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890B1 -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 그 단말 및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 그 단말 및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890B1
KR101504890B1 KR1020100104703A KR20100104703A KR101504890B1 KR 101504890 B1 KR101504890 B1 KR 101504890B1 KR 1020100104703 A KR1020100104703 A KR 1020100104703A KR 20100104703 A KR20100104703 A KR 20100104703A KR 101504890 B1 KR101504890 B1 KR 1015048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broadcast
broadcast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4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3408A (ko
Inventor
박준석
김현호
박환수
심규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4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890B1/ko
Publication of KR201200434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34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8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8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8Systems for the simultaneous or sequential transmission of more than one television signal, e.g. additional information signals, the signals occupying wholly or partially the same frequency band, e.g. by time divi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 그 단말 및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방송 제공 장치로부터 방송 데이터 및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며, 방송 부가데이터를 요청 받으면 수신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전송하는 구성을 포함하며, 본 발명에 따르면 방송 데이터와 방송 부가데이터를 분리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방송 시청에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방송 부가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각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부가데이터 서비스를 개별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 그 단말 및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System for providing sub-data of broadcas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ub-data of broadcasting,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본 발명은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방송데이터와 방송 부가데이터를 별개의 단말을 통해 표시하기 위한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 그 단말 및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방송은 제작에서 방송 수신 까지 방송의 모든 단계를 디지털 신호 처리하는 방송 시스템을 말한다. 디지털 신호를 이용한 디지털방송은 영상, 음향, 데이터 등의 정보를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하므로 다양한 장점을 얻을 수 있는데, 그 중 특히 통신네트워크와의 융합으로 단방향 특성인 방송 영역에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해져 영상이나 음성 시청에 지나지 않고 데이터방송, 홈쇼핑, 홈뱅킹, 주문형 비디오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서비스를 일컬어 '디지털 데이터방송 서비스'라 하며 디지털방송 환경에서 비디오, 오디오와 함께 각종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함께 전송함으로써 수신 단말을 통해 사용자 에게 각종 유용한 정보 및 오락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방송을 제공하는 단말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함께 제공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방송 화면과 겹쳐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부가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화면의 제약으로 인해 충분한 정보 또는 효과적인 광고를 제공하지 못하며, 사용자 입장에서는 방송에 집중하기가 힘들고, 다수의 사용자가 함께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 사용자 각자가 원하는 부가서비스를 개별적으로 향유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단말과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하는 단말을 분리하여 서비스할 수 있는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 그 단말 및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은, 방송 데이터 및 방송 부가데이터를 제공하는 방송 제공 장치, 방송 제공 장치로부터 방송 데이터 및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며, 방송 부가데이터를 요청 받으면, 수신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단말 및 제1 단말로 방송 부가데이터를 요청하고, 제1 단말로부터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은, 방송 데이터 및 방송 부가데이터를 제공하는 방송 제공 장치, 방송 제공 장치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며,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전송하는 제1 단말 및 방송 제공 장치로부터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 단말로부터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프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을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1 단말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1 단말 송수신부, 정보 표현을 위한 제1 단말 출력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 및 방송 제공 장치로부터 제1 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방송 데이터 및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제1 단말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부터 방송 부가데이터를 요청 받으면, 수신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제1 단말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1 단말은, 방송 부가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단말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제1 단말 제어부는, 제1 단말 저장부에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에 대응되는 방송 부가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1 단말은, 방송 부가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단말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제1 단말 제어부는,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의 채널이 변경되는 경우, 제1 단말 저장부에서 변경된 방송 데이터에 대응되는 방송 부가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1 단말에 있어서, 제1 단말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부터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방송 부가데이터와 관련된 리턴 데이터를 수신하면, 송수신부를 통해 리턴 데이터를 방송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1 단말에 있어서, 제1 단말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부터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채널 변경 신호에 대응하는 방송데이터를 제1 단말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1 단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제1 단말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제1 단말 제어부는, 제2 단말의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등록된 단말임을 확인하며,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등록된 제2 단말로 방송 부가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1 단말에 있어서, 제1 단말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부터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채널 변경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면,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를 계속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1 단말은, 정보 입력을 위한 제1 단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1 단말 제어부는, 제1 단말 입력부를 통해 채널을 고정 시키기 위한 입력을 받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부터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를 계속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1 단말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1 단말 송수신부, 정보 표현을 위한 제1 단말 출력부 및 방송 제공 장치로부터 송수신부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며,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제1 단말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1 단말에 있어서, 제1 단말 제어부는,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의 채널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방송 데이터의 프로그램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1 단말에 있어서, 제1 단말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부터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채널 변경 신호에 대응하는 방송데이터를 제1 단말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1 단말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제1 단말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제1 단말 제어부는 제2 단말의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등록된 단말임을 확인하며,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등록된 제2 단말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의 프로그램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1 단말에 있어서, 제1 단말 제어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부터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채널 변경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면,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를 계속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1 단말은, 정보 입력을 위한 제1 단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1 단말 제어부는, 제1 단말 입력부를 통해 채널 고정에 대한 입력을 받으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부터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를 계속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2 단말은, 정보 표현을 위한 제2 단말 출력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 및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방송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단말로 방송 부가데이터를 요청하고,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며, 수신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제2 단말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2 단말은, 정보 입력을 위한 제2 단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2 단말 제어부는, 제2 단말 입력부를 통해 방송 부가데이터와 관련된 입력을 받으면, 방송 부가데이터에 대한 리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제1 단말로 리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2 단말은, 정보 입력을 위한 제2 단말 입력부 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2 단말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제2 단말 제어부는, 제2 단말 입력부를 통해 방송 부가데이터와 관련된 입력을 받으면, 방송 부가데이터에 대한 리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2 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방송 제공 장치로 리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2 단말에 있어서, 제2 단말 제어부는, 리턴 데이터와 함께 제2 단말의 식별정보 또는 제2 단말 사용자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2 단말은, 정보 입력을 위한 제2 단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2 단말 제어부는 제2 단말 입력부를 통해 채널 변경에 관한 입력을 받으면, 제1 단말로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채널 변경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2 단말에 있어서, 제2 단말은 제어부는, 방송 부가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제1 단말에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와 방송 부가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2 단말에 있어서, 제2 단말은 제어부는,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제1 단말에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제1 단말에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와 방송 부가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2 단말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2 단말 송수신부, 정보 표현을 위한 제2 단말 출력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 및 방송 제공 장치로부터 송수신부를 통해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 단말로부터 제2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제1 단말에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며, 수신한 프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부가데이터를 제2 단말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2 단말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2 단말에 있어서, 제2 단말 제어부는, 제1 단말로부터 변경된 방송 데이터의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면, 변경된 프로그램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2 단말은, 정보 입력을 위한 제2 단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2 단말 제어부는, 제2 단말 입력부를 통해 방송 부가데이터와 관련된 입력을 받으면, 방송 부가데이터에 대한 리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2 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방송 제공 장치로 리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2 단말에 있어서, 제2 단말 제어부는, 리턴 데이터와 함께 제2 단말의 식별정보 또는 제2 단말 사용자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2 단말은, 정보 입력을 위한 제2 단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제2 단말 제어부는 제2 단말 입력부를 통해 채널 변경에 관한 입력을 받으면, 제1 단말로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채널 변경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2 단말에 있어서, 제2 단말 제어부는, 방송 부가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제1 단말에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와 방송 부가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제2 단말에 있어서, 제2 단말 제어부는,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제1 단말에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제1 단말에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와 방송 부가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은, 제1 단말이 방송 제공 장치로부터 방송 데이터 및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제1 단말이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단계 및 제1 단말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부터 방송 부가데이터를 요청 받으면, 수신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은, 제1 단말이 방송 제공 장치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제1 단말이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단계 및 제1 단말이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은, 제2 단말이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단말로 방송 부가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단계, 제2 단말이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및 제2 단말이 수신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은, 제2 단말이 방송 제공 장치로부터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제2 단말이 제1 단말로부터 제1 단말에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그램 정보 수신단계 및 제2 단말이 수신한 프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된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 데이터와 방송 부가데이터를 분리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방송 시청에 방해를 받지 않으면서 별개의 단말을 통해 방송 부가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사용자가 같은 방송을 시청하면서, 각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부가데이터 서비스를 각 사용자의 단말을 통해 개별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 부가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이 부가적으로 리모컨 기능을 제공하여 방송 시청 시 높은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 제1 단말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 제2 단말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직접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은 방송 제공 장치(10), 네트워크(20), 제1 단말(30), 제2 단말(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네트워크(20)는 방송 제공 장치(10), 제1 단말(20)간의 데이터 전송, 정보 교환을 위한 것으로서, 방송망(broadcast network), 인터넷 프로토콜을 통하여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 서비스 및 끊기는 현상이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IP망, IP를 기반으로 서로 다른 망을 통합한 아이피망 구조인 All IP망, Wibro(Wireless Broadband)망과, Wi-Fi망을 포함하는 무선랜(Wireless LAN), WPAN, 유선통신망, 이동통신망,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망 및 위성통신망 등과 같이 기존에 알려져 있는 다양한 방식의 네트워크를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더하여, 향후 개발 예정인 차세대 통신망이 될 수 있다.
방송 제공 장치(10)는 각종 방송데이터 및 방송 부가데이터를 저장하고, 네트워크(20)를 통해 방송 데이터 및 방송 부가데이터를 제공하며, 네트워크(20)를 통해 수신한 리턴 데이터를 수집하고, 결제 등과 같이 수신한 리턴 데이터에 대한 각종 처리를 수행하는 장치를 말한다. 이러한 방송 제공 장치(10)는 방송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Broadcast Service Provider)와 방송 부가 데이터를 제공하는 인터렉티브 서비스 제공자(Interactive Service Provider)가 하나의 주체가 되는 경우 방송 데이터 및 방송 부가데이터를 함께 제공하는 장치를 일컬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서비스 제공자가 별개의 주체인 경우 각 서비스 제공자가 운용하는 장치를 통칭할 수 있다.
이때, 방송 데이터는 일반적인 방송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데이터를 말한다.
방송 부가 데이터는 방송 프로그램과 함께 제공되는 부가적인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말하며, 멀티미디어 데이터 자체를 일컫는 콘텐츠(contents) 뿐만 아니라, 콘텐츠가 수신 단말에서 실행이 될 때를 일컫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칭한다. 방송 부가 데이터는 데이터 성격에 따라 간단한 이미지, 비디오 클립(clip) 등과 같은 논스트리밍 콘텐츠(Non-streaming contents), 콘텐츠 자체 내에 시간 정보를 가지고 있는 스트리밍 콘텐츠(streaming contents), 비디오 장면 전환 정보, 카메라 위치 정보, 등장인물 정보 등과 같은 콘텐츠 뿐만 아니라 콘텐츠의 전송에 관련이 있는 콘텐츠를 의미하는 메타데이터 콘텐츠(metadata contents)를 포함할 수 있다.
리턴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제공한 방송 부가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서, 이러한 사용자의 응답은 다시 방송 제공 장치(10)에 전달되어 퀴즈, 홈쇼핑, TV 전자상거래, 시청자 투표 등과 같이 양방향 데이터방송 서비스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음악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리턴 데이터를 통해 퀴즈에 대한 답을 맞출 수 있으며, 홈쇼핑 방송을 시청하면서 사용자가 구매하고자 하는 물품을 선택하고 리턴 데이터를 통해 물품을 구매할 수 있다.
제1 단말(30)은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며, 수신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제2 단말(50)로 제공하는 단말로서, 제2 단말(50)로부터 리턴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수신한 리턴 데이터를 방송 제공 장치(10)로 전송하는 단말이다.
제2 단말(50)은 제1 단말(30)로부터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면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사용자로부터 방송 부가데이터와 관련된 입력을 받아 리턴 데이터를 생성하고, 리턴 데이터를 방송 제공 장치(10) 또는 제1 단말(30)로 전송하는 단말이다.
이에, 방송 제공 장치(10)는 리턴 데이터를 처리한 후, 방송 데이터를 통해 제1 단말(30)로 리턴 데이터에 대한 응답 혹은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방송 부가 데이터를 통해 제2 단말(50)로 리턴 데이터에 대한 응답 혹은 결과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제1 단말(30) 및 제2 단말(50)은 디지털 TV(digital-TV), PC(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휴대폰(mobile phone), 태블릿 PC, 내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등과 같이 방송 데이터 또는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하고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단,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술한 예 이외에도 현재 개발되어 상용화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통신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셋탑박스(set-top box)와 수신한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분리되는 경우, 제1 단말(30) 및 제2 단말(50)은 이를 통칭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단말(50)은 제1 단말(30)을 통하지 않고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방송 부가데이터를 직접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20)는 방송 제공 장치(10), 제1 단말(30) 및 제2 단말(50)간의 데이터 전송, 정보 교환을 위한 통신망을 의미하고, 제1 단말(30)은 네트워크(20)를 통해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며, 제2 단말(50)은 네트워크(20)를 통해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제공 장치(10)는 방송 데이터와 방송 부가데이터를 함께 제공하며, 제1 단말(30)은 방송 데이터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하며, 제2 단말(50)은 방송 부가데이터만을 선택적으로 수신할 수도 있다.
제1 단말(30)은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고, 출력하고 있는 방송 데이터에 관한 프로그램 정보를 제2 단말(50)로 전송하며, 제2 단말(50)은 수신한 방송 부가데이터에서 제1 단말(30)로부터 수신한 프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프로그램 정보는 복수의 방송 프로그램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말하며, MPEG(Motion Picture Experts Group)-2 표준 데이터 구조에서 복수 개의 프로그램을 처리하기 위해 프로그램마다 특성을 기술한 프로그램 지정정보(PSI; Program Specific Information)에 포함된, 패킷의 고유 ID 번호인 PID(Program Identification)로 구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그램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라면 포함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 제1 단말(30)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단말(30)은 제1 단말 송수신부(31), 제1 단말 출력부(33),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37) 및 제1 단말 제어부(4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1 단말 입력부(35) 또는 제1 단말 저장부(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말 송수신부(31)는 방송 제공 장치(10)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단말 송수신부(31)는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방송데이터 및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며, 제2 단말(50)로부터 수신한 리턴 데이터를 방송 제공 장치(10)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제1 단말 출력부(33)는 제1 단말(30)의 동작 결과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단말 출력부(33)는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수신한 방송 데이터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으로 재생한다.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37)는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제2 단말(50)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이때 무선통신 세션에는 지그비(ZigBee), 피코캐스트(PicoCas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Wi-Fi(wireless lan) 등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37)는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수신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제2 단말(50)로 전송하며, 제2 단말(50)로부터 리턴 데이터, 채널 변경 신호 또는 방송 부가데이터의 요청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제1 단말 입력부(35)는 제1 단말(30)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를 제공하고 제1 단말(30) 사용자의 키 선택에 따른 선택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단말 입력부(39)는 온오프(on-off) 입력, 채널 변경, 볼륨 조절 등 방송 데이터의 출력에 관한 각종 입력을 받으며, 특히 사용자로부터 채널을 고정시키기 위한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제1 단말 저장부(33)는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수신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단말 저장부(33)는 제2 단말(50)로부터 요청을 수신할 때 방송 부가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미리 저장하는 저장소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수신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며 이를 제2 단말(50)로 전송하기 위한 버퍼(buffer)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와 같이 제2 단말(50)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단말 제어부(41)는 제1 단말 송수신부(31), 제1 단말 출력부(33), 제1 단말 입력부(35),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37), 제1 단말 저장부(39)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1 단말 제어부(41)는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제1 단말 송수신부(31)를 통해 방송 데이터 및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면, 제1 단말 출력부(33)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고, 제2 단말(50)로부터 방송 부가데이터의 요청을 수신하면,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수신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37)를 통해 제2 단말(50)로 전송한다. 이어,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37)를 통해 제2 단말(50)로부터 해당 방송 부가데이터와 관련된 리턴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제1 단말 송수신부(31)를 통해 방송 제공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1 단말 제어부(41)는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면, 제1 단말 저장부(39)에 저장하고, 제2 단말(50)로부터 방송 부가데이터를 요청 받으면, 현재 제1 단말 출력부(33)에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의 프로그램 정보를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방송 부가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방송 부가데이터만을 제2 단말(50)로 전송할 수 있다. 방송 데이터와의 관련이 있는 방송 부가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전송함으로써 전송 속도를 높이고 보다 효율적인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 제어부(41)는 제1 단말 입력부(3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채널 변경의 입력을 받거나,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37)를 통해 제2 단말(50)로부터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하여 채널을 변경하는 경우, 제1 단말 출력부(33)를 통해 변경된 채널에 대응되는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며,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37)를 통해 변경된 방송 데이터에 대응되는 방송 부가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해당 프로그램을 시청하면서 부가 정보를 타 단말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타 단말기를 리모컨(remote controller)으로 이용하면서 제1 단말(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50)이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은 채널 변경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2 단말(50)은 리모컨의 수행하는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단말(50)은 복수로 구현될 수 있어,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하나의 제1 단말(30)에 복수개의 제2 단말(50)이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함께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복수의 사용자가 같은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처럼 복수개의 제2 단말(50)로 방송 부가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하나의 장치를 통해 방송을 시청하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개별적인 방송 부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공장소에서 다수의 사용자가 스포츠 채널을 함께 시청하면서 어느 사용자는 자신이 관심 있는 선수의 정보를 확인하고, 다른 사용자는 스포츠를 시청하면서 주식 혹은 날씨와 같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사용자는 스포츠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퀴즈에 참여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제1 단말 제어부(41)는 제1 단말 저장부(39)에 저장된 제2 단말(50)의 식별정보와 방송 부가데이터를 요청하는 제2 단말(50)의 식별정보를 비교한 후, 등록된 단말만을 대상으로 방송 부가데이터를 제공하며,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단말(50)로부터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37)를 통해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변경할 때, 복수의 제2 단말(50)로부터 동시에 서로 다른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현재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를 계속하여 출력하며, 채널 변경을 강제적으로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 입력부(35)를 통해 채널을 고정시키기 위한 입력을 받는 경우, 제2 단말(50)로부터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채널 변경을 강제적으로 허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는,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복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제2 단말(50)이 리모컨의 기능을 함께 수행하는 경우, 각 사용자의 채널 변경 신호에 의한 잦은 채널 변경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단말(30)은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방송 데이터만을 수신하며, 방송 부가데이터는 제2 단말(50)이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직접 수신할 수 있다. 제1 단말(30)의 구성에 관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단말 송수신부(31)는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37)는 제2 단말(50)로 프로그램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제1 단말 제어부(41)는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제1 단말 송수신부(31)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면, 제1 단말 출력부(33)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고, 출력 중인 해당 프로그램 정보를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37)를 통해 제2 단말(50)로 전송한다. 방송 부가데이터를 제2 단말(50)로 직접 전송하지 않고, 해당 프로그램 정보만을 전송함으로써 제1 단말(30)의 부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 제어부(41)는 제1 단말 입력부(35)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채널 변경의 입력을 받거나,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37)를 통해 제2 단말(50)로부터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하여 채널을 변경하는 경우, 제1 단말 출력부(33)를 통해 변경된 채널에 대응되는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며,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37)를 통해 변경된 방송 데이터의 프로그램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50)로부터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하여 채널을 변경하는 경우, 제2 단말(50)로 변경된 프로그램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 제2 단말(30)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2 단말(50)은 제2 단말 출력부(53),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55) 및 제2 단말 제어부(59)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제2 단말 송수신부(51) 또는 제1 단말 입력부(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단말 송수신부(51)는 방송 제공 장치(10)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단말 송수신부(51)는 방송 부가데이터에 대한 리턴데이터를 방송 제공 장치(10)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제2 단말 출력부(53)는 제2 단말(50)의 동작 결과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단말 출력부(53)는 제1 단말(30)로부터 수신한 방송 부가데이터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며,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으로 재생한다.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55)는 유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제1 단말(30)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이때 무선통신 세션에는 지그비(ZigBee), 피코캐스트(PicoCas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Wi-Fi(wireless lan) 등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55)는 제1 단말(30)로부터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며, 채널 변경 신호 또는 리턴 데이터를 제1 단말(30)로 전송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제2 단말 입력부(57)는 제2 단말(50)의 조작을 위한 복수의 키를 제공하고 제2 단말(50) 사용자의 키 선택에 따른 선택신호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단말 입력부(57)는 온오프(on-off) 입력, 채널 변경, 볼륨 조절 등 제1 단말(10)에서 방송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각종 입력을 받으며, 특히 사용자로부터 방송 부가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제2 단말 제어부(59)는 제2 단말 송수신부(51), 제2 단말 출력부(53),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55), 제2 단말 입력부(57)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2 단말 제어부(59)는 제1 단말(30)로부터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55)를 통해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면, 제2 단말 출력부(53)를 통해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한다. 이어, 사용자로부터 제2 단말 입력부(57)를 통해 방송 부가데이터에 대한 응답을 입력 받으면, 리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55)를 통해 제1 단말(30)로부터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 제어부(59)는 생성한 리턴 데이터를 제2 단말 송수신부(51)를 통해 방송 제공 장치(10)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다. 제2 단말 제어부(59)가 방송 제공 장치(10)로 리턴 데이터를 직접 전송함으로써, 제2 단말(50)의 사용자는 제1 단말(30)과는 독립적으로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프로그램에 관하여 데이터 방송을 제공하는 서비스 사업자가 복수인 경우 각 사업자 마다 별개의 링크를 형성할 수 있어 데이터 송수신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턴 데이터와 함께 제2 단말(50)의 식별정보 또는 제2 단말(50)의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50) 사용자는 제1 단말(30)을 통해 홈쇼핑 방송을 시청하는 중에, 제2 단말(50)을 이용하여 상품을 선택하면, 방송 제공 장치(10)는 수신한 상품 선택 정보를 통해 상품 재고를 관리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제2 단말(50)의 식별정보 또는 제2 단말(50) 사용자 정보를 통해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방송 데이터 또는 방송 부가데이터는 MPEG-2 규격에서 PCR(Program Clock Reference)과 같은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단말 제어부(59)는 방송 부가데이터에 포함된 자체 시간 정보를 참조하거나,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제1 단말(30)로부터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55)를 통해 수신하여 방송 중 지정된 시간 맞추어 방송 부가데이터를 제2 단말 출력부(53)를 통해 출력하며 제1 단말(30)에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와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50)은 제1 단말(30)에서 출력한 방송 데이터를 선택 또는 변경 등과 같은 일반적인 리모컨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단말 제어부(59)는 사용자로부터 제2 단말 입력부(57)를 통해 채널 변경에 관한 입력을 받으면,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55)를 통해 제1 단말(30)로 채널 변경 신호를 전송하며, 변경된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물론, 제1 단말(30)을 통해 사용자가 채널을 직접 변경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제1 단말(30)로부터 변경된 프로그램에 대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단말(50)은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방송 부가데이터를 직접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2 단말(50)의 구성에 관한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2 단말 송수신부(51)는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를 가지며,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55)는 제1 단말(30)로부터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가진다.
제2 단말 제어부(59)는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제2 단말 송수신부(51)를 통해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 단말(10)로부터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55)를 통해 제1 단말(10)에서 출력 중인 프로그램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해당 프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부가데이터를 제2 단말 출력부(53)를 통해 출력한다.
제2 단말 제어부(59)는 제1 단말(30)의 채널이 변경되는 경우 제2 단말 송수신부(51)를 통해 제1 단말(30)로부터 출력 중인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면, 변경된 프로그램 정보에 대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제2 단말 출력부(53)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 제어부(59)는 제1 단말(30)에서 출력하는 방송 데이터를 선택하거나 변경하기 위해 제2 단말 입력부(57)를 통해 채널 변경에 관한 입력을 받으면,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55)를 통해 제1 단말(30)로 채널 변경 신호를 전송하며, 제2 단말 출력부(53)를 통해 변경된 채널에 대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단말(30)은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방송 데이터 및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고(S61), 제1 단말(30)은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출력한다(S63).
단계(S63)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 제1 단말(30)은 제2 단말(50)로부터 방송 부가데이터의 요청을 수신하면(S65),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수신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제2 단말(50)로 전송한다(S67).
이때, 제1 단말(30)은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수신한 방송 부가데이터 중 현재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의 프로그램 정보를 확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방송 부가데이터를 추출하고, 추출한 방송 부가데이터만을 제2 단말(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30)은 제2 단말(50)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2 단말(50)의 식별정보와 방송 부가데이터를 요청하는 제2 단말(50)의 식별정보를 비교한 후, 등록된 단말만을 대상으로 방송 부가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S67)에서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한 제2 단말(50)은 수신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한다(S69).
이때, 제2 단말(50)은 방송 부가데이터에 포함된 자체 시간 정보를 참조하거나,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제1 단말(30)로부터 수신하여 방송 중 지정된 시간 맞추어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하며, 제1 단말(30)에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와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어,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단말(50)은 사용자로부터 출력 중인 방송 부가데이터에 관한 입력을 받는다(S71).
단계(S71)에서 방송 부가데이터에 관한 입력을 받은 제2 단말(50)은 리턴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1 단말(30)을 통해 방송 제공 장치(10)로 전송한다(S73).
이때, 제2 단말(50)은 생성한 리턴 데이터를 방송 제공 장치(10)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으며, 리턴 데이터와 함께 제2 단말(50)의 식별정보 또는 제2 단말(50)의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단말(50)은 사용자로부터 채널 변경에 관한 입력을 받으면(S75), 제1 단말(30)로 채널 변경 신호를 전송한다(S77).
단계(S77)에서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한 제1 단말(30)은 변경된 채널에 대응되는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며(S79), 제2 단말(50)로 변경된 방송 데이터에 대응되는 방송 부가데이터를 전송한다(S81).
이때, 복수의 제2 단말(50)로부터 동시에 서로 다른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또는 채널을 고정시키기 위한 입력을 받는 경우 현재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를 계속하여 출력하며, 채널 변경을 강제적으로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S81)에서 변경된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한 제2 단말(50)은 수신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한다(S83). 이후의 과정은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단말(30)은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S91), 제2 단말(50)은 방송 제공 장치(10)로부터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한다(S93).
단계(S91)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한 제1 단말(30)은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며(S95), 제2 단말(50)로 출력 중인 해당 프로그램 정보를 제2 단말(50)로 전송한다(S97).
이때, 제1 단말(30)은 제2 단말(50)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등록된 단말인지 확인하여 등록된 단말만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S97)에서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한 제2 단말(50)은 해당 프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한다(S99).
이때, 제2 단말(50)은 방송 부가데이터에 포함된 자체 시간 정보를 참조하거나,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제1 단말(30)로부터 수신하여 방송 중 지정된 시간 맞추어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하며 제1 단말(30)에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와 동기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어,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단말(50)은 사용자로부터 출력 중인 방송 부가데이터에 관한 입력을 받는다(S101).
단계(S101)에서 방송 부가데이터에 관한 입력을 받은 제2 단말(50)은 리턴 데이터를 생성하여 방송 제공 장치(10)로 전송한다(S103).
이때, 제2 단말(50)은 생성한 리턴 데이터를 제1 단말(30)을 통해 방송 제공 장치(10)로 전송할 수도 있으며, 리턴 데이터와 함께 제2 단말(50)의 식별정보 또는 제2 단말(50)의 사용자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하는 제2 단말(50)은 사용자로부터 채널 변경에 관한 입력을 받으면(S105), 제1 단말(30)로 채널 변경 신호를 전송한다(S107).
단계(S107)에서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한 제1 단말(30)은 변경된 채널에 대응되는 방송 데이터를 출력한다(S109).
이때, 복수의 제2 단말(50)로부터 동시에 서로 다른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또는 채널을 고정시키기 위한 입력을 받는 경우 현재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를 계속하여 출력하며, 채널 변경을 강제적으로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S105)에서 사용자로부터 채널 변경에 관한 입력을 받은 제2 단말(50)은 변경된 채널에 대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한다(S111). 이후의 과정은 상술한 과정을 반복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 부가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비해 별도의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아 추가적인 비용 발생을 최소화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 분야에서 보다 다양한 서비스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는 추세를 감안하면, 본 발명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에서의 방송 부가데이터를 분리하여 제공하는 방안은 그 활용도가 적지 않을 것이다.
10: 방송 제공 장치 20: 네트워크
30: 제1 단말 31: 제1 단말 송수신부
33: 제1 단말 출력부 35: 제1 단말 입력부
37: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 39: 제1 단말 저장부
41: 제1 단말 제어부 50: 제2 단말
51: 제2 단말 송수신부 53: 제2 단말 출력부
55: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 57: 제1 단말 입력부
59: 제2 단말 제어부

Claims (35)

  1. 방송 데이터 및 방송 부가데이터를 제공하는 방송 제공 장치;
    상기 방송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데이터 및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의 전송을 요청 받으면 상기 수신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전송하는 제1 단말;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채널 변경 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면,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를 계속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단말에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와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
  2. 방송 데이터 및 방송 부가데이터를 제공하는 방송 제공 장치;
    상기 방송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며, 상기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전송하는 제1 단말;
    상기 방송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프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은,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채널 변경 신호가 동시에 수신되면,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를 계속하여 출력하고,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단말에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와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
  3.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1 단말 송수신부;
    정보 표현을 위한 제1 단말 출력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
    방송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방송 데이터 및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부터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의 전송을 요청 받으면, 상기 수신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제1 단말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채널 변경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면, 상기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를 계속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단말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 저장부에서 상기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에 대응되는 방송 부가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를 저장하는 제1 단말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제어부는, 상기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 저장부에서 상기 변경된 방송 데이터에 대응되는 방송 부가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와 관련된 리턴 데이터를 수신하면, 상기 제1 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리턴 데이터를 상기 방송 제공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채널 변경 신호에 대응하는 방송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제1 단말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제어부는, 상기 제2 단말의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등록된 단말임을 확인하며, 상기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상기 등록된 제2 단말로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9. 삭제
  10. 제3항에 있어서, 정보 입력을 위한 제1 단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 입력부를 통해 채널을 고정 시키기 위한 입력을 받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상기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를 계속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11.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1 단말 송수신부;
    정보 표현을 위한 제1 단말 출력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
    방송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제1 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며, 상기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제1 단말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채널 변경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면, 상기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를 계속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제어부는,
    상기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의 채널이 변경되는 경우, 상기 변경된 방송 데이터의 프로그램 정보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신한 채널 변경 신호에 대응하는 방송데이터를 상기 제1 단말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제1 단말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제어부는 상기 제2 단말의 식별정보를 참조하여 등록된 단말임을 확인하며, 상기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상기 등록된 제2 단말로 상기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의 프로그램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15. 삭제
  16. 제11항에 있어서, 정보 입력을 위한 제1 단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 입력부를 통해 채널 고정에 대한 입력을 받으면,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채널 변경 신호를 수신하더라도 상기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를 계속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 단말.
  17. 정보 표현을 위한 제2 단말 출력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
    상기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방송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단말로 방송 부가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2 단말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단말에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단말에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와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18. 제17항에 있어서, 정보 입력을 위한 제2 단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제어부는, 상기 제2 단말 입력부를 통해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와 관련된 입력을 받으면,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에 대한 리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리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19. 제17항에 있어서,
    정보 입력을 위한 제2 단말 입력부;및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2 단말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제어부는, 상기 제2 단말 입력부를 통해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와 관련된 입력을 받으면,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에 대한 리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방송 제공 장치로 상기 리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20. 제18항 또는 제1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제어부는,
    상기 리턴 데이터와 함께 상기 제2 단말의 식별정보 또는 상기 제2 단말 사용자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21. 제17항에 있어서, 정보 입력을 위한 제2 단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제어부는 상기 제2 단말 입력부를 통해 채널 변경에 관한 입력을 받으면,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채널 변경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제어부는,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단말에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와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23. 삭제
  24.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제2 단말 송수신부;
    정보 표현을 위한 제2 단말 출력부;
    근거리 통신을 위한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
    방송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제2 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고,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2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단말에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한 프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부가데이터를 상기 제2 단말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제2 단말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상기 제1 단말에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단말에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와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제어부는,
    상기 제1 단말로부터 변경된 방송 데이터의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변경된 프로그램 정보에 대응되는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26. 제24항에 있어서, 정보 입력을 위한 제2 단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제어부는, 상기 제2 단말 입력부를 통해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와 관련된 입력을 받으면,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에 대한 리턴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제2 단말 송수신부를 통해 상기 방송 제공 장치로 상기 리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제어부는,
    상기 리턴 데이터와 함께 상기 제2 단말의 식별정보 또는 사용자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28. 제24항에 있어서, 정보 입력을 위한 제2 단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 제어부는 상기 제2 단말 입력부를 통해 채널 변경에 관한 입력을 받으면, 상기 제1 단말로 상기 제2 단말 근거리통신부를 통해 채널 변경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 제어부는,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단말에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와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 단말.
  30. 삭제
  31. 제1 단말이 방송 제공 장치로부터 방송 데이터 및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부터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의 전송을 요청 받으면, 상기 수신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채널 변경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면, 상기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를 계속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
  32. 제1 단말이 방송 제공 장치로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수신한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단말로 전송하는 전송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로부터 서로 다른 둘 이상의 채널 변경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면, 상기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를 계속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
  33. 제2 단말이 방송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1 단말로 방송 부가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수신한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단말에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와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
  34. 제2 단말이 방송 제공 장치로부터 방송 부가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제1 단말로부터 상기 제1 단말에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수신하는 프로그램 정보 수신단계;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수신한 프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부가데이터를 출력하는 출력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제1 단말로부터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에 포함된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시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제1 단말에서 출력 중인 방송 데이터와 상기 방송 부가데이터의 동기화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
  35. 제3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00104703A 2010-10-26 2010-10-26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 그 단말 및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5048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703A KR101504890B1 (ko) 2010-10-26 2010-10-26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 그 단말 및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4703A KR101504890B1 (ko) 2010-10-26 2010-10-26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 그 단말 및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408A KR20120043408A (ko) 2012-05-04
KR101504890B1 true KR101504890B1 (ko) 2015-03-24

Family

ID=46263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4703A KR101504890B1 (ko) 2010-10-26 2010-10-26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 그 단말 및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89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1364A (ko) * 1997-10-24 2001-04-16 삐에르 레꾸르 다중채널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
KR20050062343A (ko) * 2003-12-19 2005-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방송 수신기의 채널 변경시 부가데이터 출력 장치및 그 방법
KR20090064559A (ko) * 2006-10-16 2009-06-19 (주)제이슨알앤디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
KR20100007638A (ko) * 2008-07-14 2010-01-22 툴디자인 (주) 방송 컨텐츠와 부가서비스 화면 분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셋탑단말 및 서비스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1364A (ko) * 1997-10-24 2001-04-16 삐에르 레꾸르 다중채널 디지털 텔레비전 시스템
KR20050062343A (ko) * 2003-12-19 2005-06-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방송 수신기의 채널 변경시 부가데이터 출력 장치및 그 방법
KR20090064559A (ko) * 2006-10-16 2009-06-19 (주)제이슨알앤디 콘텐츠 부가정보를 전송하는 시스템 및 이용방법
KR20100007638A (ko) * 2008-07-14 2010-01-22 툴디자인 (주) 방송 컨텐츠와 부가서비스 화면 분리 서비스 제공을 위한셋탑단말 및 서비스 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3408A (ko) 201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4660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accessing and synchronizing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and supplemental media rich content in response to selection of a presented object
CN103229515B (zh) 提供与广播内容有关的内容相关信息的系统和方法
EP2602760B1 (en) Providing synchronous content and supplemental experiences
KR101591535B1 (ko) 컨텐츠 및 메타데이터를 사용하는 기법
CN103067776B (zh) 节目推送方法、系统及智能显示设备、云端服务器
US20090313324A1 (en) Interactive viewing of media content
JP2013531937A (ja) 放送に含まれた広告に関連した情報をクライアント端末機側へネットワークを介して提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KR20130083457A (ko) 부가 서비스 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CN102129636A (zh) 用于提供基于识别的广告给观众的系统和方法
KR100738685B1 (ko) 양방향 방송 서비스를 이용한 부가정보 제공 장치 및 그방법
CN105808182A (zh) 显示控制方法及系统、广告破口判断装置、影音处理装置
KR101729013B1 (ko) 상품 구매가 연계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JP2002125161A (ja) 情報表示システム
US20120232990A1 (en) Apparatus for providing personalized related advertisement, mobile terminal for playing related advertisement,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related advertisement
CN104602043A (zh) 内容提供装置和方法
KR20140136752A (ko) 연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201201595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personalized content
US10091544B1 (en) Visual identifier to trigger an action
KR101904539B1 (ko) 컨텐츠 부가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매체, 그리고 개인 스토리지 장치 및 제어 방법
WO2014010469A1 (ja) 受信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送信装置、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連動システム
KR101666246B1 (ko) 메타데이터 우선제공 증강방송 장치 및 방법
KR101504890B1 (ko)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시스템, 그 단말 및 방송 부가데이터 분리 제공 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537547B1 (ko) 오버레이 스트리밍을 이용한 온라인 생방송 광고 시스템 및 방법
JP2008252410A (ja) 情報表示システム、情報提供サーバ、および情報表示方法
TWI322397B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