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8005B1 - Method for setting criteria area to decide position and apparatus therefor - Google Patents

Method for setting criteria area to decide position and apparatus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8005B1
KR101328005B1 KR1020110024929A KR20110024929A KR101328005B1 KR 101328005 B1 KR101328005 B1 KR 101328005B1 KR 1020110024929 A KR1020110024929 A KR 1020110024929A KR 20110024929 A KR20110024929 A KR 20110024929A KR 101328005 B1 KR101328005 B1 KR 101328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trength
area
access point
determination reference
position determin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9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107305A (en
Inventor
정승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10024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8005B1/en
Publication of KR20120107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730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8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80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04Position of source determined by a plurality of spaced direction-fin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by co-ordinating position lines of different shape, e.g. hyperbolic, circular, elliptical or rad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04W64/003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locating network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방법은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 각각에 대해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한 기준 반경 영역을 위치 판정 기준 영역으로 설정하며 상기 기준 반경에서 측정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상기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로 설정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위치 판정 기준 영역으로 설정된 영역 이외의 영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분할 영역 각각을 위치 판정 기준 영역으로 설정하며 주변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들을 해당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로 설정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setting a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s a reference radius area centered on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n access point as a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for each of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and sets the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measured at the reference radius. A first step of setting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the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And dividing an area other than the area set as the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into at least one area, setting each of the divided areas as a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and using the signal strengths of the peripheral access points as reference signal strengths of the corresponding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It includes; a second step to set to.

Description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SETTING CRITERIA AREA TO DECIDE POSITION AND APPARATUS THEREFOR}METHOD FOR SETTING CRITERIA AREA TO DECIDE POSITION AND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위치 측정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근거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실내 위치 측정 기술에 있어서 위치 판정의 기준이 되는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measurement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a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as a reference for location determination in an indoor location measurement technology using an access point that provides a short-range communication service. .

이동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통신망에서 이동 단말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 측정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인공 위성을 이용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치 측정 기술이 널리 보급되어 이용되고 있다.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 position measurement technique for measuring the position of a mobile terminal in a communication network has been actively studied. Typically,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positioning technology using a satellite is widely used.

GPS 위치 측정 기술은 이동 단말에 GPS 수신기를 장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GPS 위치 측정 기술은 미국 국방성에서 군사용으로 개발된 것으로, 정밀도가 높은 GPS 위치 측정 기술은 공개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GPS 위치 측정 기술은 건물 내부 등 위성 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실내에서는 이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그 보완 기술로서 근거리 무선 통신 서비스를 위한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위치 측정을 시도하는 노력이 전개되고 있다. GPS positioning technology has a problem that a GPS receiver must be mounted on a mobile terminal, and GPS positioning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by the US Department of Defense for military use, and a precise GPS positioning technique is not disclosed. In addition, GPS positioning technology has limitations that it can not be used in a room where satellite signals can not be received, such as inside a building. Therefore, as a complementary technology, efforts have been made to attempt location measurement using an access point for a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근거리 무선 통신 서비스는 노트북, PDA, 스마트폰 등 무선랜이 탑재된 단말을 이용하여 근거리에 설치된 무선랜 액세스 포인트에 접속하여 이동 중에 무선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최근 이러한 근거리 통신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여 대형 쇼핑몰과 같은 건물 내부에 많은 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설치되고 있다.Th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connects to a wireless LAN access point installed near by using a terminal equipped with a wireless LAN such as a notebook computer, a PDA, or a smart phone so that the wireless Internet can be used while traveling. Recently, the demand for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has increased, and a large number of access points are installed in a building such as a large shopping mall.

상기와 같은 액세스 포인트들이 실내에 많은 수가 설치됨에 따라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들을 이용하면 GPS 위치 측정 기술이 적용되지 못하는 실내에서도 이동 단말에 대한 위치 측정이 가능해진다. Since a large number of such access points are installed in the room, it is possible to use the access points to measure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even in a room where GPS positioning technology is not applicable.

이에 따라 최근에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위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한 위치 측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실내에 설치된 액세스 포인트들의 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는 것이다. 데이터베이스에 구축된 실내 액세스 포인트 정보들이 많으면 많을수록 그리고 실내 액세스 포인트 정보들의 정확도가 높을수록 위치 측정의 정확도는 높아진다. Recently, location positioning technology using an access point for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The most important thing in positioning by using such an access point is to collect information of access points installed indoors and build it into a database. The more indoor access point information constructed in the database, and the higher the accuracy of indoor access point information, the higher the accuracy of location measur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부흥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실내 위치 측정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위치 판정의 기준이 되는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etting a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which is a reference for position determination for enhancing the accuracy of indoor position measurem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also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may be realized and attained by means of the instrumentalities and combinations particularly pointed out in the appended claim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방법은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 각각에 대해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한 기준 반경 영역을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으로 설정하며 상기 기준 반경에서 측정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상기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로 설정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으로 설정된 영역 이외의 영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분할 영역 각각을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으로 설정하며 주변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들을 해당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로 설정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setting a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wherein a reference radius area centered on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n access point is set as a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for each of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A first step of sett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measured at the reference radius to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And dividing a region other than the region set as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into at least one region, setting each of the divided region as a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and determining the signal strengths of the peripheral access points. And setting a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the reference region.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기준 반경의 거리에서 제자리 회전을 하며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그 제자리 회전을 하며 측정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평균하여 신호 세기 평균값을 산출하는 산출 단계; 및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산출 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그 반복 수행에 따라 산출된 신호 세기 평균값 중 어느 하나를 기준 신호 세기로 결정하는 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step is a calculation step of calculating the signal strength average value by performing the in-situ rotation at the distance of the reference radius,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performing the in-situ rotation, and averaging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 And a determination step of rotating the center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ccess point and repeatedly performing the calculation step and determining one of the average values of the signal strength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epetition.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분할 영역에 대해 설정한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로서, 상기 분할 영역으로 신호가 수신되는 주변 액세스 포인트 각각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 이하의 신호 세기를, 기준 신호 세기로서 설정한다.Preferably, the second step is a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a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set for the divided region, and is a first position set around an installation position of each of the peripheral access points that receive a signal to the divided region. The signal strength below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the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is set as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 각각에 대해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한 기준 반경 영역을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으로 설정하며 상기 기준 반경에서 측정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상기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로 설정하는 제 1 설정 수단; 및 상기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으로 설정된 영역 이외의 영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분할 영역 각각을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으로 설정하며 주변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들을 해당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로 설정하는 제 2 설정 수단;을 포함한다.The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sets a reference radius area arou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ccess point as a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for each of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and First setting means for sett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measured at the reference radius to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And dividing a region other than the region set as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into at least one region, setting each of the divided region as a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and determining the signal strengths of the peripheral access points. And second setting means for setting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the reference region.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설정 수단은, 상기 기준 반경의 거리에서 제자리 회전을 하며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신호 세기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반복 수행함으로써 산출된 신호 세기 평균값 중 어느 하나를 기준 신호 세기로 결정한다.Preferably, the first setting means, by rotating the in-situ at the distance of the reference radius to measure the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to calculate a signal strength average value by rotating repeatedly arou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ccess point Any one of the calculated signal intensity average values is determined as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바람직하게, 상기 제 2 설정 수단은, 상기 분할 영역에 대해 설정한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로서, 상기 분할 영역으로 신호가 수신되는 주변 액세스 포인트 각각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 이하의 신호 세기를, 기준 신호 세기로서 설정한다.Preferably, the second setting means is a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set for the divided region, and is a first set centered on an installation position of each of the peripheral access points for which a signal is received in the divided region. The signal strength below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the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is set as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본 발명은 실내 신호 환경을 고려하여 위치 판정을 위한 기준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실내 위치 측위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precision of indoor positioning by setting a reference area for position determin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indoor signal environment.

또한, 본 발명은, 위치 판정을 위한 기준 영역을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할 뿐만 아니라 이외의 공백 영역에 대해서도 기준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위치 측위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accuracy of positioning by not only setting the reference area for position determination arou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ccess point, but also setting the reference area for other blank area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통신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시 활용되는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판정 기준 영역에 대한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oor communic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used for position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measuring a signal strength of an access point by using a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ting device.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setting a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setting a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able for a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sition meas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sition meas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foregoing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There will b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통신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door communication environ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건물 등의 실내(100)에는 근거리 무선 통신(예컨대, WiFi)을 이용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AP:Access Point)(110, 120, 130, 140)들이 곳곳에 설치된다. 통신 단말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110, 120, 130, 140)를 통해 유선 인터넷망에 접속하여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ccess points (APs) 110, 120, 130, and 140 that provide Internet services us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eg, WiFi) are installed everywhere in an indoor 100 such as a building. do. The communication terminal may access the wired Internet network through the access points 110, 120, 130, and 140 to use an Internet service.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110, 120, 130, 140)는 그 서비스 반경이 수 m에 불과하다.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110, 120, 130, 140)는 구입 비용 및 설치 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가정이나 회사 또는 쇼핑몰 등 다양한 곳에 많은 수가 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100)에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110, 120, 130, 140)가 설치된다. 주로 건물 내 매장이나 사무실 등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Access points 110, 120, 130, and 140 that provide Internet services through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have a service radius of only a few m. In addition, since access points 110, 120, 130, and 140 are inexpensive in purchasing cost and installation cost, a large number of access points 110, 120, 130, and 140 are installed and used in various places such as a home, a company, or a shopping mall. Therefore, as shown in FIG. 1,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110, 120, 130, and 140 are installed in the room 100. It is generally installed in stores or offices in buildings.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110, 120, 130, 140)는 그 서비스 반경이 수 m에 불과하기 때문에, 실내에 액세스 포인트(110, 120, 130, 140)의 신호가 전파되지 않는 음영 지역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음영 지역에는 추가적으로 액세스 포인트(110, 120, 130, 140)를 설치하되, 모든 액세스 포인트(110, 120, 130, 140)가 네트워크 기능을 가질 필요는 없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위치 측정을 위해서는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와 식별정보(예컨대, MAC 주소)만 확인이 되면 되므로, 네트워크 기능은 구비하지 않고 신호를 송출하는 더미 액세스 포인트가 일부 지역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더미 액세스 포인트들은 유동 인구가 적은 지역 등에 설치될 것이다.An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rvice radius of the access point (110, 120, 130, 140 only a few m), the shadow of the signal of the access point (110, 120, 130, 140) does not propagate in the room There can be an area. Therefore, although additional access points 110, 120, 130, and 140 are installed in the shaded area, not all access points 110, 120, 130, and 140 need to have a network function. Since only the signal strength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MAC address) of the point need to be checked, a dummy access point for transmitting a signal may not be provided in some areas. These dummy access points will be installed in areas with a small floating popul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시 활용되는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3은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setting a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used for position measur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ignal strength of an access point using a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setting apparatus.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example to measure.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수집하는 사용자는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를 휴대하고 특정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로부터 소정의 반경 거리에 위치한다(S201).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300)로부터 5m 거리인 'A' 지점에서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를 휴대하고 위치한다.Referring to FIG. 2, a user who collects information of an access point first carries a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ting device and is located at a predetermined radius distance from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 specific access point (S201).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as shown in FIG. 3A, the user carries and positions the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ting apparatus at a point 'A' that is 5 m from the access point 300.

그리고 나서, 사용자는 해당 위치에서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를 들고 제자리 회전을 하며 상기 특정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한다.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는 제자리 회전하며 측정되는 상기 특정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평균하고(S203), 그 신호 세기 평균값을 저장한다(S205).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300)로부터 5m 거리인 'A' 지점에서 제자리 회전을 하고,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는 상기 특정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평균하고 그 신호 세기 평균값을 저장한다.The user then picks up the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ting device at that position and rotates it in place to measure the signal strength of the particular access point. The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ting apparatus averages the signal strengths of the specific access point measured while rotating in place (S203), and stores the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 (S205).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as shown in FIG. 3A, the user rotates in place at the point 'A', which is 5 m from the access point 300, and the position determining reference area setting device is The signal strength of the specific access point is averaged and the signal strength average value is stored.

제자리 회전을 하며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평균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를 가슴 앞에 들고 액세스 포인트를 등지고 서있을 때와 액세스 포인트를 정면으로 바라보고 있을 때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에서 측정되는 신호 세기는 다중 경로 신호, 페이딩 현상 등에 의해 서로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동 단말을 위치 측정할 때 동일한 위치에서 사람마다 이동 단말을 휴대하고 서있는 방향이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편차를 반영하기 위해서이다.The reason for the average of the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by rotating it in place is that the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ting device is used when the user stands with the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ting device in front of his chest and is looking back at the access point. This is because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due to the multipath signal, fading phenomenon, and the like. In order to reflect such a deviation, since the direction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is held may be different for each person at the same position when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mobile terminal.

이와 같이 상기 특정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로부터 소정의 반경 거리에서 제자리 회전을 하며 상기 특정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평균하는 과정을 상기 특정 액세스 포인트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모든 반경 거리에서 수행한다(S207).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A' 지점에서 액세스 포인트(300)의 신호 세기의 평균을 구한 후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며 'B' 지점에서 제자리 회전하며 액세스 포인트(300)의 신호 세기의 평균을 구한다. 이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며 최종 'C' 지점에서 제자리 회전하며 액세스 포인트(300)의 신호 세기의 평균을 구한다. 바람직하게, 회전 이동하는데 있어서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 이동한다.As such, the process of rotating the in-situ at a predetermined radial distance from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ecific access point and measuring and averag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specific access point is performed at all radial distances while rotating around the specific access point (S207). ).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3, the user averag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300 at the point 'A', moves clockwise, rotates in place at the point 'B', and the signal of the access point 300. Find the average of the intensities. The clockwise movement in this manner rotates in place at the final 'C' point and averag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300. Preferably, in rotational movement, rotational movement is performed at regular intervals.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특정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로부터 소정의 반경 거리에서 모두 신호 세기의 평균이 구해지면, 액세스 포인트 수집 장치는 그 신호 세기의 평균값들 중 가장 큰 신호 세기의 평균값을 기준 신호 세기로 결정한다(S209).As described above, when the average of signal strengths are all obtained at a predetermined radius distance from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ecific access point, the access point collecting apparatus determines the average value of the largest signal strength among the average values of the signal strengths as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S209).

가장 큰 신호 세기의 평균값을 기준 신호 세기로 선택하는 이유는 이동 단말을 위치 측정할 때 위치 측정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15m 떨어진 'X' 지점이 신호 환경이 좋아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였을 때 신호 세기가 -60dB이고, 동일하게 15m 떨어진 'Y' 지점은 신호 환경이 좋지 않아 신호 세기가 -70dB인 경우를 가정한다.The reason for selecting the average value of the largest signal strength as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i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location measurement when the mobile terminal is located. For example, when the mobile station measur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because the 'X' point 15 m away from the access point has a good signal environment, the signal strength is -60 dB, and the 'Y' point 15 m away has the same poor signal environment.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the signal strength is -70dB.

그리고 해당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5m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하는 기준 신호 세기는 -65dB이고 그 기준 신호 세기는 상술한 신호 세기의 평균값들 중 가장 작은 신호 세기의 평균값이 선택된 것이라면, 상기 'X' 및 'Y' 지점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5m 이내가 아님에도 'X' 지점은 5m 이내인 것으로 판정된다. 그러므로, 신호 세기의 평균값들 중 가장 큰 신호 세기 평균값, 예컨대 -50dB를 기준 신호 세기로 선택한다면, 상기 'X' 및 'Y' 지점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5m 이내가 아닌 것으로 판정될 수 있다.And if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determined to be located within 5 m from the corresponding access point is -65 dB and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is the average value of the smallest signal strength among the above-described average values of the signal strength, the 'X' and 'Y' The point 'X' is determined to be within 5 meters even though the point is not within 5 meters from the access point. Therefore, if the largest signal strength average value among the average values of the signal strength, for example, -50 dB is selected as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the points 'X' and 'Y' may be determined not to be within 5 m from the access point.

이와 같이 상기 특정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로부터 소정의 반경 거리, 즉 기준 반경 거리에서 기준 신호 세기를 결정하고 난 후,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는 상기 특정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한 상기 기준 반경 영역을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으로 설정하고 이러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이 되는 신호 세기로서 상기 결정한 기준 신호 세기를 설정한다(S211).In this way, after determining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at a predetermined radius distance, that is, a reference radius distance from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ecific access point, the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ting device sets the reference radius arou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specific access point. The area is set as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and the determined reference signal strength is set as the signal strength that is the reference of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21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는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설정할 때 각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식별정보,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의 MAC 주소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또한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는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본적인 정보, 예컨대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주소 정보, 층 정보, 매장 정보, 좌표 정보 등을 입력받아 함께 저장할 수도 있다.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the apparatus for setting a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maps and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each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for example, an MAC address of an access point when setting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 In addition, the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ting apparatus provides a user with an interface for inputting the information of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o 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f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for example, address information on which an access point is installed, floor information, and store information. You can also receive and store coordinate informatio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setting a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들을 인접하게 설치하고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들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소정의 기준 반경 영역을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으로 설정하더라도, 실내 영역 중 일부 영역은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으로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즉 공백 영역이 발생한다. Even if the access points are installed adjacently as shown in FIG. 4 and the predetermined reference radius area is set as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arou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ccess point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Some of the areas may not be set as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That is, a blank area occurs.

도 4에 있어서 각 액세스 포인트를 중심으로 한 점선 영역은 각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반경이고 실선 영역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를 중심으로 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은 모든 실내 영역을 커버하지 못하고, 액세스 포인트들의 사이에는 공백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백 영역에 대해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설정하여 대부분의 실내 영역에 대해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이 설정되도록 한다.In FIG. 4, the dotted line area around each access point is the signal radius of each access point, and the solid line area is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s shown in FIG. 4, the first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around the access point does not cover all indoor areas, and a blank area may occur between the access points. Therefore,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is set for this blank region so that the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is set for most indoor regions.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각 액세스 포인트(410, 420, 430)의 중심을 기준으로 규격에 따른 신호 반경을 설정하고 그 신호 반경이 겹치는 영역(A)을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으로 설정한다. 예컨대, 도 4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410)와 액세스 포인트(420)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430)의 신호 반경이 겹치는 빗금친 영역을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으로 설정한다.Specifically, referring to FIG. 4, a signal radius according to a standard is set based on the center of each access point 410, 420, 430, and an area A where the signal radius overlaps is set as a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do. For example, in FIG. 4, a hatched area in which the signal radii of the access point 410, the access point 420, and the access point 430 overlap is set as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그리고, 각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A)에 대한 기준 신호 세기는 각 액세스 포인트를 중심으로 설정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즉, 도 4에서 각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한 실선 영역)에 대해 설정한 기준 신호 세기보다 작거나 같게 설정하며, 액세스 포인트를 중심으로 설정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과 반대로 신호 세기 범위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410)를 중심으로 설정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가 '-50dB'이고 액세스 포인트(420)를 중심으로 설정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가 '-55dB'이며, 액세스 포인트(430)를 중심으로 설정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가 -60dB인 경우, 빗금친 영역(A)에 대한 기준 신호 세기로서 액세스 포인트(410)는 -50dB, 액세스 포인트(420)는 -55dB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430)는 -60dB로 설정하되, 신호 세기 범위로는 액세스 포인트(410)의 경우 -50dB미만으로 설정하고 액세스 포인트(420)의 경우 -55dB미만으로 설정하며, 액세스 포인트(430)의 경우 -60dB미만으로 설정한다.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for each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A is a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set around each access point (that is, a solid line region center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each access point in FIG. 4). The signal strength range is set to be smaller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set with respect to), as opposed to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 around the access point. For example, in FIG. 4,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set around the access point 410 is '-50 dB' and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set around the access point 420. When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the signal is '-55dB' and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centered on the access point 430 is -60dB,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for the shaded area A is accessed. Set the point 410 to -50 dB, the access point 420 to -55 dB, and the access point 430 to -60 dB, but set the signal strength range to less than -50 dB for the access point 410. 420 is set to less than -55dB, the access point 430 is set to less than -60dB.

이러한 공백 영역에 대해 설정하는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위치 좌표는 해당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에 신호를 전파하는 각 액세스 포인트(410, 420, 430)의 설치 위치 좌표를 꼭지점으로 하는 다각형의 무게 중심 좌표 또는 내심 좌표 등이 될 수 있다. The referenc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set for such a blank area are polygons whose vertices are the installation position coordinates of the respective access points 410, 420, 430 that propagate signals to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It may be the center of gravity coordinates or the center of gravity coordinates.

대안으로,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A)에 대한 기준 신호 세기로서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중심(상기 무게 중심 좌표 또는 내심 좌표 등)으로부터 동/서/남/북 방향의 가장자리에서 측정되는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기준 신호 세기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에도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신호 세기 범위로는 동/서/남/북 방향의 가장자리에서 측정된 기준 신호 세기보다 작은 범위로 설정한다. 동/서/남/북 방향의 가장자리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것은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에 수행될 수 있다.Alternatively, it is measured at the edge in the east / west / south / north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such as the center of gravity coordinate or inner center coordinate, etc.) as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for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A. The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may be set as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At this time, the signal intensity range of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is set to a range smaller than the reference signal intensity measured at the edge in the east / west / south / north direction.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at the edge in the east / west / south / north direction can be performed in the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ting device.

이상의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공백 영역에 대한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은, 실내 영역에 대한 지도 데이터를 보유하고 그 실내 영역의 지도 데이터에 액세스 포인트들의 설치 위치, 각 액세스 포인트를 중심으로 한 제 1 위치 판정 영역 그리고 각 액세스 포인트의 규격에 따른 신호 반경을 표시할 수 있고, 그 표시된 정보들을 참조하여 지도 데이터에서 공백 영역들에 대해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설정하고 기준 신호 세기 그리고 신호 세기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가 될 수도 있고 또는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ting for the blank area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bove holds map data for the indoor area, and maps the location data of the access points to the map data of the indoor area. It is possible to display a signal location according to the 1 location determination area and the specification of each access point, and with reference to the displayed information to set a second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for the blank areas in the map data, and reference signal strength and signal strength range. It can be performed in the device capable of setting. Such an apparatus may be the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ting apparatus described in the embodiment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or may be implemented in a server form.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for setting a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있어서 각 액세스 포인트(510, 520, 530)를 중심으로 한 점선 영역은 각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반경이고 실선 영역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를 중심으로 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은 모든 실내 영역을 커버하지 못하고, 'A', 'B', 'C', 'D'와 같이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으로 설정되지 못한 공백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백 영역에 대해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설정하여 모든 실내 영역에 대해 공백 영역이 최소화되도록 한다.In FIG. 5, the dotted line area around each of the access points 510, 520, and 530 is a signal radius of each access point, and the solid line area is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As shown in FIG. 5, the first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centered on the access point does not cover all the indoor areas, and the first location determination criteria such as 'A', 'B', 'C', and 'D'. A blank area may occur that has not been set as an area. Therefore,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is set for this blank area so that the blank area is minimized for all indoor areas.

구체적으로, 각 액세스 포인트(510, 520, 530)의 규격에 따른 신호 반경을 설정하고 그 신호 반경이 겹치는 영역을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으로 설정한다. 예컨대, 도 5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510)와 액세스 포인트(520)의 신호 반경이 겹치는 'A' 영역,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520)와 액세스 포인트(530)의 신호 반경이 겹치는 'D' 영역, 또한 액세스 포인트(510)와 액세스 포인트(530)의 신호 반경이 겹치는 'B' 영역, 또한 액세스 포인트(510)와 액세스 포인트(520)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530)의 신호 반경이 겹치는 'C' 영역을 각각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으로 설정한다.Specifically, a signal radius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each access point 510, 520, 530 is set, and an area where the signal radius overlaps is set as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For example, in FIG. 5, an 'A' region where the signal radii of the access point 510 and the access point 520 overlap, and a 'D' region where the signal radii of the access point 520 and the access point 530 overlap, and also 'B' areas where the signal radii of the access point 510 and the access point 530 overlap, and 'C' areas where the signal radii of the access point 510 and the access point 520 and the access point 530 overlap, respectively. Set to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그리고, 각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A, B, C, D)에 대한 기준 신호 세기는 각 액세스 포인트를 중심으로 설정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즉, 도 5에서 실선 영역)에 대해 설정한 기준 신호 세기보다 작거나 같게 설정하며, 액세스 포인트(510, 520, 530)를 중심으로 설정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즉, 도 5에서 실선 영역)과 반대로 신호 세기 범위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510)를 중심으로 설정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가 '-50dB'이고 액세스 포인트(520)를 중심으로 설정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가 '-55dB'인 경우, 'A' 영역에 대한 기준 신호 세기로서 액세스 포인트(510)는 -50dB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520)는 -55dB로 설정하되, 신호 세기 범위로는 액세스 포인트(510)의 경우 -50dB미만으로 설정하고 액세스 포인트(520)의 경우 -55dB미만으로 설정한다.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for each of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s A, B, C, and D is set for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ie, the solid line region in FIG. 5) set around each access point. The signal intensity range is set to be smaller than or equal to one reference signal intensity, and is opposite to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ie, the solid line region in FIG. 5) set around the access points 510, 520, and 530. For example, in FIG. 5,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set around the access point 510 is '-50 dB' and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set around the access point 520. When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the signal is '-55dB', the access point 510 is set to -50dB and the access point 520 is set to -55dB as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for the region 'A', but the access point is within the signal strength range. In the case of 510, it is set to less than -50 dB, and in the case of an access point 520, it is set to less than -55 dB.

이러한 공백 영역에 대해 설정하는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위치 좌표는 해당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에 신호를 전파하는 각 액세스 포인트(410, 420, 430)의 설치 위치 좌표를 꼭지점으로 하는 다각형의 무게 중심 좌표 또는 내심 좌표 등이 될 수 있다. 두 개의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영역이 겹치는 영역은 두 개의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 좌표의 중심이 기준 위치 좌표가 될 수 있다.The referenc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set for such a blank area are polygons whose vertices are the installation position coordinates of the respective access points 410, 420, 430 that propagate signals to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It may be the center of gravity coordinates or the center of gravity coordinates. In the area where the signal areas of the two access points overlap, the center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coordinates of the two access points may be the reference location coordinates.

대안으로 각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A, B, C, D)에 대한 기준 신호 세기로서 각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동/서/남/북 방향의 가장자리에서 측정되는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기준 신호 세기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에도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신호 세기 범위로는 동/서/남/북 방향의 가장자리에서 측정된 기준 신호 세기보다 작은 범위로 설정한다. 동/서/남/북 방향의 가장자리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는 것은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에 수행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for each second positioning reference region (A, B, C, D) is used as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measured at the edge in the east / west / south / north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each second positioning reference region. The signal strength may be set as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At this time, the signal intensity range of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is set to a range smaller than the reference signal intensity measured at the edge in the east / west / south / north direction.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at the edge in the east / west / south / north direction can be performed in the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ting device.

이상의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공백 영역에 대한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은, 실내 영역에 대한 지도 데이터를 보유하고 그 실내 영역의 지도 데이터에 액세스 포인트들의 설치 위치, 각 액세스 포인트를 중심으로 한 제 1 위치 판정 영역 그리고 각 액세스 포인트의 규격에 따른 신호 반경을 표시할 수 있고, 그 표시된 정보들을 참조하여 지도 데이터에서 공백 영역들에 대해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설정하고 기준 신호 세기 그리고 신호 세기 범위를 설정할 수 있는 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사용자들이 휴대하고 다니는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가 될 수도 있고 또는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ting for the blank area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above holds map data for the indoor area, and maps the installation data of the access points to the map data of the indoor area, centering on each access point. It is possible to display a signal location according to the 1 location determination area and the specification of each access point, and with reference to the displayed information to set a second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for the blank areas in the map data, and reference signal strength and signal strength range. It can be performed in the device capable of setting. Such a device may be a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ting device carried by the user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or may be implemented in a server form.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를 중심으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설정하는 제 1 설정 모듈(610)과 상기 제 1 설정 모듈(610)에 의해 설정된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이 커버하지 못하는 공백 영역에 대해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설정하는 제 2 설정 모듈(63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 6, the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ting device determines the position set by the first setting module 610 and the first setting module 610 for setting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around the access point. And a second setting module 630 for setting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for the blank area that the reference area does not cover.

제 1 설정 모듈(610)은 입력부(611), 신호 세기 측정부(613), 평균값 산출부(615), 기준 신호 세기 결정부(617) 및 저장부(619)를 포함한다.The first setting module 610 includes an input unit 611, a signal strength measuring unit 613, an average value calculating unit 615, a reference signal strength determining unit 617, and a storage unit 619.

입력부(611)는 사용자로부터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과 관련된 정보를 입력받는다. 예컨대, 입력부(611)는 신호 세기 측정 시작/종료 명령,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식별정보,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정보(예컨대, MAC 주소), 액세스 포인트의 좌표 정보, 기준 반경 정보, 액세스 포인트가 설치된 주소, 층 정보, 매장 정보 등을 입력받는다.The input unit 611 receives information related to setting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from the user. For example, the input unit 611 may include a signal strength measurement start / end comm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access point (for example, a MAC address), coordinate information of an access point, reference radius information, and an address where an access point is installed. Enter floor information, store information, etc.

신호 세기 측정부(613)는 사용자가 선택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를 탐색하고 해당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저장부(619)에 저장한다.The signal strength measuring unit 613 searches for the signal of the access point selected by the user, measur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corresponding access point, and stores the signal in the storage unit 619.

바람직하게 신호 세기 측정부(613)는 상기 입력부(611)를 통해 신호 세기 측정 시작 명령이 입력되는 시점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측정을 시작하고 상기 입력부(511)를 통해 신호 세기 측정 종료 명령이 입력되는 시점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측정을 종료한다.Preferably, the signal strength measurement unit 613 starts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at the time when the signal strength measurement start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611, and the signal strength measurement end command i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511. The signal strength measurement of the access point is terminated at this point.

평균값 산출부(615)는 상기 신호 세기 측정부(613)에서 신호 세기 측정이 종료되면, 저장부(619)에서 측정된 신호 세기 값들을 추출하여 신호 세기 평균값을 산출하여 저장부(619)에 저장한다.When the signal strength measurement unit 613 ends the signal strength measurement, the average value calculator 615 extracts the signal strength values measured by the storage unit 619, calculates a signal intensity average value, and stores the signal strength average value in the storage unit 619. do.

기준 신호 세기 결정부(617)는, 입력부(611)를 통해 기준 신호 세기 결정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저장부(619)에 저장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 평균값들 중 가장 큰 신호 세기 평균값을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로서 결정하여 저장부(619)에 저장한다.When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determination input is received through the input unit 611,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determiner 617 sets the largest signal strength average value among the signal strength average values of the access point stored in the storage unit 619 to a first position. It is determined as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the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619.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기준 반경 거리에서 제자리 회전을 하며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평균하는 과정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반복 수행한다. 기준 신호 세기 결정부(517)는 이와 같이 어느 한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신호 세기 평균값 산출 과정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그 신호 세기 평균값들 중 가장 큰 신호 세기 평균값을 해당 액세스 포인트의 기준 신호 세기로 결정한다.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the user may rotate the in-situ at a reference radius distance from the access point by using a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ting device and measure and average the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Rotate to the center and repeat. When the signal strength average value calculation process for one of the access points is completed,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determiner 517 converts the largest signal strength average value among the average signal strength values into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the corresponding access point according to a user input. Decide

저장부(619)는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에 대한 식별정보, 이러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에 대응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식별정보와 위치 좌표, 기준 반경 정보, 기준 신호 세기, 범위 정보(즉, 기준 신호 세기보다 큰 신호 세기의 영역인지 아니면 그 반대인지 여부), 층 정보, 매장 정보 등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619 may identify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out the first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position coordinates of the access point corresponding to the first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reference radius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strength, and range information (ie, reference). Store floor information, store information, etc.).

또한, 저장부(619)는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설정하는 대상인 실내외의 지도 데이터, 액세스 포인트별 규격에 따른 신호 세기 반경 정보 및 위치 좌표 등을 저장한다.In addition, the storage unit 619 stores indoor / outdoor map data for setting the first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ignal intensity radius information and location coordinates according to the access point standard, and the lik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설정 모듈(610)에 의해 설정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이 커버하지 못하는 공백 영역에 대해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설정하는 제 2 설정 모듈(630)은 공백 영역 설정부(631) 및 기준 신호 세기 설정부(633)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6, the second setting module 630 which sets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for the blank area not covered by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 by the first setting module 610 may set the blank area. A unit 631 and a reference signal strength setting unit 633 are included.

공백 영역 설정부(631)는 입력부(611)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저장부(619)에 저장된 실내외의 지도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저장부(619)를 참조하여 액세스 포인트들을 중심으로 설정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지도 데이터에 중첩 표시한다.The blank area setting unit 631 displays indoor and outdoor map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619 o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 user'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611, and focuses on the access points with reference to the storage unit 619. The set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is overlaid and displayed on the map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공백 영역 설정부(631)는 지도 데이터와 액세스 포인트들을 중심으로 설정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중첩 표시한 상태에서 입력부(61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특정 공백 영역을 선택받아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으로 설정한다.The blank area setting unit 631 receives a specific blank area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611 in a state where the first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 based on the map data and the access points is superimposed and receives the second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 to.

바람직하게, 공백 영역 설정부(631)는 지도 데이터와 액세스 포인트들을 중심으로 설정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중첩 표시한 상태에서 각 액세스 포인트들의 표준 규격에 따른 신호 반경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공백 영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lank area setting unit 631 displays a signal radius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each access point in a state in which the blank area setting unit 631 overlaps and displays the map location and the first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 around the access points. You can select a blank area.

기준 신호 세기 설정부(633)는 상기 공백 영역 설정부(631)에서 설정하는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에 대한 기준 신호 세기 그리고 신호 세기의 범위를 설정하여 상기 저장부(619)에 저장한다.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setting unit 633 sets a reference signal intensity and a range of signal strength for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 by the blank area setting unit 631 and stores the ranges in the storage unit 619.

구체적으로, 기준 신호 세기 설정부(633)는 상기 공백 영역 설정부(631)에서 설정하는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커버하는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한다. 그리고 기준 신호 세기 설정부(633)는 입력부(611)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해당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기준 신호 세기를 상기 공백 영역 설정부(631)에서 설정하는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로 선택받고, 그 선택된 기준 신호 세기보다 작은 신호 세기 범위를 상기 공백 영역 설정부(631)에서 설정하는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신호 세기 범위로 선택받는다.Specifically,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setting unit 633 sets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 for the access point covering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 by the blank area setting unit 631. Display on the display device.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setting unit 633 selects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displayed on the corresponding display device from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611 as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 by the blank area setting unit 631. And a signal strength range smaller than the selected reference signal strength is selected as the signal strength range of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 by the blank area setting unit 631.

또한, 기준 신호 세기 설정부(633)는 상기 공백 영역 설정부(631)에서 설정하는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에 대한 기준 신호 세기를 신호 세기 측정부(613)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준 신호 세기 설정부(633)는 입력부(611)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상기 공백 영역 설정부(631)에서 설정하는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중심(예컨대, 주변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하는 다각형의 무게 중심이나 내심 등)으로부터 동/서/남/북 방향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신호 세기측정부(613)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신호 세기를 기준 신호 세기로 설정할 수 있다. 이때에도 기준 신호 세기 설정부(633)는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신호 세기 범위로는 동/서/남/북 방향의 가장자리에서 측정된 기준 신호 세기보다 작은 범위로 설정한다.In addition,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setting unit 633 may set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for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 by the blank area setting unit 631 through the signal strength measuring unit 613. Specifically,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setting unit 633 is configured to center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 by the blank area setting unit 631 according to a user's input through the input unit 611 (eg, installation of a peripheral access point). The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is measured by the signal strength measuring unit 613 at the edge in the east / west / south / north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polygon centered on the location, etc.) and based on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Can be set to the signal strength. In this case,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setting unit 633 sets the signal strength range of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to be smaller than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measured at the edge of the east / west / south / north direction.

도 6을 참조하여 설정한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은 도 6과 같이 하나의 물리적 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또는 그 중 일부의 기능만 별도의 단말에 구현되고 일부 구성요소는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와 신호 세기 그리고 측정 위치를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고, 서버는 그 수신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설정할 수 있다.Components constituting the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setting apparatus set with reference to FIG. 6 may be implemented as one physical apparatus as shown in FIG. 6, or only some of the functions are implemented in a separate terminal and some components are It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erver. The terminal measur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and transmits the information, signal strength, and measurement position of the access point to the server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server may set the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using the received data.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판정 기준 영역에 대한 테이블을 나타낸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table for a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은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식별번호를 기록하는 필드(710), 각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위치 좌표를 기록하는 필드(720), 각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커버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MAC 주소를 기록하는 필드(730), 각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 및 신호 범위를 기록하는 필드(740), 각 위치 판정 기준 영역에 대응하는 층 정보를 기록하는 필드(740), 각 위치 판정 기준 영역에 대응하는 매장 정보를 기록하는 필드(7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7, the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field 710 for recording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a field 720 for recording the reference position coordinates of each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and each position determination. A field 730 for recording the MAC address of the access point covering the reference area, a field 740 for recording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and signal range of each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and laye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A field 740, and a field 760 for recording stor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여기서 상기 기준 위치 좌표는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 좌표일 수 있고, 또는 공백 영역에 대해 설정하는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중심에 대한 위치 좌표일 수 있다. 각 위치 좌표는 위/경도 좌표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ference position coordinate may be an installation position coordinate of the access point, or may be a position coordinat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set for the blank area. Each position coordinate is preferably a latitude / longitude coordinate.

도 7에 있어서 식별번호 '1'의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은 액세스 포인트를 중심으로 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이고, 식별번호 '2'는 공백 영역에 대해 설정한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이다. 공백 영역에 대해 설정한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은 해당 영역으로 신호가 전파되는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가 참조부호 730 필드에 기록되고, 아울러 기준 신호 세기도 복수 개가 참조부호 740 필드에 기록된다. In Fig. 7, the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of identification number '1' is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centered on the access point, and the identification number '2' is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 for the blank area. In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 for the blank area,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access points through which signals are propagated to the area is recorded in a field 730, and a plurality of reference signal strengths are also recorded in a field 740.

도 7과 같은 테이블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액세스 포인트 정보 DB(870)에 저장되어 이동 단말의 실내 위치 측정에 사용된다.The table as shown in FIG. 7 is stored in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DB 870 described below and used for indoor location measurement of the mobile terminal.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이동 단말의 실내 위치 측정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indoor location measuring method of the mobile terminal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and 9.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8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osition measu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시스템은 측위 대상인 이동 단말(810) 및 위치 측정 서버(85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810)과 상기 위치 측정 서버(850)는 통신망(63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통신망(630)은 유무선 통신망으로서 이동 단말(810)과 위치 측정 서버(850) 간의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망이라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As shown in FIG. 8, the position measur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obile terminal 810 and a position measurement server 850 that are positioning targets, and the mobile terminal 810 and the position measurement server 850 are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network ( 630 transmits and receives data. Herein, the communication network 630 is a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s long as it is a communication network supporting communication between the mobile terminal 810 and the location measurement server 85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이동 단말(810)은 위치 측정의 대상으로서, 사용자의 위치 측정 입력에 따라 또는 위치 측정 서버(850)로부터의 트리거링 메시지에 기초하여, 주변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주변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를 위치 측정 서버(850)로 전송하고, 위치 측정 서버(850)로부터 위치 측정 결과를 수신한다. 상기 위치 측정 결과는 이동 단말(810)이 위치하고 있는 곳의 주소, 매장명, 위/경도 좌표, 층 정보, 건물명 등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The mobile terminal 810 is an object of location measurement, and measures information of a neighboring access point based on a user's location measurement input or based on a triggering message from the location measurement server 850. Is transmitted to the location measurement server 850, and receives the location measurement results from the location measurement server 850. The location measurement result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ddress, a store name, latitude / longitude coordinates, floor information, a building name, etc. of the location where the mobile terminal 810 is located.

액세스 포인트 정보 DB(87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액세스 포인트의 정보 테이블을 저장한다.The access point information DB 870 stores the information table of the access point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위치 측정 서버(850)는 위치 측정 요청 수신부(851), 기준 영역 판단부(853) 및 위치 측정 결과 전송부(855)를 포함한다.The location measurement server 850 includes a location measurement request receiver 851, a reference area determiner 853, and a location measurement result transmitter 855.

위치 측정 요청 수신부(851)는 위치 측정 요청을 수신한다. 위치 측정 요청은 측위 대상인 이동 단말(810)로부터 수신될 수 있고, 또는 측위 대상이 아닌 다른 이동 단말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The position measurement request receiver 851 receives a position measurement request. The location measurement request may be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810 that is the location target, or may be received from another mobile terminal that is not the location target.

측위 대상인 이동 단말(810)로부터 위치 측정 요청이 수신될 경우, 위치 측정 요청 수신부(851)는 측위 대상인 이동 단말(810)로부터 가입자 식별정보, 주변 액세스 포인트의 측정 정보(MAC 주소, 신호 세기 등)를 포함하는 위치 측정 요청을 수신한다.When the location measurement request i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810 that is the location target, the location measurement request receiver 851 receives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easurement information (MAC address, signal strength, etc.) of the neighboring access point from the mobile terminal 810 that is the location target. Receive a location measurement request comprising a.

또는 위치 측정 요청 수신부(851)는 다른 이동 단말(또는 웹 서버 등)로부터 측위 대상 이동 단말(810)의 가입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측정 요청을 수신한 후 측위 대상 이동 단말(810)로 트리거링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기초하여 측위 대상 이동 단말(810)로부터 가입자 식별정보, 주변 액세스 포인트의 측정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location measurement request receiving unit 851 receives a location measurement request including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location target mobile terminal 810 from another mobile terminal (or a web server), and then triggers a message to the location target mobile terminal 810. In this case,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measurement information of a neighboring access point may be received from the positioning target mobile terminal 810.

기준 영역 판단부(853)는 측위 대상 이동 단말(810)로부터 수신된 상기 주변 액세스 포인트의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 정보 DB(870)를 검색하여 상기 측위 대상 이동 단말(810)이 위치하고 있는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판단한다. The reference area determination unit 853 searches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DB 870 us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access point received from the positioning target mobile terminal 810, and the position where the positioning target mobile terminal 810 is located. The judgment reference area is determined.

구체적으로, 기준 영역 판단부(853)는, 측위 대상 이동 단말(810)로부터 수신된 주변 액세스 포인트들의 측정 신호 세기와 액세스 포인트 정보 DB(870)에 저장된 각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 및 신호 세기 범위를 비교하여, 대응하는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선택한다. In detail, the reference area determiner 853 may measure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of the neighboring access points received from the positioning target mobile terminal 810 and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and signal of each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tored in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DB 870. The intensity ranges are compared to select the corresponding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예컨대, 측위 대상 이동 단말(810)로부터 수신된 MAC 주소가 111.111인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가 -38dB인 경우, 기준 영역 판단부(853)는 도 7과 같은 테이블에서 식별번호가 '1'인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상기 측위 대상 이동 단말(810)이 위치하고 있는 영역으로 판정한다. For example, when the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having the MAC address 111.111 received from the positioning target mobile terminal 810 is −38 dB, the reference area determination unit 853 may determine the position where the identification number is “1” in the table of FIG. 7. The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is determined as the area where the positioning target mobile terminal 810 is located.

위치 측정 결과 전송부(855)는, 상기 기준 영역 판단부(853)에서 판단된 위치 판정 기준 영역에 대응하는 주소 정보, 매장명, 층 정보, 좌표 등을 액세스 포인트 DB(870)에서 추출하고 그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측정 결과를 위치 측정이 요청된 곳, 예컨대 이동 단말(810)로 전송한다.The location measurement result transmitter 855 extracts, from the access point DB 870, address information, store name, floor information, coordinates, and the lik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determined by the reference area determination unit 853. The location measurement result is transmitted to the place where the location measurement is requested, for example, the mobile terminal 810 based on the extracted information.

위치 측정 결과 전송부(855)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와 연동하여 상기 추출된 주소 정보 및 좌표에 대응하는 마커를 표시한 지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추출된 주소 정보 및 층 정보에 대응하는 실내의 도면에 상기 추출된 좌표를 표시하고 매장명을 기록하여 전송할 수도 있으며, 또는 메시지에 주소, 매장명 등을 기록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전송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The location measurement result transmitter 855 may transmit geographic data displaying a marker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address information and coordinates in association with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or correspond to the extracted address information and floor information. The extracted coordinates may be displayed on a drawing of a room, and a store name may be recorded and transmitted, or an address, a store name, etc. may be recorded and transmitted in a message.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on the type of transmiss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측정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osition meas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이동 단말(810)에서 위치 서비스 관련 프로세스를 실행하고 주변 액세스 포인트를 측정한다(S901).As shown in FIG. 9, a user who wants to check his / her location executes a location service related process in the mobile terminal 810 and measures a neighboring access point (S901).

이와 같이 주변 액세스 포인트를 측정한 후, 이동 단말(810)은 상기 측정된 주변 액세스 포인트의 측정 정보(MAC 주소, 신호 세기 등)와 가입자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측정 요청을 통신망(830)을 통해 위치 측정 서버(850)로 전송한다(S903).After measuring the neighboring access point as described above, the mobile terminal 810 transmits a location measurement request including the measured measurement information (MAC address, signal strength, etc.) and subscriber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easured neighboring access point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830. It transmits to the location measurement server 850 (S903).

위치 측정 요청을 수신한 위치 측정 서버(850)는, 이동 단말(810)로부터 수신된 주변 액세스 포인트의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 정보 DB(870)를 검색하여 상기 측위 대상 이동 단말(810)의 위치 측정의 기준이 되는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판단한다(S905). The location measurement server 850 receiving the location measurement request searches for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DB 870 by us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access point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810, and determines the location of the mobile terminal 810. The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rving as the reference for the position measurement is determined (S905).

구체적으로, 위치 측정 서버(850)는, 이동 단말(810)로부터 수신된 주변 액세스 포인트들의 측정 신호 세기와 액세스 포인트 정보 DB(870)에 저장된 각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 및 신호 세기 범위를 비교하여, 대응하는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선택한다. Specifically, the location measurement server 850 measures the measurement signal strength of the neighboring access points received from the mobile terminal 810 and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and signal strength range of each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stored in the access point information DB 870. In comparison, the corresponding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is selected.

이와 같이 위치 측정의 기준이 되는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선택한 후, 위치 측정 서버(850)는 그 선택된 위치 판정 기준 영역에 대응하는 주소 정보, 매장명, 층 정보, 좌표 등을 액세스 포인트 DB(670)에서 추출하고(S907), 그 추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위치 측정 결과를 이동 단말(810)로 전송한다(S909).In this way, after selecting the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rving as the location measurement standard, the location measurement server 850 accesses the address information, the store name, the floor information, the coordinates, and the like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to the access point DB 670. Extract (S907), and transmit the location measurement result to the mobile terminal 810 based on the extracted information (S909).

위치 측정 서버(850)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와 연동하여 상기 추출된 주소 정보 및 좌표에 대응하는 마커를 표시한 지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또는 상기 추출된 주소 정보 및 층 정보에 대응하는 실내의 도면에 상기 추출된 좌표를 표시하고 매장명을 기록하여 전송할 수도 있으며, 또는 메시지에 주소, 매장명 등을 기록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The location measurement server 850 may transmit geographic data displaying a marker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address information and coordinates in association with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or indoors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address information and floor information. The extracted coordinates may be displayed on the drawings, and the store name may be recorded and transmitted. Alternatively, the address may be recorded and transmitted in a message.

이동 단말(810)은 위치 측정 서버(850)로부터 수신된 위치 측정 결과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표시한다(S911). 따라서 사용자는 현재 자신이 위치한 곳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대형 쇼핑몰과 같이 본인이 가고자하는 매장의 위치를 모를 때 쇼핑몰의 지도에 현재 위치가 표시되어 본인이 가고자하는 매장의 위치를 손쉽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The mobile terminal 810 displays the location measurement result received from the location measurement server 850 through the display device (S911). Therefore, the user can pinpoint the location of where he is currently located. In particular, when you do not know the location of the store you want to go, such as a large shopping mall, the current location is displayed on the map of the mall so that you can easily grasp the location of the store you want to go.

도 9를 참조한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810)이 위치 측정을 요청하고 이에 따른 위치 측정 결과를 수신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위치 측정을 요청하는 단말과 측위 대상 이동 단말이 다를 수 있고, 위치 측정 서버(850)는 측위 대상 이동 단말에 트리거링 메시지를 전송하여 주변 액세스 포인트의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주변 액세스 포인트의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측위 대상 이동 단말의 위치를 측정한 후 위치 측정 결과를 위치 측정을 요청한 이동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9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mobile terminal 810 requests a location measurement and receives a location measurement resul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terminal requesting location measurement may be different from the location target mobile terminal, and the location measurement server In operation 850, the triggering message is transmitted to the positioning target mobile terminal to receive th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access point, and the position measurement result is measured after measuring the position of the positioning target mobile terminal based on the received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neighboring access point. The mobile station can transmit the measurement request to the mobile terminal.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씨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embodied as a program and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ROM, a RAM, a ROM, a floppy disk, a hard disk, or a magneto-optical disk).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한 부결합(subcombination)에서 구현될 수 있다. While the specification contains many features, such featur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scope of the invention or the scope of the claims. In addition, the features described in the individual embodiments herein may be combined and implemented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described herein in a singl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embodiments individually or in a suitable subcombination.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어떤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though the operations have been described in a particular order in the fig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are performed in a particular order as shown, or that a series of sequential orders, or all described operations, . In some circumstanc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may be advantageous.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division of various system components in the above embodiments does not require such distinction in all embodiments. The above-described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can generally be implemented as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as a package in multiple software product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611 : 입력부 613 : 신호 세기 측정부
615 : 평균값 산출부 617 : 기준 신호 세기 결정부
619 : 저장부 631 : 공백 영역 설정부
633 : 기준 신호 세기 설정부
611: input unit 613: signal strength measurement unit
615: average value calculation unit 617: reference signal strength determination unit
619: storage unit 631: blank area setting unit
633: reference signal strength setting unit

Claims (14)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 각각에 대해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한 기준 반경 영역을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으로 설정하며 상기 기준 반경에서 측정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상기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로 설정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으로 설정된 영역 이외의 영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분할 영역 각각을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으로 설정하며 주변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들을 해당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로 설정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방법.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access points, a reference radius area center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ccess point is set as the first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measured at the reference radius is referenced to the first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A first step of setting the signal strength; And
Divide an area other than the area set as the first location reference area into at least one area, set each of the divided areas as a second location reference area, and set signal strengths of peripheral access points to the corresponding second location reference. And a second step of setting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the are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기준 반경의 거리에서 제자리 회전을 하며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고 그 제자리 회전을 하며 측정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평균하여 신호 세기 평균값을 산출하는 산출 단계; 및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산출 단계를 반복 수행하고 그 반복 수행에 따라 산출된 신호 세기 평균값 중 어느 하나를 기준 신호 세기로 결정하는 결정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first step,
Calculating a signal strength average value by rotating the in-situ at a distance of the reference radius,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performing the in-situ rotation, and averaging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And
And a determination step of rotating arou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ccess point and repeatedly performing the calculating step and determining one of the average values of the signal strength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repetition, as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How to set up the zon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는,
신호 세기 평균값 중 가장 큰 신호 세기 평균값을 기준 신호 세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nd determining the largest signal strength average value among the signal strength average values as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분할 영역에 대해 설정한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로서, 상기 분할 영역으로 신호가 수신되는 주변 액세스 포인트 각각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 이하의 신호 세기를, 기준 신호 세기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econd step,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set for the divided region, which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signal intensity of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set arou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each of the peripheral access points for which a signal is received in the divided region. And setting the signal strength as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분할 영역에 대해 설정한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로서, 상기 분할 영역의 동서남북 방향 가장자리 각각에서 측정된 주변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기준 신호 세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econd step,
As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set for the divided regi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peripheral access point measured at each of the east, west, north, and south edges of the divided region is set as the reference signal intensity. How to set up a reference area.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주변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 좌표를 꼭지점으로 하는 다각형의 무게 중심 좌표를, 상기 분할 영역에 대한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중심 위치 좌표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The second step,
And setting the center of gravity coordinates of the polygon whose vertices are the installation position coordinates of the peripheral access point as the center position coordinates of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with respect to the divided region.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 각각에 대해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한 기준 반경 영역을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으로 설정하며 상기 기준 반경에서 측정된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상기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로 설정하는 제 1 설정 수단; 및
상기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으로 설정된 영역 이외의 영역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분할 영역 각각을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으로 설정하며 주변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들을 해당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로 설정하는 제 2 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access points, a reference radius area centered on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ccess point is set as the first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measured at the reference radius is referenced to the first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First setting means for setting the signal strength; And
Divide an area other than the area set as the first location reference area into at least one area, set each of the divided areas as a second location reference area, and set signal strengths of peripheral access points to the corresponding second location reference. And second setting means for setting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the area.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정 수단은,
상기 기준 반경의 거리에서 제자리 회전을 하며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측정하여 신호 세기 평균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반복 수행함으로써 산출된 신호 세기 평균값 중 어느 하나를 기준 신호 세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setting means,
Based on any one of the signal intensity average values calculated by repeatedly performing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signal intensity average value by measur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access point while rotating in place at the distance of the reference radius, and rotating it abou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access point. A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determined by signal strength.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설정 수단은,
신호 세기 평균값 중 가장 큰 신호 세기 평균값을 기준 신호 세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8,
The first setting means,
And the largest signal strength average value among the signal strength average values is determined as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설정 수단은,
상기 분할 영역에 대해 설정한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로서, 상기 분할 영역으로 신호가 수신되는 주변 액세스 포인트 각각의 설치 위치를 중심으로 설정된 제 1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 이하의 신호 세기를, 기준 신호 세기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The second setting means,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set for the divided region, which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reference signal intensity of the first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set aroun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each of the peripheral access points for which a signal is received in the divided region. A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ting device, wherein the signal strength is set as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설정 수단은,
상기 분할 영역에 대해 설정한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기준 신호 세기로서, 상기 분할 영역의 동서남북 방향 가장자리 각각에서 측정된 주변 액세스 포인트의 신호 세기를, 기준 신호 세기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The second setting means,
As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of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set for the divided region, the signal strength of the peripheral access point measured at each of the east, west, north, and south edges of the divided region is set as the reference signal intensity. Reference zone setting device.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설정 수단은,
상기 주변 액세스 포인트의 설치 위치 좌표를 꼭지점으로 하는 다각형의 무게 중심 좌표를, 상기 분할 영역에 대한 제 2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중심 위치 좌표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판정 기준 영역 설정 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7 to 9,
The second setting means,
A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enter of gravity coordinates of a polygon hav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coordinates of the peripheral access point as vertices are set as the center position coordinates of the second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with respect to the divided area.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액세스 포인트들을 이용하여 설정한 위치 판정 기준 영역들의 기준 신호 세기 정보 및 각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의 부가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수단;
측위 대상 통신 단말로부터 주변 액세스 포인트들의 측정 신호 세기를 포함하는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상기 수신된 주변 액세스 포인트들의 측정 신호 세기와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기준 신호 세기 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측정 신호 세기에 대응하는 위치 판정 기준 영역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 및
상기 선택 수단에서 선택된 위치 판정 기준 영역에 대응하는 부가 정보를 상기 저장 수단에서 추출하고 그 부가 정보에 기초한 위치 측정 결과를 전송하는 전송 수단;을 포함하는 위치 측정 장치.
Storage means for storing referenc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of the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s and additional information of each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area set by using access points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Receiving means for receiving measurem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measurement signal strength of the neighboring access points from the positioning target communication terminal;
Selecting means for selecting a posi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corresponding to the measured signal strength by comparing the received measured signal strength of the neighboring access points with reference signal strength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means; And
And transmission means for extracting additi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determination reference region selected by the selection means from the storage means and transmitting a position measurement result based on the additional information.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신호 세기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의 기준 반경 거리에서 제자리 회전하여 측정된 신호 세기 평균값들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측정 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reference signal strength is,
And a signal intensity average value measured by rotating in place at a reference radius distance from the access point.
KR1020110024929A 2011-03-21 2011-03-21 Method for setting criteria area to decide position and apparatus therefor KR1013280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929A KR101328005B1 (en) 2011-03-21 2011-03-21 Method for setting criteria area to decide position and apparatus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929A KR101328005B1 (en) 2011-03-21 2011-03-21 Method for setting criteria area to decide position and apparatus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305A KR20120107305A (en) 2012-10-02
KR101328005B1 true KR101328005B1 (en) 2013-11-13

Family

ID=47279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929A KR101328005B1 (en) 2011-03-21 2011-03-21 Method for setting criteria area to decide position and apparatus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80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304B1 (en) * 2012-11-26 2017-02-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Method and terminal for measuring terminal loccation
US11782123B2 (en) * 2019-04-25 2023-10-10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Area determination system, area determination method, and progra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2943A (en) 2005-02-08 2006-08-24 Alcatel Geographical localization service
JP2008536340A (en) 2006-04-20 2008-09-04 株式会社東芝 Stable wireless user localization using transmission range change
KR20100007656U (en) * 2009-01-21 2010-07-29 홍충식 AP Position Information System using Non Specified Wireless Access Point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2943A (en) 2005-02-08 2006-08-24 Alcatel Geographical localization service
JP2008536340A (en) 2006-04-20 2008-09-04 株式会社東芝 Stable wireless user localization using transmission range change
KR20100007656U (en) * 2009-01-21 2010-07-29 홍충식 AP Position Information System using Non Specified Wireless Access Poi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7305A (en) 2012-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3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iding standard signal strength of access point,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indoor position
US1075047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if a receiver is inside or outside a building or area
US20170223656A1 (en) Location measur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access point for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ervice and method for estimating location coordinate of access point
KR1014365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ifferential location based service using access point
KR10129365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information of access point
CN103747524B (en) A kind of Android terminal indoor orientation method based on cloud platform
JP5980122B2 (en) Location of electromagnetic signal source
KR10128029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location using access point
CN110926461B (en) Indoor position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ultra wide band and navigation method and system
KR10143566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information of access point, position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the access point
CN108450060B (en) Positioning method and device based on WI-FI access point
RU2680093C2 (en) Location error radius determination
WO2014180219A1 (en) Locating method, device and terminal and computer storage medium
CN103916955A (en) Device and method for wireless positioning
US954472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pproximating geo-fencing locations
KR101639204B1 (en) Mechanism for employing and facilitating geodetic triangulation for determining global positioning of computing devices
KR101328005B1 (en) Method for setting criteria area to decide position and apparatus therefor
TW201140123A (en) Locating electromagnetic signal sources
KR10129227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hild location search service
KR10127816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position using access point
KR101270012B1 (en) Method for estimating location coordinate of access point
KR10129571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pdating facility information of access point
KR10136476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location using access point and qr code
KR201200781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ctorising indoor area for indoor position measurement
Li et al. A practical RF-based indoor localization system combined with the embedded sensors in smart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6