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9319B1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dio volum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dio volu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9319B1
KR101459319B1 KR1020080009005A KR20080009005A KR101459319B1 KR 101459319 B1 KR101459319 B1 KR 101459319B1 KR 1020080009005 A KR1020080009005 A KR 1020080009005A KR 20080009005 A KR20080009005 A KR 20080009005A KR 101459319 B1 KR101459319 B1 KR 101459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audio signal
audio
target volume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90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83066A (en
Inventor
정치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9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9319B1/en
Priority to US12/342,149 priority patent/US8290182B2/en
Publication of KR20090083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3066A/en
Priority to US13/617,083 priority patent/US9461603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9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93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005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in amplifiers suitable for low-frequencies, e.g. audi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Control Of Amplification And Gain Control (AREA)

Abstract

채널간 또는 장면간에 급격하게 변하는 볼륨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일정 단위 구간의 오디오 신호의 크기값과 목표 볼륨값을 비교하는 과정, 목표 볼륨치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된 특정 함수들을 상기 목표 볼륨값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에 적용함으로써 일정 단위 구간별 오디오 게인값을 산출하는 과정, 일정 단위 구간의 오디오 신호에 상기 산출된 오디오 게인값을 부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There is disclosed an audio volume automatic adjustment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volume that varies abruptly between channels or between scene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mparing a size value of an audio signal in a predetermined unit interval with a target volume value, a method for setting specific function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a ratio of audio signal size values to target volume values, And a step of calculating the audio gain value of each unit section by applying the audio gain value to the audio signal of the predetermined unit interval.

Description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dio volum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n audio volume,

본 발명은 오디오 재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특히 채널간 또는 장면간에 급격하게 변하는 볼륨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dio reproducing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dio volume automatic adjust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volume that varies rapidly between channels or between scenes.

최근 통신 및 방송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통신 및 방송 분야의 결합으로 인해 디지털 방송을 이동중에도 편리하게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BACKGROUND ART [0002]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technology and the combination of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fields, a service for conveniently viewing digital broadcasting on the move has been provided.

통상적으로 DTV나 홈 시어터등과 같은 AV재생 장치는 다양한 외부 기기를 연결해서 TV시청은 물론 PVR의 비디오 시청등을 가능하게 하고,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 위성 방송, 케이블 방송등 매우 다양한 종류의 신호와 방송 채널을 선택하여 시청할 수 있다. Generally, an AV reproducing device such as a DTV or a home theater connects a variety of external devices to enable watching a video of a PVR as well as a TV, and a variety of signals such as terrestrial analog broadcasting, satellite broadcasting, The channel can be selected and viewed.

종래의 DTV나 홈씨어터등에서는 사용자가 채널을 변경하거나 장면이 변하면 오디오 볼륨 레벨이 급작스럽게 변화되어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단점이 있었다.In conventional DTVs and home theaters, the audio volume level is suddenly changed when the user changes the channel or the scene changes, and the user feels discomfort.

예를 들면, DTV는 사용자가 방송 채널을 확인하기 위해 일일이 채널을 돌려 가며 화면 상태를 확인하였다. DTV는 수신 주파수 대역의 방송 채널을 자동으로 순차 검색할 수 있다. For example, DTV has confirmed the status of the screen by turning the channel one by one to check the channel. The DTV can automatically search the broadcast channel of the receiving frequency band sequentially.

그러나 사용자가 채널 전환을 실행하다보면 각 방송 채널마다 음량 레벨이 조금씩 다르다는 것을 느끼게 되는데 이는 각 방송 채널의 수신 감도가 약간씩 다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따라서 이러한 채널 변경에 따른 음량 변화를 보정해야 한다. However, when the user performs channel switching, the user perceives that the volume level of each broadcast channel is slightly different. This is because the reception sensitivity of each broadcast channel is slightly differ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pensate for the change in volume due to such channel change.

따라서 종래의 AV재생 장치는 채널 또는 장면 변경에 따른 음량 변화를 보정하기 위해 리니어 곡선을 이용한 오디오 볼륨 조절 방법을 이용한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AV playback apparatus uses an audio volume adjustment method using a linear curve to correct a change in volume due to a channel or scene change.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오디오 볼륨 조절 방법에서 사용되는 오디오 신호의 입력 크기와 출력 크기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FIGS. 1A and 1B illustrate an input size and an output size relationship of an audio signal used in a conventional audio volume adjustment method.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의 오디오 볼륨 조절 방식은 음량 조절 구간을 3가지즉, 부스트 구간(110), 무 변경 구간(120), 커트 구간(130)으로 한정하고 있다. Referring to FIG. 1A, a conventional audio volume adjustment method is limited to three volume control periods, that is, a boost period 110, a non-change period 120, and a cut period 130.

예를 들면,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적정 수준 이상일 경우(130) 오디오 신호의 게인을 줄여주고,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적정 수준 범위일 경우(120) 오디오 신호의 게인을 그대로 유지하고, 오디오 신호의 음량이 적정 수준 이하일 경우(110) 오디오 신호의 게인을 키워준다. For example, when the volume of the audio signal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proper level 130, the gain of the audio signal is reduced. When the volume of the audio signal is in the proper level 120, the gain of the audio signal is maintained. (110), the gain of the audio signal is increased.

그러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 변경 구간(120)에서는 음량 크기 조정을 하지 못하고, 부스트 구간(110)과 무 변경 구간(120)의 경계 부분(140), 커트 구간(130)과 무 변경 구간(120)의 경계 부분은 불연속적인 크기 조정으로 인해 음질 열화를 초래한다However, as shown in FIG. 1B, the volume adjustment can not be performed in the non-change interval 120, and the boundary portion 140, the cut interval 130, and the non-change interval 130 of the boost interval 110 and the non- The boundary portion of the audio signal 120 causes sound quality deterioration due to discontinuous scaling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는 지수 함수 입출력 곡선 및 액티브 구간 할당을 이용하여 프레임별로 적당한 오디오 신호의 게인을 구함으로써 채널간 또는 장면간에 급격하게 변하는 볼륨을 자동으로 노말라이즈(normalize)하는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n audio volume automatic to automatically normalize a volume that rapidly varies between channels or between scenes by obtaining a gain of an audio signal suitable for each frame using an exponential function input / output curve and activ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방법에 있어서,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n audio volume,

일정 단위 구간의 오디오 신호의 크기값과 목표 볼륨값을 비교하는 과정;Comparing a size value of an audio signal in a predetermined unit interval with a target volume value;

목표 볼륨치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된 특정 함수들을 상기 목표 볼륨값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에 적용함으로써 일정 단위 구간별 오디오 게인값을 산출하는 과정;Calculating an audio gain value for each predetermined unit interval by applying specific function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 to the target volume value to the ratio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 to the target volume value;

상기 일정 단위 구간의 오디오 신호에 상기 산출된 오디오 게인값을 부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providing the calculated audio gain value to the audio signal of the predetermined unit interval.

상기의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장치에 있어서,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n audio volume,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일정 구간 단위 마다 파워값을 계산하는 구간 파워 계산부;A section power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power value of an input audio signal in units of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구간 파워 계산부에서 계산된 오디오 신호의 파워치와 정해진 목표 볼 륨 파워치를 비교하여 목표 볼륨치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된 특정 함수들을 상기 목표 볼륨값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에 적용한 오디오 게인값을 산출하는 볼륨 제어부;And compares the power value of the audio signal calculated by the section power calculation unit with a predetermined target volume power value and sets specific functions differently set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 to the target volume value to the audio signal size value A volume controller for calculating an audio gain value applied to the ratio;

상기 볼륨 제어부에서 산출된 오디오 게인값을 적용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버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buffer unit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to which the audio gain value calculated by the volume control unit is applied.

상기의 또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오디오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dio reproducing system comprising:

일정 시간 단위의 오디오 신호의 크기와 목표 볼륨치를 비교하고, 그 목표 볼륨치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에 따라 서로 다른 지수 함수들을 사용한 오디오 게인으로 오디오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 조절부;A volume control unit for comparing the size of an audio signal of a predetermined time unit with a target volume value and adjusting an audio volume by an audio gain using different exponential functions according to a ratio of an audio signal size value to a target volume value;

상기 오디오 볼륨 조절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는 앰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amplifier unit for amplifying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volume controller to a predetermined magnitud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청각 특성을 반영한 지수 함수 입출력 곡선을 이용하여 프레임별 적당한 오디오 신호의 게인을 구함으로써 채널간 또는 장면간 음량 차이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 간 오디오 신호의 레벨차이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인코딩 레벨 차이로 인한 각종 미디어 파일들간의 음량 차이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오디오 타이틀(오디오 CD, 영상 DVD)간 마스터링 레벨 차이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DTV, 홈씨어터, MP3재생기, 모바일 AV기기, 노트북 PC등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어 제품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olve the inconvenience caused by a difference in volume between channels or between scenes by obtaining a gain of a proper audio signal for each frame using an exponential function input / output curve reflecting auditory characteristics, The inconvenience due to the level difference of the audio signal can be solved and the inconvenience due to the difference in volume between the various media files due to the difference in encoding level can be solved and the mastering level between the audio title (audio CD, image DVD) The inconvenience due to the difference can be solve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a DTV, a home theater, an MP3 player, a mobile AV device, a notebook PC, and the like, thereby enhancing the functions of the produc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재생 시스템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audio playback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오디오 재생 시스템은 키 입력부(210), 저장부(220), 오디오 볼륨 조절부(230), 앰프부(240), 스피커부(250)로 구성된다.2 includes a key input unit 210, a storage unit 220, an audio volume control unit 230, an amplifier unit 240, and a speaker unit 250.

키 입력부(210)는 키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등으로 이루어지며, 각종 기능 동작을 선택하기 위한 복수개의 숫자/문자 입력 키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능 키등을 구비하고 있다.The key input unit 210 includes a keypad, a touch screen, and the like. The key input unit 210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 character input keys for selecting various function operations, and a function key for interfacing with a user.

저장부(220)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Read Only Memory) 및 음성 메모리등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사용자에 의해 정해진 목표 볼륨치 및 룩-업 테이블을 저장한다. The storage unit 220 includes a ROM (Read Only Memory) and a voice memory for storing a plurality of programs and data, and in particular, stores a target volume value and a look-up table determined by a user.

오디오 볼륨 조절부(230)는 일정 시간 단위(예를 들면, 프레임)의 오디오 신호의 크기와 목표 볼륨치를 비교하고, 그 목표 볼륨치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에 따라 서로 다른 지수 함수들을 사용한 오디오 게인으로 오디오 볼륨을 조절한다.The audio volume adjusting unit 230 compares the size of the audio signal of a predetermined time unit (for example, a frame) with the target volume value, and calculates an audio volume using different exponential functions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 to the target volume value. Adjust the audio volume with gain.

앰프부(240)는 오디오 볼륨 조절부(23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가 재생할 수 있는 신호의 크기로 증폭한다. The amplifier 240 amplifies the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volume controller 230 to a magnitude of a signal reproduced by the speaker.

스피커부(250)는 앰프부(240)에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가청 주파수대의 소 리로 재생한다. The speaker unit 250 reproduces the audio signal amplified by the amplifier unit 240 in the audio frequency band.

도 3은 도 2의 오디오 볼륨 조절부(230)의 상세도이다.3 is a detailed view of the audio volume control unit 230 of FIG.

도 3의 오디오 볼륨 조절부(230)는 입력 버퍼부(310), 프레임 파워 계산부(320), 목표 볼륨 저장부(330), 룩-업 테이블부(350), 볼륨 제어부(340), 출력 버퍼부(360)를 구비한다. 3 includes an input buffer unit 310, a frame power calculation unit 320, a target volume storage unit 330, a look-up table unit 350, a volume control unit 340, And a buffer unit 360.

입력 버퍼부(310)는 입력되는 PCM(pulse code modulation) 형태의 오디오 신호를 버퍼링 한다. The input buffer unit 310 buffers an input PCM (Pulse Code Modulation) audio signal.

프레임 파워 계산부(320)는 입력 버퍼부(310)에서 저장된 오디오 신호를 일정 구간 단위 마다 파워값(또는 크기값)을 계산한다. 예를 들면, 프레임 파워 계산부(320)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프레임 단위들로 나누고 매 프레임 마다 윈도우를 취하고, 그 프레임 단위별로 RMS(root mean square)값에 해당하는 오디오 신호의 파워값을 계산한다. 이때 윈도윙 방법은 일반적으로 해밍 윈도우(Hamming window)나 해닝 윈도우(Hanning window)등을 이용한다.The frame power calculator 320 calculates a power value (or a magnitude value) of the audio signal stored in the input buffer unit 310 for each predetermined interval. For example, the frame power calculator 320 divides an input audio signal into frame units, takes a window for each frame, and calculates a power value of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 root mean square (RMS) value for each frame unit do. The windowing method generally uses a Hamming window or a Hanning window.

목표 볼륨 저장부(330)는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설정된 목표 볼륨치가 저장되어 있다. The target volume storage unit 330 stores a target volume value set by a user.

볼륨 제어부(340)는 프레임 파워 계산부(320)에서 계산된 오디오 신호의 파워치와 목표 볼륨 저장부(330)에 저장된 목표 볼륨치를 비교하고, 목표 볼륨치 대비 오디오 신호의 파워치의 비율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된 특정 함수들을 볼륨값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에 적용함으로써 일정 단위 구간별 오디오 게인값을 산출한다. The volume control unit 340 compares the power value of the audio signal calculated by the frame power calculation unit 320 with the target volume value stored in the target volume storage unit 330 and compares the power value of the audio signal with the target volume value The audio gain value for each unit interval is calculated by applying the specific functions set differently to the ratio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 to the volume value.

이때 볼륨 제어부(340)는 게인값을 산출하기 위해 룩-업 테이블부(350), 또는 프로세서에 의한 지수 연산을 이용한다. At this time, the volume control unit 340 uses the look-up table unit 350 or the exponentiation by the processor to calculate the gain value.

룩-업 테이블부(350)는 목표 볼륨치 대비 오디오 신호의 파워치의 비율에 따른 서로 다른 오디오 신호의 게인값들을 룩-업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고 있다. The look-up table unit 350 stores gain values of different audio signals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power value of the audio signal to the target volume value, in the form of a look-up table.

출력 버퍼부(360)는 입력 버퍼부(31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데이터에 볼륨 제어부(340)에서 생성된 오디오 게인값이 적용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The output buffer unit 360 outputs an audio signal to which the audio gain value generated by the volume control unit 340 is applied to the audio data output from the input buffer unit 31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adjusting an audio volu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PCM(pulse code modualtion) 형태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한다(410 과정). First, an audio signal in the form of a PCM (Pulse Code Modulation) is input (Step 410).

이어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프레임 단위들로 나누고, 그 프레임 단위별로 RMS(root mean square)값에 해당하는 오디오 신호의 파워값을 계산한다(420 과정). Subsequently, the input audio signal is divided into frame units, and a power value of an audio signal corresponding to a root mean square (RMS) value is calculated for each frame unit (operation 420).

이어서, 오디오 신호의 파워치와 사용자의 의해 임의로 정해지는 목표 볼륨치를 비교한다(430 과정).Next, the power value of the audio signal is compared with a target volume value arbitrarily determined by the user (step 430).

이어서, 목표 볼륨 치 대비 오디오 신호의 파워치의 비율을 계산한다(440 과정).Next, the ratio of the power value of the audio signal to the target volume value is calculated (operation 440).

이어서, 목표 볼륨치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된 지수 함수들을 목표 볼륨값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에 적용함으로써 일정 단위 구간별 오디오 게인값을 산출한다(450 과정).Next, an audio gain value for each unit interval is calculated by applying exponential functions differently set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 to the target volume value to the ratio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 to the target volume value (operation 450).

이때 목표 볼륨값 대비 오디오 신호의 크기값의 비율은 복수개 범위로 구분 되어 있으며, 목표 볼륨값 대비 오디오 신호의 크기값의 비율이 속한 범위에 해당하는 지수 함수를 목표 볼륨값 대비 오디오 신호의 비율에 적용한다.In this case, the ratio of the size of the audio signal to the target volume valu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ranges, and an exponential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ratio of the size value of the audio signal to the target volume value is applied to the ratio of the audio signal to the target volume value do.

예를 들면, 입력 오디오 신호의 파워치가 x라하고, 목표 볼륨치를 c 라고 하고, 목표 볼륨값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x/c)은 5단계로 구분한다고 하자. 그러면 목표 볼륨값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x/c)은 5단계의 구간들로 구분된다. For example, assume that the power value of the input audio signal is x, the target volume value is c, and the ratio (x / c)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 to the target volume value is divided into five levels. Then, the ratio (x / c)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 to the target volume value is divided into five stages.

(1) x/c < 0.01 : 목표 볼륨 치 대비 오디오 신호의 파워치의 비율이 1% 적을 때,(1) x / c < 0.01: When the ratio of the power value of the audio signal to the target volume value is 1%

(2) 0.01 < x/c < 0.1 :목표 볼륨 치 대비 오디오 신호의 파워치의 비율이 1% ∼ 10% 일 때, 오디오 신호의 파워치가 목표 볼륨 치의 1% ∼ 10%를 할 때 (2) 0.01 <x / c <0.1: When the ratio of the power value of the audio signal to the target volume value is 1% to 10%, when the power value of the audio signal is 1% to 10%

(3) 0.1 <x/c < 2 :목표 볼륨 치 대비 오디오 신호의 파워치의 비율이 10% ∼ 200% 일 때,(3) 0.1 < x / c < 2: When the ratio of the power value of the audio signal to the target volume value is 10% to 200%

(4) 2 < x/c < 10 :목표 볼륨 치 대비 오디오 신호의 파워치의 비율이 200% ∼ 1000% 일 때,(4) 2 < x / c < 10: When the ratio of the power value of the audio signal to the target volume value is 200% to 1000%

(5) 10 < x/c :목표 볼륨 치 대비 오디오 신호의 파워치의 비율이 1000% 보다 클 때.(5) 10 <x / c: When the ratio of the power value of the audio signal to the target volume value is greater than 1000%.

인간의 귀는 로그 스케일로 소리의 크기를 인지하므로 오디오 신호의 게인은 지수 함수로 구현할 수 있다. Since the human ear recognizes the size of the sound on a logarithmic scale, the gain of the audio signal can be implemented as an exponential function.

따라서 목표 볼륨값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의 각 구간마다 서로 다른 지수 함수를 적용한 목표 볼륨 치 대비 오디오 신호의 파워치의 비율을 이용 하여 오디오 게인값들을 구한다. 오디오 신호 크기값이 목표 볼륨치에서 차지하는 비율의 구간들에 따라 연속적인 특성을 갖는 서로 다른 지수 함수가 각 구간들에 설정되어 있다. Accordingly, the audio gain values are obtained by using the ratio of the power value of the audio signal to the target volume value to which a different exponential function is applied for each section of the ratio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 to the target volume value. A different exponential function having a continuous characteristic is set in each of the intervals according to the ratios of the ratios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s to the target volume values.

예를 들면, (1) x/c < 0.01일 경우 게인값(g1)은 (x/c)0.6 이고 , (2) 0.01 < x/c < 0.1일 경우 게인값(g2)은 (x/c)0.8 이고, (3) 0.1 <x/c < 2 일 경우 게인값(g3)은 (x/c)1.2 이고, (4) 2 < x/c < 10 일 경우 게인값(g4)은 (x/c)1.4 이고, (5) 10 < x/c일 경우 게인값(g5)은 (x/c)1.8 이다. 다시 말하면, 오디오 신호의 파워치가 목표 볼륨 치보다 커지면 지수함수의 지수값을 조절하여 오디오 신호의 게인을 줄여주고, 오디오 신호의 파워치가 목표 볼륨 치보다 적어지면 지수함수의 지수값을 조절하여 오디오 신호의 게인을 증가시킨다. For example, (1) when x / c < 0.01, the gain value g1 is (x / c) 0.6 (2) The gain value g2 is (x / c) 0.8 when 0.01 < x / c < 1.2 , and (4) the gain value g4 is (x / c) 1.4 when 2 < x / c & 1.8 . In other words, if the power value of the audio signal becomes larger than the target volume value, the gain of the audio signal is reduced by adjusting the exponential value of the exponential function. If the power value of the audio signal becomes smaller than the target volume value, To increase the gain.

이때 오디오 신호의 게인값을 추출하는 방법은 일 실시예로 프로세서가 지수함수를 직접 계산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로 미리 정해진 오디오 신호의 게인값을 저장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때 룩-업 테이블에는 목표 볼륨치 대비 오디오 신호의 파워치의 비율에 따라 서로 다른 지수함수가 적용된 오디오 신호의 게인값들을 저장하고 있다.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gain value of the audio signal may be a method in which the processor directly calculates the exponential func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gain value of the audio signal includes a method of using a look- This can be. In this case, the look-up table stores gain values of audio signals to which different exponential functions are applied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power value of the audio signal to the target volume value.

이어서, 일정 단위 구간별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일정 단위 구간 마다 구해진 오디오 신호의 게인값을 적용한다(460 과정). 예를 들면, 지수값을 α라고 하면 출력 신호(y)는 (x/c)α × x로 나타낼 수 있다. Next, in step 460, a gain value of the audio signal obtained for each predetermined unit interval is applied to the audio signal input for each predetermined unit interval. For example, if the exponent value is?, The output signal y can be represented by (x / c) ? X.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입력 크기와 출력 크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입출력 함수를 도시한 것이다.5 shows an input / output function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 size and the output size of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인간의 귀는 로그 스케일로 소리의 크기를 인지하므로 오디오 신호의 게인은 지수 함수로 구현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gain of the audio signal can be implemented as an exponential function because the human ear recognizes the size of the sound on a logarithmic scale.

따라서 목표 볼륨값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은 예를 들면, (1) - (5)의 5개 구간으로 구분되고, 그 구분된 구간마다 서로 다른 지수 함수가 적용된다. Therefore, the ratio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 to the target volume value is divided into five sections, for example, (1) - (5), and different exponential functions are applied to the divided sections.

그리고 그 구간들에는 불연속적인 부분이 발생하지 않도록 부드럽게 연속적인 지수함수들로 연결한다.And smoothly connect these successive exponential functions so that the discontinuity does not occur.

도 6a 내지 도 6c는 채널간/장면간 급격한 볼륨 변화에 대해 종래의 기술로 원래의 신호를 평탄화한 신호와 본 발명의 기술로 원래의 신호를 평탄화된 신호를 도시한 것이다.6A to 6C show a signal obtained by flattening an original signal with a conventional technique and a signal obtained by flattening an original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a rapid volume change between channels / scenes.

도 6a는 채널간/장면간 급격한 볼륨 변화가 있는 원래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Figure 6A shows the waveform of the original signal with a sudden volume change between channels / scenes.

도 6b는 채널간/장면간 급격한 볼륨 변화에 대해 종래의 기술로 평탄화한 신호의 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6B shows a waveform of a signal flattened by a conventional technique with respect to a rapid volume change between channels / scenes.

도 6b를 참조하면, 채널간/장면간 급격한 레벨을 갖는 신호(610, 620)의 평탄화 정도가 약하다.Referring to FIG. 6B, the degree of leveling of signals 610 and 620 having sharp levels between channels / scenes is weak.

도 6c는 채널간/장면간 급격한 볼륨 변화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기술로 평탄화한 신호의 파형도이다.6C is a waveform diagram of a signal flattened by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 sudden change in volume between channels / scenes.

도 6c를 참조하면, 채널간/장면간 급격한 레벨을 갖는 신호(630, 640)의 평탄화 정도가 양호하다.Referring to FIG. 6C, the degree of leveling of the signals 630 and 640 having a sharp level between channels / scenes is good.

또한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kinds of recording apparatuses in which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hard disk, floppy disk, flash memory,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and stored and executed as computer readable code in a distributed manner.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various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오디오 볼륨 조절 방법에서 사용되는 오디오 신호의 입력 크기와 출력 크기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FIGS. 1A and 1B illustrate an input size and an output size relationship of an audio signal used in a conventional audio volume adjustment method.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재생 시스템의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of an audio playback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오디오 볼륨 조절부의 상세도이다.FIG. 3 is a detailed view of the audio volume control unit of FIG. 2.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이다.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automatically adjusting an audio volu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입력 크기와 출력 크기의 관계를 나타내는 입출력 함수를 도시한 것이다.5 shows an input / output function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put size and the output size of an audio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도 6c는 채널간/장면간 급격한 볼륨 변화에 대해 종래의 기술로 원래의 신호를 평탄화한 신호와 본 발명의 기술로 원래의 신호를 평탄화된 신호를 도시한 것이다.6A to 6C show a signal obtained by flattening an original signal with a conventional technique and a signal obtained by flattening an original sig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a rapid volume change between channels / scenes.

Claims (13)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방법에 있어서, A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n audio volume, 일정 단위 구간의 오디오 신호의 크기값과 목표 볼륨값을 비교하는 과정;Comparing a size value of an audio signal in a predetermined unit interval with a target volume value; 목표 볼륨치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특정 함수들을 상기 목표 볼륨값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에 적용함으로써 일정 단위 구간별 오디오 게인값을 산출하는 과정;Calculating an audio gain value for each predetermined unit interval by applying specific functions differently set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 to the target volume value to the ratio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 to the target volume value; 상기 일정 단위 구간의 오디오 신호에 상기 산출된 오디오 게인값을 부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방법. And providing the calculated audio gain value to the audio signal of the predetermined unit interv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게인값을 산출하는 과정은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audio gain value comprises: 상기 목표 볼륨값 대비 오디오 신호의 크기값의 비율 구간을 복수개로 구분하고,Dividing a ratio section of a magnitude value of an audio signal into a ratio of the target volume value, 상기 목표 볼륨값 대비 오디오 신호의 크기값의 비율이 속한 구간에 할당된 소정의 함수를 상기 목표 볼륨값 대비 오디오 신호의 비율에 적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방법.Wherein the predetermined function assigned to the interval in which the ratio of the magnitude value of the audio signal to the target volume value belongs to the ratio of the audio signal to the target volume valu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함수는 목표 볼륨값 대비 오디오 신호의 크기값의 비율 구분에 따라 각각 다르게 설정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edetermined function i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a ratio of a size value of an audio signal to a target volume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볼륨값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정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arget volume value is arbitrarily determined by a us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함수는 청각 특성을 반영한 지수 함수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pecific function is an exponential function reflecting auditory characteristic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게인값을 산출하는 과정은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calculating the audio gain value comprises: 목표 볼륨값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에연속적인 특성을 갖는 지수 함수 곡선을 적용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방법. Wherein an exponential function curve having a continuous characteristic is applied to the ratio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 to the target volume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단위 구간별 오디오 게인값은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dio gain value of the predetermined unit interval is 상기 목표 볼륨값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에 따라 특정 함수가 적용된 오디오 게인값들을 룩-업 테이블로 저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방법. Wherein the audio gain values to which the specific function is applied are stored as a look-up table according to a ratio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 to the target volume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단위 구간별 오디오 게인값은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udio gain value of the predetermined unit interval is 상기 목표 볼륨값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에 정해진 지수함수를 적용하여 계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방법. Wherein the audio signal is calculated by applying an exponential function to a ratio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 to the target volume value.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장치에 있어서,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n audio volume,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일정 구간 단위 마다 파워값을 계산하는 구간 파워 계산부;A section power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power value of an input audio signal in units of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구간 파워 계산부에서 계산된 오디오 신호의 파워치와 정해진 목표 볼륨 파워치를 비교하여 목표 볼륨치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에 따라 서로 다르게 설정된 특정 함수들을 상기 목표 볼륨값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에 적용한 오디오 게인값을 산출하는 볼륨 제어부;And compares the power value of the audio signal calculated by the section power calculation unit with a predetermined target volume power value to determine specific functions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 to the target volume value to the ratio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 A volume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n audio gain value applied to the audio signal; 상기 볼륨 제어부에서 산출된 오디오 게인값을 적용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버퍼부를 포함하는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장치.And a buffer unit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to which the audio gain value calculated by the volume control unit is appli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볼륨치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에 따라 서로 다른 지수 함수를 적용한 게인값을 저장한 룩-업 테이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장치.The apparatus of claim 9, further comprising a look-up table storing a gain value to which different exponential functions are applied according to a ratio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 to the target volume value. 오디오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In an audio playback system, 일정 시간 단위의 오디오 신호의 크기와 목표 볼륨치를 비교하고, 그 목표 볼륨치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 구분에 따라 서로 다른 지수 함수들을 사용한 오디오 게인으로 오디오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 조절부;A volume controller for comparing the size of an audio signal of a predetermined time unit with a target volume value and adjusting an audio volume using audio gains using different exponential functions according to a ratio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 to the target volume value; 상기 오디오 볼륨 조절부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소정의 크기로 증폭하는 앰프부를 구비하는 오디오 재생 시스템.And an amplifier for amplifying an audio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volume controller to a predetermined siz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볼륨 조절부는12. The apparatus of claim 11, wherein the audio volume adjuster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일정 구간 단위 마다 파워값을 계산하는 구간 파워 계산부;A section power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power value of an input audio signal in units of a predetermined interval; 상기 구간 파워 계산부에서 계산된 오디오 신호의 파워치와 정해진 목표 볼륨 파워치를 비교하여 목표 볼륨치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에 따라 설정된 특정 함수들을 상기 목표 볼륨값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에 적용한 오디오 게인값을 산출하는 볼륨 제어부;The power value of the audio signal calculated by the section power calculator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target volume power value and the specific functions set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 to the target volume value are applied to the ratio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 to the target volume value A volume control unit for calculating an audio gain value; 상기 볼륨 제어부에서 추출된 오디오 신호의 게인값을 적용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버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재생 시스템.And a buffer unit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to which a gain value of the audio signal extracted by the volume control unit is applied.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절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있어서,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implementing an audio volume automatic adjustment method, 일정 단위 구간의 오디오 신호의 크기값과 목표 볼륨값을 비교하는 과정;Comparing a size value of an audio signal in a predetermined unit interval with a target volume value; 목표 볼륨치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에 따라 설정된 특정 함수들을 상기 목표 볼륨값 대비 오디오 신호 크기값의 비율에 적용함으로써 일정 단위 구간별 오디오 게인값을 산출하는 과정;Calculating an audio gain value for each unit section by applying specific functions set according to the ratio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 to the target volume value to the ratio of the audio signal size value to the target volume value; 상기 일정 단위 구간의 오디오 신호에 상기 산출된 오디오 게인값을 부여하는 과정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And providing the calculated audio gain value to the audio signal of the predetermined unit interval.
KR1020080009005A 2008-01-29 2008-01-2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dio volume KR1014593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005A KR101459319B1 (en) 2008-01-29 2008-01-2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dio volume
US12/342,149 US8290182B2 (en) 2008-01-29 2008-12-23 Method of using an apparatus to automatically control sudden changes in volume
US13/617,083 US9461603B2 (en) 2008-01-29 2012-09-14 Method and apparatus to automatically control audio volu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9005A KR101459319B1 (en) 2008-01-29 2008-01-2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dio volu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3066A KR20090083066A (en) 2009-08-03
KR101459319B1 true KR101459319B1 (en) 2014-11-07

Family

ID=40899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9005A KR101459319B1 (en) 2008-01-29 2008-01-29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dio volum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290182B2 (en)
KR (1) KR10145931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78614A (en) * 2009-01-19 2009-07-08 深圳华为通信技术有限公司 Metho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terminal for adaptively tuning volume
US9620131B2 (en) 2011-04-08 2017-04-11 Evertz Microsystems Ltd.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audio levels in a plurality of audio signals
US9385678B2 (en) * 2013-05-03 2016-07-05 Honda Motor Co., Ltd. Methods and systems for controlling volume
CN103457559B (en) * 2013-08-26 2017-07-28 Tcl通力电子(惠州)有限公司 Audio adjusting method and system
US9391575B1 (en) * 2013-12-13 2016-07-12 Amazon Technologies, Inc. Adaptive loudness control
EP3389183A1 (en) * 2017-04-13 2018-10-17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Apparatus for processing an input audio signal and corresponding method
KR102000748B1 (en) * 2018-02-14 2019-07-16 주식회사 곰앤컴퍼니 Volume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continuous playback of multiple video files
CN108988811B (en) * 2018-08-20 2021-05-25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Input gain control method of analog audio
CN108924447B (en) * 2018-08-21 2020-07-10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Volume adjusting method, equipment,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1775250B2 (en) 2018-09-07 2023-10-03 Gracenot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volume adjustment via audio classification
EP3847542A4 (en) * 2018-09-07 2022-06-01 Gracenot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dynamic volume adjustment via audio classification
JP2020170101A (en) * 2019-04-04 2020-10-1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Sound volume adjustment device, method therefor, and progra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8346A (en) * 1996-09-24 1998-04-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Automatic gain adjuster
JP2000151314A (en) 1998-11-17 2000-05-30 Isuzu Motors Ltd Audio device
US6907129B2 (en) 2003-09-02 2005-06-14 Ess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volume control
KR20060089496A (en) * 2005-02-04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dio volume automatically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4843A (en) * 2002-12-27 2004-07-29 Alpine Electronics Inc Digital amplifier and gain adjustment method thereof
EP1835487B1 (en) 2003-05-28 2013-07-10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calculating and adjusting the perceived loudness of an audio signal
KR100561440B1 (en) * 2004-07-24 200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audio volume automatically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channel
KR101261212B1 (en) 2004-10-26 2013-05-07 돌비 레버러토리즈 라이쎈싱 코오포레이션 Calculating and adjusting the perceived loudness and/or the perceived spectral balance of an audio signal
US8300849B2 (en) * 2007-11-06 2012-10-30 Microsoft Corporation Perceptually weighted digital audio level compress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98346A (en) * 1996-09-24 1998-04-14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Automatic gain adjuster
JP2000151314A (en) 1998-11-17 2000-05-30 Isuzu Motors Ltd Audio device
US6907129B2 (en) 2003-09-02 2005-06-14 Ess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 volume control
KR20060089496A (en) * 2005-02-04 2006-08-09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dio volume automatical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461603B2 (en) 2016-10-04
US20130208919A1 (en) 2013-08-15
US20090190779A1 (en) 2009-07-30
KR20090083066A (en) 2009-08-03
US8290182B2 (en) 201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31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udio volume
US7706552B2 (en) Sound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sound signal processing method
CN100514853C (en) Volume and compression control in movie theaters
KR930004932B1 (en) Sound effect system
CA2717674C (en) Display apparatus having object-oriented 3d sound coordinate indication
US7864967B2 (en) Sound quality correction apparatus, sound quality correction method and program for sound quality correction
EP2538559B1 (en) Audio controlling apparatus, audio correction apparatus, and audio correction method
EP2194733B1 (en) Sound volume correcting device, sound volume correcting method, sound volume correcting program, and electronic apparatus.
US8687824B2 (en) Acoustic processing device
JP5554624B2 (en) Acoustic apparatus and signal control method
US7233200B2 (en) AGC circuit, AGC circuit gain control method, and program for the AGC circuit gain control method
JP4706666B2 (en) Volume contro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JP2011135218A (en) Sound signal processor, sound signal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8462964B2 (en)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audio signal correction circuit, and program
JP2007158873A (en) Voice correcting device
KR101945816B1 (en)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volume in terminal
JP2010034700A (en)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peaker system, and television
JP2011234076A (en) Acoustic apparatus and signal control method
WO2008015733A1 (en) Sound control device, sound control method, and sound control program
KR100813586B1 (en) Control apparatus for outputting sound of television and method thereof
JP2010118977A (en) Sound image localization control apparatus and sound image localization control method
CN117412224A (en) Method for realizing common construction of surround sound by externally connected Bluetooth sound box and self-contained sound box
KR20050011232A (en) Sound output apparatus capable of automatically controlling volume for each channel
JP2003209764A (en) Sound volume controller
KR20200017969A (en) Audio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