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847B1 -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심귀가 신고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심귀가 신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847B1
KR102016847B1 KR1020180025173A KR20180025173A KR102016847B1 KR 102016847 B1 KR102016847 B1 KR 102016847B1 KR 1020180025173 A KR1020180025173 A KR 1020180025173A KR 20180025173 A KR20180025173 A KR 20180025173A KR 102016847 B1 KR102016847 B1 KR 102016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ort
word
delay
time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다운
한수정
강여명
김철홍
최창은
Original Assignee
김다운
한수정
최창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다운, 한수정, 최창은 filed Critical 김다운
Priority to KR1020180025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2Feature extraction for speech recognition; Selection of recognition uni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6Creation of reference templates; Training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e.g.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aker's voice
    • G10L15/065Adap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신고 방법은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신고를 하는 안심귀가 신고 방법에서, 적어도 하나의 신고 실행 단어 또는 신고 종료 단어를 설정하고, 상기 신고 실행 단어와 대응되는 지연 신고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으로부터 음성 인식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음성 인식 단어를 상기 설정된 신고 실행 단어와 비교해서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 결과에 따라, 신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심귀가 신고 방법 {APPLICATION DEVICE FOR SAFETY RETURNING HOME USING , METHOD FOR SAFETY RETURNING HOM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심귀가 신고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대다수의 여성들은 야간 보행에 두려움을 느낀다. 그리고, 야간 보행에 두려움을 느끼는 여성 중 대부분은 무섭지만 그냥 다닌다고 한다.
어두운 밤길을 지나가는 것은 혼자 귀가하는 여성에게 많은 불안감을 안겨준다. 특히 사람들이 많이 지나다니지 않는 골목길에서 뒤에 누군가 따라오거나 하는 상황이라면 범죄 상황에 대한 불안감은 더욱 증가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범죄 가능성이 있는 사람이 가까운 거리에서 뒤따라온다고 느낀다면, 긴급한 상황에 효과적으로 신고할 수 있는 대책이 요구된다. 하지만, 뒤따라오는 사람이 범죄자가 아니었다면, 전화기를 들고 경찰에 신고하거나 가족이나 친구들에게 전화를 거는 것 또한 범죄 상황을 악화시키거나 민망한 일이 되어버리고 만다.
따라서, 밤중에 귀가하는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고 긴급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신고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밤중에 귀가하는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이고 긴급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신고할 수 있는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신고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신고 방법은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신고를 하는 안심귀가 신고 방법에서, 적어도 하나의 신고 실행 단어 또는 신고 종료 단어를 설정하고, 상기 신고 실행 단어와 대응되는 지연 신고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으로부터 음성 인식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음성 인식 단어를 상기 설정된 신고 실행 단어와 비교해서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 결과에 따라, 신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음성 인식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을 등록된 사용자의 음성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대기 상태의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를 실행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이 카운트되는 도중에 상기 신고 실행 단어가 재인식되는 경우,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를 종료하고 사용자의 인적 사항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고 정보를 기설정된 신고 센터에 송신하거나,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가 완료된 경우, 상기 신고 정보를 상기 신고 센터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이 카운트되는 도중에 상기 신고 종료 단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를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고 실행 단어는, 위급도가 높은 제1 신고 실행 단어, 위급도가 중간인 제2 신고 실행 단어, 및 위급도가 낮은 제3 신고 실행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고 실행 단어에 대응되는 제1 지연 신고 시간이 상기 제2 신고 실행 단어의 제2 지연 신고 시간 보다 짧게 설정되고, 상기 제2 지연 신고 시간이 상기 제3 신고 실행 단어에 대응되는 제3 지연 신고 시간 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신고 실행 단어 또는 신고 종료 단어를 설정하고, 상기 신고 실행 단어와 대응되는 지연 신고 시간을 설정하는 설정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으로부터 음성 인식 단어를 추출하는 음성 인식부, 그리고 상기 추출된 음성 인식 단어를 설정된 상기 신고 실행 단어와 비교해서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 결과에 따라, 신고 여부를 결정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이 카운트되는 도중에 상기 신고 실행 단어가 재인식되는 경우,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를 종료하고 사용자의 인적 사항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고 정보를 기설정된 신고 센터에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가 완료된 경우, 사용자의 인적 사항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고 정보를 기설정된 신고 센터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이 카운트되는 도중에 상기 신고 종료 단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를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설정부는, 상기 신고 실행 단어 또는 상기 신고 종료 단어를 설정하는 단어 설정부, 그리고 상기 신고 실행 단어에 대응하는 지연 신고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 설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어 설정부는, 위급도가 높은 제1 신고 실행 단어, 위급도가 중간인 제2 신고 실행 단어, 및 위급도가 낮은 제3 신고 실행 단어를 설정하며, 상기 시간 설정부는, 상기 제1 신고 실행 단어에 대응되는 제1 지연 신고 시간을 상기 제2 신고 실행 단어의 제2 지연 신고 시간 보다 짧게 설정하고, 상기 제2 지연 신고 시간을 상기 제3 신고 실행 단어에 대응되는 제3 지연 신고 시간 보다 짧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음성 인식 단어와 신고 실행 단어를 비교해서 지연 신고 시간을 카운트하고,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 결과에 따라 신고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밤중에 귀가하는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연 신고 시간이 카운트되는 도중에 신고 실행 단어가 재인식되는 경우에 신고 센터에 즉시 신고를 하도록 함으로써, 긴급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신고하여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범죄 가해자로 의심되는 사람 모르게 스마트폰을 꺼내지 못한 긴급한 상황에서도 즉시 신고 실행 단어를 인식해 신고를 수행함으로써, 밤중에 귀가하는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기 상태 또는 잠금 상태의 스마트폰의 어플을 학습된 사용자 목소리만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긴급 상황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신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밤중에 뒤에 따라오는 사람이 확실히 범죄자라고 판단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지연 신고 기능을 이용해 신고 센터에 신고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연 신고 시간이 카운트되는 도중에 신고 종료 단어가 인식된 경우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를 종료함으로써, 사용자의 오해로 인한 착오 신고를 방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신고 방법의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은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의 목소리를 등록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 단말에서 신고 실행 단어를 등록하는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6는 지연 신고 시간 중단을 위한 신고 종료 단어를 등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사용자 단말에서 지연 신고 시간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신고 실행 단어가 인식된 후 지연 신고 시간이 카운팅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 단말 또는 모바일 단말(mobile device)"은 데이터 통신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며, 차량 단말과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으로 연결 가능한 휴대용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휴대 전화(cellular phone), 휴대용 개인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폰(smartphone), 노트북(notebook), 또는 웨어러블 단말(wearable device) 등을 포함한다.
이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신고 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때,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10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설명을 위해 필요한 개략적인 구성만을 도시할 뿐 이러한 구성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100)는 설정부(110), 음성 인식부(120),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 그리고 신호 전송부(140)를 포함한다.
설정부(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고 실행 단어 또는 신고 종료 단어를 설정하고, 상기 신고 실행 단어와 대응되는 지연 신고 시간을 설정한다. 여기서, 신고 실행 단어는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를 시작하거나 신고 센터(300)에 신고하도록 설정된 단어를 포함하고, 신고 종료 단어는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를 종료하도록 설정된 단어를 포함한다. 또한, 지연 신고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지연 시간으로서, 신고 실행 단어가 인식된 후에 실제로 신고 센터(300)에 신고 정보를 송신하기로 결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포함한다.
그리고, 설정부(110)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단어 설정부(112)와 시간 설정부(114)를 포함한다.
단어 설정부(112)는 외부에서 입력된 단어 또는 음성 인식부(120)에서 인식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신고 실행 단어 또는 신고 종료 단어를 설정한다. 시간 설정부(114)는 단어 설정부(112)에 설정된 신고 실행 단어와 대응되는 지연 신고 시간을 설정하고, 실정된 지연 신고 시간을 해당 실행 신고 단어와 매칭시켜 저장한다.
여기서, 단어 설정부(112)는 위급도가 높은 제1 신고 실행 단어, 위급도가 중간인 제2 신고 실행 단어, 및 위급도가 낮은 제3 신고 실행 단어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간 설정부(114)는 상기 제1 신고 실행 단어에 대응되는 제1 지연 신고 시간을 상기 제2 신고 실행 단어의 제2 지연 신고 시간 보다 짧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간 설정부(114)는 상기 제2 지연 신고 시간을 상기 제3 신고 실행 단어에 대응되는 제3 지연 신고 시간 보다 짧게 설정할 수 있다.
음성 인식부(120)는 사용자(200)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으로부터 음성 인식 단어를 추출한다. 음성 인식부(120)는 인식된 사용자(200)의 음성으로부터 음향 신호를 추출하고, 잡음을 제거해 음성 인식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음성 인식부(120)는 사용자(200)의 목소리 등록을 위해 사용자(200)의 목소리 파형 중 다수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FAR(False Acceptance Rate) 및 FRR(False Reject Rate)의 최적화 작업과 튜팅 작업을 통해 음성 인식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는 음성 인식부(120)에서 추출된 음성 인식 단어를 상기 신고 실행 단어와 비교해서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을 카운트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는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 결과에 따라, 신고 여부를 결정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는 음성 인식부(120)에서 인식된 음성 데이터의 특징을 추출하고, 음성 인식 데이터베이스(미도시)의 음성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 놓은 단어와의 인식/비교를 통해 신고 센터(300)에 신고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는 사용자(200)로부터 인식된 음성 또는 단어를 음성 인식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음성 또는 단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예를 들어, "엄마야"), 잠금 화면의 스마트폰에서 대기 상태인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을 구동시킬 수도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는 음성 인식부(120)에서 인식된 음성 인식 단어가 제1 신고 실행 단어인 경우 제1 지연 신고 시간을 카운트하도록 제어하고, 음성 인식 단어가 제2 신고 실행 단어인 경우 제2 지연 신고 단어를 카운트하도록 제어한다. 마찬가지로, 음성 인식 단어가 제3 신고 실행 단어 인 경우에는 제3 지연 신고 시간을 카운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 없이 신고 센터(300)에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즉시 신고 실행 단어를 등록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도중에 음성 인식부(120)에서 상기 즉시 신고 실행 단어가 인식되는 경우(예를 들어, "도와주세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는 별도의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 없이 신고 센터(300)에 즉시 신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단어 비교부(132)와 시간 제어부(134)를 포함한다.
단어 비교부(132)는 음성 인식부(120)에서 추출된 음성 인식 단어와 단어 설정부(112)에서 설정된 상기 신고 실행 단어를 비교한다.
그리고, 단어 비교부(132)의 비교 결과, 음성 인식부(120)에서 추출된 음성 인식 단어가 상기 신고 실행 단어와 일치하는 경우에, 시간 제어부(134)는 시간 설정부(114)에서 설정된 지연 신고 시간을 카운트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이 카운트되는 도중에 음성 인식부(120)를 통해 신고 종료 단어가 인식된 경우, 시간 제어부(134)는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를 중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는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이 카운트되는 도중에 상기 신고 실행 단어가 재인식되는 경우,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를 종료하고 사용자(200)의 인적 사항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고 정보를 기설정된 신고 센터(300)에 송신하도록 신호 전송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는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가 정상적으로 완료된 경우, 사용자(200)의 인적 사항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고 정보를 기설정된 신고 센터(300)에 송신하도록 신호 전송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어플리케이션 제어부(130)는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이 카운트되는 도중에 상기 신고 종료 단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를 종료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제 도 3을 참고하여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100)가 사용자(200)의 음성을 인식하여 지연 신고 시간을 카운트하고,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 결과에 따라 신고 센터(300)에 신고 정보를 송신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신고 방법의 과정을 간략히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때, 이하의 흐름도는 도 1 및 도 2의 구성과 연계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신고 실행 단어 또는 신고 종료 단어를 설정한다 (S102). 여기서, 상기 적어도 신고 실행 단어는 위급도가 높은 제1 신고 실행 단어, 위급도가 중간인 제2 신고 실행 단어, 및 위급도가 낮은 제3 신고 실행 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100)는 상기 신고 실행 단어에 대응하는 지연 신고 시간을 설정한다 (S104). 예를 들어, 상기 제1 신고 실행 단어에 대응되는 제1 지연 신고 시간은 상기 제2 신고 실행 단어의 제2 지연 신고 시간 보다 짧게 설정된다. 또한, 상기 제2 지연 신고 시간은 상기 제3 신고 실행 단어에 대응되는 제3 지연 신고 시간 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100)는 사용자(200)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으로부터 음성 인식 단어를 추출한다 (S106). 이때,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100)는 잠금 화면의 스마트폰에서 사용자(200)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을 음성 인식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사용자(200)의 음성과 비교한다. 그리고, 음성 인식부(120)에서 인식된 음성 데이터와 음성 인식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음성 데이터가 일치하는 경우,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100)는 잠금 상태의 스마트폰에서 대기 상태의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를 강제로 실행시킬 수도 있다.
또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100)는 음성 인식 단어를 기설정된 신고 실행 단어와 비교한다 (S108). 그리고,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100)는 음성 인식 단어가 신고 실행 단어와 일치하는 경우, 해당 신고 실행 단어에 대응되어 설정된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를 시작한다 (S110).
이때, 음성 인식부(120)에서 추출된 음성 인식 단어가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 없이 신고 센터(300)에 즉시 신고 할 수 있는 즉시 신고 실행 단어인 경우에는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 없이 신고 센터(300)에 즉시 신고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100)는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가 완료된 경우, 사용자(200)의 인적 사항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고 정보를 신고 센터(300)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S112, S116).
또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100)는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이 카운트되는 도중에 상기 신고 실행 단어가 재인식되는 경우(S114),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를 종료하고 신고 센터(300)에 즉시 신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116).
물론,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100)는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이 카운트되는 도중에 신고 종료 단어가 인식된 경우(S118), 신고 센터(300)에 신고 정보를 전송하지 않도록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를 종료시킬 수 있다 (S120).
도 4는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의 목소리를 등록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은 사용자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신고 센터(300)에 접속하고 통신하는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컴퓨터, 휴대 전화(cellular phone), 휴대용 개인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스마트폰(smartphone), 노트북(notebook), 또는 웨어러블 단말(wearable device) 등 다양한 통신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100)는 특정 사용자의 목소리에만 어플리케이션이 반응 할 수 있도록 화자인식을 수행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100)는 특정 문장을 적어도 3회 이상 반복해서 인식하고, 특정 사용자의 목소리가 가지는 고유의 정보를 저장한다.
도 5는 사용자 단말에서 신고 실행 단어를 등록하는 예를 도시한 화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음성 입력을 통한 나만의 단어로 설정하고, 지연 신고 시간을 시작하기 위한 신고 실행 단어(예를 들어, "올 때 메로나")를 설정한다.
그리고,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100)는 사용자가 설정한 신고 실행 단어인 "올 때 메로나"가 인식될 때, 신고 센터(300)에 신고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거나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를 시작한다.
도 6은 지연 신고 시간 중단을 위한 신고 종료 단어를 등록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는, 도 6과 같이, 음성 입력을 통해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를 즉시 종료시킬 수 있는 신고 종료 단어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100)는 사용자가 신고 실행 단어를 실수로 말했거나 우려했던 것만큼 위급한 상황이 아닌 경우에 착오 신고를 막을 수 있도록 지연 신고 시간 내에 신고 종료 단어(도 6의 히어로)를 말하면 신고 센터(300)에 신고가 가지 않도록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를 중단시킬 수 있다.
도 7은 사용자 단말에서 지연 신고 시간을 설정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신고 실행 단어가 인식된 후 지연 신고 시간이 카운팅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100)는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에 신고 센터(300)에 신고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지연 신고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급도가 높은 제1 신고 실행 단어에 대응되는 제1 지연 신고 시간은 1분으로 설정되고, 위급도가 중간인 제2 신고 실행 단어에 대응되는 제2 지연 신고 시간은 5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위급도가 낮은 제3 신고 실행 단어에 대응되는 제3 지연 신고 시간은 15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100)는 어두운 밤중에 귀가하는 사용자가 느낀 위험도에 따라 말하는 신고 실행 단어를 인식하고 신고 센터(300)에 신고할 준비를 함으로써, 밤중에 귀가하는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심귀가 신고 방법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음성 인식 단어와 신고 실행 단어를 비교해서 지연 신고 시간을 카운트하고,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 결과에 따라 신고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밤중에 귀가하는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연 신고 시간이 카운트되는 도중에 신고 실행 단어가 재인식되는 경우에 신고 센터에 즉시 신고를 하도록 함으로써, 긴급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신고하여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범죄 가해자로 의심되는 사람 모르게 스마트폰을 꺼내지 못한 긴급한 상황에서도 즉시 신고 실행 단어를 인식해 신고를 수행함으로써, 밤중에 귀가하는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기 상태 또는 잠금 상태의 스마트폰의 어플을 학습된 사용자 목소리만으로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긴급 상황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신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밤중에 뒤에 따라오는 사람이 확실히 범죄자라고 판단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지연 신고 기능을 이용해 신고 센터에 신고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높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연 신고 시간이 카운트되는 도중에 신고 종료 단어가 인식된 경우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를 종료함으로써, 사용자의 오해로 인한 착오 신고를 방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록 매체는 서버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10: 설정부 120: 음성 인식부
130: 어플리케이션 제어부 140: 신호 전송부

Claims (12)

  1.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해 신고를 하는 안심귀가 신고 방법에서,
    적어도 하나의 신고 실행 단어 또는 신고 종료 단어를 설정하고, 상기 신고 실행 단어와 대응되는 지연 신고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으로부터 음성 인식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음성 인식 단어를 상기 설정된 신고 실행 단어와 비교해서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을 카운트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 결과에 따라, 신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신고 실행 단어는,
    위급도가 높은 제1 신고 실행 단어, 위급도가 중간인 제2 신고 실행 단어, 및 위급도가 낮은 제3 신고 실행 단어를 포함하며,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신고 실행 단어에 대응되는 제1 지연 신고 시간이 상기 제2 신고 실행 단어의 제2 지연 신고 시간 보다 짧게 설정되고, 상기 제2 지연 신고 시간이 상기 제3 신고 실행 단어에 대응되는 제3 지연 신고 시간 보다 짧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신고 방법.
  2. 제1항에서,
    상기 음성 인식 단어를 추출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을 등록된 사용자의 음성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대기 상태의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를 실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신고 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신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이 카운트되는 도중에 상기 신고 실행 단어가 재인식되는 경우,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를 종료하고 사용자의 인적 사항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고 정보를 기설정된 신고 센터에 송신하거나,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가 완료된 경우, 상기 신고 정보를 상기 신고 센터에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신고 방법.
  4. 제1항에서,
    상기 신고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이 카운트되는 도중에 상기 신고 종료 단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를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신고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적어도 하나의 신고 실행 단어 또는 신고 종료 단어를 설정하고, 상기 신고 실행 단어와 대응되는 지연 신고 시간을 설정하는 설정부,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성으로부터 음성 인식 단어를 추출하는 음성 인식부, 그리고
    상기 추출된 음성 인식 단어를 설정된 상기 신고 실행 단어와 비교해서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을 카운트하고,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 결과에 따라, 신고 여부를 결정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설정부는,
    상기 신고 실행 단어 또는 상기 신고 종료 단어를 설정하는 단어 설정부, 그리고
    상기 신고 실행 단어에 대응하는 지연 신고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 설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어 설정부는,
    위급도가 높은 제1 신고 실행 단어, 위급도가 중간인 제2 신고 실행 단어, 및 위급도가 낮은 제3 신고 실행 단어를 설정하며,
    상기 시간 설정부는,
    상기 제1 신고 실행 단어에 대응되는 제1 지연 신고 시간을 상기 제2 신고 실행 단어의 제2 지연 신고 시간 보다 짧게 설정하고, 상기 제2 지연 신고 시간을 상기 제3 신고 실행 단어에 대응되는 제3 지연 신고 시간 보다 짧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이 카운트되는 도중에 상기 신고 실행 단어가 재인식되는 경우,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를 종료하고 사용자의 인적 사항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고 정보를 기설정된 신고 센터에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
  9. 제7항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가 완료된 경우, 사용자의 인적 사항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신고 정보를 기설정된 신고 센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
  10. 제7항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어부는,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이 카운트되는 도중에 상기 신고 종료 단어가 인식된 경우, 상기 지연 신고 시간의 카운트를 종료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
  11. 삭제
  12. 삭제
KR1020180025173A 2018-03-02 2018-03-02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심귀가 신고 방법 KR102016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173A KR102016847B1 (ko) 2018-03-02 2018-03-02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심귀가 신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173A KR102016847B1 (ko) 2018-03-02 2018-03-02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심귀가 신고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847B1 true KR102016847B1 (ko) 2019-09-02

Family

ID=679512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173A KR102016847B1 (ko) 2018-03-02 2018-03-02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심귀가 신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8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619A (ko) * 2012-10-08 2014-04-17 이용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398922B1 (ko) * 2013-03-07 2014-05-27 최숙자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및 자동 확인용 ars를 통한 개인 보안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93808A (ko) * 2015-01-29 2016-08-0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위급 상황 음성 인식 기반 절전형 스마트 led 조명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5619A (ko) * 2012-10-08 2014-04-17 이용인 자가 입력 신호를 이용한 자동 응급 상황 감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398922B1 (ko) * 2013-03-07 2014-05-27 최숙자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및 자동 확인용 ars를 통한 개인 보안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93808A (ko) * 2015-01-29 2016-08-0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위급 상황 음성 인식 기반 절전형 스마트 led 조명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8552B2 (en) Emergency call-for-help method and system based on fingerprint identification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N103685613B (zh) 一种基于语音识别的防电话诈骗系统及其方法
CN105321514A (zh) 一种告警方法和终端
CN109873907B (zh) 呼叫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10348888B1 (en) Call management system for a command center utilizing call metadata
KR100811077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개인 보안시스템 및 그 보안방법
US20150072716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s over a public safety network
US20210279431A1 (en) Bidirectional call translation in controlled environment
US11749094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larm and sensor data to emergency networks
CN110992962B (zh) 语音设备的唤醒调整方法、装置、语音设备及存储介质
CN109389711A (zh) 基于生物特征识别的门禁解锁方法、装置、设备和介质
JP2007266944A (ja) 電話端末装置および発信者検証方法
WO2020041346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establishing a moderated communication channel
CN111580773A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04032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formation search using voice recognition
US20120046952A1 (en) Remote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10910541A (zh) 门禁控制方法、系统、网络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016847B1 (ko) 음성인식을 통한 안심귀가 어플리케이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안심귀가 신고 방법
KR101398922B1 (ko)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및 자동 확인용 ars를 통한 개인 보안시스템 및 그 방법
CN109274825B (zh) 一种消息提醒方法及装置
CN107944242B (zh) 一种生物识别功能禁用方法和移动终端
WO2021164314A1 (zh) 通知提示方法、服务器及存储介质
CN103501296A (zh) 基于声纹识别技术的社保生存认证系统及其认证方法
CN111062200B (zh) 一种话术泛化方法、话术识别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10827814A (zh) 基于离线虹膜识别和语音识别的工程设备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