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7224B1 -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7224B1
KR101997224B1 KR1020120123190A KR20120123190A KR101997224B1 KR 101997224 B1 KR101997224 B1 KR 101997224B1 KR 1020120123190 A KR1020120123190 A KR 1020120123190A KR 20120123190 A KR20120123190 A KR 20120123190A KR 101997224 B1 KR101997224 B1 KR 101997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data
scene
content
gener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5835A (ko
Inventor
박희철
김종안
김진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20123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7224B1/ko
Publication of KR201400558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58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7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7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locally within server, e.g. reading video streams from disk arr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는, 재생 장치에서 컨텐츠의 재생 중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컨텐츠 서버에게 전송하는 메타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GENERATING METADATA BASED ON VIDEO SCENE AND METHOD THEREOF}
컨텐츠의 재생 중 발생하는 이벤트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시청자들은 EPG(Electronic Program Guide)를 통하여 방송 중인 컨텐츠를 확인할 수 있고, 시청자의 니즈에 맞는 컨텐츠(VOD: Video On Demand) 를 선택하거나 추천을 받아 시청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때, 시청자는 유저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통해 키워드를 입력함으로써 컨텐츠를 추천 받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키워드는 IPTV 서비스 사업자가 미리 생성해놓은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검색 결과값만을 제공하게 되어 문제가 있다.
즉, IPTV에서 제공하는 메타데이터는 사업자가 제공하는 방법 밖에 없어 특정 컨텐츠에 대해서 다양한 사용자의 검색 키워드나 이용 메타데이터에 한계가 있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검색이 사용자 중심이 아닌, 사업자 중심으로 이루어져 원하는 컨텐츠를 찾지가 어렵고, 그 결과 서비스 이용의 활성도가 높지 않았다. 또한, 메타데이터가 전체 컨텐츠 기반으로만 생성되어 있을 뿐, 보다 세부적인 장면(Scene) 기반으로는 생성되어 있지 않아, 컨텐츠 검색에 대한 세밀한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했다.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들의 검색 편의를 돕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는, 재생 장치에서 컨텐츠의 재생 중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컨텐츠 서버에게 전송하는 메타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가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재생 장치에서 컨텐츠의 재생 중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컨텐츠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그룹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는, 복수의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로부터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는 메타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한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상기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텐츠 ID와 상기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에 대응하는 유저 ID와 매칭하여 관리하는 메타데이터 관리부, 임의의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상기 유저 ID를 관리하는 그룹 관리부 및 컨텐츠 ID 별로 상기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유저 ID에 대응하는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결합하여 그룹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는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른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가 그룹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복수의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로부터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상기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텐츠 ID와 상기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에 대응하는 유저 ID와 매칭하여 관리하는 단계 및 컨텐츠 ID 별로 임의의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유저 ID에 대응하는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결합하여 그룹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는 이벤트 발생에 대응하여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는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함으로써, 컨텐츠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더 세밀한 검색 결과를 제공하는 등 이용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생성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면 기반의 그룹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생성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메타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시청자(11), 제 1 모바일 단말(12) 및 제 2 모바일 단말(13)를 포함하는 이벤트원(10),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 재생 장치(101),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200) 및 컨텐츠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메타데이터 생성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벤트원(10)은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에서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복수의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 이벤트는 음성 발화, 통화 내용, 유저 입력에 의해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는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저 입력에 의해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는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SMS), 멀티미디어 메시지(MMS),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는 이벤트원(10)으로부터 발생한 이벤트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벤트로부터 키워드를 추출하여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는 생성된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컨텐츠 서버(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는 생성된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2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재생 장치(101)는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 때 재생되는 컨텐츠에 대한 메타데이터가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에서 생성될 수 있다. 재생되는 컨텐츠는 유저 입력에 의해 컨텐츠 서버(300)에게 전송한 컨텐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컨텐츠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것일 수 있다.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복수의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로부터 전송 받은 메타데이터에 기초하여 그룹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생성된 그룹 메타데이터를 컨텐츠 서버(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컨텐츠 서버(300)는 재생 장치(101)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전송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서버(300)는 전송 받은 메타데이터 또는 그룹 메타데이터를 해당 컨텐츠에 결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서버(300)는 사업자에 의해 생성된 메타데이터를 해당 컨텐츠에 더 결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컨텐츠 전송 요청이 있는 경우, 컨텐츠 서버(300)는 업데이트된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이용하여 해당 컨텐츠가 검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12 및 13)과 재생 장치(101)는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2 및 13)과 재생 장치(101)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TV 장치,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TV 장치의 일 예에는 스마트 TV, IPTV 셋탑박스(STB) 등이 포함되고, 컴퓨터의 일 예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이 포함되고, 휴대용 단말의 일 예에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모바일 단말(12 및 13),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 재생 장치(101),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200) 및 컨텐츠 서버(300)는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인터넷(Internet),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Gig(Wireless Gigabit)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서비스는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에 설치되어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애플리케이션은 앱스토어 등의 가상의 마켓에서 제공되는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IPTV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의 역할 각각이 위치를 달리하는 복수의 장치에서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재생 장치(101) 및 컨텐츠 서버(300) 등의 다른 장치와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메터데이터 생성 장치는 유저 입력을 수신하는 장치, 시각화 서버, 컨텐츠 분석 장치, 메타데이터 관리 DB 등에서의 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는 이벤트 감지부(110), 키워드 추출부(120), 메타데이터 생성부(130), 메타데이터 전송부(140) 및 DB(데이터베이스)(1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는 이용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될 수도 있으나, 영상 표시 장치에 표현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도 있다.
이벤트 감지부(110)는 재생 장치(101)에서 컨텐츠의 재생 중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이벤트는 음성 발화, 통화 내용, 유저 입력에 의해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는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은 앞서 살펴본 바이다.
키워드 추출부(120)는 이벤트 감지부(110)에서 감지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생성부(130)는 키워드 추출부(120)에서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전송부(140)는 메타데이터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컨텐츠 서버(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DB(190)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때, 데이터는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와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DB(190)는 키워드 추출부(120)에서 추출하는 키워드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DB(190)의 일 예에는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당업자라면, 이벤트 감지부(110), 키워드 추출부(120), 메타데이터 생성부(130), 메타데이터 전송부(140) 및 DB(19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는 이벤트 감지부(110), 키워드 추출부(120), 메타데이터 생성부(130), 메타데이터 전송부(140), 연관성 판단부(150), 장면 데이터 추출부(160), 통신부(170) 및 DB(1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는 이용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다.
이벤트 감지부(110)는 재생 장치(101)에서 컨텐츠의 재생 중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벤트 감지부(110)는 음성 센서를 이용하여 이벤트에 포함되는 시청자의 음성 발화를 감지할 수 있다.
키워드 추출부(120)는 이벤트 감지부(110)에서 감지한 이벤트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키워드 추출부(120)는 이벤트가 유저 입력에 의해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는 메시지인 경우에는 입력에 의해 모바일 단말에 표시된 메시지를 컨텐츠 제목과 연계하여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생성부(130)는 키워드 추출부(120)에서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메타데이터 생성부(130)는 키워드 추출부(120)에서 추출된 키워드가 재생 장치(30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의 현재 장면과 연관성이 있는 경우에만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는 이벤트의 발생 시점에 대응하는 장면의 메타데이터를 의미한다.
또한, 메타데이터 생성부(130)는 이하 설명될 장면 데이터 추출부(160)에서 추출된 장면 데이터와 키워드 추출부(120)에서 추출된 키워드를 결합함으로써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전송부(140)는 메타데이터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컨텐츠 서버(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연관성 판단부(150)는 키워드 추출부(120)에서 추출된 키워드가 재생 장치(30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의 현재 장면과 연관성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관성 판단부(150)는 이하 설명될 장면 데이터 추출부(160)에서 추출된 장면 데이터에 키워드 추출부(120)에서 추출된 키워드가 매칭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연관성 판단부(150)는 키워드 추출부(120)에서 추출된 키워드가 컨텐츠의 현재 장면뿐만 아니라, 기설정된 범위내의 장면과 연관성이 있는지를 더 판단할 수 있다. 왜냐하면, 임의의 장면을 시청한 후 이벤트가 발생하기까지는 시간적 지연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연관성 판단부(150)는 키워드 추출부(120)에서 추출된 키워드가 기설정된 범위내의 복수의 장면과 연관성이 있는 경우, 의미적으로 가장 근접한 장면에 매칭을 시킬 수 있다.
장면 데이터 추출부(160)는 재생 장치(30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의 현재 장면에 대응하는 장면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추출되는 장면 데이터는 현재 장면에 대응하는 인물, 소품, 음악 및 장소와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장면 데이터는 현재 장면의 등장 인물, 등장 인물이 착용한 옷, 신발, 가방, 시계, 현재 장면에서 재생되는 음악 및 등장 인물이 있는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모바일 단말과 페어링을 생성할 수 있다. 페어링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이벤트를 이벤트 감지부(110)에서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통화 내용 또는 유저 입력에 의해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는 메시지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모바일 단말의 ID, 재생 장치(300)에서 재생 중인 컨텐츠의 컨텐츠 ID 및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의 ID는 서로 매칭되어 DB(190)에 저장되고 관리될 수 있다. 이 때,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의 ID는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를 이용하여 메타데이터 생성 서비스를 제공 받는 이용자의 ID로 대체되거나, 이용자의 유저 ID와 함께 매칭될 수 있다.
DB(190)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때, 데이터는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와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DB(190)는 장면 데이터 추출부(160)에서 추출하는 장면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DB(190)의 일 예에는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이벤트 감지부(110), 키워드 추출부(120), 메타데이터 생성부(130), 메타데이터 전송부(140) 및 DB(190)에 대하여 이상에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2를 통해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유추되므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당업자라면, 이벤트 감지부(110), 키워드 추출부(120), 메타데이터 생성부(130), 메타데이터 전송부(140), 연관성 판단부(150), 장면 데이터 추출부(160), 통신부(170) 및 DB(19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의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200)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메타데이터 수신부(210), 메타데이터 관리부(220), 그룹 관리부(230), 메타데이터 생성부(240) 및 DB(29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이용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 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될 수도 있으나, 영상 표시 장치에 표현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도 있다.
메타데이터 수신부(210)는 복수의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로부터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관리부(220)는 메타데이터 수신부(210)에서 수신한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텐츠 ID와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의 ID 또는 이에 대응하는 유저 ID와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그룹 관리부(230)는 임의의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유저 ID를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임의의 그룹은 기설정된 조건 또는 유저 입력에 의해 생성된 그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임의의 그룹은 사용자의 폰북의 그룹일 수 있고, 트위터 페이스북 등의 SNS 상의 그룹일 수도 있다. 또한, 기설정된 조건은 선호 장르, 연령, 거주지역, 성별, 기혼여부, 직업 및 학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메타데이터 생성부(240)는 컨텐츠 ID 별로 임의의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유저 ID에 대응하는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결합하여 그룹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DB(290)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때, 그룹 데이터는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2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200)와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2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DB(290)는 그룹 관리부(230)에서 관리하는 복수의 유저 ID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DB(290)의 일 예에는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20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된다.
당업자라면, 메타데이터 수신부(210), 메타데이터 관리부(220), 그룹 관리부(230), 메타데이터 생성부(240) 및 DB(29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2 또는 도 3의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501에서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는 재생 장치(101)에서 컨텐츠의 재생 중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단계 S503에서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는 단계 S601에서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단계 S505에서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는 단계 S603에서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507에서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는 단계 S605에서 생성된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컨텐츠 서버(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면 기반의 그룹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그룹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2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4의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2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장면 기반의 그룹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에도 적용된다.
단계 S601에서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복수의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100)로부터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603에서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단계 S601에서 수신한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텐츠 ID와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에 대응하는 유저 ID와 매칭하여 관리할 수 있다.
단계 S605에서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200)는 컨텐츠 ID 별로 임의의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유저 ID에 대응하는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결합하여 장면 기반의 그룹 메타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이벤트원
100: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
101: 재생 장치
200: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
300: 컨텐츠 서버

Claims (15)

  1.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재생 장치에서 컨텐츠가 재생될 때, 유저 입력에 의해 이벤트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이벤트 감지부;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추출하는 키워드 추출부;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생성된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컨텐츠 서버에게 전송하는 메타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키워드가 상기 재생 중인 컨텐츠의 현재 장면과 연관성이 있는지 판단하는 연관성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출된 키워드가 상기 컨텐츠의 현재 장면과 연관성이 있는 경우, 상기 메타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이벤트의 발생 시점에 대응하는 상기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현재 장면에 대응하는 장면 데이터를 추출하는 장면 데이터 추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관성 판단부는 상기 추출된 장면 데이터에 상기 추출된 키워드가 매칭되는지 판단하는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생성부는 상기 추출된 장면 데이터와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결합함으로써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장면 데이터는 상기 컨텐츠의 현재 장면에 대응하는 인물, 소품, 음악 및 장소와 관련된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음성 발화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감지부는 음성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음성 발화를 감지하는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과 페어링을 생성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는 상기 페어링된 모바일 단말을 이용하여 발생되는 이벤트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는 상기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통화 내용 또는 유저 입력에 의해 상기 모바일 단말에 표시되는 메시지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관성 판단부는 상기 추출된 키워드가 상기 재생 중인 컨텐츠의 기설정된 범위내의 장면과 연관성이 있는지 판단하는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셋탑박스인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
  11.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가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재생 장치에서 컨텐츠가 재생될 때, 유저 입력에 의해 이벤트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이벤트에 대응하는 키워드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컨텐츠 서버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 생성 방법.
  12. 그룹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로부터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는 메타데이터 수신부;
    상기 수신한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상기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텐츠 ID와 상기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에 대응하는 유저 ID와 매칭하여 관리하는 메타데이터 관리부;
    임의의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상기 유저 ID를 관리하는 그룹 관리부; 및
    컨텐츠 ID 별로 상기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유저 ID에 대응하는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결합하여 그룹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메타데이터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는, 재생 장치에서 컨텐츠가 재생될 때 유저 입력에 의해 이벤트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은 기설정된 조건 또는 유저 입력에 의해 생성된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조건은 선호 장르, 연령, 거주지역, 성별, 기혼여부, 직업 및 학력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
  15.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가 그룹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로부터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한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상기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에 대응하는 컨텐츠 ID와 상기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에 대응하는 유저 ID와 매칭하여 관리하는 단계; 및
    컨텐츠 ID 별로 임의의 그룹에 포함된 복수의 유저 ID에 대응하는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결합하여 그룹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메타데이터 생성 장치는, 재생 장치에서 컨텐츠가 재생될 때 유저 입력에 의해 이벤트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이벤트에 대응하여 추출된 키워드를 이용하여 상기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그룹 메타데이터 생성 방법.
KR1020120123190A 2012-11-01 2012-11-01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97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190A KR101997224B1 (ko) 2012-11-01 2012-11-01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190A KR101997224B1 (ko) 2012-11-01 2012-11-01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835A KR20140055835A (ko) 2014-05-09
KR101997224B1 true KR101997224B1 (ko) 2019-07-05

Family

ID=50887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190A KR101997224B1 (ko) 2012-11-01 2012-11-01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72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2742B2 (en) 2015-09-01 2019-08-0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and method for tagging topic to content
KR101924642B1 (ko) * 2015-09-01 2019-0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콘텐츠에 토픽을 태깅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987B1 (ko) * 2007-09-11 2013-05-29 삼성전자주식회사 메타데이터를 자동적으로 생성/갱신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기록 방법 및 장치
KR20100039706A (ko) * 2008-10-08 2010-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반응 분석을 이용한 컨텐츠의 동적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101117153B1 (ko) * 2008-12-04 2012-03-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장면 정보 생성 장치 및 그 방법과 렌더링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5835A (ko) 2014-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9588B1 (ko) 메타데이터 기반 인프라구조를 통한 다수의 미디어 타입들의 실시간 매핑 및 내비게이션
US9306989B1 (en) Linking social media and broadcast media
US99130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segmented content based on related data ranking
US20160110414A1 (en) Information search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0057636B1 (en) Automatic video service actions based on matching a video content item to a content identifier
US1090919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ltering supplemental content for an electronic book
US1110029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ambiguating a term based on static and temporal knowledge graphs
US202101578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for an electronic book
US20200154175A1 (en) Providing a program listing
US9614882B2 (en) System independent remote storing of digital content
US10255031B2 (en) Music playback for affiliated services
US10356035B1 (en) Recommendation system based on common interests in social networks
US20150319509A1 (en) Modified search and advertisements for second screen devices
US1110673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audio feeds
US20170094364A1 (en) Social news aggregation and distribution
US9277257B1 (en) Automatic video service actions based on social networking affinity relationships
US20150244972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termining lengths of time for retaining media assets
KR101997224B1 (ko) 장면 기반의 메타데이터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20143918A1 (en) Mobile user data collection
US20160255397A1 (en) Contextually aware management of resources
US9578116B1 (en) Representing video client in social media
KR101909559B1 (ko) 이력 정보를 이용한 컨텐츠 제공 서버 및 방법
KR20150076341A (ko) 요약 뉴스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14769B1 (ko) 얼굴 인식 정보를 이용하는 장치 및 방법
JP2013143731A (ja) テレビ放送録画予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