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0474B1 - 오디오 재생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디오 재생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0474B1
KR101480474B1 KR20130119994A KR20130119994A KR101480474B1 KR 101480474 B1 KR101480474 B1 KR 101480474B1 KR 20130119994 A KR20130119994 A KR 20130119994A KR 20130119994 A KR20130119994 A KR 20130119994A KR 101480474 B1 KR101480474 B1 KR 1014804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information
data
music information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9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3717A (ko
Inventor
이상엽
이주은
노필영
전진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9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0474B1/ko
Publication of KR20130133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3717A/ko
Priority to US14/508,800 priority patent/US972342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0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0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41Mechanical or electronic switches, or control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음악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음악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합 음악리스트를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오디오 재생장치를 포함하는 오디오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를 이루는 복수의 음악정보를 서로 비교 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에 포함되는 중복되는 음악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중복되는 한 쌍의 음악정보 중 하나의 음악정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을 실행하므로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원하는 음악리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오디오 재생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AUDIO PLAYING APPARATUS AND SYSTME HABVING THE SAMDE}
본 발명은 통합 음악리스트를 형성하는 오디오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전자기기는 오디오 비디오 등 매체를 출력하는 재생장치로 이용된다, 또한, 각종 재생장치들은 고유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 뿐만 아니라 서버나 다른 기기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오디오(또는 비디오) 정보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다양한 출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공받을 수 있으나, 각 출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하여 적합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거나, 각 저장공간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재생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출처로부터 제공받은 음악파일을 포함하는 통합 음악리스트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재생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음악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적어도 하나의 음악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합 음악리스트를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를 이루는 복수의 음악정보를 서로 비교 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에 포함되는 중복되는 음악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중복되는 한 쌍의 음악정보 중 하나의 음악정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을 실행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복되는 한 쌍의 음악정보 중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정보를 선택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를 근거로 음악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 중 제1 음악의 재생음질이 기 설정된 기준음질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2 데이터에서 제1 음악과 매칭되는 음악정보를 검색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데이터에 상기 제1 음악과 매칭되는 음악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제1 음악과 유사한 음악정보를 포함하는 유사음악을 상기 제2 데이터에서 추출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유사한 음악정보는 상기 제1 음악과 동일한 가수, 동일한 장르, 동일한 앨범, 동일한 음악제목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음악에 관련된 하위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제1 음악의 하위정보를 상기 제1 음악과 함께 저장하도록 상기 메모리를 제어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기준음질을 상기 제1 데이터를 이루는 음악정보에 포함되는 음악의 재생음질과 비교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2 음악을 재생하는 동안, 상기 외부와의 무선통신연결이 제한된 경우, 상기 제2 음악과 유사한 음악정보를 상기 제1 데이터에서 검색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사한 음악정보에 포함된 유사음악이 상기 제2 음악과 동일한 음악인 경우, 상기 제2 음악의 중단시점에 대응되는 유사음악의 재생시점부터 상기 유사음악을 재생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유사한 음악정보에 포함된 유사음악이 상기 제2 음악과 다른 경우, 상기 제2 음악의 재생을 중단하고 상기 유사음악을 처음부터 재생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에 관한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무선통신연결이 제한된 경우 재생 중인 음악의 재생의 제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팝업윈도우를 출력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에 관한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면정보는, 상기 제1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데이터를 나타내는 상기 각 음악정보의 출처이미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에 근거하여 음악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악정보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출력되는 음악정보의 출처가 변경된 경우 상기 출처이미지를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2 데이터를 이루는 음악정보는 스트리밍(streaming) 음악정보 및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와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된 음악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해당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는 각 음악에 관련된 하위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위정보에 근거하여 추가 음악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위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에서 추출된 음악정보와 상기 추출 음악정보로 이루어지는 추가 음악리스트를 형성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하위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저장된 각 음악정보에 대한 선호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선호도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선호도를 포함하는 음악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분석된 음악정보와 유사한 추가 음악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 음악정보와 상기 추출 음악정보로 이루어지는 추가 음악리스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하위정보는 상기 음악에 대한 감정분류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재생되었던 음악정보를 근거로 선택된 사용자의 감정에 근거한 특정 감정분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악정보로 이루어지는 통합 음악리스트를 형성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무선통신부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에 근거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리에 포함되는 청취 음악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청취 음악정보를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추가 음악리스트를 형성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헤드셋에 해당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음악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및 적어도 하나의 음악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음악리스트를 형성하는 오디오 재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음악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합 음악리스트를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를 이루는 복수의 음악정보를 서로 비교 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에 포함되는 중복되는 음악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중복되는 한 쌍의 음악정보 중 하나의 음악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을 실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출처로부터 추출된 음악정보로 통합 리스트가 형성되며 통합 음악리스트는 중복되는 음악정보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므로, 사용자에 의한 음악정보의 편집단계 없이 음악리스트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부족한 음악정보를 다양한 출처로부터 수신 및 보충할 수 있으며 선택된 음악정보에 근거한 재생이 원활하지 아니한 경우 다른 출처에 의하여 동일 및 유사한 음악을 재생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향상된 재생품질의 재생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a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b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c는 도 2b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a 및 도4b는 중복되는 음악정보 중 하나의 음악정보를 선택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c 내지 도 4e는 도 4a 및 도 4b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a 내지 도 5d는 추가 음악리스트를 형성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a는 재생장치에 음악정보의 하위정보를 저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b는 도 6a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은 방송신호에 의한 소리에 포함된 청취 음악을 통합 음악리스트에 추가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2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a 내지 도 9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0a 내지 도 10c는 오디오 재생장치에 음악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오디오 재생장치의 기능에 관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1000)은 오디오 출력장치로서 해드셋(headset, 200) 및 이동 단말기(100)를 포함할 수 있고, 음악정보를 실시간으로 송신하는 서비스 서버(3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 및 상기 해드셋(200)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되어 음악정보를 송신 및 수신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300)와 상기 이동 단말기(100 및 상기 해드셋(200)은 무선통신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가 송신하는 신호에 따른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30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기 설정된 시간간격으로 업데이트 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로 영상 및 음성을 실시간으로 송신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용량이 큰 대용량 멀티미디어를 분할하여 전송할 수 있다(스트리밍(streaming) 기술). 상기 서비스 서버(300)는 상기 오디오 출력장치의 사용자로부터 컨텐츠 요청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면, 해당 컨텐츠를 그 사용자의 컴퓨터로 스트리밍(steaming)시킨다. 멀티미디어 스트리밍은, 멀티미디어 파일의 전체가 아닌 일부가 수신되어도 재생을 시작하고, 재생되는 동안에도 계속적으로 멀티미디어 파일 일부를 수신할 수 있다.
도 2a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감지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은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도록 이루어진다. 화상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면서 통화하는 상태를 지칭하고, 음성통화모드는 상대방의 영상을 보지 않으면서 통화를 하는 상태를 지칭한다. 화상통화모드 및 음성통화모드를 구현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112)은 음성 및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송수신하도록 형성된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여기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는(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21)에서 획득되는 화상 프레임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 등이 산출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인가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에 따른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또는 센싱부, 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 (또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감지부(140)는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40)는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4) 및 햅틱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는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체영상은 3차원 입체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을 나타내며, 3차원 입체 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은 모니터나 스크린 상에서 사물이 위치한 점진적 깊이감(depth)과 실체(reality)를 현실 공간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한 영상이다. 3차원 입체 영상은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양안시차란 떨어져 있는 두 눈의 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시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두 눈이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고 그 화상들이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어 융합되면 입체 영상의 깊이감 및 실제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가정용 텔레비전 수신기 등에 많이 이용되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에는 휘스톤스테레오스코프 방식 등이 있다.
상기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의 예로서, 패럴렉스 배리어(parallex barrier) 방식,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집적영상(integral imaging) 방식, 스위츠블 렌즈(switchable lens) 등이 있다. 프로젝션 방식에는 반사형홀로그래픽 방식, 투과형홀로그래픽 방식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를 합쳐서 하나의 3차원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은 입체 처리부(미도시)에 의하여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 표시될 수 있다. 입체 처리부는 3D 영상을 입력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추출하거나, 2D 영상을 입력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는 상기 센싱부(140)의 일 예로서 구비될 수 있다.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141)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광전 센서, 미러반사형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이하, 포인터라 함)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입체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입체 터치스크린'이라 함)나,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3차원 센서가 서로 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는 3차원의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3차원 센서의 예로서,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 입체 터치센싱부(142), 초음파 센싱부(143), 카메라 센싱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터치를 가하는 감지대상(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와 검출면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단말기는 이러한 거리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의 어느 부분이 터치되었는지를 인식하게 된다. 특히,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감지대상의 근접 정도를 검출하고, 이러한 근접 정도를 이용하여 3차원상의 터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입체터치센싱부(142)는 터치 스크린상에 가해지는 터치의 세기나 지속시간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를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고, 가압력이 강하면 이를 단말기의 내부를 향하여 터치 스크린과 보다 멀리 위치한 객체에 대한 터치로 인식한다.
초음파센싱부(143)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초음파센싱부(143)는, 예를 들어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센서는 광을 감지하도록 형성되며,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르기 때문에,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은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르다. 따라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센싱부(144)는 카메라(121), 포토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한다.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2차원 영상에 레이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거리정보가 더해지면, 3차원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포토 센서가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4)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디스플레이부(151) 및 음향 출력 모듈(153)은 알람부(154)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5)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택 모듈(155)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5)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잠금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잠금 상태에서 표시되는 잠금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b 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안경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으며, 배터리(191)를 덮는 배터리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음향출력모듈(153a), 제1카메라(121a), 제1조작유닛(131) 등이 배치되며, 측면에는 마이크(122), 인터페이스부(170), 제2조작유닛(13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감지수단은 이를 감지하고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되게 구성될 수 있다.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151)에서 출력되는 시각 정보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도 2b에 의하면,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전면(front surface)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음향출력모듈(153a)과제1카메라(121a)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제1조작유닛(131)과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제2조작유닛(132, 도 3b 참조), 인터페이스부(170) 등은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모듈(153a)은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음향출력모듈(153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홀이 윈도우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카메라(121a)는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제1 및 제2조작유닛(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조작유닛(131, 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으며, 터치, 푸쉬,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31)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을 기준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31)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조작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작유닛(131)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고, 제2조작유닛(132)은 제1음향출력모듈(153a)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형성된다. 마이크(122)는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음향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7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2c은 도 2b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2c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제2카메라(121b)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 도 3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카메라(121a)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카메라(121a)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카메라(121b)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카메라(121a,121b)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는 플래시(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시(123)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제2카메라(121b)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음향출력모듈(153b)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모듈(153b)은제1음향출력모듈(153a, 도 2b 참조)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 도 1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배터리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추출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정보는 상기 와이파이 위치측위 서버(310)를 통해 이동 단말기(100)로 전송됨으로써, 이동 단말기(100)는 위치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이동 단말기(100)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해드셋(200) 또는 상기 서로 유선연결되어 있는 해드셋(200)에 해당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메모리(160)는 음악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저장한다(S1100). 상기 제1 데이터는 복수의 음악정보의 집합체에 해당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음악정보는 상기 스피커(153)를 통하여 재생될 수 있는 음악 재생파일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음악정보는 상기 음악 재생파일이 재생될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될 음악에 관련된 시각정보(예를 들어, 음악의 제목, 가수의 이름, 음악이 수록된 앨범의 이름 및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데이터는 사용자 또는 이동 단말기의 사업자에 의하여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것으로서, 특정 서버와의 통신 없이 재생 및 출력이 이 가능하다.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된 음악정보는 다양한 재생음질로 형성된 음악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음악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수신한다. 여기에서 외부는 상기 서비스 서버(300) 또는 외부 장치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음악정보의 송신을 요청하고,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음악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음악을 실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상기 음악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를 이루는 복수의 음악정보들을 서로 비교한다(S1300).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음악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생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생파일을 포함하는 각각의 음악정보는 서로 다른 제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재생파일은 서로 다른 재생음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생파일을 포함하는 음악정보를 중복되는 음악정보로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중복되는 음악정보를 추출하고(S1400), 상기 중복되는 음악정보 중 하나를 선택한다(S1500).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에 각각 포함되는 두 개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음악정보 중 하나를 기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선택한다.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은 상기 제1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데이터에 포함되는 음악정보를 우선적으로 선택하거나, 음악정보가 기 설정된 하위정보(예를 들어, 노래의 가사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하는 음악정보를 선택하거나, 기 설정된 재생품질을 갖는 음악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선택된 음악정보를 포함하는 통합 음악리스트를 형성한다(S1600).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는 상기 중복되는 음악정보 중 선택된 하나의 음악정보와, 서로 중복되지 아니하는 음악정보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에 포함되는 음악정보의 개수는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는 기 설정된 나열기준에 근거하여 나열된다. 상기 기 설정된 나열기준은 노래 제목의 순서, 가수 이름의 순서, 최근 저장된 순서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에 포함되는 음악정보를 이용하여 음악을 출력하도록 상기 음향출력부(153)을 제어한다. 이하, 상기 음악 통합리스트를 형성하는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a 및 도4b는 중복되는 음악정보 중 하나의 음악정보를 선택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c 내지 도 4e는 도 4a 및 도 4b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a를 참조하여, 재생음질에 기초하여 음악정보를 선택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1 음악의 재생음질을 분석한다(S171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에 중복되는 음악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1 음악을 상기 음악 통합리스트에 포함시킨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 내부의 저장공간에 포함되는 음악정보를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분석된 재생음질과 기 설정된 기준음질을 비교한다(S1710). 상기 기준음질은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의 소리출력품질, 사용자의 선호 재생음질 등에 의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재생음질이 상기 기준음질보다 좋은 경우(S1712),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음악을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에 포함시킨다.
한편, 상기 제1 음악의 재생음질이 상기 기준음질보다 낮은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음악과 유사음악을 검색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데이터에 포함된 음악정보 중 상기 제1 음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사음악을 검색한다. 여기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음악은 동일한 재생정보를 포함하는 음악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스트리밍방법으로 제공되는 음악의 재생음질은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음악의 재생음질보다 향상된 음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데이터, 즉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음악정보를 우선적으로 포함하여 상기 음악 통합리스트를 형성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된 음악정보 중 상기 기준음질보다 낮은 재생음질을 포함하는 음악정보는 상기 제2 데이터에서 검색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재생음질 이상의 재생음질을 포함하는 음악정보들을 포함하는 통합 음악리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음악 통합리스트에 따라 상기 음향출력부(153)가 음악을 출력하는 중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음악 통합리스트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에 모두 포함된 중복되는 음악정보 중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된 음악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하나의 음악이 재생되는 둥안, 상기 형성된 음악 통합리스트에 포함된 제1 음악의 재생음질을 기준음질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음악이 재생되기 직전 또는 상기 제1 음악이 재생되는 중에 상기 재생음질을 비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음악이 재생되는 중에, 상기 제1 음악의 재생음질이 상기 기준음질보다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음악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음악 이라고 판단되는 유사음악을 상기 제2 데이터에서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데이터에서 상기 유사음악을 상기 제1 음악 대신 이어서 출력하도록 상기 음향출력부(153)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여, 무선통신이 차단된 경우 통합 음악리스트를 형성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형성된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를 근거로 음악을 재생한다(S1700).
상기 제2 데이터에 포함된 제2 음악을 재생하는 중에(S1720), 무선통신이 차단(S1721)될 수 있다. 상기 제2 음악은 상기 서비스 서버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므로, 상기 무선통신이 차단되면 상기 제2 음악의 재생이 차단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무선통신이 차단되면, 상기 제2 음악과 유사음악을 상기 제1 데이터에서 검색한다(S1722).
상기 무선통신이 차단되어도, 상기 스트리밍 방식에 의하여 상기 재생될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음악파일을 수신하므로, 상기 제1 데이터에서 검색된 유사음악을 이어서 재생하면 사용자는 무선통신의 차단에 무관하게 연속적으로 음악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4c 내지 도 4e를 참조하여, 무선통신이 차단된 경우 음악의 재생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500)를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되는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500)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를 이루는 복수의 음악정보를 순서대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500)에 포함되는 음악제목, 음악의 가수, 재생시간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음악정보의 출처를 나타내는 출처이미지를 출력한다. 여기에서 출처는 상기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를 의미하며, 본 발명의 시스템에 포함되는 재생출력장치(100, 200)와 서비스 서버(300)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하고 스피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경우, 상기 제1 데이터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160)에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2 데이터는 외부장치인 헤드셋(200) 및 상기 서비스 서버(300) 중 어느 하나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80)는 각 음악정보에 각각 상기 제1 데이터의 출처에 대응되는 제1 출처이미지(이동 단말기, 610) 또는 상기 제2 데이터의 출처에 대응되는 제2 출처이미지(헤드셋 또는 서비스 서버, 62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순서대로 배치된 음악정보 중, 현재 재생되는 음악정보를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음악정보에 해당되는 문자가 출력되는 영역에 바(bar)형상으로 재생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음악정보의 음악이 재생되는 시간이 흐를수록 상기 바(bar)의 길이가 증가하게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비스 서버(300), 즉 제2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제2 음악(song 3, 501)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연결된 상기 서비스 서버(300)로부터 실시간으로 재생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2 음악(501)에 관한 정보와 상기 제2 데이터(서비스 서버)를 나타내는 제2 출처이미지(620)를 함께 출력한다.
한편, 상기 제2 데이터로부터 추출된 제2 음악(501)이 재생되는 중에 상기 무선통신이 차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음악(50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유사음악을 상기 메모리(160)에서 검색한다. 상기 유사음악은 상기 제2 음악(501)과 재생정보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음악에 해당된다. 상기 유사음악은 재생음질 및 하위정보가 다르더라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음악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소리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근거로 상기 유사음악을 검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메모리(160)에서 상기 유사음악(511)을 추출한 경우, 상기 유사음악(511)을 근거로 상기 제2 음악을 출력하도록 상기 음향출력부(153)를 제어한다. 상기 무선통신이 제한되기 전까지 수신된 상기 제2 음악의 재생정보와 함께 검색된 유사음악(511)에 의하여 연속적인 음악재생이 가능하다. 즉, 상기 제2 음악(501)의 중단시점에 대응되는 유사음악의 재생시점부터 상기 유사음악을 재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출처 이미지(620)를 상기 제1 출처 이미지(610)로 전환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유사음악에 근거하여 재생이 계속되는 동안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바(bar)의 길이가 점점 증가하도록 출력한다.
이에 따라, 재생되는 음악이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수신되는 경우 통신이 끊기더라도 메모리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음악이 저장되어 있는 경우, 끊김 없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음악이 재생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데이터에 포함되는 중복되는 음악정보 중 제2 데이터에 포함된 음악정보가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에 포함된 경우 상기 무선통신이 차단된 경우에도 중복되는 오디오 재생장치 내부의 메모리(160)에 저장된 동일한 음악을 이어서 재생할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여, 동일한 음악에 해당되는 음악정보가 제1 데이터에 없는 경우, 유사음악을 이어서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4d는 제2 음악(501)을 출력하는 중에 무선통신이 차단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무선통신이 차단되면, 상기 제1 데이터에서 상기 제2 음악(50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음악을 검색한다.
상기 제1 데이터에 실질적으로 동일한 음악이 검색되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음악(501)과 유사성이 인정되는 유사음악(502)를 추출하고, 상기 유사음악(502)를 이어서 출력하도록 상기 음향 출력부(153)를 제어한다.
여기에서 유서성이 인정되는 유사음악(502)은 실질적으로 음악의 재생정보가 동일하지 않더라도 유사성이 인정되는 음악으로, 제2 음악을 편곡한 음악, 다른 가수에 의하여 불려진 제2 음악, 노랫말이 없이 음만으로 형성된 제2 음악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유사음악(502)가 상기 제1 데이터로부터 추출되면, 상기 유사음악(502)을 상기 제2 음악(501)에 이어서 재생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동일하지는 아니하나, 유사성이 인정되는 음악을 연속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유사음악 또한 검색되지 아니하는 경우, 제2 음악(501)의 음악정보와 연관성이 있는 연관음악음악을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관성은, 상기 음악정보에 포함되는 음악재생정보르 제외한 나머지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으로 정의된다. 예를 들어, 상기 유사음악은 상기 제2 음악(501)의 가수, 제목, 제2 음악(501)이 수록되어 있는 앨범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무선통신부의 차단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음악(501)의 출력을 중단하고, 상기 연관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도 4e를 참조하여, 무선통신의 차단에 의한 통합 음악리스트의 변경을 알리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무선통신이 차단되면, 무선통신의 차단으로 인하여 현재 재생되는 음악이 삭제(또는 중지)된다는 정보를 포함하는 팝업윈도우(71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2 음악(501)의 유사음악이 검색되지 아니하였을 경우 상기 팝업윈도우(71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유사음악 또는 연관음악의 검색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그래픽 이미지를 상기 팝업윈도우(710)에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무선통신이 차단되고 음악의 출력이 종료된다는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통해서도 인식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추가 음악리스트를 형성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추가 음악리스트(520)의 형성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에 포함된 음악의 하위정보를 수집한다(S1810). 여기에서 하위정보는 상기 음악정보에 태깅(tagging)된 다양한 정보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하위정보는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가 형성된 날짜, 상기 음악정보들이 사용자에 의하여 재생된 재생횟수, 음악정보의 재생시간, 음악정보의 순위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하위정보 및 상기 음악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데이터 및 제2 데이터에서 추가 음악정보를 수집하고(S1812), 상기 추가 음악정보를 포함하는 추가 음악리스트(520)를 형성한다(S1813).
예를 들어, 상기 하위정보가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가 형성된 날짜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날짜를 기준으로 최근에 상기 제2 데이터에 업데이트 되거나 상기 제1 데이터에 새로이 포함된 추가 음악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추출된 추가 음악정보와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에 포함된 음악정보를 이용하여 추가 음악리스트(520)를 형성한다.
한편, 상기 추가 음악리스트(520)에 포함되는 음악정보의 개수가 한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날짜를 기준으로 가장 처음으로 상기 제1 데이터 또는 제2 데이터에 포함된 음악정보를 상기 추가 음악리스트(520)에서 제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위정보가 상기 재생횟수에 해당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재생횟수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나열되는 음악정보들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여, 선호도에 따른 추가 음악리스트의 형성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510)는,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510)에 포함되는 음악정보의 장르((632), 예를 들어, 댄스, 발라드, R&B 등) 및 선호도(6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호도는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선호도는 상기 서비스 서버(300)에서 제공한 음악의 인기도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선호도 및 상기 장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추가 음악리스트(52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선호도 점수가 높은 장르를 분석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댄스 장르에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면, 댄스 장르에 해당되는 음악정보를 추출하여 추가 음악리스트(521)를 형성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에 포함되는 음악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에서 상기 댄스장르의 추가 음악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추가 음악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선호도가 기 설정된 기준이상에 해당되는 음악정보를 추출하여 추가 음악리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여, 음악정보에 포함된 감정분류데이터를 이용하여 추가 음악리스트를 형성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음악정보는 각 음악에 대응되는 감정분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정분류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 서버에 의하여 수신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감정분류 데이터는 상기 음악을 듣기 적합한 사용자의 감정상태, 임의의 기준에 의하여 분류된 음악의 느낌, 노래의 가사에 포함된 감정상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510)는 상기 음악정보에 포함되는 감정분류 데이터(633)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감정분류 데이터가 날씨를 표현하는 이미지로 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510)로부터 특정 감정분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악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포함하는 추가 음악리스트(522)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 감정분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추가 음악정보를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여기에서 특정 감정분류 데이터는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되거나, 상기 제어부(180)가 상기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예측하여 자동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최근 사용자가 재생시킨 음악정보에 포함되는 감정분류 데이터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감정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6a는 재생장치에 음악정보의 하위정보를 저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제어부(180)는 통합 음악리스트를 형성하고(S1600), 제1 데이터에 포함된 제1 음악의 음악정보를 검색한다(S182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음악의 하위정보를 수신한다(S1821). 여기에서 상기 하위정보는 상기 제1 음악의 제목, 가사, 장르, 이미지 등에 해당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제1 데이터에 포함된 상기 제1 음악의 음악정보에 포함되지 아니한 상기 제1 음악의 하위정보를 상기 제2 데이터에서 검색하고, 상기 하위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한다.
상기 제1 음악의 음악정보가 상기 하위정보들을 포함하고 있지 아니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사이 제1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 가사, 상기 제1 음악에 대응되는 이미지, 가수, 음악의 제목 등과 같은 시각적 정보를 출력할 수 없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상기 하위정보를 상기 음악정보와 함께 저장하도록 상기 메모리(160)를 제어한다(S1822).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하위정보(640)가 상기 음악정보와 함께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면, 상기 제1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 상기 하위정보(64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하위정보를 상기 메모리(160)에 저장하는 바, 상기 무선통신이 차단되어도 상기 하위정보(640)를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방송신호에 의한 소리에 포함된 청취 음악을 통합 음악리스트에 추가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라디오 소리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S1900). 즉, 사용자는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주파수에 따른 라디오방송를 들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방송신호에 포함된 청취 음악정보를 추출한다(S1910).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라디오방송을 듣는 중에 사용자에 의한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때, 청취 음악정보를 감지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라디오 방송에 음악이 포함되면 사용자가 청취하고 있는 음악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재생되는 음악의 소리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음악정보를 추출하거나, 상기 소리신호에 포함되는 음성을 통하여 상기 음악에 관련된 정보(제목, 가수 등)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에서 상기 청취 음악정보를 검색한다(S1911).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청취 음악정보로 이루어진 추가 음악리스트를 형성한다(S1912).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방송을 청취하는 동안 들었던 음악을 오디오 재생장치를 이용하여 개인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으며, 별도의 검색 단계 없이 보다 용이하게 음악리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오디오 음악장치를 디스플레이부(151)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로 정의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는 사용자의 머리(및 귀)에 고정되어 소리를 출력하는 헤드셋(200)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데이터는 상기 서비스서버(300)에 의하여 수신되거나, 상기 헤드셋(200)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이동 단말기(100)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2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20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헤드셋(200)는 음악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 및 적어도 하나의 음악리스트를 저장하는 독립적인 메모리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셋(200)은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고정부(210)와 상기 고정부(210) 양쪽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양쪽 귀에 소리를 출력하는 제1 및 제2 출력유닛(220, 23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출력유닛(220, 230)은 상기 음악의 재생을 제어하기 위하여 터치입력을 수신하는 제1 및 제2 터치감지부(221, 231)를 포함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터치감지부(221)는 음악의 재생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입력을 수신한다. 도면에는 상기 제1 터치감지부(221)에 상기 터치입력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이미지가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1 터치감지부(221)는 이와 같은 이미지를 포함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감지부(221)에 인가되는 연속적인 터치입력을 감지하여 음악재생상태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감지부(221)의 오른쪽에서 왼쪽방향으로 인가되는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앞으로 이동,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인가되는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뒤로 이동하여 상기 음악을 재생한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감지부(221)의 좌우 양 영역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음악리스트에 포함된 음악 중 다음 또는 이전 음악의 재생을 실행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터치감지부(221)의 하부영역에서 위아래로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의하여 상기 음악의 재생을 일시정지 하거나, 다시 재생시킨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감지부(221)에서 위아래로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음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터치감지부(231)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음악리스트를 전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는 제1 데이터의 음악리스트. 제2 데이터의 음악리스트 및 라디오 방송청취리스트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제2 터치감지부(231)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의하여 재생하고자하는 음악리스트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터치입력에 의하여 변경되는 음악리스트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에 의하여 형성된 통합 음악리스트 및 기 설정된 정보들을 포함하는 추가 음악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음악리스트를 변경하기 위한 제2 터치감지부(231)는 토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토글부재를 가압에 의하여 회전시켜 상기 음악리스트를 변경할 수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상기 헤드셋(200)는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는 마이크(240)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마이크(240)를 통하여 인가되는 음성에 근거하여 상기 헤드셋(200)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마이크(240)가 음악의 가수 및 제목을 포함하는 음성을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에 근거한 음악정보를 검색하고 이를 재생할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셋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드셋에 인가되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진동을 감지하여 음악정보를 추출한다.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헤드셋(200)에 특정 템포(tempo)의 충격이 인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템포(tempo)로 이루어진 음악을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에서 추출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에서 추출한 적어도 하나의 음악을 이용하여 통합 음악리스트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특정 템포를 이루는 음악을 간편하게 검색하거나, 특정 템포를 이루는 음악으로 이루어진 리스트를 보다 간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9v를 참조하여, 헤드셋(200)의 변형을 이용하여 음악의 재생을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출력유닛(220, 230)이 사용자의 귀 또는 머리에 장착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출력유닛(220, 230)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사용자의 귀(또는 머리)로부터 이격됨이 감지되면, 상기 음악재생을 일시정지 하거나 음소거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긴급한 상황에서 별도의 제어 없이 음악의 출력을 일시 정지 할 수 있다.
도 9c를 이용하여 촉각감지부가 형성되는 제1 및 제2 터치감지부의 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헤드셋의 제어부는 상기 음악이 재생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터치감지부(221, 231)에 각각 제1 및 제2 촉각감지부(251, 252)를 출력한다. 상기 제1 및 제2 촉각감지부(251, 252)는 사용자가 촉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양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촉각감지부(251)는 재생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형상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2 촉각감지부(252)는 다음 또는 이전 음악을 재생하기 위한 화살표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및 제2 촉각감지부(251, 25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오디오 재생장치에 음악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오디오 재생장치의 기능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상기 헤드셋(200)은 외부 입력장치(200')와 무선통신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부 입력장치(200')는 손가락에 장착가능하도록 반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손가락에 장착된 상기 외부 입력장치(200')는 상기 손가락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입력장치가 장착된 손가락를 움직여, 가상의 문자를 쓰는 경우, 상기 외부 입력장치는 상기 손가락의 움직임을 분삭하여 상기 문자를 감지한다. 상기 헤드셋(200)는 상기 문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문자를 이용하여 적절한 음악을 검색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자와 가장 유사한 정보를 포함하는 음악을 출력하도록 상기 헤드셋(20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b에 따른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는 상기 헤드셋(200)에 정보를 송신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상기 헤드셋(200)은 고유의 통신아이디를 갖고 있으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다. 즉, 상기 헤드셋(200)은 고유의 아이디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헤드셋(200)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출력하거나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데이터를 상기 헤드셋(200)에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하여 특정 음악의 재생에 관련된 텍스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입력된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헤드셋(200)에, 특정곡의 재생명령을 송신한다. 상기 헤드셋은 상기 재생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특정곡을 검색 및 재생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곡을 재생한다는 응답텍스트를 수신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헤드셋과 상기 이동 단말기가 무선연결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도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헤드셋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0c를 참조하여, 상기 터치감지부(221)를 이용하여 음악을 검색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헤드셋(200)의 메모리는 적어도 하나의 음악 및 통합 음악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터치감지부(221)는 연속적으로 인가되는 사용자의 터치입력를 문자로 인식한다. 상기 헤드셋(200)의 제어부는 상기 터치입력에 의한 문자에 근거하여 음악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터치감지부(221)에 글자를 쓰면, 상기 제어부는 글자에 대한 음악정보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음악정보에 근거하여 음악을 재생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감지부는 상기 헤드셋(200)의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의 수신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입력하는 글자형태의 제어명령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안경형 단말기, 시계형 단말기 및 외부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복수의 음악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기 설정된 서버 또는 외부장치와 무선통신하여, 복수의 음악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합 음악리스트를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를 이루는 복수의 음악정보를 서로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에 포함되는 중복되는 음악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중복되는 한 쌍의 음악정보 중 하나의 음악정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을 실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에서 상기 제2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2 음악을 출력하는 동안 상기 무선통신이 차단된 경우, 상기 제2 음악의 재생을 중단하고 상기 제2 음악정보와 동일한 음악을 상기 제1 데이터로부터 검색하고,
    상기 제어부는 검색된 상기 동일한 음악을 재생하며,
    상기 제2 음악의 재생이 중단시점과 상기 동일한 음악의 재생시점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복되는 한 쌍의 음악정보 중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음악정보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를 근거로 음악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 중 상기 제1 데이터에 포함되는 제1 음악의 재생음질이 기 설정된 기준음질보다 나쁜 경우 상기 제2 데이터에서 제1 음악과 매칭되는 음악정보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음악에 대응되는 복수의 제1 음악정보들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데이터에서 상기 제1 음악정보가 매칭되는 동일음악을 검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데이터에 상기 제1 음악정보들과 매칭되는 동일음악이 없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음악정보들 중 일부 음악정보에만 대응되는 유사음악을 상기 제2 데이터에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악정보들 중 일부 음악정보는 가수, 장르, 앨범, 음악제목 중 일부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 상기 제1 음악과 대응되는 시각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각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수신된 시각정보를 상기 제1 음악과 함께 저장하도록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기준음질을 상기 제1 데이터를 이루는 음악정보에 포함되는 음악의 재생음질과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데이터에 상기 제1 음악정보들과 매칭되는 동일 음악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복수의 제1 음악정보들 중 일부 음악정보에만 대응되는 유사음악을 처음부터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에 관한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외부와의 무선통신연결이 제한된 경우 재생 중인 음악의 재생의 제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팝업윈도우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에 관한 화면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화면정보는, 상기 제1 데이터 또는 상기 제2 데이터에 포함되는 상기 음악정보의 출처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음악리스트에 근거하여 음악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악정보가 출력되는 동안, 상기 출력되는 음악정보의 출처가 변경된 경우 상기 출처이미지를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를 이루는 음악정보는 스트리밍(streaming) 음악정보 및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와 연결된 외부장치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된 음악정보의 일부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는 각 음악이 재생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될 시각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각정보에 근거하여 추가 음악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각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에서 추출된 음악정보와 상기 추출 음악정보로 이루어지는 추가 음악리스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정보는 사용자에 의하여 저장된 각 음악정보에 대한 선호도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하나의 선호도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선호도를 포함하는 음악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선호도와 동일한 선호도를 갖는 추가 음악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추가 음악정보와 상기 추출 음악정보로 이루어지는 추가 음악리스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악에 대한 감정분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부는 재생되었던 음악정보를 근거로 선택된 사용자의 감정에 근거한 특정 감정분류 데이터를 포함하는 음악정보로 이루어지는 통합 음악리스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오디오 재생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에 근거한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리에 포함되는 청취 음악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된 청취 음악정보를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로부터 추출하여 추가 음악리스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는 사용자의 머리에 고정되는 고정부 및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헤드셋에 해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장치.
  20. 복수의 음악정보를 포함하는 제1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 및
    복수의 음악정보를 이용하여 통합 음악리스트를 형성하는 오디오 재생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재생장치는,
    복수의 음악정보를 포함하는 제2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를 이용하여 통합 음악리스트를 형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를 이루는 복수의 음악정보를 서로 비교 하는단계;
    상기 제1 및 제2 데이터에 포함되는 중복되는 음악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중복되는 한 쌍의 음악정보 중 하나의 음악정보를 기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악 재생 시스템.
KR20130119994A 2013-10-08 2013-10-08 오디오 재생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14804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994A KR101480474B1 (ko) 2013-10-08 2013-10-08 오디오 재생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US14/508,800 US9723427B2 (en) 2013-10-08 2014-10-07 Audio playing apparatus and system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994A KR101480474B1 (ko) 2013-10-08 2013-10-08 오디오 재생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3717A KR20130133717A (ko) 2013-12-09
KR101480474B1 true KR101480474B1 (ko) 2015-01-09

Family

ID=49981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9994A KR101480474B1 (ko) 2013-10-08 2013-10-08 오디오 재생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23427B2 (ko)
KR (1) KR1014804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8108B2 (en) 2010-01-18 2016-04-19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8977255B2 (en) 2007-04-03 2015-03-10 Apple Inc.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multi-func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voice-activation
US8676904B2 (en) 2008-10-02 2014-03-1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voice command and contextual data processing capabilities
US20120309363A1 (en) 2011-06-03 2012-12-06 Apple Inc. Triggering notifications associated with tasks items that represent tasks to perform
EP2665208A1 (en) * 2012-05-14 2013-11-20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and decompressing a Higher Order Ambisonics signal representation
US10417037B2 (en) 2012-05-15 2019-09-17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grating third party services with a digital assistant
EP3809407A1 (en) 2013-02-07 2021-04-21 Apple Inc. Voice trigger for a digital assistant
US10652394B2 (en) 2013-03-14 2020-05-12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oicemail
US10748529B1 (en) 2013-03-15 2020-08-18 Apple Inc. Voice activated device for use with a voice-based digital assistant
US10176167B2 (en) 2013-06-09 2019-01-08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erring user intent from speech inputs
US9514133B1 (en) 2013-06-25 2016-12-06 Jpmorgan Chase Bank, N.A.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ed sentiment signal generation through machine learning based streaming text analytics
KR20150090306A (ko) * 2014-01-27 2015-08-06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다수의 단말기 간 컨텐츠 공유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US9966065B2 (en) 2014-05-30 2018-05-08 Apple Inc. Multi-command single utterance input method
US10170123B2 (en) 2014-05-30 2019-01-01 Apple Inc. Intelligent assistant for home automation
US9715875B2 (en) 2014-05-30 2017-07-25 Apple Inc. Reducing the need for manual start/end-pointing and trigger phrases
US9338493B2 (en) 2014-06-30 2016-05-1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TV user interactions
KR102238895B1 (ko) 2014-08-29 2021-04-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제어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장치
KR101664628B1 (ko) * 2014-12-31 2016-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오디오 시스템 및 이의 디지털 방송 음원 재생 방법
US20160246565A1 (en) * 2015-02-24 2016-08-25 Philip J. Shaheen Song beat/exercise tempo synchronization apparatus
US9886953B2 (en) 2015-03-08 2018-02-06 Apple Inc. Virtual assistant activation
US10147443B2 (en) * 2015-04-13 2018-12-04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Matching device, judgment device, and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therefor
US10460227B2 (en) 2015-05-15 2019-10-29 Apple Inc. Virtual assistant in a communication session
US10200824B2 (en) 2015-05-27 2019-02-05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actively identifying and surfacing relevant content on a touch-sensitive device
EP3101612A1 (en) * 2015-06-03 2016-12-07 Skullcandy, Inc. Audio devices and related methods for acquiring audio device use information
US20160378747A1 (en) * 2015-06-29 2016-12-29 Apple Inc. Virtual assistant for media playback
US10671428B2 (en) 2015-09-08 2020-06-02 Apple Inc. Distributed personal assistant
US10331312B2 (en) 2015-09-08 2019-06-25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dia environment
US10740384B2 (en) 2015-09-08 2020-08-11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search and playback
US10747498B2 (en) 2015-09-08 2020-08-18 Apple Inc. Zero latency digital assistant
US10691473B2 (en) 2015-11-06 2020-06-23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in a messaging environment
US10956666B2 (en) 2015-11-09 2021-03-23 Apple Inc. Unconventional virtual assistant interactions
US10171971B2 (en) 2015-12-21 2019-01-01 Skullcandy, Inc. Electrical systems and related methods for providing smart mobile electronic device features to a user of a wearable device
US10223066B2 (en) 2015-12-23 2019-03-05 Apple Inc. Proactive assistance based on dialog communication between devices
US9584653B1 (en) * 2016-04-10 2017-02-28 Philip Scott Lyren Smartphone with user interface to externally localize telephone calls
US10586535B2 (en) 2016-06-10 2020-03-10 Apple Inc. Intelligent digital assistant in a multi-tasking environment
DK201670540A1 (en) 2016-06-11 2018-01-08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DK179415B1 (en) 2016-06-11 2018-06-14 Apple Inc Intelligent device arbitration and control
US11204787B2 (en) 2017-01-09 2021-12-21 Apple Inc. Application integration with a digital assistant
KR102300544B1 (ko) 2017-04-07 2021-09-09 (주)드림어스컴퍼니 모듈형 신호 변환 장치 및 방법
DK180048B1 (en) 2017-05-11 2020-02-04 Apple Inc. MAINTAINING THE DATA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US10726832B2 (en) 2017-05-11 2020-07-28 Apple Inc. Maintaining privacy of personal information
DK201770429A1 (en) 2017-05-12 2018-12-14 Apple Inc. LOW-LATENCY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DK179745B1 (en) 2017-05-12 2019-05-01 Apple Inc. SYNCHRONIZATION AND TASK DELEGATION OF A DIGITAL ASSISTANT
DK179496B1 (en) 2017-05-12 2019-01-15 Apple Inc. USER-SPECIFIC Acoustic Models
US20180336892A1 (en) 2017-05-16 2018-11-22 Apple Inc. Detecting a trigger of a digital assistant
US10303715B2 (en) 2017-05-16 2019-05-28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media exploration
US10818288B2 (en) 2018-03-26 2020-10-27 Apple Inc. Natural assistant interaction
US11145294B2 (en) 2018-05-07 2021-10-12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delivering content from user experiences
US10928918B2 (en) 2018-05-07 2021-02-23 Apple Inc. Raise to speak
US10892996B2 (en) 2018-06-01 2021-01-12 Apple Inc. Variable latency device coordination
DK180639B1 (en) 2018-06-01 2021-11-04 Apple Inc DISABILITY OF ATTENTION-ATTENTIVE VIRTUAL ASSISTANT
DK179822B1 (da) 2018-06-01 2019-07-12 Apple Inc. Voice interaction at a primary device to access call functionality of a companion device
US11462215B2 (en) 2018-09-28 2022-10-04 Apple Inc. Multi-modal inputs for voice commands
US11475898B2 (en) 2018-10-26 2022-10-18 Apple Inc. Low-latency multi-speaker speech recognition
US11348573B2 (en) 2019-03-18 2022-05-31 Apple Inc. Multimodality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US11475884B2 (en) 2019-05-06 2022-10-18 Apple Inc. Reducing digital assistant latency when a language is incorrectly determined
DK201970509A1 (en) 2019-05-06 2021-01-15 Apple Inc Spoken notifications
US11423908B2 (en) 2019-05-06 2022-08-23 Apple Inc. Interpreting spoken requests
US11307752B2 (en) 2019-05-06 2022-04-19 Apple Inc. User configurable task triggers
US11140099B2 (en) 2019-05-21 2021-10-05 Apple Inc. Providing message response suggestions
DK180129B1 (en) 2019-05-31 2020-06-02 Apple Inc. USER ACTIVITY SHORTCUT SUGGESTIONS
DK201970511A1 (en) 2019-05-31 2021-02-15 Apple Inc Voice identification in digital assistant systems
US11289073B2 (en) 2019-05-31 2022-03-29 Apple Inc. Device text to speech
US11496600B2 (en) 2019-05-31 2022-11-08 Apple Inc. Remote execution of machine-learned models
US11360641B2 (en) 2019-06-01 2022-06-14 Apple Inc. Increasing the relevance of new available information
US11468890B2 (en) 2019-06-01 2022-10-11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voice-based control of electronic devices
WO2021056255A1 (en) 2019-09-25 2021-04-01 Apple Inc. Text detection using global geometry estimators
US11038934B1 (en) 2020-05-11 2021-06-15 Apple Inc. Digital assistant hardware abstraction
US11061543B1 (en) 2020-05-11 2021-07-13 Apple Inc. Providing relevant data items based on context
US11755276B2 (en) 2020-05-12 2023-09-12 Apple Inc. Reducing description length based on confidence
CN113727314B (zh) * 2020-05-26 2024-04-16 深圳市三诺数字科技有限公司 无线耳机的控制方法、装置、移动设备、存储介质及系统
US11490204B2 (en) 2020-07-20 2022-11-01 Apple Inc. Multi-device audio adjustment coordination
US11438683B2 (en) 2020-07-21 2022-09-06 Apple Inc. User identification using headphon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7880A (ja) * 2005-03-30 2006-10-12 Sony Corp ユーザ端末およびコンテンツ探索呈示方法
JP2007164914A (ja) * 2005-12-15 2007-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用音楽再生装置
US7302468B2 (en) * 2004-11-01 2007-11-27 Motorola Inc. Local area preference determination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51195A (ja) * 2002-10-29 2004-05-27 Sony Corp 通信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記憶媒体、端末装置
WO2007019510A2 (en) * 2005-08-05 2007-02-15 Realnetworks, Inc. Personal media device
US7653761B2 (en) * 2006-03-15 2010-01-26 Microsoft Corporation Automatic delivery of personalized content to a portable media player with feedback
US7444388B1 (en) * 2006-04-13 2008-10-28 Concert Technolog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obtaining media content for a portable media player
US8060825B2 (en) * 2007-01-07 2011-11-15 Apple Inc. Creating digital artwork based on content file metadata
US20100179865A1 (en) * 2009-01-09 2010-07-15 Qualcomm Incorporated Multimedia content cache
US9183881B2 (en) * 2009-02-02 2015-11-10 Porto Technology, Llc System and method for semantic trick play
US20120039481A1 (en) * 2010-07-15 2012-02-16 Mcclain John Headphones system
US8266115B1 (en) * 2011-01-14 2012-09-11 Google Inc. Identifying duplicate electronic content based on metadat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02468B2 (en) * 2004-11-01 2007-11-27 Motorola Inc. Local area preference determination system and method
JP2006277880A (ja) * 2005-03-30 2006-10-12 Sony Corp ユーザ端末およびコンテンツ探索呈示方法
JP2007164914A (ja) * 2005-12-15 2007-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用音楽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23427B2 (en) 2017-08-01
KR20130133717A (ko) 2013-12-09
US20150100144A1 (en) 2015-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474B1 (ko) 오디오 재생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KR10183065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12792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108893B1 (ko) 이동 단말기
CN104111772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KR10191769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11315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09069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1070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917695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81046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60006341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09032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5003205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4011062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10031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5544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96852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5544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40055981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2015003008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68823A (ko) 이동 단말기
KR20160006518A (ko) 이동 단말기
KR101448650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6639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