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7474B1 - Simulation sound generation apparatus of vehicle and simulation sound generation method of vehicl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imulation sound generation apparatus of vehicle and simulation sound generation method of vehicle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7474B1
KR101487474B1 KR1020130126130A KR20130126130A KR101487474B1 KR 101487474 B1 KR101487474 B1 KR 101487474B1 KR 1020130126130 A KR1020130126130 A KR 1020130126130A KR 20130126130 A KR20130126130 A KR 20130126130A KR 101487474 B1 KR101487474 B1 KR 101487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ound
signal
gps
behav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1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현배
곽수진
문희석
김성진
전재석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26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747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7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74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5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 B60Q5/008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automatically actuated for signaling silent vehicles, e.g. for warning that a hybrid or electric vehicle is approach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mulation sound generation apparatus for a car, and a simulation sound generation method for a car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imulation sound is generated in response to a car behavior using a GPS signal such that a pedestrian or a driver can be informed of the dangers against safe driving, thus preventing an accident and driving can be comfortable and satisfying.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PS reception module which receives a GPS signal; and a sound control unit which applies a sound output signal to a speaker such that a sound signal associated with a car behavior can be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 using the data received by the GPS reception module.

Description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방법{Simulation sound generation apparatus of vehicle and simulation sound generation method of vehicle using the sa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sound gener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and a virtual sound generating method for a vehicl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GPS 신호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거동에 따라 가상 음향을 발생시켜서 보행자나 운전자에게 안전 운행과 위험 알림을 통한 사고 예방 및 쾌적하고 만족스러운 운행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sound gener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and a virtual sound generating method for an automobile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sound according to the behavior of a vehicle using GPS signal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rtual sound generating device for a vehicle and a virtual sound generating method for a vehicle using the same.

전기 동력 차량 급증함에 따라 전기 동력으로 주행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일반 자동차의 소리를 보행자가 인식하기 어렵다. 전기 동력 상태의 차량 접근 시 좌우 방향과 무관하게 기존 엔진 동력 차량보다 대략 40% 내로 근접해야 비로서 차량의 접근을 인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기 동력 차량과 보행자의 거리가 2m(7ft), 대략 충돌 1초전인 상황에 비로소 보행자가 차량을 인지하게 되므로 보행자 안전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한다.It is difficult for pedestrians to recognize the sounds of hybrid cars and general vehicles that run on electric power as electric-powered vehicles increase rapidly. It is shown that the approach of the vehicle can be perceived as approaching about 40%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engine powered vehicle irrespective of the lateral direction when approaching the vehicle in the electric power state. That is,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electric powered vehicle and the pedestrian is 2 m (7 ft) and the collision is about 1 second before the pedestrian recognizes the vehicle, it poses a serious risk to pedestrian safety.

한편, GPS수신기의 데이터는 MAP매칭을 통한 자차의 위치와 속도를 이용하여 친환경적 그린드라이브와 안전주행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무선접속을 이용하여 원격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data of the GPS receiver is widely used for environmentally friendly green drive and safe driving by utilizing the position and speed of the vehicle through MAP matching. Remote data transmission is also possible using wireless connection.

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09-0078953호인 엔진음/배기음 발생장치 및 방법과 기록매체에서 아래와 같은 배경기술을 인용했었다.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9-0078953 discloses an engine sound / exhaust sound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a recording medium.

즉, 종래 관련된 기술로는, 출원번호 10-2006-0075628호인 자동차의 다양한 가상 엔진효과음 구현 장치가 있는데, 이것은 내연기관인 엔진을 사용하는 자동차에서 엔진의 회전 즉, RPM신호를 받아 대응하는 가상의 엔진 효과음을 차량 실내에서 듣기 위한 장치이다. 이는 운전자에게 창문을 닫은 실내에서 가상의 엔진효과음를 듣기 위한 것이다.That is, conventionally, there is a device for implementing various virtual engine sound effects of an automobile, which is an application No. 10-2006-0075628, which receives rotation of an engine, that is, RPM signal, from a vehicle using an engine serving as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It is a device for listening to the effect sound in the vehicle interior. This is for the driver to hear a virtual engine sound in the room where the window is closed.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출원번호 20-1993-0005730호인 어린이용 자전거의 엔진음/배기음 발생장치가 있는데, 이것은 앞바퀴의 회전여부를 파악하여 회전시에 "부릉" 같은 음성신호를 출력되도록 한다.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is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n engine sound / exhaust sound of a bicycle for children, which is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20-1993-0005730, which detects whether the front wheel is turning and outputs a voice signal such as " do.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04-0031875호인 차량의 선택적 음성출력장치 및 그 방법이 있는데, 이것은 음성정보를 차내에서 차량의 윈도우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음성이나 녹음된 클락션 음향을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것으로서, 창문이 닫힌 상태에서 운전자의 음성을 외부에 전달되도록 출력하는 것이다.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is a Korean audio-visual output apparatus and method for a vehicle, which is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4-0031875, which detects whether the window of the vehicle is opened or closed by voice information, And outputs the voice of the driver to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when the window is closed.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출원번호 10-2006-0009589호인 차량의 음성발생장치가 있는데 이것은 운전자가 탑승한 골프카트 내에서 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주행하고 있을 때에는 차내 스피커로 음성정보를 발생시키고, 외부에서 골프카트를 리모콘의 조작에 따라 주행 중이면 차외 스피커로 음성정보를 크게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용자에게 가이드정보를 알려주는 것이다.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is a speech gener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which is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06-0009589, which generates voice information from a speaker in a vehicle when the driver is traveling by operation of a switch in a golf cart mounted on the vehicle , And if the golf cart is traveling on the outside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remote controller, voice information is largely generated by the outdoor speaker, thereby informing the user of the guide information.

또 다른 종래의 기술로는 일본 11-139214(1999) EXHAUST SOUND REPRODUCING DEVICE가 있는데, 이것은 엔진을 사용하는 자동차에서 배기음을 크게 하기 위해 위법인 머플러를 훼손하는 대신에 녹음된 소리를 들려주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저장된 배기음을 스피커로 들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차내에서 듣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내연기관 엔진으로서 항상 공회전을 함으로써 기술 구현상 공회전 개념은 따로 없다.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is the Japanese EXHAUST SOUND REPRODUCING DEVICE in Japanese 11-139214 (1999), which is designed to sound a recorded sound instead of damaging the muffler which is illegal in order to increase the exhaust sound in a car using an engine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listening in the vehicle by detecting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engine and causing the stored exhaust sound to be heard by a speaker. Also, as the engine of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ere is no concept of idle idling by always idling.

그러나, 상술된 종래의 기술들은, 기존의 GPS 수신 기능을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에 적용할 수 없어서 장치가 중복으로 설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iques described above have a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GPS receiving function can not be applied to a virtual sound generating device of an automobile, so that the devices are installed in duplicate.

또한, 종래의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는, 기존의 차량을 개조하거나 별도의 복잡한 부품들을 설치하여야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virtual sound generating apparatus of the automobile has troubles such as the modification of the existing vehicle or the installation of additional complicated part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포함하여, 야기되어지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GPS 신호를 이용하여 정확한 자동차의 거동에 따라 현실감 있는 가상 엔진음 또는 주행 소음을 발생시켜서 보행자나 운전자에게 안전 운행과 위험 알림을 통한 사고 예방 및 쾌적하고 만족스러운 운행을 가능하게 하는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alistic virtual engine sound or traveling noise according to the behavior of an accurate car using a GPS signal, And to provide a virtual sound gener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that can prevent accidents through risk notifications and provide pleasant and satisfactory operation, and a virtual sound gen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However, these problems are illustrative, and thu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는,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 모듈; 및 상기 GPS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거동과 관련된 음향 신호가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에 음향 출력 신호를 인가하는 음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generating a virtual sound of an automobile, the apparatus including: a GPS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 GPS signal; And a sound controller for applying an acoustic output signal to the speaker so that an acoustic signal related to the behavior of the vehicle is output to the speaker using data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module.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GPS 수신 모듈은, 자동차의 실시간 속도값을 구하기 위해서 자동차의 현재 위치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PS receiving module may receive data related to a current position of a car to obtain a real time velocity value of the car.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GPS 수신 모듈은, 자동차의 실시간 속도값을 구하기 위해서 수신 주파수 대역대의 사용 주파수에 대한 도플러 효과를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PS receiving module may measure a Doppler effect on a used frequency of a receiving frequency band in order to obtain a real time velocity value of an automobile.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음향 제어부는, 적어도 차량 소음 소스, 주행 안전 정보 소스, 기타 GPS 관련 소스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음원 소스를 저장될 수 있는 메모리; 상기 GPS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GPS 신호에 따라 자동차의 거동을 판단하고, 자동차의 거동에 해당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소스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출력된 디지털 음원 소스를 입력받아 재생할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변조 및 복조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코덱; 및 상기 오디오 코덱으로부터 음향 신호를 인가받아 이를 증폭시키는 파워엠프단;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capable of storing a sound source selected from at least one of a vehicle noise source, a driving safety information source, other GPS related sources, and combinations thereof; A data processing unit for determining a behavio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GPS signal received by the GPS receiving module, selecting a sound source stored in the memory corresponding to the behavior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An audio codec for modulating, demodulating and outputting an analog audio signal to be reproduced by receiving the digital sound source outputted from the data processing device; And a power amp stage for receiving and amplifying the audio signal from the audio codec.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음향 신호는, 적어도 정차음 출력신호, 시동 ON음 출력신호, 시동 OFF음 출력신호, 주행음 출력신호, 후진음 출력신호, 음영지역 출력신호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coustic signal includes at least a stop sound output signal, a start ON sound output signal, a start OFF sound output signal, a traveling sound output signal, a backward sound output signal, a shadow area output signal, It can be done by selecting one or more.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주행음 출력신호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판단된 자동차의 속도에 따라서 자동차의 속도가 증가하면 단계적으로 주행음의 세기가 증가하도록 다단계로 출력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veling sound output signal may be output in multiple stages such that the intensity of the traveling sound increases stepwise as the speed of the vehicle increases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vehicle determined by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음영지역 출력신호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판단된 자동차의 최종 속도치 또는 최저 속도치에서 자동차의 속도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속도값을 가감하여 적용된 산출 속도에 따라 다단계로 출력되는 것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aded area output signal may be obtained by adding or subtracting a speed value measured by an automobile speed measuring sensor at a final speed value or a lowest speed value of the vehicle determined by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may be output in multiple stages.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음향 제어부는, 상기 파워엠프단에서 출력된 증폭 신호를 스피커와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AUX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AUX connector for connecting the amplified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amplifier stage to the speaker.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는, 음영 지역에서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차량 상태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rtual sound generating apparatus of the automobi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vehicle condition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a condition of the vehicle when the GPS signal is not received in the shaded area.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는, 각종 시각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시각적 정보가 디스플레이로 표시될 수 있도록 시각적 정보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virtual sound generating device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play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visual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visual information signal such that the visual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는, 각종 외부 입력이나 설치 위치에 따라 외부 안테나 커넥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GPS 안테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virtual sound generating apparatus for a vehicle, the apparatus comprising: a GPS antenna which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by an external antenna connector according to various external inputs or installation positions.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를 이용한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방법은,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 모듈 및 상기 GPS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거동과 관련된 음향 신호가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에 음향 출력 신호를 인가하는 음향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를 이용한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GPS 신호를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음향 제어부를 이용하여 수신된 상기 GPS 신호로 자동차의 거동을 판단하고, 자동차의 거동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sound of an automobile using a virtual sound generating device for a vehicle,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GPS signal; receiving data from the GPS receiving module; And a sound control unit for applying an acoustic output signal to the speaker so that an acoustic signal related to the behavior of the vehicle is outputted to the speaker,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using the GPS receiving module Receiving a GPS signal; And determining the behavior of the vehicle with the GPS signal received using the sound control unit and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related to the behavior of the vehicle to the speaker.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방법은, GPS 신호를 놓히는 음영 지역의 경우, 차량 상태 감지 센서로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상태 감지 센서로 감지된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음향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generating a virtual sound of an automobile, including the steps of: sensing a state of a vehicle with a vehicle state detection sensor in a shadow area where GPS signals are lost; And correcting the acoustic signal according to a sensing signal sensed by the vehicle state sensing sensor.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기존의 GPS 신호를 이용하여 중복 투자가 없이도 정확한 자동차의 거동에 따라 현실감 있는 가상 엔진음 또는 주행 소음을 발생시켜서 보행자나 운전자에게 안전 운행과 위험 알림을 통한 사고 예방 및 쾌적하고 만족스러운 운행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realistic virtual engine sounds or traveling noises are generated according to the behavior of an accurate automobile without using redundant investment by using existing GPS signals, It is possible to prevent accident from danger notification and to enable pleasant and satisfactory operation. Of cour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ffects.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를 이용한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를 이용한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방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virtual sound generating device of a car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virtual sound generating method of an automobile using a virtual sound generating apparatus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virtual sound generating method of an automobile using a virtual sound generating apparatus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order to more ful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form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mor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concep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and size of each layer ar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explana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막, 영역 또는 기판과 같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상기 하나의 구성요소가 직접적으로 다른 구성요소 "상에", "연결되어", "적층되어" 또는 "커플링되어" 접촉하거나, 그 사이에 개재되는 또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직접적으로 상에", "직접 연결되어", 또는 "직접 커플링되어" 위치한다고 언급할 때는, 그 사이에 개재되는 다른 구성요소들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된다.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such as a film, region or substrate is referred to as being "on", "connected to", "laminated" or "coupled to" another element,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lements may be directly "on", "connected", "laminated" or "coupled" to another element, or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tervening there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one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on",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upled" to another element, it is interprete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tervening therebetween do. 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As used herein, the term "and / or" includes any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하나의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다른 영역, 층 또는 부분과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 1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은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 2 부재, 부품, 영역, 층 또는 부분을 지칭할 수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 / or portions, these members, components, regions, layers and / It is obvious that no.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from another region, layer or section. Thus, a first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described below may refer to a second member, component, region, layer or sec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의" 또는 "위의" 및 "하의" 또는 "아래의"와 같은 상대적인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도해되는 것처럼 다른 요소들에 대한 어떤 요소들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해 여기에서 사용될 수 있다.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에서 묘사되는 방향에 추가하여 소자의 다른 방향들을 포함하는 것을 의도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들에서 소자가 뒤집어 진다면(turned over), 다른 요소들의 상부의 면 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묘사되는 요소들은 상기 다른 요소들의 하부의 면 상에 방향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예로써 든 "상의"라는 용어는, 도면의 특정한 방향에 의존하여 "하의" 및 "상의" 방향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소자가 다른 방향으로 향한다면(다른 방향에 대하여 90도 회전),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상대적인 설명들은 이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Also, relative terms such as "top" or "above" and "under" or "below" can be used herein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of certain elements to other elements as illustrated in the Figures. Relative terms are intended to include different orientations of the device in addition to those depicted in the Figures. For example, in the figures the elements are turned over so that the elements depicted as being on the top surface of the other elements are orie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ther elements. Thus, the example "top" may include both "under" and "top" directions depending on the particular orientation of the figure. If the elements are oriented in different directions (rotated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other direction), the relative descriptions used herein can be interpreted accordingly.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singular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 comprise "and / or" comprising "when used herein should be interpreted as specifying the presence of stated shap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And does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operations, elements, elements, and / or group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schematically showing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gures, for example, variations in the shape shown may be expected, depending on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 or tolerance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particular shapes of the regions shown herein, but should include, for example, changes in shape resulting from manufactur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1000)를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conceptually showing a virtual sound generating apparatus 1000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1000)는, GPS 수신 모듈(11)과, 음향 제어부(200)와, 차량 상태 감지 센서(13)와, 디스플레이(32)와, 제어기(33) 및 GPS 안테나(10)를 포함할 수 있다.1, an automobile virtual sound generating apparatus 1000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PS receiving module 11, a sound control unit 200, a vehicle state detecting sensor 13, a display 32, a controller 33, and a GPS antenna 10.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GPS 수신 모듈(11)은, GPS 인공 위성이나 기타 기지국으로부터 자동차의 위치와 관련된 GPS 신호를 수신하는 모듈일 수 있다.Here, as shown in FIG. 1, the GPS receiving module 11 may be a module that receives a GPS signal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vehicle from a GPS satellite or other base station.

이러한 상기 GPS 수신 모듈(11)은, 자동차의 실시간 속도값을 구하기 위해서 자동차의 현재 위치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거나, 또는 자동차의 실시간 속도값을 구하기 위해서 수신 주파수 대역대의 사용 주파수에 대한 도플러 효과를 측정하는 것일 수 있다.The GPS receiving module 11 receives the data related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o obtain a real time velocity value of the automobile or the Doppler effect on the use frequency of the receiving frequency band to obtain a real time velocity value of the automobile. . ≪ / RTI >

여기서,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란, 파동을 발생시키는 파원과 그 파동을 관측하는 관측자 중 하나 이상이 운동하고 있을 때 발생하는 효과로, 파원과 관측자 사이의 거리가 좁아질 때에는 파동의 주파수가 더 높게, 거리가 멀어질 때에는 파동의 주파수가 더 낮게 관측되는 현상을 말한다.Here, the Doppler effect is an effect that occurs when at least one of a wave source generating a wave and an observer observing the wave is moving, and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source and the observer is narrowed, And when the distance is long, the frequency of the wave is observed to be lower.

따라서, 자동차의 속도를 구할 때, 상기 GPS 수신 모듈(11)을 통해서 수신된 적어도 3개 이상의 인공 위성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이용하거나 상기 신호의 주파수를 측정하여 정확한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accurate speed by using the intensity of the signal for at least three or more satellites received through the GPS receiving module 11 or measuring the frequency of the signal.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서, 상기 음향 제어부(200)는, 상기 GPS 수신 모듈(11)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거동과 관련된 음향 신호가 스피커(S)로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S)에 음향 출력 신호를 인가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차량 소음 소스, 주행 안전 정보 소스, 기타 GPS 관련 소스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음원 소스를 저장될 수 있는 메모리(31)와, 상기 GPS 수신 모듈(11)에서 수신된 GPS 신호에 따라 자동차의 거동을 판단하고, 자동차의 거동에 해당하는 상기 메모리(31)에 저장된 음원 소스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장치(100)와,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100)에서 출력된 디지털 음원 소스를 입력받아 재생할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변조 및 복조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코덱(12)과, 상기 오디오 코덱(12)으로부터 음향 신호를 인가받아 이를 증폭시키는 파워엠프단(14)과, 상기 파워엠프단(14)에서 출력된 증폭 신호를 스피커(S)와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AUX 커넥터(42)(43)를 포함할 수 있다.1, more specifically, for example, the sound control unit 200 may use the data received from the GPS receiving module 11 to transmit an acoustic signal related to the behavior of the vehicle to the speaker S ), The sound source may be a sound source selected from at least one of a vehicle noise source, a driving safety information source, other GPS related source, and a combination thereof. A memory 31 for storing the GPS signal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module 11, a data processing unit for determining the behavior of the car according to the GPS signal received by the GPS receiving module 11, selecting a sound source stored in the memory 31 corresponding to the behavior of the car, An audio CODEC 12 for modulating, demodulating and outputting an analog sound signal to be reproduced by receiving the digital sound source output from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100, A power amp stage 14 for receiving and amplifying a sound signal from the audio codec 12 and at least one AUX connector 14 for connecting the amplified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amp stage 14 to the speaker S 42) < / RTI >

여기서, 상기 음향 신호는, 적어도 정차음 출력신호, 시동 ON음 출력신호, 시동 OFF음 출력신호, 주행음 출력신호, 후진음 출력신호, 음영지역 출력신호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Here, the acoustic signal is selected by selecting at least one of a stop sound output signal, a start ON sound output signal, a start OFF sound output signal, a traveling sound output signal, a backward sound output signal, a shadow area output signal, .

이러한, 상기 주행음 출력신호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100)에서 판단된 자동차의 속도에 따라서 자동차의 속도가 증가하면 단계적으로 주행음의 세기가 증가하도록 다단계로 출력될 수 있다.The driving sound output signal may be output in a multi-stage manner such that the driving sound intensity is increased stepwise as the speed of the automobile increases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automobile determined by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100. [

따라서, 사용자와 사회적 소음규정 요구에 따라 현실적인 엔진음과 같은 효과음을 사용함으로써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하면서 차량의 사회적 소음을 줄일 수 있다.Therefore, by using sound effects such as realistic engine sounds according to the user and social noise regulation requirements, the social noise of the vehicle can be reduced while securing pedestrian safety.

또한, GPS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향후 스마트폰이나 핸드폰 등 무선 단말 서비스를 통해 장애자를 위한 차량 진입 알림 휴대장치의 확대성이 있는 주행 소음 발생 장치 기기의 확장성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by using GPS data, it is possible to provide expandability of a traveling noise generator device having an expandability of a vehicle entry notification mobile device for a disabled person through a wireless terminal service such as a smart phone or a mobile phone in the future.

또한, 상기 음영지역 출력신호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100)에서 판단된 자동차의 최종 속도치 또는 최저 속도치에서 차량 상태 감지 센서(13)에서 측정된 속도값을 가감하여 적용된 산출 속도에 따라 다단계로 출력될 수 있다.The shaded area output signal may be obtained by adding or subtracting the speed value measured by the vehicle state detection sensor 13 from the final speed value or the lowest speed value of the vehicle judged by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100, Lt; / RTI >

한편, 상기 차량 상태 감지 센서(13)는, 음영 지역에서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로서, 각종 가속도 센서나 중력 센서나 바퀴의 회전 속도 감지 센서나 차량의 속도 센서 등 각종 센서들이 적용될 수 있다.When the GPS signal is not received in the shaded area, the vehicle state detection sensor 13 senses the state of the vehicle. The sensor detects various types of acceleration sensors, gravity sensors, rotation speed sensors of the wheels, And so on.

이러한, 상기 차량 상태 감지 센서(13)는, 상용 GPS 수신모듈의 음영지역에서의 GPS신호를 놓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되는 센서의 부재(部材)로 GPS신호 탐색전 또는 신호를 잃었을 경우 초기 설정된 값이나 최종값에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데이터를 출력되는 센서류를 이용하여 차량의 가상 주행 소음을 출력할 수 있다.The vehicle state detection sensor 13 is for solving the problem of missing the GPS signal in the shaded area of the commercial GPS reception module. It is a part of the sensor that outputs data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In case of searching or losing the signal, it is possible to output the virtual driving noise of the vehicle by using the sensor which outputs the data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vehicle to the initial set value or the final value.

예를 들어 가속도/G 센서를 이용한 출력되는 가속도 값을 통해 차량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가감속에 따른 신호레벨을 조정하여 신호를 놓친 상태로부터 신호를 재수신하는 시점까지 차량의 속도를 보정하고 측정된 마지막 속도를 적용시켜 주행 소음을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it detects the movement of the vehicle through the output acceleration value using the acceleration / G sensor and adjusts the signal level according to acceleration / deceleration to correct the speed of the vehicle from the missed state to the point where the signal is re- Driving noise can be output by applying speed.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32)는, 브라운관이나 LCD 패널이나 LED 패널이나 유기발광소자 패널이나 PDP 등 각종 화면을 통해서 각종 시각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The display 32 may be a device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visual information through various screens such as a cathode ray tube, an LCD panel, an LED panel, a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panel, or a PDP.

또한, 상기 제어기(33)는, 키패드나 터치패드나 스위치나 조절 노브 등 각종 명령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시각적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32)로 표시될 수 있도록 시각적 정보 신호를 제어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The controller 33 is a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visual information signal so that the visual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32 by using various command input devices such as a keypad, a touch pad, a switch, .

또한, 상기 GPS 안테나는, GPS 신호를 쉽게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각종 외부 입력이나 설치 위치에 따라 외부 안테나 커넥터(40)에 의해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PS antenna can easily receive a GPS signal, and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by an external antenna connector 40 depending on various external inputs or installation positions.

이러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1000)는, 위치와 상관없이 설치할 수 있고, 차량 내부의 깔끔함을 유지하면서 시간과 속도정보를 볼 수 있도록 어느 곳에든 탈부착이 용이하게 제작하거나 상용 네비게이션과 함께 설치되어 보행자에게 청각적 인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virtual sound generating apparatus 1000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rrespective of position and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anywhere in the vehicle so that time and speed information can be viewed while maintaining the cleanliness inside the vehicle Or installed with commercial navigation to obtain auditory cognitive effects on pedestrians.

즉,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1000)는, GPS를 이용하는 네비게이션이나, 블랙박스나, 운행기록장치나 소음발생장치나 각종 영상재생장치나 스마트폰, 핸드폰, 스마트 패드 등의 휴대용 정보단말기 등의 형태로도 적용될 수 있다.That is, the virtual sound generating apparatus 1000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navigation system using a GPS, a black box, a navigation recorder, a noise generating device, various image reproducing devices, a smart phone, A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such as a pad, and the like.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10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GPS 수신 모듈(11)을 통해서 GPS 신호가 입력되면, 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100)가 자동차의 속도를 산출하고, 예를 들어서, 아래의 도표와 같이 산출된 자동차의 속도에 따라 스피커(S)를 통해서 최종 소음을 단계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Accordingly, an operation process of the virtual sound generating apparatus 1000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hen a GPS signal is inputted through the GPS receiving module 11, The controller 100 may calculate the speed of the vehicle and output the final noise through the speaker S step by step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vehicle, for example,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즉, 차량의 가상 주행 소음을 낼 수 있도록 오디오 코덱의 음향 출력세기를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계산된 속도에 따른 제어신호(음향 제어 신호)을 입력값으로 사용된다. 제어신호는 다음 예시 표와 같이 구분할 수 있다.That is, the sound output intensity of the audio codec is used as an input value as a control signal (sound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speed calculated in the data processor so as to generate a virtual driving noise of the vehicle. The control signal can be classified as shown in the following example table.

Figure 112013095520010-pat00001
Figure 112013095520010-pat00001

이 때,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100)는 예를 들어서, 아래와 같이 디지털 형식으로 상기 메모리(31)에 저장된 각종 MP3 형식의 차량 소음 소스는 물론, 각종 주행 안전 정보 소스나 기타 GPS 관련 소스들을 선택하여 상기 오디오 코덱(12)을 통해서 아날로그 음향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100 selects, for example, various types of MP3 driving noise sources stored in the memory 31 in a digital format as well as various driving safety information sources and other GPS related sources And output it as an analog sound signal through the audio codec 12.

기타 차량의 속도 데이터와 센서 데이터에 의한 차량의 효과음을 차량의 특성과 종류에 맞는, 차량 인지에 문제가 없는 예를 들어 동물소리나 물소리등을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른 음향을 제어하고 출력할 수 있다. 이렇게 출력된 음향은 보행자가 차량이 근접했음을 알리는 신호로 받아 들여 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예방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ound according to the user's taste without using an animal sound or water noise, which does not have a problem in vehicle recognition, can do. The sound thus output can be taken as a signal that the pedestrian is approaching the vehicle and can be prevented from the risk of accident.

이 때, 상기 디스플레이(32)를 통하여 시간과 차량의 속도등 데이터 처리장치로부터의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볼 수 있고, 이는 상기 제어기(33)의 신호에 의한 선택적 디스플레이가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data from the data processing device such as time and vehicle speed can be visually seen through the display 32, which can be configured to enable selective display by the signal of the controller 33.

또한, GPS의 오차범위와 기후적 환경 및 지리적 환경을 감안하여 음영지역으로부터 GPS신호를 놓쳤을 경우 데이터 처리 범위는 다음과 같이 처리 한다.Also, considering GPS error range, climatic environment and geographical environment, if GPS signal is missed from shadow area, data processing range is as follows.

예를 들어서, 음영지역의 경우 차량 상태 감지 센서로부터의 데이터 처리는 GPS수신을 놓친 상태로부터 재수신상태까지를 범위로 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shaded area, the data processing from the vehicle condition detection sensor can range from a GPS reception missed state to a reacquisition state.

이러한, 음영지역의 경우 다음 예와 같이 최종 속도치 또는 최저 단계에서 센서값을 단계별 구분하여 속도값에 가감산하여 적용할 수 있다.In such a shaded area, the sensor value can be divided into stages at the final velocity value or the lowest value, as shown in the following example, and applied to the velocity value.

즉, 예를 들어서, 차량에 장착되거나 장치에 탑제된 상기 차량 상태 감지 센서(13)는, 중력가속도(g)값을 출력하는 중력가속도 센서나 가감속에 따른 값이 다르게 출력되는 가속도 센서나 차속 센서나 엔진의 센서 등 차량의 상태를 각종 신호나 데이터의 형태로 출력가능한 모든 종류의 센서류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중력가속도(g)값을 출력하는 중력가속도계의 경우 탑제된 센서나 외부 입력단자를 통해 센서값이 입력될 수 있다. 이때 입력되는 센서값 적용은 상기 예시와 같이 총 m개의 단계에 따라 출력되는 값의 범위를 결정하여 가감산하고자 하는 값으로 변환한 값을 사용할 수 있다.That is, for example, the vehicle state detection sensor 13 mounted on the vehicle or mounted on the vehicle may be a gravity acceleration sensor for outputting a value of gravity acceleration g or an acceleration sensor for outputting a value corresponding to acceleration / And more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 gravitational accelerometer that outputs a value of gravitational acceleration (g), it is possible to use a sensor or an external input terminal The sensor value can be input. In this case, the input sensor value may be a value converted to a value to be added or subtracted by determining a range of output values according to m steps, as in the above example.

Figure 112013095520010-pat00002
Figure 112013095520010-pat00002

상기 신호를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100)에서 입력받아 결정된 단계의 설정값에 따라서 음의 세기를 결정하며 출력되는 음원 데이터는 내부 또는 메모리 슬롯에 장착되는 외부 저장 매체로부터 읽어올 수 있다.The signal is input to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100 and the sound intensity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t value of the determined step. The sound source data output from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100 can be read from the internal storage or from an external storage medium mounted in the memory slot.

예를 들어서, 상기 메모리(31)는, 외부 저장매체는 삽입이 용이한 SD메모리를 사용함으로써 단말이용이 용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저장되는 매체의 음원 종류의 기본적인 파일포멧은 *.mp3이다. 이때 데이터 처리장치에서는 최초 인증데이터를 읽어 들임과 동시에 무분별한 사운드 사용을 금하도록 구성하며, 음원 데이터의 리스트 구조는 다음과 같이 한다. 여기서 파일 이름은 아라비아 숫자로 넣어주며, 10가지 음원을 사용하도록 한다.   For example, the memory 31 can be configured to facilitate use of the terminal by using an SD memory which is easy to insert into the external storage medium. Also, the basic file format of the sound source type of the stored medium is * .mp3. At this time, the data processing device reads the initial authentication data and at the same time inhibits the use of indiscriminate sound. The list structure of the sound source data is as follows. Here, the file name is put in arabic numerals, and 10 sound sources are used.

Figure 112013095520010-pat00003
Figure 112013095520010-pat00003

더욱 구체적으로 사용하는 음향은 특수차량 및 자연 소리와의 혼돈을 피하고 보행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음원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주행 효과음은 제어기를 통하여 미리 저장된 음원을 종류를 선택하여 사용 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ound that is used can avoid confusion with special vehicles and natural sounds, and can select sound sources that pedestrians can easily recognize. The driving sound provid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by selecting a type of sound source stored in advance through the controller.

이어서, 주행 상황에 따른 데이터 처리 후 출력되는 음원은 차량 내외부에 별도로 설치된 스피커로 송출되며, AUX 커넥터(42)(43)를 통하여 송출될 수 있다.Subsequently, the sound source output after the data processing according to the driving situation is transmitted to the speaker installed separately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and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AUX connectors 42 and 43.

송출되는 음향의 최대 크기는 사회적 소음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스피커(S)는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The maximum size of the transmitted sound can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ocial noise, and the speaker S can be separately configured.

또한, 상기 스피커(S)는 사전 또는 사용 중 볼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파워엠프 출력을 조절하는 가변저항을 통한 볼륨조절기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eaker S may be provided with a volume controller through a variable resistor for controlling the power amp output so that the volume of the speaker S can be adjusted in advance or during use.

여기서, 상기 스피커(S)는 자동차의 부품일 수도 있고, GPS를 이용하는 네비게이션이나, 블랙박스나, 운행기록장치나 소음발생장치 등에 설치된 스피커이거나, 스마트폰이나 핸드폰이나 스마트 패드 등 각종 휴대용 정보단말기에 설치된 스피커 등 모든 형태의 스피커일 수 있다. Here, the speaker S may be a part of an automobile, a speaker installed in a navigation box using GPS, a black box, a driving recorder or a noise generating device, or installed in various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s such as a smart phone, Speaker, or any other type of speaker.

이러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1000)는, 본넷 안쪽 또는 차량 내부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분리형 고정 브라켓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virtual sound generating apparatus 1000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as a separate type fixing bracket so as to be easily installed inside a bonnet or inside a vehicle.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100)를 이용한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2 is a flowchart showing an example of a virtual sound generating method of an automobile using the virtual sound generating apparatus 100 of the automobi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100)를 이용한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방법은, 프로세서를 시작하면, 장치를 ON/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또는 상시로 작동시켜고, 이어서, 자동차의 시동을 걸면, 시동음이 출력될 수 있고, 상기 GPS 수신 모듈(11)이나 상기 차량 상태 감지 센서(13)가 동작되는 단계와, 이어서, 상기 GPS 수신 모듈(11)을 이용하여 GPS 신호를 탐색하여 수신받을 수 있는 단계(S1)와, 이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100)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 시간, 위치 등을 산출하는 단계(S2)와, 이어서, GPS 신호를 놓히는 경우, GPS 신호를 재탐색하는 단계(S4)와, GPS 신호를 놓히는 음영 지역의 경우, 상기 차량 상태 감지 센서(13)로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차량 상태 감지 센서(13)로 감지된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음향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S5)와, 주행 안전 정보가 필요한 경우(S6)에는 상기 음향 제어부(200)를 이용하여 운전자나 탑승자가 들을 수 있도록 내부 출력용 주행 안전 정보 상태음을 출력하거나(S7), 또는 보행자가 들을 수 있도록 외부 출력용 주행 상태음을 출력하는 단계(S8)와, 이어서, 수신된 상기 GPS 신호로 자동차의 거동을 판단하고, 자동차의 거동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상기 스피커(S)로 출력하는 단계(S9) 및 정보 선택 스위칭 조작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32)를 통해 이를 시각적 정보로 표시하는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a virtual sound generating method of an automobile using a virtual sound generating device 100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GPS reception module 11 or the vehicle condition detection sensor 13 is operated, and then the GPS reception module 11 is activated, A step S1 of searching for and receiving a GPS signal using the module 11 and a step S2 of calculating the speed, time and position of the vehicle using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100 (S4) when the GPS signal is lost; detecting the state of the vehicle by the vehicle state detection sensor (13) in the case of the shadow area where the GPS signal is missed; The detection signal detected by the state detection sensor 13 (S5) for correcting the sound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signal (S5), and when the driving safety information is required (S6), the driver control unit (200) (S8) for outputting a driving state sound for external output so that a pedestrian can hear the vehicle, or a step S8 for determining the behavior of the vehicle with the received GPS signal and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related to the behavior of the vehicle to the speaker S (S9) of outputting the information to the display (32), and displaying it as visual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32) by an information selection switching operation (S10).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100)를 이용한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방법의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virtual sound generating method of an automobile using a virtual sound generating apparatus 100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100)를 이용한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방법은, 가상 음향 발생을 위주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프로세서를 시작하면, 장치를 ON/OFF 상태에서 ON 상태로 또는 상시로 작동시켜고, 이어서, 자동차의 시동을 걸면, 시동음이 출력될 수 있고, 상기 GPS 수신 모듈(11)이나 상기 차량 상태 감지 센서(13)가 동작되는 단계와, 이어서, 상기 GPS 수신 모듈(11)을 이용하여 GPS 신호를 탐색하여 수신받을 수 있는 단계(S1)와, 이어서,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100)를 이용하여 차량의 속도, 시간, 위치 등을 산출하는 단계(S2)와, 이어서, GPS 신호를 놓히는 경우, GPS 신호를 재탐색하는 단계(S4)와, GPS 신호를 놓히는 음영 지역의 경우, 상기 차량 상태 감지 센서(13)로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차량 상태 감지 센서(13)로 감지된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음향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S5)와, 이어서, 수신된 상기 GPS 신호로 자동차의 거동을 판단하고, 자동차의 거동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상기 스피커(S)로 출력하는 단계(S9) 및 정보 선택 스위칭 조작에 의해서 상기 디스플레이(32)를 통해 이를 시각적 정보로 표시하는 단계(S1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a virtual sound generating method of an automobile using a virtual sound generating apparatus 100 of an automobile 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processing data mainly for virtual sound generation, When the processor is started, the device can be turned ON / OFF to the ON state or continuously, and then, when the vehicle is started, a startup sound can be output, and the GPS reception module 11, (S1) of searching for and receiving a GPS signal using the GPS receiving module (11); and subsequently, using the data processing device (100) (S4) of re-searching for a GPS signal when the GPS signal is lost; calculating a speed, a time, a position, The sensor 13 detects the state of the vehicle (S5) of detecting the vehicle signal, and correcting the sound signal according to a sensing signal sensed by the vehicle condition detecting sensor (13); and then determining the behavior of the vehicle with the received GPS signal, (S9) of outputting a related acoustic signal to the speaker (S9), and displaying (S10) visual information by the information selection switching operation through the display (32).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S: 스피커
10: GPS 안테나
11: GPS 수신 모듈
12: 오디오 코덱
13: 차량 상태 감지 센서
14: 파워엠프단
31: 메모리
32: 디스플레이
33: 제어기
40: 외부 안테나 커넥터
42, 43: AUX 커넥터
200: 음향 제어부
1000: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
1000: 데이터 처리장치
S: Speaker
10: GPS antenna
11: GPS reception module
12: Audio codec
13: Vehicle condition detection sensor
14: Power amplifier stage
31: Memory
32: Display
33:
40: External antenna connector
42, 43: AUX connector
200:
1000: Virtual sound generator of vehicle
1000: Data processing device

Claims (13)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 모듈; 및
상기 GPS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거동과 관련된 음향 신호가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에 음향 출력 신호를 인가하는 음향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 제어부는,
적어도 차량 소음 소스, 주행 안전 정보 소스, 기타 GPS 관련 소스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음원 소스를 저장될 수 있는 메모리;
상기 GPS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GPS 신호에 따라 자동차의 거동을 판단하고, 자동차의 거동에 해당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소스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출력된 디지털 음원 소스를 입력받아 재생할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변조 및 복조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코덱; 및
상기 오디오 코덱으로부터 음향 신호를 인가받아 이를 증폭시키는 파워엠프단;
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 신호는, 음영지역 출력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음영지역 출력신호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판단된 자동차의 최종 속도치 또는 최저 속도치에서 자동차의 속도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속도값을 가감하여 적용된 산출 속도에 따라 다단계로 출력되는 것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
A GPS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GPS signals; And
A sound controller for applying an acoustic output signal to the speaker so that an acoustic signal related to the behavior of the vehicle is output to the speaker using data received from the GPS receiver module;
Lt; / RTI >
The sound control unit includes:
A memory capable of storing a sound source selected from at least one of a vehicle noise source, a driving safety information source, other GPS related sources, and combinations thereof;
A data processing unit for determining a behavio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GPS signal received by the GPS receiving module, selecting a sound source stored in the memory corresponding to the behavior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An audio codec for modulating, demodulating and outputting an analog audio signal to be reproduced by receiving the digital sound source outputted from the data processing device; And
A power amp stage receiving the acoustic signal from the audio codec and amplifying the acoustic signal;
/ RTI >
Wherein the acoustic signal includes a shaded area output signal,
The shaded area output signal may include:
Wherein a speed value measured by a speed sensor of an automobile is added or subtracted from a final speed or a minimum speed value of the car determined by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outputted in multiple stages according to the applied calculation spe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 모듈은,
자동차의 실시간 속도값을 구하기 위해서 자동차의 현재 위치에 관련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PS receiving module includes:
And receives data related to the current position of the vehicle to obtain a real time velocity value of the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 모듈은,
자동차의 실시간 속도값을 구하기 위해서 수신 주파수 대역대의 사용 주파수에 대한 도플러 효과를 측정하는 것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PS receiving module includes:
Wherein a Doppler effect on the frequency of use of the receiving frequency band is measured to obtain a real time velocity value of the car.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는, 적어도 정차음 출력신호, 시동 ON음 출력신호, 시동 OFF음 출력신호, 주행음 출력신호, 후진음 출력신호,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더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signal is at least selected from at least one of a stop sound output signal, a start ON sound output signal, a start OFF sound output signal, a traveling sound output signal, a back sound output signal, and a combination thereof A virtual sound generato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음 출력신호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판단된 자동차의 속도에 따라서 자동차의 속도가 증가하면 단계적으로 주행음의 세기가 증가하도록 다단계로 출력되는 것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unning sound output signal includes:
Wherein when the speed of the vehicle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vehicle determined by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the output of the virtual sound generating apparatus is output in multiple stages so that the intensity of the traveling sound increases step by step.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제어부는,
상기 파워엠프단에서 출력된 증폭 신호를 스피커와 연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AUX 커넥터;
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ound control unit includes:
At least one AUX connector for connecting an amplified signal output from the power amp stage to a speaker;
Wherein the virtual sound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음영 지역에서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차량 상태 감지 센서;
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vehicle condition detection sensor for detecting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when the GPS signal is not received in the shaded area;
Wherein the virtual sound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각종 시각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시각적 정보가 디스플레이로 표시될 수 있도록 시각적 정보 신호를 제어하는 제어기;
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display capable of displaying various visual information;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visual information signal such that the visual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Wherein the virtual sound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제 1 항에 있어서,
각종 외부 입력이나 설치 위치에 따라 외부 안테나 커넥터에 의해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GPS 안테나;
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GPS antenna which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by an external antenna connector according to various external inputs or installation positions;
Wherein the virtual sound generating device further comprises:
GPS 신호를 수신하는 GPS 수신 모듈 및 상기 GPS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거동과 관련된 음향 신호가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상기 스피커에 음향 출력 신호를 인가하는 음향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장치를 이용한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GPS 수신 모듈을 이용하여 GPS 신호를 수신받는 단계; 및
상기 음향 제어부를 이용하여 수신된 상기 GPS 신호로 자동차의 거동을 판단하고, 자동차의 거동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음향 제어부는,
적어도 차량 소음 소스, 주행 안전 정보 소스, 기타 GPS 관련 소스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이루어지는 음원 소스를 저장될 수 있는 메모리;
상기 GPS 수신 모듈에서 수신된 GPS 신호에 따라 자동차의 거동을 판단하고, 자동차의 거동에 해당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음원 소스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처리장치;
상기 데이터 처리장치에서 출력된 디지털 음원 소스를 입력받아 재생할 아날로그 음향 신호를 변조 및 복조하여 출력하는 오디오 코덱; 및
상기 오디오 코덱으로부터 음향 신호를 인가받아 이를 증폭시키는 파워엠프단;
을 포함하고,
상기 음향 신호는, 음영지역 출력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음영지역 출력신호는, 상기 데이터 처리 장치에서 판단된 자동차의 최종 속도치 또는 최저 속도치에서 자동차의 속도 측정 센서에서 측정된 속도값을 가감하여 적용된 산출 속도에 따라 다단계로 출력되는 것인,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방법.
A GPS receiving module for receiving a GPS signal, and a sound controller for applying an acoustic output signal to the speaker so that an acoustic signal related to the behavior of the vehicle is output to the speaker using data received from the GPS receiving module. A method for generating virtual sound of an automobile using a sound generator,
Receiving GPS signals using the GPS receiving module; And
Determining the behavior of the vehicle with the GPS signal received using the acoustic control unit, and outputting an acoustic signal related to the behavior of the vehicle to a speaker;
Lt; / RTI >
The sound control unit includes:
A memory capable of storing a sound source selected from at least one of a vehicle noise source, a driving safety information source, other GPS related sources, and combinations thereof;
A data processing unit for determining a behavior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GPS signal received by the GPS receiving module, selecting a sound source stored in the memory corresponding to the behavior of the vehicle, and outputting the selected sound source;
An audio codec for modulating, demodulating and outputting an analog audio signal to be reproduced by receiving the digital sound source outputted from the data processing device; And
A power amplifier stage for receiving a sound signal from the audio codec and amplifying the sound signal;
/ RTI >
Wherein the acoustic signal includes a shaded area output signal,
Wherein the shaded area output signal is output in multiple stages in accordance with an applied calculation speed by adding or subtracting a speed value measured by a vehicle speed measuring sensor at a final speed or a lowest speed value of the vehicle judged by the data processing apparatus, / RTI >
제 12 항에 있어서,
GPS 신호를 놓히는 음영 지역의 경우, 차량 상태 감지 센서로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상태 감지 센서로 감지된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음향 신호를 보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가상 음향 발생 방법.
13. The method of claim 12,
Detecting a state of the vehicle by a vehicle state detection sensor in the case of a shaded area in which the GPS signal is lost; And
Correcting the acoustic signal according to a sensing signal sensed by the vehicle state sensing sensor;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KR1020130126130A 2013-10-22 2013-10-22 Simulation sound generation apparatus of vehicle and simulation sound generation method of vehicle using the same KR1014874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130A KR101487474B1 (en) 2013-10-22 2013-10-22 Simulation sound generation apparatus of vehicle and simulation sound generation method of vehicl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130A KR101487474B1 (en) 2013-10-22 2013-10-22 Simulation sound generation apparatus of vehicle and simulation sound generation method of vehicle using the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7474B1 true KR101487474B1 (en) 2015-01-30

Family

ID=52592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130A KR101487474B1 (en) 2013-10-22 2013-10-22 Simulation sound generation apparatus of vehicle and simulation sound generation method of vehicle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7474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2513A (en) * 2015-06-24 2015-09-23 余江 Unmanned aircraft, acousto-optic cooper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006851B1 (en) * 2018-04-20 2019-08-02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Apparatus for generating a virtual sound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435536A (en) * 2019-07-16 2019-11-12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Speech simulation method and relevant device
EP4064275A1 (en) * 2021-03-23 2022-09-28 Tge-Pin Chuang Vehicle output simulation system
RU2811498C1 (en) * 2023-05-23 2024-01-1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ар Системс" Method of audible warning for vehicles with low noise level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3001A (en) * 2001-01-31 2002-08-16 Fujitsu Ten Ltd Pseudo engine-sound control device
JP2011213273A (en) * 2010-03-31 2011-10-27 Namco Bandai Games Inc Sound control device, vehicle,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20130050027A (en) * 2011-11-07 2013-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of controling virtual engine sound and method thereof
KR20130079872A (en) * 2012-01-03 2013-07-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Selecting sounds method and device of electric/hybrid vehicle's engine sound for a us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33001A (en) * 2001-01-31 2002-08-16 Fujitsu Ten Ltd Pseudo engine-sound control device
JP2011213273A (en) * 2010-03-31 2011-10-27 Namco Bandai Games Inc Sound control device, vehicle, program, and information storage medium
KR20130050027A (en) * 2011-11-07 2013-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System of controling virtual engine sound and method thereof
KR20130079872A (en) * 2012-01-03 2013-07-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Selecting sounds method and device of electric/hybrid vehicle's engine sound for a user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2513A (en) * 2015-06-24 2015-09-23 余江 Unmanned aircraft, acousto-optic cooper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2006851B1 (en) * 2018-04-20 2019-08-02 만도헬라일렉트로닉스(주) Apparatus for generating a virtual sound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435536A (en) * 2019-07-16 2019-11-12 深圳市元征科技股份有限公司 Speech simulation method and relevant device
EP4064275A1 (en) * 2021-03-23 2022-09-28 Tge-Pin Chuang Vehicle output simulation system
RU2811498C1 (en) * 2023-05-23 2024-01-12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ар Системс" Method of audible warning for vehicles with low noise leve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1064B1 (en)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76010B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smartphone location
US9108562B2 (en) System for controlling virtual engine sound and method thereof
KR101526407B1 (en) Virtual engine sound system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80226077A1 (en) Vehicle driving assist and vehicle having same
KR101487474B1 (en) Simulation sound generation apparatus of vehicle and simulation sound generation method of vehicle using the same
JP4622991B2 (en) Volume control device for car audio system
CN109895767B (en) Automobile control method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US20140365073A1 (en)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ng with vehicle passengers
US10440467B1 (e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704051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1024280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JP6957362B2 (en) Privacy protection system
US20210067119A1 (en) Learning auxiliary feature preferences and controlling the auxiliary devices based thereon
US11044566B2 (en) Vehicle external speaker system
JP6169747B2 (en) Mobile device
JP6996969B2 (en) Driving support device and driving support method
JP2002351488A (en) Noise canceller and on-vehicle system
JP4182724B2 (en) Map display device and map display method
WO2013098983A1 (en) Sound control device, sound control method, sound control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on which sound control program is recorded
JP4770881B2 (en) Map display device
JP6066083B2 (en) Vehicle noise suppression device
JP2018176949A (en) Vehicle approaching sound control device
JP679961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external sound reproduction method, and program
JP3191518U (en) Vehicle driving suppo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