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7393B1 - Coil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Coil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7393B1
KR101477393B1 KR20130059886A KR20130059886A KR101477393B1 KR 101477393 B1 KR101477393 B1 KR 101477393B1 KR 20130059886 A KR20130059886 A KR 20130059886A KR 20130059886 A KR20130059886 A KR 20130059886A KR 101477393 B1 KR101477393 B1 KR 101477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bobbin
legs
core
bobb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598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13249A (en
Inventor
이영민
김종우
박근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3/947,496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40265912A1/en
Priority to CN201420068390.1U priority patent/CN203983010U/en
Priority to CN201320490679.8U priority patent/CN203644537U/en
Publication of KR20140113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32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7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73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코일부를 하나의 부품 내에 배치하면서 상호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코일 부품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코일이 권선되는 두 개의 몸체부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보빈부; 및 상기 몸체부에 삽입되는 두 개의 내부 레그와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두 개의 외부 레그 및 상기 내부 레그들과 상기 외부 레그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레그와 상기 외부 레그 및 상기 연결부는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되는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는 상기 두 개의 몸체부에 권선된 각 코일들에 대해 독립적인 자속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il component capable of placing a plurality of coil parts in one component while minimizing mutual interference. To this end, a coil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bbin part in which two body parts where coils are wound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two outer leg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inner legs and the outer legs, wherein the inner legs and the outer legs and the connecting portions, And the core may provide an independent magnetic flux path for each of the coils wound on the two body portions.

Description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COIL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il component,

본 발명은 코일 부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의 코일부를 하나의 부품 내에 배치하면서 상호 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il compon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il component and an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coil component, in which a plurality of coil parts are disposed in one component while minimizing interference between the components.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나 프린터 및 기타 전기, 전자기기에는 전원 공급장치로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가 사용된다. Switching mode power supply (SMPS) is generally used as a power supply for display devices, printers, and other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SMPS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컴퓨터, TV, VCR, 교환기, 무선 통신 기기 등 각종 전기, 전자기기에 맞도록 변환시켜 주는 모듈형의 전원공급장치로, 반도체 스위칭 특성을 이용해 상용 주파수 이상의 고주파에 단속 제어를 하고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SMPS is a modular power supply unit that converts external power supplied to various electric and electronic equipment such as computer, TV, VCR, exchanger,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etc., Control and mitigates the impact.

최근, TV가 대형화함에 따라 높은 전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대형 패널의 백 라이트를 점등시키기 위해 SMPS에는 복수의 코일부품(예컨대, DCDC 컨버터)가 탑재되고 있다. In recent years, as the TV becomes larger, higher power is required. To this end, a plurality of coil components (for example, a DCDC converter) are mounted in the SMPS to light up the backlight of a large panel.

종래의 SMPS에 탑재되는 비절연 승압 타입의 DCDC 컨버터의 경우, 일반적으로1개 컨버터 회로에 1개의 코일 부품에 실장되어 이용되고 있다.In the case of a DCDC converter of a non-insulation-boosting type mounted on a conventional SMPS, it is generally used by being mounted on one coil component in one converter circuit.

그러나 패널이 대형화됨에 따라, 다수개의 코일 부품이 SMPS에 탑재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SMPS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다수의 코일 부품들을 기판에 실장해야 생산속도가 느리고, 제조 비용도 높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as the panel becomes larger, a plurality of coil parts are mounted on the SMPS, which cause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SMPS becomes larger. In addition, it is disadvantageous in that the production speed is slow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because a plurality of coil parts must be mounted on a substrate.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5-0007240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5-0007240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코일 부품들을 일체화하여 통합된 하나의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tegrated coil component by integrating a plurality of coil components and a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코일들이 하나의 부품으로 통합되더라도 상호간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코일 부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il component and a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which can minimize mutual interference even when a plurality of coils ar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코일이 권선되는 두 개의 몸체부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보빈부; 및 상기 몸체부에 삽입되는 두 개의 내부 레그와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두 개의 외부 레그 및 상기 내부 레그들과 상기 외부 레그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레그와 상기 외부 레그 및 상기 연결부는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되는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는 상기 두 개의 몸체부에 권선된 각 코일들에 대해 독립적인 자속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A coil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obbin part in which two body parts on which coils are wound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two outer leg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inner legs and the outer legs, wherein the inner legs and the outer legs and the connecting portions, And the core may provide an independent magnetic flux path for each of the coils wound on the two body portions.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상기 내부 레그들과 상기 외부 레그들이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re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inner legs and the outer legs are arranged side by 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目′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re may be formed in an 'eye' shap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상기 내부 레그들에 각각 간극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re may be provided with a gap in each of the inner legs.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동일한 형상의 제1, 제2 보빈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bobbin may be formed by coupling first and second bobbins of the same shape.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보빈은, 관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단자부의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bobbins may include a body portion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a terminal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wherein the body portion is disposed to be offset toward one side of the terminal portio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보빈은, 상기 몸체부가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bobbins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such that the body portion i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상기 단자부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상기 보빈과 결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re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portion and coupled with the bobbin.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보빈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와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가 상기 단자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제2 보빈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and at least one insertion portion are formed in the terminal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bbins, respectively. As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bobbins Can be mutually coupled.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다수의 외부 접속 단자들이 체결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 plurality of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can be fastened to the terminal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두 개의 내부 레그와 두 개의 외부 레그, 및 상기 내부 레그와 상기 외부 레그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내부 레그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제2 코일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레그들과 상기 외부 레그들, 및 상기 연결부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코어는 제1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에 대해 각각 독립적인 자속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The coil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core including two inner legs, two outer legs,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inner leg and the outer leg; And first and second coil portion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inner legs, wherein the inner legs, the outer legs, and the connecting portion ar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overall cross-sectional area, And provide magnetic flux paths independent of each other for the second coil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관형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단자부의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제1 보빈; 상기 제1 보빈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보빈; 및 상기 제1 보빈과 상기 제2 보빈에 동시에 결합되는 코어;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는 상기 제1, 제2 보빈의 몸체부에 내에 삽입되는 부분과, 상기 제1, 제2 보빈의 몸체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되고, 제1 보빈과 상기 제2 보빈에 대해 각각 독립적인 자속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oil component comprising: a body portion formed in a tubular shape; a terminal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and formed to be longer than a diameter of the body portion; wherein the body portion is disposed to be offset to one side of the terminal portion A first bobbin; A second bobbin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bobbin; And a core coupled to the first bobbin and the second bobbin at the same time, wherein the core includes a portion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bbins, and a portion of the body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bbins, The portions exposed to the outside may b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and each of the first bobbin and the second bobbin may be provided with independent magnetic flux paths.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보빈은, 상기 몸체부가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서로 결합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and second bobbins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such that the body portion i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적어도 두 개의 광원; 및 상기 광원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광원에 전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두 개의 광원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광원 구동부는 각각 입력된 전압을 변압하는 코일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코일부는 하나의 코어를 공유하되, 상기 코어는 상기 코일부들에 대해 각각 독립적인 자속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at least two light sources; And at least two light source drivers each connected to the light source to supply power to the light source, wherein the two light source drivers each have a coil part for transforming an input voltage, and each of the coil parts has one The core sharing a magnetic flux path independent of the coil portions.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다수의 LED가 연결되어 형성된 LED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ght source may include an LED array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LEDs.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원 구동부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light source driving unit may include a DC / DC converter.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다수의 광원; 및 상기 광원들에 각각 연결되어 전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DC/DC 컨버터;를 포함하며, 다수의 상기 DC/DC 컨버터 중 적어도 어느 2개는 각각의 코일이 하나의 코어를 공유하되, 상기 코어는 상기 코일부들에 대해 각각 독립적인 자속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a plurality of DC / DC converters each coupled to the light sources to provide power, wherein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DC / DC converters each share one core, Thereby providing independent magnetic flux paths to the coil por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다수의 광원; 및 상기 광원들에 각각 연결되어 전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DC/DC 컨버터;를 포함하며, 다수의 상기 DC/DC 컨버터 중 적어도 어느 2개는 입력된 전압을 변압하기 위해 상기한 코일 부품을 공유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a plurality of DC / DC converters each coupled to the light sources to provide power,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DC / DC converters sharing the coil component to transform the input voltage .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하나의 부품에 두 개의 코일부를 함께 구성하고, 하나의 코어만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2개의 코일부가 각각 별도의 부품으로 실장되는 종래에 비해, 기판 상에서 실장되는 공간(또는 면적)을 줄일 수 있다. The coil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nstitute two coil parts together in one part, and to use only one core. Therefore, the space (or area) to be mounted on the substrate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ase where the two coil portions are mounted as separate componen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2 개의 코일부를 하나의 부품으로 통합시키더라도, 코어 내에서 결합 계수가 '0'에 가깝게 형성되므로, 두 개의 코일부를 각각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하는 경우와 동일한 효율을 얻을 수 있다.Further, even though the coil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two coil parts into one component, since the coupling coefficient is formed close to '0' in the core, the case where two coil parts are constituted as separate parts The same efficiency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코어와 결합되는 2개의 보빈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한 종류의 보빈을 다수 개 제조한 후, 이 중 2개의 보빈을 상호 결합함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Further, in the coil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bobbins coupled to the core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ccordingly, after a plurality of bobbins of one kind are manufactured, the two coil bobbins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manufacture the coil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is easy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에서 코일을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보빈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보빈부에서 하나의 보빈 만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2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도 1의 B-B′에 따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회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il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il part shown in Fig. 1, with the coil omitte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il component shown in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obbin portion of Fig. 1;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one bobbin in the bobbin portion of FIG. 4;
6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AA 'in FIG. 2;
Figures 7 and 8 are cross-sectional views along BB 'of Figure 1;
9 is a circuit diagram of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and the size of each elem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에서 코일을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코일 부품의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il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il part shown in Fig. 1 without a coil, Fig. 3 is a cross- Fig.

또한 도 4는 도 1의 보빈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보빈부에서 하나의 보빈 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bobbin portion of FIG. 1, an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one bobbin in the bobbin portion of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보빈부(20), 코일(70), 및 코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1 to 5, a coil componen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bbin 20, a coil 70, and a core 40.

보빈부(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보빈들(20a, 20b)로 구성될 수 있다. The bobbin portion 2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bobbins 20a and 20b, as shown in FIG.

또한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보빈들(20a, 20b)은 내부 중심에 관통공(21)이 형성되는 관 형상의 몸체부(22)와, 몸체부(22)의 양단에서 몸체부(22)의 외경 방향으로 수직하게 확장되어 형성되는 플랜지부(23), 그리고 플랜지부에서 확장되어 형성되는 단자부(25)를 포함할 수 있다.4 and 5, each of the bobbins 20a and 20b includes a tubular body portion 22 having a through hole 21 formed at an inner center thereof, A flange portion 23 formed to extend perpendicularly to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of the portion 22, and a terminal portion 25 formed to extend from the flange portion.

몸체부(22)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21)은 후술되는 코어(40)의 일부가 삽입되는 통로로 이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관통공(21)의 단면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는 관통공(21)에 삽입되는 코어(40)의 형상에 따라 형성된 구성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관통공(21)에 삽입되는 코어(4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관통공(21)을 형성할 수 있다.
The through hole 21 formed in the body portion 22 is us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a part of a core 40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 this embodiment, the cross-section of the through-hole 2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is structure is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core 4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1,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through holes 21 can be formed in various forms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core 4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21. [

플랜지부(23)는 몸체부(22)의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몸체부(22)의 외주면과 두 개의 플랜지부(2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후술되는 코일(70)이 권선되는 권선부(28)로 이용된다. 따라서 플랜지부(23)는 권선부(28)에 권선되는 코일(70)을 양측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코일(70)을 보호하고, 외부와 코일(70) 간의 절연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lange portions 23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22, respectively.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2 and the two flange portions 23 is used as a winding portion 28 in which a coil 70 to be described below is wound. The flange portion 23 serves to support the coil 70 wound on the winding portion 28 from both sides and protects the coil 70 from the outside and ensures insulation between the outside and the coil 70 .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는 후술되는 어느 하나의 플랜지부(23) 외부면에 돌출부(27)가 구비된다. 돌출부(27)는 플랜지부(23)의 외부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육안으로 식별이 용이하도록 관통공(21)의 상측에 형성되는 플랜지부(23)에 형성될 있다. Also, the coil par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projecting portion 27 on the outer surface of any one of the flange portions 23 described later. The projecting portion 27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3 and may be formed on the flange portion 23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through hole 21 so as to be visually recognizable have.

본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27)는 코일(70)을 보빈(20)에 자동(또는 수동)으로 권선하는 경우, 코일의 권선 방향을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해 구비된다. The protrusion 27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to easily identify the winding direction of the coil when the coil 70 is automatically (or manually) wound on the bobbin 20.

단자부(25)는 보빈(20)의 몸체부(22) 양단 즉 플랜지부(23)에서 외부로 확장되는 형태로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접속 단자(60)가 체결될 수 있다. The terminal portion 25 may be formed to extend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22 of the bobbin 20, that is, the flange portion 23, and at least on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60 may be fastened.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부(25)는 몸체부의 내부면 중 일부가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플랜지부와 대략 수직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4 and 5, the terminal portion 2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extends,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flange portion.

또한 단자부(25)는 몸체부(22)를 기준으로 하여 대칭이 아닌, 어느 한 쪽이 더 길게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20a, 20b)은 몸체부(22)가 단자부(25)의 중심이 아닌, 단자부(25)에서 어느 한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Also, the terminal portion 25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is not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body portion 22, and one of the terminal portions 25 is longer. That is, the bobbins 20a and 2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body portion 22 is disposed not at the center of the terminal portion 25 but at a position offset from the terminal portion 25 to one side.

단자부(25)의 측면에는 결합 돌기(25a)와 삽입부(25b)가 형성될 수 있다. 결합 돌기(25a)와 삽입부(25b)는 두 개의 보빈들(20a, 20b)을 결합하여 일체로 형성하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결합 돌기(25a)와 삽입부(25b)는 두 개의 보빈(20a, 20b)이 결합 될 때, 결합 돌기(25a)들이 다른 보빈(20a, 20b)의 삽입부(25b)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 coupling protrusion 25a and an inserting portion 25b may be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terminal portion 25. The coupling protrusions 25a and the insertion portions 25b are provided to integrally form the two bobbins 20a and 20b. The engaging projections 25a and the inserting portions 25b are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two bobbins 20a and 20b are engaged, the engaging projections 25a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ng portions 25b of the other bobbins 20a and 20b .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70)은 단자부(25)의 일단에 각각 결합 돌기(25a)와 삽입부(25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부(25)의 양단에 모두 결합 돌기(25a)와 삽입부(25b)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보빈들(20a, 20b)은 다양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coil component 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have a coupling protrusion 25a and an insertion portion 25b formed at one end of the terminal portion 25, respectively.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coupling protrusions 25a and the insertion portions 25b at both ends of the terminal portion 25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the bobbins 20a and 20b can be coupled in various directions.

외부 접속 단자(60)는 단자부(25)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단자부(25)에 체결될 수 있다.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60 can be fastened to the terminal portion 25 in such a manner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terminal portion 25. [

본 실시예에서는 단자부(25)의 하부면에서 하부로 외부 접속 단자(60)가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60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portion 25 as an example.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외부 접속 단자(60)가 단자부(25)의 측면에서 수평하게 돌출되도록 체결될 수 있으며, 외부 접속 단자(60)의 일부가 절곡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60 may be fastened so as to protrude horizontally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terminal portion 25, or a part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60 may be bent.

또한 도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부(25)는 4개의 외부 접속 단자(60)를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코일(70)의 개수에 대응하여 다양한 개수로 외부 접속 단자(60)를 형성할 수 있다.3 and 5, the terminal portion 25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four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60. As shown in Fig.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60 can be formed in various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coils 70.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20)는 2개가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제2 보빈(20a, 20b)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보빈들(20a, 20b)로 형성될 수 있다. The two bobbins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integrally formed by being combined. In particular, the first and second bobbins 20a and 2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of bobbins 20a and 20b having the same shape.

제1, 제2 보빈(20a, 20b)은 몸체부(22)가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제2 보빈(20a, 20b)은 몸체부(22)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결합된다. 또한, 제1, 제2 보빈(20a, 20b)은 각각의 결합 돌기(25a)가 서로의 삽입부(25b)에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bobbins 20a and 20b may be coupled such that the body portions 22 are arranged side by side. Referring to FIG. 4, the first and second bobbins 20a and 2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coupled such that the body portions 22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bobbins 20a and 20b may be coup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respective engaging projections 25a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ng portions 25b.

이와 같이 제1, 제2 보빈(20a, 20b)이 결합됨에 따라, 제1, 제2 보빈(20a, 20b)은 각각의 몸체부(22)가 코일 부품(100)의 중심부에 배치되고, 몸체부(22)의 외측에는 단자부(25)가 돌출되는 공간이 형성된다.As the first and second bobbins 20a and 20b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bobbins 20a and 20b are arranged such that the respective body portions 22 are dispos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il component 100, A space in which the terminal portion 25 protrudes is formed outside the portion 22.

그리고 이러한 공간에는 후술되는 코어(40)의 외부 레그(42a, 42b)가 배치된다. 따라서 몸체부(22)에서 돌출된 단자부(25)의 상부 영역은 코어(40)의 외부 레그(42a, 42b)를 위한 공간으로 이용되며, 단자부(25)가 몸체부(22)로부터 돌출되는 거리는 외부 레그(42a, 42b)의 길이(또는 두께)에 대응하는 거리로 형성될 수 있다.In this space, the outer legs 42a and 42b of the core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disposed. The upper portion of the terminal portion 25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22 is used as a space for the outer legs 42a and 42b of the core 40 and the distance of the protrusion of the terminal portion 25 from the body portion 22 (Or thickness) of the outer legs 42a and 42b.

이러한 보빈부(20)는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레스 가공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들(20a, 20b)은 절연성의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내열성과 고내전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Such a bobbin portion 20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nufactur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press working. In addition, the bobbins 20a and 2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preferably made of an insulating resin material, and are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heat resistance and high withstand voltage.

보빈부(20)를 형성하는 재질로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액정폴리에스테르(LCP),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페놀계 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As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bobbin portion 20, polyphenylene sulfide (PPS), liquid crystal polyester (LCP),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have.

코일(70, coil)은 보빈들(20a, 20b)에 형성된 권선부(28)에 각각 권선된다.The coils 70 are wound on the winding portions 28 formed on the bobbins 20a and 20b, respectively.

코일(70)은 한 가닥의 와이어가 이용될 수 있으며, 여러 가닥을 꼬아 형성한 리쯔 와이어(Ritz Wire)가 이용될 수도 있다. 코일(70)의 끝단인 리드선은 후술되는 단자부(25)에 구비되는 외부 접속 단자(60)와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coil 70 may be a single stranded wire, or a plurality of stranded twisted Ritz Wire may be used. The lead wire that is the end of the coil 70 may be electrically and phys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60 provided in the terminal portion 25 described later.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두 개의 보빈(20a, 20b)에 권선되는 각각의 코일들(70)이 서로 다른 방향(즉 반대되는 방향)으로 권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하나의 보빈(20)에 코일 시계 방향으로 권선되는 경우, 나머지 하나의 보빈(20)에는 코일이 반시계 방향으로 권선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상기와 반대로 권선하거나, 두 개 코일을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권선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Meanwhile, in the coil compon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ach of the coils 70 wound on the two bobbins 20a and 20b can be wound in different directions (i.e., opposite directions). For example, when the bobbin 20 is wound on the bobbin 20 in the clockwise direction, the coil may be wound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wind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the case may be required, or winding both coils in the same direction are possibl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제2 보빈(20a, 20b)에는 각각 코일(70)이 권선되며, 이러한 코일(70)은 후술되는 코어(40)와의 전자기 결합을 통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코일(70)이 권선된 제1 보빈(20a)과 코어(40)는 제1 코일부로 동작하며, 코일(70)이 권선된 제2 보빈(20b)과 코어(40)는 제1 코일부와 독립적인 제2 코일부로 동작할 수 있다.
The coil 70 is wound on the first and second bobbins 20a and 20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these coils 70 operat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through electromagnetic coupling with the core 40 . That is, the first bobbin 20a and the core 40, in which the coil 70 is wound, act as a first coil part, and the second bobbin 20b and the core 40, in which the coil 70 is wound, And can operate as a second coil part independent of the part.

코어(40, core)는 일부가 보빈들(20a, 20b)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21)에 삽입되어 코일(70)과 전자기 결합하는 자로를 형성한다.The core 40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1 formed in the bobbins 20a and 20b to form a magnetic path for electromagnetic coupling with the coil 70. [

본 실시예에 따른 코어(4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보빈(10)의 관통공(11)에 일부가 삽입되어 서로 마주 접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The core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formed as a pair and can be partial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11 of the bobbin 10 so as to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코어(40)는 다수의 레그들(41a, 41b, 42a, 42b)을 포함하는 페라이트 코어로서, 코일(70)에 전류가 흐름에 따라 발생되는 자기장의 경로로 이용될 수 있다.The core 40 is a ferrite core including a plurality of legs 41a, 41b, 42a, and 42b, and can be used as a path of a magnetic field generated as current flows through the coil 70. [

한 쌍의 코어(40a, 40b)는 서로 대칭을 이루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코어(40)의 제작이 간단하고 조립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The pair of cores 40a and 40b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symmetrical to each other.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re 40 is simple to manufacture and easy to assemble.

또한 한 쌍의 코어(40a, 40b)는 각각 보빈들(20a, 20b)의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 레그(41a, 41b)와 보빈부(20)의 외부에 배치되는 외부 레그(42a, 42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레그(41a, 41b)와 외부 레그(42a, 42b)는 연결부(43)에 의해서 연결된다. The pair of cores 40a and 40b have inner legs 41a and 41b inserted into the bobbins 20a and 20b and outer legs 42a and 42b disposed outside the bobbin 20 And the like. The inner legs 41a and 41b and the outer legs 42a and 42b are connected by a connecting portion 43. [

내부 레그(41a, 41b)는 몸체부(22)의 관통공(11) 내부로 삽입된다. 따라서, 내부 레그(41a, 41b)의 단면은 관통공(21)의 단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삽입이 용이하도록 관통공(21)보다 작은 단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legs 41a and 41b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s 11 of the body portion 22. [ Therefore, the inner legs 41a and 41b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d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1, and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cross sectional area than the through hole 21 so as to facilitate insertion.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공(21)이 사각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내부 레그(41a, 41b)도 사각 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through hole 21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ccordingly, the inner legs 41a and 41b can be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a rectangular shape.

이러한 내부 레그(41a, 41b)는 끝단이 관통공(21)의 대략 중앙 부분에서 서로 대면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레그들(41a, 41b)이 대면하는 끝단 사이에는 간극(45)이 형성될 수 있다. The inner legs 41a and 41b may be coupled such that their ends face each other in a substantially central portion of the through hole 21. Between the ends of the inner legs 41a and 41b facing each other, The gap 45 can be formed.

외부 레그(42a, 42b)는 보빈부(20)의 외부에서 몸체부(22)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레그(42a, 42b)는 내부 레그(41a, 41b)와 동일하거나 더 넓은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outer legs 42a, 42b may be disposed parallel to the body portion 22 outside the bobbin portion 20. The outer legs 42a and 42b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or wider cross section as the inner legs 41a and 41b.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 레그(42a, 42b)는 보빈(20a, 20b)의 몸체부(22)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outer legs 42a and 42b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body portion 22 of the bobbins 20a and 20b.

연결부(43)는 내부 레그(41a, 41b)와 외부 레그(42a, 42b) 사이를 연결한다. 또한 연결부(43)는 외부 레그(42a, 42b)와 마찬가지로, 내부 레그(41a, 41b)와 동일하거나 더 넓은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43 connects between the inner legs 41a and 41b and the outer legs 42a and 42b. The connecting portion 43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or wider cross section as the inner legs 41a and 41b, like the outer legs 42a and 42b.

또한 연결부(43)의 하부면은 전술한 단자부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단자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ion 43 may be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portion and supported by the terminal portion.

이러한 코어(40)는 다른 재질에 비해 고투자율, 저손실, 높은 포화자속밀도, 안정성 및 낮은 생산 비용을 갖는 Mn-Zn계 페라이트(ferrite)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어(40)의 재질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core 40 may be formed of Mn-Zn ferrite having high permeability, low loss, high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stability, and low production cost as compared with other materials. However, the material of the core 40 is not limi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코어(40)가 ′目′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 레그(41a, 41b)와 외부 레그(42a, 42b)는 모두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에 따라 코어(40)에 결합되는 2개의 보빈들(20a, 20b)은 몸체부(22)가 평행을 이루며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Meanwhile, in this embodiment, the core 40 is formed in an 'eye' shape, and the inner legs 41a and 41b and the outer legs 42a and 42b are arranged in parallel. Accordingly, the two bobbins 20a and 20b coupled to the core 40 can be arranged in parallel so that the body portions 22 are parallel to each other.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는 2개의 코일부(도 7의 L1, 도 8의 L2)를 하나의 코일 부품(70)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코일 부품(70)을 구성하는 경우, 2개의 코일부는 하나의 코어(40)를 공유하게 된다.The coil compon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wo coil parts (L1 in FIG. 7 and L2 in FIG. 8) are constituted by one coil part 70. However, when the coil component 70 i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two coil portions share one core 40. [

이러한 경우, 각 코일부에 의해 코어(40)에 발생하는 각각의 자속은 서로 간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respective magnetic fluxes generated in the core 40 by the respective coil portions do not cause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70)은 코어(40)에 발생하는 자속의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내부 레그(41a, 41b)와 외부 레그(42a, 42b), 그리고 연결부(43)가 모두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된다.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of the magnetic fluxes generated in the core 40, the coil component 7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e inner legs 41a and 41b, the outer legs 42a and 42b, And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도 6은 도 2의 에 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1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and FIGS. 7 and 8 are cross-sectional views along the line B-B' of FIG.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40)는 보빈(20a, 20b)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의 단면적(A2, A3)과, 보빈(20a, 20b)의 외부에 배치되는 부분의 단면적(A1, A4)이 서로 동일한 단면적으로 형성되어야 코어(40) 내에서 자속 밀도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어(40)는 내부 레그(41a, 41b)와 외부 레그(42a, 42b), 그리고 연결부(43)가 모두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레그(41a, 41b)의 중심에는 간극이 형성된다. 6, the core 40 has a cross-sectional area A2, A3 of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bobbins 20a, 20b and a cross-sectional area of the portion disposed outside the bobbins 20a, 20b A1, and A4 are formed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as each other, the magnetic flux density in the core 40 can be kept constant. For this, the core 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inner legs 41a and 41b, the outer legs 42a and 42b, and the connecting portion 43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Also, a gap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inner legs 41a and 41b.

일반적으로 코어(40) 내에 형성되는 자속은 가장 흐르기 쉬운 경로를 따라 형성된다. 제1 코일부(L1)에 의해 형성되는 자속의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B, C 방향으로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B 경로의 경우, 내부 레그(41a, 41b)의 간극(45)으로 인해 자속이 흐르기 어려우며, C 경로의 경우 경로의 전체적인 길이가 길어진다. 따라서, 제1 코일부(L1)에 의해 형성되는 모든 자속은 A 경로를 따라 형성된다. Generally, the magnetic flux formed in the core 40 is formed along the most flowable path. In the case of the magnetic flux formed by the first coil portion L1, a path can be formed in the directions A, B, and C as shown in FIG. However, in the case of the B path, it is difficult for the magnetic flux to flow due to the gap 45 of the inner legs 41a and 41b, and in the case of the C path, the overall length of the path becomes longer. Therefore, all of the magnetic fluxes formed by the first coil portion L1 are formed along the A path.

마찬가지로, 제2 코일부(L2)에 의해 형성되는 자속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D, E, F 방향으로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E 방향의 경우, 내부 레그(41a, 41b)의 간극(45)으로 인해 자속이 흐르기 어려우며, F 방향의 경우 경로의 길이가 길어진다. 따라서, 제2 보빈(20b)에 의해 형성되는 모두 자속은 D 방향으로 흐를 수 있다.Similarly, the magnetic flux formed by the second coil portion L2 can be formed in the D, E, and F directions as shown in Fig. However, in the case of the E direction, the magnetic flux hardly flows due to the gaps 45 of the inner legs 41a and 41b, and the length of the path becomes longer in the F direction. Therefore, all the magnetic fluxes formed by the second bobbin 20b can flow in the D direction.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어(40)는 내부 레그(41a, 41b)와 외부 레그(42a, 42b), 그리고 연결부(43)가 모두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자속이 A 경로와 D 경로로 동시에 형성되더라도 서로 간섭이 독립적인 경로들로 형성되며, 자속이 형성되는 각 경로들은 모두 동일한 단면적으로 구성되므로, 자속 밀도의 감쇄 없이 자속을 유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re 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inner legs 41a and 41b, the outer legs 42a and 42b, and the connecting portion 43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Therefore, even if the magnetic flux is 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A path and the D path, the paths are formed as independent paths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d each of the paths in which the magnetic flux is formed has the same cross sectional area, so that the magnetic flux can be maintained without attenuation of the magnetic flux density.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제1 코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자속이 A 경로를 따라 형성되고, 제2 코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자속이 D 경로를 따라 형성되므로, 코어 내에 형성되는 두 자속 상호 간에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us, since the magnetic flux formed by the first coil part is formed along the path A and the magnetic flux formed by the second coil part is formed along the path D, the two coil parts formed in the c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interference with each other.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동일한 코어 내에서 제1 코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자속과 제2 코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자속 사이의 결합 계수(coupling factor, K)가 '0'에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coil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upling factor K between the magnetic flux formed by the first coil portion and the magnetic flux formed by the second coil portion in the same core is formed to be close to '0' .

본 발명과 다르게, 두 자속 상호 간에 간섭이 발생하여 코어 내의 결합 계수가 크게 형성되면, 2개의 코일부의 부하 변동에 의해 코일부의 듀티(Duty)에 시간 차가 발생하게 되고 그 시간 차이 동안 다른 한쪽의 코일이 포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코일부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Unlike the present invention, when interference occurs between two magnetic fluxes and a coupling coefficient in the core is largely formed, a time difference occurs in the duty of the coil part due to the load fluctuation of the two coil part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il of the coil part becomes saturated, which may reduce the efficiency of the coil part.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두 개의 코일부가 하나의 코어를 이용하더라도 결합 계수가 '0'에 가깝게 형성되므로, 두 개의 코일부에 의해 형성되는 자속들 간에 간섭이 거의 없다. However, since the coupling coeffici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close to '0' even if two coil portions use one core, there is almost no interference between the magnetic fluxes formed by the two coil portions.

따라서 하나의 부품으로 두 개의 코일부를 구성하더라도, 두 개의 코일부를 각각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하는 경우와 동일한 효율을 얻을 수 있다.
Therefore, even if two coil parts are constituted by one part, the same efficiency as that obtained by forming the two coil parts as separate parts can be obtained.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하나의 부품에 두 개의 코일부를 함께 구성하고, 하나의 코어만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2개의 코일부가 각각 별도의 부품으로 실장되는 종래에 비해, 기판 상에서 실장되는 공간(또는 면적)을 줄일 수 있다. The coil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o that two coil parts are formed together in one component and only one core is used. Therefore, the space (or area) to be mounted on the substrate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ase where the two coil portions are mounted as separate components.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2 개의 코일부를 하나의 부품으로 통합시키더라도, 코어 내에서 결합 계수가 '0'에 가깝게 형성되므로, 두 개의 코일부를 각각 별도의 부품으로 구성하는 경우와 동일한 효율을 얻을 수 있다.Further, even if two coil parts are integrated into one part, the coil par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formed so that the coupling coefficient is close to '0' in the core. Therefore, when the two coil parts are constituted by separate parts The same efficiency can be obtain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코어와 결합되는 2개의 보빈이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한 종류의 보빈을 다수 개 제조한 후, 이 중 2개의 보빈을 상호 결합함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가 용이하고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Further, in the coil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two bobbins coupled to the core are formed in the same shape. Accordingly, after a plurality of bobbins of one kind are manufactured, the two coil bobbins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manufacture the coil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u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is easy and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의 회로도이다. 9 is a circuit diagram of an electronic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기기의 예로,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조명 기기나, 광원을 통해 빛을 발산하는 모든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n example of an electronic apparatus will be described by taking a display apparatus as an example.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include various lighting devices and all devices that emit light through a light source.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는, 액정 패널에 빛을 공급하는 광원부(S)와, 광원부(S)에 전력을 공급하는 광원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light source unit S for supplying light to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a light source driver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unit S. [

광원부(S)는 직류전원(DC)을 이용하여 구동되는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이하 'LED')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부(S)는 복수개의 광원들(S1, S2)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광원들(S1, S2)은 하나의 LED 또는 복수개의 LED로 구성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unit S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LED) driven by a DC power source. The light source unit S may include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S1 and S2 and each of the light sources S1 and S2 may include one LED or a plurality of LEDs.

또한 각 광원들(S1, S2)은 복수의 LED 일정 개수가 기판에 실장된 어레이(Array)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LED는 후술되는 광원 구동부로부터 공급되는 구동전원을 통해 구동되며, 일정 레벨 이상의 전압 값을 가지는 직류전원을 통해 발광하게 된다. Each of the light sources S1 and S2 may be arranged in the form of an array in which a predetermined number of LEDs are mounted on a substrate. Here, the LED is driven through a driving power source supplied from a light source driving uni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emits light through a DC power source having a voltage value higher than a predetermined level.

광원 구동부는 광원부(S)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광원 구동부는 입력 전원을 광원부(S)의 구동에 적합한 직류전원으로 변압 시키기 위한 DC/DC 컨버터(CV1, CV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ight source driving unit supplies electric power to the light source unit S. To this end, the light source driving unit may include DC / DC converters CV1 and CV2 for converting the input power source to a DC power source suitable for driving the light source unit S. [

DC/DC 컨버터(CV1, CV2)는 광원(S1, S2)의 개수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광원부(S)는 2개의 LED 어레이(S1, S2)를 포함한다. 따라서 DC/DC 컨버터(CV1, CV2)는 2개가 구비되어 각각의 LED 어레이(S1, S2)에 연결될 수 있다. The DC / DC converters CV1 and CV2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light sources S1 and S2. In this embodiment, the light source section S includes two LED arrays S1 and S2. Accordingly, two DC / DC converters CV1 and CV2 may be provided and connected to the respective LED arrays S1 and S2.

한편, 두 개의 DC/DC 컨버터(CV1, CV2)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코일부(L1, L2)의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하나의 DC/DC 컨버터(CV1)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two DC / DC converters CV1 and CV2 have the same overall configuration and differ onl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coil portions L1 and L2. Therefore, only one DC / DC converter CV1 will be described for the same configuration.

DC/DC 컨버터(CV1)는 정류부(미도시)나 역률 개선부(미도시)에 연결되어 전력(Vin)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변압을 위해 코일부(L1) 즉 트랜스포머(Transforme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정류를 위해 스위칭 소자(M1)와 출력 정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C / DC converter CV1 may be connected to a rectifying unit (not shown) or a power factor improving unit (not shown) to receive power Vin and may include a coil part L1 or a transformer . And may further include a switching device M1 and an output rectifying part for rectification.

스위칭 소자(M1)는 제어부(CU1)로부터의 전송되는 스위칭 신호에 따라 스위칭되어 코일부(L1)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한다. 여기서 스위칭 소자(M1)는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The switching device M1 is switched in accordance with the switch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CU1 to control the flow of the current applied from the coil part L1. Here, the switching device M1 may be a transistor.

출력 정류부는 코일부(L1)에서 출력된 교류 전압을 광원(S1) 즉 LED 어레이에 공급하기 위한 직류 전압으로 정류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출력 정류부는 정류 다이오드(D1)와 평활 커패시터(C1)를 포함할 수 있다. 정류 다이오드(D1)는 애노드가 코일부(L1)의 이차 권선의 일단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평활 커패시터(C1)의 일단은 정류 다이오드(D1)의 캐소드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될 수 있다.The output rectifying section can rectify the AC voltage output from the coil section L1 to a DC voltage for supplying the light source S1, that is, the LED array. To this end, the output rectifying part may include a rectifying diode D1 and a smoothing capacitor C1. The rectifier diode D1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secondary winding of the coil section L1. Also, one end of the smoothing capacitor C1 may be connected to the cathode of the rectifier diode D1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groun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광원 구동부는 두 개의 광원(S1, S2)에 전력을 공급하는 두 개의 DC/DC 컨버터들(CV1, CV2)가 하나의 코어(40)를 공유할 수 있다. 즉, 두 개의 광원(S1, S2)에 각각 연결되는 두 개의 DC/DC 컨버터(CV1, CV2)는 각 코일부(L1, L2)가 하나의 코일 부품(100)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 코일부(L1, L2)의 코일들(도 1의 70)은 하나의 코어(40)를 공유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ght source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share one core 40 with two DC / DC converters CV1 and CV2 that supply power to two light sources S1 and S2. That is, each of the two DC / DC converters CV1 and CV2 connected to the two light sources S1 and S2 may be constituted by one coil part 100 of each coil part L1 and L2, Coils (portions 70 in Fig. 1) of portions L1 and L2 may share one core 40. [

이러한 구성은 전술한 코일 부품(도 1의 100)을 이용함에 따라 가능한 구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하나의 부품에 두 개의 코일부(도 7의 L1, 도 8의 L2)가 함께 구성되면서도 하나의 코어(40)만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각 코일부(L1, L2)의 코일(70)은 하나의 코어(40)를 공유한다. This configuration is a possible configuration using the above-described coil component (100 in Fig. 1). As described above, the coil compon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to use only one core 40 while two coils (L1 in FIG. 7 and L2 in FIG. And the coils 70 of the respective coil portions L1 and L2 share one core 40. [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을 이용하는 경우, 2개의 DC/DC 컨버터(CV1, CV2) 당 하나의 코일 부품(100)이 이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il compon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one coil component 100 can be used for each of the two DC / DC converters CV1 and CV2.

종래의 경우, DC/DC 컨버터의 코일부는 각각 독립적인 코일 부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2개의 DC/DC 컨버터를 구성하는 경우, 2개의 코일 부품이 구비되어야 하며, 코일부의 코일들은 각각 독립적인 별도의 코어를 이용한다.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coil portion of the DC / DC converter includes independent coil components. Therefore, when two DC / DC converters are constructed, two coil parts must be provided, and the coils of the coil part use separate independent cores.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2개의 DC/DC 컨버터(CV1, CV2) 당 하나의 코일 부품(100)이 이용되고 각각의 코일들(70)이 하나의 코어(40)를 공유하도록 구성되면, 기판 상에서 코일 부품(100)이 실장되는 공간(또는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조 과정에서 2개의 두 개의 DC/DC 컨버터(CV1, CV2) 당 하나의 코일 부품(100)만을 기판에 실장하면 되므로,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도 줄일 수 있다.
However, as in this embodiment, if one coil component 100 is used per two DC / DC converters CV1 and CV2 and each of the coils 70 is configured to share one core 40, The space (or area) in which the coil component 100 is mounted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only one coil component 100 per two DC / DC converters CV1 and CV2 can be mounted on the substrate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time required for manufacturing can be reduced.

한편, 도 9에서는 2개의 광원(S1, S2)에 대응하여 하나의 코일 부품이 구비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기기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4개의 광원을 포함하는 경우 2개의 코일 부품이 이용될 수 있으며, 8개의 광원을 포함하는 경우 4개의 코일 부품이 이용될 수 있다. Although FIG. 9 shows a case where one coil part is provided corresponding to two light sources S1 and S2, th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wo coil parts can be used when including four light sources, and four coil parts when eight light sources are includ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두 개의 보빈이 기판의 실장면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기판의 실장면과 수직하게 배치되거나, 특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The above-described coil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wo bobbins are arranged horizontally with respect to the mounting surface of the substrat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variety of applications such as being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mounting surface of the substrate, or arranged to maintain a specific angl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코일 부품이 광원 구동부에 채용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전자 부품 및 전자 기기에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coil part is employed in the light source driving uni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can be widely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parts and electronic devices.

20.....보빈
21.....관통공 22.....몸체부
23.....플랜지부
25.....단자부
25a.....결합 돌기 25b.....삽입부
27.....돌출부 28.....권선부
40.....코어
60.....외부 접속 단자
70.....코일
100.....코일 부품
L1, L2.....코일부
CV1, CV2.....DC/DC 컨버터
20 ..... Bobbin
21 ..... Through hole 22 ..... Body part
23 ..... flange section
25 ..... terminal
25a ..... engaging projection 25b ..... insertion portion
27 ..... protruding portion 28 ..... winding portion
40 ..... core
60 .....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70 ..... coil
100 ..... coil parts
L1, L2 ..... coil part
CV1, CV2 ..... DC / DC converter

Claims (21)

코일이 권선되는 두 개의 몸체부가 나란하게 배치되는 보빈부; 및
상기 몸체부에 삽입되는 두 개의 내부 레그와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두 개의 외부 레그 및 상기 내부 레그들과 상기 외부 레그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레그와 상기 외부 레그 및 상기 연결부는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되는 코어;
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는 상기 두 개의 몸체부에 권선된 각 코일들에 대해 독립적인 자속 경로를 제공하는 코일 부품.
A bobbin portion in which two body portions on which coils are wound are arranged side by side; And
Wherein the inner leg and the outer leg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wo inner leg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two outer legs disposed outside the body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inner legs and the outer legs, A cor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 RTI >
Wherein the core provides an independent magnetic flux path for each of the coils wound on the two body port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상기 내부 레그들과 상기 외부 레그들이 나란하게 배치되는 코일 부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legs and the outer legs are disposed side by s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目′ 형상으로 형성되는 코일 부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oil parts formed in 'eye'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상기 내부 레그들에 각각 간극이 형성되는 코일 부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gap is formed in each of the inner leg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부는,
동일한 형상의 제1, 제2 보빈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코일 부품.
The bobbin part according to claim 1,
A coil component formed by combining first and second bobbins of the same shap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보빈은,
관형으로 형성되는 상기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단자부의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코일 부품.
8. The bobbin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obbins
The body portion being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And terminal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And the body portion is disposed to be offset toward one side of the terminal portion.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보빈은,
상기 몸체부가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서로 결합되는 코일 부품.
9. The bobbin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obbins
And the body portions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상기 단자부의 상부면에 안착되며 상기 보빈부와 결합되는 코일 부품.
9. The method of claim 8,
And a coil part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part and coupled with the bobbin part.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보빈은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와,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가 상기 단자부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결합 돌기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제1, 제2 보빈이 상호 결합되는 코일 부품.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obbins have at least one engaging projection and at least one inserting portion formed on the terminal portion, respectively, and the coil bobbin is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bobbins as the engaging boss is inserted into the inserting portion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다수의 외부 접속 단자들이 체결되는 코일 부품.
9.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8,
A coil component to which a plurality of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are fastened.
두 개의 내부 레그와 두 개의 외부 레그 및 상기 내부 레그와 상기 외부 레그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코어; 및
상기 내부 레그에 각각 결합되는 제1, 제2 코일부;
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레그들과 상기 외부 레그들 및 상기 연결부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코어는 제1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에 대해 각각 독립적인 자속 경로를 제공하는 코일 부품.
A core including two inner legs and two outer legs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inner leg and the outer leg; And
First and second coil portions respectively coupled to the inner legs;
/ RTI >
The inner legs, the outer legs, and the connecting portion ar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as a whole,
Wherein the core provides a flux path that is independent of the first coil portion and the second coil portion, respectively.
관형으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상기 단자부의 일측으로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제1 보빈;
상기 제1 보빈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보빈; 및
상기 제1 보빈과 상기 제2 보빈에 동시에 결합되는 코어;
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는 상기 제1, 제2 보빈의 몸체부에 내에 삽입되는 부분과, 상기 제1, 제2 보빈의 몸체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되고, 제1 보빈과 상기 제2 보빈에 대해 각각 독립적인 자속 경로를 제공하는 코일 부품.
A first bobbin disposed at one end of the terminal unit, the first bobbin being disposed at one side of the terminal unit; a first bobbin disposed at one end of the body unit;
A second bobbin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first bobbin; And
A core coupled to the first bobbin and the second bobbin at the same time;
/ RTI >
The core is configured to have the same cross sectional area as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bbins to be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bbin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A coil component that provides independent flux paths to the bobbin.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보빈은,
상기 몸체부가 인접하게 배치되도록 서로 결합되는 코일 부품.
15. The bobbin according to claim 14,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bobbins
And the body portions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b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삭제delete 적어도 두 개의 광원; 및
상기 광원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광원에 전력을 제공하는 적어도 두 개의 광원 구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광원 구동부는 각각 입력된 전압을 변압하는 코일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상기 코일부는 하나의 코어를 공유하되,
상기 코어는 몸체부에 삽입되는 두 개의 내부 레그와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두 개의 외부 레그 및 상기 내부 레그들과 상기 외부 레그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레그와 상기 외부 레그 및 상기 연결부는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코일부들에 대해 각각 독립적인 자속 경로를 제공하는 전자 기기.
At least two light sources; And
At least two light source driv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light sources to provide power to the light sources;
/ RTI >
Wherein the two light source driving units each have a coil part for transforming an input voltage,
Each of said coil portions sharing one core,
Wherein the core comprises two inner leg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two outer legs disposed outside the body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inner legs and the outer legs, wherein the inner leg, the outer leg,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s are configured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to provide independent magnetic flux paths to the coil portion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다수의 LED가 연결되어 형성된 LED 어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8. The apparatus of claim 17,
And an LED array formed by connecting a plurality of LEDs.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구동부는 DC/DC 컨버터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18. The method of claim 17,
Wherein the light source driving unit includes a DC / DC converter.
다수의 광원; 및
상기 광원들에 각각 연결되어 전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DC/DC 컨버터;
를 포함하며,
다수의 상기 DC/DC 컨버터 중 적어도 어느 2개는 각각의 코일이 하나의 코어를 공유하며,
상기 코어는 몸체부에 삽입되는 두 개의 내부 레그와 상기 몸체부의 외부에 배치되는 두 개의 외부 레그 및 상기 내부 레그들과 상기 외부 레그들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레그와 상기 외부 레그 및 상기 연결부는 동일한 단면적을 갖도록 구성되어 각각의 상기 코일들에 대해 각각 독립적인 자속 경로를 제공하는 전자 기기.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A plurality of DC / DC converters each connected to the light sources to provide power;
/ RTI >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DC / DC converters each share one core,
Wherein the core comprises two inner leg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two outer legs disposed outside the body portion,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inner legs and the outer legs, wherein the inner leg, the outer leg, Wherein the connec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area to provide a magnetic flux path that is independent of each of the coils.
다수의 광원; 및
상기 광원들에 각각 연결되어 전력을 제공하는 다수의 DC/DC 컨버터;
를 포함하며,
다수의 상기 DC/DC 컨버터 중 적어도 어느 2개는 입력된 전압을 변압하기 위해 청구항 1항에 기재된 하나의 코일 부품을 공유하는 전자 기기.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And
A plurality of DC / DC converters each connected to the light sources to provide power;
/ RTI >
Wherein at least two of the plurality of DC / DC converters share one coil component as claimed in claim 1 for transforming an input voltage.
KR20130059886A 2013-03-14 2013-05-27 Coil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4773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47,496 US20140265912A1 (en) 2013-03-14 2013-07-22 Coil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N201420068390.1U CN203983010U (en) 2013-03-14 2013-08-12 Coil block and the electronic installation with this coil block
CN201320490679.8U CN203644537U (en) 2013-03-14 2013-08-12 Coil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27529 2013-03-14
KR1020130027529 2013-03-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249A KR20140113249A (en) 2014-09-24
KR101477393B1 true KR101477393B1 (en) 2015-01-06

Family

ID=51757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59886A KR101477393B1 (en) 2013-03-14 2013-05-27 Coil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477393B1 (en)
CN (1) CN203983010U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5306B2 (en) * 2016-09-21 2020-01-22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Magnetic core for reactors and reactors
KR20230033884A (en) * 2021-09-02 2023-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Display device comprising transformer comprising core having structure related with coupling factor of induc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4844A (en) * 1992-10-14 1994-05-06 Tokyo Electric Co Ltd Magnetism leakage transformer
KR960005644A (en) * 1994-07-30 1996-02-23 이형도 Transform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415978Y1 (en) * 2006-02-15 2006-05-09 타이페이 멀티파워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Balance transform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4844A (en) * 1992-10-14 1994-05-06 Tokyo Electric Co Ltd Magnetism leakage transformer
KR960005644A (en) * 1994-07-30 1996-02-23 이형도 Transform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0415978Y1 (en) * 2006-02-15 2006-05-09 타이페이 멀티파워 일렉트로닉스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Balance transfor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3983010U (en) 2014-12-03
KR20140113249A (en)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665B1 (en) Transformer
US8502632B2 (en) Transformer, power converter, lighting device, lighting device for vehicle, and vehicle using the same
KR101388819B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8692638B2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153580B1 (en) Line filt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Line filt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e same
US20150116068A1 (en) Coil component
US8749336B2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179389B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30002390A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124003B1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40153209A1 (en) Coil componen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40160644A1 (en) Coil componen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742879B2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477393B1 (en) Coil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218997B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40002968A1 (en) Coil componen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20150116069A1 (en) Coi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422930B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328286B1 (en) Transformer
KR101656013B1 (en) Coil component
KR101642078B1 (en) Transformer
US20150109086A1 (en) Core and coil component including the same
KR101489814B1 (en) Coil component
KR101654319B1 (en) Unificated module-type current converter
US20140265912A1 (en) Coil component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