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330B1 -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330B1
KR101397330B1 KR1020120111121A KR20120111121A KR101397330B1 KR 101397330 B1 KR101397330 B1 KR 101397330B1 KR 1020120111121 A KR1020120111121 A KR 1020120111121A KR 20120111121 A KR20120111121 A KR 20120111121A KR 101397330 B1 KR101397330 B1 KR 101397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ort
input signal
emergency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1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5619A (ko
Inventor
이용인
김성열
Original Assignee
이용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인 filed Critical 이용인
Priority to KR1020120111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330B1/ko
Publication of KR20140045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5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3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alarm criteria uses absence of reply signal after an elapsed ti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1) 위험 시간 및 확인 주기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2)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확인 주기가 도래하면, 이벤트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3) 상기 이벤트 알람에 대하여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입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설정 신호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4) 상기 단계 (3)의 판단 결과 두 신호가 동일하면, 사용자가 안전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5) 상기 단계 (3)의 판단 결과 두 신호가 상이하면, 상기 확인 주기의 정상 종료 화면을 출력하되, 미리 설정된 신고처에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2) 내지 단계 (5)를 상기 위험 시간 동안 반복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에 위험 시간 및 확인 주기를 설정해 놓고, 위험 시간 동안 확인 주기에 따라 이벤트 알람을 출력하며, 출력된 이벤트 알람에 대하여 수신된 입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설정 신호와 상이하면, 신고처에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혼자 있는 상황에서 센서 등이 구비된 별도의 장치 없이도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응급 신고를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으며, 고가의 위험 감지 측정 센서를 포함한 응급 호출기나 신고 전용 단말기에 비하여 매우 경제적이고 즉각 보급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설정 신호와 상이한 입력 신호가 수신된 경우와 같이 응급 신고 리포트를 신고처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가해자에게 빼앗겼거나 가해자의 협박을 받고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의식 유무와 관계없이 안전하게 신고를 할 수 있으며, 위험 상황에서는 설정된 위험 시간이 경과했더라도 지속적으로 이벤트 출력 및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범죄 상황 등에서 호신도구 등을 이용하여 무리하게 상황에 대처하지 않기 때문에, 가해자를 자극하지 않으므로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잘못된 입력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정상 종료 화면을 출력하여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하면서도 가해자가 안심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파손 등에 의하여 응급 신호를 하지 못하는 등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저렴하고 대중적인 개인 보안 서비스를 다수의 이용자에게 보급함으로써, 소수인 범죄자의 불안 심리를 자극하여 범죄 예방 및 억제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EMERGENCY REPORTING SERVICE PROVIDING METHOD USING PERSONALLY INPUT SIGNAL}
본 발명은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회가 날로 복잡해지면서, 각종 사건, 사고, 강력 범죄 등도 자주 발생하게 되었으며,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예기치 않은 범죄 상황에 노출될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개인의 응급 상황 대응 관련 분야의 기술은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효율적이고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에는, 자발적인 대응을 위하여 호신 기기를 소지하고 다니는 경우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타인에게 도움을 청하기 어렵고, 위험에 처하게 되면 당황하여 호신 기기를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단점도 있다.
갑작스러운 사건, 사고를 당하는 경우에는 신속한 신고나 외부의 도움 요청이 요구되는데, 이러한 개인의 응급 상황 대응 관련 기술로서, 종래에는 단축키를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된 휴대폰이나, 응급 상황 신고 전용 단말기가 이용되었다. 이는 사용자가 응급 상황 발생 시 일정 버튼 등을 누르면 미리 지정된 지인에게 연결이 되거나, 경찰서 등에 신속하게 신고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장치들은, 개인이 의식을 가지고 버튼을 누르는 행위가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므로, 실제 범죄에 노출되는 상황과 같이 버튼을 누르는 행위가 불가한 경우에는 무용지물이 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가해자의 앞에서 신고를 하는 행위는 가해자의 불안 심리를 자극하여 2차 피해로 이어지는 등의 부작용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센서에 의해 장치를 착용한 사용자의 응급 상황을 감지하고 판단하여 호출하는 응급 호출기(특허출원번호 제10-2009-0109655호 참조)와 같이 인체의 맥파와 가속도 등을 이용하여 응급 상황을 판단하는 방법이 개발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센서가 구비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비경제적이어서 널리 쓰이기 어려울 뿐 아니라, 응급 호출기를 가해자에게 빼앗기거나 당황하여 떨어뜨리는 등으로 신체에서 멀리 있는 경우에는 응급 신고가 불가능하며, 가해자의 의지로 피해자의 신고를 간단히 종료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서비스는 실제 범죄 현장의 상황에서 널리 쓰일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에 위험 시간 및 확인 주기를 설정해 놓고, 위험 시간 동안 확인 주기에 따라 이벤트 알람을 출력하며, 출력된 이벤트 알람에 대하여 수신된 입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설정 신호와 상이하면, 신고처에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혼자 있는 상황에서 센서 등이 구비된 별도의 장치 없이도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응급 신고를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으며, 고가의 위험 감지 측정 센서를 포함한 응급 호출기나 신고 전용 단말기에 비하여 매우 경제적이고 즉각 보급이 용이한,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설정 신호와 상이한 입력 신호가 수신된 경우와 같이 응급 신고 리포트를 신고처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가해자에게 빼앗겼거나 가해자의 협박을 받고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의식 유무와 관계없이 안전하게 신고를 할 수 있으며, 위험 상황에서는 설정된 위험 시간이 경과했더라도 지속적으로 이벤트 출력 및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범죄 상황 등에서 호신 도구 등을 이용하여 무리하게 상황에 대처하지 않기 때문에, 가해자를 자극하지 않으므로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잘못된 입력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정상 종료 화면을 출력하여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하면서도 가해자가 안심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파손 등에 의하여 응급 신호를 하지 못하는 등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저렴하고 대중적인 개인 보안 서비스를 다수의 이용자에게 보급함으로써, 소수인 범죄자의 불안 심리를 자극하여 범죄 예방 및 억제를 할 수 있는,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1) 위험 시간 및 확인 주기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2)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확인 주기가 도래하면, 이벤트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3) 상기 이벤트 알람에 대하여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입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설정 신호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4) 상기 단계 (3)의 판단 결과 두 신호가 동일하면, 사용자가 안전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5) 상기 단계 (3)의 판단 결과 두 신호가 상이하면, 상기 확인 주기의 정상 종료 화면을 출력하되, 미리 설정된 신고처에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2) 내지 단계 (5)를 상기 위험 시간 동안 반복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의 판단 결과 두 신호가 상이하면 상기 위험 시간이 경과했더라도 상기 단계 (2) 내지 단계 (5)를 반복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복 중 단계 (3)의 판단 결과 두 신호가 동일하면 상기 반복을 종료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설정 신호 및 신고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 신호 또는 설정 신호는,
패스워드, 패턴, 제스처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신고처는,
지인 단말기, 경찰 단말기, 병원 단말기, 소방서 단말기, 응급의료센터 단말기, 구급기관 단말기 및 보안 업체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이벤트 알람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설정 신호와 상이한 입력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5)에서는,
상기 위험 시간 동안 상기 응급 신고 리포트를 연속하여 두 번 이상 전송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상기 응급 신고 리포트를 상기 미리 설정된 신고처에 전송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단계 (1) 내지 단계 (5)를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용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에 위험 시간 및 확인 주기를 설정해 놓고, 위험 시간 동안 확인 주기에 따라 이벤트 알람을 출력하며, 출력된 이벤트 알람에 대하여 수신된 입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설정 신호와 상이하면, 신고처에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혼자 있는 상황에서 센서 등이 구비된 별도의 장치 없이도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응급 신고를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으며, 고가의 위험 감지 측정 센서를 포함한 응급 호출기나 신고 전용 단말기에 비하여 매우 경제적이고 즉각 보급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설정 신호와 상이한 입력 신호가 수신된 경우와 같이 응급 신고 리포트를 신고처에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가해자에게 빼앗겼거나 가해자의 협박을 받고 있는 경우에도 사용자의 의식 유무와 관계없이 안전하게 신고를 할 수 있으며, 위험 상황에서는 설정된 위험 시간이 경과했더라도 지속적으로 이벤트 출력 및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르면, 범죄 상황 등에서 호신 도구 등을 이용하여 무리하게 상황에 대처하지 않기 때문에, 가해자를 자극하지 않으므로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잘못된 입력 신호가 수신되더라도 정상 종료 화면을 출력하여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하면서도 가해자가 안심하도록 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파손 등에 의하여 응급 신호를 하지 못하는 등의 피해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저렴하고 대중적인 개인 보안 서비스를 다수의 이용자에게 보급함으로써, 소수인 범죄자의 불안 심리를 자극하여 범죄 예방 및 억제를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이벤트 알람이 출력되는 사용자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수신된 입력 신호에 대한 응답이 출력되는 사용자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응급 신고 리포트가 전송된 신고처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및 신고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위험 시간 및 확인 주기를 설정해 놓고, 위험 시간 동안 확인 주기에 따라 이벤트 알람을 출력하며, 출력된 이벤트 알람에 대하여 수신된 입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설정 신호와 상이하면, 신고처(200)에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혼자 있거나 가해자와 단둘이 있는 상황에서 센서 등이 구비된 별도의 장치 없이도 사용자의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응급 신고를 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응급 신고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설정 신호와 입력 신호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위험 여부를 판단하며, 위험 상황인 경우에는 인터넷, 인트라넷, 유무선 통신망, 이동통신망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응급 신고 리포트를 신고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기(100)는 휴대가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PDA, MP4 플레이어 등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등 휴대용 스마트 기기일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100)가 나열한 바와 같은 단말기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위험 시간 동안 확인 주기에 따라 이벤트 알람을 출력하고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위험 여부를 판단하며, 응급 신고 리포트를 신고처(200)에 전송할 수 있다면, 구체적인 단말기의 형태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100)의 역할을 얼마든지 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기기는 기능이 제한되어 있지 않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상당 부분 기능을 변경하거나 확장할 수 있는 제품을 가리키는 것이다. 특히, 사용자 단말기(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용 스마트 기기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면 본 발명을 보다 효율적으로 구현할 수 있고, 각종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신고처(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받는 단말기일 수 있다. 신고처(200)는 긴급 신고를 하는 기관 등이 기본적으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미리 설정된 신고처(200)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설정받은 사용자 지인의 단말기, 경찰 단말기, 병원 단말기, 소방서 단말기, 보안 업체 단말기, 응급의료센터 단말기 및 구급 기관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즉, 가족이나 친구 등 사용자의 지인에게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하거나, 경찰, 병원, 소방서, 응급의료센터, 구급기관 등 비상 상황에 대응이 가능한 기관에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하여, 위급 상황에 대하여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은, 위험 시간 및 확인 주기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S100), 시간을 카운트하여 확인 주기가 도래하면 이벤트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S200), 수신된 입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설정 신호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S300), 두 신호가 동일하면 사용자가 안전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S400) 및 두 신호가 상이하면 신고처(200)에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하는 단계(S50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10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위험 시간 및 확인 주기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위험 시간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용하고자 하는 총 시간을 의미하며, 확인 주기는 위험 시간 동안 자가 입력 신호를 입력하여 위험 여부를 체크할 주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험 시간을 15분, 확인 주기를 5분으로 한 설정 정보를 입력받으면, 설정된 15분 동안 5분 간격으로 3번 위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설정 정보는, 설정 신호 및 신고처(20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설정 신호는,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안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일종의 비밀코드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패스워드, 패턴, 제스처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때, 제스처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흔들거나 움직임으로써 사용자 단말기(100)의 자이로 센서 등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기(100)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동작 인식을 함으로써 미리 정해진 제스처를 인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음성은 사용자 단말기(100)의 마이크를 통하여 미리 정해진 단어나 문장을 음성으로 입력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미리 설정된 신고처(200)는, 지인 단말기, 경찰 단말기, 병원 단말기, 소방서 단말기, 응급의료센터 단말기, 구급기관 단말기 및 보안 업체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설정 정보를 입력하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100에서는, 위험 시간, 확인 주기, 설정 신호 등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위험 시간은 “15분”과 같은 총 시간으로 입력받을 수 있으나, “21:50~22:05”와 같이 시간을 특정하여 입력받을 수도 있다. 또한, 출퇴근이나 등하교 시에 버스와 집 사이, 주차장과 집 사이 등 시작 시각과 소요 시간이 거의 일정하고 주기적인 경우에는 동일한 위험 시간이 반복 적용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단계 S20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시간을 카운트하여 확인 주기가 도래하면, 이벤트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1시 50분부터 위험 시간이 시작되고, 확인주기가 5분으로 설정된 경우, 21시 55분이 도래하면 이벤트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즉시” 위험 시간이 시작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단계 S100을 처리한 시각으로부터 5분이 경과하면 이벤트 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이벤트 알람에서는, 미리 설정된 설정 신호와 대응되는 입력 신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게 되며, 입력 신호는 설정 신호에 따라 패스워드, 패턴, 제스처, 음성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설정 신호의 종류에 따라 키패드 화면, 패턴 그리기 화면, 카메라 실행 화면, 마이크 실행 화면 등이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이벤트 알람이 출력되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200에서는, 단계 S100에서 설정된 21시 50분으로부터 확인 주기인 5분이 경과한 21시 55분에 이벤트 알람이 사용자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부로 출력될 수 있다.
이때, 설정 신호를 입력하라는 메시지와 패턴 방식의 설정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패턴 그리기 화면을 포함하는 이벤트 알람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이벤트 알람은 디스플레이 출력뿐 아니라, 벨 소리 등의 음향, 진동 등의 햅틱 이펙트 등을 포함하여, 이벤트 알람을 사용자가 즉시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입력 신호와 관계없이 긴급 통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위급 상황에서 필요한 기관 등에 신고를 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단계 S300에서는, 이벤트 알람에 대하여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입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설정 신호와 동일한지 사용자 단말기(100)가 판단할 수 있다. 즉, 단계 S200에서 출력한 이벤트 알람에 대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입력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입력 신호를 단계 S100에서 설정한 설정 신호와 비교하여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00에서 입력 신호와 미리 설정된 설정 신호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가 안전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S400을 처리하고, 입력 신호와 미리 설정된 설정 신호가 상이하다고 판단되면 사용자가 위험한 것으로 판단하고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하는 단계 S500을 처리할 수 있다. 단계 S400 및 단계 S500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단계 S300에서는, 이벤트 알람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설정 신호와 상이한 입력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미리 정해진 시간 동안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다는 것은, 사용자가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위급 상황임을 의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위험한 것으로 판단되는 입력 신호와 설정 신호가 상이한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시간은 5초, 10초, 1분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으나, 단계 S100에서 설정된 확인 주기보다 짧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계 S40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가 단계 S300의 판단 결과 두 신호가 동일하면, 사용자가 안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설정 신호와 동일하면, 설정 신호를 알고 있는 정당한 사용자가 입력 신호를 입력한 것으로 보고, 사용자가 안전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안전이 확인되면 별도의 추가 프로세스 없이 다음 확인 주기로 진입하여 다시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즉, 단계 S200으로 돌아가 프로세스를 다시 실행할 수 있다. 다만, 위험 시간이 경과하였으면, 여기에서 프로세스를 종료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수신된 입력 신호에 대한 응답이 출력되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400에서는, 수신된 입력 신호와 미리 설정된 설정 신호가 동일하면, 사용자가 안전한 것으로 판단하고, 확인이 완료되었음을 사용자 단말기(100)로 출력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입력 신호를 입력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확인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확인 메시지는 텍스트나 이미지 형태일 수 있으나, 음향, 햅틱 등 다양한 방식일 수도 있다.
단계 S500에서는, 단계 S300의 판단 결과 두 신호가 상이하면, 사용자 단말기(100)가 확인 주기의 정상 종료 화면을 출력하되, 미리 설정된 신고처(200)에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입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설정 신호와 상이하면, 설정 신호를 모르는 타인이 임의의 입력 신호를 입력하였거나, 가해자의 협박 등을 받은 사용자가 거짓으로 입력 신호를 입력한 것일 수 있고, 가해자에게 잘못된 설정 신호를 알려준 것일 수도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두 신호가 상이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위험에 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신고처(200)에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500에서는,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하는 것을 사용자 단말기(100)에서는 확인이 불가능하도록 확인 주기의 정상 종료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위험 상황이라고 판단되더라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확인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아닌 가해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점유하고 있더라도 가해자를 자극하지 않으면서, 응급 신고 리포트를 신고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출력되는 확인 주기의 정상 종료 화면은 단계 S400에서 출력되는 화면과 동일할 수도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안전이 확인된 것처럼 보이되 단계 S400에서 출력되는 화면과는 상이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단계 S500에서는, 신고처(200)에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하고, 다음 확인 주기로 진입하여 다시 시간을 카운트할 수 있다. 즉, 단계 S200으로 돌아가 프로세스를 다시 시작할 수 있다. 이때에는, 사용자가 위험 상황이므로 위험 시간이 경과했더라도 단계 S200 내지 단계 S500을 반복할 수 있다. 그러나 단순히 사용자가 입력 신호를 잘못 입력한 것일 수도 있으므로, 반복 중 단계 S300의 판단 결과 두 신호가 동일하고 위험 시간이 경과하였으면 프로세스의 반복을 종료할 수 있다.
단계 S500에서는, 위험 시간 동안 응급 신고 리포트를 연속하여 두 번 이상 전송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응급 신고 리포트를 미리 설정된 신고처(2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두 번 이상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한다는 것은 사용자가 위급 상황에 처한 것일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도 신고처(200)에 전송하여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위치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기능이나 이동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하는 횟수가 늘어남에 따라,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하는 미리 설정된 신고처(200)도 많아지도록 하여,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할 때에는 지인 단말기에 전송하고, 두 번째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할 때에는 지인 단말기 및 보안 업체 단말기에 전송하고, 다섯 번째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할 때에는 지인 단말기, 보안 업체 단말기 및 경찰 단말기에 전송하는 등으로, 신고처(200)를 늘려가면서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 응급 신고 리포트가 전송된 신고처(200) 단말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의 단계 S500에서는, 지인 단말기와 같은 신고처(200)에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성명과 첫 번째 응급 신고 리포트가 도착하였음을 푸시 메시지로 알림으로써, 신고처(200)에서 사용자의 위험을 신속하게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푸시 메시지 이외에도, SMS(Short Message Service), MMS(Multi Message Service), 이메일, 메신저 등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6에서, “자세히”가 선택되면 사용자 정보, 위치 정보 등 응급 신고 리포트에 포함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는, 단계 S200 내지 단계 S500을 위험 시간 동안 반복할 수 있다. 즉, 위험 시간 15분, 확인 주기 5분으로 설정된 전술한 예에서는, 위험 상황 여부에 관계없이 단계 S200 내지 단계 S500을 3번 수행하게 된다. 다만, 마지막 확인 주기에서 수신된 입력 신호와 미리 설정된 설정 신호가 상이하여, 사용자가 위험 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단계 S200, S300 및 단계 S500을 3번 이상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반복 중, 단계 S300의 판단 결과 두 신호가 동일하면, 사용자가 위험 상황에서 벗어났거나 잘못된 위험 신호인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므로, 단계 S400으로 이동하여 반복을 종료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사용자 단말기 200: 신고처
S100: 위험 시간 및 확인 주기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S200: 시간을 카운트하여 확인 주기가 도래하면 이벤트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S300: 수신된 입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설정 신호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S400: 두 신호가 동일하면 사용자가 안전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S500: 두 신호가 상이하면 신고처에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하는 단계

Claims (9)

  1.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기가,
    (1) 위험 시간 및 확인 주기를 포함하는 설정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2) 시간을 카운트하여 상기 확인 주기가 도래하면, 이벤트 알람을 출력하는 단계;
    (3) 상기 이벤트 알람에 대하여 입력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입력 신호가 미리 설정된 설정 신호와 동일한지 판단하는 단계;
    (4) 상기 단계 (3)의 판단 결과 두 신호가 동일하면, 사용자가 안전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5) 상기 단계 (3)의 판단 결과 두 신호가 상이하면, 상기 확인 주기의 정상 종료 화면을 출력하되, 미리 설정된 신고처에 응급 신고 리포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2) 내지 단계 (5)를 상기 위험 시간 동안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판단 결과 두 신호가 상이하면 상기 위험 시간이 경과했더라도 상기 단계 (2) 내지 단계 (5)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 중 단계 (3)의 판단 결과 두 신호가 동일하면 상기 반복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정보는,
    상기 설정 신호 및 신고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신호 또는 설정 신호는,
    패스워드, 패턴, 제스처 및 음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신고처는,
    지인 단말기, 경찰 단말기, 병원 단말기, 소방서 단말기, 응급의료센터 단말기, 구급기관 단말기 및 보안 업체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에서는,
    상기 이벤트 알람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설정 신호와 상이한 입력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5)에서는,
    상기 위험 시간 동안 상기 응급 신고 리포트를 연속하여 두 번 이상 전송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포함된 상기 응급 신고 리포트를 상기 미리 설정된 신고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단계 (1) 내지 단계 (5)를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된 휴대용 스마트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20111121A 2012-10-08 2012-10-08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3973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121A KR101397330B1 (ko) 2012-10-08 2012-10-08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1121A KR101397330B1 (ko) 2012-10-08 2012-10-08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619A KR20140045619A (ko) 2014-04-17
KR101397330B1 true KR101397330B1 (ko) 2014-05-21

Family

ID=50652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1121A KR101397330B1 (ko) 2012-10-08 2012-10-08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3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847B1 (ko) * 2018-03-02 2019-09-02 김다운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심귀가 신고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098A (ko) * 2003-06-16 2004-12-23 주식회사 현대메드인 개인의 건강정보를 이용한 건강리듬 관리시스템 및 검진방법
KR100616155B1 (ko) * 2004-03-30 2006-08-28 와이더댄 주식회사 통신망을 통한 위급 상황 통지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83027A (ko) * 2010-01-13 2011-07-20 주식회사 에스원 모바일 단말의 시간 설정을 통한 자가 호출 및 긴급 신고 방법, 그 시스템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110104457A (ko) * 2011-07-24 2011-09-22 심동수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원격 자가 보안 및 관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8098A (ko) * 2003-06-16 2004-12-23 주식회사 현대메드인 개인의 건강정보를 이용한 건강리듬 관리시스템 및 검진방법
KR100616155B1 (ko) * 2004-03-30 2006-08-28 와이더댄 주식회사 통신망을 통한 위급 상황 통지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10083027A (ko) * 2010-01-13 2011-07-20 주식회사 에스원 모바일 단말의 시간 설정을 통한 자가 호출 및 긴급 신고 방법, 그 시스템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110104457A (ko) * 2011-07-24 2011-09-22 심동수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원격 자가 보안 및 관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5619A (ko) 2014-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3378B1 (ko) 개인 보호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202828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itiating a distress signal from a mobile device without requiring focused visual attention from a user
US20130093587A1 (en) Security System with Automatic Alarm
DK3010213T3 (en) Automatic execution of an emergency message by an emergency signal
CN105160806A (zh) 实现报警的穿戴设备及其报警方法
CN103365554A (zh) 移动终端和解锁操作处理方法
GB2523009A (en) System and method of alerting CMS and registered users about a potential duress situation using a mobile application
KR101345463B1 (ko) 이어폰을 이용한 긴급구조 요청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202828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itiating a stand-by signal and a distress signal from a mobile device
CN107045759A (zh) 用于经由语音辨别来联系紧急救援人员的系统和方法
CN105847561A (zh) 一种环境监测方法、装置及手机
EP3136362A1 (en) Prognosticating panic situations and pre-set panic notification in a security system
JP5422169B2 (ja) 携帯端末
JP5164771B2 (ja) 携帯端末
KR101397330B1 (ko)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64347B1 (ko) 긴급 구조 요청 단말 및 긴급 구조 요청 방법
JP4664624B2 (ja) 状況監視プログラム及び状況監視システム
JP5122413B2 (ja) 安否確認システムおよび監視センタ装置
KR100975861B1 (ko) 가족 안심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6233787B1 (ja) 緊急通報システム
KR10107822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위급상황 알림 장치 및 방법
JP5224997B2 (ja) 携帯端末
JP5486108B2 (ja) 携帯端末
US20170018163A1 (en) Method for triggering of the emergency responding system by using human scream
JP2008186131A (ja) 防犯装置、防犯装置制御方法および防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