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0584B1 -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0584B1
KR101450584B1 KR1020070017692A KR20070017692A KR101450584B1 KR 101450584 B1 KR101450584 B1 KR 101450584B1 KR 1020070017692 A KR1020070017692 A KR 1020070017692A KR 20070017692 A KR20070017692 A KR 20070017692A KR 101450584 B1 KR101450584 B1 KR 101450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window
windows
contents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7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8108A (ko
Inventor
진상훈
이수열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7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0584B1/ko
Priority to US12/070,877 priority patent/US8633900B2/en
Publication of KR200800781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108A/ko
Priority to US14/160,286 priority patent/US1061371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0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0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02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 G06F12/08Addressing or allocation; Relocation in hierarchically structured memory systems, e.g. virtual memory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4Navigation, e.g. using categorised brow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6Digital input from, or digital output to, record carriers, e.g. RAID, emulated record carriers or networked record carriers
    • G06F3/0601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 G06F3/0602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torage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062Securing storage systems
    • G06F3/0623Securing storage systems in relation to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15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with means for detecting differences between the image stored in the host and the images displayed on the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동일 계층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컨텐츠를 가지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으로서, 컨텐츠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의 창을 표시하는 과정과, 다른 컨텐츠 표시 요구 시 선택된 컨텐츠와 동일 계층의 컨텐츠 창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과, 컨텐츠 창들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컨텐츠 창의 이동 요구 시 컨텐츠 창들을 이동시켜 표시 배열을 변경한 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층적 구조를 갖는 컨텐츠 선택 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일 계층의 컨텐츠들이 한 화면에 표시되고,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 실행 중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들이 한 화면에 표시된다. 따라서, 다른 컨텐츠나 응용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표시, 컨텐츠, 응용 프로그램, 계층, 적층

Description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METHOD FOR DISPLAYING SCREEN I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및 응용 프로그램 표시를 위한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컨텐츠 창 표시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컨텐츠의 계층적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일반적인 컨텐츠 창 표시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컨텐츠 창 표시를 위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컨텐츠 창의 표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컨텐츠 창의 다른 표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컨텐츠 창의 이 동 형태와 이동을 위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복수 개의 컨텐츠 창의 이동 형태와 이동을 위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컨텐츠 창의 창 화면 이동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창 표시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은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계층적 구조를 갖는 컨텐츠 선택 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일 계층의 컨텐츠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거나,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 실행 중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MP3플레이어, PDA, PMP, 디지털카메라, 노트북과 같은 단말들에는 LCD와 같은 화면이 구비되고, 단말은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게 다양한 컨텐츠 화면을 제공한다. 사용자는 화면을 보고 터치 패드나 키 버튼 등을 조작하여 원하는 기능을 선택하여 실행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단말의 컨텐츠 화면에서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손쉽게 선택할 수 있도 록 다양한 컨텐츠가 구분된다. 그리고 상위 컨텐츠에 종속되는 하위 컨텐츠는 상위 컨텐츠에서 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컨텐츠들은 계층적 구조를 갖는다.
종래에는 계층적인 컨텐츠 구조에서 사용자가 어떤 하나의 컨텐츠를 선택하여 실행 중에 다른 컨텐츠를 선택하려면, 실행 중인 컨텐츠의 상위 계층으로 빠져나가 원하는 컨텐츠를 단계적으로 선택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단말에는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구비된다. 예컨대, 전화번호부, 메모장, 계산기, 스케줄러, 리모컨 등의 응용 프로그램들이 구비된다. 사용자는 단말에서 여러 가지 응용 프로그램들을 동시에 실행시키고, 각 프로그램들을 이동해가면서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에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어 활성화된 응용 프로그램 창이 화면에 나타나고, 나머지 응용 프로그램들은 비활성화된 상태로서, 화면에 표시되지 않는다. 이 때, 사용자가 다른 응용 프로그램으로 이동을 하고자 하면, 활성화된 프로그램 창을 닫거나 축소시키고, 이동을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이동을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이 실행중인 모든 응용 프로그램들 중에서 최말단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사용자는 활성화된 창의 말단에 위치한 모든 창들을 닫거나 축소시켜,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 창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 간 이동이 용이한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 계층의 컨텐츠가 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응용 프로그램 간 이동이 용이한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행 중인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이 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동일 계층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컨텐츠를 가지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으로서,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창을 표시하는 제1 과정과, 다른 컨텐츠 표시 요구 시,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동일 계층의 컨텐츠 창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컨텐츠 창들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컨텐츠 창의 이동 요구 시, 상기 컨텐츠 창들을 이동시켜 표시 배열을 변경한 후, 한 화면에 표시하는 제3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발명은 적어도 두 개의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동일 계층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컨텐츠를 가지며, 동작 센서와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으로서, 컨텐츠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창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상기 동작 센서에 따른 동작 인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이 인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와 동일 계층의 컨텐츠 창들을 한 화면에 적층 형태로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동작으로 상기 컨텐츠 창들을 이동시켜 표시 배열을 변경한 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발명은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으로서,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 실행 중에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선택되면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표시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실행 중인 다른 응용 프로그램들 표시 요구 시 상기 응용 프로그램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표시하는 상태에서 응용 프로그램 창의 이동 요구 시 상기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이동시켜 표시 배열을 변경한 후 한 화면에 표시하는 제3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단,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컨텐츠(contents)"는 음악, 사진, 동영상, 게임 등의 멀티 미디어 데이터들과 문서 및 데이터 파일 등을 의미한다. 그리고 컨텐츠는 다양한 컨텐츠들을 구분하여 주는 항목, 예컨대 카테고리(category) 정보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컨텐츠는 단말의 표시부에 창으로서 표시된다. 그리고 "리스트"는 창으로 표시되는 컨텐츠의 정보를 의미한다. 여기서, 컨텐츠 정보는 문자, 이미지, 숫자, 기호 등으로 표시되고, 컨텐츠의 이름, 컨텐츠 관련 이미지 , 카테고리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컨텐츠인 경우, 가수 이름, 곡 명, 앨범 자켓 이미지 등이 리스트로 표시된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은 프로그램 중에서 특정한 업무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진 프로그램으로서, 단말에 구비된 다양한 기능들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모장, 계산기, 스케줄러, 리모컨 등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상 및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단말을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은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 단말, 이동 전화기, 유/무선 전화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폰(Smart Phone), 오디오 기기, MP3 플레이어, 노트북(Notebook) 및 퍼스널 컴퓨터(Personal Computer) 등과 같은 모든 정보 통신 기기 및 멀티 미디어 기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및 응용 프로그램 표시를 위한 단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단말은 메모리부(101), 3D/2D 드라이버(103), 입력부(105), 제어부(107), 표시부(109)의 구성을 갖는다.
메모리부(101)는 프로그램 메모리, 데이터 메모리들로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부(101)는 본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의 계층적 구조를 포함한다. 그리고 메모리부(101)는 사용자로부터 다른 컨텐츠 표시가 요구되면, 현재 표시되고 있던 컨텐츠와 동일 계층의 컨텐츠들을 겹쳐진 적층형태, 오버랩(over lab) 적층 형태, 바둑판 형태, 부채꼴 형태 등으로 배열하여 임시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101)는 단말에 내/외장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메모리부(101)는 단말과의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예컨대 컨텐츠 서버일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단말은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송수신부를 더 구비해야 한다.
3D/2D 드라이버(103)는 표시부(109)를 통해 표시되는 정보, 예컨대 컨텐츠들이 3차원(3 Dimension) 또는 2차원(2 Dimension)으로 보여지도록 한다. 사람들의 눈은 가로 방향으로 약 65mm 떨어져서 존재하는데, 이로 인해 나타나게 되는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는 입체감의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즉, 좌우의 눈은 각각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게 되고, 이 두 영상이 망막을 통해 뇌로 전달되며, 뇌는 이를 정확히 서로 융합하여 본래 3차원 입체 영상의 깊이감(Depth impression)과 실제감을 재생한다. 이와 같은 원리로, 3D/2D 드라이버(103)는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영상을 입체적으로 재생하는 역할을 한다.
입력부(105)는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의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입력부(105)는 본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검색 및 선택 기능, 동일 계층의 다른 컨텐츠들 표시 요구, 창 이동 요구, 복수 개의 창 이동 요구, 스크롤 입력 등의 조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표시부(109)가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인 경우 에 표시부(109)가 입력부(105)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부(105)는 다수의 키 버튼들을 구비한 키패드(key pad), 사용자의 접촉을 입력 신호로 변환하는 터치 패널(touch panel), 광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 회전 다이얼 형태의 조그 다이얼(jog dial), 사용자의 접촉과 접촉 회전을 입력 신호로 변환하는 터치 휠(touch wheel), 사용자의 회전 동작을 입력 신호로 변환하는 스크롤 휠(scroll wheel), 혹은 이와 동등한 수준의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07)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107)는 본 실시예에 따라 컨텐츠 표시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07)는 특정 컨텐츠를 표시 중에 다른 컨텐츠 표시가 요구되면, 표시 중이던 컨텐츠와 동일 계층의 컨텐츠들을 겹쳐진 적층형태, 오버랩 적층 형태, 바둑판 형태, 부채꼴 형태 등으로 표시부(109)에 표시한다. 여기서, 제어부(107)는 표시부(109)에 복수 개의 창들을 표시할 때, 하나의 창을 표시할 때보다 크기를 축소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최선단에 표시되는 창을 제외한 창들에서 일부 정보를 생략하여 표시한다. 즉, 리스트의 번호와 같은 정보를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동일 계층의 컨텐츠 창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창 간 이동, 또는 복수 개의 창들 간 이동이 요구되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창들을 변경시킨다. 또한, 제어부(107)는 동일 계층의 컨텐츠 창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스크롤 입력이 확인되면, 설정된 형태에 따라 선택된 창의 창 화면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설정된 형태는 최선단에 표시된 창 화면을 이동시키거나, 표시부(109)에 표시되는 모든 창들의 창 화면을 이동시키는 형태이다.
또한, 제어부(107)는 입력부(105)의 동작으로서, 단말에 동작 센서가 구비된 경우, 사용자가 단말을 위아래로 흔드는 동작, 또는 표시부(109)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표시부(109) 하단을 드래그(drag), 또는 단말에 터치 휠이나 스크롤 휠이 구비된 경우, 휠의 가운데 부분을 누르는 동작이 수행되면, 다른 컨텐츠의 표시 요구로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07)가 다른 컨텐츠의 표시 요구 동작으로 인지하는 입력부(105)의 동작이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다른 컨텐츠 표시 요구 시, 비활성화 컨텐츠 창들의 일부 리스트를 생략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한정된 표시부(109) 내에서 복수 개의 컨텐츠 창을 용이하게 표시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입력부(105)의 동작으로서, 단말을 지면에 수직한 상태에서 기울이는 동작이나, 표시부(109)에서 최선단의 창을 터치하거나, 휠을 짧게 회전시키는 동작이 수행되면, 창 간 이동 요구로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07)가 창 간 이동 요구 동작으로 인지하는 입력부(105)의 동작이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어부(107)는 입력부(105)의 동작으로서, 단말을 지면에 수평한 상태에서 기울이는 동작이나, 표시부(109)에서 최선단 창에서 최말단 창까지 드래그하거나, 휠을 길게 회전시키는 동작이 수행되면, 복수 개의 창 간 이동 요구로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07)가 복수 개의 창 간 이동 요구 동작으로 인지하는 입력부(105)의 동작이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어부(107)는 입력부(105)의 동작으로서, 터치 스크린에 표시된 스크롤 키를 터치와 같은 형태로 이동시킴으로써, 표시부(109)의 최선단에 표시된 컨텐츠 창이나 모든 컨텐츠 창의 창 화면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07)가 스크롤 입력으로 인지하는 입력부(105)의 동작이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부(109)는 제어부(107)에서 제어하여 출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표시부(109)는 LCD를 사용할 수 있고, 이런 경우 표시부(109)는 LCD 제어부, LCD 표시 소자 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LCD를 터치 스크린 방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표시부(109)는 입력부로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09)는 본 실시예에 따라 특정 컨텐츠가 선택되면, 컨텐츠와 함께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한다. 표시부(109)에 표시되는 컨텐츠는 음악, 사진, 동영상, 게임, 문서, 데이터 파일 등이다. 그리고 컨텐츠 리스트는 그 컨텐츠에 대한 정보로서, 문서, 이미지, 숫자, 기호, 카테고리 정보 등을 의미한다.
또한, 표시부(109)는 특정 컨텐츠 표시 중에 사용자로부터 다른 컨텐츠 표시 요구가 있으면, 다른 컨텐츠들을 전술한 방법으로 배열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창 간 이동이나 복수 개의 창 간 이동 요구가 있으면, 설정된 형태에 따라 컨텐츠 창들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또한, 스크롤 입력이 있으면, 설정된 형태에 따라 컨텐츠 창 화면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부(109)는 최선단에 표시되는 컨텐츠 창을 제외한 창들에서는 일부 정보를 생략하여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09)는 복수 개의 컨텐츠 창들 배열 시, 최선단에 위치하는 활성화 컨텐츠 창에 컨텐츠의 리스트를 표시하고, 비활성화 컨텐츠 창에 컨텐츠의 일부 리스트를 생략하여 표시한다. 즉, 표시부(109)는 비활성화 컨텐츠 창에 그 컨텐츠를 대표할 수 있는 정보, 예컨대 이미지나 카테고리 정보만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컨텐츠 창 표시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컨텐츠의 계층적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일반적인 컨텐츠 창 표시 화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7)가 특정 컨텐츠의 선택을 인지하고, 선택된 컨텐츠를 실행시킨다(S201). 본 실시예에서 예로 설명하는 단말의 컨텐츠는 음악이다. 그리고 컨텐츠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위 계층에 음악, 사진, 동영상, 게임, 문서, 데이터 파일 컨텐츠가 있고, 음악 하위 계층에 Mp3 플레이어, Mp3 파일, 내 앨범, 검색, 설정이 있고, Mp3 파일 하위 계층에 최근 재생 목록, 전체 목록, 가수, 앨범, 장르, 발매 연도가 있고, 가수 하위 계층에 AAA, BBB, CCC, DDD, EEE, FFF, GGG, HHH라는 가수로 구성된다. 즉, 3 계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각 계층에는 5 내지 8 개의 목록이 존재한다. 이러한 경우에, AAA 가수를 선택하여, AAA 가수의 음악 목록을 표시한 화면이 도 4에 도시된다. 즉, 제어부는 AAA 가수가 선택됨을 인지하고, AAA 가수에 대한 리스트를 표시 부(109)에 표시한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창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S203). 제어부(107)는 전술한 S201 과정으로 특정 컨텐츠를 창으로 표시 중에, 다른 컨텐츠들의 표시 요구 여부를 확인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컨텐츠 창 표시를 위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창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에 동작 센서가 구비된 경우, 제어부(107)가 단말이 위아래로 흔들리는 동작을 확인하고, 이 동작을 다른 컨텐츠 표시 요구로 인지할 수 있다.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9)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제어부(107)가 표시부(109) 하단을 드래그하는 동작을 확인하여, 다른 컨텐츠 표시 요구로 인지할 수 있다. 또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에 터치 휠이나 스크롤 휠이 구비된 경우, 제어부(107)가 휠의 가운데 부분을 누르는 동작을 확인하여, 다른 컨텐츠의 표시 요구임을 인지할 수 있다.
창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면, 제어부(107)는 설정된 형태에 따라 동일 계층의 컨텐츠 창들을 표시한다(S205).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컨텐츠 창의 표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7a 내지 도 7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컨텐츠 창의 다른 표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표시되는 컨텐츠가 음악인 경우, 제어부(107) 는 복수 개의 컨텐츠 창에 컨텐츠의 리스트, 예컨대 카테고리 정보(예를 들어, 가수 이름; AAA, BBB, CCC, DDD), 노래 목록(AAA1, AAA2, AAA3, AAA4, AAA5)을 표시한다.
제어부(107)는 전술한 S203 과정을 통해 창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 확인되면, 설정된 형태, 예컨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겹쳐진 적층 형태로 동일 계층의 컨텐츠 창들을 표시한다.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랩 적층 형태로 컨텐츠 창들을 표시한다. 도면에는 표시부(109)에 표시되는 모든 창들을 오버랩 시켜 도시하였지만,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홀수 번째 창들은 오버랩시키고, 짝수 번째 창들은 일반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둑판 형태로 컨텐츠 창들을 표시한다. 이러한 형태는 전술한 도 6a와 6b에 도시된 형태와 달리 겹쳐지는 부분이 없으므로, 컨텐츠 창들을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또는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태로 컨텐츠 창들을 표시한다. 또한, 설정된 형태에 따라 동일 계층의 컨텐츠 창들을 표시할 때, 최선단에 표시되는 창을 제외한 창들은 일부 리스트가 생략되어 표시된다.
그리고 도 7a 내지 도 7e를 참조하면, 표시되는 컨텐츠가 음악인 경우, 제어부(107)는 복수 개의 컨텐츠 창에 컨텐츠의 리스트, 예컨대 카테고리 정보, 앨범 이미지, 노래 목록을 표시한다.
제어부(107)는 전술한 S203 과정을 통해 창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이 확인되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겹쳐진 적층 형태로 동일 계층의 컨텐츠 창들을 표시한다. 또는 도 7b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랩 적층 형태로 컨텐츠 창들을 표시한다. 여기서, 도 7b는 모든 컨텐츠 창에 리스트를 포함한 형태이지만, 도 7c는 활성화된 컨텐츠 창, 예컨대 최선단의 컨텐츠 창만 리스트를 포함하는 형태이다. 또는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둑판 형태로 컨텐츠 창들을 표시한다. 또는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채꼴 형태로 컨텐츠 창들을 표시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07)는 창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S207). 제어부(107)는 전술한 S205 과정으로 복수 개의 컨텐츠 창들을 표시 중에, 창 간 이동 요구 여부를 확인한다.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컨텐츠 창의 이동 형태와 이동을 위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컨텐츠 창들이 설정된 형태, 예컨대 겹쳐진 적층 형태로 배열된 상태에서, 제어부(107)는 창 간 이동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창 간 이동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에 동작 센서가 구비된 경우, 제어부(107)가 단말이 지면에 수직한 상태에서 기울어지는 동작을 확인하고, 이 동작을 창 간 이동 요구로 인지할 수 있다. 또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9)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제어부(107)가 표시부(109)에서 이동을 원하는 창, 예컨대 최선단의 창을 터치하는 동작을 확인하고, 이 동작을 창간 이동 요구로 인지할 수 있다. 또는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에 터치 휠이나 스크롤 휠이 구비된 경우, 제어부(107)가 휠을 짧게 회전시키는 동작을 확인하여, 창 간 이동 요구로 인지할 수 있다.
창 간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면, 제어부(107)는 설정된 형태에 따라 컨텐츠 창을 이동시킨다(S209). 제어부(107)는 전술한 S207 과정을 통해 창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확인되면,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선단에 위치한 컨텐츠 창을 최말단으로 이동시키고, 최선단의 말단에 위치한 컨텐츠 창들을 선단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창 간 이동 형태는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S207 과정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복수 개의 창들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S211). 제어부(107)는 전술한 S205 과정으로 복수 개의 컨텐츠 창들을 표시 중에, 또는 전술한 S209 과정으로 창 간 이동이 수행되어 컨텐츠 창들을 표시 중에, 복수 개의 창들 간 이동 요구 여부를 확인한다.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복수 개의 컨텐츠 창의 이동 형태와 이동을 위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컨텐츠 창들이 배열된 상태에서, 제어부(107)는 복수 개의 창 간 이동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창 간 이동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에 동작 센서가 구비된 경우, 제어부(107)가 단말이 지면에 수평한 상태에서 기울어지는 동작을 확인하고, 이 동작을 복수 개의 창들 간 이동 요구로 인지할 수 있다. 또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9)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표시부(109)에서 최선단 창에서 최말단 창까지 드래그하는 동작을 확인하고, 이 동작을 복수 개의 창들간 이동 요구로 인지할 수 있다. 또는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에 터치 휠이나 스크롤 휠이 구비된 경우, 제어부(107)가 휠을 길게 회전시키는 동작을 확인하여, 복수 개의 창 간 이동 요구로 인지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창들 간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면, 제어부(107)는 설정된 형태에 따라 복수 개의 컨텐츠 창들을 이동시킨다(S213). 제어부(107)는 전술한 S211 과정을 통해 복수 개의 창들 간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이 확인되면,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부(109)에 표시되지 않고 있던 컨텐츠 창들을 표시부(109)에 표시하고, 원래 표시부(109)에 표시되고 있던 컨텐츠 창들을 표시하지 않는다.
그 후에, 제어부(107)는 스크롤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S215). 제어부(107)는 전술한 S205 과정으로 복수 개의 컨텐츠 창들을 표시 중에, 또는 전술한 S209 과정으로 창 간 이동이 수행되어 컨텐츠 창들을 표시 중에, 또는 전술한 S213 과정으로 복수 개의 창들 간 이동이 수행되어 컨텐츠 창들을 표시 중에, 스크롤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다.
도 10a와 도 10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에서 컨텐츠 창의 창 화면 이동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복수 개의 컨텐츠 창들이 배열된 상태에서, 제어부(107)는 스크롤 입력이 있는지 확인한다. 여기서, 스크롤 입력은 표시부(109)가 터치 스크린인 경우, 스크롤 키를 터치하거나, 드래그 하여 수행된다. 스크롤 입력에 따른 화면 변화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7)가 최선단에 위치하는 컨텐츠 창의 창 화면을 이동시킨다. 또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7)가 최선단에 위치하는 컨 텐츠 창의 스크롤 키만 드래그 하더라도, 표시부(109)에 표시 중인 모든 컨텐츠 창의 창 화면을 이동시킬 수도 있다. 스크롤 입력과 스크롤 입력에 따른 창 화면 이동은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종료 여부를 확인하고(S219),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종료시킨다.
한편, 전술한 S215 과정에서 스크롤 입력을 확인하지 못하면, 제어부(107)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221).
한편, 본 실시예에 창 표시 입력, 창 이동 입력, 복수 개의 창 이동 입력, 스크롤 입력 외의 다른 변형 실시된 입력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입력들의 형태와 표시 형태, 이동 형태 등이 전술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컨텐츠가 음악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텐츠가 사진이고, 촬영한 날짜별로 사진이 계층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특정 날짜의 사진 리스트를 선택하여 표시하는 중에, 동일 계층의 사진 리스트들, 즉 다른 날짜의 사진 리스트 표시가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최선단에 위치하는 활성화된 사진 리스트 창에는 각 사진을 대표하는 이미지가 소화면(thumbnail) 형태로 표시되고, 각 사진의 명칭 등이 표시된다. 그리고 비활성화 상태의 나머지 사진들은 일부 정보가 생략되거나 모든 정보가 나타나도록 적층 형태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은 계층적 구조를 갖는 컨텐츠 선 택 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일 계층의 컨텐츠들이 한 화면에 표시된다. 따라서, 다른 컨텐츠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은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창 표시 요구 시, 동일 계층의 컨텐츠 창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 실행 중에 창 표시 요구 시,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메모리부(101)는 본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들을 포함한다. 그리고 메모리부(101)는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이 실행 중이고,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선택되어 표시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다른 응용 프로그램 표시가 요구되면, 실행 중인 모든 응용 프로그램들을 겹쳐진 적층형태, 오버랩 적층 형태, 바둑판 형태, 부채꼴 형태 등으로 배열하여 임시 저장한다.
제어부(107)는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이 실행 중이고,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선택되어 표시되는 중에 창 표시 요구, 창 간 이동, 또는 복수 개의 창 간 이동이 요구되면,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창들을 변경시킨다.
표시부(109)는 본 실시예에 따라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이 선택되면 이들 을 표시하고, 활성화된 응용 프로그램 창을 표시한다. 그리고 표시부(109)는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이 실행 중이고,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선택되어 표시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다른 응용 프로그램들 표시 요구가 있으면,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들을 전술한 방법으로 배열하여 표시한다. 그리고 창 간 이동이나 복수 개의 창 간 이동 요구가 있으면, 설정된 형태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이동시켜 표시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창 표시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과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을 살펴보면, 전술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한 과정으로 진행된다.
먼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7)가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의 실행을 인지한다(S901). 사용자는 단말 이용 시, 단말에 구비된 응용 프로그램들을 필요에 따라 복수 개 실행시킬 수 있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특정 응용 프로그램의 선택을 인지하고,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S903). 제어부(107)는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 실행 중에,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을 활성화시켜 표시부(109)에 표시한다. 즉,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이 실행중이더라도, 현재 선택되어 활성화된 응용 프로그램 창이 표시부(109)에 표시된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창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S905). 제어부(107)는 전술한 S901 과정으로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 중이고, 전술한 S903 과정으로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창으로 표시 중에, 다른 응용 프로그램들의 표시 요구 여부를 확인한다. 창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창 표시를 위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면, 제어부(107)는 설정된 형태에 따라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표시한다(S907).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 창들이 표시된 형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07)는 창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S909). 제어부(107)는 전술한 S907 과정으로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표시 중에, 창 간 이동 요구 여부를 확인한다. 창 간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창 간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면, 제어부(107)는 설정된 형태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 창을 이동시킨다(S911). 전술한 S909 과정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 창이 이동되는 형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복수 개의 창들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 여부를 확인한다(S913). 제어부(107)는 전술한 S907 과정으로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표시 중에, 또는 전술한 S911 과정으로 창 간 이동이 수행되어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표시 중에, 복수 개의 창들 간 이동 요구 여부를 확인한다. 복수 개의 창들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은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복수 개의 창들 간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면, 제어부(107)는 설정된 형태에 따라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이동시킨다(S915). 전술한 S913 과정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 창들이 이동되는 형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으로 대신한다.
이어서, 제어부(107)는 종료 여부를 확인하고(S917), 본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종료시킨다.
한편, 전술한 S913 과정에서 복수 개의 창 이동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확인하지 못하면, 제어부(107)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S919).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스크롤 입력에 관한 동작은 설명하지 않았다. 그러나, 스크롤 입력 또는 그 외의 다른 변형 실시된 입력이 본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의 컨텐츠 및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중심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는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계층적 구조를 갖는 컨텐츠 선택 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동일 계층의 컨텐츠들이 한 화면에 표시되고,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 실행 중에,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들이 한 화면에 표시된다. 따 라서, 다른 컨텐츠나 응용 프로그램을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60)

  1. 적어도 두 개의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동일 계층에서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에 있어서,
    동일 계층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창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창을 표시하는 동안 멀티 창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창과 함께 동일 계층인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창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동일 계층인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창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하위 계층인 서브 컨텐츠 세트를 포함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창과 함께 동일 계층인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창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창과 함께 동일 계층인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창들을 적층 형태로 표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창과 함께 동일 계층인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창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동일 계층인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창들에 소정의 투명도를 갖도록 처리하여 적층 형태로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창과 함께 동일 계층인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창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동일 계층인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창들을 부채꼴 형태로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창과 함께 동일 계층인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창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동일 계층인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창들이 모두 보이도록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창과 함께 동일 계층인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창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은,
    동작 센서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 인식, 터치 센서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 인식, 스크롤 휠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에 의한 회전 거리 인식, 특정 키에 따른 사용자의 키 누름 인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멀티 창 표시 요청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9.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창과 함께 동일 계층인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창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은,
    비활성화 컨텐츠 창들의 일부 리스트가 생략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1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창과 함께 동일 계층인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창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은,
    최선(最先)단에 위치한 컨텐츠 창을 제외한 컨텐츠 창들의 일부 리스트 정보가 생략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11. 삭제
  12.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창과 함께 동일 계층인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창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창은 활성화 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13. 삭제
  14. 제1 항에 있어서,
    컨텐츠 창의 이동을 요구하는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한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창들을 이동시켜 표시 배열을 변경한 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창들을 이동시켜 표시 배열을 변경한 후, 표시하는 과정은,
    동작 센서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 인식, 터치 센서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 인식, 스크롤 휠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에 의한 회전 거리 인식, 특정 키에 따른 사용자의 키 누름 인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창들을 이동시켜 표시 배열을 변경한 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한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창들 중에서 최선단 컨텐츠 창을 최말(最末)단 창으로 변경하고, 상기 최선단 컨텐츠 창의 말단 컨텐츠 창들을 선단으로 이동시켜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창들을 이동시켜 표시 배열을 변경한 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한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창들 중에서 최말단 컨텐츠 창을 최선단 창으로 변경하고, 상기 최말단 컨텐츠 창의 상단 컨텐츠 창들을 말단으로 이동시켜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18.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최선단 컨텐츠 창은 활성화 창이고, 상기 최선단 컨텐츠 창을 제외한 창들은 비활성화 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창들의 이동을 위한 복수 개의 창 이동 입력을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과정은,
    동작 센서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 인식, 터치 센서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 인식, 스크롤 휠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에 의한 회전 거리 인식, 특정 키에 따른 사용자의 키 누름 인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21. 삭제
  22. 삭제
  2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창과 함께 동일 계층인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창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한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창들의 창 화면 이동을 위한 스크롤 입력을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과정은,
    동작 센서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 인식, 터치 센서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 인식, 스크롤 휠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에 의한 회전 거리 인식, 특정 키에 따른 사용자의 키 누름 인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창과 함께 동일 계층인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창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은,
    최선단에 표시 중인 컨텐츠 창을 이동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26.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창과 함께 동일 계층인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창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한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창들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2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는,
    음악, 사진, 동영상, 게임, 문서 및 데이터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2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창과 함께 동일 계층인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창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컨텐츠 창들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창과 함께 동일 계층인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창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창이 표시될 때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상기 컨텐츠 창들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30. 적어도 두 개의 계층적 구조를 가지고, 동일 계층에서는 복수의 컨텐츠를 포함하며, 동작 센서와 터치 스크린이 구비된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에 있어서,
    동일 계층에 포함된 복수의 컨텐츠 중에서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창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창을 표시하는 동안, 상기 동작 센서에 따른 동작 인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동작이 인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의 컨텐츠 창과 함께 동일 계층인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창들을 한 화면에 적층 형태로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동일 계층인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창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하위 계층인 서브 컨텐츠 세트를 포함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과정은,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한 사용자의 터치 인식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37.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과정은,
    스크롤 휠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에 의한 회전 거리 인식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38.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과정은,
    특정 키에 따른 사용자의 키 누름 인식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39.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형태로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동일 계층인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창들에 소정의 투명도를 갖도록 처리하여 적층 형태로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40. 제3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형태로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동일 계층인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창들을 부채꼴 형태로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41. 제39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형태로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동일 계층인 복수의 컨텐츠의 컨텐츠 창들이 모두 보이도록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42.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스크린을 통한 터치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한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창들을 이동시켜 표시 배열을 변경한 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43. 제4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배열을 변경한 후 표시하는 과정은,
    상기 한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창들 중에서 최선단 컨텐츠 창을 최말단 창으로 변경하고, 상기 최선단 컨텐츠 창의 말단 컨텐츠 창들을 선단으로 이동시켜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 및
    상기 최말단 컨텐츠 창을 최선단 창으로 변경하고, 상기 최말단 컨텐츠 창의 상단 컨텐츠 창들을 말단으로 이동시켜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 중에서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44. 삭제
  45. 제4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배열을 변경한 후 표시하는 과정은,
    최선단에 표시 중인 컨텐츠 창을 이동시키거나, 상기 한 화면에 표시된 컨텐츠 창들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컨텐츠 표시 방법.
  46.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들 실행 중에 특정 응용 프로그램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의 응응 프로그램 창을 표시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의 응용 프로그램 창을 표시하는 동안 멀티 창 표시를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의 응용 프로그램 창과 함께 복수의 응용 프로그램들의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한 화면에 표시하는 제2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응용 프로그램들의 응용 프로그램 창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는 서브 컨텐츠 세트를 포함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
  47. 제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은,
    상기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의 응용 프로그램 창과 함께 복수의 응용 프로그램들의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적층 형태로 표시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
  48. 제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은,
    상기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의 응용 프로그램 창과 함께 복수의 응용 프로그램들의 응용 프로그램 창들에 소정의 투명도를 갖도록 처리하여 적층 형태로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
  49. 제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은,
    상기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의 응용 프로그램 창과 함께 복수의 응용 프로그램들의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부채꼴 형태로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
  50. 제4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은,
    상기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의 응용 프로그램 창과 함께 복수의 응용 프로그램들의 응용 프로그램 창들이 모두 보이도록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
  51. 제4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은,
    동작 센서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 인식, 터치 센서에 따른 사용자의 터치 인식, 스크롤 휠에 따른 사용자의 동작에 의한 회전 거리 인식, 특정 키에 따른 사용자의 키 누름 인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상기 멀티 창 표시의 요청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
  52. 제4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은,
    최선단에 위치한 응용 프로그램 창을 제외한 응용 프로그램 창들의 일부 정보가 생략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
  53. 제46 항에 있어서,
    응용 프로그램 창의 이동을 요청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한 화면에 표시된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이동시켜 표시 배열을 변경한 후, 표시하는 제3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
  54. 제5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은,
    상기 한 화면에 표시된 응용 프로그램 창들 중에서 최선단 응용 프로그램 창을 최말단 창으로 변경하고, 상기 최선단 응용 프로그램 창의 말단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선단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
  55. 제5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은,
    상기 한 화면에 표시된 응용 프로그램 창들 중에서 최말단 응용 프로그램 창을 최선단 창으로 변경하고, 상기 최말단 응용 프로그램창의 상단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말단으로 이동시켜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
  56. 제5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은,
    상기 한 화면에 표시된 응용 프로그램 창들의 이동을 위한 복수 개의 창 이동 입력을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
  57. 제5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과정은,
    상기 복수 개의 창 이동 입력이 확인되면, 상기 한 화면에 표시된 복수 개의 응용 프로그램 창들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
  58. 삭제
  59. 제4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은,
    상기 응용 프로그램 창들의 크기를 조절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
  60. 제5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은,
    상기 선택된 응용 프로그램의 응용 프로그램 창이 표시될 때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상기 응용 프로그램 창들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의 응용 프로그램 표시 방법.
KR1020070017692A 2007-02-22 2007-02-22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 KR101450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692A KR101450584B1 (ko) 2007-02-22 2007-02-22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
US12/070,877 US8633900B2 (en) 2007-02-22 2008-02-21 Screen display method for mobile terminal
US14/160,286 US10613718B2 (en) 2007-02-22 2014-01-21 Screen display method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7692A KR101450584B1 (ko) 2007-02-22 2007-02-22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2875A Division KR101463761B1 (ko) 2014-04-30 2014-04-30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108A KR20080078108A (ko) 2008-08-27
KR101450584B1 true KR101450584B1 (ko) 2014-10-14

Family

ID=39715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7692A KR101450584B1 (ko) 2007-02-22 2007-02-22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633900B2 (ko)
KR (1) KR1014505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9588B2 (en) 2005-12-30 2009-03-24 Apple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interface reconfiguration mode
US8296684B2 (en) 2008-05-23 2012-10-23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Navigating among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US8683362B2 (en) 2008-05-23 2014-03-25 Qualcomm Incorporated Card metaphor for activities in a computing device
US10313505B2 (en) 2006-09-06 2019-06-04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configuring and displaying widgets
US8519964B2 (en) 2007-01-07 2013-08-27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supporting user navigations of graphical objects on a touch screen display
US8619038B2 (en) 2007-09-04 2013-12-31 Apple Inc. Editing interface
US20100024010A1 (en) * 2008-07-22 2010-01-28 Ernest Samuel Baugher Mobile device with customizable login screen
JP2010026985A (ja) * 2008-07-24 2010-02-04 Sony Corp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1495132B1 (ko) * 2008-09-24 2015-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휴대 단말기에서 데이터 표시 방법
US8600446B2 (en) * 2008-09-26 2013-12-03 Htc Corporation Mobile device interface with dual windows
US20100081419A1 (en) * 2008-09-26 2010-04-01 Htc Corpor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thereof
KR101502010B1 (ko) * 2008-09-29 2015-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윈도우 디스플레이 방법
KR20100081577A (ko) * 2009-01-06 2010-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오브젝트의 내비게이션 방법 및 장치
US20100241955A1 (en) * 2009-03-23 2010-09-23 Microsoft Corporation Organization and manipulation of content items on a touch-sensitive display
EP2237140B1 (en) * 2009-03-31 2018-12-2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00114572A (ko) * 2009-04-16 2010-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의 컨텐츠 표시 방법 및 장치
US8300499B2 (en) 2009-07-14 2012-10-30 Navico, Inc. Linear and circular downscan imaging sonar
US8305840B2 (en) 2009-07-14 2012-11-06 Navico, Inc. Downscan imaging sonar
KR101686913B1 (ko) * 2009-08-13 2016-12-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기기에서 이벤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E102009040255A1 (de) * 2009-09-04 2011-03-10 Volkswagen Ag Verfahren zum Anzeigen von Informationen bei einem Bildlauf und Vorrichtung hierfür
KR20110034858A (ko) * 2009-09-29 2011-04-06 주식회사 넥슨모바일 게임 운영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US8698845B2 (en) 2010-01-06 2014-04-1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with interactive popup views
US9715332B1 (en) 2010-08-26 2017-07-25 Cypress Lake Software, In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navigating between visual components
US8780130B2 (en) * 2010-11-30 2014-07-15 Sitting Man, Llc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binding attributes between visual components
US10007393B2 (en) * 2010-01-19 2018-06-26 Apple Inc. 3D view of file structure
US10397639B1 (en) 2010-01-29 2019-08-27 Sitting Man, Llc Hot key systems and methods
US8881060B2 (en) 2010-04-07 2014-11-0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US9513801B2 (en) 2010-04-07 2016-12-06 Apple Inc. Accessing electronic notifications and settings icons with gestures
US9823831B2 (en) 2010-04-07 2017-11-2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US10788976B2 (en) 2010-04-07 2020-09-2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folders with multiple pages
US8291344B2 (en) 2010-04-07 2012-10-1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KR101677029B1 (ko) * 2010-06-07 2016-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CN101968707A (zh) * 2010-09-17 2011-02-0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在移动设备上实现第一窗口卷拉显示的方法与设备
US9372618B2 (en) 2010-10-01 2016-06-21 Z124 Gesture based application management
US9001149B2 (en) 2010-10-01 2015-04-07 Z124 Max mode
JP6010036B2 (ja) 2010-10-01 2016-10-19 ゼット124Z124 タッチセンサ式ディスプレイに画像を表示する方法及び通信デバイスならびに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WO2012068407A2 (en) * 2010-11-17 2012-05-24 Imerj LLC Multi-screen email client
CN102486714A (zh) * 2010-12-06 2012-06-06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终端浏览器中多窗口管理方法和设备
KR101788049B1 (ko) 2010-12-15 2017-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244606B2 (en) 2010-12-20 2016-01-2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navigation of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KR101781852B1 (ko) * 2011-01-04 2017-09-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223495B2 (en) * 2011-03-25 2015-12-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crossing navigation for use in an electronic terminal
US8630994B2 (en) * 2011-04-07 2014-01-14 Evan Greene System for multiple tasks on a display
US9069459B2 (en) * 2011-05-03 2015-06-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ulti-threaded conditional processing of user interactions for gesture processing using rendering thread or gesture processing thread based on threshold latency
US9142206B2 (en) 2011-07-14 2015-09-22 Navico Holding As System for interchangeable mounting options for a sonar transducer
US9495012B2 (en) 2011-09-27 2016-11-15 Z124 Secondary single screen mode activation through user interface activation
US20130100059A1 (en) * 2011-10-21 2013-04-25 Zuse, Inc. Content display engine for touch-enabled devices
US9182486B2 (en) 2011-12-07 2015-11-10 Navico Holding As Sonar rendering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KR102006470B1 (ko) 2011-12-28 2019-08-02 삼성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디바이스에서 멀티태스킹 운용 방법 및 장치
KR101921276B1 (ko) 2012-02-03 2018-11-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멀티태스킹 수행 장치 및 방법
US9268020B2 (en) 2012-02-10 2016-02-23 Navico Holding As Sonar assembly for reduced interference
EP2847660B1 (en) 2012-05-09 2018-11-14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user interface objects
WO2013169851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facilitating user interaction with controls in a user interface
CN107728906B (zh) 2012-05-09 2020-07-31 苹果公司 用于移动和放置用户界面对象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JP6002836B2 (ja) 2012-05-09 2016-10-0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ジェスチャに応答して表示状態間を遷移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WO201316986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WO201316987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content associated with a corresponding affordance
WO2013169845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crolling nested regions
WO2013169842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electing object within a group of objects
JP6273263B2 (ja) 2012-05-09 2018-01-31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ユーザ接触に応答して追加情報を表示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EP2847662B1 (en) 2012-05-09 2020-02-19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feedback for changing activation states of a user interface object
WO2013169849A2 (en) 2012-05-09 2013-11-14 Industries Llc Yknot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EP2847658B1 (en) 2012-05-09 2017-06-21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for operations performed in a user interface
WO2013169843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US9846038B2 (en) 2012-07-06 2017-12-19 Navico Holding As Export user data from defined region
US9361693B2 (en) 2012-07-06 2016-06-07 Navico Holding As Adjusting parameters of marine electronics data
US9348028B2 (en) 2012-07-06 2016-05-24 Navico Holding As Sonar module using multiple receiving elements
US9298079B2 (en) 2012-07-06 2016-03-29 Navico Holding As Sonar preview mode
US9495065B2 (en) 2012-07-06 2016-11-15 Navico Holding As Cursor assist mode
US9354312B2 (en) 2012-07-06 2016-05-31 Navico Holding As Sonar system using frequency bursts
US9442636B2 (en) 2012-07-06 2016-09-13 Navico Holding As Quick split mode
US9098516B2 (en) * 2012-07-18 2015-08-04 DS Zodiac, Inc. Multi-dimensional file system
US20140075394A1 (en) * 2012-09-07 2014-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interoperability of applications in a device
US9430991B2 (en) 2012-10-02 2016-08-30 Futurewei Technologies, Inc. User interface display composition with device sensor/state based graphical effects
US9182239B2 (en) 2012-11-06 2015-11-10 Navico Holding As Displaying laylines
EP3690624B1 (en) * 2012-12-06 2023-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BR112015012539B1 (pt) * 2012-12-06 2022-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ositivo de exibição e método para controlar o mesmo
USD741895S1 (en) * 2012-12-18 2015-10-27 2236008 Ontario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5144057B (zh) 2012-12-29 2019-05-17 苹果公司 用于根据具有模拟三维特征的控制图标的外观变化来移动光标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CN107832003B (zh) 2012-12-29 2021-01-22 苹果公司 用于放大内容的方法和设备、电子设备和介质
CN105264479B (zh) 2012-12-29 2018-12-25 苹果公司 用于对用户界面分级结构进行导航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JP6093877B2 (ja) 2012-12-29 2017-03-08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複数接触ジェスチャのために触知出力の生成を見合わせ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JP6158947B2 (ja) 2012-12-29 2017-07-0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タッチ入力からディスプレイ出力への関係間を遷移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KR102065596B1 (ko) * 2013-02-08 202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제어방법
USD759064S1 (en) * 2013-03-07 2016-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2014174931A (ja) * 2013-03-12 2014-09-22 Sharp Corp 描画装置
US9477404B2 (en) 2013-03-15 2016-10-25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US9658740B2 (en) 2013-03-15 2017-05-23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concurrently open software applications
US9122366B2 (en) 2013-03-15 2015-09-01 Navico Holding As Residue indicators
USD759088S1 (en) 2013-04-25 2016-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131257B1 (ko) * 2013-07-02 2020-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전자장치의 멀티윈도우 제어방법
KR102148725B1 (ko) 2013-07-31 2020-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08436B1 (ko) 2013-08-06 2021-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출력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US9909891B2 (en) 2013-08-14 2018-03-06 Navico Holding As Display of routes to be travelled by a marine vessel
US9507562B2 (en) 2013-08-21 2016-11-29 Navico Holding As Using voice recognition for recording events
US10251382B2 (en) 2013-08-21 2019-04-09 Navico Holding As Wearable device for fishing
US20150067561A1 (en) * 2013-08-30 2015-03-05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method and storage medium
USD757110S1 (en) * 2013-09-02 2016-05-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10481259B2 (en) 2013-09-13 2019-11-19 Navico Holding As Tracking targets on a sonar image
JP5706494B2 (ja) * 2013-09-20 2015-04-22 ヤフー株式会社 配信装置、端末装置、配信方法及び配信プログラム
US10290124B2 (en) 2013-10-09 2019-05-14 Navico Holding As Sonar depth display
KR102405189B1 (ko) 2013-10-30 2022-06-07 애플 인크.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표시
CN103744932A (zh) * 2013-12-30 2014-04-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页面处理方法及装置
WO2015149375A1 (en) * 2014-04-04 2015-10-08 Shell Internet (Beijing) Security Technology Co., Ltd.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aging multiple display windows
US9720084B2 (en) 2014-07-14 2017-08-01 Navico Holding As Depth display using sonar data
JP6130335B2 (ja) * 2014-07-18 2017-05-17 ヤフー株式会社 情報表示プログラム、配信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装置
JP6095614B2 (ja) * 2014-07-18 2017-03-15 ヤフー株式会社 情報表示プログラム、配信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装置
US9267804B1 (en) 2014-09-24 2016-02-23 Navico Holding As Forward depth display
US9946701B2 (en) 2015-02-11 2018-04-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lectively pinning sections of displayed content
US10048757B2 (en) 2015-03-08 2018-08-14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media presentation
US9645732B2 (en) 2015-03-08 2017-05-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displaying and using menus
US10095396B2 (en) 2015-03-08 2018-10-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9785305B2 (en) 2015-03-19 2017-10-10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20170045981A1 (en) 2015-08-10 2017-02-1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WO2016171467A1 (en) 2015-04-23 2016-10-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otary member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9674426B2 (en) 2015-06-07 2017-06-0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60451B2 (en) 2015-06-07 2018-01-0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29573B2 (en) 2015-07-20 2017-11-28 Navico Holding As Sonar auto depth range
CN105094551A (zh) * 2015-07-24 2015-11-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9836129B2 (en) 2015-08-06 2017-12-05 Navico Holding As Using motion sensing for controlling a display
US10151829B2 (en) 2016-02-23 2018-12-11 Navico Holding As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for producing sonar image overlay
US10637986B2 (en) 2016-06-10 2020-04-28 Apple Inc. Displaying and updating a set of application views
DK201670595A1 (en) 2016-06-11 2018-01-22 Apple Inc Configuring context-specific user interfaces
US11816325B2 (en) 2016-06-12 2023-11-14 Apple Inc. Application shortcuts for carplay
US10460484B2 (en) 2016-06-24 2019-10-29 Navico Holding As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for route generation and modification
US10948577B2 (en) 2016-08-25 2021-03-16 Navico Holding As Systems and associated methods for generating a fish activity report based on aggregated marine data
US10203982B2 (en) * 2016-12-30 2019-02-12 TCL Research America Inc. Mobile-phone UX design for multitasking with priority and layered structure
JP6910898B2 (ja) * 2017-09-08 2021-07-28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及びコンテンツ表示プログラム
US11367425B2 (en) 2017-09-21 2022-06-21 Navico Holding As Sonar transducer with multiple mounting options
KR20200099845A (ko) * 2019-02-15 2020-08-25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이나믹 레이아웃 메시지를 위한 전자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DK180318B1 (en) * 2019-04-15 2020-11-09 Apple Inc System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multiple application windows
US11675476B2 (en) 2019-05-05 2023-06-1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widget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374A (ko) * 2002-05-13 2003-11-19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형 정보 단말 장치,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및 그들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7358B2 (ja) * 1986-12-26 1996-11-27 株式会社東芝 情報処理装置
JPH04181423A (ja) * 1990-11-16 1992-06-29 Fujitsu Ltd バージョン管理方式
US5694561A (en) * 1994-12-12 1997-12-02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grouping and manipulating windows
JPH096582A (ja) * 1995-06-20 1997-01-10 Fujitsu Ltd アプリケーション・グルーピング方法及び装置
CA2309658C (en) * 1997-11-12 2007-10-30 Benjamin Slotznick Automatically switching a user's interface from a program to another program while the first is processing
US6215490B1 (en) * 1998-02-02 2001-04-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ask window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US6308187B1 (en) * 1998-02-09 2001-10-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abstracting and accessing a chronologically-arranged collection of information
US20010056434A1 (en) * 2000-04-27 2001-12-27 Smartdisk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managing multimedia content
US6690390B1 (en) * 2000-10-24 2004-02-10 National Instruments Corporation Interactive on-line help for completing a task
US6943845B2 (en) * 2000-12-15 2005-09-13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method for data processing, and storage medium
US20060200779A1 (en) * 2001-04-30 2006-09-07 Taylor Steve D Cell based end user interface having action cells
US8028249B2 (en) * 2001-05-23 2011-09-27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browsing large digital multimedia object collections
US20030001899A1 (en) * 2001-06-29 2003-01-02 Nokia Corporation Semi-transparent handwriting recognition UI
US20030030675A1 (en) * 2001-08-09 2003-02-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try panel processing system
JP3879980B2 (ja) 2002-01-15 2007-02-14 ソニー株式会社 携帯型情報処理装置及び操作画面表示制御方法
US7987491B2 (en) * 2002-05-10 2011-07-26 Richard Reisma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wsing using alternative linkbases
US7302648B1 (en) * 2002-07-10 2007-11-27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izing buffered windows
GB0219122D0 (en) * 2002-08-16 2002-09-25 Hewlett Packard Co Graphical user computer interface
US7429993B2 (en) * 2004-09-17 2008-09-30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functionally-transparent, unobtrusive on-screen windows
US20060129949A1 (en) * 2004-12-15 2006-06-15 Chien-Li Wu Multi-window information platform user interface
KR101002807B1 (ko) 2005-02-23 2010-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뉴 화면을 표시하는 단말기에서 메뉴 네비게이션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US8195646B2 (en) * 2005-04-22 2012-06-0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storing, searching, navigating, and retrieving electronic information
JP4397347B2 (ja) * 2005-04-26 2010-01-1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JP5007782B2 (ja) * 2005-11-17 2012-08-22 株式会社デンソー 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地図表示縮尺設定方法
US8487956B2 (en) * 2005-11-29 2013-07-16 Kyocera Corporation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nd display method to adaptively update a displayed image
JPWO2007072640A1 (ja) * 2005-12-22 2009-05-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ルチウィンドウ表示装置、マルチウィンドウ表示方法、及び集積回路
US20070214429A1 (en) * 2006-03-13 2007-09-13 Olga Lyudovyk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pplication alerts
US8077153B2 (en) * 2006-04-19 2011-12-13 Microsoft Corporation Precise selection techniques for multi-touch screens
US7676761B2 (en) * 2006-06-30 2010-03-09 Microsoft Corporation Window grouping
US20080009325A1 (en) * 2006-07-10 2008-01-1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nu interface for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US7770136B2 (en) * 2007-01-24 2010-08-03 Microsoft Corporation Gesture recognition interactive feedback
WO2009082377A1 (en) * 2007-12-26 2009-07-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ouch wheel zoom and pan
US9338493B2 (en) * 2014-06-30 2016-05-10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for TV user interaction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374A (ko) * 2002-05-13 2003-11-19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휴대형 정보 단말 장치,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및 그들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137037A1 (en) 2014-05-15
KR20080078108A (ko) 2008-08-27
US10613718B2 (en) 2020-04-07
US20080204424A1 (en) 2008-08-28
US8633900B2 (en) 2014-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584B1 (ko)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
US20200004387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indicating an active region in a multi-window display
US1068475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independently moving and regrouping selected objects
CN107967087B (zh) 显示设备和控制显示设备的方法
JP5511573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KR101296055B1 (ko) 이미지 기반 브라우징을 이용하는 미디어 재생기
CN103853381B (zh) 显示设备及控制显示设备的方法
US20190205004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04571783B (zh) 具有动态拼图界面的电子装置及控制方法与系统
EP298307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editing image into which object is inserted
CN111176515A (zh) 显示设备及控制显示设备的方法
US10824313B2 (en)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and editing object-inserted images
KR101463761B1 (ko) 단말의 화면 표시 방법
US1143677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981694A (zh) 与平台无关的用户接口/用户体验和人类交互范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