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4350B1 - Touch panel - Google Patents

Touch pan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4350B1
KR101474350B1 KR1020130126862A KR20130126862A KR101474350B1 KR 101474350 B1 KR101474350 B1 KR 101474350B1 KR 1020130126862 A KR1020130126862 A KR 1020130126862A KR 20130126862 A KR20130126862 A KR 20130126862A KR 101474350 B1 KR101474350 B1 KR 101474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line
transmitting
channe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68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한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한상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딩유아이
Priority to KR1020130126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435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4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435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panel of a single layer structure. The touch panel comprises a plurality of sensing blocks which is extended in a column direction and is arranged in a low direction. Each sensing block comprises a left-transmission line, a right-transmission line, a left-reception line, and a right-reception line. The left-transmission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the left-transmission lines which is separated from one another. The right-transmission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the right-transmission lines which is separated from one another. The left-reception line comprises a plurality of left-reception electrode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another and is arranged between the left-transmission line and the right-transmission line. The right-reception line comprises a plurality of right-reception electrodes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another and provided between the left-reception line and the right-reception line.

Description

터치패널{TOUCH PANEL}TOUCH PANEL {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싱글 레이어 구조의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uch pan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uch panel having a single-layer structure.

일상생활에서 접하게 되는 전자기기의 종류가 점차 다양해지고, 각 전자기기의 기능이 고도화, 복잡화함에 따라, 사용자가 쉽게 익힐 수 있고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입력 장치로서 터치센싱장치가 주목받고 있으며, 이미 여러 전자기기에 널리 적용되고 있다.As the kinds of electronic devices to be encountered in everyday life are gradually diversified and the function of each electronic device becomes more sophisticated and complicated, there is a need for a user interface that can be easily learned and intuitively operated by the user. A touch sensing device has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n input device capable of satisfying such a requirement and has already been widely applied to various electronic devices.

사용자의 화면 터치나 제스쳐(gesture)를 입력정보로 인식하는 터치센싱장치는 동작 방식에 따라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 등으로 분류되는데, 이중 정전 용량 방식은 멀티 터치 입력이 용이하여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A touch sensing device that recognizes a user's screen touch or gesture as input information is classified into a resistance film type, a capacitive type, an ultrasonic type, and an infrared type depending on the operation type. In the dual capacitance type, It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because of ease.

이와 같은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패널에서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보다 정확히 감지하기 위한 터치패널의 구조가 중요하다. 터치패널은 2층 구조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때 터치 센서는 다수의 수신전극 트레이스들(예를 들면, X축 방향으로 연장된 트레이스들) 위에 교차하는 다수의 드라이브 전극 트레이스들 (예를 들면, Y축 방향으로 연장된 트레이스들)에 의해 형성된 픽셀들의 어레이로서 구현될 수 있고, 드라이브 및 수신전극 트레이스들은 PET, Glass 등의 유전체 재료에 의해 분리된다. In such a capacitance type touch panel, it is important to structure the touch panel to more accurately detect the change in capacitance. The touch panel may be of a two-layer structure, wherein the touch sensor includes a plurality of drive electrode traces intersecting a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 traces (e.g., traces extending in the X-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traces), and the drive and receiving electrode traces are separated by a dielectric material such as PET, Glass, or the like.

그러나, 2층 구조의 하부 및 상부 층들에 각각 형성된 드라이브 및 수신전극 트레이스들을 포함하는 터치패널은 제조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 수 있고 두께가 두꺼워 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2층 구조의 전극 층들을 접합하는 공정 및 구조에 기인한다.However, the touch panel, which includes the drive and receiving electrode traces, respectively formed in the lower and upper layers of the two-layer structure, can be expensive to manufacture and can be thickened. This is due to the process and structure of bonding the electrode layers of the two-layer structure.

따라서, 터치패널의 기판의 단일 층의 단일 측면 상에 제조된 동일 평면상의 단일 층 터치 센서들을 갖는 터치패널이 제안되고 있다.Accordingly, a touch panel having coplanar single layer touch sensors fabricated on a single side of a single layer of a substrate of a touch panel has been proposed.

한편, 단일 층 터치 센서에서 배선들이 많으면 터치 무감 영역으로 동작하는 데드존(dead zone)이 증가하여 터치시 선형성 및 정확성을 찾기 어렵다. 단일 층 터치패널의 경우,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송신전극들과 상기 송신전극들에 인접하게 수신전극들이 배열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re are many wires in the single layer touch sensor, it is difficult to find linearity and accuracy in touch due to an increase in dead zone which operates in a touch-free area. In the single-layer touch panel, the transmitt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column direction and the receiving electrodes adjacent to the transmitting electrodes are arranged.

수신전극들의 수가 증가하면 수신전극들에 연결되어 외부의 터치인식칩에 연결하는 연결배선의 수 역시 증가한다. 이러한 연결배선의 수가 증가하면 로우 방향으로 배열된 수신전극들과 상기 수신전극에 인접하는 송신전극 사이에 연결배선들이 형성되는 영역이 증가하여 데드존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결배선의 수가 증가하면 터치인식칩의 패드 수 역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As the number of receiving electrodes increases, the number of connection wirings connected to the receiving electrodes and connecting to the external touch recognition chip also increases. When the number of the connection wirings increases, a region where connection wirings are formed between the reception electrodes arranged in the row direction and the transmission electrodes adjacent to the reception electrodes increases, thereby increasing the dead zone. Further, if the number of connection wirings increases, the number of pads of the touch recognition chip also increases.

한국등록특허 제10-0885730호 (등록일자: 2009년 2월 19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885730 (registered date: February 19, 2009) 한국공개특허 제2010-0083012호 (공개일: 2010년 7월 21일)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0-0083012 (Published on July 21, 2010) 한국등록특허 제10-1169250호 (등록일자: 2012년 7월 23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69250 (registered on July 23, 2012) 한국공개특허 제2012-0094982호 (공개일: 2012년 8월 28일)Korean Public Patent No. 2012-0094982 (public date: August 28, 2012) 한국공개특허 제2013-0035833호 (공개일: 2013년 4월 9일)Korean Laid-Open Patent Application No. 2013-0035833 (Publication Date: April 9, 2013) 한국등록특허 제10-1293165호 (등록일자: 2013년 8월 6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293165 (registered on Aug. 6, 2013)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싱글 레이어 구조의 터치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uch panel of a single layer structure.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컬럼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우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센싱블럭들을 포함한다. 상기 센싱블럭들 각각은 좌-송신라인, 우-송신라인, 좌-수신라인 및 우-수신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좌-송신라인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좌-송신전극들을 포함한다. 상기 우-송신라인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우-송신전극들을 포함한다. 상기 좌-수신라인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 복수의 좌-수신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송신라인과 상기 우-송신라인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우-수신라인은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 복수의 우-수신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수신라인과 상기 우-송신라인 사이에 배치된다. In order to realiz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sensing blocks extending in a column direction and arranged in a row direction. Each of the sensing blocks includes a left-transmission line, a right-transmission line, a left-reception line, and a right-reception line. The left-transmission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left-transmitting electrodes spaced from each other. The right-transmission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spaced from each other. The left-receiving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left-receiving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s disposed between the left-transmitting line and the right-transmitting line. The right-receiving line includes a plurality of right-receiving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s disposed between the left-receiving line and the right-transmitting line.

일실시예에서, 상기 좌-송신전극과 상기 우-송신전극은 서로 치합 형태(teeth shape)로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may be arranged in a teeth shape with respect to each other.

일실시예에서, 상기 좌-수신전극은 로우 방향으로 상기 좌-송신전극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컬럼 방향으로 상기 우-송신전극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eft-receiving electrode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in the row direction and adjacent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in the column direction.

일실시예에서, 상기 우-수신전극은 로우 방향으로 상기 우-송신전극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컬럼 방향으로 상기 좌-송신전극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right-receiving electrode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in the row direction and adjacent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in the column direction.

일실시예에서, 하나의 센싱블럭에 배치된 좌-송신전극과 우-송신전극의 배치 구조는 인접하는 센싱블럭에 배치된 좌-송신전극과 우-송신전극의 배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arranged in one sensing block may be the same as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arranged in the adjacent sensing block.

일실시예에서, 하나의 센싱블럭에 배치된 좌-송신전극과 우-송신전극의 배치 구조는 인접하는 센싱블럭에 배치된 좌-송신전극과 우-송신전극의 배치 구조와 좌우 대칭(bilateral symmetry)일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disposed in one sensing block may include a layout structure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disposed in the adjacent sensing block and a bilateral symmetry ).

일실시예에서, 상기 좌-송신전극들 각각은 좌-송신몸체부와 상기 좌-송신몸체부에서 분기된 복수의 좌-송신분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수신전극들 각각은 좌-수신몸체부와 상기 좌-수신몸체부에서 분기된 복수의 좌-수신분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송신분기부들과 상기 좌-수신분기부들은 치합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s may include a left-transmitting body portion and a plurality of left-transmitting branching portions branched from the left-transmitting body portion. Here, each of the left-receiving electrodes may include a left-receiving body and a plurality of left-receiving branches branched from the left-receiving body. At this time, the left-transmission branches and the left-reception branches may be arranged in a combination form.

일실시예에서, 상기 우-송신전극들 각각은 우-송신몸체부와 상기 우-송신몸체부에서 분기된 복수의 우-송신분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우-수신전극들 각각은 우-수신몸체부와 상기 우-수신몸체부에서 분기된 복수의 우-수신분기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우-송신분기부들과 상기 우-수신분기부들은 치합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may comprise a right-transmitting body portion and a plurality of right-transmitting branches branched from the right-transmitting body portion. Here, each of the right-receiving electrodes may include a right-receiving body and a plurality of right-receiving branches branched from the right-receiving body. At this time, the right transmission branches and the right reception branches may be arranged in a combination form.

일실시예에서, 상기 좌-송신전극과 상기 우-송신전극은 서로 정사영(orthogonal projection)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may be arranged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일실시예에서, 상기 좌-송신전극에 2쌍의 후퇴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우-송신전극에 2쌍의 후퇴부들이 형성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wo pairs of recesses may be formed in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two pairs of recesses may be formed in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일실시예에서, 상기 좌-수신라인은 제1 좌-수신라인 및 제2 좌-수신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은 상기 좌-송신전극의 한쌍의 후퇴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분기되어 상기 한쌍의 후퇴부에 평면상에서 관찰할때 삽입되어 제1 좌-수신전극을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좌-수신라인은 상기 좌-송신전극의 나머지 한쌍의 후퇴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분기되어 상기 나머지 한쌍의 후퇴부에 평면상에서 관찰할때 삽입되어 제2 좌-수신전극을 정의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left-receiving line may comprise a first left-receiving line and a second left-receiving line. Herein,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is branched at a region corresponding to a pair of retreated portions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is inserted when observing the pair of retreated portions in a plane to define a first left- have. At this time, the second left-receiving line is branched at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pair of the retreating portions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is inserted when observing the remaining pair of the retreating portions on a plane, thereby defining a second left- can do.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 및 상기 제2 좌-수신라인은 동일한 수신채널에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left-receive line and the second left-receive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same receive channel.

일실시예에서, 제1 좌-수신라인 및 상기 제2 좌-수신라인은 서로 다른 수신채널에 연결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left-receive line and the second left-receive line may be connected to different receive channels.

일실시예에서, 상기 우-수신라인은 제1 우-수신라인 및 제2 우-수신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우-수신라인은 상기 우-송신전극의 한쌍의 후퇴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분기되어 상기 한쌍의 후퇴부에 평면상에서 관찰할때 삽입되어 제1 우-수신전극을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우-수신라인은 상기 우-송신전극의 나머지 한쌍의 후퇴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분기되어 상기 나머지 한쌍의 후퇴부에 평면상에서 관찰할때 삽입되어 제2 우-수신전극을 정의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right-receiving line may comprise a first right-receiving line and a second right-receiving line. Here, the first right-receiving line may be branched at a region corresponding to a pair of retreated portions of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pair of retreated portions when observed in a plane to define a first right- have. At this time, the second right-receiving line is branched at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one pair of the retreating portions of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and inserted into the remaining pair of retreating portions when observed on a plane to define a second right- can do.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우-수신라인 및 상기 제2 우-수신라인은 동일한 수신채널에 연결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right-receive line and the second right-receive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same receive channel.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우-수신라인 및 상기 제2 우-수신라인은 서로 다른 수신채널에 연결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first right-receive line and the second right-receive line may be connected to different receive channels.

이러한 터치패널에 의하면, 송신전극 하나에 2개 이상의 수신전극들이 대응되므로 송신전극을 연결하는데 필요한 연결배선의 숫자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수신전극들이 하나의 송신전극에 대응하므로 터치패널 전체를 스캔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수신라인의 양쪽에 송신라인들이 배치되므로, 터치패널의 경계조건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패널의 센싱 효율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touch panel, since two or more receiving electrodes correspond to one transmitting electrode, the number of connecting wirings necessary for connecting the transmitting electrodes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plurality of receiving electrodes correspond to one transmitting electrode, the time required for scanning the entire touch panel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he transmission lines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ception line, the boundary conditions of the touch panel can be uniformly maintained. Therefore, the sensing efficiency of the touch panel can also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역 A를 발췌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터치패널의 구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영역 B를 발췌한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ouch pan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gion A shown in Fig.
3 is a waveform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driving of the touch panel shown in FIG.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ouch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ouch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gion B shown in FIG. 5; FIG.
7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ouch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ouch pane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Also,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에서, 좌측이나 우측이라는 기재는 도면을 관찰하는 관찰자 시점에서 보는 것을 의미한다. Hereinafter, the description of the left side or the right side refers to the view from the viewpoint of the observer observing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100)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역 A를 발췌한 확대도이다.1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ouch pane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gion A shown i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100)은 제1 센싱블럭(SB1), 제2 센싱블럭(SB2), 제3 센싱블럭(SB3), 제4 센싱블럭(SB4), 제5 센싱블럭(SB5) 및 제6 센싱블럭(SB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6개의 센싱블럭들이 배치된 터치패널이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 touch pane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nsing block SB1, a second sensing block SB2, a third sensing block SB3, A block SB4, a fifth sensing block SB5, and a sixth sensing block SB6. In this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touch panel having six sensing blocks disposed therein is shown.

상기 제1 센싱블럭(SB1), 상기 제2 센싱블럭(SB2), 상기 제3 센싱블럭(SB3), 상기 제4 센싱블럭(SB4), 상기 제5 센싱블럭(SB5) 및 상기 제6 센싱블럭(SB6) 각각은 컬럼(column) 방향(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우(row)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The first sensing block SB1, the second sensing block SB2, the third sensing block SB3, the fourth sensing block SB4, the fifth sensing block SB5, (Or Y-axis direction) and arranged in the row direction (or the X-axis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센싱블럭(SB1), 상기 제2 센싱블럭(SB2), 상기 제3 센싱블럭(SB3), 상기 제4 센싱블럭(SB4), 상기 제5 센싱블럭(SB5) 및 상기 제6 센싱블럭(SB6)이 형성된 영역은 터치영역(TA)으로 정의된다. 또한, 상기 터치영역(TA)을 둘러싸는 영역은 주변영역(PA)으로 정의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ensing block SB1, the second sensing block SB2, the third sensing block SB3, the fourth sensing block SB4, the fifth sensing block SB5, The area where the sixth sensing block SB6 is formed is defined as a touch area TA. The area surrounding the touch area TA is defined as a peripheral area PA.

본 실시예에서, 주변영역(PA)에는 4개의 송신채널들 각각에 대응하는 외부배선들과 12개의 수신채널들 각각에 대응하는 외부배선들이 형성된다. 즉, 상기 주변영역(PA)에는 제1 수신채널(RX1), 제2 수신채널(RX2), 제3 수신채널(RX3), 제4 수신채널(RX4), 제5 수신채널(RX5), 제6 수신채널(RX6), 제7 수신채널(RX7), 제8 수신채널(RX8), 제9 수신채널(RX9), 제10 수신채널(RX10), 제11 수신채널(RX11) 및 제12 수신채널(RX12) 각각에 연결되는 외부배선들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수신채널(RX1)은 상기 터치영역(TA)에서 가장 멀고, 상기 제12 수신채널(RX12)은 상기 터치영역(TA)에서 가장 가깝다. 또한, 상기 주변영역(PA)에는 제1 송신채널(TX1), 제2 송신채널(TX2), 제3 송신채널(TX3) 및 제4 송신채널(TX4) 각각에 연결되는 외부배선들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송신채널(TX1)은 상기 터치영역(TA)에서 가장 멀고, 상기 제4 송신채널(TX4)은 상기 터치영역(TA)에서 가장 가깝다.In the present embodiment, external wiring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our transmission channels and external wiring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welve reception channels are formed in the peripheral area PA. That is, the peripheral area PA includes a first receiving channel RX1, a second receiving channel RX2, a third receiving channel RX3, a fourth receiving channel RX4, a fifth receiving channel RX5, 6 receive channel RX6, a seventh receive channel RX7, an eighth receive channel RX8, a ninth receive channel RX9, a tenth receive channel RX10, an eleventh receive channel RX11, External wirings connected to each of the channels RX12 are sequentially form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reception channel RX1 is the farthest from the touch area TA, and the 12th reception channel RX12 is closest to the touch area TA. External wiring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channel TX1, the second transmission channel TX2, the third transmission channel TX3 and the fourth transmission channel TX4 are sequentially formed in the peripheral area PA d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transmission channel TX1 is farthest from the touch area TA, and the fourth transmission channel TX4 is closest to the touch area TA.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신채널들(TX1, TX2, TX3, TX4) 각각을 통해 터치센싱을 위한 구동신호가 송신되고 상기 수신채널들(RX1, RX2, RX3, RX4, RX5, RX6, RX7, RX8, RX9, RX10, RX11, RX12) 각각을 통해 터치센싱을 위한 센싱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터치센싱을 위한 구동신호는 상기 수신채널들(RX1, RX2, RX3, RX4, RX5, RX6, RX7, RX8, RX9, RX10, RX11, RX12) 각각을 통해 송신될 수도 있고, 상기한 터치센싱을 위한 센싱신호는 상기 송신채널들(TX1, TX2, TX3, TX4) 각각을 통해 수신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a driving signal for touch sensing is transmitted through each of the transmission channels TX1, TX2, TX3, and TX4 and the reception channels RX1, RX2, RX3, RX4, RX5, RX6, RX7, , RX9, RX10, RX11, and RX12, respectively, may be received. However, the driving signal for touch sensing may be transmitted through each of the reception channels RX1, RX2, RX3, RX4, RX5, RX6, RX7, RX8, RX9, RX10, RX11, RX12, A sensing signal for touch sensing may be received through each of the transmission channels TX1, TX2, TX3, TX4.

상기 제1 센싱블럭(SB1), 상기 제2 센싱블럭(SB2), 상기 제3 센싱블럭(SB3), 상기 제4 센싱블럭(SB4), 상기 제5 센싱블럭(SB5) 및 상기 제6 센싱블럭(SB6) 각각은 좌-송신라인(110), 우-송신라인(120), 좌-수신라인(130), 우-수신라인(140), 복수의 좌-송신 연결배선들(150) 및 복수의 우-송신 연결배선들(160)을 포함한다. 상기 좌-송신라인(110), 상기 우-송신라인(120), 상기 좌-수신라인(130), 상기 좌-송신 연결배선들(150) 및 상기 우-송신 연결배선들(160)은 동일한 평면상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은 싱글 레이어 구조를 갖는다. The first sensing block SB1, the second sensing block SB2, the third sensing block SB3, the fourth sensing block SB4, the fifth sensing block SB5, Each of the plurality of left transmission lines SB1 and SB6 includes a left transmission line 110, a right transmission line 120, a left reception line 130, a right reception line 140, a plurality of left- And right-side connection interconnections 160 of FIG. The left-transmission line 110, the right-transmission line 120, the left-reception line 130, the left-transmission connection lines 150, and the right- Plane. Accordingly, the touch panel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ingle-layer structure.

도 1에서, 홀수번째 센싱블럭과 짝수번째 센싱블럭은 관찰자 관점에서 좌우 대칭된다. 즉, 상기 제1 센싱블럭(SB1), 상기 제3 센싱블럭(SB3) 및 상기 제5 센싱블럭(SB5)에 구비되는 좌-송신라인(110), 우-송신라인(120), 좌-수신라인(130), 우-수신라인(140), 복수의 좌-송신 연결배선들(150) 및 복수의 우-송신 연결배선들(160)은 상기 제2 센싱블럭(SB2), 상기 제4 센싱블럭(SB4) 및 상기 제6 센싱블럭(SB6)에 구비되는 좌-송신라인(110), 우-송신라인(120), 좌-수신라인(130), 우-수신라인(140), 복수의 좌-송신 연결배선들(150) 및 복수의 우-송신 연결배선들(160)은 관찰자 관점에서 좌우 대칭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센싱블럭(SB1)에 구비되는 좌-송신라인(110), 우-송신라인(120), 좌-수신라인(130), 우-수신라인(140), 복수의 좌-송신 연결배선들(150) 및 복수의 우-송신 연결배선들(160)에 대해서 설명한다. In FIG. 1, the odd-numbered sensing blocks and the even-numbered sensing blocks are symmetrically symmetrical from the observer's point of view. That is, the left-side transmission line 110, the right-side transmission line 120, the left-side transmission line 120, and the left-side transmission line 120 provided in the first sensing block SB1, the third sensing block SB3 and the fifth sensing block SB5, The line 130, the right-receiving line 140, the plurality of left-transmission connection lines 150 and the plurality of right-connection connection lines 160 are connected to the second sensing block SB2, A left transmission line 110, a right transmission line 120, a left reception line 130, a right reception line 140, a plurality of (left) transmission lines 110, The left-transmission connection lines 150 and the plurality of right-connection connection lines 160 are symmetrically symmetrical from the observer's point of view. Accordingly, the first sensing block SB1 includes the left transmission line 110, the right transmission line 120, the left reception line 130, the right reception line 140, the plurality of left- The connection wirings 150 and the plurality of right-transmission connection wirings 160 will be described.

상기 좌-송신라인(110)은 컬럼 방향(또는 Y-축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좌-송신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좌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송신전극들의 수는 4개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송신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좌-송신전극들 각각의 폭은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left-side transmission line 110 includes a plurality of left-side transmission electrodes arranged in a column direction (or a Y-axis direction), and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sensing block SB1.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s is fou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ze of each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s is shown to be equal to each oth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although the widths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s are shown as being equa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좌-송신전극들 각각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 송신채널(TX1), 상기 제2 송신채널(TX2), 상기 제3 송신채널(TX3) 및 상기 제4 송신채널(TX4) 각각에 연결된다. 예를들어, 첫번째 좌-송신전극은 상기 제1 송신채널(TX1)에 연결되고, 두번째 좌-송신전극은 상기 제2 송신채널(TX2)에 연결되고, 세번째 좌-송신전극은 상기 제3 송신채널(TX3)에 연결되고, 네번째 좌-송신전극은 상기 제4 송신채널(TX4)에 연결된다. Each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s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channel TX1, the second transmission channel TX2, the third transmission channel TX3, and the fourth transmission channel TX4 via external wiring, do. For example, a first left-transmitting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channel TX1, a second left-transmitting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channel TX2, a third left- Channel TX3, and a fourth left-transmitting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fourth transmission channel TX4.

상기 좌-송신전극들 각각은 컬럼 방향으로 연장된 좌-송신몸체부(112), 상기 좌-송신몸체부(112)에서 로우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분기된 복수의 좌-송신분기부들(114)을 포함한다. 상기 좌-송신분기부들(114)은 상기 좌-송신몸체부(112)에서 +X-축 방향으로 분기되어 빗살 형상(comb shape)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송신분기부들(114)의 수는 4개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Each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s includes a left-side transmitting body portion 112 extending in the column direction, a plurality of left-side transmitting branches 112 branched in the row direction (or X-axis direction) (114). The left-transmission branching sections 114 branch in the + X-axis direction in the left-side transmission section 112 to form a comb shap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left-to-transmission branches 114 is fou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우-송신라인(12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우-송신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우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송신전극들의 수는 4개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송신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우-송신전극들 각각의 크기와 상기 좌-송신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 The right transmission line 120 includes a plurality of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arranged in a column direction, and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sensing block SB1.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is four,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is embodiment, the sizes of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are shown to be equal to each oth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size of each of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and the size of each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s are the same.

상기 우-송신전극들 각각은 컬럼 방향으로 연장된 우-송신몸체부(122), 상기 우-송신몸체부(122)에서 로우 방향으로 분기된 복수의 우-송신분기부들(124)을 포함한다. 상기 우-송신분기부들(124)은 상기 우-송신몸체부(122)에서 -X-축 방향으로 분기되어 빗살 형상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송신전극과 상기 우-송신전극은 서로 치합 형태(teeth shape)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송신분기부들(124)의 수는 4개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Each of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includes a right-transmitting body portion 122 extending in a column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right-transmitting branch portions 124 branched in a row direction in the right-transmitting body portion 122 . The right-transmission branching sections 124 branch in the -X-axis direction in the right-transmission body section 122 to form a comb-like shape. In this embodiment,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are arranged in tooth shapes with respect to each o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right-to-be-transmitted branches 124 is four,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우-송신전극들 각각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 송신채널(TX1), 상기 제2 송신채널(TX2), 상기 제3 송신채널(TX3) 및 상기 제4 송신채널(TX4) 각각에 연결된다. 예를들어, 첫번째 우-송신전극은 상기 제1 송신채널(TX1)에 연결되고, 두번째 우-송신전극은 상기 제2 송신채널(TX2)에 연결되고, 세번째 우-송신전극은 상기 제3 송신채널(TX3)에 연결되고, 네번째 우-송신전극은 상기 제4 송신채널(TX4)에 연결된다. Each of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channel TX1, the second transmission channel TX2, the third transmission channel TX3, and the fourth transmission channel TX4 via external wiring, do. For example, the first right-transmitting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channel TX1, the second right-transmitting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channel TX2, and the third right- Channel TX3, and a fourth right-transmitting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fourth transmission channel TX4.

상기 좌-수신라인(130)은 복수의 좌-수신몸체부들(132), 복수의 좌-수신분기부들(134) 및 복수의 좌-수신연결부(136)를 포함하고, 상기 좌-송신라인(110) 및 상기 우-송신라인(1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좌-수신몸체부(132)와 상기 좌-수신몸체부(132)에서 분기된 복수의 좌-수신분기부들(134)은 좌-수신전극을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수신몸체부들(132)의 수는 4개이다. 상기 좌-수신몸체부들(132)은 상기 좌-송신분기부들(114)의 종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상기 좌-수신분기부들(134)은 상기 좌-수신몸체부들(132) 각각에서 분기되어 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좌-수신연결부(136)는 서로 인접하는 좌-수신몸체부들(132)을 연결한다. The left-receiving line 130 includes a plurality of left-receiving bodies 132, a plurality of left-receiving branches 134 and a plurality of left-receiving connections 136, 110) and the right-transmission line (120). The left-receiving body portion 132 and the plurality of left-receiving branches 134 branching from the left-receiving body portion 132 define a left-receiving electrode.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left-receiving bodies 132 is four. The left-receiving bodies 132 are formed adjacent to the ends of the left-side transmission bifurcations 114. The left-receiving bifurcations 134 branch out from each of the left-receiving bodies 132 and extend in the X-axis direction. The left-receiving connection part 136 connects left-receiving body parts 132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좌-수신라인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2 수신채널(RX2)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센싱블럭(SB2)의 좌-수신라인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4 수신채널(RX4)에 연결된다. 상기 제3 센싱블럭(SB3)의 좌-수신라인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6 수신채널(RX6)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센싱블럭(SB4)의 좌-수신라인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8 수신채널(RX8)에 연결된다. 상기 제5 센싱블럭(SB5)의 좌-수신라인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0 수신채널(RX10)에 연결되고, 상기 제6 센싱블럭(SB6)의 좌-수신라인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2 수신채널(RX12)에 연결된다. The left-receiving line of the first sensing block SB1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ceiving channel RX2 via external wiring, and the left-receiving line of the second sensing block SB2 is connected to the left- 4 receive channel RX4. The left-receiving line of the third sensing block SB3 is connected to the sixth receiving channel RX6 via external wiring, and the left-receiving line of the fourth sensing block SB4 is connected to the left- 8 receive channel (RX8). The left-receiving line of the fifth sensing block SB5 is connected to the tenth receiving channel RX10 via external wiring, and the left-receiving line of the sixth sensing block SB6 is connected to the left- 12 receive channel RX12.

상기 우-수신라인(140)은 복수의 우-수신몸체부들(142), 복수의 우-수신분기부들(144) 및 복수의 우-수신연결부(146)를 포함하고, 상기 좌-수신라인(130) 및 상기 우-송신라인(1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우-수신몸체부(142)와 상기 우-수신몸체부(142)에서 분기된 복수의 우-수신분기부들(144)은 우-수신전극을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수신몸체부들(142)의 수는 4개이다. 상기 우-수신몸체부들(142)은 상기 우-송신분기부들(124)의 종단부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상기 우-수신분기부들(144)은 상기 우-수신몸체부들(142) 각각에서 분기되어 X-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우-수신연결부(146)는 서로 인접하는 우-수신몸체부들(142)을 연결한다.The right-receiving line 140 includes a plurality of right-receiving bodies 142, a plurality of right-receiving branches 144 and a plurality of right-receiving connections 146, 130 and the right-transmission line 120, respectively. The right-receiving body portion 142 and the plurality of right-receiving branches 144 branching from the right-receiving body portion 142 define a right-receiving electrode.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right-receiving bodies 142 is four. The right-receiving bodies 142 are formed adjacent to the ends of the right-transmitting branches 124. The right-receiving branches 144 branch out from each of the right-receiving bodies 142 and extend in the X-axis direction. The right-receiving connection 146 connects adjacent right-receiving bodies 142.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우-수신라인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 수신채널(RX1)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센싱블럭(SB2)의 우-수신라인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3 수신채널(RX3)에 연결된다. 상기 제3 센싱블럭(SB3)의 우-수신라인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5 수신채널(RX5)에 연결되고, 상기 제4 센싱블럭(SB4)의 우-수신라인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7 수신채널(RX7)에 연결된다. 상기 제5 센싱블럭(SB5)의 우-수신라인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9 수신채널(RX9)에 연결되고, 상기 제6 센싱블럭(SB6)의 우-수신라인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1 수신채널(RX11)에 연결된다.The right-receiving line of the first sensing block SB1 is connected to the first receiving channel RX1 via an external wiring and the right receiving line of the second sensing block SB2 is connected to the right- 3 receive channel RX3. The right-receiving line of the third sensing block SB3 is connected to the fifth receiving channel RX5 via external wiring, and the right receiving line of the fourth sensing block SB4 is connected to the right- 7 receive channel RX7. The right-receiving line of the fifth sensing block SB5 is connected to the ninth receiving channel RX9 via external wiring, and the right receiving line of the sixth sensing block SB6 is connected to the right- 11 receive channel RX11.

상기 좌-송신 연결배선들(150)은 상기 좌-송신전극들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우-송신 연결배선들(160)은 상기 우-송신전극들 각각에 연결된다. The left-transmission connection wires 150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left-transmission electrodes, and the right-transmission connection wires 160 are connected to each of the right-transmission electrodes.

본 실시예에서, 서로 인접하는 센싱블럭에 구비되는 우-송신라인(120)의 마지막 우-송신전극과 좌-송신라인(110)의 마지막 좌-송신전극은 연결배선을 공유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last right-transmitting electrode of the right-transmitting line 120 and the last left-transmitting electrode of the left-transmitting line 110 included in the adjacent sensing blocks share the connection wiring.

즉,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우-송신라인(120)의 마지막 우-송신전극과 상기 제2 센싱블럭(SB2)의 좌-송신라인(110)의 마지막 좌-송신전극은 하나의 연결배선을 공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센싱블럭(SB1)과 상기 제2 센싱블럭(SB2) 사이에는 7개의 송신 연결배선들이 배치된다. That is, the last right-transmitting electrode of the right-transmitting line 120 of the first sensing block SB1 and the last left-transmitting electrode of the left-transmitting line 110 of the second sensing block SB2 are connected to one Share connection wiring. Accordingly, seven transmission connection wires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nsing block SB1 and the second sensing block SB2.

또한, 상기 제2 센싱블럭(SB2)의 우-송신라인(120)의 마지막 우-송신전극과 상기 제3 센싱블럭(SB3)의 좌-송신라인(110)의 마지막 좌-송신전극은 하나의 연결배선을 공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센싱블럭(SB2)과 상기 제3 센싱블럭(SB3) 사이에는 7개의 송신 연결배선들이 배치된다.The last right-transmitting electrode of the right transmission line 120 of the second sensing block SB2 and the last left-transmitting electrode of the left transmission line 110 of the third sensing block SB3 are connected to one Share connection wiring. Accordingly, seven transmission connection wires ar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ensing block SB2 and the third sensing block SB3.

상기 연결배선들의 선폭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연결배선들의 선폭이 상이한 경우, 상기 연결배선의 선폭은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도 있고, 단속적으로 증가할 수도 있다. The line widths of the connection wirings may be equal to each other or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line widths of the connection wirings are different, the line width of the connection wirings may gradually increase or decrease intermittently.

또한, 컬럼 방향의 하부로 갈수록 좌-송신 연결배선 및 우-송신 연결배선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존재한다. 따라서, 좌-송신전극의 폭 및 우-송신전극의 폭은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region where the left-side transmission wiring and the right-side transmission wiring are not formed toward the bottom of the column direction. Thus, the width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width of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may gradually increase toward the bottom.

또한, 좌-송신전극과 좌-송신 연결배선간의 영역 및 우-송신전극과 우-송신 연결배선간의 영역에 더미패턴(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dummy pattern (not shown) may be disposed in a region between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left-transmission connecting wiring and in a region between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right-transmitting connecting wiring.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컬럼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우 방향으로 배열된 센싱블럭들 각각이 좌-송신라인, 우-송신라인, 상기 좌-송신라인 및 상기 우-송신라인 사이에 배치된 좌-수신라인 및 우-수신라인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좌-송신라인의 좌-송신전극들과 상기 우-송신라인의 우-송신전극들은 치합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하나의 센싱블럭에 배치된 좌-송신전극과 우-송신전극의 배치 구조는 인접하는 센싱블럭에 배치된 좌-송신전극과 우-송신전극의 배치 구조와 동일하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each of the sensing blocks extending in the column direction and arranged in the row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left-transmission line, the right-transmission line, the left-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of the left-transmitting line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of the right-transmitting line are arranged in a coupling form. At this time,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arranged in one sensing block is the same as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arranged in the adjacent sensing block.

따라서, 하나의 송신전극에 2개의 수신전극들(예를들어, 좌-수신전극 및 우-수신전극)이 대응되므로 송신전극을 연결하는데 필요한 연결배선의 숫자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수신전극들이 하나의 송신전극에 대응하므로 터치패널 전체를 스캔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Therefore, since two receiving electrodes (e.g., left-receiving electrode and right-receiving electrode) correspond to one transmitting electrode, the number of connecting wirings required to connect the transmitting electrode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wo receiving electrodes correspond to one transmitting electrode, the time required for scanning the entire touch panel can be reduced.

또한, 하나의 수신라인 양쪽에 송신라인(예를들어, 좌-송신라인 및 우-송신라인)이 배치되므로 수신라인의 일측에만 송신라인이 배치된 터치패널에 비해 경계조건을 균일화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패널의 센싱 효율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Since the transmission lines (for example, the left-transmission line and the right-transmission line)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one reception line, the boundary conditions can be made uniform as compared with the touch panel in which the transmission lines are disposed only on one side of the reception line. Therefore, the sensing efficiency of the touch panel can also be improved.

또한, 서로 인접하는 좌-송신라인의 좌-송신전극과 우-송신라인의 우-송신전극 사이에 일정 간격만큼 서로 이격된 2개의 좌-수신전극들(예를들어, 좌-수신전극 및 우-수신전극)이 배치되므로 하나의 송신전극에 대응하여 하나의 수신전극이 배치된 터치패널에 비해 연결배선들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선들의 수의 증가에 따라 터치 무감 영역으로 동작하는 데드존을 감소시킬 수 있어 유효 터치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배선의 수가 감소하므로 터치인식칩의 패드수를 줄일 수 있다. Further, two left-receiving electrodes (for example, left-receiving electrodes and right-receiving electro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s of the left- The number of connection lines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a touch panel having one receiving electrode corresponding to one transmitting electrode. Accordingly, as the number of wirings increases, the dead zone operating in the touch-sensitive area can be reduced, and the effective touch area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connection wirings is reduced, the number of pads of the touch recognition chip can be reduced.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터치패널(100)의 구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3 is a waveform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driving of the touch panel 100 shown in FIG.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외부의 정전용량 감지회로(미도시)로부터 제공되는 구동신호들은 제1 내지 제4 송신채널들(TX1, TX2, TX3, TX4)을 통해 좌-송신라인들 각각에 구비되는 좌-송신전극들 및 우-송신라인들 각각에 구비되는 우-송신전극들에 순차적으로 인가된다. Referring to FIGS. 1 and 3, driving signals provided from an external capacitance sensing circuit (not shown) are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to fourth transmission channels TX1, TX2, TX3, and TX4 to the left- To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included in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s and the right-transmitting lines, respectively.

좌-수신라인들 각각에 구비되는 좌-수신전극들에는 좌-송신전극들이나 우-송신전극들에 인가되는 구동신호가 유기되어 검출되고, 검출된 신호들은 센싱신호들로 정의되어 제1 내지 제12 수신채널들(RX1, RX2, , RX11, RX12)을 통해 상기 정전용량 감지회로에 인가된다. 상기 정전용량 감지회로는 상기 센싱신호들을 근거로 터치좌표를 연산한다. The driving signals applied to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s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are detected and detected in the left-receiving electrodes included in each of the left-receiving lines, and the detected signals are defined as sensing signals, 12 receive channels RX1, RX2, RX11, RX12 to the capacitive sensing circuit. The capacitance sensing circuit calculates touch coordinates based on the sensing signals.

특정 위치에서 터치가 발생되면, 해당 위치에 대응하는 좌-수신전극에서 검출되는 센싱신호의 전압 레벨은 다른 좌-수신전극들에서 검출되는 센싱신호의 전압 레벨보다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 레벨에 대응하는 좌-수신전극에 대응하는 위치를 터치좌표로 인식할 수 있다. When a touch occurs at a specific position, the voltage level of the sensing signal detected at the left-receiving electrode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may be relatively lower than the voltage level of the sensing signal detected at the other left-receiving electrodes. Therefore,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ft-receiving electrode corresponding to the relatively low voltage level can be recognized as the touch coordinates.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200)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ouch panel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200)은 제1 센싱블럭(SB1), 제2 센싱블럭(SB2), 제3 센싱블럭(SB3), 제4 센싱블럭(SB4), 제5 센싱블럭(SB5) 및 제6 센싱블럭(SB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6개의 센싱블럭들이 배치된 터치패널이 도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주변영역(PA)에는 4개의 송신채널들 각각에 대응하는 외부배선들과 12개의 수신채널들 각각에 대응하는 외부배선들이 형성된다. 4, the touch panel 2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nsing block SB1, a second sensing block SB2, a third sensing block SB3, a fourth sensing block SB4, , A fifth sensing block SB5, and a sixth sensing block SB6. In this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touch panel having six sensing blocks disposed therein is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external wiring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our transmission channels and external wiring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welve reception channels are formed in the peripheral area PA.

상기 제1 센싱블럭(SB1), 상기 제2 센싱블럭(SB2), 상기 제3 센싱블럭(SB3), 상기 제4 센싱블럭(SB4), 상기 제5 센싱블럭(SB5) 및 상기 제6 센싱블럭(SB6) 각각은 컬럼(column) 방향(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우(row)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The first sensing block SB1, the second sensing block SB2, the third sensing block SB3, the fourth sensing block SB4, the fifth sensing block SB5, (Or Y-axis direction) and arranged in the row direction (or the X-axis direction).

상기 제1 센싱블럭(SB1), 상기 제2 센싱블럭(SB2), 상기 제3 센싱블럭(SB3), 상기 제4 센싱블럭(SB4), 상기 제5 센싱블럭(SB5) 및 상기 제6 센싱블럭(SB6) 각각은 좌-송신라인(210), 우-송신라인(220), 좌-수신라인(230), 우-수신라인(240), 복수의 좌-송신 연결배선들(250) 및 복수의 우-송신 연결배선들(260)을 포함한다. 상기 좌-송신라인(210), 상기 우-송신라인(220), 상기 좌-수신라인(230), 상기 좌-송신 연결배선들(250) 및 상기 우-송신 연결배선들(260)은 동일한 평면상에 형성된다. The first sensing block SB1, the second sensing block SB2, the third sensing block SB3, the fourth sensing block SB4, the fifth sensing block SB5, Each of the left-side transmission lines 210, the right-side transmission line 220, the left-side reception line 230, the right-side reception line 240, And right-side connection interconnections 260 of FIG. The left-transmission line 210, the right-transmission line 220, the left-reception line 230, the left-transmission connection lines 250 and the right transmission connection lines 260 are the same Plane.

도 1에 도시된 홀수번째 센싱블럭들(SB1, SB3, SB5)과 짝수번째 센싱블럭들(SB2, SB4, SB6)은 관찰자 관점에서 좌우 대칭되어 배치되지만, 도 4에 도시된 센싱블럭들(SB1, SB2, SB3, SB4, SB5, SB6)은 관찰자 관점에서 반복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센싱블럭(SB1)에 구비되는 좌-송신라인(210), 우-송신라인(220), 좌-수신라인(230), 우-수신라인(240), 복수의 좌-송신 연결배선들(250) 및 복수의 우-송신 연결배선들(260)에 대해서 설명한다. The odd sensing blocks SB1, SB3 and SB5 and the even sensing blocks SB2, SB4 and SB6 shown in FIG. 1 are symmetrically arranged from the observer's point of view. However, the sensing blocks SB1 , SB2, SB3, SB4, SB5, and SB6 are repeatedly arranged from the viewpoint of the observer. Accordingly, in this embodiment, the left-side transmission line 210, the right-side transmission line 220, the left-side reception line 230, the right-side reception line 240, A plurality of left-transmission connection wirings 250 and a plurality of right-connection connection wirings 260 will be described.

상기 좌-송신라인(21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좌-송신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좌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송신전극들의 수나 크기, 폭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The left-transmission line 210 includes a plurality of left-transmitting electrodes arranged in the column direction, and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sensing block SB1. In this embodiment, it is apparent that the number, size, width, etc.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s can be variously changed.

상기 좌-송신전극들 각각은 컬럼 방향으로 연장된 좌-송신몸체부(212), 상기 좌-송신몸체부(212)에서 로우 방향으로 분기된 복수의 좌-송신분기부들(214)을 포함한다. 상기 좌-송신몸체부(212) 및 상기 좌-송신분기부들(214)은 도 1에서 설명된 상기 좌-송신몸체부(112) 및 상기 좌-송신분기부들(114) 각각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Each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s includes a left-transmitting body portion 212 extending in a column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left-side transmission branches 214 branched in a row direction in the left-transmitting body portion 212 . The left-transmission body 212 and the left-transmission branches 214 are the same as the left-transmission body 112 and the left-transmission branches 114 described in FIG. 1, Is omitted.

상기 우-송신라인(22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우-송신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우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송신전극들의 수나 크기, 폭 등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The right transmission line 220 includes a plurality of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arranged in a column direction, and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sensing block SB1. In this embodiment, it is apparent that the number, size, width, etc. of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can be variously changed.

상기 우-송신전극들 각각은 컬럼 방향으로 연장된 우-몸체부(222), 상기 우-몸체부(222)에서 로우 방향으로 분기된 복수의 우-분기부들(224)을 포함한다. 상기 우-몸체부(222) 및 상기 우-분기부들(224)은 도 1에서 설명된 상기 우-송신몸체부(122) 및 상기 우-송신분기부들(124) 각각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Each of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includes a right-body portion 222 extending in the column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right-branching portions 224 branched in the row direction in the right-body portion 222. The right-body portion 222 and the right-branch portions 224 are the same as the right-transmission body portion 122 and the right-transmission branch portions 124 described in FIG. 1, do.

상기 좌-수신라인(230)은 복수의 좌-수신몸체부들(232), 복수의 좌-수신분기부들(234) 및 복수의 좌-수신연결부(236)를 포함하고, 상기 좌-송신라인(210) 및 상기 우-송신라인(2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좌-수신몸체부들(232), 복수의 좌-수신분기부들(234) 및 복수의 좌-수신연결부(236)는 도 1에서 설명된 상기 좌-수신몸체부들(132), 복수의 좌-수신분기부들(134) 및 복수의 좌-수신연결부(136) 각각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left-receiving line 230 includes a plurality of left-receiving bodies 232, a plurality of left-receiving branches 234 and a plurality of left-receiving connections 236, 210 and the right-transmission line 220. The left-receiving bodies 232, the plurality of left-receiving branches 234, and the plurality of left-receiving connections 236 are connected to the left-receiving bodies 132, Reception branching sections 134 and the plurality of left-receiving connection sections 136,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우-수신라인(240)은 복수의 우-수신몸체부들(242), 복수의 우-수신분기부들(244) 및 복수의 우-수신연결부(246)를 포함하고, 상기 좌-수신라인(230) 및 상기 우-송신라인(22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우-수신몸체부들(242), 상기 우-수신분기부들(244) 및 상기 우-수신연결부(246)는 도 1에서 설명된 상기 우-수신몸체부들(142), 상기 우-수신분기부들(144) 및 상기 우-수신연결부(146) 각각과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right-receiving line 240 includes a plurality of right-receiving bodies 242, a plurality of right-receiving branches 244 and a plurality of right-receiving connections 246, 230 and the right-transmission line 220, respectively. The right-receiving bodies 242, the right-receiving branches 244 and the right-receiving connection 246 are connected to the right-receiving bodies 142, the right- Receiving connection unit 144 and the right-receiving connection unit 146,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컬럼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우 방향으로 배열된 센싱블럭들 각각이 좌-송신라인, 우-송신라인, 상기 좌-송신라인 및 상기 우-송신라인 사이에 배치된 좌-수신라인 및 우-수신라인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좌-송신라인의 좌-송신전극들과 상기 우-송신라인의 우-송신전극들은 치합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하나의 센싱블럭에 배치된 좌-송신전극과 우-송신전극의 배치 구조는 인접하는 센싱블럭에 배치된 좌-송신전극과 우-송신전극의 배치 구조와 좌우 대칭(bilateral symmetry)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each of the sensing blocks extending in the column direction and arranged in the row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left-transmission line, the right-transmission line, the left-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of the left-transmitting line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of the right-transmitting line are arranged in a coupling form. At this time,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arranged in one sensing block is bilaterally symmetric with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arranged in the adjacent sensing block.

따라서, 하나의 송신전극에 2개의 수신전극들(예를들어, 좌-수신전극 및 우-수신전극)이 대응되므로 송신전극을 연결하는데 필요한 연결배선의 숫자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수신전극들이 하나의 송신전극에 대응하므로 터치패널 전체를 스캔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Therefore, since two receiving electrodes (e.g., left-receiving electrode and right-receiving electrode) correspond to one transmitting electrode, the number of connecting wirings required to connect the transmitting electrode can be reduced. In addition, since two receiving electrodes correspond to one transmitting electrode, the time required for scanning the entire touch panel can be reduced.

또한, 하나의 수신라인 양쪽에 송신라인(예를들어, 좌-송신라인 및 우-송신라인)이 배치되므로 수신라인의 일측에만 송신라인이 배치된 터치패널에 비해 경계조건을 균일화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패널의 센싱 효율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Since the transmission lines (for example, the left-transmission line and the right-transmission line)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one reception line, the boundary conditions can be made uniform as compared with the touch panel in which the transmission lines are disposed only on one side of the reception line. Therefore, the sensing efficiency of the touch panel can also be improved.

또한, 서로 인접하는 좌-송신라인의 좌-송신전극과 우-송신라인의 우-송신전극 사이에 일정 간격만큼 서로 이격된 2개의 좌-수신전극들(예를들어, 좌-수신전극 및 우-수신전극)이 배치되므로 하나의 송신전극에 대응하여 하나의 수신전극이 배치된 터치패널에 비해 연결배선들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선들의 수의 증가에 따라 터치 무감 영역으로 동작하는 데드존을 감소시킬 수 있어 유효 터치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배선의 수가 감소하므로 터치인식칩의 패드수를 줄일 수 있다.Further, two left-receiving electrodes (for example, left-receiving electrodes and right-receiving electro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s of the left- The number of connection lines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a touch panel having one receiving electrode corresponding to one transmitting electrode. Accordingly, as the number of wirings increases, the dead zone operating in the touch-sensitive area can be reduced, and the effective touch area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connection wirings is reduced, the number of pads of the touch recognition chip can be reduced.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300)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영역 B를 발췌한 확대도이다. 5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ouch panel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the region B shown in FIG. 5; FIG.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300)은 제1 센싱블럭(SB1), 제2 센싱블럭(SB2), 제3 센싱블럭(SB3), 제4 센싱블럭(SB4), 제5 센싱블럭(SB5) 및 제6 센싱블럭(SB6)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6개의 센싱블럭들이 배치된 터치패널이 도시된다. 5 and 6, a touch panel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ensing block SB1, a second sensing block SB2, a third sensing block SB3, A sensing block SB4, a fifth sensing block SB5, and a sixth sensing block SB6. In this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 touch panel having six sensing blocks disposed therein is shown.

상기 제1 센싱블럭(SB1), 상기 제2 센싱블럭(SB2), 상기 제3 센싱블럭(SB3), 상기 제4 센싱블럭(SB4), 상기 제5 센싱블럭(SB5) 및 상기 제6 센싱블럭(SB6) 각각은 컬럼(column) 방향(또는 Y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우(row) 방향(또는 X축 방향)으로 배열된다. The first sensing block SB1, the second sensing block SB2, the third sensing block SB3, the fourth sensing block SB4, the fifth sensing block SB5, (Or Y-axis direction) and arranged in the row direction (or the X-axis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센싱블럭(SB1), 상기 제2 센싱블럭(SB2), 상기 제3 센싱블럭(SB3), 상기 제4 센싱블럭(SB4), 상기 제5 센싱블럭(SB5) 및 상기 제6 센싱블럭(SB6)이 형성된 영역은 터치영역(TA)으로 정의된다. 또한, 상기 터치영역(TA)을 둘러싸는 영역은 주변영역(PA)으로 정의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sensing block SB1, the second sensing block SB2, the third sensing block SB3, the fourth sensing block SB4, the fifth sensing block SB5, The area where the sixth sensing block SB6 is formed is defined as a touch area TA. The area surrounding the touch area TA is defined as a peripheral area PA.

본 실시예에서, 주변영역(PA)에는 4개의 송신채널들 각각에 대응하는 외부배선들과 14개의 수신채널들 각각에 대응하는 외부배선들이 형성된다. 즉, 상기 주변영역(PA)에는 제1 수신채널(RX1), 제2 수신채널(RX2), 제3 수신채널(RX3), 제4 수신채널(RX4), 제5 수신채널(RX5), 제6 수신채널(RX6), 제7 수신채널(RX7), 제8 수신채널(RX8), 제9 수신채널(RX9), 제10 수신채널(RX10), 제11 수신채널(RX11), 제12 수신채널(RX12), 제13 수신채널(RX13) 및 제14 수신채널(RX14) 각각에 연결되는 외부배선들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수신채널(RX1)은 상기 터치영역(TA)에서 가장 멀고, 상기 제14 수신채널(RX14)은 상기 터치영역(TA)에서 가장 가깝다. 또한, 상기 주변영역(PA)에는 제1 송신채널(TX1), 제2 송신채널(TX2), 제3 송신채널(TX3) 및 제4 송신채널(TX4) 각각에 연결되는 외부배선들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송신채널(TX1)은 상기 터치영역(TA)에서 가장 멀고, 상기 제4 송신채널(TX4)은 상기 터치영역(TA)에서 가장 가깝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ternal wiring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our transmission channels and the external wiring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ourteen receiving channels are formed in the peripheral area PA. That is, the peripheral area PA includes a first receiving channel RX1, a second receiving channel RX2, a third receiving channel RX3, a fourth receiving channel RX4, a fifth receiving channel RX5, The sixth reception channel RX6, the seventh reception channel RX7, the eighth reception channel RX8, the ninth reception channel RX9, the tenth reception channel RX10, the eleventh reception channel RX11, External wirings connected to the channel RX12, the thirteenth reception channel RX13 and the fourteenth reception channel RX14 are sequentially form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reception channel RX1 is farthest from the touch area TA and the 14th reception channel RX14 is closest to the touch area TA. External wiring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channel TX1, the second transmission channel TX2, the third transmission channel TX3 and the fourth transmission channel TX4 are sequentially formed in the peripheral area PA d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transmission channel TX1 is farthest from the touch area TA, and the fourth transmission channel TX4 is closest to the touch area TA.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신채널들(TX1, TX2, TX3, TX4) 각각을 통해 터치센싱을 위한 구동신호가 송신되고 상기 수신채널들(RX1, RX2, RX3, RX4, RX5, RX6, RX7, RX8, RX9, RX10, RX11, RX12, RX13, RX14) 각각을 통해 터치센싱을 위한 센싱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터치센싱을 위한 구동신호는 상기 수신채널들(RX1, RX2, RX3, RX4, RX5, RX6, RX7, RX8, RX9, RX10, RX11, RX12, RX13, RX14) 각각을 통해 송신될 수도 있고, 상기한 터치센싱을 위한 센싱신호는 상기 송신채널들(TX1, TX2, TX3, TX4) 각각을 통해 수신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a driving signal for touch sensing is transmitted through each of the transmission channels TX1, TX2, TX3, and TX4 and the reception channels RX1, RX2, RX3, RX4, RX5, RX6, RX7, , RX9, RX10, RX11, RX12, RX13, and RX14, respectively. However, the driving signal for touch sensing may be transmitted through each of the reception channels RX1, RX2, RX3, RX4, RX5, RX6, RX7, RX8, RX9, RX10, RX11, RX12, RX13, And the sensing signal for the touch sensing may be received through each of the transmission channels TX1, TX2, TX3, and TX4.

상기 제1 센싱블럭(SB1), 상기 제2 센싱블럭(SB2), 상기 제3 센싱블럭(SB3), 상기 제4 센싱블럭(SB4), 상기 제5 센싱블럭(SB5) 및 상기 제6 센싱블럭(SB6) 각각은 좌-송신라인(310), 우-송신라인(320), 제1 좌-수신라인(330), 제2 좌-수신라인(340), 제1 우-수신라인(350), 제2 우-수신라인(360), 복수의 좌-송신 연결배선들(370) 및 복수의 우-송신 연결배선들(380)을 포함한다. 상기 좌-송신라인(310), 상기 우-송신라인(320),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 상기 제2 우-수신라인(360), 상기 좌-송신 연결배선들(370) 및 상기 우-송신 연결배선들(380)은 동일한 평면상에 형성된다. The first sensing block SB1, the second sensing block SB2, the third sensing block SB3, the fourth sensing block SB4, the fifth sensing block SB5, Receiving line 340 and the first right-receiving line 350. Each of the left-side transmission line 310, the right-side transmission line 320, the first left-side transmission line 330, A second right-receive line 360, a plurality of left-transmit connection lines 370, and a plurality of right-connection connection lines 380. The left-transmission line 310, the right-transmission line 320,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the second left-receiving line 340, the first right- The second right-receiving line 360, the left-transmission connecting lines 370 and the right-transmitting connecting lines 380 are formed on the same plane.

상기 좌-송신라인(31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좌-송신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좌측에 배치된다. 상기 좌-송신전극들 각각에는 2쌍의 후퇴부들이 X-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 및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을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서, 2쌍의 후퇴부들중 한쌍의 후퇴부는 좌-송신전극의 상측부에 형성되고, 다른 한쌍의 후퇴부는 좌-송신전극의 하측부에 형성된다. 한쌍의 후퇴부를 평면상에서 관찰할 때, 하나의 후퇴부는 10시 방향을 향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후퇴부는 8시 방향을 향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송신전극들의 수는 4개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좌-송신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좌-송신전극들 각각의 폭은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The left-side transmission line 310 includes a plurality of left-side transmission electrodes arranged in a column direction, and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first sensing block SB1. In each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s, two pairs of recesses are formed in the X-axis direction to cover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and the second left-receiving line 340. In this embodiment, one of the two pairs of recesses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other pair of recesses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When a pair of recesses are observed on a plane, one recession is formed toward the 10 o'clock direction, and the other recession is formed toward the 8 o'clock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s is fou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ze of each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s is shown to be equal to each oth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although the widths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s are shown as being equal,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 좌-송신전극들 각각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 송신채널(TX1), 상기 제2 송신채널(TX2), 상기 제3 송신채널(TX3) 및 상기 제4 송신채널(TX4) 각각에 연결된다. 예를들어, 첫번째 좌-송신전극은 상기 제1 송신채널(TX1)에 연결되고, 두번째 좌-송신전극은 상기 제2 송신채널(TX2)에 연결되고, 세번째 좌-송신전극은 상기 제3 송신채널(TX3)에 연결되고, 네번째 좌-송신전극은 상기 제4 송신채널(TX4)에 연결된다. Each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s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channel TX1, the second transmission channel TX2, the third transmission channel TX3, and the fourth transmission channel TX4 via external wiring, do. For example, a first left-transmitting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channel TX1, a second left-transmitting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channel TX2, a third left- Channel TX3, and a fourth left-transmitting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fourth transmission channel TX4.

상기 우-송신라인(32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우-송신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우측에 배치된다. 상기 우-송신전극들 각각에는 2쌍의 후퇴부들이 X-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 및 상기 제2 우-수신라인(350)을 커버한다. 본 실시예에서, 2쌍의 후퇴부들중 한쌍의 후퇴부는 우-송신전극의 상측부에 형성되고, 다른 한쌍의 후퇴부는 우-송신전극의 하측부에 형성된다. 한쌍의 후퇴부를 평면상에서 관찰할 때, 하나의 후퇴부는 2시 방향을 향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후퇴부는 4시 방향을 향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송신전극들의 수는 4개인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우-송신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우-송신전극들 각각의 크기와 상기 좌-송신전극들 각각의 크기는 서로 동일하다.The right transmission line 320 includes a plurality of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arranged in a column direction, and is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first sensing block SB1. In each of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two pairs of recesses are formed in the X-axis direction to cover the first right-receiving line 350 and the second right-receiving line 350. In this embodiment, one of the two pairs of recesses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other pair of the recesses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When one pair of recesses is observed on a plane, one recession is formed toward the 2 o'clock direction, and the other recession is formed toward the 4 o'clock dir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is four,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In this embodiment, the sizes of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are shown to be equal to each oth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size of each of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and the size of each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s are the same.

상기 우-송신전극들 각각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 송신채널(TX1), 상기 제2 송신채널(TX2), 상기 제3 송신채널(TX3) 및 상기 제4 송신채널(TX4) 각각에 연결된다. 예를들어, 첫번째 우-송신전극은 상기 제1 송신채널(TX1)에 연결되고, 두번째 우-송신전극은 상기 제2 송신채널(TX2)에 연결되고, 세번째 우-송신전극은 상기 제3 송신채널(TX3)에 연결되고, 네번째 우-송신전극은 상기 제4 송신채널(TX4)에 연결된다. Each of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channel TX1, the second transmission channel TX2, the third transmission channel TX3, and the fourth transmission channel TX4 via external wiring, do. For example, the first right-transmitting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channel TX1, the second right-transmitting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transmission channel TX2, and the third right- Channel TX3, and a fourth right-transmitting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fourth transmission channel TX4.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좌-수신줄기부(332), 상기 좌-송신전극의 상측부에 형성된 한쌍의 후퇴부에 평면상에서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좌-수신줄기부(332)에서 굴곡된 제1 좌-수신굴곡부(334), 상기 좌-송신전극의 하측부에 형성된 한쌍의 후퇴부에 평면상에서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좌-수신줄기부(332)에서 분기된 제1 좌-수신분기부(336)를 포함하고, 상기 좌-송신라인(310) 및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 사이에 형성된다.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includes a first left-receiving stem portion 332 arranged in a column direction, a second left-receiving stem portion 332 disposed in a pair of recesse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left- A first left-receiving bent portion 334 curved in the receiving stem portion 332; a first left-receiving stem portion 332 inserted in a plane in a pair of recesse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left- And is formed between the left-transmission line 310 and the second left-receiving line 340. The first left-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제2 좌-수신줄기부(342), 상기 좌-송신전극의 하측부에 형성된 한쌍의 후퇴부에 평면상에서 삽입되도록 상기 제2 좌-수신줄기부(342)에서 분기된 제2 좌-수신분기부(344)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 및 제2 우-수신라인(360) 사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좌-수신분기부(336)는 제1 좌-수신전극을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제2 좌-수신분기부(344)는 제2 좌-수신전극을 정의할 수 있다. The second left-receiving line 340 includes a second left-receiving stem portion 342 arranged in a column direction, a second left-receiving stem portion 342 inserted in a plane on a pair of recesse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left- Receiving line 342 branched from the receiving line base 342 and formed between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and the second right-receiving line 360. The second left-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left-hand signal divider 336 may define a first left-receiving electrode, and the second left-hand signal divider 344 may define a second left- .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제1 우-수신줄기부(352), 상기 좌-송신전극의 상측부에 형성된 한쌍의 후퇴부에 평면상에서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우-수신줄기부(352)에서 굴곡된 제1 우-수신굴곡부(354), 상기 좌-송신전극의 하측부에 형성된 한쌍의 후퇴부에 평면상에서 삽입되도록 상기 제1 우-수신줄기부(352)에서 분기된 제1 우-수신분기부(356)를 포함하고, 상기 우-송신라인(320) 및 상기 제2 우-수신라인(360) 사이에 형성된다.The first right-receiving line 350 includes a first right-receiving stem 352 arranged in the column direction, a second right-receiving stem 352 disposed in the first right- A first right-receiving bend 354 curved in the receiving strip 352, a first right-receiving stub 352 inserted in a plane in a pair of recesse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left- And is formed between the right-transmission line 320 and the second right-reception line 360. The first right-

상기 제2 우-수신라인(360)은 컬럼 방향으로 배열된 제2 우-수신줄기부(362), 상기 좌-송신전극의 하측부에 형성된 한쌍의 후퇴부에 평면상에서 삽입되도록 상기 제2 우-수신줄기부(362)에서 분기된 제2 우-수신분기부(364)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 및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 사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우-수신분기부(356)는 제1 우-수신전극을 정의할 수 있고, 상기 제2 우-분기부(364)는 제2 우-수신전극을 정의할 수 있다.The second right-receiving line 360 includes a second right-receiving stem portion 362 arranged in a column direction, a second right-receiving stem portion 362 inserted in a plane in a pair of recesse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left- Receiving branch 364 branched at the receiving stripline 362 and formed between the second left-receiving line 340 and the first right-receiving line 350. The second right-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ight-hand distributor 356 may define a first right-receiving electrode, and the second right-branch 364 may define a second right- hav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 및 상기 제2 우-수신라인(360) 각각과 상기 수신채널들(RX1, RX2, RX3, RX4, RX5, RX6, RX7, RX8, RX9, RX10, RX11, RX12, RX13, RX14) 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the second left-receiving line 340, the first right-receiving line 350 and the second right-receiving line 360, respectively,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reception channels RX1, RX2, RX3, RX4, RX5, RX6, RX7, RX8, RX9, RX10, RX11, RX12, RX13 and RX14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제1 센싱블럭(SB1)에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2 수신채널(RX2)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 수신채널(RX1)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4 수신채널(RX4)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우-수신라인(36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3 수신채널(RX3)에 연결된다. In the first sensing block SB1,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ceiving channel RX2 via an external wiring line, and the second left- Receiving line 350 is connected to the fourth receiving channel RX4 via an external wire and the second right-receiving line 360 is connected to the first receiving channel RX2 through an external line, Is connected to the third receiving channel RX3 via external wiring.

상기 제2 센싱블럭(SB2)에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4 수신채널(RX4)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3 수신채널(RX3)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6 수신채널(RX6)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우-수신라인(36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5 수신채널(RX5)에 연결된다. In the second sensing block SB2,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is connected to the fourth receiving channel RX4 via external wiring, and the second left- Receiving line 350 is connected to the sixth receiving channel RX6 via an external line and the second right-receiving line 360 is connected to the third receiving channel RX3 via an external line, Is connected to the fifth reception channel RX5 through an external wiring.

상기 제3 센싱블럭(SB3)에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6 수신채널(RX6)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5 수신채널(RX5)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8 수신채널(RX8)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우-수신라인(36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7 수신채널(RX7)에 연결된다. In the third sensing block SB3,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is connected to the sixth receiving channel RX6 via external wiring, and the second left-receiving line 34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wiring Receiving line 350 is connected to the eighth receiving channel RX8 through an external wire and the second right-receiving line 360 is connected to the fifth receiving channel RX5 via an external wire, Is connected to the seventh reception channel RX7 through an external wiring.

상기 제4 센싱블럭(SB4)에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8 수신채널(RX8)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7 수신채널(RX7)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0 수신채널(RX10)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우-수신라인(36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9 수신채널(RX9)에 연결된다. In the fourth sensing block SB4,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is connected to the eighth receiving channel RX8 via an external wiring line, and the second left- Receiving line 350 is connected to the tenth receiving channel RX10 via an external line and the second right-receiving line 360 is connected to the seventh receiving channel RX6 through an external line, Is connected to the ninth receiving channel RX9 through an external wiring.

상기 제5 센싱블럭(SB5)에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0 수신채널(RX10)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9 수신채널(RX9)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2 수신채널(RX12)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우-수신라인(36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1 수신채널(RX11)에 연결된다. In the fifth sensing block SB5,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is connected to the tenth receiving channel RX10 via external wiring, and the second left-receiving line 34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wiring Receiving line 350 is connected to the ninth receiving channel RX9 via an external line and the second right receiving line 350 is connected to the twelfth receiving channel RX12 through an external line, Is connected to the eleventh reception channel RX11 through external wiring.

상기 제6 센싱블럭(SB6)에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2 수신채널(RX12)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1 수신채널(RX11)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4 수신채널(RX14)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우-수신라인(36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3 수신채널(RX13)에 연결된다. In the sixth sensing block SB6,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is connected to the twelfth receiving channel RX12 through an external wiring, and the second left-receiving line 34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wiring Receiving line 350 is connected to the 14th receiving channel RX14 via external wiring and the second right-receiving line 360 is connected to the 11th receiving channel RX11 via an external line, Is connected to the thirteenth receiving channel RX13 through an external wiring.

상기 좌-송신 연결배선들(370)은 상기 좌-송신전극들 각각에 연결되고, 상기 우-송신 연결배선들(380)은 상기 우-송신전극들 각각에 연결된다. The left-transmission connection lines 370 are connected to the left-transmission electrodes, and the right-transmission connection lines 380 are connected to the right-transmission electrodes 380,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 서로 인접하는 센싱블럭에 구비되는 우-송신라인(320)의 마지막 우-송신전극과 좌-송신라인(310)의 마지막 좌-송신전극은 연결배선을 공유한다. 즉, 상기 제1 센싱블럭(SB1)의 우-송신라인(320)의 마지막 우-송신전극과 상기 제2 센싱블럭(SB2)의 좌-송신라인(310)의 마지막 좌-송신전극은 하나의 연결배선을 공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센싱블럭(SB1)과 상기 제2 센싱블럭(SB2) 사이에는 7개의 송신 연결배선들이 배치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last right-transmission electrode of the right-transmission line 320 and the last left-transmission electrode of the left-transmission line 310 provided in the adjacent sensing blocks share the connection wiring. That is, the last right-transmitting electrode of the right transmission line 320 of the first sensing block SB1 and the last left-transmitting electrode of the left transmission line 310 of the second sensing block SB2 are connected to one Share connection wiring. Accordingly, seven transmission connection wires ar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ensing block SB1 and the second sensing block SB2.

또한, 상기 제2 센싱블럭(SB2)의 우-송신라인(320)의 마지막 우-송신전극과 상기 제3 센싱블럭(SB3)의 좌-송신라인(310)의 마지막 좌-송신전극은 하나의 연결배선을 공유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센싱블럭(SB2)과 상기 제3 센싱블럭(SB3) 사이에는 7개의 송신 연결배선들이 배치된다.The last right-transmitting electrode of the right transmission line 320 of the second sensing block SB2 and the last left-transmitting electrode of the left transmission line 310 of the third sensing block SB3 are connected to one Share connection wiring. Accordingly, seven transmission connection wires are disposed between the second sensing block SB2 and the third sensing block SB3.

상기 연결배선들의 선폭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상기 연결배선들의 선폭이 상이한 경우, 상기 연결배선의 선폭은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도 있고, 단속적으로 증가할 수도 있다. The line widths of the connection wirings may be equal to each other or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line widths of the connection wirings are different, the line width of the connection wirings may gradually increase or decrease intermittently.

또한, 컬럼 방향의 하부로 갈수록 좌-송신 연결배선 및 우-송신 연결배선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이 존재한다. 따라서, 좌-송신전극의 폭 및 우-송신전극의 폭은 하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region where the left-side transmission wiring and the right-side transmission wiring are not formed toward the bottom of the column direction. Thus, the width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width of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may gradually increase toward the bottom.

또한, 좌-송신전극과 좌-송신 연결배선간의 영역 및 우-송신전극과 우-송신 연결배선간의 영역에 더미패턴(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dummy pattern (not shown) may be disposed in a region between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left-transmission connecting wiring and in a region between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right-transmitting connecting wiring.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컬럼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우 방향으로 배열된 센싱블럭들 각각이 좌-송신라인, 우-송신라인, 상기 좌-송신라인 및 상기 우-송신라인 사이에 배치된 2개의 좌-수신라인들 및 2개의 우-수신라인을 포함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좌-송신라인의 좌-송신전극들과 상기 우-송신라인의 우-송신전극들은 서로 정사영(orthogonal projection)되도록 배치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each of the sensing blocks extending in the column direction and arranged in the row direction is connected to the left-transmission line, the right-transmission line, the left-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of the left-transmitting line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of the right-transmitting line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projection.

따라서, 하나의 송신전극에 4개의 수신전극들(예를들어, 2개의 좌-수신전극들 및 2개의 우-수신전극들)이 대응되므로 송신전극을 연결하는데 필요한 연결배선의 숫자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4개의 수신전극들이 하나의 송신전극에 대응하므로 터치패널 전체를 스캔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4개의 수신전극들에 대응하여 좌-송신전극과 우-송신전극이 배치되지만, 상기 좌-송신전극과 상기 우-송신전극은 동일한 송신채널에 연결되므로 하나의 송신전극으로 간주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four receiving electrodes (for example, two left-receiving electrodes and two right-receiving electrodes) correspond to one transmitting electrode, the number of connecting wirings required to connect the transmitting electrodes can be reduced have. In addition, since the four receiving electrodes correspond to one transmitting electrode, the time required for scanning the entire touch panel can be reduced. In this embodiment,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are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four receiving electrodes, but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are connected to the same transmitting channel. can do.

또한, 수신라인(즉, 4개의 수신라인)의 양쪽에 송신라인(예를들어, 좌-송신라인 및 우-송신라인)이 배치되므로 수신라인의 일측에만 송신라인이 배치된 터치패널에 비해 경계조건을 균일화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패널의 센싱 효율 역시 향상시킬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transmission lines (for example, the left-transmission line and the right-transmission line)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eception line (i.e., four reception lines) The conditions can be made uniform. Therefore, the sensing efficiency of the touch panel can also be improved.

또한, 서로 인접하는 좌-송신전극과 우-송신전극 사이에 일정 간격만큼 서로 이격된 2개의 좌-수신전극들 및 2개의 우-수신전극들이 배치되므로 하나의 송신전극에 대응하여 하나의 수신전극이 배치된 터치패널에 비해 연결배선들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선들의 수의 증가에 따라 터치 무감 영역으로 동작하는 데드존을 감소시킬 수 있어 유효 터치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배선의 수가 감소하므로 터치인식칩의 패드수를 줄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wo left-receiving electrodes and two right-receiving electrod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re disposed between adjacent left-transmitting electrodes and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one receiving electrode corresponding to one transmitting electrode The number of connection wirings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arranged touch panel. Accordingly, as the number of wirings increases, the dead zone operating in the touch-sensitive area can be reduced, and the effective touch area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since the number of connection wirings is reduced, the number of pads of the touch recognition chip can be reduced.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400)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7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ouch panel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400)은 수신라인들과 수신채널들 간의 연결 구조를 제외하고는 도 5에 도시된 터치패널(300)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7, the touch panel 4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touch panel 300 shown in FIG. 5 except for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reception lines and the reception channels.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 주변영역(PA)에는 4개의 송신채널들 각각에 대응하는 외부배선들과 12개의 수신채널들 각각에 대응하는 외부배선들이 형성된다. 즉, 제1 수신채널(RX1), 제2 수신채널(RX2), 제3 수신채널(RX3), 제4 수신채널(RX4), 제5 수신채널(RX5), 제6 수신채널(RX6), 제7 수신채널(RX7), 제8 수신채널(RX8), 제9 수신채널(RX9), 제10 수신채널(RX10), 제11 수신채널(RX11) 및 제12 수신채널(RX12) 각각에 연결되는 외부배선들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수신채널(RX1)은 상기 터치영역(TA)에서 가장 멀고, 상기 제12 수신채널(RX12)은 상기 터치영역(TA)에서 가장 가깝다. 또한, 상기 주변영역(PA)에는 제1 송신채널(TX1), 제2 송신채널(TX2), 제3 송신채널(TX3) 및 제4 송신채널(TX4) 각각에 연결되는 외부배선들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송신채널(TX1)은 상기 터치영역(TA)에서 가장 멀고, 상기 제4 송신채널(TX4)은 상기 터치영역(TA)에서 가장 가깝다.In the present embodiment, external wiring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our transmission channels and external wiring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twelve reception channels are formed in the peripheral area PA. That is, the first receiving channel RX1, the second receiving channel RX2, the third receiving channel RX3, the fourth receiving channel RX4, the fifth receiving channel RX5, the sixth receiving channel RX6, To the seventh reception channel RX7, the eighth reception channel RX8, the ninth reception channel RX9, the tenth reception channel RX10, the eleventh reception channel RX11 and the twelfth reception channel RX12 Are sequentially form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reception channel RX1 is the farthest from the touch area TA, and the 12th reception channel RX12 is closest to the touch area TA. External wiring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channel TX1, the second transmission channel TX2, the third transmission channel TX3 and the fourth transmission channel TX4 are sequentially formed in the peripheral area PA d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transmission channel TX1 is farthest from the touch area TA, and the fourth transmission channel TX4 is closest to the touch area TA.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신채널들(TX1, TX2, TX3, TX4) 각각을 통해 터치센싱을 위한 구동신호가 송신되고 상기 수신채널들(RX1, RX2, RX3, RX4, RX5, RX6, RX7, RX8, RX9, RX10, RX11, RX12) 각각을 통해 터치센싱을 위한 센싱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터치센싱을 위한 구동신호는 상기 수신채널들(RX1, RX2, RX3, RX4, RX5, RX6, RX7, RX8, RX9, RX10, RX11, RX12) 각각을 통해 송신될 수도 있고, 상기한 터치센싱을 위한 센싱신호는 상기 송신채널들(TX1, TX2, TX3, TX4) 각각을 통해 수신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a driving signal for touch sensing is transmitted through each of the transmission channels TX1, TX2, TX3, and TX4 and the reception channels RX1, RX2, RX3, RX4, RX5, RX6, RX7, , RX9, RX10, RX11, and RX12, respectively, may be received. However, the driving signal for touch sensing may be transmitted through each of the reception channels RX1, RX2, RX3, RX4, RX5, RX6, RX7, RX8, RX9, RX10, RX11, RX12, A sensing signal for touch sensing may be received through each of the transmission channels TX1, TX2, TX3, TX4.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 및 상기 제2 우-수신라인(360) 각각과 상기 수신채널들(RX1, RX2, RX3, RX4, RX5, RX6, RX7, RX8, RX9, RX10, RX11, RX12) 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the second left-receiving line 340, the first right-receiving line 350 and the second right-receiving line 360, respectively,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reception channels RX1, RX2, RX3, RX4, RX5, RX6, RX7, RX8, RX9, RX10, RX11 and RX12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제1 센싱블럭(SB1)에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2 수신채널(RX2)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 수신채널(RX1)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2 수신채널(RX2)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우-수신라인(36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 수신채널(RX1)에 연결된다. In the first sensing block SB1,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ceiving channel RX2 via an external wiring line, and the second left- Receiving line 350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ceiving channel RX2 via an external wire and the second right-receiving line 360 is connected to the first receiving channel RX2 through an external wire, Is connected to the first receiving channel RX1 via external wiring.

상기 제2 센싱블럭(SB2)에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4 수신채널(RX4)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3 수신채널(RX3)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4 수신채널(RX4)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우-수신라인(36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3 수신채널(RX3)에 연결된다. In the second sensing block SB2,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is connected to the fourth receiving channel RX4 via external wiring, and the second left- Receiving line 350 is connected to the fourth receiving channel RX4 via an external wire and the second right-receiving line 360 is connected to the third receiving channel RX3 via an external wire, Is connected to the third receiving channel RX3 via external wiring.

상기 제3 센싱블럭(SB3)에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6 수신채널(RX6)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5 수신채널(RX5)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6 수신채널(RX6)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우-수신라인(36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5 수신채널(RX5)에 연결된다. In the third sensing block SB3,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is connected to the sixth receiving channel RX6 via external wiring, and the second left-receiving line 34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wiring Receiving line 350 is connected to the sixth receiving channel RX6 via an external line and the second right-receiving line 360 is connected to the fifth receiving channel RX5 via an external line, Is connected to the fifth reception channel RX5 through an external wiring.

상기 제4 센싱블럭(SB4)에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8 수신채널(RX8)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7 수신채널(RX7)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8 수신채널(RX8)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우-수신라인(36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7 수신채널(RX7)에 연결된다. In the fourth sensing block SB4,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is connected to the eighth receiving channel RX8 via an external wiring line, and the second left- Receiving line 350 is connected to the eighth receiving channel RX8 via an external wire and the second right-receiving line 360 is connected to the seventh receiving channel RX6 via an external wire, Is connected to the seventh reception channel RX7 through an external wiring.

상기 제5 센싱블럭(SB5)에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0 수신채널(RX10)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9 수신채널(RX9)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0 수신채널(RX10)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우-수신라인(36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9 수신채널(RX9)에 연결된다. In the fifth sensing block SB5,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is connected to the tenth receiving channel RX10 via external wiring, and the second left-receiving line 34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wiring Receiving line 350 is connected to the tenth receiving channel RX10 via an external line and the second right-receiving line 360 is connected to the ninth receiving channel RX2 through an external line, Is connected to the ninth receiving channel RX9 through an external wiring.

상기 제6 센싱블럭(SB6)에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2 수신채널(RX12)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1 수신채널(RX11)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2 수신채널(RX12)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우-수신라인(36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1 수신채널(RX11)에 연결된다. In the sixth sensing block SB6,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is connected to the twelfth receiving channel RX12 through an external wiring, and the second left-receiving line 34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wiring Receiving line 350 is connected to the twelfth receiving channel RX12 via an external wiring and the second right-receiving line 360 Is connected to the eleventh reception channel RX11 through external wiring.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500)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8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ouch panel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패널(500)은 수신라인들과 수신채널들 간의 연결 구조를 제외하고는 도 5에 도시된 터치패널(300)과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8, the touch panel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touch panel 300 shown in FIG. 5 except for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reception lines and the reception channels.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실시예에서, 주변영역(PA)에는 4개의 송신채널들 각각에 대응하는 외부배선들과 24개의 수신채널들 각각에 대응하는 외부배선들이 형성된다. 즉, 제1 수신채널(RX1), 제2 수신채널(RX2), 제3 수신채널(RX3), 제4 수신채널(RX4), 제5 수신채널(RX5), 제6 수신채널(RX6), 제7 수신채널(RX7), 제8 수신채널(RX8), 제9 수신채널(RX9), 제10 수신채널(RX10), 제11 수신채널(RX11), 제12 수신채널(RX12), 제13 수신채널(RX13), 제14 수신채널(RX14), 제15 수신채널(RX15), 제16 수신채널(RX16), 제17 수신채널(RX17) 제18 수신채널(RX18), 제19 수신채널(RX19), 제20 수신채널(RX20), 제21 수신채널(RX21), 제22 수신채널(RX22), 제23 수신채널(RX23) 및 제24 수신채널(RX24) 각각에 연결되는 외부배선들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수신채널(RX1)은 상기 터치영역(TA)에서 가장 멀고, 상기 제24 수신채널(RX24)은 상기 터치영역(TA)에서 가장 가깝다. 또한, 상기 주변영역(PA)에는 제1 송신채널(TX1), 제2 송신채널(TX2), 제3 송신채널(TX3) 및 제4 송신채널(TX4) 각각에 연결되는 외부배선들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송신채널(TX1)은 상기 터치영역(TA)에서 가장 멀고, 상기 제4 송신채널(TX4)은 상기 터치영역(TA)에서 가장 가깝다.In the present embodiment, external wiring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our transmission channels and external wiring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24 reception channels are formed in the peripheral area PA. That is, the first receiving channel RX1, the second receiving channel RX2, the third receiving channel RX3, the fourth receiving channel RX4, the fifth receiving channel RX5, the sixth receiving channel RX6, The seventh reception channel RX7, the eighth reception channel RX8, the ninth reception channel RX9, the tenth reception channel RX10, the eleventh reception channel RX11, the twelfth reception channel RX12, The 16th receiving channel RX16, the 17th receiving channel RX17, the 18th receiving channel RX18, the 19th receiving channel RX14, the 14th receiving channel RX14, the 15th receiving channel RX15, the 16th receiving channel RX15, External wirings connected to the 20th reception channel RX19, the 20th reception channel RX20, the 21st reception channel RX21, the 22nd reception channel RX22, the 23rd reception channel RX23 and the 24th reception channel RX24 are sequentially .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reception channel RX1 is farthest from the touch area TA, and the 24th reception channel RX24 is closest to the touch area TA. External wiring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mission channel TX1, the second transmission channel TX2, the third transmission channel TX3 and the fourth transmission channel TX4 are sequentially formed in the peripheral area PA d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transmission channel TX1 is farthest from the touch area TA, and the fourth transmission channel TX4 is closest to the touch area TA.

본 실시예에서, 상기 송신채널들(TX1, TX2, TX3, TX4) 각각을 통해 터치센싱을 위한 구동신호가 송신되고 상기 수신채널들(RX1, RX2, RX3, RX4, RX5, RX6, RX7, RX8, RX9, RX10, RX11, RX12, RX13, RX14, RX15, RX16, RX17, RX18, RX19, RX20, RX21, RX22, RX23, RX24) 각각을 통해 터치센싱을 위한 센싱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터치센싱을 위한 구동신호는 상기 수신채널들(RX1, RX2, RX3, RX4, RX5, RX6, RX7, RX8, RX9, RX10, RX11, RX12, RX13, RX14, RX15, RX16, RX17, RX18, RX19, RX20, RX21, RX22, RX23, RX24) 각각을 통해 송신될 수도 있고, 상기한 터치센싱을 위한 센싱신호는 상기 송신채널들(TX1, TX2, TX3, TX4) 각각을 통해 수신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a driving signal for touch sensing is transmitted through each of the transmission channels TX1, TX2, TX3, and TX4 and the reception channels RX1, RX2, RX3, RX4, RX5, RX6, RX7, A sensing signal for touch sensing may be received through each of RX9, RX10, RX11, RX12, RX13, RX14, RX15, RX16, RX17, RX18, RX19, RX20, RX21, RX22, RX23, RX24. However, the driving signal for the touch sensing is not limited to the reception channels RX1, RX2, RX3, RX4, RX5, RX6, RX7, RX8, RX9, RX10, RX11, RX12, RX13, RX14, RX15, RX16, RX17, RX18, RX19, RX20, RX21, RX22, RX23, RX24, and the sensing signal for the touch sensing may be received through each of the transmission channels TX1, TX2, TX3, TX4 hav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 및 상기 제2 우-수신라인(360) 각각과 상기 수신채널들(RX1, RX2, RX3, RX4, RX5, RX6, RX7, RX8, RX9, RX10, RX11, RX12, RX13, RX14, RX15, RX16, RX17, RX18, RX19, RX20, RX21, RX22, RX23, RX24) 간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the second left-receiving line 340, the first right-receiving line 350 and the second right-receiving line 360, respectively, The reception channels RX1, RX2, RX3, RX4, RX5, RX6, RX7, RX8, RX9, RX10, RX11, RX12, RX13, RX14, RX15, RX16, RX17, RX18, RX19, RX20, RX21, RX22, RX23 , RX24) will be described below.

상기 제1 센싱블럭(SB1)에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2 수신채널(RX2)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 수신채널(RX1)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4 수신채널(RX4)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우-수신라인(36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3 수신채널(RX3)에 연결된다. In the first sensing block SB1,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is connected to the second receiving channel RX2 via an external wiring line, and the second left- Receiving line 350 is connected to the fourth receiving channel RX4 via an external wire and the second right-receiving line 360 is connected to the first receiving channel RX2 through an external line, Is connected to the third receiving channel RX3 via external wiring.

상기 제2 센싱블럭(SB2)에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6 수신채널(RX6)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5 수신채널(RX5)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8 수신채널(RX8)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우-수신라인(36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7 수신채널(RX7)에 연결된다. In the second sensing block SB2,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is connected to the sixth receiving channel RX6 via an external wiring line, and the second left- Receiving line 350 is connected to the eighth receiving channel RX8 through an external wire and the second right-receiving line 360 is connected to the fifth receiving channel RX5 via an external wire, Is connected to the seventh reception channel RX7 through an external wiring.

상기 제3 센싱블럭(SB3)에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0 수신채널(RX10)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9 수신채널(RX9)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2 수신채널(RX12)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우-수신라인(36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1 수신채널(RX11)에 연결된다. In the third sensing block SB3,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is connected to the tenth receiving channel RX10 via external wiring, and the second left- Receiving line 350 is connected to the ninth receiving channel RX9 via an external line and the second right receiving line 350 is connected to the twelfth receiving channel RX12 through an external line, Is connected to the eleventh reception channel RX11 through external wiring.

상기 제4 센싱블럭(SB4)에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4 수신채널(RX14)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3 수신채널(RX13)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6 수신채널(RX16)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우-수신라인(36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5 수신채널(RX15)에 연결된다. In the fourth sensing block SB4,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is connected to the fourteenth receiving channel RX14 via external wiring, and the second left-receiving line 34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wiring Receiving line 350 is connected to the 16th receiving channel RX16 via an external line and the second right-receiving line 360 is connected to the 13th receiving channel RX13 via an external line, Is connected to the fifteenth receiving channel RX15 via external wiring.

상기 제5 센싱블럭(SB5)에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8 수신채널(RX18)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7 수신채널(RX17)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20 수신채널(RX20)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우-수신라인(36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19 수신채널(RX19)에 연결된다. In the fifth sensing block SB5,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is connected to the 18th receiving channel RX18 via external wiring, the second left-receiving line 34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wiring Receiving line 350 is connected to the seventeenth receiving channel RX17 via an external line, and the first right-receiving line 350 is connected to the twentieth receiving channel RX20 via an external line, Is connected to the nineteenth receiving channel RX19 via external wiring.

상기 제6 센싱블럭(SB6)에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33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22 수신채널(RX22)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좌-수신라인(34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21 수신채널(RX21)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우-수신라인(35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24 수신채널(RX24)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우-수신라인(360)은 외부 배선을 통해 상기 제23 수신채널(RX23)에 연결된다.In the sixth sensing block SB6,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330 is connected to the twenty-second receiving channel RX22 via an external wiring line, and the second left- Receiving line 350 is connected to the twenty-fourth receiving channel RX24 via an external wiring, and the second right-receiving line 360 Is connected to the 23rd receiving channel RX23 via external wiring.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You will understand.

100, 200, 300, 400, 500 : 터치패널
TA : 터치영역 PA : 주변영역
110, 210, 310 : 좌-송신라인 120, 220, 320 : 우-송신라인
130, 230 : 좌-수신라인 140, 240 : 우-수신라인
330 : 제1 좌-수신라인 340 : 제2 좌-수신라인
350 : 제1 우-수신라인 360 : 제2 우-수신라인
100, 200, 300, 400, 500: Touch panel
TA: touch area PA: peripheral area
110, 210, 310: Left-transmission line 120, 220, 320: Right-
130, 230: left-receiving line 140, 240: right-receiving line
330: first left-receiving line 340: second left-receiving line
350: first right-receiving line 360: second right-receiving line

Claims (16)

컬럼 방향으로 연장되고 로우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센싱블럭들을 포함하고, 상기 센싱블럭들 각각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좌-송신전극들을 포함하는 좌-송신라인;
서로 이격된 복수의 우-송신전극들을 포함하는 우-송신라인;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 복수의 좌-수신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송신라인과 상기 우-송신라인 사이에 배치된 좌-수신라인; 및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 복수의 우-수신전극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수신라인과 상기 우-송신라인 사이에 배치된 우-수신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And a plurality of sensing blocks extending in a column direction and arranged in a row direction,
A left-transmitting line including a plurality of left-transmitting electrodes spaced from each other;
A right-transmission line including a plurality of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spaced from each other;
A left-receiving line including a plurality of left-receiving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disposed between the left-transmitting line and the right-transmitting line; And
Further comprising: a right-receiving line including a plurality of right-receiving electrode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disposed between the left-receiving line and the right-transmitting l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송신전극과 상기 우-송신전극은 서로 치합 형태(teeth shape)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The touch panel of claim 1, wherein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are arranged in a tooth sha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수신전극은 로우 방향으로 상기 좌-송신전극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컬럼 방향으로 상기 우-송신전극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3. The touch panel of claim 2, wherein the left-receiving electrod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in the row direction and adjacent to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in the column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신전극은 로우 방향으로 상기 우-송신전극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컬럼 방향으로 상기 좌-송신전극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3. The touch panel of claim 2, wherein the right-receiving electrode is disposed adjacent to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in the row direction and adjacent to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in the column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하나의 센싱블럭에 배치된 좌-송신전극과 우-송신전극의 배치 구조는 인접하는 센싱블럭에 배치된 좌-송신전극과 우-송신전극의 배치 구조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arranged in one sensing block is the same as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arranged in the adjacent sensing block Touch panel. 제2항에 있어서, 하나의 센싱블럭에 배치된 좌-송신전극과 우-송신전극의 배치 구조는 인접하는 센싱블럭에 배치된 좌-송신전극과 우-송신전극의 배치 구조와 좌우 대칭(bilateral symmetr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rrangement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arranged in one sensing block includes a layout structure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right- symmetry of the touch pane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좌-송신전극들 각각은 좌-송신몸체부와 상기 좌-송신몸체부에서 분기된 복수의 좌-송신분기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수신전극들 각각은 좌-수신몸체부와 상기 좌-수신몸체부에서 분기된 복수의 좌-수신분기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좌-송신분기부들과 상기 좌-수신분기부들은 치합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3. The apparatus of claim 2, wherein each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s includes a left-transmitting body portion and a plurality of left-side transmitting branches branched from the left-transmitting body portion, Receiving bifurcation and a plurality of left-receiving bifurcations branching from the left-receiving body portion,
Wherein the left-transmission branching portions and the left-receiving branching portions are arranged in a coupling for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우-송신전극들 각각은 우-송신몸체부와 상기 우-송신몸체부에서 분기된 복수의 우-송신분기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우-수신전극들 각각은 우-수신몸체부와 상기 우-수신몸체부에서 분기된 복수의 우-수신분기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우-송신분기부들과 상기 우-수신분기부들은 치합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3. The receiver of claim 2, wherein each of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s comprises a right-transmitting body portion and a plurality of right-transmitting branches branched from the right-transmitting body portion, Receiving body and a plurality of right-receiving bifurcations branching from the right-receiving body,
And the right-transmission branching parts and the right-receiving branching parts are arranged in a coupling for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송신전극과 상기 우-송신전극은 서로 정사영(orthogonal projection)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The touch panel of claim 1, wherein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are arranged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좌-송신전극에 2쌍의 후퇴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우-송신전극에 2쌍의 후퇴부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0. The electro-optical device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two pairs of recesses are formed in the left-
And two pairs of recesses are formed on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좌-수신라인은 제1 좌-수신라인 및 제2 좌-수신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좌-수신라인은 상기 좌-송신전극의 한쌍의 후퇴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분기되어 상기 한쌍의 후퇴부에 평면상에서 관찰할때 삽입되어 제1 좌-수신전극을 정의하고,
상기 제2 좌-수신라인은 상기 좌-송신전극의 나머지 한쌍의 후퇴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분기되어 상기 나머지 한쌍의 후퇴부에 평면상에서 관찰할때 삽입되어 제2 좌-수신전극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left-receiving line comprises a first left-receiving line and a second left-
The first left-receiving line is branched at a region corresponding to a pair of the retreating portions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is inserted when observing the pair of retreating portions in a plane, thereby defining a first left-receiving electrode,
The second left-receiving line is branched at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other pair of the retreating portions of the left-transmitting electrode and is inserted into the remaining pair of retreating portions when viewed on a plane to define a second left-receiving electrode Features a touch pane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 및 상기 제2 좌-수신라인은 동일한 수신채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2. The touch panel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left-receive line and the second left-receive line are connected to the same receive channel.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수신라인 및 상기 제2 좌-수신라인은 서로 다른 수신채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2. The touch panel of claim 11, wherein the first left-receive line and the second left-receive line are connected to different receive channel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우-수신라인은 제1 우-수신라인 및 제2 우-수신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우-수신라인은 상기 우-송신전극의 한쌍의 후퇴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분기되어 상기 한쌍의 후퇴부에 평면상에서 관찰할때 삽입되어 제1 우-수신전극을 정의하고,
상기 제2 우-수신라인은 상기 우-송신전극의 나머지 한쌍의 후퇴부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분기되어 상기 나머지 한쌍의 후퇴부에 평면상에서 관찰할때 삽입되어 제2 우-수신전극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1. The apparatus of claim 10, wherein the right-receiving line comprises a first right-receiving line and a second right-
The first right-receiving line is branched at a region corresponding to a pair of the retreating portions of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and inserted into the pair of retreating portions when observed in a plane to define a first right-receiving electrode,
And the second right-receiving line is branched at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remaining pair of retreating portions of the right-transmitting electrode and is inserted into the remaining pair of retreating portions when observed in a plane to define a second right- Features a touch pane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우-수신라인 및 상기 제2 우-수신라인은 동일한 수신채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5. The touch panel of claim 14, wherein the first right-receive line and the second right-receive line are connected to the same receive channel.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우-수신라인 및 상기 제2 우-수신라인은 서로 다른 수신채널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5. The touch panel of claim 14, wherein the first right-receive line and the second right-receive line are connected to different receive channels.
KR1020130126862A 2013-10-24 2013-10-24 Touch panel KR10147435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862A KR101474350B1 (en) 2013-10-24 2013-10-24 Touch pan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862A KR101474350B1 (en) 2013-10-24 2013-10-24 Touch pan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4350B1 true KR101474350B1 (en) 2014-12-18

Family

ID=52679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862A KR101474350B1 (en) 2013-10-24 2013-10-24 Touch pan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435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434A (en) * 2015-08-25 2017-03-07 주식회사 엘지화학 Single plate touch sensor advanced touch sensitivit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250B1 (en) 2012-05-02 2012-08-02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A improved touch location sensor panel having one-layered structure
KR101285428B1 (en) 2013-03-19 2013-07-12 주식회사 제이앤티에스 One-layer type touch screen and its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9250B1 (en) 2012-05-02 2012-08-02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A improved touch location sensor panel having one-layered structure
KR101285428B1 (en) 2013-03-19 2013-07-12 주식회사 제이앤티에스 One-layer type touch screen and its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4434A (en) * 2015-08-25 2017-03-07 주식회사 엘지화학 Single plate touch sensor advanced touch sensitivity
KR102025283B1 (en) * 2015-08-25 2019-09-26 주식회사 엘지화학 Single plate touch sensor advanced touch sensitivit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80594B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1626926B1 (en) Touch panel
US7990160B2 (en) Capacitive sensing with combinatorial sensor layout
KR102381794B1 (en) Transparent conductive layered product,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TWI574192B (en) Touch panel
US10394403B2 (en) Touch screen with electrodes including linear and branched portions
KR102247135B1 (en) Electrostatic capacitive type touch-sensitive panel for display device
KR20150031767A (en) Touch panel
US20140293163A1 (en) Touch panel
TW201220165A (en) Single-axis capacitive multi-touch system and method
JP2010211348A5 (en) Touch panel
EP2722740A2 (en) Touch screen panel
KR101433052B1 (en) Mutual capacitance touch sensing panel
CN108304089A (en) A kind of integrated touch-control display panel and a kind of touch control display device
US20120075215A1 (en) Single layer implemented two dimensional touchpad
WO2014050682A1 (en) Touch panel
KR20130111297A (en) Capacitive input device
US9075260B2 (en) Touch display apparatus
KR101474350B1 (en) Touch panel
CN108762550B (en) Touch display substrate, touch display method and touch display device
KR101569696B1 (en) Touch panel
KR102272953B1 (en) Touch sensor module capable of reducing size of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N105511659B (en) Touch device and touch control display apparatus
CN114385036B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JP7344968B2 (en) sens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