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1739B1 - Steering wheel switching unit - Google Patents

Steering wheel switching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1739B1
KR101421739B1 KR1020080038644A KR20080038644A KR101421739B1 KR 101421739 B1 KR101421739 B1 KR 101421739B1 KR 1020080038644 A KR1020080038644 A KR 1020080038644A KR 20080038644 A KR20080038644 A KR 20080038644A KR 101421739 B1 KR101421739 B1 KR 101421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rotary
rotary knob
steering wheel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6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12886A (en
Inventor
백성호
정구익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8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1739B1/en
Publication of KR20090112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8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1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17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5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 mounting or arrangement of operating parts, e.g. push-buttons or k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25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25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02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having an operating member rectilinearly slidable in different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하우징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베이스와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스티어링 휠 스위치 하우징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하우징 커버를 향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형성되는 정전기 스위치 배선 전극을 구비하는 휠 정전기 스위치와, 상기 하우징 커버에 형성되는 로터리 노브 관통구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터리 노브와, 상기 로터리 노브의 하단 및 상기 로터리 노브의 하단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로터리 회전 스위치를 포함하는 휠 로터리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A steering wheel switch housing having a housing base mounted on a steering wheel, and a housing cover coupled to the housing base to form an inner space;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on the steering wheel switch housing; A rotary knob rotatably mounted on a rotary knob through-hole formed in the housing cover, and a lower end of the rotary knob and a lower end of the rotary knob And a rotary rotary switch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ry switch.

Description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STEERING WHEEL SWITCHING UNIT}{STEERING WHEEL SWITCHING UNIT}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어 보다 정확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는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ering wheel switch unit mounted on a steering wheel to enable more accurate operation.

통상적으로, 차량용 스티어링 휠 어셈블리는 스티어링 휠과, 스티어링 컬럼과, 스티어링 롤 커넥터(Sterring Roll Connector) 어셈블리와 그리고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 등을 구비한다.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가 조향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에 의한 스티어링 휠의 회전은 스티어링 컬럼을 통하여 차륜에 전달되어 차량의 조향각을 설정하게 된다. 또한,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되는데, 운전자의 조작성을 고려하여 각종 스위치들은 스티어링 부에 집약되는 경향을 나타낸다. Typically, a steering wheel assembly for a vehicle includes a steering wheel, a steering column, a Sterring Roll Connector assembly, and a multifunctional switch assembly. The steering wheel is for the driver to set the steering direction, and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by the driver is transmitted to the wheel through the steering column to set the steering angle of the vehicle. In addition, a vehicle such as an automobile has a function as a variety of convenience means for enabling a user to provide a more stable and comfortable running state beyond a function as a moving means. Accordingly, various kinds of convenience facilities and various switche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various facilities are provided in the vehicle, and various switches tend to be concentrated in the steering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operability of the driver.

예를 들어, 근래 생산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는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 도우 스위치, 조향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조향 라이트 스위치 및 오디오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스위치,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등이 배치된다. For example, a steering wheel of a currently produced vehicle is provided with a window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a steering light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steering light, an audio switch for driving audio, and a wiper switch for driving the wiper.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는 라이트 및 포그램프, 와이퍼, 각종 오디오 장치 및 차량 윈도우 스위치 등을 구비하는 것으로 운전자로 하여금 각종 장치의 조작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각종 장치의 조작 중에도 전방 주의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하는데, 이는 스티어링 휠의 상부에 버튼 스위치로 구현되거나 스티어링 휠 측면의 레버 스위치로서 구현된다. 또한, 스티어링 휠의 상단에는 운전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에어백이 설치된다. The multifunctional switch assembly is provided with a light and fog lamp, a wiper, various audio devices, and a vehicle window switch so as to increase the operability of various devices by the driver so as not to lose the frontal attention during operation of various devices. Or as a lever switch on the side of the steering wheel. An airbag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steering wheel to secure the safety of the driver.

하지만, 이러한 각종 스위치 장치와 더불어 스티어링 휠의 하단에는 스위치들에 전원을 공급하는 SRC(Steering Roll Connector)/슬립 링(Slip Ring) 등과 같은 구성 요소들이 배치되는데, 이들 SRC와 슬립 링은 구조는 상당한 부피를 차지한다는 점에서 제한된 스티어링 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스위치 등과 같은 다른 구성 요소들의 컴팩트화가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스위치 등의 보다 정확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However, in addition to these various switch devices, components such as SRC (Steering Roll Connector) / slip ring and the like, which supply power to the switches, are arranged at the lower end of the steering wheel. These SRCs and the slip rings have a considerable structure Compactness of other components such as a switch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is required to efficiently use the space of the limited steering portion in terms of occupying the volum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nable more accurate operation of the switches and the like.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는 시소 타입의 스위치로서 사용자에 의한 작동감을 증대시켰으나, 장치의 컴팩트화 및 복잡한 스위치 기능을 단일의 스위치 유니트로 통합하기 어렵고 기계적 작동에 의한 내구성 저하로 장치 연한을 상당히 저해한다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However, the switch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increased the sense of operation by the user as a seesaw type switch, but it is difficult to integrate the compactness of the device and the complicated switch function into a single switch unit, and the durability due to the mechanical operation is considerably inhibited .

본 발명은 내구성을 증대시키며 컴팩트한 구성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스위칭 기능의 보다 정확한 작동을 가능하게 하며 다양한 스위치 기능을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의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ering wheel switch unit having a structure that increases durability and enables a compact configuration, enables a more accurate operation of the switching function, and can integrate various switch function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하우징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베이스와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스티어링 휠 스위치 하우징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하우징 커버를 향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형성되는 정전기 스위치 배선 전극을 구비하는 휠 정전기 스위치와, 상기 하우징 커버에 형성되는 로터리 노브 관통구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터리 노브와, 상기 로터리 노브의 하단 및 상기 로터리 노브의 하단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로터리 회전 스위치를 포함하는 휠 로터리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ering wheel switch comprising: a steering wheel switch housing having a housing base mounted on a steering wheel, and a housing cover coupled to the housing base to form an internal space; A wheel static switch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and an electrostatic switch wiring electrode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oward the housing cover; a rotary knob rotatably mounted on a rotary knob through-hole formed in the housing cover; And a rotary switch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lower end of the rotary knob and a lower end of the rotary knob.

상기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커버를 향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으로, 상기 정전기 스위치 배선 전극이 구획하는 내부 영역에 배치되는 휠 광 근접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The steering wheel switch unit may further include a wheel optical proximity switch disposed on an inner are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facing the housing cover to partition the electrostatic switch wiring electrode.

또한, 상기 로터리 회전 스위치는: 상기 로터리 노브의 하단에 배치되는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와,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으로 상기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로터리 포토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로터리 회전 스위치는: 상기 로터리 노브의 하단에 배치되는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와, 상기 인 쇄회로기판의 일면으로, 상기 로터리 노브의 회동에 따른 상기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의 회동 궤적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로터리 자기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The rotary rotary switch may further include: a rotary switch encoder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rotary knob; and a rotary photosensor disposed corresponding to the rotary switch encoder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 rotary switch magnet disposed on the lower end of the rotary knob and a rotary magnetic senso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 circuit board so as to correspond to a rotation locus of the rotary switch magne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knob have.

상기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노브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하여 탄성 가동 가능한 로터리 노브 가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로터리 노브 가동부의 대응 위치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는 상기 로터리 노브 가동부에 의하여 가동 가능한 로터리 노브 스위치가 구비될 수도 있다. The rotary knob is provided with a rotary knob movable portion that is resiliently movable tow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rotary knob is movable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rotary knob movable portion by the rotary knob movable portion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 possible rotary knob switch may be provided.

상기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한 상기 로터리 노브의 하단에 로터리 노브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로터리 노브 가이드의 대응위치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는 상기 로터리 노브 가이드의 단부와 맞물리어 상기 로터리 노브의 회동 운동을 안내하는 로터리 노브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The rotary knob guide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rotary knob tow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rotary knob guide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ry knob guide with an end of the rotary knob guide, And a rotary knob guide corresponding portion for guiding the rotary motion of the rear rotary knob may be provided.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The steering wheel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는, 휠 정전기 스위치와 휠 로터리 스위치를 구비하여 다양한 작동 모드의 선택을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First, the steering wheel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heel static switch and a wheel rotary switch, thereby enabling various operation modes to be selected, thereby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는, 휠 로터리 스위치는 로터리 노브 스위치를 더 구비하여 로터리 회동에 의한 동작과 더불어 선택된 각각의 작동 모드를 신속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컴팩트한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를 제공할 수 있다. Second, in the steering wheel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 rotary switch further includes a rotary knob switch, thereby providing a compact steering wheel switch unit for rapidly selecting each operation mode selected by the rotary operation can do.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는, 로터리 노브의 안정적인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취하여 스티어링 휠의 좁은 공간에서의 로터리 회동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Third, the steering wheel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tructured to enable stable rotation of the rotary knob, so that the rotary turning operation in a narrow space of the steering wheel can be stably perform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steering wheel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10)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10)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10)의 인쇄회로기판(200)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정전기 스위치(400)와 휠 광 근접 스위치(300)의 개략적인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정전기 스위치(400)의 작동 과정에 대한 개략적인 상태도가 도시되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로터리 스위치(600)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된다. FIG.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steering wheel switch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eering wheel switch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printed circuit board 200 of a steering wheel switch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eering wheel switch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schematic arrangement state of the electrostatic switch 400 and the wheel optical proximity switch 300 is shown in FIG. 5, and a schematic diagram of the operation of the wheel static switch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in FIG. A state diagram is shown, and in Fig. 7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wheel rotary switch 6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10)는 스티어링 휠 스위치 하우징(100)과, 인쇄회로기판(200)과, 휠 정전기 스위치(400)와, 휠 로터리 스위치(600)를 포함하는데, 경우에 따라 휠 광 근접 스위치(30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휠 정전기 스위치(400), 휠 로터리 스위치(600) 및 휠 광 근접 스위치(300)가 모두 구비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10)는 차량(미도시)의 스티어링 휠(1, 도 1 참조)에 장착된다. The steering wheel switch unit 10 includes a steering wheel switch housing 100, a printed circuit board 200, a wheel static switch 400 and a wheel rotary switch 600, (300). In this embodiment, the case where both the wheel static switch 400, the wheel rotary switch 600, and the wheel proximity switch 300 are provided will be describ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The steering wheel switch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steering wheel 1 (see Fig. 1) of a vehicle (not shown).

스티어링 휠 스위치 하우징(100)은 하우징 베이스(120)와 하우징 커버(110)를 구비하는데, 하우징 베이스(120)는 하우징 커버(110)와 함께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즉, 하우징 베이스(120)의 외주에는 베이스 체결부(123)가 구비되고 하우징 커버(110)의 외주면에는 커버 체결부(113)가 구비되는데, 베이스 체결부(123)와 커버 체결부(113)는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내부 공간을 형성한다. 스티어링 휠(1)은 차량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스티어링 휠(1)은 운전자의 스티어링 휠 그립을 위한 스티어링 휠 림(2)과 스티어링 샤프트(미도시)와의 연결을 위한 스티어링 휠 바디(3)가 구비된다. 스티어링 휠 림(2)과 스티어링 휠 바디(3)는 스티어링 휠 연결부(4)를 통하여 연결되는데, 스티어링 휠 연결부(4)에는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장착부(5)가 형성되고,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장착부(5)에는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10)가 장착된다.The steering wheel switch housing 100 has a housing base 120 and a housing cover 110 which is fastened together with the housing cover 110 to form an internal space. The base fixing part 123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base 120 and the cover fixing part 113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110. The base fixing part 123 and the cover fixing part 113, The inner space is formed by engaging with each other. The steering wheel 1 is arranged inside the vehicle and the steering wheel 1 has a steering wheel body 3 for connection between the steering wheel rim 2 for the driver's steering wheel grip and the steering shaft Respectively. The steering wheel rim 2 and the steering wheel body 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steering wheel connecting portion 4. The steering wheel connecting portion 4 is provided with a steering wheel switch unit mounting portion 5 and the steering wheel switch unit mounting portion 5, a steering wheel switch unit 10 is mounted.

하우징 커버(110)의 일면(111)에는 각각의 스위치 기능을 수행하는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기능 표시부(115)가 배치되는데, 기능 표시부(115)는 레이저 에칭 등을 통하여 반투명 상태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하우징 커버(110)의 외주 측면에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연장부에는 커버 체결부(113)가 형성되고 하우징 베이스(120)의 외주 측면으로 커버 체결부(113)의 대응위치에는 베이스 체결부(123)가 구비되는데, 커버 체결부(113)와 베이스 체결부(123)는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취한다. 여기서 커버 체결부(113)가 돌기 구조로 그리고 베이스 체결부(123)가 요홈 구조로 형성되었는데,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로서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체결부와 베이스 체결부는 서로 반대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다른 체결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우징 베이스에는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장착부(5)에 위치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하우징 커버(110)의 중앙에는 로터리 노브 관통구(112)가 형성되는데, 로터리 노브 관통구(112)에는 하기되는 휠 로터리 스위치(600)의 로터리 노브(130)가 회동 가능하게 관통 배치된다. A function display unit 115 is disposed on one surface 111 of the housing cover 110 to display a position where each switch function is performed. The function display unit 115 is configured to form a translucent state through laser etching or the like It is possible. An extension part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housing cover 110 and a cover fastening part 113 is formed on the extension part and a base fastening part 123 is formed on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cover fastening part 113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ide of the housing base 120. [ The cover fastening part 113 and the base fastening part 123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Here, the cover fastening part 113 is formed as a protruding structure and the base fastening part 123 is formed as a recessed structure, which is an example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ver fastening part and the base fasten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 configuration Or a different fastening structure may be used in some cases. Further, although not clearly shown here, the housing base may further include a fastening component to be fixed to the steering wheel switch unit mounting portion 5. A rotary knob through-hole 112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housing cover 110. A rotary knob 130 of the wheel rotary switch 600 is rotatably disposed in the rotary knob through- .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20)는 서로 맞물리어 내부 공간(121)을 형성하는데, 내부 공간(121)에는 인쇄회로기판(200)이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200)에는 각종 소자(미도시)와 배선(미도시)이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200)에는 제어부 등과 같은 외부 전기 장치(미도시)와의 전기적 소통을 위한 커넥터(201)이 배치된다. 커넥터(201)는 하우징 베이스(120)에 형성되는 관통구(미도시)를 통하여 직접 외부 노출되거나 또는 다른 배선을 통하여 유입되는 배선 라인을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루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The housing cover 110 and the housing base 120 mesh with each other to form an internal space 121 in which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is disposed. Various elements (not shown) and wiring (not shown) are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and a connector 201 for electrical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electrical apparatus (not shown) such as a control unit is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 The connector 201 may have a structure to electricall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electrical device through wiring lines that are directly exposed through through holes (not shown) formed in the housing base 120 or through other wiring.

휠 정전기 스위치(400)와 휠 로터리 스위치(600)와 휠 광 근접 스위치(300)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휠 정전기 스위치(400)는 정전기에 의한 전기적 신호 변화를 통하여 스위칭 작동 선택 여부가 결정되고 휠 광 근접 스위치(300)는 발광부와 수광부의 빛의 수신 상태 변화에 의하여 스위칭 작동 선택 여부가 결정된다. 휠 정전기 스위치(400)는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형성되는 정전기 스위치 배선 전극(401,405,403)을 구비한다. 즉, 정전기 스위치 배선 전극(401,405,403)은 인쇄회로기판(200)에 형성되는 배선 전극을 통하여 직접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도 3의 도면 부호 Ai로 지시되는 부분에 대한 부분 확대 평면도가 도 4에 도시되는데, 정전기 스위치 배선 전극(401,405,403)은 복수 개의 도전성 라인으로 인쇄회로기판 상의 배선 라인과 동일한 공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정전기 스위치 배선 전극(401,403,405)은 내부 영역을 구획할 수 있다. 즉, 정전기 스위치 배선 전극(401,403,405)은 복수 개의 라인으로 구비되어 정전기 스위치 내부 전극(403)과, 정전기 스위치 내부 전극(403)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정전기 스위치 외부 전극(401)과, 이들을 연결하는 정전기 스위치 연결 전극(405)으로 구성될 수 있다. 휠 정전기 스위치(400)는 사용자에 의한 손가락 등이 하우징 커버(110)의 일면(111)으로 정전기 스위치 배선 전극(401,403,405)의 배치 위치 상부에 접촉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정전기의 변화는 정전기 스위치 배선 전극(401,403,405)의 전기적 신호 변화를 유도하고 이러한 변화된 전기적 신호는 제어부(30, 도 10 참조)로 전달되어 사용자에 의한 접촉 여부 및 작동 상태 변화 명령을 인지하고 수행하도록 한다. The wheel static switch 400 and the wheel rotary switch 600 and the wheel proximity switch 300 ar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so that the wheel static switch 400 switches the electrical signal by electrostatic Whether or not the switching operation is selected is determined and the wheel optical proximity switch 30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witching operation is selected by the change of the receiving state of the light emitting portion and the light receiving portion. The wheel static switch 400 has electrostatic switch wiring electrodes 401, 405 and 403 form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200. That is, the electrostatic switch wiring electrodes 401, 405, and 403 can be formed directly through wiring electrodes form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4 is a partial enlarged plan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reference symbol Ai in FIG. 3, wherein the electrostatic switch wiring electrodes 401, 405 and 403 can be formed by a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through the same process as a wiring line on a printed circuit board . The electrostatic switch wiring electrodes 401, 403, and 405 can define an internal region. That is, the electrostatic switch wiring electrodes 401, 403, and 405 are provided in a plurality of lines and include an electrostatic switch internal electrode 403, an electrostatic switch external electrode 401 disposed apart from the electrostatic switch internal electrode 403, And a switch connection electrode 405. The wheel static electricity switch 400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a user's finger touches the upper surface 111 of the housing cover 11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osition of the electrostatic switch wiring electrode 401, 403, 405, 403 and 405, and the changed electrical signals ar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0 (see FIG. 10) to recognize and perform a contact change and an operation state change command by the user.

한편, 정전기 스위치 내부 전극(403)은 내부 영역(402)을 구획하는데, 내부 영역(402)의 내측에는 휠 광 근접 스위치(300)가 정전기 스위치 내부 전극(403)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정전기 스위치 배선 전극으로 구성되는 휠 정전기 스위치(400)는 사용자, 특히 운전자의 손가락을 통한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 운전자의 체내에 존재하는 정전기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의 변화가 감지되고 이는 제어부(30, 도 10 참조)로 전달되어 휠 정전기 스위치(400)의 작동 상태 여부가 결정된다. 즉, 사용자가 장갑등을 착용하고 휠 정전기 스위치(400)를 조작하는 경우 휠 정전기 스위치(400)의 접촉에 의한 전기적 신호의 변화는 작동 상태 변화로 인식하도록 사전 설정된 기준 신호 변화 값보다 작아 사용자에 의한 작동 상태 변화 명령이 적절하게 수행되지 않는데, 휠 광 근접 스위치(300)의 존재로 인하여 휠 정전기 스위치(400)의 오동작이 방지 내지 저감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lectrostatic switch inner electrode 403 divides the inner region 402, and the wheel optical proximity switch 300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inner region 402 from the electrostatic switch inner electrode 403. When a user, particularly a contact through a finger of a driver, occurs, a wheel static electricity switch 400 composed of such an electrostatic switch wiring electrode detects a change in an electrical signal due to static electricity present in the driver's body, 10) to determine whether the wheel electrostatic switch 400 is operating. That is, when the user wears gloves or the like and operates the wheel static switch 400, the change of the electrical signal due to the contact of the wheel static switch 400 is smaller than the predetermined reference signal change value The malfunction of the wheel electrostatic switch 400 can be prevented or reduced due to the presence of the wheel optical proximity switch 300. [

이와 같은, 휠 정전기 스위치(400)와 휠 광 근접 스위치(300)는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정전기 스위치(400) 및 휠 광 근접 스위치(300)는 스위치 기능이 요하는 각각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는데, 복수 개의 휠 정전기 스위치(400)/휠 광 근접 스위치(300)는 등각 배치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되, 각각의 이격 거리는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절한 간격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wheel static switches 400 and wheel proximity switches 300 may be disposed. 3, the wheel electrostatic switch 400 and the wheel optical proximity switch 300 may be disposed at respective locations requiring a switch fun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wheel electrostatic switches 400 /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ximity switch 3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roximity switches 300 are arranged in an equally spaced fashion, and each of the spacing distances is preferably formed at an appropriate interval to prevent malfunction.

또한, 휠 광 근접 스위치(300)는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배치되는데, 휠 광 근접 스위치(300)는 휠 정전기 스위치(400)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휠 광 근접 스 위치(300)는 휠 정전기 스위치(400)의 정전기 스위치 내부 전극(403)에 의하여 구획되는 내부 영역(402)에 배치되는데,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배치되되 일단이 하우징 커버(110)를 향하여 장착된다. 휠 광 근접 스위치(300)는 휠 광 근접 스위치 하우징(310)과, 휠 광 근접 스위치 발신부(320)와 휠 광 근접 스위치 수신부(330)를 구비하는데, 휠 광 근접 스위치 발신부(320)와 휠 광 근접 스위치 수신부(330)는 휠 광 근접 스위치 하우징(310)의 내부에 배치된다. 휠 광 스위치 하우징(310)은 상단이 외부와의 빛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재료 내지 구조를 형성한다. 따라서, 사용자, 특히 운전자의 손가락이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10)의 일면(111)으로 각각의 휠 광 근접 스위치(300)의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휠 광 근접 스위치 발신부(320)로부터 출력되는 빛은 손가락에 의하여 반사되고, 반사된 빛은 휠 광 근접 스위치 발신부(320)에 인접한 휠 광 근접 스위치 수신부(330)에 수신된다. 따라서, 휠 광 근접 스위치 수신부(330)에 수신된 빛의 신호에 의하여 전기적 신호가 변화하고 이러한 전기적 신호의 변화는 인쇄회로기판(200)의 회로 배선(미도시)을 통하여 외부/내부 전기 장치로서의 제어부(30, 도 10 참조)로 전달되고, 제어부(30)는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의 변화에 기초하여 운전자에 의한 스위치 조작 여부 및 해당 조작 상태를 판단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각각의 작동 장치(예를 들어, 차량 스피커, 핸즈프리, MP3 등)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휠 광 근접 스위치(300)가 휠 정전기 스위치(400)의 내부 영역(402)에 배치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보다 정확하게 반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wheel optic proximity switch 300 is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and the wheel optic proximity switch 300 is disposed adjacent to the wheel electrostatic switch 400. The wheel optics proximity switch 300 is disposed in the interior area 402 defined by the electrostatic switch internal electrode 403 of the wheel static switch 400. The wheel optics proximity switch 300 is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110). The wheel optical proximity switch 300 includes a wheel optical proximity switch housing 310, a wheel optical proximity switch transmission unit 320 and a wheel optical proximity switch reception unit 330. The wheel optical proximity switch transmission unit 320, The wheel optical proximity switch receiving unit 330 is disposed inside the wheel optical proximity switch housing 310. The wheel optical switch housing 310 forms a material or structure that allows the upper end to communicate light with the outside. Therefore, when the user, particularly the driver's finger, is placed at the position of each wheel proximity switch 300 on one side 111 of the steering wheel switch unit 10, The light is reflected by the finger, and the reflected light is received by the wheel light proximity switch receiving unit 330 adjacent to the wheel light proximity switch transmitting unit 320. Accordingly, the electric signal changes according to the light signal received by the wheel proximity switch receiving unit 330, and the change of the electric signal is detected as an external / internal electric device through the circuit wiring (not show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The control unit 30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switch is operated by the driver and determines the operation state based on the change of the input electrical signal and outputs a corresponding control signal to each of the operation devices For example, a vehicle speaker, handsfree, MP3, etc.). In this way, the wheel light proximity switch 300 is disposed in the inner area 402 of the wheel static switch 400, so that it can respond more accurately to the operation by the user.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는, 휠 정전기 스위치 및 휠 광 근접 스위치는 보다 정확한 작동을 위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커버(110)의 내면에는 스위치 수용부(117)가 구비된다. 즉, 하우징 커버(110)의 내면으로 인쇄회로기판(200)을 향한 배면에는 요홈 구조의 스위치 수용부(117)가 형성되는데, 스위치 수용부(117)는 휠 광 근접 스위치(300)의 위치에 대응도도록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 커버(110)와 하우징 베이스(120)가 체결되는 경우 하우징 커버(110)의 배면과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형성되어 하우징 커버(110)와 인쇄회로기판(200) 상의 간극을 사전 설정된 간극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하우징 커버(110)의 배면은 요홈 구조의 스위치 수용부(117)에 의하여 단차 형성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휠 정전기 스위치(400)보다 두께가 큰 휠 광 근접 스위치(300)가 배치되는 구조로 인하여 휠 정전기 스위치(400)의 작동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 광 근접 스위치(300)의 일단은 스위치 수용부(117)에 수용됨으로써 휠 정전기 스위치(400)의 정전기 스위치 배선 전극(401,403,405)가 하우징 커버(110)의 배면에 밀착 배치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steering wheel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 static switch and the wheel optical proximity switch may have a structure for more accurate operation. As shown in FIG. 5, a switch accommodating portion 117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110. That is, a switch accommodating portion 117 having a concave structure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110 at the rear surface facing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The switch accommodating portion 117 is provided at the position of the wheel optical proximity switch 300 Respectively. When the housing cover 110 and the housing base 12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back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110 and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gap on the substrate 200 is set to a predetermined gap. Accordingly,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110 is structured so as to be stepped by the switch accommodating portion 117 of the groove structure, so that the wheel light proximity switch 300 having a thickness larger than that of the wheel static switch 400 is dispos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rating performance of the wheel static switch 400 from deteriorating. 5, one end of the wheel optical proximity switch 300 is accommodated in the switch accommodating portion 117 so that the electrostatic switch wiring electrodes 401, 403, and 405 of the wheel static switch 40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110 It is possible to adopt a structure in which they are closely arranged.

휠 로터리 스위치(600)는 로터리 노브(130)와, 로터리 회전 스위치(610,620)를 포함하는데, 로터리 노브(130)는 하우징 커버(110)에 형성되는 로터리 노브 관통구(112)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로터리 회전 스위치(610,620)는 로터리 노브(130)의 하단과 로터리 노브 하단의 대응되는 위치로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로터리 스위치(600)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8 및 도 9에는 본 발명에 따른 휠 로터리 스위치(600)의 로터리 회전 스위치의 다양한 유형의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된다. 로터리 회전 스위치(610,620)는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610)와 로터리 포토 센서(620)를 포함하는데,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610)는 로터리 노브(130)의 하단에 배치된다.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610)에 대응되는 위치로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 로터리 포토 센서(620)이 배치되는데, 로터리 노브(130)는 하우징 커버(110)에 대하여 상대 회동 운동 가능하다. 즉, 로터리 노브(130)는 하우징 커버(110)의 로터리 노브 관통구(112)에 삽입되는데, 로터리 노브(130)의 외주에는 로터리 노브 스톱퍼(133)가 구비된다. 로터리 노브 스톱퍼(133)는 로터리 노브 관통구(112)보다 큰 외경을 구비하여 로터리 노브(130)의 원치 않는 분리 이탈을 방지한다. 따라서, 로터리 노브(130)는 하우징 커버(110)와 인쇄회로기판(200)의 사이 공간에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는데, 로터리 노브(130)가 로터리 노브 관통구(112)에서 회동하는 경우, 로터리 노브(130)의 하단에 배치되는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610)도 함게 회동이 이루어지고,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610)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로터리 포토 센서(620)는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61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 변화는 제어부(30, 도 10참조)로 전달되고, 전달된 신호에 대응하는 사전설정된 제어 신호를 저장부(40)와의 소통을 통하여 인출하고, 제어부(30, 도 10 참조)는 저장부(40)로부터 인출한 제어 신호를 핸즈프리, MP3플레이어, 스피커 등과 같은 소정의 작동 유니트(50)로 전달하여 소정의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The wheel rotary switch 600 includes a rotary knob 130 and rotary rotary switches 610 and 620. The rotary knob 130 is rotatably mounted on the rotary knob through- And the rotary rotary switches 610 and 620 are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at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lower end of the rotary knob 130 and the lower end of the rotary knob. 7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wheel rotary switch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8 and 9 show various types of rotary rotary switches of a wheel rotary switch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shown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components of Fig. The rotary rotary switches 610 and 620 include a rotary switch encoder 610 and a rotary photosensor 620. The rotary switch encoder 610 is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rotary knob 130. [ A rotary photosensor 620 is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ry switch encoder 610. The rotary knob 130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housing cover 110. [ That is, the rotary knob 130 is inserted into the rotary knob through-hole 112 of the housing cover 110, and a rotary knob stopper 133 is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ry knob 130. The rotary knob stopper 133 has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rotary knob through-hole 112 to prevent unwanted detachment and separation of the rotary knob 130. [ The rotary knob 130 is rotatably disposed in the space between the housing cover 11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When the rotary knob 130 rotates in the rotary knob through-hole 112, The rotary photosensor 620 dispos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rotary switch encoder 610 detects the rotation state of the rotary switch encoder 610 and detects the rotation state of the rotary switch encoder 610. [ 10), and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signal is extracte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storage unit 40, and the control unit 30 (see Fig. 10) Such as a hands-free, an MP3 player, a speaker, etc., to perform a predetermined control operation.

본 실시예에서 로터리 회전 스위치는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와 로터리 포토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로터리 회전 스위치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 회전 스위치는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610a)와 로터리 자기 센서(미도시, 도 7의 도면부호 620 참조)를 포함하는데,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610a)는 호상(弧狀)의 자성체로서 로터리 노브(130)의 하단에 복수 개가 이격 배치된다. 여기서,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610a)는 이격 배치되는 복수 개의 자성체로 구성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링 타입의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자석으로 구성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로터리 자기 센서(도 7의 도면부호 620 참조)는 로터리 노브(130)의 하단에 대응하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로터리 자기 센서(도 7의 도면부호 620 참조)는 로터리 노브(130)가 하우징 커버(110)의 로터리 노브 관통구(112)에서 회동하는 경우, 인쇄회로기판(200) 상의 일면으로 로터리 노브(130)의 하단에 배치되는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610a)의 회동 궤적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로터리 노브(130)가 사용자에 의하여 회동하는 경우 로터리 노브(130)의 하단으로, 바람직하게는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610a)도 로터리 노브(130)와 함께 회동하고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610a)의 회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기장의 변화를 로터리 자기 센서(도 7의 도면부호 620 참조)가 감지하고 이를 제어부(30, 도 10 참조)로 전달하고 제어부(30)와 저장부(40)의 전기적 소통을 통하여 사전 설정되어 저장된 제어 동작을 위한 제어 신호가 제어부(30)로부터 각각의 작동 유니트(50)로 출력 제어될 수 있다. Although the rotary rotary switch in this embodiment is described as including a rotary switch encoder and a rotary photo sensor, the rotary rotary switc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9, the rotary switch includes a rotary switch magnet 610a and a rotary magnetic sensor (not shown, refer to reference numeral 620 in Fig. 7), and the rotary switch magnet 610a has an arc A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arranged at a lower end of the rotary knob 13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Here, the rotary switch magnet 610a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magnetic bodi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ut may be composed of a ring-type continuously arranged magnet, depending on the case. 7)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rotary knob 130. The rotary magnetic sensor (refer to reference numeral 620 in FIG. 7) When the knob 130 rotates on the rotary knob through-hole 112 of the housing cover 110, the rotation of the rotary switch magnet 610a disposed at the lower end of the rotary knob 130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cus. Therefore, when the rotary knob 130 rotates by the user, the rotary switch magnet 610a, which is preferably disposed at equal intervals from the lower end of the rotary knob 130, rotates together with the rotary knob 130, 7) of the magnetic field sensor (refer to reference numeral 620 in Fig. 7) detects the change of the magnetic field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magnet 610a and transmits the detected change to the control unit 30 A control signal for a preset control operation can be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30 to each operation unit 50. [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휠 로터리 스위치(600)는 로터리 회동 스 위치 이외에 다른 스위치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 노브(130)의 중앙에는 로터리 노브 가동부(131)가 구비되고, 로터리 노브 가동부(131)의 대응 위치로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는 로터리 노브 스위치(50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로터리 노브 스위치(500)는 로터리 노브 가동부(131)에 의하여 가동 가능한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 노브 가동부(131)는 로터리 노브(130)의 구성요소 중 가장 얇은 두께의 구성요소로 구현된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하여 로터리 노브(130)의 중앙 부위, 즉 로터리 노브 가동부(131)가 외력 P에 의하여 가압되는 경우, 로터리 노브 가동부(131)는 하방향으로 가동된다. 물론, 외력 P가 제거되는 경우 로터리 노브 가동부(131)는 탄성 복원되어 원위치 복귀되는 구조를 취한다. 여기서, 로터리 노브 가동부(131)는 로터리 노브(130)와 일체로 구현되는 경우에 대하여 기술되었으나, 경우에 따라 로터리 노브에 장착되는 개별적인 구성요소로 구현될 수도 있는 등 탄성 복원 가능한 구조를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로터리 노브 스위치(500)는 택트 스위치와 같은 구성을 취하여 로터리 회동 스위치와 더불어 다양한 제어 동작 스위칭을 위한 조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Meanwhile, the wheel rotary switch 6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other than the rotary pivot switch. 7, a rotary knob 131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otary knob 130, and a rotary knob switch 131 is dispos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rotary knob movable part 131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500) may be further provided. The rotary knob switch 500 can be operated by the rotary knob moving part 131. The rotary knob moving part 131 is provided with the thinnest component among the components of the rotary knob 130 do. Therefore, when the central portion of the rotary knob 130, that is, the rotary knob movable portion 131 is pressed by the user by the external force P, the rotary knob movable portion 131 is oper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Of course, when the external force P is removed, the rotary knob moving part 131 is resiliently restored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lthough the rotary knob movable part 131 is described as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the rotary knob 130, the rotary knob 130 may be realized as an individual component mounted on the rotary knob, Various variations are possible. In this way, the rotary knob switch 500 can b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tact switch and can be combined with the rotary turning switch for various control operation switching.

또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로터리 노브는 회동 동작을 보다 원활하게 하기 위한 구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 노브(130)의 단부에는 로터리 노브 가이드(135)가 구비되고, 인쇄회로기판(200)으로 로터리 노브(130)의 단부와 마주하는 일면 상에는 로터리 노브 가이드 대응부(220)가 구비된다. 로터리 노브 가이드(135)는 로터리 노브(130)의 하단으로부 터 연장 형성되는 돌기 구조를 취하고, 로터리 노브 가이드 대응부(220)는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 형성되는 요홈 구조를 취하는데, 로터리 노브 가이드(135)는 로터리 노브 가이드 대응부(220)에 수용되어 로터리 노브(130)의 회동이 사전 설정된 위치에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로터리 노브 가이드(135)는 로터리 노브(130)의 하단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취하고 이에 대응하는 로터리 노브 가이드 대응부(220)도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홈 구조를 취하는데, 로터리 노브 가이드와 로터리 노브 가이드 대응부는 호상(弧狀), 즉 로터리 노브의 회동 방향인 원주 방향을 따라 비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이 경우 로터리 노브 가이드 대응부는 호상으로 관통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로터리 노브 가이드가 홈 형상으로 로터리 노브 가이드 대응부가 돌기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the rotary kno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tructure for smoothly performing the turning operation. 2 and 7, a rotary knob guide 135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rotary knob 130. On one side of the rotary knob 130 facing the end of the rotary knob 130, A rotary knob guide corresponding portion 220 is provided. The rotary knob guide corresponding portion 220 has a protruding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rotary knob 130 and the rotary knob guide corresponding portion 220 has a recessed structur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200 The rotary knob guide 135 may be received in the rotary knob guide corresponding portion 220 so that the rotation of the rotary knob 130 can be smoothly per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The rotary knob guide 135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otary knob guide 135 continuously extend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rotary knob 130 and the corresponding rotary knob guide corresponding portion 220 is also continuously formed. The knob guide and the rotary knob guide correspond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n arcuate shape, that is, non-continuou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ch is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tary knob. In this case, the rotary knob guide- You can take it. In some cases, the rotary knob guide may have a groove shape and the rotary knob guide corresponding portion may have a protrusion structur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10)의 작동 과정은 사용자에 의한 휠 정전기 스위치 등의 터치 기능과, 휠 로터리 스위치 등의 회동 기능과 휠 로터리 스위치의 푸시 기능 등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1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상태도가 도시되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10)의 각각의 스위치 작동을 위한 표시 위치를 신속하게 접촉후 분리하는 터치 기능(C)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언급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스트어링 휘리 스위치 유니트는 적절한 스위칭 접촉 위치를 인지하고 작동 상 태 변화 여부를 감지하도록 하는 구성요소로서, 광 표시 램프와 같은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도 있고, 광 표시 램프에서 생성된 빛은 하우징 커버(110)에 형성되는 기능 표시부(115)를 통하여 외부로 출사될 수 있다.Meanwhile,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switch unit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by a touch function such as a wheel static switch by a user, a turning function of a wheel rotary switch, and a pushing function of a wheel rotary switch. 6, there is shown a schematic state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steering wheel switch unit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6, a steering wheel switch unit 10, (C) for quickly separating and then separating the display position for each switch operation of the touch panel. Although not mentioned here, the straining firing switch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nent for recognizing an appropriate switching contact position and detecting whether the operation state is changed or not, and may further include a component such as a light display lamp The light generated in the optical display lamp may be e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function display unit 115 formed on the housing cover 110. [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하여 로터리 노브(130)를 회동시키는 회동 기능(D)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로터리 노브(130)의 상단을 접촉하고 이를 원주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경우 로터리 노브(130)는 원주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때, 로터리 노브(130)의 하단과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로터리 회동 스위치는 로터리 노브(130)의 회동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변화 신호는 제어부(30, 도 10 참조)로 전달되고 제어부(30)는 이에 기초하여 소정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각각의 해당 작동 유니트(5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로터리 노브(130)의 회동에 의하여, 각각의 작동 유니트(50)에 대한 사전설정된 제어 기능의 메뉴 선택 등과 같은 제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고, 로터리 노브 스위치(500)의 가압에 의한 작동을 통하여 선택된 각각의 제어 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푸시 기능(E)이 수행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6A, a turning function D for rotating the rotary knob 130 by the user can be performed. When the user touches the upper end of the rotary knob 130 and rotates it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the rotary knob 130 rotate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this time, the rotary lower switch of the rotary knob 130 and the rotary rotary switch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sense the rotating state of the rotary knob 130, and the sensed chang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0 (see FIG. 10) 30 generates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based on this and outputs a control signal to each corresponding operation unit 50. [ At this time, by the rotation of the rotary knob 130, a control operation such as a menu selection of a predetermined control function for each operation unit 50 can be performed, and by operating the rotary knob switch 500 by pressing A push function E may be performed such that each selected control operation is performed.

또한,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가 광 표시 램프를 더 구비하는 경우, LED와 같은 광 표시 램프는 단순한 스위치 기능의 접촉 위치를 보다 용이하게 인지하도록 하기 위한 광 출사 기능 이외에 스위치 기능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즉, 도 10에 본 발명의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의 작동 제어를 위한 개략적인 블록 선도가 도시되는데, 제어부(30) 및 저장부(40)는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의 외부 및/또는 내부에 배치 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고, 작동 유니트(50)는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10)의 외부에 배치되는 스피커, MP3, 핸즈프리 등과 같은 외부 작동 장치를 나타낸다. 사용자에 의하여 스위칭 기능의 작동 명령이 이루어진 것으로 휠 광 근접 스위치(300) 및 휠 정전기 스위치(400)가 감지한 경우, 각각의 전기적 신호의 변화는 제어부(30)로 전달된다. 제어부(30)는 전달받은 전기적 신호의 변화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데, 이러한 제어 신호의 생성은 저장부(40)에 사전 설정되어 저장된 각각의 작동 유니트(50)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에 대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즉, 핸즈프리 작동 모드, MP3 작동 모드 등 각각의 작동 모드를 제어부(30)가 판단하고 입력되는 각각의 휠 광 근접 스위치/휠 정전기 스위치의 전기적 신호의 변화는 저장부(40)에 사전 설정된 값에 대비되고 각각에 대응하도록 사전 설정된 제어 신호에 대한 데이터는 제어부(30)로 전달되고 제어부(30)는 각각의 제어 신호에 해당하는 작동 유니트(5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소정의 스위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here, in the case where the steering wheel switch unit further includes the optical display lamp, the optical display lamp such as the LED has a light output function for more easily recognizing the contact position of the simple switch function, It may take a structure for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e. 10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switch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30 and the storage unit 40 are structured such that the steering wheel switch unit is disposed outside and / or inside the steering wheel switch unit And the operation unit 50 represents an external operating device such as a speaker, MP3, hands-free, or the like, which is disposed outside the steering wheel switch unit 10. When the wheel optical proximity switch 300 and the wheel static electricity switch 400 sense that the operation command of the switching function is performed by the user, the change of each electric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30. [ The control unit 30 generates a contro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change of the received electrical signal. The generation of the control signal is performed for each of the operation units 50 stored in the storage unit 40, Data is used. That is, the control unit 30 determines the respective operation modes such as the hands-free operation mode and the MP3 operation mode, and the change of the electrical signal of each of the wheel light proximity switch / wheel static switch is inputted to the storage unit 40 at a predetermined value The control unit 30 transmits the control signal to the operation unit 50 corresponding to each control signal to perform a predetermined switch function You may.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지 않고, 휠 정전기 스위치와 휠 광 근접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providing a steering wheel switch unit having a wheel static switch and a wheel optical proximity switch.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steering wheel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2 is a schematic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eering wheel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의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Figure 3 is a schematic partial perspective view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of Figure 2;

도 4는 도 3의 도면 부호 Ai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평면도이다. Figure 4 is a schematic partial plan view for the reference Ai in Figure 3;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5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ng state of a steering wheel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부분 상태도이다. 6 is a schematic partial stat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steering wheel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의 휠 로터리 스위치에 대한 개략적인 부분 단면도이다. 7 is a schematic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a wheel rotary switch of a steering wheel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의 로터리 회동 스위치의 일부 구성요소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8 and 9 are schematic perspective views of some components of a rotary turning switch of a steering wheel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선도이다. 10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n operating process of the steering wheel switch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0002]

1...스티어링 휠 10...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1 ... Steering wheel 10 ... Steering wheel switch unit

30...제어부 40...저장부30 ... control unit 40 ... storage unit

100...휠 스위치 하우징 200...인쇄회로기판100 ... Wheel switch housing 200 ... printed circuit board

300...휠 광 근접 스위치 400...휠 정전기 스위치300 ... Wheel optical proximity switch 400 ... Wheel static switch

500...로터리 노브 스위치 600...휠 로터리 스위치500 ... Rotary Knob Switch 600 ... Wheel Rotary Switch

610,620...로터리 회동 스위치610,620 ... Rotary rotary switch

Claims (6)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하우징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베이스와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스티어링 휠 스위치 하우징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하우징 커버를 향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형성되는 정전기 스위치 배선 전극을 구비하는 휠 정전기 스위치와, 상기 하우징 커버에 형성되는 로터리 노브 관통구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터리 노브와, 상기 로터리 노브의 하단 및 상기 로터리 노브의 하단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로터리 회전 스위치를 포함하는 휠 로터리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스위치를 구비하고,A steering wheel switch housing having a housing base mounted on a steering wheel, and a housing cover coupled to the housing base to form an inner space;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on the steering wheel switch housing; A rotary knob rotatably mounted on a rotary knob through-hole formed in the housing cover, and a lower end of the rotary knob and a lower end of the rotary knob And a rotary switch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eering wheel switch, 상기 하우징 커버를 향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으로, 상기 정전기 스위치 배선 전극이 구획하는 내부 영역에 배치되는 휠 광 근접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Further comprising a wheel proximity switch disposed on an inner region of the electrostatic switch wiring electrode to face the housing cover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로터리 회전 스위치는:The rotary rotary switch includes: 상기 로터리 노브의 하단에 배치되는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와, A rotary switch encoder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rotary knob,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으로 상기 로터리 스위치 엔코더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로터리 포토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And a rotary photo sensor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correspondence with the rotary switch encoder.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로터리 회전 스위치는:The rotary rotary switch includes: 상기 로터리 노브의 하단에 배치되는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와,A rotary switch magnet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rotary knob,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으로, 상기 로터리 노브의 회동에 따른 상기 로터리 스위치 마그네트의 회동 궤적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로터리 자기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And a rotary magnetic sensor disposed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so as to correspond to a rotation locus of the rotary switch magne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ry knob.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로터리 노브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하여 탄성 가동 가능한 로터리 노브 가동부가 구비되고, 상기 로터리 노브 가동부의 대응 위치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는 상기 로터리 노브 가동부에 의하여 가동 가능한 로터리 노브 스위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The rotary knob may be provided with a rotary knob movable part that is resiliently movable tow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rotary knob switch that is movable by the rotary knob moving part on a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to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rotary knob movable part Features a steering wheel switch unit.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하우징 베이스와, 상기 하우징 베이스와 체결되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커버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스위치 하우징과, 상기 스티어링 휠 스위치 하우징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하우징 커버를 향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형성되는 정전기 스위치 배선 전극을 구비하는 휠 정전기 스위치와, 상기 하우징 커버에 형성되는 로터리 노브 관통구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터리 노브와, 상기 로터리 노브의 하단 및 상기 로터리 노브의 하단에 대응되는 위치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로터리 회전 스위치를 포함하는 휠 로터리 스위치를 구비하는 스티어링 휠 스위치를 구비하고,A steering wheel switch housing having a housing base mounted on a steering wheel, and a housing cover coupled to the housing base to form an inner space;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on the steering wheel switch housing; A rotary knob rotatably mounted on a rotary knob through-hole formed in the housing cover, and a lower end of the rotary knob and a lower end of the rotary knob And a rotary switch disposed on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eering wheel switch,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향한 상기 로터리 노브의 하단에 로터리 노브 가이드가 구비되고, 상기 로터리 노브 가이드의 대응위치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는 상기 로터리 노브 가이드의 단부와 맞물리어 상기 로터리 노브의 회동 운동을 안내하는 로터리 노브 가이드 대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Wherein a rotary knob guide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rotary knob tow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rotary motion of the rotary knob is meshed with an end of the rotary knob guide on on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rotary knob guide And a rotary knob guide corresponding to the rotary knob guide is provided.
KR1020080038644A 2008-04-25 2008-04-25 Steering wheel switching unit KR1014217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644A KR101421739B1 (en) 2008-04-25 2008-04-25 Steering wheel switch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644A KR101421739B1 (en) 2008-04-25 2008-04-25 Steering wheel switching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886A KR20090112886A (en) 2009-10-29
KR101421739B1 true KR101421739B1 (en) 2014-07-22

Family

ID=41554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644A KR101421739B1 (en) 2008-04-25 2008-04-25 Steering wheel switching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173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7147A (en) * 2004-08-20 2006-02-23 주식회사 팬택 Multi controll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70016096A (en) * 2003-09-03 2007-02-07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Operating element, particularly for a multi-media system in a motor vehicle
JP2007042489A (en) 2005-08-04 2007-02-15 Pioneer Electronic Corp Switching device
KR100692891B1 (en) 2006-05-18 2007-03-12 삼성전기주식회사 Rotatable inputt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6096A (en) * 2003-09-03 2007-02-07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Operating element, particularly for a multi-media system in a motor vehicle
KR20060017147A (en) * 2004-08-20 2006-02-23 주식회사 팬택 Multi controller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7042489A (en) 2005-08-04 2007-02-15 Pioneer Electronic Corp Switching device
KR100692891B1 (en) 2006-05-18 2007-03-12 삼성전기주식회사 Rotatable inputt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886A (en)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38748B2 (en) Steering wheel haptic device and steering wheel haptic system including the same
JP5393833B2 (en) Steering wheel haptic device
KR101698647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JP2009135059A (en) Inputting device
KR101857283B1 (en) Steering wheel switching haptical unit and apparatus with the same unit
US11186176B2 (en) Multifunctional switch device
KR20120071027A (en) Haptic switch mounted on steering wheel
KR200471132Y1 (en) Room lamp unit for a vehicle
KR101155221B1 (en) Haptic Switch for Vehicle
KR101421739B1 (en) Steering wheel switching unit
JP5824657B2 (en) Rotation operation switch and proximity detection device using the same
KR101706426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KR20090056106A (en) Sensation system with haptic switching unit
KR101268626B1 (en) Steering wheel switching haptical unit and apparatus with the same unit
KR200464058Y1 (en) Multiple switching unit
KR101190381B1 (en) Haptic switching apparatus
KR101093993B1 (en) Swtiching unit mounted on a steering wheel, the switching apparatus having the swtiching unit and the method for controling the apparatus
KR20090111977A (en) Steering wheel switching unit
KR20200045626A (en) Vehiclular multifunctional joystick type switching unit
KR20190042834A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CN212220355U (en) Steering wheel and vehicle with same
KR20180046127A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and operating module with the same
KR102515107B1 (en) Touch switch unit for vehicle
KR101318065B1 (en) Steering wheel switching haptical unit
KR200468779Y1 (en) Swtiching unit mounted on a steering wheel and the switching apparatus having the swtich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