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106B1 - Crime Prevention system - Google Patents

Crime Prevention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106B1
KR101497106B1 KR1020120122071A KR20120122071A KR101497106B1 KR 101497106 B1 KR101497106 B1 KR 101497106B1 KR 1020120122071 A KR1020120122071 A KR 1020120122071A KR 20120122071 A KR20120122071 A KR 20120122071A KR 101497106 B1 KR101497106 B1 KR 101497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optical transmission
information
output
transmiss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20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56724A (en
Inventor
전진홍
Original Assignee
전진홍
(주)위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진홍, (주)위비젼 filed Critical 전진홍
Priority to KR1020120122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106B1/en
Publication of KR20140056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7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10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0Mechanical actuation by pressure on floors, floor coverings, stair treads, counters, or till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감시 대상 지역의 바닥에 설치되어 침입자의 하중에 의한 일정 면적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감지 장치, 압력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정보를 근거로 감시 대상지역에 감시 대상체의 출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장치와, 원격에 위치하여 압력감지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출력장치를 제어하고 설정된 후속조치상황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관리서버, 압력감지 장치와 관리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시스템이 개시된다.A pressure sensing device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monitoring area to detect a change in pressure of a certain area due to the load of the intruder, an output for outputting information about the appearance of the monitoring object in the monitoring area based on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device And a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pressure sensing device and th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Description

방범 시스템{Crime Prevention system}Crime Prevention System

본 발명은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면적 상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검지하여 외부 침입자를 감시할 수 있는 방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rime preven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crime prevention system capable of monitoring an external intruder by detecting a pressure applied on a predetermined area.

최근 범죄예방 및 방법을 위해서 감시카메라(CCTV) 설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즉, 골목길이나, 공원, 주택가 등은 물론, 건물 내부, 출입구 등을 감시하기 위한 감시카메라를 포함하는 방법시스템의 설치가 증가하고 있다.Recently, surveillance cameras (CCTV) are increasingly installed for crime prevention and methods. That is, the installation of a method system including a surveillance camera for monitoring an alleyway, a park, a residential area, and the inside of a building, an entrance and the like is increasing.

이러한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종래의 방범시스템은 주요 지점마다 감시카메라를 설치하여 24시간 촬영 감시함으로써, 범죄 예방은 물론, 범죄 발생시 증거자료로 사용되고 있다.Conventional security systems using such surveillance cameras are installed as surveillance cameras at major points and monitored 24 hours a day, so that they are used as evidence for crime prevention as well as crime prevention.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와 같이 많은 수의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을 해당지역을 담당하는 관할기관(경찰서, 소방서 등)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부에서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구분하여 출력함으로써, 수많은 감시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소수의 관리자가 지속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비슷한 영상들이 동시에 출력되므로, 감시지역에 누군가가 출입한 사실을 영상을 통해 확인해야 하므로, 즉각적인 확인이 어렵게 되어 범죄 예방을 적극적으로 하지 못하고, 범죄 발생에 대해서 신속한 대응을 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related art, images captured by a large number of surveillance cameras are separated and output from a plurality of surveillance cameras by simultaneously displaying them on a display unit installed in a jurisdiction agency (police station, fire department, etc.)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for a small number of administrators to continuously observe the image. In other words, since similar images are outputted at the same time, since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e fact that someone has entered and exiting the monitoring area through the image, it is difficult to promptly confirm the crime and actively prevent the crime, .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일정 면적에서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침입자를 감지할 수 있는 방범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rime prevention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 intruder by detecting a pressure applied in a predetermined are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범 시스템은, 감시 대상 지역의 바닥에 설치되어, 침입자의 하중에 의한 일정 면적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감지 장치; 상기 압력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정보를 근거로 감시 대상지역에 감시 대상체의 출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장치와; 원격에 위치하여 상기 압력감지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상기 출력장치를 제어하고 설정된 후속조치상황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관리서버; 상기 압력감지 장치와 상기 관리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rime prevention system comprising: a pressure sensing device installed on a floor of an area to be monitored and sensing a change in a predetermined area pressure due to a load of an intruder;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information on the appearance of the monitored object to the monitored area based on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device; A management server located remotely to control th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from the pressure sensing device and to control to perform a set follow-up action situation; And a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pressure sensing device and the management server.

여기서, 상기 압력감지 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가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 단부가 형성되며, 광섬유로 형성되는 제1광전달 모듈;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가 상기 제1광전달 모듈의 광섬유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 단부가 형성되며, 광섬유로 형성되는 제2광전달 모듈; 상기 제1광전달 모듈 및 제2광전달 모듈의 광섬유 일단부를 통하여 그 내부로 광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광신호 송신 모듈; 상기 제1광전달 모듈 및 제2광전달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광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신호 수신모듈; 및 상기 광신호 수신 모듈에서 출력되는 광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제1 및 제2광전달 모듈의 광 전달 비율을 판단하는 판단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pressure sensing device may include a first optical transmission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optical sensor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t least one of which is formed with a cut end, and is formed of an optical fiber; A second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rranged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optical fibers of the first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t regular intervals and formed with at least one cut end and formed of optical fibers; An optical signal transmission module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n optical signal to the inside of the first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nd the second optical transmission module through one end of the optical fiber; An optical signal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n optica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nd the second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nd converting the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ting the electrical signal; And a determination controller for analyzing the optical signal output from the optical signal receiving module to determine the optical transmission ratio of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transmission modules.

또한, 상기 압력 감지장치는, 상기 제1광전달 모듈 및 상기 제2광전달 모듈이 서로 직교하게 배치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감시 대상지역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The pressure sens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base on which the first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nd the second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re arranged orthogonally to each other, and the base may be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monitored area.

또한, 상기 판단제어부는, 판단된 광전달 비율을 분석하여, x-y좌표로 압력분포를 산출하는 것이 좋다.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may analyze the determined optical transmission ratio and calculate the pressure distribution in x-y coordinates.

또한, 상기 제1광전달모듈 또는 상기 제2광전달모듈은 복수 구비되며, 복수의 제1광전달모듈 또는 제2광전달모듈간을 서로 광전달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팅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first optical transmission module or the second optical transmission modu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the first optical transmission modules or the second optical transmission modules, .

또한,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감시 대상체의 출현시 비상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와; 상기 감시 대상체의 출현시, 출현위치 및 출현상태 정보를 비디오신호로 비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outpu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udio output unit that outputs an emergency signal as an audio signal when the monitored object appears; And a video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appearance position and appearance state information of the monitored object as a video signal when the monitored object appears.

또한, 상기 비디오 출력부는, 상기 감시 대상체의 출현위치정보와 출현시간, 이동궤적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감시 대상지역의 지도정보 상에 나타나도록 상기 관리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video output unit may include a display panel that is controlled by the management server so that the information on the appearance position, the appearance time, and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monitored object appears on the map information of the surveillance target area.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감시 대상지역에 대한 지도정보 및 관리자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압력 감지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감시 대상체의 출현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출력장치를 통해 감시 대상체 출현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management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unit for storing map information and manager information for the monitored area; And a main control unit for analyz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pressure sensing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to determine whether the monitored object appears or not and output monitoring object appearance information through th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It is good.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감시 대상체의 출현시, 관리자 또는 해당 관할기구로 감시 대상체 출현정보를 포함하는 비상상황 발생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호출신호 송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The management server may further include a call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emergency occurre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monitoring object appearance information to the administrator or a corresponding jurisdiction apparatus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hen the monitored object appears good.

또한,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감시 대상체 출현정보를 상기 출력장치의 디스플레이패널의 화면상에 팝업시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좋다.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of the monitoring object appearance information to be popped up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panel of the output apparatus.

또한, 상기 감시 대상 지역을 촬영하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감시 대상체가 발견된 지역에 해당되는 감시카메라의 촬영개시를 상기 감시 대상체의 발견시 실행하고,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출력장치의 비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좋다.
The main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urveillance camera installed to photograph the surveillance target area, wherein the main control unit executes the surveillance start of the surveillance camera corresponding to the area where the surveillance target object is found when the surveillance target object is found, And outputting the received image through the video output unit of the output apparatus.

본 발명의 방범 시스템에 따르면, 압력감지 장치를 감시 대상 지역의 바닥면에 설치하여 침입자의 하중에 의한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침입자의 출현여부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crime preven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sensing device can be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surveillance area, and the pressure change due to the load of the intruder can be sensed to detect the appearance of the intruder.

이와 같이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침입자 출현 여부에 대한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관리자는 종래와 같이 수많은 감시카메라 영상을 확인할 필요가 없게 되어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By detecting a change in pressure and generating a signal as to whether or not an intruder is present, the administrator is not required to check a large number of surveillance camera images as in the prior art,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management is easy.

또한, 침입자 출현과 동시에 관리자단말기 및 경찰서 등으로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즉각적인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take an immediate follow-up action by transmitting a signal to an administrator terminal and a police station simultaneously with the appearance of an intruder.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을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압력감지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는 도 1b의 광전달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b는 광전달모듈을 커넥팅모듈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a에 도시된 광전달 모듈의 광신호 전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광전달 모듈의 광전달 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광전달 모듈의 광전달 비율을 판단하여 압력 분포를 판단하는 압력 검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7C는 압력 검지 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감시대상 지역인 건물 내외에 다수의 압력감지 장치를 설치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BRIEF DESCRIPTION OF DRAWINGS FIG. 1A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crim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B is a block diagram of the pressure sensing device shown in FIG. 1A.
FIG. 2A is a schematic view for explaining the light transmission module of FIG. 1B. FIG.
FIG. 2B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the optical transmission module is connected using a connecting module.
FIG. 3 is a view for explaining optical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optical transmission module shown in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optical transmission ratio of the optical transmission module.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essure detecting apparatus for judging a pressure distribution by judging a light transmission rate of an optical transmission module.
6 to 7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pressure detection system,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lurality of pressure sensing devices are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a monitoring target are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security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은, 감시 대상 지역의 바닥에 설치되어, 감시 대상체의 하중에 의한 일정 면적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감지 장치(100)와, 압력감지 장치(100)에서 감지된 정보를 근거로 감시 대상지역에 감시 대상체의 출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장치(200)와, 원격에 위치하여 상기 압력감지 장치(100)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상기 출력장치(200)를 제어하고 설정된 후속조치상황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관리서버(300) 및 상기 압력감지 장치(100)와 상기 관리서버(30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장치(400)를 구비한다.
1A through 5, a crim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ssure sensing device 100 installed on the floor of a monitored area and sensing a change in a predetermined area pressure due to a load of a monitored object, An output device 200 for outputting information on the appearance of the monitored object to the monitored area based on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device 100, A control server 300 for controlling the output device 200 to perform a predetermined follow-up action and a communication device 400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pressure sensing device 100 and the management server 300 Respectively.

상기 압력감지 장치(100)는 제1광전달 모듈(120), 제2광전달 모듈(130), 광신호 송신 모듈(140), 광신호 수신 모듈(150), 커넥팅 모듈(170), 베이스(180) 및 판단제어부(110)를 구비한다.The pressure sensing device 100 includes a first optical transmission module 120, a second optical transmission module 130, an optical signal transmission module 140, an optical signal reception module 150, a connecting module 170, a base 180, and a judgment control unit 110.

제1 및 제2 광전달 모듈(120)(13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 단부를 가지는 광신호 전달 경로를 구비하며, 도 2a에 광신호 전달 경로를 포함하는 광신호 전달 모듈(120)(130)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신호 전달 경로는 광신호 전달 경로 본체(121)(131),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지지용 커넥터(128)(138)(129)(139), 탄성 부재(127)(137), 상호 절연 단부에 의하여 단락된 제1 광섬유(123a)(133a) 및 제2 광섬유(123b)(133b)를 구비한다.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transmission modules 120 and 130 have an optical signal transmission path having at least one cut end, and the optical signal transmission module 120 (130 Is schematically shown. 2A, the optical signal transmission path includes an optical signal transmission path body 121, at least one optical fiber supporting connector 128, 138, 129, 139, an elastic member 127, A first optical fiber 123a, 133a and a second optical fiber 123b, 133b short-circuited by the mutual insulating end.

이러한 광신호 전달 경로의 어느 하나의 절단 단부의 간격 및 상호 간의 각도는 광신호 전달 모듈(120)(130)이 설치되는 베이스(180)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가변되며, 광신호 전달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절단 단부를 가지는 제1 광섬유(123a)(133a) 및 제2 광섬유(123b)(133b)로 구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interval between the cut ends of the optical signal transmission paths and the angle between the cut ends are variable by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ase 180 on which the optical signal transmission modules 120 and 130 are installed, And a first optical fiber 123a and a second optical fiber 123b 133b having one cut end.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광신호 전달 경로 본체(121)(131)는 광섬유 지지용 커넥터(128)(138)(129)(139) 및 탄성 부재(127)(137)를 지지하는 역할을 가며 광신호 전달 경로의 외피를 형성한다. 뿐만 아니라 광신호 전달 경로 본체(121)(131)는 감시 대상 지역의 바닥에 설치되는 매트릭스와 같은 베이스(180)의 일부분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거나 이와 다르게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optical signal transmission path main bodies 121 and 131 serve to support the optical fiber supporting connectors 128, 138, 129 and 139 and the elastic members 127 and 137, . In addition, the optical signal transmission path bodies 121 and 131 may be integrally formed or partly independently formed by a part of the base 180 such as a matrix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monitored area.

한 쌍의 광섬유 지지용 커넥터(128)(129) 및 (138)(139)는 광신호 전달 경로 본체(121)(131) 내에 마련되며, 적어도 하나의 절단 단부의 간격이 압력에 의하여 휘어질 때 가변되도록 광섬유(123a)(123b)(133a)(133b)를 지지한다. 도 2a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1 광섬유 및 제2 광섬유(123a)(123b)(133a)(133b)의 절단되어 마주하는 영역이 한 곳이기 때문에 이곳에만 한 쌍의 광섬유 지지용 커넥터(128)(129)(138)(139)가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광섬유(123a)(123b)(133a)(133b) 각각은 2개 이상의 절단 단부를 가질 수 있다.
A pair of optical fiber supporting connectors 128, 129, 138, 139 are provided in the optical signal transmission path body 121 (131), and when the interval of at least one cut end is bent by the pressure And supports the optical fibers 123a, 123b, 133a, and 133b so as to be variable. In the example shown in FIG. 2A, since the first optical fiber and the second optical fibers 123a, 123b, 133a, and 133b are cut and confronted with each other, only one pair of optical fiber supporting connectors 128 129, 138 and 139 may be provided.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fibers 123a, 123b, 133a, and 133b may have two or more cut ends.

탄성부재(127)(137)는 적어도 하나의 광섬유 지지용 커넥터 쌍(128)(129) 및 (138)(139)에 결합되어 광섬유 지지용 커넥터(128)(129) 및 (138)(139)가 상호 접근되는 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된다. 따라서, 광신호 전달 모듈(120)(130)을 베이스(180)에 설치 후 초기에는 도 2a의 (a) 처럼 제1 및 제2 광섬유(123a)(123b) 및 (133a)(133b)의 양 자유단부가 인접되게 혹은 접촉되지만 베이스(180)가 압력이 가해져 휘어질 때 도 2a의 (b)처럼 단절된 제1 및 제2 광섬유(123a)(123b) 및 (133a)(133b)의 양 자유단부가 벌어지는 동시에 서로 어긋나게(비수평 상태) 되며, 다시 압력이 제거되면 탄성 부재(127)(137)에 의해 도 2a의 (a) 처럼 제1 및 제2 광섬유(123a)(123b) 및 (133a)(133b)의 양 자유단부가 인접되거나 접촉된다. 이러한 메커니즘에 의해 제1 및 제2 광섬유(123a)(123b) 및 (133a)(133b)의 양 자유단부에서 전달되는 광신호의 양이 가변된다.
The elastic members 127 and 137 are connected to at least one pair of optical fiber supporting connectors 128 and 129 and 138 and 139 for supporting the optical fiber supporting connectors 128 and 129 and 138 and 139, Are biased elastically in mutually approach directions. Therefore, after the optical signal transmitting modules 120 and 130 are installed on the base 180, the amount of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fibers 123a and 123b and 133a and 133b The fre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fibers 123a, 123b and 133a, 133b, which are cut off as shown in FIG. 2A, are bent when the base 180 is pressed and bent,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fibers 123a and 123b and 133a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elastic members 127 and 137 when the pressure is removed again. And both free ends of the second end 133b are abutted or abutted. With such a mechanism, the amount of the optical signal transmitted at both fre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fibers 123a, 123b, 133a, 133b is varied.

광신호 송신 모듈(140)은 광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광신호 송신 모듈(140)은 광신호 발생기 및 광신호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광신호 송신 모듈(140)은 특정 파장의 광신호를 발생하는 LED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optical signal transmitting module 140 generates and outputs an optical signal. Although not shown, the optical signal transmitting module 140 may include an optical signal generator and an optical signal transmitter. The optical signal transmitting module 140 may be implemented as an LED that generates an optical signal of a specific wavelength.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광신호 수신 모듈(150)은 광신호 송신 모듈(140)에서 출력되는 광 신호가 광신호 전달 경로를 가지는 광 전달 모듈(120)(130)로부터 출력되면 이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광신호 수신 모듈(150)은 수신되는 광신호에 응답하여 구동되는 포토 다이오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optical signal receiving module 150 receives an optical signal output from the optical signal transmitting module 140 and outputs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optical transmitting module 120 or 130 having the optical signal transmitting path. The optical signal receiving module 150 may be implemented as a photodiode driven in response to a received optical signal.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이러한 광신호 수신 모듈(150)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증폭기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가지며, 증폭기는 포토 다이오드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증폭하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The optical signal receiving module 150 has an amplifier and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not shown). The amplifier 150 amplifies and amplifies a signal output from the photodiode. The analog-to-digital converter converts the output signal of the amplifier into a digital signal, do.

판단제어부(110)는 광신호 수신 모듈(15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를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압력의 분포를 검지한다. 이때, 광신호 수신 모듈(150)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의 데이터 처리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디지털 신호를 소정의 샘플링 레이트로 샘플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디지털 신호를 소정의 통신 규격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는 가공이 포함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할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judgment control unit 110 analyzes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optical signal receiving module 150 and finally detects the distribution of the pressur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digital signal is sampled at a predetermined sampling rate in order to reduce the data throughput of the digital signal output from the optical signal receiving module 150. In addition, processing for converting a digital signal into a signal of a predetermined communication standard type may be included. This is merely one exampl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광신호 전달 경로의 광신호 송신 모듈(140) 및 광신호 수신 모듈(150)과의 접속부(125)(135)는 광신호 송신 모듈(140) 및 광신호 수신 모듈(150)과의 안정적인 접속을 위하여 광섬유(123a)(123b)(133a)(133b)를 외부에서 보호할 수 있는 딱딱한 재질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접속부(125)(135)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신호 송신 모듈(140) 및 광신호 수신 모듈(150)의 접속부에 직접 커넥팅되는 구조가 될 수도 있고, 광신호의 전달을 위한 센서 등이 부착되는 장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접속부(125)(150)의 형상은 도시된 것에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The optical signal transmission module 140 and the connection portions 125 and 135 of the optical signal transmission path between the optical signal transmission module 140 and the optical signal reception module 150 perform stable connection with the optical signal transmission module 140 and the optical signal reception module 150 It is preferable that the optical fibers 123a, 123b, 133a, and 133b are formed of a rigid material that can protect the optical fibers 123a, 123b, 133a, and 133b from the outside. Here, the connection portions 125 and 135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ions of the optical signal transmission module 140 and the optical signal reception module 150 as shown in FIG. 2A, Sensor or the like may be attached. Therefore, the shapes of the connection portions 125 and 150 need not be limited to those shown, and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또한, 복수의 제1광전달모듈(120)들을 서로 동일선상으로 나란하게 연장시켜 연결하거나, 또는 복수의 제2광전달모듈(130)을 서로 동일선상으로 나란하게 연장시켜 연결할 수 있도록 커넥팅 모듈(170)이 구비된다. 이 커넥팅 모듈(170)은 상기 접속부들(125,135)을 서로 나란한 동일 선상에서 연결할 수 있도록 서로 반대측에 대향되는 위치에 각각 접속부(171,172)가 구비됨으로써, 복수의 제1 및 제2광전달모듈(120,130)을 서로 연장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감시 대상 지역의 넓이 및 평면 구조에 맞추어서 기본적인 사이즈의 베이스(180)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커넥팅모듈(170)의 길이는 베이스(180)의 폭이나 길이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두께 또한 베이스(180)의 두께에 대응되게 형성될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irst optical transmission modules 120 may extend in parallel and extend in parallel, or a plurality of second optical transmission modules 130 may exten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170 are provided. The connecting module 170 is provided with connecting portions 171 and 172 at positions opposite to each other so as to connect the connecting portions 125 and 135 in parallel with each other so that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optical transmitting modules 120 and 130 Can be extended to each oth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onnect left and right based on the base 180 of the basic size in accordance with the area and the planar structure of the surveillance target area. Therefore,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module 170 can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r length of the base 180, and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module 170 can also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ckness of the base 180.

물론, 상기 커넥팅 모듈(170)은 어느 한 접속부(125,135)에 연결된 상태로 제작되거나, 베이스(180)에 일체로 결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커넥팅모듈(170)에 광신호 송신 모듈(140)과 광신호 수신 모듈(150)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Of course, the connecting module 170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connection portions 125 and 135, or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base 180.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the optical signal transmitting module 140 and the optical signal receiving module 150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module 170 and used.

또한, 커넥팅 모듈(170)의 양측의의 접속부(171,172)의 구조는 서로 반대의 대칭되는 형상 즉, 하나는 돌출되고 하나는 인입된 소위 암, 수의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베이스(180)를 기준으로 하여 베이스(180)와 베이스(180)를 직접 연결함으로써 광전달모듈(120)(130) 간의 연결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onnecting portions 171 and 172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module 170 are formed in symmetrical shapes opposite to each other, that is, one is protruded and one is in a so-called arm and water structu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optical transmission modules 120 and 130 can be directly performed by connecting the base 180 and the base 180 directly.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압력감지 장치(100)는 상술한 메커니즘에 따라서 광신호 전달 모듈(120,130)에 의하여 전달되는 광신호의 가변량, 즉, 광 전달 비율(light transmission rate)에 기초하여 광신호 전달 모듈(120)(130)이 직교하도록 배치된 구조에 의하여 압력 또는 압력분포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The pressure sensing device 10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measure a variation amount of an optical signal transmitted by the optical signal transmission module 120 or 13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chanism, that is, based on a light transmission rate The pressure or pressure distribution can be determined by the structure in which the optical signal transmission modules 120 and 130 are arranged to be orthogonal.

도 3은 광신호 전달 모듈(120)(130)의 광신호 전달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는 광신호 전달 모듈(120)(130)의 광 전달 비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광신호 송신기(transmitter)에서 출력되는 광신호에 대한 광신호 수신기(Receiver)에서 수신되는 광신호의 비율인 광 전달 비율(LTR : Light Transmission Rate)은 광신호 전달 모듈(120)(130)이 휘어짐에 따라 점점 감소함을 알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광신호 전달 모듈(120)(130)의 광 전달 비율(LTR)은 광신호 전달 모듈(120)(130)이 휘어지면 즉, 직교하는 광신호 전달 모듈(120)(130)이 압력에 따라 각각 휘어지는 상태가 변화되어 가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3 is a view for explaining optical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of the optical signal transmission modules 120 and 130, and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optical transmission rates of the optical signal transmission modules 120 and 130. Referring to FIG. 3, a light transmission rate (LTR), which is a ratio of an optical signal received by an optical signal receiver to an optical signal output from an optical signal transmitter, ) 130 is gradually decreased as it is warped. 4, the optical transmission ratio (LTR) of the optical signal transmission modules 120 and 130 is determined by the optical signal transmission modules 120 and 130 Quot;) is varied according to the pressure.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압력감지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압력을 검지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FIG. 5 shows a pressure sens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 method of sensing pressur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제1광 전달 모듈(120)은 x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배치되며 제2광 전달 모듈(130)은 y축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가 제1광 전달 모듈(120)과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A plurality of the first optical transmission modules 12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x axis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the second optical transmission modules 130 are arranged orthogonally to the first optical transmission module 120 at regular intervals in the y axis direction .

제1광 전달 모듈(120) 및 제2광 전달 모듈(130)의 일단에는 광 송신 모듈(140)이 배치되며 타단에는 광 수신 모듈(150)이 배치된다. 이들, 광 송신 모듈(140) 및 광 수신 모듈(150)은 도면상 이해를 돕기 위하여 분리하여 도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하여도 무방하다. The optical transmission module 140 is disposed at one end of the first optical transmission module 120 and the optical transmission module 150 is disposed at the other end. Although the optical transmission module 140 and the optical reception module 150 are shown separately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drawings, the optical transmission module 140 and the optical reception module 150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도 5에서 최상단 광 전달 모듈(140)이 휘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광 전달 비율이 100%가 됨을 알 수 있고 위에서 네번 째 광 전달 모듈(140)의 경우에는 휘어진 상태로 인하여 광 전달 비율이 85%가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휘어짐의 정도에 따라 광 전달 비율이 가변되고 가변되는 광 전달 비율을 분석하면 압력을 판단할 수 있다. 5, it can be seen that the optical transmission ratio is 100% in the state where the uppermost optical transmission module 140 is not bent. In the case of the fourth optical transmission module 140, the optical transmission ratio is 85% . Therefore, it is possible to judge the pressure by analyzing the optical transmission ratio in which the optical transmission ratio is varied and vari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warpage.

또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제1광 전달 모듈(140) 및 제2광 전달 모듈(150)이 직교하도록 배치함으로써, x-y 좌표 형태로 광 전달 비율을 좌표화하여 산출할 수 있다. 도 6,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Also, by arranging the first optical transmission module 140 and the second optical transmission module 150 so as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as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ordinate and calculate the optical transmission ratio in the form of x-y coordinat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7A and 7B.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광 전달 모듈(120) 및 제2광 전달 모듈(130)이 휘어지지 않는 경우, 즉 어떠한 외부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적인 상황을 가정하는 경우 모든 광 수신 모듈(150)에서 수신되는 광신호의 광 전달 비율은 100%가 된다. As shown in FIG. 6, when it is assumed that the first light transmitting module 120 and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module 130 are not bent, that is, an ideal situation in which no external pressure is applied, The optical transmission ratio of the optical signal received by the optical fiber 150 is 100%.

이때,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떠한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어느 광 신호 전달 모듈에서는 광 전달 비율의 변화가 미미하지만 어떤 광 신호 전달 모듈에서는 광 전달 비율의 변화가 크게 나타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FIGS. 7A and 7B, when a certain pressure is applied, a change in the optical transmission ratio is slight in any optical signal transmission module, but a change in the optical transmission ratio is significant in some optical signal transmission modules.

도 6에서 P1 및 P2는 x축으로의 광 전달 비율이 100%, y축으로의 광 전달 비율이 100%이나,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이 가해져서 광 전달 모듈(120,130)이 휘어지는 경우 P1은 x축으로의 광 전달 비율이 87%, y축으로의 광 전달 비율이 97%이며, P2는 x축으로의 광 전달 비율이 70%, y축으로의 광 전달 비율이 70% 이다. In FIG. 6, P1 and P2 indicate that the optical transmission ratio on the x-axis is 100% and the optical transmission ratio on the y-axis is 100%, but the pressure is applied as shown in FIGS. 7A and 7B, The optical transmission ratio to the x-axis is 70%, the optical transmission ratio to the y-axis is 70%, and the optical transmission ratio to the y- % to be.

이를 x-y 좌표 형식으로 나타내면, P1의 좌표는 (100, 100)에서 (87, 97)로 변화되었으며 P2의 좌표는 (100, 100)에서 (70, 70)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어 P2에 가해지는 압력이 P1에 가해지는 압력보다 크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The coordinates of P1 are changed from (100, 100) to (87, 97) and the coordinates of P2 are changed from (100, 100) to (70, 70)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pressure applied to P1.

판단제어부(1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광 수신 모듈(150)에서 수신된 광 신호를 분석하여 광 전달 비율을 산출하고, 이를 x-y 좌표 형태로 압력분포를 판단한다.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110 analyzes the optical signal received from the optical receiving module 150 to calculate the optical transmission ratio and determines the pressure distribution in the form of x-y coordinates.

상기에서 x축으로 배열되는 제1광 전송 모듈(120) 및 y축으로 배열되는 제2광 전송 모듈(130)의 개수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은 명백하며, 보다 정밀하게 압력 분포를 검지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더 많은 광 전송 모듈(120)(130)을 배치할 수 있다.
It is clear that the number of the first optical transmission module 120 arranged in the x-axis and the number of the second optical transmission modules 130 arranged in the y-axis are not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figure, If necessary, more optical transmission modules 120 and 130 can be disposed.

이때, 제1 및 제2 광 전달 모듈(120)(130)은 베이스(180)에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베이스의 형태는 매트릭스, 얇은 패드와 같은 구조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 대상지역 예를 들어, 건물(600) 내부의 사무실 바닥(610), 복도바닥(620), 건물 외부의 특정 출입구 주변바닥(630)은 물론, 은행, 관공서, 일반 상가, 국가기관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판단제어부(110)는 산출된 압력분포의 변화를 분석하여 압력이 기준값 이상으로 급격하게 변화하는 경우, 그 압력변화 발생정보를 통신장치(400)를 통해 관리서버(300)로 전송하게 된다.
Here, the first and second light transmission modules 120 and 130 may be arranged to be orthogonal to the base 180, and the base may have a structure such as a matrix or a thin pad. As shown in FIG. 8, The monitored area may include, for example, an office floor 610 inside the building 600, a corridor floor 620, a floor around a specific entrance 630 outside the building, as well as various places such as a bank, a government office, As shown in FIG. The judgment control unit 110 analyzes the change of the calculated pressure distribution and transmits the pressure change occurrence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when the pressure suddenly changes beyond the reference value.

한편, 압력 분포 검지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압력감지 장치(100)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압력감지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구현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pressure distribution detection method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code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nd the pressure sensing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ored in a computer- Or by executing a computer program to perform the pressure sensing metho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For exampl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 검지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The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sure sens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deduc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출력장치(200)는 압력감지장치(100)에서 감지된 정보를 근거로 감시 대상지역에 대한 감시 대상체 출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관리서버(300)에 의해 제어된다. 출력장치(200)는 오디오 출력부(210)와, 비디오 출력부(220)를 구비한다. 오디오 출력부(210)는 상황실 또는 관리센터 등에 마련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감시 대상체의 출현시 비상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오디오 신호는 예를 들어, "감시 대상지역인 제1동건물 출입구에 감시대상물체가 감지되었습니다. 확인조치 바랍니다"와 같은 음성신호로서 감지 위치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비상벨소리 사이렌소리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The output device 200 is controlled by the management server 300 to output information on the appearance of the monitored object to the monitored area based on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device 100. The output apparatus 200 includes an audio output unit 210 and a video output unit 220. The audio output unit 210 may include a speaker provided in a situation room or a management center, and outputs an emergency signal as an audio signal when the monitored object appears. For example, the audio signal may include the detected location information as a voice signal such as "a surveillance target object is detected at the entrance of the first building, which is the monitored area, please confirm ", or an emergency ringing siren .

상기 비디오 출력부(220)는 감시 대상체의 출현시, 출현위치 및 출현상태 정보를 비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비디오 출력부(220)는 상황실, 관리실, 당직실 등에 설치되며, 디스플레이화면에 감시대상 지역의 지도정보와 함께 감시 대상체의 출현위치가 표시될 수 있으며, 그 이동궤적이 지도정보 상에 표시될 수도 있다.The video output unit 22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that outputs the appearance position and appearance state information of the monitored object as a video signal. The video output unit 220 is installed in a control room, a management room, a work room, etc., and displays the location of the monitored object along with the map information of the monitored area on the display screen. have.

또한, 감시 대상체의 출현시 비디오 출력부(220)의 화면에 팝업창으로 감시 대상체의 출현정보와 위치정보 등이 표시될 수 있도록 관리서버(3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300 can control the appearance of the monitored object and the positional information, etc., in a pop-up window on the screen of the video output unit 220 when the monitored object appears.

상기 관리서버(300)는 원격지에 위치하여 압력감지 장치(100)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출력장치(200)를 제어하여 감시 대상 지역에 감시 대상체의 출현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미리 설정된 단계별로 후속조치상황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The management server 300 controls the output device 20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from the pressure sensing device 100 to control the output of the appearance information of the monitored object in the monitored area, And controls the action situation to be performed.

구체적으로 관리서버(300)는 저장부(310), 입력부(320), 메인 제어부(330) 및 호출신호 송출부(340)를 구비한다. 저장부(310)에는 감시 대상 지역에 대한 지도정보 및 관리자정보가 저장된다. 즉,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 대상 지역이 특정 건물(600)인 경우, 건물(600)의 평면 지도정보(평면도)와, 건물(600) 내부를 구획한 영역코드(A1∼A9, B1∼B5) 및 외부의 영역코드(C1)에 대한 정보가 함께 저장된다. 여기서 건물(600) 내부의 감시 대상 영역은 각 사무실공간들(610)과, 복도(620) 및 출입구(630) 주변으로 구분된 것을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저장부(310)에는 관리자정보 즉, 관리자 인적사항, 관리자 전화번호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경찰서 등의 해당 관할기구의 연락처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nagement server 300 includes a storage unit 310, an input unit 320, a main control unit 330, and a call signal transmission unit 340. The storage unit 310 stores map information and manager information on the monitored are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when the monitored area is the specific building 600, the floor map information (plan view) of the building 600 and the area code A1 A9, B1 to B5) and the external area code C1 are stored together. Here, the monitored area inside the building 600 is shown as being divided into the respective office spaces 610, the corridor 620, and the entrance 630. The storage unit 310 may store manager information, that is, manager personal information, manager phone number, and the like, and may store contact information of a corresponding jurisdiction such as a police station.

상기 입력부(320)는 저장부(310)에 저장될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마련되며, 외부 컴퓨터장치를 통해서 입력받을 수도 있고, 직접 키보드,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수단을 통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input unit 320 is provided for inputting information to be stored in the storage unit 310 and may be input through an external computer device or directly input information through input means such as a keyboard and a touch screen .

메인 제어부(330)는 통신장치(400)를 통해 압력감지 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감시 대상체의 출현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출력장치(200)를 통해 감시 대상체의 출현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제어부(330)는 오디오 출력부(210)를 통해 음성신호 등을 출력하여 관리자가 즉시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비디오 출력부(220)를 통해서는 화면상에 팝업창을 띄워서 관리자가 즉시 인식할 수 있도록 감시 대상체 출현정보 및 위치정보 등을 함께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main control unit 330 analyze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pressure sensing device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400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monitoring target object is present and outputs the monitored object through the output device 200 And controls to output information. Specifically, as described above, the main control unit 330 outputs a voice signal or the like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210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recognize the voice signal. The main control unit 330 also displays a popup window on the screen through the video output unit 220, So that the monitoring object appearance information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can be output together so that the manager can recognize it immediately.

또한, 메인 제어부(330)는 상기 호출신호 송출부(340)를 통해 관리자(단말기) 또는 해당 관할기구(경찰서 등)로 감시 대상체의 출현정보를 포함하는 비상상황 발생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비상상황 발생정보는 문자 및 음성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main control unit 330 transmits emergency state occurrence information including appearance information of the monitored object to the manager (terminal) or a corresponding jurisdiction (police station, etc.) via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paging signal transmitting unit 340 . Preferably, the emergency situation occurrence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character and voice information.

상기 통신장치(400)는 압력감지 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410)와, 송신부(410)에서 송신된 정보를 수신하여 관리서버(300)로 제공하는 수신부(420)를 구비한다. 송신부(410)는 압력감지 장치(100)에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복수의 압력감지 장치(100)를 통합하여 하나가 구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감지대상 지역 즉, 건물(600)의 각 구획코드별로 구분하여 마련됨으로써 구획 코드정보(ID)와 함께 압력 감지정보(압력변화량 또는 감시 대상체 발생정보)를 매칭시켜 수신부(420)로 송신하는 것이 좋다. 수신부(420)는 수신된 정보를 관리서버(300)로 제공한다. 이러한 송신부(410) 및 수신부(42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로 데이터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device 400 includes a transmitter 410 for transmitting a signal generated by the pressure sensing device 100 and a receiver 420 for receiving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transmitter 410 and providing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Respectively. The transmitting unit 410 may be installed individually in the pressure sensing apparatus 100 or may be integrated with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ing apparatuses 100. The pressure detection information (pressure change amount or monitored object occurrence information) is matched with the zone code information (ID) by being divided for each zone code of the detection target zone, that is, the building 600, It is good to do. The receiving unit 420 provides the received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The transmitting unit 410 and the receiving unit 420 may include various communication modules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따라서 감시대상 지역 즉, 건물(600)의 복수 구역 각각에 설치되는 복수의 압력감지 장치(100)에서의 감지신호를 위치정보(코드정보)와 함께 원격의 관리서버(300)로 실시간으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서버(300)에서는 종래와 같이 감시 대상 지역에 설치되는 감시카메라에서 전송되는 화면들을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감시 대상체 발견정보를 근거로 하여 해당지역을 확인 내지 순찰하여 직업 확인하거나, 또는 추가로 감시 대상 지역에 감시카메라를 설치하여 촬영된 영상을 통해 해당구역(압력변화 발생지역)을 집중감시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sensing signals from the plurality of pressure sensing devices 100 installed in the plurality of zones of the monitored area, that is, the plurality of zones of the building 600, are transmitted to the remote management server 300 in real time together with the location information (code information) , The management server 300 can check the area or patrol the area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object to be monitored, without checking the screens transmitted from the surveillance camera installed in the area to be monitored in the conventional manner, A surveillance camera is installed in the surveillance area and the surveillance image can be used to centrally monitor the surveillance area (pressure change area).

이를 위해 감시대상 지역에도 복수의 감시 카메라(500)를 설치하여 해당구역을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하거나, 또는 관리서버(300)에서의 원격제어에 의해 촬영동작의 시작 및 종료가 제어되도록 하여 필요시에만 특정구역을 촬영하도록 하여 감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a plurality of surveillance cameras 500 are installed in the surveillance target area to photograph the surveillance area in real time and transmit the surveillance surveillance images to the management server or control the start and end of the surveillance operation by remote control in the management server 300 So that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specific area only when necessary.

즉, 메인 제어부(330)에서는 압력감지 장치(100)로부터 압력변화가 발생된 정보와 위치정보를 전달받으면, 해당 정보를 출력장치(200)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호출신호 송출부(340)를 통해 관리자(단말기) 및 관할기관(경찰서)로 송출하고, 더 나아가서는 압력변화가 발생된 지점을 촬영하도록 위치된 감시카메라(500)를 원격제어하여 구동하여 의심구역을 촬영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감시카메라(500)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는 관리서버(300)로 전달되어 오디오출력부(220)를 통해 실시간으로 출력되어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저장부(310)에 영상정보를 저장함으로써 추후 증거자료 등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main control unit 330 controls the output device 200 to output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e change in pressure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pressure sensing device 100. The call signal transmission unit 340, To a manager (a terminal) and a local authority (police station) via a network, and further controls the surveillance camera 500, which is located to capture a point where a pressure change has occurred, to drive the surveillance camera 500 to photograph the suspicious area.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surveillance camera 500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300 and is output in real time through the audio output unit 220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confirm the image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is stored in the storage unit 310 And may be used as evidence for future referenc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범 시스템에 의하면, 감시 대상 지역의 바닥에 압력감지 장치(100)를 소위 메쉬구조로 설치하되, 일체형 또는 연결형으로 설치하여 외부 침입자(체)가 진입할 경우, 외부 침입자의 하중으로 인한 압력변화를 감지하여 감시 대상체가 출현한 것을 즉시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감시카메라의 촬영영상을 지속적으로 감시할 필요 없이, 감시 대상체의 출현여부를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해당 지역의 촬영개시 및 순찰 등을 통한 후속조치를 즉각 취할 수 있어 범죄 예방 및 검거에 큰 이점을 얻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crime prevention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sure sensing device 100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monitoring area in a so-called mesh structure, When entering, it is possible to immediately detect the appearance of the monitored object by detecting the pressure change due to the load of the external intrud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stantly detect the appearance of a monitored object and continuously take follow-up actions such as start shooting and patrol of the area without having to constantly monitor the captured image of the surveillance camera, .

100..압력감지 장치 110..판단제어부
120..제1광전달 모듈 130..제2광전달 모듈
140..광신호 송신 모듈 150..광신호 수신 모듈
170..커넥팅 모듈 200..출력장치
210..오디오 출력부 220..비디오 출력부
300..관리서버 310..저장부
320..입력부 330..메인 제어부
340..호출신호 송출부 400...통신장치
410..송신부 420..수신부
500..감시 카메라 600..건물
100 .. Pressure sensing device 110 .. Judgment control
120. First optical transmission module 130. Second optical transmission module
140 .. Optical signal transmission module 150 .. Optical signal reception module
170 .. connecting module 200 .. output device
210 .. Audio output unit 220 .. Video output unit
300 .. Management server 310 .. Storage
320. Input unit 330. Main control unit
340 .. call signal transmission unit 400 ... communication device
410 transmission unit 420 receiving unit
500 .. Surveillance camera 600 .. Building

Claims (11)

감시 대상 지역의 바닥에 설치되어, 침입자의 하중에 의한 일정 면적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감지 장치;
상기 압력감지 장치에서 감지된 정보를 근거로 감시 대상지역에 감시 대상체의 출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장치;
원격에 위치하여 상기 압력감지 장치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상기 출력장치를 제어하고 설정된 후속조치상황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관리서버; 및
상기 압력감지 장치와 상기 관리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압력감지 장치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가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 단부가 형성되며, 광섬유로 형성되는 제1광전달 모듈;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가 상기 제1광전달 모듈의 광섬유와 직교하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절단 단부가 형성되며, 광섬유로 형성되는 제2광전달 모듈;
상기 제1광전달 모듈 및 제2광전달 모듈의 광섬유 일단부를 통하여 그 내부로 광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광신호 송신 모듈;
상기 제1광전달 모듈 및 제2광전달 모듈로부터 출력되는 광신호를 수신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광신호 수신모듈; 및
상기 광신호 수신 모듈에서 출력되는 광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제1 및 제2광전달 모듈의 광 전달 비율을 판단하는 판단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시스템.
A pressure sensing device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monitoring area and sensing a change in the pressure of a certain area due to the load of the intruder;
An output device for outputting information on the appearance of the monitored object to the monitored area based on the information sensed by the pressure sensing device;
A management server located remotely to control th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from the pressure sensing device and to control to perform a set follow-up action situation; And
And a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pressure sensing device and the management server,
The pressure sensing device includes:
A first optical transmission module formed of a plurality of optical fibers, a plurality of optical fibers disposed at regular intervals, at least one of which is formed with a cut end;
A second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rranged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optical fibers of the first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t regular intervals and formed with at least one cut end and formed of optical fibers;
An optical signal transmission module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n optical signal to the inside of the first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nd the second optical transmission module through one end of the optical fiber;
An optical signal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n optical signal output from the first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nd the second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nd converting the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ting the electrical signal; And
And a determination controller for analyzing the optical signal output from the optical signal receiving module and determining the optical transmission ratio of the first and second optical transmission module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장치는,
상기 제1광전달 모듈 및 상기 제2광전달 모듈이 서로 직교하게 배치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는 감시 대상지역의 바닥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시스템.
The pressure senso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ase on which the first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nd the second optical transmission module are arranged orthogonally to each other,
And the base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monitoring target are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제어부는, 판단된 광전달 비율을 분석하여, x-y좌표로 압력분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termination control unit analyzes the determined optical transmission ratio and calculates a pressure distribution in xy coordinates.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광전달모듈 또는 상기 제2광전달모듈은 복수 구비되며,
복수의 제1광전달모듈 또는 제2광전달모듈간을 서로 광전달 가능하게 연결하는 커넥팅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3, or 4,
A plurality of the first optical transmission modules or the second optical transmission modules are provided,
Further comprising a connecting module connecting the plurality of first optical transmission modules or the second optical transmission modules so as to be optically transferable to each other.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장치는,
상기 감시 대상체의 출현시 비상 신호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부와;
상기 감시 대상체의 출현시, 출현위치 및 출현상태 정보를 비디오신호로 비디오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시스템.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3, or 4,
An audio output unit for outputting an emergency signal as an audio signal when the monitored object appears;
And a video output unit for outputting the appearance position and appearance state information of the monitored object as a video signal when the monitored object appear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출력부는,
상기 감시 대상체의 출현위치정보와 출현시간, 이동궤적에 대한 정보를 상기 감시 대상지역의 지도정보 상에 나타나도록 상기 관리서버에 의해 제어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video output unit comprises:
And a display panel that is controlled by the management server so that information on the appearance position, appearance time, and movement locus of the monitored object appears on the map information of the monitored area.
제1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감시 대상지역에 대한 지도정보 및 관리자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와;
상기 통신장치를 통해 상기 압력 감지장치로부터 전달되는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감시 대상체의 출현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출력장치를 통해 감시 대상체 출현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시스템.
The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claim 1, 3, or 4,
A storage unit for storing map information and manager information for the monitored area;
And a main control unit for analyzing data transmitted from the pressure sensing device through the communication device to determine whether the monitored object appears or not and output monitoring object appearance information through the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Wherein the security system is a security system.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감시 대상체의 출현시, 관리자 또는 해당 관할기구로 감시 대상체 출현정보를 포함하는 비상상황 발생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호출신호 송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시스템.
9. The system according to claim 8,
Further comprising a call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via the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e emergency occurrence information including the monitoring object appearance information to the manager or a corresponding jurisdiction apparatus when the monitored object appear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감시 대상체 출현정보를 상기 출력장치의 디스플레이패널의 화면상에 팝업시켜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main control unit controls the output of the monitoring object appearance information so as to be popped up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panel of the output devic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 지역을 촬영하도록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감시카메라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 제어부는 상기 감시 대상체가 발견된 지역에 해당되는 감시카메라의 촬영개시를 상기 감시 대상체의 발견시 실행하고, 촬영된 영상을 수신하여 상기 출력장치의 비디오 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 시스템.
9. The method of claim 8,
Further comprising at least one surveillance camera installed to photograph the surveillance area,
The main control unit executes the start of photographing of the surveillance camera corresponding to the area in which the surveillance object is found when the surveillance object is found, and controls to receive the surveillance image and output it through the video output unit of the output apparatus Security system to do.
KR1020120122071A 2012-10-31 2012-10-31 Crime Prevention system KR1014971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071A KR101497106B1 (en) 2012-10-31 2012-10-31 Crime Preven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2071A KR101497106B1 (en) 2012-10-31 2012-10-31 Crime Prevention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724A KR20140056724A (en) 2014-05-12
KR101497106B1 true KR101497106B1 (en) 2015-03-03

Family

ID=50887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2071A KR101497106B1 (en) 2012-10-31 2012-10-31 Crime Prevention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106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3308B1 (en) * 2014-06-12 2021-05-18 전진홍 System for analyzing 3-dimentsional vector of force
KR101708491B1 (en) * 2015-04-03 2017-02-20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Method for recognizing object using pressure sens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4273A (en) * 2004-11-05 2006-05-25 Nariyuki Mitachi Crime preventive sensor using optical fiber and security safety system
KR20060130535A (en) * 2006-11-23 2006-12-19 (주)유한프리젠 Crime prevention system in use of tile sensing
KR20080044936A (en) * 2006-11-17 2008-05-22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Watching control system having an auto picture pop-up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110107183A (en) * 2010-03-24 2011-09-30 주식회사 엔엔피 Automatic alarm 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4273A (en) * 2004-11-05 2006-05-25 Nariyuki Mitachi Crime preventive sensor using optical fiber and security safety system
KR20080044936A (en) * 2006-11-17 2008-05-22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Watching control system having an auto picture pop-up function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KR20060130535A (en) * 2006-11-23 2006-12-19 (주)유한프리젠 Crime prevention system in use of tile sensing
KR20110107183A (en) * 2010-03-24 2011-09-30 주식회사 엔엔피 Automatic alarm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724A (en) 2014-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08665B2 (en) Automated, remotely-verified alarm system with intrusion and video surveillance and digital video recording
KR101223680B1 (en) Smart type fire monitoring and detecting system
JP4805991B2 (en) Security system using laser distance measuring device and intruder detection method using laser distance measuring device
KR101544019B1 (en) Fire detection system using composited video and method thereof
KR101498985B1 (en) Photographing and monitoring system based on GPS for emergency scene using IP CCTV and Photographing and monitoring method for emergency scene therefor
KR101381924B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security using camera monitoring apparatus
WO2020166057A1 (en) Optical fiber sensing system, activity identification device, activity identificatio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KR100760209B1 (en) Crime prevention System In Use Of Tile Sensing
WO2013157801A1 (en) Method for site monitoring through network, and management server used therefor
KR101497106B1 (en) Crime Prevention system
KR101792427B1 (en) Emergency Bell System
KR101497107B1 (en) A system for measuring safety grade of building
KR101020670B1 (en) Security system with remotetest function
JP4556961B2 (en) Apartment house management system for earthquake early warning
KR101895843B1 (en) Alarm verif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JP2023109757A (en)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device, monitoring method, and program
JP4401232B2 (en)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8032110B2 (en) Mobile security device
KR101311951B1 (en) Fire detecing and alarm system
KR20150035335A (en) Monitoring dvr system using emergency sign and multi function sensor
KR20120037640A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fire
KR20090007999A (en) Surveillance camera system
KR20050003655A (en) A Security Camera Device For A Elevator
KR101597154B1 (en) An apparatus for security system using dual wireless modules
KR20130126372A (en) Method of displaying event image in camera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