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5154B1 - Method for Changing to Wake Up Mode at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 Google Patents

Method for Changing to Wake Up Mode at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5154B1
KR101485154B1 KR20110068747A KR20110068747A KR101485154B1 KR 101485154 B1 KR101485154 B1 KR 101485154B1 KR 20110068747 A KR20110068747 A KR 20110068747A KR 20110068747 A KR20110068747 A KR 20110068747A KR 101485154 B1 KR101485154 B1 KR 101485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portable terminal
external device
dock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100687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008172A (en
Inventor
정재훈
강신혁
강유진
김병태
이정욱
정혁준
차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20110068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5154B1/en
Publication of KR20130008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81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5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51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8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herein functions are triggered by incoming communication ev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서로 도킹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와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으로서, 슬립 모드인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키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키 입력이 감지된 경우, 슬립 모드에 있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전송 받은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슬립 모드에 있는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이 제공이 제공된다.A method of switching an external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connected to each other by docking to a wake-up mode, the method comprising: sensing a key input by the external device in a sleep mode; When the key input is detected, waking up the external device in the sleep mode; The portable terminal detect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woken up; And a step of waking up the mobile terminal in the sleep mode by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hereto.

Description

외부 디바이스와 이에 도킹되는 휴대 단말의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Method for Changing to Wake Up Mode at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xternal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docked therein,

본 발명은 서로 도킹 연결된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a portable terminal docked with each other and an external device into a wake-up mode.

반도체 및 무선통신 기술이 점차적으로 발달함에 따라, 휴대 단말은 기본적인 전화통화 기능 외에도 카메라, MP3, 인터넷, 게임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휴대 단말의 사용이 더욱 활성화되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이와 같은 기능들이 더욱 강화된 스마트폰이 보급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발맞추어 스마트폰에서 이용될 수 있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도 개발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As semiconductor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gradually developed, a mobile terminal has variou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 camera, MP3, Internet, game, etc. in addition to a basic phone call function. In recent years, smartphones having enhanced functions such as these have begun to be widely used. Accordingly, various application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smart phones are being developed.

그러나, 휴대 단말은 휴대성 및 이동성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단말의 크기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화면의 크기, 해상도, 스피커 성능 등도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the portable terminal has to consider portability and mobility, there is a limit to the size of the terminal, and accordingly, the size, resolution, and speaker performance of the screen are also limited.

종래기술의 경우, 휴대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음원 파일, 컨텐츠 등을 보다 좋은 사용 환경에서 활용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노트북이나 컴퓨터 등의 형태를 가지는 외부 디바이스(일명, 도킹 스테이션)가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외부 디바이스에서 휴대 단말에 저장된 데이터, 음원 파일, 컨텐츠 등을 보다 큰 화면과 좋은 성능의 스피커로 출력하여 이용해 왔다.In the prior art, an external device (also referred to as a docking station) having a form of a notebook computer or a computer capable of connecting a portable terminal to use data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sound source files, contents, And the data, sound file, and contents stored in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external device have been output to a larger screen and good performance speaker.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는 배터리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일정 시간 동안 사용되지 않는 경우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하여 슬립 모드(Sleep Mode)로 전환된다. 슬립 모드에서 다시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가 정상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를 웨이크 업 모드(Wake Up Mode)로 전환되어야 하는데,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가 도킹 연결된 상태에서는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가 서로의 상태를 고려하여 웨이크 업 모드로의 전환을 수행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generally operate using a battery, and are switched to a sleep mode in order to reduce power consumption when they are not used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In order to allow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to perform a normal operation again in the sleep mode,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must be switched to the wake up mode (Wake Up Mode). In a stat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are docked, It is necessary for the devices to perform switching to the wake-up mode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s of each other.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20161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5-0120161

본 발명은 서로 도킹 연결된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되는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witching a portable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docked, from a sleep mode to a wake-up mod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서로 도킹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와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으로서, 슬립 모드인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키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키 입력이 감지된 경우, 슬립 모드에 있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전송 받은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슬립 모드에 있는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witching an external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both of which are docked together, to a wake-up mode, comprising: sensing a key input by the external device in a sleep mode; When the key input is detected, waking up the external device in the sleep mode; Detecting, by the portable terminal,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woken up; And waking up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sleep mode by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transmitted thereto.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는,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 간의 USB의 VBUS를 통한 리셋 신호이거나, HDMI CEC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 또는 HDMI 유틸리티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may be a reset signal via USB VBUS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an interrupt signal via the HDMI CEC pin, or an interrupt signal through the HDMI utility pi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립 모드에 있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서브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 있는 경우, 슬립 상태에 있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은, 웨이크 업 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상기 휴대 단말 간의 USB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waking up the external device in the sleep mode includes waking up the sub device in the sleep state when the sub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is in the sleep state, The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activating a USB data transmission channel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립 상태에 있는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의 서브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 있는 경우, 슬립 상태에 있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은, 웨이크 업 된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상기 휴대 단말 간의 HDMI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waking up the mobile terminal in the sleep state includes a step of waking up the sub device in the sleep state when the sub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sleep state, The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activating the HDMI data transmission channel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은,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가 상기 휴대 단말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가 재구성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를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includes: obtaining information on a first sub-device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The portable terminal acquiring information about a second sub-device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device; The sub-device control path is reconfigured in the portable terminal such that a predetermined event generated by the first sub-device is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first sub-device performs a predetermined control operation; And the external device acquir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second sub device and changing the status of the first sub device to the status of the second sub device.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은,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되도록,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includes: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second sub-device to the external device such that the status of the first sub-device is changed to the status of the second sub-device; .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은,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를 비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may further include, after the step of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second sub device, deactivating the second sub device by the portable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가 재구성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된 핸들러가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된 제어함수가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tep of reconfiguring the sub-device control path may include a step of allowing a handler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to process an event generated by the first sub-device, or a control function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causing the one sub-device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된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웨이크 업 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가 상기 휴대 단말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가 재구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witching a wired terminal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to a wake up mode,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sens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wired up external device; The portable terminal is woken up by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The mobile terminal acquiring information about a first sub-device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The portable terminal acquiring information about a second sub-device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device; And a sub-device control path is reconfigured in the portable terminal such that a predetermined event generated by the first sub-device is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first sub-device performs a predetermined control operation A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is provid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 단말과 도킹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에서, 키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키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되는 단계;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되도록, 상기 휴대 단말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휴대 단말의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가 재구성되어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가 상기 휴대 단말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를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witching an external device docked with a portable terminal to a wake-up mode, the method comprising: sensing a key input in the sleep mode; When the key input is detected, waking up the external device; The external device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such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woken up; Wherein the external device is configured such that a predetermined event generated by a first sub device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is reconfigured in a sub device control path of the portable terminal is processed in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ub-device to the mobile terminal so as to perform the first sub-device; The external device acquiring status information about a second sub-device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device; And changing, by the external device, the state of the first sub-device to the state of the second sub-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로서, 도킹 인터페이스부;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웨이크 업 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웨이크 업 신호 감지부; 상기 웨이크 업 신호 감지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을 웨이크 업 하는 휴대 단말 모드 변환부;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 및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된 경우,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가 상기 휴대 단말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를 재구성하는 제어 루트 관리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docked with an external device, the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docking interface; A wake-up signal sensing unit for sens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waking up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A portable terminal mode converter for waking up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redetermined electric signal is sensed by the wake-up signal sensing unit; A second sub-device corresponding to a first sub-device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And acquiring information on the first sub-device and information on the second sub-device when the mobile terminal is woken up, and when a predetermined event generated by the first sub-device is process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route management unit for reconfiguring the sub-device control path so that the first sub-device performs a predetermined control operation.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 단말 모드 변환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서브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 있는 경우, 슬립 상태에 있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되도록 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된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상기 휴대 단말 간의 HDMI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하는 도킹 에이전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ortable terminal mode conversion unit causes the sub-device in the sleep state to be woken up when the sub-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sleep state, And a docking agent unit for activating an HDMI data transmission channel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는,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 간의 USB의 VBUS를 통한 리셋 신호이거나, HDMI CEC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 또는 HDMI 유틸리티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may be a reset signal via USB VBUS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an interrupt signal via the HDMI CEC pin, or an interrupt signal through the HDMI utility pin.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루트 관리부는,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된 핸들러가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하는 제1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하거나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된 제어함수가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제1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함으로써,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를 재구성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route manager may be configured to allow the handler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to process a first event generated by the first sub-device, or to control the first sub- By allowing the first device to perform the first operation, the sub-device control path can be reconfigur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된 경우,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를 비활성화하는 도킹 에이전트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woken up, the portable terminal may change the status of the second sub-device to the status of the second sub-device to change the status of the first sub-device to the status of the second sub- And a docking agent unit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and deactivating the second sub-devi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휴대 단말과 도킹 연결되는 외부 디바이스로서, 키 입력을 감지하는 키 입력 감지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상기 키 입력 감지부에 의하여 키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되도록 하는 외부 디바이스 모드 변환부;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되도록 하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달하는 도킹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이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를 재구성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가 상기 휴대 단말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를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하는 도킹 관리부를 포함하는 외부 디바이스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xternal device that is docked with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key input sensing unit sensing a key input; An external device mode conversion unit for waking up the external device when a key input is sensed by the key input sensing unit in a sleep mode; A docking interface unit fo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to wake up the portable terminal, and a control unit for reconfiguring a sub-device control path in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external device is woken up, Device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first sub-device to the mobile terminal so that a predetermined event generated by one sub-device is processed by the mobile terminal or the first sub-device performs a predetermined control operation, And a docking management unit that is included in the first sub-device and acquires status information on the second sub-device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device and changes the status of the first sub-device to the status of the second sub-device do.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 모드 변환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서브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 있는 경우, 슬립 상태에 있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되도록 하고, 상기 도킹 관리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된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상기 휴대 단말 간의 USB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external device mode conversion unit causes the sub-device in the sleep state to be woken up when the sub-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is in the sleep state, and the docking management unit, The USB data transmission channel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activated.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는,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 간의 USB의 VBUS를 통한 리셋 신호이거나, HDMI CEC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 또는 HDMI 유틸리티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일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may be a reset signal via USB VBUS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an interrupt signal via the HDMI CEC pin, or an interrupt signal through the HDMI utility pi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서로 도킹 연결된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되는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switching a portable terminal and an external device, which are docked with each other, from a sleep mode to a wake-up mo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단말에 대한 별도의 조작 없이,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조작만으로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is provided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switched to the wake-up mode only by an operation on an external device, without any operation on the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슬립 모드에서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로의 전환 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ensuring that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maintain the state before switching to the sleep mode when switching from the sleep mode to the wake-up mod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이 실행될 수 있는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이 실행될 수 있는 외부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
도 3은 도 2의 도킹 디바이스의 외관 사시도의 일 예.
도 4는 서브 디바이스 식별 정보 테이블의 일 예.
도 5는 도킹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8은 도킹 연결 해제 시 제어 경로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
도 9는 도킹 연결 시 제어 경로를 도시한 블록 구성도.
1 i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executing a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of an external device in which a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3 is an example of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docking device of Fig.
4 is an example of a sub-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able.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docking interface unit;
6 to 7 are flowcharts for explaining a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path when a docking connection is released;
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path in a docking connection. FIG.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similaritie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numerals (e.g., first, second,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erely an identifier for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an opposite description is present,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via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본 명세서에서, 단말은 또한, 시스템, 장치, 가입자 유닛, 가입자 스테이션, 모바일, 이동 단말기,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기, 액세스 단말기, 사용자 단말기, 단말기, 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장치 또는 사용자 장비(UE)로 불릴 수도 있다. 무선 단말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휴대 전화, 위성 전화, 무선 전화,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전화, WLL(Wireless Local Loop) 스테이션, 무선 접속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 장치,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또는 다른 무선 모뎀에 연결된 프로세싱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Herein, a terminal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ystem, a device, a subscriber unit, a subscriber station, a mobile, a mobile terminal, a remote station, a remote terminal, an access terminal, a user terminal, ). The wireless terminal may b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mobile phone, a satellite phone, a wireless telephone, a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phone, a WLL (Wireless Local Loop) A handheld device,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 navigation device or a processing device coupled to another wireless modem,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외부 기기는 노트북 컴퓨터, 타블렛(Tablet) PC,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패드, 스크린 및 키패드를 구비한 패드, 기타 휴대 기기를 도킹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external devic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notebook computer, a tablet PC, a pad having a touch screen, a pad having a screen and a keypad, and a device having a structure capable of docking other portable devices .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의 설명][Description of FIG.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수립 방법이 실행될 수 있는 휴대 단말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도킹 인터페이스부의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in which a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And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the docking interface unit.

이하 도 1의 블록 구성도를 중심으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연결 수립 방법이 실행될 수 있는 휴대 단말의 일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n example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executing the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with reference to the block diagram of FIG.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와 결합하는 휴대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A/V 입력 장치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영상 처리부(140), 내부 저장 장치부(150), 외부 저장 장치부(155), 영상 출력 장치(160), 오디오 출력 장치(165), 도킹 인터페이스부(180), 제어부(190) 및 전원부(105)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05)는 단말 충전을 위한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mobile terminal 100 that is coupled with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An external storage unit 155, an image output unit 160, an audio output unit 165, a docking interface unit 180, a control unit 190, an image processing unit 140, an internal storage unit 150, And a power supply unit 105. The power supply unit 105 may include a battery for charging the terminal.

다만 도 1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는 반드시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또한 실시예에 따라 상기 휴대 단말(100)은 이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some of the components in FIG. 1 may not necessarily be necessary components necessary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nclude more components Of course it is possible.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order.

무선 통신부(110)는 휴대 단말(100)과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 단말(100)과 다른 단말과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할 때 상기 휴대 단말(100)은 이동 통신 단말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의 종류에 따라 무선 통신부(100)는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방송 수신 모듈, GPS 수신 모듈 등과 같은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or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another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b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in this ca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In addition,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Internet modul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a GPS receiving module, or the like depending on the type of portable terminal.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휴대 단말(100)이 휴대폰, 스마트폰 등과 같이 무선 통신을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결합되는 휴대 단말은 반드시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필요는 없으며, 유선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단말이거나 또는 통신 기능이 지원되지 않는 단말이어도 무방하다.Also, although the mobile terminal 100 is exemplified as including a devi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such as a mobile phone or a smartphone, a mobile terminal docked with an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ust necessaril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Or may be a terminal including a wired communication device or a terminal for which a communication function is not supported.

A/V 입력 장치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와 마이크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 / V input device 120 is for inputting audio signals and / or video signals, and may include a camera, a microphone, and the lik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서, 그 구현 방식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 입력 장치(134) 또는/및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과 같은 터치 입력 장치(132)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is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various commands from a user, and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For example, the user input 130 may include a keypad input device 134 and / or a touch input device 132 such as a touchpad, a touch screen, or the like.

센싱부(140)는 가속도 센서(142), 조도 센서(144)를 비롯하여,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접촉 센서 등과 같은 각종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부가 기능/동작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The sensing unit 140 includes various sensors such as an acceleration sensor 142 and an illuminance sensor 144 as well as various sensors such as a gyro sensor, a proximity sensor and a contact sensor so that the additional function /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be implemented do.

내부 저장 장치부(150) 및 외부 저장 장치부(155)는 휴대 단말(100)의 데이터 저장 장소로 이용되며, 이때 내부 저장 장치부(150)는 RAM, SDRAM,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외부 저장 장치부(155)는 SD 카드, USB 메모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도킹 결합된 상태의 외부 디바이스(200)도 외부 저장 장치부(155)로서 기능할 수 있다.The internal storage unit 150 and the external storage unit 155 are used as data storage loca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internal storage unit 150 may be implemented as a RAM, an SDRAM, a flash memory, or the like And the external storage unit 155 may be implemented as an SD card, a USB memory, or the like. Particularl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device 200 in the docked state can also function as the external storage unit 155.

영상 출력 장치(160)는 액정 패널, AM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오디오 출력 장치(165)는 스피커, 리시버, 버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백라이트 장치(270)는 디스플레이에서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서 디스플레이 뒤에서 빛을 발산하는 발광체로서 냉음극 형광램프(CCFL), 외부전극 형광램프(EEFL), 발광다이오드(LED), 평판형 형광램프(FFL)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 video output device 160 may be implemented by a liquid crystal panel, AMOLED, or the like, and the audio output device 165 may include a speaker, a receiver, a buzzer, and the like. The backlight device 270 includes a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an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EEFL),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flat fluorescent lamp (FFL), and the like as a light emitting body that emits light from behind a display Lt; / RTI >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는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 간의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진 경우, 휴대 단말(100)로부터 외부 디바이스(200)로의 영상 데이터 출력, 오디오 신호 출력, 그리고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 상호 간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입출력 인터페이스(182),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184),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18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들 보다 적거나 더 많은 인터페이스들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는 설계에 따라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184)는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는 외부 디바이스(200)와 도킹 결합된 상태에서 그 외부 디바이스(200) 측으로부터 휴대 단말(100)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하는 전원 입력 단자(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는 설계 방식에 따라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The docking interface unit 180 outputs video data output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the external device 200, audio signal output, and audio data output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when the physical docking connection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is performed. 100) and an external device 200. The interface for data input / 1, the docking interface unit 180 may include a video input / output interface 182, an audio input / output interface 184, a data input / output interface 186, and the like. Of course, fewer or more interfaces than the interfaces shown in FIG. 1 may be inclu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or example, the docking interface unit 180 may not include the audio input / output interface 184 according to the design. The docking interface unit 180 may include a power input terminal (not shown) functioning as a passageway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200 side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while being docked with the external device 200, ). In addition, it is apparent that the docking interface unit 180 may further include additional interfaces depending on the designing method.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80)에 대한 구체적 구성 예가 도 5를 통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는, 외부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시, 영상/오디오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표준,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로 USB(Universal Serial Bus) 표준이 이용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경우, 도킹 인터페이스부(180)에는, HDMI 및 USB를 지원하기 위한 커넥터가 각각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도 5는 일 예에 불과하며 이외에도 다양한 인터페이스 구성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며, HDMI 및 USB 이외의 다른 영상/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식, 데이터 입출력 인터페이스 방식이 이용될 수 있음도 물론이다.A specific configuration example of the docking interface unit 180 is shown in FIG. 5, the docking interface unit 180 may include a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HDMI) as an interface for video / audio input / output when docking with the external device 200, An example in which a USB (Universal Serial Bus) standard is used as an interface for standard, data input / output is shown. In such a case, the docking interface unit 180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or for supporting HDMI and USB, respectively. It should be noted that FIG. 5 is merely an example, and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various interface configurations are possible, and other video / audio input / output interface methods and data input / output interface methods other than HDMI and USB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 단말(100)에 구비된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해, HDMI 또는 USB 단자를 가지고 있는 전자기기 또는 가전제품과 연결함으로써, 휴대 단말(100)의 영상/오디오를 위 전자기기 또는 가전제품의 영상 출력 장치 및 오디오 출력 장치를 통해서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후술할 외부 디바이스(200)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일반 전자기기(예를 들어, TV, 모니터) 등에도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180)의 HDMI 또는 USB 단자를 통해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 등을 해당 전자기기로 송출할 수도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necting with an electronic device or a household appliance having an HDMI or USB terminal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180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 Audio can be output through the video output device and the audio output device of the above electronic appliances or appliances. 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DMI or USB terminal (not shown) of the docking interface unit 180 can be connected to a general electronic apparatus (for example, a TV or a monitor)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screen of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 through the Internet.

제어부(190)는 휴대 단말(100)의 각 구성요소들 그리고 휴대 단말(100)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190)는 외부 디바이스(200)와의 도킹 결합에 따른 휴대 단말(100)의 동작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도킹 에이전트부(192)를 포함할 수 있다. 도킹 에이전트부(192)는 휴대 단말의 웨이크 업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후술할 외부 디바이스(200)의 도킹 관리부(도 2의 식별번호 292)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에이전트부(192)는 휴대 단말(100)이 웨이크 업한 경우, 휴대 단말(100)에서 제공하는 화면을 외부 디바이스로 송출하기 위하여, 슬립모드 시 비활성화 된 A/V(오디오/비디오)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킹 에이전트부(192)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OS 계층 구조 중 “어플리케이션” 계층에 탑재됨으로써 해당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본 명세서에서는 외부 디바이스(200)를 예시함)와의 도킹 연결 시 휴대 단말(100)를 구성하는 각종 장치(이하에서는 ‘서브 디바이스’라고 하며, 도 1에 도시된 터치 입력 장치(132), 키패드 입력 장치(134), 조도 센서(142), 가속도 센서(144), 백라이트 장치(170) 등을 서브 디바이스의 예시로 들 수 있음) 대신 이에 상응하는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서브 디바이스를 제어하도록 서브 디바이스의 제어 경로를 변경하는 제어 루트 관리부(19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루트 관리부(194)가 수행하는 기능에 대하여는 추후 도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trol unit 19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control unit 190 may include a docking agent unit 192 that performs an operation control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upon docking with the external device 200. In this case, The docking agent unit 192 may exchange information with a docking management unit (identification number 292 in FIG. 2) of the external device 200 to be described later in order to perform a wakeup process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wakes up, the docking agent unit 192 transmits an A / V (audio / video) data signal inactivated in the sleep mode to the external device in order to transmit a screen provided by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the external device You can also activate the channel. The docking agent unit 192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program, for exampl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 application " layer of the OS layer structure to implement the corresponding function. The controller 19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various devices constitut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sub devices') in the docking connection with an external device (the external device 200 is exemplified in this spec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ouch input device 132, the keypad input device 134, the brightness sensor 142, the acceleration sensor 144, the backlight device 170, and the like shown in FIG. The control route management unit 194 may change the control path of the sub device so as to control the sub device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corresponding thereto. Fun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 route management unit 194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9. FIG.

한편, 웨이크 업 신호 감지부(196)는 도킹 인터페이스부(180)를 통하여, 웨이크 업 된 외부 디바이스(200)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휴대 단말 모드 전환부(198)는 웨이크 업 신호 감지부(196)에 의해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을 웨이크 업 할 수 있다.
The wakeup signal sensing unit 196 may sense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wakeup external device 200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180 and the portable terminal mode switching unit 198 When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is detected by the wake-up signal detection unit 196,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woken up.

[도 2의 설명][Description of FIG. 2]

도 2는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 수립 방법이 실행될 수 있는 외부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의 일 예이고, 도 3은 도 2의 외부 디바이스의 외관 사시도의 일 예이다. 여기서, 도 3은 외부 디바이스에 대한 다양한 외관 구현 디자인 중 일 예를 예시한 것이며, 이에 의해 외부 디바이스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FIG. 2 is an example of a block diagram of an external device in which a connection establishment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and FIG. 3 is an example of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external device of FIG. Here, FIG. 3 illustrates one example of various appearance implementation designs for an external device, and thus the external device is not limited thereto.

이하, 도 2 및 도 3의 경우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ase of Figs. 2 and 3 will be described.

도 2를 참조하면, 외부 디바이스(200)는, 영상 출력 장치(260), 오디오 출력 장치(265), 백라이트 장치(270), 터치 입력 장치(232)나 키 패드 입력 장치(234)와 같은 사용자 입력 장치(230), 조도 센서(242)나 가속도 센서(244) 기타 각종 센서를 포함하는 센싱부(240), 저장 장치부(260), 도킹 인터페이스부(250), 전원부(205) 및 도킹 관리부(292)와 부팅부(294)를 포함하는 제어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2, the external device 200 includes a video output device 260, an audio output device 265, a backlight device 270, a touch input device 232, a key pad input device 234, A sensing unit 240 including an input device 230, an illuminance sensor 242 and an acceleration sensor 244 and various other sensors, a storage unit 260, a docking interface unit 250, a power source unit 205, And a control unit 290 including a boot unit 292 and a boot unit 294.

상기 외부 디바이스(200)에 포함된 각종 장치(즉, 서브 디바이스) 중 일부는 휴대 단말(100)의 서브 디바이스와 상응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외부 디바이스(200)의 서브 디바이스와 휴대 단말(100)의 서브 디바이스가 서로 상응한다라고 함은 양자에 같은 제어 명령을 내린 경우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거나, 특정 상황에서 동일한 이벤트(혹은 이벤트 시그널, I/O시그널)를 생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를 예로 들면, 휴대 단말(100)의 백라이트 장치() 및 외부 디바이스(200)의 백라이트 장치(170)는 모두 턴 온(turn on) 명령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로 빛을 발산하고, 턴 오프(turn off) 명령에 따라 빛 발산을 중지하므로 이들은 서로 상응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100)의 조도 센서(142)와 외부 디바이스(200)의 조도 센서(142)는 모두 턴 온 명령에 의해 감지 기능을 수행하며, 조도 감지 결과 값을 생성하므로 이들 역시 상응할 수 있다. 기타 휴대 단말(100)의 가속도 센서(144), 터치 입력 장치(132), 키패드 입력 장치(134), 외부 저장 장치(155), 영상 출력 장치(160), 오디오 출력 장치(165)는 각각 외부 디바이스(200)의 가속도 센서(244), 터치 입력 장치(232), 키패드 입력 장치(234), 저장 장치부(250), 영상 출력 장치(260), 오디오 출력 장치(265)와 서로 상응할 수 있다.Some of the various devices (i.e., sub-devices)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200 may correspond to sub-devices of the mobile terminal 100. Herein, the sub-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200 and the sub-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correspond to each other. When the same control command is given to both of them, they perform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Event signal, and I / O signal). The backlight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backlight device 170 of the external device 200 are both turned on by us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shown in Figs. turn on command to stop the light emission according to the turn off command, so that they can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illuminance sensor 142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illuminance sensor 142 of the external device 200 perform a sensing function by a turn-on command and generate an illuminance detection result value, have. The acceleration sensor 144, the touch input device 132, the keypad input device 134, the external storage device 155, the video output device 160, and the audio output device 165 of the other portable terminal 100 are connected to the external The acceleration sensor 244 of the device 200, the touch input device 232, the keypad input device 234, the storage device 250, the video output device 260, and the audio output device 265 have.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상응하는 서브 디바이스 간에 동일한 용어를 사용하였으나(예를 들어, 도 1의 조도 센서(142)와 도 2의 조도 센서(242) 또는 도 1의 오디오 출력 장치(165)와 도 2의 오디오 출력 장치(265)), 서로 상응한다는 의미가 용어에 구애되는 것은 아니다.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의 서브 디바이스가 서로 상응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는 공통된 규약에 따라 서브 디바이스 식별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100)이 포함하고 있는 서브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의 테이블(101) 및 외부 디바이스(200)가 포함하고 있는 서브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의 테이블(102)의 일 예를 도시한 그림이다. 도4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는 서로 상응하는 마이크(식별 정보 값: 2), 조도센서(식별 정보 값: 4), 가속도 센서(식별 정보 값: 5), 터치 스크린(식별 정보 값: 7), 백라이트 장치(식별 정보 값: 10), 내부 저장 장치(식별 정보 값: 11)를 가진다.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는 각 서브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값을 비교함으로써 서로 어떤 서브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있는지, 그 중 어떤 서브 디바이스가 서로 상응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Although the same terminology is used herei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the roughness sensor 142 of FIG. 1 and the roughness sensor 242 of FIG. 2 or the audio output device 165 of FIG. 1) ) And the audio output device 265 in FIG. 2), bu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y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can manage the sub-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common protocol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sub-devices of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correspond to each other . 4 shows an example of a table 101 of sub-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table 102 of sub-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200 It is a picture shown. 4,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microph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value: 2), an illuminance sens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value: 4), an acceleration sensor (identification information value: A touch scre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value: 7), a backlight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value: 10), and an internal storage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value: 11).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can compa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values of the subdevices to determine which subdevices are included and which subdevices correspond to each other.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가 서로 도킹 연결된 경우, 휴대 단말(100)의 일부 서브 디바이스는 상응하는 외부 디바이스의 서브 디바이스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킹 연결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휴대 단말(100)의 조도 센서가 동작하여 조도를 감지하지만, 도킹 연결이 된 경우에는 휴대 단말(100)의 조도 센서 대신 외부 디바이스의 조도 센서가 조도를 감지하여, 감지한 조도 값을 휴대 단말(100)에 알려주게 된다. 휴대 단말(100)의 서브 디바이스가 외부 디바이스의 서브 디바이스로 교체되는 방법에 관하여는 추후 도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Wh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docking, some subdevices of the mobile terminal 100 may be replaced with corresponding subdevices of the external device. For example, when the docking connection is not established, the illuminance sensor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operates to sense the illuminance. However, when the docking connection is established, the illuminance sensor of the external device, instead of the illuminance sensor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informs the portable terminal 100 of the sensed illumination value. A method of replacing a sub-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with a sub-device of an external device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9. FIG.

한편, 외부 디바이스(200)가 휴대 단말(100)에 포함된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서브 디바이스를 모두 포함할 필요는 없다(그 역도 마찬가지임). 도 4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휴대 단말이 포함하고 있는 무선통신 장치(식별 정보 값: 1), 카메라(식별 정보 값: 3), 키패드 장치(식별 정보 값: 6)가 외부 단말에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휴대 단말(100)이 외부 디바이스(200)와 도킹 연결된 경우에도 이러한 서브 디바이스들은 도킹 연결되지 않은 경우와 마찬가지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100)은 도킹 연결 여부와 무관하게 휴대 단말에 구비된 무선통신 장치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며, 휴대 단말에 구비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동영상 촬영을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device 200 need not include all the sub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sub devices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vice versa). 4,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value: 1), the camera (identification information value: 3), and the keypad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value: 6)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re not included in the external terminal . Even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docked with the external device 200, these sub-devices can perform the same operation as in the case where the docking connection is not established.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00 performs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irrespective of whether a docking connection is made or not, and can photograph / photograph a moving picture using a camera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이하, 도킹 인터페이스부(280) 및 제어부(290)를 설명한다.Hereinafter, the docking interface unit 280 and the control unit 290 will be described.

먼저, 도킹 인터페이스부(280)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80)와 물리적으로 도킹 결합됨으로써,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 간의 도킹 연결 관계를 형성시키기 위한 커넥터(connector) 부분이다. 따라서, 도킹 인터페이스부(280)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80)와 페어(pair) 관계에 있을 수 있고, 이 경우 휴대 단말(100)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80)와 동일한 인터페이스 구성(앞선 도 5 참조)을 가질 수 있다.The docking interface unit 280 is physically docked with the docking interface unit 18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so that a connector for establishing a docking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connector. Accordingly, the docking interface unit 280 may be in a pair relationship with the docking interface unit 18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this case, the same interface as the docking interface unit 18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Configuration (see FIG. 5 above).

즉, 도킹 인터페이스부(280)는, 도킹 결합시, 휴대 단말(10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기 위한 영상 입출력 인터페이스(282),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위한 오디오 입출력 인터페이스(284), 휴대 단말(100)과의 데이터 입출력을 위한 인터페이스(28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킹 인터페이스부(280)는 이외에도 휴대 단말(100)과의 물리적 도킹 결합을 감지하는 도킹 감지부(미도시), 휴대 단말(100) 측으로 전원을 공급해주기 위한 통로로서 기능하는 전원 출력부(또는 단자, 미도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at is, the docking interface unit 280 includes a video input / output interface 282 for receiving video data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when docked, an audio input / output interface 284 for receiving audio signals, a portable terminal 100 And an interface 286 for inputting and outputting data. The docking interface unit 280 may further include a docking detection unit (not shown) for detecting a physical docking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a power output unit (or a power supply unit) functioning as a channel for supplying power to the mobile terminal 100 Terminal, not shown), and the like.

일 실시예에 따를 때, 도킹 인터페이스부(2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디바이스(200) 본체 내에 휴대 단말(1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단말 삽입부(281) 내의 특정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를 때, 외부 디바이스(200)와 휴대 단말(100) 간의 도킹 결합은, 그 두 장치의 도킹 인터페이스부(180 및 280) 간이 서로 물리적 결합(또는 접촉)되도록, 외부 디바이스(200)의 단말 삽입부(281)에 휴대 단말(100)을 삽입시킴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3, the docking interface unit 250 includes a docking interface unit 250 that is connect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terminal insertion unit 281 tha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of the external device 200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be inserted therein . That is, in accordance wit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cking connection between the external device 20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performed such that the docking interface units 180 and 280 of the two devices are physically coupled (or contacted) And inserting the mobile terminal 100 into the terminal insertion unit 281 of the device 200. [

여기서, 도 3의 경우는, 휴대 단말(100)이 단말 삽입부(281)에 완전히 삽입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지만, 단말 삽입부(251)의 디자인에 따라 휴대 단말(100)의 일 부위(여기에는 도킹 인터페이스(180)는 포함되어야 함)만이 삽입되는 형태로 물리적 도킹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3에서는 슬라이드 타입의 패드 형상을 갖는 외부 디바이스(200)를 예시하였지만, 외부 디바이스(200)는 매우 다양한 디자인(예를 들어, 패드 타입이 아닌 노트북 타입, 슬라이드 타입이 아닌 바 타입 등)을 가질 수 있음도 물론이다.3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281. However,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terminal insertion portion 251, a por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docking interface 180 should be included in the physical docking connection. 3, the external device 200 having a slide-type pad shape is exemplified. However, the external device 200 may have various designs (for example, a notebook type not a pad type, a bar type not a slide type, and the like) Of course.

제어부(290)는 외부 디바이스(200)의 각 구성요소들 그리고 외부 디바이스(200)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부(290)는 휴대 단말(100)과의 도킹 결합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200)의 동작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도킹 관리부(29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킹 관리부(194)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해당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290 controls overall operation of each component of the external device 2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The control unit 290 may include a docking management unit 292 that performs an operation control function of the external device 200 upon docking with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this case, The docking management unit 194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program to implement a corresponding function.

또한 도킹 관리부(292)는, 그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과의 호스트-디바이스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디바이스(200)는, 상기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에서의 사용자 작업 환경(영상 및 오디오 출력 환경/ 데이터 입출력 환경 등)과 동일한 작업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즉, 도킹 결합 상태에서,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은 외부 디바이스(200)의 화면으로 출력된다. 이를 위해, 도킹 관리부(292)는, 도킹 결합이 최초 감지된 경우, 영상 출력 장치(260)의 화면 출력을 턴 온시키고, 휴대 단말(100)로부터 수신된 도킹 결합 시점의 휴대 단말(100)의 화면 영상에 관한 데이터를 상기 영상 출력 장치(26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킹 관리부(29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크 업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브 디바이스의 정보 또는 각종 메시지를 휴대 단말(100)의 도킹 에이전트부(192)로 송신하거나 도킹 에이전트부(19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도킹 관리부(292)는 도킹 에이전트부(192)와 정보를 교환하기 위하여, 먼저 슬립 모드 시 비활성화 된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할 수도 있다.The docking management unit 292 can establish a host-device connection with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docking state. Accordingly, the external device 200 can provide the user with the same working environment as the user working environment (video and audio output environment / data input / output environment, etc.) in the mobile terminal 100 in the docking state. That is, in the docking-coupled state, the screen image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output to the screen of the external device 200. For this, the docking management unit 292 turns on the screen output of the video output device 260 when the docking connection is detected for the first time, and controls the display outpu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t the docking combination time point receiv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can output data relating to the screen image through the video output device 260. [ In order to perform the wakeup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cking management unit 292 transmits information or various messages of the sub-device to the docking agent unit 192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the docking agent unit 192 . In order to exchange information with the docking agent unit 192, the docking management unit 292 may first activate the data transmission channel deactivated in the sleep mode.

또한, 도킹 결합 상태에서, 외부 디바이스(200)의 입력 장치로부터 입력 이벤트(예를 들어, 터치 입력 이벤트 등)를 수신한 경우, 도킹 관리부(292)는, 그 수신된 입력 이벤트에 상응하여 휴대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되는 이벤트 신호를 생성 및 휴대 단말(1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When receiving an input event (e.g., a touch input event, etc.) from the input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200 in the docking state, the docking management unit 292 receives the input event, And generates and transmits an event signal use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한편, 제어부(290)에 포함된 키 입력 감지부(296)는 사용자가 터치 입력 장치(232)나 키패드 입력장치(234)를 통해 입력하는 키 입력을 감지할 수 있고 또한 외부 단말(200)에 특정 동작을 명령하기 위한, 예를 들어 홀드 키(hold key)나 볼륨 조절 키의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290)는 키 입력 감지부(296)에 의하여 키 입력이 감지된 경우 외부 장치(200)를 웨이크 업 하는 외부 디바이스 모드 변환부(298)를 포함할 수도 있다.
The key input sensing unit 296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290 can sense a key input inputted by the user through the touch input device 232 or the keypad input device 234, For example, it may detect an input of a hold key or a volume control key for commanding a specific operation. The control unit 290 may include an external device mode conversion unit 298 that wakes up the external device 200 when a key input is sensed by the key input sensing unit 29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외부 디바이스(200)는 스탠드 얼론(standalone) 상태에서는 아무런 동작을 하지 않는(즉, 사용자에게 유용한 어떠한 동작/기능 실행을 할 수 없는) 일종의 더미(dummy) 디바이스일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200)에는 가능한 최소한의 기능(즉, 디스플레이 제어, 터치 입력 제어 등) 및 최소한의 하드웨어 구성만 탑재할 수 있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기존의 태블릿 PC/패드/노트북 제품과 동일한 작업 환경이 구현되면서도 그보다 저가의 제품을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device 200 may be a kind of dummy device which does not perform any operation in a standalone state (i.e., can not perform any operation / function useful to the user) Lt; / RTI > In the case of the above configuration, the external device 200 can be equipped with the minimum possible functions (i.e., display control, touch input control, and the like) and minimum hardware configuration so that the existing tablet PC / pad / The same work environment as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can be realize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lower cost product can be used.

물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200)는, 자체 OS(여기서, 자체 OS란 스탠드 얼론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OS를 말함)를 탑재함으로써,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는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과 분리 동작시는 전자 액자나 동영상/MP3 플레이어로, 도킹 결합 동작시는 휴대 단말의 기능으로까지 확대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먼저 설명한 형태(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없는 형태)에 비해 하드웨어 스펙이 고사양을 요구하게 될 것임은 물론이다.
Of cours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xternal device 200 may be implemented as a device that may be independently operated by mounting its own OS (referred to as an OS that enables a standalone operation) .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separa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it can be implemented as an electronic frame, a moving picture / MP3 player, and a docking operation. In such a case, the hardware specification will be required to be higher than the above-described type (a type that can not operate independently).

이제까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킹 결합되는 두 개의 장치로서, 휴대 단말(100) 및 외부 디바이스(200)에 대해 설명하였는 바, 이하에서는 도킹 연결된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가 슬립 모드로부터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are described below as two devices which are dock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ethod of switching from the sleep mode to the wake-up mode will be described.

특히, 이제까지는, 휴대 단말과 외부 디바이스(즉, 외부 디바이스)가 도킹 연결되는 방식으로서 도킹 인터페이스 간의 물리적 결합에 의하는 경우를 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서 “도킹 연결”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각 디바이스에 구비된 도킹 인터페이스 간의 물리적 직접 결합 방식 이외에도, 중간의 매개 장치(Hub)를 이용한 도킹 연결, 특정 연결 케이블(예를 들어, HDMI 케이블)을 이용한 도킹 연결의 방식도 가능함을 명확히 해둔다.
Especially, the cas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i.e., external device) are docked and connected by the physical coupling between the docking interface has been mainly described. However,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rm " docking connection " means a docking connection using an intermediary intermediate device, a specific connection cable (for example, an HDMI cable It is also clear that the docking connection method is also available.

도 6 및 도 7은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가 물리적으로 도킹 결합한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연결 수립 과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중심으로 도 4 내지 도 5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부 디바이스(200)와 휴대 단말(100)간의 연결 수립 방법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6 and 7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are physically docked. Hereinafter, a method of establishing a connection between the external device 200 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together with FIGS. 4 and 5. FIG.

[도 6및 도 7의 설명][Description of Fig. 6 and Fig. 7]

일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과정과 관련된 소정의 상태(state)를 가질 수 있고, 특정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100)의 도킹 에이전트부(192)와 외부 디바이스(200)의 도킹 관리부(292)가 상기 소정의 상태를 관리할 수 있다. 먼저 도 6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에 있는 경우,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는 ‘슬립 모드’ 상태에 있을 수 있다(S100, S105). 일 실시예에서,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가 슬립 모드 상태에 있을 경우에는, 전력 소모량 감소 등의 이유로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가 포함하고 있는 각종 장치들(즉 서브 디바이스)은 전력 공급이 차단되거나 최소한의 기능(예를 들면, 해당 서브 디바이스의 웨이크 업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정도의 전력만을 공급받는 슬립 상태에 있을 수 있고,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의 도킹 인터페이스(180, 280)은 미리 지정된 단자를 제외하고는 신호 전송을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킹 인터페이스(180, 280)가 USB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USB 데이터 전송 채널이 비활성화 될 수 있다(예를 들면, USB D+, D- 연결이 해제된 상태임). 또 다른 예를 들면, 도킹 인터페이스(180, 280)가 HDMI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HDMI 데이터 전송 채널이 비활성화 될 수 있다. 특히, HDMI 데이터 전송 채널이 활성화 되어 있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100)의 배터리 소모량이 커질 수 있으므로, 슬립 모드 상태에서는 HDMI 데이터 전송 채널이 비활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ne embodiment,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may have a predetermined state associated with the wakeup mode switching process, and in a specific embodiment, the docking agent unit 192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docking management unit 292 of the external device 200 can manage the predetermined state. Referring to FIG. 6,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are in the sleep mode, the mobi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may be in the sleep mode (S100, S105).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are in the sleep mode,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various devices 200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200 (for example, That is, a sub-device) may be in a sleep state in which power supply is cut off or only a sufficient amount of power is available to perform a minimum function (for example, a wake-up function of the corresponding sub-device) The docking interfaces 180 and 280 of the external device 200 can block signal transmission except for predefined terminal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5, if the docking interface 180, 280 includes a USB interface, the USB data transfer channel may be deactivated (e.g., USB D +, D- . As another example, if the docking interfaces 180 and 280 include an HDMI interface, the HDMI data transmission channel may be deactivated. Particularly, when the HDMI data transmission channel is activated,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increase, so that it is preferable that the HDMI data transmission channel is inactivated in the sleep mode.

다만 이 경우에도, 모든 단자를 통한 신호 전송이 차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 단자(도5를 예로 들면, USB VBUS 또는 HDMI 5V Power)를 통한 신호 전송은 차단되지 않을 수 있다.In this case, however, signal transmission through all the terminals is not necessarily blocked, and signal transmission through some terminals (for example, USB VBUS or HDMI 5V Power in FIG. 5) may not be blocked.

외부 디바이스(200)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키 입력을 받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200)는 키 입력을 감지하여(S110), 웨이크 업 될 수 있다. 외부 디바이스(200)가 웨이크 업 될 시, 외부 디바이스(200)의 서브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라면, 슬립 상태에 있는 서브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될 수 있다. 특히, 웨이크 업 시, 외부 디바이스(200)의 CPU가 슬립 모드 상태에 있다면, CPU가 웨이크 업 된다(S120). 한편, 특정 실시예에서는, 특정 키 입력을 받은 경우에 한해 웨이크 업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특정 키는 홀드 키일 수 있다.When the external device 200 receives the key input from the user in the sleep mode, the external device 200 senses the key input (S110) and can be woken up. When the external device 200 wakes up and the sub 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200 is in the sleep state, the sub device in the sleep state can be woken up. In particular, when the CPU of the external device 200 is in the sleep mode at the time of wakeup, the CPU wakes up (S120). On the other hand, in a specific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wake up only when a specific key input is received. Here, the specific key may be a hold key.

외부 디바이스(200)가 웨이크 업 되면, 외부 디바이스(200)의 상태는 ‘웨이크 업 수행 중’ 상태로 천이될 수 있다(S130).When the external device 200 is woken up, the state of the external device 200 may be shifted to a state of 'performing a wakeup operation' (S130).

또한 외부 디바이스(200)가 웨이크 업 면, 외부 디바이스(200)는 도킹 연결된 휴대 단말을 웨이크 업하기 위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휴대 단말(100)에 전달할 수 있다(S140). 이때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는 USB의 VBUS를 통한 리셋 신호(USB VBUS를 통해 공급되던 전원을 일시적으로 오프하였다가 다시 전원을 재공급함)이거나 또는 HDMI CEC 핀이나 HDMI 유틸리티 핀(HDMI 14번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일 수 있다.Also, if the external device 200 wakes up, the external device 200 may transmit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wake up the docked portable terminal (S140). At this time,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may be a reset signal via USB VBUS (temporarily turning off the power supplied through the USB VBUS and then supplying power again), or the HDMI CEC pin or the HDMI utility pin (HDMI pin 14) Lt; / RTI >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가 슬립 모드로 된 경우,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간의 데이터 전송 채널이 비활성화 될 수 있으므로, 외부 디바이스(200)는 웨이크 업 시, 비활성화 된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 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간에 USB를 통하여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는 특정 실시예에서는, USB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예를 들면, USB D+, D-를 연결)하는 단계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에 포함될 수 있다(S150).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enter the sleep mode, the data transmission channel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may be inactivated, , It is possible to activate the deactivated data transmission channel. In a specific embodiment in which data is exchanged with each other via USB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the step of activating the USB data transmission channel (for example, connecting USB D + and D-) May be included in the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S150).

한편, 외부 디바이스(200)로부터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 받은 휴대 단말(100)은 상시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웨이크 업 될 수 있다(S125). 휴대 단말(100)이 웨이크 업 될 시, 휴대 단말(100)의 서브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라면, 슬립 상태에 있는 서브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될 수 있다. 특히, 웨이크 업 시, 휴대 단말(100)의 CPU가 슬립 모드 상태에 있다면, CPU가 웨이크 업 된다(S125). On the other hand, the portable terminal 100 receiv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from the external device 200 can always be woken up by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S125). If the sub-device of the mobile terminal 100 is in the sleep state when the mobile terminal 100 is woken up, the sub-device in the sleep state can be woken up. In particular, when the CPU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sleep mode at the time of wakeup, the CPU wakes up (S125).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가 슬립 모드로 된 경우,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간의 A/V 데이터 전송 채널이 비활성화 될 수 있으므로, 휴대 단말(100)은 웨이크 업 시, 비활성화 된 A/V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 할 수 있다.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간에 HDMI를 통하여 서로 A/V데이터를 교환하는 특정 실시예에서는, HDMI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하는 단계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채널의 활성화라 함은 해당 채널을 통하여 데이터가 전송될 수 있는 상태 또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상태로 됨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HDMI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하기 위하여 휴대 단말(100)은 TMDS(Transit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신호 전송을 시작하는 명령을 HDMI모듈에 내릴 수 있다(S155).As described abov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enter the sleep mode, the A / V data transmission channel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may be inactivated, When waking up, you can activate the disabled A / V data transmission channel. In a specific embodiment in which A / V data is exchanged with each other via HDMI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a step of activating the HDMI data transmission channel may be included in the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Here, the activation of the channel means that the data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corresponding channel or the data is transmitted. In particular, in order to activate the HDMI data transmission channel, the mobile terminal 100 may issue a command to start transmission of TMDS (Transmission Minimized Differential Signaling) signal to the HDMI module (S 155).

이후, 휴대 단말(100)의 상태는 ‘웨이크 업 수행중’으로 천이할 수 있고(S135), 외부 디바이스(200)는 남은 웨이크 업 과정을 계속 수행하도록 연결 수립을 시작 메시지를 휴대 단말(100)에 전송할 수 있다(160). 그러면 휴대 단말(100)은 연결 수립을 시작 메시지에 대한 응답(Ack)을 보내고(165) 남은 연결 수립 과정을 계속 진행할 수 있다.Thereafter, th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be changed to 'performing a wakeup operation' (S135), and the external device 200 transmits a start message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continue the remaining wake- (160). Then, the mobile terminal 100 sends a response (Ack) to the start message to establish the connection (165) and continues the remaining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ss.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가 슬립 모드로 전환되기 전,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는 소정의 연결 수립 과정을 거쳐 휴대 단말에 포함된 일부 장치 대신, 그에 상응하는 외부 디바이스의 장치를 대신 이용하도록 제어 경로가 재설정될 수 있다. 그런데,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로 전환되었다가 다시 웨이크 업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연결 수립 과정을 다시 수행함으로써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200)가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된 이후에도 슬립 전의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Before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are switched to the sleep mode,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predetermined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ss, The control path can be reset to use the device instead.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are switched to the sleep mode and then wake up agai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external device 200 are switched to the wake-up mode by performing the predetermined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ss again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state before the sleep is maintained even after that.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과정 이후에 진행될 수 있는 상기 연결 수립 과정을 도시하고 있는 흐름도이다. 계속해서 도 7을 참조하면, 외부 디바이스(200)는 휴대 단말(100)이 자신이 포함하고 있는 서브 디바이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소정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70). 상기 소정의 정보는 외부 디바이스(200)에 포함된 각각의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구체적 정보 목록일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식별번호 201의 테이블과 유사한 형태의 정보일 수도 있다. 한편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정보는, 도8에 도시된 바와 달리, 외부 디바이스(200) 자체의 식별 정보일 수도 있다. 이 경우, 휴대 단말은 자신과 호환되는(즉, 올바르게 도킹 연결될 수 있는) 각종 외부 디바이스 및 그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서브 디바이스의 정보를 저장하는 테이블(예를 들면, 데이터 베이스)을 포함할 수 있고, 전달 받은 외부 디바이스(200)의 식별 정보로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그 외부 디바이스(200)가 포함하고 있는 서브 디바이스의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FIG. 7 is a flowchart showing the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ss that can be performed after the process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7, the external device 200 can transmit predetermined information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acquire sub-device information included therein (S170).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may be a list of specific information about each sub-device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200, and may be information in a form similar to the table of the identification number 201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in the specific embodiment,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may b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200 itself,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mobile terminal may include a table (e.g., a database) for storing information of various external devices compatible with itself (that is, correctly docked and connected) and subdevices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 The information of the sub device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200 may be obtained by searching the database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livered external device 200. [

이후 휴대 단말(100)은 획득한 외부 디바이스(200)의 서브 디바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디바이스(200)가 포함하고 있는 서브 디바이스의 목록을 획득하고, 상기 목록에 포함된 서브 디바이스 중에서, 도킹 연결 시 휴대 단말이 자신에 포함된 디바이스 대신 사용하고자 하는 외부 디바이스(200)의 서브 디바이스(이하, 제1 서브 디바이스’라고 함)들에 대한 정보(예를 들면,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식별 정보 값의 목록)를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S180).Subsequently, the portable terminal 100 acquires a list of subdevices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200 using the acquired subdevice information of the external device 200, and acquires a list of subdevices included in the list, (Hereinafter, referred to as " first sub-device ") of the external device 200 to be used instead of the device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itself List) to the external device 200 (S180).

이후 외부 디바이스(200)는 연결 수립 종료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S190).Then, the external device 200 can transmit a connection establishment termination message (S190).

휴대 단말(100)은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휴대 단말의 서브 디바이스(이하, ‘제2 서브 디바이스’라고 함)에 대한 정보, 특히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고(S200), 이를 외부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S205). 그러면 외부 디바이스(200)는 수신한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정보를 제1 서브 디바이스에 반영하여 외부 디바이스(200)의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를 휴대 단말(100)의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와 동일하도록 변경할 수 있다(S210). 예를 들어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외부 디바이스(200)에 포함된 오디오 출력 장치이고, 제2 서브 디바이스가 이에 상응하는 휴대 단말(100)의 오디오 출력 장치이며, 도킹 전 휴대 단말의 오디오 출력 장치가 오프(off)되어 있거나 혹은 볼륨이 1단계로 되어 있다면, 도킹 연결이 된 후, 휴대 단말(100)의 오디오 출력 장치를 대신할 외부 디바이스(200)의 오디오 출력 장치의 상태가 휴대 단말의 오디오 출력 장치의 상태와 마찬가지로 오프(off) 혹은 1단계의 볼륨으로 설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휴대 단말은 도킹 전과 도킹 후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사용자는 도킹 후 외부 디바이스를 재설정하여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다.The portable terminal 100 acquires information on a sub-device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sub-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device, in particular,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second sub-device (S200) To the external device 200 (S205). Then, the external device 200 reflects the received information of the second sub-device to the first sub-device, so that the status of the first sub-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200 is the same as the status of the second sub-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S210). For example, the first sub-device is an audio output device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200, the second sub-device is an audio output device of the corresponding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audio output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If the state of the audio output apparatus of the external device 200 to be replaced with the audio output apparatus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changed to the audio outpu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fter the docking connection is established As with the status of the device, it is set to either off (off) or one-step volume. By doing so, the portable terminal maintains consistency before docking and after docking, and it is possible to eliminate the inconvenience that the user has to reset the external device after docking.

휴대 단말(100)은 도킹 전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가 수행하던 기능을, 도킹 후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수행하도록 서브 디바이스 제어경로를 재구성한다(S220). 서브 디바이스의 제어는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이벤트 시그널, I/IO시그널이라고도 함)가 발생한 경우에 상기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이하 ‘이벤트 제어’라고 함)와 서브 디바이스가 특정 기능을 수행하게 하도록 명령을 내리는 제어(이하 ‘명령 제어’라고 함)로 구분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을 통해 키 입력을 한 경우 키 입력 이벤트에 상응하는 이벤트 핸들러(혹은 시그널 핸들러라고도 함)가 호출되어 이벤트를 처리하는 것을 이벤트 제어의 일 예로 들 수 있으며, 백라이트를 온/오프시키기 위하여 명령을 내리거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밝기 값 조정 명령을 내리는 것을 명령 제어의 일 예로 들 수 있다.The mobile terminal 100 reconfigures the sub-device control path so that the first sub-device performs the function performed by the second sub-device before docking (step S220). The control of the sub-device allows contr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event control') for processing the event when an event (also referred to as an event signal or an I / O signal) occurs from the sub-device and a sub- (Hereinafter referred to as " command control "). When key input is performed through the touch panel, an event handler (or a signal handler) corresponding to a key input event is called to process an event, for example, as an event control. In order to turn on / off the backlight, One example of command control is to issue a brightness value adjustment command to lower or adjust the brightness.

일 실시예에서, 도킹 전에는 휴대 단말(100)의 제2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소정의 제2 이벤트가 발생하지만, 도킹 후에는 제2 이벤트 대신 외부 디바이스의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이벤트에 상응하는 제1 이벤트가 발생할 것이다. 따라서, 휴대 단말(100)은 도킹 연결 후에는 제2 이벤트를 처리하는 대신 제1 이벤트를 처리할 수 있도록 이벤트 제어 경로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킹 전에는 휴대 단말(100)이 사용자의 입력 또는 휴대 단말(100)의 운용 상 필요에 의하여 제2 디바이스에 소정의 제어 명령을 내려야 하지만, 도킹 후에는 제1 디바이스 대신 제2 디바이스에 상기 제어 명령을 내리도록 명령 제어 경로를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제어 경로 재구성에 대하여는 추후 도 10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In one embodiment, a predetermined second event is generated by the second sub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before docking, but after the docking, the first event is performed by the first sub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instead of the second event The first event will occur. Therefore, after the docking connec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needs to reconfigure the event control path so as to process the first event instead of processing the second event. In another embodiment, before the docking, the portable terminal 100 issues a predetermined control command to the second device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user or the necessity of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However, after the docking, It is necessary to reconfigure the command control path so as to issue the control command. This control path re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1. FIG.

제어 경로 재구성한 이후, 휴대 단말(100)은 제2 서브 디바이스를 일시 중지(suspend)시키거나 제2 서브 디바이스를 전원 오프(power off)함으로써 제2 서브 디바이스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S230).After the control path reconfiguration, the mobile terminal 100 may suspend the second sub device or deactivate the second sub device by powering off the second sub device (S230).

이후, 휴대 단말(100)은 연결 수립 과정을 모두 수행하였음을 알리기 위하여 연결 수립 종료 메시지 응답(Ack)를 외부 디바이스(200)에 전송하고(S195), 상태를 ‘연결’ 상태로 천이할 수 있다(S250).Then, the mobile terminal 100 transmits a connection establishment termination message response (Ack) to the external device 200 (S195) to notify that the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ss has been performed, and transits the state to the 'connection' state (S250).

외부 디바이스(200)도 자신의 상태를 ‘연결’ 상태로 천이 할 수 있으며(S255), 휴대 단말로부터 입력되고 있던 HDMI A/V데이터 신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HDMI 디스플레이 시작 명령을 HDMI 모듈에 전송할 수도 있다(S240).The external device 200 may also transition its state to the 'connected' state (S255) and may transmit an HDMI display start command to the HDMI module to display the HDMI A / V data signal input from the portable terminal (S240).

지금까지 도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기술한 과정의 각 단계가 모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일부 단계는 본 발명의 구현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구성요소에 해당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100) 또는 외부 디바이스(200)가 자신의 상태를 천이하는 단계는 설명이나 구현의 용이함을 위한 것이므로 반드시 필요한 단계는 아니며, 연결 수립 시작/종료 메시지나 연결 수립 시작/종료 메시지 응답을 전송하는 것도 그러하다.
Not all of the steps of the proces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6 to 7 are all essential, and some of the steps may not correspond to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the step of transiting th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or the external device 200 is not necessarily a necessary step because it is for ease of explanation or implementation, and the connection establishment start / end message, connection establishment start / It is also the case to send a message response.

[도 8 및 도 9의 설명][Description of Fig. 8 and Fig. 9]

도 9는 도킹 연결 수립 전의 제어 경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10은 도킹 연결 수립 후의 제어 경로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 및 도 10에서 파선으로 표시한 화살표는 서브 디바이스에서 발생하여 전달되는 이벤트 제어의 경로를 나타내며, 실선으로 표시한 화살표는 사용자 입력 또는 휴대 단말의 운용상 필요에 의하여 App에서 서브 디바이스로 향하는 명령 제어의 경로를 나타낸다.FIG. 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path before docking connection establishment, and FIG.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path after docking connection establishment. The arrows indicated by dashed lines in FIGS. 9 and 10 indicate the path of event control generated and transmitted from the sub device, and arrows indicated by solid lines indicate commands directed to the sub device from the App, Control path.

이하에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웨이크 업 과정 중의 도킹 연결 수립에 따른 제어 경로의 재구성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reconfiguration of the control path according to the establishment of the docking connection in the wakeup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FIG.

먼저 도 9를 참조하면, 도킹 연결 수립 전의 제어 명령은 어플리케이션(App) 계층에서 시작하여, 프레임워크(framework) 계층, HAL(Hardware Abstraction Layer, 하드웨어 추상화 계층), 제어 루트 관리부(194)를 거쳐 제2 서브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로 전달되며, 제2 서브 디바이스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면 커널의 디바이스 드라이버, 제어 루트 관리부(194), HAL, 프레임워크 계층을 통하여 어플리케이션 계층으로 전달된다. 통상의 휴대 단말에서는 제어 루트 관리부(194)를 거치지 않고 커널 디바이스 드라이버와 HAL 간에 제어 명령/이벤트 신호가 오고 갈 것이지만, 본 발명에 따른 연결 수립 과정을 수행하는 휴대 단말(100)의 경우에는 제어 경로 재구성을 위하여 제어 루트 관리부(194)가 더 포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control command before docking connection establishment starts from an application (App) layer and passes through a framework layer, a hardware abstraction layer (HAL), a control root management unit 194, 2, and when an event occurs in the second sub-device, it is transferred to the application layer through the device driver of the kernel, the control root management unit 194, the HAL, and the framework layer. In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a control command / event signal will be transmitted between the kernel device driver and the HAL without going through the control route management unit 194. In the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performing the connection establish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ntrol route management unit 194 may be further included for reconfiguration.

휴대 단말(100)과 외부 디바이스 간에 도킹 연결이 수립된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 계층, 프레임워크 계층 HAL을 거쳐 제어 루트 관리부(194)로 전달된 제어 명령은 제2 서브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드라이버가 아닌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드라이버에 전달되도록 또는 제1 서브 디바이스에서 발생한 이벤트 신호가 제어 루트 관리부(194)로 전달되어, HAL 프레임워크 계층을 거쳐 어플리케이션 계층에서 처리될 수 있도록 제어 경로가 재구성된다.When a docking connection is established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an external device, the control command transferred to the control route management unit 194 via the application layer and the framework layer HAL is included in an external device other than the device driver of the second sub-device The event signal generated in the first sub-device is transferred to the control-route management unit 194, and the control path is reconfigured so that it can be processed in the application layer via the HAL framework layer.

일 실시예에서는, 이벤트 신호나 제어 명령이 휴대 단말(100)의 도킹 에이전트부(192)와 외부 디바이스(200)의 도킹 관리부(292)를 통해 전달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제어 경로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될 수 있다. 즉, 도킹 연결이 수립된 경우, 제어 루트 관리부(194)는 제2 서브 디바이스로 전달되어야 할 제어 명령을 제1 서브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드라이버로 보내기 위하여 외부 디바이스(20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도킹 에이전트로 전달한다. 한편,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서 생성된 이벤트 신호는 도킹 관리부를 거쳐 도킹 에이전트로 전달되며, 도킹 에이전트는 제1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이벤트가 발생했음을 제어 루트 관리부(194)에 알려줄 수 있다.The event signal and the control command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docking agent unit 192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docking management unit 292 of the external device 200. In this embodiment, 10 as shown in FIG. That is, when the docking connection is established, the control route management unit 194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be transmitted to the second sub-device to the device driver of the first sub-device as a docking agent . Meanwhile, the event signal generated in the first sub-device is transmitted to the docking agent via the docking management unit, and the docking agent can inform the control root management unit 194 that an event has occurred from the first sub-device.

특정 실시예에서, 도킹 에이전트부(192)가 제어 루트 관리부(194)로부터 제어 명령을 전달 받기 위하여 소정의 모듈(혹은 함수)을 등록하고 제어 루트 관리부(194)는 상기 소정의 모듈을 호출함으로써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의 초기화 시에 제2 서브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커널 드라이버의 모듈 및 이에 상응하는 도킹 에이전트부(192)의 모듈이 제어 루트 관리부(194)에 등록되며, 제어 루트 관리부(194)는 도킹 연결 여부에 따라 호출할 모듈을 결정함으로써 제어 경로를 재구성할 수 있다.The docking agent unit 192 registers a predetermined module (or a function) in order to receive the control command from the control route management unit 194 and the control route management unit 194 calls the predetermined module Command. In this embodiment, the module of the kernel driver for controlling the second sub device at the time of initializ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module of the docking agent unit 192 corresponding thereto are registered in the control route management unit 194, and the control route management unit 194 ) Can reconfigure the control path by determining which module to call depending on whether the connection is docked.

다른 특정 실시예에서, 도킹 에이전트부(192)는 제어 루트 관리부(194)에 구현된 소정의 모듈(혹은 함수)을 호출하여 이벤트의 발생을 제어 루트 관리부(194)에 알려줄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는 제어 루트 관리부(194)는 도킹 연결 여부에 따라 커널 드라이브로부터 오는 이벤트와 도킹 에이전트로부터 오는 이벤트 중 어느 이벤트를 처리할 지 결정하여, 이벤트를 처리하기 위한 핸들러에 해당 이벤트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핸들러는 제어 루트 관리부(194)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 루트 관리부가 위치한 계층과는 별도의 계층에 구현될 수도 있다.In another specific embodiment, the docking agent unit 192 may call the predetermined module (or function) implemented in the control route management unit 194 to inform the control route management unit 194 of the occurrence of the event. In this embodiment, the control-route managing unit 194 determines which event, such as an event coming from the kernel drive or an event coming from the docking agent, is to be handled according to whether the docking connection is established or not, and can transmit the event to the handler for processing the event . Meanwhile, the handler may be implemented in the control route management unit 194 or may be implemented in a layer separate from the layer where the control route management unit is located.

도 9 및 도 10에서는, 제어 루트 관리부(194)가 커널 계층에, 도킹 에이전트부(192)가 어플리케이션 계층에 탑재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어 루트 관리부(194)가 HAL에 탑재될 수도 있고, 도킹 에이전트부(192)가 프레임워크 계층 또는 HAL에 탑재될 수도 있다. 외부 단말의 도킹 관리부(292)도 도 9 및 도 10과 달리 프레임워크 계층 또는 HAL에 탑재될 수도 있다.
9 and 10 show that the control route management unit 194 is installed in the kernel layer and the docking agent unit 192 is installed in the application layer.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control route management unit 194 is installed in the HAL Or the docking agent unit 192 may be mounted in the framework layer or the HAL. The docking management unit 292 of the external terminal may also be mounted in the framework layer or the HAL, unlike in FIGS.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s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

Claims (18)

서로 도킹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와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으로서,
슬립 모드인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키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키 입력이 감지된 경우, 슬립 모드에 있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및
감지된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슬립 모드에 있는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는,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 간의 USB의 VBUS를 통한 리셋 신호이거나, HDMI CEC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 또는 HDMI 유틸리티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인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A method for switching an external device and a mobile terminal docked to each other into a wakeup mode,
Detecting a key input by the external device in a sleep mode;
When the key input is detected, waking up the external device in the sleep mode;
Detecting, by the portable terminal,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woken up; And
And waking up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sleep mode by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sensed,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may be a reset signal through the USB VBUS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an interrupt signal through the HDMI CEC pin, or an interrupt signal through the HDMI utility pin
How to switch wakeup mod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모드에 있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되는 단계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서브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 있는 경우, 슬립 상태에 있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은,
웨이크 업 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상기 휴대 단말 간의 USB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king-up of the external device in the sleep mode comprises:
And when the sub-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is in the sleep state, waking up the sub-device in the sleep state,
The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ctivating a USB data transfer channel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wake-up external device activates a USB data transfer channel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립 모드에 있는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의 서브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 있는 경우, 슬립 상태에 있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은,
웨이크 업 된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상기 휴대 단말 간의 HDMI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tep of waking up the portable terminal in the sleep mode comprises:
When the sub-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sleep state, waking up the sub-device in the sleep state,
The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includes: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ctivating the HDMI data transmission channel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가 상기 휴대 단말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가 재구성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를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bile terminal acquiring information about a first sub-device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The portable terminal acquiring information about a second sub-device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device;
The sub-device control path is reconfigured in the portable terminal such that a predetermined event generated by the first sub-device is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first sub-device performs a predetermined control operation; And
The external device acquires state information of the second sub device and changes the state of the first sub device to the state of the second sub 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되도록,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Transmitt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second sub-device to the external device such that the status of the first sub-device is changed to the status of the second sub-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를 비활성화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fter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second sub-device,
Deactivating the second sub-device;
Further comprising the steps of: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가 재구성되는 단계는,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된 핸들러가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하는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된 제어함수가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소정의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ub-device control path is reconfigured,
Causing a handler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o process an event generated by the first sub-device, or causing a control function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o perform a predetermined operation of the first sub-device;
And a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된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웨이크 업 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이,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 단말에서,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가 상기 휴대 단말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가 재구성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A method for switching a wired terminal connected to a docking with an external device to a wakeup mode,
The portable terminal detect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woken up;
The portable terminal is woken up by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The mobile terminal acquiring information about a first sub-device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The portable terminal acquiring information about a second sub-device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device; And
In the portable terminal, a sub-device control path is reconfigured such that a predetermined event generated by the first sub-device is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first sub-device performs a predetermined control operation
And a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휴대 단말과 도킹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모드로 전환되는 방법으로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에서, 키 입력을 감지하는 단계;
키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되는 단계;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되도록, 상기 휴대 단말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휴대 단말의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가 재구성되어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가 상기 휴대 단말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를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웨이크 업 모드 전환 방법.
A method for switching an external device docked with a mobile terminal to a wakeup mode,
The external device detecting a key input in a sleep mode;
When the key input is detected, waking up the external device;
The external device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such that the portable terminal is woken up;
Wherein the external device is configured such that a predetermined event generated by a first sub device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is reconfigured in a sub device control path of the portable terminal is processed in the portable terminal, Transmitting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device to the portable terminal so as to perform the operation;
The external device acquiring status information about a second sub-device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device; And
The external device changes the state of the first sub device to the state of the second sub device
And a wake-up mode switching method.
외부 디바이스와 도킹 연결되는 휴대 단말로서,
도킹 인터페이스부;
상기 도킹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웨이크 업 된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는 웨이크 업 신호 감지부;
상기 웨이크 업 신호 감지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가 감지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을 웨이크 업 하는 휴대 단말 모드 변환부;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 및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된 경우,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가 상기 휴대 단말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를 재구성하는 제어 루트 관리부
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
1. A portable terminal docked with an external device,
A docking interface;
A wake-up signal sensing unit for sens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generated by the external device waking up through the docking interface unit;
A portable terminal mode converter for waking up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redetermined electric signal is sensed by the wake-up signal sensing unit;
A second sub-device corresponding to a first sub-device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And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woken up, acquires information on the first sub-device and information on the second sub-device, and when a predetermined event generated by the first sub-device is processed i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control path to reconfigure the sub-device control path so that the first sub-device performs a predetermined control operation,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 모드 변환부는,
상기 휴대 단말의 서브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 있는 경우, 슬립 상태에 있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되도록 하고,
상기 휴대 단말은,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된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상기 휴대 단말 간의 HDMI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하는 도킹 에이전트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portable terminal mode conversion unit comprises:
When the sub-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sleep state, the sub-device in the sleep state is woken up,
The mobile terminal includes:
A docking agent unit activating an HDMI data transmission channel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mobile terminal when the external device wakes up;
Further comprising: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는,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 간의 USB의 VBUS를 통한 리셋 신호이거나, HDMI CEC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 또는 HDMI 유틸리티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인 휴대 단말.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may be,
A reset signal via VBUS of the USB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an interrupt signal through the HDMI CEC pin, or an interrupt signal through the HDMI utility pin.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루트 관리부는,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된 핸들러가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하는 제1 이벤트를 처리하도록 하거나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된 제어함수가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제1 동작을 수행하게 하도록 함으로써,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를 재구성하는 휴대 단말.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By causing a handler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o process a first event generated by the first sub-device or allowing a control function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to cause the first sub-device to perform a first operation, A mobile terminal that reconfigures a control path.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된 경우,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가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로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를 비활성화하는 도킹 에이전트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 단말.
12. The method of claim 11,
When the mobile terminal is woken up, transmits status information of the second sub device to the external device in order to change the status of the first sub device to the status of the second sub device, A docking agent unit
Further comprising:
휴대 단말과 도킹 연결되는 외부 디바이스로서,
키 입력을 감지하는 키 입력 감지부;
슬립 모드 상태에서, 상기 키 입력 감지부에 의하여 키 입력이 감지된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되도록 하는 외부 디바이스 모드 변환부;
상기 휴대 단말이 웨이크 업 되도록 하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달하는 도킹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된 경우, 상기 휴대 단말이 서브 디바이스 제어 경로를 재구성하여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포함된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한 소정의 이벤트가 상기 휴대 단말에서 처리되거나 또는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가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상기 외부 디바이스에 관한 정보를 상기 휴대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휴대 단말에 포함되고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에 상응하는 제2 서브 디바이스에 대한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제1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를 상기 제2 서브 디바이스의 상태로 변경하는 도킹 관리부
를 포함하는 외부 디바이스.
An external device docked with a portable terminal,
A key input sensing unit for sensing a key input;
An external device mode conversion unit for waking up the external device when a key input is sensed by the key input sensing unit in a sleep mode;
A docking interface for transmitting a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to the portable terminal to wake up the portable terminal; And
When the external device is woken up, the portable terminal reconfigures the sub-device control path so that a predetermined event generated by the first sub-device included in the external device is processed in the mobile terminal, or the first sub- The information about the external device is transmitted to the portable terminal so as to perform a predetermined control operation, the status information about the second sub-device inclu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ub-device is obtained, A docking management unit for changing the state of one sub-device to the state of the second sub-
Lt; / RTI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디바이스 모드 변환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의 서브 디바이스가 슬립 상태에 있는 경우, 슬립 상태에 있는 상기 서브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되도록 하고,
상기 도킹 관리부는,
상기 외부 디바이스가 웨이크 업 된 경우, 상기 외부 디바이스와 상기 휴대 단말 간의 USB 데이터 전송 채널을 활성화하는 외부 디바이스.
17. 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external device mode conversion unit comprises:
When the sub-device of the external device is in the sleep state, the sub-device in the sleep state is woken up,
The docking management unit,
And activates a USB data transmission channel between the external device and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external device wakes up.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는,
상기 휴대 단말과 상기 외부 디바이스 간의 USB의 VBUS를 통한 리셋 신호이거나, HDMI CEC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 또는 HDMI 유틸리티 핀을 통한 인터럽트 신호인 외부 디바이스.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predetermined electrical signal may be,
A reset signal via USB VBUS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an interrupt signal through the HDMI CEC pin, or an interrupt signal through the HDMI utility pin.
KR20110068747A 2011-07-12 2011-07-12 Method for Changing to Wake Up Mode at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KR1014851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68747A KR101485154B1 (en) 2011-07-12 2011-07-12 Method for Changing to Wake Up Mode at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10068747A KR101485154B1 (en) 2011-07-12 2011-07-12 Method for Changing to Wake Up Mode at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172A KR20130008172A (en) 2013-01-22
KR101485154B1 true KR101485154B1 (en) 2015-01-22

Family

ID=47838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10068747A KR101485154B1 (en) 2011-07-12 2011-07-12 Method for Changing to Wake Up Mode at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515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0968A (en) * 2014-11-21 2016-05-31 삼성전자주식회사 User terminal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340230B1 (en) * 2015-01-16 2021-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between two devices and apparatus for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9977A (en) * 1993-12-30 1995-07-24 김광호 How to save power on electrophotographic printers
KR20050080992A (en) * 2004-02-12 2005-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aving consumption power in smart phone
US20080005423A1 (en) * 2006-06-06 2008-01-03 Robert Alan Jacobs Method and device for acting on stylus remov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9977A (en) * 1993-12-30 1995-07-24 김광호 How to save power on electrophotographic printers
KR20050080992A (en) * 2004-02-12 2005-08-18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saving consumption power in smart phone
US20080005423A1 (en) * 2006-06-06 2008-01-03 Robert Alan Jacobs Method and device for acting on stylus remov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8172A (en) 201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8041B2 (en) Method to enhance device policy management (DPM) power sharing for USB Type-C (USB-C) only devices
WO2022062236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device
US8756445B2 (en) Providing power to an accessory during portable computing device hibernation
US8949494B2 (en) User equipment connectable to an external device
KR20120096864A (en) Wireless charging of mobile device
KR20120096866A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sensor devices in mobile devices
US20130050122A1 (en) Controlling user equipment as touch pad for external device connected thereto
KR101277657B1 (en) Method for handling input event between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KR101504654B1 (en) Method for Establishing Connection Between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US11176078B2 (en) Communication method using input/output interface, and apparatus therefor
KR20130003666A (en)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method for running application thereof
JP5504247B2 (en) Electronic device and timer time setting method
KR101485154B1 (en) Method for Changing to Wake Up Mode at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TWI581109B (en) Computer integral de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RU2494449C1 (en) Terminal using peripheral device of another terminal under control of first terminal, and method of their interaction
KR101485156B1 (en) Mobile terminal docking with external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101485153B1 (en) Method for Changing to Wake Up Mode at External Device and Mobile Terminal Docking Thereat
KR101485149B1 (en)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processing method thereof
JP2012015656A (en) Information processor,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stored therein
JP2018185664A (en) Control system,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WO2018086288A1 (en) Screen installation method, device body, and screen
US10983586B2 (en) Power management system and power management method
KR20130054971A (en) Mobile terminal for connection with external device, and method for changing screen image thereof
KR20130071092A (en) Docking device for connection with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installing software thereof
WO2022170861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interface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