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013B1 - Coil component - Google Patents

Coil compon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013B1
KR101656013B1 KR1020150026671A KR20150026671A KR101656013B1 KR 101656013 B1 KR101656013 B1 KR 101656013B1 KR 1020150026671 A KR1020150026671 A KR 1020150026671A KR 20150026671 A KR20150026671 A KR 20150026671A KR 101656013 B1 KR101656013 B1 KR 101656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inductor
bobbin
hole
transfor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66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03817A (en
Inventor
정인화
원재선
오동성
김희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to KR1020150026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013B1/en
Publication of KR20160103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38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01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4Magnetic cores
    • H01F27/26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the core on casing or support
    • H01F27/263Fastening parts of the core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4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 component, e.g. f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관통공을 갖는 관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플랜지를 구비하는 보빈, 상기 보빈에 권선되는 다수의 코일,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과 전자기 결합하는 코어, 및 상기 보빈에 결합되어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coil compon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bbin having a tubular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and a plurality of flanges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body portion, a plurality of coils wound on the bobbin, A core inserted into the hole and magnetically coupled with the coil, and an element coupled to the bobbi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Figure R1020150026671
Figure R1020150026671

Description

코일 부품{COIL COMPONENT}Coil Components {COIL COMPONENT}

본 발명은 인덕터와 트랜스포머를 일체로 형성한 코일 부품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il component in which an inductor and a transformer are integrally formed.

LED조명용 전원공급장치는 일반적으로 PFC 인덕터와 DC-DC 트랜스포머를 포함한다. 종래의 경우, PFC 인덕터와 DC-DC 트랜스포머가 각각 별도로 제조되어 기판에 실장된다.Power supplies for LED lighting typically include PFC inductors and DC-DC transformers. Conventionally, a PFC inductor and a DC-DC transformer ar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mounted on a substrate.

따라서 제조 시간이 증가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제조 단가도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다.
Therefore, the manufacturing time is increas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also increased.

일본특허공개공보 제 2009-239219 호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9-239219

본 발명의 목적은 인덕터와 트랜스포머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는 코일 부품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il component capable of integrally forming an inductor and a transform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관통공을 갖는 관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플랜지를 구비하는 보빈, 상기 보빈에 권선되는 다수의 코일,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과 전자기 결합하는 코어, 및 상기 보빈에 결합되어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A coil compon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bbin having a tubular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and a plurality of flanges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body portion, a plurality of coils wound on the bobbin, A core inserted into the hole and magnetically coupled with the coil, and an element coupled to the bobbin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여기서, 상기 보빈은 인덕터 코일이 권선되는 인덕터부와 트랜스포머 코일이 권선되는 트랜스포머부로 구분될 수 있다. Here, the bobbin may be divided into an inductor unit in which the inductor coil is wound and a transformer unit in which the transformer coil is woun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관통공을 갖는 관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플랜지를 구비하는 보빈, 상기 보빈에 권선되는 인덕터 코일과 다수의 트랜스포머 코일; 및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과 전자기 결합하는 코어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터 코일은 구간별로 다수의 인출 탭(tap)을 갖는 멀티탭 인덕터(multi-tap inductor) 코일이며, 상기 플랜지에 체결되어 상기 인덕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결합 돌기가 상기 인출 탭으로 기능할 수 있다.
The coil compon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ubular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a bobbin having a plurality of flanges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body portion, an inductor coil wound around the bobbin, and a plurality of A transformer coil of; And a co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electromagnetically coupled with the coil, wherein the inductor coil is a multi-tap inductor coil having a plurality of extraction taps per section,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ductor coil may function as the extraction tabs.

본 발명에 따른 코일 부품은, 하나의 부품 내에 인덕터와 트랜스포머가 함께 구비된다. 이에 더하여, 기판 상에 소자가 실장된 소자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부품을 메인 기판에 실장하는 것 만으로 다수의 부품을 실장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코일 부품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조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The coil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inductor and a transformer in one component. In addition, it includes an element portion on which a device is moun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mounting a plurality of parts by merely mounting one part on the main boar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manufacture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oil part.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인덕터가 다수의 탭을 갖는 멀티 탭 인덕터로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원하는 탭과 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코일 부품이 실장되는 전자 기기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인덕턴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코일 부품을 여러 전자 기기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il componen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formed of a multi-tap inductor having a plurality of inductors, and can electrically connect desired taps and elements as requir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inductance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coil component is mounted, so that one coil component can be widely us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에서 소자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코일을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측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이 이용되는 전원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에서 다른 탭을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il compon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lement part in the coil part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il in Fig. 1 without the coil. Fig.
Figure 5 is a side view of Figure 4;
Fig. 6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ower supply device in which the coil component shown in Fig. 1 is used.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where another tab is used in the coil part shown in FIG. 1; FIG.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prelimi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may designate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defined as a concept of a term to describe i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and the size of each elem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에서 소자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부분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로 코일을 생략하고 도시하였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il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lement part in the coil part shown in FIG. 1, and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Respectively.

또한 도 4는 도 1에서 코일을 생략하고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면도로, 코어를 생략하고 도시하였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FIG. 1, with the coil omitted. FIG. 5 is a side view of FIG.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보빈(10), 코일(50), 코어(60), 및 소자부(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1 to 5, a coil componen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obbin 10, a coil 50, a core 60, and an element portion 80 .

보빈(1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 형태로 형성되는 몸체부(11)와, 몸체부(11)에서 돌출되는 다수의 플랜지부(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obbin 10 may include a body portion 11 formed in a tubular shape and a plurality of flange portions 13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11 as shown in FIGS.

몸체부(11)의 내부는 관통공(12)이 형성되며, 이 관통공(12)에는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core, 60)가 삽입될 수 있다. A through hole 12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body portion 11 and a core 60 forming a magnetic path can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

몸체부(11)의 외부면에는 플랜지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부(13)는 몸체부(11)의 외부면에서 외경 방향으로 확장되는 다수의 플랜지(13a ~ 13d)를 포함하며, 보빈(10)을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한다.A flange portion 13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 The flange portion 13 includes a plurality of flanges 13a to 13d extending radially outward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1 and divides the bobbin 10 into a plurality of spaces.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덕터부(IN)와 트랜스포머부(TR), 그리고 코어 삽입부(CI)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인덕터부(IN)와 트랜스포머부(TR), 그리고 코어 삽입부(CI)는 플랜지부(13)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The coil compon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divided into an inductor part IN, a transformer part TR and a core inserting part CI as shown in FIG. The inductor portion IN, the transformer portion TR, and the core inserting portion CI can be separated by the flange portion 13.

보다 구체적으로, 플랜지부(13)는 인덕터부(IN)의 양단에 배치되는 제1, 제2 플랜지(13a, 13b, 이하 인덕터 플랜지)와, 트랜스포머부(TR)의 양단에 배치되는 제3, 제4 플랜지(13c, 13d, 이하 트랜스포머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인덕터부(IN)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1 플랜지(13a)에는 후술되는 제1 단자 체결부(30a)가 형성되며, 트랜스포머부(TR)의 외측에 배치되는 제4 플랜지(13d)에는 후술되는 제4 단자 체결부(30d)가 형성된다.
More specifically, the flange portion 13 includes first and second flanges 13a and 13b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inductor flang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inductor portion IN, and third and fourth flanges 13b and 13b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transformer portion TR. And fourth flanges 13c and 13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ransformer flange). The first flange 13a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ductor portion IN is formed with a first terminal coupling portion 30a and the fourth flange 13d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transformer portion TR A fourth terminal fastening portion 30d to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코어 삽입부(CI)는 인덕터부(IN)와 트랜스포머부(TR)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코어 삽입부(CI)는 인덕터부(IN)의 제2 플랜지(13b)와 트랜스포머부(TR)의 제3 플랜지(13c) 사이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re inserting portion CI is disposed between the inductor portion IN and the transformer portion TR. The core insertion portion CI may be formed as a space between the second flange 13b of the inductor portion IN and the third flange 13c of the transformer portion TR.

또한 두 개의 인덕터 플랜지(13a, 13b) 사이, 그리고 두 개의 트랜스포머 플랜지(13c, 13d)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17a, 17b, 17d)이 형성될 수 있다. Also, at least one partition 17a, 17b, 17d may be formed between the two inductor flanges 13a, 13b and between the two transformer flanges 13c, 13d.

인덕터부(IN)는 몸체부(11) 상에 하나의 코일(51)이 권선되어 PFC 인덕터로 이용될 수 있으며, 다수의 격벽(17a, 17b)에 의해 다수의 권선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inductor part IN can be used as a PFC inductor by winding one coil 51 on the body part 11 and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winding spaces by a plurality of partitions 17a and 17b.

인덕터부(IN)에 형성되는 격벽(17a, 17b)은 적어도 하나의 이월 홈(도 3의 14)과 도전성의 결합 돌기(15)를 구비할 수 있다. The partition walls 17a and 17b formed in the inductor portion IN may include at least one carry groove (14 in FIG. 3) and a conductive coupling protrusion 15.

이월 홈(14)은 인덕터부(IN)에 권선되는 코일(51)이 다른 권선 공간으로 이월되기 위한 홈이다. 따라서 이월 홈(14)은 인덕터부(IN)에 형성된 모든 격벽(17a, 17b)에 형성될 수 있다. The carry groove 14 is a groove in which the coil 51 wound on the inductor portion IN is carried over to another winding space. Therefore, the carryover grooves 14 can be formed in all the partition walls 17a and 17b formed in the inductor portion IN.

결합 돌기(15)는 인덕터부(IN)에 권선되는 인덕터 코일(도 5의 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 코일(51)은 이월 홈(14)을 통해 이월되는 과정에서 이월 홈(14)에 형성된 결합 돌기(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인덕터부(IN) 내에 배치되는 모든 결합 돌기들(15)은 인덕터 코일(5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coupling protrusion 15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inductor coil (51 in Fig. 5) wound on the inductor portion IN. The inductor coil 5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15 formed in the carry groove 14 in the process of being carried through the carry groove 14. [ Therefore, all the coupling protrusions 15 disposed in the inductor portion IN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ductor coil 51. [

여기서 결합 돌기(15)는 인덕터부(IN)에 형성되는 격벽(17a, 17b) 뿐만 아니라, 플랜지(13b, 13c)나 다른 격벽(17c)에도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결합 돌기(15)는 플랜지(13b, 13c)나 격벽(17a, 17b, 17c)은 보다 외부로 더 돌출되는 형태로 체결된다. 이때 결합 돌기(15)가 플랜지(13b, 13c)나 격벽(17a, 17b, 17c)에서 더 돌출되는 길이는 후술되는 기판(81)의 두께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coupling protrusions 15 may be formed not only on the partition walls 17a and 17b formed in the inductor portion IN but also on the flanges 13b and 13c and other partition walls 17c. Further, the engaging projections 15 are fasten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langes 13b, 13c and the partition walls 17a, 17b, 17c are further projected to the outside.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engaging projection 15 projecting further from the flanges 13b, 13c and the partition walls 17a, 17b, 17c may be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ubstrate 81 described later.

인덕터 코일(51)이 각각의 격벽(17a, 17b)에서 결합 돌기들(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 코일(51)은 멀티 탭 인덕터(multi-tap inductor)로 기능한다. 즉 각각의 결합 돌기(15)는 인덕터 코일(51)의 여러 곳에 형성되는 탭(tap)의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여러 탭들 중 원하는 곳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에 따라 원하는 인덕턴스를 얻을 수 있다.
Since the inductor coil 5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upling protrusions 15 in the respective partitions 17a and 17b, the inductor coil 5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nctions as a multi-tap inductor do. That is, each of the coupling protrusions 15 functions as a tap formed at various places of the inductor coil 51, and a desired inductance can be obtained by electrically connecting desired ones of the various taps.

코어 삽입부(CI)에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17c)이 형성될 수 있다. 코어 삽입부(CI)의 격벽(17c)에도 적어도 하나의 이월 홈(14)과 결합 돌기(15)가 형성될 수 있다.At least one partition 17c may be formed in the core insertion portion CI. At least one carry groove 14 and a coupling protrusion 15 may be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17c of the core insertion portion CI.

이에 더하여, 코어 삽입부(CI)에 형성된 격벽(17c)에는 후술되는 제2 단자 체결부(30b)가 형성된다. 그리고 격벽(17c)에 형성된 결합 돌기(15)는 제2 단자 체결부(30b)에 체결된 외부 접속 단자(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 돌기(15)와 외부 접속 단자(40)와의 전기적은 연결은 격벽(17c) 내부에 도전체(도 3의 45)를 매립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도선을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econd terminal securing portion 30b,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formed on the partition wall 17c formed in the core inserting portion CI. The coupling protrusion 15 formed on the partition wall 17c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40 fastened to the second terminal coupling portion 30b. In the present embodiment,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upling protrusion 15 and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40 is performed by embedding a conductor (45 in FIG. 3) in the partition wall 17c.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ethods such as using a separate wire can be used.

한편, 코어 삽입부(CI)와 인덕터부(IN)를 구분하는 제2 플랜지(13b), 그리고 코어 삽입부(CI)와 트랜스포머부(TR)를 구분하는 제3 플랜지(13c)에도 이월 홈(14)과 결합 돌기(15)가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flange 13b for separating the core insertion portion CI from the inductor portion IN and the third flange 13c for separating the core insertion portion CI from the transformer portion TR are also provided with the carry groove 14 and a coupling protrusion 15 may be form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어 삽입부(CI)는 몸체부(11)를 관통하는 관통 구멍(12a)이 형성되며, 이러한 관통 구멍(12a)에는 I형 코어(62)가 삽입된다. 관통 구멍(12a)에 삽입되는 코어(62)는 몸체부(11)의 관통공(12)에 삽입되는 E형 코어(61)와 결합되어 자로를 완성한다.
The core insertion portion CI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with a through hole 12a passing through the body portion 11. The I-shaped core 62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a. The core 62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a is combined with the E-shaped core 61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12 of the body portion 11 to complete the magnetic path.

트랜스포머부(TR)에도 적어도 하나의 격벽(17d)이 형성될 수 있다. 트랜스포머의 격벽(17d)에는 이월 홈(14)만 형성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결합 돌기를 부가할 수도 있다. At least one partition 17d may be formed in the transformer TR. Only the carry groove 14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17d of the transformer. However, a coupling protrusion may be added as needed.

또한 제3 플랜지(13c)에는 후술되는 제3 단자 체결부(30c)가 형성된다.
The third flange 13c is formed with a third terminal fastening portion 30c to be described later.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체결부(30)는 플랜지부(13)나 격벽(17c)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체결부(30)는 플랜지부(13)나 격벽(17c)의 하단에서 몸체부(11)의 길이 방향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The terminal fastening part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flange part 13 or the partition wall 17c. More specifically,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formed so as to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1 at the lower end of the flange portion 13 or the partition wall 17c.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applications are possible if necessary.

단자 체결부(30)의 끝단에는 후술되는 외부 접속 단자(40)가 외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체결될 수 있다. At the end of the terminal fastening part 30,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fastened to the outside.

외부 접속 단자(40)는 단자 체결부(30)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코일 부품(100)의 형태나 구조, 또는 코일 부품(100)이 장착되는 메인 기판(미도시)의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40 is formed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terminal fastening part 30 and may be 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r structure of the coil part 100 or the structure of the main board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단자 체결부(30)는 제1 내지 제4 단자 체결부(30a ~ 30d)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단자 체결부(30a)는 제1 플랜지(13a)에 형성되며, 제2 단자 체결부(30b)는 코어 삽입부(CI)의 격벽(17c)에 형성된다. 또한 제3 단자 체결부(30c)는 제3 플랜지(13c)에 형성되고, 제4 단자 체결부(30d)는 제4 플랜지(13d)에 형성된다. The terminal fastening part 30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be divided into the first to fourth terminal fastening parts 30a to 30d. The first terminal fastening portion 30a is formed on the first flange 13a and the second terminal fastening portion 30b is formed on the partition wall 17c of the core insertion portion CI. The third terminal fastening portion 30c is formed on the third flange 13c and the fourth terminal fastening portion 30d is formed on the fourth flange 13d.

제1, 제2 단자 체결부(30a, 30b)는 인덕터부(IN)에 권선되는 코일(51)을 메인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이용된다. 따라서 인덕터부(IN)에 권선되는 코일(51)의 일단은 제1 단자 체결부(30a)에 형성된 외부 접속 단자(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코어 삽입부(CI) 격벽(17c)의 결합 돌기(15)와 도전체(45)를 통해 제2 단자 체결부(30b)의 외부 접속 단자(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first and second terminal fastening portions 30a and 30b are us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il 51 wound on the inductor portion IN to the main board. One end of the coil 51 wound on the inductor portion I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40 formed on the first terminal coupling portion 30a and the other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re insertion portion CI partition wall 17c,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40 of the second terminal securing portion 30b through the coupling protrusion 15 of the first terminal securing portion 30b and the conductor 45. [

또한 제3, 제4 단자 체결부(30c, 30d)는 트랜스포머부(TR)에 권선되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메인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이용된다.
The third and fourth terminal fastening portions 30c and 30d are use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which are wound around the transformer portion TR, to the main board.

소자부(80)는 기판(81)과 기판(81) 상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자(87)를 포함할 수 있다. The element portion 80 may include a substrate 81 and at least one element 87 mounted on the substrate 81. [

기판(81)은 인쇄회로기판(PCB)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연성 기판이나 세라믹 기판, 유리 기판 등 절연층 상에 도체 패턴이 형성되는 기판이라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The substrate 81 may b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can be variously used as long as it is a substrate on which a conductor pattern is formed on an insulating layer such as a flexible substrate, a ceramic substrate, or a glass substrate.

기판(81) 상에는 다수의 삽입 구멍(82)이 형성될 수 있다. 삽입 구멍(82)은 전술한 보빈(10)의 결합 돌기(15)가 삽입되는 구멍이다. 따라서 삽입 구멍(82)은 결합 돌기(15)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크기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 돌기(15)들의 이격 거리에 대응하여 다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82 may be formed on the substrate 81. The insertion hole 82 is a hole into which the engaging projection 15 of the above-described bobbin 10 is inserted. Therefore, the insertion hole 82 can be formed as a hole sized to easily insert the coupling protrusion 15, and a plurality of the holes can be spaced apart correspon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of the coupling protrusions 15.

삽입 구멍(82)의 주변에는 접합 패드(83)가 형성된다. 접합 패드(83)는 삽입 구멍(82)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삽입 구멍(82)에 결합 돌기(15)가 삽입되더라도 결합 돌기(15)와 접합 패드(83)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으며, 솔더와 같은 도전성 부재(도 1의 90)를 통해서만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다. A bonding pad 83 is formed around the insertion hole 82. The bonding pad 83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insertion hole 82 by a certain distance. Therefore, even if the coupling protrusion 15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82, the coupling protrusion 15 and the bonding pad 83 are not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electrical connection is made only through a conductive member such as solder 90 It is possible.

또한 제3 플랜지(13c)의 결합 돌기(15)와 대응하는 접합 패드(도 2의 83a, 이하 제1 접합 패드)와 코어 삽입부(CI)의 격벽(17c)에 형성된 결합 돌기(15)와 대응하는 접합 패드(83b, 이하 제2 접합 패드)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소자(87)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소자(87)는 다이오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15 formed on the partition walls 17c of the core insertion portion CI and the corresponding coupling protrusions 15a of the second insertion flange 13c At least one element 87 may be disposed between the corresponding bonding pads 83b (hereinafter referred to as second bonding pads). Here, the element 87 may be a di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에 따라, 제1 접합 패드(83a)와 제2 접합 패드(83b)는 소자(87)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us, the first bonding pad 83a and the second bonding pad 83b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element 87. [

또한 나머지 접합 패드들(83)은 인덕터부(IN)의 결합 돌기들(15)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배선 패턴(도 3의 84)을 통해 모두 제2 접합 패드(8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remaining bonding pads 83 are portions where the bonding protrusions 15 of the inductor portion IN are inserted and are al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bonding pads 83b through the wiring pattern 84 .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10)은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10)은 절연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내열성과 고내전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보빈(10)을 형성하는 재질로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액정폴리에스테르(LCP),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페놀계 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bobbi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d above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bobbi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eferably made of an insulating resin,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heat resistance and high withstand voltage. Examples of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bobbin 10 include polyphenylene sulfide (PPS), liquid crystal polyester (LCP),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Can be used.

코어(60)는 중족과 외족을 갖는 E 형 코어(61)와 I형 코어(6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인덕터부(IN)에 결합되는 제1 코어(60a)와, 트랜스포머부(TR)에 결합되는 제2 코어(60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re 60 may include an E-shaped core 61 and an I-shaped core 62 having a middle and an outer portion and includes a first core 60a coupled to the inductor portion IN and a second core 60b coupled to the transformer portion TR. And a second core 60b coupled to the second core 60b.

따라서 코어(60)는 E형 코어(61)와 I형 코어(62)에 의해 완성되는 日 형상의 코어(60)가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보빈(10)의 양 끝단부에 형성된 관통공(12)을 통해 E형 코어(61)가 삽입되고, 코어 삽입부(CI)에 형성된 관통 구멍(12a)으로 통해 I형 코어(62)가 삽입되어 서로 마주 접하며 폐자로를 형성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Therefore, the core 60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sun-shaped cores 60 formed by the E-shaped core 61 and the I-shaped core 62, The E type core 61 is inserted through the hole 12 and the I type core 62 is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 12a formed in the core insertion portion CI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form a closed magnetic path .

또한 코어(60)의 재질은 자성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재질에 비해 고투자율, 저손실, 높은 포화자속밀도, 안정성 및 낮은 생산 비용을 갖는 Mn-Zn계 페라이트(ferrite)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어(60)의 형태나 재질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material of the core 60 may be formed of a magnetic material and may be formed of a Mn-Zn ferrite having a high permeability, a low loss, a high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stability, and a low production cost as compared with other materials. However,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core 60 are not limi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코일(50)은 보빈(10)의 인덕터부(IN)에 권선되는 인덕터 코일(51)과, 트랜스포머부(TR)에 권선되는 트랜스포머 코일(5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oil 50 may include an inductor coil 51 wound on an inductor portion IN of the bobbin 10 and a transformer coil 52 wound on the transformer portion TR.

코일(50)은 한 가닥의 코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il 50 may be formed of a single coil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인덕터 코일(51)은 구간별로 다수의 인출 탭(tap)을 갖는 멀티탭 인덕터(multi-tap inductor) 코일이며, 여기서 인출 탭으로는 전술한 다수의 결합 돌기(15)가 이용된다.In addition, the inductor coil 5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multi-tap inductor coil having a plurality of lead-out taps per section, and the lead-out tabs are formed by using the above- do.

즉 인덕터 코일(51)은 격벽(17a, 17b)을 이월할 때마다 해당 격벽(17a, 17b)에 형성된 결합 돌기(1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에 각각의 결합 돌기들(15)은 소자부(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출 탭의 기능을 수행한다.
That is, the inductor coil 5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upling protrusions 15 formed on the partition walls 17a and 17b each time the partition walls 17a and 17b are carried, (Not shown).

트랜스포머부(TR)에 권선되는 코일(52)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il 52 wound on the transformer portion TR may include a primary coil and a secondary coil.

1차 코일과 2차 코일은 격벽(17d)에 의해 서로 구분되어 권선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한 권선 공간에 상호 적층되도록 권선될 수도 있다.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may be wound separately from each other by the partition 17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may be wound so as to be stacked on one another in the same winding space.

1차 코일과 2차 코일 중 적어도 하나는 다중 절연 코일(예컨대 TIW, Triple Insulated Wire)이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t least one of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may be a multiple insulation coil (e.g., TIW, Triple Insulated Wir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이 이용되는 전원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로, AC 전원을 DC로 변환하여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의 회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FIG. 6 is a circuit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ower supply device in which the coil component shown in FIG. 1 is used, schematically showing a circuit of a power supply device for converting and supplying AC power to DC.

이를 참조하면, 전원공급장치는 PFC 인덕터(PFC inductor)와 트랜스포머(Transformer)를 포함하며, PFC 인덕터와 트랜스포머 사이에는 부스트 다이오드(Boost Diode)가 연결된다.Referring to this, the power supply includes a PFC inductor and a transformer, and a boost diode is connected between the PFC inductor and the transformer.

그리고 전술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100)은 도 6에서 PFC 인덕터와 트랜스포머, 그리고 부스트 다이오드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부품으로 구현된다.In the coil component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FC inductor, the transformer, and the boost diode are integrally formed as one component.

따라서 메인 기판에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 하나를 실장함으로써, PFC 인덕터와 트랜스포머, 그리고 부스트 다이오드를 일괄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Therefore, by mounting one coil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 the main board, the PFC inductor, the transformer, and the boost diode can be collectively disposed.

또한 부스트 다이오드와 트랜스포머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회로 패턴 사이에 발생하는 기생 인덕턴스나, 노이즈 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boost diode and the transformer can be minimiz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parasitic inductance and noise generated between circuit patterns.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하나의 부품 내에 인덕터와 트랜스포머가 함께 구비된다. 이에 더하여, 기판 상에 소자가 실장된 소자부(80)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부품을 메인 기판에 실장하는 것 만으로 다수의 부품을 실장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코일 부품을 포함하는 전자 기기의 제조가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The coil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an inductor and a transformer together in one component. In addition, it includes an element portion 80 on which a device is moun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mounting a plurality of parts by merely mounting one part on the main boar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manufacture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coil part.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인덕터가 다수의 탭을 갖는 멀티 탭 인덕터로 형성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코일 부품에서 다른 탭을 이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Also, the coil componen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formed of a multi-tap inductor in which the inductor has a plurality of taps.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ase where different taps are used in the coil part shown in FIG. 1. FIG.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코일 부품은 필요에 따라 원하는 탭과 소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인덕터 코일을 가변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and 7, the coil componen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variably utilize the inductor coil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desired tab and element as needed.

따라서 코일 부품이 실장되는 전자 기기의 조건에 따라 다양한 인덕턴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코일 부품을 여러 전자 기기에 폭넓게 활용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various inductances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in which the coil component is mounted, so that one coil component can be widely used in various electronic devices.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소자(예컨대 다이오드)가 코일 부품(100)에 일체로 형성되므로, 메인 기판에 실장되어야 할 소자의 수와 실장 면적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메인 기판과 전자 기기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Also, since at least one element (for example, a diode) is integrally formed on the coil component 100, the number of elements to be mounted on the main board and the mounting area can be reduced. Therefore, the sizes of the main board and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reduc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obvious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코일 부품
10: 보빈
30: 단자 체결부
40: 외부 접속 단자
50: 코일
60: 코어
80: 소자부
100: Coil parts
10: Bobbin
30: Terminal fastening portion
40: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50: Coil
60: Core
80:

Claims (16)

관통공을 갖는 관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를 갖는 다수의 플랜지들을 구비하는 보빈;
상기 보빈에 권선되는 다수의 코일;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과 전자기 결합하는 코어; 및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자부;
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A bobbin having a tubular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and a plurality of flanges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in an outer diameter direction and each having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A plurality of coils wound on the bobbin;
A core inserted in the through hole and electromagnetically coupled with the coil; And
A substrate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at least one element mounted on the substrate, the element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 / RTI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인덕터 코일이 권선되는 인덕터부와 트랜스포머 코일이 권선되는 트랜스포머부로 구분되는 코일 부품.
The bobbin according to claim 1,
The coil part is divided into an inductor part in which the inductor coil is wound and a transformer part in which the transformer coil is woun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인덕터부와 상기 트랜스포머부 사이에 형성되는 코어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코일 부품.
The bobbin according to claim 2,
And a core insertion portion formed between the inductor portion and the transformer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플랜지들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코일의 권선 공간을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포함하는 코일 부품.
The bobbin according to claim 1,
And at least one partition disposed between the flanges to divide the winding space of the coil.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은,
상기 격벽에서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5. The bobbin according to claim 4,
And at least one engaging projection projecting from the partitio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는,
다이오드 소자인 코일 부품.
2. The device of claim 1,
Coil parts as diode eleme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상기 삽입 구멍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삽입 구멍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접합 패드를 포함하는 코일 부품.
The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 bonding pad form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insertion hole and spaced apart from the insertion hol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는 도전성 부재를 매개로 상기 접합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 부품.
9. The method of claim 8,
And the coupling protrusion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onding pad via a conductive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인덕터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인덕터 코일은,
상기 결합 돌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일 부품.
The inductor coil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coil includes an inductor coil,
And a coil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 코일은
구간별로 다수의 인출 탭(tap)을 갖는 멀티탭 인덕터(multi-tap inductor) 코일이며, 다수의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인출 탭으로 기능하는 코일 부품.
The inductor coil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inductor coil
A multi-tap inductor coil having a plurality of lead-out taps for each section, and a plurality of the coupling protrusions function as the lead-out tab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과 상기 플랜지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코일이 다른 권선공간으로 이동하는 통로인 이월 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 돌기는 상기 이월 홈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는 코일 부품.
6. The method of claim 5,
At least one of the barrier ribs and the flanges is formed with a carry groove,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coil moves to another winding space,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are formed protruding from the carry groov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삽입부는,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며 코어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을 포함하는 코일 부품.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3,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core is inserted through the body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삽입부는,
상단에 도전성의 결합 돌기가 체결된 적어도 하나의 격벽과, 상기 격벽의 하단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단자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체결부에는 상기 결합 돌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핀이 체결되는 코일 부품.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at least one partition wall having a conductive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an upper portion thereof and a terminal coupling portion protruding from a lower end of the partition wall are coupled to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and a terminal pi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upling protrusion is coupled to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관통공을 갖는 관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각각이 적어도 하나의 결합 돌기를 갖는 다수의 플랜지들을 구비하는 보빈;
상기 보빈에 권선되는 인덕터 코일과 다수의 트랜스포머 코일;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과 전자기 결합하는 코어; 및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된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실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소자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인덕터 코일이 권선되는 인덕터부와 트랜스포머 코일이 권선되는 트랜스포머부로 구분되는 코일 부품.
A bobbin having a tubular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and a plurality of flanges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in an outer diameter direction and each having at least one coupling protrusion;
An inductor coil wound around the bobbin and a plurality of transformer coils;
A core inserted in the through hole and electromagnetically coupled with the coil; And
A substrate having an insertion hole into which the coupling protrusion is inserted, and at least one element mounted on the substrate, the element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Lt; / RTI >
The bobbin
And a coil part divided into an inductor part in which the inductor coil is wound and a transformer part in which the transformer coil is wound.
관통공을 갖는 관형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플랜지를 구비하는 보빈;
상기 보빈에 권선되는 인덕터 코일과 다수의 트랜스포머 코일; 및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코일과 전자기 결합하는 코어;
를 포함하고,
상기 인덕터 코일은 구간별로 다수의 인출 탭(tap)을 갖는 멀티탭 인덕터(multi-tap inductor) 코일이며, 상기 플랜지에 체결되어 상기 인덕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결합 돌기가 상기 인출 탭으로 기능하는 코일 부품.


A bobbin having a tubular body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and a plurality of flanges protruding from the body portion in an outer diameter direction;
An inductor coil wound around the bobbin and a plurality of transformer coils; And
A core inserted in the through hole and electromagnetically coupled with the coil;
Lt; / RTI >
The inductor coil is a multi-tap inductor coil having a plurality of extraction taps per section.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which are coupled to the flange an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inductor coil, function as the extraction tabs. Coil parts.


KR1020150026671A 2015-02-25 2015-02-25 Coil component KR10165601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671A KR101656013B1 (en) 2015-02-25 2015-02-25 Coil compon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6671A KR101656013B1 (en) 2015-02-25 2015-02-25 Coil compon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817A KR20160103817A (en) 2016-09-02
KR101656013B1 true KR101656013B1 (en) 2016-09-22

Family

ID=56943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6671A KR101656013B1 (en) 2015-02-25 2015-02-25 Coil compon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0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3513A (en) * 2017-06-23 2017-08-25 太仓市变压器有限公司 A kind of magnetic core of transformer component
KR102007151B1 (en) * 2017-12-05 2019-08-05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Inductor module with multiple coupling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8160A (en) * 2002-10-01 2004-04-22 Murata Mfg Co Ltd High voltage transformer
JP2013102018A (en) 2011-11-08 2013-05-23 Panasonic Corp Transform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9219A (en) 2008-03-28 2009-10-15 Taiyo Yuden Co Ltd Composite transformer
KR101097534B1 (en) * 2009-09-23 2011-12-22 삼성전기주식회사 Balance Coil
KR101360532B1 (en) * 2012-05-07 2014-02-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ransformer with PFC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8160A (en) * 2002-10-01 2004-04-22 Murata Mfg Co Ltd High voltage transformer
JP2013102018A (en) 2011-11-08 2013-05-23 Panasonic Corp Transform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3817A (en) 2016-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038448A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8692638B2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8866576B2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913172B1 (en)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unit including the same
US8749336B2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150116068A1 (en) Coil component
US20120320504A1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8570135B2 (en)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2008021788A (en) Multilayer inductor
KR101656013B1 (en) Coil component
CN102856051B (en) Transformer and use the display unit of this transformer
KR20150114372A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 of
KR101610339B1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 of
KR20150144261A (en)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unit including the same
KR20160042560A (en) Coil compon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970335B2 (en) Coil form for forming an inductive element
CN104599821A (en) Coil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60532B1 (en) Transformer with PFC
KR20150045694A (en) Core and coil component having the same
KR102352174B1 (en) Coil component
KR101987228B1 (en) Transformer with PFC
KR101690251B1 (en) Coil component and power supply having the same
US11217378B2 (en) Inductive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nductive assembly
KR101647404B1 (en) Coil component
JP6511936B2 (en) Coil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