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834A -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 Google Patents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834A
KR20190042834A KR1020170134380A KR20170134380A KR20190042834A KR 20190042834 A KR20190042834 A KR 20190042834A KR 1020170134380 A KR1020170134380 A KR 1020170134380A KR 20170134380 A KR20170134380 A KR 20170134380A KR 20190042834 A KR20190042834 A KR 201900428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knob
housing
rotar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3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한
전종학
Original Assignee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4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2834A/en
Publication of KR20190042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83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for a vehicle which prevents mal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for a vehicle comprises: a housing unit; a switch knob having a knob top separated from an end of the housing unit, and a knob side connected to the knob top to face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unit; a circuit board arranged in the housing unit; a rotary switch unit to sense a rotational operation of the switch knob to generate an output signal; a directional switch unit to sense a tilting directional operation of the switch knob to generate an output signal; and a push switch unit to sense a pressing push operation of the switch knob to generate an output signal. The directional switch unit includes a directional switch sensor arranged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unit to sense an impact created when the switch knob performs a tilting directional operation to allow the knob side to collide with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unit.

Description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본 발명은 차량에 장착되는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합적인 동작 구현을 이루되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조를 갖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unit mounted on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having a simple and compact structure for realizing a complex operation.

차량은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에게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장치와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The function of the vehicle is required as various convenience means for enabling the user to provide a more stable and comfortable running state beyond the function of the moving means. Accordingly, the vehicle is provided with various convenience devices and various switche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the same.

예를 들어, 근래 생산되는 차량의 스티어링 휠에는 윈도우를 개폐시키는 윈도우 스위치, 조향 라이트를 온/오프시키는 조향 라이트 스위치, 오디오를 구동시키는 오디오 스위치, 와이퍼를 구동시키는 와이퍼 스위치,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 등이 배치된다.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는 라이트 및 포그 램프, 와이퍼, 각종 오디오 장치, 차량 윈도우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는 각종 장치의 조작성을 증대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운전 중 각종 장치의 조작에도 전방 주의력을 상실하지 않도록 한다. 다기능 스위치 어셈블리는 스티어링 휠의 상부에 버튼 스위치 형태로 구현되거나, 스티어링 휠의 측면에 레버 스위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For example, a steering wheel of a currently produced vehicle includes a window switch for opening and closing a window, a steering light switch for turning on / off a steering light, an audio switch for driving audio, a wiper switch for driving a wiper, do. The multifunction switch assembly is us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light and fog lamps, wipers, various audio devices, vehicle windows, and the like. Such a multifunctional switch assembly enhances the operability of various devices so that the driver does not lose his or her attention to the operation of various devices during operation. The multifunction switch assembly may be embodied as a button switch on the top of the steering wheel or as a lever switch on the side of the steering wheel.

근래의 자동차용 스위치는 다양한 기능의 스위치가 복합적으로 집약되는 경향을 나타내는데, 기능의 증대만큼 구조가 복잡해지고 복잡한 구조로 인한 오작동 가능성도 증대된다.Recent automotive switches show a tendency that switches of various functions are concentrated in a complex manner, and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by the increase of functions, and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due to a complicated structure is also increased.

공개특허공보 제2017-0051704호 (2017. 05. 12)Patent Publication No. 2017-0051704 (2017. 05.12)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팩트하고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복합적인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오동작을 방지하여 보다 정확한 동작 구현이 가능한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ehicle multi-operating switch unit capable of implementing a complex operation through a compact and simple structure, .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은,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끝단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노브 탑과,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 둘레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노브 탑과 연결되는 노브 사이드를 갖는 스위치 노브;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전 동작을 감지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로터리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 노브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을 감지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 노브의 압입 푸시 동작을 감지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푸시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가 틸팅 디렉셔널 동작하여 상기 노브 사이드가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 둘레부와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내면에 접촉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센서를 구비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including: a housing unit; A switch knob having a knob top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an end of the housing portion and a knob side connected to the knob top to face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A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ortion; A rotary switch unit for sensing an operation of rotating the switch knob and generating an output signal; A direction switch for detecting an operation of the tilting direction of the switch knob and generating an output signal; And a push switch unit for detecting an operation of pushing and pushing the switch knob to generate an output signal, wherein the directional switch unit operates in a tilting direction so that the knob side contacts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unit And a directional switch sensor which is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so as to detect an impact generated when the impact occurs.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센서는 압력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directional switch sensor may be a pressure sensor.

상기 하우징부는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센서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균등 각 분할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hous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directional switch sensor may be disposed in a plurality of equally divided portion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센서는 네 개 구비될 수 있다.Four directional switch sensors may be provided.

상기 로터리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 노브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전 중심축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엔코더 로터 슬릿을 갖는 엔코더 로터와, 상기 엔코더 로터 슬릿의 이동 회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로터리 스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rotary switch portion includes an encoder rotor having a plurality of encoder rotor slits which are coupled to the switch knob so as to be rotatable together with the switch knob and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ortion and are disposed around a rotation center axis of the switch knob, And a rotary switch senso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art to detect the number of times of movement of the encoder rotor slit.

상기 로터리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전 동작을 디텐팅시키는 로터리 디텐트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rotary switch unit may further include a rotary detent unit for detenting the rotating operation of the switch knob.

상기 노브 사이드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 둘레부와 마주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터리 디텐트부는, 상기 노브 사이드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로터리 디텐트와,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는 하우징 수용홈에 수용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재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로터리 디텐트와 상시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로터리 디텐트 볼을 구비할 수 있다.The rotary detent includes a plurality of rotary detents arranged along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knob side, and a plurality of rotary detents provided on the housing accommodating groove, the rotary detent being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knob side, And a rotary detent ball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rotary detent elastic member to maintain a normal contact state with the rotary detent.

상기 하우징부는, 중공형 실린더 형상의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의 내주면에서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스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수용홈은 상기 하우징 바디의 외주면에서 상기 하우징 스포크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Wherein the housing portion includes a hollow cylindrical housing body and a housing spoke exten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body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switch knob, the housing receiving groove being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body, As shown in Fig.

상기 스위치 노브는 상기 엔코더 로터의 회전 중심축과 동일 선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노브 탑의 중간에서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엔코더 로터와 결합되는 노브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switch knob may include a knob rod extending from the middle of the knob column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portion to be coupled with the encoder rotor so as to be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encoder rotor.

상기 푸시 스위치부는,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푸시 고정 단자와, 상기 푸시 고정 단자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푸시 고정 단자와 마주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시 가동 단자와, 상기 푸시 가동 단자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의 압입 푸시 동작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푸시 탄성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push switch portion includes a pushing fixed terminal disposed on the substrate, a pushing movable terminal movably arranged to face the pushing fixed terminal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pushing fixed terminal, And a push resilient holder disposed on the substrate so as to be resiliently deformed by a push-in push operation of the switch knob.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은,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광원에서 발생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는 광투과부를 구비할 수 있다.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ight source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the switch knob may include at least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capable of transmitting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to the outside .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의 실내 스티어링 휠 또는 콘솔 스위치 장치 등에 장착되어 운전자의 차량의 네비게이션 장치, 오디오 멀티미디어 장치 내지 공조 장치 등의 차량의 실내 사용되는 전기적 동작을 선택 내지 조정할 수 있도록 복합적인 동작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mplement a complex operation by being installed in an indoor steering wheel of an automobile, a console switch device, or the like so as to be able to select and adjust the electrical operation of the vehicle such as a navigation device, an audio multimedia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은 구성요소를 최소화하고 스위치 센서 등을 단일 기판 측으로 집중시켜 전기적 배선의 문제를 최소화하고 이로 인한 설계 자유도를 증진시킴과 아울러 조립성을 향상시켜 생산성 증진으로 인한 원가 절감을 이룰 수 있다.Further,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components, concentrates the switch sensor and the like on the single substrate side, minimizes the problem of the electrical wiring, improves the degree of freedom in design and improves the assemblability, Savings can be achieved.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은 단일 기판의 사용 등의 컴팩트한 구성 또는 다양한 동작의 배치 영역의 구획 등을 통하여 장착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구성요소 간의 간섭으로 인한 오작동 가능성을 방지 내지 최소화시킬 수 있다.Further,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minimize a mounting space through a compact configuration such as the use of a single board or a division of arrangement areas of various operations, and prevents or minimizes the possibility of malfunction due to inter- .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은 스위치 노브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 시 요구되는 스트로크 공간을 최소화하여 장착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고 컴팩트한 구조가 가능하다.Further,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a stroke space required in a tilting directional operation of the switch knob, thereby minimizing a mounting space and enabling a compact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을 절단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의 로터리 디텐트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에 구비되는 스위치 노브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을 나타낸 것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exploded views of a vehicle multi-operating switch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rotary detent of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llustrates a tilting directional operation of the switch knob of the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을 분해하여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 is an exploded view of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100)은 하우징부(110)와, 하우징부(110)의 상부 끝단에 가동적으로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120)와, 하우징부(110)의 내측에 배치되는 기판(130)과, 스위치 노브(120)의 움직임에 따라 신호를 발생하는 로터리 스위치부(140)와 디렉셔널 스위치부(160) 및 푸시 스위치부(170)와, 빛을 발생하는 광원(180)을 포함한다. 스위치 노브(120)는 회전 동작과 틸팅 디렉셔널 동작 및 압입 푸시 동작이 가능하다. 이러한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100)은 차량의 다양한 기능, 예를 들어 오디오, 네비게이션, 공조 장치 등의 다양한 차량용 전장 장치를 조정 제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a multi operating switch unit 100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unit 110, a switch knob 120 movably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housing unit 110, A rotary switch unit 140 for generating a signal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witch knob 120, a directional switch unit 160 and a push switch unit 170 And a light source 180 generating light. The switch knob 120 is capable of rotating operation, tilting directional operation, and push-in push operation. Such a multi-operating switch unit 100 for a vehicle can be used to control various functions of the vehicle, for example, various vehicle electric apparatuses such as audio, navigation, air conditioner, and the like.

하우징부(110)는 하우징 바디(111)와, 하우징 바디(111)의 하부 끝단을 덮는 하우징 바텀 커버(112)를 포함하고, 상부 끝단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된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 바디(111)는 중공형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 바디(111)의 내측에는 복수의 하우징 스포크(113)가 배치된다. 하우징 스포크(113)는 하우징 바디(111)의 상부 끝단 측에 치우치게 배치되어 하우징 바디(111)의 내주면에서 스위치 노브(120)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하우징 스포크(113)는 하우징 바디(111)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균등 각 분할되어 배치되어 하우징 바디(111)의 중앙 부분에서 만난다. 복수의 하우징 스포크(113)가 만나는 하우징 바디(111)의 중앙 부분에는 스위치 노브(120)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하우징 관통구(114)가 마련된다. 복수의 하우징 스포크(113)에는 후술할 로터리 디텐트부(147)의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재(149)가 수용되는 하우징 수용홈(115)이 구비된다. 하우징 수용홈(115)은 하우징 바디(111)의 외주면에서 하우징 스포크(113)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다.The housing part 110 includes a housing body 111 and a housing bottom cover 112 covering the lower end of the housing body 111 and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end opened. The housing body 111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a plurality of housing spokes 113 ar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body 111. The housing spokes 113 are biased to the upper end side of the housing body 111 and extend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switch knob 120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body 111. A plurality of housing spokes 113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body 111 and meet at a central portion of the housing body 111. A housing through hole 114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housing body 111 where a plurality of housing spokes 113 meet in the direction of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switch knob 120. The plurality of housing spokes 113 is provided with a housing receiving groove 115 in which a rotary detent elastic member 149 of a rotary detent portion 147 to be described later is accommodated. The housing receiving groove 115 extend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body 111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spoke 113.

하우징부(11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내측에 기판(130) 등을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고 스위치 노브(120)를 가동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structure shown in the figure, the housing part 110 may be provided with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substrate 130 and the like, and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other structures capable of supporting the switch knob 120 movably.

스위치 노브(120)는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우징부(110)의 상부 끝단에 가동적으로 배치된다. 스위치 노브(120)는 노브 탑(121)과, 노브 탑(121)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노브 사이드(122)를 포함한다.The switch knob 120 is movably dispos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portion 110 so that the switch knob 120 can be operated by a user. The switch knob 120 includes a knob top 121 and a knob side 122 disposed at the edge of the knob top 121.

노브 탑(121)은 하우징부(110)의 상부 끝단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하우징부(110)의 상부 끝단을 덮는다. 노브 사이드(122)는 노브 탑(121)의 가장자리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부(110)의 외측 둘레부와 마주한다. 구체적으로, 노브 사이드(122)는 하우징부(110)의 외측 둘레부와 마주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우징부(110)의 외측 둘레부를 감싼다.The knob top 121 is spaced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part 110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part 110. The knob side 122 extends downward from the edge of the knob top 121 and faces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110. Specifically, the knob side 122 is formed in a ring shape fac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110 and surrounds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110.

노브 탑(121)의 저면에는 노브 로드(123)가 하측으로 돌출된다. 노브 로드(123)는 스위치 노브(120)의 회전 중심축과 동일 선 상에 배치되도록 노브 탑(121)의 중간에서 하우징부(110)의 내측으로 연장된다. 노브 로드(123)에는 후술할 고정부재(190)가 결합되는 노브 로드 체결구(124)가 구비된다. 노브 로드(123)는 하우징부(110)의 하우징 관통구(114)를 통과하여 하우징부(110) 내측에 배치되는 엔코더 로터(142)와 결합된다.A knob rod 123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knob top 121. The knob rod 123 extends inward of the housing portion 110 in the middle of the knob tower 121 so as to be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switch knob 120. The knob rod 123 is provided with a knob rod fastener 124 to which a fixing member 19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he knob rod 123 is coupled to an encoder rotor 142 that passes through the housing through hole 114 of the housing part 110 and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art 110.

노브 탑(121)에는 하우징부(110) 내측의 광원(180)에서 발생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는 광투과부(125)가 구비된다. 스위치 노브(120)는 일부분만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광투과성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전체가 광투과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knob top 121 is provided with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125 through which light generated in the light source 180 inside the housing portion 110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e switch knob 120 may be formed of a light transmissive structure capable of transmitting only a part of light, or may be made entirely of a light transmissive material.

스위치 노브(120)는 도시된 구조 이외에, 하우징부(110)의 외측 둘레부와 마주하는 노브 사이드를 구비하여 틸팅 디렉셔널 동작 시 노브 사이드가 하우징부(110)의 외측 둘레부와 충돌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The switch knob 120 may have a knob side fac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portion 110 so that the knob side may collide with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housing portion 110 in a tilting directional operation It can be changed into various other structures.

기판(130)은 하우징 바텀 커버(112)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우징부(110)의 내측에 배치된다. 기판(130)은 로터리 스위치부(140)와, 디렉셔널 스위치부(160)와, 푸시 스위치부(170) 및 광원(18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기판(130)의 형상이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substrate 130 is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ortion 110 to be supported by the housing bottom cover 112. The substrate 1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otary switch unit 140, the directional switch unit 160, the push switch unit 170, and the light source 180. The shape and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ubstrate 130 can be variously changed.

로터리 스위치부(140)는 스위치 노브(120)의 회전 동작을 감지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로터리 스위치부(140)는 스위치 노브(12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하우징부(11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엔코더 로터(142)와, 엔코더 로터(142)의 회전을 감지할 수 있도록 기판(130)에 배치되는 로터리 스위치 센서(145)와, 스위치 노브(120)의 회전 동작을 디텐팅시키는 로터리 디텐트부(147)를 포함한다.The rotary switch unit 140 senses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switch knob 120 and generates an output signal. The rotary switch unit 140 includes an encoder rotor 142 rotatably arranged inside the housing unit 110 so as to rotate together with the switch knob 120, A rotary switch sensor 145 disposed on the substrate 130 and a rotary detent portion 147 detentting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switch knob 120. [

엔코더 로터(142)는 스위치 노브(120)의 회전 중심축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엔코더 로터 슬릿(143)을 갖는다. 로터리 스위치 센서(145)는 엔코더 로터(142)의 회전에 따른 엔코더 로터 슬릿(143)의 이동 회수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엔코더 로터(142)의 중앙에는 고정부재(190)가 삽입되는 엔코더 로터 관통구(144)가 구비된다. 엔코더 로터(142)는 고정부재(190)에 의해 스위치 노브(120)의 노브 로드(123)와 결합된다.The encoder rotor 142 has a plurality of encoder rotor slits 143 disposed around the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switch knob 120. The rotary switch sensor 145 senses the number of times the encoder rotor slit 143 is mov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encoder rotor 142 and generates a detection signal. The encoder rotor 142 is provided at its center with an encoder rotor through-hole 144 into which a fixing member 190 is inserted. The encoder rotor 142 is engaged with the knob rod 123 of the switch knob 120 by a fixing member 190.

로터리 스위치 센서(145)는 광센서 또는 엔코더 로터 슬릿(143)의 이동 회수를 감지할 수 있는 다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로터리 스위치 센서(145)의 감지 신호는 기판(130)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The rotary switch sensor 145 may be provided in a different form capable of detecting the number of movements of the optical sensor or the encoder rotor slit 143. The sensing signal of the rotary switch sensor 145 may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ubstrate 130.

로터리 디텐트부(147)는 복수의 로터리 디텐트(148)와,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재(149)와, 로터리 디텐트 볼(150)을 포함한다. 복수의 로터리 디텐트(148)는 노브 사이드(122)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된다. 로터리 디텐트(148)는 도시된 것과 같이 돌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재(149)는 하우징부(110)에 구비되는 하우징 수용홈(115)에 수용된다. 로터리 디텐트 볼(150)은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재(149)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로터리 디텐트(148)와 상시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재(149)와 로터리 디텐트 볼(150)은 스위치 노브(120)의 회전 중심축 둘레를 따라 각각 복수 개가 균등 각 분할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재(149)와 로터리 디텐트 볼(150)이 네 개씩 90도 간격으로 배치된 것으로 나타냈으나,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재(149)와 로터리 디텐트 볼(150)의 개수와 배치 각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rotary detent portion 147 includes a plurality of rotary detents 148, a rotary detent elastic member 149, and a rotary detent ball 150. A plurality of rotary detents 148 are dispos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knob side 122. The rotary detent 148 may have a protruding shape as shown. The rotary detent elastic member 149 is accommodated in a housing receiving groove 115 provided in the housing part 110. The rotary detent ball 150 is resiliently supported by the rotary detent elastic member 149 and maintains a normal contact state with the rotary detent 148. The rotary detent elastic member 149 and the rotary detent ball 150 may be arranged in a plurality of equally angularly divided positions along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switch knob 120, respectively. The rotary detent elastic member 149 and the rotary detent ball 150 are arrang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by four. However, the number of the rotary detent elastic members 149 and the number of the rotary detent balls 150 And the placement angle can be variously changed.

디렉셔널 스위치부(160)는 스위치 노브(120)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을 감지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디렉셔널 스위치부(160)는 스위치 노브(120)가 틸팅 디렉셔널 동작하여 노브 사이드(122)가 하우징부(110)의 외측 둘레부와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우징 바디(111)의 내면에 접촉 배치되는 복수의 디렉셔널 스위치 센서(161)를 구비한다. 디렉셔널 스위치 센서(161)는 하우징 바디(111)의 내주면을 따라 균등 각 분할되어 배치된다. 복수의 디렉셔널 스위치 센서(161)는 디렉셔널 스위치 홀더(162)에 지지되어 하우징 바디(111)의 내주면에 상시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디렉셔널 스위치 홀더(162)의 내측에는 디렉셔널 스위치 센서(161)의 검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전기 배선이 배치될 수 있다. 디렉셔널 스위치 센서(161)의 검출 신호는 디렉셔널 스위치 홀더(162)의 전기 배선과 디렉셔널 스위치 홀더(162)에 연결되는 디렉셔널 커넥터(163)를 통해 기판(130)으로 전달될 수 있다.The directional switch unit 160 senses the tilting directional operation of the switch knob 120 and generates an output signal. The directional switch unit 160 is connected to the housing body 111 so that the switch knob 120 operates in a tilting direction to detect an impact generated when the knob side 122 collides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using unit 110. [ And a plurality of directional switch sensors 161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he directional switch sensor 161 is arranged in an evenly angular manner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body 111. The plurality of directional switch sensors 161 are supported by the directional switch holder 162 and can maintain a constant contact state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body 111. An electric wiring capable of transmitting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irectional switch sensor 161 may be disposed inside the directional switch holder 162. The detection signal of the directional switch sensor 161 can be transmitted to the substrate 130 through the electric wiring of the directional switch holder 162 and the directional connector 163 connected to the directional switch holder 162.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위치 노브(120)가 틸팅 디렉셔널 동작하여 노브 사이드(122)가 하우징부(110)의 외측 둘레부와 충돌할 때, 디렉셔널 스위치부(160)는 디렉셔널 스위치 센서(161)로 하우징부(110)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함으로써 스위치 노브(120)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에 따른 출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복수의 디렉셔널 스위치 센서(161)는 하우징 바디(111)의 내주면을 따라 균등 각 분할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스위치 노브(120)의 충돌에 따라 하우징부(110)에서 충격이 발생할 때 각 디렉셔널 스위치 센서(161)가 감지하는 충격의 크기에 따라 스위치 노브(120)의 틸팅 디렉셔널 방향 구분이 가능하다.8, when the switch knob 120 operates in a tilting direction so that the knob side 122 collides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110, the directional switch portion 160 is connected to the directional switch sensor An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tilting directional operation of the switch knob 120 can be generated by sensing an impact generated in the housing part 110 by the switch 161. The plurality of directional switch sensors 161 are arranged in an equally divided manner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body 111. Therefore, when the shock is generated in the housing unit 110 due to the impact of the switch knob 120, The direction of the tilting direction of the switch knob 120 can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shock sensed by the sensor 161. [

디렉셔널 스위치 센서(161)는 피에조 센서 등의 압력 센서나, 또는 하우징부(110)의 충격을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도면에는 네 개의 디렉셔널 스위치 센서(161)가 90도 간격으로 균등 각 분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디렉셔널 스위치 센서(161)의 개수나 배치 각도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directional switch sensor 161 may be a pressure sensor such as a piezo sensor or various other structures capable of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by sensing the impact of the housing part 110. [ In the figure, four directional switch sensors 161 are equally angularly divided at intervals of 90 degrees. However, the number and arrangement angles of the directional switch sensors 161 may be variously changed.

푸시 스위치부(170)는 스위치 노브(120)의 압입 푸시 동작을 감지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한다. 푸시 스위치부(170)는 기판(130) 상에 배치되는 푸시 고정 단자(172)와, 푸시 고정 단자(172)와 접촉할 수 있도록 푸시 고정 단자(172)와 마주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시 가동 단자(173)와, 푸시 가동 단자(173)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푸시 탄성 홀더(174)를 포함한다. 푸시 탄성 홀더(174)는 고무 등 스위치 노브(120)의 노브 로드(123)에 의해 탄성 변형되었다가 원상 복원될 수 있는 탄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ush switch unit 170 senses push-push operation of the switch knob 120 and generates an output signal. The push switch portion 170 includes a push fixing terminal 172 disposed on the substrate 130 and a push operation movable movably in opposition to the push fixing terminal 172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push fixing terminal 172. [ A terminal 173, and a push resilient holder 174 for movably supporting the push movable terminal 173. [ The push resilient holder 174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which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knob rod 123 of the switch knob 120 such as rubber and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이러한 푸시 스위치부(170)는 사용자가 스위치 노브(120)를 압입 푸시 동작 시킬 때, 푸시 탄성 홀더(174)가 탄성 변형되어 푸시 가동 단자(173)가 푸시 고정 단자(172)와 접촉함으로써 출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 노브(120)에 대한 가압력이 해제되면 푸시 탄성 홀더(174)가 원상 복원되어 푸시 가동 단자(173)가 푸시 고정 단자(172)로부터 이격된다.When the user pushes and operates the switch knob 120, the push resilient holder 174 is resiliently deformed so that the push movable terminal 173 contacts the push fixing terminal 172, Lt; / RTI > When the pushing force to the switch knob 120 is released, the push resilient holder 174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pushing movable terminal 173 is separated from the pushing fixed terminal 172. [

광원(180)은 기판(130) 상에 배치되어 스위치 노브(120) 측으로 빛을 조사한다. 광원(180)은 로터리 스위치부(140)와 디렉셔널 스위치부(160) 및 푸시 스위치부(170) 각각에서 발생하는 출력 신호에 따라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180)은 로터리 스위치부(140)와 디렉셔널 스위치부(160) 및 푸시 스위치부(170) 각각의 출력 신호에 따라 각기 다른 색상의 빛, 또는 다른 패턴으로 빛을 발생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광원(180)이 로터리 스위치부(140)와 디렉셔널 스위치부(160) 및 푸시 스위치부(170) 동작에 따라 빛을 발생함으로써 사용자는 스위치 노브(120)의 동작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The light source 180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130 and emits light toward the switch knob 120. The light source 180 may operate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s generated by the rotary switch unit 140, the directional switch unit 160, and the push switch unit 170, respectively. For example, the light source 180 may generate light in different colors or different patterns according to the output signals of the rotary switch unit 140, the directional switch unit 160, and the push switch unit 170 Lt; / RTI > The light source 180 generates ligh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rotary switch unit 140, the directional switch unit 160 and the push switch unit 170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recognize the operation of the switch knob 120.

도면에는 복수의 광원(180)이 기판(130)의 상면에 이격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광원(180)의 설치 개수나 배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Although the plurality of light sources 180 are shown as being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130, the number of the light sources 180 and the arrangement positions thereof may be variously changed.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numer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110 : 하우징부 111 : 하우징 바디
112 : 하우징 바텀 커버 113 : 하우징 스포크
120 : 스위치 노브 121 : 노브 탑
122 : 노브 사이드 123 : 노브 로드
124 : 노브 로드 체결구 125 : 광투과부
130 : 기판 140 : 로터리 스위치부
142 : 엔코더 로터 143 : 엔코더 로터 슬릿
145 : 로터리 스위치 센서 147 : 로터리 디텐트부
148 : 로터리 디텐트 149 :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재
150 : 로터리 디텐트 볼 160 : 디렉셔널 스위치부
161 : 디렉셔널 스위치 센서 162 : 디렉셔널 스위치 홀더
163 : 디렉셔널 커넥터 170 : 푸시 스위치부
171 : 푸시 스위치 172 : 푸시 고정 단자
173 : 푸시 가동 단자 174 : 푸시 탄성 홀더
180 : 광원
100: Vehicle multi-operating switch unit
110: housing part 111: housing body
112: housing bottom cover 113: housing spoke
120: switch knob 121: knob top
122: Knob side 123: Knob rod
124: knob rod fastener 125: light transmitting portion
130: Substrate 140: Rotary switch part
142: Encoder rotor 143: Encoder rotor slit
145: Rotary switch sensor 147: Rotary detent part
148: Rotary detent 149: Rotary detent elastic member
150: Rotary detent ball 160: Directional switch part
161: Directional switch sensor 162: Directional switch holder
163: Directional connector 170: Push switch part
171: push switch 172: push lock terminal
173: Push operation terminal 174: Push resilient holder
180: Light source

Claims (11)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끝단으로부터 이격 배치되는 노브 탑과,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 둘레부와 마주하도록 상기 노브 탑과 연결되는 노브 사이드를 갖는 스위치 노브;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기판;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전 동작을 감지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로터리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 노브의 틸팅 디렉셔널 동작을 감지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 및
상기 스위치 노브의 압입 푸시 동작을 감지하여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푸시 스위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가 틸팅 디렉셔널 동작하여 상기 노브 사이드가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 둘레부와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내면에 접촉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A housing part;
A switch knob having a knob top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an end of the housing portion and a knob side connected to the knob top to face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A substrate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ortion;
A rotary switch unit for sensing an operation of rotating the switch knob and generating an output signal;
A direction switch for detecting an operation of the tilting direction of the switch knob and generating an output signal; And
And a push switch unit for detecting an operation of pushing and pushing the switch knob to generate an output signal,
The directional switch unit,
And a directional switch sensor disposed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part so as to sense an impact generated when the knob side contacts the outer circumferential part of the housing part by operating the tilting direction of the switch knob.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vehic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센서는 압력 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rectional switch sensor comprises a pressure senso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센서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주면을 따라 복수 개가 균등 각 분할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3. The method of claim 2,
The housing part is formed in a cylinder shape,
Wherein the directional switch senso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equally divided portions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portion.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센서는 네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our directional switch sensors are provi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와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 노브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전 중심축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엔코더 로터 슬릿을 갖는 엔코더 로터와,
상기 엔코더 로터 슬릿의 이동 회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로터리 스위치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ry switch unit includes:
An encoder rotor having a plurality of encoder rotor slits that are coupled to the switch knob to be rotatable together with the switch knob and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ortion and disposed along a rotation center axis of the switch knob,
And a rotary switch sensor disposed inside the housing part to detect the number of times of movement of the encoder rotor sl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전 동작을 디텐팅시키는 로터리 디텐트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rotary switch unit further comprises a rotary detent unit for detenting the turning operation of the switch knob.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사이드는 상기 하우징부의 외측 둘레부와 마주하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터리 디텐트부는,
상기 노브 사이드의 내주면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로터리 디텐트와,
상기 하우징부에 구비되는 하우징 수용홈에 수용되는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재와,
상기 로터리 디텐트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상기 로터리 디텐트와 상시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로터리 디텐트 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knob side is formed in a ring shape facing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The rotary detent portion
A plurality of rotary detents arranged along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knob side,
A rotary detent elastic member accommodated in a housing receiving groove provided in the housing portion;
And a rotary detent ball that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rotary detent elastic member and maintains a normal contact state with the rotary deten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중공형 실린더 형상의 하우징 바디와,
상기 하우징 바디의 내주면에서 상기 스위치 노브의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우징 스포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수용홈은 상기 하우징 바디의 외주면에서 상기 하우징 스포크의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8. The method of claim 7,
The housing part,
A hollow cylinder-shaped housing body,
And a housing spoke extending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body in the rotation center axis direction of the switch knob,
Wherein the housing receiving groove extends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body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spok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노브는 상기 엔코더 로터의 회전 중심축과 동일 선 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노브 탑의 중간에서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엔코더 로터와 결합되는 노브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switch knob includes a knob rod extending from the middle of the knob top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portion to be coupled with the encoder rotor so as to be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encoder rotor.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스위치부는,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푸시 고정 단자와,
상기 푸시 고정 단자와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푸시 고정 단자와 마주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푸시 가동 단자와,
상기 푸시 가동 단자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의 압입 푸시 동작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기판에 배치되는 푸시 탄성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ush-
A push fixing terminal disposed on the substrate,
A pushing movable terminal movably arranged to face the pushing fixed terminal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pushing fixed terminal,
And a push resilient holder movably supporting the push movable terminal and disposed on the substrate so as to be resiliently deformed by the pushing and pushing operation of the switch knob.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광원에서 발생하는 빛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는 광투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ight source disposed on the substrate,
Wherein the switch knob includes at least a light transmitting portion through which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can be transmitted to the outside.
KR1020170134380A 2017-10-17 2017-10-17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KR2019004283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380A KR20190042834A (en) 2017-10-17 2017-10-17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380A KR20190042834A (en) 2017-10-17 2017-10-17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834A true KR20190042834A (en) 2019-04-25

Family

ID=66282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380A KR20190042834A (en) 2017-10-17 2017-10-17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2834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3239A1 (en) * 2019-12-02 2021-06-10 Kuster North America, Inc. Rotary selector knob with graphical displa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1704A (en) 2015-10-30 2017-05-12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1704A (en) 2015-10-30 2017-05-12 엘에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3239A1 (en) * 2019-12-02 2021-06-10 Kuster North America, Inc. Rotary selector knob with graphical display
US11807098B2 (en) 2019-12-02 2023-11-07 Kuster North America, Inc. Rotary selector knob with graphical displ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0084B2 (en) Multi-way operation switch, input device and input unit
US9536689B2 (en)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vehicles
US6525283B2 (en) Multifunction rocker switch
KR101698647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KR102603759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JP6674540B2 (en) Multi-operating switch unit for vehicles
KR20190042834A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KR102565839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JP4046107B2 (en) Multi-directional operation switch
KR20180042517A (en) Vehiclular tumbler switiching unit
KR101706426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EP1605329B1 (en) Haptic feedback input device
KR20210111402A (en) Lever type vehicular remote shifting switching unit
KR101435283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US20190043684A1 (en) Vehicle-mounted equipment operating device
KR101514154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KR101481259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JP4063753B2 (en) Joystick type input device
KR20190071501A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JP4209300B2 (en) Joystick type input device
KR102506453B1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KR20090008639A (en) Button unit for a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in a vehicle
CN112216546B (en) Electronic switch
KR20190032066A (en) Switch knob and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having the same
KR20180046125A (en) Vehicular multi-operating switching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