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030B1 -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030B1
KR101458030B1 KR1020080013063A KR20080013063A KR101458030B1 KR 101458030 B1 KR101458030 B1 KR 101458030B1 KR 1020080013063 A KR1020080013063 A KR 1020080013063A KR 20080013063 A KR20080013063 A KR 20080013063A KR 101458030 B1 KR101458030 B1 KR 101458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channel information
representative image
tuner
ext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3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7672A (ko
Inventor
김병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13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030B1/ko
Priority to US12/338,231 priority patent/US8572652B2/en
Publication of KR20090087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4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 H04N21/8153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graphical data, e.g. 3D object, 2D graphics comprising still images, e.g. texture, background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4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fitting data in a restricted space on the screen, e.g. EPG data in a rectangular gr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04N21/4349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by extracting from data carousels, e.g. extraction of software modules from a DVB carous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2Demodulation or channel decoding, e.g. QPSK demodul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장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튜너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튜너와, 제1 튜너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방송 신호로부터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추출하는 복수의 제2 튜너 및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표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은, 복수의 튜너를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복수의 튜너 중 제1 튜너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제1 튜너를 제외한 복수의 제2 튜너는 방송 신호로부터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디지털 방송 수신, 튜너, 대표 영상, 비디오 스트림

Description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 of channel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튜너를 이용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디지털 멀티 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이하 DMB라 함)은 기존의 디지털 오디오 방송(Digital Audio Broadcasting)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반송 주파수에 다수의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방송된다. DMB는 위성 또는 지상의 중계소를 통해 방송 신호를 송출하여 사용자들이 옥외 또는 이동 중에도 무지향성 수신 안테나를 장착한 휴대용 또는 차량용 수신기를 통해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등 다양한 멀티 미디어 방송을 다채널로 시청하거나 청취할 수 있는 방송 서비스를 말한다. 또한, 기존의 고정 수신 라디오 방송과는 차별화된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며, 이를 위해 L-Band (1452~1492MHz) 또는 S-Band (2310~2360MHz / 2535~2655MHz) 등을 이용한다. 위성 DMB 방송 수신시에 지상 대부분의 지역은 위성에서 직접 수신이 가능하나 위성의 LOS(Lind Of Sight)를 벗어나는 지역은 지상 중계기(Gap Filter)를 사용하여 수신한다. 이동 중에도 수신이 가능한 서비스로는 다채널 오디오 방송, 교통 정보, 차량 위치 정보 및 날씨 정보 등 다양한 멀티 미디어 서비스가 있다.
이때, DMB는 소정의 반송 주파수의 다수의 프로그램이 포함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먼저 반송 주파수를 선택한 다음, 해당 반송 주파수에 포함된 다수의 프로그램 중 원하는 프로그램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시청하려하는 프로그램을 검색할 경우, 사용자는 해당 프로그램이 포함된 반송 주파수에 어떠한 프로그램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사전에 인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모든 반송 주파수에 포함되는 다수의 프로그램을 기억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수신된 방송 신호의 모든 채널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방송 수신기는 다양한 방송 채널들을 자동으로 튜닝하기 위한 자동 채널 튜닝(Auto Channel Tuning)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각 방송 채널들을 자동으로 스캔하여 방송 신호가 검출된 튜닝 정보들을 장치 내에 채널 정보로서 저장 관리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채널을 선택하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케이블 방송 등과 같은 새로운 방송들이 널리 보급되어 상용화되고 있으며, 또한 수많은 방송 채널들이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채널을 선택하는 데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자동 채널 튜닝을 수행하는 경우, 각 방송 채널별로 대표 영상을 캡쳐하여 장치 내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장치 내에 저장된 채널 정보와 함께 하나 또는 복수개의 축소 영상을 출력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자동 채널 설정이 수행된 시점이 현재 시간과 큰 차이가 있는 경우나 대표 영상을 캡쳐한 순간에 있어서 화면 상에 특이 사항이 없는 경우에는 수집된 대표 영상이 특정 채널의 내용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채널 선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채널 정보 표시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제1 튜너를 통해 방송을 시청함과 동시에 제2 튜너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채널을 검색하여 채널별 실시간에 가까운 대표 영상을 사용자에 제공함으로써 채널 선택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장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튜너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튜너와, 상기 제1 튜너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추출하는 복수의 제2 튜너 및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표시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은, 복수의 튜너를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 기 복수의 튜너 중 제1 튜너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튜너를 제외한 복수의 제2 튜너는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제1 튜너를 통해 방송을 시청함과 동시에 제2 튜너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채널을 검색하여 채널별 실시간에 가까운 대표 영상을 사용자에 제공함으로써 채널 선택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사용자가 다수의 채널 정보를 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원하는 채널을 검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채널에 대한 비디오 스트림 형태의 대표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채널의 방송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 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장치(1)는, 제1 튜너(110), 복수의 제2 튜너(210), 채널 정보 추출부(220), 대표 영상 추 출부(230) 및 화면 표시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는 송신단에서 보내는 RF(Radio Frequency) 신호들로부터 특정 주파수 대역을 선택하여 주파수 신호를 추출함으로써, 원하는 방송 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튜너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튜너(110)와 제1 튜너(110)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방송 신호(10)로부터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추출하는 복수의 제2 튜너(2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제1 튜너(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해당 채널의 방송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튜너(110)는 1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장치(1)는 제1 튜너(110)에 의해 선택된 채널을 시청할 수 있도록 제1 튜너(110)에 의해 선택된 채널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Demodulation)하여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추출하는 복조부(Demodulator)(120), 복조부로부터 전달 받은 전송 스트림 내에 패킷 단위로 다중화(Muxing, Multiplexing)된 오디오, 비디오, 부가 정보 등의 데이터를 각각 분리하는 역다중화부(Demuxer, Demultiplexer)(130) 및 역다중화부에서 분리된 기본 스트림(Element Stream)을 디코딩하는 디코더(Decoder)(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신호(10)로부터 특정 채널에 대한 방송 데이터를 추출하여 재생하는 방법은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튜너(210)는 방송 신호(10)로부터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추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튜너(210)에서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추출하는 과정은 제1 튜너(11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여 방송하는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한편, 복수의 제2 튜너(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튜너(210)의 개수는 전체 채널의 개수, 대표 영상 추출부(230)로부터 추출되는 대표 영상의 재생 시간, 각 채널의 전환 시간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는 제2 튜너(210)가 1 개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채널 정보 추출부(220)는 방송 신호(10)에 특정 채널의 채널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하여 방송 신호(10)에 특정 채널의 채널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특정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를 추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대표 영상 추출부(230)는 방송 신호(10)에 특정 채널의 채널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특정 채널에 대한 대표 영상을 추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대표 영상 추출부(230)는 제1 튜너(1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튜너(210)에서 검색하는 채널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전송 스트림을 추출하는 복조부, 복조기로부터 전달 받은 전송 스트림 내에 패킷 단위로 다중화된 오디오, 비디오, 부가 정보 등의 데이터를 각각 분리하는 역다중화부 및 역다중화부에서 분리된 기본 스트림을 디코딩하는 디코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자세히 후술한다.
저장부(240)는 채널로부터 추출한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튜너(210)가 복수개 구비된 경우, 복수의 제2 튜너(210)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저장부(240)를 구비할 수도 있고, 복수의 제2 튜너(210)에 대해 하나의 저장부(240)만을 구비할 수도 있다. 또는, 복수의 제2 튜너(210)를 다수의 그룹 단위로 나눈 후, 그룹 단위 각각에 대하여 저장부(24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저장부(240)는 하드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CF 카드(Compact Flash Card), SD 카드(Secure Digital Card), SM 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개인 폰트 생성 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화면 표시부(3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방송을 재생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화면 표시부(300)는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모자이크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모자이크 화면은 다수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바둑판 형태의 모자이크로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의미한다.
또한, 화면 표시부(300)는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다중 PIP(Multiple Picture In Picture)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다중 PIP 화 면은 화면 표시부(300) 내에서 하나의 채널은 메인 화면에 실시간으로 보여주고 나머지 채널들은 작은 서브 화면으로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을 의미한다.
한편, 화면 표시부(300)로 음극선관(CRT, Cathode Ray Tube), 액정 화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 Plasma Display Pane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00)는 채널 선택, 채널 정보 표시 요청 등 사용자의 입력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00)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은 화면 표시부(300)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 패널(Touch Screen Panel)을 이용할 수도 있고, 리모콘, 마우스 등 외부 입력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400)는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장치(1)는 제1 튜너(110), 복수의 제2 튜너(210), 채널 정보 추출부(220), 대표 영상 추출부(230), 저장부(240) 및 화면 표시부(300)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장치의 각 모듈을 이용한 채널 정보 표시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장치를 이용한 채널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여기서는, 방송 신호(10)에 포함된 전체 채널의 수를 N 개, 제1 튜너(110) 및 제2 튜너(210)는 각각 1 개가 구비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튜너(110)와 제2 튜너(210)를 통해 방송 신호(10)를 수신하게 되고(S501), 사용자는 이 중 제1 튜너(110)를 통해 자신이 선택한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S510). 이를 위해, 제1 튜너(110)는 방송 신호(10)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511). 그리고, 화면 표시부(30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을 표시하게 된다(S512). 이 때, 복조부(120)에서 제1 튜너(110)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전송 스트림을 추출하고, 역다중화부(130)에서 복조부로부터 전달 받은 전송 스트림 내에 패킷 단위로 다중화된 오디오, 비디오, 부가 정보 등의 데이터를 각각 분리하며, 디코더(140)에서 역다중화부(130)에서 분리된 기본 스트림을 디코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방송을 재생할 수 있다. 이렇게 재생되는 방송은 사용자로부터 채널 정보 표시 요청이 있을 때까지 계속될 수 있다(S513의 아니오).
한편, 제1 튜너(110)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여 방송하는 동안(S510), 제2 튜너(210)에서는 방송 신호(10)에 포함된 전체 채널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채널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S520).
이를 위해, 제2 튜너(210)는 먼저 채널 1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S521 및 S522), 수신된 방송 신호(10)에 채널 1에 대한 채널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S523). 판단 결과, 방송 신호(10)에 채널 1의 채널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S523의 예), 채널 정보 추출부(220)는 채널 1에 대한 채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S524). 그리고, 대표 영상 추출부(230)에서는 채널 1에 대한 대표 영상을 추출할 수 있다(S525).
도 3은 채널 정보 추출부에서 특정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를 추출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는 채널 번호, 채널명, 방송명, 방송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도 4는 대표 영상 추출부에서 특정 채널에 대한 대표 영상을 추출하는 과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장치(1)는 특정 채널에 대한 대표 영상으로서 동영상 포맷인 비디오 스트림(Video Stream) 또는 비디오 클립(Video Clip)(이하, 비디오 스트림이라고 한다.)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채널에 대한 대표 영상으로서 방송의 정지 화상을 캡쳐하여 보여 주는 것보다 사용자가 해당 채널의 방송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먼저, 대표 영상 추출부(230)는 수신된 신호를 복조하여 전송 스트림을 추출하고(S601), 추출된 전송 스트림을 역다중화하여 특정 채널에 해당하는 비디오 스트림을 추출할 수 있다(S602). 그리고, 추출된 비디오 스트림의 일정 시간 분량을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S603).
여기서, 비디오 스트림의 저장 시간은 전체 채널에 대한 검색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는데, 전체 채널에 대한 검색 시간은 다음과 같은 [수학식 1]에 의 해 결정될 수 있다.
전체 채널 검색 시간 = 전체 채널 개수 × (각 비디오 스트림 저장 시간 + 채널 전환 시간)
[수학식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디오 스트림의 저장 시간이 길어지면 사용자는 해당 채널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반면, 전체 채널의 검색 시간이 늘어나 검색 속도가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비디오 스트림의 저장 시간은 전체 채널의 개수(N), 채널 전환 시간 및 전체 채널 검색 시간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채널 정보 추출부(220)와 대표 영상 추출부(230)에서 채널 n에 대한 채널 정보와 대표 영상을 추출한 후, 추출한 채널 정보와 대표 영상을 저장부(240)에 저장할 수 있다(S526).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의 추출이 끝난 후, 저장부(240)에 각각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의 추출이 끝난 후, 저장부(240)에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240)의 개수 역시 변경 가능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마지막으로, 방송 신호(10) 내에 모든 채널에 대하여 채널 정보 검색이 완료되었는지 판단하여(S527), 모든 채널에 대한 검색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S527의 예) 다음 채널에 대한 검색을 수행하고(S528), 모든 채널에 대한 검색을 완료한 경우에는, 다시 채널 1부터 검색을 수행하여(S521) 전체 채널에 대한 검색을 반복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장치에서 제1 튜너와 제2 튜너의 작동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튜너(110)를 통해서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6의 방송을 시청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제2 튜너(210)는 백그라운드에서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전체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n에 대한 검색 시간은 채널 n의 신호를 수신하여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추출하고 이를 저장부(240)에 저장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도 2의 단계 S522부터 단계 S526). 다만, 채널 n의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채널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에 걸리는 시간은 무시할 수 있으므로, 실제로 채널 n에 대한 검색 시간은 채널 n에 대한 비디오 스트림을 추출하는데 걸리는 시간(즉, 비디오 스트림의 저장 시간)과 다음 채널로 전환하는 데 걸리는 시간만을 고려할 수 있다. 이는 [수학식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5에서는 제2 튜너(210)가 1 개인 경우만 설명하고 있으나, 제2 튜너(210)를 2 개 이상 사용하여 전체 채널을 검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X 개의 제2 튜너(210)를 이용하여 N 개의 전체 채널을 검색한다고 가정하면, N 개의 채널을 적절한 개수로 묶어 X 개로 그룹화하여 그룹 단위로 채널을 검색할 수 있다. 즉, 3 개의 제2 튜너(210)가 30 개의 전체 채널을 검색한다고 할 때에, 첫번째 제2 튜너(210)는 채널 1 ~ 10을, 두번째 제2 튜너(210)는 채널 11 ~ 20을, 세번째 제2 튜너(210)는 채널 21 ~ 30을 검색할 수 있다. 전체 채널을 복수의 제2 튜너(210)를 이용하여 전체 채널을 검색하는 방법은 이에 국한되지 않으며, 당업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을 시청하는 도중 사용자로부터 채널 정보를 표시하라는 요청이 있는 경우(S513의 예), 제2 튜너(210)에서 검색한 전체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와 대표 영상을 화면 표시부(3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514). 이 때에는 기존에 사용자가 선택했던 채널의 영상의 재생을 중지하고, 전체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화면 표시부(3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도 6은 화면 표시부에서 전체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화면 표시부(300)는 저장부(240)에서 추출된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때, 전체 채널을 화면 표시부(30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도 6에서와 같이 화면 표시부(300)를 바둑판 형태의 모자이크로 나누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각각의 채널은 해당하는 대표 영상과 함께 대표 영상이 추출된 시각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화면 표시부(300)에는 현재 시각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시각과 대표 영상이 추출된 시각을 비교하여 어느 정도의 시간 차이가 있는지 쉽게 알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화면 표시부(300)에는 각 채널의 채널 정보가 표시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채널에 대한 대표 영 상으로 비디오 스트림의 동영상 포맷을 사용하므로, 화면 표시부(300)에 전체 채널 각각에 대하여 비디오 스트림이 재생될 수 있다. 이 때, 재생되는 채널별 비디오 스트림은 비록 현재 방송되고 있는 실시간 영상은 아닐지라도, 가장 이전의 영상이라 하더라도 사용자의 채널 정보 표시 요청 시각으로부터 전체 채널 검색 시간 정도 이전의 영상이므로 사용자가 채널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될 수 있다.
도 7은 화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의 추출 시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어, 전체 채널의 개수를 28 개, 채널 n에 대한 비디오 스트림을 추출하는데 걸리는 시간(즉, 비디오 스트림의 저장 시간)을 4 초, 채널 n에서 다음 채널로 전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2 초라고 하면, 하나의 채널 n에 대한 검색 시간은 6 초이고, 전체 채널 검색 시간은 168초(즉, 2분 48초)이다.
만약, 제2 튜너(210)에서 전체 채널에 대해 검색을 하여 채널 28에 대해 검색을 완료한 시각을 오전 11시 12분 54초이고, 사용자가 채널 정보 표시를 요청한 시각을 오전 11시 13분 15초라고 가정하면, 사용자가 채널 정보 표시를 요청한 순간에는 채널 2까지 검색하여 오전 11시 13분 06초부터 오전 11시 13분 12초까지의 비디오 스트림을 저장한 상태이다.
따라서, 화면 표시부(300)에는 채널 1과 채널 2는 현재의 전체 채널 검색 과정에서 추출한 비디오 스트림을, 채널 3 내지 채널 28은 이전의 전체 채널 검색 과정에서 추출한 비디오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채널 정보 표시 요청을 한 시각(오전 11시 13분 15초)으로부터 가장 먼 시각의 대표 영상은 오전 11시 10분 24초에 추출된 채널 3의 대표 영상으로서, 사용자가 채널 정보 표시 요청을 한 시각으로부터 전체 채널 검색 시간(2분 48초) 정도 이전에 추출된 영상임을 알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400)를 통해 시청하고자 하는 채널의 대표 영상을 지정하게 되면 지정한 대표 영상에 해당하는 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S515). 그리고, 제1 튜너(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에 대한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채널의 방송을 화면 표시부(300)에 재생할 수 있다(S511 및 S512). 그리고, 제2 튜너(210)는 백그라운드에서 지속적으로 반복하여 전체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 검색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장치의 경우, 제2 튜너에서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추출하는 과정이 제1 튜너가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에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튜너를 통해 방송을 시청함과 동시에 제2 튜너를 사용하여 지속적으로 채널을 검색하여 채널별 실시간에 가까운 대표 영상을 사용자에 제공함으로써 채널 선택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다수의 채널 정보를 한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원하는 채널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채널에 대한 비디오 스트림 형태의 대표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채널의 방송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장치(1)는 디지털 TV, 디지털 셋톱 박스(Digital Set-top Box) 등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 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장치를 이용한 채널 정보 표시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채널 정보 추출부에서 특정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를 추출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대표 영상 추출부에서 특정 채널에 대한 대표 영상을 추출하는 과정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장치에서 제1 튜너와 제2 튜너의 작동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화면 표시부에서 전체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화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의 추출 시간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채널 정보 표시 장치 110: 제1 튜너
210: 제2 튜너 220: 채널 정보 추출부
230: 대표 영상 추출부 240: 저장부
300: 화면 표시부 400: 사용자 입력부

Claims (20)

  1.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튜너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튜너;
    상기 제1 튜너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신호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추출하는 복수의 제2 튜너; 및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화면 표시부는 현재 시각과 함께 상기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추출한 시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에 특정 채널의 채널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하여 상기 방송 신호에 상기 특정 채널의 채널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특정 채널에 대한 채널 정보를 추출하는 채널 정보 추출부;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방송 신호에 상기 특정 채널의 채널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특정 채널에 대한 대표 영상을 추출하는 대표 영상 추출부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튜너는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모든 채널에 대하여 상기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추출하는 과정을 백그라운드에서 지속적으로 반복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영상 추출부는 상기 특정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 프레임의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역다중화(Demultiplexing)하고, 상기 역다중화된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비디오 스트림을 추출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영상 추출부는 상기 추출된 비디오 스트림을 저장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정보는 채널 번호, 채널명, 방송명 또는 방송 시간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부는 상기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모자이크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부는 상기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다중 PIP(Multiple Picture In Picture)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장치.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표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된 채널별 채널 정보 중 특정 채널 정보를 선택한 경우, 상기 제1 튜너는 상기 특정 채널 정보에 해당하는 채널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장치.
  11. 복수의 튜너를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튜너 중 제1 튜너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의 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튜너를 제외한 복수의 제2 튜너는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는, 현재 시각과 함께 상기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추출한 시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신호에 특정 채널의 채널 정보가 포함되었는지 판단하는 (a)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방송 신호에 상기 특정 채널의 채널 정보가 포함된 경우에는 상기 특정 채널에 대한 대표 영상을 추출하는 (b) 단계; 및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모든 채널에 대하여 상기 (a) 단계 및 (b) 단계를 반복하는 (c)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에 포함된 모든 채널에 대하여 상기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을 추출하는 과정은 백그라운드에서 지속적으로 반복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영상을 추출하는 (b) 단계는,
    상기 특정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영상 프레임의 전송 스트림(Transport Stream)을 역다중화(Demultiplexing)하는 단계; 및
    상기 역다중화된 전송 스트림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만큼 비디오 스트림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 영상을 추출하는 (b) 단계는,
    상기 추출된 비디오 스트림을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정보는 채널 번호, 채널명, 방송명 또는 방송 시간을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은 모자이크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별 채널 정보 및 대표 영상은 다중 PIP(Multiple Picture In Picture) 화면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19. 삭제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채널별 채널 정보 중 특정 채널 정보를 선택한 경우, 상기 제1 튜너는 상기 특정 채널 정보에 해당하는 채널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KR1020080013063A 2008-02-13 2008-02-13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458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063A KR101458030B1 (ko) 2008-02-13 2008-02-13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US12/338,231 US8572652B2 (en) 2008-02-13 2008-12-18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channel information i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063A KR101458030B1 (ko) 2008-02-13 2008-02-13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672A KR20090087672A (ko) 2009-08-18
KR101458030B1 true KR101458030B1 (ko) 2014-11-04

Family

ID=40940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3063A KR101458030B1 (ko) 2008-02-13 2008-02-13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72652B2 (ko)
KR (1) KR1014580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7258B2 (en) * 2009-08-19 2013-03-12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image display apparatus
KR102084630B1 (ko) * 2012-07-26 2020-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질문 메시지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정보 공유 방법 및 모바일 기기
KR20140132986A (ko) * 2013-05-09 2014-11-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및 방송수신장치의 제어방법
US10349093B2 (en) * 2014-03-10 2019-07-09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deriving timeline metadata for video content
KR102240641B1 (ko) * 2014-07-03 2021-04-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270360B1 (ko) * 2014-10-02 2021-06-3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6095994A1 (en) * 2014-12-17 2016-06-23 Arcelik Anonim Sirketi System for simultaneous viewing and scanning of separate access contents in an image display device
KR20160104493A (ko) * 2015-02-26 2016-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432987B2 (en) 2017-09-15 2019-10-01 Cisco Technology, Inc. Virtualized and automated real time video production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808B1 (ko) 2003-05-16 200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수신장치 및그 제어방법
KR20060015075A (ko) * 2004-08-13 2006-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타 채널의 비디오 정보 검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06628A (en) * 1988-06-14 1996-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nu-type multi-channel system having a page up/down mode feature
US5398074A (en) * 1992-11-24 1995-03-14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Programmable picture-outside-picture display
US5559550A (en) * 1995-03-01 1996-09-24 Gemstar Development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for synchronizing a clock to a network clock
JP3572595B2 (ja) * 1995-07-21 2004-10-06 ソニー株式会社 電子番組ガイド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
US6118493A (en) * 1997-04-01 2000-09-12 At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 channel from a multiple channel display
WO1998056176A1 (en) * 1997-06-03 1998-12-1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Navigating through television programs
TW456148B (en) * 1998-06-16 2001-09-2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with simultaneous watch and record capabilities
CN1867068A (zh) * 1998-07-14 2006-11-22 联合视频制品公司 交互式电视节目导视系统及其方法
CN1181685C (zh) * 1998-07-20 2004-12-22 卡纳尔股份有限公司 多信道数字电视系统及浏览方法
US6522347B1 (en) * 2000-01-18 2003-02-18 Seiko Epson Corporation Display apparatus,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nd electronic apparatus
US7373650B1 (en) * 2000-02-01 2008-05-13 Scientific-Atlanta, Inc. Apparatuses and methods to enable the simultaneous viewing of multiple television channels and electronic program guide content
US6804824B1 (en) * 2000-06-30 2004-10-12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using multiple tuners
US20060064716A1 (en) * 2000-07-24 2006-03-23 Vivcom, Inc. Techniques for navigating multiple video streams
US6714264B1 (en) * 2000-08-31 2004-03-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television channel surfing system
JP2003169263A (ja) 2001-11-30 2003-06-13 Toshiba Corp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3851217B2 (ja) * 2002-05-09 2006-11-29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000454B2 (ja) * 2002-05-13 2007-10-31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JP2004166044A (ja) 2002-11-14 2004-06-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選局システム
KR20040044208A (ko) * 2002-11-19 2004-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젼 시스템에서 디지털 데이터 방송 표시 방법
JP2006050047A (ja) * 2004-08-02 2006-02-16 Hitachi Ltd 放送番組出力制御装置及び方法
KR100617790B1 (ko) * 2004-12-27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채널정보 표시 단말기 및 방법
TW200704183A (en) * 2005-01-27 2007-01-16 Matrix Tv Dynamic mosaic extended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for television program selection and display
JP4778253B2 (ja) * 2005-03-29 2011-09-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コンテンツ情報表示装置
US20060268330A1 (en) * 2005-05-10 2006-11-30 Tetsuhiro Takanezawa Image reproduction apparatus and image reproduction method
KR100752853B1 (ko) 2005-06-20 2007-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방법
US8056099B2 (en) * 2005-09-08 2011-11-08 The Directv Group, Inc. Mosaic channel video stream with interactive services
US7818766B2 (en) * 2005-09-30 2010-10-19 Microsoft Corporation Last channel button functionality
KR100818401B1 (ko) 2006-01-16 2008-04-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녹화물 재생 방법
US8332889B2 (en) * 2006-02-10 2012-12-11 Cox Communications, Inc. Generating a personalized video mosaic in a cable services network
JP4865355B2 (ja) * 2006-02-21 2012-02-01 キヤノン株式会社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装置の制御方法
JP4137952B2 (ja) * 2006-05-01 2008-08-20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装置
WO2008149647A1 (ja) * 2007-05-30 2008-12-11 Sony Corporation 放送受信装置および再生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8808B1 (ko) 2003-05-16 2005-10-06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디지털 방송수신장치 및그 제어방법
KR20060015075A (ko) * 2004-08-13 2006-0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타 채널의 비디오 정보 검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672A (ko) 2009-08-18
US20090205009A1 (en) 2009-08-13
US8572652B2 (en) 2013-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8030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0714702B1 (ko) 수신된 방송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US200902657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nnel selection in a digital broadcast reception terminal
JPWO2009098775A1 (ja) 受信装置、受信方法及び受信プログラム
JP5169198B2 (ja) 放送受信装置
US20080163296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1422010B1 (ko) 방송 수신기 및 방송 프로그램 검색 방법
JP4783604B2 (ja) 放送受信装置
KR101377940B1 (ko) 수신기 및 이 수신기에서 데이터 방송을 시청하는 방법
KR100971097B1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의 방송 서비스 전환방법
JP2006237957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60105344A (ko) 2튜너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다분할 화면 epg 구현방법
WO2010100829A1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
KR100743757B1 (ko) 영상표시기기의 채널 편집장치 및 방법
JP2005204009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及びテレビジョン受信方法
KR19990032224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JP2001136458A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20060106221A (ko) 디지털 텔레비젼의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KR20100073344A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070064810A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방송 채널 튜닝 방법
KR100706463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장치
KR101942541B1 (ko)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영상 표시 기기
KR20100122306A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채널 검색 방법
JP2008147708A (ja) 複数の放送ネットワークで異なる放送番組の提示装置
KR20050046986A (ko) 2 튜너를 구비한 방송 수신 장치의 장르별 채널 검색 장치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