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568B1 - 컨텐츠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568B1
KR101459568B1 KR1020120123211A KR20120123211A KR101459568B1 KR 101459568 B1 KR101459568 B1 KR 101459568B1 KR 1020120123211 A KR1020120123211 A KR 1020120123211A KR 20120123211 A KR20120123211 A KR 20120123211A KR 101459568 B1 KR101459568 B1 KR 101459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display
content
user input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5849A (ko
Inventor
서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123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568B1/ko
Priority to US14/069,528 priority patent/US20140123192A1/en
Publication of KR20140055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58Client or end-user data management, e.g. managing client capabilities, user preferences or demographics, processing of multiple end-users preferences to derive collaborativ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04N21/4826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using recommendation lists, e.g. of programs or channels sorted out according to their sco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defining user preferences, e.g. favourite actors or gen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컨텐츠를 추천하는 장치는,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카테고리 결정부, 상기 프로필 카테고리 각각의 복수의 세부 항목을 결정하는 세부 항목 결정부, 상기 결정된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유저 입력 및 상기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 각각의 세부 항목을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유저 입력부, 상기 수신된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추천 컨텐츠를 결정하는 추천 컨텐츠 결정부 및 상기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 및 상기 선택된 세부 항목을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결정된 추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츠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RECOMMENDING CONTENTS AND METHOD THEREOF}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시청자들은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하여 방송 중인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고, 시청자의 니즈에 맞는 컨텐츠(VOD: Video On Demand) 를 선택하거나 추천을 받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종래 IPTV 서비스에서, 사용자는 시청하려는 컨텐츠를 찾기 위해 사업자가 편성한 메뉴 UI를 주로 이용하였다. 이 때, 사업자가 편성한 메뉴 UI는 계층형 메뉴 UI가 주를 이룬다. 하지만 사용자가 계층형 메뉴 UI를 통해서 방대한 양의 컨텐츠 중 시청하고 싶은 컨텐츠를 선택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었다.
또한, 계층형 UI는 다음 단계의 메뉴로 들어가야만 좁아진 범위의 결과를 알 수 있어서 여러 계층을 찾아다녀야 하고, 최하단 메뉴로 들어가야만 사용자가 선택할 것 같은 동영상을 일차원으로 추천하기 때문에 이용이 불편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는 서비스 이용 로그를 분석하여 추천된 컨텐츠를 제공 받는 기술이 대두되었으나, 이 역시 신뢰성 있는 컨텐츠를 제공 받는데 있어서 문제가 존재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해서 사용하는 리모콘은 문자를 입력하는데 이용하기 불편하다. 즉, 연령, 위치, 시간대와 같은 사용자의 정보를 쉽게 입력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신뢰도 있는 컨텐츠를 추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컨텐츠를 추천하는 장치는,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카테고리 결정부, 상기 프로필 카테고리 각각의 복수의 세부 항목을 결정하는 세부 항목 결정부, 상기 결정된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유저 입력 및 상기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 각각의 세부 항목을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유저 입력부, 상기 수신된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추천 컨텐츠를 결정하는 추천 컨텐츠 결정부 및 상기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 및 상기 선택된 세부 항목을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결정된 추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은,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필 카테고리 각각의 복수의 세부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 각각의 세부 항목을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추천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 및 상기 선택된 세부 항목을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결정된 추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컨텐츠 추천 장치는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에 기초하여 컨텐츠를 추천하므로 사용자는 취향에 맞는 신뢰도 있는 컨텐츠를 추천 받는 등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추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프로필 카테고리가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추천 컨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추천 컨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 장치가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텐츠 추천 시스템은 유저 입력 장치(10), 컨텐츠 추천 장치(100), 디스플레이 장치(101) 및 컨텐츠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컨텐츠 추천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유저 입력 장치(10)는 컨텐츠 추천 장치(100)에 표시되는 프로필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신호를 컨텐츠 추천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입력 장치(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필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컨텐츠 추천 장치(100)에 표시되는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 각각의 세부 항목을 선택하는 신호를 컨텐츠 추천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유저 입력 장치(10)는 리모콘 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100)의 일 예에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유저 입력 장치(10)로부터 수신한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추천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유저 입력에 의해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 및 선택된 세부 항목을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고, 결정된 추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컨텐츠 추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추천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유저 입력 장치(10)로부터 수신하면, 선택된 해당 추천 컨텐츠를 컨텐츠 서버(200)에 요청할 수 있다.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TV 장치 또는 컴퓨터일 수 있다. 여기서, TV 장치의 일 예에는 스마트 TV, IPTV 셋톱박스 등이 포함되고, 컴퓨터의 일 예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컨텐츠 서버(200)는 컨텐츠 추천 장치(100)로부터 요청 받은 컨텐츠를 컨텐츠 추천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해당 컨텐츠를 전송하는 방식은 파일 다운로드 방식, 프로그레시브 다운로드 방식 또는 스트리밍 방식일 수 있다.
유저 입력 장치(10), 컨텐츠 추천 장치(100) 및 컨텐츠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인터넷(Internet),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Gig(Wireless Gigabit),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당업자라면, 컨텐츠 추천 장치(100)의 역할 각각이 위치를 달리하는 복수의 장치에서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컨텐츠 추천 시스템은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 시각화 서버, 컨텐츠 추천 서버 등에서의 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컨텐츠 추천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컨텐츠 추천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카테고리 결정부(110), 세부 항목 결정부(120), 유저 입력부(130), 추천 컨텐츠 결정부(140), 표시부(150) 및 DB(데이터베이스)(1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이용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는 영상 표시 장치(디스플레이)에 표현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도 있다.
카테고리 결정부(110)는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고, 세부 항목 결정부(120)는 카테고리 결정부(110)에서 결정된 프로필 카테고리 각각의 복수의 세부 항목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필 카테고리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선호 장르, 추천 컨텐츠 표시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간대 및 추천 받을 컨텐츠의 주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부 항목은 프로필 카테고리를 나누는 하위 카테고리로서, 선호 장르 프로필 카테고리의 세부 항목은 SF, 공포, 코믹, 액션, 스릴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저 입력부(130)는 카테고리 결정부(110)에서 결정된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세부 항목 결정부(120)에서 결정된 프로필 카테고리 각각의 세부 항목 중 유저 입력을 통해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 각각의 세부 항목을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유저 입력부(130)는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유저 입력을 더 수신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 이 때, 우선 순위가 높은 프로필 카테고리는 우선 순위가 낮은 프로필 카테고리보다 추천 컨텐츠 결정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별도의 유저 입력이 없어라도,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유저 입력에 의해 선택되는 순서가 우선 순위가 될 수 있다.
추천 컨텐츠 결정부(140)는 유저 입력부(130)에서 수신된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추천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추천 컨텐츠 결정부(140)는 이용자의 과거 컨텐츠 이용 내역에 더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카테고리 결정부(110)에서 결정된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 각각의 세부 항목을 선택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더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프로필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화면을 설명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프로필 카테고리가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로필 카테고리(301a 내지 301j)는 개인별 그룹별 성별, 나이, 선호 장르를 포함하고, 특히 그룹의 경우 그룹의 인원수를 포함하고, 컨텐츠에 대한 시청 시간대, 시청 장소, 컨텐츠의 주제를 더 포함한다. 또한,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는 아직 선택되지 않은 프로필 카테고리와 식별되게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의 테두리가 다른 색상으로 표시되거나,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는 흐리게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추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301a 내지 301j)의 크기 각각은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의 선택 빈도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선택 빈도는 컨텐츠 추천 서비스를 제공 받는 전체 사용자가 해당 프로필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빈도일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추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301a 내지 301j) 중 함께 선택되는 빈도가 높은 프로필 카테고리 세트는 서로 연결되어 표시(303a 내지 303c)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 입력을 통해 서로 연결된 프로필 카테고리 세트가 한번에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연결된 프로필 카테고리 세트에 포함되는 프로필 카테고리 각각에는 프로필 카테고리 세트가 한번에 선택되는 유저 입력에 대응하는 버튼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화면의 예를 들면, 그룹 성별, 그룹 나이, 그룹 선호 장르, 시청 시간대 및 시청 장소는 함께 선택되는 빈도가 높은 제 1 프로필 카테고리 세트다. 또한, 개인 성별, 개인 나이, 개인 선호 장르 및 컨텐츠 주제도 함께 선택되는 빈도가 높은 제 2 프로필 카테고리 세트고, 개인 나이, 개인 선호 장르 및 시청 장소 역시 함께 선택되는 빈도가 높은 제 3 프로필 카테고리 세트다.
여기서, 디스플레이에는 제 1 프로필 카테고리 세트에 포함된 프로필 카테고리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선(303a)이 표시되어 있고, 제 1 프로필 카테고리 세트에 포함된 프로필 카테고리 각각에는 제 1 프로필 카테고리 세트가 한번에 선택될 수 있는 방법으로 연결선(303a)에 대응하는 색상의 원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유저 입력 장치(10)의 해당 색상의 버튼을 누르면 제 1 프로필 카테고리 세트는 한번에 선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선택되면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 각각에 대응하는 세부 항목을 선택하는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그룹 나이를 선택한 경우를 예를 들면, 그룹 나이의 세부 항목은 평균 연령 또는 최소 연령이 될 수 있고, 그룹 나이가 그룹 인원수가 함께 선택되는 경우, 그룹의 인원수만큼의 세부 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표시부(150)는 유저 입력을 통해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 및 세부 항목을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고, 추천 컨텐츠 결정부(140)에서 결정된 추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150)는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의 선택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항목을 더 표시하고, 선택된 세부 항목과 선택되지 않은 세부 항목은 식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에 추천 컨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을 설명하겠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에 추천 컨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컨텐츠 추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는 원(401),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402a 내지 402d), 반지름(403a 내지 403d), 변경칸(404), 추천 페이지(405) 및 차순위 페이지(406a 내지 406d)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는 원(401)이 표시되고, 표시된 원의 둘레에 유저 입력을 통해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402a 내지 402d)가 표시되고, 표시된 원의 중심으로부터 표시된 프로필 카테고리로 향하는 반지름(403a 내지 403d)이 표시되고, 표시된 반지름(403a 내지 403d) 위에 반지름이 향하는 프로필 카테고리의 복수의 세부 항목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 개수만큼의 반지름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는 유저 입력을 통해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와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에 대응하여 결정된 우선 순위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화면의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표시되는 제 1 우선 순위 프로필 카테고리는 개인 성별(402a), 제 2 우선 순위 프로필 카테고리는 개인 나이(402b), 제 3 우선 순위 프로필 카테고리는 개인 선호장르(402c), 제 4 우선 순위 프로필 카테고리는 컨텐츠 주제(402d)이다. 여기서, 제 4 우선 순위 프로필 카테고리(402d)에 대응하는 반지름(403d) 위에는 세부 항목으로 올림픽 및 태풍이 있다. 또한, 올림픽은 유저 입력에 의해 선택된 세부 항목으로 선택되지 않은 세부 항목과 식별되기 위해 음영 처리가 되어있다.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는 차순위 추천 컨텐츠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차순위 추천 컨텐츠는 유저 입력을 통해 선택된 세부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한 세부 항목과 제외된 세부 항목에 대응하는 프로필 카테고리의 다른 하나의 세부 항목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 결정부(140)에서 결정된 것일 수 있다.
이 때, 표시부(150)는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추천 컨텐츠를 포함하는 추천 페이지(405) 및 차순위 추천 컨텐츠를 포함하는 차순위 페이지(406a 내지 406d)를 표시하고, 추천 페이지(405)는 차순위 페이지(406a 내지 406d) 위에 비스듬히 겹쳐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임의의 프로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차순위 페이지가 추천 페이지에 비스듬히 겹치는 방향은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표시된 원의 둘레에 표시된 해당 프로필 카테고리를 향하는 반지름의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4개의 차순위 페이지(406a 내지 406d) 각각이 겹쳐진 상하 관계는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화면의 예를 들면, 추천 페이지(405)는 사용자가 선택한 프로필 카테고리(402a 내지 402d)의 세부 항목인 여성, 30대, 액션, 올림픽에 기초하여 결정된 추천 컨텐츠를 포함한다. 개인 성별 프로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개인 성별 차순위 페이지(406a)는 남성, 30대, 액션, 올림픽에 기초하여 결정된 차순위 추천 컨텐츠를 포함하고, 개인 나이 프로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개인 나이 차순위 페이지(406b)는 여성, 20대, 액션, 올림픽에 기초하여 결정된 차순위 추천 컨텐츠를 포함하고, 개인 나이 차순위 페이지(406b) 밑에 위치한 페이지는 여성, 10대, 액션, 올림픽에 기초하여 결정된 차순위 추천 컨텐츠를 포함한다. 또한, 개인 선호 장르 프로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개인 선호 장르 차순위 페이지(406c)는 여성, 30대, 코믹, 올림픽에 기초하여 결정된 차순위 추천 컨텐츠를 포함하고, 개인 선호 장르 차순위 페이지(406c) 밑에 위치한 페이지는 여성, 30대, SF, 올림픽에 기초하여 결정된 차순위 추천 컨텐츠를 포함한다. 다른 차순위 페이지(406d)도 마찬가지 방식으로 차순위 추천 컨텐츠를 포함한다.
이 때, 임의의 프로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차순위 페이지의 개수는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의 원 내부의 반지름에 표시된 세부 항목의 구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403c에서 선택된 세부 항목인 '액션'의 경우 인접한 세부 항목으로 원의 중심 방향과 원의 바깥 방향 각각에 선택되지 않은 세부 항목이 있기 때문에 차순위 페이지는 두개가 될 수 있다. 반면, 403b에서 선택된 세부 항목인 '30대'의 경우 인접한 세부 항목이 '20대' 하나만 있으므로, 개인 나이 프로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차순위 페이지는 406b만 존재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차순위 페이지(406a 내지 406d)는 추천 페이지(405)에 비스듬히 겹쳐있고, 개인 성별 차순위 페이지(406a)는 개인 성별 반지름(403a)이 개인 성별 프로필 카테고리가 표시된 곳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추천 페이지(405)에 겹쳐져 있다.
추가적으로 4개의 차순위 페이지(406a 내지 406d) 각각이 겹쳐진 상하 관계는 우선 순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추천 컨텐츠가 표시되는 화면의 일례이다.
유저 입력부(140)는 선택된 세부 항목 및 결정된 우선 순위의 변경을 요청하는 유저 입력을 더 수신할 수 있다. 특히, 유저 입력부(140)에서 수신된 유저 입력에 대응하여 선택된 세부 항목이 다른 세부 항목으로 변경되면,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표시된 추천 페이지와 변경되는 세부 항목에 대응하는 차순위 페이지의 위치가 서로 뒤바뀔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화면의 예를 들면, 제 1 단계에서 사용자가 유저 입력 장치(10)에 세부 항목의 변경을 요청하는 버튼을 누르면,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표시된 원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되, 원의 12시 기준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위치한 프로필 카테고리 중 가장 근접한 컨텐츠 주제 프로필 카테고리(402d)의 반지름(403d)이 12시 방향의 변경칸(404)에 위치될 때까지 회전한다. 제 2 단계에서 사용자가 유저 입력 장치(10)에 4방향 키 중 오른쪽 키를 누르면,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표시된 원은 현재 12시 방향에 위치한 컨텐츠 주제 프로필 카테고리(402d)의 반지름(403d)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가장 근접한 개인 선호 장르 프로필 카테고리(402c)의 반지름(403c)이 12시 방향의 변경칸(404)에 위치하도록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 3 단계에서 사용자가 유저 입력 장치(10)에 4방향 키 중 위쪽 키를 누르면, 선택된 세부 항목으로 처리된 음영이 '액션'에서 한 칸 위쪽에 위치한 'SF'로 이동한다. 제 4 단계에서는 변경된 세부 항목인 SF에 대응하여 결정된 차순위 페이지(406c)가 추천 페이지(405)와 위치가 서로 뒤바뀐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저 입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표시된 원이 회전할 때,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표시된 차순위 페이지(406a 내지 406d)가 반지름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DB(190)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때, 데이터는 컨텐츠 추천 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컨텐츠 추천 장치(100)와 컨텐츠 추천 장치(1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DB(190)는 유저 입력을 통해 선택되는 프로필 카테고리 내역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DB(190)의 일 예에는 컨텐츠 추천 장치(10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당업자라면, 카테고리 결정부(110), 세부 항목 결정부(120), 유저 입력부(130), 추천 컨텐츠 결정부(140), 표시부(150) 및 DB(19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은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 내지 도 5의 컨텐츠 추천 장치(1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601에서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컨텐츠 추천 장치(100)와 분리된 장치일 수도 있고, 컨텐츠 추천 장치(100)와 일체를 이루는 장치일 수도 있다.
단계 S603에서 유저 입력 장치(10)는 디스플레이 장치(101)에 표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필 카테고리 선택하는 신호를 컨텐츠 추천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05에서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단계 S603에서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 각각의 세부 항목 선택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07에서 유저 입력 장치(10)는 단계 S605에서 표시된 프로필 카테고리 각각의 세부 항목을 선택하는 신호를 컨텐츠 추천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09에서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수신된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 및 차순위 추천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611에서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단계 S603에서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 및 단계 S607에서 선택된 세부 항목, 단계 S609에서 결정된 추천 컨텐츠 및 차순위 추천 컨텐츠를 포함하는 추천 컨텐츠 제공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 및 선택된 세부 항목은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표시되고, 결정된 추천 컨텐츠 및 차순위 추천 컨텐츠는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단계 S613에서 유저 입력 장치(10)는 단계 S607에서 선택된 세부 항목을 변경하는 신호를 컨텐츠 추천 장치(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615에서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단계 S613에서의 세부 항목의 변경에 대한 응답으로 추천 컨텐츠와 차순위 추천 컨텐츠가 교환된 추천 컨텐츠 제공 화면을 디스플레이 장치(1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6에서 상술한 단계들(S601~S615)간의 순서는 예시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술한 단계들 간의 순서는 상호 변동될 수 있으며, 이중 일부 단계들은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601 및 S605는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S603 및 S607도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단계 S613 및 S615는 유저 입력에 대응하여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 장치가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추천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 내지 도 6의 컨텐츠 추천 장치(1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701에서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프로필 카테고리 각각의 복수의 세부 항목을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705에서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단계 S701에서 결정된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707에서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단계 S705에서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 각각에 대응하는 단계 S703에서 결정된 복수의 세부 항목을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709에서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단계 S705 및 단계 S707에서 수신된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대한 추천 컨텐츠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711에서 컨텐츠 추천 장치(100)는 단계 S705 및 단계 S707에서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 및 세부 항목을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고, 단계 S709에서 결정된 추천 컨텐츠를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유저 입력 장치
100: 컨텐츠 추천 장치
200: 컨텐츠 서버

Claims (21)

  1. 컨텐츠를 추천하는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카테고리 결정부;
    상기 프로필 카테고리 각각의 복수의 세부 항목을 결정하는 세부 항목 결정부;
    상기 결정된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유저 입력 및 상기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 각각의 세부 항목을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유저 입력부;
    상기 수신된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추천 컨텐츠를 결정하는 추천 컨텐츠 결정부; 및
    상기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 및 상기 선택된 세부 항목을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결정된 추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상기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의 선택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세부 항목을 더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세부 항목은 선택되지 않은 세부 항목과 식별되는 컨텐츠 추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입력부는 상기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의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유저 입력을 더 수신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상기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와 상기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에 대응하여 결정된 우선 순위를 함께 표시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원을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원의 둘레에 상기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원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표시된 프로필 카테고리로 향하는 반지름을 표시하고, 상기 반지름 위에 상기 반지름이 향하는 프로필 카테고리의 복수의 세부 항목을 표시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추천 컨텐츠 결정부는 상기 선택된 세부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한 세부 항목 및 상기 제외된 세부 항목에 대응하는 프로필 카테고리의 다른 하나의 세부 항목에 기초하여 차순위 추천 컨텐츠를 결정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상기 결정된 차순위 추천 컨텐츠를 더 표시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추천 컨텐츠를 포함하는 추천 페이지 및 상기 차순위 추천 컨텐츠를 포함하는 차순위 페이지를 표시하고,
    상기 추천 페이지는 상기 차순위 페이지 위에 비스듬히 겹쳐서 표시되는 컨텐츠 추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 카테고리에 대응하는 차순위 페이지가 상기 추천 페이지에 비스듬히 겹치는 방향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표시된 원의 둘레에 표시된 상기 프로필 카테고리를 향하는 반지름의 방향에 대응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입력부가 상기 선택된 세부 항목의 변경을 요청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표시된 추천 페이지와 상기 변경되는 세부 항목에 대응하는 차순위 페이지의 위치가 바뀌는 컨텐츠 추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결정된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를 선택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 각각의 세부 항목을 선택하는 화면을 디스플레이에 더 표시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가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크기 각각은 상기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의 선택 빈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컨텐츠 추천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 중 함께 선택되는 빈도에 기초하여 프로필 카테고리 세트는 디스플레이에 서로 연결되어 표시되고,
    상기 유저 입력부는 상기 연결되어 표시된 프로필 카테고리 세트를 한번에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
  13.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 순위는 상기 결정된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유저 입력에 의해 선택되는 순서에 의해 결정되는 컨텐츠 추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 카테고리는 추천 컨텐츠 표시 서비스를 이용하는 개인 사용자의 프로필 카테고리 및 그룹 사용자의 프로필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 카테고리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선호 장르, 추천 컨텐츠 표시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간대 및 추천 받을 컨텐츠의 주제를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 컨텐츠 결정부는 이용자의 과거 컨텐츠 이용 내역에 더 기초하여 추천 컨텐츠를 결정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
  1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저 입력부는 상기 선택된 세부 항목 및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의 변경을 요청하는 유저 입력을 더 수신하는 컨텐츠 추천 장치.
  18. 컨텐츠를 추천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대한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프로필 카테고리 각각의 복수의 세부 항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복수의 프로필 카테고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 각각의 세부 항목을 선택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추천 컨텐츠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 및 상기 선택된 세부 항목을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결정된 추천 컨텐츠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1 영역은 원이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원의 둘레에 상기 선택된 프로필 카테고리가 표시되고, 상기 표시된 원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표시된 프로필 카테고리로 향하는 반지름이 표시되고, 상기 반지름 위에 상기 반지름이 향하는 프로필 카테고리의 복수의 세부 항목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추천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의 제 2 영역은 추천 컨텐츠를 포함하는 추천 페이지 및 차순위 추천 컨텐츠를 포함하는 차순위 페이지가 표시되고,
    상기 추천 페이지는 상기 차순위 페이지 위에 비스듬히 겹쳐서 표시되고,
    상기 차순위 추천 컨텐츠는 상기 선택된 세부 항목 중 어느 하나를 제외한 세부 항목 및 상기 제외된 세부 항목에 대응하는 프로필 카테고리의 다른 하나의 세부 항목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컨텐츠 추천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세부 항목의 변경을 요청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표시된 추천 페이지와 상기 변경되는 세부 항목에 대응하는 차순위 페이지의 위치가 바뀌는 컨텐츠 추천 방법.
KR1020120123211A 2012-11-01 2012-11-01 컨텐츠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459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211A KR101459568B1 (ko) 2012-11-01 2012-11-01 컨텐츠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US14/069,528 US20140123192A1 (en) 2012-11-01 2013-11-01 User interface to recommend video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211A KR101459568B1 (ko) 2012-11-01 2012-11-01 컨텐츠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849A KR20140055849A (ko) 2014-05-09
KR101459568B1 true KR101459568B1 (ko) 2014-11-07

Family

ID=5054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211A KR101459568B1 (ko) 2012-11-01 2012-11-01 컨텐츠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123192A1 (ko)
KR (1) KR1014595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73930A1 (en) * 2014-12-16 2016-06-16 Hisense Usa Corp. Devices and methods for automatic configuration
JPWO2017057010A1 (ja) * 2015-10-02 2018-06-21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制御サーバ、テレビジョン受像機、端末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CN105812830B (zh) * 2016-03-11 2018-11-13 传成文化传媒(上海)有限公司 酒店服务内容的推荐方法及系统
CN107977138A (zh) * 2016-10-24 2018-05-01 北京东软医疗设备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装置
WO2018101512A1 (ko) * 2016-11-30 2018-06-07 주식회사 노크 메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08366275B (zh) * 2018-01-26 2021-04-27 北京一览科技有限公司 提供视频流的方法和装置
KR102507520B1 (ko) * 2019-10-31 2023-03-08 주식회사 서울벤처스 비식별 행위 정보에 기반한 능동형 콘텐츠 자동 제공 시스템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352792B1 (ko) * 2020-04-29 2022-01-18 네이버웹툰 유한회사 이미지가 포함된 컨텐츠의 사용자를 위한 온보딩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US11356740B2 (en) 2020-05-19 2022-06-07 Hulu, LLC Modular user interface for video delivery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7792A (ko) * 2001-03-29 2003-01-2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Tv 프로그램 프로파일링 기술 및 인터페이스
KR20100049798A (ko) * 2008-11-04 2010-05-13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개인 프로필 기능을 이용한 iptv의 개인화 방송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20120104648A (ko) * 2010-10-26 2012-09-24 주식회사 케이티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20246161A1 (en) 2011-03-24 2012-09-27 Kabushiki Kaisha Toshiba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information,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986425B2 (en) * 1998-07-17 2019-01-30 Rovi Guid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 having multiple devices within a household
US6898762B2 (en) * 1998-08-21 2005-05-24 United Video Properties, Inc. Client-server electronic program guide
AU2002351472A1 (en) * 2001-12-07 2003-06-23 Charles S. Packer Recommendation-based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multiple modes of operation
US20090307726A1 (en) * 2002-06-26 2009-12-10 Andrew Christopher Levi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mmending age-range appropriate episodes of program content
KR100816251B1 (ko) * 2003-09-11 2008-03-21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컨텐츠 선택장치, 컨텐츠 선택방법 및 컨텐츠 선택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8943537B2 (en) * 2004-07-21 2015-01-27 Cox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personalized television program recommendation to viewers
KR101194706B1 (ko) * 2004-11-04 2012-10-2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Tv 추천기들을 위한 주연 배우 정보의 통합
JP2008178037A (ja) * 2007-01-22 2008-07-3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090100470A1 (en) * 2007-10-16 2009-04-16 Fujitsu Limite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8220022B1 (en) * 2007-12-12 2012-07-10 Google Inc. Traversing video recommendations
JP5042883B2 (ja) * 2008-02-28 2012-10-0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コンテンツ推薦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推薦方法
US8176510B2 (en) * 2008-11-12 2012-05-08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inconsistent user actions and providing feedback
WO2012117278A2 (en) * 2011-02-28 2012-09-0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lectronically communicating media recommendations responsive to preferences for an electronic termina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7792A (ko) * 2001-03-29 2003-01-23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Tv 프로그램 프로파일링 기술 및 인터페이스
KR20100049798A (ko) * 2008-11-04 2010-05-13 브로드밴드미디어주식회사 개인 프로필 기능을 이용한 iptv의 개인화 방송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
KR20120104648A (ko) * 2010-10-26 2012-09-24 주식회사 케이티 개인 맞춤형 컨텐츠 추천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20246161A1 (en) 2011-03-24 2012-09-27 Kabushiki Kaisha Toshiba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information,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23192A1 (en) 2014-05-01
KR20140055849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568B1 (ko) 컨텐츠를 추천하는 장치 및 방법
US9264767B2 (en) Method of providing information and display device thereof
US9916062B2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esenting application lists
US11025583B2 (en)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common interests in social networks
KR101953305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한 콘텐트 리스트 제공 시스템 및 방법
EP3292527A1 (en) Device and method for targeted display of information
US20140033228A1 (en) Configuring content display dimensions
US20180189811A1 (en) Store visit data creation and management
US20140229416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of recommending contents to members of a social network
US20190200076A1 (en) Server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150181304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s of the display apparatus
US11947981B2 (en) Computing network for implementing a contextual navigation and action user experience framework and flattening deep information hierarchies
CN105453014A (zh) 可调节的视频播放器
KR101966925B1 (ko) 컨텐츠를 식별하는 장치 및 방법
US10037310B1 (en) Evaluating content in a computer networked environment
KR101621097B1 (ko) 사용자 정보 연동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79032A (ko) 컨텐츠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97224B1 (ko)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WO2016179346A1 (en) Device and method for targeted display of information
KR102560564B1 (ko) 맞춤형 콘텐츠 제공 서버, 시스템 및 사용자 단말
KR20160084719A (ko) 맞춤형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CN109471625A (zh) 网页生成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369504B1 (ko) 콘텐츠 분할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22133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aspect ratio of content slot
KR101313242B1 (ko) 웹페이지 제공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