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08162B1 - electromotive baby carriage - Google Patents

electromotive baby carri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08162B1
KR101408162B1 KR1020130014946A KR20130014946A KR101408162B1 KR 101408162 B1 KR101408162 B1 KR 101408162B1 KR 1020130014946 A KR1020130014946 A KR 1020130014946A KR 20130014946 A KR20130014946 A KR 20130014946A KR 101408162 B1 KR101408162 B1 KR 1014081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ensor
power
handle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9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명태식
고준빈
김소율
방현석
류완호
Original Assignee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14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816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81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81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B62B5/0404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automatic
    • B62B5/0423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automatic braking or blocking when leaving a particular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08Braking mechanisms; Locking devices against movemen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5Programmable logic controllers, e.g. simulating logic interconnections of signals according to ladder diagrams or function ch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lly automatic baby carriage, having front wheels and rear wheels, connecting a front seat frame and a rear seat frame to each other to support a seat, and including a handle gripped by a guardia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ully automatic baby carriage comprising: a battery installed therein; a power switch for switching whether to supply power from the battery; a driving switch for switching whether to perform electromotive drive using power supplied via the power switch; a sensor installed in the handle and driven by supplying the power of the battery to sense the guardian; a drive part for rotating the front wheels or the rear wheels according to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by the driving switch and the sensed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and determining whether a brake is operated according to the sensed signal from the sensor; and a safety device installed in the handle for forcefully block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drive part by the driving switch.

Description

전자동 유모차{electromotive baby carriag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motive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전자동 유모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호자의 영역 밖으로 벗어난 유모차를 자동으로 정지시킬 수 있도록 한 전자동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ully automatic stroll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ully automatic stroller capable of automatically stopping a stroller out of the area of a protector.

유모차는 유아를 태워서 밀거나 끌고 다니는 차의 일종으로서, 안전성 및 기능성 등을 고려한 다양한 종류의 유모차가 제안되고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A baby carriage is a kind of car that pushes and drives an infant, and various types of baby carriages are proposed in consideration of safety and functionality.

안전성을 고려한 측면에서는 바퀴 또는 바퀴휠을 고정하는 고정장치를 부착한 유모차가 개시된 바 있으며, 기능성을 고려한 측면에서는 바퀴 또는 바퀴 회전축에 전동장치를 연결하여 경사지 등을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는 유모차가 개시된 바 있다.
In view of safety, a stroller with a fixing device for fixing a wheel or a wheel is disclosed. In view of functionality, a stroller is disclosed in which a power transmission device is connected to a wheel or a wheel rotation shaft to smoothly move a slant or the like have.

그러나, 고정장치를 구비한 유모차는 고정장치를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부주의할 경우에 경사지 등에서의 사고를 피할 수 없게 된다.However, since the stroller with the fixing device must manually operate the fixing device by the user, it is impossible to avoid an accident at an incline or the like when the user is careless.

한편, 전동장치를 구비한 유모차는 전동장치로 인해 오르막의 경사지 등에서는 많은 도움을 받을 수 있으나, 이 역시 안전을 위해서는 별도의 고정장치를 사용자가 조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즉, 전동장치와 고정장치는 별개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by carriage equipped with 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an be greatly assisted in the uphill slope due to the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but it is also troublesome for the user to operate the separate fixing apparatus for safety. That is, the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are configured to operate separately.

따라서, 유모차의 안전성(고정장치)과 기능성(전동장치)을 조합하여 일괄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 필요하다 할 것이다.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onfiguration capable of collectively controlling the combination of the safety (fixing device) and the functionality (transmission device) of the baby carriage.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32478호(공개일 2010.03.26.)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32478 (published on March 26, 2010).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유모차를 수동 또는 전동식으로 운전할 수 있는 한편 보호자와 유모차가 멀어지게 되면 유모차를 자동으로 정지시키는 전자동 유모차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ully automatic baby stroller that can operate the stroller manually or electromagnetically while automatically stopping the stroller when the protector is separated from the stroller. There is a purpose.

상술한 목적은, 전륜과 후륜이 구비되는 한편 프론트 시트프레임과 리어 시트프레임이 상호 연결되게 설치되어 시트를 지지하며 보호자가 파지하게 되는 핸들을 포함하는 유모차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에 설치되는 배터리; 상기 배터리로부터의 전원 공급 여부를 스위칭하는 전원스위치; 상기 전원스위치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한 전동식 구동 여부에 대해 스위칭하는 구동스위치; 상기 핸들에 설치되는 한편 배터리의 전원 공급에 의해 작동되어 보호자를 감지하는 센서; 상기 구동스위치에 의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과 상기 센서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전륜 또는 후륜을 회전시키며,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브레이크의 제동 여부가 결정되는 구동부; 및 상기 핸들에 설치되어 구동스위치에 의해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강제 차단시킬 수 있는 안전장치;를 포함하는 전자동 유모차에 의해 달성된다.The above-described object is achieved by a stroller including front and rear wheels, a front seat frame and a rear seat frame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support the seat, and a protector grips the stroller. A power switch for switching whether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A drive switch for switching on whether the motor is driven by using a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switch; A sensor installed on the handle and operated by a power supply of the battery to detect the protector; A driving unit that rotates a front wheel or a rear wheel in response to a power supplied from a battery by the driving switch and a sens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and determines whether the brake is to be braked in response to a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And a safety device installed on the handle and capable of forcibly cutting off power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by the driving switch.

그리고, 상기 구동부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 상기 모터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감속 전달하는 감속기; 상기 감속기와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는 한편 그 양단부에는 전륜 또는 후륜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축; 및 상기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회전되는 축을 제동하거나 또는 제동을 해제시키는 전자클러치브레이크;를 포함한다.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motor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A speed reducer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motor and configured to decelerate and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A shaft rotatably connected to the speed reducer and having front and rear wheels fixed to both ends thereof; And an electromagnetic clutch brake for braking or releasing a braking shaft which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a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and is rotated.

또, 상기 안전장치는, 상기 핸들에 형성되는 소켓부; 상기 소켓부에 결합되어 전기적 회로를 연결하고 분리되면 전기적 회로를 차단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에 그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핸들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연결와이어;를 포함한다.The safety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socket formed on the handle; A plug coupled to the socket portion to connect the electric circuit and disconnect the electric circuit when the electric circuit is disconnected to shut off the power supply; And a connecting wir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lug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handle.

게다가, 상기 전륜 또는 후륜 또는 전,후륜 모두는 공기 주입식 바퀴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wheel or the rear wheel or both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are constituted by inflatable wheels.

본 발명의 전자동 유모차에 따르면, 보호자가 잡고 있던 유모차의 핸들을 놓쳐 유모차와 보호자 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으로 벗어나게 되면, 전자클러치브레이크가 유모차를 자동으로 제동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automatic baby stroll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andle of the baby stroller is held by the protector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baby stroller and the protector deviates by a certain distance, the electromagnetic clutch brake automatically brakes the baby stroller, .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유모차를 수동 또는 전동식으로 운전할 수 있으므로 운전 상황에 따른 다양한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baby carriage can be operated manually or electromotively, various operations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driving conditions.

특히, 유모차를 전동식으로 운전할 때, 유모차의 전원공급을 강제로 차단하여 유모차의 전동식 구동을 정지시켜 주므로 위급상황에 신속히 대처하여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when the stroller is driven by an electric motor, the electric power supply of the stroller is forcibly interrupted to stop the electric driving of the stroller, so that it is possible to quickly cope with an emergency situation and prevent accidents.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유모차의 후륜을 공기 주입식 바퀴로 구성함으로써 유모차의 운전 중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을 완충시켜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ar wheel of the baby carriage is constituted by the inflatable wheels, vibrations that may occur during operation of the baby carriage can be buffered to safely protect the bab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유모차의 구성도로서, 도 1a는 평면 사시도이고, 도 1b는 저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유모차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유모차의 후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유모차의 핸들을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유모차의 제어회로 블럭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동 유모차의 제어흐름도이다.
1 is a structural view of a fully automatic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FIG. 1A is a plan perspective view and FIG. 1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2 is a side view of a fully automatic baby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ear view of the automatic baby carri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view of a handle of a fully automatic baby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trol circuit block diagram of a fully automatic baby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trol flowchart of the fully automatic baby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 도 1a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동 유모차를 도시한 도면이다.FIGS. 1A to 6 are views showing a fully automatic baby stro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전자동 유모차(100)는 도 1a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100)의 골격을 이루는 프론트 시트프레임(110)과 리어 시트프레임(120)이 상호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 시트프레임(110)과 리어 시트프레임(120) 사이에는 서포트프레임(130)이 설치되어 유모차(100)를 보강 지지한다.1A and 1B, a front seat frame 110 and a rear seat frame 120, which are the skeleton of the baby carriage 100, and a rear seat frame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support frame 130 is provided between the seat frame 110 and the rear seat frame 120 to reinforce and support the baby carriage 100.

특히, 상기 프론트 시트프레임(110)은 상하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된 "∩"자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그 전면에는 유아가 탑승하게 되는 시트(미도시)가 설치되고, 상단부에는 보호자가 파지하게 되는 핸들(111)이 형성되며, 상기 핸들(111)을 통해서 보호자는 유모차(100)를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프론트 시트프레임(110)의 하단부에는 전륜(112)이 설치되고, 상기 전륜(112)은 프론트 시트프레임(110)에서 자유롭게 회전되어 조향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In particular, the front seat frame 110 is a frame having an "-shaped shape formed by being bent upward and downward. The front seat frame 110 is provided with a seat (not shown) on its front surface for carrying an infant, 111), and the protector can safely operate the stroller 100 through the handle 111. [0031] A front wheel 112 is provided at a lower end of the front seat frame 110 and the front wheel 112 is freely rotatably installed in the front seat frame 110 to be steered.

그리고, 상기 리어 시트프레임(120)은 프론트 시트프레임(110)의 중앙부와 후륜(160)을 연결하는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서, 그 일단부는 프론트 시트프레임(110)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타단부는 후술될 베이스플레이트(140)에 연결되어 설치된다.The rear seat frame 120 has a U-shaped frame connec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seat frame 110 and the rear wheel 160. One end of the U-shaped frame is fixed to the front seat frame 11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ase plate 14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서포트프레임(130)은 좌우 한쌍의 양 프레임으로 형성되고, 그 양단부가 각각 프론트 시트프레임(110)과 리어 시트프레임(12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The support frame 130 is formed of a pair of left and right frames, and both ends of the support frame 130 are fixed to the front seat frame 110 and the rear seat frame 120, respectively.

한편, 상기 유모차(100)의 하부에는 베이스플레이트(140)가 전후 방향으로 설치되는 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40)는 그 선단부가 프론트 시트프레임(110)의 하부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후단부는 리어 시트프레임(12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40)의 후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가이드블럭(141)이 이격 형성된다.A base plate 140 is install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aby carriage 100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The base plate 140 has its distal end fix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seat frame 110, And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eat frame 120. A pair of guide blocks 141 protruding downwar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rear end of the base plate 140.

상기 가이드블럭(141)에는 베어링을 매개로 후륜축(161)이 회전가능하게 관통되어 설치되고, 상기 후륜축(161)의 양단부에는 각각의 후륜(160)이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후륜(160)은 통상의 유모차(100)에 설치되는 바퀴와는 달리 공기 주입식 바퀴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은 공기 주입식 바퀴는 유모차(100)의 주행 중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을 바퀴에서 흡수하여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유모차(100)의 후륜(160)만을 공기 주입식 바퀴로 구성할 수도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후륜(160)과 더불어 전륜(112) 역시도 공기 주입식 바퀴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A rear wheel shaft 161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guide block 141 via a bearing and each rear wheel 160 is fixedly secured to both ends of the rear wheel shaft 161. At this time, the rear wheel 160 is preferably constructed of an inflatable wheel unlike a wheel installed on a conventional baby carriage 100, and such an infant wheel can be used to prevent vibrations that may occur during traveling of the baby carriage 100 It can be absorbed by the wheel to buffer. Therefore, only the rear wheel 160 of the baby carriage 100 may be constituted by an inflatable type wheel,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but it is more preferable to configure the front wheel 112 in addition to the rear wheel 160 as an inflatable type wheel .

한편, 상기와 같은 유모차(100)는 보호자에 의한 수동식으로 주행될 수도 있고, 또는 구동부에 의한 전동식으로 자동 주행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baby carriage 100 as described above may be manually operated by a guardian, or may be automatically driven by an electric motor by a driving unit.

상기 구동부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스위치(220)에 의해 배터리(18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과 후술될 센서(200)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후륜(160)을 회전시키며, 상기 센서(200)의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브레이크의 제동 여부를 결정한다.2 and 3, the driving unit rotates the rear wheel 160 in response to a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180 by the driving switch 220 and a sens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determines whether or not the brake is to be braked in response to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200.

특히, 상기 유모차(100)에는 구동부를 비롯한 유모차(100)의 모든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이 구성되는 바, 전원공급수단은 베이스플레이트(140)의 하면에 설치되는 배터리(180)와, 배터리(180)의 전원 공급 여부를 스위칭하는 전원스위치(210)와, 전원스위치(21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한 전동식 구동 여부에 대해 스위치하는 구동스위치(220)를 포함한다.In particular, the stroller 100 is provided with 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power to all the components of the stroller 100 including the driving unit. The power supply means includes a battery 180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40, A power switch 210 for switching whether the battery 180 is powered or not, and a drive switch 220 for switching on or off electric power using a power source supplied through the power switch 210.

상기 전원스위치(210)와 구동스위치(220)는 보호자가 이를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핸들(111)의 일측에 각각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ower switch 210 and the drive switch 220 are preferably formed on one side of the handle 111 so that the protector can easily operate the power switch 210 and the drive switch 220.

그리고, 상기 배터리(180)는 별도의 충전수단을 통해서 충전할 수도 있고, 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모차(100)에 구성되는 차양막이나 핸들 등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하여 태양에너지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또는 유모차(100)의 전륜(112) 또는 후륜(160)에 발전기를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도 있다.The battery 180 may be charged through a separate charging means or solar energy can be used by attaching a solar panel to an ornamental wall or handle formed on the stroller 100, 100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wheel 112 or the rear wheel 160 to charge the battery.

또한, 상기 배터리(180)와 이격된 베이스플레이트(140)의 하면 후단부에는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150)가 설치되고, 모터(150)의 단부에는 모터(150)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전달하는 감속기(151)가 연결되어 설치되며, 감속기(151)의 단부에는 감속기(151)에 의해 감속 회전되는 구동풀리(152)가 설치된다.A motor 150 is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40 spaced apart from the battery 180. The motor 150 generates rotational force when power is supplied thereto. And a drive pulley 152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speed reducer 151 to be reduced in speed by the speed reducer 151.

상기 구동풀리(152)와 이격된 후륜축(161)에는 피동풀리(162)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피동풀리(162)는 구동풀리(152)와 벨트(153)를 매개로 연결되어 연동된다. 이때, 상기 벨트(153)는 소음이 적은 고무재질의 타이밍벨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driven pulley 162 is fixedly mounted on the rear wheel shaft 161 separated from the driving pulley 152 and the driven pulley 162 is linked to the driving pulley 152 via a belt 153.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belt 153 is formed of a timing belt made of a rubber material with low noise.

한편,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벨트(153)를 이용하여 각 풀리(152)(162)를 연결하여 후륜축(161)을 회전시키는 동력전달방식을 예시하고 있으나, 기어 맞물림에 의한 동력전달방식도 이용할 수 있다. 즉, 감속기(151)와 후륜축(161)이 다수의 기어를 통해서 연결되어 모터(150)의 동력을 후륜축(161)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rotating the rear wheel shaft 161 by connecting the pulleys 152 and 162 using the belt 153 is illustrated. However, the power transmission system Can also be used. That is, the reducer 151 and the rear wheel shaft 16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plurality of gears to transmit the power of the motor 150 to the rear wheel shaft 161.

따라서, 모터(150)의 회전력은 감속기(151)를 통해 구동풀리(152)로 감속 전달되고, 구동풀리(152)와 벨트(153)를 매개로 연결된 피동풀리(162)는 구동풀리(152)에 의해 연동되어 후륜축(161)과 같이 감속 회전됨으로써 유모차(100)를 전동식으로 자동 주행시키게 된다.The driven pulley 162 connected to the drive pulley 152 via the belt 153 is driven by the drive pulley 152 and the drive pulley 152 is driven by the drive pulley 152. Thu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50 is transmitted to the drive pulley 152 through the reducer 151, So that the baby carriage 100 is automatically driven in an electrically operated manner.

그리고, 상기 핸들(111)의 중앙부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배터리(180)의 전원 공급에 의해 작동되어 보호자를 감지하는 센서(200)가 설치된다. 상기 센서(200)는 포토센서(근접센서)로 구성될 수 있고, 또는 보호자가 유모차(100)의 핸들(111)을 파지하는 여부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포토센서와 터치센서 모두를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포토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보호자의 위치는 포토센서와 보호자 간의 거리가 50㎝ 이상이 되면, 센서의 감지신호가 발생되지 않아 보호자가 이탈된 것으로 간주하도록 설계된다.As shown in FIG. 4, a sensor 20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handle 111 to sense the protector by being powered by the battery 180. The sensor 200 may be a photosensor (proximity sensor) or a touch sensor that senses whether the protector holds the handle 111 of the stroller 100, You can configure both sensors. Here, the position of the protector sensed by the photosensor is designed such that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photosensor and the protector is 50 cm or more, the protector is regarded as being detached because no sensor signal is generated.

또, 상기 핸들(111)에는 구동스위치(220)에 의해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강제 차단시킬 수 있는 안전장치(230)가 더 구성되고, 상기 안전장치(230)는 핸들(111)에 형성되는 소켓부(231)와, 상기 소켓부(231)에 삽입되어 전기적 회로를 연결하고 분리되면 전기적 회로를 차단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플러그(232)와, 상기 플러그(232)에 그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핸들(111)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연결와이어(233)를 포함한다.The handle 111 is further provided with a safety device 230 for forcibly cutting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driving unit by the drive switch 220. The safety device 230 is formed on the handle 111 A plug 232 inserted into the socket portion 231 and connected to the electric circuit to cut off the power supply when the electric circuit is disconnected and disconnected from the electric circuit;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connecting wire 233 fixedly mounted on the handle 111. [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안전장치(230)가 핸들(111)에 구성된 것을 일례로 예시하였으나, 핸들(111) 이외에도 보호자가 전동으로 구동되는 유모차(100)를 놓쳤을 때 가장 빨리 유모차(100)를 잡을 수 있는 부분에 설치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afety device 23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handle 111.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guard 100 is driven by electric power in addition to the handle 111, It can also be installed on the part where it can be.

한편, 상기 후륜축(161)이 설치되는 일측의 가이드블럭(141)에는 상기 센서(2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회전되는 후륜축(161)을 제동하거나 또는 제동을 해제시키는 전자클러치브레이크(170)가 설치된다.An electromagnetic clutch brake (not shown) for braking or releasing the brake of the rear wheel shaft 161, which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200, is provided at one guide block 141 on which the rear wheel shaft 161 is installed 170 are installed.

상기 전자클러치브레이크(170)는 동력전달의 단속을 수행함과 아울러 차량 등에서 이용되는 브레이크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 브레이크의 제동력은 모터(150)의 구동력보다 크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유모차(100)의 핸들(111)을 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수나 오작동으로 인해 구동스위치(220)가 눌릴 경우에도 제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The electromagnetic clutch brake 170 includes a brake used in a vehicle or the like in addition to interrupting the transmission of power.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150. The braking state can be maintained even when the driving switch 220 is pressed due to a mistake or a malfun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handle 111 of the stroller 100 is not gripped.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유모차(100)를 전동식으로 자동 주행시키는 한편 제동하는 구동부와 각각의 스위치(210)(220), 안전장치(230) 등은 유모차(100)에 구성되는 컨트롤유닛(190)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컨트롤유닛(190)은 베이스플레이트(140)의 하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40)의 상면에는 유아용품 등을 적재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unit for automatically driving and braking the baby carriage 100 electrically, and the switches 210 and 220, the safety device 230, and the like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90 configured in the baby carriage 100, And the control unit 190 may be installed on a low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40.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140 may be equipped with baby goods or the lik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자동 유모차(100)는, 전원스위치(210)를 온(on)시킨 후, 유모차 핸들(111)을 파지한 상태에서 수동식으로 운전하거나 또는 구동스위치(220)를 눌러 모터(150)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유모차(100)를 전동식으로 운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유모차 핸들(111)을 파지하지 않을 경우에는 자동으로 유모차(100)의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The automatic still stroll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can be operated by manually operating the stroller handle 111 while grasping the stroller handle 111 after the power switch 210 is turned on, or by pressing the drive switch 220 So that the baby carriage 100 can be operated electrically. On the other hand, when the baby carriage handle 111 is not gripped, the baby carriage 100 is automatically braked.

또한, 모터(150)에 의한 유모차(100)의 전동 주행 시 센서(200)의 오작동으로 인해 위급상황이 발생된 경우에는 유모차(100)의 핸들(111)에 구성되어 있는 안전장치(230)의 연결와이어(233)를 잡고 당기면 플러그(232)가 소켓부(231)로부터 분리되면서 구동스위치(220)에 의해 배터리(180)와 모터(150) 간에 연결된 회로를 차단시켜 주므로 모터(150)의 작동을 정지시키게 된다.When an emergency occurs due to a malfunction of the sensor 200 when the motor 150 is running while the motor 150 is running, the safety device 230 of the handle 111 of the stroller 100 The plug 232 is disconnected from the socket portion 231 and the circuit connected between the battery 180 and the motor 150 is cut off by the drive switch 220 when the connection wire 233 is pulled, .

그리고, 상기와 같이 안전장치(230)가 작동되면, 컨트롤유닛(190)은 안전장치(230)와 연동하여 전자클러치브레이크(170)를 작동시켜 유모차(100)를 제동하여,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safety device 230 is operat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unit 190 operates the electromagnetic clutch brake 170 in conjunction with the safety device 230 to brake the baby carriage 100, .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동식 유모차의 제어회로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circuit of an electric baby s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자동 유모차(100)의 제어회로는, 배터리(180)와, 배터리(18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 여부를 스위칭하는 전원스위치(210)와, 전원스위치(21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에 대하여 모터(150)로의 전원 공급 여부를 스위칭하는 구동스위치(220)와, 유모차 핸들(111)의 파지 여부나 보호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200)와, 구동스위치(22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과 센서(200)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구동이 이루어지는 모터(150)와, 센서(200)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브레이크의 제동 여부를 제어하는 전자클러치브레이크(170)를 포함한다.
5, the control circuit of the fully automatic baby carriag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ttery 180, a power switch 210 for switching whether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180 is supplied, a power switch 210 A sensor 200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the baby carriage handle 111 is grasped or the position of a caregiver, a drive switch 220 for detecting whether the baby carriage handle 111 is grasped, A motor 150 that is driven in response to a power supplied from the sensor 200 and a power supplied through the sensor 200, and an electromagnetic clutch 150 that controls the braking of the brake in response to the sens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200. [ And a brake (170).

구동스위치(220)과 센서(200)의 구동 여부에 따른 모터(150)와 전자클러치브레이크(170)의 동작 상태는 아래 [표 1]과 같다.The operation states of the motor 150 and the electromagnetic clutch brake 170 according to whether the drive switch 220 and the sensor 200 are driven are shown in Table 1 below.

센서 onSensor on 센서 offSensor off 구동스위치 onDrive switch on 모터 구동Motor driven 모터 구동Motor driven 브레이크 해제Brake release 브레이크 작동Brake operation 구동스위치 offDrive switch off 모터 정지Motor stop 모터 정지Motor stop 브레이크 해제Brake release 브레이크 작동Brake operation

상기한 [표 1]에서와 같이, 센서(200) 및 구동스위치(220)가 모두 동작하는 경우에는, 유모차(100)를 전동식으로 운전할 수 있는 경우이며, 센서(200)는 동작하고 구동스위치(220)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유모차(100)를 수동식으로 운전할 수 있는 경우이고, 센서(200)는 동작하지 않고 구동스위치(220)가 동작하는 경우에는, 모터(150)가 구동되더라도 브레이크의 제동력에 의해 브레이크의 제동 상태가 계속 유지되는 상태이며, 센서(200) 및 구동스위치(220)가 모두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브레이크의 제동상태가 유지된다.
As shown in Table 1, when both the sensor 200 and the driving switch 220 are operated, the stroller 100 can be operated electrically. The sensor 200 operates and the driving switch When the driving switch 220 is operated without the sensor 200 being operated and the motor 150 is driven,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s 100 can be controlled The braking state of the brake is maintained by the braking force and the braking state of the brake is maintained when neither the sensor 200 nor the driving switch 220 is operated.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전자동 유모차의 제어흐름도이다.6 is a control flowchart of a fully automatic baby s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전원스위치(210)의 동작 여부에 있어(S1), 전원스위치(210)가 온되지 않으면, 전자클러치브레이크(170)는 제동이 이루어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유모차(100)는 운전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S2). 물론, 전자클러치브레이크(170)의 기구적인 조작을 통해 수동식의 운전이 가능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6, when the power switch 210 is operated (S1) and the power switch 210 is not turned on, the electromagnetic clutch brake 170 maintains the braked state, And the stationary state is maintained (S2). Of course, manual operation may be possible through the mechanical operation of the electromagnetic clutch brake 170. [

전원스위치(210)가 온되면, 센서(200)로 전원이 공급된다.When the power switch 210 is turned on, power is supplied to the sensor 200.

센서(200)는 유모차 손잡이의 파지 여부나 또는 보호자의 위치(거리)를 감지한다(S3).The sensor 200 senses whether the stroller handle is gripped or the position (distance) of the protector (S3).

유모차 핸들(111)을 파지하지 않을 경우나 센서(200)로부터 50㎝ 이상 벗어난 경우에는 센서(200)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되지 않게 되며, 이에 전자클러치브레이크(170)는 브레이크 제동이 이루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구동스위치(220)가 눌려지지 않는 이상, 모터(150)는 구동 정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S4~S5).When the stroller handle 111 is not gripped or is separated from the sensor 200 by 50 cm or more, a sensing signal is not generated from the sensor 200, and the electromagnetic clutch brake 170 is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brake is braked And the motor 150 is maintained in the stopped state (S4 to S5) unless the drive switch 220 is pressed.

이때, 유모차 핸들(111)을 파지하지 않았거나 또는 보호자가 유모차로부터 50㎝ 이상 벗어났음에도 불구하고, 오작동 또는 실수 등에 의하여 구동스위치(220)가 눌릴 경우에는, 전자클러치브레이크(170)의 제동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유모차(100)의 진행을 방지한다(S6). 이는, 전자클러치브레이크(170)의 제동력이 모터(150)의 구동력보다 크기 때문에, 유모차(100)의 제동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driving switch 220 is depressed due to a malfunction or a mistake even though the baby carriage handle 111 is not gripped or the protector is displaced by more than 50 cm from the baby carriage, the braking state of the electromagnetic clutch brake 170 Thereby preventing the baby carriage 100 from proceeding (S6). This is because the braking force of the electromagnetic clutch brake 170 is larger than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150 so that the braking state of the baby carriage 100 can be maintained.

한편, 유모차 핸들(111)을 파지한 경우에는 센서(200)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하게 되며, 이에 모터(150)는 구동 준비 상태를 유지하고, 전자클러치브레이크(170)는 제동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troller handle 111 is grasped, a sensing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sensor 200, so that the motor 150 maintains the driving preparation state and the electromagnetic clutch brake 170 releases the braking state .

이때, 구동스위치(220)가 눌러지면 모터(150)가 구동된다. 이에 유모차(100)가 전동식으로 운전되게 된다(S7~S10). 이때, 안전장치(230)는 온(ON) 상태로서 모터(150)가 구동되나, 안전장치(230)가 오프(OFF) 즉 작동되어 플러그(232)와 소켓부(231)가 분리되면 모터(150)로의 전원공급이 차단되어 모터(150)가 정지될 뿐 아니라 컨트롤유닛(190)에 의해 전자클러치브레이크(170)가 제동되어, 유모차(100)의 주행을 정지시키게 된다(S8).At this time, when the drive switch 220 is pressed, the motor 150 is driven. Thus, the baby carriage 100 is driven electrically (S7 to S10). At this time, when the safety device 230 is turned on and the motor 150 is driven but the safety device 230 is turned off or operated so that the plug 232 and the socket part 23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control unit 190 stops the electromagnetic clutch brake 170 so that the driving of the baby carriage 100 is stopped in step S8.

한편, 구동스위치(220)가 눌려지지 않았더라도, 전자클러치브레이크(170)는 제동이 해제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수동식으로 유모차를 조작할 수 있다(S11).
On the other hand, even if the drive switch 220 is not pressed, the electromagnetic clutch brake 170 maintains the braked state, so that the baby carriage can be manually operated (S11).

한편, 이렇게 전동식 또는 수동식으로 이동하는 중에 유모차 핸들(111)을 놓치거나 유모차(100)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벗어나게 되는 경우에는 센서(200)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전자클러치브레이크(170)는 브레이크 제동 상태로 전환된다. 이에 경사지 등에서의 유모차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stroller handle 111 is missed or the stroller 100 deviates from the stroller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sensor 200 does not generate a detection signal and the electromagnetic clutch brake 170 The brake is switched to the braking state. Thus,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of a baby carriage on a slope or the like.

이상과 같이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0 : 유모차 110 : 프론트 시트프레임
111 : 핸들 112 : 전륜
120 : 리어 시트프레임 130 : 서포트프레임
140 : 베이스플레이트 141 : 가이드블럭
150 : 모터 151 : 감속기
152 : 구동풀리 153 : 벨트
160 : 후륜 161 : 후륜축
162 : 피동풀리 170 : 전자클러치브레이크
180 : 배터리 190 : 컨트롤유닛
200 : 센서 210 : 전원스위치
220 : 구동스위치 230 : 안전장치
231 : 소켓부 232 : 플러그
233 : 연결와이어
100: stroller 110: front seat frame
111: handle 112: front wheel
120: rear seat frame 130: support frame
140: base plate 141: guide block
150: motor 151: speed reducer
152: drive pulley 153: belt
160: rear wheel 161: rear wheel shaft
162: driven pulley 170: electromagnetic clutch brake
180: Battery 190: Control unit
200: sensor 210: power switch
220: drive switch 230: safety device
231: socket part 232: plug
233: connecting wire

Claims (4)

전륜(112)과 후륜(160)이 구비되는 한편 프론트 시트프레임(110)과 리어 시트프레임(120)이 상호 연결되게 설치되어 시트를 지지하며 보호자가 파지하게 되는 핸들(111)을 포함하는 유모차(100)에 있어서,
상기 유모차(100)에 설치되는 배터리(180);
상기 배터리(180)로부터의 전원 공급 여부를 스위칭하는 전원스위치(210);
상기 전원스위치(21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한 전동식 구동 여부에 대해 스위칭하는 구동스위치(220);
상기 핸들(111)에 설치되는 한편 배터리(180)의 전원 공급에 의해 작동되어 보호자를 감지하는 센서(200);
상기 구동스위치(220)에 의해 배터리(18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과 상기 센서(200)로부터 전달된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전륜(112) 또는 후륜(160)을 회전시키며, 상기 센서(200)의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브레이크(170)의 제동 여부가 결정되는 구동부; 및
상기 핸들(111)에 설치되어 구동스위치(220)에 의해 구동부로 공급되는 전원을 강제 차단시킬 수 있는 안전장치(230);를 포함하며,
(a) 상기 센서(200)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하지 않고, 상기 구동스위치(220)가 온 스위칭 상태일 경우에, 모터 구동 및 브레이크 작동 상태로 되며;
(b) 상기 센서(200)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하지 않고, 상기 구동스위치(220)가 오프 스위칭 상태일 경우에, 모터 정지 및 브레이크 작동 상태로 되며;
(c) 상기 센서(200)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구동스위치(220)가 온 스위칭 상태일 경우에, 모터 구동 및 브레이크 해제 상태로 되며;
(d) 상기 센서(200)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구동스위치(220)가 오프 스위칭 상태일 경우에, 모터 정지 및 브레이크 해제 상태로 되며;
(e) 상기 센서(200)로부터 감지신호가 발생하고, 상기 안전장치(230)에 의해 전원이 차단된 상태일 경우에, 모터 정지 및 브레이크 작동 상태로 되며;
상기 (a)에서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보다 상기 브레이크의 제동력이 큰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c)에서는 전동식 운전이 이루어지며,
상기 (d)에서는 수동식 운전이 가능한 전자동 유모차.
The front seat frame 110 and the rear seat frame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front wheel frame 112 and the rear wheel 16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100,
A battery 180 installed in the stroller 100;
A power switch 210 for switching power supply from the battery 180;
A drive switch 220 for switching on whether the motor is driven by using a power supplied through the power switch 210;
A sensor 200 mounted on the handle 111 and operated by a power supply of the battery 180 to sense the protector;
The front wheel 112 or the rear wheel 160 is rotated in response to the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180 by the drive switch 220 and the sensing signal transmitted from the sensor 200, A driver for determining whether the brake 170 is to be braked in response to a signal; And
And a safety device 230 installed on the handle 111 and capable of forcibly cutting off power supplied to the driving part by the driving switch 220,
(a) when no sensing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sensor 200 and the drive switch 220 is in the on-switching state, the motor drive and brake operations are performed;
(b) when no sensing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sensor (200) and the drive switch (220) is in the off-switching state, the motor is stopped and the brake is actuated;
(c) when a sensing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sensor (200) and the drive switch (220) is in an on-switching state, the motor is driven and released;
(d) when a sensing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sensor (200) and the drive switch (220) is in an off-switching state, the motor is brought to a stop and release state;
(e) when a sensing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sensor 200 and the power is turned off by the safety device 230, the motor is brought to a stop and brake operation state;
In (a), the braking force of the brake is kept larger tha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n the above (c), the electric operation is performed,
In the above (d), the motor-operated baby stroller capable of manual oper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150);
상기 모터(150)에 연결되게 설치되어 모터(150)의 회전력을 감속 전달하는 감속기(151);
상기 감속기(151)와 연결되어 회전 구동되는 한편 그 양단부에는 후륜(160)이 고정되게 설치되는 축(161); 및
상기 센서(200)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회전되는 축(161)을 제동하거나 또는 제동을 해제시키는 전자클러치브레이크(170);를 포함하는 전자동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riving unit includes: a motor (150) generating a rotational force;
A speed reducer 151 connected to the motor 150 to reduc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150;
A shaft 161 connected to the reduction gear 151 for rotation and installed at both ends thereof with the rear wheel 160 fixed thereto; And
And an electromagnetic clutch brake (170) for braking or releasing the braking shaft (161) which is operated in accordance with a sensing signal of the sensor (200) and is rotated.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안전장치(230)는, 상기 핸들(111)에 형성되는 소켓부(231);
상기 소켓부(231)에 결합되어 전기적 회로를 연결하고 분리되면 전기적 회로를 차단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는 플러그(232); 및
상기 플러그(232)에 그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핸들(111)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연결와이어(233);를 포함하는 전자동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afety device 230 includes a socket portion 231 formed on the handle 111;
A plug 232 coupled to the socket portion 231 to connect the electric circuit and disconnect the electric circuit when the electric circuit is disconnected to cut off the power supply; And
And a connecting wire (233)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lug (232) and the other end fixedly attached to the handle (1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륜(112) 또는 후륜(160) 또는 전,후륜(112, 160) 모두는 공기 주입식 바퀴로 구성되는 전자동 유모차.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wheel (112) or the rear wheel (160) or the front and rear wheels (112, 160) are all constituted by inflatable wheels.
KR1020130014946A 2013-02-12 2013-02-12 electromotive baby carriage KR10140816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946A KR101408162B1 (en) 2013-02-12 2013-02-12 electromotive baby carri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946A KR101408162B1 (en) 2013-02-12 2013-02-12 electromotive baby carri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8162B1 true KR101408162B1 (en) 2014-06-17

Family

ID=51133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946A KR101408162B1 (en) 2013-02-12 2013-02-12 electromotive baby carri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8162B1 (en)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837Y1 (en) * 2015-01-05 2015-05-18 서현석 stroller
KR20160066337A (en) 2014-12-02 2016-06-10 주태수 Operator Boarding Type Electromotive Baby Carriage
KR101689088B1 (en) * 2015-09-11 2016-12-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Stroller
CN107161198A (en) * 2017-07-06 2017-09-15 浙江圆锥科技有限公司 Perambulator and stroller
KR200485017Y1 (en) 2016-07-11 2017-11-20 박광섭 Foldable electromotive wagon for transporting baby
KR20190035442A (en) * 2017-09-25 2019-04-03 주식회사 디카트 Wagon with electric motor and frame length adjustment
CN110758526A (en) * 2019-08-15 2020-02-07 佘娟 Baby carriage with stair assisting function
KR102089800B1 (en) * 2018-12-04 2020-03-1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ic baby carriage
KR102142145B1 (en) 2019-03-26 2020-08-06 유근민 Electirc baby carriagel
KR102167076B1 (en) * 2019-09-25 2020-10-16 이재완 SPEED CONTROL APPARATUS OF STROLLER USING IoT SENSOR
KR102188136B1 (en) 2019-10-22 2020-12-07 이재완 APPARATUS OF CONTROLLING STROLLER USING IoT SENSOR
KR20210117051A (en) 2020-03-18 2021-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Cart unit and smart stroller include the same
KR20220064217A (en) 2020-11-11 2022-05-18 디트로네 주식회사 Brackets for and electric car for kids us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416Y1 (en) 2002-11-02 2003-02-07 이의식 Electromotive a baby carriage
KR20110105450A (en) * 2010-03-19 2011-09-27 김진영 Safety apparatus for rickshaw and pram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416Y1 (en) 2002-11-02 2003-02-07 이의식 Electromotive a baby carriage
KR20110105450A (en) * 2010-03-19 2011-09-27 김진영 Safety apparatus for rickshaw and pram having the same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6337A (en) 2014-12-02 2016-06-10 주태수 Operator Boarding Type Electromotive Baby Carriage
KR200476837Y1 (en) * 2015-01-05 2015-05-18 서현석 stroller
KR101689088B1 (en) * 2015-09-11 2016-12-23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Stroller
KR200485017Y1 (en) 2016-07-11 2017-11-20 박광섭 Foldable electromotive wagon for transporting baby
CN107161198A (en) * 2017-07-06 2017-09-15 浙江圆锥科技有限公司 Perambulator and stroller
KR102006142B1 (en) * 2017-09-25 2019-08-01 주식회사 디카트 Wagon with electric motor and frame length adjustment
KR20190035442A (en) * 2017-09-25 2019-04-03 주식회사 디카트 Wagon with electric motor and frame length adjustment
KR102089800B1 (en) * 2018-12-04 2020-03-1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Electric baby carriage
KR102142145B1 (en) 2019-03-26 2020-08-06 유근민 Electirc baby carriagel
CN110758526A (en) * 2019-08-15 2020-02-07 佘娟 Baby carriage with stair assisting function
KR102167076B1 (en) * 2019-09-25 2020-10-16 이재완 SPEED CONTROL APPARATUS OF STROLLER USING IoT SENSOR
KR102188136B1 (en) 2019-10-22 2020-12-07 이재완 APPARATUS OF CONTROLLING STROLLER USING IoT SENSOR
KR20210117051A (en) 2020-03-18 2021-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Cart unit and smart stroller include the same
KR20220064217A (en) 2020-11-11 2022-05-18 디트로네 주식회사 Brackets for and electric car for kids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162B1 (en) electromotive baby carriage
US8997948B2 (en) Hand-detecting brake system for baby stroller
US10383780B2 (en) Bed
KR200485017Y1 (en) Foldable electromotive wagon for transporting baby
KR101399656B1 (en) Electromotive baby carriage
CA2574262A1 (en) Children's ride-on vehicle assemblies having trailing vehicle detection systems
KR101727703B1 (en) Baby Carriage Brake System
KR20160088401A (en) Control of rollers mounted on a movable part
CN107416006B (en) Automatic braking mechanism, baby stroller and braking method of baby stroller
KR102142145B1 (en) Electirc baby carriagel
KR101102845B1 (en) Motor-operated moving apparatus for the old or the weak
CN109982761B (en) Vehicle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and method of starting an electric motor for propelling a vehicle
KR101841879B1 (en) Smart stroller
KR20170068184A (en) Board Type Transportation Means Using Electric Power, Capable of Intuitive Control
KR101386915B1 (en) Manual wheelchair with auto braking device
US20210347402A1 (en) Stroller frame and stroller
TWI474814B (en) Wheelchair constant speed safety device
KR102002465B1 (en) Automatic brake apparatus for baby carriage
AU2013100166A4 (en) A hand-detecting brake system for baby stroller
KR20130107495A (en) Electrical silver car suitable for slope movement
KR200348253Y1 (en) driving gear of baby buggy
KR200481135Y1 (en) Obstacle avoidance driving system for baby motor car
KR101087635B1 (en) AGVAutomated Guided Vehicle System Combined of manned/unmanned with Torque Sensor
CN209776529U (en) Locking device for baby carriage out of control
KR20230150595A (en) Baby carriage system in which stability is improv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