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0475B1 -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of vehicle - Google Patents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0475B1
KR101340475B1 KR1020070085092A KR20070085092A KR101340475B1 KR 101340475 B1 KR101340475 B1 KR 101340475B1 KR 1020070085092 A KR1020070085092 A KR 1020070085092A KR 20070085092 A KR20070085092 A KR 20070085092A KR 101340475 B1 KR101340475 B1 KR 101340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temperature
state
discharge mod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0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20366A (en
Inventor
최준호
이정훈
오세원
김태은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50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0475B1/en
Publication of KR20090020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36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0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04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71Air directing means, e.g. blades in an air outl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터코어측의 냉각수 온도를 센싱하는 센서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서도 기존에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실내온도센서와 실외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된 값으로 차량 방치 상태를 구분하여 차량의 엔진 냉각 상태를 판별한 후, 차량의 방치 상태에 따라 차등화된 초기 난방 기동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 발쪽으로 찬바람이 토출되는 것을 최소로 하여 추위를 더 느끼게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ngine cooling state of a vehicle is determined by dividing the vehicle leaving state by a value detected from an indoor temperature sensor and an outdoor temperature sensor provided in a vehicle without separately providing a sensor means for sensing the coolant temperature on the heater core side. After determining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vehicle's neglect state, by performing the differential heating start control,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so that the cold wind is discharged to the driver or occupant to minimize the more cold feeling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은, 차량의 시동이 온된 후, 차량의 실외 온도센서와 실내 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되어 입력된 실외 온도와 실내 온도를 검출하는 실내외 온도 검출단계와;In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indoor and outdoor for detecting the outdoor temperature and the indoo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outdoor temperature sensor and the indoor temperature sensor of the vehicle after the start of the vehicle is turned on A temperature detection step;

차량의 시동이 온된 시점에서 검출된 차실외 온도 각각에 대응하는 차실내 온도가 일정 범위내에 있는 경우 차량이 부분 방치 상태인 것으로 구분함과 아울러 상기 차실내 온도가 상기 부분 방치 상태의 온도 영역 이하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 차량이 완전 방치 상태인 것으로 구분하여 엔진 냉각 상태를 판별하는 엔진냉각상태 판별단계와;When the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vehicle interior temperatures detected at the time when the vehicle is turned on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vehicle is classified as being partially left and the interior temperatur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emperature region of the partial parking state. An engine cooling state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an engine cooling state by dividing the vehicle into a completely left state when it is within the range;

상기 차량의 부분 방치 상태 또는 완전 방치 상태 여부에 따라 초기 난방 제어 구동 시간을 다르게 설정하여 수행하는 초기 난방 제어 수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performing an initial heating control step of differently setting the initial heating control driving time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s partially left or completely left.

엔진, 냉각, 상태, 난방, 기동, 제어 Engine, cooling, status, heating, start up, control

Description

자동차 공조장치의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of vehicle}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of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히터코어측의 냉각수 온도를 센싱하는 센서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서도 기존에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실내온도센서와 실외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된 값으로 차량 방치 상태를 구분하여 차량의 엔진 냉각 상태를 판별한 후, 차량의 방치 상태에 따라 차등화된 초기 난방 기동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 발쪽으로 찬바람이 토출되는 것을 최소로 하여 추위를 더 느끼게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an automotive air conditioner, and more particularly, to detect from an indoor temperature sensor and an outdoor temperature sensor that are conventionally provided in a vehicle without separately providing a sensor means for sensing a coolant temperature on a heater core side. The engine cooling state of the vehicle is determined by dividing the vehicle idle state by the set value, and the initial heating start control differential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vehicle idle state is performed to minimize the cold wind discharged to the driver or the occupant. It relates to a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to make the feel more.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는 차량 외부 또는 차량 실내에서 공기를 도입하여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자동차의 실내로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는 장치로, 그 케이스 내부에는 블로어에 의하여 송풍되는 공기를 유도하는 유로가 형성되며, 이 유로상에는 송풍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열교환기들과 상기 열교환기들을 거치면서 가열 또는 냉각되어 송풍되는 냉,온기를 자동차의 실내의 각 부분으로 분배하여 송풍을 안내하는 여러개의 도어들이 장치된다.In general, an air conditioner of a vehicle is a device that cools or heats a vehicle interior by introducing air from the exterior of a vehicle or inside a vehicle to heat or cool the air to blow into the interior of the vehicle. A flow path for inducing air is formed, and on this flow path, heat exchangers for heating or cooling the blower air and cold and warm air heated or cooled while passing through the heat exchangers are distributed to each part of the interior of the vehicle. Several doors are provided for guiding.

첨부 도면 도 1은 이러한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로서, 특히 공기조화장치를 소형화하기 위해 송풍공기 냉각용 증발기 유니트와 가열용 히터 유니트가 하나의 유니트로 구성된 세미-센터 타입(Semi-center type) 공기조화장치(1)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것이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such an air conditioner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 semi-center comprising an air evaporator unit for cooling the air and a heater unit for heating in order to miniaturize the air conditioner. It shows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mi-center type air conditioner (1).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케이스(2)의 내부 유로중 증발기(3)는 상류쪽에 설치되어 있고, 히터코어(4)는 하류쪽에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evaporator 3 in the inner flow path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2 is provided on the upstream side, and the heater core 4 is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공기조화케이스(1)의 입구단에는 블로어 케이스(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이 블로어 케이스에는 모터(미도시)에의하여 구동되는 송풍팬(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A blower case (not shown) is provided at the inlet end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 and a blower fan (not shown) driven by a motor (not shown) is installed in the blower case.

상기 블로어 케이스의 상부에는 실내기 흡입구(미도시) 및 실외기 흡입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고, 이 흡입구들은 전환도어(미도시)의 선회에 따라 개폐 조절된다.An indoor air suction port (not shown) and an outdoor air suction port (not shown) are provid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lower case, and these suction ports are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turning of the switch door (not shown).

따라서,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른 송풍팬의 회동에 의하여 발생하는 흡입력에 의하여 실내기 흡입구 또는 실외기 흡입구를 통하여 블로어 케이스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조화케이스(1)의 내부 유로로 송풍됨으로써 증발기(3)및/또는 히터코어(4)를 거치면서 공기가 열교환되어 냉기 또는 온기로 바뀔 수 있다.Accordingly,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blower case through the indoor air inlet or outdoor air inlet port b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blowing fan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motor, and blown into the internal flow passage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 And / or the heater core 4, the air can be heat-exchanged to cool or warm.

그리고, 히터코어(4) 후방쪽의 공기조화케이스(1)의 출구단에는 자동차 창문쪽으로의 공기토출을 안내함으로써 자동차 창문의 성에를 제거하기 위한 디프로스트 덕트(미도시)와 연결되는 디프로스트 벤트(5)와, 자동차 실내의 상반부 쪽으로 의 공기 토출을 안내하기 위한 벤트 덕트(미도시)와 연결되는 페이스 벤트(6) 및 자동차 실내의 하반부 쪽으로의 공기토출을 안내하기 위한 플로어 덕트(미도시)와 연결되는 플로어 벤트(7)가 차례로 설치된다.In addition, a defrost vent connected to a defrost duct (not shown) for guiding air discharge toward the car window at the exit end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 at the rear side of the heater core 4 to remove the defrost of the car window. (5), a face vent 6 connected to a vent duct (not shown) for guiding air discharge toward the upper half of the vehicle interior, and a floor duct (not shown) for guiding air discharge to the lower half of the vehicle interior Floor vents 7 are connected in turn.

또한, 상기 벤트들(5,6,7)은 각각 도어(6a,6a,7a)에 의하여 소정의 냉난방 모드에 따라 개폐 조절되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vents 5, 6, and 7 are controll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a predetermined cooling and heating mode by the doors 6a, 6a, and 7a, respectively.

한편, 히터코어(4)는 공기조화케이스(1)의 내부 유로의 단면적중 하반부를 차지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히터코어(4)의 전방(즉, 히터코어(4)와 증발기(3)의 사이)에는 히터코어(4)쪽의 송풍통로(9)와 히터코어 상부쪽 공기조화케이스(1)의 내부 유로(10)의 개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도어(8)가 설치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heater core 4 is provided so as to occupy the lower half of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internal flow path of the air conditioner case 1 and is disposed in front of the heater core 4 (i.e., between the heater core 4 and the evaporator 3) Is provided with a temperature control door 8 for controlling the opening of the air passage 9 on the side of the heater core 4 and the inner flow path 10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 on the upper side of the heater core.

따라서, 온도조절도어(8)가 히터코어(4)쪽의 송풍통로(9)를 막고 있을 경우에는 증발기(3)를 거친 공기는 히터코어(4)를 거치지 않고 히터코어(4)를 우회하여 상기 벤트들(5,6,7)중 개방된 벤트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자동차 실내의 냉방이 수행될 수 있다.The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3 bypasses the heater core 4 without passing through the heater core 4 when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8 blocks the air passage 9 on the side of the heater core 4 The ventilation of the vehicle interior can be performed by discharging the vented air through the open vents among the vents 5, 6, 7 to the vehicle interior.

또한, 온도조절도어(8)가 히터코어(4) 상부쪽 공기조화케이스(1)의 내부 유로(10)쪽을 막고 있을 경우에는 증발기(3)를 거친 공기는 모두 히터코어(4)를 거쳐 상기 벤트들(5,6,7)중 개방된 벤트들을 통하여 자동차 실내로 토출됨으로써 자동차 실내의 난방이 수행될 수 있다.When the temperature control door 8 closes the inner flow path 10 side of the air conditioning case 1 at the upper side of the heater core 4, all air passing through the evaporator 3 flows through the heater core 4 The ventilation of the vehicle interior can be performed by discharging the vented air through the open vents among the vents 5, 6, 7 to the vehicle interior.

최근, 상기와 같은 공조장치는, 자동차의 모든 시스템이 자동화, 전자화되어 가는 추세에 따라 수동식에서 점차 고급승용차를 중심으로 전자동식(Full Auto Temperature Control ; FATC)으로 발전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전자동식 공조장 치는 계속 확대 보급되고 있다.In recent years, such an air conditioning apparatus has been developed from a manual type to a fully automatic type (Full Auto Temperature Control; FATC) in accordance with a trend that all systems of automobiles are automated and electronically. Devices continue to expand.

일반적으로 수동식 공조장치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실내온도의 체감 정도에 따라 차실내의 인스트루먼트 패널(Instrument Panel)의 중앙에 설치된 컨트롤 스위치(Control Switch)를 직접 조작하여 모드, 풍량 및 온도 등을 수동으로 선택하도록 되어 있음에 반하여, 상기 전자동식 공조장치는, 운전자가 요구하는 실내온도만을 설정하게 되면, 외부의 조건에 따라 모드, 풍량 등이 프로그램된 마이컴(Micom)에 의해 자동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주행중에 별다른 조작없이 보다 편리하면서도 안전운행을 할 수 있다.In general, a manual air conditioner manually controls a mode, air volume, and temperature by directly manipulating a control switch installed in the center of an instrument panel in a vehicle according to a driver's or passenger's degree of indoor temperature. On the contrary, if the air conditioner is set only to the room temperature required by the driver, the mode, air volume, etc. ar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the programmed Micom according to external conditions. It can be operated more conveniently and safely without any operation.

한편, 상기 전자동식 공조장치는, 내기온도(실내온도), 외기온도(실외온도), 증발기, 히터코어(Heater Core)의 수온 등을 감지하는 냉각수 온도 센서(Sensor) 및 컨트롤 스위치 등의 입력신호를 받아 마이컴(Micom)에서 논리적 연산을 통해 각종 모듈 모터(모드도어 모터, 템프도어 모터, 내외기도어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실내온도를 운전자의 설정온도 상태로 유지시켜 준다.The electric air conditioner includes an input signal such as a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for sensing an inside temperature (indoor temperature), an outdoor temperature (outdoor temperature), an evaporator, a water temperature of a heater core, (Mod door motor, temp door motor, internal / external door motor) through logical operation from Micom to keep the room temperature at the set temperature of the driver.

현재 전자동 온도 조절 방법에 있어서는, 겨울철 시동 온 된 후 히터코어측에 별도로 설치된 냉각수 온도 센서의 검출값을 이용하여, 시동 온 이전의 엔진 냉각 상태를 판단하여 엔진 워밍업시 외부에서 유입되는 차가운 공기가 승객쪽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초기 난방 기동 제어로직도 제공되어 있다.In the current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method, the cold air flowing in from the outside during the engine warm-up is determined by determining the engine cooling state before starting by using the detection value of the coolant temperature sensor installed on the heater core side after the start-up in winter. Initial heating start control logic is also provided which can prevent discharge to the side.

그러나, 이 냉각수 온도 센서의 고장시, 초기 난방 기동 제어를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breaks down, there is a problem that initial heating start control cannot be performed.

그리고, 이 히터코어측에 별도로 설치된 냉각수 온도 센서는 초기 난방 기동 제어시에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사용 빈도가 매우 낮아 설치 비용적인 측면에서 비효율적인 문제점도 있었다.In addition, the coolant temperature sensor separately installed on the heater core side is used in a limited time during initial heating start control, and its use frequency is very low, and there is also an inefficient problem in terms of installation cost.

이에, 히터코어측에 별도로 설치된 냉각수 온도 센서의 검출값을 이용하는 방식 대신에 기존 적용되어 있는 외기 온도 센서를 이용하면서 냉각수 온도 센서의 삭제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난방 기동 제어를 수행하는 방식을 적용한 자동차용 자동 온도 조절 방법이 국내 공개특허공보 2001-110823호로 제안된 바 있다.Therefore, instead of using the detection value of the coolant temperature sensor separately installed on the heater core side, the cooling water temperature sensor can be deleted while using the existing outside air temperature sensor, thereby applying a heating start control method for automobiles. An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method has been proposed in Korean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1-110823.

선 출원된 자동차용 자동 온도 조절 방법은, 외기 온도 센서를 이용하여 외기 온도를 검출하는 단계와, 외기 온도가 5℃이하이고 내기 온도와 외기 온도의 온도차가 10℃이하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외기 온도가 5℃이하이고 내기 온도와 외기 온도의 온도차가 10℃이하이면 히터 모드의 디프로스터를 오토 설정하는 단계 및 블로어 모드를 로우로 설정하는 단계와, 히터 모드 및 블로어 모드 설정 후 난방 가동 제어시간을 외기의 온도별로 결정하되, 외기 온도가 -15℃ 이하이면, 난방 기동 제어시간을 8분, -14.5℃ ~ -10℃이면 6분, -9.5℃ ~ -1℃이면 4분, -0.5℃ ~ -5℃이면 2분으로 결정하는 단계와, 내기 온도와 외기 온도를 비교하여 내기 온도의 온도값이 10℃이상으로 크면 난방 가동 제어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Pre-applied automotive temperature control method, the step of detecting the outside air temperature using an outside air temperature sensor, determining whether the outside temperature is less than 5 ℃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side temperature and the outside temperature is less than 10 ℃, If the outside temperature is below 5 ℃ and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outside temperature is below 10 ℃, auto setting the defroster in heater mode and setting the blower mode to low, and heating operation control after setting the heater mode and blower mode The time is determined by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but if the outside temperature is -15 ℃ or less, the heating start control time is 8 minutes, -14.5 ℃ ~ -10 6 minutes, -9.5 ℃ ~ -1 4 minutes, -0.5 Determining to 2 minutes if the temperature is ℃ ~ -5 ℃, and comparing the internal temperature and the outdoor temperature if the temperature value of the internal temperature is greater than 10 ℃ comprises the step of releasing the heating operation control.

그러나, 전술한 자동차용 자동 온도 조절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auto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automobiles,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이는 외기 온도에 의해서만 단순하게 초기 난방 기동 시간 및 풍량을 제어하는 것으로, 동일한 외기온에서도 차량의 방치 수준에 따라 냉각수온이 다르므로 차등화된 초기 난방 기동 제어를 실시해야 하지만, 이를 전혀 고려하지 않고 외기 온도가 일정치 이하일 때의 내외기 온도차가 일정치 이하인 경우에 히터모드를 디프로스트로 함과 아울러 블로어 모드로 설정한 후, 외기 온도별로 초기 난방 기동 제어시간이 달라지도록 제어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은 일률적으로 초기 난방 기동이 이루어지므로 차내를 쾌적하게 조성할 수 없는 것이다.This is simply controlling the initial heating start time and air volume only by the outside air temperature. Even though the coolant temperature is different according to the vehicle's standing level even at the same outside air temperature, the differential initial heating start control should be performed. Since the heater mode is defrosted and the blower mode is set when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air when the temperature is equal to or lower than the predetermined value is set to the blower mode, the initial heating start control time is controlled to vary according to the external temperature. As the initial heating is started, the interior of the car cannot be comfortably crea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히터코어측의 냉각수 온도를 센싱하는 센서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서도 기존에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실내온도센서와 실외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된 값으로 차량 방치 상태를 구분하여 차량의 엔진 냉각 상태를 판별한 후, 차량의 방치 상태에 따라 차등화된 초기 난방 기동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 발쪽으로 찬바람이 토출되는 것을 최소로 하여 추위를 더 느끼게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value detected from the indoor temperature sensor and the outdoor temperature sensor that is provided in the existing vehicle without a separate sensor means for sensing the coolant temperature on the heater core side After determining the engine cooling state of the vehicle by dividing the vehicle neglected state, and performing the initial heating start control that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neglected state of the vehicle, the cold wind is discharged further to the driver or the passenger to minimize the col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to make it feel.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공조장치의 제어 방법은, 차량의 시동이 온된 후, 차량의 실외 온도센서와 실내 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되어 입력된 실외 온도와 실내 온도를 검출하는 실내외 온도 검출단계와; 차량의 시동이 온된 시점에서 검출된 차실외 온도 각각에 대응하는 차실내 온도가 일정 범위내에 있는 경우 차량이 부분 방치 상태인 것으로 구분함과 아울러 상기 차실내 온도가 상기 부분 방치 상태의 온도 영역 이하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 차량이 완전 방치 상태인 것으로 구분하여 엔진 냉각 상태를 판별하는 엔진냉각상태 판별단계와; 상기 차량의 부분 방치 상태 또는 완전 방치 상태여부에 따라 초기 난방 제어 구동 시간을 다르게 설정하여 수행하는 초기 난방 제어 수행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control method of the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indoor and outdoor for detecting the outdoor temperature and the indoor temperature input and detected by the outdoor temperature sensor and the indoor temperature sensor of the vehicle after the vehicle is started A temperature detection step; When the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vehicle interior temperatures detected at the time when the vehicle is turned on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vehicle is classified as being partially left and the interior temperatur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emperature region of the partial parking state. An engine cooling state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an engine cooling state by dividing the vehicle into a completely left state when it is within the range; And performing an initial heating control step of differently setting the initial heating control driving time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s partially left or completely left.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히터코어측의 냉각수 온도를 센싱하는 센서수단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서도 기존에 차량에 구비되어 있는 실내온도센서와 실외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된 값으로 차량 방치 상태를 구분하여 차량의 엔진 냉각 상태를 판별한 후, 차량의 방치 상태에 따라 차등화된 초기 난방 기동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 발쪽으로 찬바람이 토출되는 것을 최소로 하여 추위를 더 느끼게 할 수 있게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leaving a sensor means for sensing the coolant temperature on the heater core side, the vehicle is left unattended with the values detected from the indoor temperature sensor and the outdoor temperature sensor provided in the vehicle. After distinguishing the engine cooling state of the vehicle, the initial heating start control is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neglected state of the vehicle, so that the cold wind is discharged to the driver or the passenger to minimize the cold, so that the user can feel the cold more. Can be.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공조장치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엔진 냉각 상태를 알 수 있는 실험 결과 그래프이다.Figure 2 is a flow chart for showing the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erimental result graph that can know the engine cool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여기서,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외 온도센서와 실내 온도센서는 배경기술 설명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전자동식(Full Auto Temperature Control ; FATC) 공조장치를 구비한 차량에 내장되어 있는 것으로, 별도의 도면이나 부재번호의 언급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디프로스트(Def) 토출모드 작동시 공기가 토출되는 부분은 도 1에서 디프로스트 벤트(5)이고, 믹스(Mix) 토출모드 작동시 공기가 토출되는 부분은 도 1에서 디프로스트 벤트(5)와 플로어 벤트(7)도 공기가 토출되는 부분이며, 플로어(Floor) 토출모드 작동시 공기가 토출되는 부분은 도 1에서 플로어 벤트(7)이다.Here, the outdoor temperature sensor and the indoor temperature sensor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embedded in a vehicle having a Full Auto Temperature Control (FATC) air conditioning apparatus, as mentioned in the background art description, and have a separate drawing or part number. Omission of references is omitted. In addition, the portion where the air is discharged during the defrost (Def) discharge mod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later is the defrost vent (5) in Figure 1, the portion where the air is discharged during the Mix (Mix) discharge mode operation is shown in Figure 1 The defrost vent 5 and the floor vent 7 are also the parts where the air is discharged, and the part where the air is discharged during the floor discharge mode operation is the floor vent 7 in FIG. 1.

본 발명의 제어방법인 온도 조절 방법은 겨울철 엔진 워밍업시에 외부에서 유입되는 차가운 공기가 최초로 승객의 발쪽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로직을 제공한다. 이 제어로직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시동이 온된 후, 차량의 실외 온도센서와 실내 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되어 입력된 실외 온도와 실내 온도를 검출하는 실내외 온도 검출단계를 진행한다.(S5)The temperature control method, which is a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rol logic that can prevent cold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t the time of warming up the engine in winter for the first time to be discharged toward the passenger's foot. As shown in FIG. 2, the control logic performs an indoor / outdoor temperature detection step of detecting the input outdoor temperature and the indoo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outdoor temperature sensor and the indoor temperature sensor of the vehicle after the vehicle is started. S5)

다음으로, 차량 시동온된 시점에서 검출된 차실외 온도 각각에 대응하는 차실내 온도가 일정 범위내에 있는 경우 차량이 부분 방치 상태인 것으로 구분함과 아울러 차실내 온도가 차량의 부분 방치 상태의 온도 영역 이하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 차량이 완전 방치 상태인 것으로 구분하여 엔진 냉각 상태를 판별하는 엔진냉각상태 판별단계를 진행한다.(S10)Next, when the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vehicle exterior temperatures detected at the time of starting the vehicle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vehicle is classified as being partially left, and the interior temperature is the temperature range where the vehicle is partially left. If the vehicle is within the following range, the engine is cooled down and the engine cooling state is determined.

이후, 상기 차량의 부분 방치 상태 또는 완전 방치 상태 여부에 따라 초기 난방 제어 구동 시간을 다르게 설정하여 수행하는 초기 난방 제어 수행단계를 진행한다.Thereafter, an initial heating control performing step is performed by differently setting the initial heating control driving time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s partially left or completely left.

여기서, 차량이 부분 방치 상태인 경우는, 차량 시동 오프후 장시간이 아닌대략 1시간 정도 경과한 상태를 의미하는데, 이때 차량 시동온된 시점에서 검출된 차실외 온도 각각에 대응하는 차실내 온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선a와 지시선b 사이의 구간의 온도 범위에 있을 때이다.Herein, when the vehicle is in a partially left state, it means a state that is about 1 hour, not a long time after the vehicle is turned off, wherein the interior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outside temperature detected at the time when the vehicle is started is measured. As shown in 3, it is when it is in the temperature range of the section between reference line a and leader line b.

그리고, 차량이 완전 방치 상태인 경우는, 차량 시동 오프후 장시간 경과한 상태를 의미하는데, 이때 차량 시동온된 시점에서 검출된 차실외 온도 각각에 대응하는 차실내 온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선b 이하 구간의 온도 범위에 있을 때이다.In addition, when the vehicle is in a completely left state, it means a state that has elapsed for a long time after the vehicle is turned off, wherein the interior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exterior temperature detected at the time when the vehicle is started is shown in FIG. 3. , When the temperature is within a range below the baseline b.

이후, 차량의 부분 방치 상태로 구분된 경우(S30) 또는 완전 방치 상태로 구분된 경우(S40)에 따라 초기 난방 제어 구동 시간을 다르게 설정하여 수행하는 초기 난방 제어 수행단계를 진행한다.(S60)(S70)Subsequently, the initial heating control performing step is performed by differently setting the initial heating control driving time according to the case where the vehicle is divided into the partially neglected state (S30) or when the vehicle is divided into the completely neglected state (S40). (S70)

여기서, 엔진냉각상태 판별단계(S10)에서 차량 시동온된 시점에서 검출된 차실외 온도 각각에 대응하는 차실내 온도 범위가 부분 방치 상태의 온도 영역 이상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에는 차량이 미(未)방치 상태로 구분하게 되는데, 차량이 미방치 상태인 경우는 차량 시동 오프후 다시 시동 온까지 경과 시간이 몇분 이내인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때 차량 시동온된 시점에서 검출된 차실외 온도 각각에 대응하는 차실내 온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선a 이상 구간의 온도 범위에 있을 때이다.Here, when the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rang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vehicle exterior temperatures detected at the time when the vehicle is started on in the engine cooling state determination step S10 is within the range of the temperature range of the partial neglected state, the vehicle is left unattended. When the vehicle is left unattended, it means a state in which the elapsed time from the start of the vehicle to the start of the vehicle is within a few minutes, and corresponds to each of the outside temperature detected at the time of starting of the vehicle. As shown in FIG. 3, the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is in a temperature range of a section above the reference line a.

이하, 도 3에 도시된 기준선a,b에 대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reference lines a and b shown in FIG. 3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실외 온도가 영하 20℃~영상 15℃ 범위에서, 실외 온도가 영하 20℃ 일때의 실내 온도가 영상 13℃이고, 실외 온도가 영상 15℃ 일때의 실내 온도가 영상 17.5℃일 때, 영상 13℃~영상 17.5℃까지 직선으로 연결한 온도 변화선을 기준선a 이라고 한다.When the outdoor temperature is in the range of minus 20 ° C. to image 15 ° C., when the outdoor temperature is minus 20 ° C., the indoor temperature is image 13 ° C., and when the outdoor temperature is image 15 ° C., the indoor temperature is image 17.5 ° C., image 13 ° C. The temperature change lin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to the image 17.5 ° C is referred to as the reference line a.

그리고, 실외 온도가 영하 20℃ 일때의 실내 온도가 영하 2℃이고, 실외 온도가 영상 15℃ 일때의 실내 온도가 영상 17.5℃일 때, 영하 2℃~영상 17.5℃까지 직선으로 연결한 온도 변화선을 기준선b 이라고 한다.When the indoor temperature is minus 2 ° C when the outdoor temperature is minus 20 ° C and the room temperature is minus 17.5 ° C when the outdoor temperature is minus 15 ° C, a temperature change line connected in a straight line from minus 2 ° C to 17.5 ° C Is called the baseline b.

여기서, 도 3에 도시된 실외 온도와 실외 온도의 범위를 각각 영하 20℃~영상 15℃ 범위, 영하 20℃~영상 20℃ 범위내에서 기준선a,b의 기울기 변화를 나타내었으나, 실외 온도가 영하 20℃보다 낮은 온도에서 기준선 a,b의 기울기 변화 추이는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실외 온도가 영하 20℃~영상 15℃ 범위와 같은 추세를 나타낸다.Here, although the range of the outdoor temperature and the outdoor temperature shown in FIG. 3 is in the range of minus 20 ° C. to 15 ° C. and minus 20 ° C. to 20 ° C., the inclination of the reference lines a and b is changed, but the outdoor temperature is below zero. Although the slope change of the baseline a, b at a temperature lower than 20 ℃ is not shown in the figure, the outdoor temperature shows a trend such as the range of minus 20 ℃ ~ image 15 ℃.

그리고, 실외 온도가 영상 15℃보다 높은 온도 범위에서는 본 발명의 초기 난방 제어가 필요없는 관계로 별도로 기준선 a,b의 기울기 변화 추이를 도시하지 않았으며, 또한, 본 발명의 초기 난방 제어를 실시하지 않음을 밝혀둔다.In addition, in the temperature range where the outdoor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image 15 ° C, since the initial heating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y, the gradient change of the baselines a and b is not separately shown, and the initial heating contro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erformed. It turns out that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실외 온도가 영하 5℃인 경우에 기준선a 이상의 영역을 보면 실내 온도가 영상 16℃~ 영상 20℃ 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조건은 실차에서 보면 냉각수 온도가 대략 80℃ 정도가 되는 상태인 것으로, 별도의 초기 난방 기동 제어가 필요없다는 것이기 때문에 풍향을 플로어(7)로 설정함과 아울러 블로어(미도시)의 전압이 증가되도록 하여 풍량을 상승 제어하는 일반 난방 제어를 실시하게 된다.(S50)In more detail, as can be seen in the graph of FIG. 3, when the outdoor temperature is below 5 ° C., it can be seen that the room temperature is between 16 ° C. and 20 ° C. when the outdoor temperature is above the baseline a. Such a condition is that the coolant temperature is about 80 ° C when viewed from the actual vehicle. Since the initial heating start control is not necessary, the wind direction is set to the floor 7, and the voltage of the blower (not shown) is increased. General heating control is performed to increase and control the air volume by increasing the flow rate (S50).

그리고, 상기 기준선b 이하의 영역으로 판단된 경우(완전 방치 영역)와, 기준선a과 기준선b 사이의 영역(부분 방치 영역)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엔진의 냉각 상태가 초기 난방기동제어 진입모드인 것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도 3의 그래프에서 알 수 있듯이, 완전 방치 영역과 부분 방치 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rea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line b (completely neglected area)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rea between the reference line a and the reference line b (partially neglected area) is determined, the engine is in an initial heating start control entry mode. By judging, as can be seen from the graph of FIG. 3, it can be divided into a complete neglect region and a partial neglect region.

완전 방치 영역에 대해서 설명하면, 실외 온도가 영하 5℃인 경우에 기준선 b 이하의 영역을 보면 실내 온도 범위가 영상 7℃~ 영하 -5℃ 인 경우이다. 이와 같은 조건은 실차에서 보면 냉각수 온도가 대략 80℃ 보다 훨씬 낮은 정도가 되는 상태인 것으로, 외부에 차량이 장시간 동안 완전 방치되어 있다는 의미하는 것이다.In the case of the complete standing area, when the outdoor temperature is below 5 ° C, the area below the baseline b is when the room temperature ranges from 7 ° C to -5 ° C. Such a condition is that the temperature of the coolant is much lower than about 80 ° C. in the actual vehicle, which means that the vehicle is completely left outside for a long time.

그리고, 부분 방치 영역에 대해서 설명하면, 실외 온도가 영하 5℃인 경우에 기준선a와 기준선b 사이의 영역(부분 방치 영역)을 보면 실내 온도의 범위가 영상 7℃~ 영상 16℃인 경우이다. 이와 같은 조건은 실차에서 보면 냉각수 온도가 완전 방치보다는 높고 차량의 미방치 때보다는 낮은 온도가 되는 상태인 것으로, 외부에 차량이 일정시간 주행후 대략 1시간 정도 방치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n the case of the partial neglected area, when the outdoor temperature is below 5 ° C, the area (partial neglected area) between the reference line a and the reference line b is the case where the indoor temperature ranges from 7 ° C to 16 ° C. Such a condition is that in the actual vehicle, the coolant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at of the complete neglect and lower than that of the unattended vehicle, which means that the vehicle is left for about 1 hour after driving for a predetermined time.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부분 방치 상태의 온도 범위 영역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실외 온도가 감소할수록 증가하게 설정하여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temperature range region of the partially left state by setting the temperature range of the partial neglected state to increase as the outside temperature of the vehicle is decreased.

그리고, 본 발명의 도면인 도 3은 엔진 냉각 상태를 판별하기 위해 차량의 방치 상태를 알 수 있는 최적화된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이 그래프에 나타난 미방치 영역과, 부분 방치 영역과, 완전 방치 영역 범위내에 속해 있는 실내외 온도 데이터를 근거로 하여, 차량 방치 상태에 따라 초기 난방 기동 제어 또는 일반 난방 제어를 선별적으로 실시할 수 있수 있으며, 특히 초기 난방 기동 제어시 운전자에게 찬바람이 토출되는 것을 최소로 줄여 추위를 덜 느끼게 하여 쾌적한 공조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3 is a graph showing an optimized experimental result for knowing an unattended state of a vehicle in order to determine an engine cooling state. On the basis of the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data within the area range, initial heating start control or general heating control can be selectively performed according to the vehicle standing state, and in particular, cold wind is discharged to the driver during initial heating start control. It can be reduced to less cold to provide a comfortable air conditioning environ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엔진의 냉각 상태가 부분 방치와 완전 방치된 것으로 판단되면(S30)(S40), 풍향을 순차적으로 디프로스트 토출모드와 믹스 토출모드와 플로어 토출모드로 변경되도록 함과 아울러 블로어의 전압을 저단에서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하여 풍량을 제어한다.(S60)(S70)As described abov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cooling state of the engine is partially left and completely left (S30) (S40), the wind direction is sequentially changed to the defrost discharge mode, the mix discharge mode, and the floor discharge mode. The air volume is controlled by gradually increasing the voltage of the blower at the low stage. (S60) (S70).

그리고, 본 발명은 엔진의 냉각 상태가 부분 방치와 완전 방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실외 온도에 따라 디프로스트 토출모드 작동 시간을 달리하되, 차량이 부분 방치된 경우에서의 디프로스트 토출모드 작동 시간보다 차량이 완전 방치되어 있는 경우에서의 디프로스트 토출모드 작동 시간을 더 연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0)(S70)In addition, when the cooling state of the engine is determined to be completely left and partially left, the present invention may vary the defrost discharge mode operation time according to the outdoor temperature, but the vehicle is less than the defrost discharge mode operation time when the vehicle is partially left.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control to further extend the defrost discharge mode operation time in the case where it is completely left (S60) (S70).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차량이 부분 방치된 경우와 차량이 완전 방치되어 있는 경우에, 차량 주행시의 차속에 따른 작동시간(t)을 산출하여 디프로스트 토출모드 작동 시간을 달리하되, 차량이 부분 방치된 경우에서의 디프로스트 토출모드 작동 시간보다 차량이 완전 방치되어 있는 경우에서의 디프로스트 토출모드 작동 시간을 더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ehicle is partially left and when the vehicle is completely left, the operating time (t)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at the time of driving the vehicle is different from the defrost discharge mode operating time, but the vehicle is left unattended.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urther extend the defrost discharge mode operation time when the vehicle is completely left than the defrost discharge mode operation time.

상기 차량의 차속에 따른 작동시간(t)은 다음식,The operating time (t)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of the vehicle is

Figure 112007061212621-pat00001
Figure 112007061212621-pat00001

에 의해 산출된다.Calculated by

즉, 차량의 엔진이 정지되었다가 다시 가동되어 엔진을 순환하는 냉각수의 온도가 정상치인 대략 80℃로 상승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차량 종류 및 차량 성능에 따라 달라지는데, 이 기준 시간을 T라고 하되, 일례로 4분이라고 가정한다.That is, the time it takes for the engine of the vehicle to be stopped and then restarted to rise to a normal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80 ° C, depending on the type of vehicle and the performance of the vehicle, is referred to as T. Assume 4 minutes.

일례로, 차량이 부분 방치되어 있는 경우에, 고차속인 40km/h 이상으로 4분동안 운행시 작동시간(t)이 4분이 되는데, 이 경우에는 냉각수 온도가 80℃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기준시간(T)과 동일하기 때문에 4분 동안 디프로스트 토출 모드를 실시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vehicle is partially left, the operating time t becomes four minutes when the vehicle is operated for four minutes at a high vehicle speed of 40 km / h or more. In this case, the reference time for raising the coolant temperature by 80 ° C. (T ), The defrost discharge mode is performed for 4 minutes.

한편, 차량이 완전 방치되어 있는 경우에서는, 차량이 부분 방치된 경우보다 디프로스트 토출모드 작동 시간을 더 연장하는데, 일례로 차량 운행 조건이 저차속인 40km/h 미만으로 2분 동안 운행한 후, 고차속인 40km/h 이상으로 2분 동안 운행하게 되면, 작동시간(t)은 3분이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vehicle is completely left, the defrost discharge mode operation time is further extended than when the vehicle is partially left. For example, after the vehicle is operated for 2 minutes at a low vehicle speed of less than 40 km / h, If you drive for more than 40 km / h for two minutes, the operating time (t) is three minutes.

따라서, 냉각수 온도가 80℃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기준시간(T)보다 1분이 모자라게 되기 때문에 차량이 부분 방치된 경우와 차량이 완전 방치되어 있는 경우에, 냉각수 온도가 80℃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기준시간(T)에서 차량 주행시의 차속에 따라 산출된 작동시간(t)을 차감한 만큼 차량이 부분 방치된 경우에서의 디프로스트 토출모드 작동 시간보다 차량이 완전 방치되어 있는 경우에서의 디프로스트 토출모드 작동 시간을 더 연장되도록 제어한다.Therefore, since a minute is shorter than the reference time T required to increase the coolant temperature by 80 ° C, the reference time required to increase the coolant temperature by 80 ° C when the vehicle is partially left and the vehicle is completely left unattended ( The defrost discharge mode operation time when the vehicle is completely left than the defrost discharge mode operation time when the vehicle is partially left by subtracting the operating time t calculated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when driving the vehicle at T). Control to extend further.

그리고, 차량 주행 조건이 고차속인 40km/h 이상으로 대략 2분 주행하다가 저차속인 40km/h 미만으로 2분 주행하는 경우라도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이 부분 방치된 경우에서의 디프로스트 토출모드 작동 시간보다 차량이 완전 방치되어 있는 경우에서의 디프로스트 토출모드 작동 시간을 보상하여 더 연장되도록 제어한다.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vehicle is driven for about two minutes at a high vehicle speed of 40 km / h or more and then two minutes at a low vehicle speed of 40 km / h, the defrost discharge mode operation time when the vehicle is partially left as described above. It is further controlled to compensate for the defrost discharge mode operation time when the vehicle is completely left.

즉, 작동시간(t)은 3분이 되는 관계로, 냉각수 온도가 80℃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기준시간(T)보다 1분이 모자라게 되기 때문에 냉각수 온도가 80℃ 상승하는데 소요되는 기준시간(T)에서 차량 주행시의 차속에 따라 산출된 작동시간(t)을 차감한 만큼 차량이 부분 방치된 경우에서의 디프로스트 토출모드 작동 시간보다 차량 이 완전 방치되어 있는 경우에서의 디프로스트 토출모드 작동 시간을 더 연장되도록 제어한다.That is, since the operating time (t) is three minutes, one minute is shorter than the reference time (T) required to increase the coolant temperature by 80 ° C, and thus, the vehicle at the reference time (T) required to increase the coolant temperature by 80 ° C. The defrost discharge mode operation time when the vehicle is completely left is further extended than the defrost discharge mode operation time when the vehicle is partially left by subtracting the operating time t calculated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during driving. To control.

상기 작동시간(t) 산출식에서 고차속일때 적용되는 변수 '1'과 저차속일때 적용되는 변수 '0.5'는 반듯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고차속일때 적용되는 변수보다 저차속일 때 적용되는 변수를 작아지도록 설정한다.The variable '1' applied at the high vehicle speed and the variable '0.5' applied at the low vehicle speed are not limited thereto, but the variable applied at the low vehicle speed is smaller than the variable applied at the high vehicle speed. Set to lose.

그 이유는, 차속이 느릴때에는 엔진의 냉각수 온도의 상승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차속이 느린만큼 디프로스트 토출모드 작동 시간을 연장 보상하되, 특히 차량이 부분 방치된 경우에서의 디프로스트 토출모드 작동 시간보다 차량이 완전 방치되어 있는 경우에서의 디프로스트 토출모드 작동 시간이 더 연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when the vehicle speed is slow, the engine coolant temperature rises slowly, so the defrost discharge mode operation time is compensated for as slow as the vehicle speed is, but the vehicle is operated more than the defrost discharge mode operation time when the vehicle is partially left. In this case, the defrost discharge mode operation time is further extended.

이하, 본 발명의 차속 변수까지 적용된 실시예에서 엔진 냉각 상태별 작동 시간을 부여한 실시예를 아래 [표 1]를 참고하여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to which the operating time for each engine cooling state is given in the embodiment applied to the vehicle speed vari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1 below.

[표 1][Table 1]

실외온도(℃)
Outdoor temperature (℃)
디프로스트 토출모드 작동시간(초)Defrost discharge mode operation time (seconds) 믹스토출모드 작동시간(초)
Mix Discharge Mode Operating Time (sec)
부분 방치Partial neglect 완전 방치Completely neglected 1515 3030 6060 3030 1010 4040 7575 3030 55 5050 9090 3030 00 6060 120120 3030 -5-5 8080 150150 4040 -10-10 100100 180180 5050 -15-15 120120 200200 6060 -20-20 140140 200200 6060 -40-40 140140 200200 6060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차량이 부분 방치인 경우보다 완전 방치인 경우에 디프로스트 토출 모드 작동시간을 보다 연장하여 실시함으로써, 차량이 완전 방치된 경우에 초기 난방기동 제어를 실시하게 되면, 운전자에 찬바람이 토출되는 것을 최소로 줄여 추위를 덜 느끼게 하여 쾌적한 공조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As can be seen from [Table 1], when the vehicle is left completely, the defrost discharge mode operation time is extended more than when the vehicle is partially left, so that the initial heating start control is performed when the vehicle is left completel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fortable air-conditioning environment by reducing the cold wind discharged to the driver to a minimum and feeling less cold.

한편, 본 발명은 풍향을 믹스 토출모드까지 실시한 후, 플로어 토출모드로 변경하여 실시하게 되는데, 이 플로어 토출모드를 실시하게 되는 시점은 냉각수 온도가 대략 80℃까지 상승한 경우로써, 이 때부터는 전술한 일반 난방 제어를 진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carried out by changing the wind direction to the mixed discharge mode, and then changed to the floor discharge mode, the time when the floor discharge mode is carried out when the coolant temperature rises to approximately 80 ℃, from this point on General heating control will be performed.

도 1은 일반적인 자동차 공조장치의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eneral automotive air conditioner.

도 2는 본 발명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엔진 냉각 상태를 알 수 있는 실험 결과 그래프.Figure 3 is an experimental result graph that can know the engine cool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4)

차량의 시동이 온된 후, 차량의 실외 온도센서와 실내 온도센서로부터 검출되어 입력된 실외 온도와 실내 온도를 검출하는 실내외 온도 검출단계와;An indoor / outdoor temperature detection step of detecting an outdoor temperature and an indoo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outdoor temperature sensor and the indoor temperature sensor of the vehicle after the vehicle is started; 차량의 시동이 온된 시점에서 검출된 차실외 온도 각각에 대응하는 차실내 온도가 일정 범위내에 있는 경우 차량이 부분 방치 상태인 것으로 구분함과 아울러 상기 차실내 온도가 상기 부분 방치 상태의 온도 영역 이하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 차량이 완전 방치 상태인 것으로 구분하여 엔진 냉각 상태를 판별하는 엔진냉각상태 판별단계와;When the vehicle interior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vehicle interior temperatures detected at the time when the vehicle is turned on is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the vehicle is classified as being partially left and the interior temperatur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temperature region of the partial parking state. An engine cooling state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an engine cooling state by dividing the vehicle into a completely left state when it is within the range; 상기 차량의 부분 방치 상태 또는 완전 방치 상태 여부에 따라 초기 난방 제어 구동 시간을 다르게 설정하여 수행하는 초기 난방 제어 수행단계를 포함하며,And performing an initial heating control step of differently setting the initial heating control driving time according to whether the vehicle is partially left or completely left. 상기 부분 방치 상태의 온도 영역은 상기 차실외 온도가 감소할수록 증가하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조장치의 제어방법.And the temperature region in the partially left state is set to increase as the outside temperature of the vehicle is decreased.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차량이 부분 방치 상태 또는 완전 방치 상태인 경우에 풍향을 순차적으로 디프로스트 토출모드와 믹스 토출모드와 플로어 토출모드로 변경되도록 함과 아 울러 블로어의 전압을 저단에서 점차적으로 증가되도록 하여 풍량을 제어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조장치의 제어방법.When the vehicle is in the partially or completely unattended state, the wind direction is sequentially changed to the defrost discharge mode, the mix discharge mode, and the floor discharge mode, and the blower voltage is gradually increased at the low stage to control the air volume. Control method of a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 1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3, 상기 차량의 차속에 따른 작동시간(t)을 산출하여 디프로스트 토출모드 작동 시간을 달리하되, 차량이 부분 방치 상태인 경우에서의 디프로스트 토출모드 작동 시간보다 차량이 완전 방치 상태인 경우에서의 디프로스트 토출모드 작동 시간을 더 연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공조장치의 제어방법.The defrost discharge mode operation time is changed by calculating the operating time t according to the vehicle speed of the vehicle, and the defrost discharge mode operation time when the vehicle is completely left than the defrost discharge mode operation time when the vehicle is partially left. The control method of the automotive air conditioner,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o further extend the frost discharge mode operating time.
KR1020070085092A 2007-08-23 2007-08-23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of vehicle KR1013404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092A KR101340475B1 (en) 2007-08-23 2007-08-23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092A KR101340475B1 (en) 2007-08-23 2007-08-23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366A KR20090020366A (en) 2009-02-26
KR101340475B1 true KR101340475B1 (en) 2013-12-13

Family

ID=40687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092A KR101340475B1 (en) 2007-08-23 2007-08-23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047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1130A (en) 2007-10-23 2009-04-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Method for controlling celo for a vehic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8732A (en) * 1996-11-14 1998-05-26 Zexel Corp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
KR20040085725A (en) * 2003-04-01 2004-10-08 한라공조주식회사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car
KR20070039740A (en) * 2005-10-10 2007-04-13 한라공조주식회사 The warming control method in starting for ca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38732A (en) * 1996-11-14 1998-05-26 Zexel Corp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
KR20040085725A (en) * 2003-04-01 2004-10-08 한라공조주식회사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method for car
KR20070039740A (en) * 2005-10-10 2007-04-13 한라공조주식회사 The warming control method in starting for c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366A (en) 2009-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01752A (en) Vehicular air temperature control system having excellent windshield defogging characteristics
US6745582B1 (en) HVAC control method for a remote start motor vehicle
KR10134047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of vehicle
JP2596813B2 (en) Vehicle air conditioning controller
KR101198745B1 (en) Temperature door control method of air-conditioning system for vehicle
JP4066508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2572629B2 (en) Vehicle air conditioning controller
KR101511507B1 (en) Temperature door control method of Air-conditining system for vehicle
JP5884682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3783607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JP3922007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20050112278A (en)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 car
KR10082262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to enhance initial warming performance
KR101474825B1 (en) Method for controlling of air-conditioner in the vehicle
KR100928000B1 (en) Heating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JP3861805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2129436B1 (en) Air conditioning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s
KR101669986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take of inner air and outer air with fuction of preventing fogging
JP3835250B2 (en)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KR101481696B1 (en) The control method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JP2518655Y2 (en) Vehicle air conditioner
KR20110002652A (en)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er of vehicle
JP2004196105A (en) Air-conditioner for vehicle
KR19990005847U (en) Automatic control device for internal / external air mode of vehicle air conditioner
JP6498062B2 (en)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