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8942B1 - 스팸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팸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8942B1
KR101508942B1 KR20080104308A KR20080104308A KR101508942B1 KR 101508942 B1 KR101508942 B1 KR 101508942B1 KR 20080104308 A KR20080104308 A KR 20080104308A KR 20080104308 A KR20080104308 A KR 20080104308A KR 101508942 B1 KR101508942 B1 KR 101508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m
call
incoming
information
outgo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104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5221A (ko
Inventor
안정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104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8942B1/ko
Publication of KR201000452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52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8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8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36Arrangements for screening incoming calls, i.e.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all before deciding whether to answer 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4Accounting or bil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팸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팸 호 처리 시스템은, 착발신 통화 호의 종료에 따라 상응하는 과금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교환부 및 과금 정보(CDR; Call Detail Record)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착발신 통화 호가 기 설정된 스팸 호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스팸 호인 경우에는 발신 정보를 스팸 블랙 리스트에 추가하기 위한 스팸 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발신 유형의 스팸 호들을 이동통신망의 시스템 측에서 자동 차단하도록 구현됨에 따라, 스팸 통화 호의 처리로 인해 발생하는 트래픽의 증가, 민원 증가, 사생활 침해 등을 방지하여 이동통신 사업자 및 가입자에게 시간, 비용 및 정신적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스팸, 차단

Description

스팸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AM CALLS}
본 발명은 스팸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무작위로 전달되는 스팸 성의 통화 호를 이동통신망의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차단하기 위한 스팸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팸(Spam)이란 인터넷 상에서 다수의 수신인에게 무작위로 송신된 전자우편(e-mail) 메시지, 또는 다수의 뉴스그룹에 일제히 게재된 뉴스 기사. 우편을 통해 불특정 다수의 수신인에게 무더기로 발송된 광고나 선전 우편물(junk mail) 등과 같은 의미로, 대부분의 경우에 수신인이 원하지도 않고 관심도 없는 메시지이거나 각 뉴스그룹의 토론 주제와도 상관이 없는 기사들이다.
PC통신이나 인터넷 ID를 가진 사람에게 일방적, 대량적으로 전달되는 전자우편을 스팸 메일(Spam mail) 혹은 정크 메일(Junk mail)이라고 하는데, 통신 ID를 가진 사람들에게 부차별적으로 배달되므로 이를 원치 않는 수신인이 읽거나 처리하
기 위하여 많은 시간을 낭비케 하는 것은 물론 광고성 혹은 선정성 문구나 이미지로 불쾌감을 유발시키며, 또한 불필요한트래픽을 유발하여 통신망의 자원 및 메일 서버의 자원을 낭비시키는 등의 문제점을 유발한다.
특히, 최근에는 이러한 스팸 메일은 전자우편에 한정하지 않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단문 메시지(SMS, Short Message Service)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치 않는 광고성 혹은 선정성 메시지를 무차별적으로 전송하거나, '060' 등을 발신번호로 하는 음성호를 이용하여 광고성 혹은 선정성 내용의 안내 멘트를 전송하고 있는 실정이다.
전자의 경우 이동통신 사업자측에서 다양한 방지 대책과 서비스를 개발하여 스팸성의 단문 메시지를 차단하는 성과를 이루고 있으나, 후자의 경우 부재중 전화로 통화를 유도하기 위해 벨을 울린 후 연결되기 직전에 바로 끊거나, '060' 등과 같은 특정 국번에 대하여 착신 금지 서비스 등을 피하기 위하여 일반전화번호를 이용하거나 CID(Caller IDentification)를 변조하거나 혹은 ARS(Automatic Response System) 장비를 이용하여 부차별적인 연속번호로 발신을 시도하는 등의 방법으로 스팸성의 음성호를 시도하고 있어, 유무선 전화를 이용한 스팸성의 통화 호로 인한 가입자의 불만이 증가하고 있다.
더욱이, 가입자가 '060' 등과 같은 특정 국번이나 전화번호 등을 확인하여 과거의 경험에 의해 스팸호로 의심되는 발신 번의 통화 호에 대해서는 임의적으로 호 연결을 종료하거나 불 수신함으로 인해, 이동통신 사업자측에서는 스팸성의 통화 호가 증대함에 따라 호 완료율이 떨어지고 그로 인한 통화시간 확보로 발생하는 수익성도 떨어지는 경제적인 손실을 입음과 아울러 스팸성의 통화 호를 방치함으로 인한 사회적인 비난도 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이동통신 서비스의 가입자에 대한 스팸 전화를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가입자의 피해를 예방하고, 스팸 전화 송출자에 대한 규제를 위한 대책의 마련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무작위로 전달되는 스팸 성의 통화 호를 이동통신망의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모니터링하여 관리하기 위한 스팸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팸 성의 통화 호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면서 스팸 전화인 것으로 판별되는 경우, 이를 차단하기 위한 스팸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스팸 호 처리 시스템은, 착발신 통화 호의 종료에 따라 상응하는 과금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교환부 및 상기 과금 정보(CDR; Call Detail Record)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상기 착발신 통화 호가 기 설정된 스팸 호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스팸 호인 경우에는 발신 정보를 스팸 블랙 리스트에 추가하기 위한 스팸 호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팸 호 처리부는 상기 발신 정보가 예정된 레벨 이상으 로 상기 스팸 블랙 리스트에 추가되는 경우, 상기 발신 정보를 스팸 차단 리스트로 분류하여 착발신 통화 연결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팸 호 처리부는 상기 이동통신망의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상기 발신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상기 스팸 차단 리스트에 포함 여부를 판별한 후, 그 판별 결과를 상기 홈위치 등록기에 전달하여 착발신 통화 연결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스팸 호 처리 서버는, 착발신 통화 호의 종료에 따라 상응하여 형성되는 과금 정보(CDR; Call Detail Record)를 제공받아 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부, 상기 착발신 통화 호가 기 설정된 스팸 호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스팸 여부 판별부, 판별 결과, 스팸 호인 경우에는 발신 정보를 스팸 블랙 리스트에 추가하여 관리하기 위한 리스트 관리부 및 상기 스팸 블랙 리스트에 포함되는 상기 발신 정보의 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팸 호 처리 서버는 상기 발신 정보가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상기 스팸 블랙 리스트에 추가되는 경우, 상기 발신 정보를 스팸 차단 리스트로 분류하여 착발신 통화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스팸 차단 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팸 여부 판별부는 상기 과금 정보에 포함되는 비정상 호 전달 코드 값(CFC; Call Final Class) 및 통화 코드(Acoustic code)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스팸 호 조건에 대한 충족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팸 호 조건은 착발신 간의 통화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 및 착발신 연결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 이하인지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팸 호 조건은 상기 발신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신 정보별로 설정되거나, 상기 발신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신 정보에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팸 호 조건은 상기 발신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신 정보별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착신 정보를 이루는 단말의 요청에 따라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스팸 호 처리 방법은, 착발신 통화 호의 종료에 따라 상응하는 과금 정보를 형성하는 교환 스위칭 단계, 상기 과금 정보(CDR; Call Detail Record)를 제공받아 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과금 실행 단계,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상기 착발신 통화 호가 기 설정된 스팸 호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팸 판별 단계 및 판별 결과, 스팸 호인 경우에는 발신 정보를 스팸 블랙 리스트에 추가한 후 상기 발신 정보에 대한 이후의 호 실행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팸 호 처리 방법은 상기 발신 정보가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상기 스팸 블랙 리스트에 추가되는 경우, 상기 발신 정보를 스팸 차단 리스트로 분류하여 착발신 통화 연결을 차단하는 스팸 차단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무작위로 전달되는 스팸 전화는 물론, 미등록 번호를 착신 번으로 하는 발신 호, 하나의 발신 번으로 연속적인 번호의 착신번들에 계속적으로 호 연결을 시도하는 발신 호, 짧은 발신대기 시간 경과 후 종료되기를 연속적으로 하는 발신 호 등과 같은 발신 유형의 스팸 호들을 이동통신망의 시스템 측에서 자동 차단하도록 구현됨에 따라, 스팸 통화 호의 처리로 인해 발생하는 트래픽의 증가, 민원 증가, 사생활 침해 등을 방지하여 이동통신 사업자 및 가입자에게 시간, 비용 및 정신적 피해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팸 호 처리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팸 호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팸 호 처리 시스템은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무작위로 전화 연결을 시도하는 스팸 실행 대상의 발신 단말장치, 스팸 피해를 입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신 단말장치, 착발신 통화 호의 연결 내지 종료에 대한 교환 스위칭을 실행하며 착발신 통화 호가 종료되는 경우, 그에 상응하는 과금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교환부(100), 교환부(100)로부터 과금 정보(CDR; Call Detail Record)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과금 실행하고, 이러한 과정 중에 데이터베이스를 토대로 착발신 통화 호가 기 설정된 스팸 호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한 후, 판별 결과 가 스팸 호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의 착발신 통화 호를 요청한 발신 정보를 스팸 블랙 리스트에 추가하여 관리하기 위한 스팸 호 처리부(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스팸 호 처리부(200)는 스팸 블랙 리스트를 관리할 뿐만 아니라,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스팸 블랙 리스트에 반복적으로 추가되는 경우에는 해당 발신 정보를 스팸 차단 리스트로 재차 분류하여 이후의 착발신 통화 연결을 차단하거나, 착발신 통화 연결 시에 인증 과정을 거치는 등의 별도의 과정을 거치도록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스팸 호 처리부(200)는 스팸 호인 것으로 확인되면, 스팸 블랙 리스트에 추가한 후 이후의 호 연결과정을 모니터링한 결과에 따라 스팸 차단 리스트로 분류하지 않고, 곧바로 스팸 차단 리스트로 분류하여 차단 실행하는 것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스팸 호 처리부(200)가 착발신 통화 연결을 차단하는 과정은, 스팸 호 처리부(200)가 이동통신망의 홈위치 등록기로부터 발신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제공되는 발신 정보가 기 저장중인 스팸 블랙 리스트 또는 스팸 차단 리스트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판별한 결과를 홈위치 등록기로 전달하여 홈위치 등록기로 하여금 착발신 통화연결을 차단토록 구현되는 것이 하나의 실시 예로 가능하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팸 호 처리부(200)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팸 호 처리부(200)는 이동통신망의 교환기로부터 착발신 통화 호의 종료에 따라 상응하여 형성되는 과금 정보(CDR; Call Detail Record)를 제공받아 이 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부(210), 착발신 통화 호가 기 설정된 스팸 호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스팸 여부 판별부(220), 판별한 결과가 스팸 호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의 착발신 통화 호 중 발신 정보를 스팸 블랙 리스트에 추가하여 관리하기 위한 리스트 관리부(230), 및 스팸 블랙 리스트에 포함되는 발신 정보의 이후에 대한 실행 호가 스팸 호를 이루는지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부(240)를 포함한다.
더 나아가, 스팸 호 처리부(200)는 모니터링 결과로, 발신 정보가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스팸 블랙 리스트에 추가되는 경우에 해당하는 발신 정보를 스팸 차단 리스트로 재분류하여 착발신 통화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스팸 차단 부(2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바람직하다.
여기서, 스팸 호를 판별한다는 것은 교환기로부터 전달되는 과금 정보에 포함되는 비정상 호 전달 코드 값(CFC; Call Final Class) 및 통화 코드(Acoustic code)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스팸 호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파라미터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스팸 호 조건은 다양하게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나, 착발신 간의 통화 연결이 일단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와, 착발신 연결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시간 이하로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스팸 호를 판별하는 것에 대해 일례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스팸 호 처리부(200)는 착발신 통화 호의 종료에 따라 교환기로부터 해당하는 과금 정보를 제공받고, 제공받은 과금 정보 중 착발신 통화 호가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예컨데, 착신 측에서 착발신 통화 요청에 응답하기 이전에 통화 호가 종료되는 경우 등)를 나타내는 비정상 호 전달 코드 값(CFC; Call Final Class) 또는 통화 코드(Acoustic code)를 판별하여 비정상적인 착발신 통화 호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이후로, 스팸 호 처리부(200)는 비정상적인 착발신 통화 호가 발생된 것으로 확인한 경우, 착발신 통화 호에 포함되는 발신 정보를 스팸 블랙 리스트에 추가하거나, 이미 상기 발신 정보가 스팸 블랙 리스트에 추가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팸 호 발생을 나타내는 내역을 추가적으로 카운팅하게 된다.
스팸 블랙 리스트에서 상기 발신 정보에 상응하는 스팸 호 발생에 대한 카운팅 회수가 예정된 레벨 이상(즉, 기 설정된 기간동안 임계치 이상으로 누적된 회수)인 경우, 상기 발신 정보를 스팸 차단 리스트로 재분류하여 이후로 상기 발신 정보를 통해 실행되는 착발신 통화연결을 차단하는 것으로 진행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팸 호 처리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팸 호 처리 방법은 스팸 실행 대상인 제 1 통신 단말장치가 착발신 통화 호를 실행하는 것으로 진행된다(S100).
이후로, 교환부(100)는 착발신 통화 호 요청에 응답하여 해당하는 착신 단말인 제 2 통신 단말장치에 착신 호를 전달하고(S102), 제 2 통신 단말장치로부터 착신 호에 대한 응답을 전달받아 착발신 통화 호를 이루기 위한 과정을 실행한다(S104 및 S106).
여기서, 제 1 통신 단말장치가 제 2 통신 단말장치의 착신 응답시 곧바로 통 화를 종료하는 경우(예컨대, 스팸 호 조건의 임계시간 이내에 통화를 종료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르면 스팸 전화로 분류될 수 있는 소지가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교환부(100)는 호 연결로 인한 과금 정보를 형성하게 되고(S110), 이렇게 형성한 과금 정보를 과금 서버인 스팸 호 처리부(200)로 전달한다(S112).
이에, 스팸 호 처리부(200)는 전달받은 과금 정보에 포함되는 비정상 호 전달 코드 값(CFC; Call Final Class) 및 통화 코드(Acoustic code)와 같은 정보를 판별하여 기 설정된 스팸 호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S114), 스팸 호이면 스팸 블랙 리스트에 추가하여 이후의 제 1 통신 단말장치의 호 연결을 모니터링하게 된다(S116).
더 나아가, 제 1 통신 단말장치가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스팸 블랙 리스트에 추가되는 경우, 제 1 통신 단말장치에 대한 발신 정보를 스팸 차단 리스트로 분류하여 착발신 통화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과정을 실행하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가입자에게 무작위로 전달되는 스팸 전화는 물론, 미등록 번호를 착신 번으로 하는 발신 호, 하나의 발신 번으로 연속적인 번호의 착 신번들에 계속적으로 호 연결을 시도하는 발신 호, 짧은 발신대기 시간 경과 후 종료되기를 연속적으로 하는 발신 호 등과 같은 발신 유형의 스팸 호들을 이동통신망의 시스템 측에서 자동 차단하도록 하기 위한 것임에 따라,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팸 호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스팸 호 처리부를 이루는 스팸 호 처리 서버의 구성도이다. 및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스팸 호 처리 시스템의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교환부 200 : 스팸 호 처리부
210 : 데이터베이스 부 220 : 스팸 여부 판별부
230 : 리스트 관리부 240 : 모니터링 부
250 : 스팸 차단 부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착발신 통화 호가 기 설정된 스팸 호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스팸 여부 판별부;
    판별 결과, 스팸 호인 경우에는 발신 정보를 스팸 블랙 리스트에 추가하여 관리하기 위한 리스트 관리부; 및
    상기 스팸 블랙 리스트에 포함되는 상기 발신 정보의 호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모니터링 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팸 호 조건은
    상기 발신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신 정보별로 설정되거나, 상기 발신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신 정보에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호 처리 서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팸 호 처리 서버는
    상기 발신 정보가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상기 스팸 블랙 리스트에 추가되는 경우, 상기 발신 정보를 스팸 차단 리스트로 분류하여 착발신 통화 연결을 차단하기 위한 스팸 차단 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호 처리 서버.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팸 여부 판별부는
    과금 정보에 포함되는 비정상 호 전달 코드 값(CFC; Call Final Class) 및 통화 코드(Acoustic code)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상기 스팸 호 조건에 대한 충족 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호 처리 서버.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팸 호 조건은
    착발신 간의 통화 연결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는지 여부 및 착발신 연결 시간이 기 설정된 임계 시간 이하인지 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호 처리 서버.
  8. 삭제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팸 호 조건은
    상기 발신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신 정보별로 설정되는 경우, 상기 착신 정보를 이루는 단말의 요청에 따라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호 처리 서버.
  10. 이동통신망에서의 스팸 호 처리 방법에 있어서,
    착발신 통화 호가 기 설정된 스팸 호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스팸 판별 단계; 및
    판별 결과, 스팸 호인 경우에는 발신 정보를 스팸 블랙 리스트에 추가한 후 상기 발신 정보에 대한 이후의 호 실행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팸 호 조건은
    상기 발신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신 정보별로 설정되거나, 상기 발신 정보에 상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착신 정보에 동일하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호 처리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팸 호 처리 방법은
    상기 발신 정보가 예정된 레벨 이상으로 상기 스팸 블랙 리스트에 추가되는 경우, 상기 발신 정보를 스팸 차단 리스트로 분류하여 착발신 통화 연결을 차단하는 스팸 차단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팸 호 처리 방법.
KR20080104308A 2008-10-23 2008-10-23 스팸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08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04308A KR101508942B1 (ko) 2008-10-23 2008-10-23 스팸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04308A KR101508942B1 (ko) 2008-10-23 2008-10-23 스팸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221A KR20100045221A (ko) 2010-05-03
KR101508942B1 true KR101508942B1 (ko) 2015-04-14

Family

ID=42272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104308A KR101508942B1 (ko) 2008-10-23 2008-10-23 스팸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89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538A1 (ko) * 2017-09-12 2019-03-21 주식회사 에바인 스마트 수신 차단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4092B1 (ko) * 2011-06-21 2014-02-20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스팸 차단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385859B1 (ko) * 2012-12-13 2014-04-17 주식회사 에코텍 할증과금을 이용한 스팸 연결 제한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9040A1 (en) * 2005-08-12 2007-02-15 Mcrae Matthew B Method and system device for deterring spam over internet protocol telephony and spam instant messag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39040A1 (en) * 2005-08-12 2007-02-15 Mcrae Matthew B Method and system device for deterring spam over internet protocol telephony and spam instant messaging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장은실외 4명, "VoIP 스팸 Call의 Grey List 기반 SPIT 레벨 결정을 위한 정적 속성 분석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제7권 제3호 pp.109-120, 2007. 09.) *
논문(장은실외 4명, "VoIP 스팸 Call의 Grey List 기반 SPIT 레벨 결정을 위한 정적 속성 분석 연구", 융합보안논문지 제7권 제3호 pp.109-120, 2007. 0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4538A1 (ko) * 2017-09-12 2019-03-21 주식회사 에바인 스마트 수신 차단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5221A (ko) 2010-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75334B1 (en) Storing anti-spam black lists
US8498634B2 (en) Automated call back request for a mobile phone
US9094325B2 (en) Reputation based message analysis
US83694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silencing of telephone ringing
JP5185487B2 (ja) 登録グループへメッセージを同報するための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466797B1 (ko) 휴대 전화 메시지 필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60071363A (ko) 원격 통신 통화의 이행 방법 및 원격 통신 통화의 이행장치
US9270819B2 (en) Dialer detection and conversational traffic differentiation for the purpose of optimal call termination
KR101508942B1 (ko) 스팸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767968B1 (ko) 스팸 전화 차단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71846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스팸 음성호 차단 방법
JP2003018324A (ja) 通信サービスにおけるユーザフィルタリングシステム及び方法
KR100560169B1 (ko) 스펨성 에스엠에스메시지 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97494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 silencing of telephone ringing
KR100416128B1 (ko) 발신자 식별 기능을 이용한 메시지 통지방법
JP2003047057A (ja) 待時系サービス呼制御方法、制御方式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0628935B1 (ko) 선택적 착신 제한 서비스 방법
KR20100060988A (ko) 스팸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20090115833A (ko) 스팸 문자 메시지 방지를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70020829A (ko) 텔레마케팅 차단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
KR100459764B1 (ko) 음성 사서함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0602916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rnet busy call treatment
KR101764354B1 (ko) 텔레마케팅 방지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1788836B1 (ko) 음성호 스팸 차단 장치 및 방법
KR101019774B1 (ko) 불완료호 알림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