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8559B1 - 가상키보드 기반의 하이브리드 문자입력 방식의 스마트 tv용 리모컨 - Google Patents

가상키보드 기반의 하이브리드 문자입력 방식의 스마트 tv용 리모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8559B1
KR101448559B1 KR1020130017287A KR20130017287A KR101448559B1 KR 101448559 B1 KR101448559 B1 KR 101448559B1 KR 1020130017287 A KR1020130017287 A KR 1020130017287A KR 20130017287 A KR20130017287 A KR 20130017287A KR 101448559 B1 KR101448559 B1 KR 101448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mart
virtual keyboard
character set
charac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7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3637A (ko
Inventor
이상길
Original Assignee
컨스핀솔루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컨스핀솔루션(주) filed Critical 컨스핀솔루션(주)
Priority to KR10201300172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8559B1/ko
Publication of KR20140103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8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8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9Special purpose keybo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상키보드 기반의 하이브리드 문자입력 방식의 스마트 TV용 리모컨, 그리고 이를 이용한 스마트 TV 상의 문자입력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스마트 TV에서 브라우저를 비롯한 각종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문자입력을 수행하되 문자 키를 문자세트 의존성에 따라 리모컨에서 하드웨어 키로 구성할 키와 가상키보드에서 처리할 키를 분류하고 가상키보드에서의 네비게이션을 위해서 자유도를 제한시킨 4 방향 트래커를 활용하여 속도 향상을 달성한 가상키보드 기반의 하이브리드 문자입력 방식의 스마트 TV용 리모컨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상키보드 기반의 하이브리드 문자입력 방식의 스마트 TV용 리모컨 {Remote controller for smart-TV of hybrid-type character input based on virtual keyboard}
본 발명은 가상키보드 기반의 하이브리드 문자입력 방식의 스마트 TV용 리모컨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스마트 TV에서 브라우저를 비롯한 각종 기능을 활용할 수 있도록 문자입력을 수행하되 문자 키를 문자세트 의존성에 따라 리모컨에서 하드웨어 키로 구성할 키와 가상키보드에서 처리할 키를 분류하고 가상키보드에서의 네비게이션을 위해서 자유도를 제한시킨 4 방향 트래커를 활용하여 속도 향상을 달성한 가상키보드 기반의 하이브리드 문자입력 방식의 스마트 TV용 리모컨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TV, IPTV, 스마트박스 등의 본격적인 보급에 따라 이들 전자제품을 조작하기 위한 리모컨에 대해서도 기술개발이 본격화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 TV 등에서는 브라우저를 사용하거나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데, 사용자에게 컴퓨터와 유사한 사용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객체를 선택하기 위해 포인터를 제어하고 문자를 입력하는 기능이 현재 리모컨에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TV 등에 적합한 리모컨을 제공하기 위해 기존에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대표적으로는 포인터 제어를 위한 트랙패드와 문자 입력을 위한 쿼티키보드를 탑재하는 방식이 채택되고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마트 TV에서 사용되는 리모컨 장치(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과 같이 전면에는 포인터 제어를 위한 트랙패드가 설치되어 있고, [도 2]와 같이 후면에는 문자 입력을 위한 쿼티키보드가 탑재되어 있다.
하지만, 이는 상당한 고비용 제품에 해당한다. 특히, 쿼티키보드는 다수의 키를 형성해야 하므로, 기본적인 제작 단가가 높을 뿐만 아니라 각 나라의 문자 별로(예: 한글,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일본어 등) 완전히 새롭게 설계하여 생산해야 하기 때문에 관리도 어렵고 재고부담도 큰 현실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방식은 상당한 자금력을 갖춘 회사에서나 시도할 수 있는 방식이고 소규모 벤처기업에서는 도저히 시도할 수 없다. 특히, 기존의 문자 입력을 위한 방식은 제품 모델별(예: 내수용, 미주용, 유럽용 등)로 개별적으로 설계해야 하므로 대당 설계비용과 제작비용이 비싸기에 다품종 소량생산 모델에서는 도저히 적용할 수 없는 방식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리모컨 설계, 특히 스마트 TV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면서도 다품종 소량생산 방식에도 유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식의 리모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관련기술문헌]
1. 리모컨(특허출원 10-2008-0002786호)
2. 터치입력 디바이스를 이용한 리모컨 및 리모컨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특허출원 10-2010-0010897호)
본 발명의 목적은 리모컨에 쿼티키보드를 하드웨어적으로 형성하지 않더라도 문자 입력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기술로서, 리모컨의 제작 단가를 낮추고 문자세트에 대한 하드웨어 의존성을 제거하여 재고관리 부담을 다품종 소량생산 모델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며 하드웨어 키와 소프트웨어 키의 효율적인 하이브리드 조합을 통해 사용자가 신속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문자세트의 소프트웨어적 변경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가상키보드 기반의 하이브리드 문자입력 방식의 스마트 TV용 리모컨 기술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가상키보드 기반의 하이브리드 문자입력 방식의 스마트 TV용 리모컨은, 스마트 TV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문자세트 의존성을 갖는 제 1 키 배열을 구현한 가상키보드를 표시하고 가상키보드의 문자 선택을 위하여 포커스(c)에 대한 4 방향의 트래킹 입력을 제공하는 4 방향 트래커(110a)와, 문자세트 의존성이 없는 제 2 키 배열을 하드웨어로 형성하여 제어기능 입력을 수행하는 키보드 기능키(110b)를 구비하는 하드웨어 조작부(110); 키보드 기능키에 의해 지정된 문자세트를 구현한 가상키보드 상에서 4 방향 트래커(110a)의 조작입력에 의해 상하좌우의 4 방향에 따른 이동제어 명령에 따라 포커스(c)를 가상키보드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문자세트 의존성을 갖는 제 1 키 배열에 대한 입력을 수행하고, 키보드 기능키(110b)에 대한 조작 입력을 검출함으로써 문자세트 의존성이 없는 제 2 키 배열에 대한 입력을 수행하는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키보드 기능키(110b)에 의한 제 2 키 배열은 스페이스 키, 백스페이스 키, 엔터 키, 쉬프트 키, 문자세트 키, 언어선택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키보드 기능키(110b)는 하드웨어 조작부가 형성된 영역 중 4 방향 트래커(110a)의 십자가 형상을 기준으로 각 코너에 하나씩 4개의 기능키가 형성되며, 나머지는 하드웨어 조작부가 형성된 영역 중 4 방향 트래커(110a)가 형성된 주변 잉여 공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4 방향 트래커(110a)의 조작입력에 대해 좌우 방향에 대한 가속도 정보를 획득하여 그에 따라 포커스(c)의 좌우 방향 이동 거리에 대한 가속 기능을 구현하는 4 방향 가속제어모듈(163);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스마트 TV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문자세트 의존성을 갖는 제 1 키 배열을 구현한 가상키보드를 표시하고 가상키보드의 문자 선택을 위하여 포커스(c)에 대한 4 방향의 트래킹 입력을 제공하는 4 방향 트래커(110a)와, 문자세트 의존성이 없는 제 2 키 배열을 하드웨어로 형성하여 제어기능 입력을 수행하는 키보드 기능키(110b)를 구비하는 하드웨어 조작부를 포함하는 가상키보드 기반의 하이브리드 문자입력 방식의 스마트 TV용 리모컨에 형성되는 문자입력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으로서, 키보드 기능키에 의해 지정된 문자세트를 구현한 가상키보드 상에서 4 방향 트래커(110a)의 조작입력에 의해 상하좌우의 4 방향에 따른 이동제어 명령에 따라 포커스(c)를 가상키보드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문자세트 의존성을 갖는 제 1 키 배열에 대한 입력을 수행하는 트래킹 제어모듈(161);과 키보드 기능키(110b)에 대한 조작 입력을 검출함으로써 문자세트 의존성이 없는 제 2 키 배열에 대한 입력을 수행하는 제어부(1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 프로그램은, 4 방향 트래커(110a)의 조작입력에 대해 좌우 방향에 대한 가속도 정보를 획득하여 그에 따라 포커스(c)의 좌우 방향 이동 거리에 대한 가속 기능을 구현하는 4 방향 가속제어모듈(163);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컨에 하드웨어 쿼티키보드가 없이도 문자 입력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리모컨에 쿼티키보드를 하드웨어적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어 리모컨의 제작 단가를 낮추고 리모컨 제품에서 키보드 부분에서 자주 발생하는 하드웨어 고장을 없앨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모델과 문자세트와는 무관하게 범용으로 리모컨을 설계할 수 있으므로 리모컨의 모델별 유지관리가 편리하고 재고부담을 덜어주는 효과를 제공하다. 즉, 리모컨의 제품모델과 문자세트와는 무관하게 범용으로 리모컨을 설계할 수 있으므로 여러 회사가 공동으로 대량으로 제작해두는 것이 가능해져 리모컨의 대당 가격을 낮출 수 있으며 다품종 소량생산 모델에 적용하기에도 적합한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스마트 TV에서 사용되는 리모컨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을 이용하여 스마트 TV 상에 구현되는 가상키보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을 사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TV용 리모컨의 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서 문자세트 별로 구현되는 가상키보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TV용 리모컨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100)을 이용하여 스마트 TV(20) 상에 구현되는 가상키보드(VK)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문자를 입력할 때 스마트 TV용 리모컨(100)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TV용 리모컨(100)의 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서 문자세트 별로 구현되는 가상키보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TV용 리모컨(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TV용 리모컨(100)은 하드웨어 조작부(Hardware-type function keys of Virtual keyboard: 110), 적외선 송신부(IR transceiver: 120), 전원 온/오프 버튼(Power On/ OFF: 130), 터치타입 패드(Touch-type pad: 140), 메인메뉴 조작부(Main menu operation key: 150), 제어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주요 구성에 해당하는 하드웨어 조작부(110) 및 제어부(160)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하드웨어 조작부(110)는 스마트 TV용 리모컨(100)에서 하드웨어로 구성한 문자입력 조합으로서 4 방향 트래커(Tracker: 110a)와 키보드 기능키(11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4 방향 트래커(110a)는 가상키보드(VK)에 표시된 포커스를 4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바람직하게는 4 방향에 대응하도록 십자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터치패드는 임의의 방향으로 포커스를 이동하도록 구성됨에 반해 4 방향 트래커(110a)는 상하좌우의 4가지 방향으로만 포커스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는 포커스 이동의 자유도를 4가지로 낮춤으로써 오히려 조작을 명확하게 해주어 오류의 위험성을 낮추고, 이를 통해 가상키보드 상에서 포커스 이동조작을 사용자가 자신있게 시행할 수 있어 문자입력 속도를 향상시키는 결과를 얻기 위함이다.
키보드 기능키(110b)는 문자세트 의존성이 없는 키를 선별하여 하드웨어 키로 구성한 것으로 스페이스 키(space key: b1), 백스페이스 키(backspace key: b2), 엔터 키(enter key: b3), 쉬프트 키(shift key: b4), 문자세트 키(ABC/SYM key: b5), 언어선택키(LAN key: b6)를 구비한다. 여기서, 키보드 기능키(110b)는 스마트 TV(2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구현되는 가상키보드(VK)에서 구현되는 다수의 UI 기능키(d2) 중에서 미리 설정된 문자세트(예: 한글,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일본어 등의 문자세트)에 해당하는 다수의 UI 문자키(d1)와는 독립적이면서 빈도가 높게 사용되는 것들을 선별하여 하드웨어 버튼을 형성하여 PI(Physical Interface)로 구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4 방향 트래커(110a)의 십자가 형상 중 각 코너에 하나씩 기능키가 형성되며, 하드웨어 조작부(110)를 형성하는 4 방향 트래커(110a)의 십자가 형상 하부의 잉여 공간에 2 개 정도의 기능키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진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마침표키(period key)가 추가 기능 버튼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60)는 트래킹 제어모듈(161), 문자세트 가상키 구현모듈(162), 4 방향 가속제어모듈(163)을 포함한다.
트래킹 제어모듈(161)은 스마트 TV(2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으로 [도 6] 내지 [도 9]와 같은 가상키보드(VK)가 구현된 뒤, 사용자에 의한 4 방향 트래커(110a)를 이용한 가상키보드(VK)로의 4 방향의 트래킹 입력 방식의 포커스(c) 제어를 통해 문자 입력의 신속성을 제공한다.
트래킹 제어모듈(161)은 사용자의 스마트 TV(2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가상키보드 구현 요청에 따라 가상키보드(VK)를 구현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가상키보드 구현 요청은 전원 온/오프 버튼(130)로의 입력 또는 그 밖의 미리 설정된 버튼에 대한 입력에 의해 수행 가능하다.
스마트 TV(200)는 리모컨(100)으로부터 수신되는 4 방향에 따른 이동제어 명령에 따라 문자 입력을 구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적으로 다수의 UI 문자키(d1)와 다수의 UI 기능키(d2)로 이루어진 문자세트를 포함하는 가상키보드(VK)의 UI(User Interface) 화면을 디스플레이 상에 구현한다([도 3] 및 [도 4] 참조). 이후, 스마트 TV(200)는 디폴트 위치로 가상키보드(VK) UI 화면 상의 중앙 지점에 4 방향의 트래킹 입력을 위한 포커스(c)를 구현한 뒤, 가상키보드 기반의 하이브리드 문자입력 방식의 스마트 TV용 리모컨(100)로부터의 4 방향에 따른 이동제어 명령에 대한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위해 4 방향 트래커(110a)는 [도 5]와 같이 스마트 TV(200)에서 메뉴나 범용 포인터 조작을 위해 제공되는 터치타입 패드(140)나 메인 메뉴 조작부(150)와는 별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문자입력에 최적인 조작감과 조작 자유도를 갖도록 4 방향 트래커(110a)를 구성함과 동시에 키보드 기능키(110b)와 근접한 위치에 4 방향 트래커(110a)를 배치함으로써 문장을 입력할 때 문자입력의 효율성과 입력속도를 제고하는 것이다.
트래킹 제어모듈(161)은 4 방향 트래커(110a)로부터 "4 방향에 따른 이동제어 명령", 및 스페이스 키(b1), 백스페이스 키(b2), 엔터 키(b3), 쉬프트 키(b4), 문자세트 키(b5), 언어선택키(b6), 마침표키 등으로 구성되는 키보드 기능키(110b)로부터 "기능수행 명령"을 전달받아 적외선 송신부(120)를 제어하여 스마트 TV(200)의 적외선 수신부(미도시)로 전송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 TV(200)는 4 방향에 따른 이동제어 명령에 따른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서의 포커스(c) 이동, 그리고 기능수행 명령에 따른 가상키보드(VK) 상에서의 UI 기능키(UI function key: d1)에 대한 직접적 입력에 따른 동일한 효과에 따른 문자 입력을 수행한다.
여기서 스마트 TV(200)에 소프트웨적으로 구현된 UI 기능키(d2)는 리모컨(100) 상에 하드웨어적으로 형성된 키보드 기능키(110b)에 포함되는 스페이스 키(b1), 백스페이스 키(b2), 쉬프트 키(b4)에 해당하는 기능키와 매칭되는 것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적 버튼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문자 입력을 위해서는 4 방향 트래커(110a)로 포커스(c)를 이동시켜 달성하고 각종의 기능수행 명령에 따른 제어 입력(스페이스, 백스페이스, 엔터, 쉬프트 등)은 4 방향 트래커(110a)의 코너 영역에 형성된 하드웨어 버튼으로 달성하므로 신속하게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가상키보드 상에서의 문자입력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버튼에 대응되는 UI 기능키(d2)는 삭제하고 나머지 가상키보드만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4 방향 트래커(110a) 및 키보드 기능키(110b)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조작부(110)를 활용함으로써 종래에 키보드 후면에 장착하였던 하드웨어 쿼티키보드는 필요로 하지 않는다.
한편, 문자세트 가상키 구현모듈(162)은 트래킹 제어모듈(161)에 의한 가상키보드(VK) 상의 문자세트 중 하나의 문자에 대한 4 방향의 이동제어 명령, 그리고 각 기능수행 명령에 대한 스마트 TV(200)로의 전송에 따라 스마트 TV(2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으로 문자 입력이 완료된 뒤, 사용자로부터 포커스(c)가 위치한 문자 또는 기능에 대한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각 선택신호에 해당하는 문자 또는 기능을 가상키보드 상의 문자 입력창(e)으로 구현하도록 하는 구현요청 명령을 스마트 TV(200)로 전송하도록 적외선 송신부(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문자세트 가상키 구현모듈(162)은 문자세트 키(ABC/SYM key: b5)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입력시 미리 설정된 다음 프로세스에 해당하는 문자세트의 종류를 한정한 문자세트 변환 기능수행 명령을 생성한 뒤, 문자세트 변환 기능수행 명령을 스마트 TV(200)로 전송하도록 적외선 송신부(120)를 제어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프로세스에 포함된 문자세트의 종류는 알파벳, 한글, 아라비아 숫자, 그리고 기호 등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한글의 경우에는 자음과 모음을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 TV(200)는 사용자가 문자세트 키(b5)를 누를 때마다 현재 구현된 가상키보드(VK) 상의 문자세트를 변경하여 표시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서 사용자가 문자세트 키(b5)를 누름에 따라 문자세트 별로 구현되는 가상키보드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처럼 문자세트를 세분화함으로써 가상키보드의 문자입력 효율을 제고할 수 있는데, 문장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문자세트를 자주 변경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문자세트 키(b5)가 문자세트 의존성이 없다는 점에 착안하여 하드웨어 버튼으로 구현함으로써 문장을 입력할 때 손쉽게 문자세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해준다.
4 방향 가속제어모듈(163)은 스마트 TV(200)의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구현된 가상키보드(VK)가 상하가 아닌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좌우 방향의 4 방향 트래커(110a)로의 입력에 대해 가속 기능을 구현한다.
즉, 4 방향 가속제어모듈(163)은 4 방향 트래커(110a)를 이루는 4 방향 입력 버튼 중 좌향 및 우향 입력 버튼 내부에 형성된 근접 센서(미도시)로부터의 사용자에 의한 선택 입력시의 가속도 정보(정지 상태로부터 빠르게 터치하였는지 아니면 천천히 터치하였는지 정도)를 수신하고 그에 따라 가속도 정보를 좌향의 이동제어 명령, 그리고 우향의 이동제어 명령에 포함시켜 스마트 TV(200)로 전송하도록 적외선 송신부(120)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 TV(200)는 좌우 방향으로의 트래킹을 위한 가속 기능을 수행한다. 즉, 스마트 TV(200)는 좌향의 이동제어 명령 또는 우향의 이동제어 명령에 포함된 가속도 정보를 추출하여, 가속도 정보가 양의 값의 경우 가속도 정보에 비례하는 이동거리로 가상키보드 상의 포커스(c)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구현한다.
한편, 스마트 TV(200)는 가속도 정보가 음의 값의 경우 가속도 정보에 반비례하는 이동거리로 가상키보드 상의 포커스(c)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구현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빠르게 좌우 터치하는 경우와 느리게 좌우 터치하는 경우를 구분하며, 빠르게 좌우 터치하는 경우에는 터치 거리가 동일하더라도 포커스(c)를 더 많이 이동시켜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빠른 문자 입력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TV용 리모컨은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하드웨어 조작부(110)를 이루는 4 방향 트래커(110a)와 키보드 기능키(110b)의 각 기능키에 대한 입력에 따른 제어부(160)에 의한 제어 명령 생성을 위한 기능 정보를 저장한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가상키보드 기반의 하이브리드 문자입력 방식의 스마트 TV용 리모컨
110: 하드웨어 조작부
110a: 4 방향 트래커
110b: 키보드 기능키
b1: 스페이스 키
b2: 백스페이스 키
b3: 엔터 키
b4: 쉬프트 키
b5: 문자세트 키
b6: 언어선택키
120: 적외선 송신부
130: 전원 온/오프 버튼
140: 터치타입 패드
150: 메인메뉴 조작부
160: 제어부
161: 트래킹 제어모듈
162: 문자세트 가상키 구현모듈
163: 4 방향 가속제어모듈
200: 스마트 TV

Claims (6)

  1. 문자세트 의존성이 없는 키만으로 하드웨어 버튼이 이루어진 스마트 TV용 리모컨으로서,
    문자세트 의존성이 있는 키로 이루어진 제 1 키 배열을 복수의 문자세트 별로 구현한 가상키보드를 스마트 TV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가상키보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상기 가상키보드 상에서 특정의 문자세트에 대한 특정의 문자 선택을 위하여 포커스(c)에 대한 4 방향 이동을 제공하는 4 방향 트래커(110a);
    문자세트 의존성이 없는 키로 이루어진 제 2 키 배열-- 상기 제 2 키 배열은 상기 가상키보드에서 문자세트를 선택하기 위한 문자세트 키를 포함 --을 하드웨어로 형성하여 제어기능 입력을 수행하는 키보드 기능키(110b);
    상기 문자세트 키에 의해 선택된 문자세트를 구현한 가상키보드 상에서 상기 4 방향 트래커(110a)의 조작입력에 따라 상기 포커스(c)를 가상키보드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문자세트 의존성이 있는 키보드 입력을 달성하고, 상기 키보드 기능키(110b)에 대한 조작 입력에 따라 문자세트 의존성이 없는 키보드 입력을 달성하는 제어부(1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상키보드 기반의 하이브리드 문자입력 방식의 스마트 TV용 리모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키 배열은 스페이스 키, 백스페이스 키, 엔터 키, 쉬프트 키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키보드 기반의 하이브리드 문자입력 방식의 스마트 TV용 리모컨.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4 방향 트래커(110a)의 조작입력에 대해 좌우 방향에 대한 가속도 정보를 획득하여 그에 따라 상기 포커스(c)의 좌우 방향 이동 거리에 대한 가속 기능을 구현하는 4 방향 가속제어모듈(163);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가상키보드 기반의 하이브리드 문자입력 방식의 스마트 TV용 리모컨.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 2 키 배열 중에서 4 개의 기능키는 상기 4 방향 트래커(110a)의 십자가 형상을 기준으로 각 코너에 하나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상키보드 기반의 하이브리드 문자입력 방식의 스마트 TV용 리모컨.
  5. 삭제
  6. 삭제
KR1020130017287A 2013-02-19 2013-02-19 가상키보드 기반의 하이브리드 문자입력 방식의 스마트 tv용 리모컨 KR101448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287A KR101448559B1 (ko) 2013-02-19 2013-02-19 가상키보드 기반의 하이브리드 문자입력 방식의 스마트 tv용 리모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7287A KR101448559B1 (ko) 2013-02-19 2013-02-19 가상키보드 기반의 하이브리드 문자입력 방식의 스마트 tv용 리모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637A KR20140103637A (ko) 2014-08-27
KR101448559B1 true KR101448559B1 (ko) 2014-10-13

Family

ID=51747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7287A KR101448559B1 (ko) 2013-02-19 2013-02-19 가상키보드 기반의 하이브리드 문자입력 방식의 스마트 tv용 리모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855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8829A (ja) 1999-12-21 2003-06-10 ティヴォ インク 配信対話型テレビ番組案内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3283867A (ja) 2002-03-22 2003-10-03 Forecast Communications Inc 受信装置
KR20050059365A (ko) * 2003-12-13 2005-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셋탑박스와 연계한 리모콘 포인팅 장치에서의포인터 이동 방법
KR20060110084A (ko) * 2005-04-19 200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프트 키보드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의 문자입력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8829A (ja) 1999-12-21 2003-06-10 ティヴォ インク 配信対話型テレビ番組案内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3283867A (ja) 2002-03-22 2003-10-03 Forecast Communications Inc 受信装置
KR20050059365A (ko) * 2003-12-13 2005-06-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셋탑박스와 연계한 리모콘 포인팅 장치에서의포인터 이동 방법
KR20060110084A (ko) * 2005-04-19 2006-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프트 키보드를 제공하는 방송 수신기 및 그의 문자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637A (ko) 2014-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3921B2 (en) Touch-sensitive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US10379626B2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JP596655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01667058B (zh) 在多系统间切换焦点的交互方法
CN103123543A (zh) 多点触控鼠标
WO2016107462A1 (zh) 一种信息输入方法、装置及智能终端
US20130227477A1 (en) Semaphore gesture for human-machine interface
KR101451943B1 (ko) 화면 제어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셋톱박스
KR101448559B1 (ko) 가상키보드 기반의 하이브리드 문자입력 방식의 스마트 tv용 리모컨
JP5683226B2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装置の動作方法
JP2009223532A (ja) アイコンインタフェースの操作制御方法
KR20150132896A (ko) 터치패드로 구성된 리모컨과 그 작동 방법
JP3211484U (ja) 触感型コントローラー
KR101567046B1 (ko) 터치 키패드의 생성 방법 및 장치
WO2013078621A1 (zh) 用于电子设备的触屏输入方法和电子设备
CN103793044A (zh) 一种手持式遥控装置
KR20180086393A (ko)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KR20180050592A (ko) 컴퓨터 및/또는 스마트 기기간 연동을 통한 하나의 가상키보드 구현 시스템
KR20150057665A (ko) 터치스크린 기반의 한글 자판을 갖는 전자장치에서 한글을 입력하는 방법 및 그 방법의 입력기능을 갖는 전자 장치
KR20140135063A (ko) 한글의 자음과 모음을 입력할 때 한글을 자동으로 영문을 입력하도록 하는 한글자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