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1202B1 -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1202B1
KR101461202B1 KR1020140016453A KR20140016453A KR101461202B1 KR 101461202 B1 KR101461202 B1 KR 101461202B1 KR 1020140016453 A KR1020140016453 A KR 1020140016453A KR 20140016453 A KR20140016453 A KR 20140016453A KR 101461202 B1 KR101461202 B1 KR 101461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user
headset
information
cou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6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61202B9 (ko
Inventor
윤여표
Original Assignee
윤여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여표 filed Critical 윤여표
Priority to KR1020140016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12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1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202B1/ko
Publication of KR10146120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120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2071/0658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 A63B2071/0661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arranged on the user
    • A63B2071/0666Position or arrangement of display arranged on the user worn on the head or face, e.g. combined with goggles or gla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실내에서 운동기구인 러닝머신 또는 사이클 등으로 운동을 실행할 때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착용된 헤드 셋의 표시부에 가상의 운동 코스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는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운동기구,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착용하는 헤드 셋, 가상의 운동 코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헤드 셋으로 운동 코스의 영상을 전송하는 서버, 상기 운동 코스의 영상에 대응하여 상기 운동기구의 상태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셋은 사용자의 눈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가상의 운동 코스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실제 국내외 둘레길 또는 자전거 전용도로에서 운동을 실행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Exerciser system for virtual reality and management method}
본 발명은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내에서 운동기구인 러닝머신 또는 사이클 등으로 운동을 실행할 때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착용된 헤드 셋의 표시부에 가상의 운동 코스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는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건강관리와 건강유지 및 건강 증진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피트니스 클럽이나 헬스 클럽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트니스 클럽이나 헬스 클럽에 마련된 헬스기구, 예를 들어 러닝머신이나 사이클은 단순히 운동만을 강조하여 매우 단조롭고 지루할 뿐만 아니라 사람의 개개인의 특성에 따른 체력 안배에 따른 운동을 하기에는 매우 부족한 면이 있다.
예를 들어 러닝머신은 무한 궤도로 회전하는 벨트를 이용하여 좁은 공간에서 걷거나 뛰는 운동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어 가정용이나 스포츠센터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러닝머신은 겨울철에도 적당한 온도의 실내에서 걷기 또는 런닝(running) 운동을 할 수 있으며, 런닝 속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나날이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사용자는 러닝머신을 이용하여 걷기 또는 런닝 운동을 하는 중에 운동의 지루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걷는 속도나 런닝 속도를 취향에 따라 변화시키면서 걷기 또는 런닝 운동을 한다.
또한 운동은 꾸준히 계속해야 소정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데 반해, 대부분의 헬스기구는 혼자서 해야되는 운동이기 때문에 동기부여가 낮고 이로 인해 꾸준히 계속하기에는 단조로움으로 인하여 쉽게 포기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얼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운동기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운동기구 시스템은 운동기구(10)의 전체적인 골조를 형성하는 고정프레임(11), 상기 고정프레임(11)에 지지되며 무한 반복 회전하여 사용가 상부에서 걷거나 달릴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회전궤도 발판(12), 상기 고정프레임(11)의 상부에 장착되어 운동기구(1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고 각종 설정사항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32,34) 및 헤드부 화면창(31)이 구비되는 헤드부(30), 사용자가 회전궤도 발판(12) 위에서 걷거나 달리는 중에 지지할 수 있도록 돌출 형성된 안전손잡이(33), 상기 회전궤도 발판(12)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하는 부하조절구동부, 리얼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화면창(41)에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하는 디스플레이(40), 운동기구(10)와 디스플레이(40)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간격조절부(42)를 구비한다.
또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운동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트레이너 콘솔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기초로 구성된 운동 프로그램을 수신하는 과정, 상기 운동 프로그램에 포함된 운동 데이터를 헬스 기기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헬스 기기가 상기 운동 데이터에 따라 작동되면, 상기 헬스 기기를 사용하는 상기 사용자의 현재 건강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정보를 상태감지 센서로부터 수신하는 과정, 상기 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건강에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의 건강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이상을 알리는 과정을 포함하는 운동관리 시스템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동 관리 방법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3에는 노래를 부르면서 운동을 하여도 노래 소리로 인하여 타인이 피해를 받지 않게 하는 차음 시설이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에게 음악을 제공하는 음향장치 및 차음 시설 내에 공기를 쾌적하게 하는 공조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차음 시설은 투명소재로 형성되어 있다.러닝머신 시스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12800호(2013.09.23 등록)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3-0106921호(2013.10.01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7-0111825호(2007.11.22 공개)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운동기구 시스템은 야외에 나가지 않더라도 실내에서 런닝 또는 사이클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고가의 표시장치 및 별도의 설치 공간을 구비하여야 하므로, 설치 비용 부담의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 단순히 디스플레이에는 표시화면만 표시되고, 운동기구와 연동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지루함을 느껴 지속적인 운동을 유발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개인이 자유롭게 착용할 수 있는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를 좁은 공간에서 실현할 수 있는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상 현실이 표시되는 화면에 대응하여 운동기구의 상태가 가변하는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은 운동기구,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착용하는 헤드 셋, 가상의 운동 코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헤드 셋으로 운동 코스의 영상을 전송하는 서버, 상기 운동 코스의 영상에 대응하여 상기 운동기구의 상태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셋은 사용자의 눈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가상의 운동 코스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운동기구의 작동 및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실제 운동 코스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 및 기상 상태에 대응하는 소리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운동기구의 조작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제 운동 코스의 영상 정보 및 운동 코스의 경사도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부,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 정보를 상기 수신기로 전송하고, 운동 코스의 경사도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헤드 셋은 상기 서버에서 전송된 영상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및 상기 서버에서 전송된 소리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향 저장 용기가 마련되고, 상기 운동 코스의 영상에 대응하여 향을 발생시키는 향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의 좌우 시야에 대응하여 양쪽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고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 셋은 상기 헤드 셋의 이동 위치에 따라 작동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하는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운용방법은 (a) 표시장치상에 표시된 가상의 운동 코스를 선택하는 단계, (b) 운동 기구를 조작하는 단계, (c) 상기 단계 (b)에서의 조작과 동시에 실시간으로 상기 단계 (a)에서 선택된 운동 코스에 대응한 영상 정보를 사용자가 착용한 헤드 셋으로 전송하고, 운동 코스의 경사도 정보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 (d) 사용자의 눈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된 표시부에 상기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e) 상기 운동 코스의 경사도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운동기구의 경사도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운용방법에 있어서, (f) 실제 운동 코스에 대응하는 기상 상태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단계, (g) 실제 운동 코스에 대응하는 향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운용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헤드 셋을 장착하는 경우, 실제 운동 코스의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가상의 운동 코스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운용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헤드 셋을 장착하는 경우, 상기 헤드 셋의 위치 변경에 따라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정보 또는 실제 운동 코스의 영상 정보가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에 의하면,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착용하는 헤드 셋에서 가상의 운동 코스에 대한 영상이 표시되므로 운동기구의 장착 공간만 마련하면 충분하므로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의 설치 공간을 축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에 의하면, 상술한 종래 기술과 같은 디스플레이 및 설치 공간이 필요 없으므로, 시스템의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에 의하면, 실제 운동 코스에 대한 경사도에 대응하여 운동기구의 경사도를 조절하고, 영상 정보 및 기상 정보에 대응하여 영상 및 기상 상태를 출력하므로, 실내에서 실제 운동 코스와 동일한 현장감을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운동 시스템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헤드 셋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의 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헤드 셋의 표시부에 출력되는 초기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헤드 셋의 표시부에 출력되는 안내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헤드 셋의 표시부에 출력되는 진행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헤드 셋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밖의 목적과 새로운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의 블록도 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헤드 셋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은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착용하는 헤드 셋(100), 가상의 운동 코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헤드 셋(100)으로 운동 코스의 영상을 전송하는 서버(200), 운동 코스의 영상에 대응하여 운동기구(400)의 상태를 조절하는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 셋(100)과 상기 서버(200) 정보의 송수신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적용하며, 상기 서버(200)와 제어부(300)는 유선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은 블루투스, 지그비, 적외선 통신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300)과 운동기구(400)는 유선으로 연결된다. 또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어부(300)와 운동기구(400)가 분리된 구조로 나타내었지만, 제어부(300)는 운동기구(400) 내에 내장될 수 있다.
상기 헤드 셋(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안경 형태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착용하며, 상기 서버(200)에서 전송된 영상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110). 사용자의 눈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되어 가상의 운동 코스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120), 상기 서버(200)에서 전송된 소리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130)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기(110)는 헤드 셋(100)의 대략 측면 부분에 마련되고, 상기 표시부(120)는 사용자가 헤드 셋(100)을 착용시의 좌우 눈의 상부 측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스피커(130)는 사용자가 헤드 셋(100)을 착용시 귀의 부분을 향하도록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헤드 셋(100)을 착용하는 경우, 양쪽 눈의 상부 측에만 표시부(120)가 마련되므로, 사용자의 시각적인 행동에 지장이 없으며, 수신부(110)와 서버(200)가 무선 통신에 의해 연결되므로, 사용자의 운동 동작에도 전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표시부(120)에는 예를 들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좌우 시야에서 가상의 운동 코스를 인식할 수 있는 영상이 표시된다.
상기 헤드 셋(100)은 상술한 바와 같은 표시부(120)의 작동을 위한 전원 공급부 및 조작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동기구(400)의 작동 및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10), 실제 운동 코스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 및 기상 상태에 대응하는 소리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20), 상기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운동기구(400)의 조작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실제 운동 코스의 영상 정보 및 운동 코스의 경사도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부(230), 상기 처리부(230)에서 처리된 영상 정보를 상기 수신기(110)로 전송하고, 운동 코스의 경사도 정보를 제어부(300)로 전송하는 송신부(240)를 포함한다.
상기 서버(200)는 통상의 컴퓨터 시스템에 사용되는 입력장치 및 표시장치(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입력장치로서는 키보드, 마우스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하고, 표시장치로서는 모니터로서 사용되며, 상기 터치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신부(210)는 운동기구(400)의 작동에 따른 작동신호를 제어부(300)로부터 수신한다. 즉, 상기 수신부(210)는 사용자가 운동기구(400)의 조작 스위치(미도시)를 작동시키면, 실시간으로 상기 제어부(300)를 통해 작동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220)에는 국내외 둘레길 또는 자전거 전용도로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국내외 둘레길 또는 자전거 전용도로의 기상 상태에 대응하는 소리 정보, 예를 들어 비바람에 대응하는 소리 정보가 저장된다. 이와 같은 소리 정보는 국내외 둘레길 또는 자전거 전용도로의 실제 운동 코스에 대한 기상 정보, 예를 들어 일기 예보에 대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처리부(230)는 예를 들어 운동기구(400)에 마련된 표시화면 또는 상기 상기 입력장치 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국내외 둘레길 또는 자전거 전용도로에 대응하도록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실제 운동 코스의 영상 정보에 리드하고, 상기 송신부(240)는 상기 처리부(230)에서 생성된 실제 운동 코스의 영상을 상기 수신기(110)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부(120)에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국내외 둘레길 또는 자전거 전용도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기 스피커(130)에서는 표시부(120)에 표시된 가상의 국내외 둘레길 또는 자전거 전용도로의 기상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이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300)는 운동기구(400), 예를 들어 러닝머신의 발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부(300)는 송신부(240)에서 전송된 운동 코스의 경사도 정보에 따라 발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상기 러닝머신에서 발판의 상하 이동은 통상의 운동기구에 적용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에서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고가의 표시장치 및 별도의 설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고,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의 설치 공간을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향 발생기(500)를 마련할 수있다.
상기 향 발생기(500)는 서버(20)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즉, 상기 처리부(230)에 의해 처리된 국내외 둘레길 또는 자전거 전용도로에 대응하는 주변의 향, 예를 들어 소나무 길인 경우 솔잎 향을 발산하며, 황토 길인 경우 황토 향을 발산하고, 장미 길인 경우 장미향을 발생하도록 제어된다. 이를 위해 상기 향 발생기(500)에는 다수의 향 저장 용기가 마련되고, 각각의 향은 예를 들어 가열에 의해 선택적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발생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향 발생기(500)는 상기 처리부(230)에 의해 처리된 국내외 둘레길 또는 자전거 전용도로에 대응하며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송신부(240)에서 송신된 신호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의 운용방법에 대해 도 4 내지 도 7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구조에서는 운동기구(400)로서 러닝머신을 나타내었지만,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의 운용방법에서는 운동기구(400)로서 사이클을 예로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의 운용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헤드 셋의 표시부에 출력되는 초기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헤드 셋의 표시부에 출력되는 안내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헤드 셋의 표시부에 출력되는 진행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을 실행하기 위해 서버(200)를 작동하고, 헤드 셋(100)을 자신의 머리 부분에 장착한다. 즉, 예를 들어 서버(200)의 작동에 의해 가상의 운동 코스가 표시장치상에 표시되고,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가상의 운동 코스를 선택한다(S10).
이와 같은 헤드 셋(100)의 장착은 표시부(120)가 사용자의 좌우 눈의 상부 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장착한다. 즉, 헤드 셋(100)을 사용자의 좌우 눈의 상부 측에 표시부(120)가 위치하도록 장착하는 것에 의해 시선을 하부, 즉 운동기구(400)으로 향해 운동기구(400)를 인식하는 것에 장애가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헤드 셋(100)을 장착하고 헤드 셋(100)에 마련된 조작부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헤드 셋(100)의 좌우 양측에 마련된 표시부(12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상의 운동 코스의 종합 안내, 예를 들어 '강촌 자전거길'이 표시된다(S20). 상기 설명에서는 조작부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표시부(120)에 가상의 운동 코스가 표시되는 구조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단계 S10에서 서버(200)를 통해 가상의 운동 코스를 선택하는 것에 의해 헤드 셋(100)이 자동으로 작동하여 표시부(120)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선택된 가상의 운동 코스를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단계 S10에서의 선택은 사용자가 서버(200)에 마련된 입력장치,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또는 터치스크린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와 같은 선택에 의해 처리부(230)는 데이터베이스(220)에서 선택된 가상의 운동 코스에 대한 정보와 기상 상태에 대응하는 소리 정보를 리드하여 상기 수신기(110)로 전송한다. 따라서 표시부(120)에는 선택된 가상의 운동 코스의 종합 안내가 표시된다. 이어서 상기 표시부(12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강촌 자전거길 거리표'가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구간을 선택한다(S30).
다음에 운동기구(400)의 작동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300)는 운동기구의 조작(S40)을 수신부(210)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가상의 자전거 길의 영상이 표시부(120)에 표시된다(S50).
상기 처리부(230)는 데이터베이스(220)에서 리드된 가상의 운동 코스에 대한 정보와 함께 기상 상태에 대응하는 소리 정보를 송신부(240)를 통해 수신기(110)로 전송한다.
상기 수신기(110)는 가상의 운동 코스에 대한 정보와 기상 상태에 대응하는 소리 정보를 수신하고, 표시부(120)에는 가상의 운동 코스가 표시되고, 상기 스피커(130)에서는 실제 운동 코스의 기상 상태와 동일한 소리 정보를 출력(S60)하여 실제 운동 코스와 동일한 상황을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단계 S60에서의 소리 정보의 출력과 발생과 동시에 향 발생기(500)에서는 상기 영상 정보에 대응하는 향을 발생시킨다(S70).
상기 단계 S50 내지 S70에 대해 상기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단계를 구분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에서는 상기 단계 S50 내지 S70은 동시에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에서는 상기 단계 S50 내지 S70의 단계에 따라 사용자의 운동량에 대응하는 코스의 영상이 표시부(120)에 표시되며, 실제 국내외 둘레길 또는 자전거 전용도로에 대응하여 경사도가 조정된다(S80). 이와 같은 경사도의 조정은 상기 처리부(230)에서 처리된 국내외 둘레길 또는 자전거 전용도로의 경사도에 따라 상기 제어부(300)에서 상기 운동기구(400)의 바닥 높이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 단계 S30에서 선택된 구간까지의 운동이 실행되면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은 종료한다(S90).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주기적으로 운동을 하기 위해 상기 단계 S30에서 선택한 구간에 연속하여 다음의 구간을 실행할 수 있도록, 상기 서버(200)에 사용자의 사용 상태 정보를 기록하는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 8에 따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헤드 셋(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헤드 셋(100)의 표시부(120)가 사용자의 좌우 눈의 상부 측에 위치하는 구조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글(gogole) 형태의 표시부(120)를 마련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헤드 셋(100)의 구성에서는 카메라(140)를 장착하고, 표시부(120)의 형태가 도 3에 도시된 구조와 상이하며, 그 밖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헤드 셋(100)의 표시부(120)는 고글 형태로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운동기구(400)에 위치한 경우,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상의 운동 코스를 표시하므로, 운동기구(400)를 인식할 수 없게 된다.
이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카메라(140)를 마련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헤드 셋(100)을 아래로 향하는 경우, 카메라(140)가 작동하고, 표시부(120)에는 카메라(140)에서 촬영된 영상이 표시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카메라(140)에는 위치감지 센서,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가 마련되어 헤드 셋(100)이 회전, 즉 아래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카메라(140)를 작동시키고, 표시부(120)에는 카메라(140)에서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게 한다.
즉, 사용자가 헤드 셋(100)을 자신의 머리 부분에 장착하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상의 운동 코스가 표시되고, 운동기구(400)를 인식하기 위해 고개를 숙여 시선을 이동하는 경우, 헤드 셋(100)이 아래를 향하여 회전되므로, 이러한 회전을 인식하여 카메라(140)가 작동하고, 카메라(14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표시부(120)에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정확한 운동기구(400)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가 운동기구(400)에서 운동을 시작하면, 사용자가 고개를 들게 되고, 이에 따라 헤드 셋(100)의 위치가 아래에서 위를 향해 회전되며, 이와 같은 회전을 자이로 센서가 감지하여 카메라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따라서 사용자의 운동 도중에는 도 3에 도시된 헤드 셋(100)의 동작과 동일하게 작동하여 표시부(120)에는 가상의 운동 코스를 표시하여 실제 국내외 둘레길 또는 자전거 전용도로에 대응에서 운동을 실행하는 것과 동일한 화면을 표시하게 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및 방법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실제 국내외 둘레길 또는 자전거 전용도로에서 운동을 실행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100 : 헤드 셋
200 : 서버
300 : 제어부
400 : 운동기구
500: 향 발생기

Claims (10)

  1. 운동기구,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착용하는 헤드 셋,
    가상의 운동 코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헤드 셋으로 운동 코스의 영상을 전송하는 서버,
    상기 운동 코스의 영상에 대응하여 상기 운동기구의 상태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실제 운동 코스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 및 기상 상태에 대응하는 소리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셋은 사용자의 눈에 대응하는 부분에 마련되어 상기 가상의 운동 코스에 대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서버에서 전송된 영상 정보를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및 상기 서버에서 전송된 상기 소리 정보에 대응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운동기구의 작동 및 조작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수신된 운동기구의 조작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제 운동 코스의 영상 정보 및 운동 코스의 경사도 정보를 처리하는 처리부,
    상기 처리부에서 처리된 영상 정보를 상기 수신기로 전송하고, 운동 코스의 경사도 정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하는 송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향 저장 용기가 마련되고, 상기 운동 코스의 영상에 대응하여 향을 발생시키는 향 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사용자의 좌우 시야에 대응하여 양쪽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고글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 셋은 상기 헤드 셋의 이동 위치에 따라 작동하는 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40016453A 2014-02-13 2014-02-13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 KR101461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453A KR101461202B1 (ko) 2014-02-13 2014-02-13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6453A KR101461202B1 (ko) 2014-02-13 2014-02-13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202B1 true KR101461202B1 (ko) 2014-11-18
KR101461202B9 KR101461202B9 (ko) 2022-01-24

Family

ID=52290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6453A KR101461202B1 (ko) 2014-02-13 2014-02-13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1202B1 (ko)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458B1 (ko) * 2016-06-08 2017-06-29 (주)나라소프트 동영상 연동 스포츠 시뮬레이션 장치
KR101792715B1 (ko) * 2015-07-16 2017-11-01 안동길 실제 환경 구현 운동 관리 시스템
KR101814660B1 (ko) * 2016-11-11 2018-01-03 김서연 가상현실 러닝머신
CN107754212A (zh) * 2016-08-16 2018-03-06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跑步运动设备及其虚拟现实交互方法
KR20180058286A (ko) 2016-11-23 2018-06-01 주식회사 스튜디오매크로그래프 가상현실 체험장치 컨트롤러, 이의 작동 방법, 및 콘텐츠 실행장치
KR20180058285A (ko) 2016-11-23 2018-06-01 주식회사 스튜디오매크로그래프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하여 저항장치의 움직임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상현실 체험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KR101874262B1 (ko) * 2017-11-15 2018-07-03 김재환 시공간 초월 온라인 탐방 운동 시스템
KR101912430B1 (ko) 2017-01-23 2018-12-2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WO2021060579A1 (ko) * 2019-09-24 2021-04-01 조장환 숲길정보를 이용한 트레드밀 시스템
EP3824966A1 (en) * 2019-11-21 2021-05-26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US11310997B2 (en) 2019-11-21 2022-04-26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attachment module
US20220161120A1 (en) * 2020-11-25 2022-05-26 Saga Holographic, Inc. Exercise apparatus with integrated holographic display
US11412709B2 (en) 2019-11-21 2022-08-16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deodorizer
US11452928B2 (en) 2019-07-02 2022-09-27 Jae Hwan Kim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exercising place
US11503807B2 (en) 2019-11-21 2022-11-22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fragrance assembly
US11503808B2 (en) 2019-11-22 2022-11-22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for treadmill based on sensors
US11510395B2 (en) 2019-11-22 2022-11-29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for treadmill
US11510394B2 (en) 2019-11-22 2022-11-29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nd storable treadmill having handle
US11565146B2 (en) 2019-11-21 2023-01-31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adjustable inclination
US11576352B2 (en) 2019-11-21 2023-02-1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sterilizer
US11576351B2 (en) 2019-11-21 2023-02-1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US11691046B2 (en) 2019-11-21 2023-07-0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two belts
KR20230108051A (ko) 2022-01-10 2023-07-18 주식회사 다윈테크 개인 헬스케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387A (ko) * 2005-12-05 2006-09-19 주식회사 두비원 주행 운동 기구에 사용되는 착용식 화상 표시기 및 이를구비한 트레드밀 시스템
KR100853993B1 (ko) * 2007-04-02 2008-08-26 최동선 감각을 자극하여 운동 효과를 촉진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JP2009543619A (ja) * 2006-07-18 2009-12-10 イェリコフ・ウルリッヒ 仮想環境を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20100113945A (ko) * 2009-04-14 2010-10-22 유선기 가상환경을 갖춘 런닝 운동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9387A (ko) * 2005-12-05 2006-09-19 주식회사 두비원 주행 운동 기구에 사용되는 착용식 화상 표시기 및 이를구비한 트레드밀 시스템
JP2009543619A (ja) * 2006-07-18 2009-12-10 イェリコフ・ウルリッヒ 仮想環境を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100853993B1 (ko) * 2007-04-02 2008-08-26 최동선 감각을 자극하여 운동 효과를 촉진하는 다기능 운동기구
KR20100113945A (ko) * 2009-04-14 2010-10-22 유선기 가상환경을 갖춘 런닝 운동시스템

Cited B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2715B1 (ko) * 2015-07-16 2017-11-01 안동길 실제 환경 구현 운동 관리 시스템
KR101751458B1 (ko) * 2016-06-08 2017-06-29 (주)나라소프트 동영상 연동 스포츠 시뮬레이션 장치
CN107754212A (zh) * 2016-08-16 2018-03-06 上海掌门科技有限公司 跑步运动设备及其虚拟现实交互方法
KR101814660B1 (ko) * 2016-11-11 2018-01-03 김서연 가상현실 러닝머신
KR20180058286A (ko) 2016-11-23 2018-06-01 주식회사 스튜디오매크로그래프 가상현실 체험장치 컨트롤러, 이의 작동 방법, 및 콘텐츠 실행장치
KR20180058285A (ko) 2016-11-23 2018-06-01 주식회사 스튜디오매크로그래프 가상현실 콘텐츠를 이용하여 저항장치의 움직임의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상현실 체험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방법
KR101912430B1 (ko) 2017-01-23 2018-12-28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가상현실 콘텐츠 제공 방법
KR101874262B1 (ko) * 2017-11-15 2018-07-03 김재환 시공간 초월 온라인 탐방 운동 시스템
WO2019098431A1 (ko) * 2017-11-15 2019-05-23 김재환 가상 운동 장소 제공 시스템
US10449435B2 (en) 2017-11-15 2019-10-22 Jae Hwan Kim System for providing a virtual exercise place
US11130041B2 (en) 2017-11-15 2021-09-28 Jae Hwan Kim System for providing a virtual exercise place
US11148034B2 (en) 2017-11-15 2021-10-19 Jae Hwan Kim System for providing a virtual exercise place
US11452928B2 (en) 2019-07-02 2022-09-27 Jae Hwan Kim System for providing virtual exercising place
WO2021060579A1 (ko) * 2019-09-24 2021-04-01 조장환 숲길정보를 이용한 트레드밀 시스템
US11310997B2 (en) 2019-11-21 2022-04-26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attachment module
US11576351B2 (en) 2019-11-21 2023-02-1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US11412709B2 (en) 2019-11-21 2022-08-16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deodorizer
EP3824966A1 (en) * 2019-11-21 2021-05-26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US11503807B2 (en) 2019-11-21 2022-11-22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fragrance assembly
US11691046B2 (en) 2019-11-21 2023-07-0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two belts
US11576352B2 (en) 2019-11-21 2023-02-14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sterilizer
US11565146B2 (en) 2019-11-21 2023-01-31 Lg Electronics Inc. Treadmill having adjustable inclination
US11510394B2 (en) 2019-11-22 2022-11-29 Lg Electronics Inc. Portable and storable treadmill having handle
US11510395B2 (en) 2019-11-22 2022-11-29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for treadmill
US11503808B2 (en) 2019-11-22 2022-11-22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for treadmill based on sensors
US20220161120A1 (en) * 2020-11-25 2022-05-26 Saga Holographic, Inc. Exercise apparatus with integrated holographic display
US11931641B2 (en) * 2020-11-25 2024-03-19 Saga Holographic, Inc. Exercise apparatus with integrated holographic display
KR20230108051A (ko) 2022-01-10 2023-07-18 주식회사 다윈테크 개인 헬스케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1202B9 (ko) 202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1202B1 (ko) 가상 현실용 운동기구 시스템 및 운용방법
TWI646997B (zh) 用於控制台定位的距離感測器
KR101233861B1 (ko) 가상주행 영상장치를 갖는 런닝머신 및 런닝머신의 구동방법
US10445932B2 (en) Running exercise equipment with associated virtual reality interaction method and non-volatile storage media
KR101666811B1 (ko) 실제 운행환경을 구현하는 자전거 운행 시뮬레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운동관리 방법
US8251874B2 (en) Exercise systems for simulating real world terrain
US20080242511A1 (en) User interface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xercise apparatus
KR101792715B1 (ko) 실제 환경 구현 운동 관리 시스템
US20180021629A1 (en) Interactive and Dynamic Fitness System
US9028368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imulating real world terrain on an exercise device
EP2233180B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imulating real world terrain on an exercise device
US20090023554A1 (en) Exercise systems in virtual environment
KR101571361B1 (ko) 시뮬레이션 런닝머신
JP5431650B2 (ja) ウォーキング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01199097B1 (ko) 가상주행 영상장치를 갖는 바이크 및 바이크의 구동방법
KR101763404B1 (ko)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도로 영상의 로드 정보가 헬스 자전거에 부여된 운동 시스템
KR20120117104A (ko) 가상현실 러닝머신
KR20020030755A (ko) 온라인 건강진단기능을 갖는 트레드밀시스템
KR102151321B1 (ko) Vr 스포츠를 통한 피트니스 관리방법
KR102033513B1 (ko) Vr 컨텐츠 기반의 사용자 운동제공을 위한 좌식 시스템
KR101430723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100109271A (ko) 트레드밀을 이용한 가상 등산 시스템
KR101312800B1 (ko) 리얼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운동기구 시스템
EP3327597A1 (en) Physical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 for motivating a user to interact with an exercise facility
KR101633810B1 (ko) 3차원 지형표현이 가능한 입체 트레드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5

Year of fee payment: 6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