an original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overlaying text in a margin are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mage in which text is overlaid in a margin are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in which a margin area is added to an original imag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view showing an image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s are overlai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the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본 발명은 사진 등의 이미지에서 주요 부분의 위치를 자동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주요 부분을 중심으로 원하는 레이아웃에 맞게 자동으로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image editing by image analysis capable of automatically detecting a position of a main part in an image such as a photograph and automatically editing an image in accordance with a desired layout around a detected main part .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진의 주요 부분의 위치를 자동으로 검출한 후, 검출된 주요 부분을 크롭(crop)하고, 제작하고자 하는 레이아웃에 맞게 가로 세로 비율을 맞추어 썸네일 이미지를 생성함으로써 주요 부분의 누락 없이 원하는 레이아웃의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a position of a main part of a photograph is automatically detected, a detected main part is cropped, and a thumbnail image is generated by adjusting the aspect ratio according to a layout to be produced,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generate an image of a desired layout without missing a p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진 등의 이미지에서 중요하지 않은 영역(예컨대, 여백 영역)을 자동으로 분석하고, 해당 이미지와 관련된 콘텐츠의 캡션(caption), 제목(title), 기사 내용 등을 상기 중요하지 않은 영역에 오버레이시켜 레이아웃 하거나, 또 다른 이미지와 오버레이시킴으로써 동적인 매거진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레이아웃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nalyze an unimportant area (e.g., a blank area) in an image such as a photograph and automatically search for a caption, a title, By overlaying and overlaying on the non-critical area, or overlaying with another image, various types of layouts such as dynamic magazines can be automatically generated.

한편, 후술하는 본 발명에서는 자동 분석 및 편집에 의해 원하는 이미지(예컨대, 썸네일 이미지) 등을 생성하기 위한 편집 대상 이미지(즉, 편집 전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라 하며, 상기 원본 이미지는 사진뿐만 아니라 그림, 만화 등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editing target image (i.e., a pre-editing image) for generating a desired image (e.g., a thumbnail image) by automatic analysis and editing is referred to as an 'original image' It is the best concept including paintings, cartoons and so on.

또한, 후술하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크롭(crop)'은 특정 이미지의 전체 영역 중에서 선택된 일부 영역(예컨대, 주요 영역)을 잘라내는 것을 의미하며, '오버레이(overlay)'는 복수의 이미지를 오버레이시켜 편집하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crop'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means to cut out a selected area (for example, a main area) selected from all the areas of a specific image, and 'overlay' Which means editing.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개념 및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며,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절차를 상세히 설명한다.First, the structure of a concept and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and FIG. 2, and then a proced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이미지 자동 편집 개념Concept of image auto-edit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의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웹페이지에 구성할 이미지의 편집을 위한 원본 이미지(즉, 편집 대상 이미지)는 콘텐츠 정보(즉, 아티클(article))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다. 한편, 상기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는 상기 원본 이미지뿐만 아니라 해당 원본 이미지와 관련된 콘텐츠의 캡션, 제목, 기사 내용 등이 함께 링크되어 저장될 수 있다.1 is a view showing a concept of automatic image editing by image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an original image (i.e., an image to be edited) for editing an image to be composed on a web page is stored in content information (i.e., an article database). In addition, the content information database may store not only the original image but also the caption, title, and article content of the content related to the original image linked together.

먼저, 상기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분석할 콘텐츠의 이미지를 피딩(feeding)받으면, 다양한 방법으로 이미지 분석이 수행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본 이미지를 분석하여 얼굴 또는 물체 등이 포함된 주요 영역과 주요 영역이 아닌 여백 영역을 검출한다.First, when an image of content to be analyzed stor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database is fed, image analysis is performed in various ways.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iginal image is analyzed to detect a main area including a face or an object, and a blank area which is not a main area.

예컨대, 상기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가 포함된 영역을 주요 영역으로 설정한다. 이때, 전체 이미지 중에서 상기 주요 영역으로 설정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여백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전체 이미지 영역이 주요 영역과 여백 영역으로 구분되면, 주요 영역의 위치, 색상, 밝기, 최적의 가로/세로 비율 등의 정보와 여백 영역의 위치, 색상, 밝기, 최적의 가로/세로 비율 등의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정보들은 이후 이미지 편집시에 참조될 수 있다.For example, an object included in the original image is detected by various methods, and an area including the detected object is set as a main area. At this time, the remaining area excluding the area set as the main area among the entire images may be set as a blank area. If the entire image area is divided into the main area and the blank area, the information such as the position, color, brightness, and optimal horizontal / vertical ratio of the main area and the position, color, brightness, Information such as a ratio can be generated. As such, the generated information can be referred to later in image editing.

또한, 주요 영역과 여백 영역을 구분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로서 패턴 분석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이미지 내의 각 픽셀의 초점값 및 대비값에 의해 현저성(saliency)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현저성 값의 분포에 따라 주요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ttern analysis method may be applied as another embodiment for distinguishing the main area and the blank area. For example, the saliency value may be calculated by the focus value and the contrast value of each pixel in the image, and the main area may be detect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calculated saliency value.

한편, 여백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와 같이 주요 영역을 검출한 후 나머지 영역을 여백 영역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후술하는 방법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여백 영역을 1단계 여백 및 2단계 여백으로 구분하여 각기 다른 편집 방법을 적용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As a method of detecting a blank area, a remaining area may be set as a blank area after the main area is detected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ank area is divided into a blank area in step 1 and a blank area in step 2 You can also implement different editing methods by separating them with margins.

이와 같이, 주요 영역과 여백 영역이 구분되면,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웹페이지 등에 적용될 레이아웃에 맞게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편집을 위해 웹페이지에 구성할 레이아웃의 정보(예컨대, 삽입될 이미지의 크기, 가로/세로 비율, 해상도, 모양, 형태, 방향 등)를 참조하여 상기 분석된 이미지를 편집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f the main area and the blank area are separated, the image can be edited according to the layout to be applied to a web page or the like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Accordingly, the analyzed image is edited with reference to layout information (for example, image size, aspect ratio, resolution, shape, shape, orientation, etc.) to be configured in the web page for image editing.

예컨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상기 주요 영역을 크롭하여 웹페이지에 적용될 이미지(예컨대, 썸네일 이미지)를 제작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크롭된 이미지를 추가로 리사이징함으로써 원하는 크기와 비율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For examp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mage (for example, a thumbnail image) to be applied to a web page can be produced by cropping the main area. At this time, the cropped image may be further resized to generate an image having a desired size and ratio.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상기 분석된 이미지의 여백 영역에 텍스트를 오버레이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텍스트는 상기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원본 이미지와 함께 링크되어 저장된 원본 이미지와 관련된 콘텐츠의 캡션, 제목, 기사 내용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xt can be overlaid on the margin area of the analyzed image. At this time, the text may be a caption, a title, an article content, etc. related to an original image linked to the original image in the contents information databas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상기 분석된 이미지의 여백 영역이 텍스트를 오버레이시킬만큼 충분하지 않을 경우, 여백 영역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추가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추가된 여백 영역에 상기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은 텍스트 또는 다른 텍스트 등을 오버레이시킴으로써 편집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rgin area of the analyzed image is not sufficient to overlay the text, a margin area may be automatically generated and added. Therefore, an edited image can be generated by overlaying the text or other text or the like as in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added margin area.

한편, 상기 제2 및 제3 실시예에서도 상기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텍스트가 오버레이된 이미지를 리사이징함으로써 레이아웃에 맞는 원하는 크기와 비율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In the second and third embodiments,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an image in which a text is overlaid is resized to generate an image of a desired size and ratio suitable for the layout.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원본 이미지들을 서로 오버레이시킴으로써 편집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두 개의 원본 이미지를 서로 오버레이시키고자 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각 원본 이미지의 주요 영역을 검출하고, 각 원본 이미지의 검출된 주요 영역들이 중첩되지 않도록 하여 서로 오버레이시킴으로써 원하는 편집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dit image can be generated by overlaying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with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wo original images are to be overlaid on each other, the main regions of each original image are detec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etected main regions of each original image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Lt; / RTI >

이와 같이, 각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편집 이미지는 웹서버로 전달되고, 웹서버에서 상기 편집 이미지를 레이아웃에 맞게 배치하여 웹 페이지를 구성하게 된다. 즉, 사용자 단말(예컨대, 폰, 태블릿, 노트북, PO 등)의 화면 크기에 따라 이에 맞는 웹페이지를 구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게 된다.In this way, the edited image produced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is transmitted to the web server, and the web server arranges the edited image according to the layout in the web server. That is, a web page corresponding to a screen size of a user terminal (e.g., a phone, a tablet, a notebook, a PO, etc.) is configured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설명하며,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and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Automatic image editing device by image analysis>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는 이미지 분석 모듈(220) 및 이미지 편집 모듈(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분석 모듈(220)은 오브젝트 검출부(220), 패턴 분석부(220) 및 여백 검출부(2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 편집 모듈(230)은 이미지 크롭부(231), 텍스트 오버레이부(232), 이미지 오버레이부(233), 여백 추가부(234) 및 이미지 리사이징부(235)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automatic image editing apparatus by imag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automatic image edi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age analysis module 220 and an image editing module 230. The image analysis module 220 may include an object detection unit 220, a pattern analysis unit 220 and a margin detection unit 223. The image editing module 230 may include an image cropping unit 231, A text overlay unit 232, an image overlay unit 233, a margin adding unit 234, and an image resizing unit 235. [

또한, 상기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는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10), 이미지 구성 정보 데이터베이스(240) 및 편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250) 등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image editing apparatus may include at least one database such as a content information database 210, an image configuration information database 240, and an edit image database 250.

상기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는 편집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원본 이미지(즉, 편집 대상 이미지)가 저장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각 원본 이미지와 관련된 콘텐츠의 캡션, 제목, 기사 내용 등이 함께 매핑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At least one original image for editing (i.e., an image to be edited) is stored in the contents information database 210.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ption, title, May be mapped together and stored.

상기 이미지 분석 모듈(220)에서는 상기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10)로부터 편집할 원본 이미지를 제공받아(feeding), 이미지 분석을 통해 전체 이미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주요 영역을 검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선택적으로 오브젝트 검출부(221)에 의해 주요 영역을 검출할 수도 있으며, 패턴 분석부(222)에 의해 주요 영역을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여백 검출부(223)에 의해 전체 이미지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여백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The image analysis module 220 receives an original image to be edited from the content information database 210 and detects at least one main area of the entire image area through image analysis. In this case, the object detecting unit 221 may selectively detect the main area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attern analyzing unit 222 may detect the main area.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margin area of the entire image area can be detected by the margin detection unit 223.

예컨대, 상기 이미지 분석 모듈(220)에서 상기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저장된 분석할 콘텐츠의 이미지를 피딩(feeding)받으면, 후술하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미지 분석이 수행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원본 이미지를 분석하여 얼굴 또는 물체 등이 포함된 주요 영역과 주요 영역이 아닌 여백 영역을 검출한다.For example, when the image analysis module 220 receives an image of content to be analyzed stored in the content information database 210, image analysis is performed by various methods described below. 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riginal image is analyzed to detect a main area including a face or an object, and a blank area that is not a main area.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오브젝트 검출부(221)에서는 상기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예컨대, 얼굴, 텍스트, 사물 등)를 다양한 방법에 의해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가 포함된 영역을 주요 영역으로 설정한다. 이때, 전체 이미지 중에서 상기 주요 영역으로 설정된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자동으로 여백 영역으로 설정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object detecting unit 221 detects at least one object (e.g., face, text, object, etc.) included in the original image by various methods, and detects an area containing the detected object Set as main area. At this time, the remaining area excluding the area set as the main area among the entire images may be automatically set as the blank area.

한편, 이와 같이 전체 이미지 영역이 주요 영역과 여백 영역으로 구분되면, 주요 영역의 위치, 색상, 밝기, 최적의 가로/세로 비율 등의 정보와 여백 영역의 위치, 색상, 밝기, 최적의 가로/세로 비율 등의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정보들은 이후 이미지 편집시에 참조될 수 있다.If the entire image area is divided into the main area and the blank area, the information such as the position, color, brightness, and optimal horizontal / vertical ratio of the main area and the position, color, brightness, Information such as a ratio can be generated. As such, the generated information can be referred to later in image editing.

또한, 주요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패턴 분석부(222)에 의한 주요 영역 검출이 수행될 수도 있다. 예컨대, 이미지 내의 각 픽셀의 초점값 및 대비값에 의해 현저성(saliency) 값을 산출하고, 산출된 현저성 값의 분포에 따라 주요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의 설명에서 후술하기로 한다.Also, the main area detection by the pattern analyzer 222 may be performed as another method for detecting the main area. For example, the saliency value may be calculated by the focus value and the contrast value of each pixel in the image, and the main area may be detect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calculated saliency valu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in the description of FIG.

한편, 상기와 같이 오브젝트 검출부(221) 또는 패턴 분석부(222)에 의해 주요 영역을 검출한 후 나머지 영역을 여백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여백 검출부(223)에 의해 여백을 더 세분화하여 검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여백 검출부(223)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여백 영역을 1단계 여백 및 2단계 여백으로 구분하고, 상기 1단계 여백과 2단계 여백이 각기 다른 편집 방법에 의해 편집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main area is detected by the object detecting unit 221 or the pattern analyzing unit 222, the remaining area may be set as the blank area.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nk detecting unit 223 The margins can be further segmented and detected. For example, the margin detecting unit 223 may divide the margin area into one-step margins and two-step margin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rst-step margin and the second-step margin may be edited by different editing methods .

이와 같이, 상기 이미지 분석 모듈(220)에서 주요 영역과 여백 영역이 구분되면, 이미지 편집 모듈(230)에서는 상기 영역이 구분된 원본 이미지를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예컨대, 4가지 실시예에 따라) 웹페이지 등에 적용될 레이아웃에 맞게 이미지를 편집한다. 즉, 상기 이미지 편집 모듈(230)에서는 상기 이미지 구성 정보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된 웹페이지에 구성할 레이아웃의 정보(예컨대, 삽입될 이미지의 크기, 가로/세로 비율, 해상도, 모양, 형태, 방향 등)를 참조하여 상기 이미지 분석 모듈(220)에 의해 분석된 이미지를 편집하게 된다.If the main image area and the blank area are separated in the image analysis module 220, the image editing module 230 may divide the original image into a plurality of region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for example, according to four embodiments) Edit the image to fit the layout to be applied to the web page or the like. In other words, the image editing module 230 analyzes the layout information (for example, the size, the aspect ratio, the resolution, the shape, the shape, the direction, etc.) of the layout to be configured in the web page stored in the image configuration information database 240 And the image analyzed by the image analysis module 220 is edited.

예컨대, 이미지 크롭부(231)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미지 분석 모듈(220)에서 구분된 주요 영역을 크롭하여 웹페이지에 적용될 이미지(예컨대, 썸네일 이미지)를 제작한다. 이때, 상기 크롭된 이미지를 이미지 리사이징부(235)를 통해 리사이징함으로써 원하는 크기와 비율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n the image cropping unit 231, an image (for example, a thumbnail image) to be applied to a web page is produced by cropping the main region classified by the image analysis module 22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cropped image may be resized through the image resizing unit 235 to generate an image having a desired size and ratio.

또한, 텍스트 오버레이부(232)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미지 분석 모듈(220)에서 구분된 이미지의 여백 영역에 텍스트를 오버레이시킴으로써 원본 이미지를 편집한다. 이때, 상기 텍스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210)에 원본 이미지와 함께 매핑되어 저장된 원본 이미지와 관련된 콘텐츠의 캡션, 제목, 기사 내용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In addition, the text overlay unit 232 edits the original image by overlaying the text in the margin area of the image separated by the image analysis module 22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this time, the text may be a caption, a title, an article content, and the like related to an original image mapped with the original image in the contents information database 210, as described abov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상기 분석된 이미지의 여백 영역이 텍스트를 오버레이시킬만큼 충분하지 않을 경우, 상기 여백 추가부(234)에서는 여백 영역을 자동으로 생성하여 추가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여백 추가부(234)에 의해 추가된 여백 영역에 상기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은 텍스트를 오버레이시킴으로써 편집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Also, according to the thir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rgin area of the analyzed image is not sufficient to overlay the text, the margin adding unit 234 may automatically generate and add a margin area. Therefore, an edit image can be generated by overlaying the text as in the second embodiment in the margin area added by the margin adding unit 234.

한편, 상기 텍스트 오버레이부(232) 및 여백 추가부(234)에 의해 편집된 이미지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이미지 리사이징부(235)에 의해 리사이징함으로써 레이아웃에 맞는 원하는 크기와 비율의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mage edited by the text overlay unit 232 and the margin adding unit 234 is resized by the image resizing unit 235 as in the first embodiment, so that an image of a desired size and ratio Can be generated.

또한, 이미지 오버레이부(233)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원본 이미지들을 서로 오버레이시킴으로써 편집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두 개의 원본 이미지를 서로 오버레이시키고자 할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이미지 분석 모듈(220)에서 복수의 이미지를 제공받아 각 원본 이미지의 주요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이미지 오버레이부(233)에서는 상기 각 원본 이미지의 검출된 주요 영역들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하여 오버레이시킴으로써 원하는 편집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image overlay unit 233 can generate an edited image by overlaying a plurality of original images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order to overlay two original images, the image analysis module 220 receives a plurality of imag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etects a main area of each original image, 233 may overlay the detected main regions of the original images so that they are not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reby generating a desired edited image.

이와 같이, 상기 이미지 편집 모듈(230)에 의해 각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편집 이미지는 편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250)에 저장되며, 상기 저장된 편집 이미지는 웹서버에 적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웹 페이지를 구성하게 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예컨대, 폰, 태블릿, 노트북, PO 등)의 화면 크기에 따라 이에 맞는 웹페이지를 구성하여 사용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edited image produced by the image editing module 230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is stored in the edited image database 250, and the stored edited image is applied to the web server to form various types of web pages do. That is, as described above, a web page corresponding to the screen size of the user terminal (e.g., a phone, a tablet, a notebook, a PO, etc.) can be configured and provided to the user terminal.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방법><Automatic image editing by image analysis>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피딩된 원본 이미지를 분석하여 주요 영역을 검출(S301)한다. 이때, 이미지 편집 방법으로서, 주요 영역을 크롭하여 편집하고자 할 경우(S302), 상기 검출된 주요 영역을 크롭하여 웹페이지를 구성할 해당 페이지의 레이아웃에 맞게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이미지 생성 방법으로 크롭된 주요 영역을 리사이징하여 생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이미지를 적용할 레이아웃을 고려하여 주요 영역을 크롭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생성된 편집 이미지(예컨대, 썸네일 이미지)는 웹페이지의 해당 레이아웃에 적용한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image auto-editing process by image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3, the main image is detected (S301) by analyzing the original image f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if the main area is to be cropped and edited (S302), the main area is cropped to generate an image according to the layout of the corresponding page to constitute the web page. At this time, the main region cropped by the image generation method may be generated by resizing, and the main region may be cropped considering the layout to which the image is applied. Thus, the generated edited image (e.g., thumbnail image) is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layout of the web page.

한편, 상기 원본 이미지를 크롭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라 주요 영역이 아닌 여백 영역에 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오버레이할 수도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다양한 방법으로 주요 영역이 아닌 여백 영역을 검출(S304)한 후, 텍스트 또는 다른 이미지를 오버레이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original image may not be cropped and the text or image may be overlaid on a margin area that is not a main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overlay text or other images after detecting a blank area which is not a main area (S304) by various methods described later.

만약, 텍스트를 상기 여백 영역에 오버레이하고자 할 경우(S305), 먼저 상기 검출된 여백 영역이 텍스트를 오버레이하기에 충분한지를 판단(S306)한다. 상기 판단 방법은, 오버레이할 텍스트의 최소 폰트 크기를 고려하여 전체 텍스트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고, 상기 검출된 여백 영역의 크기와 비교하여 오버레이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If the text is to be overlaid on the margin area (S305), it is first determined whether the detected margin area is sufficient to overlay the text (S306). The determination method may calculate the size of the entire text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minimum font size of the text to be overlaid, and compare the size of the entire text area with the size of the detected blank area to determine whether the overlay is possible.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텍스트를 오버레이하기에 상기 여백 영역의 크기가 충분하지 않을 경우, 새로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여백 영역을 상기 원본 이미지 또는 주요 영역이 크롭된 이미지에 추가(S307)한다. 그런 다음, 상기 추가된 여백 영역에 텍스트를 오버레이(S308)시키게 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size of the margin area is not sufficient to overlay the text, the margin area is added to the image in which the original image or the main area is cropped according to the new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307). Then, the text is overlaid on the added margin area (S308).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텍스트를 오버레이하기에 상기 여백 영역의 크기가 충분할 경우, 상기 검출된 여백 영역에 상기 텍스트를 오버레이(S308)시킨다.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f the size of the margin area is sufficient to overlay the text, the text is overlaid on the detected margin area (S308).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원본 이미지에 다른 적어도 하나의 원본 이미지를 오버레이하고자 할 경우(S309),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을 서로 오버레이시키게 된다. 이때, 각 원본 이미지로부터 주요 영역을 검출하고, 상기 각 원본 이미지의 주요 영역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오버레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overlaying at least one original imag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image (S309), the plurality of images are overlaid on each oth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detect a main area from each original image, and overlay the main areas of the original images so that they do not overlap each other.

예컨대,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를 레이아웃에 맞게 오버레이시키고자 할 경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의 주요 영역 및 여백 영역을 각각 검출하고, 제2 이미지의 주요 영역을 크롭하여 제1 이미지의 여백 영역에 오버레이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 이미지의 주요 영역과 제2 이미지의 주요 영역이 서로 겹치지 않게 되어, 각 이미지상의 주요 오브젝트가 누락되지 않고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이미지의 주요 영역과 상기 제2 이미지의 주요 영역을 각각 크롭하고, 크롭된 각 이미지를 레이아웃에 맞게 재배치함으로써 편집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it is desired to overlay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in accordance with the layout, the main area and the blank area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image are respectively detected, and the main area of the second image is cropped, It is possible to overlay the margin area. By doing so, the main area of the first image and the main area of the second image do not overlap with each other, so that the main object on each image can be displayed without missing. As another method, an edited image can be generated by cropping the main area of the first image and the main area of the second image, respectively, and rearranging each cropped image according to the layout.

이하,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원본 이미지로부터 주요 영역 및 여백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detecting a main area and a blank area from an original imag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주요 영역 검출 방법>&Lt; Detection of main area >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영역 검출의 세부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편집하고자 하는 원본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를 식별함으로써 상기 식별된 오브젝트가 포함된 영역을 주요 영역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브젝트는 얼굴, 텍스트, 기타 주요 사물 등이 될 수 있다.4 is a flowchart showing the detailed procedure of the main area dete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4, an area including the identified object can be detected as a main area by identifying an object included in the original image to be edited. At this time, the object may be a face, a text, and other main objects.

예컨대, 먼저 이미지 내에 포함된 얼굴이 있는지를 검출(S401)할 수 있다. 상기 검출 결과 검출된 얼굴이 존재할 경우(S402), 상기 검출된 얼굴이 포함된 영역을 주요 영역으로 판단(S403)할 수 있다. 이때, 이미지로부터 얼굴을 검출하는 방법은 공지된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싱 방법에 의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얼굴 검출 결과 복수 개의 얼굴이 검출될 경우, 각 얼굴의 중요도(예컨대, 크기, 위치, 선명도 등을 기준으로 결정된 중요도)를 판별하여 복수의 얼굴들 중 중요도가 높은 얼굴들을 포함하는 영역들을 주요 영역으로 판단하거나, 검출된 복수 개의 얼굴들 전부를 포함하는 하나의 영역을 주요 영역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re is a face included in the image first (S401). If the detected face exists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S402), the region including the detected face may be determined as a main region (S403). At this time, a method of detecting a face from an image can be implemented by various known image processing method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On the other hand, when a plurality of faces are detected as a result of the face detection, the importance degree of each face (for example, importance determined based on size, position, sharpness, etc.) is discriminated and regions including faces with high importance It may be judged as a main area, or one area including all of a plurality of detected faces may be judged as a main area.

또한, 상기 이미지 내에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분석(S404)함으로써 주요 영역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미지 내에 텍스트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OCR(Optical Character Reader) 기술을 사용하여 검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미지 내에서 텍스트가 검출(S405)되면, 검출된 텍스트 영역을 주요 영역으로 판단(S406)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main area by analyzing whether text is included in the image (S404).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detect the text using the OCR (Optical Character Reader) techniqu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xt is detected in the image (S405), the detected text area can be determined as the main area (S406).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미리 지정된 특정 사물이 존재하는지를 검출(S407)할 수도 있다. 상기 검출 결과, 미리 지정된 특정 사물이 상기 이미지 내에 존재할 경우(S408), 검출된 사물이 포함된 영역을 주요 영역으로 판단(S409)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whether there is at least one predetermined specific objec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407). If the predetermined object exists in the image as a result of the detection (S408), the region containing the detected object may be determined as the main region (S409).

한편, 상술한 오브젝트 검출 방법에서 얼굴, 텍스트, 기타 주요 사물 등을 검출하는 각 방법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도 4에 도시된 검출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described object detection method, each method of detecting face, text, and other main objects can be selectively applied,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tection order shown in FIG.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패턴 분석에 의한 주요 영역 검출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서 상술한 방법과는 달리 특정 오브젝트를 검출하지 않고, 이미지 전체의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주요 영역을 검출할 수도 있다.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in area detection procedure by image pattern analysi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5, unlike the method described in FIG. 4, a main region can be detected by analyzing a pattern of an entire image without detecting a specific object.

즉, 이미지 내에서 초점이 맞는 부분과 맞지 않는 부분이 공존하는 경우 선명도 분석을 통해 선명도의 평균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역을 주요 영역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이때, 선명도 분석 방법에서는 이미지 내의 특정 픽셀을 중심으로 하여 주변 픽셀 값의 변화 주기가 짧을수록 높은 선명도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 focused portion and the non-focused portion coexist in the image, the region having a relatively high average value of the sharpness can be determined as the main region through the sharpness analysis. At this time, in the sharpness analysis method, it can be judged that the shorter the period of change of the surrounding pixel value with respect to the specific pixel in the image, the higher the sharpness.

또한, 다른 방법으로 이미지 내의 각 픽셀에 대해 주변 픽셀 대비 색상 또는 명암의 차이값을 구하고, 그 차이값의 평균이 상대적으로 높은 영역을 주요 영역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for each pixel in the image, a difference value of color or contrast relative to surrounding pixels may be obtained, and an area having a relatively high average value of the differences may be determined as a main area.

또 다른 방법으로서 상술한 초점값 및 대비값을 조합하여 주요 영역을 판단할 수도 있다. 즉, 각 픽셀의 초점값 및 대비값을 산출(S501, S502)하고, 상기 초점값 및 대비값을 연산하여 현저성(saliency) 값을 결정(S503)할 수 있다. 예컨대, 현저성 값은 초점값과 대비값을 곱셈 연산하여 산출할 수 있다.As another method,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the main area by combining the focus value and the contrast value. That is, the focus value and the contrast value of each pixel may be calculated (S501, S502), and the focus value and the contrast value may be calculated to determine a saliency value (S503). For example, the apparentness value can be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focus value and the contrast value.

이와 같이, 각 픽셀에 대한 현저성 값이 산출되면, 이미지 내의 현저성 값의 분포를 2차원 가우시안(Gaussian) 분포로 모델링(S504)하고,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현저성 값이 응집된 영역을 이미지 내의 주요 영역으로 판단(S505)한다. 이때, 이미지 내 현저성 값의 분포에 따라 주요 영역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 개로 검출될 수 있다.When the conspicuousness value for each pixel is calculated, the distribution of the conspicuousness values in the image is modeled as a two-dimensional Gaussian distribution (S504) It is judged as a main area (S505). At this time, the main region may be detected as one or more than two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of the saliency values in the imag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추출된 주요 영역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주요 영역의 크기, 모양, 방향 등을 대표하는 폐곡선(예컨대, 타원)의 형태(620)를 가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폐곡선(들)을 포함하는 사각형 등의 도형(610)으로 최종 결정될 수 있다.6B, the extracted main region may have a shape 620 of a closed curve (e.g., an ellipse) that basically represents the size, shape, direction, etc. of the main region And may be finally determined as a figure 610, such as a rectangle, including the closed curve (s) as shown in FIG. 6A, as needed.

<여백 영역 검출 방법><Margin Area Detection Method>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여백 영역(Non-salient Area)을 검출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여백 영역은 이미지 내에서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적은 영역을 의미하며, 주요 영역과는 반대되는 의미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결정된 주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여백 영역으로 결정할 수도 있으며, 다른 방법에 의해 여백 영역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에서 검출된 주요 영역의 형태에 따라 주요 영역과 여백 영역은 그 일부가 서로 겹칠 수도 있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detecting a non-salient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eantime, the blank area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n area having relatively little influence in the image, and has a meaning opposite to that of the main area. Therefore, the remaining area excluding the main area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may be determined as the blank area, or the blank area may be determined by another method. Meanwhile,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main area detected in the above, some of the main area and the blank area may overlap with each other.

여백 영역을 추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로서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의 주요 영역을 검출(S701)한다. 그런 다음,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요 영역(810)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여백 영역의 후보 영역인 1단계 여백 영역(820)으로 지정(S702)한다.Referring to FIG. 7 as an embodiment for extracting a blank area, first, a main area of an image is detected (S701) as described above. Then, as shown in FIG. 8A, the remaining area excluding the main area 810 is designated as a first-step blank area 820, which is a candidate area of the blank area (S702).

그런 다음, 상기 지정된 1단계 여백 영역에 대해 화면 분할(image segmentation)을 수행(S703)한다. 이때, 상기 화면 분할은 유사한 픽셀 값(예컨대, 초점값, 대비값, 현저성 값 등)을 갖는 인접 픽셀들을 그룹핑 하여 최종적으로 하나의 화면을 유사한 픽셀 값을 갖는 여러 개의 영역으로 나누는 작업이다. 예컨대, 상기 1단계 여백 영역의 각 픽셀의 색상 또는 명암을 인접 픽셀들과 비교하고, 그 차이가 미리 설정된 기준 이하일 경우 유사한 픽셀들로 간주하고, 하나의 영역으로 그룹핑 하게 된다. 그런 다음, 각 분할된 영역 중 미리 설정한 제1 임계값보다 낮은 픽셀값의 변화율을 가지면서 미리 설정한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크기 또는 모양을 갖는 영역을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단계 여백 영역(830)으로 설정(S704)한다.Then, image segmentation is performed on the designated one-step margin area (S703). In this case, the screen division is a task of grouping adjacent pixels having similar pixel values (e.g., focus value, contrast value, and conspicuous value), and finally dividing one screen into several areas having similar pixel values. For example, the color or brightness of each pixel in the first-stage blank region is compared with neighboring pixels, and if the difference is less than a preset reference, it is regarded as similar pixels and grouped into one region. Then, an area having a change rate of a pixel value lower than a preset first threshold value and having a size or shape higher than a preset second threshold value among the divided areas is referred to as a 2-step margin Area 830 (S704).

한편, 상기 1단계 여백 영역은 잘라내거나 다른 이미지와 중첩되어 가려져도 좋은 영역을 의미하고, 2단계 여백 영역은 1단계 여백 영역 중에서도 화면 변화율이 적고 평탄한 픽셀 값을 갖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결정된 각 여백 영역은 이후의 오버레이 편집 과정에서 상이하게 적용(S705)될 수 있다. 예컨대,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1단계 여백 영역은 복수의 이미지를 오버레이할 경우에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2단계 여백 영역은 이미지에 텍스트를 오버레이할 경우에 사용될 수 있다.In the meantime, the first-stage blank region means a region that is cut or overlapped with other images and may be masked. The second-stage blank region means a region having a flat pixel value and a small screen change rate even in the first-step blank region. Each of the thus determined blank areas may be applied differently in the subsequent overlay editing process (S705). For example,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the first-stage blank area may be used when overlaying a plurality of images, and the second-stage blank area may be used when overlaying text on an image.

이상으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요 영역 및 여백 영역을 검출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에 따른 다양한 이미지 편집 방법들을 상세히 설명한다.In the foregoing, a method of detecting a main area and a blank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Next, various image editing method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to FIG.

<제1 실시예 - 주요 영역 크롭>&Lt; First Embodiment-Main Region Crop >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본 이미지를 크롭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원본 이미지의 주요 영역을 크롭함으로써 이미지를 편집할 수 있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cropping an original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an image can be edited by cropping a main area of an original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원본 이미지의 주요 영역이 검출(S901)되면, 이미지가 웹페이지상에서의 레이아웃을 고려하여, 해당 편집된 이미지(예컨대, 썸네일 이미지)가 배치될 영역의 특성값(예컨대, 이미지 크기, 가로 세로 비율 등)을 입력(S902)받는다. 그런 다음, 상기 입력된 특성값에 따라 상기 검출된 주요 영역을 크롭하고 리사이징(S903)함으로써 이미지를 편집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복수 개의 콘텐츠에 대한 이미지의 주요 영역에 대해 최적의 크롭 비율 및 크기를 산출하고, 해당 이미지들의 조합에 가장 적합한 콘텐츠 레이아웃을 제안함으로써 웹 페이지를 구성할 수도 있다.That is, when the main area of the original image is detected (S901) as described above, in consideration of the layout of the image on the web page, the characteristic value of the area in which the edited image (for example, thumbnail image) Image size, aspect ratio, etc.) (S902). Then, the image is edited by cropping and resizing the detected main area according to the input characteristic value (S903). In another embodiment, a web page may be configured by calculating an optimum crop ratio and size for a main region of an image for a plurality of contents, and suggesting a content layout most suitable for a combination of the images.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결정된 주요 영역을 크롭한 후 해당 크기 또는 가로 세로 비율에 맞게 리사이징할 수도 있으며, 주요 영역을 크롭할 때 해당 크기 또는 가로 세로 비율을 고려하여 크롭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Meanwhil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ermined main region may be cropped and then resized according to a corresponding size or aspect ratio. Alternatively, when the main region is cropped, it may be cropped considering the size or aspect ratio .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본 이미지로부터 크롭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원본 이미지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주요 영역(1000)을 크롭함으로써 크롭 이미지를 웹페이지 등에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스마트폰 등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화면에 사용할 수 있도록 주요 영역을 중심으로 크롭하거나, 특정 레이아웃을 위한 비율에 맞게 크롭함으로써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자동 편집할 수 있다.10 is a view showing an image cropped from an original imag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0, a crop image can be placed on a web page or the like by cropping the main area 1000 as described above in the original image. For example, images can be automatically and automatically edited by cropping them around the main area for use on relatively small-sized screens, such as smart phones, or by cropping them for a specific layout.

<제2 실시예 - 이미지 + 텍스트 오버레이>&Lt; Second Embodiment - Image + Text Overlay >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여백 영역에 텍스트를 오버레이하는 절차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원본 이미지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주요 영역을 검출(S1101)하고, 상기 검출된 주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을 여백 영역으로 설정(S1102)한다.11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dure for overlaying text in a margin area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1, a main area is detected (S1101) as described above in the original image, and a remaining area excluding the detected main area is set as a blank area (S1102).

그런 다음, 상기 여백 영역의 크기를 산출하여 오버레이 가능한 텍스트열의 길이를 판단(S1103)하고, 해당 영역에 맞는 텍스트(예컨대, 아티클 제목, 내용 중 일부 등)를 배치하여 자동으로 오버레이(S1106)시킨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텍스트가 오버레이될 여백 영역의 색상을 분석(S1104)하고, 상기 분석된 여백 영역의 색상을 고려하여 텍스트의 색상을 결정(S1105)한다. 예컨대, 여백 영역의 색상과 보색인 색상을 택스트의 색상으로 결정함으로써 여백의 색상에 따라 텍스트가 잘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백 영역의 색상이 흐린 색상일 경우 텍스트의 색상을 반대되는 색상의 폰트로 설정하거나, 텍스트 배경을 별도의 색상으로 박스 처리할 수 있다.Then, the size of the blank area i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length of the overlayable text string (S1103), and the text (e.g., an article title, a part of the content, etc.) corresponding to the area is arranged and automatically overlaid (S1106). At this tim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lor of the blank area overlaid with the text is analyzed (S1104), and the color of the text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color of the analyzed blank area (S1105).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lor of the marginal area and the color of the complementary color are determined as the color of the text, so that the text can be seen clearly according to the color of the margin. Also, when the color of the marginal area is a faded color, the color of the text can be set to the font of the opposite color, or the text background can be boxed in a separate color.

즉, 도 12를 참조하면, 좌측에 도시된 원본 이미지에서 주요 영역(1200)과 여백 영역(1210)을 검출하고, 상기 여백 영역(1210)의 크기와 색상을 분석한다. 즉, 여백 영역(1210)의 크기를 분석하여 배치할 텍스트 열의 길이를 결정하고, 여백 영역(1210)의 색상을 분석하여 배치할 텍스트의 색상을 결정할 수 있다.12, the main area 1200 and the blank area 1210 are detected in the original image shown on the left side, and the size and color of the blank area 1210 are analyzed. That is, the size of the text area to be arranged may be determined by analyzing the size of the blank area 1210, and the color of the text to be arranged may be determined by analyzing the color of the blank area 1210.

따라서, 우측에 도시된 편집 이미지에서와 같이 여백 영역(1210)의 상단에 '신선한 봄맞이 인테리어 노하우'라는 텍스트열의 헤드라인(1220)이 여백 영역(1210)의 색상과 반대되는 색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하단에는 텍스트 박스(1230) 형태로 텍스트열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텍스트 박스(1230)는 박스 내의 텍스트의 색상과 텍스트 박스(1230)의 배경 색상을 서로 반대되는 색상으로 설정함으로써 텍스트의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Thus, the headline 1220 of the text string &quot; fresh spring interior know-how &quot; at the top of the margin area 1210 can be arranged in a color opposite to the color of the margin area 1210, as in the edited image shown on the right And a text string in the form of a text box 1230 at the bottom. The text box 1230 can increase the readability of the text by setting the color of the text in the box and the background color of the text box 1230 to be opposite to each other.

<제3 실시예 - 이미지에 여백 영역 추가>&Lt; Third Embodiment - Adding a margin area to an image >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본 이미지에 여백 영역이 추가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원본 이미지에 별도의 여백 영역이 검출되지 않은 경우, 상기 원본 이미지에서 검출된 주요 영역 외부의 배경 이미지 복잡도를 판별하여, 이미지 복잡도가 낮을 경우, 해당 배경의 색상을 분석하여 기본 색상을 추출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추출된 기본 색상과 어울리는 색상(예컨대, 유사한 색상, 보색, 동일한 색상, 주요 영역의 색상 등)의 여백 영역(1310)을 상기 원본 이미지(1300)에 추가할 수 있다.13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in which a margin area is added to an original imag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3, when a separate margin area is not detected in the original image, the background image complexity outside the main area detected in the original image is discriminated. When the image complexity is low, And extracts a blank area 1310 of a color (e.g., similar color, complementary color, the same color, a color of a main area, etc.) matching the extracted basic color with the original image 1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Lt; / RTI &gt;

이와 같이, 주요 영역 외부의 단순한 배경 영역에서 텍스트를 오버레이 할 수 있는 추가 타이틀/캡션 영역을 여백 영역으로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원본 이미지(1300)에 여백 영역(1310)이 추가된 새로운 이미지가 생성될 수도 있으며, 이미지 외부에 HTML/CSS 등을 이용하여 새로운 캡션 영역을 생성할 수도 있다.Thus, an additional title / caption area that can overlay the text in a simple background area outside the main area can be created as a blank area. Accordingly, a new image may be created in which the margin area 1310 is added to the original image 1300, or a new caption area may be created using HTML / CSS or the like outside the image.

<제4 실시예 - 이미지 + 이미지 오버레이>&Lt; Fourth Embodiment - Image + Image Overlay >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이미지들이 오버레이된 이미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웹페이지 등에 배치할 콘텐츠에 복수의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 각 이미지의 주요 영역과 여백 영역의 크기 및 위치를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이미지를 오버레이하여 자동 편집할 수 있다.14 is a diagram showing an image in which a plurality of images are overlaid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images can be overlaid and automatically edited by comparing the size and position of the main area and the blank area of each imag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images exist in a content to be placed on a web page or the like .

예컨대,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상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상단의 제1 이미지(1410)에서 주요 영역(1411)을 판별하고, 하단의 제2 이미지(1420)에서 주요 영역(1421)을 판별한다.For example, referring to FIG. 14, the main region 1411 is discriminated from the first image 1410 at the upper end and the main region 1421 is discriminated from the second image 1420 at the lower en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

그런 다음, 상기 제1 이미지(1410)의 여백 영역에 상기 제2 이미지(1420)의 주요 영역(1421)을 오버레이 시키거나, 상기 제2 이미지(1420)의 여백 영역에 상기 제1 이미지(1410)의 주요 영역(1411)을 오버레이 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복수 개의 이미지의 각 주요 영역들이 서로 겹치지 않고서도 이미지들을 자동으로 오버레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상기 도 14에는 두 개의 이미지를 오버레이시키는 방법을 도시하였으나, 동일한 방법에 의해 셋 이상의 이미지를 오버레이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he main image 1420 of the second image 1420 may then be overlaid on the margin region of the first image 1410 or the first image 1410 may be overlaid on the margin region of the second image 1420. [ Can overlay the main area 1411 of FIG. This makes it possible for the main regions of a plurality of images to automatically overlay images without overlapping each other. 14 illustrates a method of overlaying two images, it is also possible to overlay three or more images by the same method.

여기에서 다양한 방법들에 관해 설명된 바와 같은 다양한 동작들 및 기능들은 특정 프로세싱 기능부 및/또는 그 안에 구현된 프로세싱 기능부, 및/또는 그 안의 다른 구성요소들과 같은 많은 유형의 기능부들 중 어느 것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러한 기능부들은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다양한 동작들 및 처리들, 또는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어느 다른 동작들 및 기능들, 등 또는 그 각 등가물들을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그러한 정보들을 생성하고 그러한 동작들, 처리들 등을 수행할 수 있다.The various operations and functions as described herein with respect to the various methods may be performed by any of a number of types of functions, such as a particular processing function and / or a processing function implemented therein, and / &Lt; / RTI &gt; For example, such functions may be described herein, as well as performing various operations and processes as described herein, or any other operations and functions as described herein, etc., or the like, And may perform such operations, processes, and the like.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러한 기능부들(동일한 장치 또는 구별된 장치들상에서 구현될 수 있는)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에 따른 그러한 처리 및 동작들, 등, 및/또는 여기에 개시된 바와 같은 어느 다른 동작들 및 기능들, 및 그 각 등가물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그러한 처리는 제1 장치에서의 제1 기능부, 및 제2 장치 내의 제2 기능부에 의해 함께 수행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그러한 프로세싱, 동작들 등은 하나의 특정 장치 내에서 처리부들에 의해 전적으로 수행된다. 심지어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그러한 프로세싱, 동작들이 하나의 단일 디바이스내에서 적어도 제1 기능부 및 제2 기능부를 사용하여 수행된다.In some embodiments, such functions (which may be implemented on the same device or on distinct devices) may be implemented in such a manner and in accordance with various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etc., and / Operations and functions, and their equivalents. In some embodiments, such processing is performed together by the first functional portion in the first device and the second functional portion in the second device. In other embodiments, such processing, operations, etc. are performed entirely by the processing units within one particular apparatus. Even in other embodiments, such processing and operations are performed using at least a first functional portion and a second functional portion within a single device.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 용어들 '시스템', '장치', '~부'는 단일 프로세싱 디바이스 또는 복수의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그러한 프로세싱 디바이스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디지털 신호 처리기, 마이크로 컴퓨터, 중앙 처리 유닛,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스테이트 머신, 로직 회로,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상기 회로 및/또는 동작 지시들의 하드 코딩에 기반하여 신호들(아날로그 및/또는 디지털)을 조작하는 소정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은 단일 메모리 디바이스, 복수의 메모리 디바이스들, 및/또는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의 내장된 회로일 수 있는 결합된 메모리 및/또는 집적된 메모리 엘리먼트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메모리 디바이스는 읽기 전용 메모리(ROM),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정적 메모리, 동적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캐시 메모리, 및/또는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는 소정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만약,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이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포함한다면, 상기 프로세싱 디바이스들은 집중적으로 위치될 수 있거나(즉, 유선 및/또는 무선 버스 구조를 통해 함께 직접적으로 연결된), 분산되어 위치될 수 있음(예컨대, 근거리 통신망 및/또는 광역 네트워크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을 통한 클라우드 컴퓨팅)을 주목하여야 한다. 만약,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이 정적 머신,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회로, 저장하는 메모리 및/또는 메모리 구성요소를 통해 하나 이상의 그 기능들을 구현한다면, 그 대응하는 동작 지시들은 상기 정적 머신, 아날로그 회로, 디지털 회로, 및/또는 논리 회로를 포함하는 회로의 내부에 내장되거나 외부에 있을 수 있음을 더 주목하여야 한다. 상기 메모리 엘리먼트는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세싱 모듈, 모듈, 프로세싱 회로, 및/또는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도면들 중 하나 이상에서 나타내는 단계들 및/또는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에 대응하는 하드 코딩된 및/또는 동작 지시들을 실행한다는 것을 여전히 더 주목하여야 한다. 그러한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메모리 엘리먼트는 제조의 부품 내에서 포함될 수 있다.Also, in the foregoing description, the terms &quot; system, &quot; &quot; device, &quot; and &quot; section &quot; may be a single processing device or a plurality of processing devices. Such a processing device may be a microprocessor, a microcontroller, a digital signal processor, a microcomputer, a central processing unit,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 programmable logic device, a state machine, a logic circuit, an analog circuit, a digital circuit, and / (Analog and / or digital) based on hard coding of operational instructions. The processing module, module, processing circuit, and / or processing unit may be implemented as a single memory device, a plurality of memory devices, and / or a combination of the processing modules, the processing circuitry, and / Lt; / RTI &gt; memory and / or an integrated memory element. Such a memory device may be any device that stores read 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volatile memory, non-volatile memory, static memory, dynamic memory, flash memory, cache memory, and / . If the processing module, the module, the processing circuit, and / or the processing unit include one or more processing devices, the processing devices may be centrally located (i.e., directly or indirectly via a wired and / Connected), distributed (e.g., cloud computing via an indirect connection over a local and / or wide area network). If the processing module, module, processing circuit, and / or processing unit implements one or more of those functions through a static machine, analog circuitry, digital circuitry, and / or circuitry, memory and / It should further be noted that the corresponding operating instructions may be internal or external to the circuit including the static machine, analog circuitry, digital circuitry, and / or logic circuitry. The memory element may be stored and the processing module, module, processing circuitry, and / or process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store a hard-coded and / or hard-coded data item corresponding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steps and / or functions depicted in one or more of the figures It should be further noted that it carries out operational instructions. Such a memory device or memory element may be included within the components of the manufacture.

본 발명은 특정 기능들 및 그의 관계들의 성능을 나타내는 방법 단계들의 목적을 가지고 위에서 설명되었다. 이러한 기능적 구성 요소들 및 방법 단계들의 경계들 및 순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여기에서 임의로 정의되었다. 상기 특정 기능들 및 관계들이 적절히 수행되는 한 대안적인 경계들 및 순서들이 정의될 수 있다. 임의의 그러한 대안적인 경계들 및 순서들은 그러므로 상기 청구된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다. 추가로, 이러한 기능적 구성 요소들의 경계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정의되었다. 어떠한 중요한 기능들이 적절히 수행되는 한 대안적인 경계들이 정의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흐름도 블록들은 또한 어떠한 중요한 기능성을 나타내기 위해 여기에서 임의로 정의되었을 수 있다. 확장된 사용을 위해, 상기 흐름도 블록 경계들 및 순서는 정의되었을 수 있으며 여전히 어떠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기능적 구성 요소들 및 흐름도 블록들 및 순서들 둘 다의 대안적인 정의들은 그러므로 청구된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다. 당업자는 또한 여기에서의 상기 기능적 구성 요소들 및 다른 도시된 블록들, 모듈들, 및 구성요소들이 도시된 바와 같이 또는 분리된 구성요소들, 반도체 집적 회로(ASIC)들, 적절한 소프트웨어를 실행하는 프로세서들 및 그와 유사한 또는 임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음을 인지할 것이다.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the aim of method steps illustrating the performance of certain functions and their relationships. The boundaries and order of these functional components and method steps have been arbitrarily defined herei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lternative boundaries and sequences may be defined as long as the specific functions and relationships are properly performed. Any such alternative boundaries and sequences are therefore with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claimed invention. In addition, the boundaries of these functional components have been arbitrarily defined for ease of illustration. Alternative boundaries can be defined as long as certain important functions are properly performed. Likewise, the flow diagram blocks may also be arbitrarily defined herein to represent any significant functionality. For extended use, the flowchart block boundaries and order may have been defined and still perform some important function. Alternative definitions of both functional components and flowchart blocks and sequences are therefore within the scope and spirit of the claimed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lso appreciate that the functional components and other illustrated blocks, modules, and components herein may be implemented as illustrated or as separate components, such as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SICs) And the like, or any combination thereof.

본 발명은 또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용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설명되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 그 측면, 그 특징, 그 개념, 및/또는 그 예를 나타내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된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장치, 제조의 물건, 머신, 및/또는 프로세스의 물리적인 실시예는 여기에 설명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하나 이상의 측면들, 특징들, 개념들, 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구나, 전체 도면에서, 실시예들은 상기 동일한 또는 상이한 참조 번호들을 사용할 수 있는 상기 동일하게 또는 유사하게 명명된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을 통합할 수 있으며, 그와 같이, 상기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은 상기 동일한 또는 유사한 기능들, 단계들, 모듈들 등 또는 다른 것들일 수 있다.The invention may also be described, at least in part, in the language of one or more embodiment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used herein to describe the invention, aspects thereof, features thereof, concepts thereof, and / or examples thereof. The physical embodiment of an apparatus, article of manufacture, machine, and / or process for implementing the invention may include one or more aspects, features, concepts, examples, etc.,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or mor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 Moreover, in the entire drawings, embodiments may incorporate the same or similarly named functions, steps, modules, etc. that may use the same or different reference numerals, and so forth, Steps, modules, etc., may be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steps, modules, etc., or the like.

한편, 용어 "~처리부"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설명에서 사용된다. 모듈은 하나 이상의 출력 신호들을 생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입력 신호들의 처리와 같은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하드웨어를 통해 구현되는 기능적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적 블록을 구현하는 하드웨어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결합하여 직접 동작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모듈은 자체적으로 모듈인 하나 이상의 서브-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meantime, the term " processing unit "is used in the description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module includes a functional block implemented via hardware to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processing one or more input signals to produce one or more output signals. The hardware implementing the functional block may operate directly by combining software and / or firmware. As used herein, a module may include one or more sub-modules that are themselves modules.

본 발명의 여러가지 기능들 및 특정들의 특별한 조합들이 여기에 분명히 설명된 반면, 이러한 특징들 및 기능들의 다른 조합들이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본 발명은 여기에 개시된 특정한 예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러한 다른 조합들을 명백히 통합한다.While various combinations of features and specific combinations of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plicitly described herein, other combinations of these features and functions are likewise possib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xamples disclosed herein, and explicitly incorporates these different combinations.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articular embodiments, such as specific ele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nd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thereto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belo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210 :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 220 : 이미지 분석 모듈
221 : 오브젝트 검출 모듈 222 : 패턴 분석부
223 : 여백 검출부 230 : 이미지 편집 모듈
231 : 이미지 크롭부 232 : 텍스트 오버레이부
233 : 이미지 오버레이부 234 : 여백 추가부
235 : 이미지 리사이징부
240 : 이미지 구성 정보 데이터베이스
250 : 편집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210: content information database 220: image analysis module
221: Object Detection Module 222: Pattern Analysis Unit
223: margin detection unit 230: image editing module
231: image cropping section 232: text overlay section
233: image overlay unit 234: margin adding unit
235: image resizing part
240: image configuration information database
250: Edit image database

Claims (27)

적어도 하나의 편집 대상 이미지를 저장하는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
상기 콘텐츠 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편집 대상 이미지를 제공받고, 상기 제공된 편집 대상 이미지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주요 영역을 검출하는 이미지 분석 모듈;
편집된 이미지가 배치될 레이아웃의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이미지 구성 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이미지 구성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성 정보에 따라 상기 이미지 분석 모듈에 의해 검출된 주요 영역을 포함하는 편집 이미지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이미지 편집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 분석 모듈은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의 전체 영역 중 상기 검출된 주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여백 영역으로 판단하는 여백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여백 검출부는 상기 검출된 주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1단계 여백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1단계 여백 영역에 대해 유사한 픽셀 값을 갖는 복수의 영역들로 화면 분할하며, 각 분할된 영역 중 미리 설정한 제1 임계값보다 낮은 픽셀값의 변화율을 가지면서 미리 설정한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크기 또는 모양을 갖는 영역을 2단계 여백 영역으로 설정하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
A content information database for storing at least one edit target image;
An image analysis module that receives the at least one image to be edited from the content information database and detects at least one main area of the entire area of the provided image to be edited;
An image configuration information database stor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layout in which an edited image is to be placed; And
And an image editing module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n edit image including a main area detected by the image analysis modul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image configuration information database,
Wherein the image analysis module includes a margin detection unit that determines an area excluding the detected main area as a margin area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editing object image,
Wherein the blank space detecting unit sets a region excluding the detected main region as a first-step blank region, and divides the region into a plurality of regions having similar pixel values with respect to the first-step blank region, An area having a rate of change of a pixel value lower than the first threshold value and having a size or shape higher than a preset second threshold value is set as a two-step margin are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분석 모듈은,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역을 주요 영역으로 판단하는 오브젝트 검출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
The image analysis module of claim 1,
And an object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t least one object among all the regions of the image to be edited and determines an area including the detected object as a main are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분석 모듈은,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 내의 각 픽셀에 대해 초점 값 및 대비 값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초점 값 및 대비 값에 의해 현저성 값을 산출하며, 상기 산출된 현저성 값의 분포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주요 영역을 검출하는 패턴 분석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
The image analysis module of claim 1,
Calculating a focus value and a contrast value for each pixel in the image to be edited, calculating a saliency value based on the calculated focus value and the contrast value, and calculating at least one main region And a pattern analyzing unit that detects a pattern of the imag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단계 여백 영역 및 상기 2단계 여백 영역은 오버레이 편집 과정에서 서로 상이하게 적용되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first-stage blank region and the second-stage blank region are applied differently in an overlay editing proces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편집 모듈은,
상기 이미지 분석 모듈에서 검출된 주요 영역을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로부터 크롭하는 이미지 크롭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
The image edi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mage cropping unit for cropping the main region detected by the image analysis module from the image to be edi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편집 모듈은,
상기 여백 영역에 텍스트를 오버레이시키는 텍스트 오버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
The image edi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 text overlay section for overlaying the text in the margin area.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여백 영역에 오버레이시키는 상기 텍스트의 색상은 상기 여백 영역의 색상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
The automatic image edi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color of the text overlaid on the blank area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color of the blank area.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여백 영역에 오버레이시키는 상기 텍스트의 내용은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와 관련된 콘텐츠의 캡션, 제목, 기사 내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ontent of the text overlaid on the margin area
Wherein the editing unit is any one of a caption, a title, and an article content of a content related to the editing target ima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편집 모듈은,
주요 영역이 검출된 복수의 편집 대상 이미지들에 대해 제1 이미지의 여백 영역에 제2 이미지의 주요 영역을 오버레이시키는 이미지 오버레이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
The image edi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mage overlay unit for overlaying a main area of the second image in a blank area of the first image for a plurality of editing target images for which a main area is detec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편집 모듈은,
상기 전체 영역 중 상기 주요 영역이 아닌 영역에 텍스트를 오버레이할 공간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에 여백 영역을 더 추가시키는 여백 추가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
The image edi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 margin adding unit for adding a margin area to the editing target image when the area other than the main area is not sufficient to overlay text in the entire are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편집 모듈은,
상기 주요 영역을 포함하는 편집 이미지의 크기 또는 가로 세로 비율을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리사이징하는 이미지 리사이징부를 포함하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장치.
The image edi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mage resizing unit for resizing the size or aspect ratio of the edited image including the main area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이미지 분석 모듈에서 편집 대상 이미지를 제공받는 단계;
상기 이미지 분석 모듈에서 상기 제공된 편집 대상 이미지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주요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의 전체 영역 중 상기 검출된 주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여백 영역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이미지 편집 모듈에서 상기 검출된 주요 영역이 포함되도록 하여 미리 설정된 레이아웃의 구성 정보에 따라 이미지를 자동으로 편집함으로써 편집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여백 영역으로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주요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1단계 여백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1단계 여백 영역에 대해 유사한 픽셀 값을 갖는 복수의 영역들로 화면 분할하는 단계; 및
각 분할된 영역 중 미리 설정한 제1 임계값보다 낮은 픽셀값의 변화율을 가지면서 미리 설정한 제2 임계값보다 높은 크기 또는 모양을 갖는 영역을 2단계 여백 영역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방법.
Receiving an image to be edited in an image analysis module;
Detecting at least one main area of the entire area of the provided editing target image in the image analysis module;
Determining an area excluding the detected main area as the blank area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image to be edited; And
Generating an edited image by automatically editing an image according to a configuration information of a predetermined layout so that the detected main area is included in the image editing module,
Setting an area excluding the detected main area as a first-step margin area;
Dividing the image into a plurality of regions having similar pixel values for the first-stage blank region; And
Setting an area having a change rate of a pixel value lower than a preset first threshold value among the divided areas and having a size or shape higher than a preset second threshold value as a two-step margin area, Automatic image editing by analysis.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주요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의 전체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오브젝트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영역을 주요 영역으로 판단하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Detecting at least one object among all the regions of the image to be edited and determining the region including the detected object as a main region.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주요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 내의 각 픽셀에 대해 초점 값 및 대비 값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초점 값 및 대비 값에 의해 현저성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현저성 값의 분포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주요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Calculating a focus value and a contrast value for each pixel in the image to be edited;
Calculating a saliency value based on the calculated focus value and the contrast value; And
And detecting at least one main region according to the calculated distribution of the saliency valu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1단계 여백 영역 및 상기 2단계 여백 영역은 오버레이 편집 과정에서 서로 상이하게 적용되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the one-step margin region and the two-step margin region are applied differently in the overlay editing process.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편집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주요 영역을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로부터 크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generating the edit image comprises:
And cropping the detected main region from the image to be edited.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편집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여백 영역에 텍스트를 오버레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generating the edit image comprises:
And overlaying the text in the margin area.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여백 영역에 오버레이시키는 상기 텍스트의 색상은 상기 여백 영역의 색상을 고려하여 설정하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1, wherein the color of the text overlaid on the blank area is set in consideration of the color of the blank area.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여백 영역에 오버레이시키는 상기 텍스트의 내용은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와 관련된 콘텐츠의 캡션, 제목, 기사 내용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방법.
22. The method of claim 21 wherein the content of the text overlaid on the margin area is
Wherein the image editing method is any one of caption, title, and content of a content related to the image to be edited.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편집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주요 영역이 검출된 복수의 편집 대상 이미지들에 대해 제1 이미지의 여백 영역에 제2 이미지의 주요 영역을 오버레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generating the edit image comprises:
Overlaying a main region of a second image in a margin region of a first image for a plurality of editing target images for which a main region is detected.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편집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체 영역 중 상기 주요 영역이 아닌 영역에 텍스트를 오버레이할 공간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상기 편집 대상 이미지에 여백 영역을 더 추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generating the edit image comprises:
And adding a margin area to the editing target image when the area other than the main area is not sufficient to overlay the text in the entire area.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편집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주요 영역을 포함하는 편집 이미지의 크기 또는 가로 세로 비율을 상기 구성 정보에 따라 리사이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분석에 의한 이미지 자동 편집 방법.
15. The method of claim 14, wherein generating the edit image comprises:
And resizing the size or aspect ratio of the edited image including the main area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information.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6, 청구항 19 내지 청구항 26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recorded thereon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4 to 16 and claims 19 to 26.
KR20120089640A 2012-08-16 2012-08-16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ditting the image automatically by analyzing an image KR1015089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9640A KR101508977B1 (en) 2012-08-16 2012-08-16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ditting the image automatically by analyzing an image
JP2013143480A JP6294018B2 (en) 2012-08-16 2013-07-09 Image automatic editing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image analysi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2018025031A JP6462919B2 (en) 2012-08-16 2018-02-15 Image automatic editing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image analysi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89640A KR101508977B1 (en) 2012-08-16 2012-08-16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ditting the image automatically by analyzing an im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3596A KR20140023596A (en) 2014-02-27
KR101508977B1 true KR101508977B1 (en) 2015-04-08

Family

ID=50268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89640A KR101508977B1 (en) 2012-08-16 2012-08-16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ditting the image automatically by analyzing an imag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2) JP6294018B2 (en)
KR (1) KR10150897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7084B1 (en) * 2014-12-29 2016-04-2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providing smart tv movie using still image and the method thereof
KR101648964B1 (en) * 2015-04-02 2016-08-30 네이버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automatically margin creation
KR101654300B1 (en) 2015-04-03 2016-09-22 네이버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using merging layers of page with motion effect
US10210598B2 (en) 2015-06-17 2019-0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and method for processing an image
KR102193567B1 (en) * 2015-06-17 2020-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Apparatus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US10841654B2 (en) * 2016-11-24 2020-11-17 Hanwha Techwin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s and passenger density
JP6902886B2 (en) * 2017-03-14 2021-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Image processing equipment, methods and programs
KR102035531B1 (en) 2017-09-26 2019-10-24 네이버웹툰 주식회사 Creating representative image
KR102114369B1 (en) * 2018-07-03 2020-06-17 카페24 주식회사 Online shopping mall banner design gener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2039422B1 (en) * 2018-09-21 2019-11-04 (주)투비소프트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rocessing images
KR102247877B1 (en) * 2019-03-22 2021-05-04 카페24 주식회사 Image crop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online shopping mall banner design
WO2020242508A1 (en) * 2019-05-24 2020-12-03 Google Llc Image extension neural networks
JP7392368B2 (en) 2019-10-03 2023-12-0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Image processing device, system, program
WO2022201237A1 (en) * 2021-03-22 2022-09-29 株式会社オープンエイト Server, text field arrangement position method, and program
CN113487475B (en) * 2021-09-08 2021-12-07 联想新视界(南昌)人工智能工研院有限公司 Interactive image editing method, system, 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4242197B (en) * 2021-12-21 2022-09-09 数坤(北京)网络科技股份有限公司 Structured report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KR102587797B1 (en) * 2023-05-18 2023-10-11 정윤태 Method for providing art work search service and apparatus therefor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1943A (en) * 1996-10-03 1998-04-28 Hitachi Ltd In-image front person image extracting method
KR20020024858A (en) * 2000-09-27 2002-04-03 김종명 System and Method for picture processing service providing using internet service
JP2004102393A (en) * 2002-09-05 2004-04-02 Ricoh Co Ltd Image processing system
JP2004282489A (en) * 2003-03-17 2004-10-07 Fuji Xerox Co Ltd Image process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70009174A (en) * 2005-07-15 2007-01-18 황후 Image extraction combination system and the method, and the image search method which uses it
KR100698845B1 (en) * 2005-12-28 2007-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image using algorithm of extracting personal shape
KR100700101B1 (en) * 2005-11-21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imeage editing function and the method thereof
KR20070074204A (en) * 2006-01-07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Printer driver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an object with high resolution
KR20090122767A (en) * 2008-05-26 2009-12-01 (주) 엘지텔레콤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97715A (en) * 1992-01-17 1993-08-06 Toshiba Corp Document preparing device
JP2001188525A (en) * 1999-12-28 2001-07-10 Toshiba Corp Image display device
EP2405646A1 (en) * 2006-03-23 2012-01-11 Nikon Corporation Camera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JP2011044938A (en) * 2009-08-21 2011-03-03 Ricoh Co Ltd Image processor, image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11188237A (en) * 2010-03-09 2011-09-22 Nk Works Kk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1943A (en) * 1996-10-03 1998-04-28 Hitachi Ltd In-image front person image extracting method
KR20020024858A (en) * 2000-09-27 2002-04-03 김종명 System and Method for picture processing service providing using internet service
JP2004102393A (en) * 2002-09-05 2004-04-02 Ricoh Co Ltd Image processing system
JP2004282489A (en) * 2003-03-17 2004-10-07 Fuji Xerox Co Ltd Image processo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070009174A (en) * 2005-07-15 2007-01-18 황후 Image extraction combination system and the method, and the image search method which uses it
KR100700101B1 (en) * 2005-11-21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imeage editing function and the method thereof
KR100698845B1 (en) * 2005-12-28 2007-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editing image using algorithm of extracting personal shape
KR20070074204A (en) * 2006-01-07 2007-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Printer driver and method for image processing an object with high resolution
KR20090122767A (en) * 2008-05-26 2009-12-01 (주) 엘지텔레콤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110011A (en) 2018-07-12
JP6294018B2 (en) 2018-03-14
JP2014038601A (en) 2014-02-27
KR20140023596A (en) 2014-02-27
JP6462919B2 (en)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8977B1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editting the image automatically by analyzing an image
CN109947967B (en) Image recognition method, image recognition device, storage medium and computer equipment
KR102134309B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conversion of interactive sites and applications to support mobile and other display environments
US8908976B2 (en)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8531478B2 (en) Method of browsing photos based on people
CN109618222A (en) A kind of splicing video generation method, device, terminal device and storage medium
US81449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digital images
US8213741B2 (en) Method to generate thumbnails for digital images
JP6068357B2 (en) Content display processing device, content display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integrated circuit
CN104835134A (en) Method and device for calculating psoriasis value of product image
CN110458790B (en) Image detection method and device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11612004A (en) Image clipp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semantic content
CN113014957B (en) Video shot segmentation method and device, medium and computer equipment
CN113628181A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3312949B (en) Video data processing method, video data processing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3255423A (en) Method and device for extracting color scheme from video
WO2022033088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JPH08255160A (en) Layout device and display device
WO2018061174A1 (en) Electronic book producing system, electronic book producing method, and program
CN112565905A (en) Image locking operation method, system, intelligent terminal and storage medium device
JP5614835B2 (en) Image layout setting method and apparatus
US20130104014A1 (en) Viewer unit, server unit, display control method, digital comic editing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US11620853B2 (en) Image discrimination apparatus, image discrimination method, program of image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program is stored
CN112036395B (en) Text classification recognition method and device based on target detection
US1197813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