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519B1 - 컨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519B1
KR101505519B1 KR1020070104100A KR20070104100A KR101505519B1 KR 101505519 B1 KR101505519 B1 KR 101505519B1 KR 1020070104100 A KR1020070104100 A KR 1020070104100A KR 20070104100 A KR20070104100 A KR 20070104100A KR 101505519 B1 KR101505519 B1 KR 101505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thread
generating
web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8673A (ko
Inventor
스크볼트초프 블라디미르
이종호
김연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4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519B1/ko
Priority to US12/149,752 priority patent/US8769066B2/en
Publication of KR20090038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8673A/ko
Priority to US14/282,582 priority patent/US950975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8Organisation or management of web site content, e.g. publishing, maintaining pages or automatic linking
    • G06F16/972Access to data in other repository systems, e.g. legacy data or dynamic Web page gene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48Program initiating; Program switching, e.g. by interrupt
    • G06F9/4806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 G06F9/4843Task transfer initiation or dispatching by program, e.g. task dispatcher, supervisor, operating system
    • G06F9/485Task life-cycle, e.g. stopping, restarting, resuming exec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0/00Solving problems of bandwidth in displa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로컬 오프라인 웹 서버를 구비하여 웹 서비스 초기화를 수행하고, 웹 서비스를 통하여 제공되는 복수 개의 컨텐츠를 멀티 스레드로 관리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각각의 컨텐츠에 부여되어 작업을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레드를 생성하는 스레드 생성부 및 상기 스레드별 프레임을 구비하여 웹 브라우저상에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영상 페이지를 생성하는 페이지 생성부를 포함한다.
웹 브라우저, 페이지, 스레드, 웹 서버

Description

컨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본 발명은 컨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컬 오프라인 웹 서버를 구비하여 웹 서비스 초기화를 수행하고, 웹 서비스를 통하여 제공되는 복수 개의 컨텐츠를 멀티 스레드로 관리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은 정보의 시대로 불려질 만큼 정보에 대한 요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정보의 바다로 비유되는 인터넷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 오락을 즐기는 일이 일상화되어 가고 있다. 특히, 문자 이외에 영상, 음악 또는 동영상을 지원하는 월드 와이드 웹(WWW; World Wide Web)에 대한 접속과 이용이 폭주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하나의 텔레비전 방송 채널에 문자와 도형정보를 다중화하여 다양한 문자다중방송 프로그램을 동시에 반복적으로 제공하는 문자 다중방송은, 뉴스, 일기예보, 텔레비전 프로그램 안내, 레저정보, 스포츠, 예능, 실시간 주식정보 등의 생활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한편,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일방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과는 달리 방송국과 사용자간의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TV 및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이 등장하였다.
여기서, IPTV는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보 서비스, 동영상 컨텐츠 및 방송 등을 텔레비전 수상기로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하는데, 이는 인터넷과 텔레비전의 융합이라는 점에서 디지털 컨버전스의 한 유형이라고 할 수 있다. 기존의 인터넷 TV와 다른 점이라면 컴퓨터 모니터 대신 텔레비전 수상기를 이용하고, 마우스 대신 리모콘을 사용한다는 점이다.
IPTV는 비디오를 비롯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는 일반 케이블방송이나 위성 방송과 별다른 차이점이 없지만, 양방향성이 추가된다는 점이 큰 특징이다. 즉, 일반 공중파 방송이나 케이블 방송 또는 위성 방송과는 달리 사용자는 자신이 편리한 시간에 자신이 시청하고 싶은 프로그램만을 제공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인터넷으로 컨텐츠를 제공받는 IPTV 네트워크는 서버와 클라이언트 구조를 갖게 되는데, 원격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분산된 웹 응용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요구에 대하여 신속하게 반응하지 못한다. 또한, 사용자측 장치(클라이언트)의 복수 개의 컨텐츠가 직렬적으로 동작하므로 메모리의 관리가 비효율적이고 화면 정지와 같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받음에도 빠른 반응 속도를 나타내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로컬 오프라인 웹 서버를 구비하여 웹 서비스 초기화를 수행하고, 웹 서비스를 통하여 제공되는 복수 개의 컨텐츠를 멀티 스레드로 관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각각의 컨텐츠에 부여되어 작업을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레드를 생성하는 스레드 생성부 및 상기 스레드별 프레임을 구비하여 웹 브라우저상에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영상 페이지를 생성하는 페이지 생성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방법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각각의 컨텐츠에 부여되어 작업을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레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레드별 프레임을 구비하여 웹 브라우저상에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영상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상에 원격 웹 서버로부터 제공 되는 컨텐츠가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원격 웹 서버(110)는 RSS(RDF Site Summary)(111) 또는 웹 서비스(112) 등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는 웹 브라우저(120)를 통하여 원격 웹 서버(110)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에 별도의 스레드(141, 142, 143, 144)를 부여하여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컨텐츠가 개별적으로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메인 스레드(145)가 부여되어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각 스레드(141, 142, 143, 144)에 의한 컨텐츠의 제어가 가능하다.
즉, 웹 브라우저(120)상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131, 132, 133, 134)이 구비되는 것인데, 각 프레임(131, 132, 133, 134)을 통하여 출력되는 컨텐츠는 개별적인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요청 및 HTTP 응답 과정을 통하여 출력되는 것이다.
여기서, 특정 프레임을 통하여 출력되는 컨텐츠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프레임을 통하여 출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스레드(141, 142, 143, 144)간의 정보 교환이 수반되는데, 스레드(141, 142, 143, 144)간의 정보 교환을 수행하는 스레드 관리부(290)가 컨텐츠 출력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웹 서비스를 통하여 컨텐츠가 제공되는 경우 이를 초기화하는 웹 서버가 컨텐츠 출력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웹 서버는 원격 웹 서버(110)와는 별도로 오프라인상에 구비된 웹 서버로서, 이는 복수 개의 컨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즉, 원격 웹 서버(110)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를 그대로 프레임(131, 132, 133, 134)을 통하여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구비된 웹 서버는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새로운 컨텐츠가 생성되도록 한 후 이것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새롭게 생성되는 컨텐츠는 수신된 컨텐츠에 대하여 그 크기와 해상도가 프레임(131, 132, 133, 134)에 맞게 변경될 수 있다.
원격 웹 서버(110)로부터 자바 스크립트(Java Script) 코드를 수신하여 어떠한 작업을 수행하고자 하는 경우, 자바 스크립트 코드를 수신하기 위한 시간이 소요된다. 또한, 자바 스크립트 코드에 의한 작업의 동작 수행 속도는 일반적으로 느리므로, 자바 스크립트 코드를 이용한 작업을 지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웹 브라우저(120)상에서 프레임(131, 132, 133, 134)을 구비하는 영상 페이지는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페이지를 포함하는데, 영상 페이지를 구성하기 위한 자바 스크립트 코드는 원격 웹 서버(110)로부터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에 구비된 것일 수 있다. 즉, 컨텐츠 출력을 위한 최소의 자바 스크립트 코드가 컨텐츠 출력 장치에 구비된 것으로서, 이에 따라 자바 스크립트 코드를 수신하는 시간의 소요 및 자바 스크립트 코드를 이용함에 따른 작업 수행 지연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컨텐츠 출력 장치(200)는 컨텐츠 생성부(210), 코드 변환부(220), 웹 서버(230), 통신부(260), 제어부(240), 입력부(250), 페이지 생성부(270), 스레드 생성부(280) 및 스레드 관리부(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260)는 원격 웹 서버(110)와 통신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원격 웹 서버(110)의 수는 복수 개일 수 있는데 이 때, 통신부(260)는 복수 개의 원격 웹 서버(110)와 동시에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웹 서버(230)는 원격 웹 서버(110)로부터 제공되는 웹 서비스를 초기화하는 역할을 한다. 즉, 웹 서버(230)는 웹 브라우저(120)와 내부적으로 세션을 구성하고 HTTP 메시지를 교환하는 것이다.
웹 브라우저(120)와 세션을 유지하면서 웹 서버(230)는 웹 브라우저(120)로부터 HTTP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중계하여 원격 웹 서버(110)로 송신하고, 원격 웹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HTTP 응답 메시지를 웹 브라우저(120)로 전달할 수 있다.
웹 서비스를 초기화함에 있어서, 웹 서버(230)는 동일 주제와 연관된 서로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형식을 갖는 컨텐츠를 초기화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 주제는 공간적인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 좌표가 입력된 경우 웹 서버(230)는 해당 좌표를 기준으로 다양한 원격 웹 서버(110)로부터 해당 좌표와 연관된 컨텐츠에 대한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위도 및 경도와 같은 좌표를 입력하면 웹 서버(230)는 해당 지역에 대응하는 뉴스, 교통 상황, 날씨 등의 컨텐츠를 수신하거나 해당 지역에서 중계중인 TV(television) 프로그램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한 초기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컨텐츠의 데이터 형식은 서로 다를 수 있는 것으로서, HTML,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또는 MMS(Microsoft Media Server)와 같은 형식의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웹 서버(230)는 사용자 인증 및 사용자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은 사용자의 권한 유무를 판단하는 것으로서 입력된 사용자 정보에 의한 컨텐츠 접근 가능 여부 또는 접근 가능한 컨텐츠의 범위 등을 판단하는데 사용된다. 그리고, 사용자 분류는 사용자별로 컨텐츠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공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예를 들어, 웹 서버(230)는 제 1 사용자 분류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된 경우 뉴스와 교통 상황에 대한 컨텐츠만을 초기화하고, 제 2 사용자 분류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된 경우 TV 프로그램과 날씨에 대한 컨텐츠만을 초기화하며, 제 3 사용자 분류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인증이 완료된 경우 뉴스, 교통 상황, TV 프로그램 및 날씨에 대한 컨텐츠를 초기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용자 분류는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단순히 출력 대상인 컨텐츠의 종류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의 취향에 부합하도록 컨텐츠를 출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프레임을 통하여 복수 개의 컨텐츠가 최초로 출력되는 경우 사용자 분류에 따라 활성화된 프레임이 결정되거나 프레임의 크기가 결정되거나 각 프레임에서의 데이터 전송률 등이 결정될 수 있는 것이다.
사용자 인증을 위한 사용자 정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정보는 입력부(250)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는데, 입력부(250)는 버튼, 휠, 조그 셔틀 등을 구비하여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출력 장치(200)의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터치 스크린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가 입력 부(25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표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버튼으로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거나 디스플레이부의 특정 위치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입력부(250)는 그 자체만으로 하나의 장치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무선 리모콘이 입력부(25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무선 리모콘에 구비된 버튼 및 휠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무선 리모콘에 관성 센서가 구비된 경우 사용자는 무선 리모콘에 움직임을 가하여 해당 움직임 궤적에 대응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것이다.
컨텐츠 생성부(210)는 원격 웹 서버(11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기초로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컨텐츠 생성부(210)는 수신된 컨텐츠에 대하여 그 크기와 해상도가 프레임에 맞게 변경된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용자 분류를 참조하여 수신된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생성부(210)는 네트워크 상태, 메모리 가용 용량 및 연산 처리 능력 등을 고려하여 컨텐츠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상태, 메모리 가용 용량 및 연산 처리 능력에 맞도록 수신된 컨텐츠의 크기 또는 해상도를 변경하거나 단위 시간당 출력되는 프레임의 수를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웹 서비스는 XML, SOAP(Simple Object Access Protocol), WSDL(Web Services Description Language)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제공될 수 있다.
XML은 W3C의 텍스트 기반 마크업 언어에 대한 표준안으로 HTML과 다른 식으로 태그를 이용해서 각종 표현과 데이터를 나타낼 수 있다. XML은 이식성이 높은 구조화된 데이터를 기술하는데 유용하며, 주로 데이터를 기술할 때 많이 이용된다. 특히, 메시징 프로토콜과 상호 교환을 필요로 하는 데이터 포맷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SOAP는 분산 환경에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목적으로 고안된 XML 기반의 경량 프로토콜로서, 서비스 사용자와 서비스 제공자 사이의 메시징 프로토콜을 정의한다. 또한, XML 기반 메시징을 통하여 대상 서비스의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프로그래밍 언어에 상관없이 원격의 서비스를 호출할 수 있는 표준화된 방법을 제공한다.
WSDL은 XML을 이용하여 웹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서 제공되는 서비스 연결 정보 즉, 바인딩 시에 주고받을 메시지 형식과 자신이 제공하는 오퍼레이션 정보 등과 같은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기술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컨텐츠는 MMS 형식으로 수신될 수도 있는데, 코드 변환부(220)는 다양한 형식으로 수신된 웹 서비스 코드를 HTML 코드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스레드 생성부(280)는 각각의 컨텐츠에 부여되어 작업을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레드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즉, 각 컨텐츠에 대한 작업은 개별적으로 구비된 스레드에 의하여 처리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병렬적인 컨텐츠 출력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레드 생성부(28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작업을 위한 스레드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네트워크 검 색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작업을 위한 스레드는 메인 스레드(145)로 생성되어 동작할 수 있다.
스레드 관리부(290)는 복수 개의 스레드간의 상호 작업을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스레드 관리부(290)는 스레드별로 처리되는 컨텐츠의 종류를 고려하여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것이다. 또한, 스레드 관리부(290)는 프레임간에 컨텐츠 전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 1 프레임에서 재생 중인 제 1 컨텐츠를 제 2 프레임을 통하여 재생하고 제 2 프레임에서 재생 중인 제 2 컨텐츠를 제 1 프레임을 통하여 재생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스레드에 의하여 각 컨텐츠가 처리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데, 스레드 생성부(280)에 의하여 생성된 각각의 스레드(141, 142, 143, 144, 145)에 의하여 대응하는 컨텐츠(310, 320, 330, 340)에 대한 작업이 처리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작업을 처리하는 스레드가 메인 스레드(145)로 생성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작업 명령이 곧바로 각 스레드(141, 142, 143, 144)에 의한 작업 처리로 연결된다.
도 3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특정 지역에 대한 복수 개의 컨텐츠(310, 320, 330, 340)가 재생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사용자는 입력부(250)를 이용하여 메인 화면(300)의 특정 지점(301)을 선택할 수 있는데 이렇게 선택된 지점(301)의 좌표는 위도와 경도로 변환되고, 변환된 좌표에 대응하는 컨텐츠 정보가 추출된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RSS 뉴스, RSS 날씨, 교통 상황 및 TV 채널에 대한 정보가 추출되는 것으로서, RSS 뉴스 정보로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갱신 주기 및 키워드가 포함되고, RSS 날씨 정보로는 URL 및 갱신 주기가 포함되고, 교통 상황 정보로는 MMS 주소, 프레임율(frame rate), 음성 코멘트 지원 여부 및 메타데이터가 포함되며, TV 채널 정보로는 MMS 주소, 프레임율, 위치, 음성 지원 여부, 메타데이터 및 태그가 포함된다. 컨텐츠 정보는 컨텐츠 출력 장치(200)에 저장되어 있거나 외부 장치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컨텐츠 출력 장치(200)에는 저장 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컨텐츠 정보가 추출됨에 따라 각 스레드는 해당 컨텐츠 정보를 이용하여 수신된 컨텐츠(310, 320, 330, 340)를 해당 프레임에 재생한다. 컨텐츠 정보는 사용자 또는 원격 웹 서버(110)에 의하여 갱신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설명하면, 페이지 생성부(270)는 스레드별 프레임을 구비하여 웹 브라우저(120)상에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영상 페이지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영상 페이지를 생성함에 있어서 페이지 생성부(270)는 컨텐츠 출력을 위하여 구비된 최소의 자바 스크립트 코드를 영상 페이지에 삽입하여 자바 스크립트 코드의 수신 시간 소요 및 작업 수행 지연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가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페이지 생성부(270)는 서로 다른 형식의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는 복수 개의 프레임(410, 420, 430, 440)으로 구성된 영상 페이지를 웹 브라우저(120)상에 생성한다.
페이지 생성부(270)에 의하여 영상 페이지가 생성됨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프레임(410, 420, 430, 440)에는 별도의 스레드에 의하여 컨텐츠(510, 520, 530, 540)가 재생된다. 이에 따라, 프레임(410, 420, 430, 440)을 통하여 재생되는 컨텐츠(510, 520, 530, 540) 중 하나에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나머지 컨텐츠의 재생은 보장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레드 관리부(290)가 각 스레드에 의하여 사용되는 자원을 관리하므로 각 컨텐츠에 의한 불필요한 자원의 점유를 방지하고 많은 자원을 필요로하는 컨텐츠에 보다 많은 자원을 할당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자신의 선택에 따라 특정 컨텐츠에 보다 많은 자원이 할당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보다 많은 자원을 필요로 하는 컨텐츠가 발생하기도 있는데, 이에 따라 스레드 관리부(290)는 해당 컨텐츠에 보다 많은 자원이 할당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상황이나 TV 채널 같은 컨텐츠는 많은 네트워크 자원, 메모리 자원 및 연산 처리 자원을 필요로 하는데, 스레드 관리부(290)는 추출된 컨텐츠 정보를 참조하여 이러한 컨텐츠에 보다 많은 자원을 할당하는 것이다.
다시 도 2를 설명하면, 제어부(240)는 웹 서버(230), 통신부(260), 컨텐츠 생성부(210), 코드 변환부(220), 스레드 생성부(280), 스레드 관리부(290), 입력부(250), 페이지 생성부(270) 및 컨텐츠 출력 장치(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스레드에 의하여 각 컨텐츠가 처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RSS(111)를 통하여 제공되는 뉴스 컨텐 츠(600)가 카테고리별로 구별되어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RSS(111)를 통하여 제공되는 뉴스 컨텐츠(600)는 최신 뉴스란(610), 경제란(620), 과학란(630) 및 생활/문화란(64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는데, 각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개별적인 스레드가 해당 카테고리의 최초 페이지를 원격 웹 서버(110)로부터 수신하여 재생하는 것이다.
여기서, 카테고리별로 구분된 컨텐츠(610, 620, 630, 640)는 하나의 원격 웹 서버(110)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원격 웹 서버(110)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는데, 각 컨텐츠(610, 620, 630, 640)는 주기적으로 갱신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의 코드에 의하여 웹 브라우저상에 스레드가 생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로서, C#으로 스레드가 생성되는 것을 나타낸다.
우선, HTML 페이지(700)의 요소가 선택되면(S711) C# 함수가 호출된다(S721). 예를 들어, 자바 스크립트 함수 등으로 구현된 아이콘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면 C# 함수가 호출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C# 함수 호출은 C#을 이용하여 스레드를 생성하기 위한 초기화 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초기화 과정이 완료되면 즉, 스레드 생성 함수가 호출되면 스레드 생성 함수에 의하여 객체가 생성된다(S722). 객체가 생성되면 객체에 대한 동작 함수인 메소드가 생성되는데, 메소드 내에 스레드 객체가 생성된다(S723).
그리고, 생성된 스레드 객체가 실행되면 Control.Invoke 메소드에 의하여 HTML 페이지(700)가 갱신된다(S713). 즉, 이 때부터 스레드에 의한 컨텐츠 재생이 시작되는 것으로서, HTML 페이지(700)는 자바 스크립트 및 C#에 의한 멀티 스레드 동작이 실행되는 것이다(S712).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의 코드에 의하여 웹 브라우저상에 컨텐츠가 출력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하여 HTML 페이지(800)는 우선 웹 서버(230)로 HTTP 요청을 수행한다(S811). HTTP 요청은 자바 스크립트, 액티브 엑스(ActiveX) 또는 웹 콘트롤 윈도우 폼(Web Control Windows Form) 등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HTTP 요청이 수행됨에 따라 웹 서버(230)는 컨텐츠 재생을 위한 초기화 작업을 수행한다(S821). 예를 들어, 사용자 인증 또는 사용자 분류 등의 작업을 수행하며, 메모리 자원 및 네트워크 자원 등을 할당받거나 영상 프레임을 생성하는 것이다.
HTTP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RSS(111)를 통하여 XML 형식의 컨텐츠가 공급되거나 미디어 스트림이 공급되고(S812), 공급된 컨텐츠는 스레드로 입력된다(S822).
XML 형식의 컨텐츠가 공급됨에 따라 HTML 페이지(800)는 XML을 HTML로 변환하기 위한 함수를 호출하는데(S813), 이에 따라 스레드는 변환 작업을 수행한다(S823). 변환을 위하여 XLST(Extensible StyleSheet Language Transformations) 또는 CSS(Cascading Style Sheet)가 이용될 수 있다.
변환 처리된 컨텐츠는 출력되는데(S824), HTML 페이지(800)는 HTML 또는 자바 스크립트 등을 이용하여 특정 프레임에 해당 컨텐츠를 재생한다(S814).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 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상에 원격 웹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가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스레드에 의하여 각 컨텐츠가 처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웹 브라우저가 복수 개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각 프레임에 대응하는 컨텐츠가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스레드에 의하여 각 컨텐츠가 처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의 코드에 의하여 웹 브라우저상에 스레드가 생성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의 코드에 의하여 웹 브라우저상에 컨텐츠가 출력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210 : 컨텐츠 생성부 220 : 코드 변환부
230 : 웹 서버 240 : 제어부
250 : 입력부 260 : 통신부
270 : 페이지 생성부 280 : 스레드 생성부
290 : 스레드 관리부

Claims (16)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각각의 컨텐츠에 부여되어 작업을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레드를 생성하는 스레드 생성부; 및
    상기 스레드 별로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프레임 내의 상기 각각의 컨텐츠를 웹 브라우저 상에 재생하기 위한 영상 페이지를 생성하는 페이지 생성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스레드에서 각각의 스레드에 자원을 할당하는 스레드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할당된 자원은 상기 각각의 스레드에서 처리되는 컨텐츠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컨텐츠 출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레드 생성부는 네트워크 검색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작업을 위한 메인 스레드를 생성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 서비스를 초기화하는 웹 서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는 동일 주제에 연관된 서로 다른 데이터 형식을 갖는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를 초기화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버는 사용자 인증 및 사용자 분류를 수행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통하여 재생되는 상기 컨텐츠는 상기 스레드의 작업과 무관하게 갱신되는 컨텐츠 출력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웹 브라우저와 상기 영상 페이지는 코드 교환을 수행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9. 컨텐츠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컨텐츠에 부여되어 작업을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레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스레드 별로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프레임 내의 상기 각각의 컨텐츠를 웹 브라우저 상에 재생하기 위한 영상 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스레드에서 각각의 스레드에 자원을 할당하며,
    상기 할당된 자원은 상기 각각의 스레드에서 처리되는 컨텐츠의 종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컨텐츠 출력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검색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작업을 위한 메인 스레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출력 방법.
  11. 삭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웹 서비스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출력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비스를 초기화하는 단계는 동일 주제에 연관된 서로 다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데이터 형식을 갖는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웹 서비스를 초기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출력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웹 서비스를 초기화하는 단계는 사용자 인증 및 사용자 분류를 수행하 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출력 방법.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을 통하여 재생되는 상기 컨텐츠는 상기 스레드의 작업과 무관하게 갱신되는 컨텐츠 출력 방법.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웹 브라우저와 상기 영상 페이지는 코드 교환을 수행하는 컨텐츠 출력 방법.
KR1020070104100A 2007-10-16 2007-10-16 컨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1505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100A KR101505519B1 (ko) 2007-10-16 2007-10-16 컨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
US12/149,752 US8769066B2 (en) 2007-10-16 2008-05-07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US14/282,582 US9509750B2 (en) 2007-10-16 2014-05-20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4100A KR101505519B1 (ko) 2007-10-16 2007-10-16 컨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4314A Division KR101572904B1 (ko) 2014-10-23 2014-10-23 텔레비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8673A KR20090038673A (ko) 2009-04-21
KR101505519B1 true KR101505519B1 (ko) 2015-03-25

Family

ID=40535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100A KR101505519B1 (ko) 2007-10-16 2007-10-16 컨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769066B2 (ko)
KR (1) KR1015055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1661B2 (en) * 2008-12-18 2010-11-09 Vmware, Inc. Measuring client interactive performance using a display channel
US9674562B1 (en) 2008-12-18 2017-06-06 Vmware, Inc. Quality evaluation of multimedia delivery in cloud environments
US8788079B2 (en) 2010-11-09 2014-07-22 Vmware, Inc. Monitoring audio fidelity and audio-video synchronization
US9214004B2 (en) 2008-12-18 2015-12-15 Vmware, Inc. Watermarking and scalability techniques for a virtual desktop planning tool
US8347344B2 (en) * 2008-12-18 2013-01-01 Vmware, Inc. Measuring remote video playback performance with embedded encoded pixels
US9336117B2 (en) 2010-11-09 2016-05-10 Vmware, Inc. Remote display performance measurement triggered by application display upgrade
US8910228B2 (en) 2010-11-09 2014-12-09 Vmware, Inc. Measurement of remote display performance with image-embedded markers
US8589950B2 (en) 2011-01-05 2013-11-19 Blackberry Limited Processing user input events in a web browser
US8832690B1 (en) 2011-06-21 2014-09-09 Google Inc. Multi-threaded virtual machine processing on a web page
US9201755B2 (en) 2013-02-14 2015-12-01 Vmware, Inc. Real-time, interactive measurement techniques for desktop virtualization
KR102210824B1 (ko) * 2013-12-17 2021-02-0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 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1597045B1 (ko) * 2014-09-03 2016-02-23 (주)솔투로 빅데이터의 멀티프로세스 분배를 통한 순차 출력 장치 및 그 방법
KR101603429B1 (ko) * 2014-09-03 2016-03-14 (주)솔투로 빅데이터의 멀티프로세스 분배를 통한 멀티 출력 장치 및 그 방법
CN104486326B (zh) * 2014-12-11 2017-08-11 深圳市银河风云网络系统股份有限公司 采用微信识别接入网络的认证方法
US20160357872A1 (en) * 2015-06-05 2016-12-08 Anthony Fader Event networks and event view construction and display
CN106303127A (zh) * 2015-06-09 2017-01-04 谢儒生 加速远距医学影像传输解析的方法
US11069019B2 (en) * 2017-05-04 2021-07-20 Facebook, Inc. Multi-threaded asynchronous frame processing
CN109660747A (zh) * 2019-01-09 2019-04-19 张爱兰 兼容型面部检测系统及方法
CN110333845A (zh) * 2019-06-05 2019-10-15 上海易点时空网络有限公司 加速前端同构化应用程序的方法
CN110442325A (zh) * 2019-07-24 2019-11-12 上海易点时空网络有限公司 基于nodejs渲染池的架构模型以及页面处理方法
CN112188090B (zh) * 2020-09-22 2022-05-31 深圳大学 相机系统多线程控制方法、装置、服务器和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861A (ko) * 1999-09-27 2001-04-06 서성철 자바를 이용한 동적 멀티미디어 웹 카타로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68478A (ko) * 2000-01-06 2001-07-23 장성익 분산화된 개별 컨텐츠 제공자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서비스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86425B2 (en) 1998-07-17 2019-01-30 Rovi Guid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within a household
US6728960B1 (en) * 1998-11-18 2004-04-27 Siebel Systems, Inc. Techniques for managing multiple threads in a browser environment
BR0008646A (pt) * 1999-02-08 2002-09-03 United Video Properties Inc Guia de programa eletrônico com suporte para conteúdo de programa rico
US6724403B1 (en) * 1999-10-29 2004-04-20 Surfcast,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display of multiple information sources
KR100338630B1 (ko) 1999-11-24 2002-05-30 윤종용 범용 웹 브라우저에서의 푸시 방법
US7137115B2 (en) * 2000-01-25 2006-11-14 Fujitsu Limite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threading
KR20010035099A (ko) 2000-12-22 2001-05-07 유명현 장면 전환 자동 검출을 이용한 스트리밍 하이퍼비디오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4240874B2 (ja) * 2001-11-09 2009-03-18 日本電気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情報端末、情報提供装置、判定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プログラム並びに情報提供方法
US7003648B2 (en) * 2002-03-28 2006-02-2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exible demand-based resource allocation for multiple requestors in a simultaneous multi-threaded CPU
US7716668B2 (en) * 2002-12-16 2010-05-11 Brooktree Broadband Hold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thread execution
US7216346B2 (en) * 2002-12-31 2007-05-0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read execution in a multithread application
KR100629456B1 (ko) 2004-11-03 2006-09-2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인터넷망을 이용한 고속 다운로드 서비스 제공 방법및 시스템
KR100798551B1 (ko) 2005-03-01 2008-01-28 비브콤 인코포레이티드 인포머셜 제공 방법
US7506248B2 (en) * 2005-10-14 2009-03-17 Ebay Inc. Asynchronously loading dynamically generated content across multiple internet domains
WO2007131003A2 (en) * 2006-05-02 2007-11-15 1020, Inc. Location-specific content communication system
US8117545B2 (en) * 2006-07-05 2012-02-14 Magnify Networks, Inc. Hosted video discovery and publishing platform
US9071796B2 (en) * 2007-03-30 2015-06-30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anaging multiple media content sources
US20080310408A1 (en) * 2007-06-13 2008-12-18 Phil Thompson Internet Protocol Television
US9043801B2 (en) * 2008-01-15 2015-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wo-tiered dynamic load balancing using sets of distributed thread pool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861A (ko) * 1999-09-27 2001-04-06 서성철 자바를 이용한 동적 멀티미디어 웹 카타로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10068478A (ko) * 2000-01-06 2001-07-23 장성익 분산화된 개별 컨텐츠 제공자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서비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58361A1 (en) 2014-09-11
KR20090038673A (ko) 2009-04-21
US20090100164A1 (en) 2009-04-16
US9509750B2 (en) 2016-11-29
US8769066B2 (en) 201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519B1 (ko) 컨텐츠 출력 장치 및 방법
JP4522533B2 (ja) イベント制御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
KR101259157B1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US7664813B2 (en) Dynamic data presentation
JP5650143B2 (ja)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の構成
US69347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cookies
KR20070056442A (ko) 웹 브라우저가 없는 장치를 위한 웹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방법
JP2009509245A (ja) デジタル・テレビジョン用の独立型ミニアプリケ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8512012A (ja) デジタルテレビで双方向サービスを提供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KR100643296B1 (ko) 웹 서비스 기술을 지원하는 a/v 네트워크에서 컨텐츠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60013888A (ko) 프로그램 가이드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CN101340252A (zh) 信号处理设备、包括该设备的信号处理系统及其控制方法
CN110741339A (zh) 具有延迟考虑的显示模式相关响应生成
WO2021139045A1 (zh) 播放媒体项目的方法及显示设备
KR101572904B1 (ko) 텔레비젼
CN101523906B (zh) 信息处理装置和方法以及程序
JP2009005260A (ja) コンテンツ視聴装置
JP4263636B2 (ja) ロボット用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およびロボットならびにプログラム
CN104205864B (zh) 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装置和信息处理系统
JP2003060593A (ja) データ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コンポーネント選択方法
JP2001211431A (ja) 送信装置、受信装置、送受信システム、送信方法、および受信方法
JP2005143021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中継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中継プログラム
CN117812413A (zh) 终端设备、视频播放方法及介质
JP4787798B2 (ja) データ出力装置、形式変換装置、データ提供装置およびそれらのプログラム
JPWO201918826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